KR2019003599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992A
KR20190035992A KR1020170123749A KR20170123749A KR20190035992A KR 20190035992 A KR20190035992 A KR 20190035992A KR 1020170123749 A KR1020170123749 A KR 1020170123749A KR 20170123749 A KR20170123749 A KR 20170123749A KR 20190035992 A KR20190035992 A KR 20190035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witch element
driving signal
touch driving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049B1 (ko
Inventor
박영민
정덕균
민경율
박지헌
오종현
황문상
황영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049B1/ko
Priority to US16/058,970 priority patent/US11073895B2/en
Priority to EP18195835.6A priority patent/EP3460641B1/en
Priority to CN201811118912.3A priority patent/CN109558030B/zh
Publication of KR2019003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992A/ko
Priority to US17/357,914 priority patent/US1146764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02D10/15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터치 감지 유닛, 및 터치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터치 감지 유닛은 제1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을 포함한다. 터치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들 각각에 제1 및 제2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터치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 각각에 연결된 제1 및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들은 서로 연결된다.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전압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전압 레벨 보다 낮은 제2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제2 구간 동안,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는 턴-온되어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전압 레벨 및 상기 제2 전압 레벨 사이의 전압 레벨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터치 구동 회로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장치들의 입력장치로써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을 포함한다. 또한, 최근에 표시장치들은 입력장치로써 터치패널을 구비한다.
터치패널의 터치 센싱 기능은 표시 장치가 온 동작하는 동안 항상 활성화되어 전력 소모가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 전력이 개선할 수 있는 터치 구동 회로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터치 감지 유닛, 및 터치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감지 유닛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제1 전송 터치 라인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제1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제2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제1 스위치 그룹 및 제2 스위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그룹은 일단이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제1 공유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 그룹은 일단이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의 타단에 연결된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전압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전압 레벨과 다른 제2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 이후 제2 구간 동안,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는 턴-온되어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전압 레벨 및 상기 제2 전압 레벨 사이의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는 턴-오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그룹은,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을 갖는 제1 상부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을 갖는 제1 하부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제1 커패시터 소자 및 제2 커패시터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패시터 소자는 상기 제1 하부 스위치 소자의 타단에 연결된 일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패시터 소자는 상기 제1 상부 스위치 소자의 타단에 연결된 일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 그룹은,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을 갖는 제2 상부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을 갖는 제2 하부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스위치 소자의 타단은 상기 제1 커패시터 소자의 상기 일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스위치 소자의 타단은 상기 제2 커패시터 소자의 상기 일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그룹은, 제1 접지 스위치 소자 및 제1 구동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과 접지에 연결된 타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과 구동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 그룹은, 제2 접지 스위치 소자 및 제2 구동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과 상기 접지에 연결된 타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과 상기 구동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 스위치 소자, 상기 제1 하부 스위치 소자,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 상기 제1 상부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1 구동 스위치 소자는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턴-온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 스위치 소자, 상기 제2 하부 스위치 소자, 상기 제2 공유 스위치 소자, 상기 제2 상부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구동 스위치 소자는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턴-온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특정 구간 동안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위상 구간 동안 제1 위상을 갖고, 상기 제1 위상 구간과 서로 다른 제2 위상 구간 동안 상기 제1 위상과 다른 제2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터치 감지 유닛, 및 터치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유닛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전송 터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구동 전압 및 접지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전송 터치 라인에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스위치 그룹 및 커패시터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그룹은 상기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들을 갖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 소자들 각각은 상기 스위치 소자들 중 일부의 타단들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N 개의 전압 레벨을 갖고, 상기 커패시터 소자들의 개수는 N-3이고, N은 4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소자들의 개수는 N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터치 감지 유닛, 및 터치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유닛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제1 전송 터치 라인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제1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제2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제1 스위치 그룹 및 제2 스위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그룹은 일단이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제1 공유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 그룹은 일단이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의 타단에 연결된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는 턴-온되어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과 다른 제2 구간 동안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는 턴-온되어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전압 레벨과 상이한 제2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터치 구동 회로는 단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터치 구동 신호를 전송 터치 라인들에 제공하여 터치 감지 유닛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터치 구동 회로에서 커패시터 소자의 개수를 줄여 제조 비용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터치 감지 유닛과 터치 구동 칩이 실장된 터치FPC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회로와 전송 터치 라인들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i는 복수의 전압 레벨을 갖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도 4의 터치 구동 회로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제1 내지 제10 스위치 소자들에 인가되는 스위치 신호들과 터치 구동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7a는 비교예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기준 구간 동안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터치 구동 신호에 의한 전송 터치 라인의 전하의 손실량과 로드 커패시터에 충전량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터치 구동 신호에 의한 로드 커패시터에서 방전되는 전하량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d는 도 7a의 터치 구동 신호에 의한 전송 터치 라인의 전하의 손실량과 로드 커패시터에서 방전되는 전하량의 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기준 구간 동안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터치 구동 신호에 의한 전송 터치 라인의 전하의 손실량과 로드 커패시터에 충전량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c는 도 8a의 터치 구동 신호에 의한 로드 커패시터에서 방전되는 전하량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d는 도 8a의 터치 구동 신호에 의한 전송 터치 라인의 전하의 손실량과 로드 커패시터에서 방전되는 전하량의 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회로와 전송 터치 라인들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 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EA)는 터치 스크린 장치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장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노트북(note book), PDS(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및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표시 장치(EA)는 터치스크린 면(TCS)을 제공한다. 터치스크린 면(TCS)은 표시 장치(EA)의 최외곽 면이고,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고, 외부 입력(TC)의 대상 면일 수 있다.
터치스크린 면(TCS)은 영상(IM)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면(TCS) 은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부 입력(TC)은 사용자의 손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장치(EA)에 포함된 센싱 소자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 또는 호버링 입력일 수 있다.
