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076A - 카톤 및 이를 위한 블랭크 - Google Patents

카톤 및 이를 위한 블랭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076A
KR20190033076A KR1020197005061A KR20197005061A KR20190033076A KR 20190033076 A KR20190033076 A KR 20190033076A KR 1020197005061 A KR1020197005061 A KR 1020197005061A KR 20197005061 A KR20197005061 A KR 20197005061A KR 20190033076 A KR20190033076 A KR 20190033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andle
hingedly connected
blank
car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줄리엔 디. 메르조
Original Assignee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33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38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129Wrapper locking means
    • B65D2571/00135Wrapper lock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141Wrapper lock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glu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246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 B65D2571/00253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277Slits or openings formed along a fold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56Handles or suspend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462Straps made by two slits in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56Handles or suspend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469Straps made between two hand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56Handles or suspend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475Handles or suspend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and extending io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518Handles or suspending means with reinforcements
    • B65D2571/00524Handles or suspending means with reinforcements integ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537Handles or suspending means with stress relieving means
    • B65D2571/00543Handles or suspending means with stress relieving means consisting of cut-outs, sl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537Handles or suspending means with stress relieving means
    • B65D2571/00549Handles or suspending means with stress relieving means consisting of fold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555Wrapper opening devices
    • B65D2571/00561Lines of weakness
    • B65D2571/00574Lines of weakness whereby contents can still be carried after the line has been to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648Elements used to form the wrapper
    • B65D2571/00654Blanks
    • B65D2571/00666Blanks formed from two or mor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709Shape of the formed wrapper, i.e. shape of each formed element if the wrapper is made from more than one element
    • B65D2571/0079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709Shape of the formed wrapper, i.e. shape of each formed element if the wrapper is made from more than one element
    • B65D2571/00796Shape of the formed wrapper, i.e. shape of each formed element if the wrapper is made from more than one element cross-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장하는 카톤에 관한 것이다. 카톤(90)은 측벽(14, 18)과 천정 벽 패널(16) 및 이 천정 벽 패널에 그것의 제1 단부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 상단 폐쇄 패널(34)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천정 부분을 포함한다. 운반 손잡이(H)가 천정 부분 내에 형성된다. 거싯(gusset) 패널(32)이 상단 폐쇄 패널에 제1 측면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다. 앵커 패널(26)이 거싯 패널 및 측벽에 힌지 연결된다. 앵커 패널은 측벽과 대면 관계로 접혀서 상단 폐쇄 패널을 닫힌 상태로 고정한다. 핸들 보강 구조(12)가 운반 손잡이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핸들 보강 구조는 2개 이상의 연결 패널들에 의해 앵커 패널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카톤 및 이를 위한 블랭크
본 발명은 카톤(carton)과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blank)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배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카톤, 핸들(handle), 및 핸들 보강 구조를 가진 핸들에 관한 것이다.
포장 분야에서 다수의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카톤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카톤은 당해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소비자들이 소비를 위해 한 그룹의 물품들을 운반하고, 보관하고, 이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데 유용하다. 비용 및 환경을 고려하여, 이러한 카톤 또는 캐리어(carrier)는 가능한 한 적은 재료로 제작되어야 하며 가능한 한 제작 재료들의 낭비가 적어야 한다. 추가적인 고려사항들은 무거운 물품들의 수용과 운반을 위한 카톤의 강도와 그 적합성이다. 카톤의 내용물은 카톤 내에서 안전한 것이 바람직하다.
카톤에 핸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상기 핸들 구조는 카톤 내용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조립되는 보강된 핸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형적으로 보드지(paperboard) 등으로 형성되는 카톤 영역에서의 개선을 제공하려 한다.
본 개시의 제1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카톤이 제공되며, 상기 카톤은, 제1 측벽; 천정 벽 패널(top wall panel) 및 상기 천정 벽 패널에 그것의 제1 단부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 제1 상단 폐쇄 패널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천정 부분; 상기 천정 부분 내에 형성된 운반 손잡이; 상기 제1 상단 폐쇄 패널에 제1 측면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 제1 거싯(gusset) 패널; 상기 제1 거싯 패널 및 상기 제1 측벽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단 폐쇄 패널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제1 측벽과 대면 관계로 접혀지는 제1 앵커 패널; 및 상기 운반 손잡이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1 핸들 보강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핸들 보강 구조물은 2개 이상의 제1 연결 패널들에 의해 상기 제1 앵커 패널에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카톤은 상기 천정 벽 패널에 그것의 제2 단부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 제2 상단 폐쇄 패널; 상기 제2 상단 폐쇄 패널에 제1 측면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 제2 거싯 패널; 및 상기 제2 거싯 패널 및 상기 제2 측벽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 상단 폐쇄 패널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제2 측벽과 대면 관계로 접혀지는 제2 앵커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핸들 보강 구조는 2개 이상의 제2 연결 패널들에 의해 상기 제2 앵커 패널에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운반 손잡이는 상기 천정 벽 패널에 형성된 한 쌍의 개구(opening)에 의해 상기 천정 벽 패널에 형성된 핸들 스트랩 부분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한 쌍의 개구 각각은 상기 핸들 스트랩 부분에 힌지 연결된 완충 플랩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운반 손잡이는 카톤의 상기 천정 벽 패널에 형성된 구멍(aperture)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운반 손잡이는 상기 상단 폐쇄 패널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운반 손잡이는 상기 천정 벽 패널 내의 개구를 통해서 전개할 수 있는 스트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운반 손잡이는 상기 상단 폐쇄 패널이 상기 천정 벽 패널에 대하여 접힐 때 상기 천정 벽 패널 내의 구멍을 통해서 자동으로 전개되는 스트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천정 부분은 제1 블랭크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카톤은 제2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베이스 패널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카톤은 둘러겹침형(wrap-around type)이고, 제2 측벽 및 단일 통합(single unitary)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베이스 벽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카톤은, 제2 측벽; 상기 제1 측면 에지에 대향하는 제2 측면 에지를 따라 상기 제1 상단 폐쇄 패널에 힌지 연결된 제3 거싯 패널; 상기 제1 측면 에지에 대향하는 제2 측면 에지를 따라 상기 제2 상단 폐쇄 패널에 힌지 연결된 제4 거싯 패널; 상기 제3 거싯 패널 및 상기 제2 측벽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단 폐쇄 패널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제2 측벽과 대면 관계로 접혀지는 제3 앵커 패널; 상기 제4 거싯 패널 및 상기 제2 측벽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 상단 폐쇄 패널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제2 측벽과 대면 관계로 접혀지는 제4 앵커 패널; 및 상기 운반 손잡이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2 핸들 보강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핸들 보강 구조는 2개 이상의 제3 연결 패널들에 의해 상기 제3 앵커 패널에 및 제4 연결 패널들에 의해 상기 제4 앵커 패널에 결합된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가 제공된다. 상기 블랭크는, 제1 측벽 패널; 천정 벽 패널 및 상기 천정 벽 패널에 그것의 제1 단부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 제1 상단 폐쇄 패널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천정 부분; 운반 손잡이; 제1 측면 에지를 따라 상기 제1 상단 폐쇄 패널에 힌지 연결된 제1 거싯 패널; 상기 제1 거싯 패널 및 상기 제1 측벽 패널에 힌지 연결된 제1 앵커 패널; 및 2개 이상의 제1 연결 패널들에 의해 상기 제1 앵커 패널에 결합된 제1 핸들 보강 패널을 포함하는 핸들 보강 구조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전 단락들, 청구항들 및/또는 하기의 설명 및 도면에 제시된 다양한 측면들, 실시 예, 예, 특징 및 대안은 독립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취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특징의 비 호환성이 없는 한 모든 실시 예에 적용 가능하다.
