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477A -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477A
KR20190035477A KR1020180078028A KR20180078028A KR20190035477A KR 20190035477 A KR20190035477 A KR 20190035477A KR 1020180078028 A KR1020180078028 A KR 1020180078028A KR 20180078028 A KR20180078028 A KR 20180078028A KR 20190035477 A KR20190035477 A KR 20190035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ical
evaluation
technology
value
inve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5014B1 (ko
Inventor
박상욱
류재훈
Original Assignee
정보통신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보통신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정보통신산업진흥원
Publication of KR2019003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lgebr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야별 전문가 입력수단(100), 외부기관 입력수단(200),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300), 정보 서비스 서버(400),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을 포함하는 연구개발(R&D) 투자 분야 도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분야별 전문가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연구개발 과제의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에 입력받는 단계(n은 1보다 큰 정수); 상기 외부기관 입력수단(200)을 통하여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를 상기 기술분류에 따라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에 입력받는 단계; 상기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300)을 통하여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국내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미래가치 평가(F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기술성숙도(Mk)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성과 평가(Ok),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 기술성숙도(Mk)에 대하여 각각 수치화하는 단계;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으로부터 연구개발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성과 평가(Ok),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를 반영하고 기술성숙도(Mk)에 의하여 성과 평가(Ok)와 미래가치 평가(Fk)의 반영 정도를 조절하여 기술분류별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에 상기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에 따라 소정의 기술분류를 연구개발 정보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search and Developm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연구개발 투자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연구개발 투자 분야를 체계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구개발 투자 분야는 전문가의 평가를 통하여 미래 성장 가치가 높은 분야로 결정되는데, 객관적인 지표가 없이 전문가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해서만 결정되고 있는바, 도출된 연구개발 투자 분야에 대해서 신뢰도가 높지 아니하고, 상기 전문가의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가 너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65225호에서는, 정부기반의 연구개발 투자의 경우는 과제기반으로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므로, 과제에 대한 평가관리가 객관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므로 객관적이고 신속하게 경제적 타당성 기반의 과제평가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나, 해당 과제에 대해서만 평가가 이루어질 뿐이고, 연구개발 투자 분야를 기술분야별로 다양하게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30064호에서는, 키워드의 관계도에 따라 다수의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키워드에 매칭되는 국가 연구개발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분류 코드를 검색하고 있으나, 상기 국가 연구개발 정보는 분류 코드에 매핑되어 검색될 뿐이고, 연구개발 투자 분야는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6522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430064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문가의 평가를 체계화하고 객관적인 과제 성과를 고려하여 도출된 연구개발 투자 분야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목적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분야별 전문가 입력수단(100), 외부기관 입력수단(200),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300), 정보 서비스 서버(400),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을 포함하는 연구개발(R&D) 투자 분야 도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분야별 전문가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연구개발 과제의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에 입력받는 단계(n은 1보다 큰 정수); 상기 외부기관 입력수단(200)을 통하여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를 상기 기술분류에 따라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에 입력받는 단계; 상기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300)을 통하여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국내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미래가치 평가(F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기술성숙도(Mk)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성과 평가(Ok),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 기술성숙도(Mk)에 대하여 각각 수치화하는 단계;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으로부터 연구개발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성과 평가(Ok),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를 반영하고 기술성숙도(Mk)에 의하여 성과 평가(Ok)와 미래가치 평가(Fk)의 반영 정도를 조절하여 기술분류별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에 상기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에 따라 소정의 기술분류를 연구개발 정보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300)을 통하여 복수의 외부 전문가로부터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국내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미래가치 평가(F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기술성숙도(Mk)를 입력받고, 상기 각각의 외부 전문가별로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로 이를 모두 더한 후 각각의 기술분류별로 외부 전문가의 수로 나누어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의 평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문가에 대하여 설정된 등급별로 가중치를 설정하여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의 평균을 산출하는데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는 하기 수식 2에 의하여 수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식 2]
Ok = Patk + Papk + Stak + Trak + Indk;
수식 2에서, Patk은 k번째 기술분류의 특허 성과값, Papk은 논문 성과값, Stak은 표준 성과값, Trak은 기술이전 성과값, Indk은 사업화 성과값을 의미하고, 상기 성과값들은 전체 기술분류 중 성과값이 가장 높은 기술분류 대비 상대적 값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문가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국내 현재 기술수준 평가(Pk)는 하기 수식 3에 의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식 3]
Pk = (Pl + Fl)/2
수식 3에서, Pk은 k번째 기술분류의 국내 기술 수준 및 역량값으로서 세계 최고 대비 국내 기술 수준(Pl)과 기술 수명 종료 전까지 국내 기술 달성 수준(Fl)을 합산 및 평균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술분류별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를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 수식 1에 의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식 1]
Vk=MkOk+Pk+(K-Mk)Fk;
수식 1에서, K는 0 보다 큰 정수로서 기술성숙도(Mk)를 K단계로 나눈다.
