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489A - 차량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489A
KR20190033489A KR1020190023933A KR20190023933A KR20190033489A KR 20190033489 A KR20190033489 A KR 20190033489A KR 1020190023933 A KR1020190023933 A KR 1020190023933A KR 20190023933 A KR20190023933 A KR 20190023933A KR 20190033489 A KR20190033489 A KR 20190033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rminal
bus
inform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파워
Priority to KR1020190023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3489A/ko
Publication of KR20190033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변의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면서 전자 지도상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므로 관제 센터에서 차량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이해 및 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어린이집 버스에 적용 시, 승하차하는 어린이들을 파악하고, 계수함으로써 어린이집 버스를 이용중 불의의 사고로 어린이들이 희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전자 지도 상에 표시되는 차량 아이콘에 대해 색상과 형태를 차별하여 관제 터미널에서 전자 지도 상에 표시되는 차량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관제 터미널에서 전자 지도 상에 표시된 차량 아이콘을 선택 시,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차량의 다양한 정보를 관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차량 관제를 위한 디테일한 정보를 관제 터미널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차량 관제 시스템{Vehicle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차량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용차, 화물차, 버스, 렌터카 및 유치원 통학 차량과 같은 다양한 차량에 대한 위치 기반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들 차량들에 대한 개별 제어나 모니터링이 가능한 차량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 관제 시스템은, 도로를 주행하는 버스나 화물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GPS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통상 M2M 단말기라 한다)를 통해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의 이동궤적이나 이동 시간을 파악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 외에 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하여 시간당 차량의 통행량을 파악하여 교통 관제에 이용하기도 하며, 버스에 탑재되어 버스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버스 노선을 따라 주행하는 버스의 현재 위치에서 다음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예측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차량 관제 시스템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53846호는 GPS 위치정보를 무선으로 전송 가능한 M2M 단말기를 복수의 렌탈 차량에 설치하고, 각 렌탈 차량에 설치된 M2M 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렌탈 차량의 동향을 파악하고, 도난 우려가 있는 렌탈 차량에 대해서는 재시동을 차단하여 도난 우려가 있는 렌탈 차량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는 GPS 기반의 실시간 차량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공개특허 10-2015-0053846호는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렌탈 차량에 탑재되는 M2M 단말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렌탈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재 시동이 안되도록 함으로써, 도난 우려가 있거나, 반납 일자가 지나간 렌탈 차량이 추가적으로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공개특허 10-2015-0053846호는 렌탈 차량의 도어를 록킹(Locking)하거나 차량의 시동 여부를 체크하여 렌탈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고, 납기 기한을 넘기거나 도난 우려가 있는 렌탈 차량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1943017호는 차고지 및 각 정류장에 버스를 식별하기 위한 위치감지수단을 배치하고, 각 버스에는 위치감지수단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관제 컨트롤러를 설치하며, 관리서버는 위치감지수단을 통해 고장이 발생한 버스의 정보를 노선상에서 이웃하는 타 버스로 제공하며, 버스의 고장 상태를 감안하여 배차 시간을 조정하는 배차관리 및 사고관리 일원화 차량관제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관제 시스템은 전자 지도 상에 표시된 위치정보만을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므로 관제 터미널에서 차량 상태에 대한 이해가 어렵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제공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단말기를 통해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차량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차량의 주변 상황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는 차량 관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위치를 전자 지도에 매핑할 때, 차량의 상태를 표현하는데 적합한 색상과 형태를 이용함으로써 관제사가 보다 직관적이고 쉽게 차량 관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린이 차량에서 출입문이 개패되거나, 어린이 버스에 탑승한 사람이 승차 및 하차할 때, 어린이 버스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어린이 버스 주변의 영상을 관제 터미널로 제공함으로써, 어린이 버스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린이 버스에 승하차하는 어린이에게 무선 태그를 부여함으로써 이를 리더기로 판독함으로써 어린이 버스에서 차량 승하차중 발생하는 사고를 최소화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 촬상장치 및 무선 통신모뎀을 구비하며,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상하는 차량 단말기 및 관제 터미널과 네트워크 접속되며, 1) 상기 