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988A - Carrior-nano particles complex,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electrochemisty cell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reof the same - Google Patents

Carrior-nano particles complex,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electrochemisty cell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re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988A
KR20190031988A KR1020170120377A KR20170120377A KR20190031988A KR 20190031988 A KR20190031988 A KR 20190031988A KR 1020170120377 A KR1020170120377 A KR 1020170120377A KR 20170120377 A KR20170120377 A KR 20170120377A KR 20190031988 A KR20190031988 A KR 20190031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olymer electrolyte
carbon film
polymer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8746B1 (en
Inventor
이원균
김상훈
황교현
조준연
김광현
최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20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746B1/en
Publication of KR2019003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9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7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18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02Solids
    • B01J35/023Catalysts characterised by dimensions, e.g. grain size
    • B01J35/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15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75Catalytic material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0Indirect fuel cells, e.g. fuel cells with redox couple being irrever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a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a fuel cell comprising the catalyst,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comprises: a carrier; a carbon film provided on a part or all of the surface of the carrier; and metal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carbon film. The dispersibility of nanoparticles is excellent.

Description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촉매, 촉매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 및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CARRIOR-NANO PARTICLES COMPLEX,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ELECTROCHEMISTY CELL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REOF THE SAM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nanoparticle complex, a catalyst containing the same, an electrochemical cell including the catalyst,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촉매, 촉매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 및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Carrier-nanoparticle complex, a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an electrochemical cell including a catalyst,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carrier-nanoparticle complex.

본 발명은 분산성이 우수한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촉매 및 촉매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 및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excellent in dispersibility, a catalyst containing the same, and an electrochemical cell comprising the catalyst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연료 전지는 기존의 에너지원을 대체할 무공해 청정 에너지원으로서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많은 관심 아래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연료전지의 기본 개념은 수소와 산소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자의 이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연료 전지는 수소 등을 포함하는 연료가스와 산소 등을 포함하는 산화제의 화학반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하여 직류 전류를 생산하는 능력을 갖는 전지로 정의하며, 종래의 전지와는 다르게 외부에서 연료와 공기를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연료전지는 작동 조건에 따라 인산형 연료전지, 알칼리형 연료전지, 수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와 고체전해질 연료전지 등으로 구분한다. 특히, 수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에너지 밀도가 크며 상온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용 전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수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PEMFC)는 음극에서 발생한 수소이온을 고분자 전해질 막을 통해 양극으로 전달해 산소와 전자의 결합을 통해 물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전기화학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이다.Fuel cells are a clean energy source that can replace existing energy sources and are under active research as a next-generation energy source. The basic concept of a fuel cell can be explained by the use of electrons generated by the reaction between hydrogen and oxygen. A fuel cell is defined as a cell having an ability to directly convert the chemical reaction energy of an oxidant containing oxygen and the like into a fuel gas containing hydrogen or the like and to produce a direct current by directly converting it into electrical energy. And air to produce electricity continuously. Fuel cells are classified into phosphoric acid type fuel cells, alkali type fuel cells, hydrogen 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molten carbonate fuel cells, direct methanol fuel cells and solid electrolyte fuel cells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In particular, th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has a large energy density and can be used at room temperature, and thus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portable power source. The hydrogen 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transfers hydrogen ions generated from a cathode to an anode through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o form water through binding of oxygen and electrons, and uses electrochemical energy generated at this time.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촉매에 포함되는 담체는 전반적으로 유기용매상에서는 쉽게 분산되는 특성을 보이나, 수계와 같은 용매에서는 낮은 젖음성을 가지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분자 코팅, 산 처리 또는 염기 처리와 같은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담체 자체의 특성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arriers contained in the catalyst used in the fuel cell are easily dispersed in the organic solvent as a whole but have low wettability in a solvent such as a water-based solvent. To solve this problem, the surface treatment such as polymer coating, acid treatment or base treatment . However, when the surface treatment as described above is carri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rier itself are changed.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6-187744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187744

본 명세서는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촉매, 촉매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 및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rier-nanoparticle complex, a catalyst containing the same, an electrochemical cell including the catalyst,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본 명세서는 담체; 상기 담체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구비된 카본막; 및 상기 카본막 상에 구비된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카본막은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arrier; A carbon film provided on a part or the whole of the surface of the carrier; And metal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carbon film, wherein the carbon film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담체-나노입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촉매를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also provides a catalyst comprising the carrier-nanoparticle complex.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촉매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ochemical cell comprising the catalyst.

또한, 본 명세서는 담체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카본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카본막이 형성된 담체 및 금속 전구체를 용매에 첨가하여 상기 카본막 상에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forming a carbon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on a part or an entire surface of a carrier; And forming a metal nanoparticle on the carbon film by adding a carrier and a metal precursor on which the carbon film is formed to a solven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는 나노입자의 분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carrier-nanoparticle complex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dispersibility of nanoparticle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는 고정되어 있는 담지 사이트에 나노입자가 담지되어 있어, 안정적인 촉매 제조가 가능하다.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anoparticles supported on the immobilized supporting sites, which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a stable catalys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고분자 코팅이나 산처리 또는 염기처리와 같은 표면 처리 없이도, 고분산성을 가지는 촉매를 제조할 수 있다.When a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 catalyst having high dispersibility can be produced without any surface treatment such as polymer coating, acid treatment or base treatment.

도 1은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연료전지용 막 전극 접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연료전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에 나노입자를 담지시키기 전의 담체를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측정한 이미지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1을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측정한 이미지이다.
도 6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2를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측정한 이미지이다.
도 7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3을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측정한 이미지이다.
도 8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4를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측정한 이미지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lectricity generation principle of a fuel cell.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a fuel cell.
3 is a schematic view of one embodiment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mage of a carrier before carrying nanoparticles on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prepared in Example 1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5 is an image of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1 prepared in Example 1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FIG. 6 is an image of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2 prepared in Example 2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7 is an image of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3 prepared in Example 3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8 is an image of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4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measured by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When a member is referred to herein as being "on "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a member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Whenever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담체-나노입자 복합체)(Carrier-nanoparticle complex)

본 명세서는 담체; 상기 담체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구비된 카본막; 및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arrier; A carbon film provided on a part or the whole of the surface of the carrier; And

상기 카본막 상에 구비된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카본막은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를 제공한다.And metal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carbon film, wherein the carbon film includes a plurality of projection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에 따르면, 상기 담체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카본막을 구비함으로써, 수계에서도 높은 분산성을 가지고, 담지 사이트(site)가 고정되어 안정적인 촉매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담체와 달리 돌기를 포함하는 카본막에 의하여 표면적이 넓으므로, 상기 금속 나노입자의 분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providing the carbon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a part or the whole of the surface of the carri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rrier- Stable and stable catalyst production is possible. In addition, unlike conventional carriers, since the surface area is enlarged by the carbon film including protrusions, the dispersibility of the metal nanoparticles can be increased.

(담체)(carrier)

상기 담체는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파이트(Graphite), 그라핀(Graphene), 활성탄, 다공성 탄소(Mesoporous Carbon), 탄소섬유(Carbon fiber) 및 탄소 나노 와이어(Carbon nano wi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rrier may be made of carbon black, carbon nanotube (CNT), graphite, graphene, activated carbon, mesoporous carbon, carbon fiber and carbon nano wire An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담체의 입자 크기는 50 nm 내지 10㎛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article size of the carrier may be between 50 nm and 10 mu m.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담체의 입자의 형태는 구형, 원통형, 판상형 및 막대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particles of the carrier may be one or more than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pherical, cylindrical, plate-like, and rod-shaped.

