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464A - 영상획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획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464A
KR20190035464A KR1020180041251A KR20180041251A KR20190035464A KR 20190035464 A KR20190035464 A KR 20190035464A KR 1020180041251 A KR1020180041251 A KR 1020180041251A KR 20180041251 A KR20180041251 A KR 20180041251A KR 20190035464 A KR20190035464 A KR 20190035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eacon
information
processo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477B1 (ko
Inventor
홍정빈
박정웅
이병욱
임주영
김철동
최병욱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인천광역시 계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인천광역시 계양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1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477B1/ko
Priority to US16/139,499 priority patent/US11563888B2/en
Publication of KR20190035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22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1/02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beacon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영상획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획득장치는, 제1 영역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감지하는 비콘센서; 및 상기 제1 영상을 제1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 각각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을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에 상기 제2 영역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태그하여 제2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획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Image obtain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본 실시예들은 영상획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나타나는 객체를 추적하기 위한 다양한 객체 추적 알고리즘의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보안 시스템의 발전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영상 보안 시스템은 감시 공간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식별하고, 다양한 객체 추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감시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객체를 영상 내에서 추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에 접근하는 감시 대상의 위치 및 감시 대상이 처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감시 대상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획득장치는, 제1 영역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감지하는 비콘센서; 및 상기 제1 영상을 제1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 각각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을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에 상기 제2 영역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태그하여 제2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를 기초로 비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콘 정보를 상기 제2 영상에 매칭시켜 상기 제2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정보는 비콘 식별자 및 비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비콘이 미리 등록된 제1 비콘인 경우, 상기 제1 비콘이 위치하는 제2 영역을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장치는 외부 저장장치이고, 상기 제2 저장장치는 내부 저장장치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로부터 영상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저장장치에 저장된 복수의 제2 영상들 중 상기 영상 요청에 포함된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태그가 설정된 제2 영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로부터 영상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 요청에 포함된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영상을 실시간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비콘이 태그된 제2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획득장치의 외부의 저장장치로부터 제1 영상을 수신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상이 상기 영상획득장치가 기 설정된 제1 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한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영상획득장치가 상기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향하는 방향에서 촬영하여 상기 영상획득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영상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들을 영역별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제2 영상의 배경에 대응하는 장소를 포함하는 지도를 제공하고, 상기 지도에 상기 비콘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획득장치는, 감시 영역을 촬영한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감시 영역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감지하는 비콘센서; 및 상기 영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태그하여 내부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영상획득방법 및 영상처리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감시 대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획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영상획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 방법의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 방법의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획득장치의 영상획득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 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비콘(비콘1 내지 비콘m)(100),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카메라1 내지 카메라n)(200), 저장장치(300), 적어도 하나의 서버(서버1 내지 서버k)(4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사용자 단말1 내지 사용자 단말i)(500)을 포함할 수 있다.
비콘(100)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기술을 기반으로 영상획득장치(200)와 근거리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비콘(100)은 객체에 부착, 소지 또는 착용되고, 주기적으로 비콘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비콘신호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식별정보는 제조 시 부여되는 제조번호 또는 관리자로부터 임의로 설정된 식별기호 등일 수 있다. 비콘(100)을 착용한 객체는 고정 또는 이동하는 객체일 수 있다.
비콘(100)은 자신의 위치 또는 그 위치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식별정보와 함께 비콘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특히, BLE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외선통신, 가시광통신, 인체통신 혹은 매개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등 다양한 근거리통신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200)는 소정 영역에 설치되고, 카메라 및 통신수단과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설정된 영역을 촬영한 제1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200)는 비콘센서를 구비하여 설정된 영역에서 비콘(100)으로부터 전송되는 비콘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비콘(100)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획득장치(200)는 제1 영상에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태그하여 내부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200)는 제1 영상에 비콘 고유값(비콘 식별정보)을 매칭하여 내부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획득장치(200)는 감지된 비콘(100)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촬영 방향이 제어(PTZ 제어)되어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200)는 제1 영상을 제1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제2 영상을 제2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200)는 제2 영상에 비콘(100)을 태그하여 제2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장치는 외부 저장장치(300)이고, 제2 저장장치는 내부 저장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200)는 상호 간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획득장치(200)들은 비콘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여 공유할 수 있다.
