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030B1 -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030B1
KR102194030B1 KR1020190123890A KR20190123890A KR102194030B1 KR 102194030 B1 KR102194030 B1 KR 102194030B1 KR 1020190123890 A KR1020190123890 A KR 1020190123890A KR 20190123890 A KR20190123890 A KR 20190123890A KR 102194030 B1 KR102194030 B1 KR 102194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traoral sensor
cover
magne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20110A (en
Inventor
김정도
김태우
전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언스
Priority to KR1020190123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030B1/en
Publication of KR20190120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1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4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 A61B6/145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by intraoral means
    • A61B6/51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X선 촬영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센서패널과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커넥터를 포함하는 구강 내 센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대응되는 제 2 커넥터가 구비되어 상기 구강 내 센서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강 내 센서는 상기 제 1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 자극이 배열되는 제 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2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 자극이 배열되는 제 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전송케이블이고, 상기 제 1, 2 커넥터의 연결구조는 상기 제 1, 2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대칭인 X선 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raoral sensor including a sensor panel for generating an X-ray image signal and a first connector for transmitting the image signal; A second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connection means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intraoral sensor, and the intraoral sensor includes a first magnet having opposite magnetic pole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or. Including,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includes a second magnet in which opposite magnetic pole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or, the connecting means is a transmission cable,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t provides an X-ray imaging system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Figure 112019102170645-pat00001
Figure 112019102170645-pat00001

Description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ral sensor and an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구강내 치아 및 주변조직의 X선 영상을 얻기 위해 최근에는 디지털 방식의 구강내 센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digital intraoral sensors are mainly used to obtain X-ray images of teeth and surrounding tissues in the oral cavity.

구강내 센서를 이용한 종래의 X선 촬영 시스템에서는, 전송케이블이 고정되어 연결된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하여 X선 촬영을 수행하게 되며, X선 촬영에 의해 구강내 센서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는 전송케이블을 통해 진단용 컴퓨터로 전송된다.In the conventional X-ray imaging system using an intraoral sensor, X-ray imaging is performed using an intraoral sensor of a cable type connected to which a transmission cable is fixed, and the image signal generated from the intraoral sensor by X-ray imaging is It is transmitted to a diagnostic computer through a transmission cable.

이처럼, 종래의 X선 촬영은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하게 되므로, 구강내 X선 촬영에 있어 편의성이 저하되고 전송케이블의 파손이나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등 여러 제약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conventional X-ray imaging uses a cable-type intraoral sensor, there are problems in that convenience is deteriorated in intraoral X-ray imaging, and there are various limitations such as damage or poor connection of a transmission cable.

본 발명은 종래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함에 따른 제약을 개선하는 것에 과제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in improving the constraints caused by using the conventional cable type intraoral sensor.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X선 촬영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센서패널과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커넥터를 포함하는 구강 내 센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대응되는 제 2 커넥터가 구비되어 상기 구강 내 센서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강 내 센서는 상기 제 1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 자극이 배열되는 제 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2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 자극이 배열되는 제 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전송케이블이고, 상기 제 1, 2 커넥터의 연결구조는 상기 제 1, 2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대칭인 X선 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raoral sensor including a sensor panel for generating an X-ray image signal and a first connector for transmitting the image signal; A second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connection means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intraoral sensor, and the intraoral sensor includes a first magnet having opposite magnetic pole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or. Including,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includes a second magnet in which opposite magnetic pole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or, the connecting means is a transmission cable,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t provides an X-ray imaging system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상기 센서패널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1 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외부케이스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버에 내장되어 상기 제 2 커버의 일측으로부터 비돌출 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The first outer case further includes a first outer case accommodating the sensor panel therein, wherein the first outer case includes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first cover, and the first connector May be embedded in the second cover and exposed in a non-protruding form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ver.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제 1 접속단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may include a first housing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module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may include the first magnet.

상기 제 2 커넥터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삽입되는 제 2 접속단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2 하우징은 상기 제 2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may include a second housing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module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may include the second magnet.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전송케이블에 내장되어 상기 전송케이블의 말단으로부터 비돌출 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may be embedded in the transmission cable and exposed in a non-protruding form from an end of the transmission cable.

본 발명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에서는, 케이블리스 방식의 구강내 센서가 사용되고, 구강내 센서가 탈장착되는 도킹스테이션이나, 구강내 센서에 탈부착되는 전송케이블을 사용하여 구강내 센서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bleless intraoral sensor is used, a docking station in which the intraoral sensor is attached, or a transmission cable attached to the intraoral sensor is used to transmit the image signal generated from the intraoral sensor. Can be transferred to a computer.

