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056A - 깨알곡 수확장치 - Google Patents

깨알곡 수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056A
KR20190034056A KR1020180032653A KR20180032653A KR20190034056A KR 20190034056 A KR20190034056 A KR 20190034056A KR 1020180032653 A KR1020180032653 A KR 1020180032653A KR 20180032653 A KR20180032653 A KR 20180032653A KR 20190034056 A KR20190034056 A KR 20190034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rotating
rotary wheel
belt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097B1 (ko
Inventor
안승원
Original Assignee
안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원 filed Critical 안승원
Priority to KR1020180032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0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4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깨 알곡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깨 알곡 수확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과, 중심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바퀴와, 상기 회전 바퀴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패여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끼움홈과, 일부가 상기 회전 바퀴의 외주면의 일부와 밀착되며 상기 회전 바퀴의 외주면과 밀착된 부분이 움직임으로써 상기 회전 바퀴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걸어서 상기 벨트가 일정한 궤적을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벨트 풀리와, 상기 벨트 풀리 중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발생 수단 및 상기 회전 바퀴 또는 회전축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 바퀴에 반복적인 충격을 가하는 충격 발생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깨 알곡 수확장치 {SESAME'S GRAIN HARVESTER}
본 발명은 깨 알곡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을철에 깨를 수확할 때보다 수월하게 깨의 알곡만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깨 알곡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을철 추수기에 있어서 깨알을 수확할 때 지금까지는 수동으로 타격하는 방식으로 작업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손목이 아프기도 하지만, 알곡만 선별하기에는 너무나 어려움이 많은 작업이었다. 재래 방식인 수동 타격 방식에서는 깨의 알곡뿐 아니라 송이도 같이 떨어져 함께 혼합됨으로써 알곡만 분리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일부는 버려지게도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인 재래 방식의 수확으로는 작업이 어렵다는 한계 때문에 깨 농사를 광작으로 하는 확장 영농을 기피하게 됨으로써 부족한 물량은 수입에 의존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2157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재래의 수동 방식으로는 작업상의 어려움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수량의 깨 알곡을 더욱 쉽고 손실이 적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깨 알곡 수확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깨 알곡 수확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과, 중심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바퀴와, 상기 회전 바퀴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패여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끼움홈과, 일부가 상기 회전 바퀴의 외주면의 일부와 밀착되며 상기 회전 바퀴의 외주면과 밀착된 부분이 움직임으로써 상기 회전 바퀴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걸어서 상기 벨트가 일정한 궤적을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벨트 풀리와, 상기 벨트 풀리 중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발생 수단 및 상기 회전 바퀴 또는 회전축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 바퀴에 반복적인 충격을 가하는 충격 발생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깨 알곡 수확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발생 수단과, 중심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바퀴와, 상기 회전 바퀴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패여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끼움홈과, 일부가 상기 회전 바퀴의 외주면의 일부와 밀착되며 상기 회전 바퀴와 밀착된 부분이 상기 회전 바퀴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걸어서 상기 벨트가 일정한 궤적을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벨트 풀리 및 상기 회전 바퀴 또는 회전축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 바퀴에 반복적인 충격을 가하는 충격 발생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깨 알곡 수확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발생 수단과, 상기 회전축의 전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요철이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는 집게 지지판과, 상기 집게 지지판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고정되는 작동 조절부로서 상기 작동 조절부의 일부분이 터져 있어서 개방부가 형성되는 작동 조절부와, 상기 회전판의 요철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되고 상기 집게 지지판에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집게봉과 제2 