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417A -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417A
KR20190033417A KR1020180047177A KR20180047177A KR20190033417A KR 20190033417 A KR20190033417 A KR 20190033417A KR 1020180047177 A KR1020180047177 A KR 1020180047177A KR 20180047177 A KR20180047177 A KR 20180047177A KR 20190033417 A KR20190033417 A KR 20190033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frame
curtain wall
longitudinal fram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604B1 (ko
Inventor
조영란
조혜정
조광현
Original Assignee
조영란
조광현
조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란, 조광현, 조혜정 filed Critical 조영란
Publication of KR2019003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5Connections of mullions and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으로서, 커튼월의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구성품의 재질을 프레임과 다른 재질로 구비함으로써 커튼월의 틈새의 수밀성 및 기밀성을 높여 단열을 더욱 강화하고, 견고한 결합력과 내구성을 겸비할 수 있는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CURTAIN WALL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구성품의 재질을 프레임의 재질과 다르게 구비함으로써, 상기 구성품을 통한 프레임 간의 결합 시 상기 구성품이 틈새의 수밀성 및 기밀성을 높이고 단열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커튼월 및 이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은 건축물의 기초프레임인 기둥과 보의 골조로 건물의 수직하중과 바람과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이 지지된다.
이러한 건축물에는 건축물의 외벽에 공간을 막아주는 칸막이의 기능을 하는 커튼월이 사용된다. 커튼월의 경우, 고층 또는 초고층 건축물에 주로 사용되는데, 하중을 줄이기 위해 가벼운 재질을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유리의 특성인 투명성, 개방성, 반사성 및 다른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 때문에 복층유리가 커튼월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튼월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이 수평,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격자단위로 상호 맞대어지면서 건축물의 외관을 장식하는 기능과 비, 바람, 소음 및 열 등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커튼월은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연결부재를 개재하여 결합 고정한다.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커튼월의 수평, 수직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만나는 연결부위에 수축 팽창이 심하고, 수밀성 및 기밀성이 떨어져 비 또는 바람 등이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커튼월 구조의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커튼월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697741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 수직부의 측벽에 결합되어 돌출된 형태로 수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를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연결부에 설치되어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연결부위에 밀착되는 기밀부와, 수평부를 기밀부에 밀착시켜 연결부위와 기밀부 사이에 밀착력을 제공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은 고정부를 통해 수직부에 연결부를 고정하고 연결부에 기밀부를 설치하여 결합부에 의해 수평부를 연결부에 압축시키면서 기밀부를 밀착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수직부와 수평부가 연결되어 결합되는 연결부위의 일부에 기밀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수직부와 수평부가 결합되는 다른 연결부위, 예컨대, 수평부가 결합되는 수직부의 측면과 수평부의 수직부의 측면과 결합되는 결합면의 틈새로 비 또는 바람 등이 유입되어 단열을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부의 측벽에 결합되는 연결부는 수직부, 수평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수직부의 측벽에 결합되면서 필연적으로 틈새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비 또는 바람 등이 유입되어 수밀성과 기밀성이 떨어져 단열의 기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은 기밀부가 연결부에 접착 또는 끼워맞춤되어 기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접착부재의 접착력에 의해 기밀의 성능이 달라질 수 있고, 기밀부를 결합하는 연결부의 결합홈과 결합홈에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 기밀부의 돌기편의 형상이 제대로 가공되지 않으면 끼워맞춤이 온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수밀성 및 기밀성이 떨어져 누수나 단열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9774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커튼월의 프레임 간의 조립구조에서 프레임 간의 연결의 기능을 하는 구성품의 재질을 프레임과 다른 재질로 구비함으로써, 커튼월의 결합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틈새의 수밀성 및 기밀성을 높이고,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커튼월은 건축물의 기초프레임 상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 프레임과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방향 프레임이 조립되어 격자 형태의 격자공간을 형성하는 커튼월에 있어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벽부로 이루어져 상기 횡방향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의 벽부 외측으로 삽입되는 중공기둥부와, 상기 중공기둥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횡방향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는 확장플랜지로 이루어진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의 바닥부 및 벽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3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프레임은 상기 제2연결부재의 중공기둥부 외측으로 삽입되고 그 단부는 확장플랜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종방향 프레임과 횡방향 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이고, 상기 제1연결부재, 상기 제2연결부재는 수지재질이고, 상기 제3연결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연결부재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횡방향 프레임,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3연결부재를 일체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종방향 프레임, 상기 제2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3연결부재를 측면에서 관통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커튼월의 생산 방법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벽부로 이루어진 제1연결부재의 상기 바닥부 및 벽부 내측으로 제3연결부재가 삽입되어 횡방향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는 배치단계; 제1고정부재로 상기 횡방향 프레임,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3연결부재를 일체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 고정단계; 제2연결부재가 상기 제1연결부재의 벽부 외측으로 삽입되는 제2연결부재 삽입단계; 상기 제2연결부재의 중공기둥부 외측으로 종방향 프레임이 삽입되는 종방향 프레임 삽입단계; 및 제2고정부재가 상기 종방향 프레임, 상기 제2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3연결부재를 측면에서 관통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연결부재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커튼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의 재질을 프레임과 다른 재질로 구비함으로써 커튼월 결합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틈새의 수밀성 및 기밀성이 향상되어 단열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는 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으며 알루미늄 재질보다 탄성률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져 내진설계 시 유리하게 작용되어 커튼월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로 