본 발명은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연구개발 과제의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를 상기 기술분류에 따라 입력받고,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국내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미래가치 평가(F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기술성숙도(Mk)를 입력받는 정보 서비스 서버(400)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성과 평가(Ok),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 기술성숙도(Mk)에 대하여 각각 수치화하고,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으로부터 연구개발 투자 분야를 요청받는 경우, 기술분류별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를 하기 수식 1에 의하여 산출하고:
[수식 1]
Vk=MkOk+Pk+(K-Mk)Fk;
수식 1에서, K는 0 보다 큰 정수로서 기술성숙도(Mk)를 K단계로 나눈다;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로 상기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에 따라 소정의 기술분류를 연구개발 정보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문가의 평가를 체계화하고 객관적인 과제 성과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도출된 연구개발 투자 분야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전문가의 주관적인 평가에 대한 오류를 저감하고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상기 효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시스템에 관한 전제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의 전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300)을 통하여 복수의 외부 전문가로부터 입력되는 사항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을 통하여 복수의 외부 전문가에 대하여 등급별 가중치가 설정되어 적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제한하지는 아니하고, 실시예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구성 및 작용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시스템에 관한 전제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분야별 전문가 입력수단(100), 외부기관 입력수단(200),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300), 정보 서비스 서버(400),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정보 처리부(401) 및 정보 DB(40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는바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분야별 전문가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연구개발 과제의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n은 1보다 큰 정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에 입력받을 수 있는데(S1000), 상기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 자체는 정부기관에 의하여 이미 결정되어 상기 분야별 전문가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분야별 전문가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입력받는 정보는 상기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에 대한 개념을 입력하고, 각각의 기술 동향 및 시장 동향, 발전 방향이 입력될 수 있고, 연도별 기술로드맵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야별 전문가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입력되는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에 관한 정보는 향후 입력될 수 있는 연구개발 과제를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 중 어느 기술분류로 할 것인지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고, 기술발전에 따라 새롭게 생겨나는 기술분야도 고려하여 포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기관 입력수단(200)을 통하여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를 상기 기술분류에 따라 입력받을 수 있는데(S2000), 상기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는 특허 출원 및 특허등록 건수, 논문 건수, 표준 채택 건수, 기술이전 건수 또는 금액, 사업화 건수 또는 금액을 의미하고, 상기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는 건수 및 금액에 의하여 정량화되어 있는바, 상기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는 정량화될 수 있다. 여기서, k는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연구개발 과제를 관리하는 기관이라면 상기 외부기관 입력수단(200)을 통하여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를 입력할 수 있으며, 공공기관으로는 IITP(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KEIT(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TIPA(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NRF(한국연구재단), KOCCA(한국콘텐츠진흥원) 등이 있고, 민간기업도 해당될 수 있으며, 상기 기관들의 내부 부서가 해당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기관들이 사용자가 되어 연구개발 정보를 요청함에 따라 연구개발 투자 분야를 도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300)을 통하여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국내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미래가치 평가(F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기술성숙도(Mk)를 입력받을 수 있다(S3000).