이에 따라, 구강내 X선 촬영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고 전송케이블의 파손이나 접속 불량이 원천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함에 따른 구강내 X선 촬영의 제약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nvenience of intraoral X-ray imaging can be maximized, and damage or connection failure of the transmission cable can be fundamentally eliminated. Therefore, the restriction of intraoral X-ray imaging due to the use of the conventional cable-type intraoral sensor is eliminated. You can improve effectively.

또한, 구강내 센서와 도킹스테이션 또는 전송케이블을 결합함에 있어 자력을 이용하여 해당 커넥터들 간을 접속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connecting the intraoral sensor and the docking station or transmission cable, the connectors are connected using magnetic force.

이에 따라, 커넥터들의 접속단자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커넥터들 간의 접속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oblem of erroneous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connectors is eliminated, and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connectors can be ensur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1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킹스테이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2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에 탈부착되는 전송케이블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connector of Figure 2;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connector of Figure 4;
6 is a view showing a case of using a transmission cable detachable to the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실시예><First 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10)은 구강내 센서(100)와 도킹스테이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X선 촬영 시스템(10)은, X선 촬영시 구강내 센서(100)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분석하여 처리하여 X선 영상을 생성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X-ray imag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raoral sensor 100 and a docking station 200.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X-ray imaging system 10 may further include a computer for generating an X-ray image by receiving an image signal generated from the intraoral sensor 100 during X-ray photography, analyzing it, and processing it. have.

구강내 센서(100)는 구강내에 삽입되어 치아 및 주변조직에 대한 X선 검출을 수행하게 된다.The intraoral sensor 10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perform X-ray detection of teeth and surrounding tissues.

구강내 센서(100)로는 X선을 직접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직접 방식 X선 센서나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한 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간접 방식 X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As the intraoral sensor 100, a direct X-ray sensor that directly converts X-rays into electrical signals or an indirect X-ray sensor that converts X-rays into visible light and then converts them into electrical signals may be used.

특히, 본 실시예의 구강내 센서(100)는 별도의 전송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케이블리스(cableless) 방식의 구강내 센서(100)로서, 구강내 센서(100)는 별도의 전송케이블 연결 없이 독립적인 상태에서 구강내 X선 촬영을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intraoral sensor 100 of this embodiment is a cableless intraoral sensor 100 in which a separate transmission cable is not connected, and the intraoral sensor 100 is an independent sensor 100 without a separate transmission cable connection. X-rays can be taken in the oral cavity under the condition.

이를 위해, 구강내 센서(100)는 센서패널과, 인쇄회로기판과, 메모리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intraoral sensor 100 may include a sensor panel, a printed circuit board, a memory, and a battery.

이와 관련하여, 센서패널은 조사된 X선에 따라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에 해당되는데, 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해당 영상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간접 방식의 경우에는 센서패널의 X선 입사면인 센서패널의 전방면 상에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는 형광체인 신틸레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sensor panel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generates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irradiated X-rays, which is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that generate and output the corresponding image signal.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indirect method, a scintillator, which is a phosphor converting X-rays into visible light,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or panel, which is an X-ray incident surface of the sensor panel.

인쇄회로기판은 센서패널의 X선 입사면의 반대면인 후방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는 센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들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에는 타이밍신호를 생성하고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타이밍컨트롤러가 실장될 수 있고, 또한 센서패널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리드아웃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pposite to the X-ray incident surface of the sensor panel, and driving circuits for driving the sensor panel may be mounted thereon. For example, a timing controller for generating a timing signal and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image signal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readout circuit for detecting the image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panel may be mounted.

메모리는 케이블리스 상태의 구강내 센서(100)를 사용한 X선 촬영시 발생된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모리는 인쇄회로기판과 별개로 구성되어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박막의 필름 형태로 메모리가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메모리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memory may store an image signal generated during X-ray imaging using the intraoral sensor 100 in a cableless state. Such a memory may be configured and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For example, the memory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As another example, the memory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배터리는 케이블리스 상태의 구강내 센서(100)를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센서패널, 인쇄회로기판, 메모리에 구동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battery provides power for operating the intraoral sensor 100 in a cableless state. For example, it may provide driving power to a sensor panel,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memory.

위와 같이, 구강내 센서(100)는 내장된 메모리와 배터리를 구비함에 따라, 전송케이블이 사용되지 않는 케이블리스 상태로 구강내 X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traoral sensor 100 has a built-in memory and a battery, it is possible to perform intraoral X-ray imaging in a cableless state in which a transmission cable is not used.

