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452B1 -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452B1
KR102071452B1 KR1020190017991A KR20190017991A KR102071452B1 KR 102071452 B1 KR102071452 B1 KR 102071452B1 KR 1020190017991 A KR1020190017991 A KR 1020190017991A KR 20190017991 A KR20190017991 A KR 20190017991A KR 102071452 B1 KR102071452 B1 KR 102071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ae
vibrator
ultrasonic
ultrasonic waves
algae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철
Original Assignee
코리아베르톨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베르톨드(주) filed Critical 코리아베르톨드(주)
Priority to KR1020190017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2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수나 하천에 발생한 녹조와 같은 조류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제거장치에 의하면, 상이한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방식에 의해 수중생물을 도피시킨 후 조류를 제거하기 때문에 수중생물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조류의 제거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ALGAE REMOVAL APPARATUS HAVING ULTRASONIC TRANSDUCER FOR ALGAE REMOVAL}
본 발명은 호수나 하천에 과다하게 발생한 녹조와 같은 조류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조류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의 하나로서 수질오염이 제기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하천에서는 영양염류의 유입으로 인한 조류의 번성은 직접적으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고 용존산소량의 결핍이 문제가 된다.
그러나 호소는 하천과는 달리 수체의 정체로 인한 조류의 과잉 번성이라는 부영양화가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호소가 생성된 초기에는 영양염류의 농도가 낮고 수계 내의 생산과 소비가 균형을 이루어 빈영양상태를 유지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영양염류의 농도가 점차로 증가하고 호소의 생산성이 높아짐에 따라 부영양화 과정을 겪게 된다.
부영양화는 탄소(C), 질소(N), 인(P)과 같이 조류의 번식에 영양분이 될 물질들이 호소에 축적될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영양염류는 삼림지대에 있는 부식물, 농경지에 사용되는 비료, 축산물의 분료, 합성세제 뿐만 아니라 가정하수와 공장폐수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부영양화는 조류의 발생을 촉진하며, 조류의 발생은 조류가 발생하는 조건 주요 영양염류인 질소(N), 인(P)과 온도조건 등 알맞은 환경조건이 될 때 일시에 많은 양이 번식되어 수생태계를 교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녹조는 부영양화된 호소(lakes)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인 녹조류가 크게 증가되어 물빛이 녹색으로 변화되는 현상으로 녹조가 발생되면 물의 용존산소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물고기와 수중생물이 폐사되면서 악취가 발생되어 수역의 생태계가 파괴됨에 따라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측면에서 상당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독성물질을 생성하는 녹조를 제거하고 녹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생활하수를 충분히 정화하여 영양염류가 바다나 호소(lakes)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강이나 호숫가에 식물을 심어 이미 유입된 영양염류를 흡수하여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현장에선 물 분수, 물 순환법, 심층폭기법, 용존산소증가 설비, 지하수 펌핑법, 황토 및 케미칼 응집제(주로 인 처리제) 투입법, 미생물 투입법, 미세기포부상법, 직접 녹조수거법 등을 사용하고 있는 데, 물 분수, 물 순환법, 심층 폭기법, 지하수 펌핑법 그리고 미세기포 부상법은 관상용이나 협소한 지역은 좋으나, 넓은 수역에 적용하는 것이 어렵고, 황토, 케미칼 투입법, 미생물투입법은 비용도 많이 들고, 2차 오염문제도 있으며, 직접 녹조수거법은 나름 자연 친환경적이며, 좋은 방식이긴 하나, 넓은 수역에 적용하기에는 수거 처리비용이 부담스럽다.
