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412A -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412A
KR20190033412A KR1020180024337A KR20180024337A KR20190033412A KR 20190033412 A KR20190033412 A KR 20190033412A KR 1020180024337 A KR1020180024337 A KR 1020180024337A KR 20180024337 A KR20180024337 A KR 20180024337A KR 20190033412 A KR20190033412 A KR 20190033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 intern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atabase
internet module
new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822B1 (ko
Inventor
김주환
강보경
강명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055,997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74335B2/en
Publication of KR20190033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412A/ko
Priority to US17/377,637 priority patent/US1165106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2Multivendor or multi-standard inte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모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이 탑재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물인터넷 네트워크가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METHOD FOR OPERATING INTERNET-OF-THINGS SYSTEM}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은 사물인터넷 모듈을 장착한 디바이스들을 사물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하고, 디바이스들이 수집한 데이터를 공유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공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도 있으므로 높은 보안 성능이 필요하며, 따라서 네트워크에 사물인터넷 모듈을 탑재한 디바이스들을 연결할 때 소정의 인증 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모듈의 제조사와 사물인터넷 모듈을 탑재한 디바이스들의 제조사들이 서로 다를 경우, 호환성의 문제로 인해 인증 절차가 원활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최종 소비자(End-User)가 사물인터넷 모듈이나 디바이스를 이용하지 못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 중 하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연동 가능한 사물인터넷 모듈, 또는 디바이스들을 등록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제조사들이 생산, 판매하는 사물인터넷 모듈이나 디바이스들을 구매한 소비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모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이 탑재된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사물인터넷 모듈을 탑재한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연결하고자 하는 신규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신규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탑재된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제1 데이터베이스가 사물인터넷 모듈을 탑재한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와 다른 제2 데이터베이스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하는 신규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신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탑재된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신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탑재된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새로운 사물인터넷 모듈이나 사물인터넷 모듈을 포함하는 신규 디바이스가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인증을 요청하면, 인증 가능한 사물인터넷 모듈이나 디바이스들의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인증 요청을 전송한 사물인터넷 모듈이나 신규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사에 관계없이 사물인터넷 모듈, 또는 사물인터넷 모듈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인증 절차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안 성능의 저하 없이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확장성을 개선하고 사용자와 디바이스 제조사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모듈을 간단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인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인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사물인터넷 시스템(1)은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과,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0)는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 사이의 통신을 중개함과 동시에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에는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0)와의 통신 기능과 함께 데이터 저장, 처리 기능을 갖춘 사물인터넷 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모듈은 연산 처리 및 데이터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세서와,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주변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및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웨어러블 기기(22)에 포함되는 사물인터넷 모듈은, 웨어러블 기기(22)를 장착한 사용자의 체온, 심장 박동수, 피부의 습도 등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42)는 내부 온도와 습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물인터넷 모듈을 생산, 판매하는 모듈 제조사는,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을 생산, 판매하는 디바이스 제조사(20-40)와 다를 수 있다. 즉, 디바이스 제조사들(20-40)이 모듈 제조사로부터 사물인터넷 모듈을 구매한 후, 구매한 사물인터넷 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을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한 사물인터넷 시스템(1)에서, 제1 디바이스 제조사(20)는 생체 정보 측정 기기(21), 웨어러블 기기(22), 스마트폰(23) 등의 IT 기기를 생산하는 업체일 수 있으며, 제2 디바이스 제조사(30)는 체중계(31)와 신체 정보 측정 기계(32) 등을 생산하는 업체일 수 있다. 