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133A - Baverage maker - Google Patents

Baverag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133A
KR20190032133A KR1020170120691A KR20170120691A KR20190032133A KR 20190032133 A KR20190032133 A KR 20190032133A KR 1020170120691 A KR1020170120691 A KR 1020170120691A KR 20170120691 A KR20170120691 A KR 20170120691A KR 20190032133 A KR20190032133 A KR 20190032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water supply
channel
valv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1851B1 (en
Inventor
김지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851B1/en
Publication of KR2019003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1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8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omprising: a fermentation tank assembly in which materials for beverage are fermented; a main channel which is connected to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a main valve which is installed in the main channel to open or close the main channel; a water supply module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a gas infuser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and includes a gas infusion channel, a gas pump connected to the gas infusion channel, and a gas valve opening or closing the gas infusion channel; and a controller which performs a plurality of control modes for controlling the main valve, the gas pump and the gas valve. The control modes may include a drying mode of a water supply module for driving the gas pump, opening the gas valve, and closing the main valv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a water supply module to be clean, which supplies water for preparing a beverage.

Description

음료 제조기{BAVERAGE MAKER}{BAVERAGE MAKER}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맥주 등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모듈을 갖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m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maker having a water supply module for supplying water for producing beverages such as beer.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Drink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drinkable liquids such as alcohol or tea. For example, beverage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categories such as water (beverage) for solving thirst, juice drink having a unique flavor and taste, soft drink giving a cooling sensation, beverage having an arousal effect, or alcoholic beverage having an alcohol effect .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음료가 있다. 음료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 drink is a drink. The beverage is made by fermenting barley with malt (malt, malt), making a juice, adding hop, and fermenting it with yeast.

소비자는 음료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음료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음료(또는 수제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Consumers can purchase ready-made products manufactured and sold by a beverage maker, or drink house beverages (or handmade beverages) that have fermented beverage ingredients directly at home or at a bar.

하우스음료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House beverages can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types than ready-made products, and can be manufactured to suit consumer tastes.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재료 등 일 수 있다.The material for making the beverage may be water, malt, hop, yeast, fragrant material, and the like.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Yeast can be called yeast, added to malt to ferment malt and help to produce alcohol and carbonic acid.

통상적으로 하우스 음료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Generally, the house beverage may include three stages of a wax producing step, a fermenting step, and an aging step, and it may take about two to three weeks from the step of producing the wort to the step of aging.

하우스 음료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t is important that the house beverage maintains an optimum temperature at the fermentation stage, and as the product is conveniently manufacture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최대한 자동화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recent years, a beverage maker capable of easily manufacturing a house beverage in a home or a bar has been gradually used, and it is desirable that such a beverage maker is configured to be as automatable as possible.

본 발명은 음료 제조를 위한 물을 급수하는 급수모듈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maker which can cleanly control a water supply module for supplying water for beverage produ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음료 재료가 발효되는 발효조 어셈블리와; 상기 발효조 어셈블리와 연결된 메인 채널과; 상기 메인 채널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채널을 개폐하는 메인밸브와; 상기 메인 채널에 연결된 급수 모듈과; 상기 메인 채널에 연결된 가스주입기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모듈은 물이 담긴 급수탱크와,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와,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주입기는 가스주입채널와, 가스주입채널에 연결된 가스펌프와, 가스주입채널을 개폐하는 가스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밸브와, 급수펌프와, 히터와, 가스펌프 및 가스밸브를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모드를 실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어모드는 가스펌프를 구동하고, 가스밸브를 오픈하며, 상기 히터를 온시키며, 상기 메인밸브를 클로즈하는 급수모듈 건조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ermenter assembly into which a beverage material is fermented; A main channel connected to the fermentor assembly; A main valve installed in the main channel to open and close the main channel; A water supply module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And a gas injector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wherein the water supply module includes a water supply tank containing water, a water pump for pumping water, and a heater for heating water, the gas injector including a gas injection channel, A gas pump connected to the gas supply channel and a gas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as injection channel, and a control unit for implementing a plurality of control modes for controlling the main valve, the water feed pump, the heater, the gas pump and the gas valve, 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may include a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in which the gas pump is driven, the gas valve is opened, the heater is turned on, and the main valve is closed.

상기 제어부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상기 급수펌프는 오프 유지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maintain the water supply pump off when the water supply module is in the drying mode.

상기 급수탱크에는 가스를 배출하는 급수탱크 가스배출기가 장착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tank may be equipped with a water supply tank gas discharger for discharging gas.

음료 제조기는 복수개 재료 수용부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채널은, 상기 급수히터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주입기가 연결된 급수채널과, 상기 급수채널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 재료 수용부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과; 상기 복수개 재료 수용부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과, 상기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과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을 연결하는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과, 상기 발효조 어셈블리 및 상기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에 연결된 발효조 연결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further comprises a material feed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the main channel including a water channel connected to the water heater and connected with the gas injector, a plurality of water channels connected to the water channel, A material receiving section inlet channel;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channel connecting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 and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and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channel connecting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exit channel to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And a connected fermentor connection channel.

상기 메인밸브는 상기 복수개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와, 상기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에 설치된 재료 수용부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발효조 연결 채널에 설치된 발효조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 및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를 클로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main valve comprises: a plurality of material supply valves provided respectively in the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s;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valve provided in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channel; And a fermentation tank valve installed in the connection channel of the fermenter, wherein the controller closes the plurality of material supply valves and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valve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상기 다수의 제어모드는 가스펌프를 오프 유지하고, 가스밸브를 클로즈하며,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 및 발효조 밸브를 오픈하고,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를 클로즈하는 급수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may include a water supply mode for keeping the gas pump off, closing the gas valve, opening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bypass valve and the fermenter valve,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material water supply valves.

상기 다수의 제어모드는 가스펌프를 구동하고, 가스밸브를 오픈하며,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 및 발효조 밸브를 오픈하고,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를 클로즈하는 가스주입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may include a gas injection mode that drives the gas pump, opens the gas valve, opens the material accepting bypass valve and the fermenter valve, and closes the plurality of material feed valves.

상기 다수의 제어모드는 가스펌프를 오프 유지하고, 가스밸브를 클로즈하며,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를 클로즈하고, 발효조 밸브 및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를 오픈하는 재료 공급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료 공급모드 이후에 상기 급수모듈 건조모드를 실시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may include a material supply mode for keeping the gas pump off, closing the gas valve, closing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valve, and opening the fermenter valve and the plurality of material feed valves. At this time, the controller may perform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after the material supply mode.

상기 다수의 제어모드는 가스펌프를 구동하고, 가스밸브를 오픈하며,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 및 발효조 밸브를 오픈하고,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를 클로즈하는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may include a mode of activating the gas pump, opening the gas valve, opening a plurality of material feed valves and fermenter valves, and closing the material accepting bypass valve.

그리고, 상기 급수펌프는 상기 급수탱크와 급수펌프 입수채널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펌프는 상기 히터와 급수펌프 출수채널로 연결되며, 상기 급수펌프 입수채널과 급수펌프 출수채널은 급수펌프 바이패스 채널로 연결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ump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through a water supply pump inlet channel, the water supply pump is connected to the heater and a water supply pump outlet channel, and the water supply pump inlet channel and the water supply pump outlet channel ar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ump bypass channel Can be connecte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상기 급수펌프 바이패스 채널에 설치된 급수펌프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eed pump bypass valve installed in the feed pump bypass channel.

상기 제어부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상기 급수펌프 바이패스 밸브를 오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trol unit opens the feed pump bypass valve when the feed module is in the dry mo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스주입기를 통해 주입된 가스가 급수모듈을 통과하면서 급수모듈을 건조시킬 수 있고, 급수모듈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injected through the gas injector can be passed through the water supply module to dry the water supply module, the water supply module can be kept clean, and the hygiene can be improved.

또한, 가스주입기에 의해 주입된 가스가 히터 및 급수탱크를 각각 건조시킬 수 있다.Further, the gas injected by the gas injector can dry the heater and the water supply tank, respectively.

또한, 가스주입기에 의해 주입된 가스가 히터에 의해 열풍으로 가열된 후 급수탱크로 유입될 수 있어, 급수탱크를 고온 열풍으로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다.Further, the gas injected by the gas injector can be heated by hot air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tank, so that the water supply tank can be quickly dried by hot hot air.

또한, 급수탱크에서 유동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가 가스 주입기에서 주입된 가스를 가열할 수 있어, 가스 주입기에서 주입된 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추가 히터가 필요하지 않고, 온수 급수 및 급수 모듈 건조를 위한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the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flowing in the water supply tank can heat the gas injected from the gas injector, so that there is no need for an additional heater for heating the gas injected from the gas injector, and for the hot water supply and water supply module drying The number of parts can be minimized.

또한, 급수탱크로 주입된 가스가 가스배출기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어 급수탱크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s injected into the water supply tank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s discharger to protect the water supply tank.

또한,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가스주입기에서 주입된 가스가 재료 공급기로 유동되지 않고, 급수모듈로 유동될 수 있어, 급수모듈 건조모드의 신뢰성이 높다.Also, in the water module drying mode, the gas injected from the gas injector can flow into the water supply module without flowing into the material supply unit,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is high.

또한, 가스주입모드시, 가스주입기에서 주입된 가스가 메인채널을 통해 발효조 어셈블리 내부로 주입되어 물과 음료 재료가 잘 혼합되게 도울수 있다.Also, in the gas injection mode, the gas injected from the gas injector can be injected into the fermenter assembly through the main channel to help water and beverage ingredients mix well.

또한, 급수모듈 건조모드가 재료공급모드 이후에 실시되어, 급수모듈의 잔수를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다.Further,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is performed after the material supply mode, so that the residual water of the water supply module can be dried quickly.

또한,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모드시, 가스주입기에서 주입된 가스가 재료 공급기의 잔수를 제거할 수 있고, 재료 공급기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Further, in the material feeder residual amount removal mode, the gas injected from the gas injector can remove the residual amount of the material feeder, and the material feeder can be kept clean.

또한, 가스주입기에서 주입된 가스가 바이패스 채널 및 바이패스 밸브를 통과하여 급수탱크로 공급될 수 있어, 가스가 급수탱크로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고, 급수탱크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Further, the gas injected from the gas injecto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tank through the bypass channel and the bypass valve, so that the gas can be quickly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water supply tank can be quickly dri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제어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제어 수순이 도시된 순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음료 제조팩 내로 물이 급수될 때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음료 제조팩 내로 가스가 주입될 때의 가스 흐름이 도시된 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음료 제조팩 내로 재료가 공급될 때의 물과 재료 흐름이 도시된 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복수개의 캡슐로 가스가 통과하는 흐름이 도시된 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급수 모듈로 고온의 가스가 분사되는 흐름이 도시된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가 급수모듈 건조모드일 때의 가스 흐름이 도시된 도,
도 12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가 급수모듈 건조모드일 때의 가스 흐름이 도시된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가 급수모듈 건조모드일 때의 가스 흐름이 도시된 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 및 음료제조기가 급수모듈 건조모드일 때의 가스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procedure of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water flow when water is supplied in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shown in Fig. 2,
Figure 6 is a view of the gas flow as it is injected in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shown in Figure 2,
Figure 7 is a view of the water and material flow as the material is dispensed in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shown in Figure 1,
FIG. 8 is a view showing a flow through a plurality of capsules gas shown in FIG. 2,
FIG. 9 is a view showing a flow in which a high temperature gas is injected into the water supply module shown in FIG. 2;
Fig. 10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gas flow when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12 is a view showing the gas flow when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13 is a view showing the gas flow when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gas flow when the beverage maker and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는 음료가 발효되는 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 어셈블리(1)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beverage maker includes a fermenter assembly 1 in which a space S1 in which a beverage is fermented is formed.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는 음료가 제조되는 음료 제조팩(12)이 수용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에는 음료 제조팩(12)이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in which beverage is manufactured can be accommodated in the fermenter assembly 1 and the space S1 in which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is accommodated can be formed in the fermenter assembly 1. [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된 메인 채널(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채널(2)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공간(S1)으로 음료 제조에 필요한 물이나 각종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comprise a main channel (2) connected to the fermenter assembly (1). The main channel 2 can supply water or various materials necessary for beverage production to the space S1 of the fermenter assembly 1. [

음료 제조기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되고 캡슐(C1)(C2)(C3)이 수용되는 재료 공급기(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comprise a material feeder 3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and containing the capsules C1, C2 and C3.

음료 제조기는 메인 채널(2)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모듈(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comprise a water supply module (5) for supplying water to the main channel (2).

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음료 취출기(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된 음료 취출채널(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의 음료는 메인 채널(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 채널(2)의 일부를 통과해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beverage extractor (6) for taking out the beverage to the outside. The beverage dispenser 6 may further include a beverage extracting channel 61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The beverage in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can flow into the main channel 2 and flow into the beverage extracting channel 61 through a part of the main channel 2.

음료 제조기는 메인 채널(2)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comprise a gas injector (8) for injecting gas into the main channel (2).

발효조 어셈블리(1)에는 메인 채널(2)와 연결되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효조 어셈블리(1)에는 후술하는 가스 취출채널(71)와 연결되는 가스 취출채널 연결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The fermenter assembly 1 may include a main channel connection part 115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In addition, the fermenter assembly 1 may be provided with a gas outlet channel connection part 121 connected to a gas outlet channel 71 to be described later.

발효조 어셈블리(1)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발효조(112)와, 개구부(111)을 개폐하는 발효조 덮개(1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1 may include a fermentation tank 112 having an opening 111 and a fermentation tank cover 11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11.

발효조(112)는 내부에 음료 제조 팩(12)이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발효조(112)에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가 설치될 수 있다. The fermentation tank 112 may have a space S1 in which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is accommodated. The fermentation tank 112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The fermenter (112) may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16)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assembly (1).

온도센서(16)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측정하여, 후술하는 제어부(109)로 온도값을 전송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16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can transmit the temperature value to the control unit 10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발효조 덮개(114)는 발효조(112)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메인 채널 연결부(115)는 발효조 덮개(114)에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취출채널 연결부(121)는 발효조 덮개(114)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closes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to cover the opening 111. The main channel connection part 115 may be formed in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The gas outlet channel connection part 121 may be formed in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음료 제조팩(12)은 음료 재료 및 완성된 음료가 발효조(112)의 내벽에 뭍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일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 안착되어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에서 음료를 발효시킬 수 있고, 사용이 종료된 후, 발효조(11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may be a container separately provided so that the beverage material and the finished beverage do not get stuck on the inner wall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ermenter 112.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is seated in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to ferment beverage in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and can be taken out of the fermenter 112 after the use is finished.