한편, 구강내 센서(100)는, 전술한 전기적 부품들인 센서패널, 인쇄회로기판, 메모리,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둘러싸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외부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traoral sensor 100 may include an outer case 120 that surrounds the above-described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a sensor panel, a printed circuit board, a memory, and a battery to be accommodated therein and protects it from the outside.

일예로, 구강내 센서(100)의 외부케이스(120)인 제1외부케이스(120)는, 구강내 센서(100)의 수광면 측인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인 전방커버 즉 제1커버(121)와, 수광면 반대측인 후방에 위치하는 커버인 후방커버 즉 제2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결합된 제1,2커버(121,122) 내부의 수용공간에 전술한 구강내 센서(100)의 전기적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outer case 120, which is the outer case 120 of the intraoral sensor 100, is a front cover, that is, the first cover 121, which is a cover located in front of the light-receiving surface side of the intraoral sensor 100 And, it may include a rear cover, that is, a second cover 122, which is a cover positioned at the rear opposite the light-receiving surface. In such a case, the electrical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intraoral sensor 1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combined first and second covers 121 and 122.

그리고, 구강내 센서(100)는 후방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제2커버(122)가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된 형태의 후방부 즉 돌출부는 구강내 센서(100)에 대한 파지부로 기능할 수 있다. 이처럼,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 구강내 센서(100)를 단면으로 볼 때, 구강내 센서(100)의 측면은 단차 형태를 갖게 되는데 즉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intraoral sensor 10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part or all of the rear part protrudes from the front part to the rear, for example, the second cover 122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form. In this way, the protruding rear portion, that is, the protruding portion may function as a gripping portion for the intraoral sensor 100. In this way, when configured in a protruding shape,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is viewed in cross section, the side of the intraoral sensor 100 has a stepped shape, that is, the front part protrudes outward compared to the rear part. Will have.

또한, 구강내 센서(100)에는 외부와의 신호전송이나 충전용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 즉 제1커넥터(150)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raoral sensor 10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or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outside or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that is, a first connector 150.

여기서, 제1커넥터(150)는 제1외부케이스(120) 내에 수용되고, 제1외부케이스(120)에 형성된 제1커넥터홀(125)을 통해 제1커넥터(150)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connector 15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outer case 120, and one end of the first connector 150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connector hole 125 formed in the first outer case 120 Can be.

이와 같은 제1커텍터(15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킹스테이션(또는 크래들)(200)은 구강내 센서(100)가 장착/탈착(즉, 도킹/언도킹)되는 거치대로서, 장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전송이나 충전용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The docking station (or cradle) 200 is a cradle to which the intraoral sensor 100 is mounted/removed (ie, docked/undocke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when mounted to supply power for signal transmission or charging.

그리고, 도킹스테이션(200)은 구강내 센서(100)에서 전송된 영상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cking station 200 may transmit the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traoral sensor 100 to the computer.

이와 관련하여, 구강내 센서(100)가 장착되면, 도킹스테이션(200)은 구강내 센서(100)로부터 영상신호를 전송받고 이 전송된 영상신호를 유선 방식이나 무선 방식으로 컴퓨터에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도킹스테이션(200)은 구강내 센서(100)와 컴퓨터 간에 신호 전송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regard,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is mounted, the docking station 200 may receive an image signal from the intraoral sensor 100 and transmit the transmitted image signal to the computer through a wired method or a wireless method. As such, the docking station 200 may perform a function of relay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intraoral sensor 100 and the computer.

이와 같은 도킹스테이션(200)은 구강내 센서(100)에서 전송된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Such a docking station 200 may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an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traoral sensor 100.

도킹스테이션(200)은 내부 부품들을 수용하는 외부케이스(220)인 제2외부케이스(220)를 구비하며, 제2외부케이스(220)는 바닥면 측인 하부에 위치하는 커버인 하부커버 즉 제3커버(221)와, 바닥면 반대측인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인 상부커버 즉 제4커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ocking station 200 includes a second outer case 220, which is an outer case 220 for accommodating internal parts, and the second outer case 220 is a lower cover, that is, a third It may include a cover 221 and an upper cover, that is, a fourth cover 222, which is a cover positioned on an upper side opposite the bottom surface.

이와 같은 도킹스테이션(200)에는 구강내 센서(100)와의 신호전송이나 충전용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 즉 제2커넥터(250)를 구비할 수 있다. Such a docking station 20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or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intraoral sensor 100 or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that is, a second connector 250.