국내 현재 기술수준 평가(Pk)는 일반적인 전문가 합의방식을 활용하여 도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문가 합의방식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평가방법은 최고 기술보유국 대비 국내 기술수준, 최고의 기술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 등을 조사하여 평가하게 되며, 상기 최고 기술보유국 대비 국내 기술수준의 경우 최고기술수준 보유기관이 속하는 국가의 최고기술수준 보유기관과 국내 최고기술 보유기관을 대비하여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국내 현재 기술수준 평가(Pk)가 이루어질 수 있다.
미래가치 평가(Fk)는 일반적인 기술가치에 대한 평가로부터 도출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기술가치에 대한 평가는 기술분류별 특허문헌 또는 논문 건수 및 그 증가율, 기술분류별 특허문헌 또는 논문의 피인용 횟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가치 즉 미래중요도(FI)에 대한 평가가 입력될 수 있다.
기술성숙도(Mk)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방법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으며, 특히 미국 항공우주국(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에서 처음 도입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는 기술성숙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를 사용하여 상기 기술성숙도(Mk)를 입력받을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술성숙도(TRL)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기술성숙도에 대한 평가가 입력될 수 있다.
단지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국내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미래가치 평가(F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기술성숙도(Mk)는 상기 외부 전문가의 주관적인 평가가 될 수 있는데, 복수의 외부 전문가로부터의 평가를 항목별로 세분화하고, 외부 전문가의 등급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값을 도출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문가의 주관적인 평가에 대한 오류를 저감하고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성과 평가(Ok),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 기술성숙도(Mk)에 대하여 각각 수치화를 하고(S4000),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로부터 연구개발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기술분류별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를 하기 수식 1에 의하여 산출하게 된다.
[수식 1]
Vk=MkOk+Pk+(K-Mk)Fk;
수식 1에서, K는 0 보다 큰 정수로서 기술성숙도(Mk)를 K단계로 나눈다.
수식 1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기술성숙도(Mk)는 태동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로 4단계(K=4인 경우이다)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더 세분화하여 5단계(K=5인 경우이다), 6단계(K=6인 경우이다), 7단계(K=7인 경우이다) 등으로 더 세분화할 수도 있다.
기술성숙도(Mk)를 6단계(K=6인 경우이다)로 나누는 경우 태동기에 0점, 성장기에 2점, 성숙기에 4점, 쇠퇴기에 6점을 부여할 수 있고, 그 기술분류가 성장기에 접어들었다는 점에서 성장기인 2점을 외부 전문가가 부여하는 경우, 미래가치 평가(Fk)의 계수가 (6-2)=4인 반면,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의 계수는 2이므로, 과거의 성과라고 볼 수 있는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보다 미래가치 평가(Fk)에 대해서 좀 더 큰 의미를 두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반대로, 그 기술분류가 성숙기를 넘어섰다는 점에서 5점을 외부 전문가가 부여하는 경우, 미래가치 평가(Fk)의 계수가 (6-5)=1인 반면,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의 계수는 5이므로, 곧 쇠퇴기가 가까워지므로 미래가치 평가(Fk)에 의미를 두기는 어렵고 과거의 성과라고 볼 수 있는 연구개발 과제 성과가 크다면 투자가 계속될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두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외부 전문가는 많을수록 주관적인 평가에 대한 오류를 더욱 더 저감하고 신뢰도를 더욱 더 높일 수 있는데, 외부 전문가가 자신이 전문으로 하는 기술분야가 있는 것은 일반적이므로, 외부 전문가가 모든 기술분류에 대해서 평가를 입력할 수는 없다는 점에서 각각의 기술분류에 대해서 평가 등을 입력하는 외부 전문가의 수가 기술분류별로 서로 다를 수 있고, 외부 전문가의 전문성의 수준도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을 통하여 복수의 외부 전문가로부터 입력되는 사항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300)을 통하여 특정의 기술분류인 제n 기술분류에 대해서 복수의 외부 전문가로부터 입력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외부 전문가 1 내지 외부 전문가 m, 즉 외부 전문가가 총m명이 있는 경우 각각의 외부 전문가가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 기술성숙도(Mk)를 입력하고,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성과 평가(Ok),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 기술성숙도(Mk)에 대하여 각각 수치화를 하고(S4000),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으로부터 연구개발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기술분류별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를 하기 수식 1에 의하여 산출하게 된다.