이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오존이나 자외선 램프, 역삼투압법, 천적생물 투입법, 전기분해법 등이 있지만, 인공수조가 아닌 넓은 수역에서 직접 사용하기엔 이 역시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초음파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로서 부력을 이용하여 수면상에 부유하도록 설치되고, 초음파 진동자를 통해 회전시켜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이용 녹조제거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초음파 녹조 제거장치는, 초음파의 파동이 수중생물의 생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문제가 있어서, 수중생물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 하면서도 조류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초음파 조류제거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570120호의 "초음파 녹조 제거시스템"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인 수중생물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조류를 제거할 수 있는 조류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개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진부와, 상기 초음파 발진부로부터 상기 전류를 전달받아 서로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진동자들을 갖는 초음파 방출부와, 상기 초음파 발진부 및 상기 초음파 방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중앙관제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이용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 제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조류제거장치는 태양광 발전을 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광 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류제거장치는 조류 제거장치가 설치된 하천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수질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는 PLC제어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제거장치에 의하면, 상이한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방식에 의해 수중생물을 도피시킨 후 조류를 제거하기 때문에 수중생물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조류의 제거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의 제어를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제어신호 전선이 필요없이 전력선을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력선을 이용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태양광 발전에 따른 전기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가 설치된 하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의 초음파 방출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를 사용하여 초음파를 방출하는 과정의 약한 초음파 방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를 사용하여 초음파를 방출하는 과정의 강한 초음파 방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에서 카메라를 통해 약한 초음파 방출 상태에서 수중생물의 도피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촬영화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이용 조류제거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가 설치된 하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100)에는 카메라(50)를 구비한 조류제거장치(1)가 설치되고 수중에 초음파를 방출하여 조류를 제거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음파 방출부(20)의 진동자로부터 조사되는 초음파는 녹조 세포 내 또는 주위에 버블(Bubble)이 생성되도록 하여, 이러한 버블이 커지면서 터지는 원리에 의해 캐비테이션(Cavitation)에 의한 녹조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녹조는 그 특성상 공통적으로 물주머니를 갖고 있으며, 다른 세포조직에 비해 약한 세포조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초음파로 이러한 물주머니를 움직여 녹조에게 스트레스를 주면 녹조의 번식 활동 등을 지연시키며, 버블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이 녹조의 물주머니를 파괴시켜서 녹조가 사멸되도록 한다. 따라서, 녹조 발생 전인 2월이나 3월부터 사용하면 겨울까지 녹조의 이상 과잉 증식을 차단하도록 하며, 이미 녹조가 과잉 증식한 호소나 저수지 및 해역에서도 초음파 조사로 인해 녹조가 이상 증식과 활동력의 급격한 저하에 의해서, 녹조가 수심이 깊은 곳으로 잠복 내지 휴지 상태로 들어가거나 사멸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1)의 초음파 방출부(20)를 아래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1)(이하 장치(1)라고 함)는 초음파 발진부(10), 초음파 방출부(20), 통신부(30), 수질측정부(35), 태양광 발전부(40), 카메라(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초음파 발진부(10)는 초음파 진동자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20 내지 100kHz의 범위 이내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전류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20 내지 30kHz의 주파수를 갖는 제1전류와 30 내지 50kHz의 주파수를 갖는 제2전류와 50 내지 100kHz의 주파수를 갖는 제3전류를 발진시키도록 제어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28kHz의 주파수를 갖는 제1전류와 40kHz의 주파수를 갖는 제2전류 및 60kHz의 주파수를 갖는 제3전류를 발생시킨다.