집게봉이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는 집게로서 상기 집게가 벌어지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집게봉이 상기 작동 조절부에 의해 눌린 상태에서는 상기 집게가 오므라들어서 상기 제2 집게봉이 상기 회전판의 요철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을 가압하고 상기 제1 집게봉이 상기 작동 조절부의 개방부를 통해 빠져나가면 상기 집게가 벌어져서 상기 제2 집게봉과 상기 회전판 사이의 가압력이 해소되도록 구성되는 집게와, 상기 회전판 또는 상기 회전축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에 반복적인 충격을 가하는 충격 발생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발생 수단은,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벨트 풀리의 축과 연결된 전동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발생 수단은,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벨트 풀리의 축과 연결되어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레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발생 수단은, 상기 회전 바퀴의 외주면 중 상기 벨트와 밀착하지 않는 부분과 맞닿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를 밀어주는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회전 바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끼움홈에 들어가거나 나오면서 충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발생 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요철이 형성된 충격 유발 기어와, 상기 충격 유발 기어의 외주면과 맞닿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를 밀어주는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요철부의 오목한 부분에 들어가거나 나오면서 충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발생 수단은, 상기 전동모터와 일체로 구비되는 충격진동발생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은 다각 별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판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진 한 쌍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바퀴의 외주면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전단 플랜지가 상기 회전바퀴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후단 가장자리에는 후단 플랜지가 상기 회전바퀴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벨트가 상기 전단 플랜지와 상기 후단 플랜지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깨 알곡 수확장치는 깨 알곡을 수확하기 위해 탈곡하는 데 있어서, 수동 타격이라는 재래 방식에서 벗어나 반자동화 방식의 기계 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이 편리하며, 집속된 깻대가 회전하면서 연속적인 충격을 받아 깨의 알곡만이 아래로 떨어지게 하여 작업이 능률적이고 손실이 최소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깨 알곡 수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깨 알곡 수확장치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깨 알곡 수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깨 알곡 수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깨 알곡 수확장치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깨 알곡 수확장치는 프레임부(10), 회전축(20), 회전 바퀴(30), 끼움홈(31), 벨트(40), 벨트 풀리(50), 동력 발생 수단(60) 및 충격 발생 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축(20)은 전후 수평 방향으로 길게 뻗는 원형 축으로서, 프레임부(10)에 설치된 베어링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 바퀴(30)는 회전축(20)의 전단과 결합하여 회전축(20)이 회전되면 회전축(20)과 함께 회전되는 원형의 바퀴이다. 회전 바퀴(30)의 외주면에는 회전 바퀴(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패임으로써 다수 개의 끼움홈(31)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 예의 끼움홈(31)은 정면에서 볼 때 뾰족한 중심각이 회전바퀴(30)의 중심을 향하는 부채꼴 형태이다. 끼움홈(31)은 깻대(100)의 밑동 부분이 끼워지는 부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바퀴(30)의 외주면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전단 플랜지(32)가 회전바퀴(3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후단 가장자리에는 후단 플랜지(33)가 회전바퀴(3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바퀴(3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벨트(40)가 전단 플랜지(32)와 후단 플랜지(33) 사이에 끼워져서 앞뒤로 빠지지 않고 회전바퀴(30)의 회전에 따라 똑바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단 플랜지(32)와 후단 플랜지(33)에도 깨나무의 깻대(100)를 회전바퀴(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홈(31)에 끼울 때 방해되지 않도록 끼움홈(31)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벨트 풀리(5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바퀴(30)의 위쪽 좌우에 하나씩, 회전바퀴(30)의 아래쪽 좌우에 하나씩 총 네 개가 구비된다. 벨트 풀리(50)가 한 개일 때는 회전바퀴(3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나, 벨트 풀리(50)가 수 개일 때는 회전바퀴(30)의 회전 방향과 반대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벨트 풀리(50)가 프레임부(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벨트 풀리(50) 중 위쪽 좌측에 설치되는 벨트 풀리(50)에는 프레임부(10)에 결합된 조정 레버(51)가 연결되어 있으며, 조정 레버(51)를 조정하면 조정 레버(51)와 연결된 벨트 풀리(5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벨트(40)가 가동할 때에 느슨하게 된 경우 조정 레버(51)의 조작을 통해 벨트(40)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다.
