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824A - 도파관 연결장치 및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도파관 연결장치 및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824A
KR20190035824A KR1020197006037A KR20197006037A KR20190035824A KR 20190035824 A KR20190035824 A KR 20190035824A KR 1020197006037 A KR1020197006037 A KR 1020197006037A KR 20197006037 A KR20197006037 A KR 20197006037A KR 20190035824 A KR20190035824 A KR 20190035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waveguide
clamp
flange
op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노리 이시즈카
히사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파 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파 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이크로파 화학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35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04Fixed joints
    • H01P1/042Hollow waveguid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2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 F16L23/14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for rectangular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04Fixed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50Flanged connections
    • F16B2200/509Flanged connections clam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veguide Connection Structur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도파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20)의 외주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편(11)과; 클램프편(11)을 플랜지(20)의 외주부에 밀어붙이는 조임수단(12);을 갖는 2개의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1)를 구비하며, 클램프편(1)은,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20)의, 마주본 면의 반대측의 면에 맞닿는 제1면, 도파관 측면에 맞닿는 제2면, 및 플랜지(2)의 마주본 면의 반대측의 테이퍼면이 되는 제3면을 구비한 2개의 접촉부재(111)와; 각 접촉부재(111)의 제3면에 결합하는 2개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2개의 접촉부재(111)가, 결합하는 경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홀딩되어 있는,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인 가압부재(112);를 구비하고, 2개의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1)를 한 쌍의 클램프편(1)의 마주보는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하였다.

Description

도파관 연결장치 및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
본 발명은 도파관을 연결하는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서로 연결할 도파관의 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그 양 플랜지를 서로 겹쳐서 연결하도록 한 도파관 연결장치로서, 양 플랜지의 접합면과 반대쪽에 테이퍼면을 마련하고, 그 테이퍼면에 결합하는 단면이 대략 V자형인 클램프편과; 그 클램프편을 상기 테이퍼면에 압접시키는 조임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클램프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10-135701호 공보(1페이지, 도 1 등)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도파관을 연결할 때의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도파관의 플랜지의 접합면에 대해 반대측의 면은 도파관에 대해 수직인 평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도파관에 대해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플랜지의 접합면에 대해 반대측에, 테이퍼면을 마련하기 위한 테이퍼면 형성부재 등을 별도로 배치하여야 하며, 테이퍼면 형성부재 등을 배치하기 위한 작업이 새로이 요구되는 동시에, 연결에 사용되는 부품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예를 들어, 플랜지의 접합면에 대해 반대측의 면이 테이퍼면인 특수한 도파관을 사용할 경우, 이러한 도파관을 신규로 설계 제조하여, 기존의 통상적인 도파관과 치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도파관을 이용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도파관을 연결할 때의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도파관 연결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파관 연결장치는, 단부에 플랜지를 갖는 한 쌍의 도파관을, 플랜지들끼리를 마주보게 하여 연결하는 도파관 연결장치로서, 한 쌍의 도파관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의 외주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편과; 한 쌍의 클램프편을 플랜지 외주부에 밀어붙이는 조임수단;을 각각 갖는 2개의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를 구비하며, 클램프편은,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를, 마주본 면에 대해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반대측의 면에 맞닿는 제1면과, 도파관의 측면에 맞닿는 제2면과, 플랜지의 마주본 면의 반대측의 테이퍼면이 되는 제3면을 구비한 한 쌍의 접촉부재와; 한 쌍의 접촉부재 각각의 제3면에 결합하는 2개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한 쌍의 접촉부재가, 각각이 결합하는 경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홀딩되어 있는,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인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2개의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는, 각각이 갖는 한 쌍의 클램프편의 마주보는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도파관 연결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한 쌍의 접촉부재가, 각각이 결합하는 가압부재의 경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홀딩되기 때문에, 접촉부재를 플랜지에 미리 배치할 필요가 없어, 도파관을 연결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랜지에 테이퍼면을 갖는 특수한 도파관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도파관을 이용하여 쉽게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파관 연결장치는, 상기 도파관 연결장치에서, 가압부재의 경사면은 경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홈을 가지고 있으며, 접촉부재의 제3면에는 관통홈을 관통하는 막대형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막대형 부재는 접촉부재와 반대측의 위치에, 막대형 부재가 관통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방지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관통홈과 탈락방지구조를 갖는 막대형 부재에 의해, 클램프편의 접촉부재가 가압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홀딩되어 있는 도파관 연결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접촉부재를 가압부재의 경사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홀딩할 수 있으며, 도파관을 연결할 때의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파관 연결장치는, 상기 도파관 연결장치에서, 클램프편은 접촉부재를 가압부재의 외측을 향해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을 더 구비한 도파관 연결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클램프편을 밀어붙일 때까지는 접촉부재가 가압부재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파관 연결장치는, 상기 도파관 연결장치에서, 플랜지를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각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의 조임수단은 프레임을 통해 각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의 한 쌍의 클램프편 중 적어도 한쪽을 밀어내는 나사를 갖는 도파관 연결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나사에 의해 클램프편을 밀어내어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를 죔으로써, 플랜지들끼리를 서로 밀어붙여 도파관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파관 연결장치는, 상기 도파관 연결장치에서, 2개의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는 각각이 갖는 한 쌍의 클램프편의 마주보는 방향이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도파관 연결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각형 도파관 등을 적절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파관 연결장치는, 상기 도파관 연결장치에서, 접촉부재의 제3면, 및 가압부재 경사면의 접촉부재의 제3면에 결합하는 경사면 중 적어도 한쪽의 재질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도파관 연결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접촉부재를 가압부재의 경사면에 대해 매끄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클램프편을 조일 때의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는, 단부에 플랜지를 갖는 한 쌍의 도파관을 플랜지들끼리 마주본 상태에서 연결하는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로서, 한 쌍의 도파관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의 외주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편과; 한 쌍의 클램프편을 플랜지의 외주부에 밀어붙이는 조임수단;을 구비하고, 클램프편은,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를, 마주본 면에 대해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반대측의 면에 맞닿는 제1면과, 도파관의 측면에 맞닿는 제2면과, 플랜지의 마주본 면의 반대측의 테이퍼면이 되는 제3면을 구비한 한 쌍의 접촉부재와; 한 쌍의 접촉부재 각각의 제3면에 결합하는 2개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한 쌍의 접촉부재가, 각각이 결합하는 경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홀딩되어 있는,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인 가압부재;를 구비한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한 쌍의 접촉부재가, 각각이 결합하는 가압부재의 경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홀딩되기 때문에, 접촉부재를 플랜지에 대해 미리 배치할 필요가 없어, 도파관을 연결할 때의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파관 연결장치 등에 따르면, 도파관을 연결할 때의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 연결장치의 평면도(도 1(a)) 및 사시도(도 1(b)).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 연결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도 2(a)) 및 그 IIb-IIb선에 따른 단면도(도 2(b)).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 연결장치를, 도파관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의 주변에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도 3(a))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 연결장치에 의해 도파관을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도 3(b)).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 연결장치의 접촉부재를, 도파관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와, 그 도파관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한 상태의 주요부의 단면도(도 4(a)),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 연결장치의 가압부재를 밀어붙인 상태의 주요부의 단면도(도 4(b)).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 연결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 연결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사시도(도 6(a)), 및 그 일부 확대도(도 6(b)).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 연결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 연결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도파관 연결장치 등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 동일한 부호를 붙인 구성요소는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의 도파관 연결장치(1000)의 평면도(도 1(a)) 및 사시도(도 1(b))이다.
도 2는 도파관 연결장치(1000)의 주요부의 사시도(도 2(a)) 및 그 IIb-IIb선에 따른 단면도(도 2(b))이다.
도 3은 도파관 연결장치(1000)를, 도파관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의 주변에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도 3(a)), 및 도파관 연결장치(1000)에 의해 도파관을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도 3(b))이다.
도 4는 도파관 연결장치의 접촉부재를, 도파관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의, 플랜지들끼리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의 면과, 그 도파관의 측면에 맞닿도록 배치한 상태의 주요부의 단면도(도 4(a)), 및 가압부재를 밀어붙인 상태의 주요부의 단면도(도 4(b))이다. 도 4(a) 및 도 4(b)의 단면은 도 2(b)의 단면과 동일한 위치에 따른 단면이다.
