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667A - Beer Maker - Google Patents

Beer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667A
KR20180062667A KR1020160162610A KR20160162610A KR20180062667A KR 20180062667 A KR20180062667 A KR 20180062667A KR 1020160162610 A KR1020160162610 A KR 1020160162610A KR 20160162610 A KR20160162610 A KR 20160162610A KR 20180062667 A KR20180062667 A KR 20180062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air
flow path
wa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6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7626B1 (en
Inventor
박선영
김희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2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626B1/en
Publication of KR2018006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6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6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2Beer engines or like manually-operable pump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r maker which includes: a fermentation tank including an opening; a fermentation tank assembly including a fermentation tank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 air pump; an air supply path connecting the air pump to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and an exhaust valv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ath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Thus the beer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safety.

Description

맥주 제조기{Beer Maker}{Beer Maker}

본 발명은 맥주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맥주 발효를 위한 공간이 형성된 발효조를 갖는 맥주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r m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er maker having a fermenter having a space for beer fermentation.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Beer is made by fermenting barley with malt (malt, malt), making a juice, adding hop, and fermenting it with yeast.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Consumers can purchase ready-made products that are manufactured and sold by a beer maker, or house beer (or handmade beer) that directly ferments beer ingredients at home or at a bar.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House beer can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types than ready-made products, and can be manufactured to suit consumer tastes.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The ingredients for making beer may be water, malt, hop, yeast, flavoring additives, and the like.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Yeast can be called yeast, added to malt to ferment malt and help to produce alcohol and carbonic acid.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Incense additives are additives to enhance the taste of beer, such as fruit, syrup, and vanilla beans.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Generally, the house beer may include three stages of a wax production step, a fermentation step, and an aging step, and it may take about two to three weeks from the step of producing wort to the step of aging.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t is important for the house beer to maintain the optimum temperature at the fermentation stage, and the more convenient the beer is, the mor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맥주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맥주 제조기는 안전하고 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recent years, a beer maker capable of easily manufacturing house beer at home or in a bar has been gradually used, and it is desirable that such a beer maker be safe and easy to produce beer.

KR 20-0319526 U(2003년07월12일 공고)KR 20-0319526 U (Announced on July 12, 2003) KR 10-2016-0018206 A(2016년02월17일 공개)KR 10-2016-0018206 A (published Feb. 17, 2016)

본 발명은 발효조 내부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고, 안전성이 높은 맥주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er maker which can keep the inside of a fermenter clean and has high safet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주제조기는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조 덮개를 갖는 발효조 어셈블리와; 에어펌프와; 에어펌프와 발효조 어셈블리의 내부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유로와; 상기 에어 공급유로에 연결되어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를 포함한다.A beer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ermenter assembly having a fermenter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nd a fermenter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 air pump; An air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air pump and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And an exhaust valv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assage and exhausting the air to the outside.

발효조에는 맥주가 제조되는 맥주 제조팩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에어 공급유로는 발효조에 연결되어 발효조와 맥주 제조팩 사이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The fermentation tank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eer production pack in which the beer is manufactured, and the air supply channel may be connected to the fermentation tank to supply air between the fermentation tank and the beer production pack.

배기밸브는 에어 공급유로에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The exhaust valve may b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assage by a connection passage.

에어 공급유로는 상기 발효조(112)에 연결된 복수개의 발효조 연결유로와, 복수개의 발효조 연결유로가 연결된 공통유로를 포함하고, 연결유로는 공통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The air supply channel includes a plurality of fermentation tank connection channels connected to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a common channel to which a plurality of fermentation tank connection channels are connected, and the connection channel may be connected to the common channel.

복수개의 발효조 연결유로는 발효조의 상부에 연결된 어퍼 연결유로와, 발효조의 하부에 연결된 로어 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고, 어퍼 연결유로는 로어 연결유로 보다 개구부에 더 가까울 수 있다.The plurality of fermentation tank connection channels may include an upper connec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tank and a lower connec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tank. The upper connection channel may be closer to the opening than the lower connection channel.

에어 공급유로와 연결유로의 연결부와 발효조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된 에어 릴리프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air relief valve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맥주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에 형성된 메인유로 연결부와; 메인유로 연결부에 연결된 메인유로와; 메인유로에 연결된 맥주 취출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er maker includes a main channel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fermenter assembly; A main flow path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connection portion; And a beer extracting flow path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맥주 제조기는 메인유로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배기밸브는 상기 급수모듈에 의한 급수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module for supplying water to the main flow path, and the exhaust valve may be open-controlled when water is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module.

맥주 제조기는 메인유로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배기밸브는 에어주입기에 의한 에어 주입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n air injector for injecting air into the main flow path, and the exhaust valve may be open-controlled when air is injected by the air injector.

배기밸브는 맥주 제조팩의 맥주 취출 완료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The exhaust valve can be open-controlled when the beer extraction of the beer manufacturing pack is completed.

맥주 제조기는 일단이 에어 공급유로에 연결되고 타단이 메인유로에 연결된 에어 주입유로와, 에어 주입유로에 설치된 에어 주입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n air injection flow path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flow path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and an air injection valve provided in the air injection flow path.

맥주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에 연결된 가스 취출유로와, 가스 취출유로에 설치된 압력센서와, 가스 취출유로에 가스의 취출방향으로 상기 압력센서 이후에 설치된 가스 취출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 gas outlet channel connected to the fermenter assembly, a pressure sensor provided in the gas outlet channel, and a gas outlet valve provided in the gas outlet channel after the pressure sensor in the gas outlet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맥주 제조팩과 발효조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어, 안전성이 높고 발효조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etween the beer manufacturing pack and the fermentation tank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afety is high and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can be kept clea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맥주 취출 밸브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가 제어 수순이 도시된 순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으로 물을 급수할 때의 물 유동 및 발효조의 에어가 배출되는 유동이 도시된 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으로 에어를 주입할 때의 에어 유동 및 발효조의 에어가 배출되는 유동이 도시된 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에서 맥주가 취출 완료된 이후 발효조의 에어가 배출되는 유동이 도시된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er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er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beer m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beer m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a beer brew valve of a beer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procedure of the beer m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water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beer manufacturing pack shown in FIG. 1 and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fermentation tank;
FIG. 8 is a view showing an air flow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beer manufacturing pack shown in FIG. 1 and a flow through which air of the fermentation tank is discharged;
FIG. 9 is a view showing a flow of discharging air of the fermenter after the beer is taken out from the beer making pack shown in FIG. 1;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er ma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er mak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er mak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er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맥주 제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맥주가 제조되기 위한 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 어셈블리(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eer maker may include a fermenter assembly 1 having a space S1 for producing beer therein, as shown in Fig.

맥주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된 메인유로(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공간(S1)으로 맥주 제조에 필요한 물이나 각종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 main channel 2 connected to the fermenter assembly 1. [ The main flow path 2 can supply water or various materials necessary for beer production to the space S1 of the fermenter assembly 1. [

맥주 제조기는 메인유로(2)에 연결되고 캡슐(C1)(C2)(C3)이 수용되는 디스펜서(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 dispenser 3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2 and containing the capsules C1, C2, and C3.

맥주 제조기는 메인유로(2)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모듈(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module (5) for supplying water to the main flow path (2).

맥주 제조기는 맥주를 외부로 취출하는 맥주 취출기(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된 맥주 취출유로(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의 맥주는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의 일부를 통과해 맥주 취출유로(61)로 유동될 수 있다. 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 beer extractor (6) for extracting the beer to the outside. The beer feeder 6 may further include a beer take-out flow path 61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2. The beer in the fermenter assembly 1 can flow into the main flow path 2 and flow into the beer take-out flow path 61 through a part of the main flow path 2.

맥주 제조기는 맥주 제조팩(12)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기(7)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beer maker may include a gas ejector 7 for discharging the gas in the beer making pack 12 to the outside. The beer making pack 12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맥주 제조기는 메인유로(2)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n air injector (8) for injecting air into the main flow path (2).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는 맥주가 제조되는 맥주 제조팩(12)이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In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a space S1 may be formed in which the beer making pack 12 for beer is manufactured.

발효조 어셈블리(1)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발효조(112)와; 개구부(111)를 개폐하는 발효조 덮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이 수용되는 공간(S1)은 발효조(11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ermenter assembly (1) comprises a fermenter (112) having an opening (111) formed therein; And a fermentation tank cover 11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11. The space S1 in which the beer making pack 12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side the fermenter 112. [

맥주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형성된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 연결부(115)에는 메인유로(2)가 연결될 수 있다.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 main flow channel connection part 115 formed in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1. The main flow path 2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connection part 115.

발효조(11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The fermentation tank 112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발효조 덮개(114)는 발효조(112)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에는 메인유로(2)와 연결되는 메인유로 연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closes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to cover the opening 111. The fermentation tank lid 114 may be provided with a main flow channel connection part 115 connected to the main flow channel 2.

맥주 제조팩(12)은 맥주 재료 및 완성된 맥주가 발효조(112)의 내벽에 뭍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일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 안착되어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에서 맥주를 발효시킬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후, 발효조(11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may be a container separately provided so that the beer material and the finished beer are not buried on the inner wall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ermenter 112.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may be seated in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to ferment beer in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and be taken out of the fermenter 112 after use.

맥주 제조팩(12)은 내부에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의 개구부(111)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맥주 제조팩(12)이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의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와 발효조 덮개(114)에 의해 밀폐된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맥주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내부에 담겨있던 맥주가 취출되고 발효조(112)와 맥주 제조팩(12) 사이로 에어가 공급되면, 발효조(112) 내부의 에어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may be a pack containing a material for manufacturing beer therein.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pace S1 formed in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can be inserted into the fermentation tank 1 and accommodated in a state where the material is contained therein.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can be inserted into the fermenter 112 and accommodated in the fermenter 112 with the opening 111 of the fermenter 112 opened.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may cover the opening 111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fter the beer making pack 12 is inserted into the fermentation tank 112. The beer making pack 12 can help the fermentation of the material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closed space S1 by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expanded by the pressure inside the beer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beer.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compressed by the air inside the fermenter 112 when the beer contained in the beer is taken out and air is supplied between the fermenter 112 and the beer making pack 12. [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Materials for making beer may include water, malt, yeast, hops, flavor additives, and the like.

맥주 제조기는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맥주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The beer maker may include both the dispenser 3 and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material for beer making may be dispersed and received in the dispenser 3 and the beer making pack 12.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may contain some of the materials for beer production and the dispenser 3 may contain the remaining materials. The remain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dispenser 3 can be supplied to the beer making pack 12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mixed with some material contained in the beer making pack 12 have.

맥주 제조팩(12)에는 맥주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맥주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may contain a main material necessary for beer production, and the dispenser 3 may contain an additive added to the main material. In this case,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dispenser 3 can be mixed wit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supplied to the beer production pack 12, and mixed with the main material contained in the beer production pack 12 .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이고,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The main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beer making pack 12 is a material having a larger capacity than other materials, and may be malt in malt, yeast, hop, or flavor additive.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dispenser 3 may be other materials other than malt, such as yeast, hops, fragrance additives, etc., for the production of beer.

맥주 제조기는 디스펜서(3)를 포함하지 않고, 맥주 제조팩(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맥주 제조팩(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맥주 제조팩(12)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할 수 있다.The beer maker does not include the dispenser 3 and can include a beer making pack 12 in which case the beer making pack 12 can contain main ingredients and the user can add the additive Can be directly input.

맥주 제조기는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편의를 위해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beer maker can easily manufacture the beer when both the dispenser 3 and the beer making pack 12 are included. For convenience, the beer maker includes both the dispenser 3 and the beer making pack 12 Explain.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including both the dispenser 3 and the beer making pack 12.

맥주 제조팩(12) 내의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맥주는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맥주 취출기(6)로 유동되어 맥주 취출기(6)로 취출될 수 있다. The material in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fermented over time and the beer manufactured in the beer making pack 12 can flow into the main flow path 2 through the main flow path connecting portion 115, It can be flowed from the main flow path 2 to the beer blower 6 and taken out to the beer blower 6.

맥주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온도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맥주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assembly 1. [ The temperature controller is for heating or cooling the fermenter assembly 1, and can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assembly 1 to the optimum temperature for beer fermentation.

온도조절기는 압축기(131)와, 응축기(132)와, 팽창기구(133)와, 증발기(134)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고, 응축기와 증발기 중 어느 하나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배치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regulator may include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having a compressor 131, a condenser 132, an expansion mechanism 133 and an evaporator 134, and either the condenser or the evaporator may be connected to a fermentor assembly 1).

응축기(132)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가열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응축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condenser 132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fermenter 112,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can heat the fermenter 112 to regulate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112. In this case, the condenser 132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The condenser 132 may include a condensation tube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증발기(134)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증발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튜브는 발효조(112)와 단열벽(102, 도 3 및 도 4 참조)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고, 단열벽(102)에 의해 단열된 단열공간(S2) 내부를 냉각할 수 있다. When the evaporator 134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fermenter 112,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can cool the fermenter 112 to regulate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112. In this case, the evaporator 134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The evaporator 134 may include an evaporation tube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The evaporation tube can be accommodated between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see Figs. 3 and 4) and can cool the inside of the heat insulating space S2 insulated by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라인 히터(Line Heater)로 구성될 수 있고,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길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14 for heating the fermenter assembly 1. The heater 14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may include a heater that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The heater 14 may be constituted by a line heater and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냉동사이클 장치(13)는 히트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유로절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사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압축기(131)의 흡입유로 및 압축기(131)의 토출유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132)와 응축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증발기(134)와 증발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may be composed of a heat pump.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may include a flow path switching valve (not shown). The flow-switching valve may be configured as a four-way valve.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flow path of the compressor 131 and the discharge flow path of the compressor 13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denser 132 through the condenser connection flow path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vaporator 134 through the evaporator connection flow path .

유로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냉각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32)로 안내함과 증발기(134)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may guide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131 to the condenser 132 and guide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134 to the compressor 131 when the fermentation tank 112 is cooled.

유로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가열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발기(134)로 안내함과 아울러 응축기(132)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may guide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131 to the evaporator 134 while guid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132 to the compressor 131 when heating the fermentation tank 112.

메인유로(2)는 일단이 급수모듈(5)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발효조 어셈블리(1)에 형성된 메인유로부(115)에 연결될 수 있다. The main flow channel 2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module 5 at one en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flow channel portion 115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ermenter assembly 1.

디스펜서(3)는 메인유로(2)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로(2)의 물은 디스펜서(3)로 유입되어 디스펜서(3)를 흐를 수 있다. The dispenser 3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2. The water in the main flow path 2 can flow into the dispenser 3 and flow through the dispenser 3.

디스펜서(3)에는 맥주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The dispenser 3 may be provided with the material necessary for beer production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5 may be configured to pass therethrough.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dispenser 3 may be yeast, hops, flavor additives, and the like.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디스펜서(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는 디스펜서(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3 can be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the dispenser 3 directly. At least one material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dispenser 3. A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may be formed in the dispenser 3, an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may be formed by being partitioned from each other.

한편,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캡슐 내에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이러한 캡슐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될 경우, 디스펜서(3)는 캡슐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디스펜서(3)는 캡슐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3 can be accommodated in the capsule, and the dispenser 3 can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such a capsule. When the material is received in the capsule, the dispenser 3 can be configured to enable seating and withdrawing of the capsule, and the dispenser 3 can be configured with a capsule kit assembly in which the capsule is detachably received.