벨트(40)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단일폐곡선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벨트(40)는 위쪽 우측에 있는 벨트 풀리(50)의 위쪽 우측 부분과 접하면서 진행 방향이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뀌며, 위쪽 좌측에 있는 벨트 풀리(50)의 위쪽 좌측 부분과 접하면서 진행 방향이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바뀌고, 아래쪽 좌측에 있는 벨트 풀리(50)의 아래쪽 부분을 감싸도록 접하면서 진행 방향이 180° 바뀌고, 회전바퀴(30)의 위쪽 부분을 감싸도록 접하면서 진행 방향이 180° 바뀌며, 아래쪽 우측에 있는 벨트 풀리(50)의 아래쪽 부분을 감싸도록 접하면서 진행 방향이 180° 바뀐다.
이와 같이 네 개의 벨트 풀리(50)와 한 개의 회전바퀴(30)에 의하여 벨트(40)가 회전바퀴(30)의 위쪽 부분만 감싸도록 접하고 회전바퀴(30)의 아래쪽 부분과는 접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동력 발생 수단(60)은 회전축(20)과 연결되어 회전축(20)을 회전시키거나, 벨트 풀리(5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벨트 풀리(5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벨트(40)가 네 개의 벨트 풀리(50) 및 회전바퀴(30)에 팽팽하게 걸려서 밀착되어 있기 ?문에 어느 하나의 벨트 풀리(50)만 회전시켜도 다른 벨트 풀리(50)들과 회전바퀴(30)가 모두 함께 회전되고, 회전바퀴(30)가 회전되면 다른 모든 벨트 풀리(50)들이 함께 회전된다.
동력 발생 수단(60)은 자동식 또는 수동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자동식의 경우 회전축(20) 또는 벨트 풀리(50)의 축과 연결된 전동 모터를 동력 발생 수단으로 하고, 수동식의 경우 회전축(20) 또는 벨트 풀리(50)의 축과 연결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레버를 동력 발생 수단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충격 발생 수단(70)은, 회전바퀴(30)의 외주면 중 벨트(40)가 밀착하며 지나지 않는 아래쪽 부분과 맞닿는 돌기부(71)와, 돌기부(71)를 밀어주는 스프링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프링부(72)는 코일 스프링도 가능하나, 본 실시 예의 스프링부(72)는 한쪽 말단은 프레임부(10)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 말단에는 상면에 돌기부(71)가 결합되어 돌기부(71)가 결합된 부분이 위아래로 흔들리도록 구성된 판 스프링이다. 스프링부(72)의 탄성에 의해 돌기부(71)에는 위쪽으로 미는 힘이 가해지므로, 회전바퀴(30)의 회전에 의해 끼움홈(31)이 맨 아래쪽을 지날 때마다 돌기부(71)가 끼움홈(31)에 들어갔다가 나오는 것이 반복되어 충격발생수단(70)이 회전바퀴(30)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회전바퀴(30)에는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이로써 회전바퀴(30)의 끼움홈(31)에 끼워진 상태로 움직이는 깻대(100)가 회전바퀴(30)와 함께 흔들려서 깨 알곡이 떨어지게 된다.
충격 발생 수단은 회전바퀴(30)에 충격을 가하는 장치가 아니라 회전축(20)에 충격을 가하는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충격 발생 수단은, 회전축(20)의 둘레에 결합되고 회전축(2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요철이 형성된 충격 유발 기어와, 충격 유발 기어의 외주면과 맞닿는 돌기부와, 돌기부를 밀어주는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돌기부가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요철부의 오목한 부분에 들어가거나 나오면서 충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의 스프링부도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으로 구성 가능하다. 돌기부가 요철부를 타고 들어갔다 나왔다 하면서 회전축(20)에 충격을 가하여 회전축(20)을 거쳐 회전바퀴(30)에까지 진동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회전바퀴(30)의 끼움홈(31)에 끼워진 상태로 움직이는 깻대(100)가 회전바퀴(30)와 함께 흔들리게 되어 깨 알곡이 떨어지게 된다.