이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가 첨부된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톤을 형성하는 제1 블랭크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 도 5, 도 7 및 도 9의 블랭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카톤의 트레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블랭크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3a 및 3b는 도 1의 블랭크로부터 카톤을 구성하는 단계들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1의 블랭크 및 도 2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카톤을 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블랭크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블랭크 및 도 2의 블랭크로 형성된 카톤을 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블랭크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블랭크 및 도 2의 블랭크로 형성된 카톤을 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9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블랭크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블랭크 및 도 2의 블랭크로 형성된 카톤을 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블랭크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패키지(package), 블랭크 및 카톤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여기에 개시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정 측면들이 구현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예시들일 뿐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모든 방법들의 완전한 목록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예시적"이라는 단어는 실례, 견본, 모델, 또는 패턴으로 사용되는 실시예들을 언급하는 데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사실, 여기에 기술된 패키지, 블랭크 및 카톤은 다양하고 대체 가능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은 반드시 축척을 따르지는 않으며, 특정 구성 요소들의 세부 사항을 보여주기 위해 몇몇 특징들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본 개시를 모호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성 요소들, 재료들 또는 방법들은 반드시 매우 상세하게 기술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어떠한 특정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 사항들도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단지 청구항의 근거로 그리고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다양하게 채용하도록 알려주기 위한 대표적 근거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블랭크(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제2 블랭크(70)와 함께, 제1 블랭크(1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카톤 또는 캐리어(90)를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톤(90)은 병 또는 캔(이에 한정되지 않음, 이하 물품(B)이라 지칭함) 등의 일 군의 1차 제품을 담아서 운반하는데 적합하다. 제1 블랭크(10) 및 제2 블랭크(70)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제품 용기 또는 패키지를 포장하기 위한 2차 패키지를 함께 형성한다.
도 5,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블랭크(110, 210, 310)의 평면도를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들은 도 2의 제2 블랭크(70)와 함께, 예를 들어 병 또는 캔(이하 물품(B)이라 지칭함) 등의 일 군의 1차 제품을 담아서 운반하기 위한 카톤 또는 캐리어(190, 290, 390)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제4 및 제5 블랭크(110, 210, 310)와 제2 블랭크(70)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제품 용기 또는 패키지를 포장하기 위한 대안의 제2 패키지를 함께 형성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병 또는 캔(이하 물품(B)이라 지칭함) 등의 일 군의 1차 제품을 담아서 운반하기 위한 카톤 또는 캐리어(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는 블랭크(4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블랭크(410)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제품 용기 또는 패키지를 포장하기 위한 2차 패키지를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에서, 용어 "카톤" 및 "캐리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비 제한적인 목적을 위해, 1차 제품 용기 등의 물품들을 결합하여 운반하기 위한 용기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테이퍼형 및/또는 원통형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제품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시적인 용기들은 병들(예를 들어,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 병), 캔(예를 들어 알루미늄 캔), 틴(tins), 파우치, 패킷 등을 포함한다.
블랭크(10, 110, 210, 310, 410)는 적절한 기재의 시트로부터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적절한 기재(substrate)"는 보드지(paperboard), 골판지, 판지(cardboard), 플라스틱,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과 같은 모든 방식의 접을 수 있는 시트 재료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캐리어 구조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경우, 하나 또는 다른 수의 블랭크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포장 구조체 또는 카톤은 보드지와 같은 시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것은 강도를 증가시키는 물질로 만들어지거나 코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들에서, 블랭크(10, 110, 210, 310)는 예시적인 배열의 예시적인 물품(B)들을 포장하기 위한 카톤 또는 캐리어(90, 190, 290, 39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들에서, 그 배열은 3x4 매트릭스 또는 어레이이고; 예시된 실시 예에서, 세 줄의 4개 물품이 제공되고, 그 물품(B)은 음료 캔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그 배열은 4x4 매트릭스 또는 어레이이고; 도시된 실시 예에서 네 줄의 네 개 물품이 제공되고, 물품(B)은 음료 캔이다. 대안으로, 블랭크(10, 110, 210, 310, 410)는 다른 유형, 개수 및 크기의 물품을 포장하거나 다른 배열 또는 구성으로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블랭크(10)는 연속해서 힌지 연결된(hinged) 다수의 주 패널(main panel)(14, 16, 18)을 포함한다. 블랭크(10)의 다수의 주 패널(14, 16, 18)은 셋업 상태에서 카톤(90)의 벽을 형성한다. 제1 블랭크(10)는 카톤(90)의 제1 상부 측벽을 형성하는 제1 벽 패널(14)을 포함한다(도 4 참조). 제1 벽 패널(14)은 접힘선(15)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벽 패널(16)에 힌지 연결된다. 제2 벽 패널(1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톤(90)의 천정 벽을 형성한다. 제2 벽 패널(16)은 접힘선(17)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3 벽 패널(18)에 힌지 연결된다. 제3 벽 패널(18)은 도 4에 도시 한 바와 같이, 카톤(90)의 제2 상부 측벽(18)을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블랭크(70)는 캐리어(90)의 베이스 벽을 형성하기 위한 주 패널(74)을 포함한다. 제2 블랭크(70)는 접힘선(73c) 형태의 힌지 연결에 의해 주 패널(74)의 제1 측면 에지에 힌지 연결된 제1 하부 측벽 패널(72c)을 포함한다. 제2 블랭크(70)는 접힘선(73d) 형태의 힌지 연결에 의해 주 패널(74)의 제2 측면 에지(제2 측면 에지는 제1 측면 에지와 대향)에 힌지 연결된 제2 하부 측벽 패널(72d)을 포함한다.
제1 블랭크(10)의 제1 측벽 패널(14)은 제2 블랭크(70)의 제1 하부 측벽 패널(72c)에 고정되어 카톤(90)의 제1 복합 측벽(14/72c)을 형성한다. 제1 블랭크(10)의 제2 벽 패널(18)은 제2 블랭크(70)의 제2 하부 측벽 패널(72d)에 고정되어 카톤(90)의 제2 복합 측벽(18/72d)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복합 벽(14/72c, 18/72d)은 제2 벽 패널(16) 및 주 패널(74)과 함께 관형상 구조체를 형성한다.
카톤(90)은 상기 관형상 구조체들의 각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단부 폐쇄 구조체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부 폐쇄 구조는 부분적으로는 제1 블랭크(10)로부터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제2 블랭크(70)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블랭크(10)는 접힘선(35a)의 형태로 힌지 연결에 의해 천정 패널(16)의 제1 단부 에지에 힌지 연결된 제1 상단 폐쇄 패널(34a)을 포함한다. 제1 블랭크(10)는 접힘선(35b)의 형태로 힌지 연결에 의해 천정 패널(16)의 제2 단부 에지에 힌지 연결된 제2 상단 폐쇄 패널(34b)을 포함한다.