음료 제조팩(12)은 내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의 개구부(111)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음료 제조팩(12)이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의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와 발효조 덮개(114)에 의해 밀폐된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는 음료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는 내부에 담겨있던 음료가 취출되고 발효조(112)와 음료 제조팩(12) 사이로 가스가 공급되면, 발효조(112) 내부의 가스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may be a pack containing a material for making beverages there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pace S1 formed in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can be inserted into the fermentation tank 1 while being accommodated there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can be inserted into the fermenter 112 and accommodated in the fermenter 112 with the opening 111 of the fermenter 112 opened.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may cover the opening 111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fter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is inserted into the fermentation tank 112.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can assist fermentation of the material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closed space S1 by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may be expanded by the pressure therein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beverage.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can be compressed by the gas in the fermentation tank 112 when the beverage contained therein is taken out and gas is supplied between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Materials for making beverages may include water, malt, yeast, hops, flavoring materials and the like.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음료 제조팩(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재료 공급기(3)와 음료 제조팩(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음료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include both the material feeder 3 and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nd the material for beverage production may be dispersed and received in the material feeder 3 and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may contain some of the material for making beverage, and the material feeder 3 may contain the remaining material. The remain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material feeder 3 may be supplied 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mixed with some of the materials contained i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

음료 제조팩(12)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음료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may contain main ingredients essential for beverage production, and the material feeder 3 may contain materials added to the main ingredients. In this case,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material feeder 3 can be mixed wit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supplied 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Can be mixed.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이고,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재료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된 재료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재료 등일 수 있다.The main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is a material having a larger capacity than other materials, and may be malt, malt, yeast, hops or flavoring material.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feeder 3 may be other materials other than malt, such as yeast, hops, fragrant materials, etc., for manufacturing beverages.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고, 음료 제조팩(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료 제조팩(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음료 제조팩(12)에 재료를 직접 투입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does not include a material feeder 3 and may include a beverage production pack 12 in which case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may contain main ingredients and the user may place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Materials can be injected directly.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간편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편의를 위해 재료 공급기(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재료 공급기(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When the beverage maker includes both the material feeder 3 and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beverage more easily, and hereafter, both the material feeder 3 and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re included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including both the material feeder 3 and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음료 제조팩(12) 내의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에서 제조 종료된 음료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메인 채널(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 채널(2)에서 음료 취출기(6)로 유동되어 음료 취출기(6)로 취출될 수 있다. The material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may be fermented over time and the beverage manufactured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may flow into the main channel 2 through the main channel connecting portion 115 , It can flow from the main channel 2 to the beverage dispenser 6 and be taken out to the beverage dispenser 6. [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온도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음료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comprise a temperature controller to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assembly 1. [ The temperature controller is for heating or cooling the fermenter assembly 1, and can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assembly 1 to the optimum temperature for beverage fermentation.

온도조절기는 압축기(131)와, 응축기(132)와, 팽창기구(133)와, 증발기(134)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고, 응축기와 증발기 중 어느 하나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배치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regulator may include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having a compressor 131, a condenser 132, an expansion mechanism 133 and an evaporator 134, and either the condenser or the evaporator may be connected to a fermentor assembly 1).

응축기(132)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가열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응축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condenser 132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fermenter 112,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can heat the fermenter 112 to regulate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112. In this case, the condenser 132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The condenser 132 may include a condensation tube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증발기(134)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증발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evaporator 134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fermenter 112,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can cool the fermenter 112 to regulate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112. In this case, the evaporator 134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The evaporator 134 may include an evaporation tube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라인 히터(Line Heater)로 구성될 수 있고,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길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14 for heating the fermenter assembly 1. The heater 14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may include a heater that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The heater 14 may be constituted by a line heater and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냉동사이클 장치(13)는 히트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채널절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절환밸브는 사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채널절환밸브는 압축기(131)의 흡입채널 및 압축기(131)의 토출채널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132)와 응축기 연결채널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증발기(134)와 증발기 연결채널로 연결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may be composed of a heat pump.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may include a channel switching valve (not shown). The channel switching valve may be configured as a four-way valve. The channel switching valve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uction channel of the compressor 131 and the discharge channel of the compressor 13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denser 132 through a condenser connection channel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vaporator 134 through an evaporator connection channel .

채널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냉각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32)로 안내함과 증발기(134)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The channel switching valve may guide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131 to the condenser 132 and guide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134 to the compressor 131 when the fermentation tank 112 is cooled.

채널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가열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발기(134)로 안내함과 아울러 응축기(132)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The channel switching valve may guide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131 to the evaporator 134 while guid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132 to the compressor 131 when heating the fermentation tank 112.

메인 채널(2)는 일단이 급수모듈(5)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발효조 어셈블리(1)에 형성된 메인 채널 연결부(115)에 연결될 수 있다. The main channel 2 may b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at the other end to the main channel connection part 115 formed in the fermenter assembly 1.

재료 공급기(3)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채널(2)의 물은 재료 공급기(3)로 유입되어 재료 공급기(3)를 흐를 수 있다. The material feeder 3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The water in the main channel 2 can flow into the material feeder 3 and flow through the material feeder 3.

재료 공급기(3)에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재료 등일 수 있다. The material feeder 3 can be provided with materials necessary for beverage production and can be configured to allow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5 to pass therethrough.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feeder 3 may be yeast, hop, fragrant material, or the like.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재료 공급기(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는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feeder 3 can be accommodated directly in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the material feeder 3. [ The material feeder 3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material receiving portion. A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may be formed in the material feeder 3, an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may be formed by being partitioned from each other.

한편,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캡슐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이러한 캡슐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될 경우, 재료 공급기(3)는 캡슐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는 캡슐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feeder 3 can be accommodated in the capsule, and the material feeder 3 can be formed with at least on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such a capsule is accommodated. When the material is accommodated in the capsule, the material feeder 3 can be configured to enable seating and withdrawal of the capsule, and the material feeder 3 can be configured with a capsule kit assembly in which the capsule is detachably received.

급수모듈(5)에서 메인 채널(2)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메인 채널(2)로 유동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5 to the main channel 2 can be mixed with the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or the capsule and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or the capsule can be mixed with the water in the main channel 2, Lt; / RTI >

재료 공급기(3)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재료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다수의 재료는 이스트와 홉과 향 재료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The material feeder 3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materials of different kind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materials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feeder 3 may be yeast, hop and flavoring material, and they may be receiv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 각각은 메인 채널(2)와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 채널(2)과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로 연결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material receptacles are formed in the material feeder 3, each of the plurality of material receptacles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and the material receptacle inlet channel and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and the material receptacle outlet channel Can be connected.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 각각은 메인 채널(2)와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 채널(2)와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로 연결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material receptacles are formed in the material feeder 3, each of the plurality of material receptacles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and the material receptacle inlet channel and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and the material receptacle outlet channel Can be connected.

재료 공급기(3)의 재료 수용부와 재료 공급기(3)의 캡슐 수용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된 상태에서 캡슐이 재료 공급기(3)에 삽입되는 경우, 캡슐 수용부로 칭할 수 있으며, 재료가 캡슐에 담겨지지 않는 상태에서 재료 공급기(3)에 직접 수용될 경우 재료 수용부로 칭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와 캡슐 수용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재료 공급기(3)에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of the material feeder 3 and the capsule receiving portion of the material feeder 3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Can be referred to as a capsule receiving portion when the capsule is inserted into the material feeder 3 with the material being accommodated in the capsule and can be referred to as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when the material is contained in the material feeder 3 without being encapsulated have. Since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are substantially the same in structu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material feeder 3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재료 공급기(3)는 재료가 수용된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재료 수용부가 형성되고, 메인 채널(2)와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 채널(2)와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로 연결될 수 있다. The material feeder 3 is formed with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 which a capsule containing a material is detachably received and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through an inlet channel of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and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Can be connected.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에는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을 개폐하는 재료 급수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The material receiving section inlet channel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feed valve that opens and closes the material receiving section inlet channel.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에는 물이나 가스가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을 통해 재료 수용부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may be provided with a check valve to prevent water or gas from flowing back to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재료 공급기(3)는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서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그 각각의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 및 그 각각의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과 연결될 수 있다. The material supply unit 3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31, 32 and 33 and the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31, 32 and 33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31, 32, and 33 may be connected to their respective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s and their respective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s.

이하, 재료 공급기(3)에는 제1재료와, 제2재료와, 제3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재료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재료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재료는 향 재료일 수 있다. Hereinafter, the material feeder 3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material, a second material, and a third material. The first material may be yeast, the second material may be hop, and the third material may be fragrant material.

재료 공급기(3)는 제1재료가 수용된 제1캡슐(C1)이 수용되는 제1재료 수용부(31)와, 제2재료가 수용된 -제2캡슐(C2)이 수용되는 제2재료 수용부(32)와, 제3재료가 수용된 제3캡슐(C3)이 수용되는 제3재료 수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terial supply unit 3 includes a first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1 in which a first capsule C1 containing a first material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1 in which a second material accommodated- A third material receiving portion 33 in which a third capsule C3 in which a third material is accommodated is accommodated.

제1재료 수용부(31)에는 제1재료 수용부(31)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11)가 연결될 수 있고, 제1재료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1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11)에는 제1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11)를 개폐하는 제1재료 급수밸브(3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12)에는 제1재료 수용부(31)의 유체가 메인 채널(2)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1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12)를 통해 제1재료 수용부(31)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1체크밸브(31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1재료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The first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1 may be connected to a first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inlet channel 311 for guiding water or air to the first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1, Water, a mixture of water and the first additive, and a first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312 through which air is guided. The first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 31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material water feed valve 3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 311. The first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312 is provided with a first material receiving portion 31 through which the fluid in the first material receiving portion 31 flows into the main channel 2, A first check valve 314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gas from flowing backward to the first check valve 31. Here, the fluid may be water out of the first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1, a mixture of water and the first additive, air.

제2재료 수용부(32)에는 제2재료 수용부(32)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2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21)가 연결될 수 있고, 제2재료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2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2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21)에는 제2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21)를 개폐하는 제2재료 급수밸브(323)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22)에는 제2재료 수용부(32)의 유체가 메인 채널(2)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2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22)를 통해 제2재료 수용부(32)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2체크밸브(32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2재료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The second material receiving portion 32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 321 for guiding water or air to the second material receiving portion 32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material receiving portion 32, A water, a mixture of water and a second additive, and a second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322 through which air is guided. The second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 321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material water feed valve 32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 321. The second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322 is provided with a second material receiving portion 322 through which the fluid in the second material receiving portion 32 flows into the main channel 2, A second check valve 324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second check valve 32 from flowing backward. Here, the fluid may be water flowing out of the second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2, a mixture of water and a second additive, air.

제3재료 수용부(33)에는 제3재료 수용부(33)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3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31)가 연결될 수 있고, 제3재료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3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32)가 연결될 수 있다. 제3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31)에는 제3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31)를 개폐하는 제3재료 급수밸브(333)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32)에는 제3재료 수용부(33)의 유체가 메인 채널(2)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3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32)를 통해 제3재료 수용부(33)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3체크밸브(33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3재료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The third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3 may be connected to a third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inlet channel 331 for guiding water or air to the third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3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3, Water, a mixture of water and the third additive, and a third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332 through which the air is guided. The third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 331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material water feed valve 33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ird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 331. The third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outlet channel 332 is provided with the fluid of the third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3 flowing into the main channel 2 while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third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outlet channel 332 through the third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outlet channel 332, A third check valve 334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gas from flowing back to the second check valve 33. Here, the fluid may be water that has flowed out from the third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3, a mixture of water and a third additive, air.

메인 채널(2)은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경우, 물이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재료 공급기(3) 이전에 위치하는 제1메인 채널(2A)와, 물이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재료 공급기(3) 이후에 위치하는 제2메인 채널(2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channel 2 has a first main channel 2A positioned before the material feeder 3 in the direction of water or air flow when the beverage maker includes the material feeder 3 and a second main channel 2A positioned in front of the material feeder 3, And a second main channel 2B located after the feeder 3.

메인 채널(2)는 제1메인 채널(2A)와 제2메인 채널(2B)를 잇고 물이나 공기가 재료 공급기(3)를 바이패스하는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channel 2 may further include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channel 2C connecting the first main channel 2A and the second main channel 2B and bypassing the material feeder 3 with water or air have.

여기서, 제1메인 채널(2A)은 급수모듈(5)에 연결된 급수채널일 수 있고, 제2메인 채널(2B)은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된 발효조 연결채널일 수 있다. 그리고,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은 이러한 급수채널과 발효조 어셈블리 연결채널을 연결하면서 물이나 공기가 재료 공급기(3)를 바이패스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main channel 2A may be a water supply channel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the second main channel 2B may be a fermentation channel connec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fermenter assembly 1. [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channel 2C can be configured to bypass the material feeder 3 with water or air whil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the fermenter assembly connection channel.

메인 채널(2)은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채널로 구성될 수 있고,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경우, 제1메인 채널(2A)과, 제2메인 채널(2B)과,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channel 2 can be constituted by one channel when the beverage maker does not include the material feeder 3 and the first main channel 2A when the beverage maker includes the material feeder 3 A second main channel 2B, and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channel 2C.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은 제1재료 수용부(31)의 채널과, 제2재료 수용부(32)의 채널과, 제3재료 수용부(33)의 채널 각각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channel 2C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hannel of the first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1, the channel of the second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2, and each of the channels of the third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3 have.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에는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 (2C)를 개폐하는 재료 수용부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channel (2C)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valve (3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channel (2C).

제1메인 채널(2A)는 제1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11)와, 제2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21)와, 제3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31) 및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메인 채널(21)는 급수모듈(5)에 연결된 공통관과, 공통관에서 분지되어 제1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11)와, 제2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21)와, 제3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31) 및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 및 연결된 다수의 분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ain channel 2A includes a first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 311, a second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 321, a third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 331, and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channel 2C, respectively. The first main channel 21 is divided into a common tu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a first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 311, a second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 321 branched from the common tube,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 331 and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channel 2C and a plurality of branch tubes connected thereto.

제2메인 채널(2B)은 제1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12)과, 제2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22)과, 제3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32) 및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2B)은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된 공통관과, 제1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12)과, 제2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22)과, 제3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332) 및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를 공통관과 연결하는 다수의 합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main channel 2B includes a first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312, a second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322, a third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332, and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channel 2C, respectively. The second main channel 2B includes a common tube connected to the fermenter assembly 1 and a first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312, a second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322, (332) and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channel (2C) to a common pipe.

제1메인 채널(2A)로 급수된 물이나 공기는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35)의 클로즈시 재료 수용부(31)(32)(33)을 통과하여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을 바이패스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2B)로 유동될 수 있다. Water or air supplied to the first main channel 2A passes through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bypass channel 2C through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s 31, 32 and 33 when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bypass valve 35 is closed, And can flow to the second main channel 2B.

반대로, 제1메인 채널(2A)로 급수된 물이나 공기는 재료 급수밸브(311)(321)(331)의 클로즈시,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을 통과하여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2B)로 유동될 수 있다. Conversely, the water or air supplied to the first main channel 2A flows into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31 through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bypass channel 2C when the material water feed valves 311, 321, and 331 are closed, (32) (33), and can flow to the second main channel (2B).

급수모듈(5)는 물이 담기는 급수탱크(500)와; 급수탱크(500)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52)와;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module (5) includes a water supply tank (500) containing water; A water supply pump (52) for pumping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500); And a water heater 53 for heating water pumped by the water feed pump 52.

급수탱크(500)는 수조(510)와, 급수탱크 뚜껑부(511), 급수탱크 가스배출기(512), 급수탱크 압력센서(5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tank 500 may include a water tank 510, a water tank lid 511, a water tank gas outlet 512, and a water tank pressure sensor 513.

수조(510)는 발효조 어셈블리(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기설정된 양의 물을 저장하도록 일정 크기를 갖는 저장소이며, 급수탱크 뚜껑부(511)는 상기 수조(5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수조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510 is a reservoir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o stor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fermenter assembly 1. The water tank lid 511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510,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to supply a certain amount of water.