도파관 연결장치(1000)는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플랜지(20a)를 갖는 도파관(2a)과,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플랜지(20b)를 갖는 도파관(2b)을, 플랜지(20a)와 플랜지(20b)를 서로 마주보게 하여 연결하는 장치이다. 도파관 연결장치(1000)는 예를 들면, 도파관(2a 및 2b)을 관 내를 도파하는 마이크로파 등이 누설되지 않도록 연결하는 장치이어도 좋고, 도파관(2a 및 2b)을 기밀이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장치이어도 좋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파관(2a 및 2b)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들을 단순히 도파관(2)으로 부르는 일이 있다. 또한, 도파관(2a 및 2b)을 합쳐 한 쌍의 도파관(2)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파관(2)은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사각형 도파관이다. 도파관(2)은 중공 도파관이다. 도파관(2)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의 전송에 사용되는 도파관이다. 도파관(2)의 단면의 사이즈 및 종횡비 등은 상관없다. 또한, 도파관(2)의 길이 등에 대해서도 특별한 제한이 없다. 또한, 도파관(2)이 구부러져 있는지 등은 따지지 않는다. 도파관(2)은 일반적인 도파관의 규격,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용의 규격에 따른 도파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20a 및 20b)는 외주부(201)의 평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이다. 대략 사각형이란, 예를 들면 사각형이어도 좋고, 사각형의 모서리가 둥근 형상이어도 좋으며, 사각형의 적어도 일부에 절결부 등을 갖는 형상이어도 좋다. 플랜지(20a 및 20b)의 외주부(201)란, 예를 들어, 플랜지(20a 및 20b)의 둘레가장자리 부분 등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20a 및 20b)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들을 단순히 플랜지(20)로 칭하는 일이 있다. 플랜지(20)의 외주부(201)의 평면 형상에서의 사이즈 및 종횡비는 상관없다. 플랜지(20)의 두께 등도 상관없다. 플랜지(20)는 예를 들면, 도파관(2)의 측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20)는 예를 들어, 도파관(2)의 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퍼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파관(2)의 측면이란, 예를 들면, 도파관(2)의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면이다. 예를 들어, 도파관(2)은 사각형 도파관이기 때문에, 적어도 플랜지(20)의 근방에서 4개의 측면이 있다. 플랜지(20)는 그 외주부(201)에, 예를 들면 도파관(2)의 각 측면에 대해 평행한 4개의 변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도파관(2)인 도파관(2a 및 2b)은 예를 들면, 각각의 단부의 플랜지(20)들끼리가 마주본 상태로 연결된다. 2개의 도파관(2a 및 2b)을 연결할 때에는 예를 들면, 한 쌍의 도파관(2)끼리 서로 연통하도록 각각이 갖는 플랜지(20)가 마주보며 배치된다. 플랜지(20a 및 20b)는 각각 대향면(210)을 가지고 있다. 대향면(210)은 플랜지(20)들끼리를 연결할 때에 마주보는 면이다. 대향면(210)은 예를 들면, 도파관(2)의 최단부에 위치하는 면이다. 또한, 2개의 도파관(2)을 연결할 경우, 플랜지(20)들 사이에 마이크로파의 누설 방지를 위한 가스켓 등의 실링재(미도시)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고, 배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실링재로서, 기밀성 등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 등의 실링재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연결을 위해 한 쌍의 도파관(2)들끼리 서로 연통하도록 플랜지(20)를 마주보고 배치할 때에, 대향면(210)들끼리는 서로 맞닿아도 좋고, 맞닿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플랜지(20)들 사이에 실링재를 배치할 경우, 대향면(210)은 각각 실링재에 맞닿고, 대향면(210)들끼리는 맞닿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실링재를 배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대향면(210)들끼리 맞닿는다. 예를 들면, 도파관(2a 및 2b)을 연결할 때에, 플랜지(20a)의 대향면(210)과 플랜지(20b)의 대향면(210) 사이에 실링재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플랜지(20)의 대향면(210)에 미리 실링재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도파관 연결장치(1000)는 2개의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이하, 연결 클램프라 칭한다.)(1a 및 1b)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이하, 설명의 편의상, 연결 클램프(1a 및 1b)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예를 들어, 공통된 설명 등을 하는 경우 등)에서는 연결 클램프(1)로서 설명을 하는 일이 있다.
연결 클램프(1a)는 도파관(2)들끼리의 연결을 위해, 도파관(2)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20a 및 20b)의 외주부(20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클램프편(11a1) 및 제2클램프편(11a2)과, 이 제1클램프편(11a1) 및 제2클램프편(11a2)을 마주본 상태의 플랜지(20)의 외주부(201)에 밀어붙이는 조임수단(12a)을 각각 가지고 있다. 제1클램프편(11a1) 및 제2클램프편(11a2)을, 연결 클램프(1a)가 갖는 한 쌍의 클램프편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제1클램프편(11b1) 및 제2클램프편(11b2)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연결 클램프(1a)가 갖는 제1클램프편(11a1)과 제2클램프편(11a2)을 구별하지 않을 경우, 이들을 단순히 클램프편(11a)이라 칭하는 일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연결 클램프(1a)가 갖는 제1클램프편(11a1) 및 제2클램프편(11a2)을, 한 쌍의 클램프편(11a)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것은 후술하는 연결 클램프(1b)가 갖는 제1클램프편(11b1) 및 제2클램프편(11b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클램프편(11a)과 클램프편(11b)을 구별하지 않을 경우, 이들을 단순히 클램프편(11)으로 부르는 일이 있다.
한 쌍의 클램프편(11a)을 플랜지(20)의 외주부(201)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한 쌍의 클램프편(11a)이, 플랜지(20)의 대향면(210)에 평행한 방향에서 마주보고, 그 클램프편(11a)들 사이에, 도파관(2)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20)가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연결 클램프(1a)의 한 쌍의 클램프편(11a)은 연결을 위해 대향한 상태로 배치된 대략 직사각형의 2개의 플랜지(20)의 외주부(201)의 평행한 두 변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연결 클램프(1b)는 연결 클램프(1a)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연결 클램프(1b)는 한 쌍의 클램프편(11a)과 마찬가지의, 제1클램프편(11b1) 및 제2클램프편(11b2)과; 조임수단(12b)과 동일한 조임수단(12b);을 가지고 있다. 연결 클램프(1b)가 갖는 한 쌍의 클램프편(11b)은 예를 들어, 연결을 위해 도파관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대략 직사각형의 플랜지(20)의 외주부(201)의, 상기 한 쌍의 클램프편(11a) 사이에 끼인 평행한 두 변에 대해 수직이 되는 평행한 두 변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연결 클램프(1a)가 갖는 클램프편(11a)과, 연결 클램프(1b)가 갖는 클램프편(11b)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들을 단순히 클램프편(11)으로 부르는 일이 있다. 또한, 연결 클램프(1a)가 갖는 조임수단(12a)과, 연결 클램프(1b)가 갖는 조임수단(12b)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조임수단(12)으로 부르는 일이 있다.
연결 클램프(1a 및 1b)는 예를 들면, 각각이 갖는 한 쌍의 클램프편(11a 및 11b)의 대향하는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일 예로서, 한 쌍의 클램프편(11a 및 11b)의 대향하는 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내고 있다. 2개의 연결 클램프(1a 및 1b)는 각각이 갖는 한 쌍의 클램프편(11a 및 11b)의 대향하는 방향이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클램프편(11a)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는 것은, 예를 들면, 한 쌍의 클램프편(11a)을 구성하는 2개의 클램프편(11a1 및 11a2)의 대향하는 면들끼리(예를 들어, 제1클램프편(11a1) 및 제2클램프편(11a2)이 각각 갖는 후술하는 접촉부재(111)의 제2면(1112)들끼리)가 대략 평행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클램프편(11a)의 대향하는 방향이란, 예를 들면 한 쌍의 클램프편(11a)을 구성하는 제1클램프편(11a1) 및 제2클램프편(11a2)의 대향하는 면에 대해 수직이 되는 직선의 연장되는 방향이다. 이러한 것은 한 쌍의 클램프편(11b)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클램프편(11a)은 2개의 접촉부재(111a 및 111b)와 가압부재(11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것은 클램프편(11b)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접촉부재(111a 및 111b)를 구별하지 않을 경우, 이들을 단순히 접촉부재(111)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 하나의 클램프편(11)이 갖는 2개의 접촉부재(111a 및 111b)는 한 쌍의 접촉부재(111)로 생각할 수도 있다. 클램프편(11)의 재질은 통상적으로 금속이다. 단, 적어도 일부에 금속 이외의 재질을 갖는 부분을 적절히 가지고 있어도 좋다.