제1 상단 폐쇄 패널(34a)은 제1 측면 에지를 따라 접힘선(37a)에 의해 제1 거싯(gusset) 패널(32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거싯 패널(32a)은 접힘선(33a)에 의해 제1 웹(web) 패널(30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웹 패널(30a)은 접힘선(31a)에 의해 제1 내측 앵커 패널(28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내측 앵커 패널(28a)은 접힘선(27a)에 의해 제1 외측 앵커 패널(26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외측 앵커 패널(26a)은 접힘선(25a)에 의해 제1 브리징(bridging) 패널(24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브리징 패널(24a)은 한 쌍의 접힘선(21a, 23a)에 의해 제1 단부 보강 패널(22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외측 앵커 패널(26a)과 제1 브리징 패널(24a)은 제1 단부 보강 패널(22a)과 제1 내측 앵커 패널(28a) 사이에 한 쌍의 연결 패널을 포함한다.
제1 상단 폐쇄 패널(34a)은 제2 측면 에지를 따라 접힘선(39a)에 의해 제2 거싯 패널(36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거싯 패널(36a)은 접힘선(43a)에 의해 제2 웹 패널(38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웹 패널(38a)은 접힘선(45a)에 의해 제2 내측 앵커 패널(40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내측 앵커 패널(40a)은 접힘선(47a) 에 의해 제2 외측 앵커 패널(42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외측 앵커 패널(42a) 은 접힘선(49a)에 의해 제2 브리징 패널(44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브리징 패널(44a)은 한 쌍의 접힘선(51a, 53a)에 의해 제2 단부 보강 패널(46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상단 폐쇄 패널(34b)은 제1 측면 에지를 따라 접힘선(37b)에 의해 제3 거싯 패널(32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3 거싯 패널(32b)은 접힘선(33b)에 의해 제3 웹(web) 패널(30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3 웹 패널(30b)은 접힘선(31b)에 의해 제3 내측 앵커 패널(28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3 내측 앵커 패널(28b)은 접힘선(27b)에 의해 제3 외측 앵커 패널(26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3 외측 앵커 패널(26b)은 접힘선(25b)에 의해 제3 브리징 패널(24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3 브리징 패널(24b)은 한 쌍의 접힘선(21b, 23b)에 의해 제3 단부 보강 패널(22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상단 폐쇄 패널(34b)은 제2 측면 에지를 따라 접힘선(39b)에 의해 제4 거싯 패널(36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4 거싯 패널(36b)은 접힘선(43b)에 의해 제4 웹 패널(38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4 웹 패널(38b)은 접힘선(45b)에 의해 제4 내측 앵커 패널(40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4 내측 앵커 패널(40b)은 접힘선(47b) 에 의해 제4 외측 앵커 패널(42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4 외측 앵커 패널(42b) 은 접힘선(49b)에 의해 제4 브리징 패널(44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4 브리징 패널(44b)은 한 쌍의 접힘선(51b, 53b)에 의해 제4 단부 보강 패널(46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내측 앵커 패널(28a)은 접힘선(29a)에 의해 제1 벽 패널(14)의 제1 단부 에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내측 앵커 패널(40a)은 접힘선(41a)에 의해 제3 벽 패널(18)의 제1 단부 에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3 내측 앵커 패널(28b)은 접힘선(29b)에 의해 제1 벽 패널(14)의 제2 단부 에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4 내측 앵커 패널(40b)은 접힘선(41b)에 의해 제3 벽 패널(18)의 제2 단부 에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외측 앵커 패널(26a) 및 제1 브리징 패널(24a)은 제1 구멍(A2)에 의해 제1 벽 패널(14)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제2 외측 앵커 패널(42a) 및 제2 브리징 패널(44a)은 제2 구멍(A8)에 의해 제3 벽 패널(18)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제3 외측 앵커 패널(26b) 및 제3 브리징 패널(24b)은 제3 구멍(A3)에 의해 제1 벽 패널(14)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제4 외측 앵커 패널(42b) 및 제4 브리징 패널(44b)은 제4 구멍(A9)에 의해 제3 벽 패널(18)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제3 벽 패널(18)은 찢김(tear) 패널(18a) 형태의 인출 피처(dispensing feature)(D)를 포함한다. 찢김 패널(18a)은 한 쌍의 수렴하는 약화된 분리선(lines of severance)(62a, 62b)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절단선(64b)은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연속하는 약화된 선을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수렴하는 약화된 분리선(62a, 62b)을 상호 연결시킨다. 절단선(64b)은 접힘선(64a)에 의해 찢김 패널(18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찢김 개시 탭(T)을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제2 벽 패널(16)은 핸들 구조체(H)를 포함한다. 핸들 구조체(H)는 부분적으로 제1 접힘선(55a) 및 제2 접힘선(55b)에 의해 제2 벽 패널(16) 내에 형성된 스트랩(strap) 부분(S)을 포함한다. 스트랩 부분(S)의 제1 단부는 발산 배치된 제1 쌍의 접힘선(63a, 63d)에 의해 형성된다. 스트랩 부분(S)의 제2 단부는 발산 배치된 제2 쌍의 접힘선(63b, 63c)에 의해 형성된다. 접힘선(63a) 및 접힘선(63b)은 제1 접힘선(55a)과 인접한다. 접힘선(63c) 및 접힘선(63d)은 제2 접힘선(55b)과 인접한다.
제1 완충 플랩(50a)은 스트랩 부분(S)의 제1 측면 에지에 힌지 연결되고, 제2 완충 플랩(50b)은 스트랩 부분(S)의 제2 측면 에지에 힌지 연결된다.
제1 힌지 플랩(52a)은 제1 완충 플랩(50a)의 제1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힌지 플랩(52b)은 제1 완충 플랩(50a)의 제2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 및 제2 힌지 플랩(52a, 52b)은 각각 접힘선(57a, 57b)에 의해 제2 상부 벽 패널(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힌지 플랩(52a, 52b)은 제1 완충 플랩(50a)에 대 향하여 힌지 연결된다.
제3 힌지 플랩(52d)은 제2 완충 플랩(50b)의 제1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4 힌지 플랩(52c)은 제2 완충 플랩(50b)의 제2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3 및 제4 힌지 플랩(52d, 52c)은 각각 접힘선(57d, 57c)에 의해 제2 상부 벽 패널(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3 및 제4 힌지 플랩(52d, 52c)은 제2 완충 플랩(50b)에 대 향하여 힌지 연결된다.
제1 힌지 플랩(52a)은 제1 힌지 플랩(52a)을 제1 완충 플랩(50a)으로부터 분리하는 절단선(59a)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2 힌지 플랩(52b)은 제2 힌지 플랩(52b)을 제1 완충 플랩(50a)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절단선(59b)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3 힌지 플랩(52d)은 제3 힌지 플랩(59d)을 제2 완충 플랩(50b)으로부터 분리하는 절단선(59d)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4 힌지 플랩(52c)은 제4 힌지 플랩(52c)을 제2 완충 플랩(50b)으로부터 분리하는 절단선(59c)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블랭크(10)는 제1 핸들 보강 구조를 포함한다. 제1 핸들 보강 패널(12)은 각각 구멍(A11, A12)에 의해 차단된 접힘선들에 의해 제1 단부 보강 패널(22a)과 제3 단부 보강 패널(22b) 사이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블랭크(10)는 선택적인 제2 핸들 보강 구조를 포함한다. 제2 핸들 보강 패널(20)은 각각 구멍(A13, A14)에 의해 차단된 접힘선들에 의해 제2 단부 보강 패널(46a)과 제4 단부 보강 패널(46b) 사이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제2 블랭크(70)는 주 패널(74)에 접힘선(73b)에 의해 힌지 연결된 제1 하부 벽 패널(72a)을 포함한다. 제2 블랭크(70)는 주 패널(74)에 접힘선(73b)에 의해 힌지 연결된 제2 하부 벽 패널(72b)을 포함한다.