급수탱크 가스배출기(512)는 급수탱크(500) 내부에 대한 건조 모드를 수행시에 동작할 수 있다. 급수탱크 압력센서(513)는 상기 급수탱크 뚜껑부(511)가 클로즈되어 있는 상태에서 급수탱크(5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며, 급수탱크(500)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급수탱크 가스배출기(512)를 통해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급수탱크 가스배출기(512)는 가스탱크(500)에 장착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tank gas discharger 512 can operate in the drying mode for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tank 500. The water supply tank pressure sensor 513 measures the pressure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500 when the water supply tank lid 511 is closed and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500 exceeds a preset pressure The gas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tank gas discharger 512. The water supply tank gas discharger 512 may be mounted in the gas tank 500.

급수탱크 가스배출기(512)는 릴리프 밸브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water tank gas discharger 512 may be a relief val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급수탱크(500)에는 급수펌프 입수채널(54)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펌프(52)는 급수펌프 입수채널(54)에 연결될 수 있다.A water supply pump inlet channel 54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500 and a water supply pump 52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ump intake channel 54.

급수펌프(52)에는 급수펌프 출수채널(55)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히터(53)은 급수펌프 출수채널(55)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eed pump 52 may be connected to the feed pump outlet channel 55 and the feed water heater 53 may be connected to the feed pump outlet channel 55.

급수펌프 출수채널(55)에는 급수펌프 출수채널(55)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가 설치될 수 있다. A flow meter 56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feed pump outlet channel 55 may be installed in the feed pump outlet channel 55.

급수히터(53)는 몰드 히터일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이 통과하는 히터 케이스와, 히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 케이스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급수히터(53)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7: Thermistor)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히터(53)에는 온도가 높을 경우 회로가 차단되어 급수히터(53)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써멀 퓨즈(58; Thermal Fuse)가 설치될 수 있다. The water heater 53 may be a mold heater, and includes a heater case through which the water pumped by the water feed pump 52 passes, and a heater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heater case and heats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heater case can do. The feed water heater 53 may be provided with a thermistor 57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eed water heater 53. In addition, a thermal fuse (thermal fuse) 58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heater 53 to block the current applied to the water heater 53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급수펌프(52)의 구동시, 급수탱크(500)의 물은 급수펌프 입수채널(54), 급수펌프(52), 급수펌프 출수채널(55)를 통해 급수히터(53)로 안내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안내된 물은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된 후 메인 채널(2)로 안내될 수 있다.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500 can be guided to the water heater 53 through the water supply pump intake channel 54, the water supply pump 52, and the water supply pump outlet channel 55 when the water supply pump 52 is driven The water guided to the water heater 53 can be guided to the main channel 2 after being heated by the water heater 53. [

한편, 급수모듈(5)은 급수탱크(500)와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포함하지 않고,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되거나 수도꼭지에 별도의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메인 채널(2)로 안내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water supply module 5 does not include the water supply tank 500, the water supply pump 52 and the water supply heater 53 but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faucet or is connected to the faucet by a separate connection hose, And the like.

급수모듈(5)은 급수탱크(500)와 급수펌프(52)를 포함하지 않고,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되거나 수도꼭지에 별도의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메인 채널(2)로 안내하는 급수관과, 급수관에 설치된 급수히터(5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water supply module 5 does not include the water supply tank 500 and the water supply pump 52 but is connected to the faucet or connected to the faucet by a separate connection hose to supply water to the main channel 2,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water heater 53 installed in the water heater.

음료 취출기(6)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되어 메인 채널(2)의 음료가 안내되는 음료 취출채널(61)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음료 취출채널(61)에 연결된 음료 취출밸브(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extractor 6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The beverage dispenser 6 may include a beverage extraction channel 61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to guide the beverage of the main channel 2. The beverage dispenser 6 may further include a beverage extraction valve 62 connected to the beverage extraction channel 61.

음료 취출채널(61)은 메인 채널(2) 중 급수모듈(5)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는 메인 채널(2) 중 재료 공급기(3)와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는 제2메인 채널(2B)에 연결될 수 잇다. The beverage extraction channel 6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1 in the main channel 2. The beverage extraction channel 61 can be connected between the material feeder 3 and the fermenter assembly 1 in the main channel 2. The beverage extraction channel 61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channel 2B.

음료 취출채널(61)에는 거품차단부(63, Anti-Foaming path)가 구비될 수 있고, 메인 채널(2)에서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된 음료의 거품은 거품차단 패스를 통과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거품차단부(63)에는 거품이 걸러지는 메쉬(Mesh) 등이 구비될 수 있다. The beverage blowout channel 61 may be provided with an anti-foaming path 63. The beverage foam that has flowed from the main channel 2 to the beverage takeout channel 61 may be minim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oam cut- . The foam blocking portion 63 may be provided with a mesh or the like to remove bubbles.

음료 취출밸브(62)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와,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630; Micro Switch, 도 5 참조)를 갖는 탭 밸브(Tap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dispensing valve 62 may include a lever operated by a user and a tap valve having a limit switch 630 (see FIG. 5) for sensing a user's operation.

가스 주입기(8)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되어 메인 채널(2)로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The gas injector 8 is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and is capable of injecting gas into the main channel 2.

가스 주입기(8)는 물 유동방향으로 재료 공급기(3) 이전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메인 채널(2)를 통해 재료 공급기(3)로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가스 주입구(8)는 제1메인 채널(2A)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 주입기(8)에서 메인 채널(2)로 주입된 가스는 재료 공급기(3)를 통과한 후 음료 제조팩(12)로 주입될 수 있다. 가스 주입기(8)에서 메인 채널(2)로 주입된 가스는 재료 공급기(3)를 바이패스하여 음료 제조팩(12)로 주입될 수 있다.The gas injector 8 can be connected before the material feeder 3 in the water flow direction and in this case can inject gas into the material feeder 3 via the main channel 2. The gas inlet 8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ain channel 2A. The gas injected from the gas injector 8 into the main channel 2 can be injected in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fter passing through the material feeder 3. The gas injected from the gas injector 8 into the main channel 2 can be injected in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by bypassing the material feeder 3.

가스 주입기(8)는 메인 채널(2)를 통해 재료 수용부(31)(32)(33)로 가스를 주입할 수 있고, 캡슐(C1)(C2)(C3) 또는 재료 수용부(31)(32)(33) 내의 잔수나 찌꺼기는 가스 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가스에 의해 메인 채널(2)로 유동될 수 있다. 캡슐(C1)(C2)(C3) 및 재료 수용부(31)(32)(33)는 가스 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가스에 의해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 gas injector 8 can inject the gas into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s 31, 32 and 33 through the main channel 2 and the capsules C1, C2 and C3 or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31, The residuals or residue in the first and the second channels 32 and 33 can flow into the main channel 2 by the gas injected by the gas injector 8. [ The capsules C1, C2, and C3 and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s 31, 32, and 33 can be kept clean by the gas injected by the gas injector 8. [

가스 주입기(8)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된 가스 주입채널(81)와, 가스 주입채널(81)로 가스를 펌핑하는 가스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as injector 8 may include a gas injection channel 81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and a gas pump 82 for pumping the gas to the gas injection channel 81.

가스 주입채널(81)는 물 유동방향으로 급수모듈(5)과 재료 공급기(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gas injection channel 81 can be connected between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the material feeder 3 in the water flow direction.

가스 주입채널(81)는 메인 채널(2) 중 제1메인 채널(2A)에 연결될 수 있다.The gas injection channel 8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ain channel 2A of the main channel 2. [

가스 주입기(8)는 메인 채널(2)의 물이 가스 주입채널(81)를 통해 가스펌프(8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83)는 가스 주입방향으로 가스펌프(82)의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The gas injector 8 may further include a check valve 83 to prevent water in the main channel 2 from entering the gas pump 82 through the gas injection channel 81. The check valve 83 may be installed after the gas pump 82 in the gas injection direction.

가스 주입기(8)는 가스 주입채널(81)에 연결되고 가스 주입방향으로 가스펌프(82) 이전에 설치된 가스필터(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gas injector 8 may further include a gas filter 84 connected to the gas injection channel 81 and installed before the gas pump 82 in the gas injection direction.

가스펌프(82)의 구동시, 외부의 공기는 가스필터(84)에 의해 먼지 등이 걸러질 수 있고, 가스필터(84)를 통과한 공기는 가스펌프(82)에 의해 유동되어 메인 채널(2)로 유동될 수 있다. When the gas pump 82 is driven, dust or the like may be filtered by the gas filter 84 an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gas filter 84 may be flowed by the gas pump 82 to be supplied to the main channel 2). ≪ / RTI >

한편, 음료 제조기는 메인 채널(2)를 개폐하는 발효조 밸브(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fermenter valve 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channel 2.

메인 채널(2)는 음료 취출채널(61)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91)과 발효조 어셈블리(1)에 형성된 메인 채널 연결부(115)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channel 2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91 connected to the beverage extraction channel 61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92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connection part 115 formed in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1.

발효조 밸브(9)는 제1연결부(91)과 제2연결부(92)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fermentation tank valve 9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9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92.

발효조 밸브(9)는 음료 제조팩(12)으로 물을 급수할 때 오픈되어 메인 채널(2)를 개방할 수 있다. 발효조 밸브(9)는 발효조 어셈블리(1)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메인 채널(2)을 클로즈할 수 있다. 발효조 밸브(9)는 음료 제조팩(12)의 내부로 가스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메인 채널(2)을 개방할 수 있다. 발효조 밸브(9)는 재료를 음료 제조팩(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메인 채널(2)을 개방할 수 있다. 발효조 밸브(9)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음료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발효조 밸브(9)는 음료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음료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발효조 밸브(9)는 음료 취출기(6)에 의한 음료 취출시 오픈되어 메인 채널(2)을 개방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는 발효조 밸브(9)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될 수 있다. The fermentation tank valve (9) is opene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nd can open the main channel (2). The fermenter valve 9 may be closed during cooling of the fermenter assembly 1 to close the main channel 2. The fermentation tank valve 9 is opened when the gas is injected in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nd can open the main channel 2. The fermentation tank valve 9 may be open when the material is fed in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to open the main channel 2. The fermentation tank valve (9) is closed during fermentation of the material to seal the interior of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The fermentation tank valve (9) is closed when the beverage is aged and stored, thereby sealing the inside of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The fermentation tank valve 9 is opened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by the beverage take-out machine 6 and can open the main channel 2.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passes through the fermentation tank valve 9, (6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가 있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가 없는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재료 공급기(3)가 없는 구조에서는 발효조 밸브(9)가 메인 밸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lthough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structure in which the material feeder 3 is provided, 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the structure without the material feeder 3.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material feeder 3 is not provided, the fermenter valve 9 can serve as a main valve.

한편,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거나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의 가스를 배기하는 가스 조절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maker may include a gas regulator 15 for supplying gas into the interior of the fermenter assembly 1 or for exhausting the gas in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가스 조절기(15)는 외부의 가스를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로 가스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의 가스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The gas regulator 15 can exhaust the gas betwee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nd the inner wall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or vice versa to exhaust the gas betwee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nd the inner wall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

가스 조절기(15)는 가스 조절펌프(152)와, 가스 조절펌프(152)와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를 연결하는 가스 조절채널(154)과; 가스 조절채널(154)에 연결되어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156)를 포함한다. The gas regulator 15 includes a gas regulating pump 152, a gas regulating channel 154 connecting the interior of the fermenter assembly 1 with the gas regulating pump 152; And an exhaust valve 156 connected to the gas control channel 154 to exhaust the gas to the outside.

음료 제조기는 가스 조절채널(154)과 연결채널(10)의 연결부와 발효조 어셈블리(1) 사이에 연결된 가스 릴리프 밸브(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gas relief valve 158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of the gas control channel 154 and the connection channel 10 and the fermentor assembly 1. [

가스 조절펌프(152)와 가스 조절채널(154)은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기로 기능할 수 있다. The gas regulating pump 152 and the gas regulating channel 154 may serve as a gas supplier for supplying gas between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fermentor assembly 1. [

가스 조절채널(154)과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의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가스 배기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The gas control channel 154 and the exhaust valve 156 may function as gas exhaust passages for exhausting the gas between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fermenter assembly 1 to the outside.

가스 조절채널(154)은 발효조(112)에 연결되어 발효조(112)와 음료 제조팩(12) 사이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The gas control channel 154 may be connected to the fermentation tank 112 to supply gas between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가스 조절채널(154)은 일단이 가스 조절펌프(152)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발효조(11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gas control channel 154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gas regulating pump 15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ermenter 112.

음료 제조팩(12)이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가스 조절펌프(152)와 가스 조절채널(154)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로 공급된 가스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서 음료 제조팩(12)을 가압할 수 있다. The gas regulating pump 152 and the gas regulating channel 154 supply gas between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fermenter assembly 1 while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is housed within the fermenter assembly 1. [ And thus the gas fed into the fermenter assembly 1 can pressurize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betwee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는 가스에 의해 눌린 음료 제조팩(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발효조 밸브(9)와 음료 취출밸브(62)가 개방되면,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과해 메인 채널(2)로 유동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서 메인 채널(2)로 유동된 음료는 음료 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can be pressurized by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pressed by the gas and when the fermentation valve 9 and the beverage extraction valve 62 are opened they pass through the main channel connection 115 To the main channel (2). The beverage that has flowed from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to the main channel 2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beverage extractor 6. [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가 완성되면, 음료 제조팩(12)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외부로 꺼내지 않고,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를 음료 취출기(6)로 취출할 수 있다. When the beverage manufacturing machine is completed, the beverage manufacturing machine pack 12 is not taken out of the fermenter assembly 1 but is placed in the interior of the fermenter assembly 1, Can be taken out to the machine (6).

가스 조절펌프(152)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 소정 압력이 형성되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는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 취출이 용이한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The gas regulating pump 152 can supply the gas to form a predetermined pressure between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12 12) can be formed.

가스 조절펌프(152)는 음료 취출이 진행되는 동안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음료 취출이 끝나면, 다음 번 음료 취출을 위해 구동되었다가 정지될 수 있다.The gas regulating pump 152 is kept in the off state during the progress of the beverage extraction and may be driven and stopped for the next beverage extraction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is completed.

배기밸브(156)는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에 위치될 수 있고, 가스 조절채널(154) 중 발효조(112)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The exhaust valve 156 may be located external to the fermenter assembly 1 and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gas control channel 154 that is located outside the fermenter 112.

배기밸브(156)는 가스 조절채널(154)에 연결채널(157)로 연결될 수 있다. The exhaust valve 156 may be connected to the gas control channel 154 via a connection channel 157.