(카본막)(Carbon film)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담체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카본막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담체 상에 카본막이 구비되는 경우, 수계와 같은 용매에서 수계 분산성이 우수하여, 별도의 고분자 코팅, 산 처리 및 염기처리와 같은 표면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분자층과 달리, 고정되어 있는 담지 site 상에 촉매가 담지됨으로써, 안정적인 촉매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bon film may be provided on a part or the whole of the surface of the carrier. When a carbon film is provided on the carrier,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xcellent in a water-based dispersibility in a solvent such as an aqueous system and does not require any surface treatment such as polymer coating, acid treatment and base treatment. 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polymer layer, the catalyst is supported on a fixed supporting sit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a stable catalyst.

상기 카본막은 상기 담체의 표면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50% 이상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100%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담체의 수계 분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The carbon film may be provided in an amount of 50% or more and 100% or less, preferably 70% or more and 100% or less, based on the total area of the surface of the carrier. When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carrier is excellen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카본막은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본막이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카본막은 높은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촉매 입자 담 지시 분산 및 혼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film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Since the carbon film includes a plurality of projections, the carbon film can have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This makes it easy to disperse and mix the catalyst particles.

상기 '복수 개의 돌기'란, 카본막 상에 포함되는 돌기의 개수가 하나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eans that the number of protrusions included on the carbon film is one or more.

상기 카본막이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한다는 것은, 상기 카본막의 담체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The fact that the carbon film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means that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carbon film contacting with the carrie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상기 카본막의 돌기가 형성된 표면 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표면에 담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nanoparticles may be supported on the protruded surface of the carbon film or on the surface of the carbon film on which the protrusion is not formed.

상기 돌기는 상기 담체의 표면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50% 이상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100%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돌기에 의한 표면적의 증가 효과가 증대될 수 있고, 수계에서도 높은 젖음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율은 주사전자현미경 또는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상기 담체의 표면의 전체 면적을 측정하고, 그 면적 상의 돌기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계산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도출될 수 있다.The projections may be provided in an amount of 50% or more and 100% or less, preferably 70% or more and 100% or less, more preferably 75% or more and 100% or less based on the total area of the surface of the carrier. When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urface area by the projections can be increased, and it is possible to have a high wettability even in the water system. The ratio can be derived by a method of measuring the total area of the surface of the carrier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r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area occupied by the projections on the area.

상기 돌기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원통형, 구형, 막대형 및 판상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The shape of the protrusions is not limited, but may be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lindrical, spherical, rod-shaped, and plate-shaped.

상기 돌기의 높이는 1 nm 이상 100 n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nm 이상 30 nm 이하일 수 있다. 돌기의 높이가 상기 수치 범위와 같은 경우, 돌기에 의한 표면적의 증가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protrusions may be 1 nm or more and 100 nm or less, preferably 1 nm or more and 30 nm or less. When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is equal to the above numerical rang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urface area by the projection can be increased.

상기 돌기의 높이는 돌기의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 간의 거리로부터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돌기의 높이는 상기 관찰 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된 값들의 평균값일 수 있다.The height of the projection can be measured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highest point and the lowest point of the projection. The height of the protrusions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values by repeating the observation process twice or more.

상기 돌기의 직경은 1 nm 이상 1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 nm 이상 30 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돌기의 직경은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또는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을 이용하여 관찰된 돌기의 이미지에서, 상기 돌기의 높이의 중간 지점에서 돌기의 표면의 두 점을 잇는 선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돌기의 직경은 상기 관찰 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된 값들의 평균값일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may be 1 nm or more and 100 nm or less, preferably 1 nm or more and 30 nm or less.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s can be measured in the image of the protrusion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or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t two points of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s at the middle point of the height of the protrusions And the length of the line connecting the two.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values by repeating the observation process twice or more.

상기 돌기의 피치(pitch)는 30nm 내지 5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돌기의 피치는 카본막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 또는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돌기의 가장 높은 지점과 인접한 돌기의 가장 높은 지점 간의 거리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The pitch of the protrusions may be 30 nm to 50 nm or less. The pitch of the protrusions can be observed from a surface of the carbon film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r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can be derived from a distance between the highest point of the protrusions and the highest point of the adjacent protrusions.

상기 인접한 돌기란, 어느 하나의 돌기의 가장 높은 지점을 원점으로 하여 원(circle)을 그려나갔을 때, 가장 먼저 접하는 돌기를 의미한다. 상기 돌기의 피치는 상기 측정 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된 값들의 평균값일 수 있다.The adjacent protrusion means a protrusion that is first contacted when a circle is drawn with the highest point of one of the protrusions as the origin. The pitch of the protrusions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values by repeating the measurement process twice or more.

상기 돌기는 상기 카본막의 표면의 면적 대비 100개/㎛2 내지 1,000,000개/㎛2로 포함될 수 있다. 돌기의 개수의 수치 범위가 상기와 같은 경우, 돌기에 의한 표면적의 증가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돌기의 개수는 카본막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 또는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카본막의 일정 면적 내의 돌기의 가장 높은 지점의 개수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돌기의 개수는 상기 측정 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된 값들의 평균값일 수 있다.The protrusions may be included to 100 compared to the area of the surface of the carbon film / ㎛ 2 to 1,000,000 / ㎛ 2. When the numerical range of the number of projections is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urface area by the projections can be increased. The number of the projections can be measured by observing the surface of the carbon film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r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measuring the number of the highest points of the projections within a certain area of the carbon film.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values by repeating the measurement process twice or more.

상기 돌기는 상기 카본막의 표면에 불연속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돌기의 분포 형태가 불연속적인 경우, 용매에의 젖음성이 향상되고, 담지되는 촉매 입자의 분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projections may be discontinuously included on the surface of the carbon film. When the distribution of the projections is discontinuous, the wettability to the solvent is improved and the dispersibility of the supported catalyst particles is excellent.

상기 돌기는 상기 카본막의 표면에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종래의 고분자 코팅층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카본막은 별도의 돌기 형성 과정을 통해 고분자 상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를 탄화시키는 과정에 의해 카본막 상에 돌기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담지 사이트(site)인 돌기가 카본막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종래의 고분자층의 경우, 탄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담지 사이트(site)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동적이기 때문에, 담지 사이트(site)가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The protrusion may b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carbon film. Unlike the conventional polymer coating layer, the carbon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protrusions on the polymer through a separate process of protrusion formation, and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carbon film by carbonization of the protrusions.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projections, which are the sites to be supported, ar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carbon film.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olymer lay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upported site can be fluidly changed because the supported site is not fixed and is fluid because it is not carbonized.

상기 돌기가 상기 카본막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고정적인 담지 사이트(site)를 제공할 수 있고, 유동적인 담지 사이트(site)를 제공하는 경우에 비하여 안정적인 촉매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Since the protrusions ar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carbon fil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xed supporting site and to produce a stable catalyst compared with the case of providing a floating supporting site.

상기 돌기를 포함하는 카본막의 형상은, 카본막의 두께 방향으로의 단면에서, 물결무늬 형상일 수 있다.The shape of the carbon film including the projections may be a wavy pattern on the cross s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arbon film.

상기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카본막의 두께는 0.1 nm 이상 5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0.3nm 이상 3nm 이하일 수 있다.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카본막의 두께가 상기와 같은 경우, 돌기의 수가 충분히 확보되어, 촉매 입자 담지 사이트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e thickness of the carbon film including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may be 0.1 nm or more and 5 nm or less, preferably 0.3 nm or more and 3 nm or less. When the thickness of the carbon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is the same as above, the number of protrusions is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catalyst particle carrying site is advantageously increased.