초음파 발진부(10)는 펄스폭변조의 방식을 적용하여 펄스부들의 사이에 휴지구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렇게 발생된 제1전류, 제2전류 및 제3전류는 후술할 초음파 방출부(20)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전류 내지 제3전류의 주파수는 필요한 목적이나 사용환경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초음파 방출부(20)는 진동자(21, 22, 23)를 구비하여 초음파 발진부(10)에서 발생된 전류를 전달받아 진동자를 진동시킴으로써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 방출부(20)는 제1진동자(21)와 제2진동자(22) 및 제3진동자(23)의 3개의 진동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3개의 진동자는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즉 제1진동자(21)에는 제1전류가 공급되어 28kHz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며, 제2진동자(22)에는 제2전류가 공급되어 40kHz의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제3진동자(23)에는 제3전류가 공급되어 60kHz의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방출부(20)의 진동자로서 BLT소자(볼트 조임 란즈방형 진동자: Bolt Clamped Langevin Type Transducer)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1)에서 초음파 방출부(20)는 3개의 초음파 진동자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초음파 방출부(20)의 유효조사거리는 10 ~ 500미터의 유효거리(effective length of ultrasound)를 가질 수 있고, 유효 조사각도는 (effective angle of ultrasound)가 30도, 60도, 90도, 120도, 180도 등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1)가 설치되는 환경에 맞게 적절한 유효조사거리 및 유효조사각도를 갖도록 초음파 방출부(20)를 구성하게 된다.
통신부(30)는 후술할 제어부(60)에 연결되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중앙관제서버와 통신을 하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통신부(30)를 통해 수질상태 및 조류제거현황 등의 데이터를 중앙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중앙관제서버는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현재 상태를 확인한 후 장치(1)로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장치(1)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질측정부(35)는 수온,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DO), 조류농도(Chl-a), 조류의 개체수 등을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센서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제어부(60)로 전달한다. 수온,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DO), 조류농도(Chl-a), 조류의 개체수 등을 측정하는 센서들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태양광 발전부(4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저장함으로써 장치(1)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태양광 발전부(40)에 의해 본 발명의 장치(1)는 별도의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지 않는 경우에도 작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류제거장치(1)는 장치(1)에 전력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태양광 발전부(40)를 통해 자체 전력을 생산할 수도 있다. 물론 조건에 따라 전력선을 이용한 전원공급이나 태양광 발전부(40)를 구비하거나 이들 중 하나만을 선택할 수도 있다.
카메라(50)는 장치(1)가 설치된 하천(100)의 주변영역에 수중생물의 존재, 수중생물의 분포상태 및 수중생물의 이동현황(도피현황)과 조류의 분포현황을 촬영하여 제어부(60)로 제공하는 것이며, 카메라(50)는 복수개가 수명위와 수중에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장치(1)의 일 지점에 상하승강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장치(1)가 설치된 지점의 수면 위에서의 화상/영상을 촬영하거나 수면 아래로 하강하여 수중의 화상/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제어부(60)는 장치(1)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고, 장치(1)의 각종 센서들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며 통신부(3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로 수집된 데이터를 전달하고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장치(1)의 작동에 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1)의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 전달방식으로서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제어방식을 적용하여 전력선을 통해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장치(1)는 전력선을 연결하여 전력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전력선을 연결하지 않고 자체 구비된 태양광 발전부(40)에서 생성된 전원을 통해 구동될 수도 있다. 이 때 전력선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PLC 제어방식을 통해 장치(1)를 제어하거나 무선통신을 통해서 장치(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장치(1)에 전력선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장치(1)의 통신부(30)를 통해 무선통신을 통해 장치(1)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제거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조류제거장치(1)는 하천(100)이나 호수 등의 면적에 따라 수개에서부터 수십개까지 필요에 따라 적정한 수가 설치된다.
조류제거장치(1)의 수질측정부(35)는 항상 작동되고 있어서 장치(1)가 설치된 지점의 수질을 측정하게 된다. 수질측정부(35)에서 측정하여 중앙관제센터(중앙관제서버)로 전달된 데이터에서 용존산소량이 부족하거나 조류의 농도 및 개체수가 적정치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장치(1)의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초음파 발진부(10)에서 발생된 전류가 초음파 방출부(20)의 진동자로 전달되어 초음파를 발생시켜 수중으로 초음파(25)를 방출된다.