표시 장치(EA)의 외관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EA)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단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장변를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EA)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A)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 방향(DR2)과 제3 방향(DR3)이 정의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표시 장치(EA)는 표시 패널(DP), 터치 감지 유닛(TS), 터치 FPC(TFP), 터치 구동 칩(TIC), 인쇄회로기판(PCB)를 포함한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A)는 표시 패널(DP)의 하면에 배치된 보호부재, 터치 감지 유닛(TS)의 상면 상에 배치된 반사방지부재 및/또는 윈도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터치 감지 유닛(TS)은 외부입력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터치 감지 유닛(TS)은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다. 터치 감지 유닛(TS)은 독립적인 모듈로 제공되어 표시 패널(DP)에 접착층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감지 유닛(TS)은 별도의 접착체를 이용하지 않고, 표시 패널(DP)에 부착되며, 표시 패널(DP)의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유닛(TS)은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치 감지 유닛(TS)은 단층 또는 다층의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유닛(TS)은 단층 또는 다층의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FPC(TFP)는 터치 감지 유닛(TS)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치 FPC(TFP)는 터치 구동 칩(TIC)과 터치 감지 유닛(TS)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FPC(TFP)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휘어질 수 있다. 터치 FPC(TFP)는 표시 패널(DP)의 하부로 휘어져 인쇄회로기판(PCB)이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서 터치 FPC(TFP)는 터치 감지 유닛(TS)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패널(DP)터치 FPC(TFP)는 표시 패널(DP)에 부착되고, 표시 패널(DP)과 터치 감지 유닛(TS)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치 구동 칩(TIC)은 터치 FPC(TFP)에 실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구동 칩(TIC)은 표시 패널(DP)에 실장될 수 있다.
터치 구동 칩(TIC)은 터치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구동 회로는 복수의 전자 소자들과 배선들을 포함한다. 터치 구동 회로는 터치 감지 유닛(TS)의 구동에 필요한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하고, 터치 감지 유닛(TS)으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구동 회로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여 복수의 레벨을 갖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된다.
인쇄회로기판(PCB)은 터치 FPC(TFP)에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PCB)은 터치 구동 칩(TIC)으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터치 구동 신호의 생성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 장치(EA)는 표시 패널(DP)에 연결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은 표시 패널(DP)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터치 감지 유닛과 터치 구동 칩이 실장된 터치FPC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터치 감지 유닛(TS)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유닛(TS)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절연된 두 종류의 터치 라인들이 이루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근거로 터치 좌표를 추출하는 방식과, 액티브 영역 내에 복수 개로 배치된 터치 전극이 형성하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근거로 터치 좌표를 추출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서, 터치 감지 유닛(TS)은 전자의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터치 감지 유닛(TS)은 액티브 영역(AA2)과 주변 영역(NA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유닛(TS)은 액티브 영역(AA2)에서 입력된 터치를 감지하고, 주변 영역(NAA2)에서 입력된 터치를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터치 감지 유닛(TS)은 베이스 층(TBL)과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 센싱 터치 라인들(RX1~RX4), 전송 라인들(TL1~TL5), 센싱 라인들(RL1~RL5), 및 터치 패드들(TPD)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 각각은 복수 개의 전송 터치 센서부들(SP1)과 복수 개의 제1 연결부들(CP1)을 포함한다. 전송 터치 센서부들(SP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나열된다. 제1 연결부들(CP1) 각각은 전송 터치 센서부들(SP1) 중 인접하는 2개의 전송 터치 센서부들(SP1)을 연결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송 터치 센서부들(SP1) 각각은 내부에 개구부들을 갖는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센싱 터치 라인들(RX1~RX4)은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과 절연 교차한다. 센싱 터치 라인들(RX1~RX4) 각각은 복수 개의 센싱 터치 센서부들(SP2)과 복수 개의 제2 연결부들(CP2)을 포함한다. 센싱 터치 센서부들(SP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나열된다. 제2 연결부들(CP2) 각각은 센싱 터치 센서부들(SP2) 중 인접하는 2개의 센싱 터치 센서부들(SP2)을 연결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센싱 터치 센서부들(SP2) 각각은 내부에 개구부들을 갖는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송 터치 센서부들(SP1)와 제1 연결부들(CP1)은 제1 층 상에 배치되고, 센싱 터치 센서부들(SP2)와 제2 연결부들(CP2)은 제1 층과 다른 제2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송 터치 센서부들(SP1), 제1 연결부들(CP1), 및 센싱 터치 센서부들(SP2)은 제1 층 상에 배치되고, 제2 연결부들(CP2)은 제1 층과 다른 제2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 및 센싱 터치 라인들(RX1~RX4)은 터치 커패시터를 형성한다. 터치 감지 유닛(TS)은 터치 커패시터의 변화량을 근거로 터치 입력좌표를 센싱할 수 있다.
전송 라인들(TL1~TL5)의 일단은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에 연결될 수 있다. 전송 라인들(TL1~TL5)의 타단은 터치 패드들(TPD)에 연결될 수 있다. 전송 라인들(TL1~TL5)은 터치 패드들(TPD)을 통해 터치 구동 칩(TIC)으로부터 인가된 터치 구동 신호를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에 제공할 수 있다.
센싱 라인들(RL1~RL4)의 일단은 센싱 터치 라인들(RX1~RX4)에 연결될 수 있다. 센싱 라인들(RL1~RL4)의 타단은 터치 패드들(TPD)에 연결될 수 있다. 센싱 라인들(RL1~RL4)은 터치 패드들(TPD)을 통해 센싱 터치 라인들(RX1~RX4)로부터 수신한 센싱 신호들을 터치 구동 칩(TIC)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회로와 전송 터치 라인들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에서 전송 터치 라인들 중 제1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들(TX1, TX2)과 두 개의 전송 터치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터치 구동 회로의 일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3의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 각각에 연결된 터치 구동 회로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1 전송 터치 라인(TX1)은 제1 저항(R1)과 제1 로드 커패시터(CL1)를 갖는 등가회로로 모델링하였다. 제1 저항(R1)은 제1 전송 터치 라인(TX1)의 배선저항을 나타내고, 제1 로드 커패시터(CL1)는 배선과 배선 주변의 전극(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상부 캐소드 전극)에 의해 형성된 커패시터를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은 제2 저항(R2)과 제2 로드 커패시터(CL2)를 갖는 등가회로로 모델링하였다.