프레임 간의 연결 기능뿐만 아니라 단열을 강화하는 기능을 할 수 있어 종래와 동일한 구성으로 단열의 기능은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방향 프레임과 횡방향 프레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형상의 제1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구성품 예컨대, 제1연결부재와 종방향 프레임 등의 결합 시 구성품들 간의 긁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튼월에 구비되는 구성품 예컨대, 제2연결부재의 형상으로 인해 후에 결합될 구성품의 결합 위치를 알 수 있어 결합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튼월은 제3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제1연결부재의 바닥부의 상면에 제3연결부재의 바닥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제3연결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는 제1고정부재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마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커튼월의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튼월은 제3연결부재가 제1연결부재의 바닥부 및 벽부 내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므로, 횡방향 프레임과 종방향 프레임을 연결하는 부재로서의 강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커튼월의 종방향 프레임을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였을 경우, 종방향 프레임과 횡방향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3연결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제1연결부재가, 종방향 프레임의 양단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종방향 프레임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도 처짐없이 커튼월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커튼월은 이와 같이 제3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커튼월 결합구조의 결합력을 높이고, 제1고정부재와 직접 접촉하여 발생하는 제1연결부재와 같은 구성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튼월 배치단계, 제1고정부재 고정단계, 제2연결부재 삽입단계, 종방향 프레임 삽입단계 제2고정부재 고정단계로 구성된 생산방법으로 결합되어 생산됨으로써, 종방향 프레임이 횡방향 프레임에 연결되기 전에 미리 위치가 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방향 프레임과 횡방향 프레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틈새의 기밀성 및 수밀성이 확보되며, 견고한 결합력과 내구성이 겸비된 커튼월 생산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의 제1연결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의 분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의 제1연결부재와 제3연결부재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형태의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의 제3연결부재가 제1연결부재의 바닥부 및 벽부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의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커튼월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품'은 종방향 프레임, 횡방향 프레임,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제3연결부재, 제1고정부재, 제2고정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은 횡방향 프레임의 단부측의 상면에 종방향 프레임이 연결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의 제1연결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은 건축물의 기초프레임(미도시) 상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방향 프레임(20)과,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재(30)와, 제1연결부재(30)의 벽부 외측으로 삽입되는 제2연결부재(40)와, 제1고정부재(50), 제2고정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튼월(1)은 건축물의 기초프레임 상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방향 프레임(20)이 조립되어 격자 형태의 격자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격자공간에 유리창이 설치되는 형태로 건축물에 이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의 결합 구조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종방향, 횡방향 프레임(10, 20) 중 도시된 도 1 내지 도 4의 도면에 형상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횡방향 프레임(2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횡방향 프레임(20)은 건축물의 기초프레임 상에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횡방향 프레임(20)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제1돌출부(22)가 형성되고, 제1돌출부(22)의 전면에는 제1돌출부(22)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횡방향 프레임(20)의 전면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진 제2돌출부(23)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2돌출부(23)는 일정 깊이의 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형상은 횡방향 프레임(20)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ㅓ'와 같은 형상의 제1돌출부(22)와 제2돌출부(23)가 형성되어진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돌출부(22)와 제2돌출부(23)가 형성된 횡방향 프레임(20)은 제1돌출부(22)와 제2돌출부(23)로 인해 유리창(미도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횡방향 프레임(20)은 내부가 비어진 형태로 단열공간(70)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횡방향 프레임(20)의 경량화뿐만 아니라, 단열공간(70)의 공기층을 통해 단열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의 횡방향 프레임(20)은 전술한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었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유리창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단열을 극대화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적합하게 가공되어 설치될 수 있다.
종방향 프레임(10)은 건축물의 기초프레임 상에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종방향 프레임(10)은 횡방향 프레임(2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돌출부(12)와 제2돌출부(13)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기초프레임 상에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종방향 프레임(10)을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횡방향 프레임(20)이 될 수 있고, 종방향 프레임(10)에는 전술한 횡방향 프레임(20)의 제1돌출부(22) 및 제2돌출부(23)와 동일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종방향 프레임(10)에는 제1돌출부(12) 및 제2돌출부(13)로 인해 유리창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가 비어진 형태로 단열공간(70)이 형성되어 경량화 뿐만 아니라, 단열공간(70)의 공기층을 통해 단열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종방향 프레임(10)은 후술할 제2연결부재(40)의 중공기둥부(41) 외측으로 삽입되고 그 단부는 확장플랜지(42)에 의해 지지되어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2연결부재(40)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종방향 프레임(10)은 전술한 횡방향 프레임(20)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에서 전술한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었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유리창을 용이하게 삽입하고, 단열을 극대화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적합하게 가공되어 설치될 수 있다.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수지재질로 이루어진 제1연결부재(30)를 통해 연결되어 격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는 바닥부(32)와 바닥부(32)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벽부(33)로 이루어져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제1고정부재(50)를 통해 고정되어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30)는 바닥부(32)와 바닥부(32)로 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벽부(33)로 이루어진다.