차량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아이콘에 대응시켜 전자 지도 상에 표시하고, 2) 상기 전자 지도에 차량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차량 목록 중 상기 관제터미널에서 사용자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차량의 운행 기록, 차량정보, 이동 궤적, 이벤트 발생 내역 및 차량 주변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제 화면을 생성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GPS 모듈, 영상 촬상장치 및 무선 통신모뎀을 구비하고 차량의 출입구에 마련되는 RFID 리더기와 연결되는 차량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며, 상기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상기 어린이집 버스를 이용하는 탑승객에게 부여되는 RFID 태그를 식별하여 상기 어린이집 버스의 탑승 이력을 파악하고, 상기 어린이집 버스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전자 지도가 표시된 관제화면에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표시하며,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상기 관제 화면에 표시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GPS 모듈, 영상 촬상장치 및 무선 통신모뎀을 구비하고 버스의 출입구에 마련되는 출입구 센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버스에 운행지연, 사고발생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 시, 상기 버스의 운행 정보를 관리하는 관제 터미널과는 네트워크 접속되며, 상기 출입구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버스를 이용하는 탑승객을 계수하고, 계수된 버스 승객의 수와 이에 따른 비용을 미리 설정한 기간당 산출하고, 상기 버스의 운행 현황을 전자 지도에 표시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GPS 모듈, 영상 촬상장치 및 무선 통신모뎀을 구비하고 화물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단말기 및 상기 화물 차량의 위치 및 이동궤적을 관리하는 관제 터미널과 네트워크 접속되며, 상기 화물 차량의 수하물 적재상태, 상기 화물 차량의 이동 및 정차 상태, 시동키 작동 여부에 따라, 전자 지도 상에서 상기 화물 차량에 대한 아이콘의 색상과 형태 중 어느 하나를 타 차량의 아이콘과 차별되도록 표시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주변의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면서 전자 지도상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므로 관제 센터에서 차량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린이집 버스에 승하차하는 어린이들을 파악하고, 계수함으로써 어린이집 버스를 이용중 불의의 사고로 어린이들이 희생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지도 상에 표시되는 차량 아이콘에 대해 색상과 형태를 차별하여 관제 터미널에서 전자 지도 상에 표시되는 차량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제 터미널에서 전자 지도 상에 표시된 차량 아이콘을 선택 시,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차량의 운행기록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차량 관제를 위한 디테일한 정보를 관제 터미널이 획득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제 시스템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차량 관제 시스템이 버스에 적용되는 경우의 관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차량 관제 시스템이 어린이집에 적용되는 경우 관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제 시스템이 화물차나 렌트카에 적용되는 일 예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제 시스템이 일반 차량에 적용될 때, 관제 터미널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과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이 렌터카에 적용될 때, 관제 터미널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제 시스템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제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 단말기(10), 연동서버(20), 관제 서버(30) 및 관리 단말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관리 단말기(40)는 휴대단말기(50)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단말기(10)는 GPS 모듈, 영상촬상장치 및 통신모뎀을 구비할 수 있으며, 차량에 탑재되고, 탑재된 차량의 GPS 위치정보 및 속도정보를 연동 서버(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기(10)는 내장 또는 외장 카메라와 연결되어 차량 주변 또는 차량 내부의 영상을 촬상하고 통신모뎀을 통해 연동서버(2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뎀은 3G, 4G, 5G등과 같은 무선 통신모뎀 중 하나일 수 있으며,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어 차량 단말기(10)에 탑재되거나, 모뎀에 포함되는 형태로 탑재되거나, 또는 별도의 외장 카메라의 형태로 차량 단말기(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연동 서버(2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차량 단말기(1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연동 서버(20)는 차량 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관제 서버(30)로 제공하거나, 관제 서버(30)에서 차량 단말기(10)로 전송하는 명령어를 중계할 수 있다.
연동 서버(20)는 기본적으로 관제 서버(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관제 서버(30) 내에 연동 서버(20)가 포함되거나, 또는 연동 서버(20) 내에 관제 서버(30)가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연동 서버(20)와 관제 서버(30)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제 시스템(100)의 일 예에 따른 구성일 뿐, 연동 서버(20)와 관제 서버(30)가 개별적으로 존재하거나 단일 서버로 존재할 수 있으며, 연동 서버(20)와 관제 서버(30)가 통신사 서버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관제 서버(30)는 관제 터미널(40)로 영상정보, 차량의 GPS 위치정보, 및 차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은 전자 지도 상에서 아이콘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아이콘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관제 터미널(40)은 관제 서버(30)와 네트워크 접속되며, 관제 서버(30)에 신규 차량을 등록하거나, 등록된 차량을 삭제하거나, 편집하건, 차량의 상황정보를 수정 및 편집할 수 있다.