여기서, 제2커넥터(250)는 제2외부케이스(220) 내에 수용되고, 제2외부케이스(220)에 형성된 제2커넥터홀(225)을 통해 제2커넥터(250)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second connector 25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outer case 220, and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or 250 is exposed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hole 225 formed in the second outer case 220 Can be.

이와 같은 제2커넥터(250)는 이에 대응되는 구강내 센서(100)의 제1커넥터(1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신호전송이나 충전을 수행하게 된다.The second connector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50 of the intraoral sensor 100 corresponding thereto to perform signal transmission or charging.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1,2커넥터(150,250) 간의 안정적인 접속을 구현하기 위해 자력을 이용하게 된다.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magnetic force is used to implement a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제1,2커넥터(150,250) 중 하나에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자석이나 자기장에 자화되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제1,2커넥터(150,250)가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In this regard, for exampl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 that generates a magnetic force,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magnet or a magnetic material that is magnetized by a magnetic field. The connectors 150 and 250 can be stably connected.

여기서, 커넥터에 사용되는 자석으로서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Here, a permanent magnet or an electromagnet may be used as the magnet used for the connector.

그리고, 제1,2커넥터(150,250)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석의 2개의 자극(즉, N극 및 S극)의 배열 방향(또는 자기장 방향)은 해당 커넥터의 노출면(또는 커넥터 간의 접합면)에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2커넥터(150,250)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석의 2개의 자극(즉, N극 및 S극)의 배열 방향(또는 자기장 방향)은 해당 커넥터의 노출면(또는 커넥터 간의 접합면)을 따라 해당 커넥터를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N극 및 S극 중 하나는 좌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하나는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r magnetic field direction) of the two magnetic poles (i.e., N pole and S pole) of the magnet used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is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connector (or the bonding surface between the connectors) It can be configured to be parallel to. For example, the arrangement direction (or magnetic field direction) of two magnetic poles (i.e., N and S poles) of a magnet used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is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connector (or the junction between the connectors). The connector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or along the surface), with one of the N and S poles on the left and the other on the right.

한편, 제1,2커넥터(150,250) 중 나머지 하나 또한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1커텍터(150)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일예로, N극->S극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으로)과 제2커넥터(250)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일예로, N극->S극 방향이 우측에서 좌측으로)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also uses a magnet, the magnetic pol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 of the first connector 150 (for example, the N pole -> S pole direction is from left to right). ) And the magnetic pol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 of the second connector 250 (for example, N-pole->S-pole direction is from right to left), it is preferable to give direction so that they are opposite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자극의 방향성이 설정되면 제1,2커넥터(150,250)의 서로 대응되는 접속단자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자력에 의해 제1,2커넥터(150,250)가 올바르게 접속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pole is set in this way, the problem of incorrect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is eliminat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can be correctly connected by magnetic force.

이하, 도 2 내지 4를 함께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와 도킹스테이션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the intraoral sensor and th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together.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킹스테이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2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connector of FIG. 2.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connector of FIG. 4.

먼저, 구강내 센서(100)를 살펴보면, 이는 내부 부품을 수용하는 제1외부케이스(120)를 구비하고, 제1외부케이스(120)는 수광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고 결합되는 제1커버(121)와 제2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looking at the intraoral sensor 100, it includes a first outer case 120 for accommodating an inner component, and the first outer case 120 is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light receiving direction and coupled to each other. A cover 121 and a second cover 122 may be included.

이때, 제2커버(122)는 수광방향 즉 후방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커버(122)의 일측면에는 제1커넥터(150)를 노출하는 제1커넥터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넥터(150)는 실질적으로 제1커넥터홀(125)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형태 즉 비돌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 제1커넥터(150)를 제2커넥터(250)에 결합/탈거하는 과정 등에서 손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비돌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1커넥터(1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ver 122 may have a shape protruding in the light-receiving direction, that is, in the rear direction, and a first connector hole 125 exposing the first connector 15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ver 122. Can be formed.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nector 150 is configured in a form that does not substantially protrude outside the first connector hole 125, that is, a non-protrusion form,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regard, in the case of being configured in a protruding form, damage may occur in the process of coupling/removing the first connector 150 to the second connector 250, etc., so by configuring it in a non-protruding form, the first connector ( 150) damage can be prevented.

그리고, 제1커버(121)는 제2커버(122)에 비해 평면적이 크도록 형성되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또는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1커넥터홀(125)이 형성된 위치의 제1커버(121)의 외측 돌출 부분인 외연부분(121a)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cover 121 may have a shape that is formed to have a larger planar area than the second cover 122 and protrudes (or extends) in an outward direction,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connector hole 125 is formed. An outer edge portion 121a that is an outer protruding portion of the first cover 121 may be formed.