가스 조절채널(154)는 연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4F)을 기준으로, 가스 조절펌프(152)부터 연결부(154F)까지의 제1채널과, 연결부(154F)부터 출구단(154E)까지의 제2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채널은 가스 조절펌프(152)에서 펌핑된 가스를 제2채널로 안내하는 급기채널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채널은 급기채널을 통과한 가스를 발효조(112)와 음료 제조팩(12) 사이로 급기하거나, 발효조(112)와 음료 제조팩(12) 사이에서 유출된 가스를 연결채널(157)로 안내하는 급기 및 배기 겸용 채널일 수 있다.The gas control channel 154 has a first channel from the gas regulating pump 152 to the connecting portion 154F and a second channel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54F to the outlet end 154E ) Of the first channel. The first channel may be an air supply channel that directs the gas pumped in the gas control pump 152 to the second channel. The second channel is to supply the gas passing through the supply channel between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or to supply the gas discharged between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to the connection channel 157. [ And the exhaust gas can be used as the exhaust gas.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의 도중에 음료 제조팩(12)이 팽창될 때,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가스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급수모듈(5)에 의한 급수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가스주입기(8)에 의한 가스 주입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The exhaust valve 156 may be opened to exhaust gas betwee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whe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is inflated during beverage production. The exhaust valve 156 can be open-controlled when water is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module 5. The exhaust valve 156 can be open-controlled at the time of gas injection by the gas injector 8.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 취출이 종료되면,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가스를 빼내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 취출이 종료된 후, 음료 제조팩(12)을 발효조(112)의 외부로 꺼낼 수 있는데, 발효조(112) 내부가 고압을 유지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팩(12)의 음료 취출 종료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The exhaust valve 156 may be opened to exhaust gas betwee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when the beverage extraction i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is completed. This is because the user can take out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to the out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is completed. If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maintains a high pressure, a safety accident may occur. The exhaust valve 156 can be open-controlled at the end of the beverage take-out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되고 음료 제조 팩(12)의 가스를 배기 안내되는 가스 취출채널(71)와; 가스 취출채널(71)에 설치되어 가스 취출채널(71)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72)와; 가스 취출채널(71)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 취출채널(71)를 개폐하는 가스 취출밸브(73)를 포함한다. 음료 제조기는 가스 취출밸브(73)를 통과한 가스가 통과하는 가스 필터(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comprises a gas extraction channel (71) connected to the fermenter assembly (1) and being evacuated of the gas of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 pressure sensor 72 installed in the gas inlet channel 71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gas outlet channel 71; And a gas discharge valve (73) installed in the gas discharge channel (7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as discharge channel (71).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gas filter 74 through which 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gas extraction valve 73 passes.

가스 취출채널(71)는 음료 제조 팩(12)의 가스를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로 배기 안내할 수 있다. 가스 취출채널(71)는 일단이 발효조 어셈블리(1)에 형성된 가스 취출채널 연결부(215)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The gas extraction channel 71 can guide the gas of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to the out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1. [ The gas outlet channel 71 may be connected to the gas outlet channel connection 215 formed at one end of the fermenter assembly 1 and the other end may be located out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가스 취출채널(71)의 적어도 일부는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로 배치될 수 있다. 가스 취출채널(71)는 일부가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나머지가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 취출채널(71)는 그 전부가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part of the gas outlet channel 71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 The gas outlet channel 71 may be partly accommodated in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and the remainde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All of the gas extracting channel 71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

가스 취출채널(71)는 발효조 어셈블리(1) 특히, 발효조 덮개(114)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조 어셈블리(1)에는 가스 취출채널(71)가 연결되는 가스 취출채널 연결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취출채널 연결부(121)는 발효조 덮개(114)에 구비될 수 있다. 가스 취출채널(71)는 일부가 발효조 덮개(114)로 삽입될 수 있고, 발효조 덮개(114)에 구비된 가스 취출채널 연결부(121)에 연결될 수 있다. The gas outlet channel 71 may be connected to the fermenter assembly 1, in particular, to the fermenter cover 114. The fermenter assembly 1 may be provided with a gas outlet channel connection part 121 to which the gas outlet channel 71 is connected. The gas outlet channel connection part 121 may be provided in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A part of the gas extraction channel 71 may be inserted into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and connected to the gas extraction channel connection part 121 provided in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음료 제조팩(12) 내의 가스는 가스 취출채널 연결부(121) 및 가스 취출채널(71)를 통해 압력센서(72)로 유동될 수 있다.The gas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may flow to the pressure sensor 72 through the gas outlet channel connection 121 and the gas outlet channel 71. [

압력센서(72)는 가스 취출채널(71) 중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에 배치된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or 72 may be mounted on a portion of the gas outlet channel 71 disposed out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압력 센서(72)는 음료 제조팩(12) 내에서 가스 취출채널(71)로 유동된 가스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or 72 can sense the pressure of the gas flowing into the gas outlet channel 71 in the beverage making pack 12.

압력 센서(72)는 음료 제조팩(12) 내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가스 취출밸브(73)가 클로즈인 경우, 음료 취출채널(71)의 압력은 음료 제조 팩(12) 내부의 압력과 같을 수 있고, 압력 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은 음료 제조 팩(12)의 압력일 수 있다. The pressure sensor 72 can sense the pressure i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 The pressure of the beverage extraction channel 71 may be equal to the pressure inside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nd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72 may be the same as the pressure inside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Lt; / RTI >

가스취출밸브(73)는 가스 취출채널(71) 중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에 배치된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가스 취출밸브(73)는 가스 취출방향으로 압력 센서(72)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The gas extraction valve 73 may be mounted on a portion of the gas extraction channel 71 disposed outside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1. [ The gas extraction valve 73 may be installed after the pressure sensor 72 in the gas extraction direction.

가스 취출밸브(73)는 가스 주입기(8)에 의해 음료 제조팩(12)의 내부로 가스가 주입될 때 온되어 오픈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팩(12)으로 가스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음료 제조팩(12)의 상부에서 가스 취출채널(71) 및 가스 취출밸브(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gas discharge valve 73 can be opened and opened when the gas is injected in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by the gas injector 8. [ The beverage maker can inject the gas in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to evenly mix the malt and the water. At this time,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malt will flow from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to the gas extraction channel 71 and /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s discharge valve (73).

압력 센서(72), 가스 취출밸브(73)와, 가스 필터(74)는 가스 취출채널(71)에 가스 배출방향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or 72, the gas discharge valve 73 and the gas filter 74 can b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gas discharge channel 71 in the gas discharge direction.

음료 제조기는 가스 취출채널(71)에 구비된 가스배출 릴리프밸브(75, Relief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 릴리프밸브(75)는 가스 취출채널(71) 중 가스 배출 방향으로 압력 센서(72) 이전에 설치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gas discharge relief valve (75) provided in the gas discharge channel (71). The gas discharge relief valve 75 may be installed before the pressure sensor 72 in the gas discharge direction of the gas discharge channel 7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음료 제조기의 저면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그 상측에 위치하는 발효조 어셈블리(1), 압축기(131), 급수히터(53), 급수펌프(52), 급수탱크(500) 등을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beverage maker may include a base 100. The base 100 can constitute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maker and includes a fermenter assembly 1, a compressor 131, a water heater 53, a water feed pump 52, a water supply tank 500, . ≪ / RTI >

음료 제조기는 음료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음료를 받아 보관할 수 있는 음료 컨테이너(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는 베이스(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beverage container (101) capable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beverage dropped by the beverage extraction valve (62). The beverage container 10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100 or may be coupled to the base 100.

한편, 급수탱크(500)는 베이스(100) 상측에 베이스(100)와 이격될 수 있다. 급수탱크(500)는 베이스(100)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water supply tank 5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100 above the base 100. The water supply tank 500 may be vertically spaced from the base 100.

음료 제조기는 급수탱크(500)를 베이스(100)와 이격되게 지지하는 급수탱크 서포터(106)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탱크 서포터(106)는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고, 급수탱크(500)를 베이스(100) 상측에 베이스(100)와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급수탱크 서포터(106)는 하단이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고, 그 상부에 급수탱크(500)가 올려질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include a water supply tank supporter 106 for supporting the water supply tank 500 away from the base 100. The water supply tank supporter 106 may be disposed on the base 100 and may support the water supply tank 500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100.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tank supporter 106 can be raised to the base 100 and the water supply tank 500 can be raised above the water supply tank supporter 106.

급수탱크 서포터(106)는 복수개의 서포터부재가 전체적으로 중공 통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In the water supply tank supporter 106, a plurality of supporter members may be combined as a whole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음료 제조기는 아우터 급수탱크(58)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너 급수탱크(59)의 상부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급수탱크 프로텍터(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탱크 프로텍터(107)는 복수개의 프로텍터 부재가 링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tank protector 107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ter supply tank 58 and surrounding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ter supply tank 59. The water supply tank protector 107 can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protector members in a ring shape.

음료 제조기는 급수탱크(500) 또는 급수탱크 프로텍터(107)에 결합되어 급수탱크(500)의 상면을 덮는 급수탱크 리드(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탱크 리드(108)는 일측이 급수탱크(500) 또는 급수탱크 프로텍터(10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급수탱크 리드(108)는 급수탱크(500) 또는 급수탱크 프로텍터(107)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tank lead 108 coupled to the water supply tank 500 or the water supply tank protector 107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tank 500.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tank lead 108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500 or the water supply tank protector 107. The water supply tank lead 108 may be detachab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tank 500 or the water supply tank protector 107.

재료 공급기(3)는 발효조 덮개(114)와 급수탱크(5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가 발효조 덮개(114)와 급수탱크(500)의 사이 이외에 위치하는 경우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가 발효조 덮개(114) 및 급수탱크(5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The material feeder 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and the water supply tank 500. In this case, the beverage maker can be manufactured more compact than the case where the material feeder 3 is located between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and the water supply tank 500, and the material feeder 3 can be made compact, And can be protected by the water supply tank 500.

재료 공급기(3)는 도 1에 도시된 캡슐(C1)(C2)(C3)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재료 수용부가 형성된 캡슐 수용바디(36)와, 재료 수용부를 덮는 리드 모듈(3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terial feeder 3 includes a capsule housing body 36 in which the capsules C1, C2, and C3 shown in Fig. 1 are detachably received and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lead module 37 covering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can do.

캡슐 수용바디(36)는 좌측판과 우측판 중 급수탱크(500)를 마주보는 일측판이 아우터 급수탱크(58)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어 아우터 급수탱크(58)에 지지될 수 있다. One side plate of the left side plate and the right side plate facing the water supply tank 500 may be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formed in the outer water supply tank 58 and supported in the outer water supply tank 58.

캡슐 수용바디(36)는 좌측판과 우측판 중 발효조 덮개(114)를 마주보는 타측판이 단열벽 커버(104)(105)에 안착될 수 있고, 단열벽 커버(104)(105)에 지지될 수 있다. The capsule housing body 36 can receive the other side plates facing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in the heat insulating wall covers 104 and 105 and can support the heat insulating wall covers 104 and 105 .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를 덮는 리드(38)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38)은 캡슐 수용바디(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드(38)은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The lead module 37 may include a lead 38 that covers the capsule receiving body 36. The lead 38 may be slidably 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psule receiving body 36. The lead 38 may be hinged to the capsule receiving body 36.

재료 공급기(3)는 음료 제조기의 대략 중앙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재료 공급기(3)의 리드 모듈(37)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캡슐(C1)(C2)(C3)을 용이하게 장착, 분리할 수 있다. The material feeder 3 can be installed to be positioned approximately at the upper center of the beverage maker and the user can rotate the lead module 37 of the material feeder 3 upwardly to facilitate the capsules C1, So that it can be mounted and dismounted.

도 1에 도시된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11)(321)(331)에 설치되어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11)(321)(331)를 개폐하는 재료 급수밸브(313)(323)(3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수용바디(36)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323 and 333 which are provided in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s 311, 321 and 331 shown in FIG. 1 to open and close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s 311, 321 and 331, May be located below the capsule receiving body 36, as shown in FIG.

재료 급수밸브(313)(323)(333)는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102)과 급수탱크(5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재료 공급기(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material supply valves 313, 323 and 333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and the water supply tank 500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material feeders 3 in the vertical direction.

음료 제조기는 재료 급수밸브(313)(323)(333)의 전방을 가리는 센터 커버(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center cover 66 for covering the front of the material feed valves 313, 323, and 333.

센터 커버(6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 커버(104)와 급수탱크 서포터(106) 사이를 막고, 상하 방향으로 재료 공급기(3)와 베이스(100) 사이를 막게 배치될 수 있다. 센터 커버(66)는 그 배면이 응축기(132)를 전후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고, 다수의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재료 공급기(3)는 그 앞부분이 센터 커버(66)의 상단에 올려질 수 있고, 재료 공급기(3)는 센터 커버(66)에 지지될 수 있다.2, the center cover 66 closes the gap between the heat insulating wall cover 104 and the water supply tank supporter 106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blocks the gap between the material feeder 3 and the bas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rear surface of the center cover 66 can face the condenser 132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an protect a large number of parts. The front end of the material feeder 3 can be rais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er cover 66 and the material feeder 3 can be supported to the center cover 66. [

한편, 음료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전방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2)는 음료 컨테이너(101)의 상측에 위치되게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extraction valve 62 can be mounted on the center cover 66. [ The beverage extraction valve 62 can be mounted on the center cover 66 so as to protrude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beverage extraction valve 62 may be mounted on the center cover 66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beverage container 101. [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include a controller 109 that controls the beverage maker.

제어부(109)는 메인 피시비(109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may include a main PCB 109C.

제어부(109)는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의 무선통신기기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소자는 와이파이모듈과 블루투스모듈 등과 같이, 리모컨이나 무선통신기기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무선통신소자는 메인피시비(100C) 또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 or a portable termi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n be installed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type as long as it can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 remote contro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WiFi module and a Bluetooth modu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element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PCB 100C or a display file ratio described later.

제어부(109)는 음료 제조기의 제조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09A)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109B)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이나 무선통신기기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109)는 무선통신소자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control unit 109 may include an input unit 109A that receives commands related to the manufacture of the beverage maker.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a user's command in a touch manner.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in the display 109B described lat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ntrol unit 109 can receive the user comman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제어부(109)는 음료 제조기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9B)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B)는 엘시디, 엘이디, 오엘이디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B)는 디스플레이 소자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피시비는 메인 피시비(109C)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커넥터를 통해 메인 피시비(109C)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may include a display 109B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of the beverage maker. Display 109B may include display devices such as LCD, LED, and LED. The display 109B may include a display file ratio at which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The display file cost may be mounted on the main PCB 109C or connected to the main PCB 109C through a separate connector.

제어부(109)는 압력 센서(72)에 의해 음료 제조팩(12)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 의해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급수탱크 압력센서(513)에 의해 급수탱크(50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압력 센서(72)에 의해 감지된 압력과, 온도센서(16)에 의해 감지된 온도, 급수탱크 압력센서(51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급수탱크 내부의 건조 상태, 음료의 발효도나 발효완료를 감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can sense the pressure inside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by the pressure sensor 72 and can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assembly 1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The pressure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500 can be sensed by the sensor 513. The control unit 109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72,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and the water tank pressure sensor 513, The fermentation degree or completion of fermentation can be detected.

제어부(109)는 발효공정을 먼저 실시하고, 발효공정이 완료되면 숙성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performs the fermentation process first, and can perform the fermentation process when the fermentation process is completed.

제어부(109)는 발효공정의 도중에 발효조(112)의 온도가 음료 발효에 최적인 발효 온도범위를 유지하게 압축기(131)을 제어할 수 있고, 숙성공정의 도중에 발효조(112)의 온도가 음료 숙성에 최적인 숙성 설정온도를 유지하게 압축기(131)을 제어할 수 잇다. The control unit 109 can control the compressor 131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maintains the optimum fermentation temperature range for beverage ferment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is lower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mpressor 131 to maintain the optimum aging set temperature.

발효 온도범위는 숙성 설정온도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발효 온도범위는 20도 내지 24도이거나, 13 내지 14도일 수 있고, 숙성설정온도는 대략 5도 일 수 있다.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range may be set higher than the aging set temperature.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range may be from 20 degrees to 24 degrees, or from 13 degrees to 14 degrees, and the aging set temperature may be approximately 5 degrees.

즉, 제어부(109)는 숙성공정의 발효조(112)의 온도가 발효공정의 발효조(112)의 온도 보다 높게 발효조(112)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9)는 발효공정이 완료되고 숙성공정이 개시되면, 발효공정의 발효조(112) 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발효조(112)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09 can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of the fermentation process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of the fermentation process. When the fermentation process is completed and the aging process is started, the control unit 109 can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to a temperature lower than that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of the fermentation process.

