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034A -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034A
KR20190033034A KR1020180112749A KR20180112749A KR20190033034A KR 20190033034 A KR20190033034 A KR 20190033034A KR 1020180112749 A KR1020180112749 A KR 1020180112749A KR 20180112749 A KR20180112749 A KR 20180112749A KR 20190033034 A KR20190033034 A KR 20190033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equest
user
elevator request
acces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958B1 (ko
Inventor
아르만드 스코빌 브래들리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90033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6Indicators for guiding passengers to their assigned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15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before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53Call registering systems 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using portab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76Call registering systems for checking authorization of the passeng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2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복수의 층을 서비스하는 건물에서 사용되기 위한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은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엘리베이터 요청을 인증하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요청에 자격증명 데이터를 첨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서버와 자격증명 데이터가 첨부된 엘리베이터 요청이 하나 이상의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접근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접근 제어 시스템은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엘리베이터 카는 결정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요청을 서비스하도록 할당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ELEVATOR REQUEST AUTHORIZATION SYSTEM}
다음의 기재는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관련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모바일 엘리베이터 요청 층 인가 시스템과 관련된다.
물리적 보안 및 정보 보안의 분야에서, 접근 제어(AC)가 장소 또는 그 밖의 다른 자원으로의 접근의 선택적 제한이다. 접근 동작은 소비, 입장 또는 사용을 의미할 수 있다. 자원을 접근하기 위한 허가가 인가(authorization)라고 지칭된다.
건물에서, AC는 다양한 사람들에 의한 특정 영역 또는 층으로의 접근을 허가 또는 금지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호텔에서, 호텔 투숙객이 자신의 객실 및 공개 영역으로의 접근 권한을 갖되, 다른 객실 또는 호텔 사무실로의 접근 권한은 갖지 않도록 허가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청소 서비스가 모든 객실로의 접근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어느 경우라도, 건물 내 층들 간 이동이 종종 엘리베이터 베이(elevator bay)에서 만들어진 엘리베이터 요청에 응답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다. 그러나 호텔 투숙객 또는 청소부가 접근 권한을 갖지 않는 호텔 내 층으로의 이동을 요청하는 경우 이들 엘리베이터 요청은 부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복수의 층을 서비스하는 건물 내에서 사용되기 위한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은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엘리베이터 요청을 인증하며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자격증명 데이터를 상기 엘리베이터 요청에 첨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서버, 및 자격증명 데이터가 첨부된 엘리베이터 요청이 하나 이상의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접근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접근 제어 시스템은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결정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요청을 서비스하도록 엘리베이터 카가 할당될 수 있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요청을 인스턴스화하게 하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더 포함한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는 엘리베이터 요청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등록된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접근 제어 시스템은 보안 식별자로 엘리베이터 요청을 생성하는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등록된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가 복수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각각 배차 가능하며, 배차 유닛이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를 복수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차하도록 구성된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접근 제어 시스템은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고 콜 신호를 배차 유닛으로 향하게 하며 배차 유닛으로부터 카 할당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 서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의 복수의 층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 카, 및 엘리베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배차하도록 구성된 배차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에 포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은 건물 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요청을 수신하며 엘리베이터 요청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요청에 자격증명 데이터를 첨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서버, 및 자격증명 데이터가 첨부된 엘리베이터 요청이 하나 이상의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접근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접근 제어 시스템은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결정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요청을 