급수모듈(5)에서 메인유로(2)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5 to the main flow path 2 can be mixed with the material while passing through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or the capsule and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or the capsule can be mixed with the main flow path 2, Lt; / RTI >

디스펜서(3)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The dispenser 3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separately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additives contained in the dispenser 3 may be yeast, hop and flavoring additive, which may be contained separately from one another.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 각각은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are formed in the dispenser 3, each of the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2 and the dispenser inlet flow path,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2 and the dispenser outlet flow path.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 각각은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are formed in the dispenser 3,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and the dispenser inlet channel,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2 and the dispenser outlet channel.

디스펜서(3)의 재료 수용부와 디스펜서(3)의 캡슐 수용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된 상태에서 캡슐이 디스펜서(3)에 삽입되는 경우, 캡슐 수용부로 칭할 수 있으며, 재료가 캡슐에 담겨지지 않는 상태에서 디스펜서(3)에 직접 수용될 경우 재료 수용부로 칭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와 캡 슐 수용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펜서(3)에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of the dispenser 3 and the capsule receiving portion of the dispenser 3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When the capsule is inserted into the dispenser 3 with the material being accommodated in the capsule, it can be referred to as a capsule receiving portion and can be referred to as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when the material is directly received in the dispenser 3 without being encapsulated. Since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and the capsule receiving portion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capsul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dispenser 3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디스펜서(3)는 첨가제가 수용된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되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dispenser 3 is formed with a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a capsule containing an additive is removably accommodated. The dispenser 3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2 through a dispenser inlet flow path and to the main flow path 2 through a dispenser outlet flow path.

디스펜서 입구유로에는 디스펜서 입구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An opening / closing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dispenser inlet channel may be provided in the dispenser inlet channel.

디스펜서 출구유로에는 물이나 에어가 디스펜서 출구유로를 통해 캡슐 수용부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The dispenser outlet channel may be provided with a check valve to prevent water or air from flowing back to the capsule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dispenser outlet channel.

디스펜서(3)는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는 서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는 그 각각의 디스펜서 입구유로 및 그 각각의 디스펜서 출구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The dispenser 3 may have a plurality of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31, 32 and 33 and a plurality of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31, 32 and 33 may be separately formed. The plurality of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31, 32, and 33 may b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dispenser inlet channels and their respective dispenser outlet channels.

이하, 디스펜서(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Hereinafter, the first additive, the second additive, and the third additive may be contained in the dispenser 3. The first additive may be yeast, the second additive may be hop, and the third additive may be an flavoring additive.

디스펜서(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캡슐(C1)이 수용되는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캡슐(C2)이 수용되는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캡슐(C3)이 수용되는 제3캡슐 수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enser 3 includes a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1 in which a first capsule C1 containing a first additive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2 in which a second capsule C2 containing a second additive is accommodated And a thir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3 in which a third capsule C3 containing a third additive is accommodated.

제1캡슐 수용부(31)에는 제1캡슐 수용부(31)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가 연결될 수 있고, 제1캡슐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에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를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3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에는 제1캡슐 수용부(31)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를 통해 제1캡슐 수용부(31)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1체크밸브(31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1캡슐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A first dispenser inlet channel 311 for guiding water or air to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1. Water, A mixture of water and the first additive, and a first dispenser outlet flow path 312 through which air is guided. The first dispenser inlet channel 31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313 for opening / closing the first dispenser inlet channel 311. The fluid in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1 flows into the main channel 2 while the fluid flows into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1 through the first dispenser outlet flow path 312 in the first dispenser outlet flow path 312 A first check valve 314 may be provided to prevent backflow. Here, the fluid may be water, a mixture of water and the first additive, air, which flows out from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1.

제2캡슐 수용부(3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2디스펜서 입구유로(321)가 연결될 수 있고, 제2캡슐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에는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를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323)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를 통해 제2캡슐 수용부(32)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2체크밸브(32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2캡슐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A second dispenser inlet channel 321 for guiding water or air to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2 and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2, A second dispenser outlet flow path 322 through which a mixture of water and a second additive, air is guided, can be connected. The second dispenser inlet channel 321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open / close valve 32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dispenser inlet channel 321. The fluid in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2 flows into the main channel 2 while the fluid flows into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2 through the second dispenser outlet channel 322 in the second dispenser outlet channel 322, A second check valve 324 may be provided to prevent backflow. Here, the fluid may be water, a mixture of water and a second additive, air from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2.

제3캡슐 수용부(33)에는 제3캡슐 수용부(33)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3디스펜서 입구유로(331)가 연결될 수 있고, 제3캡슐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가 연결될 수 있다.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에는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를 개폐하는 제3개폐밸브(333)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에는 제3캡슐 수용부(33)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를 통해 제3캡슐 수용부(33)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3체크밸브(33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3캡슐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A third dispenser inlet channel 331 for guiding water or air to the thir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3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3 and water, A mixture of water and a third additive, and a third dispenser outlet flow path 332 through which air is guided. The third dispenser inlet flow path 331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open / close valve 33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ird dispenser inlet flow path 331. The fluid in the thir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3 is allowed to flow into the main flow passage 2 while the fluid flows into the thir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3 through the third dispenser outlet flow passage 332 in the third dispenser outlet flow passage 332 A third check valve 334 may be provided to prevent backflow. Here, the fluid may be water that has flowed out from the thir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3, a mixture of water and a third additive, air.

메인유로(2)는 맥주 제조기가 디스펜서(3)를 포함할 경우, 물이나 공기 유동 방향으로 디스펜서(3) 이전에 위치하는 제1메인유로(2A)와, 물이나 공기 유동 방향으로 디스펜서(3) 이후에 위치하는 제2메인유로(2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channel 2 is provided with a first main channel 2A positioned before the dispenser 3 in the direction of water or air flow when the beer maker includes the dispenser 3 and a second main channel 2A positioned before the dispenser 3 And a second main flow path 2B located after the second main flow path 2B.

메인유로(2)는 제1메인유로(2A)와 제2메인유로(2B)를 잇고 물이나 공기가 디스펜서(3)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유로(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flow path 2 may further include a bypass flow path 2C connecting the first main flow path 2A and the second main flow path 2B and bypassing the dispenser 3 with water or air.

여기서, 제1메인유로(2A)는 급수모듈(5)에 연결된 급수유로일 수 있고, 제2메인유로(2B)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된 발효조 어셈블리 연결유로일 수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유로(2C)는 이러한 급수유로와 발효조 어셈블리 연결유로를 연결하면서 물이나 공기가 디스펜서(3)를 바이패스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main flow channel 2A may be a water supply channel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the second main flow channel 2B may be a connection channel for connecting the fermenter assembly 1 to the fermenter assembly 1. The bypass flow path 2C may be configured to bypass the dispenser 3 with water or air whil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flow path and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connection flow path.

메인유로(2)는 맥주 제조기가 디스펜서(3)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유로로 구성될 수 있고, 맥주 제조기가 디스펜서(3)를 포함할 경우, 제1메인유로(2A)와, 제2메인유로(2B)와, 바이패스유로(2C)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beer maker includes the dispenser 3, the main channel 2 may be constituted by one channel, and when the beer maker includes the dispenser 3, the main channel 2 may include the first main channel 2A, 2 main flow path 2B, and bypass flow path 2C.

바이패스유로(2C)는 제1캡슐 수용부(31)의 유로와, 제2캡슐 수용부(32)의 유로와, 제3캡슐 수용부(33)의 유로 각각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The bypass flow path 2C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low path of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1, the flow path of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2, and the flow path of the thir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3, respectively.

바이패스유로(2C)에는 바이패스유로(2C)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The bypass flow path 2C may be provided with a bypass valve 3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flow path 2C.

제1메인유로(2A)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와,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와,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 및 바이패스유로(2C)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메인유로(21)는 급수모듈(5)에 연결된 공통관과, 공통관에서 분지되어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와,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와,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 및 바이패스유로(2C) 및 연결된 다수의 분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ain passage 2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ispenser inlet passage 311, the second dispenser inlet passage 321, the third dispenser inlet passage 331 and the bypass passage 2C, respectively. The first main channel 21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module 5 and a common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connected to the first dispenser inlet channel 311 and the second dispenser inlet channel 321, 331, a bypass passage 2C and a plurality of branch tubes connected to each other.

제2메인유로(2B)는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 및 바이패스유로(2C)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메인유로(2B)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된 공통관과,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 및 바이패스유로(2C)를 공통관과 연결하는 다수의 합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main flow path 2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ispenser outlet flow path 312, the second dispenser outlet flow path 322, the third dispenser outlet flow path 332, and the bypass flow path 2C, respectively. The second main flow path 2B includes a common pipe connected to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1, a first dispenser outlet flow passage 312, a second dispenser outlet flow passage 322, a third dispenser outlet flow passage 332, And a plurality of pipe tubes connecting the flow path 2C to the common pipe.

제1메인유로(2A)로 급수된 물이나 공기는 바이패스 밸브(35)의 클로즈시 캡슐 수용부(31)(32)(33)을 통과하여 바이패스유로(2C)를 바이패스할 수 있고, 제2메인유로(2B)로 유동될 수 있다. Water or air supplied to the first main flow path 2A can bypass the bypass flow path 2C through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31, 32 and 33 when the bypass valve 35 is closed And the second main flow path 2B.

반대로, 제1메인유로(2A)로 급수된 물이나 공기는 개폐밸브(311)(321)(331)의 클로즈시, 바이패스유로(2C)를 통과하여 캡슐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할 수 있고, 제2메인유로(2B)로 유동될 수 있다. Conversely, the water or air supplied to the first main flow path 2A passes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C and flows into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31, 32 (or 32) when the open / close valves 311, 321, 33 and can flow into the second main flow path 2B.

급수모듈(5)은 물이 담겨지는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52)와;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module 5 includes a water tank 51 containing water; A water supply pump (52) for pumping water in the water tank (51); And a water heater 53 for heating water pumped by the water feed pump 52.

수조(51)에는 수조 출수유로(54)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펌프(52)는 수조 출수유로(54)에 연결될 수 있다.The water tank outflow channel 54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51 and the water supply pump 52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outflow channel 54. [

급수펌프(52)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히터(53)은 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eed pump 52 may be connected to the feed pump outflow channel 55 and the feed water heater 53 may be connected to the feed pump outflow channel 55.

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가 설치될 수 있다. A flow meter 56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feed pump outflow channel 55 may be provided in the feed pump outflow channel 55.

급수히터(53)는 몰드 히터일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이 통과하는 히터 케이스와, 히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 케이스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급수히터(53)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7: Thermistor)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히터(53)에는 온도가 높을 경우 회로가 차단되어 급수히터(53)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써멀 퓨즈(58; Thermal Fuse)가 설치될 수 있다. The water heater 53 may be a mold heater, and includes a heater case through which the water pumped by the water feed pump 52 passes, and a heater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heater case and heats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heater case can do. The feed water heater 53 may be provided with a thermistor 57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eed water heater 53. In addition, a thermal fuse (thermal fuse) 58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heater 53 to block the current applied to the water heater 53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유로(54), 급수펌프(52), 급수펌프 출수유로(55)를 통해 급수히터(53)로 안내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안내된 물은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된 후 메인유로(2)로 안내될 수 있다.The water in the water tank 51 can be guided to the water heater 53 through the water tank outflow channel 54, the water feed pump 52 and the water pump outflow channel 55 when the water pump 52 is driven, The water guided to the heater 53 can be guided to the main flow path 2 after being heated by the water heater 53.

한편, 급수모듈(5)은 수조(51)와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포함하지 않고,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되거나 수도꼭지에 별도의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메인유로(2)로 안내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water supply module 5 does not include the water tank 51, the water supply pump 52 and the water heater 53 but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faucet or is connected to the faucet by a separate connection hose, It is possible to include a water supply pipe for guid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급수모듈(5)은 수조(51)와 급수펌프(52)를 포함하지 않고,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되거나 수도꼭지에 별도의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메인유로(2)로 안내하는 급수관과, 급수관에 설치된 급수히터(5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water supply module 5 does not include the water tank 51 and the water supply pump 52 but is connected to the faucet or is connected to the faucet by a separate connection hose to supply the water to the main flow path 2, But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the installed water heater 53.

맥주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될 수 있다. 맥주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되어 메인유로(2)의 맥주가 안내되는 맥주 취출유로(61)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기(6)는 맥주 취출유로(61)에 연결된 맥주 취출밸브(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er blower (6)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2). The beer feeder 6 may include a beer take-out flow path 61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2 and guided by a beer in the main flow path 2. The beer feeder 6 may further include a beer take-out valve 62 connected to the beer take-out channel 61.

맥주 취출유로(61)는 메인유로(2) 중 급수모듈(5)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beer extraction channel 6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1 in the main channel 2.

맥주 취출유로(61)는 메인유로(2) 중 디스펜서(3)와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beer extracting flow path 61 can be connected between the dispenser 3 and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1 in the main flow path 2.

맥주 취출유로(61)는 제2메인유로(2B)에 연결될 수 잇다. The beer extracting passage 61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passage 2B.

맥주 취출유로(61)에는 거품차단부(63, Anti-Foaming path)가 구비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맥주 취출유로(61)로 유동된 맥주의 거품은 거품차단 패스를 통과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거품차단부(63)에는 거품이 걸러지는 메쉬(Mesh) 등이 구비될 수 있다. The beer brewing flow path 61 may be provided with an anti-foaming path 63 and the foam of the beer flowing from the main flow path 2 to the beer brewing flow path 61 may be minimized . The foam blocking portion 63 may be provided with a mesh or the like to remove bubbles.

맥주 취출밸브(62)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와,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630; Micro Switch, 도 5 참조)를 갖는 탭 밸브(Tap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eer extraction valve 62 may include a lever operated by a user and a tap valve having a limit switch 630 (see FIG. 5) for sens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가스 배출기(7)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된 가스 취출유로(71)와, 가스 취출유로(71)에 설치된 압력 센서(72)와, 가스 취출유로(71)에 가스 취출방향으로 압력 센서(72) 이후에 설치된 가스 취출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은 가스 취출밸브(73)를 통과한 가스가 통과하는 에어 필터(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as discharger 7 includes a gas discharge passage 71 connected to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1, a pressure sensor 72 provided in the gas discharge passage 71, a pressure sensor 72 provided in the gas discharge passage 71, And a gas discharge valve 73 provided after the gas discharge valve 73. The gas discharger 7 may further include an air filter 74 through which gas passing through the gas discharge valve 73 passes.

가스 취출유로(71)는 발효조 어셈블리(1) 특히, 발효조 덮개(114)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조 어셈블리(1)에는 가스 취출유로(71)가 연결되는 가스 취출유로 연결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취출유로 연결부(121)는 발효조 덮개(114)에 구비될 수 있다. The gas outlet passage 71 may be connected to the fermenter assembly 1, in particular, to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The fermenter assembly 1 may be provided with a gas outflow channel connection part 121 to which the gas outflow channel 71 is connected. The gas outlet channel connection portion 121 may be provided in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맥주 제조팩(12) 내의 가스는 가스 취출유로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취출유로(71) 및 압력센서(72)로 유동될 수 있고, 압력 센서(72)는 맥주 제조팩(12) 내에서 가스 취출유로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취출유로(71)로 유출된 가스의 압력은 감지될 수 있다.The gas in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can be flowed to the gas outlet passage 71 and the pressure sensor 72 through the gas outlet passage connecting portion 121 and the pressure sensor 72 can be moved in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The pressure of the gas flowing out to the gas outlet passage 71 through the gas outlet channel connection portion 121 can be sensed.