터치 구동 회로(TDC)는 각 전송 터치 라인들(TX1, TX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 그룹(SWA, SWB)과 커패시터 소자(CAP1, CAP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구동 회로(TDC)는 외부의 구성, 예를 들어, 도 2의 인쇄회로기판(PCB)으로부터 구동 전압(VD)을 수신하고, 접지된다. 터치 구동 회로(TDC)는 구동 전압(VD)을 수신하고, 스위치 그룹(SWA, SWB) 및 커패시터 소자(CAP1, CAP2)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압 레벨을 갖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터치 구동 회로(TDC)는 제1 전송 터치 라인(TX1)에 제공할 제1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에 제공할 제2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도 4의 제1 노드(N1)에서 측정된 신호이고, 도 2의 터치 구동 칩(TIC)의 출력 단자에서 측정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도 4의 제2 노드(N2)에서 측정된 신호이고, 도 2의 터치 구동 칩(TIC)의 출력 단자에서 측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회로(TDC)는 4개의 전압 레벨을 갖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스위치 그룹(SWA, SWB)은 제1 전송 터치 라인(TX1)에 연결된 제1 스위치 그룹(SWA)과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에 연결된 제2 스위치 그룹(SWB)을 포함한다. 스위치 그룹(SWA, SWB)은 도 2의 터치 구동 칩(TIC)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그룹(SWA) 및 제2 스위치 그룹(SWB)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스위치 그룹(SWA, SWB) 내에 포함된 스위치 소자들은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커패시터 소자(CAP1, CAP2)는 제1 커패시터 소자(CAP1) 및 제2 커패시터 소자(CA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패시터 소자들(CAP1, CAP2)은 제1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들(TX1, TX2)의 제1 및 제2 로드 커패시터들(CL1, CL2) 보다 큰 커패시턴스를 갖는다. 커패시터 소자(CAP1, CAP2)는 도 2의 터치 구동 칩(TIC) 내부에 포함될 수 있고, 도 2의 인쇄회로기판(PCB)에 포함될 수 있다.
구동 전압(VD)을 수신하여, N개의 전압레벨을 형성하기 위해 각 스위치 그룹(SWA, SWB)에 포함된 스위치 소자들의 개수는 N+1 개이고, 커패시터 소자의 개수는 N-2 개일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된다.
제1 스위치 그룹(SWA)은 제1 내지 제5 스위치 소자들(SW11~SW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스위치 소자들(SW11~SW15) 각각의 일단은 제1 전송 터치 라인(TX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소자(SW11)의 타단은 접지에 연결된다. 제1 스위치 소자(SW11)는 제1 접지 스위치 소자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 소자(SW12)의 타단은 제1 커패시터 소자(CAP1)의 일전극에 연결된다. 제2 스위치 소자(S12)는 제1 하부 스위치 소자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스위치 소자(SW13)의 타단은 제8 스위치 소자(SW23)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3 스위치 소자(SW13)는 제1 공유 스위치 소자로 정의될 수 있다.
제4 스위치 소자(SW14)의 타단은 제2 커패시터 소자(CAP2)의 일전극에 연결된다. 제4 스위치 소자(SW14)는 제1 상부 스위치 소자로 정의될 수 있다.
제5 스위치 소자(SW15)의 타단은 구동 전압(VD)을 수신한다. 제5 스위치 소자(SW15)는 제1 구동 스위치 소자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 그룹(SWB)은 제6 내지 제10 스위치 소자들(SW21~SW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내지 제10 스위치 소자들(SW21~SW25) 각각의 일단은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에 연결되고, 제6 내지 제10 스위치 소자들(SW21~SW25) 각각의 타단은 제1 내지 제5 스위치 소자들(SW11~SW15) 각각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6 스위치 소자(SW21)의 타단은 접지에 연결된다. 제6 스위치 소자(SW21)는 제2 접지 스위치 소자로 정의될 수 있다.
제7 스위치 소자(SW22)의 타단은 제1 커패시터 소자(CAP1)의 일전극에 연결된다. 제7 스위치 소자(SW22)는 제2 하부 스위치 소자로 정의될 수 있다.
제8 스위치 소자(SW23)의 타단은 제3 스위치 소자(SW13)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8 스위치 소자(SW23)는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로 정의될 수 있다.
제9 스위치 소자(SW24)의 타단은 제2 커패시터 소자(CAP2)의 일전극에 연결된다. 제9 스위치 소자(SW24)는 제2 상부 스위치 소자로 정의될 수 있다.
제10 스위치 소자(SW25)의 타단은 구동 전압(VD)을 수신한다. 제10 스위치 소자(SW25)는 제2 구동 스위치 소자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 소자(CAP1)의 일전극은 제2 스위치 소자(SW12)의 타단 및 제7 스위치 소자(SW22)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전극은 접지에 연결된다.
제2 커패시터 소자(CAP2)의 일전극은 제4 스위치 소자(SW14)의 타단 및 제9 스위치 소자(SW24)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전극은 접지에 연결된다.
도 5a 내지 도 5i는 복수의 전압 레벨을 갖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도 4의 터치 구동 회로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제1 내지 제10 스위치 소자들에 인가되는 스위치 신호들과 터치 구동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스위치 신호들은 제1 내지 제10 스위치 소자들(SW11~SW25) 각각에 인가되는 제1 내지 제10 스위치 신호들(SG11~SG25)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10 스위치 신호들(SG11~SG25)이 하이 레벨을 갖는 구간 동안 대응하는 제1 내지 제10 스위치 소자들(SW11~SW25)은 턴-온되고, 제1 내지 제10 스위치 신호들(SG11~SG25)이 로우 레벨을 갖는 구간 동안 대응하는 제1 내지 제10 스위치 소자들(SW11~SW25)은 턴-오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터치 구동 회로(TDC)는 제1 전송 터치 라인(TX1)에 제공되는 제1 터치 구동 신호(SG1)를 생성하고,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에 제공되는 제2 터치 구동 신호(SG2)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제1 터치 구동 신호(SG1)과 제2 터치 구동 신호(SG2)는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터치 구동 신호(SG1)과 제2 터치 구동 신호(SG2)는 서로 반대 위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터치 구동 신호들(SG1, SG2)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스텝 형상의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제1 및 제2 터치 구동 신호들(SG1, SG2)은 접지의 전압 레벨인 제1 레벨(V1)부터 구동 전압(VD)의 전압 레벨인 제5 레벨(V5)까지 순차적으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한다.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5 스위치 소자들(SW11, SW12, SW13, SW14, SW15)은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턴-온되고, 제6 내지 제10 스위치 소자들(SW21, SW22, SW23, SW24, SW25)은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턴-온된다. 도 6에서 제1 및 제2 터치 구동 신호들(SG1, SG2)은 아날로그 전압 파형을 도시한 것으로 일부 딜레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도시하였다.
도 5a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구간(PR1) 동안 제3 스위치 소자(SW13)는 제3 스위치 신호(SG13)에 의해 턴-온되고, 제8 스위치 소자(SW23)는 제8 스위치 신호(SG23)에 의해 턴-온된다. 제1 구간(PR1) 동안 나머지 스위치 소자들(SW11, SW12, SW14, SW15, SW21, SW22, SW24, SW25)은 턴-오프된다.
