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089A - Mobile Application based Device for Detec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f Vehicle using Electronic Tag System - Google Patents

Mobile Application based Device for Detec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f Vehicle using Electronic Ta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089A
KR20190035089A KR1020170123919A KR20170123919A KR20190035089A KR 20190035089 A KR20190035089 A KR 20190035089A KR 1020170123919 A KR1020170123919 A KR 1020170123919A KR 20170123919 A KR20170123919 A KR 20170123919A KR 20190035089 A KR20190035089 A KR 20190035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vehicle
information
electronic tag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9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디아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디아이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디아이컴퍼니
Priority to KR102017012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5089A/en
Publication of KR20190035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0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application based device for detec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f a vehicle using an electronic tag system, comprising: an electronic tag attached to one side of a braking pedal and an acceleration pedal in the vehicle; a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sensing unit embedding an electronic tag recognition module coupled to one side of an insole installed within shoes worn by a vehicle driver and recogniz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at the electronic tag and a vibration generating module generating vibr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foot sole of the driver; and a mobile device connected to the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sensing unit to be communicable, wherein the vibration generation module, if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module recognizes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attached to the acceleration pedal, generates the vibration to enable the driver to recognize that the driver himself or herself is operating the acceleration pedal, and the mobile device installs the application which generates vehicle speed information, being speed information while the vehicle is being driven by sen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generates pedal operation information, being information on which a pedal has been operated between the braking pedal and acceleration pedal while the vehicle is being driven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received from the sudden unintended sensing unit to synchronize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with the pedal operation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ime and to store the synchronized information.

Description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Mobile Application based Device for Detec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f Vehicle using Electronic Tag Syste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ion-based vehicle rapid detection device using an electronic tag system,

본 발명은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운전자가 착용하는 신발 내부에 장착되는 인솔의 일측에 결합되는 급발진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제동 페달과 가속 페달에 부착된 전자태그의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차량의 운행 중에 상기 두 개의 페달 중 어느 페달이 작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속 페달이 작동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켜 운전자가 자신이 가속 페달을 작동시키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저비용으로도 차량의 급발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급발진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운전자의 과실여부를 매우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based vehicle speedily detect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ta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based vehicle speedily detect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tag system,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edal of the two pedals is op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y recognizing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attached to the accelerator pedal. When the accelerator pedal is operated, vibration is generated to indicate that the driver is operating the accelerator pedal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udden accident of a vehicle from occurring even at a low cost and to detect an error of a driver even when a sudden accident occurs, Sensing device.

최근 들어, 자동차는 다른 산업분야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 내부에 적용되는 각종 기계 장치들과 전자 장치들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차량관리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에 연동되어 차량 내부의 결함을 감지하는 시스템(On-Board Diagnostics;OBD)들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automobiles have become increasingly popular in the automotive industry as vehicle management systems, which manage and control various mechanical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applied to the inside of vehicles as technology of other industrial fields develops, On-Board Diagnostics (OBD) are rapidly evolving.

특히, 종래 차량의 엔진 및 변속기를 비롯한 주요 구성부에 대한 제어장치가 전기전자 기술과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자식 제어장치로 대체되는 추세인데, 이러한 전자식 제어장치는 일반적으로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ECU)으로 불리어지며 각종 센서에 의해 차량의 제반적인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엔진, 자동변속기 및 ABS 등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Particularly, the control device for the main components including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of the conventional vehicle is replaced by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technologies and the computer technology. Such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generally includes an electronic control unit Unit (ECU), which detects various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by various sensor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ngine, the automatic transmission, and the ABS so as to correspond thereto.

이와 같이 전자식 제어장치가 탑재된 차량의 경우 종래 기계식 제어장치가 탑재된 차량과 대비할 때 조립성과 생산성이 우수하고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따른 동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내외부에서 발생되는 전자신호간의 간섭에 의하여 전자제어유닛의 오동작이 발생될 경우 차량의 동작 오류로 이어져 운전자에게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vehicl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xcellent in productivity in assembly and productivity when compared with a vehicl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mechanical control device, and power loss due to driver's driving habits can be reduced. However, If an erroneous operation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occurs due to interference between signals, it leads to an operation error of the vehicle, thereby causing a fatal accident to the driver.

이러한 전자식 제어 차량의 오동작에 대한 대표적인 예가 급발진 사고라고 할 수 있는데, 그동안 차량의 급발진 사고의 원인에 대해서 각 자동차 생산 업체와 연구 및 시험업체에서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나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 typical example of such malfunction of an electronic control vehicle is a sudden accident. In the meantime, the cause of a sudden accident of a vehicle has been variously analyzed by each automobile manufacturer, research and testing company, but the exact cause has not been clarified .

따라서, 실제 급발진 사고가 발생될 경우 차량의 결함에 대한 입증책임이 운전자에게 있기 때문에 이를 입증할 수 없는 일반 운전자들의 경우 대부분 급발진 사고의 책임을 스스로 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case of a sudden accident, the driver is burdened with the burden of proving the defect of the vehicle. Therefore, most of the ordinary drivers who can not prove it are responsible for the sudden accident.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하기 [문헌 1]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제동페달 및 가속페달 근처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급발진시 페달의 조작상태를 촬영하여 급발진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려고 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pparatuses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in which a camera is installed near a braking pedal and an accelerator pedal of a vehicle to photograph the operation state of the pedal at the time of sudden acceleration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sudden accident have.