저장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설정된 영역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장치(300)는 영상획득장치(200)별로 제1 영상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장치(300)는 DVR(Digital Video Recorder), NVR(Network Video Recorder), 서버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400)는 영상획득장치(200) 및/또는 저장장치(300)의 영상을 분석 및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일 수 있다.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200)를 등록하고, 영상획득장치(200) 및/또는 저장장치(300)로 소정 조건의 영상을 요청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소정 조건의 영상 요청을 수신하고, 영상획득장치(200) 및/또는 저장장치(300)로부터 조건을 만족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50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400)는 관공서, 경찰서, 병원, 중앙관제소, 중앙통제소, 종합상황실 등에 구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적어도 하나의 비콘(100)을 등록하고, 등록된 비콘(100)과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등록된 비콘(100)과 관련된 영상을 서버(400)로 요청하고, 서버(400)로부터 관련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수신된 영상을 통해 비콘(100)을 소지한 객체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실시간으로 객체와 관련된 영상을 수신하거나, 객체와 관련된 기 저장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가족, 친척, 지인 등의 보호자가 소지할 수 있고,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200), 저장장치(300), 서버(400) 및 사용자 단말(50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및 3G, 4G(LTE),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및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이동 통신의 경우, 네트워크는 기지국(BTS), 이동교환국(MSC), 홈 위치 등록기(HLR), 무선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저장장치(300)와 서버(400)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저장장치(300)는 서버(400)의 일 구성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획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획득장치(200)는 카메라(210), 비콘센서(230), 프로세서(250), 메모리(270), 및 전원(29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특정 장소의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촬영 범위가 고정된 단일 고정식 카메라 또는 팬(Pan)/틸트(Tilt)/줌(Zoom) 기능을 갖는 PTZ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210)는 설정된 소정 영역(제1 영역)을 촬영한 제1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비콘 감지에 따라 프로세서(250)로부터 PTZ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변경된 PTZ에 대응하는 방향의 제2 영역을 촬영한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적어도 제1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고, 제1 영역 내에 존재하는 비콘(100)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카메라(210)는 제1 영역을 상시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제1 영역을 상시 촬영하고, 적어도 하나의 비콘 감지에 따른 프로세서(25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신호에 기초한 방향으로 자세를 변경하고 제2 영역을 촬영한 제2 영상을 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등록 또는 지정된 비콘이 제1 영역을 벗어나면 다시 제1 영역을 상시 촬영하는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비콘센서(230)는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100)으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콘(100)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수신한 비콘신호를 기초로 비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비콘 정보는 비콘(100)의 식별정보, 비콘(100)의 위치정보, 비콘(100)을 감지한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 영상획득장치(200)의 식별정보, 비콘(100)과 연동된 사용자 단말(500)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100)의 식별정보는 비콘(100)을 구별하기 위한 고유정보로서, 예컨대, 아이디(ID), 디바이스명, 일련번호(serial number),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등일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영상획득장치(200)와 비콘(100) 사이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정보는 비콘(100)이 비콘신호를 전송한 시간 또는 영상획득장치(200)가 비콘신호를 수신한 시간(비콘을 감지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200)의 식별정보는 영상획득장치(200)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정보로서, 예컨대, 아이디(ID), 디바이스명, 일련번호(serial number),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의 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500)을 구별하기 위한 고유정보로서, 예컨대, 아이디(ID), 디바이스명, 일련번호(serial number),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카메라(210)가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을 촬영하도록 카메라(210)의 자세(방향)를 제어하는 PTZ 신호를 제어신호로서 카메라(21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둘 이상의 제2 영역에 대한 촬영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등록 또는 지정된 비콘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의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비콘의 위치에 따라 또는 카메라(210)의 방향 제어가 효율적인 순서에 따라 제2 영역에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카메라(210)가 획득한 제1 영상을 제1 저장장치 및/또는 제2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제2 영상을 제2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0)는 비콘 정보를 기초로 제1 영상에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태그하여 제2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비콘이 태그되지 않은 제1 영상은 제1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비콘이 태그된 제1 영상은 제2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0)는 비콘 정보를 기초로 제2 영상에 제2 영역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태그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50)는 비콘이 태그되지 않은 제1 영상은 제1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비콘이 태그된 제2 영상은 제2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태그 정보를 생성하여 제2 영상과 매칭시켜 제2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태그 정보는 태그에 대응하는 비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장치는 영상획득장치(200) 외부의 저장장치(300)일 수 있다. 