제1커넥터(150)는, 이의 실질적인 외형을 정의하는 지지체인 제1하우징(151)과, 제1하우징(151) 내에 삽입되는 제1접속단자모듈(15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or 15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151 that is a support defining a substantial external shape thereof,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module 153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151.

그리고, 제1커넥터(150)는 제1하우징(151)의 일단인 상단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형상의 제1씰부재(155)와, 제1접속모듈(151)의 타단인 하단에 부착되어 방수기능을 제공하는 제2씰부재(15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씰부재(155)는 실리콘(silicone)과 같이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2씰부재(157)는 에폭시(epoxy)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or 150 is attached to a ring-shaped first seal member 155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which is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151, and the other e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module 151, It may include a second sealing member 157 providing a waterproof function. Here, the first sealing member 155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silic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157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epoxy.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제1접속단자모듈(153)은 제1몰드(153b)와 이에 내삽되며 일단인 상단이 노출된 상태의 핀 형상의 다수의 제1접속단자(15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몰드(153b)에는 다수의 홀(153b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제1접속단자(153a)는 제1몰드(153b)의 해당 홀(153b1)에 일부가 삽입됨에 있어 상단이 외부(즉, 상단측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해당 홀(153b1)을 통해 노출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odule 153 may include a first mold 153b and a plurality of pin-shaped first connection terminals 153a inserted therein and exposed at one end thereof. In this regard, a plurality of holes 153b1 may be formed in the first mold 153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153a ar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holes 153b1 of the first mold 153b. When a part is inserted, the upper end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ie, the upper end is external), and may be combined while being exposed through the corresponding hole 153b1.

위와 같이 구성된 제1커넥터(150)를 조립하고 이를 제1커넥터홀(125)에 체결하게 된다.The first connector 150 configured as above is assembled and fastened to the first connector hole 125.

다음으로, 도킹스테이션(200)을 살펴보면, 이는 내부 부품을 수용하는 제2외부케이스(220)를 구비하고, 제2외부케이스(220)는 구강내 센서(100)의 삽입방향(또는 장착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고 결합되는 제3커버(221)와 제4커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Next, looking at the docking station 200, it has a second outer case 220 for accommodating internal parts, and the second outer case 220 is the insertion direction (or mounting direction) of the intraoral sensor 100 A third cover 221 and a fourth cover 222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and coupled to each other may be included.

이때, 상부에 위치하는 제4커버(222)에는, 구강내 센서(100) 장착시 이의 일부분으로서 제1커넥터(150)가 위치하는 하부가 삽입되는 요입홈(22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요입홈(227) 내에는 제2커넥터(250)를 노출하는 제2커넥터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요입홈(227)을 덮는 덮개(229)가 제4커버(222)에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 concave groove 227 in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50 is inserted may be formed as a part of the fourth cover 222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is mounted. In addition, a second connector hole 225 exposing the second connector 250 may be formed in the concave groove 227. Meanwhile, a cover 229 covering the concave groove 227 may be provided on the fourth cover 222.

여기서, 요입홈(227)은 구강내 센서(100)가 삽입되는 하부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요입홈(227)은 단차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인데, 외연부분(121a)를 포함한 제1커버(121)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1깊이의 제1홈영역(227a)과, 제1커넥터(150)가 배치된 제2커버(122)의 하부가 삽입되며 제1깊이보다 낮은 제2깊이의 제2홈영역(227b)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oncave groove 227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lower portion into which the intraoral sensor 100 is inserted. Accordingly, the concave groove 227 may be formed to have a stepped structure, and the first groove region 227a having a first depth in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121 including the outer edge portion 121a is inserte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ver 122 on which the first connector 150 is disposed is inserted, and may be configured as a second groove region 227b having a second depth lower than the first depth.

이때, 제2홈영역(227b)에는 제2커넥터(250)가 배치된 제2커넥터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second connector hole 225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250 is dispose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groove region 227b.

제2커넥터(250)는 실질적으로 제2커넥터홀(225)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형태 즉 비돌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 제1커넥터(150)를 제2커넥터(250)에 결합/탈거하는 과정 등에서 손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비돌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2커넥터(2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25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form that does not substantially protrude outside the second connector hole 225, that is, a non-protrusion form,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regard, since damage may occur in the process of coupling/removing the first connector 150 to the second connector 250, etc. in the case of being configured in a protruding form, the second connector ( 250) can be prevented.