그러나, 하기 [문헌 1] 등에 따른 장치의 경우에도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장치의 비용이 크게 증가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설치를 위한 배선 연결로 인하여 차량의 또 다른 동작 오류를 야기하게 될 위험성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pparatu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ocument 1] and the like, since the system using the camera also increases the cost of the apparatus, there is a risk that another operation error of the vehicle may be caused due to the wiring connection for 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have.

또한, 하기 [문헌 1] 등에 따른 장치의 경우 페달 조작부 근처에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시 페달의 조작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해당 페달이 실제로 동작되었는지 여부와 어느 정도의 세기로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복잡한 영상 판독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pparatus described in the following [Reference 1] or the like, since the camera must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pedal operation portion, not only the operation of the pedal is obstruct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re is a problem that a complicated image reading operation is additionally required.

또한, 하기 [문헌 1] 등에 따른 장치의 경우 급발진 사고가 발생된 이후에 원인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결함이 아니라 운전자의 단순한 실수로(즉, 제동 페달을 작동시키고자 하는 운전자가 실수로 가속 페달을 작동시키는 경우 등) 급발진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llowing [Document 1] and the like is configured in such a manner as to analyze the cause after a sudden accident occurs, it is not a fault of the vehicle, but a simple mistake of the driver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accelerator pedal is accidentally operated, etc.),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prevented in advance when a sudden accident occurs.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1-0077443호(2011. 7. 7. 공개)[Patent Document 1] Publishe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1-0077443 (Published July 7, 201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착용하는 신발 내부에 장착되는 인솔의 일측에 결합되는 급발진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제동 페달과 가속 페달에 부착된 전자태그의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차량의 운행 중에 상기 두 개의 페달 중 어느 페달이 작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속 페달이 작동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켜 운전자가 자신이 가속 페달을 작동시키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저비용으로도 차량의 급발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급발진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운전자의 과실여부를 매우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king system for a vehicl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edal of the two pedals is op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y recognizing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attached to the accelerator pedal. When the accelerator pedal is operated, vibration is generated to indicate that the driver is operating the accelerator pedal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udden accident of a vehicle from occurring even at a low cost and to detect an error of a driver even when a sudden accident occurs, Sensing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는 차량의 제동 페달과 가속 페달의 일측에 각각 부착되는 전자태그,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착용하는 신발의 내부에 장착되는 인솔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전자태그 인식모듈과, 운전자의 발바닥에 전달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모듈이 내장된 급발진 감지부, 및 상기 급발진 감지부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모바일 기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 발생모듈은 전자태그 인식모듈에서 가속 페달에 부착된 전자태그의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운전자가 자신이 가속 페달을 작동시키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모바일 기기부에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차량의 운행시간 동안의 속도 정보인 차량 속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급발진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전자태그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운행시간 동안 제동 페달과 가속 페달 중 어느 페달이 작동되었는지에 관한 정보인 페달 작동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 속도정보와 페달 작동정보를 시간에 대하여 동기화시켜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based vehicle rapid navigation sensor using an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nic tag attached to one side of a braking pedal and an accelerator pedal of a vehicle, An electronic tag recognition module coupled to one side of an insole mounted on the vehicle and recogniz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electronic tag, a rapid acceleration detection unit having a vibration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driver ' s soles, Wherein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recognizes that the accelerator pedal is operated by the driver when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module recognizes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attached to the accelerator pedal , And the mobile device detects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information on the pedal of the braking pedal and the accelerator pedal operated during the running time of the vehicle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received from the suddenly detecting unit And an application for generating in-pedal operation information and storing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and the pedal operation informa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ime.

또한, 상기 급발진 감지부는 운전자가 발바닥으로 페달을 가압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기기부에 설치된 어필리케이션은 상기 급발진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압력 감지모듈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동 페달이나 가속 페달이 작동될 때 해당 페달에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인 페달 가압정보를 더 생성하고, 이를 상기 페달 작동정보 또는 차량 속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기화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ddenly det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ing module that senses a pressure of the driver pressing the pedal against the soles of the feet, wherein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uses an output of the pressure sensing module received from the rapid sensing unit, Wherein the pedal pressure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a magnitude of a pressure applied to the pedal when the braking pedal or the accelerator pedal is operated and is synchronized with at least one of the pedal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do.