가스 취출밸브(73)는 에어 주입기(8)에 의해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가 주입될 때 온되어 오픈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맥주 제조팩(12)의 상부에서 가스 취출유로(71) 및 가스 취출밸브(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gas extraction valve 73 can be opened and opened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beer production pack 12 by the air injector 8. [ The beer maker can inject air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to mix the malt and water evenly. At this time,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malt can flow from the upper part of the beer making pack 12 to the gas outflow channel 71 and /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s discharge valve (73).

가스 취출밸브(73)는 발효공정 도중의 발효도 감지를 위해 온되어 오픈된 후 다시 오프되어 클로즈될 수 있다. The gas outlet valve 73 may be opened and closed for detection of ferment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then turned off and closed again.

압력 센서(72), 가스 취출밸브(73)와, 에어 필터(74)는 가스 취출유로(71)에 가스 배출방향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or 72, the gas discharge valve 73 and the air filter 74 can b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gas discharge passage 71 in the gas discharge direction.

가스 배출기(7)는 가스 취출유로(71)에 구비된 가스배출 릴리프밸브(75, Relief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 릴리프밸브(75)는 가스 취출유로(71) 중 가스 배출 방향으로 압력 센서(72) 이전에 설치될 수 있다. The gas discharger 7 may further include a gas discharge relief valve 75 provided in the gas discharge passage 71. The gas discharge relief valve 75 may be installed before the pressure sensor 72 in the gas discharge direction of the gas discharge passage 71.

에어 주입기(8)는 메인유로(2)에 연결되어 메인유로(2)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The air injector 8 is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2 and can inject air into the main flow path 2.

에어 주입기(8)는 물 유동방향으로 디스펜서(3) 이전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메인유로(2)를 통해 디스펜서(3)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에어 주입구(8)는 제1메인유로(2A)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에서 메인유로(2)로 주입된 에어는 디스펜서(3)를 통과한 후 맥주 제조팩(12)로 주입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에서 메인유로(2)로 주입된 에어는 디스펜서(3)를 바이패스하여 맥주 제조팩(12)로 주입될 수 있다.The air injector 8 can be connected before the dispenser 3 in the direction of water flow and in this case can inject air into the dispenser 3 through the main flow path 2. The air inlet 8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ain passage 2A.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or 8 into the main flow path 2 can be inject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after passing through the dispenser 3.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or 8 into the main flow path 2 can be inject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by bypassing the dispenser 3. [

에어 주입기(8)는 메인유로(2)를 통해 캡슐 수용부(31)(32)(33)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캡슐(C1)(C2)(C3) 또는 캡슐 수용부(31)(32)(33) 내의 잔수나 찌꺼기는 에어 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캡슐(C1)(C2)(C3) 및 캡슐 수용부(31)(32)(33)는 에어 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 air injector 8 is capable of injecting air into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31, 32 and 33 through the main flow path 2 and the capsules C1, C2 and C3 or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1, The remaining water or residue in the main flow path 32 or 33 may flow into the main flow path 2 by the air injected by the air injector 8. The capsules C1, C2, and C3 and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31, 32, and 33 can be kept clean by the air injected by the air injector 8.

에어 주입기(8)는 메인유로(2)에 연결된 에어 주입유로(81)와, 에어 주입유로(81)로 에어를 펌핑하는 에어 주입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injector 8 may include an air injection path 81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2 and an air injection pump 82 for pumping air into the air injection path 81.

에어 주입유로(81)는 물 유동방향으로 급수모듈(5)과 디스펜서(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air injection passage 8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the dispenser 3 in the water flow direction.

에어 주입유로(81)는 메인유로(2) 중 제1메인유로(2A)에 연결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passage 8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ain passage 2A of the main passage 2.

에어 주입기(8)는 메인유로(2)의 물이 에어 주입유로(81)를 통해 에어 주입펌프(8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83)는 에어 주입방향으로 에어 주입펌프(82)의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The air injector 8 may further include a check valve 83 for preventing water in the main flow path 2 from flowing into the air injection pump 82 through the air injection flow path 81. The check valve 83 may be installed after the air injection pump 82 in the air injection direction.

에어 주입기(8)는 에어 주입유로(81)에 연결되고 에어 주입방향으로 에어 주입펌프(82) 이전에 설치된 에어필터(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injector 8 may further include an air filter 84 connected to the air injection passage 81 and installed before the air injection pump 82 in the air injection direction.

에어 주입펌프(82)의 구동시, 외부의 공기는 에어필터(84)에 의해 먼지 등이 걸러질 수 있고, 에어필터(84)를 통과한 공기는 에어 주입펌프(82)에 의해 유동되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When the air infusion pump 82 is driven, dust and the like may be filtered by the air filter 84.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ir filter 84 is flowed by the air infusion pump 82, And can flow to the flow path 2.

한편, 맥주 제조기는 메인유로(2)를 개폐하는 메인밸브(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 main valve 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flow path 2.

메인유로(2)는 맥주 취출유로(61)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91)과 발효조 어셈블리(1)에 형성된 메인유로 연결부(115)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channel 2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ion 91 connected to the beer take-out passage 61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92 connected to the main channel connection portion 115 formed in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1.

메인밸브(9)는 제1연결부(91)과 제2연결부(92)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valve 9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9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92.

메인밸브(9)는 맥주 제조팩(12)으로 물을 급수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발효조 어셈블리(1)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메인유로(2)를 클로즈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첨가제를 맥주 제조팩(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맥주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맥주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취출기(6)에 의한 맥주 취출시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는 메인밸브(9)를 통과하여 맥주 취출유로(61)로 유동될 수 있다. The main valve 9 is opene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main flow path 2 can be opened. The main valve 9 can be closed while cooling the fermenter assembly 1 to close the main flow path 2. [ The main valve 9 opens when the air is pour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so that the main flow path 2 can be opened. The main valve 9 is opened when the additive is suppli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main flow path 2 can be opened. The main valve 9 can be closed during the fermentation of the material to seal the inside of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 The main valve 9 is closed when the beer is ripened and stored, and the inside of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can be sealed. The main valve 9 is opened when the beer is taken out by the beer extractor 6 and can open the main flow path 2. The beer in the beer production pack 12 passes through the main valve 9, (61).

한편, 맥주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의 에어를 배기하는 에어 조절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eer maker may include an air conditioner 15 for supply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fermenter assembly 1 or exhausting air in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

에어 조절기(15)는 외부의 에어를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The air regulator 15 can supply the air to the space between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inner wall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or alternatively to exhaust the air between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inner wall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

에어 조절기(15)는 에어펌프(152)와, 에어펌프(152)와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유로(154)와; 에어 공급유로(154)에 연결되어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156)를 포함한다. The air regulator 15 includes an air pump 152, an air supply passage 154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fermenter assembly 1 with the air pump 152, And an exhaust valve 156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assage 154 to exhaust the air to the outside.

맥주 제조기는 에어 공급유로(154)와 연결유로(10)의 연결부와 발효조 어셈블리(1) 사이에 연결된 에어 릴리프 밸브(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n air relief valve 158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air supply passage 154 and the connection passage 10 and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1.

에어펌프(152)와 에어 공급유로(154)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로 기능할 수 있다. The air pump 152 and the air supply passage 154 can function as an air feeder for supplying air between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fermenter assembly 1. [

에어 공급유로(154)와 배기밸브(156)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에어 배기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The air supply passage 154 and the exhaust valve 156 can serve as an air exhaust passage for exhausting the air between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fermenter assembly 1 to the outside.

에어 공급유로(154)는 발효조(112)에 연결되어 발효조(112)와 맥주 제조팩(12) 사이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channel 154 may be connected to the fermenter 112 to supply air between the fermenter 112 and the beer making pack 12.

에어 공급유로(154)는 일단이 에어펌프(152)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발효조(11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air supply passage 154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air pump 15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ermenter 112.

맥주 제조팩(12)이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에어펌프(152)와 에어 공급유로(154)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로 공급된 에어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서 맥주 제조팩(12)을 가압할 수 있다. The air pump 152 and the air supply passage 154 can supply air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er assembly 1 while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is accommodated in the fermenter assembly 1. [ Thus, the air supplied into the fermenter assembly 1 can press the beer making pack 12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는 에어에 의해 눌린 맥주 제조팩(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메인밸브(9)와 맥주 취출밸브(62)가 개방되면,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과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서 메인유로(2)로 유동된 맥주는 맥주 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The beer in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pressed by the beer making pack 12 pressed by the air and when the main valve 9 and the beer brew valve 62 are opened, And can flow to the main flow path 2. The beer flowing into the main flow path 2 from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beer blower 6. [

맥주 제조기는 맥주 제조가 완성되면, 맥주 제조팩(12)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외부로 꺼내지 않고,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를 맥주 취출기(6)로 취출할 수 있다. When the beer manufacturing machine is completed, the beer making machine 12 is not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fermenter assembly 1, but the beer in the beer making pack 12 is placed in the inside of the fermenter assembly 1, Can be taken out to the machine (6).

에어펌프(152)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 소정 압력이 형성되게 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는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 취출이 용이한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pump 152 can supply the air to form a predetermined pressure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er 112.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12 and the fermenter 112, ) Can be easily formed.

에어펌프(152)는 맥주 취출이 진행되는 동안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맥주 취출이 끝나면, 다음 번 맥주 취출를 위해 구동되었다가 정지될 수 있다.The air pump 152 maintains the off state while the beer is taken out, and when the beer is taken out, the air pump 152 can be driven and stopped for the next beer take-out.

배기밸브(156)는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에 위치될 수 있고, 에어 공급유로(154) 중 발효조(112)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The exhaust valve 156 may be located out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and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air supply passage 154 located outside the fermentation tank 112.

배기밸브(156)는 에어 공급유로(154)에 연결유로(157)로 연결될 수 있다. The exhaust valve 156 may b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assage 154 via a connection passage 157.

에어 공급유로(154)는 연결유로(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4F)을 기준으로, 에어펌프(152)부터 연결부(154F)까지의 제1유로와, 연결부(154F)부터 출구단(154E)까지의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는 에어펌프(152)에서 펌핑된 에어를 제2유로로 안내하는 급기유로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는 급기유로를 통과한 에어를 발효조(112)와 맥주 제조팩(12) 사이로 급기하거나, 발효조(112)와 맥주 제조팩(12) 사이에서 유출된 에어를 연결유로(157)로 안내하는 급기 및 배기 겸용 유로일 수 있다.The air supply passage 154 has a first flow path from the air pump 152 to the connecting portion 154F and a second flow path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54F to the outlet end 154E, The second flow path from the first flow path to the second flow path. The first flow path may be an air supply path for guiding the air pumped by the air pump 152 to the second flow path. The second flow path suppli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ir supply flow path between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beer production pack 12 or the air that flows out between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beer production pack 12, And an air supply duct for guiding air to the exhaust duct.

배기밸브(156)는 맥주 제조의 도중에 맥주 제조팩(12)이 팽창될 때,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급수모듈(5)에 의한 급수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에어주입기(8)에 의한 에어 주입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The exhaust valve 156 may be opened to exhaust air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er 112 as the beer making pack 12 is inflated during beer production. The exhaust valve 156 can be open-controlled when water is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module 5. The exhaust valve 156 can be open-controlled at the time of air injection by the air injector 8.

배기밸브(156)는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 취출이 완료되면,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를 빼내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맥주 취출이 완료된 후, 맥주 제조팩(12)을 발효조(112)의 외부로 꺼낼 수 있는데, 발효조(112) 내부가 고압을 유지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기밸브(156)는 맥주 제조팩(12)의 맥주 취출 완료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The exhaust valve 156 may be opened to extract air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when the beer extraction in the beer making pack 12 is completed. The user can take out the beer making pack 12 to the out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fter the beer extraction is completed. If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maintains the high pressure, a safety accident may occur. The exhaust valve 156 can be open-controlled when the beer extraction of the beer making pack 12 is completed.

도 1에 도시된 도면부호 16은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로서, 온도센서(16)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측정하여, 후술하는 컨트롤러(109, 도 3 참조)로 온도값을 전송할 수 있다. Reference numeral 16 in Fig. 1 denot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assembly 1. The temperature sensor 16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112 and supplies the measured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109 Temperature values can be trans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er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beer m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front view of the inside of the beer mak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맥주 제조기는 베이스(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맥주 제조기의 저면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그 상측에 위치하는 발효조 어셈블리(1), 압축기(131), 급수히터(53), 급수펌프(52), 수조(51) 등을 지지할 수 있다.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 base 100. The base 100 can constitute the bottom surface of the beer making machine and the fermenter assembly 1, the compressor 131, the water heater 53, the water feed pump 52, the water tank 51, Can support.

맥주 제조기는 맥주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맥주를 받아 보관할 수 있는 맥주 컨테이너(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컨테이너(101)는 베이스(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 beer container 101 capable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beer dropped from the beer brew valve 62. The beer container 10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100 or may be coupled to the base 100.

맥주 컨테이너(101)는 내부에 맥주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맥주가 수용되는 공간이 컨테이너 바디(101A)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컨테이너(101)는 컨테이너 바디(101A)의 상면에 배치되어 컨테이너 바디(101A) 내의 공간을 덮는 컨테이너 상판(101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eer container 101 may include a container body 101A in which the beer contained in the beer extraction valve 62 is received. The beer container 101 may include a container top plate 101B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1A and covering a space in the container body 101A.

컨테이너 바디(101A)는 베이스(100)의 앞부분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01A)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The container body 101A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100. [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1A can be opened.

컨테이너 상판(101B)에는 맥주가 컨테이너 바디(101A) 내부로 낙하되는 홀(101C)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iner upper plate 101B may be provided with a hole 101C through which the beer falls into the container body 101A.

맥주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맥주 중 맥주 용기(미도시) 주변으로 낙하된 맥주는 컨테이너 상판(101B)으로 낙하될 수 있고, 컨테이너 상판(101B)의 홀(101C)을 통해 맥주 컨테이너(101) 내부에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 있고, 맥주 제조기 주변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 beer dropped to the periphery of the beer container (not shown) of the beer dropped from the beer brew valve 62 can be dropped by the container top plate 101B and the beer container 101B can be dropped through the hole 101C of the container top plate 101B. ), And the periphery of the beer maker can be kept clean.

발효조(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로어 발효조(112A)과, 로어 발효조(112A)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개구부(111)가 형성된 어퍼 발효조(112B)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fermentation tank 112 includes a lower fermentation tank 112A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space formed therein, an upper fermentation tank 112C disposed above the lower fermentation tank 112A and having an opening 1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112B.

발효조(112)에는 맥주 제조팩(12)이 안착되는 시트부(116)가 구비될 수 있다. 시트부(116)는 개구부(111)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은 둘레부가 시트부(116)에 올려질 수 있다.The fermentation tank 112 may be provided with a seat portion 116 on which the beer making pack 12 is seated. The seat portion 116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opening 111 and the periphery of the beer making pack 12 may be raised to the seat portion 116.

맥주 제조기는 발효조(112)와 증발기(134)를 함께 둘러싸는 단열벽(10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eer maker may include an insulating wall 102 surrounding the fermenter 112 and the evaporator 134 together.

단열벽(102)는 단열성능이 높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발포폴리스티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may be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or the like capable of absorbing vibration with high heat insulating performance.

단열벽(102)는 상부에 단열벽 개구부(103)가 형성되고 내부에 단열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wall 102 is formed with the heat insulating wall opening 103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heat insulating space S2 can be formed therein.

