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926A - Steering shaft of vehicle - Google Patents

Steering shaft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926A
KR20190034926A KR1020170123531A KR20170123531A KR20190034926A KR 20190034926 A KR20190034926 A KR 20190034926A KR 1020170123531 A KR1020170123531 A KR 1020170123531A KR 20170123531 A KR20170123531 A KR 20170123531A KR 20190034926 A KR20190034926 A KR 20190034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teering
coupled
stopper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9913B1 (en
Inventor
김진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123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913B1/en
Publication of KR20190034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9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9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18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the coupling parts (1) having slidably-interengaging tee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steering shaft of a vehicle, wherein one end is coupled to a steering wheel,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a worm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shaft of a vehicle comprises: a first shaft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a second shaft of which one end is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worm wheel; and a coupler coupled at an external side of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Description

자동차용 조향축{STEERING SHAFT OF VEHICLE}{STEERING SHAF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휠에 결합되어 조향휠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자동차용 조향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shaft for a vehicle, which is coupled to a steering wheel of an automobile and receives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wheel.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A steer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is a device for changing a traveling direc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driver's will. In general, a turning center rotated by a front wheel of an automobile is arbitrarily changed to assist the driver in moving the vehicle in a desired direction.

최근의 자동차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Tilt And Telescope Steering System)가 제공되고 있으며,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조향휠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조향 시스템의 위치 조정에는 틸트 동작과 텔레스코프 동작이 포함된다.In recent vehicles, a tilt and telescope steering system is provided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and a tilt and telescope steering device is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 steering wheel used in a car And the position adjustment of such a steering system includes a tilting operation and a telescopic operation.

틸트 동작은 조향휠의 상하 고정각도를 조정하는 것이고, 텔레스코프 동작은 조향 컬럼의 길이를 늘이거나 짧게 하여 조향휠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다.The tilting operation is to adjust the up and down fix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telescopic operation is to increase or decrease the length of the steering column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driver.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조향컬럼을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column of a general automobile.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자동차의 조향컬럼은 조향휠과 연결된 조향축(10), 조향축을 수용하는 내측 튜브(20), 내측 튜브(20)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측 튜브(30)를 포함한다. 외측 튜브(30)에는 마운팅 브래킷(40)이 결합되고, 마운팅 브래킷(40)은 조향컬럼을 차체에 고정시켜 준다.1, a typical automotive steering column includes a steering shaft 10 connected to a steering wheel, an inner tube 20 for receiving a steering shaft, and an outer tube 3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tube 20 . A mounting bracket 40 is coupled to the outer tube 30, and the mounting bracket 40 fixes the steering column to the vehicle body.

조향컬럼의 일측에는 운전자의 조향 작동을 보조하기 위한 감속기유닛(50)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조향축(10)은 웜휠하우징(52) 내에 수용된 웜휠(도시 생략)에 결합되고, 웜휠은 모터(51)의 모터축과 연결된 웜축(도시 생략)에 치합된다. 따라서, 모터(51)의 구동력은 웜축과 웜휠을 통해 감속되어 조향축(10)에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 작동을 보조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a speed reducer unit 50 for assisting the steering operation of the driver can be provided. For example, the steering shaft 10 is coupled to a worm wheel (not shown) housed in the worm wheel housing 52, and the worm wheel is engaged with a worm shaft (not shown)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51. Accordingl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51 is reduced through the worm shaft and the worm wheel, and transmitted to the steering shaft 10, thereby assisting the steering operation of the driver.

이때 기존의 조향축(10)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조향휠에 결합되고 타단은 웜휠에 결합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향축(1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향컬럼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웜휠에 조향축(10)의 타단을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조향축(10)의 일단으로 내측 튜브(20), 외측 튜브(30) 및 마운팅 브래킷(40) 등이 미리 조립된 조향컬럼을 삽입하여 조립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steering shaft 10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one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worm wheel. In order to assemble the steering column in a state where the steering shaft 10 is integrally formed,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shaft 10 is generally engaged with the worm wheel. In this state, The outer tube 30, the mounting bracket 40, and the like are assembled by inserting the pre-assembled steering column.

이와 같이 조향축(10) 및 조향컬럼을 감속기유닛(50)에 조립할 경우, 조향축(10)에 조향컬럼의 정렬 삽입이 용이하지 않고, 미스얼라인(Mis-alignment) 발생 시 조향컬럼으로부터 소음이 발생하거나 조향컬럼의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When the steering shaft 10 and the steering column are assembled in the reduction gear unit 50, it is not easy to align and insert the steering column on the steering shaft 10, and noise is generated from the steering column when mis- Or the performance of the steering column may be deteriorated.