제2 저장장치는 영상획득장치(200)의 내부의 메모리(270)일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 필터 배열 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 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 정보, 장소 정보,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정보 획득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영상 처리 및 분석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서버(400)로부터의 영상 요청을 수신하고, 영상 요청에 포함된 조건을 추출할 수 있다. 조건은 객체 조건, 시간 조건, 장소(위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조건은 객체에 설정된 비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0)는 사전에 영상 요청을 수신하고, 추출된 조건에 대응하는 제2 영상이 획득될 때마다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실시간으로 서버(400)로 획득된 제2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0)는 영상 요청이 수신될 때 추출된 조건에 대응하는 제2 영상을 메모리(270)로부터 검색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을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제2 영상과 함께 또는 제2 영상과 별개로, 비콘 정보, 영상 정보,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등록 또는 지정된 비콘(100)이 제1 영역을 벗어나면 카메라(210)가 다시 제1 영역을 상시 촬영하도록 제어신호를 카메라(210)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0)는 제1 영역에 존재하는 모든 비콘(100)이 제1 영역을 벗어나면 카메라(210)가 다시 제1 영역을 상시 촬영하도록 제어신호를 카메라(21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제1 영역에서 검지된 적어도 하나의 비콘(100)의 비콘 정보를 인접하는 타 영상획득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비콘 정보를 수신한 타 영상획득장치는 수신한 비콘 정보를 기초로 자신의 제1 영역에서 해당 비콘이 감지되면, 제2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비콘신호 및 비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제2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70)에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비콘 정보 또는 태그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70)에 저장된 제2 영상 및 비콘 정보는 일정 기간 단위로 또는 일정한 저장 용량을 초과할 때 적어도 일부가 삭제 및/또는 백업될 수 있다.
메모리(27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영상획득장치(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전원(290, power supply)은 카메라(210), 비콘센서(230), 프로세서(250), 메모리(27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290)은 소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재충전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전원(210)은 배터리일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영상획득장치(200)는 하나의 카메라(210)에 의해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획득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메라(210)는 둘 이상의 카메라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멀티 카메라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와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가 상이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제2 영상을 서로 다른 카메라가 동시에 획득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영상획득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영상획득장치(200)의 카메라(210)는 제1 영역(A1)을 촬영한 제1 영상(I1)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프리셋 모드에 따라 제1 영역(A1)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200)의 비콘센서(230)는 제1 영역(A1)에서 비콘들(BC1 내지 BC6)이 전송하는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비콘들(BC1 내지 BC6)을 감지할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200)의 프로세서(250)는 수신한 비콘신호를 기초로 비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비콘정보를 기초로 카메라(210)가 비콘들(BC1 내지 BC6) 각각을 향하도록 카메라(210)의 자세, 즉 PTZ를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변경된 자세에 의해 비콘들(BC1 내지 BC6) 각각의 위치를 포함하는 제2 영역(A2)을 촬영한 제2 영상(I2)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210)는 제1 비콘(BC1)을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제2 영역(A2_1), 제4 비콘(BC4)을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제2 영역(A2_4) 등과 같이 제1 내지 제6 비콘(BC1 내지 BC6) 각각에 대한 제2 영역(A2_1 내지 A2_6)을 촬영한 제2 영상(I2_1 내지 I26)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영상(I2)들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0)는 비콘정보를 기초로 제1 영역(A1) 내에 존재하는 비콘들 중 사전 지정된 또는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선택하고, 지정 또는 등록된 비콘에 대해서만 카메라(210)가 제2 영상을 획득하도록 카메라(2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제2 영상(I2)을 메모리(27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50)는 제2 영상(I2)에 제2 영역(A2)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100)을 태그하여 메모리(27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0)는 제2 영상(I2)을 생성하지 않고, 제1 영상(I1)에 제1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태그하여 메모리(27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a는 제1 비콘(BC1)에 대한 제2 영상(I2_1)에, 제2 영역(A2_1)에 존재하는 제1 비콘(BC1) 및 주변의 비콘들, 즉 제2 비콘 내지 제4 비콘(BC2 내지 BC4)에 대응하는 제1 태그 내지 제4 태그(TAG1 내지 TAG4)를 설정한 예이다.
