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090A - 노즐 젯 프린팅 장치 - Google Patents

노즐 젯 프린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090A
KR20190035090A KR1020170123920A KR20170123920A KR20190035090A KR 20190035090 A KR20190035090 A KR 20190035090A KR 1020170123920 A KR1020170123920 A KR 1020170123920A KR 20170123920 A KR20170123920 A KR 20170123920A KR 20190035090 A KR20190035090 A KR 20190035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openings
nozzle
ink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연
김영임
이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123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5090A/ko
Publication of KR2019003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51/56
    • H01L51/000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10K71/13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using ink-jet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 젯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에 대향되게 위치되어 기판을 향해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과 기판 사이에 나란히 위치되고,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잉크가 통과하는 복수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 제 1 마스크 및 제 2 마스크와; 상기 제 1 마스크와 제 2 마스크의 개구부 중 어느 한쪽 마스크의 개구부들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잉크에 대응하도록 제 1 마스크와 제 2 마스크를 이동시키는 마스크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마스크에 형성된 개구부들과 제 2 마스크에 형성된 개구부들은 서로 상이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서, 다양한 패턴 형성이 가능하여 프린팅 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노즐 젯 프린팅 장치{Nozzle jet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평판표시소자 중 하나인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판에 잉크를 도포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노즐 젯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소자로 액정 표시 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소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 평판 표시 소자(Flat Panel Display)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소자의 화소를 형성하기 위해서, 유기물을 포함하는 잉크를 기판을 향하여 토출시켜 프린팅 함으로써 유기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잉크젯에 의해 토출되어 기판에 프린팅 되는 잉크는 연속적인 선(line) 형태이거나, 필요한 경우 액적(droplet) 형태로 토출되어 기판에 점(dot) 형태로 프린팅될 수 있다. 종래 잉크를 액적 형태로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노즐과 기판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고 인가된 전압에 펄스(pulse)를 형성하여 형성된 펄스에 의해 잉크가 액적 형태로 토출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할 경우 액적 토출을 위한 펄스의 형성 조건을 전자적으로 조절하기 어려워 액적을 원하는 크기나 간격으로 토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잉크의 손실도 많고, 보다 정확한 위치에 잉크를 공급하거나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00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882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프린팅 장치에 개구부의 구성을 달리하는 복수의 마스크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패턴 형성이 가능하여 프린팅 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노즐 젯 프린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젯 프린팅 장치는, 기판에 대향되게 위치되어 기판을 향해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과 기판 사이에 나란히 위치되고,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잉크가 통과하는 복수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 제 1 마스크 및 제 2 마스크와; 상기 제 1 마스크와 제 2 마스크의 개구부 중 어느 한쪽 마스크의 개구부들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잉크에 대응하도록 제 1 마스크와 제 2 마스크를 이동시키는 마스크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마스크에 형성된 개구부들과 제 2 마스크에 형성된 개구부들은 서로 상이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마스크의 개구부들과 상기 제 2 마스크의 개구부들은 개구 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스크의 개구부들과 상기 제 2 마스크의 개구부들은 개구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스크의 개구부들과 상기 제 2 마스크의 개구부들은 개구부들 사이의 간격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스크와 제 2 마스크는 마스크 지지대 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마스크 구동부는 상기 노즐의 하부에 제 1 마스크 또는 제 2 마스크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마스크 지지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의 개구부에는 잉크의 통과를 안내하는 유도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 가이드는 상부에 확장된 모양으로 형성된 확장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마스크의 저면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된 연장부가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젯 프린팅 장치는, 하나의 프린팅 장치에 개구부의 단면적, 간격, 형상 등을 달리하는 복수의 마스크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패턴 형성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프린팅 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젯 프린팅 장치가 도시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젯 프린팅 장치의 회전판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젯 프린팅 장치의 회전판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 젯 프린팅 장치가 도시된 주요부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 젯 프린팅 장치가 도시된 주요부 평면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젯 프린팅 장치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1은 전체 구성도, 도 2는 회전판의 평면도, 도 3은 회전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 젯 프린팅 장치는, 기판(1)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기판(1)을 향해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10)과, 복수의 개구부(21)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노즐(10)과 기판(1) 사이에 위치하는 마스크(20)와, 잉크가 개구부(21)를 단속적으로 통과됨에 따라 액적(7)의 형태로 토출되도록 마스크(20)를 이동시키는 마스크 구동부(30)와, 상기 노즐(10)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부(50)와, 상기 마스크(20)의 배출구(23)와 잉크 공급부(50)에 각각 연결되어 수집된 잉크를 잉크 공급부(50)로 회수하는 회수 튜브(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젯 프린팅 장치의 주요 구성 부분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기판(1)은 스테이지(3) 상에 배치되며, 공정 챔버(미도시)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지(3)은 평면상에서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음, 노즐(10)은 기판(1)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기판(1)을 향해 잉크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노즐(10)은 기판(1)의 상측에 배치되어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할 잉크 공급부(50) 및 공급 튜브(53)를 통해 잉크를 공급받아 하단에 형성되는 출구를 통해 기판(1)을 향해 잉크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노즐(10)에서 분사된 잉크는 마스크(20)를 통과하면서 액적(7) 형태 등으로 변환되어 기판(1)에 떨어지면서 프린팅이 이루어진다. 이때 분사되는 잉크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노즐(10)에는 전압 인가부(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전압 인가부(40)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은 노즐(10)과 기판(1)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노즐(10)로부터 분사되는 잉크가 직진성을 갖고 기판(1)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노즐(10)에 인가되는 전압은 직류(DC) 전압일 수 있다. 또한, 기판(1)이 배치되는 스테이지(3)는 접지되거나 노즐(10)에 인가되는 전압과 반대되는 전압이 인가될 수도 있다.
