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801A - 녹조류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녹조류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801A
KR20190032801A KR1020170121079A KR20170121079A KR20190032801A KR 20190032801 A KR20190032801 A KR 20190032801A KR 1020170121079 A KR1020170121079 A KR 1020170121079A KR 20170121079 A KR20170121079 A KR 20170121079A KR 20190032801 A KR20190032801 A KR 20190032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algae
unit
algae
light source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가현
Original Assignee
박가현
원현지
박은서
원준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가현, 원현지, 박은서, 원준표 filed Critical 박가현
Priority to KR102017012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2801A/ko
Publication of KR20190032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2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뜰채 및 녹조류 포집 장치가 개시된다. 뜰채는, 나노필터로 제조되어 녹조류를 제외한 물만 통과시키는 필터망; 상기 필터망을 지지하며 손으로 잡기위한 손잡이를 포함한다. 녹조류 포집 장치는, 모터에 의한 구동력으로 수역을 이동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에 구성되며 수역의 용존산소량과 수소이온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부유체 하면에 구성되며, 녹조류를 포집하는 저장부; 상기 녹조류를 유인하기 위하여 소정의 조류유인물질을 도포하는 조류유인물질 도포부; 상기 녹조류를 유인하기 위하여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상기 녹조류를 유인하기 위하여 소정의 광원을 비추는 광원부; 유인된 녹조류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사멸시키는 복수의 초음파진동자;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조류유인물질 도포부, 광원부, 전압 인가부 및 상기 초음파진동자로 출력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녹조류 포집장치는 녹조류를 모이도록 할 수 있고, 한곳으로 모인 녹조류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사멸하고, 하부의 저장부에 포집한 후 뜰채로 제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뜰채 및 녹조류 포집장치{landing net and Green algae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녹조류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전압, 광원 또는 조류유인물질을 이용하여 녹조류를 유인하고, 초음파로 녹조류를 포집하는 뜰채 및 녹조류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 호수, 연못, 저수지 등과 같이 물의 순환이 일어나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정체성 수역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부패가 쉽게 발생한다. 이러한 정체성 수역의 표층수는 대기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산소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플랑크톤이 왕성하나, 플랑크톤이 번식의 한계에 도달하면 죽게 되어 물 바닥면에 퇴적되고, 이로 인하여 심층수에서는 유기물질이 부패하고 질소, 인 등 영양염이 분해 생성되어 물이 썩게 된다.
특히 강, 연못, 호수, 저수지 등의 표층수에 있어 그 표면의 녹조는 시간이 지나도 침전되지 않으므로 이를 수동에 의해 뜰채 등으로 제거하여 왔으나 뜰채보다 크기가 작은 입자로 된 부유물은 제거할 수 없으며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그 대상지가 넓은 경우에는 녹조 제거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종래 이러한 녹조를 제거하는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35053호에서는 “호소나 하천의 수면에 떠 있도록 설치되며 녹조감시부의 센서가 상기 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이격된 수심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된 복수의 부표들; 상기 각각의 부표에 설치되어 수중 내 용존산소량에 따라 녹조현상여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수중 내 용존산소량을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한 녹조감시부들; 상기 복수의 부표들 중 상기 녹조감시부에 의해 녹조현상이 감지된 부표 주변에 상기 녹조 제거를 위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부표마다 설치되며, 상기 호소나 하천 주변에 설치되는 제어박스부에 의해 제어되는 초음파발생기; 상기 녹조현상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초음파발생기에 의해 녹조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강, 호수나 하천의 수면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초음파장비.”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에 의하면 각 부표마다 초음파발생기를 구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각 부표에서의 초음파 조사에는 그 조사영역의 한계가 있어 확실한 녹조제거효율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타 기술에서 부유식으로 수역을 이동하면서 초음파를 조사하는 기술이 제시되는데 이 경우에는 에너지의 공급을 위한 전기적 연결이 필요하므로 장소적 제약이 동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녹조류를 모이도록 하는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광원을 이용하여 녹조류를 모이도록 하는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조류유인물질을 이용하여 녹조류를 모이도록 한 후에 녹조류만을 채취하기 위한 뜰채 및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조류유인물질을 이용하여 녹조류를 모이도록 하는 뜰채 및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곳으로 모인 녹조류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사멸하고, 하부의 저장부에 포집하는 뜰채 및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녹조의 발생여부를 센싱에 의해 판별하여 초음파에 의해 녹조를 제거하는 것은 물론 별도의 전기적연결 없이 자체 에너지원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에너지면에서 경제적이며 장소적 제약없이 작동될 수 있는 뜰채 및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초음파의 조사를 집중시켜 녹조를 제거토록 함으로써 녹조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뜰채 및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역의 표층은 물론 수중에 부유하는 녹조의 경우도 처리가 가능한 뜰채 및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뜰채는,
