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381A -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381A
KR20190030381A KR1020170117764A KR20170117764A KR20190030381A KR 20190030381 A KR20190030381 A KR 20190030381A KR 1020170117764 A KR1020170117764 A KR 1020170117764A KR 20170117764 A KR20170117764 A KR 20170117764A KR 20190030381 A KR20190030381 A KR 20190030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ressure information
user
fal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2700B1 (ko
Inventor
옥현근
윤삼훈
조혜민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117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7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ometr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시설 등지에서 침대로부터 환자 및 노약자의 실제 낙상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낙상 발생시의 대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falldown detection method of patients and senior citizen}
본 발명은 낙상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시설 등지에서 침대로부터 환자 및 노약자의 실제 낙상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낙상 발생시의 대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침대는 그 높이가 상당한바, 운동 능력이 저하된 환자 및 노약자가 침대로부터 낙상하는 경우, 치명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보호시설 등지에서는 관리인이 수시로 병실을 방문하여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사고에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보호시설이더라도 관리인의 수는 제한적인바, 환자 및 노약자의 방문 사이에 상당한 텀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여전히 낙상 사고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7416호(공개일 : 2017. 04. 04.)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낙상 감지 장치' 등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 낙상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낙상 감지 방법은 오류가 빈번하여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 낙상 감지 장치의 낙상 감지 방법은 사용자의 자의적 침대 이탈 또는 실내 공간에 비치된 소품 등의 낙하를 낙상으로 감지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실제 사용자의 낙상을 정확히 감지하지 못하였으므로 그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 낙상 감지 방법에 비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낙상 감지 방법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낙상 감지 방법을 따를 때 사용자의 자의적 침대 이탈 또는 실내 공간에 비치된 소품 등의 낙하를 낙상으로 감지하여 낙상 감지의 신뢰도가 저하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은, 사용자 침대에 미치는 제1압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제2압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제1압력 정보가 미감지되고, 상기 제2압력 정보가 감지되면, 실시간 감지된 상기 제2압력 정보를 사전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일반 보행시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제3압력 정보와 대비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2,3압력 정보는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을 포함한다.
상기 제1압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 침대에 설치되는 제1압력 감지 모듈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제2압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2압력 감지 모듈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제3압력 정보는 저장 모듈에 사전 저장된다.
상기 제2압력 정보와 상기 제3압력 정보의 대비는, 상기 제1압력 감지 모듈, 제2압력 감지 모듈 및 저장 모듈과 연결되는 처리 모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2압력 정보와 상기 제3압력 정보를 대비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제2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이 상기 제3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에 비해 허용 오차를 초과하여 더 크고, 실시간 감지되는 상기 제2압력 정보가 이후로 일정한 시간 동안 변동이 없으면 낙상으로 판단한다.
상기 허용 오차는 상기 제3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의 10-20%일 수 있다.
상기 일정한 시간은 10-120초일 수 있다.
상기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은, 상기 제2단계에서 낙상으로 판단되면 사전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 관리인 단말기 및 의료진 단말기 중의 적어도 하나로 낙상 발생을 통보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의 상기 통보는 상기 제2압력 정보와 상기 제3압력 정보를 대비하는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 모듈로부터의 신호의 따라 작동하는 통신 모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은, 제1압력 정보가 미감지되고, 제2압력 정보가 감지되면, 실시간으로 감지된 제2압력 정보를 사전 저장된 사용자 일반 보행시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제3압력 정보와 대비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하되, 제2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이 제3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에 비해 허용 오차를 초과하여 더 크고, 실시간 감지되는 제2압력 정보가 일정한 시간 내에 변동이 없으면 낙상으로 판단하는바, 사용자의 실제 침대로부터 낙상만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으므로 낙상 감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의 개략적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을 통한 낙상 감지의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은, 제1단계(S1), 제2단계(S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S1)는 사용자 침대에 미치는 제1압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제2압력 정보를 실시간 감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단계(S1)에서 상기 제1압력 정보의 감지는 통상의 어떠한 수단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상기 사용자 침대에 설치되는 제1압력 감지 모듈(1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단계(S1)에서 상기 제2압력 정보의 감지는 통상의 어떠한 수단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2압력 감지 모듈(2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압력 정보는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압력 정보에 의해 침대상의 상기 사용자 존재 여부의 파악이 가능하고, 상기 제2압력 정보에 의해 바닥상의 상기 사용자 존재 여부 파악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압력 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침대에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제2입력 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침대를 이탈하여 바닥에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2단계(S2)는, 상기 제1단계(S1)에서 상기 제1압력 정보가 미감지되고, 상기 제2압력 정보가 감지되면, 실시간 감지된 상기 제2압력 정보를 사전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일반 보행시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제3압력 정보와 대비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단계(S2)에서 상기 제3압력 정보의 저장은 통상의 어떠한 수단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처리 모듈(30)에 연결되는 저장 모듈(4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압력 정보는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2압력 정보와 상기 제3압력 정보 대비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의 대비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S2)에서 상기 제2압력 정보와 상기 제3압력 정보의 대비는 통상의 어떠한 