한편, 제3 디바이스 제조사(40)는 텔레비전(41)이나 냉장고(42) 등의 가전 제품을 생성하는 업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물인터넷 모듈을 탑재한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을 생산, 판매하는 디바이스 제조사들(20-40)이 다양하고, 그들이 생산, 판매하는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의 종류 역시 다양하기 때문에, 사물인터넷 시스템(1)의 확장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제조사(20)가 사물인터넷 모듈을 만드는 모듈 제조사이고 동시에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0)를 관리하는 업체인 경우, 제2 디바이스 제조사(30)가 생산, 판매한 디바이스들(31-32) 및 제3 디바이스 제조사(40)가 생산, 판매한 디바이스들(41-42)은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을 탑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물인터넷 시스템(1)에 등록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물인터넷 시스템(1)의 확장성을 넓히기 위해 디바이스를 구매할 때마다 본인의 시스템에 호환되는 디바이스를 일일이 검색하거나, 직접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 절차를 진행해야 할 수 있으며, 이는 사물 인터넷 시스템(1)의 확장성을 저하시키는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모듈 제조사가 사물인터넷 모듈을 구매하는 디바이스 제조사들(20-40)에게 디바이스의 등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등록 도구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2)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0)와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0)는 데이터베이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는 사물인터넷 시스템(2)의 동작 전반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한편,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식별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조사들(20-40)은 사물인터넷 모듈을 구매하여 이를 탑재한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을 생산, 판매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조사들(20-40)은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을 판매하기 이전에,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의 식별 정보들을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하는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절차는, 사물인터넷 모듈을 생산, 판매하는 모듈 제조사가 제공하는 디바이스 등록 도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등록 도구는 컴퓨터에서 동작 가능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디바이스 제조사(20)는 모듈 제조사로부터 사물인터넷 모듈을 구매함과 동시에 디바이스 등록 도구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제조사(20)는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을 탑재한 디바이스들(21-23)을 판매하기 이전에, 디바이스 등록 도구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들(21-23)의 식별 정보 및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들이 구매한 디바이스들(21-23)이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0)에 인증 요청을 송신하면,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0)는 데이터베이스(11)에 미리 저장된 디바이스들(21-23)의 식별 정보 및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구매한 디바이스들(21-23)에 대한 인증 요청을 허가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제조사들(20-40)로부터 사용자들이 다양한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을 구매하여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0)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 시스템(2)의 확장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3)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0)와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제조사(20)는 사물인터넷 모듈을 생산, 판매하는 모듈 제조사일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24)를 운영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는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식별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제조사(20)는 사물인터넷 모듈을 탑재한 디바이스들(21-23)을 생산하는 단계에서, 디바이스들(21-23)의 식별 정보를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하는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제조사들(20-40)은 사물인터넷 모듈을 구매하여 이를 탑재한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을 생산, 판매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조사들(20-40)은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을 판매하기 이전에, 복수의 디바이스들(21-23, 31-32, 41-42)의 식별 정보들을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하는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절차는, 모듈 제조사인 제1 디바이스 제조사(20)가 제공하는 디바이스 등록 도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등록 도구는 컴퓨터에서 동작 가능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일례로, 제2 디바이스 제조사(30)는 제1 디바이스 제조사(20)로부터 사물인터넷 모듈을 구매함과 동시에 디바이스 등록 도구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디바이스 제조사(30)는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을 탑재한 디바이스들(31-32)을 판매하기 이전에, 디바이스 등록 도구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들(31-32)의 식별 정보 및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들이 구매한 디바이스들(31-32)이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0)에 인증 요청을 송신하면,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0)는 제1 디바이스 제조사(20)가 보유한 데이터베이스(24)에 상기 인증 요청과 함께 수신한 디바이스들(31-32)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들이 구매한 디바이스들(31-32)에 대한 인증 요청을 허가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구매한 디바이스들(31-32, 41-42)을 구매하여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0)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 시스템(2)의 확장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모듈을 간단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모듈(50)은 프로세서(51), 메모리(52), 포트(53), 통신부(54) 및 센서부(5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사물인터넷 모듈(50)의 동작 전반을 처리하는 연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52)는 사물인터넷 모듈(5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센서부(55)가 수집하는 데이터 및 사물인터넷 모듈(50)의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 및 동적 메모리 등의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상기 식별 정보는, 메모리(52)에 저장된 인증서의 식별 정보, 사물인터넷 모듈에 부여되는 시리얼 번호, 및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운영자가 모듈 제조사에 부여한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포트(53)는 외부 장치와 사물인터넷 모듈(50)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UART, USB, I2C 등의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잇다.