나노필터로 제조되어 녹조류를 제외한 물만 통과시키는 필터망;
상기 필터망을 지지하며 손으로 잡기위한 손잡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녹조류 포집장치는,
모터에 의한 구동력으로 수역을 이동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에 구성되며 수역의 용존산소량과 수소이온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부유체 하면에 구성되며, 녹조류를 포집하는 저장부;
상기 녹조류를 유인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부의 표면에 조류유인물질을 도포하는 조류유인물질 도포부;
상기 녹조류를 유인하기 위하여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상기 녹조류를 유인하기 위하여 소정의 광원을 비추는 광원부;
유인된 녹조류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사멸시키는 복수의 초음파진동자;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조류유인물질 도포부, 광원부, 전압 인가부 및 상기 초음파진동자로 출력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류유인 물질은 P, N, K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진동자에 의해 조사되는 초음파가 20KHz 내지 200KHz범위에서 복수의 영역대의 주파수가 발현되도록 초음파진동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초음파진동자는 에너지공급부에 연결되어 에너지가 공급됨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에너지공급부는 태양열에너지를 축적하여 공급하는 태양열에너지공급부와 모터의 폐열을 축적하여 공급하는 폐열에너지공급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녹조류를 모이도록 하는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광원을 비추어 녹조류를 모이도록 하는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조류유인물질을 이용하여 녹조류를 모이도록 한 후에 녹조류만을 채취하기 위한 뜰채 및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조류유인물질을 이용하여 녹조류를 모이도록 하는 뜰채 및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곳으로 모인 녹조류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사멸하고, 하부의 저장부에 포집하는 뜰채 및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녹조의 발생여부를 센싱에 의해 판별하여 초음파에 의해 녹조를 제거하는 것은 물론 별도의 전기적연결 없이 자체 에너지원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에너지면에서 경제적이며 장소적 제약없이 작동될 수 있는 뜰채 및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초음파의 조사를 집중시켜 녹조를 제거토록 함으로써 녹조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뜰채 및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역의 표층은 물론 수중에 부유하는 녹조의 경우도 처리가 가능한 뜰채 및 녹조류 포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조류 포집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조류 포집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조류 포집장치의 초음파진동자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뜰채의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조류 포집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조류 포집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조류 포집장치의 초음파진동자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조포집장치(1)는
모터(7)에 의한 구동력으로 수역을 이동하는 부유체(2);
상기 부유체(2)에 구성되며 수역의 용존산소량과 수소이온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3);
상기 부유체 하면에 구성되며, 녹조류를 포집하는 저장부(10);
상기 녹조류를 유인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부(10)의 표면을 조류유인물질로 도포하는 조류유인물질 도포부(20);
상기 녹조류를 유인하기 위하여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21);
유인된 녹조류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사멸시키는 복수의 초음파진동자(4);
상기 녹조류를 유인하기 위하여 소정의 광원을 비추는 광원부(22);
상기 센서부(3)의 신호에 의해 상기 조류유인물질 도포부(20), 광원부(22), 전압 인가부(21) 및 상기 초음파진동자(4)로 출력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5)를 포함한다.
상기 조류유인 물질은 P, N, K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유체(2)는 부표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수역”이라함은 그 대상을 한정하지 않으며 예로 강, 호수, 연못 등 정체성 수역이 예가 될 것이다.
상기 부유체(2)는 수역에서 상기 타 구성들이 설치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부유체(2)는 모터(7)의 구동력에 의해 수역에서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면서 녹조가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부(3)는 상기 부유체(2)에 구성되며 수역의 용존산소량과 수소이온농도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용존산소센서(31)와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수역의 pH를 측정하는 수소이온센서(32)로 구성되는데 이렇게 용존산소센서(31)와 수소이온센서(32)로 구성하는 이유는 더욱 정확하게 수역에 녹조발생여부를 측정하여 녹조발생시에만 조류유인물질 도포부(20)와 초음파진동자(4)가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로 용존산소센서(31)와 수소이온센서(32)에 의해 해당 수역의 용존산소량(DO)이 4ppm미만이고 수소이온농도(pH) 7pH을 초과하는 경우를 녹조발생시로 설정하여 각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이 상기 값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조류유인물질 도포부(20)와 초음파진동자(4)가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조류유인물질 도포부(20)는 저장부(10)의 상부에 조류유인물질을 이용하여 녹조류가 모이도록 한다. 이때, 조류유인 물질은 P, N, K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특히 조류유인물질 도포부(20)는 저장부(10)의 상부에 메쉬 또는 망사형태의 철망(11)에 도포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미리 조류유인물질을 도포 또는 코팅할 수도 있다.