단열벽(10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단열벽(102)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로어 단열벽(102A)과, 로어 단열벽(102A)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단열벽 개구부(103)가 형성된 어퍼 단열벽(102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includes a lower insulating wall 102A whos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n upper insulating wall 102B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insulating wall 102A and on which an upper wall 103 is formed, . ≪ / RTI >

로어 단열벽(102A)와 어퍼 단열벽(102B)를 갖는 단열벽(102)는 발효조(112)의 둘레면과 하면을 둘러쌀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having the lower insulating wall 102A and the upper insulating wall 102B can surround the peripheral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

단열벽(102)의 단열벽 개구부(103)는 발효조(112)의 상부를 둘러쌀 수 있다. 단열벽(102)의 단열벽 개구부(103)는 발효조(112) 중 개구부(113)가 형성된 부분의 외면을 둘러쌀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wall opening 103 of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may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er 112. [ The heat insulating wall opening portion 103 of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may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where the opening portion 113 is formed.

단열벽(102)의 내면은 발효조(112)의 외면 보다 직경이 클 수 있고, 단열벽(102)의 내면(102C)과 발효조(112)의 외면(112C)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틈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고, 단열벽(102)의 내면(102C)과 발효조(112)의 외면(112C) 사이의 공기는 발효조(112)를 단열시킬 수 있다. 단열벽(102)의 내면(102C)과 발효조(112)의 외면(112C) 사이의 틈은 증발기(134)가 수용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발효조(112)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may b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102C of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and the outer surface 112C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ir can be filled in these gaps and air between the inner surface 102C of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and the outer surface 112C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insulate the fermentation tank 112. [ Th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102C of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and the outer surface 112C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a space in which the evaporator 134 is accommodated and a temperature change in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minimized .

단열벽(102)은 하판부(102D)를 포함할 수 있고, 발효조(112)는 하판부(102D)의 상면(102E)에 안착될 수 있으며, 단열벽(102)는 발효조(112)를 지지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may include a lower plate portion 102D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102E of the lower plate portion 102D and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may support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do.

단열벽(102)는 하판부(102D)의 저면(102F)이 베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된 단열벽 서포터(100A)에 올려질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can be raised to the heat insulating wall supporter 100A where the bottom surface 102F of the lower plate portion 102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0. [

단열벽(102)는 하판부(102D)에 에어 공급유로(154)가 관통되는 에어 공급유로 관통공(102G)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는 일부가 단열벽(102)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발효조(11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may be formed with an air supply passage through hole 102G through which the air supply passage 154 passes, in the lower plate portion 102D. A part of the air supply passage 154 may be introduced into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ermenter 112.

발효조(112)에는 에어 공급유로(154)의 일부가 삽입되는 에어 공급유로 삽입공(112E)이 형성될 수 있고, 에어 공급유로(154)는 단열조(112)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출구단(154E)을 포함할 수 잇다. 에어 공급유로(154)의 출구단은 단열조(112)의 공간(S1)과 연통될 수 있다. The fermentation tank 112 may be provided with an air supply passage insertion hole 112E into which a part of the air supply passage 154 is inserted and the air supply passage 154 is connected to an outlet for supplying air into the heat insulation tank 112 (154E). ≪ / RTI > The outlet end of the air supply passage 154 can communicate with the space S1 of the heat insulating tank 112. [

한편, 증발기(134)는 이러한 틈에 위치되게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증발튜브일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112C)과 단열벽(102)의 내면(102C) 각각에 접촉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단열벽(102)에 지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vaporator 134 may be an evaporation tube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so as to be positioned in such a gap. The evaporator 134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112C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inner surface 102C of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respectively. The evaporator 134 may be supported on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증발기(134)는 단열벽(102)에 형성된 증발튜브 관통공(미도시)를 관통하여 단열벽(102)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튜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vaporator 134 may include an extension tube (not shown) extending through the evaporation tube through-hole (not shown) formed in the insulation wall 102 and outside the insulation wall 102.

맥주 제조기는 단열벽(102)의 둘레면와, 단열벽(102)의 상면을 둘러싸는 단열벽 커버(104)(10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eer maker may include a heat insulating wall cover (104) (105) surround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단열벽 커버(104)(105)는 하나의 커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커버의 결합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heat insulating wall covers 104 and 105 may be composed of a single cover, or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covers.

단열벽 커버(104)(105)는 하면이 개방되고 단열벽(102)의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로어 단열벽 커버(104)와, 로어 단열벽 커버(104)의 상부에 배치되고 단열벽(102)의 상면를 덮는 어퍼 단열벽 커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wall covers 104 and 105 include a lower heat insulating wall cover 104 having a lower surface opened and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102 which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wall cover 105.

로어 단열벽 커버(104)는 하부가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다. The lower insulation wall cover 104 can be raised to the base 100.

어퍼 단열벽 커버(105)는 하부가 로어 단열벽 커버(104)의 상단에 올려질 수 있다. The upper insulating wall cover 105 can be rais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insulating wall cover 104.

단열벽 커버(104)(105)는 단열벽(102)을 보호할 수 있고, 맥주 제조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insulating wall covers 104 and 105 can protect the insulating wall 102 and form part of the appearance of the beer maker.

단열벽 커버(104)(105)는 단열벽(102)의 둘레면 전체를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고, 단열벽(102)의 둘레면 일부만을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The heat insulating wall covers 104 and 105 can surround the entir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and can surround only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

단열벽 커버(104)(105)는 수조(51)를 마주보는 면에 사이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134)의 연장튜브는 사이드 개구부를 통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의 연장튜브는 단열벽 커버(104)(105)의 사이드 개구부를 통과하여 도 4에 도시된 후술하는 수용공간(S5)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ide wall of the heat insulating wall cover 104 (105) may have a side opening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water tray (51). The extension tube of the evaporator 134 may b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side openings. The extension tube of the evaporator 134 may extend through the side openings of the heat insulating wall covers 104 and 105 to the receiving space S5 described later in FIG.

한편, 수조(51)는 베이스(100) 상측에 베이스(100)와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는 베이스(100)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와 베이스(100)의 사이에는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S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51)는 단열벽(102)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tank 5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100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0. The water tank 5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pace S3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mpressor 131, the water heater 53 and the water feed pump 52 can be accommoda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water tank 51 and the base 100. [ The water tank 5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맥주 제조기는 수조(51)를 베이스(100)와 이격되게 지지하는 수조 서포터(10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고, 수조(51)를 베이스(100) 상측에 베이스(100)와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하단이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고, 그 상부에 수조(51)가 올려질 수 있다. The beer maker may include a water tank supporter 106 for supporting the water tank 51 away from the base 100. The water tank supporter 106 may be disposed on the base 100 and may support the water tank 51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100.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supporter 106 can be lifted up to the base 100 and the water tank 51 can be lifted up thereon.

수조 서포터(106)는 복수개의 서포터부재가 전체적으로 중공 통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단열벽(102)을 마주보는 면에 사이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supporter 106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er members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water tank supporter 106 may have a side opening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

수조(51)는 아우터 수조(58)와, 아우터 수조(58)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S4)가 형성된 이너 수조(5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tank 51 may include an outer water tank 58 and an inner water tank 59 accommodated in the outer water tank 58 and having a space S4 in which water is received.

아우터 수조(58)는 수조 서포터(106)의 상부에 올려질 수 있고, 그 하면이 베이스(100)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으며, 아우터 수조(58)와 베이스(100)의 사이에 The outer water tank 58 can be lifted up to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supporter 106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0 and the water tank 58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er water tank 58 and the base 100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S3)가 형성될 수 있다. A space S3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mpressor 131, the water heater 53, and the water feed pump 52 can be accommodated can be formed.

아우터 수조(58)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일 수 있고, 그 내부에 위치하는 이너 수조(59)의 외둘레면과 하면을 둘러싸서 이너 수조(59)를 보호할 수 있다. The outer water tank 58 may be in the form of a container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may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water tank 59 located inside the outer water tank 58 to protect the inner water tank 59.

이너 수조(59)는 아우터 수조(58)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아우터 수조(58)에 지지될 수 있다. The inner water tank 59 can be inserted into the outer water tank 58 and can be supported in the outer water tank 58.

맥주 제조기는 아우터 수조(58)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너 수조(59)의 상부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수조 프로텍터(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 프로텍터(107)는 이너 수조(59)의 상부 외둘레면 전체 또는 일부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수조 프로텍터(107)는 복수개의 프로텍터 부재가 링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tank protector 107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ter tank 58 and surrounding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water tank 59. The water tank protector 107 may be disposed so as to surround all or part of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ter tank 59. The water tank protector 107 can b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protector members in a ring shape.

맥주 제조기는 수조(51) 또는 수조 프로텍터(107)에 결합되어 수조(51)의 상면을 덮는 수조 리드(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 리드(108)는 일측이 수조(51) 또는 수조 프로텍터(10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수조 리드(108)는 수조(51) 또는 수조 프로텍터(107)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tank lid 108 coupled to the water tank 51 or the water tank protector 107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51. One side of the water tank lead 108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water tank 51 or the water tank protector 107. The tank lid 108 can be detachab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51 or the water tank protector 107.

한편,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100)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compressor 131, the water heater 53, and the water feed pump 5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se 100 and the water tub 51.

응축기(132)는 단열벽(101)와 수조(51)의 사이와, 단열벽(101) 중 적어도 하나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ndenser 132 can be disposed to face at least one of the heat insulating wall 101 and the water tub 51 and the heat insulating wall 101. [

디스펜서(3)는 발효조 덮개(114)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맥주 제조기는 디스펜서(3)가 발효조 덮개(114)와 수조(51)의 사이 이외에 위치하는 경우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고, 디스펜서(3)가 발효조 덮개(114) 및 수조(5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The dispenser 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and the water tank 51. In this case, the beer maker can be manufactured more compact than the case where the dispenser 3 is located between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and the water tank 51, and the dispenser 3 can be manufactured more efficiently than the fermenter tank lid 114 and the water tank 51 ). ≪ / RTI >

디스펜서(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아우터 수조(58)에 안착될 수 있고, 타측이 단열벽 커버(104)(105)에 안착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베이스(10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dispenser 3 can be mounted on the outer water tank 58 and the other side can be seated on the heat insulating wall covers 104 and 105 as shown in FIG. The dispenser 3 may be vertically spaced from the base 100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0.

디스펜서(3)는 도 1에 도시된 캡슐(C1)(C2)(C3)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캡슐 수용바디(36)와, 캡슐 수용부를 덮는 리드 모듈(3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enser 3 includes a capsule accommodating body 36 in which a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capsules C1, C2 and C3 shown in FIG. 1 are detachably accommodated and a lead module 37 covering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

캡슐 수용바디(36)는 좌측판과 우측판 중 수조(51)를 마주보는 일측판이 아우터 수조(58)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어 아우터 수조(58)에 지지될 수 있다. The capsule accommodating body 36 can be supported by the outer water tank 58 by seating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facing the water tank 51 in a seat formed in the outer water tank 58.

캡슐 수용바디(36)는 좌측판과 우측판 중 발효조 덮개(114)를 마주보는 타측판이 단열벽 커버(104)(105)에 안착될 수 있고, 단열벽 커버(104)(105)에 지지될 수 있다. The capsule housing body 36 can receive the other side plates facing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in the heat insulating wall covers 104 and 105 and can support the heat insulating wall covers 104 and 105 .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를 덮는 리드(38)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38)은 캡슐 수용바디(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드(38)은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The lead module 37 may include a lead 38 that covers the capsule receiving body 36. The lead 38 may be slidably 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psule receiving body 36. The lead 38 may be hinged to the capsule receiving body 36.

디스펜서(3)는 맥주 제조기의 대략 중앙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펜서(3)의 리드 모듈(37)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캡슐(C1)(C2)(C3)을 용이하게 장착, 분리할 수 있다. The dispenser 3 can be installed to be positioned substantially at the upper center of the beer maker and the user can rotate the lead module 37 of the dispenser 3 upwardly to easily mount the capsules C1, , Can be separated.

맥주 제조기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S5)는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102)과 수조(51)의 사이이고 상하 방향으로 디스펜서(3)와 베이스(100)의 사이인 공간일 수 있다. The beer maker can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S5 in which a plurality of parts can be accommodated. The accommodation space S5 may be a space between the dispenser 3 and the bas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and the water tray 5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맥주 제조기는 다수의 부품이 이러한 수용공간(S5)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맥주 제조기는 컴팩트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S5)에 수용된 다수의 부품은 단열벽(102)과 수조(51)와 베이스(100)와 디스펜서(3)와 응축기(132)와 후술하는 센터 커버(66)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될 수 있다.In the beer maker, it is preferable that a large number of parts ar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S5, and in this case, the beer maker can be made compact. A large number of part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S5 are surrounded and protected by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the water tank 51, the base 100, the dispenser 3, the condenser 132 and a center cover 66 .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에 설치되어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를 개폐하는 개폐밸브(313)(323)(3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수용바디(36)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The open / close valves 313, 323, and 333 provided in the dispenser inlet channels 311, 321, and 331 shown in FIG. 1 to open and close the dispenser inlet channels 311, 321, As shown, may be located beneath the capsule receiving body 36.

개폐밸브(313)(323)(333)는 베이스(100)에 설치된 브래킷(64, 도3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The open / close valves 313, 323, and 333 may be installed in the bracket 64 (see FIG. 3) installed in the base 100.

브래킷(64)는 단열벽(102)의 옆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고, 개폐밸브(313)(323)(333)는 브래킷(64)에 의해 단열벽(102)과 수조(51)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개폐밸브(313)(323)(333)는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102)과 수조(5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디스펜서(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brackets 6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s 313, 323 and 33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and the water tub 51 by the bracket 64 Can be installed. The open / close valves 313, 323 and 333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heat insulating wall 102 and the water tray 51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dispensers 3 in the vertical direction.

맥주 제조기는 개폐밸브(313)(323)(333)의 전방을 가리는 센터 커버(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er maker may further include a center cover 66 for covering the front of the open / close valves 313, 323, and 333.

센터 커버(6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 커버(104)와 수조 서포터(106) 사이를 막고, 상하 방향으로 디스펜서(3)와 베이스(100) 사이를 막게 배치될 수 있다. 센터 커버(66)는 그 배면이 응축기(132)를 전후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고, 다수의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3)는 그 앞부분이 센터 커버(66)의 상단에 올려질 수 있고, 디스펜서(3)는 센터 커버(66)에 지지될 수 있다.2, the center cover 66 covers the space between the heat insulating wall cover 104 and the water tank supporter 106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is arranged so as to block the gap between the dispenser 3 and the bas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rear surface of the center cover 66 can face the condenser 132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an protect a large number of parts. The front part of the dispenser 3 can be rais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er cover 66 and the dispenser 3 can be supported to the center cover 66. [

한편, 맥주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전방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는 맥주 컨테이너(101)의 상측에 위치되게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eer taking-out valve 62 can be mounted on the center cover 66. The beer extraction valve 62 can be mounted on the center cover 66 so as to protrude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beer brew valve 62 can be mounted on the center cover 66 positioned above the beer container 101. [

맥주 제조기는 맥주 제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0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eer maker may include a controller 109 for controlling the beer maker.

컨트롤러(109)는 메인 피시비(109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may include a main PCB 109C.