바닥부(32)는 홀(31)이 형성되고 이러한 홀(31)에 제1고정부재(50)가 삽입되면서,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제1고정부재(5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30)는 제1고정부재(50)를 통해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바닥부(32)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닥부(32)의 4개의 수평변이 상향으로 연장되면서 벽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벽부(33)는 바닥부(32)의 4개의 수평변이 상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므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마주보는 면이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벽부(33)는 사각형상에서 각각의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절곡되거나 면취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결부재(30)는 제1연결부재(3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고, 알루미늄 재질보다는 탄성률이 높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제1연결부재(30)는 내진설계 시 유리하게 작용되어 커튼월(1)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는 종방향 프레임(10), 횡방향 프레임(20)과 다른 재질인 수지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커튼월(1)의 결합구조로 인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틈새의 수밀성 및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30)는 종방향 프레임(10) 및 횡방향 프레임(20)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프레임 간의 연결 기능뿐만 아니라, 종래와 동일한 구성인 종방향 프레임(10), 횡방향 프레임(20) 및 제1연결부재(30)와 같은 구성으로 단열의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는 수지재질과 같은 동일한 재질 및 바닥부(32)와, 바닥부(32)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벽부(33)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으로 본 발명의 커튼월(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제1연결부재(30)의 다양한 형상은 후술한다.
제1연결부재(30)는 동일한 재질 및 구성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으로 커튼월(1) 구비될 수 있고,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생산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0)는 제1연결부재(30)의 벽부(33) 외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재(40)는 제1연결부재(30)의 벽부 외측으로 삽입되는 중공기둥부(41)와, 중공기둥부(41)의 하부에 형성되어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안착되는 확장플랜지(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공기둥부(41)는 일정 길이를 갖는 일종의 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기둥의 내부가 비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제1연결부재(30)의 벽부(33) 외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중공기둥부(41)의 하부에는 중공기둥부(41)의 외측에서 돌출된 형태로 확장플랜지(42)가 형성되며, 이로 인해 제2연결부재(40)가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0)의 확장플랜지(42)는 종방향 프레임(10)의 단부를 지지하되, 종방향 프레임(10)의 단부의 외측변부(11)와 확장플랜지(42)의 외측변부(43)는 서로 맞닿아 일직선을 이룰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재(40)의 확장플랜지(42)의 외측변부(43)와 종방향 프레임(10)의 외측변부(11)는 서로 맞닿아 일직선을 이루고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방향 프레임(10)이 제2연결부재(40)의 중공기둥부(41) 외측으로 삽입되고, 그 단부가 확장플랜지(42)에 의해 지지됨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이다.
제2연결부재(40)의 확장플랜지(42)의 외측변부(43)와 종방향 프레임(10)의 외측변부(11)는 서로 맞닿아 일직선을 이루므로, 종방향 프레임(10)의 제2연결부재(40)로 삽입되는 측의 단부 면적과 확장플랜지(42)의 종방향 프레임(10)을 지지하는 측의 면적은 동일한 면적일 수 있다.
종방향 프레임(10)은 중공기둥부(41)의 외측으로 삽입되며 확장플랜지(42)와 동일한 면적이므로, 중공기둥부(41)는 확장플랜지(42)와 다른 면적으로 형성되어 종방향 프레임(1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제2연결부재(40)는 전술한 제1연결부재(30)와 동일한 재질인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합성수지의 경우, 제2연결부재(4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고, 알루미늄 재질보다는 탄성률이 높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0)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내진설계 시 유리하게 작용되어 커튼월(1)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40)는 종방향 프레임(10)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커튼월(1)의 결합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틈새의 수밀 성 및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제1연결부재(30)가 구비된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종방향 프레임(10)이 연결될 경우, 제2연결부재(40)는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과 종방향 프레임(10)의 하면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의 수밀성 및 기밀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단열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긍정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지재질로 이루어진 제2연결부재(4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의 연결위치에 구비된다.
이로 인해 알루미늄 재질인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은 서로 연결될 경우, 수지재질로 이루어진 제2연결부재(40)로 인해 접촉되는 면이 수지재질과 알루미늄으로 서로 다른 재질로 접촉되므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커튼월 결합 구조의 틈새의 수밀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연결부재(40)는 전술한 형상으로 인해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의 연결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0)는 제1연결부재(30)가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결합되고, 제1연결부재(30)의 벽부(33) 외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0)가 결합된 후, 종방향 프레임(10)은 제2연결부재(40)의 중공기둥부(41) 외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방향 프레임(10)은 제2연결부재(40)의 중공기둥부(41) 외측으로 삽입되어 제2연결부재(40)의 확장플랜지(42)에 의해 그 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종방향 프레임(10)은 종방향 프레임(10)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연결부재(40)의 확장플랜지(42)로 인해 자연스럽게 종방향 프레임(10)이 삽입될 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방향 프레임(10)은 제2연결부재(40)의 형상으로 인해 종방향 프레임(10)이 횡방향 프레임(20)에 연결되기 전에 위치가 선정될 수 있으므로, 횡방향 프레임(20)과의 연결이 더욱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에서는 제2연결부재(40)가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결합되며, 종방향 프레임(1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1연결부재(30)가 구비되어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어느 위치에나 구비되어 수밀성 및 기밀성을 높이고 프레임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튼월(1)에 도시된 제2연결부재(40)의 중공기둥부(41)의 크기 및 형상 등은 제2연결부재(40)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 한정된 형상이 아니며, 제2연결부재(40)는 수밀성 및 기밀성을 높이고 프레임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적합하게 구비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은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제1연결부재(30)가 