제1 하단부 벽 패널(72a)은 제1 코너 패널(76a), 제1 고정 패널(78a) 및 제1 하부 거싯 패널(80a)에 의해 제1 하부 측벽 패널(72c)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하단부 벽 패널(72a)은 접힘선(75a)에 의해 제1 코너 패널(76a)에 힌지 연결되고; 제1 코너 패널(76a)은 제1 고정 패널(78a)에 접힘선(77a)에 의해 힌지 연결되며; 제1 고정 패널(78a)은 접힘선(79a)에 의해 제1 하부 거싯 패널(80a)에 힌지 연결되며; 제1 하부 거싯 패널(80a)은 접힘선(81a)에 의해 제1 하부 측벽 패널(72c)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제1 하단부 벽 패널(72a)은 제2 코너 패널(76b), 제2 고정 패널(78b) 및 제2 하부 거싯 패널(80b)에 의해 제2 하부 측벽 패널(72d)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하단부 벽 패널(72a)은 접힘선(75b)에 의해 제2 코너 패널(76b)에 힌지 연결되고; 제2 코너 패널(76b)은 접힘선(77b)에 의해 제2 고정 패널(78b)에 힌지 연결되며; 제2 고정 패널(78b)은 접힘선(79b)에 의해 제2 하부 거싯 패널(80b)에 힌지 연결되며; 제2 하부 거싯 패널(80b)은 접힘선(81b)에 의해 제2 하부 측벽 패널(72d)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제2 하단부 벽 패널(72b)은 제3 코너 패널(76c), 제3 고정 패널(78c) 및 제3 하부 거싯 패널(80c)에 의해 제1 하부 측벽 패널(72c)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하단부 벽 패널(72b)은 접힘선(75c) 의해 제3 코너 패널(76c)에 힌지 연결되고; 제3 코너 패널(76c)은 접힘선(77c)에 의해 제3 고정 패널(78c)에 힌지 연결되며; 제3 고정 패널(78c)은 접힘선(79c)에 의해 제3 하부 거싯 패널(80c)에 힌지 연결되며; 제3 하부 거싯 패널(80c)은 접힘선(81c)에 의해 제1 하부 측벽 패널(72c)에 힌지 연결된다.
제2 하단부 벽 패널(72b)은 제4 코너 패널(76d), 제4 고정 패널(78d) 및 제4 하부 거싯 패널(80d)에 의해 제2 하부 측벽 패널(72d)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하단부 벽 패널(72b)는 접힘선(75d)에 의하여 제4 코너 패널(76D)에 힌지 연결되고; 제4 코너 패널(76d)은 접힘선(77d)에 의해 제4 고정 패널(78d)에 힌지 연결되며; 제4 고정 패널(78d)은 접힘선(79d)에 의해 제4 하부 거싯 패널(80d)에 힌지 연결되며; 제4 하부 거싯 패널(80d)은 제2 하부 측벽 패널(72d)에 의해 접힘선(81d)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주 패널(74)은 그로부터 형성된 복수의 구멍(A21, A22, A23, A24, A25, A26, A27, A28, A29, A30, A31, A32)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구멍(A21, A22, A23, A24, A25, A26, A27, A28, A29, A30, A31, A32)은 3행 및 4열을 포함하는 행렬 또는 어레이로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양끝 열의 구멍들(A21, A25, A29, A24, A28, A32)은 부분적으로 주 패널(74)로부터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부분적으로는 제1 및 제2 하부 측벽 패널(72c, 72d) 중 인접한 하나로부터 형성된다.
제1 블랭크(10) 및 제2 블랭크(70)로부터 캐리어(90)의 구성으로 돌아가면, 캐리어(90)의 구성을 완성하기 위해 반전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도록 캐리어(90)는 직선 기계에서 일련의 순차적인 접는 동작들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접착제(glue) 또는 다른 접착 처리가 제1 핸들 보강 패널(12)의 내부면과 제2 단부 보강 패널(22a) 및 제3 단부 보강 패널(22b)의 내부면들에 적용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벽 패널(16)의 내부면에 접착제 또는 다른 접착 처리가 적용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착제 또는 접착 처리가 제1 외측 앵커 패널(26a) 및 제3 외측 앵커 패널(26b)의 내부면에 적용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접착제 또는 다른 접착 처리가 제1 내측 앵커 패널(28a)의 내부면과 제3 내측 앵커 패널(28b)에 적용된다.
그 다음 블랭크(10)는 접힘선(27a, 27b)에 대해 화살표 방향(D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혀서, 제1 핸들 보강 패널(12)과 제2 벽 패널(16)이 면 접촉관계를 형성하고, 제1 단부 보강 패널(22a) 및 제3 단부 보강 패널(22b)이 제1 및 제2 상단 폐쇄 패널(34a, 34b)의 각각과 면 접촉 관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제1 핸들 보강 패널(12)은 제2 벽 패널(16)에 고정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보강 패널(22a)은 제1 상단 폐쇄 패널(34a )에 고정되고 제3 단부 보강 패널(22b)은 제2 상단 폐쇄 패널(34b)에 고정된다.
제1 외측 앵커 패널(26a)은 제1 내측 앵커 패널(28a)에 고정되고 제3 외측 앵커 패널(26b)은 제3 내측 앵커 패널(28b)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제 또는 다른 접착 처리가 제2 핸들 보강 패널(20)의 내부면과 제2 단부 보강 패널(46a) 및 제4 단부 보강 패널(46b)의 내부면에 적용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접착제 또는 다른 접착 처리가 제1 핸들 보강 패널(12)의 외부면과 제1 단부 보강 패널(22a) 및 제3 단부 보강 패널(22b)의 외부면에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착체 또는 다른 접착 처리가 제2 외측 앵커 패널(42a) 및 제4 외측 앵커 패널(42b)의 내부면에 적용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접착제 또는 다른 접착 처리가 제2 내측 앵커 패널(40a) 및 제4 내측 앵커 패널(40b)의 내부면에 적용될 수 있다.
그 다음 블랭크(10)는 접힘선(47a, 47b)에 대해 화살표 방향(D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혀서, 제2 핸들 보강 패널(20)과 제1 핸들 보강 패널(12)이 면 접촉관계를 형성하고, 제2 단부 보강 패널(46a) 및 제4 단부 보강 패널(46b)이 제1 및 제3 단부 보강 패널(22a, 22b)의 각각과 면 접촉 관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제2 핸들 보강 패널(20)은 제1 핸들 보강 패널(12)에 고정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부 보강 패널(46a)은 제1 단부 보강 패널(22a )에 고정되고 제4 단부 보강 패널(46b)은 제3 단부 보강 패널(22b)에 고정된다.