도 4b는 제4 비콘(BC4)에 대한 제2 영상(I2_4)에 제2 영역(A2_4)에 존재하는 제4 비콘(BC4) 및 주변의 비콘들, 즉 제2 비콘(BC2), 제3 비콘(BC3), 제5 비콘(BC5) 및 제6 비콘(BC6)에 대응하는 제2 태그 내지 제6 태그(TAG2 내지 TAG6)를 설정한 예이다.
프로세서(250)는 제1 영상(I1)을 저장장치(300)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제2 영상(I2)을 메모리(270)에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버(400)로부터 영상 요청(request)을 수신하면, 영상 요청에 포함된 조건에 맞는 제2 영상(I2)을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제1 서버(400_1) 및 제4 서버(400_4)로부터의 영상 요청에 대한 제2 영상(I2)의 전송을 보여준다. 제1 서버(400_1)와 제4 서버(400_4)가 각각 요청하는 조건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400)는 프로세서(410), 및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는 입력 장치(470) 및 디스플레이(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입력 장치(47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조건을 설정하는 입력일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객체 조건, 시간 조건, 장소(위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건 정보를 입력 장치(470)를 통해 입력받고,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영상 요청을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객체 조건은 객체에 설정된 비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200)로부터 조건 정보에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490)에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90)에 출력되는 제2 영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을 분석하여 태그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제2 영상 요청을 수신하고, 제2 영상 요청에 포함된 조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영상 요청을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200)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200)로부터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2 영상을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영상 요청을 저장장치(300)로 전송하고,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조건 정보는 객체 조건, 시간 조건, 장소(위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입력 장치(47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조건 정보를 제4 영상 요청에 포함시켜 저장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 조건은 객체 영상일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영상획득장치(200)를 이용한 제2 영상의 검색을 통해 1차적으로 신속하게 조건 정보에 일치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저장장치(300)를 이용한 제1 영상의 검색을 통해 2차적으로 조건 정보에 일치하는 영상 외의 부가 정보를 추가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30)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 비콘 정보, 영상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30)는 비콘(또는 태그)별, 영역별, 영상획득장치별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인덱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입력장치(47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마우스, 리모컨,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9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P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490)는 사용자의 터치를 통하여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 방법의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400)는 영상획득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490) 화면에 영역별로 분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90) 화면은 제1 표시영역(490a)과 제2 표시영역(49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영역(490a)에는 태그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표시영역(490b)에는 제2 영상의 배경이 되는 장소를 포함하는 지도가 제공되고, 지도에 제2 영상의 태그가 표시될 수 있다. 태그는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주 태그(T1)와 주 태그(T1) 주변의 태그(T2)를 포함할 수 있다. 주 태그(T1)는 주변 태그(T2)와 구별될 수 있다. 주 태그(T1)와 주변 태그(T2)는 크기, 형태, 색깔 등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제2 표시영역(490b)에 제공된 지도에서 태그는 이동 경로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4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490) 화면에 제1 표시영역(490a)과 제2 표시영역(490b) 중 하나를 전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은 프로세서(510), 메모리(530), 및 전원(55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입력장치(570) 및 디스플레이(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서버(400) 또는 별도의 앱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입력 장치(57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조건을 설정하는 입력일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객체 조건, 시간 조건, 장소(위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건 정보를 입력 장치(570)를 통해 