또한, 상기 급발진 감지부는, 상기 전자태그 인식모듈, 진동 발생모듈, 및 압력 감지모듈이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 연결된 링 형상의 결합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케이스 본체는 결합밴드에 의해 상기 인솔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는 인솔에 결합되는 경우 운전자의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외면이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ddenly detecting unit may include a case body in which the electronic tag recognizing module,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and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are housed, and a ring-shaped coupling b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e body, The main body is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insole by a coupling band, and the case body has a dome-like outer surface contacting the sole of the driver so as to support the arch of the driver's foot when the case body is coupled to the insole.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는 운전자가 착용하는 신발 내부에 장착되는 인솔의 일측에 결합되는 급발진 감지부를 이용하여 차량의 제동 페달과 가속 페달에 부착된 전자태그의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차량의 운행 중에 두 개의 페달 중 어느 페달이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속 페달이 작동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켜 운전자가 자신이 가속 페달을 작동시키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저비용으로도 운전자의 실수에 의한 차량의 급발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app-based vehicle suddenly sensing device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etecting an electronic tag attached to a brake pedal and an accelerator pedal of a vehicle by using a suddenly detect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an insole mounted inside a shoe worn by a driver So as to determine which of the two pedals has been op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to generate vibration when the accelerator pedal is operated so as to recognize that the driver is operating the accelerator ped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udden accident of the vehicle due to a mistake of the drive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는 상기 급발진 감지부에서 인식한 전자태그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부에서 제동 페달과 가속 페달 중 어느 페달이 작동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페달 작동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된 차량의 속도정보와 동기화시켜 속도가 급격히 증가한 구간에서 작동된 페달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급발진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저비용으로 운전자의 과실여부를 매우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 app-based vehicular rapid detection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pedal of the braking pedal or the accelerator pedal is operated in the terminal unit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recognized by the sudden- The pedal oper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pedal operation information is synchronized with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sensed in real time, so that the type of the operated pedal can be determined in a region where the speed is rapidly increased. Therefore, even if a sudden accident occu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detect the driver's fault very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는 급발진 감지부에 설치된 압력 감지모듈의 출력을 이용하여 페달 가압정보를 더 생성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임의의 운행시간 구간에서 작동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된 페달에 대하여 운전자가 단순히 발만 올려놓고 있었는지 또는 해당 페달을 가압하고 있었는지 여부, 그리고 가압상태인 경우 어느 정도의 세기로 가압하고 있었는지 여부까지도 확인이 가능하여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과실 여부를 더욱 명확히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Further, since the app-based vehicular rapid detection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generate pedal pressuriz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output of the pressure sensing module provided in the rapid acceleration sensing uni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driver simply puts the foot on the pedal judged to have been operated or whether the pedal is pressed or not and how much the pressure was applied in the case of the pressurized state, It is possible to more clearly determine the driver's faul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는 앱 기반으로 구성되어 상기 페달 작동정보와 차량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평소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로 하여금 불필요한 동력 손실이나 연료 손실을 야기하는 운전습관을 교정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pp-based vehicle speedily detecting device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n app-based device and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driving pattern of the driver at all times using the pedal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Thereby correcting driving habits that result in unnecessary power loss or fuel loss.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급발진 감지부에 대한 A-A부 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한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4는 도1에 따른 장치를 적용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의 제동 페달과 가속 페달에 각각 전자태그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도1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급발진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과실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도7은 도6에 도시한 급발진 감지부에 대한 B-B부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app based vehicle suddenly sens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configuration of an app based vehicle suddenly sensing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electronic tag is attached to a braking pedal and an accelerator pedal in a vehicle in order to apply the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driver is negligent in the event of a sudden accident by using the apparatus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app based vehicle suddenly sens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B portion of the suddenly detecting unit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Embodiment 1)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한 급발진 감지부에 대한 A-A부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app-based vehicle rapid acceleration sensor using an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또한, 도3은 도1에 도시한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4는 도1에 따른 장치를 적용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의 제동 페달과 가속 페달에 각각 전자태그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5는 도1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급발진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과실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configuration of an app-based vehicle rapid acceleration detection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shown in FIG. 1;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braking pedal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driver is negligent in the event of a sudden-fire accident using the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는 차량의 운전자가 착용하는 신발의 내부에 장착되는 인솔(1)의 일측에 결합되는 급발진 감지부(20)와, 상기 급발진 감지부(2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단말기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pp-based vehicle speedily detecting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ddenly detecting unit 20 coupled to one side of an insole 1 mounted inside a shoe worn by a driver of a vehicle, And a terminal unit 10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rapid deployment sensing unit 20.

먼저, 상기 단말기부(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루투스, 지그비, NFC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과, 차량의 위치 및 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GPS와 같은 위치 및 속도 인식 시스템, 및 메모리와 같은 정보저장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later, the terminal unit 10 inclu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Bluetooth, ZigBee, and NFC, a location and speed recognition system such as GPS to detect the loca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And a storage function.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부(10)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블랙박스, 네비게이션, 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스마트와치, 스마트패드, PDA와 같은 모바일 기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단말기부(10)를 모바일 기기의 일종인 스마트폰으로 구성하였다.To this end, the terminal unit 10 may be configured as a black box, a navigation system installed in a vehicle, or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watch, a smart pad, and a PDA carried by a user. The terminal unit 10 is configured as a smartphone, which is a type of mobile device.

또한, 상기 인솔(1)은 신발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흔히 '깔창'이라고도 하는데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인솔의 기본 형태를 구성하는 베이스 패드(1a)와, 상기 베이스 패드(1a)의 상부면에 합지되는 패브릭(천연 섬유, 부직포, 합성수지 섬유 포함) 재질의 흡수 패드(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nsole 1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The insole 1 is also referred to as an 'insole'. The insole 1 is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and forms a basic shape of the insole. And an absorbent pad 1b made of a fabric (including natural fibers, nonwoven fabric, and synthetic fiber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bsorbent pad 1b.