컨트롤러(109)는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의 무선통신기기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소자는 와이파이모듈과 블루투스모듈 등과 같이, 리모컨이나 무선통신기기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무선통신소자는 메인피시비(100C) 또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09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 or a portable termi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n be installed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type as long as it can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 remote contro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WiFi module and a Bluetooth modu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element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PCB 100C or a display file ratio described later.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기의 제조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로터리 놉(109A)과, 로터리 놉(109A)에 의해 스위칭되는 로터리 스위치(109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의 일측에는 로터리 놉(109A)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놉 홀(106A)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리 놉(109A)은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109B)는 메인 피시비(109C)에 설치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109D)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이나 무선통신기기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무선통신소자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controller 109 may include an input for receiving commands related to the manufacture of the beer maker. The input section may include a rotary knob 109A and a rotary switch 109B which is switched by the rotary knob 109A. A knob hole 106A through which the rotary knob 109A is rotatably passed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water tank supporter 106. [ The rotary knob 109A may be arranged such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rotary switch 109B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PCB 109C.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a user's command in a touch manner.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in a display 109D described lat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ntroller 109 can receive the user comman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기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9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엘시디, 엘이디, 오엘이디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디스플레이 소자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피시비는 메인 피시비(109C)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커넥터를 통해 메인 피시비(109C)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may include a display 109D that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of the beer maker. Display 109D may include display devices such as LCD, LED, and LED. The display 109D may include a display file ratio at which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The display file cost may be mounted on the main PCB 109C or connected to the main PCB 109C through a separate connector.

컨트롤러(109)는 압력 센서(72)에 의해 맥주 제조팩(12)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 의해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이렇게 감지된 압력나 온도를 이용하여 맥주의 발효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sense the pressure inside the beer making pack 12 by the pressure sensor 72 and can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assembly 1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 The controller 109 can determine the degree of fermentation of the beer by using the sensed pressure or temperature.

컨트롤러(109)는 후술하는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인 시간과, 에어펌프(152)가 구동인 시간과, 맥주 제조가 완료된 후 메인밸브(9)가 온인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산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이렇게 적산된 시간에 따라, 맥주 제조 팩(12)에서 취출된 맥주의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이렇게 산출된 맥주의 취출량으로부터, 맥주의 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산출된 맥주의 잔량 정보로부터, 맥주 제조 팩(12) 내의 맥주가 모두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 팩(12) 내의 맥주가 모두 취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맥주 취출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디스플레이(109D)를 통해 맥주의 취출량, 맥주의 잔량이나 맥주 취출 완료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accumulate at least one of a time when the limit switch 630 is turned on, a time when the air pump 152 is driven, and a time when the main valve 9 is turned on after beer productio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09 can calculate the take-out amount of the beer taken out of the beer making pack 12 according to the accumulated time. The controller 109 can calculat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eer from the amount of beer thus taken out. The controller 109 can judge whether or not all of the beer in the beer making pack 12 has been taken out from the calculated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of the beer. The controller 109 can determine that beer has been taken out if it is determined that all of the beer in the beer making pack 12 has been taken out. The controller 109 can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he amount of beer taken out, the remaining amount of beer, and completion of beer extraction through the display 109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맥주 취출 밸브가 도시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eer brew valve of a beer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맥주 취출밸브(62)는 도 1에 도시된 맥주 취출유로(61)와 연결된 밸브유로(611)가 형성된 밸브 바디(600)와; 밸브 바디(600)에 승강되게 배출되고 밸브유로(611)를 개폐하는 승강 밸브체(610)와; 승강 밸브체(6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동작시 승강 밸브체(610)를 승강시키는 회전 레버(620)와, 승강 밸브체(610)에 의해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630)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는 밸브 바디(600)에 내장되어 승강 밸브체(610)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밸브 스프링(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er brew valve 62 includes a valve body 600 having a valve channel 611 connected to the beer brewing channel 61 shown in Fig. A lift valve body 610 which is lifted and lowered to the valve body 600 and opens and closes the valve flow channel 611; A rotary lever 620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valve body 610 to elevate the elevating valve body 610 in a rotating operation and a limit switch 630 switched by the elevating valve body 610 can do. The beer extraction valve 62 may further include a valve spring 640 incorporated in the valve body 600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lift valve body 610 downward.

밸브 바디(600)는 도 2에 도시된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밸브유로(611)는 밸브 바디(60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 유로(612)와, 수평유로(612)의 선단에서 하측 바향으로 꺽이게 형성된 수직유로(6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맥주 취출유로(61)로 안내된 맥주는 수평유로(612)의 개방시 수평유로(612)와 수직유로(613)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직유로(613)의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밸브 바디(600)는 내부에 수평유로(612)가 형성된 수평부와, 수평부에 직교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수직유로(613)가 형성된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lve body 600 may be mounted on the center cover 66 shown in Fig. The valve passage 611 may include a horizontal passage 612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valve body 600 and a vertical passage 613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passage 612. The beer guided to the beer take-out passage 61 shown in FIG. 1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horizontal flow channel 612 and the vertical flow channel 613 when the horizontal flow channel 612 is opened, . The valve body 600 ma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having a horizontal flow path 612 formed therein and a vertical portion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horizontal portion and having a vertical flow path 613 formed therein.

승강 밸브체(610)는 밸브유로(611) 특히 수직유로(613)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는 수평유로(612)를 막는 높이로 하강될 수 잇고, 수평유로(612)를 개방하는 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는 상부가 밸브 바디(60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에는 그 상승시 리미트 스위치(630)를 접점시키는 조작돌기(614)가 돌출될 수 있다. The lift valve body 610 can be arranged to be lifted up and down on the valve channel 611, particularly, the vertical channel 613. The lift valve body 610 can be lowered to a height that blocks the horizontal flow channel 612 and can be raised to a height that opens the horizontal flow channel 612. The elevating valve body 610 may be disposed such that its upper por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valve body 600. The lift valve body 610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protrusion 614 which contacts the limit switch 630 when the lift valve body 610 is lifted.

회전 레버(620)는 승강 밸브체(610)의 상부에 힌지(621) 연결될 수 있고, 승강 밸브체(6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눕혀질 수 있다. The hinge 621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 valve body 610 and may be vertically erected or horizontally lai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lift valve body 610. [

회전 레버(620)가 수평하게 눕혀질 경우, 승강 밸브체(610)는 상승되어 수평유로(612)를 개방할 수 있고, 회전 레버(620)가 수직하게 세워질 경우, 승강 밸브체(610)는 하강되어 수평유로(612)를 폐쇄할 수 있다. When the rotation lever 620 is horizontally laid, the lift valve body 610 can be raised to open the horizontal flow channel 612. When the rotation lever 620 is vertically erected, the lift valve body 610 The horizontal flow path 612 can be closed.

리미트 스위치(630)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러(109)와 연결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리미트 스위치(630)의 온,오프에 따라 맥주 제조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limit switch 630 can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9 shown in Fig. 3 and the controller 109 can control the beer maker according to the on / off state of the limit switch 630. Fig.

밸브 스프링(640)는 밸브 바디(600)의 수직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 밸브체(610)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The valve spring 640 is disposed above the vertical portion of the valve body 600 to elastically press the lift valve body 610 downward.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가 제어 수순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으로 물을 급수할 때의 물 유동 및 발효조의 에어가 배출되는 유동이 도시된 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으로 에어을 주입할 때의 에어 유동 및 발효조의 에어가 배출되는 유동이 도시된 도이며,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에서 맥주가 취출 완료된 이후 발효조의 에어가 배출되는 유동이 도시된 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procedure of the beer m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flow of water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beer making pack shown in FIG. 1 and a flow of discharging air of the fermentation tank. FIG. 8 is a cross- FIG. 9 is a view showing a flow of discharging the air of the fermenter after the beer is taken out from the beer making pack shown in FIG. 1. FIG. 9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the fermenter.

본 실시예의 맥주 제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beer maker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now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맥주 제조기는 그 내부의 유로를 세척 및 살균하는 세척 및 살균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 및 살균 코스는 맥주 제조 코스와 별도로 진행될 수 있다. The beer maker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cleaning and sterilization course to clean and sterilize the flow path therein.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course may be conducted separately from the beer preparation course.

세척 및 살균 코스는 맥주 제조 코스의 실시 이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shing and sterilization course is preferably carried out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beer preparation course.

또한, 세척 및 살균 코스는 맥주 제조 코스의 도중에,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후술하는 1차 발효단계나 2차 발효단계와 같이, 메인밸브(9)가 클로즈이고, 디스펜서(3)에 첨가제가 담겨있지 않은 동안 실시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in the first fermentation step and the second fermentation step described later, the main valve 9 is closed, and the dispenser Can be carried out while the additive (3) is not contained in the additive.

세척 및 살균 코스는 디스펜서(3) 내부에 캡슐(C1)(C2)(C3)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고, 맥주 제조 코스는 디스펜서(3) 내부에 캡슐(C1)(C2)(C3)이 수용되고 발효조(112) 내부에 맥주 제조팩(12)가 수용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The washing and sterilizing course may be carried out in a state in which the capsules C1, C2 and C3 are not contained in the dispenser 3 and the beer making course is carried out in the dispenser 3 with the capsules C1 and C2 C3) is accommodated in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beer production pack 12 is accommodated in the fermentation tank 112. [

이하, 세척 및 살균 코스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leaning and sterilizing course will be described first.

사용자는 컨트롤러(109)에 구비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세척 및 살균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세척 및 살균 명령의 입력에 따라 맥주 제조기를 세척 및 살균 코스(S100)로 제어할 수 있다. The user can input a cleaning and sterilizing command through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controller 109, a remote controller, or a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109 can control the beer maker to the cleaning and sterilizing course S100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cleaning and sterilizing command.

사용자는 맥주 취출밸브(62)를 개방 조작한 후,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세척 및 살균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After the user opens the beer extraction valve 62, the user can input a cleaning and sterilizing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portable terminal.

컨트롤러(109)는 맥주 취출밸브(62)의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이고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세척 및 살균 명령을 입력되었으면,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으며,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를 온시킬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109)는 메인밸브(9)을 클로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의 온과, 제1,2,3, 개폐밸브(313)(323)(333)의 온시,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 모두는 개방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turns on the water supply pump 52 and the water heater 53 when the limit switch 630 of the beer extraction valve 62 is on and the cleaning and sterilizing command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bypass valve 35,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 / close valves 313, 323 and 333 can be turned on.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09 can maintain the main valve 9 in a closed state. The bypass valve 35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 / close valves 313, 323 and 333 are turned on when the bypass valve 35 is turned on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 / close valves 313, ) 323 and 333 may all be opened.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즉, 온수)는 메인유로(2)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로 유동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은 메인유로(2)와,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를 통과한 후 맥주 취출유로(61)로 유동될 수 있고, 맥주 취출밸브(62)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When the water pump 52 is turned o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51 flows into the water heater 53 and can be heated in the water heater 53. The water heated by the water heater 53 is heated by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1,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2 and the thir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3 of the main flow path 2 Can flow. The water heated by the water heater 53 passes through the main passage 2,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1,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2 and the thir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3 Can be flowed into the beer brewing flow path (61) and can be flown out through the beer brewing valve (62).

상기와 같은 제어시, 맥주 제조기는 메인유로(2), 바이패스 밸브(35),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 맥주 취출유로(61) 및 맥주 취출밸브(62)가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에 의해 세척 및 살균될 수 있다. The beer manufacturing machine includes a main flow path 2, a bypass valve 35, a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1, a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2, a thir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3, The beer taking-out flow path 61 and the beer taking-out valve 62 can be cleaned and sterilized by the water heated by the water heater 53.

맥주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세척 및 살균을 세척설정시간 실시할 수 있고, 세척설정시간 이후, 세척 및 살균 단계(S100)를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세척설정시간 경과 후,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으며,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 모두를 오프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의 오프시,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 모두는 클로즈될 수 있다. The beer maker can perform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as described above for the cleaning set time, and after the set cleaning time, complete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S100).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ff the water supply pump 52 and the water heater 53 after the lapse of the cleaning setting time and the bypass valve 35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 / close valves 313 and 323 ) 333 may be turned off. When the bypass valve 35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 / close valves 313, 323 and 333 are turned off, the bypass valve 35,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 / close valves 313, (323) and (333) may be closed.

사용자는 세척 및 살균 단계(S100)가 완료되면, 맥주 취출밸브(62)를 클로즈 조작할 수 있다. The user can close the beer extraction valve 62 when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step S100 is completed.

그리고, 본 실시예의 맥주 제조기는 맥주를 제조하는 맥주 제조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er make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eer making course for manufacturing beer.

이하, 맥주 제조코스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eer manufacturing course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맥주 제조 코스를 위해, 발효조 덮개(114)를 열고 맥주 제조팩(12)을 발효조(12) 내로 삽입하여 발효조(12)에 안착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발효조 덮개(114)를 닫을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와 발효조 덮개(114)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때, 발효조(112)의 내부는 발효조 덮개(11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The user can open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and insert the beer production pack 12 into the fermentation tank 12 and seat it in the fermentation tank 12 for the beer manufacturing course. The user may then close the fermenter lid 114 and the beer making pack 12 may be housed and stored in the fermenter 112 and the fermenter lid 114.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closed by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그리고, 사용자는 맥주 제조팩(12)의 안착 전,후에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캡슐(C1)(C2)(C3)를 삽입한 후 리드 모듈(37)로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을 덮을 수 있다. The user inserts a plurality of capsules C1, C2 and C3 into the dispenser 3 before and after placing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n inserts a plurality of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31 into the lead module 37, (32) (33).

사용자는 컨트롤러(109)에 구비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맥주 제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 명령의 입력에 따라 맥주 제조기를 맥주 제조 코스로 제어할 수 있다. The user can input a beer manufacturing command through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controller 109, a remote controller, or a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109 can control the beer maker to the beer making cours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beer making command.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 코스시, 맥주 제조팩(12)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단계(S200)를 개시할 수 있다. 급수단계(S200)은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아를 온수와 고르게 혼합(Mixing)하여 액상 맥아를 형성하는 액상 맥아 형성단계일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start the water supply step (S200) for supplying water to the beer making pack 12 at the beer making course. The water supply step S200 may be a liquid malt formation step for mixing the malt in the beer making pack 12 with hot water to form liquid malt.

컨트롤러(109)는 급수단계(S200)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온시킬 수 있으며, 메인밸브(9)를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오프 상태인 메인밸브(9)를 온시켜 메인밸브(9)를 개방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급수단계(S200)시 제1개폐밸브(313)와, 제2개폐밸브(323)과, 제3개폐밸브(333)을 오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팩(12)으로 급수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9)는 배기밸브(156)를 온시켜 배기밸브(156)를 오픈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water feed pump 52 and the water heater 53 in the water supply step S200 and can turn on the bypass valve 35 and turn on the main valve 9 . The controller 109 can open the main valve 9 by turning on the main valve 9 in the off state. The controller 109 can keep the first on-off valve 313, the second on-off valve 323, and the third on-off valve 333 off during the water supply step S200.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gas discharge valve 73 at the time of supplying water to the beer making pack 12. Then, the controller 109 can open control of the exhaust valve 156 by turning on the exhaust valve 156.

수조(51)의 물은 수조(51)에서 출수되어 급수펌프(52)를 통과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은 메인 유로(2) 및 바이패스 밸브(35)를 통과할 수 있고, 메인밸브(9)를 통과하여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메인유로(2)를 통해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된 온수는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맥아와 혼합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아는 물과 혼합되어 점차 희석될 수 있다. 한편, 맥주 제조팩(12)으로 온수가 공급되므로,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맥아는 온수와 신속하고 고르게 혼합될 수 있다. The water in the water tank 51 can be taken out of the water tank 51 and can pass through the water feed pump 52 and can flow to the water heater 53 and heated in the water heater 53. The water heated by the water heater 53 can pass through the main flow path 2 and the bypass valve 35 and can flow into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through the main valve 9 . Hot water introduc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through the main flow path 2 can be mixed with the malt contained i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malt in the beer making pack 12 is mixed with water and gradually diluted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beer making pack 12, the malt contained in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quickly and uniformly mixed with hot water.