통신부(54)는 사물인터넷 모듈(50)이 디바이스에 탑재된 후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54)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센서부(55)는 가속도 센서, GPS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 가스 센서, 심박 측정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모듈(50)이 탑재되는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센서부(55)가 포함하는 센서들의 개수 및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디바이스 제조사들은 모듈 제조사로부터 사물인터넷 모듈(50)을 구매할 때, 디바이스 등록 도구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는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일종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일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를 실행하는 컴퓨터 장치는 포트(53)를 통해 사물인터넷 모듈(50)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등록 도구는 사물인터넷 모듈(50)의 메모리(52)에 저장된 사물인터넷 모듈(50)의 식별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디바이스 제조사에서는, 사물인터넷 모듈(50)을 탑재한 디바이스를 판매하기 이전에, 디바이스 등록 도구에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는,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시리얼 번호, 디바이스의 제품명, 및 모듈 제조사 또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디바이스 제조사에게 부여한 제조사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와 사물인터넷 모듈(50)의 식별 정보를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와 사물인터넷 모듈(5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사물인터넷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서버가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서버가 관리하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이거나, 또는 사물인터넷 모듈(50)을 생산, 판매하는 모듈 제조사가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모듈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듈 제조사(60)는 다양한 디바이스 제조사들(71-73)에 사물인터넷 모듈을 판매할 수 있다. 모듈 제조사(40)가 각 디바이스 제조사들(71-73)에 판매하는 사물인터넷 모듈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디바이스 제조사들(71-73)이 디바이스들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사물인터넷 모듈이 가공될 수도 있다.
소비자가 사물인터넷 시스템에 대한 호환성 걱정없이 디바이스를 구매하고 사용하기 위해서, 디바이스 제조사들(71-73)이 생산하는 디바이스들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가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다. 이 경우, 소비자는 디바이스를 구매하여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다른 인증 및/또는 등록 절차없이 사물인터넷 시스템에 디바이스를 연동시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모듈 제조사가 제공하는 디바이스 등록 도구(62)에 의해 사물인터넷 모듈(61)의 식별 정보, 및 사물인터넷 모듈(61)을 탑재한 디바이스들의 식별 정보가 디바이스 판매 전에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제조사가 사물인터넷 모듈을 생산하는 단계나, 디바이스 제조사들이 사물인터넷 모듈을 탑재한 디바이스를 생산하는 단계 등에서 상기 식별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디바이스 등록 도구(62)를 통해 수신한 상기 식별 정보들을 일종의 화이트리스트(whitelist)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한 신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탑재된 사물인터넷 모듈(61)의 식별 정보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존재하면,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을 허가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별도의 복잡한 인증 및/또는 등록 절차없이, 간편하게 사물인터넷 시스템에 신규 디바이스를 연동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터 장치(111)와 사물인터넷 모듈(120)이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컴퓨터 장치(111)에서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가 실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는 일종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사물인터넷 모듈(120)을 생산한 모듈 제조사가, 사물인터넷 모듈(120)을 구매하여 디바이스를 생산하는 디바이스 제조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조사는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제조사는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모듈(120)이 탑재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또는 디바이스 제조사의 식별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는 입력받은 식별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31)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31)를 운영하는 서버에 의해 운영, 관리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도 6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등록 절차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등록 절차는, 디바이스 인증 도구(110)가 사물인터넷 모듈(120)에 사물인터넷 모듈(120)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S101). S101 단계에서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가 요청하는 식별 정보는, 사물인터넷 모듈(120)에 저장된 인증서 식별 정보, 및/또는 사물인터넷 모듈(120)에 할당된 시리얼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사물인터넷 모듈(120)의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가 실행되는 컴퓨터 장치와 사물인터넷 모듈(120)은 USB, UART, I2C 등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모듈(120)은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물인터넷 모듈(120)의 식별 정보를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로 송신할 수 있다(S102). 한편 디바이스 제조사에서는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또는 디바이스 제조사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03).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는 제품명, 디바이스에 부여된 시리얼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는 S102 단계에서 수신한 사물인터넷 모듈(120)의 식별 정보와, S103 단계에서 입력받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디바이스 제조사의 식별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S104).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맷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적합한 포맷일 수 있으며, 식별 정보들 외에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는 S104 단계에서 인코딩한 식별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130)에 전송할 수 있다(S105). 데이터베이스(130)는 사물인터넷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S105 단계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들을 저장하고(S106), 사물인터넷 모듈(120)을 탑재한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에 알려줄 수 있다(S107).