제2커넥터(250)는, 이의 실질적인 외형을 정의하는 지지체인 제2하우징(251)과, 제2하우징(251) 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접속단자모듈(25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or 250 may include a second housing 251 that is a support defining a substantial external shape thereof,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module 253 that is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251.

그리고, 제2커넥터(250)는 제2하우징(251)의 하단과 제2접속단자모듈(253)의 외연부 사이에 삽입 부착되는 링형상의 제3씰부재(2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씰부재(255)는 에폭시(epoxy)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or 250 may include a ring-shaped third sealing member 255 inserted and attach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ousing 251 and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module 253. Here, the third sealing member 255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epox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접속단자모듈(253)은 제2몰드(253b)와 이에 내삽되며 일단인 상단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의 핀 형상의 다수의 제2접속단자(25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몰드(253b)에는 다수의 홀(253b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제2접속단자(253a)는 제2몰드(253b)의 해당 홀(253b1)에 삽입됨에 있어 상단이 외부(즉, 상단측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module 253 may include a second mold 253b and a plurality of pin-shape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53a inserted into the second mold 253b and having an upp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In this regard, a plurality of holes 253b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mold 253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53a ar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holes 253b1 of the second mold 253b. When inserted, the upper end may protrude to the outside (ie, the outer upper end) and be combined in an exposed state.

여기서, 제2접속단자(253a)로는 내부의 스프링 등을 매개로 말단부가 일정 정도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보임으로써 외력에 대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실리더 형태의 포고(Pogo)핀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1,2접속단자(153a,253b)는 도면과 달리 서로 반대형상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Here, as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53a), a pogo pin in the form of a cylinder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xternal force by showing a certain degree of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through an internal spring, etc., may be used. It is not limited. In addition, unlike the drawing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153a and 253b may have opposite shapes.

위와 같이 구성된 제2커넥터(250)를 조립하고 이를 제2커넥터홀(225)에 체결하게 된다.The second connector 250 configured as above is assembled and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or hole 225.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커넥터(150)의 제1하우징(151)과 제2커넥터(250)의 제2하우징(251) 중 하나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자기장에 자화되는 자성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first housing 151 of the first connector 150 and the second housing 251 of the second connector 250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by using a magnet generating magnetic force. The other one may be formed using a magnet or a magnetic material that is magnetized by a magnetic field.

여기서, 제1,2하우징(151,251)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석의 2개의 자극(즉, N극 및 S극)의 배열 방향(또는 자기장 방향)은 해당 커넥터의 노출면(또는 커넥터 간의 접합면)에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자석의 2개의 자극의 배열 방향은 제1,2커넥터(150,250)의 결합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자석의 N극 및 S극은 해당 하우징의 좌측 및 우측에 분할되어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arrangement direction (or magnetic field direction) of the two magnetic poles (i.e., N pole and S pole) of the magnet used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51 and 251 is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connector (or the bonding surface between the connectors) It can be configured to be parallel to. In other word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wo magnetic poles of the magnet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For example, the N-pole and S-pole of this magnet may be divided and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responding housing.

한편, 제1,2하우징(151,251) 중 나머지 하나 또한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1하우징(151)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과 제2하우징(251)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은 제1,2하우징(151,251)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when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51 and 251 also uses a magnet, the magnetic pol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 of the first housing 151 and the magnetic pol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 of the second housing 251 are first, It is preferable to impart directionality so that the two housings 151 and 251 face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위와 같이 자극의 방향성이 설정되면 제1,2커넥터(150,250)는 자력에 의해 올바른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접속단자(153a,253a)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제1,2커넥터(150,250)가 올바르게 접속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poles is set as abov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can be coupled in the correct direction by magnetic force,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of incorrect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153a and 253a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can be correctly connected.

더욱이, 도킹스테이션(200)에는 구강내 센서(100) 장착시 구강내 센서(100)의 하부가 삽입되는 요입홈(227)을 구비하게 되므로, 이 장착 구조에 의해 제1,2커넥터(150,250)의 접속 방향성이 확보되어 제1,2커넥터(150,250) 간의 접속 안정성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Moreover, since the docking station 200 has a concave groove 227 in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intraoral sensor 100 is inserted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is mounte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are provided with this mounting structure. The connection direction of is secured so that the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50 and 250 can be further improved.