충격 발생 수단은 또다른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회전축(20)을 구동시키는 전동모터에 충격진동발생장치를 일체로 결합하여 전동모터 자체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동모터 자체에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동모터의 축에 무게 중심이 맞지 않는 물체를 달면 되며, 이와 같이 진동을 발생하는 모터의 제조 기술은 통상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깨 알곡 수확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회전바퀴(30) 아래쪽의 벨트(40)가 덮고 있지 않은 끼움홈(31)에 깻대(100)의 한쪽 끝부분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회전바퀴(30)가 회전하여 끼움홈(31)이 벨트(40)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으로 이동됨으로써 끼움홈(31)에 끼워진 깻대(100)를 벨트(40)가 덮으면 벨트(40)가 끼움홈(31)에 끼워져있는 깻대(100)를 강하게 누름으로써 깻대(100)를 회전바퀴(30)에 고정시켜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축(20)을 중심으로 깻대(100)가 회전운동을 하여 이동되며, 끼움홈(31)에 끼워진 깻대(100)에 충격 발생 수단(70)이 충격과 진동을 가하므로 깨 알곡들이 털려서 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깨 알곡 수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 실시 예에서의 회전축(20)과, 동력 발생 수단(60)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제1 실시 예에서의 회전바퀴(30) 대신 제2 실시 예에서는 중심이 회전축(20)의 전단과 결합되어 회전축(20)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요철이 형성되는 회전판(130)과, 회전판(130)과 결합하여 회전판(130)과 함께 회전하는 원판 형태의 집게 지지판(93)이 구비된다.
회전판(130)은 전면에서 바라볼 때 다각 별 형태를 가지는 판으로서, 별 형태의 특징에 의해 회전판(130)의 외주면에는 회전판(130)의 회전방향을 따라가면서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번갈아 반복되도록 구성된다.
회전판(130)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는 한 쌍의 회전판(130)이 동일한 회전축(20)에 결합하여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회전판(130)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설치되는 이유는 깻대(100)의 밑동을 회전판(130) 가장자리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 걸칠 때에 두 개의 회전판(13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걸쳐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 쌍의 회전판(130)은 중심을 관통하거나 결합하는 회전축(20)에 결합되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며 회전판(130)의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20)과 결합된 원판 형태의 집게 지지판(93)이 안쪽에 위치하는 회전판(130)의 뒤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작동 조절부(80)는 일정한 전후 폭을 가진 띠가 앞에서 볼 때 원을 이루도록 둥글게 말린 형태를 이루되, 한쪽 측부에는 일부분만큼이 터져서 개방부(81)가 형성되며, 작동 조절부(80)의 후단은 집게 지지판(93)의 가장자리와 거의 닿을 정도로 고정되어 있고, 정면에서 바라볼 때 집게 지지판(93)의 전면부 전체가 작동 조절부(80)에 의해 둘러싸인 것처럼 보이도록 구성된다.
작동 조절부(80)와 집게 지지판(93)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집게 지지판(93)이 회전할 때에도 작동 조절부(80)는 가만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집게(90)는 집게 지지판(93)의 전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판(130)의 요철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나의 집게(90)는 제1 집게봉(91)과 제2 집게봉(92)이 힌지 결합되어 구성된다. 제1 집게봉(91)과 제2 집게봉(92)의 힌지 부위에는 토션 스프링 구조의 스프링이 구비되어 집게가 오므라든 상태에서는 스프링이 제1 집게봉(91)과 제2 집게봉(92)을 서로에 대해 밀어서 집게(90)가 벌어지도록 힘을 가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집게봉(91)이 작동 조절부(80)에 닿아서 눌린 상태에서는 집게(90)가 오므라들어서 제2 집게봉(92)이 회전판(130)의 요철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판(130)을 누르고, 제1 집게봉(91)이 작동 조절부(80)의 개방부(81)를 통해 빠져나가면 집게(90)가 벌어져서 제2 집게봉(92)이 회전판(130)을 누르는 힘이 해소되도록 구성된다.