만일, 관제 서버(30)의 관제 대상이 버스인 경우, 버스의 노선정보를 입력 및 수정하거나, 특정 버스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발생 사실을 입력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5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제 시스템(100)에 가입한 고객의 휴대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50)는 관제 서버(40)를 통해 차량의 위치정보, 주행이력, 차량정보 및 차량에 탑재된 차량 단말기(10)에서 촬상된 영상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차량 관제 시스템을 각 차량별로 적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 차량 관제 시스템이 버스에 적용되는 경우,
차량 관제 시스템(100)이 버스에 적용되는 경우, 관제 터미널(40)에는 도 2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관제 터미널(40)에는 버스의 운행상태, 버스에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 이벤트의 구분(출차, 정차, 교통사고 등), 버스의 운행 노선상에서 버스가 위치하는 지점이 표시되는 전자 지도, 전자 지도 상에 표시되는 운행노선을 도표화한 노선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에서, 버스는 도봉 세무서 앞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표현되는데, 이때의 이벤트는 버스의 출발이나 정차에 해당할 수 있다. 버스의 운행을 기록하고 관제할 때, 버스가 언제 출발하는지, 언제 정차하고 출차하는지를 하나의 이벤트로 간주하여 버스의 이동을 예측할 수 있다.
도 2에서 노선 그래프는 북부 수도사업부 - 수송 초등학교 - 강북구청 사거리 - 수유(강북구청)역 - 수유시장 - 성신여대 미아캠퍼스 .... 의 순서로 배열된 것을 볼 수 있다. 해당 노선에서 버스는 수유 초등학교- 강북구청 사거리 사이에 1대가 위치하고, 도봉 세무서앞과 미아 사거리에 각각 한대씩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시각화된 노선도는 관제 터미널(40)에서 버스의 간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버스의 배차 시간이나 간격을 파악하여 버스 운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의 도면상에서 노선 그래프의 우측에 위치하는 전자 지도에는 버스가 아이콘(P1, P2, P3)으로 표현되며, 각 아이콘은 실제 버스의 위치에 대응하고, 각 아이콘(P1, P2, P3)을 관제 터미널에서 선택하면 각 버스의 상세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2) 차량 관제 시스템이 어린이집에 적용되는 경우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제 시스템이 어린이집에 적용되는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제 시스템이 어린이집에 적용되는 경우, 관제 터미널(40)에 표시되는 관리화면에는 일별, 주별, 월별 승하차 기록이 어린이집 별, 조회기간 별로 집계되어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일, 관제 터미널에서 리스트에 기록된 어린이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조회기간(일별, 주별, 월별 등)을 설정하면 사용자 선택된 어린이집과 조회 기간에 맞추어 관제 터미널(40)의 화면에는 해당 어린이집에서 운용하는 어린이집 버스의 기간별 승하차 기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버스에는 RFID 리더기가 출입문에 설치되어야 하고, 어린이집 버스에 승하차하는 어린이들은 RFID 태그를 패용하여야 한다. 어린이들이 패용하는 RFID 태그에는 해당 어린이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포함되고, RFID 태그를 패용한 어린이가 어린이집 버스에 승하차할 때마다 체크되어 어린이집 버스에 언제 승차하고, 하차하였는가를 관제 터미널(40)에서 파악할 수 있다.
3) 차량 관제 시스템이 화물차나 렌트카에 적용되는 경우,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제 시스템(100)이 화물차나 렌트카에 적용되는 일 예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제 시스템(100)이 화물차나 렌트카에 적용되는 경우, 관제 터미널(40)의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전자 지도를 배경으로 하여, 전자 지도 상에 화물차나 렌트카의 위치가 아이콘(1)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아이콘(1)의 색상이나 형태를 변경하여 관제 터미널(40)에서 아이콘(1)을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의 차량상태 아이콘 일람표(6)를 참조하면, 차량상태 아이콘은 시동이 걸려있는 상태의 차량(렌터카나 화물차 중 어느 하나)은 녹색으로 표현되고, 시동이 꺼져있는 상태의 차량은 검은색으로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화물차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를 상차라 하여 아이콘의 형태가 화물을 적재한 형태로 표현되고, 화물차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를 공차라 하여 화물이 적재되는 않은 화물차의 형태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차량상태 아이콘 일람표(6)를 참조하면 차량의 아이콘(1)이 주황색으로 마킹되는 경우는 해당 차량이 관심 대상 차량에 해당하는 것을 나타내며, 차량에 고장이나 이상이 생긴 차량은 적색으로 마킹될 수 있다. 