한 쌍의 접촉부재(111)는 상기와 같이 도파관(20a 및 20b)의 연결을 위해, 도파관(20a 및 20b)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20a 및 20b)를, 그 마주본 면에 대해 반대측의 면, 즉, 플랜지(20a 및 20b)의 대향면(210)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부재이다. 예를 들면, 하나의 클램프편(11)이 갖는 접촉부재(111a)는 연결 대상이 되는 도파관(2a)이 갖는 플랜지(20a)의 대향면(210)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하나의 클램프편(11)이 갖는 접촉부재(111b)는 연결 대상이 되는 도파관(2b)이 갖는 플랜지(20b)의 대향면(210)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접촉부재(111)는 도파관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2개의 플랜지(20) 중 한쪽의, 플랜지(20)들끼리의 대향하는 면인 대향면(210)의 반대측의 면에 맞닿는 제1면(1111)과, 이 플랜지(20)를 갖는 도파관(2)의 측면에 맞닿는 제2면(1112)과, 이 플랜지(20)의, 대향면(210)의 반대측의 테이퍼면이 되는 제3면(1113)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접촉부재(111a)는 플랜지(20a)의, 대향면(210)에 대해 반대측의 면에 맞닿는 제1면(1111)과, 이 플랜지(20a)를 갖는 도파관(2a)의 측면에 맞닿는 제2면(1112)과, 이 플랜지(20a)의, 대향면(210)에 대해 반대측의 테이퍼면이 되는 제3면(111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접촉부재(111b)는 플랜지(20b)의, 대향면(210)에 대해 반대측의 면에 맞닿는 제1면(1111)과, 이 플랜지(20b)를 갖는 도파관(2b)의 측면에 맞닿는 제2면(1112)과, 이 플랜지(20b)의, 대향면(210)에 대해 반대측의 테이퍼면이 되는 제3면(1113)을 구비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도파관(2)의 측면과, 도파관(2)의 플랜지(20)의, 플랜지(20)들끼리가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도이기 때문에, 하나의 접촉부재(111)의 제1면(1111)과 제2면(1112)이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어 9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면(1111)과 제2면(1112)이 실제로 교차하는 부분의 모서리는 둥글게 되어 있어도 좋고, 모서리가 떨어져 나가 있어도 좋다. 제3면(1113)은 예를 들어, 제1면(1111)을 플랜지(20)들끼리가 마주본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맞닿도록 배치하고, 제2면(1112)을, 이 플랜지(20)를 갖는 도파관(2)의 측면에 맞닿도록 배치한 경우에, 플랜지(20)의 테이퍼면이 되는 면이다. 플랜지(20)의 테이퍼면이란, 예를 들면, 도파관(2)의 최단부로 향할수록 도파관(2)의 외측으로 확장되어가는 면이다. 플랜지(20)의 테이퍼면이 된다는 것은 예를 들면, 플랜지(20)의 테이퍼면에 상당하는 면이 되는 것이어도 좋고, 플랜지(20)의 테이퍼면처럼 보이는 면이 되는 것이어도 좋으며, 플랜지(20)의 테이퍼면으로서 기능 하는 면이 되는 것이어도 좋다. 제3면(1113)은 예를 들어, 도파관(2) 측을 향할수록 제1면(1111)과의 거리가 벌어지도록 제1면(1111)에 대해 경사져 있는 면으로 생각하여도 좋다. 접촉부재(111)의, 제1면(1111)과 제2면(1112)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제1면(1111)과 제3면(1113)이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면, 절단 부위에 상관없이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단, 부분적으로 다른 각도의 장소를 포함하여도 좋다. 제1면(1111)과 제3면(1113)이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면, 45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3면(1113)은 예를 들면, 제1면(1111)과 제2면(1112)이 이루는 모서리를 대각으로 하는 면이다. 또한, 제1면(1111)과 제3면(1113)이 교차하는 부분의 모서리나, 제2면(1112)과 제3면(1113)이 교차하는 부분의 모서리는 둥글게 되거나 모서리가 떨어져 나가 있어도 좋다. 접촉부재(111)의, 제1면(1111)과 제2면(1112)에 평행한 방향의 길이(이하, 접촉부재(111)의 폭이라 칭한다.)는 상관없다. 여기에서는, 접촉부재(111)의 폭은 그 접촉부재(111)의 제2면(1112)이 맞닿는 도파관(2)의 측면의 폭 이하의 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폭이 짧으면, 플랜지(20)들끼리를 사이에 끼워넣는 힘이 약해지거나, 끼워넣는 힘의 장소에 따른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접촉부재(111)의 폭은 가능한 넓은 편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파에 사용되는 사각형 도파관에서는 규격에 따라 도파관의 폭 등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접촉부재(111)의 폭은 연결하는 도파관(2)에 맞춰 결정된 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접촉부재(111)를 구성하는 2개의 접촉부재(111)인 접촉부재(111a 및 111b)는 예를 들면, 제1면(1111)들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면(1112)들끼리가 평행이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1면(1111), 제2면(1112) 및 제3면(1113)은 예를 들면 평면이다. 단, 표면에 엠보싱 가공이 이루어져 있어도 좋고,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표면에 홈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면(1111), 제2면(1112) 및 제3면(1113)은 이들과 맞닿는 면에 대해, 거의 균일하게 힘이 가해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들 면에 복수의 요철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가장 높이가 높아지는 복수의 부분이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파관(2)의 측면과, 플랜지(20)의, 제1면(1111)과 맞닿는 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근방에, 테이퍼면, 곡면 또는 단차 등(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 이 테이퍼면이나 곡면은 도파관(2)의 측면의 일부라고 생각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접촉부재(111)의 제2면(1112)이 이들 테이퍼면, 곡면 또는 단차 등의 일부와 맞닿는 것도, 제2면(1112)이 도파관(2)의 측면에 맞닿는 것으로 생각하여도 좋다.
또한, 접촉부재(111)의 제2면(1112)에 수직인 단면이 대략 삼각형인 경우, 제1면(1111)의 제2면(1112)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는 플랜지(20)의 끝에서부터 도파관(2) 측면까지의 거리 이상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면이 대략 삼각형이 아닌 경우(예를 들어, 제1면(1111)과 제3면(1113)이 교차하는 부분이 잘려나간 직사각형의 형상 등인 경우), 제1면(1111)을 포함하는 평면과, 제3면(1113)을 포함하는 평면이 교차하는 위치와, 제2면(1112)과 제1면(1111)이 교차하는 위치와의 사이의 길이는 플랜지(20)의 외주부(201)에서부터 도파관(2) 측면까지의 거리 이상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부재(111)의 제3면(1113)의 재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일 수 있다. 제3면(1113)의 재질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라는 것은 제3면(1113)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코팅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고, 제3면(1113)이 되는 부분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시트나 플레이트 등이 배치 혹은 매립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촉부재(111)를 제3면(1113)을 결합시켜 이동시킬 때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가압부재(112)를 누를 때에, 불필요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단, 제3면(1113)의 재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아니어도 좋다.
하나의 클램프편(11)이 갖는 가압부재(112)는 동일한 클램프편(11)이 갖는 한 쌍의 접촉부재(111) 각각의 제3면(1113)에 결합하는 2개의 경사면(1121a 및 1121b)을 구비하고 있으며, 단면 형상이 대략 V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동일한 클램프편(11)이 갖는 접촉부재(111)의 폭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다. 하나의 클램프편(11)이 갖는 가압부재(112)가 갖는 2개의 경사면(1121a 및 1121b)은 예를 들어, 제3면(1113)이 플랜지(20)의 테이퍼면이 되도록 배치한, 동일한 클램프편(11)이 갖는 한 쌍의 접촉부재(111)의 제3면(1113)에 적어도 결합하는 경사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클램프편(11)이 갖는 한 쌍의 접촉부재(111) 중 접촉부재(111a)의 제3면(1113)이 그 클램프편(11)의 가압부재(112)가 갖는 경사면(1121a)에 결합하고, 한 쌍의 접촉부재(111) 중 접촉부재(111b)의 제3면(1113)이 그 클램프편(11)의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b)에 결합하는 경우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경사면(1121a 및 1121b)을 구별하지 않을 경우, 이들을 단순히 경사면(1121)으로 부르는 일이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112)가 갖는 2개의 경사면(1121)은 마주보고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경사면(1121)은 예를 들면, 플랜지(20) 측을 향해 퍼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경사면(1121)은 후술하는 프레임(121)의 내측을 향해 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재(112)는 2개의 경사면(1121)으로 구성되는 홈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여도 좋다. 이 홈은 예를 들면, 가압부재(112)가 갖는 접촉부재(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다. 가압부재(112)의 단면 형상이 대략 V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단면에서의 2개의 경사면(1121)에 대응하는 부분이 대략 V자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가압부재(112)는 2개의 경사면(1121)으로 구성되는 대략 V자 홈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여도 좋다.
한 쌍의 접촉부재(111)는 각각이 결합하는 경사면(1121)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가압부재(112)에 홀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클램프편(11)이 갖는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a) 측에는 접촉부재(111a)가 경사면(1121a)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홀딩되고, 동일한 클램프편(11)이 갖는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b) 측에는 접촉부재(111b)가 경사면(1121b)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홀딩되어 있다. 접촉부재(111)가 어떻게 각각이 결합하는 경사면(1121)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가압부재(112)에 홀딩되어 있는지는 상관없다. 가압부재(112)는 예를 들어, 접촉부재(111)가 맞닿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접촉부재(111)가 가압부재(112)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접촉부재(111)를 홀딩하고 있다. 접촉부재(111)가 경사면(1121)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가압부재(112)에 홀딩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는 상관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에 형성된 2개의 관통홈(114)과, 탈락방지구조(115a)를 갖는 2개의 막대형 부재(115)로 구성되는 홀딩구조에 의해, 접촉부재(111)가 경사면(1121)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가압부재(112)에 홀딩되어 있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그 홀딩구조의 예에 대해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a 및 1121b)은 각각 경사면(1121a 및 1121b)의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관통홈(114)을 가지고 있다. 그 가압부재(112)에 홀딩되는 접촉부재(111a)의 제3면(1113)에는 그 제3면(1113)에 결합하는 경사면(1121a)의 2개의 관통홈(114)을 각각 관통하는 2개의 막대형 부재(115)가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그 가압부재(112)에 홀딩되는 접촉부재(111b)의 제3면(1113)에는 그 제3면(1113)에 결합하는 경사면(1121b)의 2개의 관통홈(114)을 각각 관통하는 2개의 막대형 부재(115)가 마련되어 있다. 막대형 부재(115)는 예를 들어, 제3면(1113)에 대해 거의 수직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단, 막대형 부재(115)는 제3면(1113)에 대해 거의 수직이 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각 막대형 부재(115)는 접촉부재(111)와 반대측의 위치에, 각 막대형 부재(115)가 관통홈(114)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방지구조(115a)를 가지고 있다. 탈락방지구조(115a)는, 여기에서는 막대형 부재(115)의, 관통홈(114)의 폭보다 굵게 되어 있는 부분이다.