맥주 제조팩(12)은 상기와 같은 물의 유입시 점차 팽창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는 맥주 제조팩(12)이 팽창됨에 따라 일부가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된 공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may gradually expand upon the inflow of wat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air between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may be partially blown into the air supply channel 154, and the air that has flowed into the air supply passage 154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valve 156 as shown in Fig.

맥주 제조팩(12)으로 물이 유입되는 동안,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에 채워져있던 공기 중 일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 내부에서 터지거나 찢어지는 것 없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Some of the air that has been filled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during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may be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valve 156 And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can receive water in the fermentation tank 112 without being blown or torn.

한편, 상기와 같은 급수단계(S200)시 급수히터(53)는 물을 50℃ 내지 7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컨트롤러(109)는 써미스터(57: Thermistor)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급수히터(53)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water supply step S200, the water heater 53 preferably heats the water at 50 to 70 DEG C, and the controller 109 controls the supply of the wat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hermistor 57 The heater 53 can be controlled.

맥주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급수단계(S200)를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수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될 때까지 실시할 수 있고,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수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되면, 급수단계(S200)을 완료할 수 있다. 급수단계(S200)의 완료시, 컨트롤러(109)는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 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오프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급수단계(S200)의 완료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오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급수단계(S200)의 완료시,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The beer maker can perform the watering step S200 as described above until the quantity detected by the flow meter 56 reaches the set flow rate and when the quantity detected by the flow meter 56 reaches the set flow rate, (S200) can be completed. At the completion of the water feed step S200,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ff the water feed pump 52 and the water heater 53, and can turn off the bypass valve 35. [ The controller 109 may turn off the gas discharge valve 73 upon completion of the water supply step S200. The controller 109 can close control of the exhaust valve 156 at the completion of the water supply step (S200).

한편, 맥주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급수단계(S200)의 도중에,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게 제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eer maker can be controlled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during the water supply step (S200).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물을 1차 유입한 다음 중단하고, 이후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한 다음 중단하며, 최종적으로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온수를 2차 유입한 다음 중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1차 물 유입과, 에어 주입과, 2차 물 유입을 순차적으로 모두 완료한 후 급수단계(S200)를 완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troller 109 stops the first flow of water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n pours air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n stops the beer making pack 12, It is also possible to terminate the water supply step S200 after completing the sequential filling of the primary water inflow, the air inflow and the secondary water inflow.

급수단계(S200)의 일 예는 온수를 급수하는 온수급수과정만을 실시할 수 있다. One example of the watering step (S200) is only a hot water supply process for supplying hot water.

급수단계(S300)의 다른 예는 1차로 온수를 급수하는 1차 온수급수과정과,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과정과, 2차로 온수를 주입하는 2차 온수급수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Another example of the water supply step (S300) can be a sequential execution of a first hot water supply process of supplying hot water, an air infusion process of injecting air, and a second hot water supply process of injecting hot water of a second order .

먼저, 급수단계(S200)의 일예로 급수단계(S200)가 온수급수과정만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rst, as an example of the watering step (S200), the case where the watering step (S200) performs only the hot water supply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first.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온시킬 수 있으며, 메인밸브(9)를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배기밸브(156)을 온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feed pump 52 and the water heater 53 at the start of the hot water supply process and can turn on the bypass valve 35 and turn on the main valve 9 .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gas discharge valve 73 at the start of the hot water supply process.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exhaust valve 156 at the start of the hot water supply process.

그리고,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오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오프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배기밸브(156)을 오프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109 can turn off the water feed pump 52 and the water heater 53 and turn off the bypass valve 35 upon completion of the hot water supply process.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ff the gas discharge valve 73 upon completion of the hot water supply process.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ff the exhaust valve 156 upon completion of the hot water supply process.

이하, 급수단계(S200)의 다른 예로, 급수단계(S200)가 1차 온수급수과정과, 에어주입과정과, 2차 온수급수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other example of the water supply step (S200)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water supply step (S200) sequentially executes the first hot water supply process, the air injection process, and the second hot water supply process.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온시킬 수 있으며, 메인밸브(9)를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배기밸브(156)을 온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feed pump 52 and the water heater 53 at the start of the primary hot water supply process and can turn on the bypass valve 35 and turn on the main valve 9 .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gas discharge valve 73 at the start of the primary hot water supply process.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exhaust valve 156 at the start of the primary hot water supply process.

그리고,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바이패스 밸브(35)와 메인밸브(9)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가스 배출밸브(73)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배기밸브(156)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차 온수급수과정시, 맥주 제조팩(12)의 내부에는 물이 유입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은 유입되는 물에 의해 팽창될 수 있으며,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맥주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Then,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ff the water feed pump 52 and the water heater 53 at the completion of the primary hot water supply process. The controller 109 can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bypass valve 35 and the main valve 9 at the completion of the primary hot water supply process. The controller 109 can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gas discharge valve 73 upon completion of the primary hot water supply process. The controller 109 can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exhaust valve 156 at the completion of the primary hot water supply process.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during the first hot water supply process and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expanded by the incoming water and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er 112 May be pushed by the expanding beer manufacturing pack 12 to flow into the air supply passage 154 and be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valve 156. [

컨트롤러(109)는 에어주입과정의 개시시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킬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가 온인 동안, 에어 주입펌프(82)에 의해 펌핑된 에어는 에어 주입유로(81)를 통해 메인유로(2)로 유입될 수 있고, 메인밸브(9)를 통해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된 에어는 액상 맥아를 부딪혀 맥아와 온수가 보다 고르게 혼합(Mixing)되게 도울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air injection pump 82 at the start of the air injection process. The air pumped by the air infusion pump 82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in flow path 2 through the air inflow path 81 while the air infusion pump 82 is 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pack (12). In this wa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ump the liquid malt so that the malt and the hot water can be mixed more evenly.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가 유입됨에 따라, 맥주 제조팩(12)은 팽창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맥주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As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expanded and a portion of the air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is expanded, The air can be pumped into the air supply passage 154 and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valve 156. [

컨트롤러(109)는 압력 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면, 에어주입과정을 완료할 수 있고, 에어주입과정의 완료를 위해 에어 주입펌프(82)를 오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에어주입과정의 완료시, 메인밸브(9)와 바이패스 밸브(35)와, 가스 배출밸브(73) 및 배기밸브(156)을 온 유지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109 can complete the air injection process and turn off the air injection pump 82 to complete the air injection process if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72 is higher than the set pressure. The controller 109 can keep the main valve 9, the bypass valve 35, the gas discharge valve 73 and the exhaust valve 156 ON at the completion of the air injection process.

컨트롤러(109)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다. 수조(51)의 물은 1차 온수급수과정과 같이, 맥주 제조팩(12)로 급수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에는 새로운 온수가 추가 급수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water supply pump 52 and the water heater 53 at the start of the second hot water supply proces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51 can be supplied to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resh water can be additionally supplied to the beer making pack 12 as in the case of the first hot water supplying process.

상기와 같은 2차 온수급수시, 맥주 제조팩(12)은 추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더욱 팽창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에 잔존한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맥주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During the second hot water supply,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further expanded by the incoming water, and some of the air remaining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er 112 is expanded Can be pushed by the beer making pack 12 to flow into the air supply passage 154, and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valve 156.

컨트롤러(109)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유량에 따라 2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유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되면, 2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로 판단하고,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하고, 메인밸브(9)와 바이패스 밸브(35)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오프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9)는 발효조(112) 내의 에어가 배기밸브(156)을 통해 배기되지 않도록 배기밸브(156)를 오프하여 클로즈 제어할 수 잇다. The controller 109 can determine the completion of the second hot water supply process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nsed by the flow meter 56 during the second hot water supply process. The controller 109 determines that the second hot water supply process is completed when the flow rate sensed by the flow meter 56 reaches the set flow rate during the second hot water supply process and controls the water supply pump 52 and the water heater 53 The main valve 9, the bypass valve 35, and the gas outlet valve 73 can be turned off.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ff the exhaust valve 156 and close control so that air in the fermentation tank 112 is not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valve 156.

한편, 맥주 제조기는 급수단계(S200)가 완료되면, 발효조(112)를 냉각시키는 발효조 냉각단계(S300)을 실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eer maker can perform a fermentation tank cooling step (S300) for cooling the fermentation tank 112 when the water supplying step (S200) is completed.

컨트롤러(109)는 발효조(112)의 냉각을 위해 냉동사이클장치(13)의 압축기(131)과 팽창기구(133)을 제어할 수 있다.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32)에서 응축된 후 팽창기구(133)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팽창기구(133)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134)를 통과하면서 발효조(112)의 열을 빼앗고, 증발될 수 있다. 증발기(134)를 통과한 냉매는 압축기(131)로 흡입될 수 있다. 압축기(131)의 구동시 발효조(112)는 점차 냉각될 수 있고, 발효조(112) 내부에 수용된 맥주 제조팩(12)와,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된 액상 맥아는 냉각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control the compressor 131 and the expansion mechanism 133 of 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13 to cool the fermentation tank 112. [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131 can be expanded by the expansion mechanism 133 after being condensed in the condenser 132. The refrigerant expanded by the expansion mechanism 133 can pass through the evaporator 134, take the heat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evaporate.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34 may be sucked into the compressor 131.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gradually cool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31 and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accommodated in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liquid malt contained in the beer production pack 12 can be cooled.

상기와 같은 발효조(112)의 냉각시, 맥주 제조기는 맥주 제조팩(12)을 중온 예를 들면, 23℃ 내지 27℃로 냉각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발효조(112)에 설치된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압축기(131)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압축기 온 온도 초과이면 압축기(131)를 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압축기 오프 온도 이하이면 압축기(131)를 오프할 수 있다. When the fermenter 112 is cooled, the beer maker may cool the beer making pack 12 at a middle temperature, for example, 23 to 27 ° C, The compressor 131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compressor 16.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compressor 131 if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exceeds the compressor ON temperature.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ff the compressor 131 if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is lower than the compressor off temperature.

컨트롤러(109)는 발효조 냉각단계(S300)의 도중에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와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는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며, 발효조(112) 내부의 공기는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keeps the exhaust valve 156 closed during the fermentation tank cooling step S300 and the air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exits through the exhaust valve 156 And the air inside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quickly cooled.

맥주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발효조 냉각단계(S300)가 개시된 후,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적어도 1회 압축기 오프 온도 이하이면, 맥주 제조팩(12) 내에 에어를 공급하여 액상 맥아를 믹싱하는 믹싱단계(S400)를 실시할 수 있다.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is lower than the compressor off temperature at least once after the fermentation tank cooling step S300 is started as described above, air is suppli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to mix the liquid malt A mixing step S400 may be performed.

맥주 제조기는 믹싱단계(S400)의 도중에도,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압축기(131)을 온, 오프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압축기(131)의 온,오프 제어는 후술하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가 완료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The beer maker can control the compressor 131 to be turned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during the mixing step S400. May be continued until the input step S500 (S600) (S700) is completed.

컨트롤러(109)는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키고, 바이패스 밸브(35)와 메인밸브(9)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배기밸브(156)을 오픈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air injection pump 82 and turn on the bypass valve 35, the main valve 9 and the gas extraction valve 73. The controller 109 can open control the exhaust valve 156. [

에어 주입펌프(82)가 온인 동안, 에어 주입펌프(82)에 의해 펌핑된 에어는 에어 주입유로(81)를 통해 메인유로(2)로 유입될 수 있고, 이후 메인유로(2)와 메인밸브(9)를 통해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된 에어는 액상 맥아를 부딪혀 맥아와 물이 보다 고르게 혼합되게 도울 수 있고, 액상 맥아에 부딪힌 에어는 액상 맥아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The air pumped by the air infusion pump 82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in flow path 2 through the air inflow path 81 while the air infusion pump 82 is on, Can be introduc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through the outlet 9. In this wa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can help the liquid malt to mix more uniformly with the malt and water, and the air impinged on the liquid malt can supply oxygen to the liquid malt.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가 주입되는 동안, 맥주 제조팩(12)는 맥주 제조팩(12) 내부로 주입된 에어에 의해 팽창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맥주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inflated by the air inject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inflated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er 112 A portion of the air in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may be pushed by the expanded beer manufacturing pack 12 to flow into the air supply passage 154 and be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valve 156 as shown in Fig.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가 에어 공급유로(154) 및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됨에 따라, 맥주 제조팩(12)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고, 메인유로(2)의 에어는 신속하게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되어 액상 맥아와 혼합될 수 있다.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easily expanded as part of the air between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is exhausted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154 and the exhaust valve 156, The air of the flow path 2 can be quickly introduc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and mixed with the liquid malt.

컨트롤러(109)는 에어 주입펌프(82)가 온되고 믹싱설정시간(예를 들면, 1시간) 동안 에어를 액상 맥아에 혼합할 수 있고, 에어 주입펌프(82)가 온되고 믹싱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에어 주입펌프(82)를 오프하고, 바이패스 밸브(35)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오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에어 주입펌프(82)의 오프시,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즉, 맥주 제조기는 믹싱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믹싱단계(S400)을 완료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9 can mix the air into the liquid malt for the mixing set time (for example, one hour) and the air infusion pump 82 is turned on and the mixing set time elapses The air injection pump 82 is turned off and the bypass valve 35 and the gas extraction valve 73 can be turned off. The controller 109 can close control of the exhaust valve 156 when the air injection pump 82 is turned off. That is, the beer maker can complete the mixing step (S400) when the mixing set time has elapsed.

맥주 제조기는 믹싱단계(S400) 이후에,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를 실시할 수 있다.The beer maker can perform the additive adding step (S500) (S600) (S700) after the mixing step (S400).

맥주 제조기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시, 제1캡슐(C1)의 첨가제와, 제2캡슐(C2)의 첨가제와, 제3캡슐(C3)의 첨가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The beer maker can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erform the addition of the first capsule C1, the additive of the second capsule C2, and the additive of the third capsule C3 at the additive injecting step S500 (S600) (S700) Can be input.

컨트롤러(109)는 제1캡슐(C1)의 첨가제 투입과정(S500)과, 제2캡슐(C2)의 첨가제 투입과정(S600)과, 제3캡슐(C3)의 첨가제 투입과정(S700)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sequentially performs the additive injecting step S500 of the first capsule C1, the additive injecting step S600 of the second capsule C2 and the additive injecting step S700 of the third capsule C3 . ≪ / RTI >

컨트롤러(109)는 제1캡슐(C1)의 첨가제 투입과정(S500)시, 급수펌프(52)와, 메인밸브(9)와 제1개폐밸브(313)과, 가스 배출밸브(73)을 제1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를 통과한 후 급수히터(53)를 통과하고, 제1캡슐(C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캡슐(C1)으로 유입된 물은 제1캡슐(C1)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혼합되고, 제1캡슐(C1)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를 통해 맥주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1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펌프(52)와, 제1개폐밸브(313)를 오프할 수 있고, 제1캡슐(C1)의 첨가제 투입과정(S500)을 완료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ontrols the supply pump 52, the main valve 9, 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313, and the gas discharge valve 73 in the additive injecting process (S500) of the first capsule C1 1 additive can be turned on for the set time. When the water pump 52 is turned o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51 passes through the water feed pump 52, passes through the water heater 53, and flows into the first capsule C1.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capsule C1 is mixed with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first capsule C1 and can flow into the main flow path 2 together with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first capsule C1, Can be introduc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through the main flow path 2.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ff the feed pump 52 and the first on-off valve 313 when the first additive setting time has elapsed and complete the additive injecting process S500 of the first capsule C1 .