<제2실시예><Second Example>

한편, 전술한 구강내 센서(100)는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식 전송케이블을 통해 컴퓨터에 필요에 따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intraoral sensor 10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computer as necessary through a detachable and detachable transmission cable, and FIG. 6 may be referred to in this regard.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에 탈부착되는 전송케이블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ase of using a transmission cable detachable to the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살펴보면, 탈부착식 전송케이블(300)의 일단에는 구강내 센서(100)의 제1커넥터(150)에 결합되어 접속되는 제3커넥터(350)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a third connector 350 coupled to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50 of the intraoral sensor 10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detachable transmission cable 300.

여기서, 제3커넥터(350)는 제1실시예의 도킹스테이션(200)에 구비된 제2커넥터(2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커넥터(35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 the third connector 350 may b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connector 250 provided in the docking station 200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hird connector 350 Can be omitted.

제3커넥터(350)는 전송케이블(300)의 일단에 형성된 커넥터케이스(320) 내에 내삽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비돌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처럼, 비돌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3커넥터(3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third connector 350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connector case 320 formed at one end of the transmission cable 300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damage to the third connector 350 can be prevented by configuring it in a non-protruding shape.

이와 같은 제3커넥터(350)는, 제1실시예의 제2커넥터(25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의 실질적인 외형을 정의하는 지지체인 제3하우징과, 제3하우징 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3접속단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Such a third connector 350 may be configured similarly to the second connector 250 of the first embodiment, a third housing, which is a support defining a substantial external shape thereof,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third housing. It may include a third connection terminal module.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1커넥터(150)의 제1하우징과 제3커넥터(350)의 제3하우징 중 하나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자석이나 자기장에 자화되는 자성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first housing of the first connector 150 and the third housing of the third connector 350 may be formed using a magnet generating magnetic force, and the other is a magnet or a magnetic field. It can be formed using a magnetic material that is magnetized to.

여기서, 제1,3하우징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석의 2개의 자극(즉, N극 및 S극)의 배열 방향(또는 자기장 방향)은 해당 커넥터의 노출면(또는 커넥터 간의 접합면)에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arrangement direction (or magnetic field direction) of the two magnetic poles (i.e., N pole and S pole) of the magnet used in one of the first and third housings is parallel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connector (or the junction surface between the connectors). Can be configured.

한편, 제1,3하우징 중 나머지 하나 또한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1하우징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과 제3하우징의 자석의 자극 배열 방향은 제1,3하우징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third housings also uses a magnet, the magnetic pol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magnetic pol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 of the third housing are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third housings face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impart directionality so as to be in the opposite direction.

위와 같이 자극의 방향성이 설정되면 제1,3커넥터는 자력에 의해 올바른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접속단자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제1,3커넥터가 올바르게 접속될 수 있게 된다.If the magnetic pole direction is set as above, the first and third connectors can be coupled in the correct direction by magnetic force,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of incorrect connec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terminals, so that the first and third connectors are correctly connected. Can be.

특히, 전송케이블(350)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전송케이블(350)을 구강내 센서(100)에 올바르게 결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상당히 빈번하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the transmission cable 350, it is quite frequent that the user feels difficulty in correctly coupling the transmission cable 350 to the intraoral sensor 100.

따라서, 자력을 이용한 커넥터 간의 결합은 본 실시예와 같이 전송케이블(350)을 사용하는 경우에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Therefore, coupling between connectors using magnetic force may be more effective than in the case of using the transmission cable 350 as in this embodimen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에서는, 케이블리스 방식의 구강내 센서가 사용되고, 구강내 센서가 탈장착되는 도킹스테이션이나, 구강내 센서에 탈부착되는 전송케이블을 사용하여 구강내 센서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leless intraoral sensor is used, a docking station in which the intraoral sensor is attached, or a transmission cable attached to the intraoral sensor is used. Image signals generated from intraoral sensors can be transmitted to a computer.

이에 따라, 구강내 X선 촬영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고 전송케이블의 파손이나 접속 불량이 원천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를 사용함에 따른 구강내 X선 촬영의 제약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nvenience of intraoral X-ray imaging can be maximized, and damage or connection failure of the transmission cable can be fundamentally eliminated. Therefore, the restriction of intraoral X-ray imaging due to the use of the conventional cable-type intraoral sensor is eliminated. You can improve effectively.

또한, 구강내 센서와 도킹스테이션 또는 전송케이블을 결합함에 있어 자력을 이용하여 해당 커넥터들 간을 접속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connecting the intraoral sensor and the docking station or transmission cable, the connectors are connected using magnetic force.

이에 따라, 커넥터들의 접속단자 간에 오접속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커넥터들 간의 접속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oblem of erroneous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connectors is eliminated, and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connectors can be ensured.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정신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등가되는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free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to.