입력받고,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상 요청을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객체 조건은 객체에 설정된 비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서버(400)로부터 조건 정보에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및/또는 제2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590)에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90)에 출력되는 제2 영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태그를 선택하면, 태그 주변에 태그 정보가 팝업 창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디스플레이(590) 화면에 지도(MAP)를 제공하고, 지도에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제2 영상의 배경에 대응하는 지역(장소)을 포함하는 지도를 자동으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메모리(530)는 제1 영상 및/또는 제2 영상, 비콘 정보, 영상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장치(57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마우스, 리모컨,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9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P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590)는 사용자의 터치를 통하여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 방법의 예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은 서버(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I2)을 실시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590)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태그를 선택하면, 선택된 태그 주변에 태그 정보(아이디, 시간 등)가 팝업 창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은 디스플레이(590) 화면에 제2 영상의 배경에 대응하는 지도(MAP)를 제공하고, 서버(400)로부터 함께 수신한 태그 정보를 기초로 지도(MAP)에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태그는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주 태그(T1)와 주 태그(T1) 주변의 태그(T2)를 포함할 수 있다. 주 태그(T1)는 주변 태그(T2)와 구별될 수 있다. 주 태그(T1)와 주변 태그(T2)는 크기, 형태, 색깔 등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제2 표시영역(490b)에 제공된 지도에서 태그는 이동 경로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은 디스플레이(590) 화면에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제1 영상 및/또는 제2 영상의 리스트(600)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스트(600) 상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영상이 재생 가능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획득장치의 영상획득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의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영상획득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200)는 설정된 제1 영역을 상시 촬영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1). 영상획득장치(200)는 제1 영상을 제1 저장장치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S13). 제1 저장장치는 영상획득장치(200) 외부의 저장장치(300)일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200)는 제1 영역의 촬영 중 제1 영역에서 전송되는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감지할 수 있다(S12). 영상획득장치(200)는 각 비콘이 위치하는 제2 영역을 촬영한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4). 영상획득장치(200)는 제2 영상에 제2 영역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태그하여 제2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S16). 제2 저장장치는 영상획득장치(200) 내부의 메모리(270)일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200)는 서버(400)로부터 영상 요청을 수신하고(S18), 영상 요청에 포함된 조건에 대응하는 제2 영상을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S20).
일 실시예에서, 영상획득장치(200)는 서버(400)로부터의 영상 요청을 사전에 수신하고, 조건에 대응하는 제2 영상이 획득될 때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실시간으로 해당 제2 영상을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획득장치(200)는 서버(400)로부터 특정 객체의 검출시 해당 제2 영상을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비콘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비콘정보로부터 특정 객체가 검출되면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획득장치(200)는 서버(400)로부터 영상 요청을 수신하면, 메모리(270)에 저장된 제2 영상들 중 조건에 대응하는 제2 영상을 검색하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획득장치(200)는 제1 영상에 제1 영역에서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태그하여, 비콘이 태그된 제1 영상을 제2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영상획득장치(200)는 제2 영상의 생성을 생략할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200)는 비콘이 태그되지 않은 제1 영상을 제1 저장장치에도 전송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의 실시예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서버(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서버(400)는 영상획득장치(200)로 영상을 요청하고(S21), 영상 요청의 조건에 대응하는 제2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22).