한편, 제어부(109)는 발효공정의 도중에 가스 취출밸브(73)가 오픈되거나 클로즈되게 가스 취출밸브(73)를 작동시킬 수 있고, 숙성공정의 도중에 가스 취출밸브(73)의 작동 상태를 가변시키지 않고, 숙성설정시간 동안 가스 취출밸브(73)의 오픈 상태를 유지하거나 클로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09 can operate the gas extraction valve 73 so that the gas extraction valve 73 is opened or clos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gas extraction valve 73 is changed during the aging process , The open state of the gas extraction valve (73) can be maintained or the closed state can be maintained during the aging set time.

제어부(109)는 발효공정의 도중에 발효도 감지를 위해 가스 취출밸브(73)를 클로즈시켰다가 다시 오픈시킬 수 있다. 가스 취출밸브(73)는 발효공정 도중에 오픈 설정시간 동안 오픈된 후 클로즈될 수 있고, 클로즈 설정시간 동안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제어부(109)는 클로즈 설정시간 동안, 압력 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발효도(발효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may close the gas extraction valve 73 for opening the fermentation process again to detect the degree of ferment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gas outlet valve 73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the open set time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can be kept closed for the close set time. The control unit 109 can detect the degree of fermentation (degree of fermentation) by us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72 during the close setting time.

가스 취출밸브(73)가 오픈인 상태에서 클로즈되는 시점에, 압력센서(72)는 가스 취출채널(71)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 취출밸브(73)가 클로즈된 후 클로즈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압력센서(72)는 가스 취출채널(71)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or 72 can sense the pressure of the gas outlet channel 71 when the gas outlet valve 73 is closed in the open state. The pressure sensor 72 can sense the pressure of the gas outlet channel 71 at a point of time when the closing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gas outlet valve 73 is closed.

제어부(109)는 급수펌프, 히터, 가스펌프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메인밸브, 가스밸브, 바이패스 밸브, 발효조 밸브, 복수개의 재료 급수 밸브의 오픈 및 클로즈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can control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feed pump, the heater, and the gas pump, and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main valve, the gas valve, the bypass valve, the fermenter valve, .

제어부(109)는 급수모드시 가스펌프(82)를 오프 유지하고 가스밸브(83)를 클로즈하며,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35) 및 발효조 밸브(9)를 오픈하고, 복수개의 재료 급수 밸브(313, 323, 333)를 클로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keeps the gas pump 82 off in the water supply mode and closes the gas valve 83 to open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bypass valve 35 and the fermenter valve 9, (313, 323, 333) are closed.

제어부(109)는 가스주입모드시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35) 및 발효조 밸브(9)를 오픈하고,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313,323,333)를 클로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drives the gas pump 82 in the gas injection mode to open the gas valve 83 and open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valve 35 and the fermenter valve 9, (313, 323, 333) are closed.

제어부(109)는 재료 공급모드시 가스펌프(82)를 오프 유지하고, 가스밸브(83)를 클로즈하며,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35)를 클로즈하고, 발효조 밸브(9) 및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313,323,333)를 오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keeps the gas pump 82 off in the material supply mode, closes the gas valve 83, closes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bypass valve 35, The valves 313, 323, and 333 can be controlled to open.

제어부(109)는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모드시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313,323,333) 및 발효조 밸브(9)를 오픈하고,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35)를 클로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drives the gas pump 82 in the material feeder residual amount removal mode to open the gas valve 83 and open the plurality of material feed valves 313, 323, 333 and the fermentation vessel valve 9,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ass valve 35 to close.

제어부(109)는 발효공정 도중에 발효 종료 감지를 위해 가스 취출밸브(73)를 오픈하였다가 클로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can open and close the gas extraction valve 73 for detection of fermentation en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제어부(109)는 1차발효과정의 종료 후, 전체 발효공정의 종료를 감지하기 위해 가스 취출밸브(73)를 오픈하였다가 클로즈할 수 있다.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imary fermentation process, the control unit 109 opens and closes the gas extraction valve 73 to detect completion of the entire fermentation process.

제어부(109)는 발효공정시 압력 센서(72)의 감지값(P)에 따라 가스 취출밸브(73)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can control the gas extraction valve 73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value P of the pressure sensor 72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제어부(109)는 압력 센서(72)의 감지값(P)이 설정압력 초과이면, 가스 취출밸브(73)를 오픈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9)는 압력 센서(72)의 감지값(P)이 설정압력 이하이면 가스 취출밸브(73)를 클로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can open the gas extraction valve 73 when the sensed value P of the pressure sensor 72 exceeds the set pressure. Then, the control unit 109 can close the gas take-out valve 73 when the sensed value P of the pressure sensor 72 is lower than the set pressure.

제어부(109)는 설정시간 동안 압력 센서(72)의 감지값(P)에 따라 가스 취출밸브(73)를 적어도 1회 오픈시켰다가 클로즈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can open and close the gas extraction valve 73 at least once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P of the pressure sensor 72 during the set time.

제어부(109)는 설정시간 동안 가스 취출밸브(73)의 오픈 횟수를 이용하여 2차발효과정의 종료 여부 즉, 발효 공정의 종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can detect whether the secondary fermentation process is terminated, that is, whether the fermentation process is completed, using the number of open times of the gas extraction valve 73 during the set time.

제어부(109)는 설정시간 동안 가스 취출밸브(73)의 오픈 횟수가 설정 횟수 이상이면, 아직 발효가 종료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can detect that the fermentation has not yet ended when the number of open times of the gas extraction valve 73 is more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the set time.

제어부(109)는 설정시간 동안 가스 취출밸브(73)의 오픈 횟수가 설정 횟수 미만이면, 발효가 종료된 것으로 감지하고, 발효공정을 종료할 수 있다. If the number of open times of the gas extraction valve 73 is less than the preset number of times during the set time, the control unit 109 may detect that the fermentation is completed and terminate the fermentation process.

음료의 발효가 마무리되면, 음료 제조 팩(12) 내의 압력 변화는 미미하고, 이와 같이, 압력센서(72)에 의해 음료 제조팩(12) 내의 압력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감지되면, 음료 제조기는 발효공정이 종료된 것으로 자가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fermentation of the beverage is completed, the pressure change i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is insignificant. Thus, if the pressure sensor 72 detects that the pressure change i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is insignificant, Can be self-determined as having been terminated.

제어부(109)는 발효공정이 종료되면, 음료 제조팩(12)의 음료를 숙성시키는 숙성공정을 개시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09)는 숙성공정을 숙성 설정시간동안 실시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숙성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음료는 취출할 수 있다. When the ferment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09 can start an aging process for aging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09 can perform the aging process for the aging set time. When the aging set time has passed, the beverage maker can take out the beverage.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는 음료의 제조가 완성되는 단계까지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여러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 할당되는 명령에 따라 제어부(109)는 급수 펌프, 히터, 가스펌프, 가스 밸브, 바이패스 밸브, 발효조 밸브, 복수개의 재료 급수 밸브의 동작을 적어도 하나 이상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input unit receiving command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maker can receive various command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until the beverage produc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09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s of the feed pump, the heater, the gas pump, the gas valve, the bypass valve, the fermenter valve, and the plurality of material feed valves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다수의 제어모드를 통해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beverage through a plurality of control modes.

제어부(109)는 메인밸브와, 급수펌프와, 히터와, 가스펌프 및 가스밸브를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모드를 실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can execute a plurality of control modes for controlling the main valve, the water feed pump, the heater, the gas pump, and the gas valve.

다수의 제어모드는 급수모드, 가스주입모드, 재료 공급모드, 잔수 제거모드, 급수모듈 건조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어 모드는 상기에 열거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며, 제어 방법은 물 또는 가스의 흐르는 이동 경로에 마련된 밸브를 차단하거나 오픈하여 물 또는 가스의 이동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may include a water supply mode, a gas injection mode, a material supply mode, a residual water removal mode, and a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Each control mode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s listed above, and the control method may include blocking or opening a valve provided in the flow path of the water or gas to change the path of the water or gas have.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장치의 제어 수순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다.FIG.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procedure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to 9 illustrate a process performed to manufacture a beverage with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사용자는 음료 제조를 위해, 리드(114)를 열고 발효조(112)를 하우징(102)(104) 내로 삽입하여 하우징(102)(104)에 안착할 수 있다. 발효조(112)의 안착 후, 사용자는 리드(114)를 닫을 수 있고, 하우징(102)(104)의 내부는 리드(11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때, 발효조(112)은 하우징(102)(104)와 리드(114)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 The user can place the fermenter 112 in the housing 102 (104) by opening the lid 114 and inserting the fermenter 112 into the housing 102 (104) for beverage production. After the placement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the user can close the lid 114 and the interior of the housings 102, 104 can be closed by the lid 114. At this time, the fermentation tank 112 may be housed in the housings 102 and 104 and the lid 114 and stored.

사용자는 발효조(112)의 안착 전, 후에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캡슐(C1)(C2)(C3)를 삽입한 후 리드 모듈(37)로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를 덮을 수 있다.The user inserts a plurality of capsules C1, C2 and C3 into the material feeder 3 before and after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n feeds the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31 and 32 to the lead module 37, (Not shown).

사용자는 제어부(109)에 구비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음료 제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09)인 제어부는 음료 제조 명령이 입력되면, 음료 제조를 개시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a drink manufacturing command through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09, a remote controller, or a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which is the control unit 109, can start the beverage production when the beverage production command is input.

제어부(109)는 발효조(112)로 온수를 공급하는 단계(S100)를 개시할 수 있다. 발효조(112)로 온수를 공급하는 단계(S100)는 발효조(112) 내의 맥아를 온수와 고르게 혼합(Mixing)하여 액상 맥아를 형성하는 액상 맥아 형성단계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can start the step S100 of supplying hot water to the fermentation tank 112. [ The step of supplying hot water to the fermentation tank 112 may be a liquid malt formation step of mixing the malt in the fermentation tank 112 with hot water to form liquid malt.

도 5는 음료 제조팩 내로 물이 급수될 때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음료 제조팩에 온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제어부에서 급수모드가 수행되는 때에 음료제조기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5 is a view showing water flow when water is supplied in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Referring to FIG. 5,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maker when the water supply mode is performed in the control unit is shown in FIG. 4, in which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수조(510)의 물은 급수탱크(500)에서 출수되어 급수펌프(52)를 통과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은 메인 채널(2) 및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35)를 통과할 수 있고, 발효조 밸브(9)를 통과할 수 있다. 발효조 밸브(9)를 통과한 온수는 리드 메인 채널부(115)를 통과한 후 발효조(112) 내부의 음료 제조팩(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water in the water tank 510 can be taken out from the water supply tank 500 and can pass through the water feed pump 52 and flow to the water heater 53 and can be heated in the water heater 53. The water heated by the feed water heater 53 can pass through the main channel 2 and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valve 35 and can pass through the fermenter valve 9. The hot water passing through the fermentation tank valve 9 can be introduced in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inside the fermentation tank 112 after passing through the lead main channel part 115.

급수모드에서 상기와 같은 물의 흐름을 위해, 가스펌프(82)를 오프 유지하고, 가스 밸브(83)를 클로즈하며,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35)와 발효조 밸브(9)는 오픈하고, 복수개의 재료 급수밸브(313, 323, 333)는 클로즈될 수 있다. The gas pump 82 is kept off and the gas valve 83 is closed so that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valve 35 and the fermentation tank valve 9 are open and a plurality of The four material supply valves 313, 323, and 333 can be closed.

메인 채널(2)과, 리드 메인 채널부(115)를 통해 발효조(112)의 음료 제조팩(12)으로 유입된 온수는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맥아와 혼합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의 맥아는 물과 혼합되어 점차 희석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팩(12)으로 온수가 공급되므로, 발효조(112)에 수용되어 있던 맥아는 온수와 신속하고 고르게 혼합될 수 있다. Hot water introduced in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through the main channel 2 and the lead main channel portion 115 can be mixed with the malt contained i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The malt in the production pack 12 can be mixed with water and gradually dilut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the malt contained in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quickly and uniformly mixed with hot water.

상기와 같은 급수모드에서 급수히터(53)는 물을 50℃ 내지 7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부(109)는 써미스터(57: Thermistor)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급수히터(53)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water supply mode, the water heater 53 preferably heats the water to 50 ° C to 70 ° C, and the controller 109 controls the water heater 53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hermistor 57 can do.

음료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급수모드를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수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될 때까지 실시할 수 있고,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수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되면, 급수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can perform the water supply mode as described above until the quantity detected by the flow meter 56 reaches the set flow rate and when the quantity detected by the flow meter 56 reaches the set flow rate, can do.

급수모드의 종료시, 제어부(109)는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 시킬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35)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mode, the control unit 109 can turn off the water feed pump 52 and the water heater 53, and close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bypass valve 35. [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음료 제조팩 내로 가스가 주입될 때의 가스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Fig. 6 is a view showing the gas flow when the gas is injected in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shown in Fig. 2; Fig.

음료 제조장치는 급수 단계(S100)가 종료되면, 발효조(112)를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S200) 및 가스 공급 단계(S300)을 실시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an perform a cooling step (S200) and a gas supply step (S300) for cooling the fermentation tank (112) when the water supply step (S100) is finished.

제어부는 발효조(112)의 냉각을 위해 온도조절기(13)를 온시킬 수 있다. 온도조절기(13)의 온시, 하우징(102)(104)과 발효조(112) 사이의 가스는 온도조절기(13)에 의해 냉각될 수 있고, 하우징(102)(104) 내부에 수용된 발효조(112)는 냉각될 수 있으며,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액상 맥아는 냉각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turn on the temperature controller 13 to cool the fermenter 112. [ The gas between the housings 102 and 104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cooled by the temperature regulator 13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housed inside the housings 102 and 104 can be cooled, And the liquid malt contained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can be cooled.

상기와 같은 하우징(102)(104)의 냉각시, 음료 제조장치는 발효조(112)을 중온 예를 들면, 23℃ 내지 27℃로 냉각할 수 있고, 제어부는 하우징(102)(104)에 설치된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온도조절기(13)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온 온도 초과이면 온도조절기(13)를 온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오프 온도 이하이면 온도조절기(13)를 오프할 수 있다. When cooling the housings 102 and 104 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an cool the fermentation tank 112 at a middle temperature, for example, 23 to 27 DEG C, and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2 And the temperature controller 13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The control unit 109 can turn on the temperature controller 13 if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exceeds the ON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109 may turn off the temperature controller 13 if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is below the off-temperature.

음료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냉각 단계(S200) 및 가스공급 단계(S300)시 발효조(112)의 음료 제조팩(12) 내부로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냉각 및 가스공급 단계(S200, S300)시 음료 제조팩(12)으로 주입된 가스는 액상 맥아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may inject gas in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during the cooling step S200 and the gas supply step S300. During the cooling and gas supply steps (S200, S300), the gas injected in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can supply oxygen to the liquid malt.

음료 제조장치는 냉각 및 가스공급 단계(S200, S300)의 개시시부터, 음료 제조팩(12)으로 가스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냉각 및 가스공급 단계(S200, S300)의 개시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음료 제조팩(12)으로 가스를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며, 냉각 및 가스공급 단계(S200)가 개시된 후,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적어도 1회 오프 온도 이하이면, 음료 제조팩(12)으로 가스를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can inject gas in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from the start of the cooling and gas supply steps S200 and S300 and the set time after the commencement of the cooling and gas supply steps S200 and S300 It is also possible to inject gas in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after the start of the cooling and gas supply step S200 and if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is at least one off temperature, It is also possible to inject the gas into the chamber 12.