일 실시예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프로세스는,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는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일종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 모듈(120)을 생산한 모듈 제조사가 디바이스 제조사에 제공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즉, 디바이스 제조사는 사물인터넷 모듈(120)을 구매하고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를 공급받아서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 프로세스를 진행함으로써, 사물인터넷 모듈(120)이 탑재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모듈(120)을 탑재한 디바이스를 소비자(End-User)에게 판매하기 이전에, 디바이스 제조사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디바이스를 구매하여 데이터베이스(130)가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하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 절차가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는 별도의 인증 및/또는 등록 절차 없이, 미리 등록된 디바이스를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확장성과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물인터넷 모듈(120)의 식별 정보가 사물인터넷 모듈(120)에 프린트되는 2차원 코드(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에 저장될 수 있다(S111). 일 실시예에서, 모듈 제조사는 사물인터넷 모듈(120)을 생산할 때, 사물인터넷 모듈(120)의 인증서 식별 정보, 사물인터넷 모듈(120)에 부여된 시리얼 번호 등을 2차원 코드에 반영하고, 해당 2차원 코드를 사물인터넷 모듈(120)에 프린트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조사는, 사물인터넷 모듈(120)에 프린트된 2차원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사물인터넷 모듈(120)의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12).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는 2차원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사물인터넷 모듈(12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S113), 수신한 식별 정보에 더하여 사물인터넷 모듈(120)이 탑재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또는 디바이스 제조사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14). 즉, 도 8에 도시한 일련의 단계들 가운데, 컴퓨터 장치(810)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은, 컴퓨터 장치(810)를 운영, 관리하는 디바이스 제조사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장치(810)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은, 사물인터넷 모듈(120)을 생산하는 모듈 제조사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는 S113 단계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와, S114 단계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하고(S115), 인코딩한 식별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130)로 전송할 수 있다(S116). 데이터베이스(130)는 수신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S117), 사물인터넷 모듈(120)을 탑재한 디바이스가 성공적으로 등록되었음을 디바이스 등록 도구(110)에 알릴 수 있다(S11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디바이스의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소비자가 신규 디바이스(150)를 구매하여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31)에 연결하고자 하는 인증 요청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신규 디바이스(150)는 사물인터넷 모듈(120)을 탑재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신규 디바이스(150)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31)에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식별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베이스(130)는 앞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에서 수집한 식별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신규 디바이스(150)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31)의 데이터베이스(130)에 인증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S121). S121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130)로 송신되는 인증 요청에는, 신규 디바이스(150)의 식별 정보 및 신규 디바이스(150)에 내장된 사물인터넷 모듈(120)의 식별 정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인증 요청과 함께 수신한 식별 정보들이 저장된 식별 정보들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S122), 인증 확인 메시지를 신규 디바이스(150)에 보낼 수 있다(S123). 인증 확인 절차가 완료되면, 데이터베이스(130)는 사물인터넷 네트워크(131)와 신규 디바이스(150) 사이에 통신 채널을 생성하고(S124),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S125).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컴퓨터 장치(211)와 통신 가능한 사물인터넷 모듈(220)이 제공되며, 컴퓨터 장치(211)에서 디바이스 등록 도구(210)가 실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210)는 일종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컴퓨터 장치(211)는 사물인터넷 모듈(220)을 생산하는 모듈 제조사가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장치(211)는 모듈 제조사가 보유한 데이터베이스(23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는, 모듈 제조사가 생산한 사물인터넷 모듈(220)의 식별 정보가, 디바이스 등록 도구(21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모듈(220)을 구매하여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디바이스 제조사는, 모듈 제조사가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230)에 접속하여 사물인터넷 