(금속 나노입자)(Metal nanoparticles)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백금(Pt), 루테늄(Ru), 로듐(Rh), 몰리브덴(Mo), 오스뮴(Os), 이리듐(Ir), 레늄(Re), 팔라듐(Pd), 바나듐(V), 텅스텐(W), 코발트(Co), 철(Fe), 셀레늄(Se), 니켈(Ni), 비스무트(Bi), 주석(Sn), 크롬(Cr), 타이타늄(Ti), 금(Au), 세륨(Ce), 은(Ag)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백금(Pt); 및 철(Fe), 코발트(Co), 니켈(Ni), 팔라듐(Pd), 로듐(Rh) 또는 루테늄(Ru)과 백금(Pt)이 합금된 백금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al nanoparticle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tinum (Pt), ruthenium (Ru), rhodium (Rh), molybdenum (Mo), osmium (Os), iridium (Ir), rhenium (Re), palladium (Pd) Tungsten, cobalt, iron, selenium, nickel, bismuth, tin, chromium, titanium, gold, And may include one or two or more met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rium (Ce), silver (Ag), and copper (Cu). Specifically, the metal nanoparticles include platinum (Pt); And a platinum alloy in which iron (Fe), cobalt (Co), nickel (Ni), palladium (Pd), rhodium (Rh) or ruthenium (Ru) and platinum (Pt) are alloyed.

상기 금속 나노입자의 평균 입경은 2nm 이상 20nm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3nm 이상 10nm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담체 상에 금속 나노입자가 서로 응집되지 않고 분산성이 높아, 촉매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etal nanoparticles may be 2 nm or more and 20 nm or less, specifically, 3 nm or more and 10 nm or less. In this case, the metal nanoparticles do not aggregate on the carrier and have high dispersibility,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atalyst efficiency is high.

여기서, 상기 금속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은 금속 나노 입자의 표면의 두 점을 잇는 선들 중 가장 긴 선의 길이의 평균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측정된 이미지에서 금속 나노 입자의 표면의 두 점을 잇는 선들 중 가장 긴 선의 길이의 평균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etal nanoparticles means the average length of the longest line connecting the two points on the surface of the metal nanoparticles. For example, in the image measured by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It can mean the average length of the longest line of lines connecting two points.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구 형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 형상이란, 완전한 구형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대략적으로 구 형태의 모양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구 형상의 외표면이 평탄하지 않을 수 있으며, 하나의 금속 나노 입자에서 곡률반경이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metal nanoparticles may have a spherical shap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sphere " does not mean only a complete sphere but may include a sphere having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For example, the metal nanoparticles may not have a smooth outer surface of the spherical shap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may not be uniform in one metal nanoparticle.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1 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솔리드 입자, 2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솔리드 입자, 2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코어-쉘 입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중공 금속 입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보울형 입자, 2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요크쉘 입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다공성 입자 등 중 선택될 수 있다. The metal nanoparticles may be solid particles containing one metal, solid particles containing two or more metals, core-shell particles containing two or more metals, hollow metal particles containing one or more metals , Bowl-shaped particles containing one or more metals, yoke shell particles containing two or more metals, porous particles containing one or more metals, and the like.

상기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금속 나노 입자의 함량은 15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금속 나노 입자의 함량은 20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촉매의 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content of the metal nanoparticles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may be 15 wt% or more and 50 wt% or less. Specifically, the content of the metal nanoparticles may be 20 wt% or more and 40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When the content range is satisfi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ctivity of the catalyst is excellent.

(촉매) (catalyst)

본 명세서는 상기 담체-나노입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촉매를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atalyst comprising the carrier-nanoparticle complex.

상기 촉매는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및 백금-전이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담체에 담지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catalyst may further comprise a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tinum, ruthenium, osmium, a platinum-ruthenium alloy, a platinum-osmium alloy, a platinum-palladium alloy, and a platinum-transition metal alloy. The metal can be used not only on its own but also on a carrier.

(전지화학 전지)(Battery Chemistry Battery)

본 명세서는 상기 촉매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electrochemical cell comprising the catalyst.

상기 전기화학 전지는 화학반응을 이용한 전지를 의미하며 고분자 전해질막이 구비된다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상기 전기화학 전지는 연료전지, 금속 이차 전지 또는 흐름전지일 수 있다.The electrochemical cell means a cell using a chemical reaction. The type of the electrochemical cel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provided. For example, the electrochemical cell may be a fuel cell, a metal secondary battery, or a flow cell.

본 명세서는 전기화학 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것인 전기화학 전지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chemical cell module comprising an electrochemical cell as a unit cell.

상기 전기화학 전지 모듈은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 상태에 따른 흐름 전지 사이에 바이폴라(bipolar)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스택킹(stack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chemical cell module may be formed by stacking a bipolar plate between flow cel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상기 전지 모듈은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may be specifical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or a power storage device.

(막-전극 접합체)(Membrane-electrode assembly)

본 명세서는 애노드 촉매층, 캐소드 촉매층 및 상기 애노드 촉매층 및 캐소드 촉매층 사이에 구비된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며, 상기 애노드 촉매층 및 캐소드 촉매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담체-나노입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막 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Wherein the anode catalyst layer, the cathode catalyst layer, and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ovided between the anode catalyst layer and the cathode catalyst lay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anode catalyst layer and the cathode catalyst layer comprises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to provide.

상기 막 전극 접합체는 상기 애노드 촉매층의 고분자 전해질막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애노드 기체확산층 및 상기 캐소드 촉매층의 고분자 전해질막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캐소드 기체확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cathode gas diffusion layer provided on an opposite surface of a surface of the anode catalyst layer on which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provided and a cathode gas diffusion layer provided on a surface opposite to a surface of the cathode catalyst layer on which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provided .

본 명세서는 상기 막 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fuel cell including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도 1은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연료전지에 있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막 전극 접합체(MEA)인데, 이는 전해질막(M)과 이 전해질막(M)의 양면에 형성되는 애노드(A) 및 캐소드(C)로 구성된다.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애노드(A)에서는 수소 또는 메탄올, 부탄과 같은 탄화수소 등의 연료(F)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 수소 이온(H+) 및 전자(e-)가 발생하고, 수소 이온은 전해질막(M)을 통해 캐소드(C)으로 이동한다. 캐소드(C)에서는 전해질막(M)을 통해 전달된 수소 이온과, 산소와 같은 산화제(O) 및 전자가 반응하여 물(W)이 생성된다. 이러한 반응에 의해 외부회로에 전자의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FIG. 1 schematically shows an electricity generating principle of a fuel cell. In a fuel cell, the most basic unit for generating electricity is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which includes an electrolyte membrane M and an electrolyte membrane M, And an anode (A) and a cathode (C)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thode (C). 1 showing the principle of electricity generation of a fuel cell, in the anode A, an oxidation reaction of hydrogen (F) such as hydrogen or hydrocarbons such as methanol or butane occurs and hydrogen ions (H +) and electrons (e-) And the hydrogen ions move to the cathode C through the electrolyte membrane M. In the cathode (C), the hydrogen ions transferred through the electrolyte membrane (M) react with the oxidizing agent (O) such as oxygen, and water (W) is produced. This reaction causes electrons to migrate to the external circuit.

도 2는 연료전지용 막 전극 접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연료전지용 막 전극 접합체는 전해질막(10)과, 이 전해질막(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캐소드(50) 및 애노드(5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소드에는 전해질막(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캐소드 촉매층(20)과 캐소드 기체확산층(40)이 구비되고, 상기 애노드에는 전해질막(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애노드 촉매층(21) 및 애노드 기체확산층(41)이 구비될 수 있다.2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a fuel cell.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a fuel cell includes an electrolyte membrane 10, a cathode 50 positioned opposite to the electrolyte membrane 10, And an anode 51 may be provided. The cathode includes a cathode catalyst layer 20 and a cathode gas diffusion layer 40 sequentially from an electrolyte membrane 10. The anode includes an anode catalyst layer 21 and an anode gas diffusion layer 41 successively from the electrolyte membrane 10, .