이때, 상기 베이스 패드(1a)는 인솔(1)의 외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보행시 착용자(즉, 본 실시예의 경우 운전자)의 발바닥에 쿠션감을 제공하여 외부 충격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흡수 패드(1b)는 착용자의 발바닥에서 발생되는 땀과 같은 오염물질을 흡수하고 신발 내부에서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base pad 1a forms an outer shape of the insole 1 and provides a feeling of cushion to the wearer (i.e., a driver in this embodiment) when walking, thereby buffering an external shock, The absorbent pad 1b absorbs contaminants such as sweat generated in the soles of the wearer and prevents the foot from slipping inside the shoe.

한편, 상기 급발진 감지부(20)는 케이스 본체(21a)와, 상기 케이스 본체(21a)의 일측에 연결된 링 형상의 결합밴드(21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인솔(1)을 길이 방향으로 상기 결합밴드(21b)를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21a)가 상기 인솔(1)의 중앙부에 결합된다.The rapid detection unit 20 includes a case body 21a and a ring-shaped coupling band 21b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e body 21a. The insole 1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ase body 21a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ole 1 in such a manner that the coupling band 21b is passed therethrough.

이때, 상기 케이스 본체(21a)는 인솔(1)에 결합되는 경우 운전자의 발바닥 중앙 내측의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운전자와 발바닥과 접촉하는 외면(즉, 상부 외면)이 발바닥 아치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우레탄 또는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ase body 21a is coupled to the insole 1, the outer surface (i.e., the upper outer surface) contacting the driver and the sole of the driver corresponds to the sole of the foot so as to support the arch of the plantar inside the center of the driver's foot Shaped dome shape, and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or acrylic.

또한, 상기 결합밴드(21b)는 양단이 케이스 본체(21a)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링 형상을 형성하는 외면 일측이 상기 케이스 본체(21a)의 하부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인솔(1)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신축이 가능한 탄성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oupling band 21b may be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s of the coupling band 21b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ase body 21a, or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forming the ring shape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body 21a, And more preferably an elastic band capable of stretching and shrinking so as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insole 1. [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21a)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압력 감지모듈(22), 진동 발생모듈(23), 전자태그 인식모듈(24), 제2제어모듈(25), 제2통신모듈(26), 및 상기 급발진 감지부(2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모듈(미도시) 등이 탑재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In addition, a pressure sensing module 22, a vibration generating module 23, an electronic tag recognition module 24, a second control module 25,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6, and the like are provided in the case body 21a. And a power supply module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apid deployment detection unit 20 are moun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는 차량 내부의 제동 페달(41)과 가속 페달(42)의 일측에 각각 설치된 전자태그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급발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급발진 발생시에도 운전자의 과실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The app-based vehicular rapid detection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etects the sudden acceleration of the vehicle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raking pedal 41 and the accelerator pedal 42, And it is also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negligent in the event of a sudden onset.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동 페달의 전자태그(41a)와 가속 페달의 전자태그(42a)가 각각 각 페달(41,42)의 상부면에 스티커 형태로 부착되도록 구성하였다.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nic tag 41a of the brake pedal and the electronic tag 42a of the accelerator pedal ar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pedals 41 and 42, respectively, in the form of a sticker.

이때, 상기 전자태그(41a,42a)는 고유의 인식코드(또는 ID)나 일련번호 등과 같은 식별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바코드 태그, QR코드 태그, 또는 RFID 태그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onic tags 41a and 42a include identifiable information such a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r ID) or a serial number, and may be preferably configured using a barcode tag, a QR code tag, or an RFID tag .

또한, 상기 전자태그(41a,42a)는 각각 서로 구분되는 고유 인식코드(ID) 또는 일련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태그 인식모듈(24)에서 전자태그(41a,42a)의 정보를 인식할 경우 해당 전자태그(41a,42a)가 제동 페달(41)에 부착된 것인지 가속 페달(42)에 부착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electronic tags 41a and 42a include information on a unique recognition code ID or a serial number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module 24 can recognize the electronic tags 41a and 42a,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the electronic tags 41a and 42a are attached to the braking pedal 41 or the acceleration pedal 42,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전자태그(41a,42b)는 자체에서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능동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전자태그의 면적과 두께, 및 작동 시간의 제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전자태그 인식모듈(24)의 전자기장에 의하여 동작되는 수동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lthough the electronic tags 41a and 42b may be of an active type in which the operating power is supplied by itself,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module 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used to minimize the area and thickness of the electronic tag,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configured as a passive type operated by an electromagnetic field of