제2 외측 앵커 패널(42a)은 제2 내측 앵커 패널(40a)에 고정되고 제4 외측 앵커 패널(42b)은 제4 내측 앵커 패널(40b)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핸들 보강 패널(20)은 제2 벽 패널(16)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단부 보강 패널(46a)은 제1 상단 폐쇄 패널(34a)에 고정될 수 있다. 제4 단부 보강 패널(46b)은 제2 상단 폐쇄 패널(34b)에 고정될 수 있다.
블랭크(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10)가 한 그룹의 물품(B)에 대해 세워지는 전환 플랜트로 이 형태로 선적 또는 분배될 수 있다.
카톤(90)을 형성하기 위해, 제2 블랭크(70)는 직립되어 트레이(70)를 형성한다(도 4 참조). 제1 고정 패널(78a) 및 제3 고정 패널(78c)은 각각 제1 하부 측벽 패널(72c)에 고정된다. 제2 고정 패널(78b) 및 제4 고정 패널(78d)은 각각 제2 하부 측벽 패널(72d)에 고정된다.
상기 트레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이 적재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들에서, 상기 트레이는 일군의 물품들이 적재되어 있다.
접착제 또는 다른 접착 처리가 제1 벽 패널(14) 및 제3 벽 패널(18)의 내부면에 적용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접착제 또는 다른 접착 처리가 제1 및 제2 하부 측벽 패널(72c, 72d)의 외부면에 적용될 수 있다.
블랭크(10)는 적재된 트레이(70) 위에 놓인다. 제1, 제2, 제3 및 제4의 내측 앵커 패널(28a, 40a, 28b, 40b)은 각각 접힘선(29a, 29b, 41a, 41b)에 대해서 접힌다.
제1, 제2, 제3 및 제4의 내측 앵커 패널(28a, 40a, 28b, 40b)은 상기 물품들(B)의 그룹과 제1 및 제3 벽 패널(14, 18) 중 각각 사이에 배치되도록 접혀진다.
제1 벽 패널(14)은 제1 하부 측벽 패널(72c)에 고정된다. 제3 벽 패널(18)은 제2 하부 측벽 패널(72d)에 고정되어, 도 4에 도시된 카톤(90)을 형성한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능하다면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데 유사한 부호가 사용되었지만, 이들 특징이 제2 실시 예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접두어 "100"이 추가된다. 추가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많은 공통 특징을 공유하므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의 차이점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2의 제2 블랭크(70)와 함께 제3 블랭크(1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3 블랭크(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톤 또는 캐리어(190)를 형성한다. 카톤(19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 또는 캔 등의 1차 제품(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는 물품(B)으로 지칭된다)을 담아서 운반하는데 적합하다. 제3 블랭크(110) 및 제2 블랭크(70)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제품 용기 또는 패키지를 포장하기 위한 2차 패키지를 함께 형성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3 블랭크(110)는 연속해서 서로 힌지 연결된 다수의 주 패널(114, 116, 118)을 포함한다. 블랭크(110)의 다수의 주 패널(114, 116, 118)은 셋업 상태에서 카톤의 벽을 형성한다. 제3 블랭크(110)는 카톤(190)의 제1 상부 측벽을 형성하는 제1 벽 패널(114)을 포함한다(도 6 참조). 제1 벽 패널(114)은 접힘선(115)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벽 패널(116)에 힌지 연결된다. 제2 벽 패널(11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톤(190)의 천정 벽을 형성한다. 제2 벽 패널(116)은 접힘선(117)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3 벽 패널(118)에 힌지 연결된다. 제3 벽 패널(118)은 도 6에 도시 한 바와 같이, 카톤(190)의 제2 상부 측벽(118)을 형성한다.
블랭크(110)는 대안적인 핸들 구조를 포함한다. 이 구조 제2 벽 패널(116) 내에 형성된 핸들 구멍(HA)을 포함한다. 핸들 구멍(HA)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지만, 대안의 실시 예에서는 다른 형상들이 채용될 수 있다. 제1 핸들 보강 패널(112)은 핸들 구멍(HA)과 수직 일치(vertical registry)되도록 구성된 중앙 스트랩 부분(112A)을 포함한다. 제2 핸들 보강 패널(120)은 마찬가지로 제1 핸들 보강 패널(112)의 중앙 스트랩 부분 및 핸들 구멍(HA)과 수직 일치로 배치되는 중앙 스트랩 부분을 갖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핸들 보강 패널(112, 120)은 핸들 구멍(HA)을 통해 인출될 수 있는 핸들 스트랩을 함께 형성한다. 제2 핸들 보강 패널(120)은, 예를 들면 접착제 또는 다른 접착 처리를 채용함으로써(이에 한정되지 않음), 제1 핸들 보강 패널(1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핸들 보강 패널(112, 120)은 제2 천정 패널(116)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제2 천정 패널(116)에 고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유사하게, 제1, 제2, 제3 및 제4의 단부 보강 패널(122a, 146a, 122b, 146b)의 부분들도 제1 및 제2 상단 폐쇄 패널(134a, 134b) 각각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제1 및 제2 상단 폐쇄 패널(134a, 134b)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스트랩(112a)은 핸들 구멍(HA)를 통해 돌출한다. 핸들 스트랩(112a)은 제1 및 제2 상단 폐쇄 패널(134a, 134b)이 제2 벽 패널(116)에 대해 접힐 때 핸들 구멍(HA)을 통해 자동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제1 핸들 보강 패널(112) 및 제1 단부 보강 패널(122a) 사이의 접힘선을 접힘선(135a)에 대해 오프셋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제1 핸들 보강 패널(112)과 제3 단부 보강 패널(122b) 사이의 접힘선은 접힘선(135b)에 대하여 오프셋 될 수 있고, 제2 핸들 보강 패널(120)과 제2 단부 보강 패널(146a) 사이의 접힘선은 접힘선(135a)에 대하여 오프셋 될 수 있으며 제2 핸들 보강 패널(120)과 제4 단부 보강 패널(146b) 사이의 접힘선은 접힘선(135b)에 대해 오프셋 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카톤(190)이 조립될 때 핸들 스트랩(112a)이 핸들 구멍(HA)을 통과하도록 강제하기 위해 핸들 스트랩(112a)은 제2 벽 패널(116)보다 길이 치수가 더 길게 구성될 수 있다.