다음, 마스크(20)는, 도 2를 참조하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개구부(21)가 형성되고, 노즐(10)과 기판(1) 사이에 위치한다. 마스크(20)는 마스크 구동부(30)의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스크 구동부(30)는 잉크가 개구부(21)를 통과함에 따라 단속되어 액적(7) 형태로 토출되도록 마스크(2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마스크 구동부(30)가 마스크(20)를 회전시키면 마스크에 형성된 다음 개구부(21)가 차례로 노즐(10) 하측에 위치되고, 이때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의 일부만을 통과시켜서 잉크를 액적(7) 형태로 토출하게 된다. 토출된 잉크 액적(7)은 기판(1)에 점(dot) 형태 등으로 프린팅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0)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개구부(21)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판(27)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회전판(27)은, 회전판(27)의 회전 중심이 노즐(10)의 중심과 이심되고, 회전판(27)의 회전 시 개구부(21)가 노즐(10)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회전판(27)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개구부(21)가 순차적으로 노즐(10)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노즐(10)을 통해 분사되는 잉크가 개구부(21)를 통과하면서 단속되어 액적(7)의 형태로 토출되는 것이다.
회전판(27)은 회전 중심에 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되고 회전축(미도시)에 벨트(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모터(미도시)등의 구동원이 벨트(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판(27)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모터 및 벨트는 앞서 설명한 마스크 구동부(30)일 수 있다.
회전판(27)의 상면에는, 개구부(21)를 통과하지 못한 잉크가 수집되도록 경사면(2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판(27)은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면(25)이 형성되며, 개구부(21)를 통과하지 못한 잉크는 경사면(25)을 따라 흘러 회전판(27)의 중앙부로 모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25)이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경사면(25)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개구부(21)를 통과하지 못한 잉크가 회전판(27) 외측에 둘레를 따라 수집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판(27)은 경사면(25)에 의해 수집된 잉크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2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경사면(25)이 중앙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형성되는 경우, 배출구(23)는 회전판(27)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면(25)을 따라 수집된 잉크가 배출구(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마스크(20)에는 개구부(21)에 잉크의 통과를 안내하는 유도 가이드(70)가 추가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유도 가이드(70)는 별도의 관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마스크(20)의 개구부(21)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유도 가이드(70)는 상부에 확장된 모양으로 형성된 확장부(72)가 형성되고, 하부에 마스크(20)의 저면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된 연장부(74)가 형성된다.
확장부(72)는 노즐(10)에서 공급되는 잉크가 개구부(21) 안쪽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잉크가 개구부(21) 밖으로 흘러 나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확장부(72)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축소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확장부(72)의 입구 내경은 떨어지는 잉크의 양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74)는 개구부(21)를 통과하는 잉크가 마스크(20) 즉, 회전판(27)의 밑면을 따라 흐르지 않게 하는 동시에 개구부(21) 하측에 위치된 기판(1)으로 정확하게 공급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잉크가 회전판(27)의 밑면으로 흐르면서 원하지 않은 위치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유도 가이드(70)는 히팅이 가능한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마스크(20)에는 유도 가이드(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80)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유도 가이드(70)의 히팅 구조는 마스크(20)의 개구부(21)를 가열함으로써 개구부(21) 안쪽에 잉크가 말라서 개구부(21)가 막히거나 내경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개구부(21)를 가열하여 개구부를 적절한 온도로 유지함으로써 잉크의 토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80)는 상기 마스크(20)의 개구부(21)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유도 가이드(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84)와, 마스크(20)에 PCB 형태로 인쇄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접속부(84)에 전원을 공급하는 패턴부(8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마스크(20)에서 접속부(84) 및 패턴부(82)의 위치는 실시 조건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 젯 프린팅 장치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4는 주요부 정면 구성도, 도 5는 주요부 평면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2개의 노즐(10)과 4개의 마스크(20A,20B)가 구비된 노즐 젯 프린팅 장치의 주요부를 보여준다.