일 실시예에서, 서버(400)는 사전에 등록된 조건에 대응하는 제2 영상을 영상획득장치(200)로부터 실시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거나(S23),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S24).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400)는 사용자 입력 또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의 영상 요청에 따라, 영상획득장치(200)가 메모리(270)를 조건 검색하여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거나(S23),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S24).
서버(400)는 저장장치(300)로 영상을 요청하고(S26), 영상 요청의 조건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27). 이때 저장장치(300) 또는 서버(400)가 제1 영상을 분석하여 조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또는 제1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400)는 사용자 입력 또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의 영상 요청에 따라, 저장장치(300)를 조건 검색하여 추출한 제1 영상 또는 제1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거나(S28),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S29).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버(400)가 영상획득장치(200)로부터 메모리(270)를 조건 검색하여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비콘이 태그된 제1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거나,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400)는 저장장치(300)의 검색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의 실시예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5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서버(400)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조건을 포함하는 영상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31).
사용자 단말(500)은 서버(400)로부터 영상 요청의 조건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및/또는 제2 영상을 수신하고(S33),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S35). 제1 영상은 영상획득장치(200)의 외부 저장장치(300)에 저장된 영상이다. 제2 영상은 영상획득장치(2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이다. 제2 영상의 배경은 제1 영상의 배경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비콘센서(비콘 스캐너)는 신호만 수신하여 신호의 유무 또는 ID를 확인하는 것으로, 수작업 또는 중앙관제센터의 별도의 시스템으로 근방의 카메라와 연동하여 카메라의 영상을 통해 주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콘 스캐너의 교체 또는 카메라의 교체에 따라 복잡한 설정이 필요하고, 이를 제어하는 중앙관제센터의 변동에 따라서도 새로운 설정을 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비콘 스캐너를 별도로 설치하더라도 비콘 스캐너로부터 중앙관제센터까지의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에 비콘 스캔 기능을 추가하여, 수신되는 비콘신호를 알람으로 처리해서 로그기록을 남김으로써, 필요한 비콘신호에 대한 영상을 쉽게 재생하여 비콘신호의 주변 상황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획득장치가 획득한 비콘 정보가 저장된 영상이 영상획득장치에 저장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외부 검색 장치(예를 들면, 서버)가 직접 영상획득장치에 접속하여 필요한 영상의 검색이 가능하다. 따라서, 영상획득장치가 획득한 영상을 정해진 외부 장치에 저장함으로써, 영상이 저장된 외부 장치에서만 영상 검색이 가능한 경우에 비해,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영상의 검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획득장치의 메모리 검색을 통한 신속한 1차 검색이 가능하고, 추후 필요한 경우 외부 저장장치의 검색을 통한 2차 검색에 의해 추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검색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회적 약자에게 지급된 비콘으로부터의 비콘신호를 수신한 기록을 저장하고, 치매노인의 실종, 여성안심귀가를 위한 밀착 보호에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보안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획득장치를 재래시장 통로에 설치하고 곳곳의 화재감지기에 비콘을 설치하여, 비콘신호가 발신되면, 화재 즉시 알람과 함께 해당 영상이 중앙관제센터로 전달되어 화재발생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화재 검지 기기가 통신수단을 확보하지 못한 화재경보기일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획득장치가 알람을 중앙관제센터로 알리는 통신수단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획득 방법 및 영상 처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카메라 및 비콘센서를 구비한 영상 획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감시 영역을 촬영한 영상에 상기 비콘 센서가 상기 감시 영역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감지하여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비콘 정보를 매칭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 정보가 매칭된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 정보가 매칭된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콘 정보를 기초로 등록된 비콘이 감지되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영상 획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 발생시, 상기 등록된 비콘의 비콘 정보가 매칭된 영상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획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정보는 상기 영상 획득 장치와 상기 비콘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비콘의 비콘 정보를 타 영상 획득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획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일정 기간 단위로 외부 장치에 백업하는, 영상 획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이 정해진 저장 용량을 초과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 장치에 백업하는, 영상 획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비콘이 등록된 비콘인 경우, 상기 등록된 비콘이 위치하는 영역을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방향을 제어하는, 영상 획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감시 영역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방향을 제어하는, 영상 획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시 영역을 촬영한 영상 중 비콘 정보가 매칭되지 않은 영상을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영상 획득 장치.