또한, 상기 전자태그(41a,42a)의 상부면에는 차량 운행시 운전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와 같은 미끄럼 방지 구조가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본 실시예와 달리 각 페달(41,42)의 배면 또는 동작암에 부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Fur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nic tags 41a and 42a, a non-slip structure such as a protrusion may be further formed to prevent a driver's foot from slipping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41 or 42, or on the operating arm.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의 동작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단말기부(10)는 급발진 감지부(2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제1 통신모듈(16), 상기 급발진 감지부(20)로부터 수신된 전자태그(41a,42a)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시간 동안 제동 페달(41)과 가속 페달(42) 중 어느 페달이 작동되었는지에 관한 정보인 페달 작동정보로 생성하는 페달 분석모듈(11), 단말기부(10)에 탑재된 GPS와 같은 위치 및 속도 인식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차량의 운행시간 동안의 속도 정보인 차량 속도정보를 생성하는 속도 감지모듈(12), 상술한 각종 정보와 단말기부(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거나 저장되는 메모리모듈(13), 및 단말기부(1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모듈(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erminal 1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6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apid deployment sensing unit 20,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6 for short- ), Information on which of the braking pedal 41 and the accelerator pedal 42 is operated during the running time of the vehicle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s 41a and 42a received from the suddenly detecting unit 20 Pedal analysis module 11 for generating pedal operation information, position and velocity recognition system such as GPS mounted on the terminal unit 10, and vehicle speed information A memory module 13 in which the above-describe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unit 10 are stored or stored, and a control unit 12 for controlling the entire operation of the terminal unit 10. [ 1 control module (15).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통신모듈(16), 페달 분석모듈(11), 속도 감지모듈(12), 메모리모듈(13), 및 제1제어모듈(15)은 스마트폰, 스마트와치, 스마트패드, PDA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통신모듈(16)과 메모리모듈(13)은 위치 및 속도 인식 시스템과 함께 모바일 기기에 미리 탑재된 시스템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6, the pedal analysis module 11, the speed sensing module 12, the memory module 13, and the first control module 15 may be a smart phone, a smart watc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6 and the memory module 13 may be installed in advance in the mobile device together with the position and speed recognition system, Lt; / RTI >

한편, 상기 급발진 감지부(20)는 상술한 제1통신모듈(16)과 함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모듈(26), 운전자가 페달을 가압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모듈(22), 운전자의 발바닥에 전달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모듈(23), 제동 페달(41)과 가속 페달(42)에 각각 부착된 전자태그(41a,42a)의 정보를 인식하는 전자태그 인식모듈(24), 및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모듈(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dling sensing unit 20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6 for performing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6, a pressure sensing module 22 for sensing a pressure at which the driver presses the pedal A vibration generating module 23 for generating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driver's soles, an electronic tag recognition module 23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s 41a and 42a attached to the brake pedal 41 and the accelerator pedal 42, A second control module 24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se components, and a second control module 25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se components.

이때, 상기 압력 감지모듈(22)은 운전자가 차량 운행 중에 발바닥으로 페달을 가압하는 압력이나 보행시 운전자의 발바닥에 작용하는 압력(즉, 족저압)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로서 통상의 압전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로드 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sure sensing module 22 is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that presses the pedal to the soles of the driver while the driver is driving the vehicle or the pressure (i.e., the pedestal pressure) acting on the soles of the driver when walking, A strain gauge, or a load cell.

또한, 상기 진동 발생모듈(23)은 소형 진동모터 등으로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태그 인식모듈(24)는 전자태그(41a,42a)의 종류에 따라 바코드 리더기, QR코드 리더기, 또는 RFID 리더기 등으로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module 24 may be a bar code reader, a QR code reader, or a barcode read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lectronic tags 41a and 42a. Alternatively,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23 may be a small vibration motor, RFID reader or the like.

상기와 같은 동작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는, 상기 전자태그 인식모듈(24)에서 차량의 운행중에 운전자가 발로 가압하는 페달에 부착된 전자태그(41a,42a)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게 되고, 제2제어모듈(25)은 이를 제2통신모듈(26)을 통하여 제1통신모듈(16)로 전송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configuration, the app-based vehicle suddenly sensing device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module 24 recognizes the electronic tag 41a attached to the pedal And 42a in real time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25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6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6. [

이때, 상기 제1,2통신모듈(16,26)은 블루투스, 지그비, NFC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유선 통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비용이 저렴한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6 and 26 may be configured to be on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ZigBee, or NFC, or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wired communication as needed. To make low-cost Bluetooth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전자태그 인식모듈(24)에서 인식한 전자태그의 정보가 가속 페달(42)에 부착된 전자태그(42a)의 정보인 경우, 상기 제2제어모듈(25)은 상기 진동 발생모듈(23)을 제어하여 운전자의 발바닥에 전달되는 진동을 발생시켜 운전자가 자신이 가속 페달을 작동시키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제동시 가속 페달을 밟는 경우 등과 같이 운전자의 단순 실수에 의한 차량의 급발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module 24 i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42a attached to the accelerator pedal 42, the second control module 25 controls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23) to generate vibrations transmitted to the driver ' s soles, thereby enabling the driver to recognize that the driver is operating the accelerator pedal, thereby depressing the accelerator pedal during braking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udden accident from occurring.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발진 감지부(20)로부터 전자태그(41a,42a)의 정보가 수신되면, 페달 분석모듈(11)에서는 전자태그의 정보에 포함된 각 페달의 고유 ID 정보(일예로서, 고유 인식코드 또는 일련번호 등)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제동 페달(41)과 가속 페달(42) 중 어느 페달이 작동되었는지에 관한 정보인 페달 작동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메모리모듈(13)에 저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s 41a and 42a is received from the suddenly detecting unit 20 as described above, the pedal analysis module 11 calculates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each pedal included in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Pedal oper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which of the brake pedal 41 and the accelerator pedal 42 is operated in real time during the running time of the vehicle, 13).