제1 전송 터치 라인(TX1)의 제1 로드 커패시터(CL1)와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의 제2 로드 커패시터(CL2)는 전하를 공유(charge sharing)하고,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와 제2 터치 구동 신호(SG2)의 전압 레벨은 동일해진다. 제1 구간(PR1) 동안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와 제2 터치 구동 신호(SG2)는 제3 레벨(V3)을 가질 수 있다. 제3 레벨(V3)은 제1 레벨(V1)과 제5 레벨(V5)의 중간값에 근접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후, 제2 구간(PR2) 동안 제4 스위치 소자(SW14)는 제4 스위치 신호(SG14)에 의해 턴-온되고, 제7 스위치 소자(SW22)는 제7 스위치 신호(SG22)에 의해 턴-온된다. 제2 구간(PR2) 동안 나머지 스위치 소자들(SW11, SW12, SW13, SW15, SW21, SW23, SW24, SW25)은 턴-오프된다.
제1 커패시터 소자(CAP1)의 일전극이 연결된 제3 노드(N3)의 전위는 제2 레벨(V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커패시터 소자(CAP2)의 일전극이 연결된 제4 노드(N4)의 전위는 제4 레벨(4)을 가질 수 있다.
제1 구간(PR1) 직후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의 전압 레벨은 제3 레벨(V3)이고, 제4 노드(N4)의 전압 레벨은 제4 레벨(V4)이다. 제2 구간(PR2) 동안 제2 커패시터 소자(CAP2)에 충전된 전하는 제1 로드 커패시터(CL1)를 충전하여 제1 터치 구동 신호(SG1)는 제4 레벨(V4)로 상승한다. 제2 커패시터 소자(CAP2)의 커패시턴스는 제1 로드 커패시터(CL1)에 비해 적어도 수십~수백배 크게 설정되므로, 제1 로드 커패시터(CL1)에 전하를 충전하더라도 제4 노드(N4)의 전압 레벨의 변화는 매우 작아 무시할 수 있다.
제1 구간(PR1) 직후 제2 터치 구동 신호(SG2)의 전압 레벨은 제3 레벨(V3)이고, 제3 노드(N3)의 전압 레벨은 제2 레벨(V2)이다. 제2 구간(PR2) 동안 제1 커패시터 소자(CAP1)는 제2 로드 커패시터(CL2)를 방전하여 제2 터치 구동 신호(SG2)의 전압 레벨은 제2 레벨(V2)에 도달한다. 제1 커패시터 소자(CAP1)의 커패시턴스는 제2 로드 커패시터(CL2)에 비해 적어도 수십~수백배 크게 설정되므로, 제2 로드 커패시터(CL2)의 전하를 방전하더라도 제3 노드(N3)의 전압 레벨 변화는 매우 작아 무시할 수 있다.
도 5c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후 제3 구간(PR3) 동안 제5 스위치 소자(SW15)는 제5 스위치 신호(SG15)에 의해 턴-온되고, 제6 스위치 소자(SW21)는 제6 스위치 신호(SG21)에 의해 턴-온된다. 제3 구간(PR3) 동안 나머지 스위치 소자들(SW11, SW12, SW13, SW14, SW22, SW23, SW24, SW25)은 턴-오프된다.
제3 구간(PR3) 동안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의 전압 레벨은 구동 전압(VD)에 의해 제5 레벨(V5)에 도달한다. 제3 구간(PR3) 동안 제2 터치 구동 신호(SG2)의 전압 레벨은 접지에 의해 제1 레벨(V1)에 도달한다.
도 5d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후, 제4 구간(PR4) 동안 제4 스위치 소자(SW14)는 제4 스위치 신호(SG14)에 의해 턴-온되고, 제7 스위치 소자(SW22)는 제7 스위치 신호(SG22)에 의해 턴-온된다. 제2 구간(PR2) 동안 나머지 스위치 소자들(SW11, SW12, SW13, SW15, SW21, SW23, SW24, SW25)은 턴-오프된다.
제3 구간(PR3) 직후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의 전압 레벨은 제5 레벨(V5)이고, 제4 노드(N4)의 전압 레벨은 제4 레벨(V4)이다. 제4 구간(PR4) 동안 제2 커패시터 소자(CAP2)는 제1 로드 커패시터(CL1)를 방전하여 제1 터치 구동 신호(SG1)는 제4 레벨(V4)에 도달한다.
제3 구간(PR3) 직후 제2 터치 구동 신호(SG2)의 전압 레벨은 제1 레벨(V1)이고, 제3 노드(N3)의 전압 레벨은 제2 레벨(V2)이다. 제4 구간(PR4) 동안 제1 커패시터 소자(CAP1)는 제2 로드 커패시터(CL2)를 충전하여 제2 터치 구동 신호(SG2)는 제2 레벨(V2)에 도달한다.
도 5e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후 5 구간(PR5) 동안 제3 스위치 소자(SW13)는 제3 스위치 신호(SG13)에 의해 턴-온되고, 제8 스위치 소자(SW23)는 제8 스위치 신호(SG23)에 의해 턴-온된다. 제5 구간(PR5) 동안 나머지 스위치 소자들(SW11, SW12, SW14, SW15, SW21, SW22, SW24, SW25)은 턴-오프된다.
제1 전송 터치 라인(TX1)의 제1 로드 커패시터(CL1)와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의 제2 로드 커패시터(CL2)는 전하를 공유(charge sharing)하고,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와 제2 터치 구동 신호(SG2)의 전압 레벨은 동일해진다. 제5 구간(PR5) 동안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와 제2 터치 구동 신호(SG1)은 제3 레벨(V3)을 가질 수 있다. 제3 레벨(V3)은 제1 레벨(V1)과 제5 레벨(V5)의 중간값에 근접할 수 있다.
도 5f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후 제6 구간(PR6) 동안 제2 스위치 소자(SW12)는 제2 스위치 신호(SG12)에 의해 턴-온되고, 제9 스위치 소자(SW24)는 제9 스위치 신호(SG24)에 의해 턴-온된다. 제6 구간(PR6) 동안 나머지 스위치 소자들(SW11, SW13, SW14, SW15, SW21, SW22, SW23, SW25)은 턴-오프된다.