음료 제조팩(12)으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모드에서는 제어부에 의해 가스펌프(82)를 온시키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35) 및 발효조 밸브(9)를 오픈하고, 복수개의 재료 급수밸브(313, 323, 333)을 클로즈할 수 있다. The gas pump 82 is turned on by the controller to open the gas valve 83 and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bypass valve 35 and the fermenter valve 9 And the plurality of material water feed valves 313, 323, and 333 can be closed.

가스펌프(82)가 온이고, 가스밸브(83)가 오픈인 동안, 가스펌프(82)에 의해 펌핑된 가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채널(2)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음료 제조팩(12)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고, 이렇게 음료 제조팩(12) 내부로 주입된 가스는 액상 맥아에 부딪혀 액상 맥아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While the gas pump 82 is on and the gas valve 83 is open, the gas pumped by the gas pump 82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main channel 2, as shown in Fig. 5, The gas injected in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can be injected into the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gas injected in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can be supplied to the liquid malt by impinging on the liquid malt.

제어부(109)는 가스펌프(82)가 온되고 믹싱설정시간(예를 들면, 1시간) 동안 가스를 액상 맥아에 주입할 수 있고, 가스펌프(82)가 온되고 믹싱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가스펌프(82)를 오프하고, 가스밸브(83)을 클로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can inject the gas into the liquid malt for the mixing set time (for example, one hour) when the gas pump 82 is turned on. When the gas pump 82 is turned on and the mixing set time has elapsed, The gas pump 82 can be turned off and the gas valve 83 can be closed.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음료 제조팩 내로 재료가 공급될 때의 물과 재료 흐름이 도시된 도다. Fig. 7 shows the water and material flow when the material is fed in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shown in Fig. 1; Fig.

도 7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장치는 냉각 및 가스공급 단계(S200, S300) 이후에, 재료 투입단계(S400)를 실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an perform the material input step (S400) after the cooling and gas supply steps (S200, S300).

음료 제조장치는 재료 투입단계(S400)시, 제1캡슐(C1)의 재료와, 제2캡슐(C2)의 재료, 제3캡슐(C3)의 재료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may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pply the material of the first capsule C1, the material of the second capsule C2, and the material of the third capsule C3 at the material injecting step (S400).

제어부(109)는 제1캡슐(C1)의 재료 투입과, 제2캡슐(C2)의 재료 투입과, 제3캡슐(C3)의 재료 투입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can sequentially perform the charging of the first capsule C1, the charging of the second capsule C2, and the charging of the third capsule C3.

음료 제조팩(12) 내부로 첨가제가 공급되는 재료 공급모드에서, 제어부는 가스펌프(82)는 오프 유지하고, 가스밸브(83)은 클로즈하며, 발효조 밸브(9) 및 복수개의 재료 급수밸브(313,323, 333)는 오픈하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material supply mode in which the additive is supplied in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the control unit keeps the gas pump 82 off, the gas valve 83 is closed, and the fermenter valve 9 and the plurality of material feed valves 313, 323, and 333 can be controlled to open.

제어부(109)는 제1캡슐(C1)의 재료 투입과정시, 급수펌프(52)와, 발효조 밸브(9)와 제1재료 급수밸브(313)을 제1재료 설정시간 동안 온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0)의 물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펌프(52)를 통과한 후 급수히터(53)를 통과하고, 제1캡슐(C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캡슐(C1)으로 유입된 물은 제1캡슐(C1)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와 혼합되고, 제1캡슐(C1)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와 함께 메인 채널(2)로 유동될 수 있고, 발효조 밸브(9)를 통과할 수 있다. 발효조 밸브(9)를 통과한 재료는 리드 메인 채널부(115)를 통과한 후 발효조(112)의 음료 제조팩(12) 내부로 유입되어 액상 맥아와 혼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can turn on the feed pump 52, the fermenter valve 9 and the first material feed valve 313 during the first material setting time in the process of feeding the material of the first capsule C1. The water in the water tank 510 flows through the water heater 52 af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feed pump 52 and flows into the first capsule C1 as shown in FIG. .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capsule C1 is mixed with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first capsule C1 and can flow into the main channel 2 together with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first capsule C1, Can pass through the fermentation tank valve (9). The materi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ermentation tank valve 9 may flow into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fter mixing with the liquid malt after passing through the lead main channel portion 115.

제어부(109)는 제1재료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펌프(52)와 제1재료 급수밸브(313)를 오프할 수 있고, 제1캡슐(C1)의 재료 투입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제2캡슐(C2)과 제3캡슐(C3)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제1캡슐(C1)의 재료 투입과정이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can turn off the feed pump 52 and the first material feed valve 313 when the first material set time has elapsed and finish the process of feeding the material of the first capsule C1. Also, for the second capsule C2 and the third capsule C3,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injecting the material of the first capsule C1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복수개의 캡슐로 가스가 통과하는 흐름이 도시된 도다. 도 8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장치의 제어부는 재료 투입단계(S400) 이후에, 재료 공급기의 잔수를 제거하는 단계(S400)를 실시할 수 있다.FIG. 8 is a view showing a flow of a plurality of capsules through the gas shown in FIG. 2. FIG. 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 unit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may perform the step S400 of remov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material feeder after the material feeding step (S400).

재료 공급기(3)에서 제1캡슐(C1), 제2캡슐(C2), 제3캡슐(C3)의 내부에는 재료 투입단계(S400)에서 급수된 물이 잔존하게 되며, 이를 방치할 경우 남은 재료와 함께 부패할 가능성이 크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재료 공급기의 잔수를 제거하는 단계(S400)가 수행된다. Water supplied in the material injecting step S400 is left in the first capsule C1, the second capsule C2 and the third capsule C3 in the material supply unit 3, (Step S400) is performed to remov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material feeder to remove the possibility of corruption.

재료 공급기의 잔수를 제거하는 단계(S400)에 해당되는 잔수 제거모드에서, 제어부는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발효조 밸브(9) 및 복수개의 재료 급수밸브(313,323, 333)는 클로즈하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drives the gas pump 82 to open the gas valve 83 and the fermentation tank valve 9 and the plurality of material supply valves 82, (313, 323, 333) can be controlled to close.

가스펌프(82)의 구동시, 가스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밸브(83)를 통과하고, 복수개의 재료 급수밸브(313,323, 333)를 통과한 후에 제1캡슐(C1), 제2캡슐(C2), 제3캡슐(C3)을 통과할 수 있다. 가스는 제1캡슐(C1), 제2캡슐(C2), 제3캡슐(C3)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통과하면서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건조시키거나, 잔존하는 수분이 발효조(112)의 음료 제조팩(1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8, after the gas passes through the gas valve 83 and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material feed valves 313, 323 and 333, when the gas pump 82 is driven, the first capsule C1, Two capsules C2, and a third capsule C3. The gas is supplied to the first capsule C1, the second capsule C2 and the third capsule C3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dry the water remaining therein, And to move to the pack (12).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급수 모듈로 고온의 가스가 분사될 시 가스의 흐름이 도시된 도로서, 음료제조기의 제어부가 수행하는 다수의 제어모드 중에서 급수모듈 건조모드를 나타내는 도이다.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in a plurality of control modes performed by a control unit of a beverage maker, in which a flow of a gas is shown when a high temperature gas is injected into the water supply module shown in FIG.

도 9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장치의 제어부는 재료 투입단계(S400) 이후에, 급수모듈을 건조하는 단계(S600)를 실시할 수 있다. 발효조(112)의 음료 제조팩(12)으로 재료의 투입이 마무리되면 발효와 숙성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때 음료제조기의 급수모듈은 맥주의 취출이 끝날 때까지 동작이 오프되기 때문에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건조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물기로 인한 세균 번식 또는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controller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may perform step S600 of drying the water supply module after the material input step (S400). When the feeding of the material in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is completed, the fermentation and aging process is performed. At this time, since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module of the beverage maker is turned off until the beer is taken ou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cleanliness by preventing the propagation of bacteria or contamination due to water by performing the process of drying the water.

급수모듈을 건조하는 단계(S600)는 적어도 음료의 발효와 숙성 과정이 시작되기 전의 단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료공급모드 이후에 상기 급수모듈 건조모드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of drying the water supply module (S600) is preferably performed at least before the start of fermentation and aging of the beverage, and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after the material supply mode.

급수모듈을 건조하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에서, 제어부(109)는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히터(53)를 온시키며, 메인밸브를 클로즈하도록 각각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9)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급수펌프(52)를 오프 유지시킬 수 있다.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in which the water supply module is to be dried, the control unit 109 drives the gas pump 82, opens the gas valve 83, turns on the heater 53, Can be controlle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9 can keep the water supply pump 52 off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밸브는 상기 복수개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311, 321, 331)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재료 급수밸브(313,323,333)와, 상기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에 설치된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35)와, 상기 발효조 연결 채널(2B)에 설치된 발효조 밸브(9)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valve includes a plurality of material supply valves 313, 323, and 333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s 311, 321, and 331, A receiving portion bypass valve 35 and a fermentation tank valve 9 installed in the fermentation tank connecting channel 2B.

가스펌프(82)의 구동시, 가스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밸브(83)를 통과하고, 히터(53)를 통과하면 가스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가열된 가스는 급수펌프(52)를 거쳐 수조(510) 내부로 들어가 유동될 수 있다. When the gas pump 82 is driven, the gas can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hen the gas passes through the gas valve 83 and passes through the heater 53, as shown in Fig. The heated gas can flow into the water tub 510 via the water feed pump 52 and flow.

가스펌프(82)는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급수탱크(500)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유동시키며, 상기 제1시간 동안에 급수탱크 압력센서(513)는 급수탱크(5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기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경우 급수탱크(500)와 연결된 급수탱크 가스배출기(512)를 통해 급수탱크(500)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The gas pump 82 flows the heated air into the water supply tank 500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and during the first time the water supply tank pressure sensor 513 measures the pressure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500 The gas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50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tank gas discharge unit 512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500 when the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is exceeded.

음료 제조기는 급수모듈을 건조하는 단계(S600)의 종료 이후에, 음료 제조팩(12) 내의 재료를 발효시키는 발효단계(S700)를 실시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perform a fermentation step (S700) of fermenting the material i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fter the end of step S600 of drying the water supply module.

음료 제조기는 발효단계(S700)시 음료 재료에서 알코올과 이산화탄소가 동시에 생성된다. 발효단계(S700)는 알코올(에탄올) 생성을 우선하고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지 않는 1차발효과정을 먼저 실시할 수 있고, 1차발효과정 이후에 이산화탄소 생성 및 포집을 우선하는 2차발효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During the fermentation step (S700), the beverage maker simultaneously produces alcohol and carbon dioxide in the beverage ingredients. In the fermentation step (S700), a primary fermentation process in which alcohol (ethanol) production is prioritized and carbon dioxide is not captured can be performed first, and a secondary fermentation process in which carbon dioxide production and collection are given priority is performed after the primary fermentation process .

음료 제조기는 압력센서(72)의 압력 감지와, 가스 취출밸브(73)의 오픈/클로즈를 이용하여 1차발효과정의 종료를 자가 판단할 수 있고, 2차발효과정의 종료를 자가 판단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end of the primary fermentation process by using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sensor 72 and the open / close of the gas extraction valve 73, and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end of the secondary fermentation process have.

여기서, 1차발효과정은 음료 제조팩(12)의 가스가 외부로 배기되면서 음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오픈 발효과정과, 음료 제조팩(12)의 가스가 외부로 배기되지 않는 상태에서 음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클로즈 발효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fermentation process includes an open fermentation process in which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is evacuat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fermentation of the beverage proceeds, and the fermentation of the beverage in the state where the gas of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is not exhausted to the outside Lt; RTI ID = 0.0 > fermentation < / RTI >

1차발효과정의 오픈 발효과정은 가스 취출밸브(73)이 오픈 설정시간 동안 오픈 유지되는 과정이고, 1차발효과정의 클로즈 발효과정은 가스 취출밸브(73)가 클로즈 설정시간 동안 클로즈 유지되는 과정이다. The open fermentation process of the first fermentation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the gas extraction valve 73 is kept open for an open set time, and the close fermentation process of the first fermentation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the gas extraction valve 73 is closed to be.

1차발효과정은 오픈 발효과정이 우선 실시되고, 오픈 발효과정 이후에 클로즈 발효과정이 실시될 수 있다. 1차발효과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픈 발효과정과 클로즈 발효과정이 교대로 실시될 수 있다. In the first fermentation process, the open fermentation process is performed first, and after the open fermentation process, the close ferment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The primary fermentation process can be alternately performed with the open fermentation process and the close fermentation process over time.

음료 제조기는 1차발효과정의 동안 압력센서(72)가 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압력센서(72)의 감지 압력에 따라 1차발효과정의 종료를 감지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can sense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sensor 72 during the primary fermentation process and sense the end of the primary ferment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sensed pressure of the pressure sensor 72. [

음료 제조기는 클로즈 발효과정의 동안 압력센서(72)가 측정한 압력에 따라 1차발효과정의 종료를 판단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can determine the end of the primary ferment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72 during the close fermentation process.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음료 제조기는 급수펌프 입수채널(54)과 급수펌프 출수채널(55)이 급수펌프 바이패스 채널(530)로 연결되고, 급수펌프 바이패스 채널(530)에 급수펌프 바이패스 밸브(540)가 설치될 수 있다. In the beverage maker of this embodiment, the feed pump inlet channel 54 and the feed pump outlet channel 55 are connected to the feed pump bypass channel 530 and the feed pump bypass valve 530 is connected to the feed pump bypass valve 540 Can be installed.

그리고, 제어부(109)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급수펌프 바이패스 밸브(540)를 오픈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다수의 제어모드 중 급수모듈 건조모드 이외의 제어모드시, 바이패스 밸브(540)를 클로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can open the water pump bypass valve 540 in the water module drying mode. The control unit 109 may close the bypass valve 540 in a control mode other than the water module drying mode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본 실시예는 급수펌프 바이패스 채널(530)과, 급수펌프 바이패스 밸브(540) 및 제어부에 의한 급수펌프 바이패스 밸브 제어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similar to or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feed pump bypass channel 530, the feed pump bypass valve 540, and the feed pump bypass valve control by the control uni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급수펌프 바이패스 채널(530)는 급수히터(53)와 급수탱크(50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급수펌프 입수채널(54)에는 급수펌프 바이패스 채널(53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으며, 급수펌프 바이패스 채널(530)의 타단은 급수펌프 출수채널(55)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upply pump bypass channel 530 connects the water heater 53 and the water supply tank 500.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ump bypass channel 53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ump intake channel 54, The other end of the bypass channel 53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ump outlet channel 55.

가스주입기(8)에서 주입된 가스는 급수히터(53)를 통과한 후 급수펌프 바이패스 채널(530)로 유입되어 급수펌프(52)를 바이패스할 수 있고, 급수펌프 바이패스 채널(530)를 통과한 가스는 급수탱크(500)로 유입될 수 있다. The gas injected from the gas injector 8 flows into the water supply pump bypass channel 530 af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heater 53 to bypass the water supply pump 52 and the water supply pump bypass channel 530, Gas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tank 500.