서비스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 중 하나가 배차 유닛을 통해 할당 가능하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은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요청을 인스턴스화하도록 하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더 포함한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컴퓨팅 장치는 엘리베이터 요청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등록된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접근 제어 시스템은 보안 식별자로 엘리베이터 요청을 생성하는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등록된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는 각각 복수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배차 가능하며 배차 유닛이 복수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으로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를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접근 제어 시스템은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며 콜 신호를 배차 유닛으로 향하게 하고 배차 유닛으로부터 카 할당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 서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건물의 복수의 층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기 위해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를 실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엘리베이터 요청을 인증하는 단계, 인증의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요청에 자격증명 데이터를 첨부하는 단계, 자격증명 데이터가 첨부된 엘리베이터 요청을 접근 제어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접근 제어 시스템에서,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엘리베이터 카는 결정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요청을 서비스하도록 할당 가능하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요청은 사용자에 의해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이용해 인스턴스화된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는 엘리베이터 요청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등록된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접근 제어 시스템에서, 보안 식별과 연관된 추가 엘리베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접근 제어 시스템에서, 보안 식별자로 추가 엘리베이터 요청을 생성하는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추가 또는 대안 실시예에 따라, 접근 제어 시스템에서,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결정 결과에 따라, 제4 서버에 의해 수신 가능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및 그 밖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이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으로 간주되는 주제 사항은 명세서의 결론 부분의 청구항에서 구체적으로 지시되고 개별적으로 청구된다. 상기 및 그 밖의 다른 특징, 및 본 발명의 이점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진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르는 건물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르는 도 1의 건물의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르는 도 2의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의 컴퓨팅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이 제공되어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자신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에 대한 보안 인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요청을 만들었는지 또는 라디오 주파수 식별자(RFID) 카드 또는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알려진 보안 자격증명 방법에 의해 엘리베이터 요청을 만들었는지에 무관하게,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은 동일한 자격증명 데이터(credential data)를 보안 시스템으로 라우팅한다. 즉, 스마트폰 사용자는 원격 또는 제1 서버에 등록되고 다른 경우라면 RFID 카드 또는 보안 식별 경우에 사용됐을 것이며 (즉, 스마트폰 사용자가 등록할 때, 건물 관리자 또는 건물 보안 담당자가 사용자 등록을 승인하고 접근 제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것과 동일한 사용자에 대한 자격증명 정보를 입력할 때) 접근 제어 시스템에서 프로그램되는 것과 동일한 자격증명 데이터로 사용자 계정 설정을 완료한다. 등록 후, 스마트폰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엘리베이터 요청을 만들며, 이 요청은 원격 또는 제1 서버로 전송된다. 엘리베이터 요청은 원격 또는 제1 서버에 의해 인증되고 대응하는 자격증명 데이터가 상기 엘리베이터 요청에 첨부(append)된다. 그 후 엘리베이터 요청 및 첨부된 자격증명 데이터가 로컬 또는 제2 서버로 라우팅되고 접근 제어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접근 제어 시스템 내에서,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인가된 층이 검증된다. 그 후 엘리베이터 카 할당이 이뤄질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가 배차된다.
도 1을 참조하여, 건물(10)이 제공된다. 건물(10)은 호텔, 사무 건물, 아파트 건물, 또는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유형의 건물일 수 있고 복수의 층(11) 및 접근 제어 시스템(10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접근 제어 시스템(100)은 건물(10) 내 영역으로의 접근을 금지 또는 허가하도록 구성되며 엘리베이터 시스템(13)을 포함,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통신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3)은 복수의 층(11)을 서비스하기 위해 승강로(14)를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130)와 배차 유닛(dispatcher unit)(15)을 포함한다(도 2). 배차 유닛(15)은 엘리베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130)를 배차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RFID 카드 또는 그 밖의 다른 임의의 형태의 보안 식별자를 건물(10) 전체에 분포되어 있는 판독기(16) 앞에 위치시킴으로써, 또는 이하에서 기재될 바와 같이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요청을 근처 판독기(16)와 연관된 키보드, 키패드 또는 키오스크로 입력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요청이 복수의 층(11)의 각각의 층에서 생성될 수 있다.