제5 구간(PR5) 직후,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의 전압 레벨은 제3 레벨(V3)이고, 제3 노드(N3)의 전압 레벨은 제2 레벨(V2)이다. 제6 구간(PR6) 동안 제1 커패시터 소자(CAP1)는 제1 로드 커패시터(CL1)를 방전하여 제1 터치 구동 신호(SG1)는 제2 레벨(V2)에 도달한다.
제5 구간(PR5) 직후, 제2 터치 구동 신호(SG2)의 전압 레벨은 제3 레벨(V3)이고, 제4 노드(N4)의 전압 레벨은 제4 레벨(V4)이다. 제6 구간(PR6) 동안 제2 커패시터 소자(CAP2)는 제2 로드 커패시터(CL2)를 충전하여 제2 터치 구동 신호(SG2)는 제4 레벨(V4)에 도달한다.
도 5g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후 제7 구간(PR7) 동안 제1 스위치 소자(SW11)는 제1 스위치 신호(SG11)에 의해 턴-온되고, 제10 스위치 소자(SW25)는 제10 스위치 신호(SG25)에 의해 턴-온된다. 제7 구간(PR7) 동안 나머지 스위치 소자들(SW12, SW13, SW14, SW15, SW21, SW22, SW23, SW24)은 턴-오프된다.
제7 구간(PR7) 동안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의 전압 레벨은 접지에 의해 제1 레벨(V1)에 도달한다. 제7 구간(PR7) 동안 제2 터치 구동 신호(SG2)의 전압 레벨은 구동 전압(VD)에 의해 제5 레벨(V5)에 도달한다.
도 5h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후 제8 구간(PR8) 동안 제2 스위치 소자(SW12)는 제2 스위치 신호(SG12)에 의해 턴-온되고, 제9 스위치 소자(SW24)는 제9 스위치 신호(SG24)에 의해 턴-온된다. 제8 구간(PR8) 동안 나머지 스위치 소자들(SW11, SW13, SW14, SW15, SW21, SW22, SW23, SW25)은 턴-오프된다.
제7 구간(PR7) 직후,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의 전압 레벨은 제1 레벨(V1)이고, 제3 노드(N3)의 전압 레벨은 제2 레벨(V2)이다. 제8 구간(PR8) 동안 제1 커패시터 소자(CAP1)는 제1 로드 커패시터(CL1)를 충전하여 제1 터치 구동 신호(SG1)는 제2 레벨(V2)에 도달한다.
제7 구간(PR7) 직후, 제2 터치 구동 신호(SG2)의 전압 레벨은 제5 레벨(V5)이고, 제4 노드(N4)의 전압 레벨은 제4 레벨(V4)이다. 제8 구간(PR8) 동안 제2 커패시터 소자(CAP2)는 제2 로드 커패시터(CL2)를 방전하여 제2 터치 구동 신호(SG2)는 제4 레벨(V4)에 도달한다.
도 5i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후 제9 구간(PR9) 동안 제3 스위치 소자(SW13)는 제3 스위치 신호(SG13)에 의해 턴-온되고, 제8 스위치 소자(SW23)는 제8 스위치 신호(SG23)에 의해 턴-온된다. 제9 구간(PR9) 동안 나머지 스위치 소자들(SW11, SW12, SW14, SW15, SW21, SW22, SW24, SW25)은 턴-오프된다.
제1 전송 터치 라인(TX1)의 제1 로드 커패시터(CL1)와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의 제2 로드 커패시터(CL2)는 전하를 공유(charge sharing)하고,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와 제2 터치 구동 신호(SG2)의 전압 레벨은 동일해진다. 제9 구간(PR9) 동안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와 제2 터치 구동 신호(SG1)은 제3 레벨(V3)을 가질 수 있다. 제3 레벨(V3)은 제1 레벨(V1)과 제5 레벨(V5)의 중간값에 근접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i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터치 구동 회로(TDC)는 하나의 주기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터치 구동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와 제2 터치 구동 신호(SG2)는 서로 반대 위상을 갖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스위치 그룹(SWA)과 제2 스위치 그룹(SWB)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와 제2 터치 구동 신호(SG2)는 서로 동일한 위상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간 동안 전송 터치 라인들의 전하를 쉐어하지 않는 경우, N개의 전압 레벨을 갖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N-2 이상의 커패시터 소자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특정 구간 동안 전송 터치 라인들의 전하를 쉐어함으로써 N개의 전압 레벨(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5 레벨(V1~V5))을 갖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N-3 개의 커패시터 소자들(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2 개)이 필요하다. 이때 N은 4 이상의 자연수 일 수 있다.
커패시터 소자는 상대적으로 커패시턴스가 크므로, 면적을 많이 차지하고, 큰 면적으로 인해 설계 자유도가 제한되며,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커패시터 소자 개수를 줄임으로써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는 비교예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기준 구간 동안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터치 구동 신호에 의한 전송 터치 라인의 전하의 손실량과 로드 커패시터에 충전량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터치 구동 신호에 의한 로드 커패시터에서 방전되는 전하량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d는 도 7a의 터치 구동 신호에 의한 전송 터치 라인의 전하의 손실량과 로드 커패시터에서 방전되는 전하량의 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비교에에 따른 터치 구동 회로는 스위치 그룹과 커패시터 소자를 포함하지 않고,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 전압을 최고 레벨로 갖는 구형파 전압 신호를 터치 구동 신호(SGA)로서 제공한다. 도 7a에서 제1 레벨(V1) 및 제5 레벨(V5)은 도 6의 제1 레벨(V1) 및 제5 레벨(V5)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고, 기준 구간(PR)은 도 6의 제4 구간(PR4) 내지 제7 구간(PR7)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기준 구간(PR) 동안 터치 구동 신호(SGA)는 구동 전압(VD)의 전압 레벨인 제5 레벨(V5)을 갖고, CL·VD에 해당하는 전하를 제공하므로, 비교예의 전송 터치 라인은 CL·VD2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소모한다. 이중 CL·VD2/2에 해당하는 에너지(LP2)만 로드 커패시터에 저장되고, 나머지 CL·VD2/2에 해당하는 에너지(LP1)는 전송 터치 라인의 배선 저항등에 의해 손실된다.