결합되고 제1연결부재(30)의 벽부(33) 외측으로 제2연결부재(40)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2연결부재(40)의 중공기둥부(41) 외측으로 종방향 프레임(1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품이 결합된 본 발명의 커튼월(1)은 제2고정부재(60)를 통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30)는 측면에 제2고정부재 삽입홀(6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40)는 제1연결부재(30)와 동일한 위치에 제2고정부재 삽입홀(61)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고정부재(60)는 종방향 프레임, 제2연결부재(40) 및 제1연결부재(30)를 측면에서 관통하여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커튼월(1)에서는 제2고정부재(60)가 구성품들의 우측면에서 관통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2고정부재(60)는 각 구성품을 일체로 고정할 수 있는 적합한 위치에 구비되어 구성품들을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은 종방향 프레임(10), 횡방향 프레임(20), 제1연결부재(30), 제2연결부재(40)가 구비되어 제1고정부재(50) 및 제2고정부재(60)를 통해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튼월(1)은 제2연결부재(40)를 포함한 모든 구성품이 결합되는 구조를 기준으로 도면을 도시하였지만, 제2연결부재(40)는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수밀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만 구비될 경우, 제1연결부재(30)는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같은 재질의 프레임이 결합되는 구조로 인한 필연적인 틈새의 수밀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크기 및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단열을 강화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종방향 프레임(10)은 제2연결부재(40)가 구비될 경우, 제2연결부재(40)의 중공기둥부(41) 외측으로 삽입되지만, 제1연결부재(30)만 구비될 경우, 제1연결부재(30)의 외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재(50) 및 제2고정부재(60)의 경우, 본 발명의 커튼월(1)에서는 나사를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제1, 2고정부재(50, 60)의 경우, 커튼월(1) 결합구조에서 고정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적합한 수단으로 구비되어 결합구조를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커튼월(1)에 구비될 수 있는 제1연결부재(30)의 다양한 형상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의 제1연결부재(30)의 형상을 도시한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30)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제1고정부재(50)를 통해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닥부(32)와, 바닥부(32)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벽부(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제1연결부재(30)의 수지재질로 인해 수밀성 및 기밀성을 높여 단열을 극대화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30)는 바닥부(32)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벽부(33)로 이루어지고, 벽부(33)는 수직벽부(33a)와 수직벽부(33a)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절곡벽부(3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벽부(33)는 사각형상에서 각각의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에서 수직벽부(33a)와 절곡벽부(33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각형상의 바닥부(32)로부터 상향 다시 말해, 수직방향으로 일종의 벽과 같은 평평한 면을 가진 수직벽부(33a)가 연장된다.
이 경우, 바닥부(32)는 사각형상으로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30)는 바닥부(32)의 4개의 변으로부터 상향으로 수직벽부(33a)가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연장된 수직벽부(33a)는 수직벽부(33a)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절곡벽부(33b)가 형성된다.
절곡벽부(33b)는 수직벽부(33a)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결부재(30)에 형성된 홀(31)측을 기준으로 홀(31)이 형성된 위치가 바닥부(32)의 중앙측이라고 할 경우, 절곡벽부(33b)는 바닥부(32)의 중앙측을 바라보며 일정 각도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30)의 벽부(33)의 경우, 마주보는 면이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3(a)에 도시된 제1연결부재(30)의 경우, 수직벽부(33a)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절곡벽부(33b)는 각각 바닥부(32)의 중앙측을 바라보며 일정 각도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호 대응된 벽부(33)끼리 절곡벽부(33b)의 단부가 서로 마주보며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는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연결부재(30)를 통해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을 연결할 경우, 종방향 프레임(10)에 횡방향 프레임(2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연결부재(30)는 종방향 프레임(10)의 단열공간(70)으로 삽입되는 형태이다. 다시 말해, 제1연결부재(30)에 종방향 프레임(10)을 끼워넣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결부재(30)의 수직벽부(33a)와 절곡벽부(33b)로 이루어진 형상은 제1연결부재(30)의 벽부(33) 외측으로 종방향 프레임(10)이 삽입될 경우, 제1연결부재(30)의 절곡벽부(33b)의 단부와 가장 먼저 접촉되는 종방향 프레임(10)의 하단부와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어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의 연결을 더욱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종방향 프레임(10)과 제1연결부재(30)는 제1연결부재(30)의 형상으로 인해 걸림이 방지되어 종방향 프레임(10) 또는 제1연결부재(30)의 긁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제1연결부재(30)는 동일한 재질 및 구성으로 다른 형상을 가지며 구비될 수 있으며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생산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재질은 수지재질을 의미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재질이되 제1연결부재(3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고 알루미늄 재질보다는 탄성률이 높은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30)는 커튼월(1)에 구비되는 형상은 다를 수 있으나, 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수지재질의 성질로 인해 내진설계 시 유리하게 작용되어 커튼월(1)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는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30)는 형상은 다르게 구비될 수 있으나, 종방향 프레임(10) 및 횡방향 프레임(20)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종방향 프레임(10) 및 횡방향 프레임(20) 연결 시 커튼월(1)의 결합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필연적인 틈새의 수밀성 및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한편, 구성은 바닥부(32)와 바닥부(32)로 상향으로 연장된 벽부(33)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30')는 바닥부(32)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벽부(33)로 이루어지고, 벽부(33)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폭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각형상의 바닥부(32)로부터 상향으로 일종의 벽과 같이 평평한 면을 형성하며 벽부(33)가 연장된다.
이 경우, 바닥부(32)는 사각형상으로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30)는 바닥부(32)의 4개의 변으로부터 상향으로 벽부(33)가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향으로 연장된 벽부(33)는 사각형상에서 각각의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벽부(33)는 바닥부(32)측과 근접해있는 측이 벽부(33)의 하부라고 할 경우, 벽부(33)의 단부가 면취된 형상으로 벽부(33)의 하부와 다른 단면폭을 갖는다.