핸들 스트랩(112a)의 단부는 각각의 인접한 단부 보강 패널들(122a, 122b, 146a, 146b)을 향해 확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들 스트랩(112a) 의 단부들은 핸들 스트랩(122a)이 핸들 구멍(HA)을 통해 인출될 수 있는 정도를 제한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추가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 예에서 가능하다면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데 유사한 부호가 사용되었지만, 이들 특징이 제3 실시 예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접두어 "200"이 추가된다. 추가 실시 예는 앞의 두 실시 예들과 많은 공통 특징을 공유하므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와의 차이점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블랭크(2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제2 블랭크(70)와 함께, 제4 블랭크(210)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카톤 또는 캐리어(290)를 형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톤(290)은 병 또는 캔(이에 한정되지 않음, 이하 물품(B)이라 지칭함) 등의 일 군의 1차 제품을 담아서 운반하는데 적합하다. 제4 블랭크(210) 및 제2 블랭크(70)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제품 용기 또는 패키지를 포장하기 위한 2차 패키지를 함께 형성한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제4 블랭크(210)는 연속해서 힌지 연결된 다수의 주 패널(214, 216, 218)을 포함한다. 블랭크(210)의 다수의 주 패널(214, 216, 218)은 셋업 상태에서 카톤(290)의 벽을 형성한다. 제1 블랭크(210)는 카톤(290)의 제1 상부 측벽을 형성하는 제1 벽 패널(214)을 포함한다(도 8 참조). 제1 벽 패널(214)은 접힘선(215)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벽 패널(216)에 힌지 연결된다. 제2 벽 패널(21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톤(290)의 천정 벽을 형성한다. 제2 벽 패널(216)은 접힘선(217)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3 벽 패널(218)에 힌지 연결된다. 제3 벽 패널(218)은 도 8에 도시 한 바와 같이, 카톤(290)의 제2 상부 측벽(218)을 형성한다.
블랭크(210)는 대안적인 핸들 구조를 포함한다. 이 구조는 상기 제1 상단 폐쇄 패널(234a) 내로부터 형성된 제1 핸들 구멍(HA1) 및 제2 상단 폐쇄 패널(234b) 내로부터 형성된 제2 핸들 구멍(HA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핸들 구멍(HA1, HA2)은 형상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지만;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는 다른 형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핸들 구멍(HA1)은 접힘선(283a)에 의해 제1 상단 폐쇄 패널(234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핸들 완충 플랩(HF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2 핸들 구멍(HA2)은 접힘선(283b)에 의해 제2 상단 폐쇄 패널(234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핸들 완충 플랩(HF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1 단부 보강 패널(222a)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핸들 구멍(HA1)의 일부분과 일치되도록 구성되는 제1 오목부(recess)(R1)를 포함한다. 제2 단부 보강 패널(246a)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핸들 구멍(HA1)의 일부분과 일치하도록 구성된 제2 오목부(R3)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단부 보강 패널(222a, 246a)은 제1 핸들 구멍(HA1)을 보강한다.
제1 핸들 완충 플랩(HF1)은 상기 핸들 구조가 사용될 때 제1 및 제2 오목부(R1, R3)의 각각을 통과할 수 있다.
제3 단부 보강 패널(222b)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제2 핸들 구멍(HA2)의 일부분과 일치하도록 구성된 제3 오목부(R2)를 포함한다.
제4 단부 보강 패널(246b)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제2 핸들 구멍(HA2)의 일부분과 일치하도록 구성된 제4 오목부(R4)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3 및 제4 단부 보강 패널(222b, 246b)은 제2 핸들 구멍(HA2)을 보강한다.
제2 핸들 완충 플랩(HF2)은 핸들 구조가 사용될 때 제3 및 제4 오목부(R2, R4) 각각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핸들 보강 패널(212, 220)은 핸들 구조체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할 수 있고, 카톤(290)의 큰 영역에 걸쳐 하중을 분산시키거나 확산시켜서 찢어질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제4 실시 예에서, 가능하다면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데 유사한 부호가 사용되었지만, 이들 특징이 제4 실시 예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접두어 "300"이 추가된다. 추가 실시 예는 이전 실시 예들과 많은 공통 특징을 공유하므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들과의 차이점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블랭크(3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의 제2 블랭크(70)와 함께 제5 블랭크(310)의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카톤 또는 캐리어(390)를 형성한다. 카톤(39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 또는 캔 등의 1차 제품(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는 물품(B)으로 지칭된다)을 담아서 운반하는데 적합하다. 제1 블랭크(310) 및 제2 블랭크(70)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제품 용기 또는 패키지를 포장하기 위한 2차 패키지를 함께 형성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제5 블랭크(110)는 연속해서 서로 힌지 연결된 다수의 주 패널(314, 316, 318)을 포함한다. 블랭크(310)의 다수의 주 패널(314, 316, 318)은 셋업 상태에서 카톤(390)의 벽을 형성한다. 제5 블랭크(310)는 카톤(390)의 제1 상부 측벽을 형성하는 제1 벽 패널(314)을 포함한다(도 10 참조). 제1 벽 패널(314)은 접힘선(315)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벽 패널(316)에 힌지 연결된다. 제2 벽 패널(31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톤(390)의 천정 벽을 형성한다. 제2 벽 패널(316)은 접힘선(317)과 같은 힌지 연결에 의해 제3 벽 패널(318)에 힌지 연결된다. 제3 벽 패널(318)은 도 10에 도시 한 바와 같이, 카톤(390)의 제2 상부 측벽(318)을 형성한다.
블랭크(310)는 대안적인 핸들 구조를 포함한다. 이 구조는, 제2 벽 패널(316) 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제1 상단 폐쇄 패널(334a) 내에 형성된 제1 단부(E1) 및 제2 상단 폐쇄 패널(334b) 내에 형성된 제2 단부(E2)를 가지는 핸들 스트랩(361a)을 포함한다. 핸들 스트랩(361a)은 부분적으로는 제1 약화된 분리선 또는 절단선(399a)에 의해 및 부분적으로는 제2 약화된 분리선 또는 절단선(399b)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약화된 분리선 또는 절단선(399a, 399b)은 제1 상단 폐쇄 패널(334a)로부터 제2 벽 패널(316 )을 가로 질러 제2 상단 폐쇄 패널(334b) 내로 연장한다.
제1 핸들 보강 패널(312)은 제3 약화된 분리선(387a)을 포함한다. 제3 약화된 분리선(387a)은 제1 핸들 보강 패널(312)을 가로 질러 제1 및 제3 단부 보강 패널(322a, 322b) 각각으로 연장한다. 제3 분리선(387a)은 실질적으로 제1 핸들 보강 패널(312)을 제1 부분(312a)과 제2 부분(312b)으로 분할한다. 제1 부분(312a)은 핸들 스트랩(361a)에 고정되고, 제2 부분(312b)은 핸들 스트랩(361a)에 인접한 제2 벽 패널(316)의 제1 영역에 고정된다.
제2 핸들 보강 패널(320)은 제4 약화된 분리선(387b)을 포함한다. 제4 약화된 분리선(387b)은 제2 핸들 보강 패널(320)을 가로 질러 제2 및 제4 단부 보강 패널(346a, 346b)의 각각으로 연장된다. 제4 약화된 분리선(387b)은 실질적으로 제2 핸들 보강 패널(320)을 제1 부분(320a)과 제2 부분(320b)으로 분할한다. 제1 부분(320a)은 제1 핸들 보강 패널(312)의 제1 부분(312a)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부분은 핸들 스트랩(361a)에 인접한 제2 벽 패널(316)의 제2 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영역은 핸들 스트랩(361a)의 반대 측면 제1 영역에 배치된다.
제3 약화된 분리선(387a)은 셋업 상태에 있을 때 제1 약화된 분리선(399a)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배열된다.
