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855A -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855A
KR20190032855A KR1020170121218A KR20170121218A KR20190032855A KR 20190032855 A KR20190032855 A KR 20190032855A KR 1020170121218 A KR1020170121218 A KR 1020170121218A KR 20170121218 A KR20170121218 A KR 20170121218A KR 20190032855 A KR20190032855 A KR 20190032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gnet
intraoral sensor
hou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2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도
김태우
전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언스
Priority to KR102017012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2855A/en
Priority to US15/921,972 priority patent/US11278249B2/en
Publication of KR20190032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8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61B6/14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leless-type intraoral sensor comprising: a sensor panel for generating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X-ray imaging; and a first connector for transmitting the image signal, wherein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magnet or a magnetic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lleviate limitations caused when a conventional cable-type intraoral sensor is used.

Description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ral sensor and an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intraoral sensor,

본 발명은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ral sensor and an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구강내 치아 및 주변조직의 X선 영상을 얻기 위해 최근에는 디지털 방식의 구강내 센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obtain X-ray images of teeth and surrounding tissues in oral cavity, digital oral sensors are mainly used.

구강내 센서를 이용한 종래의 X선 촬영 시스템에서는, 전송케이블이 고정되어 연결된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하여 X선 촬영을 수행하게 되며, X선 촬영에 의해 구강내 센서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는 전송케이블을 통해 진단용 컴퓨터로 전송된다.In a conventional X-ray imaging system using an intraoral sensor, an X-ray imaging is performed using a cable-type intraoral sensor to which a transmission cable is fixedly connected, and an image signal generated from an intraoral sensor by X- And transferred to the diagnostic computer via a transmission cable.

이처럼, 종래의 X선 촬영은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하게 되므로, 구강내 X선 촬영에 있어 편의성이 저하되고 전송케이블의 파손이나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등 여러 제약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conventional X-ray imaging uses a cable-type intraoral sensor, there are various limitations such as reduced convenience for intraoral X-ray imaging and breakage or connection failure of the transmission cable.

본 발명은 종래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함에 따른 제약을 개선하는 것에 과제가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the use of a conventional cable type oral cavity sensor.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X선 촬영에 따라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패널과;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제1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자석이나 자성체를 포함하는 케이블리스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a sensor panel for generating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X-ray photographing; And a first connector for transmitting the video signal, wherein the first connector can provide a cable-less type oral cavity sensor including a magnet or a magnetic body.

상기 제1커넥터가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자석의 자극은 상기 제1커넥터의 노출면을 따라 상기 제1커넥터를 사이에 둔 양측으로 배열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magnet, the magnetic pole of the magnet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or with the first connector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센서패널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1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외부케이스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2커버에 내장되어 상기 제2커버의 일측으로부터 비돌출 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outer case includes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first cover, wherein the first cover includes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May be embedded in the second cover and exposed in a non-protruding form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ver.

상기 제1커넥터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제1접속단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자석이나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first housing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module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may include a magnet or a magnetic body.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구강내 센서와; 상기 구강내 센서가 탈장착되며, 상기 제1커넥터에 대응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한 도킹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1,2커넥터 중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자성체를 포함하는 X선 촬영 시스템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 subject, comprising: an intraoral sensor as described above; And a docking station including a second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where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ncludes a magnet and the other includes a magnet or a magnetic body, System can be provided.

상기 제1,2커넥터 각각이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1커넥터의 자극 배열 방향과 상기 제2커넥터의 자극 배열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In the case wher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ncludes a magnet, the pole array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pole array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도킹스테이션은 제2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외부케이스는, 상기 제1커넥터가 위치하는 상기 구강내 센서의 하부가 삽입되는 요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2외부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요입홈으로부터 비돌출 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Wherein the docking sta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outer case and the second outer case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intraoral sensor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located is inserted, Can be embedded in the outer case and exposed in a non-protruding form from the recess.

상기 제2커넥터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제2접속단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1,2하우징 중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second housing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module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where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includes a magnet and the other includes a magnet or a magnetic body.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구강내 센서와; 상기 구강내 센서에 탈부착되고, 상기 제1커넥터에 대응되는 제3커넥터를 포함한 전송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1,3커넥터 중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자성체를 포함하는 X선 촬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yet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 subject comprising: the intraoral sensor described above; And a transmission cabl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traoral sensor and including a third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wherein one of the connectors 1 and 3 includes a magnet and the other includes a magnet or a magnetic body, System can be provided.

상기 제1,3커넥터 각각이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1커넥터의 자극 배열 방향과 상기 제3커넥터의 자극 배열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In the case where each of the first and third connectors includes a magnet, the pole array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pole array direction of the third connector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제3커넥터는 상기 전송케이블에 내장되어 상기 전송케이블의 말단으로부터 비돌출 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The third connector is embedded in the transmission cable and can be exposed in a non-protruding form from the end of the transmission cable.