모듈(22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모듈(220)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등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 제조사가 구매하는 사물인터넷 모듈(220)의 메모리에 사물인터넷 모듈(220)의 식별 정보가 직접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등록 도구(210)는 사물인터넷 모듈(220)에 사물인터넷 모듈(220)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201). S201 단계에서 디바이스 등록 도구(210)가 요청하는 정보는, 사물인터넷 모듈(220)에 저장된 인증서 식별 정보, 및/또는 사물인터넷 모듈(220)에 할당된 시리얼 번호, 및 사물인터넷 모듈(420)이 포함하는 코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정보는 QR 코드 정보, 바코드 정보 등의 2차원 코드 정보일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210)는 S201 단계의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사물인터넷 모듈(220)의 식별 정보 및 코드 정보를 사물인터넷 모듈(2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202). 디바이스 등록 도구(210)는 S202 단계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 및 코드 정보를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할 수 있으며(S203), 인코딩한 정보들을 모듈 제조사가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230)에 전송할 수 있다(S204).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230)는 사물인터넷 모듈(420)을 생산하는 모듈 제조사가 직접 운영,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서 사물인터넷 모듈(220)의 식별 정보와 코드 정보 등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230)에 전송하는 디바이스 등록 도구(210) 역시, 모듈 제조사가 직접 운영, 관리하는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는 S204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들을 저장하고(S205), 사물인터넷 모듈(220)의 코드 정보와 식별 정보들이 저장되었음을 디바이스 등록 도구(210)에 알려줄 수 있다(S206). 디바이스 등록 도구(210)를 운영, 관리하는 작업자는 S206 단계의 알림을 통해 사물인터넷 모듈(220)의 코드 정보 및 식별 정보가 데이터베이스(230)에 성공적으로 저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사물인터넷 모듈(220)의 코드 정보와 식별 정보들은, 이후 사물인터넷 모듈(220)을 탑재한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디바이스 제조사의 요청에 의해 디바이스 제조사 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디바이스 제조사가 디바이스 제조를 위해 구매하는 사물인터넷 모듈(220)에는, 식별 정보가 로컬로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인증 및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컴퓨터 장치(311)와 통신 가능한 사물인터넷 모듈(320)이 제공되며, 컴퓨터 장치(311)에서 디바이스 등록 도구(310)가 실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310)는 일종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 모듈(320)을 생산하는 모듈 제조사가 사물인터넷 모듈(320)을 탑재한 디바이스를 생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 제조사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장치(311)는 디바이스 제조사에 의해 운영되는 컴퓨터일 수 있다. 컴퓨터 장치(311)는 모듈 제조사가 보유한 제1 데이터베이스(33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앞서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 제조사가 진행하는 인증 절차에 의해, 사물인터넷 모듈(320)의 식별 정보 및 사물인터넷 모듈(320)에 프린트된 2차원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또는 바코드)의 정보가 제1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베이스(330)는 사물인터넷 네트워크(341)에 연동된 제2 데이터베이스(340)와 통신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340)는 사물인터넷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서버 등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341)를 통해 사물인터넷 모듈(520)이 장착된 여러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제조사는 모듈 제조사로부터 사물인터넷 모듈(320)을 구매한 후, 컴퓨터 장치(311)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모듈(320)에 프린트된 2차원 코드를 인식하여 코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코드 정보는 디바이스 등록 도구(310)에 의해 제1 데이터베이스(330)에 전송되며, 제1 데이터베이스(330)는 수신한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검색하여 컴퓨터 장치(311)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제조사가 구매한 사물인터넷 모듈(320)에는, 사물인터넷 모듈(320)의 식별 정보가 로컬로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디바이스 제조사는, 사물인터넷 모듈(320)에 포함된 2차원 코드를 스캔하여 모듈 제조사가 운영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사물인터넷 모듈(320)의 식별 정보를 받아올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디바이스 등록 도구(310)가 사물인터넷 모듈(320)에 사물인터넷 모듈(320)의 코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S301-S302). 일 실시예로, 디바이스 등록 도구(310)를 실행하는 컴퓨터 장치에 연결된 코드 인식 장치(카메라, 바코드 인식기 등)로 사물인터넷 모듈(320)에 프린트된 2차원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디바이스 등록 도구(310)가 사물인터넷 모듈(320)의 코드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310)는 사물인터넷 모듈(320)로부터 읽어온 코드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330)에 전송할 수 있다(S303).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베이스(330)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등록 절차에 의해, 사물인터넷 모듈(320)의 식별 정보 및 사물인터넷 모듈(320)의 코드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330)는 S303 단계에서 수신한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검색하고(S304), 사물인터넷 모듈(320)의 식별 정보를 디바이스 등록 도구(310)에 전송할 수 있다(S305).