이처럼 아이콘의 색상과 형태를 통해 차량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관제 터미널(40)에서 식별과 조치가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서 전자 지도 상에 표시된 아이콘(1)을 관제 터미널(40)에서 선택하면, 해당 아이콘(1)에 대응하는 차량의 차량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서 아이콘(1)에 대응하는 차량정보로서 차량의 위치정보(경기도 구리시 이문안로 32), 그룹명(한국택배), 차주이름(홍길동), 운전자명(홍길동), 적재상태(상차), 시동이 걸린시간(14:21:04), 데이터 전송일시(14:23:01), 속도(61km), 엔진 RPM(2100) 등이 표시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4) 차량 관제 시스템이 일반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제 시스템(100)이 일반 차량에 적용될 때, 관제 터미널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측에는 전자 지도가 표시되고, 전자 지도에는 아이콘(2, 3)이 표시된다. 전자 지도의 측면에는 아이콘(2, 3)에 대응하는 차량 정보(차량번호, 차주 이름, 데이터 일시, 위치정보)가 표시되며, 인터페이스 화면의 하단에는 운행기록이 표시될 수 있다. 운행기록은 단위 시간(예컨대 수초 내지 수분)당 차량의 위치를 참조하여 생성하는 운행 궤적상에 위치하는 각 위치가 측정된 시간, 속도, 및 차량 상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이 렌터카에 적용될 때, 관제 터미널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먼저, 도 6은 관제 터미널(40)에서 렌터카를 원격 제어하는 제어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제 시스템(100)은 렌터카 관제에 이용될 경우, 렌터카의 도난 방지를 위해 관제 터미널(40)이 해당 렌터카를 강제로 제어할 수 있으며, 렌터카의 반납 시간을 지키지 않는 렌트카에 대해서도 관제 터미널(40)이 강제로 차량의 재시동을 차단하여 더 이상 렌트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단말기(10)는 차량의 제어 장치(예컨대 ECM)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서, 렌터카는 서비스 구분, 서비스 등록, 단말기 모델, 단말기 번호, 차주(운전자), 차종, 보고 주기, 상태 및 저잔압 설정과 같은 메인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구분은 보험사에서 빌려간 차량인지, 개인적인 차량 렌트인지에 대한 서비스 구분을 나타내고, 단말기 모델과 단말기 번호는 렌트카에 탑재된 차량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차종은 렌트된 차량의 차종을 나타내고, 저전압 설정은 해당 렌트카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압에 대해 설정되는 것으로, 통상 승용차는 12볼트 이하, 화물차는 24볼트 이하에서 설정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서비스 구분이 "렌트카"인 차량에 대해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데,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에는 차량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메뉴("차량상태요청"), 재시동 차단 메뉴 및 기타로 분류되고, 이중 "재시동 차단" 메뉴가 선택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관제 터미널(40)에서 "재시동 차단"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렌트카는 운행 후, 파킹한 이후에는 해당 렌트카를 재시동할 수 없게되어 더이상 렌트카를 이용할 수 없다.
도 6에 도시된 제어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차량상태정보"메뉴가 선택되면, 관제 터미널(4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는 전자 지도 상에 차량에 대한 아이콘(5)이 표시되고, 해당 아이콘은 단위 시간(예컨대 수 초 내지 수 분)당 이동한 지점에 아이콘(5)과 동일한 형태를 전자 지도에 마킹하여 해당 차량이 운행 궤적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측에는 차량별 차량 상태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서 열쇠 아이콘은 차량의 도어가 잠김 상태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짙은 색으로 표현된 것은 잠김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배터리 아이콘은 차량에 내장되는 배터리의 잔량을 나타내는 것이며, 온도계 아이콘은 차량의 냉각수 온도나 차량 내부 온도를 나타낸다.
이처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제 시스템(100)은 차량의 상태를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표시된 아이콘에 차량 상태별 색상이나 형태를 부여하여 관제 터미널(40)에서 직관적으로 쉽게 파악하도록 한다.