상기 제3커넥터는, 제3하우징과 상기 제3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제3접속단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1,3하우징 중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connector includes a third housing and a third connecting terminal module inserted into the third housing, wherein one of the housings includes one magnet and the other one comprises a magnet or a magnetic body.

본 발명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에서는, 케이블리스 방식의 구강내 센서가 사용되고, 구강내 센서가 탈장착되는 도킹스테이션이나, 구강내 센서에 탈부착되는 전송케이블을 사용하여 구강내 센서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ble-less type oral cavity sensor is used, a docking station in which an intraoral sensor is detached and attached, or a transmission cable detachably attached to an intraoral sensor, It can be transferred to a computer.

이에 따라, 구강내 X선 촬영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고 전송케이블의 파손이나 접속 불량이 원천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함에 따른 구강내 X선 촬영의 제약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convenience of oral X-ray imaging can be maximized, and breakage of the transmission cable or connection failure can be fundamentally eliminated. Therefore, the restriction of intraoral x-ray photography by using a conventional cable type oral cavity sensor And can be effectively improved.

또한, 구강내 센서와 도킹스테이션 또는 전송케이블을 결합함에 있어 자력을 이용하여 해당 커넥터들 간을 접속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connecting the intraoral sensor, the docking station, or the transmission cable, the corresponding connectors are connected using the magnetic force.

이에 따라, 커넥터들의 접속단자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커넥터들 간의 접속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This eliminates the problem of erroneous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connectors, so that the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connectors can be ensur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1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킹스테이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2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에 탈부착되는 전송케이블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
1 is a schematic view of an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connector of Fig. 2;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connector of Fig. 4; Fig.
6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a transmission cable detachably attached to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실시예>&Lt; Embodiment 1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n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10)은 구강내 센서(100)와 도킹스테이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X선 촬영 시스템(10)은, X선 촬영시 구강내 센서(100)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분석하여 처리하여 X선 영상을 생성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X-ray imag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raoral sensor 100 and a docking station 200. Although not shown, the X-ray imaging system 10 may further include a computer for receiving the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ntraoral sensor 100 during the X-ray imaging and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image signal to generate the X-ray image have.

구강내 센서(100)는 구강내에 삽입되어 치아 및 주변조직에 대한 X선 검출을 수행하게 된다.The intraoral sensor 10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perform X-ray detection on teeth and surrounding tissues.

구강내 센서(100)로는 X선을 직접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직접 방식 X선 센서나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한 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간접 방식 X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The intraoral sensor 100 may be a direct type X-ray sensor that directly converts an X-ray into an electrical signal, or an indirect type X-ray sensor that converts an X-ray into a visible light and then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특히, 본 실시예의 구강내 센서(100)는 별도의 전송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케이블리스(cableless) 방식의 구강내 센서(100)로서, 구강내 센서(100)는 별도의 전송케이블 연결 없이 독립적인 상태에서 구강내 X선 촬영을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intraoral senso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ableless intraoral sensor 100 in which a separate transmission cable is not connected, and the intraoral sensor 100 is an independent Oral X-rays can be taken in the state.

이를 위해, 구강내 센서(100)는 센서패널과, 인쇄회로기판과, 메모리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intraoral sensor 100 may include a sensor panel, a printed circuit board, a memory, and a battery.

이와 관련하여, 센서패널은 조사된 X선에 따라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에 해당되는데, 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해당 영상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간접 방식의 경우에는 센서패널의 X선 입사면인 센서패널의 전방면 상에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는 형광체인 신틸레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sensor panel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irradiated X-rays, which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image signal. On the other hand, in the indirect method, a scintillator, which is a phosphor for converting X-rays into visible light,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or panel, which is the X-ray incident surface of the sensor panel.

인쇄회로기판은 센서패널의 X선 입사면의 반대면인 후방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는 센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들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에는 타이밍신호를 생성하고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타이밍컨트롤러가 실장될 수 있고, 또한 센서패널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리드아웃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pposite to the X-ray incident surface of the sensor panel, and the driving circuits for driving the sensor panel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For example, a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provided with a timing controller for generating a timing signal and processing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and a lead-out circuit for detecting a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panel may be mounted.

메모리는 케이블리스 상태의 구강내 센서(100)를 사용한 X선 촬영시 발생된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모리는 인쇄회로기판과 별개로 구성되어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박막의 필름 형태로 메모리가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메모리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memory can store the image signal generated during the X-ray photographing using the intraoral sensor 100 in a cable-less state. Such a memory may be arranged separately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for example, a memory may be fabricat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As another example, the memory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배터리는 케이블리스 상태의 구강내 센서(100)를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센서패널, 인쇄회로기판, 메모리에 구동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battery provides a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 intraoral sensor 100 in a cable-less state, and can supply driving power to, for example, a sensor panel,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memory.