이때, 상기 차량의 운행시간이라 함은 운전자가 시동을 켜는 순간부터 시동을 끄는 순간까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소정의 속도를 가지고 주행을 하지 않고 정차 되어 있는 경우에도 시동이 켜져 있으면 차량의 운행시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running time of the vehicle means the time from when the driver turns on the engine to when the engine is turned off. Even if the engine is stopped without running at a predetermined speed, if the engine is turned on, .

또한, 상기 페달 분석모듈(11)은 단말기부(10)에 탑재된 타이머(또는 시계)나 외부 통신망(또는 네트워크)으로부터 제공되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edal analysis module 11 can obtain real time information using time information provided from a timer (or a clock) or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or a network) mounted on the terminal unit 10. [

또한, 상기 속도 감지모듈(12)은 페달 분석모듈(11)과 동일하게 얻어지는 실시간 정보와 위치 및 속도 인식 시스템(일예로서, GPS)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시간 동안의 속도 정보인 차량 속도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메모리모듈(13)에 저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peed sensing module 12 detects the speed of the vehicle by using the real tim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edal analysis module 11 and the speed of the real time vehicle obtained from the position and speed recognition system (for example, GPS) Vehicle speed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memory module 13.

이때, 상기 차량 속도정보는 제동 페달(41)이나 가속 페달(42)이 작동될 때의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급발진 사고의 발생여부 및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과실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페달 작동정보와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a sudden accident occurred in the vehicle or a driver's accident when a sudden accident occurs in the vehicle, by using the vehicle speed when the brake pedal 41 or the accelerator pedal 42 is operated To be synchronized with the pedal operation information.

도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지용 스마트 인솔 장치를 이용하여 얻어진 각 페달의 페달 작동정보와 차량 속도정보의 예를 도시하였는데, 이들 정보들은 시간축에 대하여 서로 동기화되어 있다.FIG. 5 shows an example of pedal operation information and vehicle speed information of each pedal obtained by using the smart insole device for vehicle rapid navigation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se pieces of information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time axis.

도5를 살펴볼 경우 차량의 운행 초반부터 중반까지는 운전자가 제동 페달(41)을 작동시킬 경우 이에 대응하여 차량의 속도가 감소되고, 운전자가 가속 페달(42)을 작동시킬 경우 이에 대응하여 차량의 속도가 증가되는 정상적인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brake pedal 41 from the beginning to the middle of the vehicle, the speed of the vehicle is reduced correspondingly.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accelerator pedal 42, Is increased.

그러나, 차량의 운행 후반의 '구간 A'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의 속도가 제로인 상태(즉, 정차 상태)에서 가속 페달(42)의 작동 없이 오히려 제동 페달(41)을 작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도 차량의 속도가 급속히 증가되는 패턴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구간 A'에서 운전자의 과실없이 차량의 급발진이 발생되었다는 명백한 증거가 된다.However, even if the driver operates the brake pedal 41 without operating the accelerator pedal 42 in the state where the speed of the vehicle is zero (i.e., the stopped state) in the latter section of the vehicle, , Which is a clear evidence that a sudden acceleration of the vehicle occurred in the 'segment A' without any fault of the driv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는 비용이 고가이고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카메라 모듈 및 영상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한 전자태그 시스템과 단말기부(10) 내부의 속도 감지 기능을 이용하여 매우 정확하게 차량의 급발진 사고의 발생여부와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과실여부를 감지하거나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app-based vehicle rapid navigation detection device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lectronic tag system which is inexpensive and easy to install even when the camera module and the image analysis system,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determine whether a sudden accident of a vehicle occurs and a fault of a driver in the event of a sudden accident of a vehicle by using the speed sensing function inside the unit 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는 상기 페달 분석모듈(11)에서 상기 급발진 감지부(20)로부터 수신된 압력 감지모듈(22)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동 페달(41)이나 가속 페달(42)이 작동될 때 해당 페달에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인 페달 가압정보를 더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urther, the app-based vehicular rapid detection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edal analysis module 11 uses the output of the pressure sensing module 22 received from the rapid deployment sensing unit 20, Which is information on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edal when the accelerator pedal 41 or the accelerator pedal 42 is operated.

이 경우, 상기 제동 페달(41)이나 가속 페달(42)이 작동되는 경우 운전자가 해당 페달을 가압한 정도(즉, 세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페달 가압정보는 페달 작동정보와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edal pressurization information is synchronized with the pedal oper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driver can judge the degree (i.e., strength) of pressing the pedal when the brake pedal 41 or the accelerator pedal 42 is operated Do.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운행시간에 따라 어느 페달이 작동되었는지 여부만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작동된 페달에 가해진 압력 정보도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the app-based vehicular rapid detection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etect only which pedal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running time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obtain the pressure information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따라서, 차량의 임의의 운행시간 구간에서 작동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된 페달에 대하여 운전자가 단순히 해당 페달에 발만 올려놓고 있었는지 또는 해당 페달을 가압하고 있었는지 여부, 그리고 가압상태인 경우 어느 정도의 세기로 가압하고 있었는지 여부까지도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발생에 대한 운전자의 과실 여부를 더욱 명확히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simply presses the pedal on the pedal or presses the pedal against the pedal judged to have been operated in an arbitrary operating time interval of the vehicle, and if the pedal is pressurized,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vehicle has been pressuriz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clearl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negligent in the occurrence of a sudden accident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는 제1제어모듈(15)이 도5에 도시한 상기 페달 작동정보와 차량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급발진 발생여부 뿐만 아니라 급제동, 급가속, 가속시 제동 횟수 등과 같은 평소 운전자의 운전패턴(또는 운전습관)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추가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app-based vehicle suddenly sensing device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rol module 15 determines whether sudden occurrence of a vehicle occurs or not, (Or driving habit) of the driver, such as the acceleration, the acceleration, the number of times of braking at the time of acceleration, and the like, and further provides information to the driver.