10 : 차량 단말기 20 : 연동 서버
30 : 관제 서버 40 : 관제 터미널
50 : 휴대단말기

Claims (10)

  1. 영상 촬상장치 및 무선 통신모뎀을 구비하며,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상하는 차량 단말기 및 관제 터미널과 네트워크 접속되며,
    1) 상기 차량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아이콘에 대응시켜 전자 지도 상에 표시하고,
    2) 상기 전자 지도에 차량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차량 목록 중 상기 관제터미널에서 사용자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차량의 운행 기록, 차량정보, 이동 궤적, 이벤트 발생 내역 및 차량 주변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제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목록은,
    상기 차량의 차종, 번호판 정보, 운전자 정보, 차주 정보, 시간정보, 위치정보, 상기 차량 단말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화면은,
    상기 차량에 대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실시간 이동궤적 및 사용자 지정된 시점의 운행 궤적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상기 차량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화면은,
    상기 차량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차량 단말기의 상태정보는,
    상기 차량 단말기의 온도 정보, 상기 차량 단말기의 작동 상태정보, 상기 차량 단말기의 펌웨어 및 응용 프로그램의 버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화면은,
    상기 차량에 대한 원격 제어 명령메뉴를 표시하며,
    상기 원격 제어 명령메뉴는, 상기 차량의 재시동을 차단하는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
  7. GPS 모듈, 영상 촬상장치 및 무선 통신모뎀을 구비하고 차량의 출입구에 마련되는 RFID 리더기와 연결되는 차량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며,
    상기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상기 어린이집 버스를 이용하는 탑승객에게 부여되는 RFID 태그를 식별하여 상기 어린이집 버스의 탑승 이력을 파악하고,
    상기 어린이집 버스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전자 지도가 표시된 관제화면에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표시하며,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상기 관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상기 어린이 버스에 이벤트가 발생할 때 전송되며, 상기 이벤트는, 상기 어린이집 출입구의 개패, 승하차, 정차, 출차, E-CALL(Emergency-CALL) 선택 및 상기 어린이집 버스에 대한 외부 충격이 발생할 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
  9. GPS 모듈, 영상 촬상장치 및 무선 통신모뎀을 구비하고 버스의 출입구에 마련되는 출입구 센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버스에 운행지연, 사고발생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 시, 상기 버스의 운행 정보를 관리하는 관제 터미널과는 네트워크 접속되며,
    상기 출입구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버스를 이용하는 탑승객을 계수하고, 계수된 버스 승객의 수와 이에 따른 비용을 미리 설정한 기간당 산출하고, 상기 버스의 운행 현황을 전자 지도에 표시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
  10. GPS 모듈, 영상 촬상장치 및 무선 통신모뎀을 구비하고 화물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단말기 및 상기 화물 차량의 위치 및 이동궤적을 관리하는 관제 터미널과 네트워크 접속되며,
    상기 화물 차량의 수하물 적재상태, 상기 화물 차량의 이동 및 정차 상태, 시동키 작동 여부에 따라, 전자 지도 상에서 상기 화물 차량에 대한 아이콘의 색상과 형태 중 어느 하나를 타 차량의 아이콘과 차별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
KR1020190023933A 2019-02-28 2019-02-28 차량 관제 시스템 KR20190033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33A KR20190033489A (ko) 2019-02-28 2019-02-28 차량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33A KR20190033489A (ko) 2019-02-28 2019-02-28 차량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489A true KR20190033489A (ko) 2019-03-29

Family

ID=6589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933A KR20190033489A (ko) 2019-02-28 2019-02-28 차량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34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859B1 (ko) * 2022-10-28 2023-09-20 주식회사 태승운수대명통운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한 화물 운송 관리 정보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859B1 (ko) * 2022-10-28 2023-09-20 주식회사 태승운수대명통운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한 화물 운송 관리 정보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0023B1 (en) Managing the camera acquiring interior data
US11778144B2 (en) Vehicle monitoring
US9710975B2 (en) Rental/car-share vehicle acces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P3965082B1 (en) Vehicle monitoring system and vehicle monitoring method
US20190122460A1 (en) Integrating vehicle alarms, cameras, and mobile devices
US9538374B2 (en) Method for vehicle communication by means of a vehicle-implemented vehicle diagnostic system, vehicle diagnostic interface, interace modul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data connection system, and diagnostic and control network for a plurality of vehicles
US9852636B2 (en) Traffic event data source identification, data collection and data storage
US20060095175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vehicle operation
CN110758320B (zh) 自助试驾的防遗留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与存储介质
CN112466031A (zh) 基于车载人员信息的车辆区域控制方法、系统及电子设备
RU2712404C2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мониторинга маршрутизированных авто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20190033489A (ko) 차량 관제 시스템
KR101832217B1 (ko) 스마트카 컨버전 시스템
KR20200079635A (ko) 차량사고 정보수집과 이벤트 분석 및 제공을 위한 시스템
US11640734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of a vehicle
CN114074614A (zh) 一种车辆标牌、相应车辆以及闭合件控制方法
WO2019004914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GNITION CONTROL OF A VEHICLE
KR20150046828A (ko) 차량 통합 관리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방법
KR101022544B1 (ko) 자동차용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
US20230077213A1 (en) Vehicle Camera and Record System
WO2021237482A1 (zh) 一种货物运输设备ict管理方法及系统
KR101886765B1 (ko) 차량용 차단기, 차량통행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5713812A (zh) 管理出租车计费的方法及智能车载设备
WO2015118322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2022089222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及び駐車場管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