초음파(25)가 방출되는 기간동안에 주기적으로 조류(110)의 제거상태를 확인한다. 조류의 제거상태 확인은 통상 3~4일 주기, 1주일 주기 등의 구간마다 이루어지며 조류의 농도 및 개체수가 적정수치 이하로 감소된 경우에는 장치(1)의 작동을 중단하게 된다. 조류의 농도 및 개체수가 적정수치 이하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는 방법은 용존 산소량의 측정에 의해 용존 산소량이 적정치로 회복되고 카메라(50)로 촬영된 화상(영상)에 녹조가 제거된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조류의 제거상태 확인은 물론 중앙관제센터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확인될 수 있으며, 물론 관리자가 직접 해당 지역을 방문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조류제거장치는 조류제거의 과정에서 이동가능한 수중생물을 보호하기 위한 특별한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장치(1)는 조류(110)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이동가능한 수중생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초음파 방출부(20)가 서로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3개의 진동자(21, 22, 23)를 구비하고 있다.
제1진동자(21)는 28kHz 주파수의 초음파(25)를 방출하고, 제2진동자(22)는 40kHz 주파수의 초음파(25)를 방출하며, 제3진동자(23)는 60kHz 주파수의 초음파(25)를 방출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방출 초기에는 소정의 시간동안 제3진동자(23)만을 작동시켜 60kHz 주파수의 초음파(25)만을 방출한다. 이동이 가능한 수중생물로서 물고기(120)를 예를 들면 60kHz 주파수의 초음파가 방출되면 물고기(120)는 평상시의 수중 환경과는 다르게 초음파(25)에 따른 진동이 전해지기 때문에 거부감 또는 위협을 느끼게 되어 이러한 진동이 적은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카메라(50)는 수중을 촬영하고 있어서 카메라(50)로부터 전해지는 영상을 통해 관리자는 수중생물이 장치(1)의 주변에서 다른 지역으로 도피를 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50)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전체 물고기(120)들 중에서 상당수가 다른 지역으로 도피한 것이 확인되면 그 시점에서 제2진동자(22)를 작동시켜 40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방출시킨다. 40kHz 주파수의 초음파는 60kHz 주파수의 초음파보다는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장치(1) 주변에서 도피하지 않고 남아있던 물고기(120)들은 더 강한 진동에 위협을 느껴서 이제는 도피를 시작하게 되고, 이미 도피를 시작하였던 물고기(120)들도 더 강한 진동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장치에서 더 멀리 떨어진 지점으로 도피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일정 시간 제2진동자(22)를 작동시켜서 물고기(120)(수중생물)의 대부분이 장치(1)의 초음파 유효조사거리를 넘어서 도피한 것이 확인되면 마지막으로 가장 강한 진동을 제1진동자(21)를 작동시켜 28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방출시킴으로써 유효조사거리 이내의 조류를 사멸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조류 사멸에 적합한 28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처음부터 방출하는 것을 가정한다면, 28kHz 주파수의 초음파는 물고기(120)에게 강한 진동을 주어 물고기(120)를 패닉상태에 빠뜨려서 물고기(120)가 죽어버릴 위험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1)는 직접적인 조류 사멸 단계를 시작하기 이전에 이동이 가능한 물고기(120), 곤충 등의 수중생물을 도피시키기 위한 사전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수중생물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위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는 이하와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제거장치(1)는 초기에 약한 진동의 초음파를 방출하여 수중생물이 유효조사거리를 벗어나서 도피하도록 하고, 수중생물을 도피가 이루어진 이후에 조류를 제거하기 때문에 수중생물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의 제어를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제어신호 전달을 신호선을 생략할 수 있어서 비용절감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부(40)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력선을 이용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태양광 발전에 따른 전기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조류제거장치
10 초음파 발진부
20 초음파 방출부
30 통신부
35 수질측정부
40 태양광 발전부
50 카메라
60 제어부

Claims (4)

  1. 복수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개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진부;
    상기 초음파 발진부로부터 상기 전류를 전달받아 서로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진동자들을 갖는 초음파 방출부;
    상기 초음파 발진부 및 상기 초음파 방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중앙관제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이용되는 통신부; 및
    수중생물의 존재, 수중생물의 분포상태, 수중생물의 이동현황과 조류의 분포현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초음파 방출부는 제1진동자, 제2진동자 및 제3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진동자는 상기 제2진동자보다 낮은 주파수의 초음파를 방출하고, 상기 제3진동자는 상기 제2진동자보다 높은 주파수의 초음파를 방출하며,