[수식 1]
Vk=MkOk+Pk+(K-Mk)Fk;
수식 1에서, K는 0 보다 큰 정수로서 기술성숙도(Mk)를 K단계로 나눈다.
이 때, 상기 성과 평가(Ok)는 하기 수식 2에 의하여 산출된다.
[수식 2]
Ok = Patk + Papk + Stak + Trak + Indk;
수식 2에서, Patk은 k번째 기술분류의 특허 성과값, Papk은 논문 성과값, Stak은 표준 성과값, Trak은 기술이전 성과값, Indk은 사업화 성과값을 의미하고, 상기 성과값들은 전체 기술분류 중 성과값이 가장 높은 기술분류와 대비한 상대적인 값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외부 전문가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국내 현재 기술수준 평가(Pk)는 하기 수식 3에 의하여 산출된다.
[수식 3]
Pk = (Pl + Fl)/2
수식 3에서, Pk은 k번째 기술분류의 국내 기술 수준 및 역량값으로서 세계 최고 수준과 대비한 상대적인 값으로서 국내 기술 수준(Pl) 및 기술 수명 종료 전까지 국내 기술 달성 수준(Fl)을 산출하여 합산 및 평균한 것이다.
미래가치 평가(Fk)는 향후 기술의 중요도, 타 기술분류에 대한 응용 가능성, 시장규모, 성장률, 제품 출시 가능성을 고려하여 평가하여 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 기술성숙도(Mk)에 대해서는 모두 평균값으로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 기술분류 간의 점수가 정규화되어 비교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을 통하여 복수의 외부 전문가에 대하여 등급별 가중치가 설정되어 적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전문가의 등급을 고려하여 등급별 가중치를 설정하는 경우인데, 하나의 특정 기술분류인 제n 기술분류의 평가에 관여하는 외부 전문가 1 내지 외부 전문가 m에 대해서 등급별 가중치가 a1, a2, a3, ... , am으로 설정되는 경우, 현재 기술수준 평가(Pk)에 대해서 각각의 외부 전문가가 입력하여 수치화하게 되면, Pk1, Pk2, Pk3, ... , Pkm으로 되는데, 외부 전문가별 각각의 현재 기술수준 평가(Pk)에 대해서 상기 외부 전문가의 등급별 가중치를 곱하여 합계를 구하고, 이를 또다시 등급별 가중치의 합으로 나누어 등급별 가중치를 고려한 평균값으로 출력하게 된다.
미래가치 평가(Fk)에 대해서도 각각의 외부 전문가가 입력하여 수치화하게 되면, Fk1, Fk2, Fk3, ... , Fkm으로 되는데, 외부 전문가별 각각의 미래가치 평가(Fk)에 대해서 상기 외부 전문가의 등급별 가중치를 곱하여 합계를 구하고, 이를 또다시 등급별 가중치의 합으로 나누어 등급별 가중치를 고려한 평균값으로 출력하게 된다.
기술성숙도(Mk)에 대해서도 각각의 외부 전문가가 입력하여 수치화하게 되면, Mk1, Mk2, Mk3, ... , Mkm으로 되는데, 외부 전문가별 각각의 기술성숙도(Mk)에 대해서 상기 외부 전문가의 등급별 가중치를 곱하여 합계를 구하고, 이를 또다시 등급별 가중치의 합으로 나누어 등급별 가중치를 고려한 평균값으로 출력하게 된다.