위와 같이, 구강내 센서(100)는 내장된 메모리와 배터리를 구비함에 따라, 전송케이블이 사용되지 않는 케이블리스 상태로 구강내 X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traoral sensor 100 is equipped with the built-in memory and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perform intraoral x-ray imaging in a cable-less state in which a transmission cable is not used.

한편, 구강내 센서(100)는, 전술한 전기적 부품들인 센서패널, 인쇄회로기판, 메모리,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둘러싸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외부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traoral sensor 100 may include an outer case 120 for protecting the above-described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a sensor panel, a printed circuit board, a memory, and a battery, from the outside to surround the battery.

일예로, 구강내 센서(100)의 외부케이스(120)인 제1외부케이스(120)는, 구강내 센서(100)의 수광면 측인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인 전방커버 즉 제1커버(121)와, 수광면 반대측인 후방에 위치하는 커버인 후방커버 즉 제2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결합된 제1,2커버(121,122) 내부의 수용공간에 전술한 구강내 센서(100)의 전기적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outer case 120, which is the outer case 120 of the intraoral sensor 100, includes a front cover, that is, a front cover, i.e., a first cover 121, And a rear cover, i.e., a second cover 122, which is a rear cover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light receiving surface. In such a case, the electrical parts of the intraoral sensor 100 described above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first and second covers 121 and 122 coupled thereto.

그리고, 구강내 센서(100)는 후방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제2커버(122)가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된 형태의 후방부 즉 돌출부는 구강내 센서(100)에 대한 파지부로 기능할 수 있다. 이처럼,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 구강내 센서(100)를 단면으로 볼 때, 구강내 센서(100)의 측면은 단차 형태를 갖게 되는데 즉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intraoral sensor 10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art or all of the rear portion protrudes rearward from the front portion, for example, the second cover 122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form. The protruding shape of the rear portion or protrusion can serve as a gripping portion for the intraoral sensor 100. In this case,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the side surface of the intraoral sensor 100 has a stepped shape, that is, a shape in which the front portion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rear portion .

또한, 구강내 센서(100)에는 외부와의 신호전송이나 충전용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 즉 제1커넥터(150)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raoral sensor 10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or, that is, a first connector 150, for transmitting signals to the outside or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여기서, 제1커넥터(150)는 제1외부케이스(120) 내에 수용되고, 제1외부케이스(120)에 형성된 제1커넥터홀(125)을 통해 제1커넥터(150)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or 15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outer case 120 and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or 150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connector hole 125 formed in the first outer case 120 .

이와 같은 제1커텍터(15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킹스테이션(또는 크래들)(200)은 구강내 센서(100)가 장착/탈착(즉, 도킹/언도킹)되는 거치대로서, 장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전송이나 충전용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The docking station (or cradle) 200 is a cradle on which the intraoral sensor 100 is mounted / detached (i.e., docked / undocked),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supply signal transmission or charging power when mounted.

그리고, 도킹스테이션(200)은 구강내 센서(100)에서 전송된 영상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200 may transmit the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traoral sensor 100 to a computer.

이와 관련하여, 구강내 센서(100)가 장착되면, 도킹스테이션(200)은 구강내 센서(100)로부터 영상신호를 전송받고 이 전송된 영상신호를 유선 방식이나 무선 방식으로 컴퓨터에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도킹스테이션(200)은 구강내 센서(100)와 컴퓨터 간에 신호 전송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regard,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is mounted, the docking station 200 may receive an image signal from the intraoral sensor 100 and transmit the transmitted image signal to the computer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s such, the docking station 200 can perform a function of relay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intraoral sensor 100 and the computer.

이와 같은 도킹스테이션(200)은 구강내 센서(100)에서 전송된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The docking station 200 may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imag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intraoral sensor 100.

도킹스테이션(200)은 내부 부품들을 수용하는 외부케이스(220)인 제2외부케이스(220)를 구비하며, 제2외부케이스(220)는 바닥면 측인 하부에 위치하는 커버인 하부커버 즉 제3커버(221)와, 바닥면 반대측인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인 상부커버 즉 제4커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ocking station 200 includes a second outer case 220 that is an outer case 220 for receiving internal components and a second outer case 220 is a bottom cover, A cover 221, and an upper cover, i.e., a fourth cover 222, which is a cover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이와 같은 도킹스테이션(200)에는 구강내 센서(100)와의 신호전송이나 충전용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 즉 제2커넥터(25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docking station 20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or 250 for transmitting signals to the intraoral sensor 100 or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여기서, 제2커넥터(250)는 제2외부케이스(220) 내에 수용되고, 제2외부케이스(220)에 형성된 제2커넥터홀(225)을 통해 제2커넥터(250)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or 25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outer case 220 and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or 250 is exposed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hole 225 formed in the second outer case 220 .