도 7a 및 도 7c를 참조하면, 기준 구간(PR) 동안 로드 커패시터에 저장된 CL·VD2/2에 해당하는 에너지(LP3)는 기준 구간(PR) 이후 접지를 통해 방전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d를 참조하면, 기준 구간(PR) 동안 구동 전압(VD)을 최고 레벨로 갖는 터치 구동 신호를 전송 터치 라인에 인가함에 따라 손실되는 총 에너지(LP4)는 CL·VD2에 해당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기준 구간 동안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터치 구동 신호에 의한 전송 터치 라인의 전하의 손실량과 로드 커패시터에 충전량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c는 도 8a의 터치 구동 신호에 의한 로드 커패시터에서 방전되는 전하량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d는 도 8a의 터치 구동 신호에 의한 전송 터치 라인의 전하의 손실량과 로드 커패시터에서 방전되는 전하량의 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기준 구간(PR) 동안 터치 구동 신호(SG2)는 도 6의 제4 구간(PR4) 내지 제7 구간(PR7) 동안 제2 터치 구동 신호(SG2)의 파형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8b 내지 도 8d에서 CL은 제2 로드 커패시터(CL2)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낸다.
도 4, 도 6,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4 구간(PR4) 동안 제2 터치 구동 신호(SG2)는 VD/4 전압 레벨(제2 레벨(V2))을 갖고, CL·VD/4에 해당하는 전하를 제공하므로,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은 CL·VD2/16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소모한다. 이중 CL·VD2/32에 해당하는 에너지만 제2 로드 커패시터(CL2)에 저장되고, 나머지 CL·VD2/32에 해당하는 에너지는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의 배선 저항등에 의해 손실된다. 마찬가지로, 제5 내지 제7 구간(PR5~PR7) 각각 동안 CL·VD2/32에 해당하는 에너지만 제2 로드 커패시터(CL2)에 저장되고, 나머지 CL·VD2/32에 해당하는 에너지는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의 배선 저항등에 의해 손실된다. 도 8b에서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에서 전하 손실량(LS1)은 CL·VD2/8 이고, 제2 로드 커패시터(CL2)에 저장되는 에너지(LS2)은 CL·VD2/2 이다.
도 4, 도 6, 도 8a, 및 도 8c를 참조하면, 제4 구간(PR4) 동안 제2 로드 커패시터(CL2)에 저장된 CL·VD2/32에 해당하는 에너지는 접지를 통해 방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5 내지 제7 구간(PR5~PR7) 각각 동안 CL·VD2/32에 해당하는 에너지는 방전될 수 있다. 제5 구간(PR5) 동안 CL·VD2/16에 해당하는 에너지는 커패시터 소자들(CAP1, CAP2)을 통해 리사이클링될 수 있다. 제5 내지 제7 구간(PR5~PR7) 동안 6 CL·VD2/16에 해당하는 에너지는 커패시터 소자들(CAP1, CAP2)을 통해 리사이클링될 수 있다. 도 8c에서 제2 로드 커패시터(CL2)에서 방전되는 에너지(LS3)는 CL·VD2/8 이고, 커패시터 소자들(CAP1, CAP2)을 통해 리사이클링되는 에너지(LS4)는 6CL·VD2/16 이다.
도 4, 도 6, 도 8a, 및 도 8d를 참조하면, 제 4 구간(PR4) 내지 제7 구간(PR7) 각각 동안 VD/4 상승된 제2 터치 구동 신호(SG2)를 인가함에 따라 손실되는 에너지는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의 전하의 손실량과 제2 로드 커패시터(CL2)에서 방전되는 전하량의 합과 같고, CL·VD2/16일 수 있다. 기준 구간(PR) 동안 제2 터치 구동 신호(SG2)를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에 인가함에 따라 손실되는 총 에너지(LS5)는 CL·VD2/4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의하면,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설명한 비교예에 따른 터치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비해 소모되는 에너지를 1/4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회로와 전송 터치 라인들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터치 구동 회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터치 구동 회로와 비교하여 제1 스위치 그룹(SWA)에서 제2 및 제4 스위치 소자(SW12, SW14)가 제거되고, 제2 스위치 그룹(SWB)에서 제7 및 제9 스위치 소자(SW22, SW24)가 제거되고, 커패시터 소자(CAP1, CAP2)가 제거된 것에 차이가 있다.
도 9의 터치 구동 회로(TDC1)는 3 개의 전압 레벨을 갖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구동 회로(TDC1)는 접지 레벨인 제1 레벨, 구동 전압(VD)의 레벨인 제2 레벨, 및 제1 레벨과 제2 레벨 사이의 레벨인 제3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도 9의 터치 구동 회로(TDC1)는 3 개의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특정 구간 동안 제1 로드 커패시터(CL1)와 제2 로드 커패시터(CL2)는 전하를 공유한다.
터치 구동 회로(TDC1)가 3개의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커패시터 소자를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9 구간들(PR1~PR9) 동안 제1 터치 구동 신호(SG1)의 파형을 갖는 신호를 In-phase 신호로 정의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9 구간들(PR1~PR9) 동안 제2 터치 구동 신호(SG2)의 파형을 갖는 신호를 Out-phase 신호로 정의할 수 있다. In-phase 신호와 Out-phase 신호는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갖는 신호이고, 서로 반주기만큼 지연된 신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감지 유닛(TS)에서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개의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이 순차 구동되지 않고 동시 구동 되는 경우,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에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들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터치 구동 신호는 In-phase 신호와 Out-phase 신호를 주기적으로 혼합하여 포함함으로써 다른 터치 구동 신호들과 구분될 수 있다.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이 동시 구동됨으로써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과 센싱 터치 라인들(RX1~RX4)이 형성하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더욱 커지고, 따라서, 터치 감지 유닛(TS)의 감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 중 일부에는 In-phase 신호가 인가되고 나머지 일부에는 Out-phase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이때 In-phase 신호가 인가되는 전송 터치 라인들의 개수와 Out-phase 신호가 인가되는 전송 터치 라인들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도 6의 제5 구간(PR5)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In-phase 신호가 인가되는 전송 터치 라인들의 개수가 Out-phase 신호가 인가되는 전송 터치 라인들의 개수 보다 많은 경우, 도 6의 제 5 구간(PR5)에서 제1 전송 터치 라인(TX1)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이 전하를 공유하여 형성하는 전압 레벨은 제3 레벨(V3) 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전송 터치 라인들(TX~TX5) 중 제1 내지 제3 전송 터치 라인들(TX1~TX3)에 In-phase 신호가 인가되고, 제4 및 제5 전송 터치 라인들(TX4, TX5)에 Out-phase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5 구간(PR5) 에서 제1 내지 제5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이 전하를 공유하여 형성하는 전압 레벨은 제3 레벨(V3) 보다 더 클 수 있다.