제2 실시 예에 사용되는 충격 발생 수단(70)은 위에서 설명한 세 가지 방식 중 회전축(20) 둘레에 결합된 요철에 돌기부(71)가 들어갔다 나왔다 하면서 충격을 가하는 방식을 선택하거나, 전동모터에 충격진동발생장치를 일체로 결합하여 전동모터 자체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깨 알곡 수확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개방부(81)를 통해 일부가 빠져나간 집게(90)와 대응되는 회전판(130)의 요철의 오목한 부분에 깻대(100)를 걸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회전판(30) 및 집게 지지판(93)이 회전하여 집게(90)의 한쪽이 작동 조절부(80)의 안쪽 벽에 의해서 눌리게 되면 집게(90)가 오므라들어서 깻대(100)가 집게(90)와 회전판(130)의 오목한 부분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축(20)을 중심으로 회전 이송된다. 이때 회전판(130)이 충격진동을 발생시키는 전동모터인 충격 발생 수단(70)에 의해 흔들리므로 깻대(100)에 있는 알곡들이 털려서 떨어진다.
집게(90)가 깻대(100)를 문 상태에서 회전판(130) 및 집게 지지판(93)이 회전하여 집게(90)가 다시 개방부(81)가 형성된 곳에 도달하면 집게(90)의 한쪽이 개방부(81)로 빠져나가 집게(90)가 벌어짐으로써 집게(90)가 물고 있던 깻대(100)가 떨어진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프레임부 20: 회전축
30: 회전바퀴 31: 끼움홈
32: 전단 플랜지 33: 후단 플랜지
40: 벨트 50: 벨트 풀리
51: 조정 레버 60: 동력 발생 수단
70: 충격 발생 수단 71: 돌기부
72: 스프링부 73: 지지부
80: 작동 조절부 81: 개방부
90: 집게 91: 제1 집게봉
92: 제2 집게봉 93: 집게 지지판
100: 깻대 130: 회전판

Claims (7)

  1. 수평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발생 수단;
    중심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바퀴;
    상기 회전 바퀴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패여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끼움홈;
    일부가 상기 회전 바퀴의 외주면의 일부와 밀착되며, 상기 회전 바퀴와 밀착된 부분이 상기 회전 바퀴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벨트;
    상기 벨트를 걸어서 상기 벨트가 일정한 궤적을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벨트 풀리; 및
    상기 회전 바퀴 또는 회전축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 바퀴에 반복적인 충격을 가하는 충격 발생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깨 알곡 수확장치.
  2. 수평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발생 수단;
    상기 회전축의 전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요철이 형성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는 집게 지지판;
    상기 집게 지지판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고정되는 작동 조절부로서, 상기 작동 조절부의 일부분이 터져 있어서 개방부가 형성되는 작동 조절부;
    상기 회전판의 요철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되고 상기 집게 지지판에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집게봉과 제2 집게봉이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는 집게로서, 상기 집게가 벌어지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집게봉이 상기 작동 조절부에 의해 눌린 상태에서는 상기 집게가 오므라들어서 상기 제2 집게봉이 상기 회전판의 요철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을 가압하고, 상기 제1 집게봉이 상기 작동 조절부의 개방부를 통해 빠져나가면 상기 집게가 벌어져서 상기 제2 집게봉과 상기 회전판 사이의 가압력이 해소되도록 구성되는 집게;
    상기 회전판 또는 상기 회전축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에 반복적인 충격을 가하는 충격 발생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깨 알곡 수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발생 수단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 전동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깨 알곡 수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발생 수단은,
    상기 회전 바퀴의 외주면 중 상기 벨트와 밀착하지 않는 부분과 맞닿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를 밀어주는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회전 바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끼움홈에 들어가거나 나오면서 충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깨 알곡 수확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발생 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요철이 형성된 충격 유발 기어와,
    상기 충격 유발 기어의 외주면과 맞닿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를 밀어주는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요철부의 오목한 부분에 들어가거나 나오면서 충격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깨 알곡 수확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발생 수단은,
    상기 전동모터와 일체로 구비되는 충격진동발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깨 알곡 수확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퀴의 외주면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전단 플랜지가 상기 회전바퀴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후단 가장자리에는 후단 플랜지가 상기 회전바퀴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벨트가 상기 전단 플랜지와 상기 후단 플랜지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깨 알곡 수확장치.