도 1을 계속 참조하고 도 2를 추가로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13)은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고 이 결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130)를 배차하는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20)을 더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20)은 건물(10)로부터 원격일 수는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의 휴대용 컴퓨터 장치(22)에 의해 접근 가능한 원격 또는 제1 서버(본 명세서에서 "제1 서버"라고 지칭됨)(21), 건물(10)에 로컬로 위치할 수는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는 로컬 또는 제2 서버(본 명세서에서 "제2 서버"라고 지칭됨)(23), 인터넷 게이트웨이(24) 및 접근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요소(30)를 포함한다. 인터넷 게이트웨이(24)는 제1 서버(21)와 제2 서버(23) 사이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통신 가능하게 위치한다.
사용자의 휴대용 컴퓨팅 장치(22)에 스마트폰, 스마트 시계, 태블릿, 랩톱 컴퓨터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어느 경우라도, 휴대용 컴퓨팅 장치(22)는 사용자와 건물(10)의 엘리베이터 시스템(13) 간 인터페이스를 용이하게 만들기 위한 저장된 애플리케이션(220), 가령, 엘리베이터 요청 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초기에 자신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22)를 제1 서버(21)에 또는 대안 실시예에서, 그 밖의 다른 컴퓨팅 장치, 가령, 제2 서버(23) 또는 접근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요소(30) 중 일부에 등록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220)을 사용한다. 간략성과 간결성을 위해, 다음의 기재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22)가 스마트폰인 경우와 관련될 것이다.
제1 서버(21)는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요청을 수신한다. 엘리베이터 요청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용 컴퓨팅 장치(22)의 애플리케이션(220)을 통해 만들어지고 인스턴스화될 수 있다. 제1 서버(21)에 의해 엘리베이터 요청이 수신되면, 제1 서버(21)는 엘리베이터 요청을 인증하고 인증의 결과에 따라 여기에 자격증명 데이터를 첨부하도록 구성된다. 자격증명 데이터는 사용자의 접근 권한과 연관되며 등록이 완료되면 확립된다.
제2 서버(23)는 인터넷 게이트웨이(24)를 통해 제1 서버(21)로부터 자격증명 데이터가 첨부된 엘리베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자격증명 데이터가 첨부된 엘리베이터 요청을 접근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요소(30)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 접근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요소(30)는 제2 서버(23)로부터 자격증명 데이터가 첨부된 엘리베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자격증명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건물(10)의 복수의 층(11)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의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130)를 할당하여 엘리베이터 요청을 서비스하도록 구성된다. 접근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요소(30)가 유사한 입력 및 알고리즘을 이용해, RFID 카드 또는 그 밖의 다른 임의의 형태의 보안 식별자를 이용해 엘리베이터 요청을 생성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11)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대안적 실시예에 따라, 본 명세서에 기재된 그 밖의 다른 컴퓨팅 장치가 접근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요소(30)의 모든 또는 일부 동작을 완료하도록 배치 및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21) 또는 제2 서버(23)는 자격증명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건물(10)의 복수의 층(11)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고, 이 결정의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요청을 서비스하도록 엘리베이터 카(130)를 할당하며, 유사한 입력 및 알고리즘을 이용해, RFID 카드 또는 그 밖의 다른 임의의 형태의 보안 식별자에 의해 엘리베이터 요청을 생성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11)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도록 배치 및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요소(30)가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130) 및 배차 유닛(15)뿐 아니라 물리적 접근 제어 또는 제3 서버(본 명세서에서 "제3 서버"라고 지칭됨)(31) 및 추가적인 또는 제4 서버(본 명세서에서 "제4 서버"라고 지칭됨)(32)까지 포함한다. 제3 및 제4 서버(31 및 32)가 건물(10)에 대해 원격 또는 로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일부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등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 서버(31)는 자격증명 데이터를 수신하고, 자격증명 데이터를 분석하며, 자격증명 데이터의 분석의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11)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신호(S1)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신호(S1)는 사용자가 접근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11) 중 어느 층인지를 지시 또는 반영한다. 제4 서버(32)는 제2 서버(23)로부터의 자격증명 데이터가 첨부된 엘리베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자격증명 데이터를 제3 서버(31)로 향하게 하고 이로부터 신호(S1)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신호(S1)가 엘리베이터 요청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즉, 엘리베이터 요청이 사용자를 그가 접근하도록 인가되지 않은 층으로 데려갈 경우), 제4 서버(32)가 엘리베이터 요청에 대해 동작하기를 거절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220)으로 거절 통지를 발행하여 사용자가 거부를 알게 될 수 있다.