하나의 가압부재(112)가 갖는 하나의 경사면(1121a)의 2개의 관통홈(114)을 따라, 그 경사면(1121a)에 결합하는 제3면(1113)을 갖는 접촉부재(111a)에 마련된 2개의 막대형 부재(115)가 이동 가능하며, 이로써, 접촉부재(111a)는 그 접촉부재(111a)의 제3면(1113)에 결합하는 가압부재(112)의 하나의 경사면(1121a)의 경사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탈락방지구조(115a)가 관통홈(114)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접촉부재(111a)를 가압부재(11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홀딩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경사면(1121b) 및 접촉부재(111b)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하여 관통홈(114)과 탈락방지구조(115a)를 갖는 막대형 부재(115)에 의해, 클램프편(11)의 접촉부재(111)가 가압부재(112)에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홀딩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홈(114)을 형성하는 위치는 따지지 않는다. 관통홈(114)은 예를 들어, 접촉부재(111)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관통홈(114)의 경사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막대형 부재(115)를 관통홈(114)의 2개의 경사면(1121)들끼리 접근하는 측으로 이동시킨 경우에, 막대형 부재(115)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2개의 접촉부재(111)의 제1면(1111) 간의 간격이, 마주보게 한 2개의 플랜지(20)의 두께보다도 좁아지는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재(111)가 이동하는 거리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막대형 부재(115)를, 제3면(1113)의, 제2면(111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대형 부재(115)의 단면 형상 등은 상관없다. 예를 들어, 원형 형상이어도 좋고,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막대형 부재(115)로서, 단면 형상이, 관통홈(114)의 길이방향의 길이가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보다도 긴 형상인 막대형 부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러한 막대형 부재(115)를 사용할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경사면(1121)에 형성된 관통홈(114)이 하나이어도, 접촉부재(111)가 막대형 부재(115)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탈락방지구조(115a)인 막대형 부재(115)의 굵게 되어 있는 부분은 막대형 부재(115)의 접촉부재(111)와 반대측의 위치를 메우고 마련된 부분이어도 좋고, 용접이나 접착 등으로, 장착된 막대형 부재(115)에 끼워진 링이나 막대형 부재(115)를 사이에 끼워넣는 부재 등이어도 좋다. 또한, 탈락방지구조(115a)는 각 막대형 부재(115)의 접촉부재(111)와 반대측의 위치에, 막대형 부재(115)의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구멍(미도시)에 삽입된 핀 등이어도 좋다.
또한, 탈락방지구조(115a)와 접촉부재(111)의 제3면(1113) 간의 거리는 이들에 의해 관통홈(114)의 주변이 사이에 끼워넣어져 막대형 부재(115)의 이동이 저해되지 않을 거리, 예를 들면, 관통홈(114)의 깊이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거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너무 길면, 접촉부재(111)가 경사면(1121)의 수직방향 등에서 크게 이동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빠지므로, 길이는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하나의 경사면(1121)에 형성하는 관통홈(114)이 2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관통홈(114)은 1개이어도 좋고,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탈락방지구조(115a)를 갖는 막대형 부재(115)는 예를 들어, 헤드부의 폭이 관통홈(114)의 폭보다도 큰 나사(미도시)나 핀 등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이러한 나사나 핀을 접촉부재(111)의 제3면(1113)에 형성한 나사구멍 등의 구멍(미도시)에 끼워넣음으로써, 막대형 부재(115)를, 제3면(1113)에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나사의 헤드부가 탈락방지구조(115a)가 된다.
가압부재(112)의 폭 방향의 길이는 그 가압부재(112)에 홀딩되는 2개의 접촉부재(111)의 폭 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재(112)의 폭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면, 그 가압부재(112)에 홀딩되는 접촉부재(111)의 폭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112)의 폭 방향의 길이가 접촉부재(111)의 폭 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단, 길이는 동일하지 않아도 좋으며, 길이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연결 클램프(1a)가 갖는 한 쌍의 클램프편(11a), 즉 제1클램프편(11a1) 및 제2클램프편(11a2)은 예를 들어, 각각이 갖는 가압부재(112)의 2개의 경사면(1121a 및 1121b)을 갖는 측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한 쌍의 클램프편(11a)은, 2개의 경사면(1121a 및 1121b)을 갖는 측면들끼리가, 연결을 위해 도파관(2a 및 2b)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상태의 플랜지(20a 및 20b)의 외주부(20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클램프편(11a1) 및 제2클램프편(11a2)이 갖는 가압부재(112)의, 2개의 경사면(1121a 및 1121b)을 갖는 측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제1클램프편(11a1)과 제2클램프편(11a2)이 각각 갖는 가압부재(112)의 2개의 경사면(1121a 및 1121b)을 갖는 홈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생각하여도 좋다. 이러한 것은 연결 클램프(1b)를 갖는 한 쌍의 클램프편(11b), 즉 제1클램프편(11b1) 및 제2클램프편(11b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프레임(121)은 마주본 상태의 플랜지(20a 및 20b)를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틀 형태의 부재이다. 프레임(121)은 예를 들면, 도파관(2) 및 그 플랜지(20)를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의 개구부(121a)를 갖는 틀체이다. 프레임(121)은 예를 들면, 클램프편(11)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홀딩하기 위한 부재이다. 프레임(121)은 하나 이상의 클램프편(11)을 이동 가능하게 홀딩하고 있어도 좋다. 프레임(121)은 연결 클램프(1a) 및 연결 클램프(1b) 각각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생각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프레임(121)은 연결 클램프(1a) 및 연결 클램프(1b) 각각의 구성요소로서 공용되고 있다고 생각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연결 클램프(1a)가 한 쌍의 클램프편(11a)과, 그 클램프편(11a)을 밀어붙이는 후술하는 조임수단(12a)과, 프레임(121)을 가지고 있으며, 연결 클램프(1b)가 한 쌍의 클램프편(11b)과, 그 클램프편(11b)을 밀어붙이는 후술하는 조임수단(12b)과, 프레임(121)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여도 좋다.
프레임(121)은 변 등의 일부를 분리 가능한 분리구조, 또는 변 등의 일부의 개폐할 수 있는 개폐구조를 갖는 프레임이어도 좋고, 분리구조나 개폐구조를 갖지 않는 프레임이어도 좋다. 분리구조나 개폐구조를 갖지 않는 프레임을, 여기에서는 닫힌 프레임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프레임(121)을 닫힌 프레임으로 함으로써, 일단, 도파관(2) 등에 통과시킨 프레임(121)이 작업시에 실수로, 도파관(2)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지 않도록 할 있다. 또한, 프레임(121)을 분리 가능한 구성이나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파관(2)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2개의 플랜지(20)를 일단 분리하지 않고도 프레임(121)의 개구부(121a) 내로, 도파관(2)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2개의 플랜지(20)를 배치할 수 있고,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서 프레임(121)이, 평면형상이 직사각형이어서 분리구조나 개폐구조를 갖지 않는 프레임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단, 프레임(121)의 평면 형상 등은 특별히 제한이 없다.
연결 클램프(1a)가 갖는 조임수단(12a)은 마주본 상태의 플랜지(20a 및 20b)의 외주부(201)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편(11a)을, 플랜지(20a 및 20b)의 외주부(201)에 밀어붙이는 수단이다. 한 쌍의 클램프편(11a)을 밀어붙인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한 쌍의 클램프편(11a)이 외주부(201)에 밀어붙여지는 것이면 좋고, 하나의 클램프편(11a)의 한쪽을 고정하고 한쪽을 외주부(201)에 밀어붙이는 것이어도 좋다. 양쪽의 클램프편(11a)을 외주부(201)의 양측으로부터 밀어붙이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연결 클램프(1b)가 갖는 조임수단(12b)에 대해서도, 한 쌍의 클램프편(11b)을 밀어붙이는 점이 다른 점을 제외하면 마찬가지이다.