한국공개특허 10-2015-002499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24995

본 발명은 조향컬럼의 조립 시 미스얼라인에 대한 정렬 보상 구조를 가짐으로써 조향컬럼의 조립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조향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otive steering shaft that has an alignment compensation structure for misalignment when assembling a steering column, so that the assembly of the steering column can proceed stably and easily.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조향축은, 조향휠 측에 연결되는 제1샤프트, 일단은 상기 제1샤프트에 대응 결합되며 타단은 웜휠에 결합되는 제2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의 결합 부위 외측에 체결되는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A steering shaf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haft connected to a steering wheel side, a second shaf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shaf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worm wheel, And a coupler which is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haf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샤프트에는 제1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부에는 제1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haft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stopp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토퍼는 제1샤프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되고, 한 쌍의 제1스토퍼들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first stoppers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rst shaft, and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stopp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샤프트에는 상기 제1체결부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2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에는 상기 제1스토퍼와 대응 결합되는 제2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haft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fastening portion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stopp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opper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스토퍼는 제2샤프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되고, 한 쌍의 제2스토퍼들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second stoppers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shaft, and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stopp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토퍼의 외측면 및 상기 제2스토퍼의 외측면은 원호를 형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may form an arc.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스토퍼는 이웃한 제1스토퍼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second stopper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neighboring first stopp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러는 그 외경을 따라 복수의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er may have a plurality of slits along its outer diame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러는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와 스크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er may be coupled with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through a screw.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러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er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향축을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로 분리하여 제작하고, 플렉서블한 재질의 커플러를 이용하여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 간을 체결함으로써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 간에 미스얼라인이 발생하더라도 플렉서벌 커플링에 의해 정렬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향컬럼의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ering shaft is divided into a first shaft and a second shaft, and a first shaft and a second shaft are fastened using a flexible material coupler, Even if misalignment occurs, alignment compensation can be achieved by the flex coupler. Thus, the assembly of the steering column can be facilitat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조향컬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조향컬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조향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절취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shaf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 AA "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본질과 관계없는 부분은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일 수 있다.For the sake of clarity,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related to the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may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의해 이해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nd that, unless otherwise defined herei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interpreted as a concep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조향컬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컬럼은 조향축(100), 내측 튜브(200), 외측 튜브(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ring shaft 100, an inner tube 200, and an outer tube 300.

조향축(100)은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를 포함하고,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는 커플러(130)를 매개로 연결된다. 제1샤프트(110)는 조향휠에 연결되고, 제2샤프트(120)는 감속기유닛(500)의 웜휠(도시 생략)에 결합된다. 웜휠은 웜휠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다.The steering shaft 100 includes a first shaft 110 and a second shaft 120 and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are connected via a coupler 130. The first shaft 110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and the second shaft 120 is coupled to a worm wheel (not shown) of the speed reducer unit 500. The worm wheel is housed in the worm wheel housing.

내측 튜브(200)는 그 내부에 조향축(100)이 삽입 결합되도록 중공체로 형성된다. 내측 튜브(200)의 일측 단부는 하부 마운팅 브래킷(400)(도시 생략)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외측 튜브(300)에 삽입된다.The inner tube 200 is formed as a hollow body so that the steering shaft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200. One end of the inner tube 200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by a lower mounting bracket 400 (not shown),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300.

외측 튜브(300)는 그 내부에 내측 튜브(200)가 삽입 결합되도록 중공체로 형성된다. 외측 튜브(300)의 외측에는 마운팅 브래킷(400)이 결합되며, 마운팅 브래킷(400)은 차체에 고정 결합된다.The outer tube (300) is formed as a hollow body so that the inner tube (2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200). A mounting bracket 40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tube 300, and the mounting bracket 400 is fixed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조향컬럼의 일측에는 운전자의 조향 작동을 보조하기 위한 감속기유닛(500)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모터(510)의 모터축은 웜축(도시 생략)과 치합되고, 웜휠하우징(520) 내에는 웜휠(도시 생략)이 배치된다. 조향축(100)은 웜휠의 중심에 결합되고, 웜휠의 외주면은 웜축과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모터(510)의 구동력은 웜축과 웜휠을 통해 감속되어 조향축(100)에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 작동을 보조할 수 있다.At on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a speed reducer unit 500 may be provided to assist the steering operation of the driver. For example,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510 is engaged with a worm shaft (not shown), and a worm wheel (not shown) is disposed in the worm wheel housing 520. The steering shaft 100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worm wheel,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rm wheel is engaged with the worm shaft. Accordingl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510 is reduced through the worm shaft and the worm wheel, and transmitted to the steering shaft 100, thereby assisting the steering operation of the driv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조향컬럼에 적용되는 조향축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을 절취한 단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ering shaft applied to a steering column for a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조향컬럼의 조향축(100)은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로 구분되며,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는 서로 결합된다.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는 커플러(130)에 각각 결합된다.3 and 4, the steering shaft 100 of the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vided into a first shaft 110 and a second shaft 120, and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Two shafts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are coupled to the coupler 130, respectively.