수단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상기 제1압력 감지 모듈(10), 제2압력 감지 모듈(20) 및 상기 저장 모듈(40)과 연결되는 처리 모듈(30)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단계(S2)는, 상기 제2압력 정보와 상기 제3압력 정보를 대비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제2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이 상기 제3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에 비해 허용 오차를 초과하여 더 크고, 실시간 감지되는 상기 제2압력 정보가 일정한 시간 동안 변동이 없으면 낙상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침대로부터 실제 낙상하고, 특히 상기 사용자가 낙상 충격으로 인하여 의식을 잃는 경우,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은 상기 사용자 일반 보행시에 비해 현격히 커지게 되고, 이후로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에 변동이 없게 되므로 상기 제2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이 상기 제3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에 비해 허용 오차를 초과하여 더 크고, 상기 제2압력 정보가 일정한 시간 내에 변동이 없으면 사용자 낙상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허용 오차는 상기 제3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의 1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용 오차가 상기 제3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의 10%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체중 증가 상황에서의 보행 등을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허용 오차가 상기 제3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의 2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이외 인물의 출입 등을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는바, 상기 허용 오차는 상기 제3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의 1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정한 시간은 10-120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정한 시간이 10초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시간 동작 멈춤을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일정한 시간이 12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낙상 이후의 응급조치가 지연될 수 있는바, 상기 일정한 시간은 10-120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은, 상기 제2단계(S2)에서 낙상으로 판단되면 사전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60-1), 관리인 단말기(60-2) 및 의료진 단말기(60-3) 중의 적어도 하나로 낙상 발생을 통보하는 제3단계(S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단계(S3)에 의해 상기 사용자 낙상 이후 응급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단계(S3)의 상기 통보는 상기 제2압력 정보와 상기 제3압력 정보를 대비하는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처리 모듈(30)로부터의 신호의 따라 작동하는 통신 모듈(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단말기(60-1, 60-2. 60-3)는 휴대폰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을 통한 낙상 감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용자, 예컨대 환자 및 노약자가 침대로부터 낙상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은 상기 사용자 일반 보행시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에 비해 현격히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실시간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을 감지하여 사전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일반 보행시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과 대비함으로써 낙상 여부의 판단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사용자의 실제 낙상이 아닌 경우, 예컨대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비치된 사물이 쓰러지거나 하는 경우 또는 상기 사용자에 비해 체중이 높고 체구가 큰 타인이 출입하는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현재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은 사전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일반 보행시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에 비해 현격히 커질 수 있으므로 이를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어 낙상 여부 판단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단계(S1)에서 상기 제2압력 감지 모듈(20)을 통해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상기 제2압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제1압력 감지 모듈(10)을 통해 상기 사용자 침대에 미치는 상기 제1압력 정보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바, 상기 제1단계(S1)에서 상기 제1압력 정보가 미감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압력 정보가 감지되었을 때 비로소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상기 제2압력 정보와 상기 저장 모듈(40)에 사전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일반 보행시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상기 제3압력 정보를 대비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하므로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비치된 사물이 쓰러지거나 하는 경우 또는 상기 사용자에 비해 체중이 높고 체구가 큰 타인이 출입하는 경우 등에는 상기 사용자가 여전히 침대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 상기 제1압력 정보가 감지됨에 따라 낙상 판단에서 제외될 수 있어 상기 사용자의 실제 낙상만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실제 낙상이기는 하나 응급조치가 불필요한 경우, 예컨대 헛디딤과 같이 상기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낙상하였으나 의식이 뚜렷하고 즉각적으로 거동 가능한 경우에도 상기 제1단계(S1)에서 상기 제1압력 정보가 미감지되고, 상기 제2압력 정보가 감지되므로 이를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어 낙상 여부 판단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단계(S1)에서 상기 제1압력 정보가 미감지되고, 상기 제2압력 정보가 감지될 뿐만 아니라 특히 실시간 감지되는 상기 제2압력 정보가 이후로 일정한 시간 동안 변동이 없을 때 비로소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상기 제2압력 정보와 사전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일반 보행시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상기 제3압력 정보와 대비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하므로 예컨대 헛디딤과 같이 상기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낙상하였으나 의식이 뚜렷하고 즉각적으로 거동 가능한 경우 등에는 실시간 감지되는 상기 제2압력 감지 정보가 변동함에 따라 낙상 판단에서 제외될 수 있어 상기 사용자의 실제 낙상, 특히 의식을 잃는 낙상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실제 낙상이 아닌 경우, 예컨대 상기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체중 및 체구 증가 상황에서의 보행인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현재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은 사전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일반 보행시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에 비해 현격히 커질 수 있으므로 이를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어 낙상 여부 판단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2압력 정보와 사전 저장된 상기 제3압력 정보를 대비할 때 상기 허용 오차를 두어 상기 제2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이 상기 제3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에 비해 상기 허용 오차를 초과는 경우만 낙상으로 판단하는바, 상기 사용자가 자연스러운 체중 및 체구 증가 상황에서 보행하는 경우 등에는 상기 제2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이 상기 제3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의 상기 허용 오차 미만임에 따라 낙상 판단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의 실제 낙상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2단계(S2)에서 