조임수단(12a 및 12b)이 어떤 구조인지는 상관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클램프(1a)가 갖는 조임수단(12a)이 프레임(121)을 통해, 한 쌍의 클램프편(11a) 중 한쪽인 제2클램프편(11a2)을 밀어내는 나사(122)를 갖는 것이며, 연결 클램프(1b)가 갖는 조임수단(12b)이 프레임(121)을 통해, 한 쌍의 클램프편(11b) 중 한쪽인 제2클램프편(11b2)을 밀어내는 나사(122)를 갖는 것인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내고 있다. 이하, 그 조임수단(12)에 대해, 조임수단(12a)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연결 클램프(1b)가 갖는 조임수단(12b)에 대해서도, 여기에서는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클램프(1a)가 갖는 제1클램프편(11a1)은, 프레임(121)의 한 변에,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a 및 1121b)이, 프레임(121)의 내측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고정은 접착 또는 용착이어도 좋고, 나사 고정 등이어도 좋으며, 고정수단은 특별한 제한이 없다. 또한, 프레임(121)의, 제1클램프편(11a1)이 고정된 변에 대향하는 변에는 프레임(121)을 통해 제2클램프편(11a2)을 밀어내는 나사(122)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나사(122)는 프레임(121)의 변의 측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나사(122)에 나사결합하는 나사구멍(1211)에, 나사 끝이 프레임(121)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끼워져 있으며, 제2클램프편(11a2)은 그 나사(122)의 선단 부분에,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이, 프레임(121)의 내측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2클램프편(11a2)은 예를 들어, 나사(122)의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며, 또한 나사(122)의 축의 연장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아낼 수 있도록 나사(122)의 선단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제2클램프편(11a2)은 나사(122)의 선단 부분에 직접 장착되어 있어도 좋고, 하나 이상의 부재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122)의 선단 부분에 스러스트 플레이트(1221)가 나사(1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장착되어 있고, 이 스러스트 플레이트(1221)가 제2클램프편(11a2)의, 접촉부재(111)가 마련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제2클램프편(11a2)이, 나사(1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홀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스러스트 플레이트(1221)는 나사(122)의 선단 부분에 끼워넣어져 있어도 좋고, 나사(122)의 최선단 등에 다른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으며, 접착 또는 용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스러스트 플레이트(1221)는 볼 조인트(미도시) 등을 통해, 헤드 흔들기가 가능하게 되도록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단, 회전 가능하게 홀딩할 수 있는 구조라면, 나사(122)와 제2클램프편(11a2)을 연결하는 구조 등은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스러스트 플레이트(1221) 대신에, 베어링을 갖는 스러스트 베어링(미도시)이나 스위블 너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나사(122)의 선단에 제2클램프편(11a2)이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나사(122)와 클램프편(11)의 연결 구조는 이른바 나사 클램프 등의 구조로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사(122)의 프레임(121) 외측에는 나사(122)를 돌리기 위한 손잡이부(122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나사(122)에 손잡이부(1222)를 마련하는 대신에, 통상적인 나사의 헤드부와 마찬가지의 헤드부 등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는 나사홈을 구비한 로드 등도 나사의 일 형태로 생각하여도 좋다.
손잡이부(1222)를 손 등으로 돌려 나사(122)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122)의 나사 끝에 장착된 제2클램프편(11a2)을 밀어낼 수 있으며, 밀어낸 제2클램프편(11a2)과, 프레임(121)의 제2클램프편(11a2)에 대향하는 위치에 장착된 제1클램프편(11a1)과의 쌍을, 이들 사이에 도파관(2a 및 2b)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20a 및 20b)의 외주부(201)에 밀어붙일 수 있다. 또한, 나사(122)에 장착된 제2클램프편(11a2)은 나사(1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나사(122)를 회전시켜 나사구멍(1211)으로부터 밀어낼 때에, 나사(122)의 회전에 따라 제2클램프편(11a2)이 회전하지 않도록, 제2클램프편(11a2)을 밀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하나의 연결 클램프(1)가 갖는 조임수단(12a)이, 프레임(121)을 통해, 그 하나의 연결 클램프(1)가 갖는 한 쌍의 클램프편(11a) 중 한쪽인 제2클램프편(11a2)을 밀어내는 나사(122)를 갖는 것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하나의 연결 클램프(1)가 갖는 조임수단(12a)은 예를 들어, 프레임(121)을 통해, 그 하나의 연결 클램프(1)가 갖는 한 쌍의 클램프편(11a) 중 적어도 한쪽을 밀어내는 나사(122)를 갖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어, 제1클램프편(11a1)과 제2클램프편(11a2)의 양쪽을 각각 밀어내는 2개의 나사(122)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프레임(121)의 대향하는 변에, 상기와 동일하게 나사구멍(1211)을 각각 형성하고, 그 나사구멍(1211)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각각 나사(122)를 끼워넣어, 한 쌍의 클램프편인 제1클램프편(11a1)과 제2클램프편(11a2)을 개별적으로 상기의 나사(122)의 선단에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것은 조임수단(12b) 및 한 쌍의 클램프편(11b)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연결 클램프(1a)가 갖는 조임수단(12a)이 한 쌍의 클램프편(11a)을 밀어붙이는 방향과, 연결 클램프(1b)가 갖는 조임수단(12b)이 한 쌍의 클램프편(11b)을 밀어붙이는 방향은 예를 들면,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다. 대략 직교는 예를 들어, 80도에서 100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85도에서 95도의 범위이다.
또한, 프레임(121)을 조임수단(12)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일부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레임(121)을 조임수단(12)의 일부로 생각할 경우, 연결 클램프(1a 및 1b)가 각각 갖는 조임수단(12a 및 12b)은 하나의 프레임(121)을 구성 요소로서 공용하고 있다고 생각하여도 좋다.
이하, 도파관 연결장치(1000)를 이용하여, 도파관(2a 및 2b)을 연결하는 방법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파관(2a 및 2b) 중 한쪽을 도파관 연결장치(1000)의 프레임(121)의 개구부(121a)에 통과시킨 후에, 도 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 도파관인 도파관(2a 및 2b)이 연통하도록, 플랜지(20a 및 20b)의 대향면(210)을 마주보게 하여 배치한다. 플랜지(20)들끼리의 연결에 실링재(미도시)를 사용할 경우, 예를 들면, 플랜지(20a)의 대향면(210)과 플랜지(20b)의 대향면(210)이 각각 대향면들(210) 사이에 배치된 실링재에 맞닿는다. 또한, 실링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예를 들면, 플랜지(20a)의 대향면(210)과 플랜지(20b)의 대향면(210)이 서로 맞닿는다. 그리고, 프레임(121)을 이와 같이 배치한 플랜지(20a와 20b)의 외주부(201) 근방으로 이동시켜, 연결 클램프(1a)의 제1클램프편(11a1)이 갖는 접촉부재(111a)의 제1면(1111)과, 접촉부재(111b)의 제1면(1111)과의 사이에, 대향하도록 배치한 플랜지(20a 및 20b)가 갖는 네 변 중 하나인 제1변(2011)의 근방 부분을 끼워넣는다. 또한, 여기에서의 제1변(2011)은 플랜지(20a 및 20b)의 양쪽의 같은 측의 변을 가리키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것은 후술하는 제2변(2012), 제3변(2013) 및 제4변(201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마찬가지로, 연결 클램프(1b)의 제1클램프편(11b1)이 갖는 접촉부재(111a)의 제1면(1111)과, 접촉부재(111b)의 제1면(1111)과의 사이에, 대향하도록 배치한 플랜지(20a 및 20b)의 제2변(2012)의 근방 부분을 끼워넣는다. 제2변(2012)은 제1변(2011)에 대해 직교하는 변이라고 한다.
이어, 조임수단(12a)의 손잡이부(1222)를 조작하여 조임수단(12a)의 나사(122)를 프레임(121)의 중심방향으로 보내도록 회전시켜, 연결 클램프(1a)의 제2클램프편(11a2)을, 연결 클램프(1)의 제1클램프편(11a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클램프편(11a2)을 이동시킴으로써, 제2클램프편(11a2)이 갖는 접촉부재(111a)의 제1면(1111)과 접촉부재(111b)의 제1면(1111)과의 사이에, 상기와 같이 대향하도록 배치한 플랜지(20a 및 20b)의 제3변(2013)의 근방 부분이 끼워넣어진다. 끼워넣을 때에는 사용자가 손 등을 이용하여 보조하여도 좋다. 제3변(2013)은 제1변(201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변이다. 도 4(a)는 끼워넣은 상태, 즉 접촉부재(111)를 플랜지(20)들끼리 마주보는 면의 반대측의 면과 도파관(2)의 측면에 맞닿도록 배치한 상태의 클램프편(11a2) 근방의 단면도이다.