이러한 벽부(33)는 마주보는 벽부(33)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연결부재(30)는 벽부(33)의 단부가 면취된 형상으로 단면폭이 작아 제1연결부재(30')를 통해 횡방향 프레임(20)에 종방향 프레임(10)을 연결할 경우, 제1연결부재(30')의 벽부(33)의 단부와 가장 먼저 접촉되는 종방향 프레임(10)과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어,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의 연결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30)는 이러한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종방향 프레임(10) 또는 제1연결부재(30')의 긁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30")는 바닥부(32)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벽부(33)로 이루어지고, 벽부(33)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는 사각형상의 바닥부(32)로부터 상향으로 일종의 벽과 같이 평평한 면을 형성하며 벽부(33)가 연장된다.
벽부(33)는 사각형상에서 각각의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 즉, 사각형상의 바닥부(32)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육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벽부(33)는 마주보는 벽부(33)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의 벽부(33)의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은 제1연결부재(30')를 통해 횡방향 프레임(20)에 종방향 프레임(10)을 연결할 경우, 제1연결부재(30")의 벽부(33)의 단부와 가장 먼저 접촉되는 종방향 프레임(10)과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어,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의 연결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30")는 벽부(33)의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종방향 프레임(10) 또는 제1연결부재(30")의 긁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예 따른 커튼월(1)은 도 3(a)에 도시된 제1연결부재(30)를 구비한 것을 기준으로 도면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커튼월(1)의 경우, 커튼월(1)의 결합구조로 인한 틈새의 수밀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켜 단열을 강화할 수 있는 형상의 제1연결부재(30)를 구비하여 단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은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30)의 재질을 종방향, 횡방향 프레임(10, 20)과 다르게 구비함으로써, 커튼월(1)의 결합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틈새 예컨대,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이 제1연결부재(30)를 통해 연결될 경우, 제1연결부재(30)와 종방향 프레임(10)사이의 틈새 및 종방향 프레임(10)의 하단면과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단면 사이의 틈새의 수밀 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누수를 방지하고 단열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지재질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커튼월(1)의 제1연결부재(30)는 제1연결부재(30)가 프레임 간의 연결 기능뿐만 아니라 단열을 강화하는 기능을 할 수 있어 종래와 동일한 구성으로 단열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30)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져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고, 알루미늄 재질보다 탄성률이 높아 내진설계 시 유리하게 작용되어 커튼월(1)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30)는 종방향 프레임(1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커튼월(1)의 구성품 간의 걸림 예컨대, 제1연결부재(30)에 종방향 프레임(10)을 끼워넣을 경우, 제1연결부재(30)의 형상으로 인해 제1연결부재(30)와 가장 먼저 접촉되는 종방향 프레임(10)의 하단부와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어 용이한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30) 또는 종방향 프레임(10)의 긁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은 제1연결부재(30)와 같은 재질인 수지재질의 제2연결부재(40)를 구비함으로써, 커튼월(1)의 결합구조로 인한 틈새의 수밀성 및 기밀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단열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40)의 형상으로 인해 횡방향 프레임(20)에 종방향 프레임(10)을 연결할 경우, 미리 종방향 프레임(10)의 결합 위치선정을 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위치에 효율적인 결합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과 제3연결부재(80)를 포함하는 구성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의 분해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의 제1연결부재(30)와 제3연결부재(80)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의 제3연결부재(80)가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 및 벽부(33)내측으로 삽입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은 종방향 프레임(10), 횡방향 프레임(20), 제1연결부재(30), 제2연결부재(40), 제3연결부재(80), 제1고정부재(50) 및 제2고정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튼월(1')은 건축물의 기초프레임 상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방향 프레임(20)이 조립되어 격자 형태의 격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는 바닥부(32)와 바닥부(32)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벽부(33)로 이루어져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32)에는 홀(31)이 형성될 수 있고, 홀(31)을 통해 제1고정부재(50)가 삽입되면서 제1연결부재(30)가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30)의 측면에는 제2고정부재 삽입홀(6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0)는 제1연결부재(30)의 벽부(33) 외측으로 삽입되는 중공기둥부(41)와, 중공기둥부(41)의 하부에 형성되어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안착되는 확장플랜지(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연결부재(40)의 중공기둥부(41)의 외측으로는 종방향 프레임(10)이 삽입되고, 그 단부가 제2연결부재(40)의 확장플랜지(42)에 의해 지지되어,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이 연결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40)는 제1연결부재(30)와 동일한 위치에 제2고정부재 삽입홀(6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와, 제2연결부재(40)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3연결부재(80)는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 및 벽부(33)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 및 벽부(33)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3연결부재(80)는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 및 벽부(33)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조될 수 있고,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제1연결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연결부재(80)가 제1연결부재(30)와 별도로 제조되어 삽입되는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연결부재(80)는 바닥부 및 벽부로 이루어져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 및 벽부(33)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와 제3연결부재(80)는 별도로 제조될 수 있다. 제3연결부재(80)가 제1연결부재(30)의 내측으로 삽입될 경우,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 및 벽부(33) 내측은 도 7(b)와 같이, 평평한 일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는 수평방향으로 일직선, 벽부(33)는 바닥부(32)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일직선 형상으로 제1연결부재(30)의 내측이 평평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3연결부재(80)의 외측은 제1연결부재(30)의 내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일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 및 벽부(33) 내측이 일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3연결부재(80)의 외측이 제1연결부재(30)의 내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연결부재(30)에 제3연결부재(80)가 삽입되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연결부재(80)의 바닥부에는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에 형성되는 홀(31)과 동일한 위치에 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3연결부재(80)가 제1연결부재(30)의 내측으로 삽입될 경우, 제3연결부재(80)의 홀(31)과 제1연결부재(30)의 홀(31)을 통해 제1고정부재(50)가 삽입될 수 있다.