급수펌프 바이패스 채널(530)은 도 4에 개시된 음료 제조의 수순 중에서 급수모듈을 건조하는 단계(S600)에서 급수펌프 바이패스 밸브(540)가 오픈될 수 있다. 급수모듈을 건조하는 단계(S600) 이외의 단계에서 급수펌프 바이패스 밸브(540)는 클로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feed pump bypass valve 530 may be opened in the step S600 of drying the water supply module in the procedure of manufacturing the beverage shown in Fig. The water supply pump bypass valve 540 can be kept closed at a stage other than the step S600 of drying the water supply module.

본 실시예의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제어부는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히터(53)를 온시키며, 메인밸브(35)를 클로즈하며, 급수펌프 바이패스 밸브(540)를 오픈하도록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급수펌프(52)는 오프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In the water module drying mod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rives the gas pump 82, opens the gas valve 83, turns on the heater 53, closes the main valve 35, The operation of each configuration can be controlled so as to open the valve 540. At this time, the water feed pump 52 can be controlled to be kept off.

급수모듈(5)을 건조하는 급수모듈 건조모드 이외의 제어모드는 도 4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제어모드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trol mode other tha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for drying the water supply module 5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trol mod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가스펌프(82)의 구동시, 가스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밸브(83)를 통과하고, 히터(53)를 통과하면 가스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가열된 가스는 급수펌프 바이패스 채널(530)를 거쳐 수조(510) 내부로 들어가 유동될 수 있다. When the gas pump 82 is driven, the gas can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hen the gas passes through the gas valve 83 and passes through the heater 53, as shown in Fig. The heated gas may flow into the water tub 510 via the feed pump bypass channel 530. [

가스펌프(82)는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급수탱크(500)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유동시키며, 상기 제1시간 동안에 급수탱크 압력센서(513)는 급수탱크(5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기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경우 급수탱크(500)와 연결된 급수탱크 가스배출기(512)를 통해 급수탱크(500)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The gas pump 82 flows the heated air into the water supply tank 500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and during the first time the water supply tank pressure sensor 513 measures the pressure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500 The gas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50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tank gas discharge unit 512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500 when the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is exceed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가 급수모듈 건조모드일 때의 가스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11 is a view showing the gas flow when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본 실시예는 급수채널(55')이 수도꼭지 등의 외부 급수원(500')와 메인채널(2)을 연결할 수 있고, 수도꼭지 등의 외부 급수원(500')에서 급수된 물이 급수채널(55')을 통해 메인채널(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채널(55')에는 급수밸브(52')가 설치될 수 있고, 급수밸브(52')는 외부 급수원(500')에서 급수된 물을 단속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channel 55 'can connect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500' such as a faucet and the main channel 2, and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500 'such as a faucet can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hannel 55 'to the main channel 2. The water supply channel 55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valve 52', and the water supply valve 52 'may intermittently supply wat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500'.

급수채널(55')에는 급수채널(55')의 가스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는 급수채널 배기밸브(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채널 배기밸브(52")는 급수채널(55')중 급수채널(55')과 메인채널(2)의 연결부와, 급수밸브(5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channel 55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channel exhaust valve 52' 'capable of exhausting the gas of the water supply channel 55'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channel 55 '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water channel 55' and the main channel 2, and between the water valve 52 '.

본 실시예는 급수밸브(52')와 급수 배기밸브(52") 기능을 겸하는 삼방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삼방밸브는 외부 급수원(500')에서 급수된 물을 메인채널(2)로 안내하는 제1모드와, 메인채널(2)에서 급수채널(55')로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제2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can include a three-way valve serving also as a water supply valve 52 'and a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 In this case, the three-way valve connects wat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500' 2, and a second mode for exhausting the gas introduced into the water channel 55 'from the main channel 2 to the outside.

제어부(109)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메인밸브를 클로즈할 수 있고, 급수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9)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오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can drive the gas pump 82, open the gas valve 83, close the main valve, and close the water supply valve 52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Then, the control unit 109 can open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이러한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가스펌프(82)에 의해 주입된 가스는 메인채널(2)에서 급수채널(55')로 유입될 수 있고, 급수채널(55')에서 급수 배기밸브(52")를 통해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In this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the gas injected by the gas pump 82 can flow into the water channel 55 'from the main channel 2, and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from the water channel 55' So that it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제어부(109)는 급수모드시, 가스펌프(82)를 정지하고, 가스밸브(83)를 클로즈하며, 메인밸브 특히, 바이패스밸브(35) 및 발효조 밸브(9)를 오픈할 수 있고, 급수밸브(52')를 오픈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can stop the gas pump 82 and close the gas valve 83 and open the main valve, especially the bypass valve 35 and the fermenter valve 9, in the water supply mode, The valve 52 'can be opened. The control unit 109 can close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제어부(109)는 가스주입 모드시,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메인밸브 특히, 바이패스밸브(35) 및 발효조 밸브(9)는 오픈하고, 재료 급수밸브(313, 323, 333)는 클로즈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drives the gas pump 82 and opens the gas valve 83 and opens the main valve in particular the bypass valve 35 and the fermenter valve 9, The valves 313, 323 and 333 can be closed. The control unit 109 can close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제어부(109)는 재료공급 모드시, 가스펌프(82)를 정지하고, 가스밸브(83)를 클로즈하며, 메인밸브 특히, 재료 급수밸브(313, 323, 333) 및 발효조 밸브(9)는 오픈하고, 바이패스밸브(35)는 클로즈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재료공급 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stops the gas pump 82 and closes the gas valve 83 while the main valve in particular the material feed valves 313, 323 and 333 and the fermenter valve 9 are opened And the bypass valve 35 can be closed. The control unit 109 can close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 in the material supply mode.

제어부(109)는 잔수제거 모드시,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메인밸브 특히, 재료 급수밸브(313, 323, 333) 및 발효조 밸브(9)는 오픈하고, 바이패스밸브(35)는 클로즈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잔수제거 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drives the gas pump 82 to open the gas valve 83 and the main valve in particular the material feed valves 313, 323 and 333 and the fermenter valve 9 are opened And the bypass valve 35 can be closed. The control unit 109 can close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 in the residual water removal mode.

도 12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가 급수모듈 건조모드일 때의 가스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12 is a view showing a gas flow when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본 실시예는 급수채널(55')에 설치되어 급수채널(55')로 급수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53)는 급수채널(55') 중 급수채널(55')과 메인채널(2)의 연결부와, 급수밸브(5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53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channel 55' to heat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nnel 55 '. The heater 53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on of the water channel 55 'and the main channel 2 of the water supply channel 55' and the water supply valve 52 '.

상기와 같이, 음료 제조기가 히터(53')를 포함할 경우, 제어부(109)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메인밸브를 클로즈할 수 있고, 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급수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9)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오픈할 수 있다. When the beverage maker includes the heater 53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09 drives the gas pump 82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opens the gas valve 83, The heater 53 'can be turned on and the water supply valve 52' can be closed. Then, the control unit 109 can open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이러한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가스펌프(82)에 의해 주입된 가스는 메인채널(2)에서 급수채널(55')로 유입될 수 있고, 히터(53')를 통과하면서 가열될 수 있다. 히터(53')로 유입된 가스는 히터(53')에 잔존하는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고, 히터(53')에서는 고온의 열풍이 급수채널(55')로 유동될 수 있다. 히터(53')에서 유동된 고온의 열풍은 급수채널(55')을 열풍 건조할 수 있고, 급수채널(55')에서 급수 배기밸브(52")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In this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the gas injected by the gas pump 82 can flow into the water channel 55 'in the main channel 2 and can be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er 53'. The gas flowing into the heater 53 'can dry the moisture remaining in the heater 53', and the hot air in the heater 53 'can flow into the water supply channel 55'. Hot hot air flowed from the heater 53 'can be hot-air dried in the water supply channel 55' and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 in the water supply channel 55 '.

제어부(109)는 급수모드시, 가스펌프(82)를 정지하고, 가스밸브(83)를 클로즈하며, 메인밸브 특히, 바이패스밸브(35) 및 발효조 밸브(9)를 오픈할 수 있고, 급수밸브(52')를 오픈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급수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9)는 히터(53)를 온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can stop the gas pump 82 and close the gas valve 83 and open the main valve, especially the bypass valve 35 and the fermenter valve 9, in the water supply mode, The valve 52 'can be opened. The control unit 109 can close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in the water supply mode, and the control unit 109 can turn on the heater 53. [

제어부(109)는 가스주입 모드시,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메인밸브 특히, 바이패스밸브(35) 및 발효조 밸브(9)는 오픈하고, 재료 급수밸브(313, 323, 333)는 클로즈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9)는 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drives the gas pump 82 and opens the gas valve 83 and opens the main valve in particular the bypass valve 35 and the fermenter valve 9, The valves 313, 323 and 333 can be closed. The control unit 109 can close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Then, the control unit 109 can turn off the heater 53. [

제어부(109)는 재료공급 모드시, 가스펌프(82)를 정지하고, 가스밸브(83)를 클로즈하며, 메인밸브 특히, 재료 급수밸브(313, 323, 333) 및 발효조 밸브(9)는 오픈하고, 바이패스밸브(35)는 클로즈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재료공급 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9)는 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stops the gas pump 82 and closes the gas valve 83 while the main valve in particular the material feed valves 313, 323 and 333 and the fermenter valve 9 are opened And the bypass valve 35 can be closed. The control unit 109 can close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 in the material supply mode. Then, the control unit 109 can turn off the heater 53. [

제어부(109)는 잔수제거 모드시,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메인밸브 특히, 재료 급수밸브(313, 323, 333) 및 발효조 밸브(9)는 오픈하고, 바이패스밸브(35)는 클로즈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잔수제거 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9)는 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drives the gas pump 82 to open the gas valve 83 and the main valve in particular the material feed valves 313, 323 and 333 and the fermenter valve 9 are opened And the bypass valve 35 can be closed. The control unit 109 can close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 in the residual water removal mode. Then, the control unit 109 can turn off the heater 53. [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가 급수모듈 건조모드일 때의 가스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13 is a view showing a gas flow when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급수모듈은 급수채널에 설치된 급수펌프(5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급수펌프는 물 급수방향으로 히터 이전에 설치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pump 54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the water supply pump may be installed before the heater in the water supply direction.

상기와 같이, 음료 제조기가 급수펌프(54')를 포함할 경우, 제어부(109)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메인밸브를 클로즈할 수 있고, 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급수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으며, 급수펌프(54')의 동작을 오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9)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오픈할 수 있다. When the beverage maker includes the water supply pump 54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09 drives the gas pump 82, opens the gas valve 83, and opens the main valve The heater 53 'can be turned on, the water supply valve 52' can be closed, and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54 'can be turned off. Then, the control unit 109 can open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이러한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가스펌프(82)에 의해 주입된 가스는 메인채널(2)에서 급수채널(55')로 유입될 수 있고, 히터(53')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에 급수펌프(54')를 통과할 수 있다. 급수펌프(54')로 유입된 가스는 급수펌프(54')에 잔존하는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고, 고온의 열풍은 급수펌프(54')과 히터(53') 사이의 급수채널(55')로 유동될 수 있다. 히터(53')에서 유동된 고온의 열풍은 급수채널(55') 및 급수펌프(54')를 열풍 건조할 수 있고, 급수채널(55')의 일단에 마련된 급수 배기밸브(52")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In this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the gas injected by the gas pump 82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channel 55 'from the main channel 2, hea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er 53' 54 '. The gas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pump 54 'can dry the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supply pump 54' and the hot air flows in the water supply channel 55 'between the water supply pump 54' and the heater 53 ' ). ≪ / RTI > The high temperature hot air flowed from the heater 53 'can be used to hot-air-dry the water supply channel 55' and the water supply pump 54 ', and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provided at one end of the water supply channel 55' So that it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제어부(109)는 급수모드시, 가스펌프(82)를 정지하고 급수펌프(54') 및 히터(53')를 온시키며, 가스밸브(83)를 클로즈하며, 메인밸브 특히, 바이패스밸브(35) 및 발효조 밸브(9)를 오픈할 수 있고, 급수밸브(52')를 오픈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급수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stops the gas pump 82 and turns on the water supply pump 54 'and the heater 53', closes the gas valve 83 and supplies the main valve, especially the bypass valve 35 and the fermentation tank valve 9 can be opened and the water supply valve 52 'can be opened. The control unit 109 can close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in the water supply mode.

제어부(109)는 가스주입 모드시,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급수펌프(54') 및 히터(53')를 오프시키며,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메인밸브 특히, 바이패스밸브(35) 및 발효조 밸브(9)는 오픈하고, 재료 급수밸브(313, 323, 333)는 클로즈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drives the gas pump 82 and turns off the water supply pump 54 'and the heater 53', opens the gas valve 83, The valve 35 and the fermenter valve 9 can be opened and the material feed valves 313, 323 and 333 can be closed. The control unit 109 can close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제어부(109)는 재료공급 모드시, 가스펌프(82)를 정지하고, 가스밸브(83)를 클로즈하며, 히터(53')를 오프시키며, 급수펌프(54')는 온시킬수 있다. 그리고, 메인밸브 특히, 재료 급수밸브(313, 323, 333) 및 발효조 밸브(9)는 오픈하고, 바이패스밸브(35)는 클로즈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재료공급 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can stop the gas pump 82, close the gas valve 83, turn off the heater 53 ', and turn the water supply pump 54' on in the material supply mode. Then, the main valve, in particular, the material feed valves 313, 323, 333 and the fermenter valve 9 are opened, and the bypass valve 35 can be closed. The control unit 109 can close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 in the material supply mode.

제어부(109)는 잔수제거 모드시,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히터(53) 및 급수펌프(54')는 오프시킬수 있다. 메인밸브 특히, 재료 급수밸브(313, 323, 333) 및 발효조 밸브(9)는 오픈하고, 바이패스밸브(35)는 클로즈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잔수제거 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9)는 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drives the gas pump 82 to open the gas valve 83 and turn off the heater 53 and the water feed pump 54 'in the residual water removal mode. The main valves, in particular, the material feed valves 313, 323 and 333 and the fermenter valve 9 are opened, and the bypass valve 35 can be closed. The control unit 109 can close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 in the residual water removal mode. Then, the control unit 109 can turn off the heater 53 '.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 및 음료제조기가 급수모듈 건조모드일 때의 가스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gas flow when the beverage maker and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Fig.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가스주입기(8)와 가스조절기(15)의 구성에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다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s of the gas injector 8 and the gas regulator 15 and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do.

제5 실시예에서 가스조절기(8)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된 가스 주입채널(81)과, 가스 주입채널(81)로 가스를 펌핑하는 가스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주입채널(81)은 물 유동방향으로 급수모듈(5)과 재료 공급기(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 주입채널(81)은 메인 채널(2) 중 제1메인 채널(2A)에 연결될 수 있다.The gas regulator 8 in the fifth embodiment may include a gas injection channel 81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and a gas pump 82 for pumping the gas into the gas injection channel 81. The gas injection channel 8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the material feeder 3 in the water flow direction. The gas injection channel 8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ain channel 2A of the main channel 2. [

가스 주입기(8)는 메인 채널(2)의 물이 가스 주입채널(81)를 통해 가스펌프(8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83)는 가스 주입방향으로 가스펌프(82)의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스 주입기는(8)는 가스가 급수 모듈(5)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1 차단밸브(8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차단밸브(85)는 체크밸브(83)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The gas injector 8 may further include a check valve 83 to prevent water in the main channel 2 from entering the gas pump 82 through the gas injection channel 81. The check valve 83 may be installed after the gas pump 82 in the gas injection direction. The gas injector 8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hut-off valve 85 for shutting off the flow of gas to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the first shut-off valve 85 may be opened after the check valve 83 As shown in FIG.