제4 약화된 분리선(387b)은 셋업 상태에 있을 때 제2 약화된 분리선(399b)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배열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스트랩(361a)과 제1 및 제2 핸들 보강 패널(312, 320)의 제1 부분들(312a, 320a)은 함께 운반 손잡이를 형성한다. 상기 운반 손잡이는 사용자가 핸들 스트랩(361a)를 잡고 카톤(390)을 운반할 수 있도록 중앙에서 상방으로 변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카톤 또는 캐리어(미도시)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4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블랭크(410)는 단일체이다. 즉, 도 2의 제2 블랭크(70)는 완전한 카톤을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블랭크(410)는 함께 카톤의 복합 베이스 벽(408a/408b)을 형성하는 제1 베이스 벽 패널(408a) 및 제2 베이스 벽 패널(408b)을 포함한다.
제6 블랭크(410)는 연속해서 힌지 연결된 다수의 주 패널(408a, 414, 416, 418, 408b)을 포함한다. 블랭크(410)의 다수의 주 패널(408a, 414, 416, 418, 408b)은 셋업 상태에서 카톤의 벽을 형성한다. 제1 베이스 벽 패널(408a)은 접힘선(411a) 형태의 힌지 연결에 의해 제1 벽 패널(414)에 힌지 연결된다. 제1 벽 패널(414)은 카톤의 제1 측벽을 형성한다. 제1 벽 패널(414)은 접힘선(415) 형태의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벽 패널(416)에 힌지 연결된다. 제2 벽 패널(416)은 카톤의 천정 벽을 형성한다. 제2 벽 패널(416)은 접힘선(417) 형태의 힌지 연결에 의해 제3 벽 패널(418)에 힌지 연결된다. 제3 벽 패널(418)은 카톤의 제2 측벽(418)을 형성한다. 제3 측벽(418)은 접힘선(411b) 형태의 힌지 연결에 의해 제2 베이스 벽 패널(408b)에 힌지 연결된다.
제1 및 제2 베이스 벽 패널(408a, 408b)을 수용하기 위해, 접힘선(427a, 427b, 447a, 447b)의 위치가 조정되어야 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 내측 앵커 패널(428a, 428b, 440a, 440b); 제1, 제2, 제3 및 제4 외측 앵커 패널(426a, 426b, 442a, 442b); 및 제1, 제2, 제3 및 제4 브리지 패널(424a, 424b, 444a, 444b)의 치수들은, 제2 벽 패널(416)과 제1 및 제2 핸들 보강 패널(412, 420)의 각각 사이에 제1 및 제2 베이스 벽 패널(408a, 408b)를 수용하기 위해 길이가 증가된다.
접힘선(427a)과 제2 벽 패널(416)에 형성된 핸들 스트랩 부분의 근접한 에지 사이의 거리(d/2)는 접힘선(415)과 제1 핸들 보강 패널(412)의 중앙 부분의 근접한 에지 사이의 거리(d)의 대략 절반이어야 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핸들 보강 패널(412)의 에지로부터 찢김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는 구멍(A1)에 의해 생성된다(도 1 참조). 접힘선(427b, 447a, 447b)에 대해 유사한 관계가 요구된다.
본 개시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카톤을 제공한다. 카톤은 제1 측벽, 제2 측벽 및 천정 부분을 포함한다. 카톤은 하나의 통합 블랭크로부터 또는 2개 이상의 별개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정 부분은 상기 2개 이상의 별개의 블랭크 중 하나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정 부분은 부분적으로 천정 벽 채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벽 패널 및 제1 상단 폐쇄 패널로부터 형성된다.상기 제1 상단 폐쇄 패널은 상기 천정 벽 패널에 그 제1 단부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다. 카톤은 상기 천정 부분에 형성된 운반 손잡이를 포함한다. 제1 거싯 패널 이 제1 측면 에지를 따라 제1 상단 폐쇄 패널에 힌지 연결된다. 제1 앵커 패널이 제1 거싯 플레이트 및 제1 측벽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제1 앵커 패널은 상기 제1 상단 폐쇄 패널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도록 제1 측면 패널과 대면(對面) 관계로 접혀진다. 카톤은 운반 손잡이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1 핸들 보강 구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핸들 보강 구조는 부분적으로 핸들 보강 패널에 의해 그리고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부 보강 패널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핸들 보강 구조는 2개 이상의 연결 패널에 의해 상기 제1 앵커 패널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 패널들은 상기 브리징 패널들 중 하나 및 그것에 결합된 외측 앵커 패널들 중 각각의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천정", "베이스", "베이스", "전면", "후면", "단부", "측면", "내측", "외측", "상부", 및 "하부"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각각의 패널을 반드시 그러한 방향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들 패널을 서로 구별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힌지 연결" 및 "접힘선"이라는 용어는, 블랭크의 힌지 피처를 형성하고, 블랭크의 부분들을 서로에 대해 접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모든 방식의 선들을 지칭하거나, 블랭크를 위한 최적의 패널 접기 위치를 표시한다. "힌지 연결"에 대한 언급은 반드시 단일 접힘선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은 아니며; 실제로 힌지 연결은 2개 이상의 접힘선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2개 이상의 접힘선 각각은 형상이 직선 또는 곡선일 수 있다. 직선 접힘선이 힌지 연결을 형성할 때 그것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서로에 대해 약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곡선 접힘선이 힌지 연결을 형성할 때, 그것들은 서로 교차하여 곡선 접힘선들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모양을 가진 패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힌지 연결의 전형적인 예는 그 사이에 타원형 패널을 형성하도록 두 지점에서 교차하는 한 쌍의 아치형 접힘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연결은 하나 이상의 직선 접힘선과 하나 이상의 곡선 접힘선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연결의 전형적인 예는, 그 사이에 반달 모양의 패널을 형성하도록 두 지점에서 교차하는 직선 접힘선과 아치형 접힘선의 조합을 포함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접힘선"은 다음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새김선(scored line), 양각선(embossing line), 음각선(debossed line), 천공들의 선(a line of perforations), 짧은 슬릿들의 선(a line of short slits), 반-절단의 선(a line of half-cuts), 단일 반-절단(single half-cut), 중단된 절단선(interrupted cut line), 정렬된 슬릿들의 선(a line of aligned slits), 새김들의 선(a line of scores) 및 상기 옵션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연결 및 접힘선은 각각, 천공들, 천공들의 선, 짧은 슬릿들의 선, 반-절단들의 선, 단일 반-절단, 절단선, 중단된 절단선, 슬릿, 새김,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을 포함하여 블랭크의 기재에 형성되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소는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치수를 정하고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들의 선은 접힘선 및/또는 분리선을 한정하기 위한 약함 정도로 치수을 정하거나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천공들의 선은 접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파단에 저항하게 하거나, 접는 것을 촉진하고 더 많은 노력으로 파단하게 하거나, 또는 거의 힘들이지 않고 파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치(in registry with)"라는 문구는 세워진 카톤에서 2개 이상의 요소(예를 들면 겹치는 두 패널의 첫 번째에 형성된 구멍과 겹치는 두 패널의 두 번째에 형성된 제2 구멍)의 정렬을 지칭한다. 일치하는 상기 요소들은 겹치는 패널들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널의 구멍이 제1 패널과 겹쳐진 배열로 배치되는 제2 패널의 제2 구멍과 "일치"하는 경우, 구멍의 에지는 제2 구멍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구멍의 두께 방향으로, 제2 구멍과 정렬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장하는 카톤에 있어서,
    제1 측벽;
    천정 벽 패널 및 상기 천정 벽 패널에 그것의 제1 단부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 제1 상단 폐쇄 패널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천정 부분;
    상기 천정 부분 내에 형성된 운반 손잡이;
    상기 제1 상단 폐쇄 패널에 제1 측면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 제1 거싯(gusset) 패널;
    상기 제1 거싯 패널 및 상기 제1 측벽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단 폐쇄 패널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제1 측벽과 대면 관계로 접혀지는 제1 앵커 패널; 및
    상기 운반 손잡이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1 핸들 보강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핸들 보강 구조는 2개 이상의 제1 연결 패널들에 의해 상기 제1 앵커 패널에 결합되는, 물품 포장용 카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 벽 패널에 그것의 제2 단부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 제2 상단 폐쇄 패널;