제1샤프트(11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샤프트(110)는 내부가 빈 중공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내부가 채워진 중실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shaft 11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first shaft 110 may be formed as an empty hollow body or as a solid filled body.

제1샤프트(110)의 일단은 조향휠 측에 결합되며, 제1샤프트(110)는 조향휠의 회전 시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제1샤프트(110)의 타단은 제2샤프트(120)와 결합된다. 제1샤프트(110)의 타단에는 제1체결부(111)가 구비되고, 제1체결부(111)의 단부에는 제1스토퍼(112)가 형성된다.One end of the first shaft 110 is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side, and the first shaft 110 receives rotational force when the steering wheel rotates. The other end of the first shaft 110 is engaged with the second shaft 120. The first shaft 110 has a first fastening portion 111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first stopper 112 at an end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1.

제1스토퍼(112)는 제1샤프트(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스토퍼(112)는 제1샤프트(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제1스토퍼(112)들은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 형성된다. 제1스토퍼(112)는 대략 부채꼴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At least one or more first stoppers 112 may be provid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rst shaft 110. In one embodiment, the pair of first stoppers 112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rst shaft 110. At this time, the pair of first stoppers 1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The first stopper 112 may have a substantially fan-shaped cross section.

제1샤프트(110)의 타측에는 제2샤프트(120)가 결합된다. 제2샤프트(120)는 제1샤프트(1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샤프트(12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샤프트(120)는 내부가 빈 중공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내부가 채워진 중실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shaft 12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haft 110. The second shaft 12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haft 110. That is, the second shaft 12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lso, the second shaft 120 may be formed as an empty hollow body, or may be formed as a solid body filled with the inside.

제2샤프트(120)의 일단은 제1샤프트(110)와 결합되고, 타단은 웜휠 측에 결합된다. 제2샤프트(120)는 제1샤프트(110)의 제1체결부(111)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2체결부(121)를 구비한다. 제2체결부(121)는 제1스토퍼(112)들 사이에 결합되는 제2스토퍼(122)들을 구비한다.One end of the second shaft 120 is coupled to the first shaft 11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worm wheel. The second shaft 120 has a second coupling part 121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coupling part 111 of the first shaft 110.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1 includes second stoppers 122 coupled between the first stoppers 112.

제2스토퍼(122)는 제2샤프트(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스토퍼(112)는 제1샤프트(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되므로, 제2스토퍼(122) 역시 제2샤프트(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된다. 제2스토퍼(122)는 대략 부채꼴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At least one second stopper 122 may be provid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shaft 120. The first stopper 112 is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rst shaft 110 so that the second stopper 122 is also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shaft 120, A pair is arranged. The second stopper 122 may have a substantially fan-shaped cross section.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는 서로 동축선 상으로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제2스토퍼(122)들은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샤프트(110)의 제1스토퍼(112)들과 제2샤프트(120)의 제2스토퍼(122)들은 서로 엇갈리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의 체결 시 제1스토퍼(112)의 양측에는 제2스토퍼(122)들이 배치되고, 제2스토퍼(122)의 양측에는 제1스토퍼(112)들이 배치된다.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are coupled coaxially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pair of second stoppers 1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The first stoppers 112 of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toppers 122 of the second shaft 120 can be staggeredly coupled to each other. The second stoppers 122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topper 112 when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toppers 122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toppers 122 112 are disposed.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스토퍼(112)와 이웃한 제2스토퍼(122) 간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또한, 제1스토퍼(112)의 외경 및 제2스토퍼(122)의 외경은 서로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4,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topper 112 and the adjacent second stopper 122 in a state where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stopper 112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stopper 122 may have the same curvature.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는 커플러(130)에 의해 감싸도록 구성된다. 즉, 커플러(130)는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의 결합 부위 외측에 체결된다. 예컨대, 커플러(130)는 제1샤프트(110)의 타단 및 제2샤프트(120)의 일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are configured to be enclosed by the coupler 130. That is, the coupler 130 is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For example, the coupler 13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other end of the first shaft 110 and one end of the second shaft 120.