신호(S1)가 엘리베이터 요청과 일치하는 경우(즉, 엘리베이터 요청이 사용자를 그가 접근하도록 인가된 층으로 데려갈 경우), 제4 서버(32)는 엘리베이터 요청과 일치하는 콜 신호(call signal)(S2)를 배치 유닛(15)으로 향하게 한다. 그 후 상기 배차 유닛(15)은 엘리베이터 카(130)를 배차하여 엘리베이터 요청을 서비스하고 카 할당 신호(S3)를 제4 서버(32)로 발행한다. 제4 서버(32)는 카 할당 신호(S3)를 수신하고 엘리베이터 할당 신호(S4)를 애플리케이션(220)으로 발행하도록 더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엘리베이터 요청을 서비스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130)가 배차되려 함 또는 배차되었음을 알게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각의 컴퓨팅 장치(가령, 휴대용 컴퓨팅 장치(22), 제1 서버(21), 제2 서버(23), 제3 서버(31) 및 제4 서버(32))가 자립형 요소 또는 다른 것과 조합되어 제공되는 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서버(21 및 23)가 하나 이상의 서버로서 제공될 수 있고 제3 및 제4 서버(31 및 32)가 하나 이상의 추가 서버로서 제공될 수 있다. 어느 경우라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각의 컴퓨팅 장치가 일반적으로 중앙 처리 장치(301), 메모리 유닛(302), 및 각각의 컴퓨팅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301)가 타 컴퓨팅 장치와 통신하도록 하는 네트워킹 유닛(303)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302)은 여기에 저장되며, 중앙 처리 장치(301)에 의해 실행되어 다양한 방법, 프로세스 및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실행 명령을 가진다. 이들 방법, 프로세스 및 알고리즘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에서 그리고 하기에서 기재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건물(10)의 복수의 층(11)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3)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라, 방법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22)의 애플리케이션(220)에 의해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201), 엘리베이터 요청을 수신 및 인증하고 그 후 제1 서버(21)에서 인증의 결과에 따라 자격증명 데이터를 상기 엘리베이터 요청에 첨부하는 단계(202), 제1 서버(21)로부터의 자격증명 데이터가 첨부된 엘리베이터 요청을 인터넷 게이트웨이(24)에 의해 제3 서버(23)에서 수신하는 단계(203) 및 제2 서버(23)로부터의 자격증명 데이터가 첨부된 엘리베이터 요청을 접근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요소(30)의 제4 서버(32)로 전달하는 단계(204)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자격증명 데이터를 제4 서버(32)로부터 제3 서버(31)로 향하게 하는 단계(205), 상기 자격증명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의 결과로부터 상기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11) 중 어느 층인지를 제3 서버(31)에서 결정하는 단계 및 신호(S1)를 제4 서버(32)로 다시 발행하는 단계(2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신호(S1)이 엘리베이터 요청과 일치하는 경우(즉, 엘리베이터 요청이 사용자를 그가 접근하도록 인가된 층으로 데려가는 경우), 상기 방법은 엘리베이터 요청과 일치하는 콜 신호(S2)를, 제4 서버(32)로부터 배차 유닛(15)으로 향하게 하는 단계(207), 엘리베이터 요청을 서비스하도록 엘리베이터 카(130)를 배차하고 배차 유닛으로부터의 카 할당 신호(S3)를 배차 유닛(15)에서 제4 서버(32)로 발행하는 단계(208) 및 제4 서버(32)에서 카 할당 신호(S3)를 수신하면, 엘리베이터 할당 신호(S4)를 제4 서버(32)로부터 애플리케이션(220)으로 발행하는 단계(2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단지 제한된 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히 제공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은 앞서 기재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와 어울리는 임의의 수의 변형, 변경, 치환, 또는 균등 배열을 포함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기재되었지만, 예시적 실시예(들)는 기재된 예시적 양태 중 일부만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기재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보이지 않을 것이며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0)

  1.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복수의 층을 서비스하는 건물 내에서 사용되기 위한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은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엘리베이터 요청을 인증하며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자격증명 데이터를 상기 엘리베이터 요청에 첨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서버, 및
    자격증명 데이터가 첨부된 엘리베이터 요청이 하나 이상의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접근 제어 시스템
    을 포함하며, 상기 접근 제어 시스템은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결정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요청을 서비스하도록 엘리베이터 카가 할당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요청을 인스턴스화하게 하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는 엘리베이터 요청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등록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접근 제어 시스템은 보안 식별자로 엘리베이터 요청을 생성하는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등록되는,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가 복수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각각 배차 가능하며,
    배차 유닛이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를 복수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차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시스템은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고 콜 신호를 배차 유닛으로 향하게 하며 배차 유닛으로부터 카 할당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 서버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
  8.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건물의 복수의 층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 카, 및