제3연결부재(80)의 홀(31)과 제1연결부재(30)의 홀(31)을 통해 삽입된 제1고정부재(50)로 인해 제1연결부재(30) 및 제3연결부재(80)가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3연결부재(80)의 측면에 제1연결부재(30) 및 제2연결부재(40)와 동일한 위치에 제2고정부재 삽입홀(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고정부재(60)는 종방향 프레임, 제2연결부재(40) 및 제1연결부재(30), 제3연결부재(80)를 측면에서 관통하여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제3연결부재(80)의 외측은 제1연결부재(30)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해, 제1연결부재(30)의 내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30)와 제3연결부재(80) 간의 결합력 및 밀착력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제3연결부재(80)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제1연결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에서는 제3연결부재(80)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제1연결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도 5 내지 도 7(a)를 도시하였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커튼월(1')에 구비된 제3연결부재(80)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제1연결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된 형상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제1연결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된 제3연결부재(80)가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는 바닥부(32)와 바닥부(32)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벽부(33)로 이루어지므로, 제1연결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3연결부재(80)는 바닥부와 바닥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연결부재(80)의 바닥부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닥부의 4개의 수평변이 상향으로 연장되면서 벽부가 형성되는 형상일 수 있다.
벽부는 바닥부의 4개의 수평변이 상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므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마주보는 면이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연결부재(80)는 철 또는 비철 금속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연결부재(80)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제1연결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될 경우, 바닥부와 벽부의 외측이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 및 벽부(33)의 내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 성형은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부재(30)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금형 내에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제3연결부재(80)를 일체화시키는 성형이므로,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 및 벽부(33)의 내측과, 제3연결부재(80)의 바닥부와 벽부의 외측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의 도 3(a)에 도시된 형상과 같은 제1연결부재(30)를 기준으로 제1연결부재(30)와 제3연결부재(80)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1)의 설명과 같이, 제1연결부재(3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연결부재(80)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제1연결부재(30)와 제3연결부재(80)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 및 벽부(33) 내측 형상에 따라 다양한 외측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연결부재(80)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제1연결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해, 금속재질이 가지는 강성과 수지재질의 탄성, 유연성 등을 종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연결부재(80)는 제1연결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1연결부재(30)와 제3연결부재(8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체 형상으로 인해 조립 공차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30)와 제3연결부재(80) 사이에 미세한 틈새도 발생하지 않아 기밀성 확보를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커튼월(1')은 이와 같이 제3연결부재(80)를 구비함으로써, 커튼월(1') 결합구조의 결합력을 높이고, 제1고정부재(50)와 직접 접촉하여 발생하는 제1연결부재(30)와 같은 구성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이 커튼월(1')은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제1연결부재(30)와 제3연결부재(80)가 배치되고, 제1고정부재(50)가 횡방향 프레임(20)과 제1연결부재(30) 및 제3연결부재(80)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결부재(30)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제1고정부재(5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고정 결합될 경우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튼월(1')은 제3연결부재(80)를 구비함으로써,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의 상면에 제3연결부재(80)의 바닥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제3연결부재(8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30)는 제1고정부재(5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마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커튼월(1')의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튼월(1')은 제3연결부재(80)가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 및 벽부(33) 내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므로, 횡방향 프레임(20)과 종방향 프레임(10)을 연결하는 부재로서의 강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커튼월(1')의 종방향 프레임(10)을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였을 경우,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제3연결부재(80)와 일체로 형성된 제1연결부재(30)가, 종방향 프레임(10)의 양단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종방향 프레임(1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도 처짐없이 커튼월(1')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커튼월(1')은 알루미늄 재질인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수지재질인 제1연결부재(30)가 위치하고, 제1연결부재(30)의 내측에 제3연결부재(80)가 위치하므로, 횡방향 프레임(20)을 기준으로 금속재질, 수지재질, 금속재질의 순서로 구성품이 결합될 수 있다. 금속재질, 수지재질, 금속재질의 순서로 결합된 구성품은 제1고정부재(5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커튼월(1')은 제3연결부재(80)를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재질의 구성품이 교호되게 위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커튼월의 동일한 재질끼리 결합하는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틈새의 기밀성 및 수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재질간의 결합으로 기밀성, 수밀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고정부재(50)와 직접 접촉하여 결합되는 측을 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제3연결부재(80)로 구비함으로써, 좋은 내구성을 겸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커튼월(1')은 종방향 프레임(10)의 내측으로 제2연결부재(40)가 위치하고, 제2연결부재(40)의 내측으로 제1연결부재(30) 및 제3연결부재(80)가 위치하여, 제2고정부재(60)가 종방향 프레임(10), 제2연결부재(40), 제1연결부재(30) 및 제3연결부재(80)를 측면에서 관통하여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종방향 프레임(10)과 수지재질인 제2연결부재(40), 제1연결부재(30), 금속재질인 제3연결부재(80)가 순서대로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금속재질과 금속재질 사이에 수지재질이 위치함으로써, 동일한 금속재질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틈새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튼월(1')은 금속재질, 수지재질, 금속재질이 순서로 위치하는 결합구조로, 제2고정부재(6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결합하는 측은 금속재질로 구비하여 손상을 방지하고, 수지재질을 결합된 후 다시 금속재질이 결합됨으로써, 동일한 재질의 결합으로 발생하는 틈새의 기밀성은 높이고 결합의 견고함은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튼월(1')은 