커플러(130)는 제1샤프트(110) 및 제2샤프트(120)와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로는 예컨대, 핀이나 스크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커플러(130)의 양단에는 내경과 외경을 관통하는 체결홀(131)이 형성되고, 체결홀(131)을 통해 삽입 결합된 체결부재는 제1샤프트(110)의 제1체결부(111) 및 제2샤프트(120)의 제2체결부(121)를 가압함으로써 커플러(130)는 제1샤프트(110) 및 제2샤프트(120)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er 1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through a fastening member. As the fastening member, for example, a pin, a screw, or the like can be applied. A coupling member 131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13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upler 130 so as to penetrat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of the first shaft 110 The coupler 130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by press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1 of the first shaft 12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1 of the second shaft 120. [

한편, 제2샤프트(120)는 커플러(130)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1샤프트(110)의 회전력을 전달받거나 또는 제1샤프트(110)로부터 직접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에 의한 조향휠의 핸들링이 비교적 부드러울 경우 조향휠의 회전력은 제1샤프트(110)로 전달되고, 제1샤프트(110)의 제1스토퍼(112)와 제2샤프트(120)의 제2스토퍼(122) 간에는 서로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샤프트(110)의 회전력은 제2샤프트(12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커플러(130)로 전달된다. 그 후 커플러(130)에 전달된 회전력은 제2샤프트(120)로 전달되는 것이다.The second shaft 120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shaft 110 indirectly through the coupler 130 or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directly from the first shaft 110. For example, when the handling of the steering wheel by the driver is relatively smoot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whee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haft 110 and the first stopper 112 of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topper 112 of the second shaft 120 The stoppers 1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shaft 110 is transmitted to the coupler 130 rather than directly to the second shaft 120. Then,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coupler 13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haft 120.

반대로, 조향휠의 핸들링이 급격하게 이루어질 경우 조향휠의 회전력은 제1샤프트(110)로 전달되고, 제1샤프트(110)의 회전력은 커플러(130) 뿐만 아니라 제2샤프트(120)로 직접 전달된다. 즉, 제1샤프트(110)의 회전에 따라 제1스토퍼(112)가 제2샤프트(120)의 제2스토퍼(122)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contrary, when the steering wheel is suddenly handl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whee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haft 110,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shaft 110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second shaft 120 as well as the coupler 130 do. That is, the first stopper 11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stopper 122 of the second shaft 120 as the first shaft 110 rotates.

이와 같이, 커플러(130)는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 간에 회전력 전달 시 경 방향으로 비틀림 응력이 발생하므로, 비틀림 응력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커플러(130)에는 슬릿(132)이 복수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슬릿(132)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배치된 슬릿(132)들은 커플러(130)의 외경을 따라 경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비틀림 응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다.Since the torsional stress is generated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between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the coupler 130 is preferabl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it can sufficiently bear the torsional stress . In addition, a plurality of slits 132 may be formed in the coupler 130. Each of the slits 132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slits 132 arranged in this manner ar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er 130, so that the torsional stress can be more efficiently handled.

또한, 제1샤프트(110)로부터 제2샤프트(120)로의 반복적인 회전력 전달을 위해 커플러(130)는 비틀림 동작을 다수 수행해야 하므로, 커플러(130)는 플렉서블한 재질과 함께 충분한 강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커플러(130)는 플렉서블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coupler 130 must perform a plurality of torsional motions in order to transmit repetit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shaft 110 to the second shaft 120, the coupler 130 is required to have sufficient rigidity and durability together with a flexible material Or the like. Accordingly, the coupler 13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etal material.

이와 같이 조향축(100)을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로 분리하여 제작하고, 제1샤프트(110)는 조향컬럼의 내측 튜브(200)에 조립되고 제2샤프트(120)는 웜휠에 결합된 상태에서, 플렉서블한 재질의 커플러(130)를 이용하여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 간을 체결함으로써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 간에 미스얼라인이 발생하더라도 플렉서벌 커플링에 의해 정렬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향컬럼의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The steering shaft 100 is divided into a first shaft 110 and a second shaft 120. The first shaft 110 is assembled to the inner tube 200 of the steering column and the second shaft 120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using a coupler 130 of a flexible material in a state where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are coupled to the worm wheel. Even if misalignment occurs, alignment compensation can be performed by the flex coupler. Thus, the assembly of the steering column can be facilitat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nly.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0; 조향축 110; 제1샤프트
111; 제1체결부 112; 제1스토퍼
120; 제2샤프트 121; 제2체결부
122; 제2스토퍼 130; 커플러
131; 체결홀 132; 슬릿
200; 내측 튜브
300; 외측 튜브
400; 마운팅 브래킷
500; 감속기유닛 510; 모터
520; 웜휠하우징
100; A steering shaft 110; The first shaft
111; A first fastening part 112; The first stopper
120; A second shaft 121;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2; A second stopper 130; Coupler
131; Fastening holes 132; Slit
200; Inner tube
300; Outer tube
400; Mounting bracket
500; Reducer unit 510; motor
520; Worm wheel housing