반대로, In-phase 신호가 인가되는 전송 터치 라인들의 개수가 Out-phase 신호가 인가되는 전송 터치 라인들의 개수 보다 작은 경우, 도 6의 제 5 구간(PR5)에서 제1 전송 터치 라인(TX1)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이 전하를 공유하여 형성하는 전압 레벨은 제3 레벨(V3)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 중 제1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들(TX1, TX2)에 In-phase 신호가 인가되고, 제3 내지 제5 전송 터치 라인들(TX3~TX5)에 Out-phase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5 구간(PR5)에서 제1 내지 제5 전송 터치 라인들(TX1~TX5)이 전하를 공유하여 형성하는 전압 레벨은 제3 레벨(V3)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In-phase 신호와 Out-phase 신호가 인가되는 전송 터치 라인들의 개수 차이로 인하여 제1 전송 터치 라인(TX1)과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이 전하를 공유하는 구간들에서 제1 전송 터치 라인(TX1)과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의 전압 레벨은 상이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에서 터치 구동 신호(SGC)의 제1 전송 터치 라인(TX1)과 제2 전송 터치 라인(TX2)이 전하를 공유하는 제1 구간(PD1)의 전압 레벨 및 제2 구간(PD2)의 전압 레벨은 제1 차이(Vt)를 갖는 것을 도시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신호(SGD)는 서로 다른 위상 구간 동안 반대의 위상을 갖는 신호를 가질 수 있다.
제1 위상 구간(PK1) 동안 터치 구동 신호(SGD)는 In-phase 신호를 갖고, 제2 위상 구간(PK2) 동안 터치 구동 신호(SGD)는 Out-phase 신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의 터치 구동 신호(SGD)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및 제2 터치 구동 신호들(SG1, SG2)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EA: 표시 장치 TS: 터치 감지 유닛
DP: 표시 패널 TIC: 터치 구동 칩
TX: 전송 터치 라인 RX: 센싱 터치 라인
SWA: 제1 스위치 그룹 SWB: 제2 스위치 그룹
CAP1, CAP2: 제1 및 제2 커패시터 소자들
SW11~SW15: 제1 내지 제5 스위치 소자들
SW21~SW25: 제6 내지 제10 스위치 소자들

Claims (24)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제1 전송 터치 라인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 유닛; 및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제1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제2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터치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일단이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제1 공유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제1 스위치 그룹; 및
    일단이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의 타단에 연결된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제2 스위치 그룹을 포함하고,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전압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전압 레벨과 다른 제2 전압 레벨을 갖고,
    상기 제1 구간 이후 제2 구간 동안,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는 턴-온되어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전압 레벨 및 상기 제2 전압 레벨 사이의 전압 레벨을 갖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는 턴-오프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그룹은,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을 갖는 제1 상부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을 갖는 제1 하부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하부 스위치 소자의 타단에 연결된 일전극을 포함하는 제1 커패시터 소자; 및
    상기 제1 상부 스위치 소자의 타단에 연결된 일전극을 포함하는 제2 커패시터 소자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그룹은,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을 갖는 제2 상부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을 갖는 제2 하부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 스위치 소자의 타단은 상기 제1 커패시터 소자의 상기 일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상부 스위치 소자의 타단은 상기 제2 커패시터 소자의 상기 일전극에 연결된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그룹은,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과 접지에 연결된 타단을 갖는 제1 접지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과 구동 전압을 수신하는 제1 구동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 그룹은,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과 상기 접지에 연결된 타단을 갖는 제2 접지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과 상기 구동 전압을 수신하는 제2 구동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 스위치 소자, 상기 제1 하부 스위치 소자,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 상기 제1 상부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1 구동 스위치 소자는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턴-온되고,
    상기 제2 접지 스위치 소자, 상기 제2 하부 스위치 소자, 상기 제2 공유 스위치 소자, 상기 제2 상부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구동 스위치 소자는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턴-온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그룹은,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과 접지에 연결된 타단을 갖는 제1 접지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과 구동 전압을 수신하는 제1 구동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 그룹은,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과 상기 접지에 연결된 타단을 갖는 제2 접지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과 상기 구동 전압을 수신하는 제2 구동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특정 구간 동안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위상 구간 동안 제1 위상을 갖고, 상기 제1 위상 구간과 서로 다른 제2 위상 구간 동안 상기 제1 위상과 다른 제2 위상을 갖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센싱 터치 라인들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구동 전압과 접지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 구동 신호들 각각은 상기 접지 전압과 상기 구동 전압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표시 장치.
  12.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전송 터치 라인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 유닛; 및
    구동 전압 및 접지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전송 터치 라인에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터치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상기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들을 갖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들을 포함하는 스위치 그룹; 및
    각각이 상기 스위치 소자들 중 일부의 타단들 각각에 연결된 커패시터 소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N 개의 전압 레벨을 갖고, 상기 커패시터 소자들의 개수는 N-3이고, N은 4이상의 자연수인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상기 접지 전압과 상기 구동 전압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소자들의 개수는 N개인 표시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4인 표시 장치.