    엘리베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배차하도록 구성된 배차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에 포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은 건물 내에 배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은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요청을 수신하며 엘리베이터 요청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요청에 자격증명 데이터를 첨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서버, 및
    자격증명 데이터가 첨부된 엘리베이터 요청이 하나 이상의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접근 제어 시스템
    을 포함하며, 상기 접근 제어 시스템은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결정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요청을 서비스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 중 하나가 배차 유닛을 통해 할당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요청을 인스턴스화하도록 하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모바일 컴퓨팅 장치는 엘리베이터 요청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등록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접근 제어 시스템은 보안 식별자로 엘리베이터 요청을 생성하는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등록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 및 배차 유닛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접근 제어 시스템은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며 콜 신호를 배차 유닛으로 향하게 하고 배차 유닛으로부터 카 할당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서버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건물의 복수의 층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기 위한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를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엘리베이터 요청을 인증하는 단계,
    인증의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요청에 자격증명 데이터를 첨부하는 단계,
    자격증명 데이터가 첨부된 엘리베이터 요청을 접근 제어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접근 제어 시스템에서,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엘리베이터 카는 결정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요청을 서비스하도록 할당 가능한,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를 실행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요청은 사용자에 의해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이용해 인스턴스화되는,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를 실행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는 엘리베이터 요청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등록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를 실행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접근 제어 시스템에서, 보안 식별과 연관된 추가 엘리베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접근 제어 시스템에서, 보안 식별자로 추가 엘리베이터 요청을 생성하는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를 실행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를 실행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접근 제어 시스템에서, 자격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인가된 층이 복수의 층 중 어느 층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결정 결과에 따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를 실행하는 방법.
KR1020180112749A 2017-09-20 2018-09-20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 KR102623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10,258 2017-09-20
US15/710,258 US20190084794A1 (en) 2017-09-20 2017-09-20 Elevator request authoriz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034A true KR20190033034A (ko) 2019-03-28
KR102623958B1 KR102623958B1 (ko) 2024-01-11

Family

ID=6366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749A KR102623958B1 (ko) 2017-09-20 2018-09-20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084794A1 (ko)
EP (1) EP3483102B1 (ko)
KR (1) KR102623958B1 (ko)
CN (1) CN109516324A (ko)
AU (1) AU20182329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4622B2 (en) * 2014-12-02 2021-04-20 Inventio Ag Access control system with feedback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0759193B (zh) * 2018-07-27 2022-10-04 奥的斯电梯公司 电梯服务请求的授权管理和授权请求
US20200324998A1 (en) * 2019-04-11 2020-10-15 Otis Elevator Company Management of elevator service
US11209832B2 (en) * 2019-08-18 2021-12-28 Cobalt Robotics Inc. Elevator interactions by mobile robo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6182A1 (en) * 2013-01-25 2014-07-31 Hitachi Elevator Asia Pte Ltd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ft acces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lift acces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7374B1 (en) * 1999-07-21 2004-03-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access security
WO2005040023A1 (ja) * 2003-10-24 2005-05-06 Toshiba Elevator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TR201900727T4 (tr) * 2005-09-30 2019-02-21 Inventio Ag Bir bina alanından yolcuların ve/veya yüklerin transfer edilmesi için asansör sistemi.