제3연결부재(80)를 구비함으로써, 횡방향 프레임(20)과 종방향 프레임(10)이 연결 결합되는 위치에 서로 다른 재질이 교호되어 위치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횡방향 프레임(20) 기준일 경우, 상방향으로 금속재질과 금속재질 사이에 수지재질이 위치하는 구조, 종방향 프레임(10) 기준일 경우, 종방향 프레임(10)의 내측 방향으로 금속재질과 금속재질 사이에 수지재질이 위치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횡방향 프레임(20)과 종방향 프레임(10)의 연결 결합 위치인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과 종방향 프레임(10)의 하부면 사이의 기밀성 및 수밀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종방향 프레임(10)이 제2연결부재(40)의 중공기둥부(41) 외측으로 삽입되어 단부가 확장플랜지(4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종방향 프레임(10)의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연결되는 측의 내측면도 서로 다른 재질이 접촉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게될 수 있으므로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튼월(1')은 횡방향 프레임(20)에 종방향 프레임(10)이 연결 결합되는 위치에서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 연결 결합되는 위치의 전, 후, 좌, 우와 같은 5면의 모든 측면의 기밀성 및 수밀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40)는 제3연결부재(80)와 일체로 형성된 제1연결부재(30)의 외측으로 삽입되므로, 구성품이 제1, 2고정부재(50, 60)를 통해 일체로 고정될 경우, 서로 다른 재질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5면의 기밀성 확보가 더욱 충실하게 이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튼월(1')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되어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튼월(1')은 배치단계, 제1고정부재 고정단계, 제2연결부재 삽입단계, 종방향 프레임 삽입단계, 제2고정부재 고정단계로 구성되어 결합됨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커튼월(1')은 바닥부(32)와 바닥부(32)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벽부로 이루어진 제1연결부재(30)의 바닥부(32) 및 벽부(33) 내측으로 제3연결부재(80)가 삽입되어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배치되는 배치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0)와 제3연결부재(80)가 별도로 제조될 경우, 제3연결부재(80)는 제1연결부재(30)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30)가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배치된 후, 제1연결부재(3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3연결부재(80)가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배치된 후, 제1연결부재(30)가 제3연결부재(80)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연결부재(30)와 제3연결부재(80)가 별도로 제조되어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배치될 경우, 제1연결부재(30)에 제3연결부재(80)가 삽입되는 순서와,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제1연결부재(30) 또는 제3연결부재(80)가 배치되는 순서는 어느 구성품이 먼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제3연결부재(80)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제1연결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치단계에서는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제1연결부재(30)를 배치함과 동시에 제3연결부재(80)가 배치될 수 있다.
배치단계가 수행된 커튼월(1')은 제1고정부재(50)로 횡방향 프레임(20), 제1연결부재(30) 및 제3연결부재(80)를 일체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 고정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제1연결부재(30) 및 제3연결부재(80)가 고정되어 후술할 제2연결부재 삽입단계 및 종방향 프레임 삽입단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1고정부재(50)로 고정된 제1연결부재(30) 및 제3연결부재(80)가 제2연결부재(40) 및 종방향 프레임(10)의 일종의 삽입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커튼월(1')은 제2연결부재(40)가 제1연결부재(30)의 벽부(33) 외측으로 삽입되는 제2연결부재 삽입단계가 수행되어 횡방향 프레임(2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커튼월(1')은 배치단계와 제1고정부재 고정단계가 수행된 상태이므로, 제2연결부재(40)가 제1연결부재(30)의 벽부(33) 외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 삽입단계가 수행된 커튼월(1')은 제2연결부재(40)의 중공기둥부(41) 외측으로 종방향 프레임(10)이 삽입되는 종방향 프레임 삽입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종방향 프레임(10)은 제2연결부재(40)의 중공기둥부(41) 외측으로 삽입되어 제2연결부재(40)의 확장플랜지(42)에 의해 그 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커튼월(1')은 제2연결부재 삽입단계가 수행된 후, 종방향 프레임 삽입단계가 수행됨으로써, 배치가 완료되어 있는 제2연결부재(40)의 확장플랜지(42)로 인해 종방향 프레임(10)의 삽입 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커튼월(1')은 제2고정부재(60)가 종방향 프레임(10), 제2연결부재(40), 제1연결부재(30) 및 제3연결부재(80)를 측면에서 관통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 고정단계가 수행됨으로써,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튼월(1')은 이와 같이, 배치단계, 제1고정부재 고정단계, 제2연결부재 삽입단계, 종방향 프레임 삽입단계 제2고정부재 고정단계로 구성된 생산방법으로 결합되어 생산됨으로써, 종방향 프레임(10)이 횡방향 프레임(20)에 연결되기 전에 미리 위치가 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방향 프레임(10)과 횡방향 프레임(2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틈새의 기밀성 및 수밀성이 확보되고, 견고한 결합력과 내구성이 겸비된 커튼월(1') 생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1': 커튼월 10: 종방향 프레임
11: 종방향 프레임 외측변부 20: 횡방향 프레임
21: 홈 22: 제1돌출부
23: 제2돌출부 30: 제1연결부재
31: 홀 32: 바닥부
33: 벽부 33a: 수직벽부
33b: 절곡벽부 40: 제2연결부재
41: 중공기둥부 42: 확장플랜지
43: 확장플랜지 외측변부 50: 제1고정부재
60: 제2고정부재 61: 제2고정부재 삽입홀
70: 단열공간 80: 제3연결부재

Claims (5)

  1. 건축물의 기초프레임 상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 프레임과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방향 프레임이 조립되어 격자 형태의 격자공간을 형성하는 커튼월에 있어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벽부로 이루어져 상기 횡방향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의 벽부 외측으로 삽입되는 중공기둥부와, 상기 중공기둥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횡방향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는 확장플랜지로 이루어진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의 바닥부 및 벽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3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프레임은 상기 제2연결부재의 중공기둥부 외측으로 삽입되고 그 단부는 확장플랜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종방향 프레임과 횡방향 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이고, 상기 제1연결부재, 상기 제2연결부재는 수지재질이고, 상기 제3연결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부재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프레임,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3연결부재를 일체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종방향 프레임, 상기 제2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3연결부재를 측면에서 관통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4.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벽부로 이루어진 제1연결부재의 상기 바닥부 및 벽부 내측으로 제3연결부재가 삽입되어 횡방향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는 배치단계;
    제1고정부재로 상기 횡방향 프레임,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3연결부재를 일체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 고정단계;
    제2연결부재가 상기 제1연결부재의 벽부 외측으로 삽입되는 제2연결부재 삽입단계;
    상기 제2연결부재의 중공기둥부 외측으로 종방향 프레임이 삽입되는 종방향 프레임 삽입단계; 및
    제2고정부재가 상기 종방향 프레임, 상기 제2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3연결부재를 측면에서 관통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생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부재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생산 방법.