디바이스 등록 도구(310)는 사물인터넷 모듈(320)이 탑재되어 있거나 또는 사물인터넷 모듈(320)을 탑재하려 하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또는 디바이스 제조사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306). S306 단계는 디바이스 제조사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310)는 S305 단계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와 S306 단계에서 입력받은 식별 정보들을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하고(S307), 인코딩한 식별 정보들을 제1 데이터베이스(330)에 전송할 수 있다(S308). 제1 데이터베이스(330)는 S308 단계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들을 저장하는 한편(S309), 사물인터넷 모듈(320)이 탑재된 디바이스가 성공적으로 등록되었음을 디바이스 등록 도구(310)에 알려줄 수 있다(S310). 일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베이스(330)는 S308 단계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들을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사물인터넷 모듈(320)의 식별 정보에 더하여 저장하거나,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사물인터넷 모듈(320)의 식별 정보를 S308 단계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들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S311 단계 내지 S317 단계는, 소비자가 사물인터넷 모듈이 탑재된 신규 디바이스(350)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실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다. 소비자가 신규 디바이스(350)를 구동시켜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하면, 신규 디바이스(350)는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와 연동된 제2 데이터베이스(340)에 인증 요청을 보낼 수 있다(S311). S311 단계에서, 신규 디바이스(350)는 인증 요청과 함께 신규 디바이스(350)의 식별 정보, 및 신규 디바이스(350)에 탑재된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 등을 함께 보낼 수 있다.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제2 데이터베이스(340)는 제1 데이터베이스(330)에 신규 디바이스(35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312). 제1 데이터베이스(330)는 S312 단계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고(S313), 신규 디바이스의 인증 허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소비자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한 신규 디바이스(350)의 식별 정보가 제1 데이터베이스(330)에 존재하면, 제1 데이터베이스(330)는 제2 데이터베이스(340)에 인증 확인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S314).
인증 확인 메시지를 받으면, 제2 데이터베이스(340)는 신규 디바이스(350)에 인증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S315), 신규 디바이스(350)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 채널을 생성하여(S316)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S317). 이때, 소비자 및 소비자가 생활하는 환경 등의 개인 정보 등이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 공유될 수 있으므로, S316 단계에서 생성되는 통신 채널은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또는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 등록 도구(310)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식별 정보들이 모듈 제조사가 운영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의도치 않게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의 제2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된 정보들이 손상되거나 해킹되는 경우에도, 제1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신규 디바이스(350)의 인증이 문제없이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식별 정보들은, 제2 데이터베이스(340)에도 동시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인증 및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컴퓨터 장치(411)와 사물인터넷 모듈(420)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컴퓨터 장치(411)에서 디바이스 등록 도구(410)가 실행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장치(411)는 디바이스 제조사가 운영하는 컴퓨터일 수 있다. 컴퓨터 장치(411)는 모듈 제조사가 보유한 제1 데이터베이스(430) 및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44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앞서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와 같이,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서는, 모듈 제조사가 진행하는 인증 절차에 의해, 사물인터넷 모듈(420)의 식별 정보 및 사물인터넷 모듈(420)에 프린트된 2차원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또는 바코드)의 정보가 제1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제조사는 모듈 제조사로부터 사물인터넷 모듈(420)을 구매한 후, 컴퓨터 장치(411)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모듈(420)에 프린트된 2차원 코드를 인식하여 코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코드 정보는 디바이스 등록 도구(410)에 의해 제1 데이터베이스(430)에 전송되며, 제1 데이터베이스(430)는 수신한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검색하여 컴퓨터 장치(411)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제조사가 구매한 사물인터넷 모듈(420)에는, 사물인터넷 모듈(420)의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디바이스 제조사는, 사물인터넷 모듈(420)에 포함된 2차원 코드를 스캔하여 모듈 제조사가 운영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430)로부터 사물인터넷 모듈(420)의 식별 정보를 받아올 수 있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디바이스 등록 도구(410)가 사물인터넷 모듈(420)에 사물인터넷 모듈(420)의 코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S401-S402). 일 실시예로, 디바이스 등록 도구(410)가 실행되는 컴퓨터 장치에 연결된 코드 인식 장치(카메라, 바코드 인식기 등)로 사물인터넷 모듈(420)에 프린트된 2차원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디바이스 등록 도구(410)가 사물인터넷 모듈(420)의 코드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410)는 사물인터넷 모듈(420)로부터 읽어온 코드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430)에 전송할 수 있다(S403).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베이스(430)는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등록 절차에 의해, 사물인터넷 모듈(420)의 식별 정보 및 사물인터넷 모듈(420)의 코드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430)는 S403 단계에서 수신한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검색하고(S404), 사물인터넷 모듈(420)의 식별 정보를 디바이스 등록 도구(410)에 전송할 수 있다(S405).