    상기 초음파 방출부는 초기에는 상기 제3진동자만을 작동시켜 가장 높은 주파수의 초음파를 방출시켜 물고기를 다른 지역으로 도피시키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일부 수중생물이 다른 지역으로 도피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2진동자를 작동시켜 상기 제3진동자에서 발생하는 초음파보다 강한 진동을 발생시켜 도피하지 않고 남아있던 물고기들이 도피하도록 하며, 이후 제1진동자를 작동시켜 가장 낮은 주파수의 초음파를 방출시킴으로써 조류를 사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을 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광 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 제거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조류 제거장치가 설치된 하천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수질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 제거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는 PLC제어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 제거장치.
KR1020190017991A 2019-02-15 2019-02-15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 KR102071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991A KR102071452B1 (ko) 2019-02-15 2019-02-15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991A KR102071452B1 (ko) 2019-02-15 2019-02-15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935A Division KR102183989B1 (ko) 2020-01-21 2020-01-21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452B1 true KR102071452B1 (ko) 2020-02-03

Family

ID=6962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991A KR102071452B1 (ko) 2019-02-15 2019-02-15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4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524A (ko) * 2015-10-19 2017-04-27 (주)가람이앤씨 초음파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
KR20170084581A (ko) * 2016-01-12 2017-07-20 주식회사 캡쳐 초음파를 이용한 유해 조류 제거장치
KR20190005912A (ko) * 2016-05-03 2019-01-16 안토니오 트리기아니 초음파 조류 제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524A (ko) * 2015-10-19 2017-04-27 (주)가람이앤씨 초음파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
KR20170084581A (ko) * 2016-01-12 2017-07-20 주식회사 캡쳐 초음파를 이용한 유해 조류 제거장치
KR20190005912A (ko) * 2016-05-03 2019-01-16 안토니오 트리기아니 초음파 조류 제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92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ltrasound treatment of aquatic organisms
KR101375586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수평 회전식 초음파 녹조제거 부유 시스템
KR101982989B1 (ko) 수면부상식 녹조제거 장치
CN104938322B (zh) 一种温室营养液循环利用装置
KR20160031766A (ko)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
KR102183989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
WO201305520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monitoring, preventing and controlling algae in open water
CN101786745B (zh) 一种可抗轻度风浪的大中型天然水体藻类污染应急修复工艺
KR102071452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
KR101991169B1 (ko) 실시간 수질 감시 및 수질 개선 로봇
KR101758847B1 (ko) 융복합 부유형 수질정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KR101487522B1 (ko) 자외선을 이용한 표층조류 살조장치
KR101775960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유해 조류 제거장치
KR101638519B1 (ko)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JP2007014940A (ja) 深層水循環光触媒浄化装置
US20140299541A1 (en) Water filtration and sewage system
KR20150049964A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수질 정화 시스템
US20150041332A1 (en) Method of disposal of cyanobacteria in stagnant waters and equipment for its implementation
CN105906108B (zh) 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工艺
CN106007100B (zh) 污水处理装置及其处理工艺
KR20040073112A (ko) 수중생물 고착방지 및 제거시스템
KR20190032801A (ko) 녹조류 포집장치
KR101844819B1 (ko)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EP1676815A1 (fr) Procédé de traitement électromagnétique des liquides
KR101881213B1 (ko) 조류 제거용 무선 수면 부유체 및 이의 운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