이와 같은 제2커넥터(250)는 이에 대응되는 구강내 센서(100)의 제1커넥터(1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신호전송이나 충전을 수행하게 된다.The second connector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50 of the corresponding intraoral sensor 100 to perform signal transmission or charging.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1,2커넥터(150,250) 간의 안정적인 접속을 구현하기 위해 자력을 이용하게 된다.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magnetic force is used to realize a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제1,2커넥터(150,250) 중 하나에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자석이나 자기장에 자화되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제1,2커넥터(150,250)가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In this regard, for exampl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and the other may include a magnet or a magnetic body magnetized in a magnetic field, The connectors 150 and 250 can be stably connected.

여기서, 커넥터에 사용되는 자석으로서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Here, a permanent magnet or an electromagnet may be used as the magnet used in the connector.

그리고, 제1,2커넥터(150,250)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석의 2개의 자극(즉, N극 및 S극)의 배열 방향(또는 자기장 방향)은 해당 커넥터의 노출면(또는 커넥터 간의 접합면)에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2커넥터(150,250)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석의 2개의 자극(즉, N극 및 S극)의 배열 방향(또는 자기장 방향)은 해당 커넥터의 노출면(또는 커넥터 간의 접합면)을 따라 해당 커넥터를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N극 및 S극 중 하나는 좌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하나는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arrangement direction (or magnetic field direction) of the two magnetic poles of the magnets used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that is, N poles and S poles)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arrangement direction (or magnetic field direction) of the two magnetic poles (i.e., N poles and S poles) of the magnet used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Plane), with one of the N and S poles being located on the left and the other on the right.

한편, 제1,2커넥터(150,250) 중 나머지 하나 또한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1커텍터(150)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일예로, N극->S극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으로)과 제2커넥터(250)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일예로, N극->S극 방향이 우측에서 좌측으로)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when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also uses a magnet, the magnetic pole array direction of the magnet of the first connector 150 (for example, N pole- > S pole direction is changed from left to right (For example, N pole - > S pole direction from right to left) of the magnets of the first connector 250 and the second connector 250 are opposite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자극의 방향성이 설정되면 제1,2커넥터(150,250)의 서로 대응되는 접속단자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자력에 의해 제1,2커넥터(150,250)가 올바르게 접속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directionality of the magnetic pole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can be properly connected by the magnetic force by eliminating the problem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are incor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하, 도 2 내지 4를 함께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와 도킹스테이션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intraoral sensor and th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킹스테이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2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connector of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connector of FIG.

먼저, 구강내 센서(100)를 살펴보면, 이는 내부 부품을 수용하는 제1외부케이스(120)를 구비하고, 제1외부케이스(120)는 수광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고 결합되는 제1커버(121)와 제2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intraoral sensor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outer case 120 for receiving an inner component, and the first outer case 120 is provided with a first And may include a cover 121 and a second cover 122.

이때, 제2커버(122)는 수광방향 즉 후방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커버(122)의 일측면에는 제1커넥터(150)를 노출하는 제1커넥터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넥터(150)는 실질적으로 제1커넥터홀(125)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형태 즉 비돌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 제1커넥터(150)를 제2커넥터(250)에 결합/탈거하는 과정 등에서 손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비돌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1커넥터(1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cover 122 may protrude in the light receiving direction, that is, the rear direction, and a first connector hole 125 exposing the first connector 15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ver 122 .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nector 150 is substantially not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nnector hole 125, that is, it is not protru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when the first connector 150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damage may occur in a process of joining / removing the first connector 150 to / from the second connector 250, 1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그리고, 제1커버(121)는 제2커버(122)에 비해 평면적이 크도록 형성되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또는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1커넥터홀(125)이 형성된 위치의 제1커버(121)의 외측 돌출 부분인 외연부분(121a)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121 may be formed to be larger in planar size than the second cover 122 and protrude outwardly (or extended) from the second cover 122, An outer edge portion 121a which is an outer projecting portion of the first cover 121 can be formed.

제1커넥터(150)는, 이의 실질적인 외형을 정의하는 지지체인 제1하우징(151)과, 제1하우징(151) 내에 삽입되는 제1접속단자모듈(15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or 15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151 that is a support defining a substantial contour thereof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module 153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151.