가스 주입기(8)는 가스 주입채널(81)에 연결되고 가스 주입방향으로 가스펌프(82) 이전에 설치된 가스필터(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as injector 8 may further include a gas filter 84 connected to the gas injection channel 81 and installed before the gas pump 82 in the gas injection direction.

제1 차단밸브(85)와 체크밸브(83) 사이에는 가스 이동채널(87)이 연결될 수 있다. 가스 이동채널(87)의 일단은 가스 주입채널(81)에 연결될 수 있고, 가스 이동채널(87)의 일단은 가스 조절채널(154)에 연결될 수 있다. A gas transfer channel 87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hut-off valve 85 and the check valve 83. One end of the gas transfer channel 87 may be connected to the gas injection channel 81 and one end of the gas transfer channel 87 may be connected to the gas control channel 154.

그리고, 가스조절기(15)에서 가스 조절채널(154)은 일단이 가스 이동채널(87)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발효조(112)에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gas control channel 154 in the gas regulator 15 may be connected to the gas movement channel 87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fermenter 112.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가스조절기(15)에 마련된 가스 조절펌프(152)의 구성이 배제되며, 가스 주입기(8)에 마련된 가스펌프(82) 하나만으로 숙성된 맥주를 취출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급수모듈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가스를 유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ludes the configuration of the gas regulating pump 152 provided in the gas regulator 15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beer aged with only one gas pump 82 provided in the gas injector 8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flowing the gas in the process of drying the water supply module as well as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water.

본 발명의 음료제조기에 대한 다수의 제어모드 중에서, 제어부(109)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제1 차단밸브(85)를 오픈하고, 제2 차단밸브(86)는 클로즈하며, 메인밸브를 클로즈할 수 있고, 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급수밸브(52")를 클로즈할 수 있으며, 급수펌프(54')의 동작을 오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9)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급수 배기밸브(52")를 오픈할 수 있다. The control section 109 drives the gas pump 82, opens the gas valve 83, and opens the first shutoff valve 85 in the water module drying mode, in a plurality of control modes for 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hut-off valve 86 is closed, the main valve can be closed, the heater 53 'can be turned on, the water supply valve 52 "can be closed, the water supply pump 54' The control unit 109 can open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valve 52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즉, 제2 차단밸브(86)와 메인밸브가 클로즈된 상태이므로, 가스펌프(82)로부터 유동되는 가스는 제1 차단밸브(85)를 통과한 후에 급수채널(55')로 흐르게 되며, 히터(53')를 통과한 가스는 고온 상태가 되어 급수채널(55')에 대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second shut-off valve 86 and the main valve are closed, the gas flowing from the gas pump 82 flows to the water supply channel 55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shut-off valve 85, The gas passing through the water channel 53 'can be brought into a high temperature state to perform drying on the water channel 55'.

상기 가스펌프(82)는 숙성된 맥주를 취출하는 과정에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제어 과정은 다음과 같다. The gas pump 82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matured beer, and the control process thereof is as follows.

가스 조절기(15)는 외부의 가스를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로 가스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의 가스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The gas regulator 15 can exhaust the gas betwee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nd the inner wall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or vice versa to exhaust the gas betwee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nd the inner wall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

가스 조절기(15)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를 연결하는 가스 조절채널(154)과; 가스 조절채널(154)에 연결되어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15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as regulator 15 includes a gas control channel 154 connecting the interior of the fermenter assembly 1; And an exhaust valve 156 connected to the gas control channel 154 for exhausting the gas to the outside.

음료 제조기는 가스 조절채널(154)과 연결채널(10)의 연결부와 발효조 어셈블리(1) 사이에 연결된 가스 릴리프 밸브(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gas relief valve 158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of the gas control channel 154 and the connection channel 10 and the fermentor assembly 1. [

가스펌프(82)와 가스 조절채널(154)은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기로 기능할 수 있다. The gas pump 82 and the gas conditioning channel 154 may function as a gas supplier for supplying gas between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fermenter assembly 1.

가스 조절채널(154)과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의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가스 배기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The gas control channel 154 and the exhaust valve 156 may function as gas exhaust passages for exhausting the gas between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fermenter assembly 1 to the outside.

가스 조절채널(154)은 발효조(112)에 연결되어 발효조(112)와 음료 제조팩(12) 사이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The gas control channel 154 may be connected to the fermentation tank 112 to supply gas between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가스 조절채널(154)은 일단이 가스펌프(82)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발효조(112)에 연결될 수 있다.The gas control channel 154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gas pump 8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ermenter 112.

제어부(109)는 숙성된 맥주의 취출시, 가스펌프(82)를 구동하고, 가스밸브(83)를 오픈하며, 제1 차단밸브(85)를 클로즈하고, 제2 차단밸브(86)는 오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9 drives the gas pump 82 to open the gas valve 83 and close the first shutoff valve 85 and the second shutoff valve 86 to open can do.

즉, 제1 차단밸브(85)가 클로즈된 상태이므로, 가스펌프(82)로부터 유동되는 가스는 제2 차단밸브(86)를 통과한 후에 가스 이동채널(87)로 흐른 후에 가스 조절채널(154)로 유동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first shut-off valve 85 is closed, the gas flowing from the gas pump 82 flows into the gas transfer channel 87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shut-off valve 86, ). ≪ / RTI >

음료 제조팩(12)이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가스펌프(82)와 가스 조절채널(154)은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로 공급된 가스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서 음료 제조팩(12)을 가압할 수 있다. The gas pump 82 and the gas conditioning channel 154 can supply gas betwee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nd the fermenter assembly 1 while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is received within the fermenter assembly 1 So that the gas supplied into the fermenter assembly 1 can pressurize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betwee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는 가스에 의해 눌린 음료 제조팩(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발효조 밸브(9)와 음료 취출밸브(62)가 개방되면,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과해 메인 채널(2)로 유동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서 메인 채널(2)로 유동된 음료는 음료 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can be pressurized by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pressed by the gas and when the fermentation valve 9 and the beverage extraction valve 62 are opened they pass through the main channel connection 115 To the main channel (2). The beverage that has flowed from the beverage manufacturing pack 12 to the main channel 2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beverage extractor 6. [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가 완성되면, 음료 제조팩(12)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외부로 꺼내지 않고,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를 음료 취출기(6)로 취출할 수 있다. When the beverage manufacturing machine is completed, the beverage manufacturing machine pack 12 is not taken out of the fermenter assembly 1 but is placed in the interior of the fermenter assembly 1, Can be taken out to the machine (6).

가스펌프(82)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 소정 압력이 형성되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는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 취출이 용이한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The gas pump 82 can supply the gas to form a predetermined pressure betwee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 Can be easily formed.

한편, 본 실시예의 메인 채널(2), 음료 취출채널(61), 가스 취출채널(71), 가스 주입채널(81), 가스 조절채널(154) 등의 채널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호스나 튜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호스나 복수개의 튜브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밸브나 펌프나 분지관이나 합지관 등 타 구성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호스나 튜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channels of the main channel 2, the beverage extraction channel 61, the gas extraction channel 71, the gas injection channel 81, and the gas control channel 154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nnected to a hose It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hoses or a plurality of tubes which are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by a tube and may be constituted by at least two hoses or a plurality of tubes arranged alternately such as a valv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include a tub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발효조 어셈블리 5: 급수 모듈
8: 가스 주입기 85: 제1 차단밸브
86: 제2 차단밸브 87: 가스 이동채널
52`: 급수밸브 52”: 급수채널 배기밸브
1: Fermenter assembly 5: Water supply module
8: gas injector 85: first shut-off valve
86: second shut-off valve 87: gas movement channel
52`: Water supply valve 52 ": Water supply channel exhaust valve

Claims (17)

음료 재료가 발효되는 발효조 어셈블리와;
상기 발효조 어셈블리와 연결된 메인 채널과;
상기 메인 채널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채널을 개폐하는 메인밸브와;
상기 메인 채널에 연결된 급수 모듈과;
상기 메인 채널에 연결된 가스주입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주입기는 가스주입채널과, 가스주입채널에 연결된 가스펌프와, 가스주입채널을 개폐하는 가스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밸브와, 가스펌프 및 가스밸브를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모드를 실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어모드는 가스펌프를 구동하고, 가스밸브를 오픈하며, 상기 메인밸브를 클로즈하는 급수모듈 건조모드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A fermenter assembly for fermenting beverage ingredients;
A main channel connected to the fermentor assembly;
A main valve installed in the main channel to open and close the main channel;
A water supply module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And a gas injector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The gas injector includes a gas injection channel, a gas pump connected to the gas injection channel, and a gas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as injection channel,
And a control section for implementing a plurality of control modes for controlling the main valve, the gas pump, and the gas valve,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includes a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for driving a gas pump, opening a gas valve, and closing the main val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모듈은
물이 담긴 급수탱크와,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와,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급수모듈 건조모드 상기 히터를 온시키는 음료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upply module
A water tank containing water,
A water pump for pumping water,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Wherein the controller turns on the heater in a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상기 급수펌프를 오프 유지시키는 음료 제조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keeps the water supply pump off when the water supply module is in a drying mo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에는 가스를 배출하는 급수탱크 가스배출기가 장착된 음료 제조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ater supply tank is equipped with a water tank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gas.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개 재료 수용부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채널은, 상기 급수히터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주입기가 연결된 급수채널과,
상기 급수채널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 재료 수용부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과;
상기 복수개 재료 수용부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과,
상기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과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을 연결하는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과,
상기 발효조 어셈블리 및 상기 재료 수용부 출구채널에 연결된 발효조 연결 채널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material feeder in which a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are formed,
The main channel includes a water channel connected to the water heater and connected to the gas injector,
A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hannels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A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A material receiving section bypass channel connecting the material receiving section inlet channel and the material receiving section output channel,
And a fermentor connec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fermentor assembly and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outlet channe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밸브는 상기 복수개 재료 수용부 입구채널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와,
상기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에 설치된 재료 수용부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발효조 연결 채널에 설치된 발효조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 및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를 클로즈하는 음료 제조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in valve comprises a plurality of material feed valves each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 inlet channels,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valve provided in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channel;
And a fermentation tank valve installed in the fermentation tank connecting channel,
Wherein the controller closes the plurality of material feed valves and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valve in a water module drying mo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어모드는
가스펌프를 오프 유지하고, 가스밸브를 클로즈하며,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 및 발효조 밸브를 오픈하고,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를 클로즈하는 급수모드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And a water supply mode for keeping the gas pump off, closing the gas valve, opening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bypass valve and the fermenter valve,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material feed valv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어모드는 가스펌프를 구동하고, 가스밸브를 오픈하며,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 및 발효조 밸브를 오픈하고,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를 클로즈하는 가스주입모드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includes a gas injection mode for driving a gas pump, opening a gas valve, opening a material accepting bypass valve and a fermenter valve, and closing a plurality of material feed valv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어모드는
가스펌프를 오프 유지하고, 가스밸브를 클로즈하며,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를 클로즈하고, 발효조 밸브 및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를 오픈하는 재료 공급모드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A material supply mode for keeping the gas pump off, closing the gas valve, closing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valve, and opening the fermenter valve and the plurality of material feed valv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료공급모드 이후에 상기 급수모듈 건조모드를 실시하는 음료 제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ler implements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after the material supply mo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어모드는
가스펌프를 구동하고, 가스밸브를 오픈하며, 복수개 재료 급수밸브 및 발효조 밸브를 오픈하고, 재료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를 클로즈하는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모드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A material feeder residual water removal mode for driving the gas pump, opening the gas valve, opening a plurality of material feed valves and fermenter valves, and closing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bypass val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는 상기 급수탱크와 급수펌프 입수채널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펌프는 상기 히터와 급수펌프 출수채널로 연결되며,
상기 급수펌프 입수채널과 급수펌프 출수채널은 급수펌프 바이패스 채널로 연결된 음료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pump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water supply pump intake channel,
The water supply pump is connected to the heater and the water supply pump outlet channel,
Wherein the water pump inlet channel and the water pump outlet channel are connected by a water pump bypass channe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 바이패스 채널에 설치된 급수펌프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feed pump bypass valve installed in the feed pump bypass channe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급수모듈 건조모드시, 상기 급수펌프 바이패스 밸브를 오픈하는 음료 제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opens the water supply pump bypass valve in a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모둘은
상기 메인 채널(2) 및 외부 급수원(500')에 연결된 급수채널(55')과,
상기 급수채널(55')에 설치된 급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급수모듈 건조모드 상기 급수밸브를 오프시키는 음료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upply module
A water supply channel 55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and the external water source 500'
And a water supply valve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channel (55 '),
Wherein the controller turns off the water supply valve in a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모듈은 상기 급수채널에 설치된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급수모듈 건조모드 상기 급수밸브를 상기 히터를 온시키는 음료 제조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water supply module further comprises a heater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channel,
Wherein the controller turns on the heater in the water supply module drying mod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모듈은 상기 급수채널에 설치된 급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급수모듈 건조모드 상기 급수펌프를 오프 유지하는 음료 제조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water supply module further comprises a water supply pump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channel,
Wherein the control unit keeps the water supply pump off when the water supply module is in the drying mode.
KR1020170120691A 2017-09-19 2017-09-19 Baverage maker KR1024818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691A KR102481851B1 (en) 2017-09-19 2017-09-19 Baverag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691A KR102481851B1 (en) 2017-09-19 2017-09-19 Baverage m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133A true KR20190032133A (en) 2019-03-27
KR102481851B1 KR102481851B1 (en) 2022-12-28

Family

ID=6590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691A KR102481851B1 (en) 2017-09-19 2017-09-19 Baverag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85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1908A (en) * 2010-02-03 2012-11-06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Beverage dispenser with safe cleaning arrangement
KR101362598B1 (en) * 2012-05-09 2014-02-12 정인 Drink supply system that equip cover on drink vessel bottoms
KR20170086880A (en) * 2016-01-19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anufacturing device for be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1908A (en) * 2010-02-03 2012-11-06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Beverage dispenser with safe cleaning arrangement
KR101362598B1 (en) * 2012-05-09 2014-02-12 정인 Drink supply system that equip cover on drink vessel bottoms
KR20170086880A (en) * 2016-01-19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anufacturing device for b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851B1 (en)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783B1 (en) Beverage maker and beverage extra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548264B1 (en) Baverage mak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587228B1 (en) Beverage maker
KR102239370B1 (en) Beer Maker
EP3246388A1 (en) Beer maker
KR20180065551A (en) Beer mak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481824B1 (en) Beverage maker
KR20190000502A (en) Baverage maker
KR20180134245A (en) Baverage maker and beverage maker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180062667A (en) Beer Maker
KR20190032133A (en) Baverage maker
KR102533780B1 (en) Baverage maker
KR102522000B1 (en) Baverage maker
KR20190016301A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
KR20190051372A (en) Beverage maker
KR20190029300A (en) Baverage maker
KR102570610B1 (en) Baverage maker
KR102533779B1 (en) Baverage maker
KR102457782B1 (en) Baverage maker
KR102247827B1 (en) Beverage maker
KR20180134629A (en) Baverage maker
KR20190001308A (en) Baverage maker
KR20180134548A (en) Baverage maker
KR20180138350A (en) Beverage maker
KR20180127862A (en) Baverag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