2개의 노즐(1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잉크 공급부(50; 도 1 참조)를 통해 잉크를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잉크 공급부와 2개의 노즐(10) 사이에는 하나의 노즐(10)로만 잉크를 공급하도록 단속하는 밸브 기구(미도시)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4개의 마스크(20A,20B)는 2개의 노즐(10)과 기판(1) 사이에 나란히 위치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4개의 마스크(20A,20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지지대(31)에 상,하,좌,우로 간격이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지지대(31)는 좌우 지지대(32)와 전후 지지대(33)가 상호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개의 마스크(20A,20B)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하부로 잉크 액적이 떨어질 수 있는 구조이면, 실시 조건에 따라 지지대의 형상과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마스크(20A,20B)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설명한 바와 같은 회전판으로 이루어진 경우, 마스크 지지대(31)의 상부에는 마스크(20A,20B)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터(34) 또는 회전력 전달기구 등이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4개의 마스크(20A,20B)는 각 노즐(10)에 2개의 마스크(20A 또는 20B)가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앞쪽 열의 2개의 마스크(20A)(이하 '제 1 마스크'라 함)는 뒤쪽 열의 2개의 마스크(20B)(이하 '제 2 마스크'라 함)와 개구부(21)의 구성이 다르게 형성된다.
즉, 2개의 제 1 마스크(20A)에 형성된 개구부(21)들은 2개의 제 2 마스크(20B)에 형성된 개구부(21)들에 비하여 크기 즉, 단면적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제 2 마스크(20B)의 개구부(21)들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2개의 제 1 마스크(20A)에 형성된 개구부(21)들은 2개의 제 2 마스크(20B)에 형성된 개구부(21)들에 비하여 간격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도 반대로 제 2 마스크(20B)에 형성된 개구부(21)들의 간격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2개의 제 1 마스크(20A)의 개구부(21)들과 2개의 제 2 마스크(20B)의 개구부(21)들은 개구 형상을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마스크(20A)의 개구부(21)는 원형, 육각형일 때, 제 2 마스크(20B)의 개구부(21)는 타원형, 사각형 등으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 1 마스크(20A)에 형성된 개구부(21)들과 제 2 마스크(20B)에 형성된 개구부(21)들의 크기, 간격, 형상 등을 상이하게 형성하는 이유는 기판에 패턴을 인쇄할 때 상이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제, 상기와 같이 개구부(21)의 구조를 달리하는 제 1 마스크(20A)와 제 2 마스크(20B)는 마스크 지지대(31)에 지지되게 설치되므로, 마스크 지지대(31)를 이동시키는 마스크 구동부(35)를 통해 노즐(10) 하부에 마스크(20A 또는 20B)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마스크 구동부(35)가 마스크(20A,20B)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 마스크 구동부(35)는 리니어 모터, 리니어 가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리니어 가이드 기구를 이용하여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Y축 방향으로 마스크(20A,20B)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X축 방향으로 마스크(20A,20B)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X축과 Y축 방향으로 모두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Z축 방향으로 마스크(20A,20B)를 이동시켜 잉크 액적이 떨어지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마스크 구동부(35)에 의해 나란히 위치되는 2개의 노즐(10) 하부에 2개의 제 1 마스크(20A)를 위치시키거나, 2개의 제 2 마스크(20B)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노즐(10)에서 잉크를 분사하면서 기판에 액적을 떨어뜨려 패턴을 인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2개의 노즐(10)이 구성되고, 이 2개의 노즐(10)에 대응되도록 제 1 마스크(20A)와 제 2 마스크(20B)가 각각 2개씩 배치된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하나의 노즐(10)에 제 1 마스크(20A)와 제 2 마스크(20B)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3개 또는 그 이상의 노즐(10) 및 이에 대응하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제 1 마스크(20A) 및 제 2 마스크(20B)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유도 가이드(70; 도 3참조) 등의 구성을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다.