그리고, 제1커넥터(150)는 제1하우징(151)의 일단인 상단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형상의 제1씰부재(155)와, 제1접속모듈(151)의 타단인 하단에 부착되어 방수기능을 제공하는 제2씰부재(15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씰부재(155)는 실리콘(silicone)과 같이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2씰부재(157)는 에폭시(epoxy)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irst connector 150 is attached to a ring-shaped first seal member 155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using 151 and a low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module 151 And a second seal member 157 for providing a waterproof function. Here, the first seal member 155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silicone, but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seal member 157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epox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접속단자모듈(153)은 제1몰드(153b)와 이에 내삽되며 일단인 상단이 노출된 상태의 핀 형상의 다수의 제1접속단자(15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몰드(153b)에는 다수의 홀(153b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제1접속단자(153a)는 제1몰드(153b)의 해당 홀(153b1)에 일부가 삽입됨에 있어 상단이 외부(즉, 상단측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해당 홀(153b1)을 통해 노출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odule 153 may include a first mold 153b and a plurality of pin-shaped first connection terminals 153a which are inserted into the first mold 153b and are exposed at one end. A plurality of holes 153b1 may be formed in the first mold 153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153a may b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holes 153b1 of the first mold 153b The upper end can be coupled with the hole 153b1 without being protrud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upper side outside) while being partially inserted.

위와 같이 구성된 제1커넥터(150)를 조립하고 이를 제1커넥터홀(125)에 체결하게 된다.The first connector 1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sembled and fastened to the first connector hole 125.

다음으로, 도킹스테이션(200)을 살펴보면, 이는 내부 부품을 수용하는 제2외부케이스(220)를 구비하고, 제2외부케이스(220)는 구강내 센서(100)의 삽입방향(또는 장착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고 결합되는 제3커버(221)와 제4커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200 includes a second outer case 220 for receiving the inner components and a second outer case 220 for supporti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intraoral sensor 100, A third cover 221 and a fourth cover 222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cover 220 and the second cover 220, respectively.

이때, 상부에 위치하는 제4커버(222)에는, 구강내 센서(100) 장착시 이의 일부분으로서 제1커넥터(150)가 위치하는 하부가 삽입되는 요입홈(22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요입홈(227) 내에는 제2커넥터(250)를 노출하는 제2커넥터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요입홈(227)을 덮는 덮개(229)가 제4커버(222)에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urth cover 222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may be provided with a concave groove 227 into which the lower part, where the first connector 150 is positioned, is inserted as a part thereof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is mounted. A second connector hole 225 may be formed in the concave groove 227 to expose the second connector 250. On the other hand, a cover 229 covering the concave groove 227 may be provided on the fourth cover 222. [

여기서, 요입홈(227)은 구강내 센서(100)가 삽입되는 하부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요입홈(227)은 단차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인데, 외연부분(121a)를 포함한 제1커버(121)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1깊이의 제1홈영역(227a)과, 제1커넥터(150)가 배치된 제2커버(122)의 하부가 삽입되며 제1깊이보다 낮은 제2깊이의 제2홈영역(227b)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ave groove 227 is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lower portion into which the intraoral sensor 100 is inserted. Accordingly, the concave groove 227 can be formed to have a stepped structure. The concave groove 227 has a first groove region 227a of a first depth into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121 including the outer edge portion 121a is inserted, And a second groove region 227b having a second depth lower than the first depth in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ver 122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50 is disposed is inserted.

이때, 제2홈영역(227b)에는 제2커넥터(250)가 배치된 제2커넥터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econd connector hole 225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250 is dispose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groove region 227b.

제2커넥터(250)는 실질적으로 제2커넥터홀(225)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형태 즉 비돌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 제1커넥터(150)를 제2커넥터(250)에 결합/탈거하는 과정 등에서 손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비돌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2커넥터(2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250 is preferably substantially non-protruding from the second connector hole 225,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when the first connector 150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damage may occur in a process of joining / removing the first connector 150 to / from the second connector 250, 2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제2커넥터(250)는, 이의 실질적인 외형을 정의하는 지지체인 제2하우징(251)과, 제2하우징(251) 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접속단자모듈(25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or 250 may include a second housing 251 that is a support defining its substantial outer shape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module 253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251.

그리고, 제2커넥터(250)는 제2하우징(251)의 하단과 제2접속단자모듈(253)의 외연부 사이에 삽입 부착되는 링형상의 제3씰부재(2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씰부재(255)는 에폭시(epoxy)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econd connector 250 may include a ring-shaped third seal member 255 inser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ousing 251 and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module 253. Here, the third seal member 255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epox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접속단자모듈(253)은 제2몰드(253b)와 이에 내삽되며 일단인 상단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의 핀 형상의 다수의 제2접속단자(25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몰드(253b)에는 다수의 홀(253b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제2접속단자(253a)는 제2몰드(253b)의 해당 홀(253b1)에 삽입됨에 있어 상단이 외부(즉, 상단측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module 253 may include a second mold 253b and a plurality of pin-shape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53a which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mold 253b and have one end protruding outward. In this regard, a plurality of holes 253b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mold 253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53a may b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holes 253b1 of the second mold 253b The upper end may protrude to the outside (that is, the upper side outside) to be engaged in the exposed state.