마찬가지로, 조임수단(12b)의 손잡이부(1222)를 조작하여 조임수단(12b)의 나사(122)를 회전시켜, 연결 클램프(1b)의 제2클램프편(11b2)을, 연결 클램프(1b)의 제1클램프편(11b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연결 클램프(1b)의 제2클램프편(11b2)이 갖는 접촉부재(111a)의 제1면(1111)과 접촉부재(111b)의 제1면(1111)과의 사이에, 상기와 같이 대향하도록 배치한 플랜지(20a 및 20b)의 제4변(2014)의 근방 부분을 끼워넣는다. 제4변(2014)은 제2변(2012)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변이다.
또한, 조임수단(12a)의 손잡이부(1222)를 조작하여 조임수단(12a)의 나사(122)를 회전시키면, 연결 클램프(1a)의 제2클램프편(11a2)이 연결 클램프(1a)의 제1클램프편(11a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클램프편(11a2)의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a 및 1121b)이 제2클램프편(11a2)의 접촉부재(111a 및 111b)의 제3면(1113)과 결합하여, 제2클램프편(11a2)의 접촉부재(111a 및 111b)가 제1클램프편(11a1) 방향으로 밀려 접촉부재(111a)의 제2면(1112)이 도파관(2a)의 제1측면(21a)에 맞닿게 되고, 접촉부재(111b)의 제2면(1112)이 도파관(2b)의 제1측면(21b)에 맞닿게 됨과 아울러, 접촉부재(111a)의 제1면(1111)이 플랜지(20a)의, 플랜지(20b)와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 면의 제3변(2013) 근방에 맞닿아 밀어붙여지고, 접촉부재(111b)의 제1면(1111)이 플랜지(20b)의, 플랜지(20a)와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 면의 제3변(2013) 근방에 맞닿아 밀어붙여진다. 또한, 도파관(2a)의 제1측면(21a)과 도파관(2b)의 제1측면(21b)은 제2클램프편(11a2)에 대향하는 면이라고 한다.
또한, 조임수단(12a)의 나사(122)를 회전시키면, 접촉부재(111a)의 제2면(1112) 및 접촉부재(111b)의 제2면(1112)은 도파관(2a)의 제1측면(21a) 및 도파관(2b)의 제1측면(21b)에 이미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재(111a 및 111b)는 도파관(2a)의 제1측면(21a) 방향 및 도파관(2b)의 제1측면(21b) 방향으로 밀어붙여지는데, 이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접촉부재(111a 및 111b)는 상기와 같이 대향하도록 배치된 플랜지(20a) 및 플랜지(20b)의 방향으로 더욱 강하게 밀어붙여져, 플랜지(20a) 및 플랜지(20b)를 더욱 강한 힘으로 끼워넣게 된다. 이로써, 서로 마주보게 한 플랜지(20a) 및 플랜지(20b)의 제3변(2013) 근방을 조일 수 있다. 도 4(b)는 조인 상태의 제2클램프편(11a2) 근방의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임수단(12a)의 나사(122)를 회전시킴으로써, 프레임(121)의, 연결 클램프(1a)의 제1클램프편(11a1)이 장착되어 있는 변이 도파관(2) 측으로 당겨지고, 이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연결 클램프(1a)의 제1클램프편(11a1)의 접촉부재(111a 및 111b)의 제2면(1112)이 도파관(2a 및 2b)의, 제1측면(21a 및 21b)의 반대측 측면인 제3측면(미도시)에 맞닿게 되고, 제1클램프편(11a1)의 접촉부재(111a 및 111b)의 제1면(1111)이, 대향하도록 배치된 플랜지(20a) 및 플랜지(20b)의 제1변(2011) 근방에 강하게 밀어붙여져, 이들을 강한 힘으로 끼워넣게 된다. 이로써, 도 4(b)와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보게 한 플랜지(20a) 및 플랜지(20b)의 제1변(2011) 근방을 조일 수 있다.
또한, 조임수단(12b)의 손잡이부(1222)를 조작하여 조임수단(12b)의 나사(122)를 더욱 회전시키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2클램프편(11b2)의 접촉부재(111a 및 111b)의 제2면(1112)이 도파관(2a) 및 도파관(2b)의 제2측면(22a) 및 제2측면(22b)에 맞닿고, 더욱 계속 회전시키면, 제2클램프편(11b2)의 접촉부재(111a 및 111b)의 제1면(1111)이, 대향하도록 배치된 플랜지(20a) 및 플랜지(20b)의 제4변(2014) 근방에 강하게 밀어붙여져서, 이들을 강한 힘으로 끼워넣게 된다. 이로써, 도 4(b)와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보게 한 플랜지(20a) 및 플랜지(20b)의 제4변(2014) 근방을 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임수단(12b)의 나사(122)를 회전시킴으로써, 프레임(121)의 연결 클램프(1b)의 제1클램프편(11b1)이 장착되어 있는 변이 도파관(2) 측으로 끌어당겨지고, 이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연결 클램프(1b)의 제2클램프편(11b1)의 접촉부재(111a 및 111b)의 제2면(1112)이, 도파관(2a 및 2b)의, 제2측면(22a 및 22b)의 반대측 측면인 제4측면(미도시)에 맞닿아 제2클램프편(11b1)의 접촉부재(111a 및 111b)의 제1면(1111)이, 대향하도록 배치된 플랜지(20a) 및 플랜지(20b)의 제2변(2012) 근방에 강하게 밀어붙여져서, 이들을 강한 힘으로 끼워넣게 된다. 이로써, 도 4(b)와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보게 한 플랜지(20a) 및 플랜지(20b)의 제2변(2012) 근방을 조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연결 클램프(1a 및 1b)의 가압부재(112)를 밀어붙임으로써,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파관 연결장치(1000)에 의해, 도파관(2a)과 도파관(2b)을 각각의 플랜지(20) 부분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파관을 연결할 때의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에 형성된 관통홈(114)을 관통하는 막대형 부재(115)에 마련한 탈락방지구조(115a)에 의해, 접촉부재(111)를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 근방에 이동 가능하게 홀딩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랜지(20)에 접촉부재(111)를 별도로 배치하지 않고도, 접촉부재(111)를 플랜지(20)들끼리의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 면에 배치하여 도파관(2)의 연결부분을 조일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반적인 테이퍼면 등을 갖지 않는 플랜지(20)를 구비한 도파관(2)을 연결할 때에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도파관(2) 등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 도파관(2)을 연결할 때의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에 형성된 관통홈(114)을 관통하는 막대형 부재(115)를 접촉부재(111)의 제3면(1113)에 마련하여 가압부재(112)를 밀어냄으로써, 그 경사면(1121)에 결합하는 접촉부재(111)를 밀어낼 때의 접촉부재(111)의 이동방향을 경사면의 경사방향으로 한정할 수 있으며, 접촉부재(111)의 이동방향을 사용자가 조정하는 수고 등을 삭감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접촉부재(111)의 제3면(1113)의 재질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내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접촉부재(111)의 제3면(1113) 및 그 제3면(1113)에 결합하는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 중 적어도 한쪽의 재질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의 재질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하여도 좋고, 접촉부재(111)의 제3면(1113) 및 그 제3면(1113)에 결합하는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의 양쪽의 재질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접촉부재(111)를 제3면(1113)을 결합시켜 이동시킬 때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으며, 가압부재(1112)을 누를 때에, 불필요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3면(1113)의 재질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라는 것은 제3면(1113)의 일부 재질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어도 좋고, 전체면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어도 좋다. 이러한 것은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접촉부재(111)의 제3면(1113)과, 그 제3면(1113)에 결합하는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과의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접촉부재(111)의 제3면(1113) 및 그 제3면(1113)에 결합하는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 중 적어도 한쪽을, 마찰이 적은 형상이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이외의 마찰이 적은 재질로 하여도 좋다.
(변형예 1)
도 5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파관 연결장치(1000)의 연결 클램프(1a)의 제1클램프편(11a1)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변형예는 상기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도파관 연결장치(1000)에 있어, 연결 클램프(1)의 제1클램프편(11a1)의 접촉부재(111a)에 마련된 막대형 부재(115)를, 그 접촉부재(111a)를 홀딩하는 가압부재(112)의 외측을 향해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인 스프링(1161)을 마련한 것이다. 가압부재(112)의 외측이란, 예를 들어, 가압부재(112)의 도파관(2)과 마주보는 방향이다. 가압부재(112)의 외측이란, 예를 들어, 가압부재(112)의 2개의 경사면(1121)을 갖는 단면이 대략 V자형이 되는 홈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생각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동일한 제1클램프편(11a1)의 접촉부재(111b)에 마련된 막대형 부재(115)에 대해서도, 가압부재(112)의 외측을 향해 바이어싱하는 스프링(1161)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스프링(1161)은 예를 들어, 각 막대형 부재(115)에 대해 마련되어 있다. 각 스프링(1161)은 그 제1단부(1161a)가 막대형 부재(115)에 장착되고, 그 제2단부(1161b)가, 막대형 부재(115)가 배치된 가압부재(112)의 관통홈(114)의 도파관(2) 측으로부터 떨어진 단부의 근방에 마련된 핀(1162) 등에 장착되어 있다. 각 스프링(1161)은 예를 들어, 자연 길이보다도 짧은 길이가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단부(1161b)는 가압부재(112)의, 도파관(2) 측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장착되면 어느 위치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어떻게 가압부재(112) 및 막대형 부재(115)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지는 상관없다.