컨트롤러(109)는 제2캡슐(C2)의 첨가제 투입과정(S600)시, 급수펌프(52)와 제2개폐밸브(323)을 제2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를 통과한 후 급수히터(53)를 통과하고, 제2캡슐(C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캡슐(C2)으로 유입된 물은 제2캡슐(C2)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혼합되고, 제2캡슐(C2)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를 통해 맥주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2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펌프(52)와, 제2개폐밸브(323)를 오프할 수 있고, 제2캡슐(C2)의 첨가제 투입과정(S600)을 완료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water feed pump 52 and the second on-off valve 323 during the second additive setting time in the additive injecting process (S600) of the second capsule C2. When the water pump 52 is turned o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51 passes through the water feed pump 52, passes through the water heater 53, and flows into the second capsule C2.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capsule C2 is mixed with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second capsule C2 and can flow into the main flow path 2 together with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second capsule C2, Can be introduc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through the main flow path 2.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ff the feed pump 52 and the second on-off valve 323 when the second additive setting time has elapsed and complete the additive injecting process S600 of the second capsule C2 .

컨트롤러(109)는 제3캡슐(C3)의 첨가제 투입과정(S700)시, 급수펌프(52)와 제3개폐밸브(333)을 제3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를 통과한 후 급수히터(53)를 통과하고, 제3캡슐(C3)로 유입될 수 있다. 제3캡슐(C3)으로 유입된 물은 제3캡슐(C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혼합되고, 제3캡슐(C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를 통해 맥주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3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펌프(52)와, 제3개폐밸브(333)를 오프할 수 있고, 제3캡슐(C3)의 첨가제 투입과정(S700)을 완료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water feed pump 52 and the third on-off valve 333 during the third additive setting time in the additive injecting process (S700) of the third capsule C3. When the water pump 52 is turned o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51 passes through the water feed pump 52 and then flows through the water heater 53 and into the third capsule C3.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third capsule C3 is mixed with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third capsule C3 and can flow into the main flow path 2 together with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third capsule C3, Can be introduc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through the main flow path 2.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ff the feed pump 52 and the third on-off valve 333 when the third additive setting time has elapsed and complete the additive injecting process S700 of the third capsule C3 .

맥주 제조기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가 모두 완료되면, 디스펜서(3) 내의 잔수를 제거하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을 실시할 수 있다. The beer maker may perform a dispenser residual water removing step (S800) for removing residual water in the dispenser (3) when the additive adding step (S500) (S600) (S700) is completed.

컨트롤러(109)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시,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키고, 제1개폐밸브(313), 제2개폐밸브(323), 제3개폐밸브(333)을 온시키고, 메인밸브(9)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turns on the air infusion pump 82 and turns on the first on-off valve 313, the second on-off valve 323 and the third on-off valve 333 in the dispenser residual water removing step S800 The main valve 9 and the gas discharge valve 73 can be turned on.

에어 주입펌프(82)의 온시, 공기는 에어 주입유로(81)와 메인유로(2)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1캡슐수용부(31), 제2캡슐수용부(32) 및 제3캡슐 수용부(33)으로 공급되어, 제1캡슐수용부(31), 제2캡슐수용부(32) 및 제3캡슐 수용부(33)에 남아있는 잔수를 메인유로(2)로 불어낼 수 있고, 공기는 제1캡슐수용부(31), 제2캡슐수용부(32) 및 제3캡슐 수용부(33)에 이동된 잔수와 함께 맥주 제조팩(12)로 이동될 수 있다. 컨틀롤러(109)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시, 배기밸브(156)을 오픈할 수 있다.  When the air infusion pump 82 is turned on, the air passes sequentially through the air inflow passage 81 and a part of the main passage 2, and then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1,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2, The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1,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2 and the thir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3 is supplied to the thre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3 to blow the remaining water into the main flow path 2 And the air can be transferred to the beer making pack 12 together with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transferred to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1,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2 and the thir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33. The controller 109 can open the exhaust valve 156 in the dispenser residual water removing step S800.

메인유로(2)에서 맥주 제조팩(12)으로 잔수 및 에어가 주입됨에 따라, 맥주 제조팩(12)은 더욱 팽창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맥주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As the residual water and air are inject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from the main flow path 2,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further expanded and a part of the air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er 112 Can be pushed by the expanded beer manufacturing pack 12 and can flow into the air supply passage 154 and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valve 156.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가 에어 공급유로(154) 및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됨에 따라, 맥주 제조팩(12)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고, 메인유로(2)의 에어 및 잔수는 신속하게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easily expanded as part of the air between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is exhausted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154 and the exhaust valve 156, Air and residual water of the flow path 2 can be quickly introduc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컨트롤러(109)는 잔수제거 설정시간동안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키고, 잔수제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에어 주입펌프(82)를 오프시킬 수 있고, 제1개폐밸브(313)와, 제2개폐밸브(323)와, 제3개폐밸브(333)와, 메인밸브(9)와, 가스 취출밸브(73)를 오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9)는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제어할 수 잇다. The controller 109 turns on the air infusion pump 82 during the set time for removing the remaining water and turns off the air infusion pump 82 when the set time for removing the remaining water has elapsed, The second on-off valve 323, the third on-off valve 333, the main valve 9 and the gas blow-off valve 73 can be turned off. Then, the controller 109 can close control of the exhaust valve 156.

맥주 제조기는 잔수제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을 완료할 수 있다. The beer maker can complete the dispenser residual quantity removal step (S800) when the set remaining time of the residual water has elapsed.

맥주 제조기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의 완료 이후에, 1차발효단계(S900)와 2차발효단계(S1000)를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The beer maker can sequentially perform the first fermentation step (S900) and the second fermentation step (S1000) after completion of the dispenser residual water removal step (S800).

컨트롤러(109)는 1차발효단계시(S900), 압축기(131)를 1차발효 타겟온도로 제어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1차발효설정온도범위를 유지하게 압축기(131)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발효단계(S900) 개시 후, 가스 취출밸브(73)를 주기적으로 온시켰다가 오프시키고, 가스 취출밸브(73)가 온인 동안에 압력 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압력 센서(72)에서 주기적으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제1발효설정압력를 초과하면, 1차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1차 발효단계(S900)를 완료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control the compressor 131 to the primary fermentation target temperature during the first fermentation stage (S900), and controls the compressor 131 to maintai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in the primary fermentation set temperature rang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unit 131. The controller 109 periodically turns on and then turns off the gas extraction valve 73 after the start of the primary fermentation step S900 and stores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72 while the gas extraction valve 73 is on (Not shown). The controller 109 may determine that the primary fermentation is completed when the change in the pressure periodically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72 exceeds the first fermentation set pressure and may complete the primary fermentation step S900.

컨트롤러(109)는 1차 발효단계(S900)의 완료 후, 2차 발효단계(S1000)를 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2차발효단계시(S1000), 압축기(131)를 2차발효 타겟온도로 제어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2차발효설정온도범위를 유지하게 압축기(131)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2차발효단계(S1000) 개시 후, 가스 취출밸브(73)를 주기적으로 온시켰다가 오프시키고, 가스 취출밸브(73)가 온인 동안에 압력 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압력 센서(72)에서 주기적으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제2발효설정압력를 초과하면, 2차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2차 발효단계(S1000)를 완료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start the secondary fermentation step (S1000)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imary fermentation step (S900). The controller 109 can control the compressor 131 to the secondary fermentation target temperature during the secondary fermentation stage (S1000), and controls the compressor 131 such that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maintains the secondary fermentation set temperature rang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unit 131. The controller 109 periodically turns on and then turns off the gas extraction valve 73 after the start of the secondary fermentation step S1000 and stores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72 while the gas extraction valve 73 is on (Not shown). The controller 109 may determine that the secondary fermentation is completed when the change in the pressure periodically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72 exceeds the second fermentation set pressure and complete the secondary fermentation step S1000.

맥주 제조기는 1차 발효단계(S900)과 2차 발효단계(S1000)이 모두 완료되면, 숙성단계(S1100)를 실시할 수 있다. When the primary fermentation step (S900) and the secondary fermentation step (S1000) are all completed, the beer maker can perform the fermentation step (S1100).

컨트롤러(109)는 숙성단계시, 숙성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고, 이러한 숙성시간의 동안 맥주의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과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 사이를 유지하게 압축기(131)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 이하이면, 압축기(131)를 오프시킬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 이상이면, 압축기(131)를 온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wait for the ripening time during the ripening stage and can control the compressor 131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eer during this ripening time is kept between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set ripening temperature 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set ripening temperature .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ff the compressor 131 if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set maturing temperature and if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6 is not lower than the upper limit of the set maturing temperature , The compressor 131 can be turned on.

맥주 제조기는 숙성시간이 경과되면, 맥주 제조가 모두 완료될 수 있다.When the aging time has elapsed in the beer maker, all of the beer manufacturing can be completed.

컨트롤러(109)는 디스플레이(109D) 등을 통해 맥주의 제조 완료를 표시할 수 잇고, 사용자는 맥주 취출밸브(62)를 조작하여 맥주를 취출할 수 있다.(S1200) The controller 109 can display the completion of the beer production through the display 109D or the like and the user can operate the beer extraction valve 62 to take out the beer.

사용자가 맥주 취출밸브(6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리미트 스위치(630)는 접점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가 완료된 상태이므로, 메인밸브(9)를 개방할 수 있다. When the user oper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er extraction valve 62 is opened, the limit switch 630 can be contacted and the controller 109 can open the main valve 9 since the beer manufacturing is completed.

메인밸브(9)의 개방시,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압력에 의해 맥주 제조팩(12)에서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맥주 취출유로(61)로 유동되어 맥주 취출밸브(62)로 취출될 수 있다. When the main valve 9 is opened, the beer in the beer making pack 12 flows from the beer making pack 12 to the main flow path 2 by the air pressure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flows from the main flow path 2 to the beer take-out flow path 61 and can be taken out to the beer take-out valve 62.

사용자가 맥주 취출밸브(62)를 통해 맥주를 일부 취출한 후 맥주 취출밸브(62)를 클로즈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리미트 스위치(630)는 접점 해제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메인밸브(9)를 ?쇄할 수 있다. The limit switch 630 can be released from the contact when the user operates the beer extraction valve 62 in a direction to close the beer extraction valve 62 after taking out a part of the beer through the beer extraction valve 62, 9) can be printed.

컨트롤러(109)는 맥주가 취출되는 중이거나 맥주가 취출된 이후에,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에 따라 에어펌프(152)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이면, 에어펌프(152)를 온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109 can turn the air pump 152 on and off according to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72 after the beer is being taken out or the beer is taken out.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n the air pump 152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72 is lower than the set pressure.

에어펌프(152)의 온시, 에어는 에어 공급유로(154)를 통해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로 공급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는 맥주 제조팩(12)의 맥주가 메인유로(2)로 상승될 수 있는 압력으로 맥주 제조팩(12)을 가압할 수 있다. 즉, 이후의 맥주 추가 취출시 맥주 제조팩(12)의 맥주가 원활하게 신속하게 취출될 수 있도록,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를 충분한 고압으로 형성해 두기 위함이다. The air between the beer production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supplied to the beer production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through the air supply channel 154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pressed with a pressure such that the beer of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raised to the main flow path 2. [ That is, a sufficient high pressure is formed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so that the beer of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taken out smoothly and promptly at the time of further take out of the beer.

컨트롤러(109)는 에어펌프(152)의 온에 의해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에어펌프(152)를 오프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9 can turn off the air pump 152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72 exceeds the set pressure by turning on the air pump 152. [

상기와 같은 에어펌프(152)에 의한 에어의 공급시, 컨트롤러(109)는 배기밸브(156)는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When air is supplied by the air pump 152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9 can keep the exhaust valve 156 closed.

사용자는 맥주 취출밸브(62)를 통해 맥주를 적어도 1회 취출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인 시간과, 에어펌프(152)가 구동인 시간과, 맥주 제조가 완료된 후 메인밸브(9)가 온인 시간 등의 정보를 이용해 맥주 취출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취출이 완료이면, 배기밸브(156)를 오픈 제어할 수 있다. The user can take out the beer at least once through the beer take-out valve 62. The controller 109 calculates the time at which the limit switch 630 is turned on, the time at which the air pump 152 is drive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eer extraction is completed by using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when the rear main valve 9 is turned on. The controller 109 can open control the exhaust valve 156 when beer extraction is completed.

컨트롤러(109)는 맥주 취출이 완료이고, 맥주 취출밸브(62)가 클로즈이면, 배기배브(156)를 완료 설정시간 동안 온시켜 오픈한다. If the beer extraction valve 62 is closed and the beer extraction valve 62 is closed, the controller 109 turns on the exhaust valve 156 for the complete set time.

배기밸브(156)의 오픈 제어시,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는 에어 공급유로(154)를 통해 배기밸브(156)로 배기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는 대기압과 같아 질 수 있다. The air between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exhausted to the exhaust valve 156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154 and the beer production pack 12 can be exhausted,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equal to atmospheric pressure.

컨트롤러(109)는 배기밸브(156)를 온시킨 후, 완료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배기밸브(156)를 오프시켜 클로즈힌다.The controller 109 turns on the exhaust valve 156 and closes the exhaust valve 156 when the completion set time has elapsed.

사용자는 맥주 제조 및 맥주 취출이 완료된 맥주 제조팩(12)을 발효조(112)에서 꺼내기 위해 발효조 덮개(114)를 개방할 수 있다. The user may open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to remove the beer production pack 12 from the fermentation tank 112 after the beer production and the beer extraction have been completed.

상기와 같은 발효조 덮개(114)의 개방시, 발효조(112)의 내부가 대기압 보다 설정압 이상의 고압이면, 맥주 제조팩(12)은 이러한 압력 차에 의해 발효조(112)의 상부로 튀어 오를 수 있다. When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is at a higher pressure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or higher when the fermentation tank lid 114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beer production pack 12 can bounc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due to such pressure difference .

반면에, 사용자가 발효조 덮개(114)를 개방하기 이전에,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가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되면, 발효조 덮개(114)를 열었을 때, 맥주 제조팩(12)은 상측으로 튀어 오르지 않고, 발효조(112)의 내부에 유지된다. On the other hand, if a portion of the air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valve 156 before the user opens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the fermentation tank cover 114 is opened The beer making pack 12 does not bounce upward but is retained inside the fermenter 112. [

즉, 사용자는 안전하고 청결하게 기사용한 맥주 제조팩(12)을 발효조(112)에서 인출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can take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which has been used safely and cleanly, from the fermentation tank 112.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구성도이다.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er ma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에어 공급유로(154')가 발효조 어셈블리(1)의 복수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에어 공급유로(154')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air supply passage 154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fermenter assembly 1, and other configurations and actions other than the air supply passage 154'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의 에어 공급유로(154')는 발효조(112)에 연결된 복수개의 발효조 연결유로(154A)(154B)와, 복수개의 발효조 연결유로(154A)(154B)가 연결된 공통유로(154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channel 154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fermentation tank connection channels 154A and 154B connected to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a common channel 154C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ermentation tank connection channels 154A and 154B can do.