여기서, 제2접속단자(253a)로는 내부의 스프링 등을 매개로 말단부가 일정 정도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보임으로써 외력에 대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실리더 형태의 포고(Pogo)핀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1,2접속단자(153a,253b)는 도면과 달리 서로 반대형상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53a may be a Pogo pin having a cylindrical shap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53a with respect to an external force by showing a certain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at a distal end thereof via an internal spring. But is not limited to.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153a and 253b may be formed to have opposite shapes from each other.

위와 같이 구성된 제2커넥터(250)를 조립하고 이를 제2커넥터홀(225)에 체결하게 된다.The second connector 2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sembled and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or hole 225.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커넥터(150)의 제1하우징(151)과 제2커넥터(250)의 제2하우징(251) 중 하나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자기장에 자화되는 자성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first housing 151 of the first connector 150 and the second housing 251 of the second connector 250 may be formed using a magnet that generates a magnetic force And the other one may be formed using a magnet or a magnetic material magnetized in a magnetic field.

여기서, 제1,2하우징(151,251)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석의 2개의 자극(즉, N극 및 S극)의 배열 방향(또는 자기장 방향)은 해당 커넥터의 노출면(또는 커넥터 간의 접합면)에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자석의 2개의 자극의 배열 방향은 제1,2커넥터(150,250)의 결합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자석의 N극 및 S극은 해당 하우징의 좌측 및 우측에 분할되어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arrangement direction (or magnetic field direction) of the two magnetic poles (that is, N poles and S poles) of the magnet used fo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51 and 251 is the exposed surface (or the joint surface between the connectors)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wo magnetic poles of the magnet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For example, the N-pole and the S-pole of the magnet can be divided and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한편, 제1,2하우징(151,251) 중 나머지 하나 또한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1하우징(151)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과 제2하우징(251)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은 제1,2하우징(151,251)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51 and 251 also uses a magnet, the magnet array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 of the first housing 151 and the magnet array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 of the second housing 251,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housings 151 and 251 are oriented so as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y face each other.

위와 같이 자극의 방향성이 설정되면 제1,2커넥터(150,250)는 자력에 의해 올바른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접속단자(153a,253a)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제1,2커넥터(150,250)가 올바르게 접속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directionality of the magnetic pole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can be coupled in the correct direction by the magnetic force,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are incorrectly connected between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terminals 153a and 253a,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can be properly connected.

더욱이, 도킹스테이션(200)에는 구강내 센서(100) 장착시 구강내 센서(100)의 하부가 삽입되는 요입홈(227)을 구비하게 되므로, 이 장착 구조에 의해 제1,2커넥터(150,250)의 접속 방향성이 확보되어 제1,2커넥터(150,250) 간의 접속 안정성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The docking station 200 is provided with the concave groove 227 in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intraoral sensor 100 is inserted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is mounted. And the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can be further improved.

<제2실시예>&Lt; Embodiment 2 >

한편, 전술한 구강내 센서(100)는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식 전송케이블을 통해 컴퓨터에 필요에 따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traoral sensor 100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computer via a detachable detachable transfer cable as needed, and reference is made to FIG. 6 in this regard.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에 탈부착되는 전송케이블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a transmission cable detachably attached to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6을 살펴보면, 탈부착식 전송케이블(300)의 일단에는 구강내 센서(100)의 제1커넥터(150)에 결합되어 접속되는 제3커넥터(350)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a third connector 350 coupled to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50 of the intraoral sensor 10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detachable transfer cable 300.

여기서, 제3커넥터(350)는 제1실시예의 도킹스테이션(200)에 구비된 제2커넥터(2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커넥터(35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 the third connector 350 may b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connector 250 provided in the docking station 200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hird connector 350 will be omitted Can be omitted.

제3커넥터(350)는 전송케이블(300)의 일단에 형성된 커넥터케이스(320) 내에 내삽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비돌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처럼, 비돌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3커넥터(3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third connector 350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connector case 320 formed at one end of the transmission cable 300 and is not protruded outward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connector 3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non-protruding configuration.

이와 같은 제3커넥터(350)는, 제1실시예의 제2커넥터(25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의 실질적인 외형을 정의하는 지지체인 제3하우징과, 제3하우징 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3접속단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Such a third connector 350 can be configured similar to the second connector 250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ing a third housing, which is a support defining a substantial contour thereof, And a third connection terminal module.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1커넥터(150)의 제1하우징과 제3커넥터(350)의 제3하우징 중 하나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자기장에 자화되는 자성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first housing of the first connector 150 and the third housing of the third connector 350 may be formed using a magnet that generates a magnetic force, and the other may be a magnet or a magnetic field And the like.