Claims (11)

일단은 조향휠에 결합되고, 타단은 웜휠에 결합되는 자동차용 조향축으로서,
상기 조향휠에 연결되는 제1샤프트;
일단은 상기 제1샤프트에 대응 결합되며 타단은 웜휠에 결합되는 제2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의 결합 부위 외측에 체결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조향축.
A steering shaft for a vehicle,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worm wheel,
A first shaft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A second shaf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shaf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worm wheel;
And a coupler that is coupled to an outer side of a joint portion betwee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에는 제1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부에는 제1스토퍼가 구비되는 자동차용 조향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haft is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stopp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제1샤프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되고, 한 쌍의 제1스토퍼들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자동차용 조향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air of first stoppers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rst shaft,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stopp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샤프트에는 상기 제1체결부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2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에는 상기 제1스토퍼와 대응 결합되는 제2스토퍼가 구비되는 자동차용 조향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shaft is provided with a second fastening portion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stopp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opp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는 제2샤프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되고, 한 쌍의 제2스토퍼들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자동차용 조향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stoppers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shaft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stoppe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의 외측면 및 상기 제2스토퍼의 외측면은 원호를 형성하는 자동차용 조향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form an arc.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스토퍼는 이웃한 제1스토퍼와 이격 배치되는 자동차용 조향축.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second stopper is spaced apart from the neighboring first stopper, with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engaged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그 외경을 따라 복수의 슬릿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조향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er has a plurality of slits along an outer diameter thereo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에 각각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자동차용 조향축.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coupler is coupled to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via fastening members, respective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조향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upler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향축;
상기 조향축이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내측 튜브;
상기 내측 튜브가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외측 튜브;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조향컬럼.
A steering shaf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n inner tube into which the steering shaft is inserted and coupled;
An outer tube into which the inner tube is inserted and coupled;
And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KR1020170123531A 2017-09-25 2017-09-25 Steering shaft of vehicle KR1019899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531A KR101989913B1 (en) 2017-09-25 2017-09-25 Steering shaft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531A KR101989913B1 (en) 2017-09-25 2017-09-25 Steering shaft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926A true KR20190034926A (en) 2019-04-03
KR101989913B1 KR101989913B1 (en) 2019-06-17

Family

ID=6616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531A KR101989913B1 (en) 2017-09-25 2017-09-25 Steering shaft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91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381A (en) * 2003-08-25 2005-03-17 Fuji Xerox Co Ltd Drive connecting structure and process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050092180A (en) * 2004-03-15 2005-09-21 주식회사 만도 Slip joint of universial joint
KR20110130007A (en) * 2010-05-27 2011-12-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for actuator of mdps
KR20150024995A (en) 2013-08-28 2015-03-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oupler for coupling motor shaft for motor-driven power steering and worm sha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381A (en) * 2003-08-25 2005-03-17 Fuji Xerox Co Ltd Drive connecting structure and process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050092180A (en) * 2004-03-15 2005-09-21 주식회사 만도 Slip joint of universial joint
KR20110130007A (en) * 2010-05-27 2011-12-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for actuator of mdps
KR20150024995A (en) 2013-08-28 2015-03-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oupler for coupling motor shaft for motor-driven power steering and worm sh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913B1 (en)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8744B2 (en) Slip joint for use in steering system
KR101989919B1 (en) Damping Coupler of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20100116582A1 (en) Reducer of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backgound of the invention
EP3305563A1 (en) Vehicle steering system
US20120322566A1 (en)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KR20170027176A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N108706045B (en) Speed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20160133968A (en)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20110163525A1 (en) Steering-force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170040493A (en)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20170114864A (en) Bearing assembly of steering apparatus
KR102569198B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Steering Apparatus
KR101989913B1 (en) Steering shaft of vehicle
US20060163860A1 (en) Steering apparatus
KR101261094B1 (en) Reducer of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393253B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421339B1 (e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170065223A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JP2002002502A (en) Steering device
KR102481279B1 (en) Intermediate Shaft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JPH06329033A (en) Elastic coupling
KR20140115641A (en) Telescopic bush coupling structure for steering apparatus
KR20140021085A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1427474B1 (en)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N209972566U (en) Steering gear, steering system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