복수개의 발효조 연결유로(154A)(154B)는 발효조(112)의 상부에 연결된 어퍼 연결유로(154A)와, 발효조(112)의 하부에 연결된 로어 연결유로(154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ermentation tank connecting channels 154A and 154B may include an upper connecting channel 154A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er 112 and a lower connecting channel 154B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ermenter 112. [

어퍼 연결유로(154A)는 로어 연결유로(154B)보다 개구부(111)에 더 가까울 수 있다. The upper connecting passage 154A may be closer to the opening 111 than the lower connecting passage 154B.

연결유로(157)는 공통유로(154C)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ssage 157 may be connected to the common passage 154C.

본 실시예는 에어 공급유로(154')를 통한 에어의 주입시, 에어펌프(152)에 의해 펌핑된 공기가 발효조(112)의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로 분산 공급될 수 있다. The air pumped by the air pump 152 can be dispersed and suppli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and the lower inn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when th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154 '.

어퍼 연결유로(154A)를 통해 발효조(112)의 상부로 공급된 공기는 맥주 제조 팩(112)가 발효조(112)의 내측 상부에 밀착되지 않게 유동될 수 있다. The air su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through the upper connection channel 154A can flow without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by the beer making pack 112. [

본 실시예는 어퍼 연결유로(154A)와 로어 연결유로(154A)를 통해 공기가 발효조(112)의 내부의 상,하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ir can be quickly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through the upper connection channel 154A and the lower connection channel 154A.

그리고, 발효조(112)의 내측 상부와 공기와 발효조(112)의 내측 하부의 공기는 어퍼 연결유로(154A)와 로어 연결유로(154A)를 통해 신속하게 배기밸브(156)로 유동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와 발효조(112) 사이의 고압은 신속하게 해제될 수 있다. The air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quickly flowed to the exhaust valve 156 through the upper connecting channel 154A and the lower connecting channel 154A, The high pressure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quickly releas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구성도이다.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er mak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에어 주입기(8')는 메인유로(2) 중 디스펜서(3)와 메인밸브(9)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에어 주입구(8')의 연결 위치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air injector 8 'can be connected between the dispenser 3 and the main valve 9 in the main flow path 2, and other configurations and actions other than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air inlet 8'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에어 주입유로(81')에는 에어를 펌핑하는 에어 주입펌프(82)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유로(81')에는 에어 주입유로(81')를 개폐하는 에어 주입 개폐밸브(83')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 개폐밸브(83')는 맥주 제조팩(12)로 에어 주입시에만 온되어 개방되고, 그 이외의 공정 동안에는 오프되어 클로즈될 수 있다. An air injection pump 82 for pumping air may be installed in the air injection path 81 '. The air injection path 81 'may be provided with an air injection opening / closing valve 83' for opening / closing the air injection path 81 '. The air injection opening / closing valve 83 'is opened and opened only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and can be turned off and closed during other processes.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구성도이다.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er mak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일단이 에어 공급유로(154)에 연결되고 타단이 메인유로(2)에 연결된 에어 주입유로(81")와, 에어 주입유로(81")에 설치된 에어 주입밸브(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n air injection path 81 ",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assage 154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2, and an air injection valve 83" provided in the air injection path 81 " .

에어 주입유로(81") 및 에어 주입밸브(83") 이외의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3)와, 발효조 어셈블리(1), 메인유로 연결부(115) 등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ther configurations and actions of the main flow channel 2, the dispenser 3, the fermenter assembly 1, the main flow channel connection 115, etc. other than the air injection channel 81 "and the air injection valve 83" Since they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에어 주입유로(81")의 일단(81a)은 연결유로(157)가 에어 공급유로(154)에 연결되는 연결부(154F)과 에어펌프(15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81a of the air inflow passage 8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154F and the air pump 152 where the connection passage 157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assage 154.

에어 주입유로(81")의 타단(81b)은 메인유로(2) 중 급수모듈(5)과 디스펜서(3)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The other end 81b of the air injection path 8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water supply module 5 and the dispenser 3 in the main flow path 2.

에어 주입유로(81")에는 급수모듈(5)의 물이 에어 주입밸브(83")로 유동되는 것을 막고, 에어 주입밸브(83")를 통과한 에어가 메인유로(2)로 주입되게 하는 체크밸브(83)가 설치될 수 있다. 체크밸브(83)는 에어 주입방향으로 에어 주입밸브(83")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module 5 is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air injection valve 83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jection valve 83" is injected into the main flow path 2 A check valve 83 may be provided. The check valve 83 may be installed after the air injection valve 83 "in the air injection direction.

본 실시예는 에어펌프(152)에서 펌핑되어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공급되는 에어를 단속하는 에어 공급 개폐밸브(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ir supply opening / closing valve 159 which is pumped by the air pump 152 to intermit the air supplied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er 112.

에어 공급 개폐밸브(159)는 에어 주입유로(81")의 일단(81a)이 에어 공급유로(154)에 연결되는 지점과, 연결유로(157)가 에어 공급유로(154)에 연결되는 연결부(154F)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air supply opening and closing valve 159 is connected to a point where one end 81a of the air inflow passage 81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assage 154 and a connection point where the connection passage 157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assage 154 154F.

본 실시예는, 맥주 제조팩(12)으로 급수시, 배기밸브(156)가 오픈 제어될 수 있고, 에어 공급 개폐밸브(159) 및 에어 주입밸브(83")가 클로즈일 수 있다. 이 경우, 맥주 제조팩(12)은 메인 유로(2)에서 급수된 물에 의해 팽창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 중 일부는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beer making pack 12, the exhaust valve 156 can be open-controlled and the air supply opening / closing valve 159 and the air injection valve 83 " can be closed. , The beer making pack 12 can be inflated by the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flow path 2 and a part of the air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valve 156 .

본 실시예는,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 주입시, 에어펌프(152)가 구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 및 에어 주입밸브(83")가 오픈 제어될 수 있고, 에어 공급 개폐밸브(159)가 클로즈일 수 있다. The air pump 152 can be driven, the exhaust valve 156 and the air injection valve 83 "can be open-controlled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The valve 159 may be closed.

에어펌프(152)에서 펌핑된 에어는 에어 공급개폐밸브(159)에 막혀,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주입되지 못하고, 에어 주입밸브(83")를 통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메인유로(2)로 유동된 에어는 메인밸브(9)를 통과해 맥주 제조팩(12)으로 주입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가 주입되면, 맥주 제조팩(12)은 메인 유로(2)에서 공급된 에어에 의해 팽창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 중 일부는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될 수 있다. The air pumped by the air pump 152 is blocked by the air supply opening and closing valve 159 and can not be injected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and is supplied to the main flow path 2 The air flowing into the main flow path 2 can be inject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through the main valve 9.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beer making pack 12, The manufacturing pack 12 may be inflated by the air supplied from the main flow path 2 and some of the air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may be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valve 156 .

본 실시예는, 맥주 취출 완료시, 배기밸브(156)가 오픈 제어될 수 있고, 에어 공급 개폐밸브(159) 및 에어 주입밸브(83")가 클로즈일 수 있다. 이 경우,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될 수 있고, 발효조(112) 내부는 대기압과 같아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beer is taken out, the exhaust valve 156 can be open-controlled and the air supply opening / closing valve 159 and the air inlet valve 83 " can be closed. In this case,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valve 156 and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equal to the atmospheric pressure.

본 실시예는 하나의 에어펌프(152)를 이용하여 맥주 취출을 위한 에어를 발효조(112)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 주입을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맥주 제조팩(12)와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ir for blowing out beer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112 by using one air pump 152, and air injection can be injected into the beer manufacturing pack 12. The air between the beer making pack 12 and the fermentation tank 112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valve 156.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메인유로(2), 맥주 취출유로(61), 가스 취출유로(71), 에어 주입유로(81), 에어 공급유로(154) 및 연결유로(157) 등의 유로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호스나 튜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호스나 복수개의 튜브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조절밸브 등의 타 구성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2개의 호스나 튜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flow path of the main channel 2, the beer take-out channel 61, the gas takeout channel 71, the air injection channel 81, the air supply channel 154 and the connection channel 157, A plurality of hoses or a plurality of tubes which are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ich can be formed of two hoses or tubes arranged with a different arrangement such as a control valv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include a tub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발효조 어셈블리 12: 맥주 제조 팩
111: 개구부 112: 발효조
114: 덮개 152: 에어펌프
154: 에어 공급유로 156: 배기밸브
1: Fermenter assembly 12: Beer manufacturing pack
111: opening 112: fermenter
114: cover 152: air pump
154: air supply passage 156: exhaust valve

Claims (11)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조 덮개를 갖는 발효조 어셈블리와;
에어펌프와;
상기 에어펌프와 발효조 어셈블리의 내부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유로와;
상기 에어 공급유로에 연결되어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를 포함하는 맥주 제조기.
A fermentation tank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nd a fermentation tank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 air pump;
An air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air pump and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tank assembly;
And an exhaust valv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assage for exhausting air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에는 맥주가 제조되는 맥주 제조팩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공급유로는 상기 발효조에 연결되어 상기 발효조와 맥주 제조팩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는 맥주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ermentation tank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a beer production pack in which beer is manufactured,
Wherein the air supply passage is connected to the fermenter and supplies air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er manufacturing p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밸브는 상기 에어 공급유로에 연결유로로 연결된 맥주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xhaust valve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assage by a connection chann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유로는 상기 발효조에 연결된 복수개의 발효조 연결유로와, 상기 복수개의 발효조 연결유로가 연결된 공통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공통유로에 연결된 맥주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ir supply channel includes a plurality of fermentation tank connection channels connected to the fermentation tank and a common channel to which the plurality of fermentation tank connection channels are connected,
And the connection channel is connected to the common chan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효조 연결유로는
상기 발효조의 상부에 연결된 어퍼 연결유로와;
상기 발효조의 하부에 연결된 로어 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연결유로는 로어 연결유로 보다 개구부에 더 가까운 맥주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fermentation tank connecting channels
An upper connecting channel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er;
And a lower connecting channel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ermenter,
Wherein the upper connecting channel is closer to the opening than the lower connecting chan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유로와 연결유로의 연결부와 상기 발효조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된 에어 릴리프 밸브를 더 포함하는 맥주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ir relief valve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 fermenter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 어셈블리에 형성된 메인유로 연결부와;
상기 메인유로 연결부에 연결된 메인유로와;;
상기 메인유로에 연결된 맥주 취출유로와;
상기 메인유로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모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밸브는 상기 급수모듈에 의한 급수시, 오픈 제어되는 맥주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in channel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fermenter assembly;
A main flow path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connecting portion;
A beer taking-out flow path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And a water supply module for supplying water to the main flow path,
Wherein the exhaust valve is open-controlled when water is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 어셈블리에 형성된 메인유로 연결부와;
상기 메인유로 연결부에 연결된 메인유로와;
상기 메인유로에 연결된 맥주 취출유로와;
상기 메인유로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밸브는 상기 에어주입기에 의한 에어 주입시, 오픈 제어되는 맥주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in channel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fermenter assembly;
A main 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ssage;
A beer taking-out flow path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Further comprising an air injector for injecting air into the main passage,
Wherein the exhaust valve is open-controlled when air is injected by the air inj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 어셈블리에 형성된 메인유로 연결부와;
상기 메인유로 연결부에 연결된 메인유로와;
상기 메인유로에 연결된 맥주 취출유로와;
상기 배기밸브는 상기 맥주 제조팩의 맥주 취출 완료시, 오픈 제어되는 맥주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in channel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fermenter assembly;
A main 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ssage;
A beer taking-out flow path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Wherein the exhaust valve is open-controlled when the beer extraction of the beer making pack is comple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 어셈블리에 형성된 메인유로 연결부와;
상기 메인유로 연결부에 연결된 메인유로와;
일단이 상기 에어 공급유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유로에 연결된 에어 주입유로와;
상기 에어 주입유로에 설치된 에어 주입밸브를 더 포함하는 맥주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in channel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fermenter assembly;
A main 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ssage;
An air injection pat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ath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ain path;
And an air injection valve provided in the air injection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 어셈블리에 연결된 가스 취출유로와,
상기 가스 취출유로에 설치된 압력 센서와;
상기 가스 취출유로에 가스의 취출방향으로 상기 압력 센서 이후에 설치된 가스 취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맥주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as outflow channel connected to the fermenter assembly,
A pressure sensor provided in the gas discharge passage;
Further comprising a gas extraction valve provided in the gas extraction channel after the pressure sensor in a gas extraction direction.
KR1020160162610A 2016-12-01 2016-12-01 Beer Maker KR1021176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610A KR102117626B1 (en) 2016-12-01 2016-12-01 Beer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610A KR102117626B1 (en) 2016-12-01 2016-12-01 Beer Mak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644A Division KR102239371B1 (en) 2020-05-22 2020-05-22 Beer M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667A true KR20180062667A (en) 2018-06-11
KR102117626B1 KR102117626B1 (en) 2020-06-01

Family

ID=6260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610A KR102117626B1 (en) 2016-12-01 2016-12-01 Beer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6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979B1 (en) * 2019-04-16 2020-08-05 임근만 Handmade beer making machine for ho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48828A1 (en) * 2020-08-03 2023-1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976A (en) * 1983-08-09 1985-02-27 Yayoi Eng:Kk Method for stirring unrefined sake utilizing fermentation gas
US6375048B1 (en) * 1997-09-04 2002-04-23 Heineken Technical Services B.V. Assembly for storing and dispensing beer and other carbonated beverages
KR200319526Y1 (en) 2003-04-02 2003-07-12 김은미 Household implement for producing beer
US20160002578A1 (en) * 2013-11-25 2016-01-07 Vijay Singh Disposable wine fermentaton vessel with cap management and integral press
KR20160018206A (en) 2014-08-08 2016-02-17 김선철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fermentation solu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976A (en) * 1983-08-09 1985-02-27 Yayoi Eng:Kk Method for stirring unrefined sake utilizing fermentation gas
US6375048B1 (en) * 1997-09-04 2002-04-23 Heineken Technical Services B.V. Assembly for storing and dispensing beer and other carbonated beverages
KR200319526Y1 (en) 2003-04-02 2003-07-12 김은미 Household implement for producing beer
US20160002578A1 (en) * 2013-11-25 2016-01-07 Vijay Singh Disposable wine fermentaton vessel with cap management and integral press
KR20160018206A (en) 2014-08-08 2016-02-17 김선철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fermentation solu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979B1 (en) * 2019-04-16 2020-08-05 임근만 Handmade beer making machine for ho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626B1 (en) 202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2117A (en) Beverage maker and beverage extra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587228B1 (en) Beverage maker
KR102548264B1 (en) Baverage mak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90009479A (en) Baverage maker
KR20180065551A (en) Beer mak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434270B1 (en) Baverage maker and beverage maker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2463321B1 (en) Baverage maker
KR20180062667A (en) Beer Maker
KR102396683B1 (en) Baverage maker
KR102481824B1 (en) Beverage maker
KR20190029300A (en) Baverage maker
KR102239371B1 (en) Beer Maker
KR102522000B1 (en) Baverage maker
KR20190025291A (en) Capsule and baverage maker having the same
KR102533780B1 (en) Baverage maker
KR102570610B1 (en) Baverage maker
KR102314185B1 (en) Baverage maker
KR102396653B1 (en) Baverage maker
KR20180134629A (en) Baverage maker
KR20190021619A (en) Beverage maker
KR102223911B1 (en) Baverage maker
KR102223913B1 (en) Baverage maker
KR102469223B1 (en) Baverage maker
KR20180138350A (en) Beverage maker
KR20220087148A (en) Beverag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