본 명세서에 따른 촉매는 막 전극 접합체에서, 캐소드 촉매층 및 애노드 촉매층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The catalys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cathode catalyst layer and the anode catalyst layer in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도 3은 연료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연료전지는 스택(60), 산화제 공급부(70) 및 연료 공급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 fuel cell, which includes a stack 60, an oxidant supply unit 70, and a fuel supply unit 80. [

스택(60)은 상술한 막 전극 접합체를 하나 또는 둘 이상 포함하며, 막 전극 접합체가 둘 이상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다. 세퍼레이터는 막 전극 접합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막고 외부에서 공급된 연료 및 산화제를 막 전극 접합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stack 60 includes one or mor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when two or more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are included. The separator serves to prevent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from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and to transfer the fuel and oxidant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산화제 공급부(70)는 산화제를 스택(6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제로는 산소가 대표적으로 사용되며, 산소 또는 공기를 산화제 공급부(70)로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oxidant supply part 70 serves to supply the oxidant to the stack 60. As the oxidizing agent, oxygen is typically used, and oxygen or air can be injected into the oxidizing agent supplying portion 70 and used.

연료 공급부(80)는 연료를 스택(6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81) 및 연료 탱크(81)에 저장된 연료를 스택(60)으로 공급하는 펌프(82)로 구성될 수 있다. 연료로는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수소 또는 탄화수소 연료가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 연료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천연가스를 들 수 있다.The fuel supply unit 80 serves to supply the fuel to the stack 60 and includes a fuel tank 81 for storing the fuel and a pump 82 for supplying the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81 to the stack 60 Lt; / RTI > As the fuel, gas or liquid hydrogen or hydrocarbon fuel may be used. Examples of hydrocarbon fuels include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or natural gas.

상기 애노드 촉매층 및 캐소드 촉매층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명세서에 따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를 촉매로서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anode catalyst layer and the cathode catalyst layer may comprise a carrier-nanoparticle compl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catalyst.

상기 애노드 촉매층 및 캐소드 촉매층은 각각 이오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ode catalyst layer and the cathode catalyst layer may each include an ionomer.

상기 애노드 촉매층 이 상기 담체-나노입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애노드 촉매층의 이오노머(Ionomer)와 상기 담체-나노입자 복합체(Complex)의 비율(Ionomer/Complex, I/C)은 0.3 내지 0.7이다. When the anode catalyst layer comprises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the ratio (Ionomer / Complex, I / C) of the ionomer (Ionomer) of the anode catalyst layer to the carrier-nanoparticle complex is 0.3 to 0.7.

상기 캐소드 촉매층이 상기 담체-나노입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캐소드 촉매층의 이오노머(Ionomer)와 상기 담체-나노입자 복합체(Complex)의 비율(Ionomer/Complex, I/C)은 0.3 내지 0.7이다.When the cathode catalyst layer comprises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the ratio (Ionomer / Complex, I / C) of the ionomer (Ionomer) of the cathode catalyst layer and the carrier-nanoparticle complex is 0.3 to 0.7.

일반적으로 상용촉매에서 사용하는 I/C 비율은 0.8 ~ 1인 점(Book “PEM fuel cell Electrocatalyst and catalyst layer”, page 895)을 고려할 때, 본 명세서에 따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를 촉매로서 포함하는 경우, 촉매층에 필요한 이오노머의 함량을 기준으로 20중량% 이상 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0중량% 이상 줄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50중량% 이상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비싼 이오노머의 함량을 줄일 수 있고, 적은 이오노머의 함량으로도 일정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onsidering the point at which the I / C ratio used in commercial catalysts is generally between 0.8 and 1 (Book " PEM fuel cell Electrocatalyst and catalyst layer ", page 895) The amount of the ionomer required for the catalyst layer may be reduced by 20% by weight or more, specifically by 30% by weight or more, and more specifically by 50% by weight or mor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tent of expensive ionomers and maintain the hydrogen ion conductivity at a constant level with a small ionomer content.

상기 이오노머는 수소나 메탄올과 같은 연료와 촉매간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이온이 전해질막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The ionomer provides a path for ions generated by the reaction between the fuel and the catalyst, such as hydrogen or methanol, to move to the electrolyte membrane.

상기 이오노머는 측쇄에 술폰산기, 카르복실산기, 인산기, 포스폰산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양이온 교환기를 갖는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오노머는 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설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설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또는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이오노머는 나피온일 수 있다.The ionomer may be a polymer having a cation-exchange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ulfonic acid group, a carboxylic acid group, a phosphoric acid group, a phosphonic acid group and derivatives thereof in the side chain. Specifically, the iono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uorine-based polymers, benzimidazole-based polymers, polyimide-based polymers, polyetherimide-based polymers, polyphenylene sulfide-based polymers, polysulfone-based polymers, polyether- , A polyether-ether ketone-based polymer, or a polyphenylquinoxaline-based polymer. 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lymeric ionomer may be Nafion.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carrier-nanoparticle complex)

본 명세서는 담체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카본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카본막이 형성된 담체 및 금속 전구체를 용매에 첨가하여 상기 카본막 상에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specification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forming a carbon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on a part or an entire surface of a carrier; And forming a metal nanoparticle on the carbon film by adding a carrier and a metal precursor on which the carbon film is formed to a solvent.

(카본막을 형성하는 단계)(A step of forming a carbon film)

본 명세서의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담체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카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forming a carbon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on a part or the entire surface of a carrier.

상기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카본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담체 상에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제2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층 상에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층을 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forming of the carbon film including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may include forming a polymer layer including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on the carrier; Forming a protrusion on the polymer layer; And carbonizing the polymer lay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이란 전하를 가지는 고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전하를 갖는 합성 고분자 또는 이온 교환 수지 등이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lymer electrolyte may mean a polymer having a charge. Specifically, the polymer electrolyte may be a synthetic polymer having an electric charge, an ion exchange resin, or the lik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담체 상에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담체 상에 제1 고분자 전해질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 상에 제2 고분자 전해질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은 양이온계 또는 음이온계이고,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은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전하가 반대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the polymer layer on the carrier comprises: coating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on the carrier; And coating a second polymer electrolyte o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wherei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is cationic or anionic,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has a charge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담체 표면의 50% 이상 100% 이하는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로 코팅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 표면의 70% 이상 100% 이하는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로 코팅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0% to 100% of the surface of the support may be coated with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specifically 70% to 100% of the surface of the support may be coated with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Can be coat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 상에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은 각각 양이온계 또는 음이온계이고, 서로 전하가 반대이므로, 상호 간의 강한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을 코팅할 때,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로 이끌리게 되고, 제1 고분자 전해질 상에 제2 고분자 전해질이 코팅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may be coated o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are cationic or anionic, respectively, and charge is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a strong electrostatic attracting force acts betwee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ly, when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is coate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is attracted to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is coated o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은 양이온계 또는 음이온계이고,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은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전하가 반대인 것은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이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인 경우,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은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이며,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이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인 경우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이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is cationic or anionic, and the charge of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is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because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is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is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whe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is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may be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상기 고분자층은 고분자층을 탄화시켜 카본막을 형성하기 전의 고분자층을 의미하는 것이다.The polymer layer means a polymer layer before the carbon layer is formed by carbonizing the polymer laye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층은 1층 또는 2층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2층, 3층 또는 4층일 수 있다. 상기 2층 이상의 고분자층은 상기 담체 상에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적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layer may be one layer or two or more layers. For example, it may be a two-layer, three-layer or four-layer. The two or more polymer layers may be laminated by repeating the step of forming a polymer layer on the carrier two or more times.