FI20060131A0 (fi) * 2006-02-13 2006-02-13 Kone Corp Yhteysjärjestelmä
EP2238067B2 (de) * 2008-01-17 2018-09-12 Inventio AG Aufzugsanlage, verfahren zum bedienen einer solchen aufzugsanlage und verfahren zum nachrüsten einer bestehenden aufzugsanlage zu einer solchen aufzugsanlage
US8070061B2 (en) * 2008-10-21 2011-12-06 Habraken G Wouter Card credential method and system
RU2496144C2 (ru) * 2008-12-18 2013-10-20 Отис Элевэйтор Компан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доступ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дл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ером для перевозки людей
EP2237234A1 (de) * 2009-04-03 2010-10-06 Inventio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ugangskontrolle
FI122260B (fi) * 2010-05-10 2011-11-15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kulkuoikeuksien rajoittamiseksi
JP2014520737A (ja) * 2011-07-15 2014-08-25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カスタマイズされたエレベータ乗客インターフェイス
IN2014DN09110A (ko) * 2012-06-22 2015-05-22 Otis Elevator Co
GB2520445B (en) * 2012-06-22 2018-04-04 Otis Elevator Co Elevator security system
WO2015012787A1 (en) * 2013-07-22 2015-01-29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destination entry system with building security
WO2015039984A1 (de) * 2013-09-18 2015-03-26 Inventio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aufzugssteuerungseinrichtung
WO2017051059A1 (en) * 2015-09-21 2017-03-30 Kone Corporati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manager
US10875741B2 (en) * 2017-09-29 2020-12-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request authorization system for a third party
US10875742B2 (en) * 2017-11-09 2020-12-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ervice request using user device with filtered destination floor sel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6182A1 (en) * 2013-01-25 2014-07-31 Hitachi Elevator Asia Pte Ltd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ft acces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lift ac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958B1 (ko) 2024-01-11
CN109516324A (zh) 2019-03-26
EP3483102B1 (en) 2021-04-07
AU2018232964A1 (en) 2019-04-04
US20190084794A1 (en) 2019-03-21
EP3483102A1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1291B2 (en) Smart building integration and device hub
JP6728390B2 (ja) モバイル訪問者管理
KR102623958B1 (ko) 엘리베이터 요청 인가 시스템
CA2997954C (en) Device enabled identity authentication
JP6658466B2 (ja) 行先階取得装置、エレベータシステム、情報端末、プログラム
US10097543B2 (en) Networked device access control
US10679446B2 (en) Extended instant guest acces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s
EP3492414B1 (en) Elevator request authorization system for a third party
US20070176739A1 (en) Multifunction keyless and cardless method and system of securely operating and managing housing facilities with electronic door locks
US10202256B2 (en) Interfacing destination entry system with building security using switches
US11049346B2 (en) Visitor access control system with radio identification and facial recognition
WO2014116182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ft acces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lift access
US20210039919A1 (en) Call registration system
US11210880B2 (en) Access control system having radio authentication and password recognition
US201702573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legating access rights
CN111192394A (zh) 访客权限管理方法、平台、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US20220254212A1 (en) Systems and techniques to provide smart access capabilities in a smart system environment
KR101146939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44137B1 (ko) 시설물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642381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80045424A (ko) 숙박업소 스마트 출입 시스템
TW202217608A (zh) 可允許訪客暫時性使用之電梯裝置
TWM637719U (zh) 可允許訪客暫時性使用之電梯裝置與電梯管理系統
JP2023094976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