조류유인물질 도포부(20)는 저장부(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전압 인가부(21)는 저장부(10)의 상부에 전압을 인가하여 녹조류가 모이도록 한다. 이때, 인가되는 전압은 0.1~10V 사이의 녹조류가 모이도록 하는 전압이다.
특히 전압 인가부(21)는 저장부(10)의 상부에 망사형태의 철망(11)에 인가할 수 있고, 또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광원부(22)는 저장부(10)의 상부에 광원을 비추어 녹조류가 모이도록 한다. 광원은 LED일수 있다.
특히 광원부(22)는 저장부(10)의 상부에 망사형태의 철망(11)에 인가할 수 있고, 또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저장부(10)의 하부는 나노필터를 적용하여 녹조류를 재외한 물이 통과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철망(11)은 녹조류가 통과 가능한 구조이며, 저장부(10)는 녹조류가 통과하지 못하는 구성으로 제조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4)는 부유체(2) 하면에 복수로 구성되어 부유체(2) 하면에 모인 녹조류를 녹조가 사멸하여 저장부(10)로 가라앉도록 하는 것이다.
초음파진동자(4)에 의한 녹조 사멸의 메커니즘은 기 공지된 바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4)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유체(2) 하면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초음파진동자(4)의 대향에 의해 공진주파수를 발생시킴으로써 적은 에너지로 녹조 제거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도 3에서는 4각형의 부유체(2) 하면에 각 모서리에 초음파진동자(4)가 구성되도록 하여 1개를 기준으로 3개의 초음파진동자(4)가 대향하도록 하여 공진주파수의 발생효율을 크게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한편 초음파진동자(4)의 공진주파수 발생에 더하여 초음파의 집중에 의해 적은 에너지로 더 큰 녹조 제거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1)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너지공급부(6)가 구성되는데 상기 에너지공급부(6)는 태양열에너지를 축적하여 공급하는 태양열에너지공급부(61)와 모터(7)의 폐열을 축적하여 공급하는 폐열에너지공급부(62)로 구성되어 태양열에너지공급부(61)와 폐열에너지공급부(62)가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토록 함으로써 별도로 육지로부터 전력공급 없이 장치(1)가 가동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로 흐린 날 등의 경우 태양열에너지공급부(61)에는 축적된 에너지가 미미할 것이므로 모터(7) 가동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축적하여 저장하는 폐열에너지공급부(62)가 작동을 하여 상기 모터(7)로 에너지를 순환시키거나, 상기 센서부(3)의 센싱, 상기 제어부(5)의 제어 및 상기 초음파진동자(4)의 작동에 에너지를 공급토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태양열에너지공급부(61) 및 폐열에너지공급부(62)의 메커니즘은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해당 수역의 표층부의 녹조 뿐 아니라 수중에서 부유하는 녹조의 경우도 상기 초음파진동자(4)에 의한 초음파 조사영역으로 부유시켜 제거토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조포집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유체(2)는 모터(7)에 의한 구동력으로 수역을 이동하거나 정지한 상태로 수역에 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센서부(3)는 수역의 용존산소량과 수소이온농도를 검출한다.
이때 제어부(5)는 상기 센서부(3)의 신호에 의해 녹조류가 제1 기준치 이상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류유인물질 도포부(20), 전압 인가부(21), 광원부(22) 및 상기 초음파진동자(4)로 출력신호를 인가한다.
일 예로 용존산소센서(31)와 수소이온센서(32)에 의해 해당 수역의 용존산소량(DO)이 4ppm미만이고 수소이온농도(pH) 7pH을 초과하는 경우를 제1 기준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제어부(5)는 조류유인물질 도포부(20), 전압 인가부(21), 광원부(22)를 먼저 구동하고, 녹조류가 제2 기준치 이상 많이 모였다고 판단되면, 유인된 녹조류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사멸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용존산소센서(31)와 수소이온센서(32)에 의해 해당 수역의 용존산소량(DO)이 3ppm미만이고 수소이온농도(pH) 8pH을 초과하는 경우를 제2 기준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사멸된 녹조류는 가라앉아 저장부(10)에 모이게 된다.
이후, 저장부(10)에 모인 녹조류는 별도의 수단으로 제거한다.
필요에 따라 제어부(5)는 일정시간동안 녹조류가 제1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소정 거리 만큼 이동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뜰채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뜰채는,
나노필터로 제조되어 녹조류를 제외한 물만 통과시키는 필터망(111);
상기 필터망(111)을 지지하며 손으로 잡기위한 손잡이(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뜰채로 저장부(10)에 모인 녹조류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손잡이(110)를 잡고 필터망(111)으로 녹조류를 뜨게 되면, a물은 빠져나가고 녹조류만 남게 된다.