KR1020180047177A 2017-09-21 2018-04-24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KR102221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21844 2017-09-21
KR1020170121844 2017-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417A true KR20190033417A (ko) 2019-03-29
KR102221604B1 KR102221604B1 (ko) 2021-03-02

Family

ID=6589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177A KR102221604B1 (ko) 2017-09-21 2018-04-24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6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734B1 (ko) * 2020-03-04 2021-07-05 이빈 내진을 위한 프레임 결합용 브라켓 및 그 결합 구조체
KR20210094433A (ko) * 2020-01-21 2021-07-29 강민성 프레임 연결부를 기밀하기 위한 커튼월
KR102302279B1 (ko) * 2021-02-16 2021-09-14 주식회사 윈스틸 커튼월 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385U (ko) * 1996-06-12 1998-03-30 조명호 합성수지 조립식 창호
KR20110093467A (ko) * 2010-02-12 2011-08-18 (주)일국기업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커튼월 샷시조립체
KR20150024458A (ko) * 2013-08-26 2015-03-09 유세환 벽돌 조적용 연결구
KR101672855B1 (ko) * 2015-12-03 2016-11-04 제이에스이엔지(주)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KR101697741B1 (ko) 2016-03-21 2017-01-18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커튼월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385U (ko) * 1996-06-12 1998-03-30 조명호 합성수지 조립식 창호
KR20110093467A (ko) * 2010-02-12 2011-08-18 (주)일국기업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커튼월 샷시조립체
KR20150024458A (ko) * 2013-08-26 2015-03-09 유세환 벽돌 조적용 연결구
KR101672855B1 (ko) * 2015-12-03 2016-11-04 제이에스이엔지(주)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KR101697741B1 (ko) 2016-03-21 2017-01-18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커튼월의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433A (ko) * 2020-01-21 2021-07-29 강민성 프레임 연결부를 기밀하기 위한 커튼월
KR102272734B1 (ko) * 2020-03-04 2021-07-05 이빈 내진을 위한 프레임 결합용 브라켓 및 그 결합 구조체
KR102302279B1 (ko) * 2021-02-16 2021-09-14 주식회사 윈스틸 커튼월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604B1 (ko)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3417A (ko)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KR20180085984A (ko) 스틸 돔 하우스 제작을 위한 유닛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틸 돔 하우스 제작 방법
KR102096496B1 (ko) 내진형 시스템패널
KR101746389B1 (ko) 결합핀으로 덮개부재를 고정하는 단열 커튼월 시스템
KR101472311B1 (ko) 이중단열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101993477B1 (ko) 제진 특성이 향상된 창호 구조
KR101344734B1 (ko) 단열재가 내장된 커튼월
KR100863577B1 (ko) 창호프레임
KR200483553Y1 (ko) 커튼월 결합구조
KR101795756B1 (ko) 조립식 목조 건축물
KR101704770B1 (ko) 조립형 유리창
KR102110820B1 (ko) 복합 커튼월 시스템
KR200456085Y1 (ko) 패널 연결용 프레임
KR101754619B1 (ko) 단열성과 결합력을 향상시킨 커튼월 프레임
KR102041344B1 (ko) 커튼월 시스템
JP2009203791A (ja) ブロック部材を用いたパネル構造体
JP6388810B2 (ja) 建具ユニット
KR101901374B1 (ko) 태양광 패널을 적용할 수 있는 방음터널용 방음판 구조물
KR20100103168A (ko) 모듈러 건축물용 모듈 유닛
KR101173434B1 (ko) 이중구조 커튼월 및 그 조립방법
KR101250509B1 (ko)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결합구조
KR20180040184A (ko) 조립식 미니온실
KR101975087B1 (ko) 스틸커튼월용 유리패널모듈의 수평고정장치
KR200471476Y1 (ko) 시스템 창호
KR101276181B1 (ko) 커튼월용 조립식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