디바이스 등록 도구(410)는 사물인터넷 모듈(420)이 탑재되어 있거나 또는 사물인터넷 모듈(420)을 탑재하려 하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또는 디바이스 제조사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406). S406 단계는 디바이스 제조사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도구(410)는 S405 단계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와 S406 단계에서 입력받은 식별 정보들을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하고(S407), 인코딩한 식별 정보들을 제2 데이터베이스(440)에 전송할 수 있다(S408). 제2 데이터베이스(440)는 S408 단계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들을 저장하는 한편(S409), 사물인터넷 모듈(420)이 탑재된 디바이스가 성공적으로 등록되었음을 디바이스 등록 도구(410)에 알려줄 수 있다(S410).
도 16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S411 단계 내지 S415 단계는, 소비자가 사물인터넷 모듈이 탑재된 신규 디바이스(450)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실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다. 소비자가 신규 디바이스(450)를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하면, 신규 디바이스(450)는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와 연동된 제2 데이터베이스(440)에 인증 요청을 보낼 수 있다(S411). S411 단계에서, 신규 디바이스(450)는 인증 요청과 함께 신규 디바이스(450)의 식별 정보, 및 신규 디바이스(450)에 탑재된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 등을 함께 보낼 수 있다.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제2 데이터베이스(440)는 S411 단계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고(S412), 신규 디바이스의 인증 허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소비자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하는 신규 디바이스(450)의 식별 정보가 제2 데이터베이스(440)에 존재하면, 제2 데이터베이스(440)는 신규 디바이스(350)에 인증 확인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S413). 인증 확인이 완료되면,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와 신규 디바이스(450) 사이에 통신 채널이 생성되고(S414), 데이터 송수신이 이뤄질 수 있다(S415). 이때, 소비자 및 소비자가 생활하는 환경 등의 개인 정보 등이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 공유될 수 있으므로, S414 단계에서 생성되는 통신 채널은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또는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2, 3: 사물인터넷 시스템
110, 210, 310, 410: 디바이스 등록 도구
120, 220, 320, 420: 사물인터넷 모듈
130, 230: 데이터베이스
330, 430: 제1 데이터베이스
340, 440: 제2 데이터베이스
150, 350, 450: 신규 디바이스

Claims (20)

  1.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모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이 탑재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물인터넷 네트워크가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시리얼 번호, 상기 디바이스의 제품명,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조사에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는,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에 저장된 인증서 식별 정보 및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에 부여되는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제조사는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제조사와 다른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단계는,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제조사가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인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가, 상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하는 신규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가, 상기 인증 요청과 함께 수신한 상기 신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탑재된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신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탑재된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상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가, 상기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디바이스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탑재된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가 상기 신규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인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가, 상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하는 신규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요청과 함께 수신한 상기 신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탑재된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가, 상기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디바이스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은 2차원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2차원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2차원 코드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2차원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메모리로부터 읽어오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화이트리스트(whitelist)로 저장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15. 