결국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 기술성숙도(Mk)는 외부 전문가의 주관적인 평가라는 점에서 외부 전문가에 따라 그 평가에 서로 차이가 클 수 있고 오류도 있을 수 있으나, 다수의 주관적인 평가를 등급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평균값으로 출력함으로써 외부 전문가의 주관적인 평가에 대한 오류를 저감하고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성과 평가(Ok)는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 기술성숙도(Mk)와는 달리 특허 성과값, 논문 성과값, 표준 성과값, 기술이전 성과값, 사업화 성과값으로부터 산출된다는 점에서 객관적인 평가라고 볼 수 있고, 상기 외부 전문가의 주관적인 평가를 보완하여 외부 전문가의 주관적인 평가에 대한 오류를 저감하고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100: 분야별 전문가 입력수단 200: 외부기관 입력수단
300: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 400: 정보 서비스 서버
401: 정보 처리부 402: 정보 데이터베이스
501: 사용자 1 입출력수단 502: 사용자 2 입출력수단

Claims (8)

  1. 분야별 전문가 입력수단(100), 외부기관 입력수단(200),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300), 정보 서비스 서버(400),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을 포함하는 연구개발(R&D) 투자 분야 도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야별 전문가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연구개발 과제의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에 입력받는 단계(n은 1보다 큰 정수);
    상기 외부기관 입력수단(200)을 통하여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를 상기 기술분류에 따라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에 입력받는 단계;
    상기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300)을 통하여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국내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 기술성숙도(Mk)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성과 평가(Ok),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 기술성숙도(Mk)에 대하여 각각 수치화하는 단계;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으로부터 연구개발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성과 평가(Ok),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를 반영하고 기술성숙도(Mk)에 의하여 성과 평가(Ok)와 미래가치 평가(Fk)의 반영 정도를 조절하여 기술분류별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에 상기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에 따라 소정의 기술분류를 연구개발 정보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문가 입출력수단(300)을 통하여 복수의 외부 전문가로부터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국내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미래가치 평가(F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기술성숙도(Mk)를 입력받고, 상기 각각의 외부 전문가별로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로 이를 모두 더한 후 각각의 기술분류별로 외부 전문가의 수로 나누어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의 평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전문가에 대하여 설정된 등급별로 가중치를 설정하여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의 평균을 산출하는데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는 하기 수식 2에 의하여 수치화하는 것:
    [수식 2]
    Ok = Patk + Papk + Stak + Trak + Indk;
    수식 2에서, Patk은 k번째 기술분류의 특허 성과값, Papk은 논문 성과값, Stak은 표준 성과값, Trak은 기술이전 성과값, Indk은 사업화 성과값을 의미하고, 상기 성과값들은 전체 기술분류 중 성과값이 가장 높은 기술분류 대비 상대적 값이다;
    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전문가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국내 현재 기술수준 평가(Pk)는 하기 수식 3에 의하여 산출하는 것:
    [수식 3]
    Pk = (Pl + Fl)/2
    수식 3에서, Pk은 k번째 기술분류의 국내 기술 수준 및 역량값으로서 세계 최고 대비 국내 기술 수준(Pl)과 기술 수명 종료 전까지 국내 기술 달성 수준(Fl)을 합산 및 평균한 것이다;
    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분류별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를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 수식 1에 의하여 산출하는 것:
    [수식 1]
    Vk=MkOk+Pk+(K-Mk)Fk;
    수식 1에서, K는 0 보다 큰 정수로서 기술성숙도(Mk)를 K단계로 나눈다;
    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
  7.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시스템에 있어서,
    연구개발 과제의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연구개발 과제 성과에 대한 성과 평가(Ok)를 상기 기술분류에 따라 입력받고,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국내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미래가치 평가(Fk), 제1 내지 제n 기술분류별 기술성숙도(Mk)를 입력받는 정보 서비스 서버(400)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성과 평가(Ok), 현재 기술수준 평가(Pk), 미래가치 평가(Fk), 기술성숙도(Mk)에 대하여 각각 수치화하고,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으로부터 연구개발 투자 분야를 요청받는 경우, 기술분류별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를 하기 수식 1에 의하여 산출하고:
    [수식 1]
    Vk=MkOk+Pk+(K-Mk)Fk;
    수식 1에서, K는 0 보다 큰 정수로서 기술성숙도(Mk)를 K단계로 나눈다;
    상기 정보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입출력수단(501, 502)로 상기 기술 투자 가치 점수(Vk)에 따라 소정의 기술분류를 연구개발 정보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80078028A 2017-09-26 2018-07-05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185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24083 2017-09-26
KR1020170124083 2017-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477A true KR20190035477A (ko) 2019-04-03
KR102185014B1 KR102185014B1 (ko) 2020-12-01

Family

ID=6616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028A KR102185014B1 (ko) 2017-09-26 2018-07-05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0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119B1 (ko) * 2005-12-22 2007-06-2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 계량지수를 활용한 연구개발 의사결정 지원 방법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00009660A (ko) * 2008-07-21 2010-01-29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산업기술 인프라 활용을 위한 장비 공유 관리 시스템
KR101065225B1 (ko) 2009-04-21 2011-09-16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경제적 타당성 기반의 과제평가시스템
KR101430064B1 (ko) 2012-11-28 2014-08-1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분류 코드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119B1 (ko) * 2005-12-22 2007-06-2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 계량지수를 활용한 연구개발 의사결정 지원 방법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00009660A (ko) * 2008-07-21 2010-01-29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산업기술 인프라 활용을 위한 장비 공유 관리 시스템
KR101065225B1 (ko) 2009-04-21 2011-09-16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경제적 타당성 기반의 과제평가시스템
KR101430064B1 (ko) 2012-11-28 2014-08-1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분류 코드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014B1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95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cial graph data analytics to determine connectivity within a community
US20200218737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matching of transaction records
US11210300B2 (en) System and methods of generating structured data from unstructured data
US20190089610A1 (en) Parallel computational framework and application server for determining path connectivity
Mukerjee et al. Multi–objective evolutionary algorithms for the risk–return trade–off in bank loan management
Leybourne et al. Tests for a change in persistence against the null of difference‐stationarity
dos Santos Rubem et al. A goal programming approach to solve the multiple criteria DEA model
CN107392568B (zh) 一种工程项目造价管理系统
US20140025418A1 (en) Clustering Based Resource Planning, Work Assignment, and Cross-Skill Training Planning in Services Management
Halme et al. Non-convex value efficiency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to bank branch sales evaluation
CN112365202B (zh) 一种多目标对象的评价因子筛选方法及其相关设备
Ustinovichius Determination of efficiency of investments in construction
CN108369675A (zh) 用于案例分配的技术
Azadi et al. Efficiency measurement of cloud service providers using network data envelopment analysis
CN111506876A (zh) 一种数据预测分析方法、系统、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90035477A (ko) 연구개발 투자 분야 도출 방법 및 시스템
KR101927273B1 (ko) 미청구공사의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평가 장치
CN113781247A (zh) 协议数据推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1422993B2 (en) Duplicate table identification in enterprise database systems for data storage optimization
CN113919736A (zh) 一种区块链互评薪酬管理方法、系统及其存储装置
CN114493132A (zh) 资源分配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762675A (zh) 信息生成方法、装置、服务器、系统和存储介质
KR102034064B1 (ko) 기술분야별 인력양성을 위한 인력수요 예측 방법 및 시스템
CN109872024A (zh) 信用评估指标处理方法以及装置
CN111124394A (zh) 基于元数据的表单配置方法及装置、设备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