또한, 여기에서는 연결 클램프(1)의 제1클램프편(11a1)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상기의 구성은 다른 클램프편(1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스프링(1161)을 마련함으로써, 접촉부재(111)를 플랜지(20)나 도파관(2)에 접촉시킬 때까지는 2개의 접촉부재(111a 및 111b)를 가압부재(112)의 외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시켜, 2개의 접촉부재(111a 및 111b) 사이의 간격을 넓게 유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한 플랜지(20)를 끼워넣기 쉽게 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스프링(1161)을 이용한 구성은 일 예이며, 각 클램프편(11)은 상기의 스프링(1161)을 구비한 바이어싱 수단 이외의, 한 쌍의 접촉부재(111) 각각을, 그 접촉부재(111)를 홀딩하는 가압부재(112)의 외측을 향해 바이어싱하기 위한 바이어싱 수단을 구비하고 있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바이어싱 수단으로서, 접촉부재(111)를 가압부재(112)의 외측으로 견인하는 힘을 바이어싱하는 스프링(미도시)을 장착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의 스프링(1161)과 같이, 각 접촉부재(111)를, 각 접촉부재와 결합하는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에 따른 방향, 예를 들면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2)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에 마련된 2개의 관통홈(114), 및 탈락방지구조(115a)를 갖는 2개의 막대형 부재(115)로 구성되는 홀딩구조에 의해, 접촉부재(111)가 경사면(1121)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가압부재(112)로 홀딩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접촉부재(111)를 경사면(1121)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가압부재(112)로 홀딩하는 것이 가능하면, 어떤 홀딩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파관 연결장치(1000)의 연결 클램프(1a)의 제1클램프편(11a1)을 나타낸 사시도(도 6 (a)), 및 그 일부의 확대도(도 6(b))이다.
이 변형예의 제1클램프편(11a1)은 접촉부재(111a 및 111b) 각각의 양 측면에,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a 및 1121b) 각각의 반대측 면을 향해 L자형으로 절곡된 결합부(131)를 구비한 가이드 부재(130)를 마련한 것이다. 또한, 가압부재(112)의 양측면의 도파관(2)에 가까운 위치에는 핀(1162) 등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접촉부재(111a 및 111b)의 양 측면에 마련된 가이드 부재(130)와 접촉부재(111a 및 111b)의 제3면(1113)에 의해 구성되는 단면이 대략 C자형이 되는 부분이, 가압부재(112)의 양 측면에 끼워넣어진 구조가 되기 때문에, 접촉부재(111a 및 111b)를 경사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홀딩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가압부재(112)의 경사면(1121)과, 경사면(1121)에 대해 반대측의 면과의 거리는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한다. 또한, 가압부재(112)의 양 측면에 핀(1162) 등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가이드 부재(130)가 빠지지 않게 하여, 접촉부재(111a 및 111b)가 가압부재(11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홀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연결 클램프(1a)의 제1클램프편(11a)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상기의 구성은 다른 클램프편(1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이드 부재(130)를 마련하는 대신에, 가압부재(112)의 양 측면에, 경사면을 따라 뻗는 가이드 레일(미도시)과, 그 가이드 레일에 끼워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미도시)을 마련하여, 접촉부재(111)의 양 측면을 플레이트(미도시) 등에 의해 그 레일과 연결하도록 하여도 좋다.
(변형예 3)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파관 연결장치(1000)가, 나사(122)를 구비한 조임수단(12)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클램프편(11)을 플랜지(20)의 외주부(201)에 밀어붙이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다른 구조를 갖는 조임수단 등을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도파관 연결장치(1000)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 변형예는 상기 실시예와는 다른 조임수단을 갖는 도파관 연결장치(1000)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변형예는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클램프편(11a1, 11b1, 11a2 및 11b2)을 각각 장착한 4개의 프레임편(160a 내지 160d)을, 마주보고 배치한 사각형의 플랜지(20)의 네 변에, 클램프편(11)의 접촉부재(111)가 마련되어 있는 측이 플랜지(20) 측이 됨과 아울러, 클램프편(11a1 및 11a2)이 마주보며 클램프편(11b1 및 11b2)이 대응하도록 배치하고, 그 2개의 프레임편(160)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프레임편(160b 및 160d)의 일단측을, 다른 하나의 프레임편(160c)에 연결축(161)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2개의 프레임편(160b 및 160d)의 프레임편(160c)과 연결되지 않은 타단측을, T 볼트(162)와, 프레임편(160a)에 마련된 T 볼트(162)의 헤드부에 결합하는 절개부(165)를 갖는 조임수단에 의해, 프레임편(160a)에 연결하여 조이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프레임편(160a)의 양단에 경사면(163)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경사면에 맞닿아 프레임편(160a 내지 160d)을 도파관(2)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는 로드(164)를 프레임편(160 및 160d)측에 마련한 것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클램프편(11)의 한 쌍의 접촉부재로, 도파관(2)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2개의 플랜지(20) 사이에 끼워넣음과 아울러, T 볼트(162)를 각각 절결부(165)에 결합시켜 T 볼트(162)를 조임으로써, 로드(164)가 프레임편(160a)의 양단의 경사면(163)을 가압하게 되고, 그 결과, 각 클램프편(11)으로 플랜지(20)를 끼워붙여, 도파관(2)들끼리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도파관 연결장치(1000)에 있어서, 예를 들면, 나사(122) 대신에 마련된 랙 기어를 구비한 로드(미도시)와, 프레임(121) 등에 장착되고, 랙 기어에 걸림 고정하여 로드의 프레임(121)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래칫기구(미도시)와, 상기 로드를 프레임(121)의 내측을 향해 밀어내기 위한, 프레임(121) 등에 장착된 레버(미도시) 또는 피니언 기어(미도시) 등의 밀어내기 수단을 갖는 조임수단을, 조임수단(12) 대신에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변형예 4)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하는 2개의 도파관(2)이, 플랜지를 갖는 사각형 도파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플랜지를 갖는 도파관이면, 사각형 도파관 이외의 도파관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플랜지를 가지고 있으며 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형 도파관의 연결에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 클램프(1)를 2개 갖는 도파관 연결장치(1000)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파관 연결장치(1000)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연결 클램프(1)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연결하는 도파관(2)의 사이즈나 형상에 따라서는 하나의 연결 클램프(1)만으로, 도파관(2)을 충분한 강도 등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도파관 연결장치(1000)로서, 하나의 연결 클램프(1)만을 갖는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 대향하도록 배치한 플랜지(2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클램프편(11)이 배치되도록, 클램프편(11)을 홀딩하는 프레임(121) 등의 평면 형상을, 도파관(2)에 끼워넣기가 가능한 대략 C자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연결하는 도파관(2)이 원형 도파관으로서, 플랜지(20)의 평면 형상도 원형인 경우,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연결 클램프(1)를 갖는 도파관 연결장치(1000)를 연결에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8은 한 쌍의 원형 도파관을 연결하기 위한, 3개의 연결 클램프(1)를 구비한 도파관 연결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여기에서는 연결하는 한 쌍의 도파관(2)이, 단면이 원형인 도파관으로서, 각각의 플랜지(20)의 평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내고 있다. 3개의 연결 클램프(1)를,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연결 클램프(1a1 내지 1a3)라고 부른다. 3개의 연결 클램프(1a1 내지 1a3)는 각각 나사(122)에 의해 밀어붙이기가 가능한 한 쌍의 클램프편(11c)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한 쌍의 클램프편(11c)은 구성할 클램프편(11c)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편(11c)은 상술한 클램프편(1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나사(122)와 클램프편(11c)은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의 나사(122) 및 제2클램프편(11a2)과 마찬가지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3개의 연결 클램프(1a1 내지 1a3)는 각각이 갖는 한 쌍의 클램프편(11c)의 대향하는 방향이 대략 60도의 각도를 이루며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프레임(121)으로서, 평면 형상이 원형인 것을 사용하고 있다. 나사(122)는 프레임(121)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나사구멍(1211)에 끼워져 있다. 여기에서는 각 연결 클램프(1a1 내지 1a3)가 갖는 한 쌍의 클램프편(11c)에 장착된 나사(122) 및 프레임(121) 등이, 각각 조임수단(12a) 구성하고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각 조임수단(12a)에 의해 클램프편(11c)을 밀어붙임으로써 플랜지(20)를 조일 수 있다. 또한, 연결하는 도파관(2)의 단면이 원형이기 때문에, 각 접촉부재(111)의 제2면(1112)은 연결하는 도파관(2)의 측면에 따른 곡면으로 하여도 좋다. 클램프편(11c)의 폭, 즉 접촉부재(111)의 폭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면, 이웃에 배치되는 클램프편(11c)과 접촉하지 않는 길이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연결 클램프(1)를 3개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연결 클램프(1)를 4개 이상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연결 클램프(1)를, 단독의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제1클램프편(11a1)과 제2클램프편(11a2)과 조임수단(12a)을 갖는 연결 클램프(1a)를, 단독의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클램프편(11a1)을 프레임(121)에 고정하도록 하고, 제2클램프편(11a2)을 나사(122) 등에 의해 도파관(2)의 플랜지(20)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도 좋고, 제1클램프편(11a1)도 제2클램프편(11a2)과 마찬가지로, 나사(122) 등에 의해 도파관(2)의 플랜지(20)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의 프레임(121)은 C자형의 프레임이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한 쌍의 클램프편(11a) 중 적어도 한쪽이 갖는 2개의 접촉부재(111)가, 폭 방향의 단부 중 적어도 한쪽에서, 연결 대상이 되는 사각형 도파관인 도파관(2)의, 그 접촉부재 (111)의 제2면(1112)이 맞닿는 측면에 인접하는 1개의 또는 2개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구부러진 평면 형상을 하고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 그 구부러진 부분도 제1면(1111)을 가지고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한 쌍의 도파관(2)의 플랜지(20)의, 접촉부재(111)의 제2면(1112)이 맞닿는 측면 측의 부분 이외에, 그 측면에 인접하는 측면 측의 부분도 접촉부재(111)에 의해 끼워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하나의 연결 클램프(1a)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도파관(2)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연결 클램프(1)를, 다른 도파관 연결장치의 일부로서 사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사각형 도파관(2)의 마주본 상태의 2개의 플랜지(20)의 일변 측과, 그 일변의 반대측과를 연결 클램프(1)에 의해 연결하고, 나머지 변은 나사 등으로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도 연결 클램프(1)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며, 그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파관 연결장치 등은 도파관을 연결하는 장치 등으로서 적합하며, 특히 도파관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7)