이때, 상기 제1제어모듈(15)은 일반인의 평균적인 운전패턴 또는 권장 운전패턴과 해당 운전자의 운전패턴을 비교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의해 예측되는 동력 손실이나 연료 손실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module 15 provides information that compares an average operation pattern of a general person or a recommended operation pattern with an operation pattern of the corresponding driver, or provides information about a power loss or a fuel loss predicted by an operation pattern of the driver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는 운전자로 하여금 불필요한 동력 손실이나 연료 손실을 야기하는 운전습관을 스스로 교정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app-based vehicle rapid detection device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allowing a driver to calibrate a driving habit causing an unnecessary power loss or fuel loss by himself / herself.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7은 도6에 도시한 급발진 감지부에 대한 B-B부 단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app based vehicle suddenly sens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6.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발진 감지부(20)가 인솔(1)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압력 감지모듈(22)이 인솔(1)의 상부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ddenly detecting unit 20 is incorporated in the insole 1 and the pressure sensing module 2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1. [

이를 위하여, 상기 인솔(1)은 운전자의 발바닥 아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돔 형상의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발아치 지지부(1c)가 형성되고, 상기 급발진 감지부(20)는 상술한 발아치 지지부(1c)의 내부 공간에 매설된다.For this purpose, the footrest support 1c is formed with a dome-shaped spac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ot arch of the driver, and the rapid deployment sensing unit 20 includes a foot arch support portion (1c).

또한, 상기 압력 감지모듈(22)은 운전자가 차량 운행 중에 발바닥으로 페달을 가압하는 압력이나 보행시 운전자의 발바닥에 작용하는 압력(즉, 족저압)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름형 또는 스팟(Spot)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essure sensing module 22 senses a pressure applied to the pedal by the driver while the driver is driving the vehicle or a pressure applied to the driver ' s soles during walking (i.e., a pedestal pressure) ) Type.

또한, 상기 압력 감지모듈(22)이 필름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솔(1)의 상부면 전체 또는 일부에 설치될 수 있고, 스팟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인솔(1)의 상부면에 복수의 스팟이 골고루 분산되어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pressure sensing module 22 is of a film type, the pressure sensing module 22 may be provid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r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1. When the pressure sensing module 22 is formed as a spot type, May be arranged so that the spots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re uniformly distributed.

이때, 상기 압력 감지모듈(22)은 필름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일예로서 다채널의 박막형 필름 형태인 FSR(force sensing resistor)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팟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일예로서 압전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로드 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pressure sensing module 22 is a film type sensor, for example, it may be a force sensing resistor (FSR) sensor in the form of a multi-channel thin film. In the case of a spot sensor, A strain gauge, or a load cell.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압력 감지모듈(22)이 인솔(1)의 상부면,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패드(1a)와 흡수 패드(1b) 사이에 복수의 스팟으로 분산되어 배치되도록 구성하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흡수 패드(1b)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ure sensing module 2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1, specifically, between the base pad 1a and the absorbent pad 1b by a plurality of spots. An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absorbent pad 1b if necessary.

이때, 상기 제2제어모듈(25)은 인솔(1) 내부에서 상술한 압력 감지모듈(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 감지모듈(22)의 출력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trol module 25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eceive the output of the pressure sensing module 22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ing module 22 in the insole 1.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는 운전 중에 급발진 감지부(20)의 위치가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페달을 가압하는 압력을 인솔(1)의 전체 면적에서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 감지모듈(22)의 압력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pp-based vehicle rapid acceleration detection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ta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event the position of the rapid acceleration detection unit 20 from being displaced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dur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essure measurement error of the pressure sensing module 22 because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sensing module 22 can be directly sensed on the entire area of the insole 1. [

10 : 단말기부 11 : 페달 분석모듈
12 : 속도 감지모듈 15 : 제1제어모듈
16 : 제1통신모듈 20 : 급발진 감지부
21 : 결합밴드 22 : 압력 감지모듈
23 : 진동 발생모듈 24 : 전자태그 인식모듈
25 : 제2제어모듈 26 : 제2통신모듈
41a,42a : 전자태그
10: terminal unit 11: pedal analysis module
12: Speed sensing module 15: First control module
16: first communication module 20:
21: Coupling band 22: Pressure sensing module
23: Vibration generation module 24: Electronic tag recognition module
25: second control module 26: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1a, 42a: an electronic tag

Claims (3)