  10.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수신한 비콘 정보가 매칭된 영상 및 비콘 정보가 매칭되지 않은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장치;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 요청에 포함된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로 요청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상기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비콘 정보가 매칭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비콘 정보가 매칭된 영상의 배경에 대응하는 장소를 포함하는 지도를 제공하고, 상기 지도에 상기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비콘을 표시하는, 영상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도에 상기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비콘 및 상기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비콘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타 비콘을 표시하고,
    상기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비콘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비콘은 크기, 형태, 색깔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별되는, 영상 처리 장치.
  13. 서버로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요청을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가 상기 서버로 전송한 비콘 정보가 매칭된 영상들 중 상기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비콘 정보가 매칭된 영상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비콘 정보가 매칭된 영상의 배경에 대응하는 지도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고, 상기 지도 상에 상기 비콘 정보를 기초로 태그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비콘 정보가 매칭된 영상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영상을 재생 가능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태그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선택된 태그 주변에 태그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80041251A 2017-09-25 2018-04-09 영상획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 KR101971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251A KR101971477B1 (ko) 2018-04-09 2018-04-09 영상획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
US16/139,499 US11563888B2 (en) 2017-09-25 2018-09-24 Image obtaining and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beacon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251A KR101971477B1 (ko) 2018-04-09 2018-04-09 영상획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659A Division KR101857164B1 (ko) 2017-09-25 2017-09-25 영상획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464A true KR20190035464A (ko) 2019-04-03
KR101971477B1 KR101971477B1 (ko) 2019-08-13

Family

ID=6616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251A KR101971477B1 (ko) 2017-09-25 2018-04-09 영상획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4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3680B2 (en) 2016-07-26 2022-03-01 Dong Suck Oh Knowledge sharing platfor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755A (ko) * 2015-07-24 2017-02-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비콘 기반 이동형 영상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70048006A (ko) * 2015-10-26 2017-05-0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6311B1 (ko) * 2015-12-01 2017-05-16 (주)그린아이티코리아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755A (ko) * 2015-07-24 2017-02-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비콘 기반 이동형 영상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70048006A (ko) * 2015-10-26 2017-05-0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6311B1 (ko) * 2015-12-01 2017-05-16 (주)그린아이티코리아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3680B2 (en) 2016-07-26 2022-03-01 Dong Suck Oh Knowledge sharing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477B1 (ko)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3888B2 (en) Image obtaining and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beacon sensor
US9412026B2 (en) Intelligent video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1055482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hotographing device, image sharing system, and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KR101472077B1 (ko) 누적된 객체 특징을 기반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637653B1 (ko) 영상열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US20070228159A1 (en) Inquiry system, imaging device, inquir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KR101857164B1 (ko) 영상획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
US10838460B2 (en) Monitoring video analysis system and monitoring video analysis method
US11363234B2 (en) Video management system and video management method
US10341616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6537799A (zh) 摄像头控制和图像流送
US11093757B2 (en) Firearm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90090544A (ko) 적외선 센서 및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한 카메라 감시 시스템
EP34627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ly accessing video data streams and data between devices in a video surveillance system
JP2016082506A (ja) 監視装置、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82845B1 (ko) Ip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폰 영상 제공 시스템
KR101971477B1 (ko) 영상획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
KR101863846B1 (ko) 이벤트 감지 및 현장 사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653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6941458B2 (ja) 監視システム
US20160140759A1 (en) Augmented reality security feed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20190114223A (ko)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19009562A (ja) 監視映像表示システム、監視映像表示装置、監視情報管理サーバ、および、監視映像表示方法
CN109194920B (zh) 一种基于高清摄像机的智能寻物方法
JP2003329762A (ja) 対象物定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