상기 고분자층이 2층 이상인 경우, 원하는 층 수의 고분자층 형성이 가능하고, 이를 탄화시켜 제조한 카본막의 두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When the polymer layer has two or more layers, it is possible to form a polymer layer having a desired number of layers, and it is easy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carbon film produced by carbonizing the polymer laye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층은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위에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이 적층된 고분자층 또는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위에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이 적층된 고분자층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layer may be a polymer layer in which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is laminated on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or a polymer layer in which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is laminated on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의 pH는 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이고,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의 pH는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과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간의 전하의 부호 차이에 의한 정전기적 인력이 극대화되고, 추후 양 고분자 전해질의 반발력을 증가시키는 단계에서 상호 간의 반발력이 극대화되어, 돌기의 높이 및 돌기 간의 피치를 조절하기 용이하고, 돌기 수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 of the cationic polyelectrolyte is 1 to 6, preferably 1 to 4, and the pH of the anionic polyelectrolyte may be 1 to 12, preferably 1 to 10 . When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the electrostatic attractive force due to the difference in charge between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th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is maximized, and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th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is maximized at the step of increasing the repulsive for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And the pitch between the projections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projections can be sufficiently secured.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산성 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성 용액은 용액 상에서 수소 이온을 내놓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기산 또는 무기산이어도 무관하다. 예를 들면,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포름산 (form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뷰티르산(buty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락트산(lact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말산(mal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염산(hydrochloric acid), 질산(nitric acid), 인산(phosphoric acid), 황산(sulfuric acid) 및 붕산(bo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tionic polyelectrolyte may further include an acidic solution. The acidic solu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ubstance that releases hydrogen ions in a solution state. For example, it may be an organic acid or an inorganic acid. But are not limited to,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adipic acid, lactic acid, citric acid, fumaric acid, malic acid, glutaric acid, succinic acid, hydrochlo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sulfuric acid, sulfuric acid, boric acid, and the like.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염기성 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 용액은 용액 상에서 수산화 이온을 내놓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수산화나트륨(NaOH), 황산화나트륨(NaSH), 아지드화나트륨(NaN3), 수산화칼륨(KOH), 황산화칼륨(KSH) 및 티오황산칼륨(KS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ionic polyelectrolyte may further include a basic solution. The acid solu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ubstance that releases hydroxide ions in the solution. Examples of the acid solution include sodium hydroxide (NaOH), sodium sulfide (NaSH), sodium azide (NaN 3 ) (KOH), potassium sulfate (KSH), and potassium thiosulfate (KS 2 O 3 ).

본 명세서의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고분자층 상에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eparing a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protrusion on the polymer layer.

상기 고분자층 상에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분자층의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 간의 반발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 간의 반발력이 증가되면, 상호 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가까워져 있던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제2 고분자전해질이 서로 반발하여 멀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빈 공간을 둘러싸는 고분자 전해질이 돌기 형태를 이루게 된다.The forming of the protrusions on the polymer layer includes increasing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of the polymer layer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When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is increased,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which have been brought close to each other due to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between them, are repell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and the polymer electrolyte surrounding the void space forms a protrusion shap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의 반발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고분자층이 형성된 담체에 염기성 용액을 첨가하여 염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ing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may include adding a basic solution to the carrier on which the polymer layer is formed and performing a base treatment.

상기 염기 처리하는 단계에 의하여,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의 정전기적 인력이 약해지고, 각 고분자의 사슬 구조에 의한 고분자 간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의 반발력이 증가된다. 구체적으로, 각각 다른 pH 범위를 갖는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제2 고분자 전해질이 상기 염기 처리에 의해 동일한 범위의 pH 값을 갖게 되고, pH에 의한 고분자 전해질 간의 정전기적 인력이 약화된다. 반면에, 각 고분자는 고분자 사슬 자체에 의한 상호 반발력을 가지므로, 고분자 전해질 간의 정전기적 인력은 약화되는 대신 고분자 사슬 구조에 의한 상호 반발력에 의해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제2 고분자 전해질의 반발력이 증가되는 것이다.The electrostatic attraction betwee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is weakened by the base treating step and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are repelled by the repulsion between the polymers due to the chain structure of each polymer. The repulsive force is increased. Specifically,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having different pH ranges have pH values in the same range by the base treatment, and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between the polymer electrolytes due to the pH is weakened. On the other hand, since each polymer has mutual repulsive force due to the polymer chain itself,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between the polymer electrolytes is weakened, but the repulsive force of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is increased by the mutual repulsive force by the polymer chain structure will b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층이 형성된 담체에 염기성 용액을 첨가하여 염기 처리하는 단계는 담체를 포함하는 용액의 pH를 8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1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H 범위가 상기와 같을 경우,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의 반발력 증가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adding a basic solution to a carrier on which the polymer layer is formed and performing a base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at a pH of 8 to 12, preferably 9 to 12, more preferably 10 To < RTI ID = 0.0 > 11. ≪ / RTI > When the pH range is the same as abo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can be increas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의 반발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30분 내지 72 시간, 1시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의 반발력이 효과적으로 증가되어 돌기의 크기 및 갯수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creasing the repulsive force of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is performed for 30 minutes to 72 hours, 1 hour to 48 hours, preferably 3 hours to 24 hours . When th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is effectively increased, and the size and number of the projections can be sufficiently secured.

상기 염기성 용액은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수산화암모늄(NH4OH)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ic solution may include one or mor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hydroxide (NaOH), potassium hydroxide (KOH), ammonium hydroxide (NH 4 OH).

상기 고분자층을 탄화시키는 단계는 고분자층을 안정화시키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arbonizing the polymer layer may further include a pretreatment step of stabilizing the polymer layer.

상기 고분자층을 안정화시키는 전처리 단계는 수행 온도 200℃ 내지 400℃에서 수행 시간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The pretreatment step for stabilizing the polymer layer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200 ° C to 400 ° C for 30 minutes to 2 hours.

상기 고분자층을 탄화시키는 단계는 800℃ 내지 2000℃,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60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수행 온도가 상기와 같을 경우, 고분자층이 탄화되는 정도가 증가하여, 카본막의 결정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step of carbonizing the polymer layer may be performed at 800 ° C to 2000 ° C, preferably 800 ° C to 1600 ° C, more preferably 800 ° C to 1200 ° C. When the operating temperature is the same as above, the degree of carbonization of the polymer layer increases, and the carbon film has an excellent crystallinity.

상기 고분자 복합막을 탄화시키는 단계는 30분 내지 120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9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40분 내지 6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수행 시간이 상기와 같을 경우, 고분자층이 손상되지 않고 탄화될 수 있으며, 카본막의 결정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step of carbonizing the polymer composite membrane may be performed for 30 minutes to 120 minutes, preferably 30 minutes to 90 minutes, more preferably 40 minutes to 60 minutes. When the execution time is the same as above, the polymer layer can be carbonized without being damaged, and the carbon film has an excellent crystallinity.

상기 고분자층을 탄화시키는 단계는 아르곤 또는 질소와 같은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of carbonizing the polymer layer may be performed in an inert gas atmosphere such as argon or nitrogen.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양이온성 고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may mean a cationic polym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아민기 또는 피리딘기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ationic polymer may include an amine group or a polymer having a pyridine group.