차량의 제동 페달과 가속 페달의 일측에 각각 부착되는 전자태그;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착용하는 신발의 내부에 장착되는 인솔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전자태그 인식모듈과, 운전자의 발바닥에 전달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모듈이 내장된 급발진 감지부;와
상기 급발진 감지부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모바일 기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 발생모듈은 전자태그 인식모듈에서 가속 페달에 부착된 전자태그의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운전자가 자신이 가속 페달을 작동시키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모바일 기기부에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차량의 운행시간 동안의 속도 정보인 차량 속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급발진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전자태그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운행시간 동안 제동 페달과 가속 페달 중 어느 페달이 작동되었는지에 관한 정보인 페달 작동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 속도정보와 페달 작동정보를 시간에 대하여 동기화시켜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
An electronic tag attached to one side of a braking pedal and an accelerator pedal of the vehicle, respectively;
An electronic tag recognition module coupled to one side of an insole mounted in a shoe worn by a driver of the vehicle and recogniz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electronic tag; A rapid-motion detection unit with a built-in module;
And a mobile device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rapid deployment sensing unit,
The vibration generating module generates a vibration so that the driver recognizes that the accelerator pedal is operated when the electronic tag recognizing module recognizes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attached to the accelerator pedal,
The mobile device unit detects the speed of the vehicle to generate vehicle speed information, which is speed information during a running time of the vehicle. The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tag received from the rapid detection unit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braking pedal And an application for generating pedal opera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which pedal of the accelerator pedal is operated, and synchronizing and storing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and the pedal operation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ime. Vehicle rapid det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발진 감지부는 운전자가 발바닥으로 페달을 가압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기기부에 설치된 어필리케이션은 상기 급발진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압력 감지모듈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동 페달이나 가속 페달이 작동될 때 해당 페달에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인 페달 가압정보를 더 생성하고, 이를 상기 페달 작동정보 또는 차량 속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기화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dden-discharge det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ing module that senses a pressure of the pedal against the driver's foot,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unit may use the output of the pressure sensing module received from the rapid deployment sensing unit to output pedal pressure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on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edal when the brake pedal or the accelerator pedal is operated And synchronizes with the at least one of the pedal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and stores the synchronized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발진 감지부는, 상기 전자태그 인식모듈, 진동 발생모듈, 및 압력 감지모듈이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 연결된 링 형상의 결합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케이스 본체는 결합밴드에 의해 상기 인솔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는 인솔에 결합되는 경우 운전자의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외면이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을 이용한 앱 기반 차량 급발진 감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dden-discharge detection unit includes a case body in which the electronic tag recognition module, the vibration generation module, and the pressure sensing module are housed, and a ring-shaped coupling b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e body,
The case body is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insole by a coupling band,
Wherein the case body has a dome-like outer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oles of the driver so as to support the arch of the foot of the driver when the case body is coupled to the insole.


KR1020170123919A 2017-09-26 2017-09-26 Mobile Application based Device for Detec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f Vehicle using Electronic Tag System KR201900350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19A KR20190035089A (en) 2017-09-26 2017-09-26 Mobile Application based Device for Detec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f Vehicle using Electronic Ta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19A KR20190035089A (en) 2017-09-26 2017-09-26 Mobile Application based Device for Detec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f Vehicle using Electronic Ta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089A true KR20190035089A (en) 2019-04-03

Family

ID=66165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919A KR20190035089A (en) 2017-09-26 2017-09-26 Mobile Application based Device for Detec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f Vehicle using Electronic Ta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508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747A (en) * 2019-12-11 2021-06-21 정필교 A Device for Detec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f Vehicle
CN113858946A (en) * 2021-10-25 2021-12-31 华人运通(江苏)技术有限公司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747A (en) * 2019-12-11 2021-06-21 정필교 A Device for Detec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f Vehicle
CN113858946A (en) * 2021-10-25 2021-12-31 华人运通(江苏)技术有限公司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CN113858946B (en) * 2021-10-25 2023-06-13 华人运通(江苏)技术有限公司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9487B2 (en) Sensor device and device for checking the operational condition of a harness of a safety seat
JP4876888B2 (en) Wheel position detecting device, tire air pressure detecting device and transmitter / receiver provided with the same
US1084580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CN101234583B (en) Detection of wheel position and tyre aeration pressure
KR20190035089A (en) Mobile Application based Device for Detec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f Vehicle using Electronic Tag System
JP5958714B2 (en) Machine tool control device and machine tool control method
KR20160104007A (en) Method for configuring a tyre pressure sensor
US20170334344A1 (en) Vehicle roof rack system
KR101207386B1 (en) System for wearing detectio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US20160313791A1 (en) Arm band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rm band sensor
KR20180046923A (en) A Smart Insole Device for Detec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f Vehicle
US10872214B2 (en) Wearable metrological apparatus
KR101677032B1 (en) Mobile terminal,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Vehicle and Relief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3002445A (en)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s and touch-sensitive sensor system
JP2005170081A (en) Wheel information obtaining device and wheel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KR20180024487A (en) Inspecting system of vehicle accident and method therefor
KR20190061677A (en) Apparatus for handling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internet of things smartware
JP5780098B2 (en) Lighting device
KR102319092B1 (en) A Device for Detec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f Vehicle
JP2005178522A (en) Tire theft detection device
CN103640442A (en)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as well as upgrading system and method of device
CN116438506A (en) Signalling device for generating an optical signal during the travel of a vehicle
KR20180001744U (en) Bicycle Brake Lamp Control System
KR102007333B1 (en) Vehicle failure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vehicle failure discrimination method
JP2024505292A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gning at least one type of protective equipment to at least one cabinless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