낙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 모듈(50)을 통해 사전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60-1), 관리인 단말기(60-2) 및 의료진 단말기(60-3) 중의 적어도 하나로 낙상 발생을 통보하는 상기 제3단계(S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사용자 낙상 이후 낙상 통보에 의해 응급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낙상으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은, 상기 제1압력 정보가 미감지되고, 상기 제2압력 정보가 미감지상태로부터 감지 상태로 전환되면, 실시간으로 감지된 상기 제2압력 정보를 사전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일반 보행시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상기 제3압력 정보와 대비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제2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이 상기 제3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에 비해 상기 허용 오차를 초과하여 더 크고, 실시간 감지되는 상기 제2압력 정보가 일정한 시간 내에 변동이 없으면 낙상으로 판단하는바, 상기 사용자의 실제 침대로부터 낙상만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으므로 낙상 감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제1압력 감지 모듈 20 : 제2압력 감지 모듈
30 : 처리 모듈 40 : 저장 모듈
50 : 통신 모듈 60-1 : 보호자 단말기
60-2 : 관리인 단말기 60-3 : 의료진 단말기
S1 : 제1단계 S2 : 제2단계
S3 : 제3단계

Claims (9)

  1. 사용자 침대에 미치는 제1압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제2압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제1단계(S1);
    상기 제1단계(S1)에서 상기 제1압력 정보가 미감지되고, 상기 제2압력 정보가 감지되면, 실시간 감지된 상기 제2압력 정보를 사전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일반 보행시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미치는 제3압력 정보와 대비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S2);를 포함하는 것인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압력 정보는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을 포함하는 것인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 침대에 설치되는 제1압력 감지 모듈(10)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제2압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 거주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2압력 감지 모듈(20)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제3압력 정보는 저장 모듈(40)에 사전 저장되는 것인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 정보와 상기 제3압력 정보의 대비는, 상기 제1압력 감지 모듈(10), 제2압력 감지 모듈(20) 및 저장 모듈(40)과 연결되는 처리 모듈(3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2)는, 상기 제2압력 정보와 상기 제3압력 정보를 대비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제2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이 상기 제3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에 비해 허용 오차를 초과하여 더 크고, 실시간 감지되는 상기 제2압력 정보가 이후로 일정한 시간 동안 변동이 없으면 낙상으로 판단하는 것인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오차는 상기 제3압력 정보에 의한 압력 세기 및 압력 전달 면적의 10-20%인 것인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시간은 10-120초인 것인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2)에서 낙상으로 판단되면 사전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60-1), 관리인 단말기(60-2) 및 의료진 단말기(60-3) 중의 적어도 하나로 낙상 발생을 통보하는 제3단계(S3)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S3)의 상기 통보는 상기 제2압력 정보와 상기 제3압력 정보를 대비하는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 모듈(30)로부터의 신호의 따라 작동하는 통신 모듈(5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KR1020170117764A 2017-09-14 2017-09-14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KR102232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764A KR102232700B1 (ko) 2017-09-14 2017-09-14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764A KR102232700B1 (ko) 2017-09-14 2017-09-14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381A true KR20190030381A (ko) 2019-03-22
KR102232700B1 KR102232700B1 (ko) 2021-03-26

Family

ID=6594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764A KR102232700B1 (ko) 2017-09-14 2017-09-14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727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 심탄도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낙상 예측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102A (ko) * 2008-02-28 2011-03-30 마리밀스 오이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80046A (ko) *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102A (ko) * 2008-02-28 2011-03-30 마리밀스 오이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80046A (ko) *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727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 심탄도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낙상 예측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700B1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452B2 (en) Fall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9392826B2 (en) Fall detection and hip impact protector
KR100988459B1 (ko)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
US8749391B2 (en) Fall detection system
EP3084656B1 (en) Method for responding to a detected fall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JP5022506B1 (ja) 熱中症検知システム
KR20170004269A (ko)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
JP6563907B2 (ja) 患者が安全領域を離れるリスク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8736453B2 (en) Preemptive notification of patient fall risk condition
KR20150116206A (ko) 블루투스 기반의 웨어러블 생체 측정기기를 이용한 응급상황 알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A2831310C (en) A fall detector and method of determining a fall in a social alarm system
KR20170011631A (ko)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
KR20190086112A (ko) 환자의 상태 정보와 용변량에 따라 실시간 진단 기능을 갖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20190030381A (ko)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WO2008129452A1 (en) Multi-sensory fall detection system
CN110620980A (zh) 用于运行听力设备系统的方法和听力设备系统
US8593285B2 (en) Safety-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safety confirmation system
KR20170077708A (ko)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5511376B (zh) 婴幼儿穿戴物以及基于声表面波传感器的监控系统
KR20200021676A (ko) 침대 이탈 감지 장치
US202103029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from electric shock by detecting and evaluating physical-medical factors
KR101431119B1 (ko) 활동 감시 장치
KR102368808B1 (ko) 낙상 방지 침대
KR20210099720A (ko)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낙상 감지 방법 및 낙상 감지 시스템
JP2023025761A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装置、見守り方法、および見守り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