10: X선 촬영 시스템 100: 구강내 센서
120: 제1외부케이스 121: 제1커버
122: 제2커버 125: 제1커넥터홀
150: 제1커넥터 151: 제1하우징
153: 제1접속단자모듈 153a: 제1접속단자
153b: 제1몰드 155: 제1씰부재
157: 제2씰부재 200: 도킹스테이션
220: 제2외부케이스 221: 제3커버
222: 제4커버 125: 제2커넥터홀
250: 제2커넥터 251: 제2하우징
253: 제2접속단자모듈 253a: 제2접속단자
253b: 제2몰드 255: 제3씰부재
300: 전송케이블 320: 커넥터케이스
350: 제3커넥터
10: X-ray imaging system 100: intraoral sensor
120: first outer case 121: first cover
122: second cover 125: first connector hole
150: first connector 151: first housing
153: first connection terminal module 153a: first connection terminal
153b: first mold 155: first seal member
157: second sealing member 200: docking station
220: second outer case 221: third cover
222: fourth cover 125: second connector hole
250: second connector 251: second housing
253: second connection terminal module 253a: second connection terminal
253b: second mold 255: third seal member
300: transmission cable 320: connector case
350: third connector

Claims (5)

X선 촬영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센서패널과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커넥터를 포함하는 구강 내 센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대응되는 제 2 커넥터가 구비되어 상기 구강 내 센서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강 내 센서는 상기 제 1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 자극이 배열되는 제 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2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 자극이 배열되는 제 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전송케이블이고,
상기 제 1, 2 커넥터의 연결구조는 상기 제 1, 2 커넥터 양측으로 서로 대칭인 X선 촬영 시스템.
An intraoral sensor including a sensor panel for generating an X-ray image signal and a first connector for transmitting the image signal;
And a connection means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intraoral sensor,
The intraoral sensor includes a first magnet in which opposite magnetic pole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or,
The connecting means includes a second magnet having opposite magnetic pole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or,
The connecting means is a transmission cabl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toward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패널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 1 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외부케이스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버에 내장되어 상기 제 2 커버의 일측으로부터 비돌출 형태로 노출된 X선 촬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outer case accommodating the sensor panel therein,
The first outer case includes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first cover,
The first connector is embedded in the second cover and is exposed in a non-protruding form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제 1 접속단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자석을 포함하는 X선 촬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first housing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module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includes the first magn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삽입되는 제 2 접속단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2 하우징은 상기 제 2 자석을 포함하는 X선 촬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second housing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module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The second housing is an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econd magnet.
삭제delete
KR1020190123890A 2019-10-07 2019-10-07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194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90A KR102194030B1 (en) 2019-10-07 2019-10-07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90A KR102194030B1 (en) 2019-10-07 2019-10-07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218A Division KR20190032855A (en) 2017-03-15 2017-09-20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110A KR20190120110A (en) 2019-10-23
KR102194030B1 true KR102194030B1 (en) 2020-12-22

Family

ID=6846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890A KR102194030B1 (en) 2019-10-07 2019-10-07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030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1334B2 (en) * 2013-03-06 2017-07-12 キヤノン株式会社 Radiography system and connector
KR20150109835A (en) * 2014-03-21 2015-10-02 주식회사 레이언스 Intraoral sensor and intraoral sensing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110A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86089B (en) Endoscope with a detachable handle
CN107149460B (en) Endoscope with a detachable handle
US20180070803A1 (en) Imaging device and endoscope system
US11278249B2 (en)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using the same
EP1932464A1 (en) Electronic endoscope system
KR20150109835A (en) Intraoral sensor and intraoral sensing system using the same
US10561306B2 (en) Endoscopic device
US8320525B2 (en) Digital radiography sensors
EP2719321A1 (en) Endoscope image pickup unit and endoscope
JP2014230638A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JP2007081492A (en) Received information transfer apparatus, receiver and received information transfer system
KR20190032855A (en)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15181096A (en) Wiring connection device, camera head and endoscope system
US20200137503A1 (en) Hearing aid connector
KR102194030B1 (en)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0088979B (en) Electronic device
JP2016214662A (en) Medical camera head and medical camera device
KR102157251B1 (en)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7115088B (en) Endoscope with a detachable handle
JPH01222579A (en) Image pickup device
JPH10314113A (en) Electric connector for electronic endoscope
KR20180105453A (en) X-ray imaging system using intraoral sensor
KR101140875B1 (en) Endoscope camera
CN101069654A (en) Catheter input device
CN211704558U (en) Magnetic control structure of capsule end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