  1. 단부에 플랜지를 갖는 한 쌍의 도파관을, 상기 플랜지들끼리를 마주보게 하여 연결하는 도파관 연결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도파관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상기 플랜지의 외주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편과;
    그 한 쌍의 클램프편을 상기 플랜지의 외주부에 밀어붙이는 조임수단;을 각각 갖는 2개의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편은
    상기 마주보게 배치된 플랜지를, 마주본 면에 대해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그 반대측의 면에 맞닿는 제1면과, 상기 도파관의 측면에 맞닿는 제2면과, 상기 플랜지의 마주본 면의 반대측의 테이퍼면이 되는 제3면을 구비한 한 쌍의 접촉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 각각의 제3면에 결합하는 2개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가, 각각이 결합하는 경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홀딩되어 있는,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인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는, 각각이 갖는 상기 한 쌍의 클램프편의 마주보는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도파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경사면은 해당 경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접촉부재의 제3면에는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는 막대형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해당 막대형 부재는 상기 접촉부재와 반대측의 위치에, 해당 막대형 부재가 관통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방지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관통홈과 상기 탈락방지구조를 갖는 막대형 부재에 의해, 상기 클램프편의 접촉부재가 가압부재에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홀딩되어 있는 도파관 연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편은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가압부재의 외측을 향해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을 더 구비한 도파관 연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를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각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의 조임수단은 해당 프레임을 통해 각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의 한 쌍의 클램프편 중 적어도 한쪽을 밀어내는 나사를 갖는 도파관 연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는 각각이 갖는 한 쌍의 클램프편의 마주보는 방향이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도파관 연결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의 제3면, 및 상기 가압부재 경사면의 접촉부재의 제3면에 결합하는 경사면 중 적어도 한쪽의 재질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도파관 연결장치.
  7. 단부에 플랜지를 갖는 한 쌍의 도파관을, 상기 플랜지들끼리 마주본 상태에서 연결하는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로서,
    상기 한 쌍의 도파관이 연통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상기 플랜지의 외주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편과;
    상기 한 쌍의 클램프편을 상기 플랜지의 외주부에 밀어붙이는 조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편은
    상기 마주보며 배치된 플랜지를, 마주본 면에 대해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그 반대측의 면에 맞닿는 제1면과, 상기 도파관의 측면에 맞닿는 제2면과, 상기 플랜지의 마주본 면의 반대측의 테이퍼면이 되는 제3면을 구비한 한 쌍의 접촉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 각각의 제3면에 결합하는 2개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접촉부재가, 각각이 결합하는 경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홀딩되어 있는,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인 가압부재;를 구비한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
KR1020197006037A 2016-08-05 2017-07-25 도파관 연결장치 및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 KR201900358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4524 2016-08-05
JP2016154524A JP6063085B1 (ja) 2016-08-05 2016-08-05 導波管接続装置、および導波管接続用クランプ
PCT/JP2017/026923 WO2018025710A1 (ja) 2016-08-05 2017-07-25 導波管接続装置、および導波管接続用クラン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824A true KR20190035824A (ko) 2019-04-03

Family

ID=5780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037A KR20190035824A (ko) 2016-08-05 2017-07-25 도파관 연결장치 및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11746B2 (ko)
EP (1) EP3496206B1 (ko)
JP (1) JP6063085B1 (ko)
KR (1) KR20190035824A (ko)
WO (1) WO2018025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8193A1 (en) * 2017-05-10 2018-11-15 Ruag Space Ab Payload dispenser
JP6962811B2 (ja) * 2017-12-26 2021-11-05 コスモ工機株式会社 フランジ離間防止装置
JP7333518B2 (ja) * 2019-12-24 2023-08-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導波管の接続構造、導波管コネクタ、及び、導波管ユニット
CN114012361B (zh) * 2021-11-05 2024-04-30 合肥聚能电物理高技术开发有限公司 高强度波导管制造工装与制造工艺
WO2023089618A1 (en) * 2021-11-21 2023-05-25 Israel Aerospace Industries Ltd. Clamp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5701A (ja) 1996-10-29 1998-05-22 Nippon Koshuha Kk 導波管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8207A (en) * 1953-03-26 1956-03-13 Jr Lester A Twigg Waveguide coupling clamp with spring aligning means
US3390901A (en) * 1967-02-27 1968-07-02 Gen Electric Quick disconnect flangeless waveguide coupling
JPS5582802U (ko) * 1978-11-30 1980-06-07
US4313625A (en) 1979-05-29 1982-02-02 The Dow Chemical Company Lined pipe assembly
US4864260A (en) * 1988-01-04 1989-09-05 Lab-Volt (Quebec) Ltd/Ltee Waveguide connecting device
JPH0385901A (ja) * 1989-08-30 1991-04-11 Daikin Ind Ltd 導波管締結クランパ
US7134651B1 (en) * 2005-10-03 2006-11-14 Beck James W J-clamp for woodwork and method of use
JP2010021923A (ja) * 2008-07-14 2010-01-2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導波管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5701A (ja) 1996-10-29 1998-05-22 Nippon Koshuha Kk 導波管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6206A1 (en) 2019-06-12
EP3496206A4 (en) 2020-03-25
US10811746B2 (en) 2020-10-20
WO2018025710A1 (ja) 2018-02-08
US20190190105A1 (en) 2019-06-20
JP2018023057A (ja) 2018-02-08
JP6063085B1 (ja) 2017-01-18
EP3496206B1 (en) 202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5824A (ko) 도파관 연결장치 및 도파관 연결용 클램프
EP2757297B1 (de) Vakuumanordnung und Verwendung einer Verbindungsvorrichtung
US5707089A (en) Device for pressing two flanges of a pipe connection against one another
JP7252910B2 (ja) マウント
US7436275B2 (en) Waveguide quick disconnect clamp
EP2569567B1 (de) Rohr- und schlauchkupplung
KR101595111B1 (ko) 배관 연결용 클램프 체결 볼트의 풀림 방지장치
CA3030664C (en) Device for fastening a panel-shaped component in a receiving groove of a carrying rail
WO2022021522A1 (zh) 一种预制构件钢筋锁紧机械连接结构及张拉装置
EP2405170B1 (de)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wenigstens einer Leitung und Wanddurchführungssystem für wenigstens eine Leitung
WO2020126845A1 (de) ULTRASCHALLSCHWEIßANLAGE MIT ABSTÜTZELEMENT
EP1834123B1 (en) Flange
TW201303175A (zh) 固定裝置
KR101828945B1 (ko) 블라인드 볼트
JP2014001849A (ja) 取付装置
KR20160026450A (ko) 클램프 조립체 및 그것을 이용한 배기관 연결구조
JP7052547B2 (ja) 接合構造
JP5366925B2 (ja) 導波管接続用治具
KR20190036692A (ko) 철근 이음 장치
JP2012188808A (ja) 拡幅治具
KR102077809B1 (ko) 파이프의 형상 교정장치
DE19834768A1 (de) Vorrichtung zur lösbaren Halterung eines Rohres
DE102020133606B3 (de) Explosionsgeschütztes Gehäuse mit herausnehmbarer Mittelstrebe
JP6626487B2 (ja) ガイド装置
KR20220139605A (ko) 케미컬 락클램프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