사물인터넷 모듈을 탑재한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하는 신규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신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탑재된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인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화이트리스트로 저장하며, 상기 신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탑재된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존재하면, 상기 신규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18. 제1 데이터베이스가 사물인터넷 모듈을 탑재한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와 다른 제2 데이터베이스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하는 신규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신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탑재된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신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탑재된 사물인터넷 모듈의 식별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물인터넷 모듈을 제조하는 모듈 제조사가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인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인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0180024337A 2017-09-21 2018-02-28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380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55,997 US11074335B2 (en) 2017-09-21 2018-08-06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et-of-things system
US17/377,637 US11651069B2 (en) 2017-09-21 2021-07-16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et-of-Thing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671 2017-09-21
KR20170121671 2017-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412A true KR20190033412A (ko) 2019-03-29
KR102380822B1 KR102380822B1 (ko) 2022-04-01

Family

ID=6589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37A KR102380822B1 (ko) 2017-09-21 2018-02-28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314A (ko) * 2021-09-09 2023-03-16 (주)리얼시큐 IoT 기반 멀티 프레임워크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위한 화이트리스트 보안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612A (ko) * 2014-12-08 2016-06-17 (주)아이티씨정보기술 장비들간의 인증방법
KR20170046202A (ko) * 2015-10-20 2017-05-02 주식회사 엔젠소프트 센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KR20170075333A (ko) * 2015-12-23 2017-07-03 주식회사 디바이스넷 냉난방 공기조화기용 스마트 제어 장치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612A (ko) * 2014-12-08 2016-06-17 (주)아이티씨정보기술 장비들간의 인증방법
KR20170046202A (ko) * 2015-10-20 2017-05-02 주식회사 엔젠소프트 센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KR20170075333A (ko) * 2015-12-23 2017-07-03 주식회사 디바이스넷 냉난방 공기조화기용 스마트 제어 장치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314A (ko) * 2021-09-09 2023-03-16 (주)리얼시큐 IoT 기반 멀티 프레임워크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위한 화이트리스트 보안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822B1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1069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et-of-Things system
KR101741967B1 (ko) 에이전트 디바이스를 제1 디바이스 레지스트리로부터 제2 디바이스 레지스트리로 할당하기 위한 방법
KR101171321B1 (ko) 모바일 증강현실 기법을 이용한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17467B1 (ja) 仮想又は拡張現実空間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2019018004A (ja) 自走式ロボットの動作方法
US11210932B2 (en) Discovery of and connection to remote devices
KR20150083405A (ko)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US100265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care service
US20180046560A1 (en) Device-agnosti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connected hardware-based analytics
KR102546949B1 (ko) 전자 장치, 서버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JP2020016665A (ja) データ利用装置、データ利用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保管装置
JP655827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380822B1 (ko)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운영 방법
JP2012060235A5 (ja) ユーザ装置、サーバ及び動作条件設定システム。
KR102490395B1 (ko) 외부 전자 장치의 키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07683402B (zh) 用于将移动终端设备智能耦合并连接到坐标测量设备上的系统和方法
KR101278656B1 (ko) 미성년자 식별 시스템 및 그 식별 방법
US20210134469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ctivity information about us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1124878A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履歴参照プログラム
US10572839B2 (en) Tool experience aggregator
US11805419B2 (en) Automatically paired devices
KR102404421B1 (ko) 외부 전자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65422B1 (ko) 인증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7331930A (zh) 用于提供关于坐标测量装置的单独信息的方法和系统
JP2011248448A (ja) 自動認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