여기서, 제1,3하우징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석의 2개의 자극(즉, N극 및 S극)의 배열 방향(또는 자기장 방향)은 해당 커넥터의 노출면(또는 커넥터 간의 접합면)에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arrangement direction (or magnetic field direction) of the two magnetic poles (that is, N poles and S poles) of the magnet used for one of the first and third housings is parallel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connector Lt; / RTI &gt;

한편, 제1,3하우징 중 나머지 하나 또한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1하우징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과 제3하우징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은 제1,3하우징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third housings is also used,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magnetic poles of the magnet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magnetic poles of the magnet of the third housing are such that the first and third housings face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impart a directionality so as to be in the opposite direction.

위와 같이 자극의 방향성이 설정되면 제1,3커넥터는 자력에 의해 올바른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접속단자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제1,3커넥터가 올바르게 접속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pole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third connectors can be coupled in the correct direction by the magnetic force,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that the first and third connectors are incor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

특히, 전송케이블(350)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전송케이블(350)을 구강내 센서(100)에 올바르게 결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상당히 빈번하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the transmission cable 350, it is quite frequent that the user feels difficulty in correctly coupling the transmission cable 350 to the intraoral sensor 100. [

따라서, 자력을 이용한 커넥터 간의 결합은 본 실시예와 같이 전송케이블(350)을 사용하는 경우에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Therefore,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using the magnetic force can be more effective when the transmission cable 350 is used as in this embodimen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에서는, 케이블리스 방식의 구강내 센서가 사용되고, 구강내 센서가 탈장착되는 도킹스테이션이나, 구강내 센서에 탈부착되는 전송케이블을 사용하여 구강내 센서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le-less type oral cavity sensor is used, a docking station in which an intraoral sensor is detached and attached, or a transmission cable detachably attached to an intraoral sensor The image signal generated from the intraoral sensor can be transmitted to the computer.

이에 따라, 구강내 X선 촬영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고 전송케이블의 파손이나 접속 불량이 원천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함에 따른 구강내 X선 촬영의 제약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convenience of oral X-ray imaging can be maximized, and breakage of the transmission cable or connection failure can be fundamentally eliminated. Therefore, the restriction of intraoral x-ray photography by using a conventional cable type oral cavity sensor And can be effectively improved.

또한, 구강내 센서와 도킹스테이션 또는 전송케이블을 결합함에 있어 자력을 이용하여 해당 커넥터들 간을 접속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connecting the intraoral sensor, the docking station, or the transmission cable, the corresponding connectors are connected using the magnetic force.

이에 따라, 커넥터들의 접속단자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커넥터들 간의 접속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This eliminates the problem of erroneous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connectors, so that the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connectors can be ensured.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정신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등가되는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X선 촬영 시스템 100: 구강내 센서
120: 제1외부케이스 121: 제1커버
122: 제2커버 125: 제1커넥터홀
150: 제1커넥터 151: 제1하우징
153: 제1접속단자모듈 153a: 제1접속단자
153b: 제1몰드 155: 제1씰부재
157: 제2씰부재 200: 도킹스테이션
220: 제2외부케이스 221: 제3커버
222: 제4커버 125: 제2커넥터홀
250: 제2커넥터 251: 제2하우징
253: 제2접속단자모듈 253a: 제2접속단자
253b: 제2몰드 255: 제3씰부재
300: 전송케이블 320: 커넥터케이스
350: 제3커넥터
10: X-ray imaging system 100: intraoral sensor
120: first outer case 121: first cover
122: second cover 125: first connector hole
150: first connector 151: first housing
153: first connection terminal module 153a: first connection terminal
153b: first mold 155: first seal member
157: second seal member 200: docking station
220: second outer case 221: third cover
222: fourth cover 125: second connector hole
250: second connector 251: second housing
253: second connection terminal module 253a: second connection terminal
253b: second mold 255: third seal member
300: transmission cable 320: connector case
350: third connector

Claims (12)