상기 아민기를 갖는 고분자는 폴리알킬렌이민 및 폴리아릴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PAH,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lymer having an amine group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lyalkyleneimine and a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상기 아민기를 갖는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 이상 1,000,000 이하일 수 있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having an amine group may be 500 or more and 1,000,000 or less.

상기 폴리알킬렌이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lyalkyleneimin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화학식 2](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E1 및 E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10인 알킬렌기이며, R은 하기 화학식 3 내지 5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치환기이고, o 및 p는 각각 1 내지 1000의 정수이며,In the general formulas (1) and (2), E1 and E2 are each independently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10 carbon atoms, R is a substituent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3) to (5), o and p are each an integer of 1 to 1000,

[화학식 3](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화학식 4][Chemical Formula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화학식 5][Chemical Formula 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3 내지 5에서, A1 내지 A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10인 알킬렌기이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치환기이고,In formulas (3) to (5), each of A 1 to A 3 is independently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10 carbon atoms, R 1 to R 3 are each independently a substituent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6)

[화학식 6][Chemical Formula 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화학식 7](7)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화학식 8][Chemical Formula 8]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6 내지 8에서, A4 내지 A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10인 알킬렌기이며, R4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치환기이고,In formulas (6) to (8), A4 to A6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10 carbon atoms, R4 to R6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substituen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9)

[화학식 9][Chemical Formula 9]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9에서, A7은 탄소수 2 내지 10인 알킬렌기이다.In the above formula (9), A7 is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10 carbon atoms.

상기 폴리알킬렌이민은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lyalkyleneimin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0) and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1).

[화학식 10][Chemical formula 10]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화학식 11](11)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10 및 11에서, X1, X2, Y1, Y2 및 Y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10인 알킬렌기이며, R은 하기 화학식 3 내지 5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치환기이고, q는 1 내지 1000의 정수이며, n 및 m은 각각 1 내지 5의 정수이고, l은 1 내지 200의 정수이며,Wherein X1, X2, Y1, Y2 and Y3 are each independently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10 carbon atoms, R is a substituent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3) to (5) N and m are each an integer of 1 to 5, 1 is an integer of 1 to 200,

[화학식 3](3)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화학식 4][Chemical Formula 4]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화학식 5][Chemical Formula 5]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 3 내지 5에서, A1 내지 A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10인 알킬렌기이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6 내지 8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치환기이고,In formulas (3) to (5), each of A 1 to A 3 is independently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10 carbon atoms, R 1 to R 3 are each independently a substituent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6)

[화학식 6][Chemical Formula 6]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화학식 7](7)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6

[화학식 8][Chemical Formula 8]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7

상기 화학식 6 내지 8에서, A4 내지 A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10인 알킬렌기이며, R4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치환기이고,In formulas (6) to (8), A4 to A6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10 carbon atoms, R4 to R6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substituen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9)

[화학식 9][Chemical Formula 9]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8

상기 화학식 9에서, A7은 탄소수 2 내지 10인 알킬렌기이다.In the above formula (9), A7 is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10 carbon atoms.

본 명세서에서,

Figure pat00019
는 치환기의 치환위치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pat00019
Quot; means a substitution position of a substituent.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부틸렌기, t-부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헵틸렌기 등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lkylene group may be linear or branched, and the number of carbon atom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 to 10. Specific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thylene, propylene, isopropylene, butylene, t-butylene, pentylene, hexylene and heptylene.

상기 피리딘기를 갖는 고분자는 폴리피리딘 또는 폴리비닐피리딘일 수 있다.The polymer having a pyridine group may be a polypyridine or a polyvinylpyridine.

상기 피리딘기를 갖는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 내지 1,000,000,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5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00,0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양이온성 고분자의 응집력이 적절히 제어될 수 있고, 담체 에 대한 코팅성이 우수하여, 담체 표면에 코팅 시 균일한 두께의 고분자층 형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having a pyridine group may be 500 to 1,000,000, preferably 5,000 to 500,000, and more preferably 10,000 to 100,000.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the cohesive force of the cationic polymer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and the coating property to the carrier is excellent, so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 polymer layer having a uniform thickness when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음이온성 고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nionic polyelectrolyte may refer to an anionic polym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술폰기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nionic polymer may include a polymer having sulfone groups.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5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00,0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음이온성 고분자의 코팅성 및 응집력이 적절히 제어되어, 코팅성이 우수하여, 담체 표면에 코팅 시 균일한 두께의 고분자층 형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nionic polymer may preferably be 5,000 to 500,000, more preferably 10,000 to 100,000.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the coating property and the cohesive force of the anionic polymer are appropriately controlled and the coating property is excellent, so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 polymer layer having a uniform thickness when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술폰기를 갖는 고분자는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 또는 폴리비닐술폰산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having sulfone groups may be polystyrene sulfonate or polyvinyl sulfonic aci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담체 상에 제1 고분자 전해질을 코팅하는 단계는 양이온성 고분자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제1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ating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on the carrier comprises: preparing a first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including a cationic polymer and a first solvent; And stirring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담체 상에 제1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는 음이온성 고분자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제1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on the carrier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first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including an anionic polymer and a first solvent; And stirring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용매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물, 에탄올(Ethanol), 2-프로판올(2-propanol) 및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ol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ater, ethanol, 2-propanol, and iso-propanol, 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 용액의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담체의 함량은 10 중량% 이상 90중량% 이하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carrier may be 10 wt% or more and 90 wt% or less based on the solid content weight of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용액의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 용액에 포함되는 양이온성 고분자 또는 음이온성 고분자의 함량은 10중량% 이상 90중량% 이하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cationic polymer or the anionic polymer contained i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may be 10 wt% or more and 90 wt% or less based on the solids weight of the first solu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용매를 제외한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 용액의 고형분의 총 함량은 0.05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용매의 함량은 80중량% 이상 99.95중량% 이하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content of solids i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excluding the solvent may be 0.05 wt% or more and 20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solutio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the content of the first solvent may be 80 wt% or more and 99.95 wt% or les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교반하는 시간은 3시간 이상 72시간 이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for stirring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may be 3 hours or longer and 72 hours or shorte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 상에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을 코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 용액에 포함되는 고분자와 반대의 전하를 갖는 고분자 및 제2 용매를 포함하는 제2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ating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o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includes a polymer having a charge opposite to that of the polymer contained i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and a second solvent Preparing a second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And stirring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용매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물, 에탄올(Ethanol), 2-프로판올(2-propanol) 및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ater, ethanol, 2-propanol, and iso-propanol.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 용액의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 용액에 포함되는 양이온성 고분자 또는 음이온성 고분자의 함량은 10중량% 이상 90중량% 이하 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cationic polymer or the anionic polymer contained in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is 10 wt% or more and 90 wt% or less based on the solid content weight of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용매를 제외한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 용액의 고형분의 총 함량은 0.05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 용매의 함량은 80중량% 이상 99.95중량% 이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content of the solid content of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excluding the solvent may be 0.05 wt% or more and 20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2, the content of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solvent may be 80 wt% or more and 99.95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교반하는 시간은 30분 이상 72시간 이하일 수 있다.The stirring time of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may be 30 minutes or longer and 72 hours or shorter.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Step of forming metal nanoparticles)

상기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카본막이 형성된 담체 및 금속 전구체를 용매에 첨가하여 상기 카본막 상에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eparing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includes forming a metal nanoparticle on the carbon film by adding the carrier and the metal precursor on which the carbon film is formed to a solvent.

상기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카본막이 형성된 담체, 금속 전구체 및 제3 용매를 포함하는 제3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3 용액을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전구체를 환원시켜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rming of the metal nanoparticles may include: preparing a third solution including the carrier on which the carbon film is formed, the metal precursor, and a third solvent; Stirring the third solution; And reducing the metal precursor to form metal nanoparticles.