그러면 녹조류를 별도의 수거함이나 수거장소에 가져가서 털어낼 수 있다.
따라서 손쉽게 녹조류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녹조류를 모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광원을 비추어 녹조류를 모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조류유인물질을 이용하여 녹조류를 모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곳으로 모인 녹조류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사멸하고, 하부의 저장부에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녹조의 발생여부를 센싱에 의해 판별하여 초음파에 의해 녹조를 제거하는 것은 물론 별도의 전기적연결 없이 자체 에너지원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에너지면에서 경제적이며 장소적 제약없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초음파의 조사를 집중시켜 녹조를 제거토록 함으로써 녹조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역의 표층은 물론 수중에 부유하는 녹조의 경우도 처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나노필터로 제조되어 녹조류를 제외한 물만 통과시키는 필터망;
    상기 필터망을 지지하며 손으로 잡기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뜰채.
  2. 모터에 의한 구동력으로 수역을 이동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에 구성되며 수역의 용존산소량과 수소이온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부유체 하면에 구성되며, 녹조류를 포집하는 저장부;
    상기 녹조류를 유인하기 위하여 소정의 조류유인물질을 도포하는 조류유인물질 도포부;
    상기 녹조류를 유인하기 위하여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상기 녹조류를 유인하기 위하여 소정의 광원을 비추는 광원부;
    유인된 녹조류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사멸시키는 복수의 초음파진동자;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조류유인물질 도포부, 광원부, 전압 인가부 및 상기 초음파진동자로 출력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녹조류 포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유인 물질은 P, N, K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류 포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진동자에 의해 조사되는 초음파가 20KHz 내지 200KHz범위에서 복수의 영역대의 주파수가 발현되도록 초음파진동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류 포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상기 제어부, 상기 전압 인가부,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초음파진동자는 에너지공급부에 연결되어 에너지가 공급됨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에너지공급부는 태양열에너지를 축적하여 공급하는 태양열에너지공급부와 모터의 폐열을 축적하여 공급하는 폐열에너지공급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류 포집장치.
KR1020170121079A 2017-09-20 2017-09-20 녹조류 포집장치 KR20190032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079A KR20190032801A (ko) 2017-09-20 2017-09-20 녹조류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079A KR20190032801A (ko) 2017-09-20 2017-09-20 녹조류 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01A true KR20190032801A (ko) 2019-03-28

Family

ID=6590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079A KR20190032801A (ko) 2017-09-20 2017-09-20 녹조류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28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5151A (zh) * 2019-11-25 2020-02-25 厦门理工学院 一种自动除藻装置及其除藻方法
KR20220054020A (ko) * 2020-10-23 2022-05-02 세메스 주식회사 액 공급 유닛 및 액 공급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5151A (zh) * 2019-11-25 2020-02-25 厦门理工学院 一种自动除藻装置及其除藻方法
KR20220054020A (ko) * 2020-10-23 2022-05-02 세메스 주식회사 액 공급 유닛 및 액 공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571B1 (ko)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
KR101769516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
KR101375586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수평 회전식 초음파 녹조제거 부유 시스템
KR101581252B1 (ko) 녹조 수거장치
US7811461B2 (en) Water treatmen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2007319002A (ja) 藻類処理船および藻類処理システム
KR20190032801A (ko) 녹조류 포집장치
NO346649B1 (en) A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pping and killing marine organisms
US20170099826A1 (en) Short-wavelength ultraviolet light array for aquatic invasive weed specie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91741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ltrasound treatment for ballast water management
KR101758847B1 (ko) 융복합 부유형 수질정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CN103755085B (zh) 河道型水库支流库湾水华消除及藻源净化装置及方法
KR101775960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유해 조류 제거장치
KR20180125001A (ko) 실시간 오손-방지 및 생물오손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시스템
KR101638519B1 (ko)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CN101596535B (zh) 一种滴灌带的超声波清洗装置及清洗方法
US20100126942A1 (en) Multi-frequency ultrasonic apparatus and process with exposed transmitting head
KR102183989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
KR101334276B1 (ko) 수중 녹조/적조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녹조/적조물 제거방법
JP2006205103A (ja) 閉鎖水域の水質改善装置
JP2007138415A (ja) 水域の浄化方法及び浄化設備
JP5753997B1 (ja) 光触媒による水質浄化装置
KR102071452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
JP2008193928A (ja) 埋在性二枚貝の養殖方法
KR20120131426A (ko) 전기동력학을 이용한 토양 정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