케이블리스(cableless) 방식의 구강내 센서로서,
X선 촬영에 따라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패널과;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제1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자석이나 자성체를 포함하는
구강내 센서.
As a cable-less oral sensor,
A sensor panel for generating a video signal according to X-ray radiography;
And a first connector for transmitting the video signal,
Wherein the first connector comprises a magnet or a magnetic body
Oral senso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가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자석의 자극은 상기 제1커넥터의 노출면을 따라 상기 제1커넥터를 사이에 둔 양측으로 배열되는
구강내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magnet, the magnetic pole of the magnet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or, across the first connector, alo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Oral senso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패널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1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외부케이스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2커버에 내장되어 상기 제2커버의 일측으로부터 비돌출 형태로 노출된
구강내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st outer case for receiving the sensor panel therein,
Wherein the first outer case includes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first cover,
Wherein the first connector is embedded in the second cover and is expose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ver in a non-
Oral senso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제1접속단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자석이나 자성체를 포함하는
구강내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first housing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module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Wherein the first housing includes a magnet or a magnetic body
Oral sensor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하나의 구강내 센서와;
상기 구강내 센서가 탈장착되며, 상기 제1커넥터에 대응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한 도킹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1,2커넥터 중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자성체를 포함하는
X선 촬영 시스템.
An ophthalmic apparatus comprising: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 docking station including a second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wherein the intraoral sensor is detached and attached,
One of the 1,2 connector includes a magnet and the other includes a magnet or a magnetic body
X-ray syste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커넥터 각각이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1커넥터의 자극 배열 방향과 상기 제2커넥터의 자극 배열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X선 촬영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each include a magnet, the magnetic pole array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pole array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are opposite to each other
X-ray syste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스테이션은 제2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외부케이스는, 상기 제1커넥터가 위치하는 상기 구강내 센서의 하부가 삽입되는 요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2외부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요입홈으로부터 비돌출 형태로 노출된
X선 촬영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ocking sta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outer case,
Wherein the second outer case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intraoral sensor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located is inserted,
The second connector is embedded in the second outer case and is exposed from the concave groove in a non-
X-ray syste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제2접속단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1,2하우징 중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자성체를 포함하는
X선 촬영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second housing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module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One of the 1,2 housing includes a magnet and the other includes a magnet or a magnetic body
X-ray system.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하나의 구강내 센서와;
상기 구강내 센서에 탈부착되고, 상기 제1커넥터에 대응되는 제3커넥터를 포함한 전송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1,3커넥터 중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자성체를 포함하는
X선 촬영 시스템.
An ophthalmic apparatus comprising: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 transmission cabl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traoral sensor and including a third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One of the 1,3 connectors includes a magnet and the other includes a magnet or a magnetic body
X-ray syste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3커넥터 각각이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1커넥터의 자극 배열 방향과 상기 제3커넥터의 자극 배열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X선 촬영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n the first and third connectors each include a magnet, the magnetic pole array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pole array direction of the third connector are opposite to each other
X-ray syste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커넥터는 상기 전송케이블에 내장되어 상기 전송케이블의 말단으로부터 비돌출 형태로 노출된
X선 촬영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hird connector is embedded in the transmission cable and is exposed from the end of the transmission cable in a non-
X-ray syste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커넥터는, 제3하우징과 상기 제3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제3접속단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1,3하우징 중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자성체를 포함하는
X선 촬영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hird connector includes a third housing and a third connection terminal module inserted into the third housing,
Wherein one of the housings comprises a magnet and the other comprises a magnet or a magnetic body
X-ray system.
KR1020170121218A 2017-03-15 2017-09-20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9003285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18A KR20190032855A (en) 2017-09-20 2017-09-20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5/921,972 US11278249B2 (en) 2017-03-15 2018-03-15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18A KR20190032855A (en) 2017-09-20 2017-09-20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890A Division KR102194030B1 (en) 2019-10-07 2019-10-07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55A true KR20190032855A (en) 2019-03-28

Family

ID=6590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218A KR20190032855A (en) 2017-03-15 2017-09-20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285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625A1 (en) * 2020-05-22 2021-11-25 (주)큐라움 Dental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same
KR20210144538A (en) * 2020-05-22 2021-11-30 (주)큐라움 Dental mor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rewit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625A1 (en) * 2020-05-22 2021-11-25 (주)큐라움 Dental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same
KR20210144538A (en) * 2020-05-22 2021-11-30 (주)큐라움 Dental mor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rewi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1574B2 (en) Video image connection system
CN106886089B (en) Endoscope with a detachable handle
KR101915146B1 (en) Intra-oral sensor, cradle, and intra-oral sensing system
US20180070803A1 (en) Imaging device and endoscope system
US11278249B2 (en)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using the same
EP1932464A1 (en) Electronic endoscope system
US8320525B2 (en) Digital radiography sensors
KR20190032855A (en)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50077298A (en) The intra-oral x-ray detecting device
JP2007081492A (en) Received information transfer apparatus, receiver and received information transfer system
KR102194030B1 (en)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JP6594660B2 (en) Medical camera head and medical camera device
CN110088979B (en) Electronic device
KR101993179B1 (en) intraoral sensor
KR20130040349A (en) Detachable type wireless and wire medical image dianostic apparatus
KR102157251B1 (en)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7115088B (en) Endoscope with a detachable handle
JP2020010825A (en) Imaging unit for endoscope and endoscope
JPH10314113A (en) Electric connector for electronic endoscope
JP5356602B2 (en) Dental intraoral X-ray imaging system
KR20230020854A (en) Intraoral sensor holding assembly and intraoral sensor holder used therefor
KR101140875B1 (en) Endoscope camera
CN211704558U (en) Magnetic control structure of capsule endoscope
JP2001128936A (en) Electronic endoscope device
CN211432797U (en) Capsule endoscope and capsule endoscop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