    상기 제2 상단 폐쇄 패널에 제1 측면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 제2 거싯 패널; 및
    상기 제2 거싯 패널 및 상기 제2 측벽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 상단 폐쇄 패널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제2 측벽과 대면 관계로 접혀지는 제2 앵커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 핸들 보강 구조는 2개 이상의 제2 연결 패널들에 의해 상기 제2 앵커 패널에 결합되는, 물품 포장용 카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손잡이는 상기 천정 벽 패널에 형성된 한 쌍의 개구에 의해 상기 천정 벽 패널에 형성된 핸들 스트랩 부분을 포함하는, 물품 포장용 카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구 각각은 상기 핸들 스트랩 부분에 힌지 연결된 완충 플랩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물품 포장용 카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손잡이는 카톤의 상기 천정 벽 패널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물품 포장용 카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손잡이는 상기 상단 폐쇄 패널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물품 포장용 카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손잡이는 상기 천정 벽 패널 내의 개구를 통해서 전개할 수 있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물품 포장용 카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손잡이는 상기 상단 폐쇄 패널이 상기 천정 벽 패널에 대하여 접힐 때 상기 천정 벽 패널 내의 구멍을 통해서 자동으로 전개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물품 포장용 카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 부분은 제1 블랭크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카톤은 제2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베이스 패널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을 포함하는, 물품 포장용 카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톤은 둘러겹침형(wrap-around type)이고, 제2 측벽 및 단일 통합(single unitary)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베이스 벽을 포함하는, 물품 포장용 카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톤은,
    제2 측벽;
    상기 제1 측면 에지에 대향하는 제2 측면 에지를 따라 상기 제1 상단 폐쇄 패널에 힌지 연결된 제3 거싯 패널;
    상기 제1 측면 에지에 대향하는 제2 측면 에지를 따라 상기 제2 상단 폐쇄 패널에 힌지 연결된 제4 거싯 패널;
    상기 제3 거싯 패널 및 상기 제2 측벽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단 폐쇄 패널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제2 측벽과 대면 관계로 접혀지는 제3 앵커 패널;
    상기 제4 거싯 패널 및 상기 제2 측벽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 상단 폐쇄 패널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제2 측벽과 대면 관계로 접혀지는 제4 앵커 패널; 및
    상기 운반 손잡이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2 핸들 보강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핸들 보강 구조는 2개 이상의 제3 연결 패널들에 의해 상기 제3 앵커 패널에 및 제4 연결 패널들에 의해 상기 제4 앵커 패널에 결합되는, 물품 포장용 카톤.
  12.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에 있어서,
    제1 측벽 패널;
    천정 벽 패널 및 상기 천정 벽 패널에 그것의 제1 단부 에지를 따라 힌지 연결된 제1 상단 폐쇄 패널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천정 부분;
    운반 손잡이;
    제1 측면 에지를 따라 상기 제1 상단 폐쇄 패널에 힌지 연결된 제1 거싯 패널;
    상기 제1 거싯 패널 및 상기 제1 측벽 패널에 힌지 연결된 제1 앵커 패널; 및
    2개 이상의 제1 연결 패널들에 의해 상기 제1 앵커 패널에 결합된 제1 핸들 보강 패널을 포함하는 핸들 보강 구조를 포함하는, 카톤 형성용 블랭크.
KR1020197005061A 2016-08-08 2017-08-04 카톤 및 이를 위한 블랭크 KR201900330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71908P 2016-08-08 2016-08-08
US62/371,908 2016-08-08
PCT/US2017/045429 WO2018031391A1 (en) 2016-08-08 2017-08-04 Carton and blank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076A true KR20190033076A (ko) 2019-03-28

Family

ID=5958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061A KR20190033076A (ko) 2016-08-08 2017-08-04 카톤 및 이를 위한 블랭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20190283947A1 (ko)
EP (1) EP3497029B1 (ko)
JP (1) JP2019524577A (ko)
KR (1) KR20190033076A (ko)
CN (1) CN109843739A (ko)
AU (1) AU2017308725B2 (ko)
BR (1) BR112019002520A2 (ko)
CA (1) CA3033378A1 (ko)
CL (1) CL2019000319A1 (ko)
CO (1) CO2019001454A2 (ko)
ES (1) ES2906654T3 (ko)
MX (1) MX2019001556A (ko)
WO (1) WO20180313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4826B2 (en) 2018-11-06 2022-12-13 Westrock Packaging Systems, Llc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US11807411B2 (en) 2019-05-03 2023-11-07 Westrock Packaging Systems, Llc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WO2021040901A1 (en) * 2019-08-26 2021-03-04 Westrock Packaging Systems, Llc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for
USD980069S1 (en) 2020-07-14 2023-03-07 Ball Corporation Metallic dispensing li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7598A (en) * 1992-07-30 1993-03-30 The Mead Corporation Enclosed bottle carrier
GB9500428D0 (en) * 1995-01-10 1995-03-01 Mead Corp Carton
CN1241793C (zh) * 1999-06-18 2006-02-15 米德韦斯特瓦科包装系统有限责任公司 用于纸箱的把手结构
US6766940B2 (en) * 2000-03-07 2004-07-2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Handle arrangment for a carton
US7757933B2 (en) * 2006-03-01 2010-07-20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multi-ply handle
MX2013000370A (es) * 2010-07-15 2013-02-01 Graphic Packaging Int Inc Caja de carton con as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7029A1 (en) 2019-06-19
CN109843739A (zh) 2019-06-04
CO2019001454A2 (es) 2019-04-12
CA3033378A1 (en) 2018-02-15
ES2906654T3 (es) 2022-04-19
MX2019001556A (es) 2019-10-15
AU2017308725A1 (en) 2019-02-14
AU2017308725B2 (en) 2023-08-24
BR112019002520A2 (pt) 2019-05-28
WO2018031391A1 (en) 2018-02-15
EP3497029B1 (en) 2021-10-06
US20190283947A1 (en) 2019-09-19
JP2019524577A (ja) 2019-09-05
US20240002122A1 (en) 2024-01-04
CL2019000319A1 (es) 2019-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02122A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US10377523B2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US20220242599A1 (en) Package,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for
US11524826B2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CA3082606A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US20220250820A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US20220297911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for
US11807411B2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US20220258941A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US20230348163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US20240116689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KR20230157423A (ko) 물품 캐리어 및 이를 위한 블랭크
CA3222793A1 (en) End closure,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KR20220070230A (ko) 물품 캐리어, 캐리어를 구성하는 블랭크 및 방법
WO2021011444A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WO2020197921A1 (en) Article engagement device, carton and blank therfor
KR20210111793A (ko) 카톤 및 카톤용 블랭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