  16.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제1 전송 터치 라인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 유닛; 및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제1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제2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터치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일단이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제1 공유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제1 스위치 그룹; 및
    일단이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의 타단에 연결된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제2 스위치 그룹을 포함하고,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는 턴-온되어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전압 레벨을 갖고,
    상기 제1 구간과 다른 제2 구간 동안 상기 제1 공유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는 턴-온되어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전압 레벨과 상이한 제2 전압 레벨을 갖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들과 이격된 제3 전송 터치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상기 제3 전송 터치 라인에 제3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일단이 상기 제3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및 제2 공유 스위치 소자들의 타단들에 연결된 제3 공유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제3 스위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3 공유 스위치 소자는 턴-온되어 상기 제3 터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전압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구간 동안 상기 제3 공유 스위치 소자는 턴-온되어 상기 제3 터치 구동 신호는 상기 제2 전압 레벨을 갖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1 및 제2 터치 구동 신호들은 제1 위상을 갖고, 상기 제3 터치 구동 신호들은 상기 제1 위상과 다른 제2 위상을 갖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 동안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위상을 갖고, 상기 제2 및 제3 터치 구동 신호들은 상기 제2 위상을 갖는 표시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그룹은,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을 갖는 제1 상부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연결된 일단을 갖는 제1 하부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하부 스위치 소자의 타단에 연결된 일전극을 포함하는 제1 커패시터 소자; 및
    상기 제1 상부 스위치 소자의 타단에 연결된 일전극을 포함하는 제2 커패시터 소자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제1 전송 터치 라인 및 제2 전송 터치 라인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 유닛; 및
    상기 제1 전송 터치 라인에 제1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전송 터치 라인에 제2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터치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 및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제1 내지 제n 전압 레벨들을 갖고, n은 3이상의 홀수이고,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각각 제n+1/2 레벨을 갖고,
    상기 제1 구간 이후 제2 구간 동안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n+3/2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n-1/2 레벨을 갖는 표시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 이후 제3 구간 동안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n+5/2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n-3/2 레벨을 갖는 표시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5이고,
    상기 제3 구간 이후 제4 구간 동안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n+3/2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n-1/2 레벨을 갖고,
    상기 제4 구간 이후 제5 구간 동안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 및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 각각은 제n+1/2 레벨을 갖는 표시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구간 이후 제6 구간 동안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n-1/2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n+3/2 레벨을 갖고,
    상기 제6 구간 이후 제7 구간 동안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n-3/2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n+5/2 레벨을 갖고,
    상기 제7 구간 이후 제8 구간 동안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n-1/2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n+3/2 레벨을 갖고,
    상기 제8 구간 이후 제9 구간 동안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n+1/2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n+3/2 레벨을 갖는 표시 장치.

KR1020170123749A 2017-09-25 2017-09-25 표시 장치 KR102377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749A KR102377049B1 (ko) 2017-09-25 2017-09-25 표시 장치
US16/058,970 US11073895B2 (en) 2017-09-25 2018-08-08 Display apparatus having touch driving circuit for generating driving signals for different levels
EP18195835.6A EP3460641B1 (en) 2017-09-25 2018-09-21 Display apparatus
CN201811118912.3A CN109558030B (zh) 2017-09-25 2018-09-25 显示设备
US17/357,914 US11467649B2 (en) 2017-09-25 2021-06-24 Display apparatus having touch driving circuit for generating driving signals for different lev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749A KR102377049B1 (ko) 2017-09-25 2017-09-25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992A true KR20190035992A (ko) 2019-04-04
KR102377049B1 KR102377049B1 (ko) 2022-03-22

Family

ID=6367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749A KR102377049B1 (ko) 2017-09-25 2017-09-2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073895B2 (ko)
EP (1) EP3460641B1 (ko)
KR (1) KR102377049B1 (ko)
CN (1) CN10955803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2597B2 (en) 2018-07-06 2021-03-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touch driving circu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6010A1 (zh) * 2020-03-31 2021-10-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电路、触控面板和显示装置
CN115328330A (zh) * 2022-06-28 2022-11-11 北京奕斯伟计算技术股份有限公司 触摸驱动装置、触控装置和触摸驱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4475A (ja) * 2011-05-09 2012-11-29 Renesas Sp Drivers Inc タッチセンサパネルコントローラ及びタッチ検出装置
KR20130033562A (ko) * 2011-09-27 2013-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및 방법
WO2013069289A1 (ja) * 2011-11-11 2013-05-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
KR20150071875A (ko) * 2013-12-19 2015-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3526A (en) 1994-04-22 1995-12-05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ystem and method for power-efficient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capacitive load from a single source
KR101478045B1 (ko) 2007-11-26 2014-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KR101608326B1 (ko) 2013-10-29 2016-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104977B1 (ko) 2013-11-25 2020-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615813B1 (ko) * 2014-05-30 2016-05-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분할 구동방식의 터치 센싱 장치
US20160005363A1 (en) * 2014-07-07 2016-01-0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river output stage
CN104795041B (zh) * 2015-05-08 2018-01-2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的驱动方法、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1746022B1 (ko) 2015-06-19 2017-06-1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92849B1 (ko) 2015-09-30 2023-10-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구동 신호 생성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터치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372536B1 (ko) * 2015-09-30 2022-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408163B1 (ko) * 2015-10-12 2022-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회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터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EP3159777B1 (en) * 2015-10-20 2024-05-29 LG Display Co., Ltd. Method and circuit for driving touch sensor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0474281B2 (en) 2016-02-24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disp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and touch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16363B1 (ko) * 2016-09-30 2023-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방법, 터치 센싱 회로 및 터치 표시 장치
CN106775126B (zh) 2017-01-25 2023-04-2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触控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4475A (ja) * 2011-05-09 2012-11-29 Renesas Sp Drivers Inc タッチセンサパネルコントローラ及びタッチ検出装置
KR20130033562A (ko) * 2011-09-27 2013-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및 방법
WO2013069289A1 (ja) * 2011-11-11 2013-05-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
KR20150071875A (ko) * 2013-12-19 2015-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2597B2 (en) 2018-07-06 2021-03-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touch driving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18744A1 (en) 2021-10-14
EP3460641B1 (en) 2022-02-16
US11073895B2 (en) 2021-07-27
KR102377049B1 (ko) 2022-03-22
CN109558030B (zh) 2022-10-04
US20190095032A1 (en) 2019-03-28
US11467649B2 (en) 2022-10-11
EP3460641A1 (en) 2019-03-27
CN109558030A (zh)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6365B2 (en) Touch controller,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ensing method
US11467649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touch driving circuit for generating driving signals for different levels
US8736573B2 (en) Method and apparatus compensating noise in touch panel
KR102203449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134858B2 (en) Touch panel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5912150B (zh) 显示设备及用于显示设备的驱动方法
CN102135833B (zh) 触控面板
CN104750336B (zh) 静电电容式触摸屏面板
US20150002176A1 (en)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screen apparatus
US11487371B2 (en) Driving circuit,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touch display device
KR20190079742A (ko) 표시 장치
KR20170018741A (ko) 그라운드 모듈레이션을 이용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80079107A (ko) 쉬프트 레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7632743B (zh) 触控式oled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06557194A (zh) 驱动器集成电路及包括该驱动器集成电路的显示设备
CN107967085B (zh) 显示装置
KR20160095594A (ko)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1464743A (zh) 混合式触控面板及其形成方法
TWI603240B (zh) 觸控面板
KR102600798B1 (ko) 표시 장치
CN111613133A (zh) 显示装置
KR20160005879A (ko) 터치 패널의 구동 장치
JP2011138238A (ja)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20210041972A1 (en) Touch driving circuit
KR101504031B1 (ko) 터치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