즉, 각 마스크(20A,20B)의 개구부(21)에는 잉크의 통과를 안내하는 유도 가이드를 구성하고, 이 유도 가이드는 도 3에서의 확장부(72)와 연장부(74)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이드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히팅이 가능한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스크(20A,20B)에는 유도 가이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80)가 구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에서는 마스크(20,20A,20B)가 회전판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회전하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전후 또는 좌우로 수평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들에서는 노즐 젯 프린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유사한 작동 구조를 갖는 잉크젯 유닛 및 잉크젯 유닛을 포함하는 잉크젯 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기판 3 : 스테이지(Stage)
7 : 잉크 액적(Ink droplet) 10 : 노즐(Nozzle)
20, 20A, 20B : 마스크(Mask) 21 : 개구부
23 : 배출구 25 : 경사면
27 : 회전판 30 : 마스크 구동부
31 : 마스크 지지대 32 : 좌우 지지대
33 : 전후 지지대 35 : 마스크 구동부
40 : 전압 인가부 50 : 잉크 공급부
51 : 회수 튜브 53 : 공급 튜브
70 : 유도 가이드 72 : 확장부
74 : 연장부 80 : 전원 공급부
82 : 패턴부 84 : 접속부

Claims (6)

  1. 기판에 대향되게 위치되어 기판을 향해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과 기판 사이에 나란히 위치되고,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잉크가 통과하는 복수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 제 1 마스크 및 제 2 마스크와;
    상기 제 1 마스크와 제 2 마스크의 개구부 중 어느 한쪽 마스크의 개구부들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잉크에 대응하도록 제 1 마스크와 제 2 마스크를 이동시키는 마스크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마스크에 형성된 개구부들과 제 2 마스크에 형성된 개구부들은 서로 상이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젯 프린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스크의 개구부들과 상기 제 2 마스크의 개구부들은 개구 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젯 프린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스크의 개구부들과 상기 제 2 마스크의 개구부들은 개구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젯 프린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스크의 개구부들과 상기 제 2 마스크의 개구부들은 개구부들 사이의 간격이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젯 프린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스크와 제 2 마스크는 마스크 지지대 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마스크 구동부는 상기 노즐의 하부에 제 1 마스크 또는 제 2 마스크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마스크 지지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젯 프린팅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개구부에는 잉크의 통과를 안내하는 유도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 가이드는 상부에 확장된 모양으로 형성된 확장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마스크의 저면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된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젯 프린팅 장치.
KR1020170123920A 2017-09-26 2017-09-26 노즐 젯 프린팅 장치 KR20190035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20A KR20190035090A (ko) 2017-09-26 2017-09-26 노즐 젯 프린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20A KR20190035090A (ko) 2017-09-26 2017-09-26 노즐 젯 프린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090A true KR20190035090A (ko) 2019-04-03

Family

ID=6616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920A KR20190035090A (ko) 2017-09-26 2017-09-26 노즐 젯 프린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509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820B1 (ko) 2006-12-13 2008-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0052B1 (ko) 2015-05-26 2016-10-27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잉크젯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820B1 (ko) 2006-12-13 2008-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0052B1 (ko) 2015-05-26 2016-10-27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잉크젯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9957B2 (ja) インク液滴を制御する装置
US20080105144A1 (en) Three-dimensional printer
US20140253638A1 (en) Device for Discharging Ink Using Electrostatic Force
US20210070043A1 (en) Multi-nozzle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JP2008171001A (ja) 共通軸周囲を回転可能な複数のプリントヘッドを用いて、処理量を増加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TW200638069A (en) A droplet ejection apparatu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nel from a bas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electronic apparatus
KR101670052B1 (ko) 잉크젯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장치
CN110450542B (zh) 一种喷墨打印装置
CN115837805A (zh) 实现显示面板侧边油墨喷印的设备及其喷墨打印控制方法
US2008002455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manufacturing of color filters
KR20190035090A (ko) 노즐 젯 프린팅 장치
JP2013045821A (ja) インクジェット装置
KR101950325B1 (ko) 노즐 젯 프린팅 장치
KR102462787B1 (ko) 노즐 젯 프린팅 장치
KR20130120775A (ko) 인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 제조 방법
JP2019217669A (ja) 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KR20060135265A (ko) 디스플레이 제조용 잉크제트 프린터
KR100981004B1 (ko) 잉크젯 방식의 칼라 필터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878287B1 (ko)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KR101345927B1 (ko) 액상물질 디스펜스 장치 및 방법
TWI398358B (zh)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CN111845068B (zh) 喷墨打印装置
KR101415610B1 (ko) 개선된 멀티 헤드용 토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멀티 헤드 및 스프레이 방식의 패턴 형성 장치
KR102520976B1 (ko) 잉크젯 프린팅 프로세스의 제어 방법
JP2003246053A (ja) 製膜装置とその塗布液吐出方法、およびデバイス製造装置とデバイス製造方法並びに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