상기 금속 전구체는 금속 나노 입자로 환원되기 전의 물질이며, 상기 금속 전구체는 금속 나노 입자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The metal precursor is a material before being reduced to metal nanoparticles, and the metal precursor may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metal nanoparticles.

상기 금속 전구체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나, 금속 전구체는 금속이온 또는 상기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원자단이온을 포함하는 염으로서, 금속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kind of the metal precursor is not limited, but the metal precursor is a salt containing a metal ion or an atomic group ion including the metal ion, and can serve as a metal.

제조하고자 하는 금속 나노 입자의 금속 성분에 따라, 상기 금속 전구체는 서로 다른 금속이온 또는 원자단이온을 갖는 1 이상의 금속 전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metal component of the metal nanoparticles to be produced, the metal precursor may include one or more metal precursors having different metal ions or atomic ions.

상기 제3 용액의 용매는 물 또는 2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2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가진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olvent of the third solution may comprise water or a polyhydric alcohol having two or more hydroxyl groups. The polyhydric alcoho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although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two or more hydroxyl groups.

상기 담체의 카본막 상에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제3 용액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경우 촉매합성 후 계면활성제를 제거하는 단계가 필요없고 계면활성제에 의한 활성점 감소가 없는 장점이 있다. The third solution for forming the metal nanoparticles on the carbon film of the carrier does not contain a surfactant.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remove the surfactant after the synthesis of the catalyst, and there is no advantage in that the active sites are not reduced by the surfactant.

상기 제3 용액은 안정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상기 안정화제로는 인산이나트륨, 인산이칼륨,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이나트륨 및 트리소듐시트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third solution may further comprise a stabilizer. The stabil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stabilizer may be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sodium phosphate, potassium phosphate, sodium citrate, sodium disodium citrate and trisodium citrate.

상기 제3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카본막이 형성된 담체의 함량은 0.1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일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carrier on which the carbon film is formed may be 0.1 wt% or more and 3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hird solution.

상기 제3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금속 전구체의 함량은 0.1 중량% 이상 4 중량% 이하일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metal precursor may be 0.1 wt% or more and 4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hird solution.

상기 제3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안정화제의 함량은 0.1 중량% 이상 4 중량% 이하일 수 있다.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hird solution, the content of the stabilizer may be 0.1 wt% or more and 4 wt% or less.

상기 제3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3 용매의 함량은 93 중량% 이상 98 중량% 이하일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third solvent may be 93 wt% or more and 98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hird solution.

상기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담체의 카본막 상에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한 후,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forming metal nanoparticles on the carbon film of the support and then removing the solvent.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는 용매가 제거되고 담체의 카본막 상에 구비된 금속 나노 입자가 소결될 수 있다. In the step of removing the solvent, the solvent is removed and the metal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carbon film of the carrier can be sintered.

상기 용매제거단계는 수소 또는 아르곤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열처리 온도는 180 ℃ 이상 300 ℃ 이하일 수 있다. 180℃ 미만에서는 용매가 완전히 제거가 되지 않을 수 있다.The solvent removal step may be a heat treatment in a hydrogen or argon atmosphere. At this time,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may be 180 ° C or higher and 300 ° C or lower. If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180 ° C, the solvent may not be completely removed.

(후처리 단계)(Post-processing step)

본 명세서는 상기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후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which further comprises a post-treatment step after the step of forming the metal nanoparticles.

상기 후처리는 열 처리 또는 산 처리일 수 있다.The post-treatment may be a heat treatment or an acid treatment.

상기 열처리에 있어서, 열 처리 온도는 200 ℃ 이상 800℃ 이하일 수 있다.In the heat treatment,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may be 200 ° C or higher and 800 ° C or lower.

상기 열처리에 있어서, 열 처리 시간은 30분 이상 3시간 이하일 수 있다.In the heat treatment, the heat treatment time may be 30 minutes or more and 3 hours or less.

상기 열처리에 있어서, 열 처리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the heat treatment, the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in an inert gas atmosphere.

상기 불활성 가스는 아르곤 가스일 수 있다.The inert gas may be argon gas.

상기 열처리는 상기 열처리 온도와 시간 및 불활성 가스 분위기를 만족하는 것이면 그 방법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할 수 있다.If the heat treatment satisfies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time and the inert gas atmosphere, the method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is technical field.

상기 산 처리는 산 용액과 상기 금속 나노 입자가 형성된 담체-나노입자 복합체를 혼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산 용액은 염산, 질산 및 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The acid treatment may be an acid solution and a carrier-nanoparticle complex in which the metal nanoparticles are formed. The acid solution may be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chloric acid, nitric acid, and sulfuric aci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실시예 1>&Lt; Example 1 >

폴리아릴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6 g을 물 1.5L에 용해시킨 뒤, 카본 블랙(Vulcan XC-72R, Cabot사 제조) 1.8g과 KNO3 6 g을 넣고 24시간 교반하였다. 이후, 원심 분리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회수한 후 증류수로 세척 및 건조하여 PAH가 코팅된 담체를 얻었다.After dissolving 6 g of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in 1.5 L of water, 1.8 g of carbon black (Vulcan XC-72R, Cabot) and 6 g of KNO 3 were added and stirred for 24 hours. Thereafter, the solid content was recovered by centrifugal separation,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dried to obtain a carrier coated with PAH.

PAH가 코팅된 담체 416 mg, 폴리(4-스티렌술폰산)(Poly(4-styrenesulfonic acid), Mw. 75,000)) 용액(용액 내 고분자 함량 18중량%) 991mg을 물 50 ml에 분산시킨 다음 일정시간 교반 후, 1M NaOH를 사용하여 용액의 pH를 11로 조절하여 두 고분자의 반발력을 증가시켜주었다. 이후, 원심 분리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회수한 후, 아르곤(Ar) 및 1000℃의 분위기에서 2시간동안 탄화시켜 돌기를 포함하는 카본막이 형성된 담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담체를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해 관찰하고 도 4에 나타내었다.991 mg of a solution (416 mg of the PAH-coated carrier, poly (4-styrenesulfonic acid), Mw.75,000) solution (polymer content 18 wt% in solution) was dispersed in 50 ml of water, After stirring, the pH of the solution was adjusted to 11 using 1M NaOH to increase the repulsive force of the two polymers. Thereafter, the solid content was recovered using centrifugal separation, and thereafter carbonization was carried out in argon (Ar) and an atmosphere at 1000 캜 for 2 hours to prepare a carrier having a carbon film including protrusions. The prepared carrier was observed throug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nd is shown in Fig.

이후, 상기 돌기를 포함하는 카본막이 형성된 담체에 백금 입자를 담지시켜서,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1을 제조하였다. 상기 백금 입자의 함량은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30 중량% 이었다. 백금 입자가 담지된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1을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해 관찰하고 도 5에 나타내었다.Thereafter, platinum particles were supported on a carrier on which the carbon film including the projections was formed to prepare a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1. The content of the platinum particles was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1 carrying platinum particles was observed throug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nd is shown in Fig.

<실시예 2>&Lt; Example 2 >

백금 입자의 함량이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2를 제조하였다. 상기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2를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해 관찰하고 도 6에 나타내었다.The carrier-nanoparticle complex 2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platinum particles was 4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2 was observed throug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nd is shown in FIG.