KR1020180032653A 2018-03-21 2018-03-21 깨알곡 수확장치 KR102560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653A KR102560097B1 (ko) 2018-03-21 2018-03-21 깨알곡 수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653A KR102560097B1 (ko) 2018-03-21 2018-03-21 깨알곡 수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056A true KR20190034056A (ko) 2019-04-01
KR102560097B1 KR102560097B1 (ko) 2023-07-25

Family

ID=6610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653A KR102560097B1 (ko) 2018-03-21 2018-03-21 깨알곡 수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0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157Y1 (ko) 1999-02-26 2001-02-15 김영환 참깨 탈피기
KR200215967Y1 (ko) * 2000-10-16 2001-03-15 김완수 곡물탈곡장치
KR200370809Y1 (ko) * 2004-09-24 2004-12-18 학교법인 백암교육재단 교반 충격식 참깨 탈립기계
KR100552598B1 (ko) * 2003-09-23 2006-02-15 대한민국 참깨 탈곡장치
KR20100000590U (ko) * 2009-12-07 2010-01-19 유혁준 콩 타작기
US20140182008A1 (en) * 2010-04-28 2014-06-26 Sesaco Corporation Pygmy Sesame Plants for Mechanical Harvest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157Y1 (ko) 1999-02-26 2001-02-15 김영환 참깨 탈피기
KR200215967Y1 (ko) * 2000-10-16 2001-03-15 김완수 곡물탈곡장치
KR100552598B1 (ko) * 2003-09-23 2006-02-15 대한민국 참깨 탈곡장치
KR200370809Y1 (ko) * 2004-09-24 2004-12-18 학교법인 백암교육재단 교반 충격식 참깨 탈립기계
KR20100000590U (ko) * 2009-12-07 2010-01-19 유혁준 콩 타작기
US20140182008A1 (en) * 2010-04-28 2014-06-26 Sesaco Corporation Pygmy Sesame Plants for Mechanical Harve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097B1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04505B (zh) 一种纺织用纱线上蜡设备
CN109328662B (zh) 一种自动上料的农用打稻装置
KR20190034056A (ko) 깨알곡 수확장치
KR200492638Y1 (ko) 광 케이블 권취장치
JPH0765253B2 (ja) 糸条仮撚装置
JP3566149B2 (ja) 移植機
JPS6331522Y2 (ko)
CN112913552A (zh) 农作物地膜揭除方法
JPS5850824B2 (ja) ポ−ルの錆取機
CN210214232U (zh) 一种纺织机的布料收卷设备
JP2000188915A (ja) 収穫機のロ―タリバケット装置
CN210455336U (zh) 一种无纺布生产专用转盘装置
CN217837169U (zh) 一种可自动调节张紧力度的加长型皮带
CN217047707U (zh) 一种包装袋缝纫机用线辊放置装置
JPH0695920B2 (ja) 玉ねぎの根取り機
JPH0411803A (ja) 除草方法及び除草機
CN216163289U (zh) 一种指夹弹射式精量穴播器
JPH06253622A (ja) 苗の繰出し植付機構
CN113953177B (zh) 一种振筛机
JPS5853998Y2 (ja) 生果表面処理機
CN209914628U (zh) 一种食用菌双套袋螺旋装袋机的圈带装置
US4074403A (en) Tennis ball napper
CN208945833U (zh) 一种磨针机
JPS6140103Y2 (ko)
CN104871732A (zh) 一种棉花采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