<실시예 3>&Lt; Example 3 >

담지되는 나노입자로서 백금 입자 대신 백금-니켈 합금 입자를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담지 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3을 제조하였다. 상기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3을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해 관찰하고 도 7에 나타내었다.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3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0 wt% of platinum-nickel alloy particles was supported on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in place of platinum particles as the supported nanoparticles .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3 was observed throug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nd is shown in Fig.

<비교예 1>&Lt; Comparative Example 1 &

상기 실시예 1에서, pH를 11로 조절하여 두 고분자의 반발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돌기를 포함하지 않는 카본막이 형성된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4를 제조하였다. 백금 입자가 담지된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4를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해 관찰하고 도 8에 나타내었다.In Example 1, a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4 in which a carbon film without projections was formed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tep of adjusting the pH to 11 and increasing the repulsive force of the two polymers was not performed Respectively. The carrier-nanoparticle composite 4 carrying platinum particles was observed throug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nd is shown in FIG.

<비교 결과>&Lt; Comparative result >

도 5 내지 7과 도 8을 비교해 보면,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담체 상의 카본막 돌기에 많은 양의 촉매 입자가 담지 되었으나, 비교예 1의 경우, 담체가 돌기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해 적은 양의 촉매 입자가 담지된 것을 알 수 있었다.5 to 7 and FIG. 8,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3, a large amount of catalyst particles were carried on the projection of the carbon film on the carrier, but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since the carrier does not contain projections, It was found that a smaller amount of the catalyst particles were carried than the catalyst particles 1 to 3.

10: 전해질막
20, 21: 촉매층
40, 41: 기체확산층
50: 캐소드
51: 애노드
60: 스택
70: 산화제 공급부
80: 연료 공급부
81: 연료 탱크
82: 펌프
10: electrolyte membrane
20, 21: catalyst layer
40, 41: gas diffusion layer
50: cathode
51: anode
60: Stack
70: oxidant supplier
80: fuel supply unit
81: Fuel tank
82: Pump

Claims (12)

담체;
상기 담체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구비된 카본막; 및
상기 카본막 상에 구비된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카본막은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carrier;
A carbon film provided on a part or the whole of the surface of the carrier; And
And metal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carbon film,
Wherein the carbon film comprises a plurality of projec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본막은 상기 담체의 표면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50% 이상 100% 이하에 구비된 것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bon film is provided at 50% or more and 100% or less based on the total area of the surface of the carri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담체의 표면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50% 이상 100% 이하에 구비된 것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provided at 50% or more and 100% or less based on the total area of the surface of the carri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높이는 1 nm 이상 100 nm 이하인 것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ight of the protrusions is 1 nm or more and 100 nm or l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를 포함하는 카본막의 두께는 0.1 nm 이상 5 nm 이하인 것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carbon film including the projections is 0.1 nm or more and 5 nm or less.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촉매.A catalyst comprising a carrier-nanoparticle complex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청구항 6에 따른 촉매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An electrochemical cell comprising a catalyst according to claim 6. 담체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카본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카본막이 형성된 담체 및 금속 전구체를 용매에 첨가하여 상기 카본막 상에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Forming a carbon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on a part or the entire surface of the carrier; And
And forming metal nanoparticles on the carbon film by adding a carrier and a metal precursor on which the carbon film is formed to a solven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카본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담체 상에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제2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층 상에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층을 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forming of the carbon film including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may include forming a polymer layer including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on the carrier;
Forming a protrusion on the polymer layer; And
And carbonizing the polymer layer. &Lt; Desc / Clms Page number 19 &g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담체 상에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담체 상에 제1 고분자 전해질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 상에 제2 고분자 전해질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은 양이온계 또는 음이온계이고,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은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전하가 반대인 것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forming the polymer layer on the support may include: coating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on the support; And coating a second polymer electrolyte o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wherei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is a cationic or anionic system,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has a charge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 RTI &gt; nanoparticle complexe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층 상에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분자층의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 간의 반발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forming protrusions on the polymer layer comprises increasing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of the polymer layer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제2 고분자 전해질의 반발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고분자층이 형성된 담체에 염기성 용액을 첨가하여 염기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담체-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increasing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polymer electrolyte and the second polymer electrolyt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dding a basic solution to the carrier on which the polymer layer is formed and then performing a base treatment.
KR1020170120377A 2017-09-19 2017-09-19 Carrior-nano particles complex,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electrochemisty cell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reof the same KR1022287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77A KR102228746B1 (en) 2017-09-19 2017-09-19 Carrior-nano particles complex,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electrochemisty cell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re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77A KR102228746B1 (en) 2017-09-19 2017-09-19 Carrior-nano particles complex,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electrochemisty cell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re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988A true KR20190031988A (en) 2019-03-27
KR102228746B1 KR102228746B1 (en) 2021-03-16

Family

ID=6590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377A KR102228746B1 (en) 2017-09-19 2017-09-19 Carrior-nano particles complex,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electrochemisty cell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re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74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744A (en) 2005-01-07 2006-07-20 Nissan Motor Co Ltd Carbon carrier and its production method
KR20070055119A (en) * 2005-11-25 2007-05-30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Catalyst for fuel cell electrod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2007203177A (en) * 2006-02-01 2007-08-16 Hitachi Ltd Catalytic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US20100183945A1 (en) * 2006-03-06 2010-07-22 Sreekumar Kurungot Electrode catalyst for fuel cell,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solid polymer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JP2013051106A (en) * 2011-08-31 2013-03-14 Hitachi Lt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KR20140106112A (en) * 2013-02-26 2014-09-03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for preparing hybrid carbon materi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744A (en) 2005-01-07 2006-07-20 Nissan Motor Co Ltd Carbon carrier and its production method
KR20070055119A (en) * 2005-11-25 2007-05-30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Catalyst for fuel cell electrod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2007203177A (en) * 2006-02-01 2007-08-16 Hitachi Ltd Catalytic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US20100183945A1 (en) * 2006-03-06 2010-07-22 Sreekumar Kurungot Electrode catalyst for fuel cell,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solid polymer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JP2013051106A (en) * 2011-08-31 2013-03-14 Hitachi Lt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KR20140106112A (en) * 2013-02-26 2014-09-03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for preparing hybrid carbon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746B1 (en) 202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3265B2 (en) Support-nanoparticle composite, catalyst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001122B1 (en) Platinum and platinum based alloy nanotubes as electrocatalysts for fuel cells
KR100684836B1 (en) Catalyst complex for fuel cell,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membrane-electrode assembly comporising the same,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096130B1 (en) Carrier-nano particles complex,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8602062B (en) Catalys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1065455B (en) Support-nanoparticle composites, catalysts, electrochemical cells, and methods of making support-nanoparticle composites
KR102045106B1 (en) Graphene-carbone nano tube complex,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the catalyst, fuel cell including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raphene-carbone nano tube complex
KR20180088050A (en) Catalyst composition of fuel cell, catalyst layer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KR102228746B1 (en) Carrior-nano particles complex,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electrochemisty cell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reof the same
US20230187657A1 (en) Carrier-nanoparticle complex, catalyst comprising same, electrochemical battery comprising catalyst, and method for producing carrier-nanoparticle complex
KR10203921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comprising thereof
KR20060108819A (en)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035620B1 (en) Electrode for fuel cell,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electrode
KR20150047343A (en) Electrode catalyst,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KR102110659B1 (en) Carrier-nano particles complex,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235219B1 (en) Carrier-nano particles complex,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230290962A1 (en) Method for producing carrier for electrode catalyst, precursor of carrier for electrode catalyst, and carrier for electrode catalyst, comprising same
KR20190036195A (en) Fabricating method of the catalyst for fuel cell
Thanarajan et al. Recent Advancements in Direct Methanol Fuel Cell Catalyst using Noble and Non Noble Metals–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