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944A -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944A
KR20190029944A KR1020170117055A KR20170117055A KR20190029944A KR 20190029944 A KR20190029944 A KR 20190029944A KR 1020170117055 A KR1020170117055 A KR 1020170117055A KR 20170117055 A KR20170117055 A KR 20170117055A KR 20190029944 A KR20190029944 A KR 20190029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bundle
tubular
tub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1861B1 (ko
Inventor
안용선
Original Assignee
안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선 filed Critical 안용선
Priority to KR1020170117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8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파일 시공 시 관체의 연결을 보다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관통된 내경을 갖고 중앙에 관체스토퍼(111)가 돌출되어 상부조립체(112a)와 하부조립체(112b)로 구분되며, 상기 상,하부 조립체(112a,112b)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 쐐기조립홈(113)과 원판조립홈(114) 및 덮개끼움홈(115)이 연속해 형성된 관체커플러(110)와;
상기 관체커플러(110)의 쐐기조립홈(113)은 내경방향으로 개구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캠면(113a)을 갖게 형성시켜, 일측의 만곡진 안내면(121)이 상기 쐐기조립홈(113)의 캠면(113a)에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며, 타측에는 삽입된 관체(10)의 외경면과 접촉하는 쐐기돌출부(122)가 연속해 형성된 쐐기뭉치(120)와;
중앙에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쐐기조립홈(113)에 장착된 쐐기뭉치(120)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쐐기뭉치(120)에서 돌출 형성된 힌지핀(123)을 핀가이드구멍(131)에 삽입시켜 쐐기뭉치(120)를 밀거나 잡아당겨 회전 이동시키며, 상면에 고정돌기(132)가 등간격을 두고 연속해 형성된 회전원판(130)과;
중앙에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관체커플러(110)의 원판조립홈(114)에 회전원판(130)을 포함한 상태로 안착 조립되며, 저면에 가압돌기(141)가 등간격을 두고 연속해 형성된 유동판(140)과;
중앙에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관체커플러(110)의 덮개끼움홈(115)에 고정조립되며, 저면에 유동판(140)이 승강 이동 가능한 요(凹)형상의 유동삽입홈(151)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삽입홈(151)과 유동판(140) 사이에 가압스프링(142)을 복수개 장착하여, 상기 유동판(140)을 탄력을 갖고 밀어내는 가압스프링(142)을 포함한 덮개부(15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Coupling device for file pipes}
본 발명은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파일 시공 시 관체의 연결을 보다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류 파일(screw pile) 및 로타리 파일(rotary pill) 등은 천공용 어스 드릴(Earth drill)이나 오거(Auger) 등의 굴착 중장비의 회전출력단에 장착되어 천공용으로 사용된다.
상기의 지지파일(10)은 도 1에서와 같이 메인파이프(12)와 외주면에 일체 형성된 선회날개(14)로 구성되고, 지지파일(10)의 상단부측은 연결플랜지(15)가 회전출력단에 연결되어, 회전출력단이 회전되면 지지파일(10)이 지층 내로 진입 매설되고, 선회날개(14)는 메인파이프(12)가 지층으로 박힘되는 것을 유도함과 동시에 잘 파고 들어가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지지파일(10)이 어느 정도 깊이로 박히게 되면 선회날개(14)가 지반내에 박혀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데, 첫째, 사면절토 및 옹벽의 락 앵커의 역할이거나, 연약층을 지지하는 역할 및 철탑, 기둥 등의 하부 지지구조를 위한 지지파일로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파일(10)이 박히는 깊이가 깊어질 경우에는 일단이 상기 천공파일(12)의 후단부측 원통형 연결플랜지(15)와 체결수단(18,19)으로 연결되는 체결공(20a)을 갖는 하나 이상의 중간파이프(20)를 더 추가시켜 목적에 맞게 지지파일(10)을 연결 설치한다.
또, 상기 설치된 지지파일(10)은 철거 시에 파일 작업의 역순으로 작업하는데, 이때 지지파일(10)의 회전방향도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간편하게 해체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파일이 지중에 깊이 관입하는 경우에는 연속해 중간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파이프와 회전출력단을 연결해야 하는 해체 및 조립공정의 추가에 따른 작업공수의 증가 등으로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 상기 중간파이프와 회전출력단과의 연결 작업 중에 편심 오차가 발생되면서, 지지파일의 직진성이 어긋나게 되어 작업시간과 공사비용 및 인건비 증대와 함께 공사기간을 지연시켜 공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6697호 인장과 압축을 겸한 지지파일 (등록일자 2007년02월16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지파일의 중간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커플링장치를 구비하여, 지중에 지지파일이 깊이 관입된 상황에서도 상기 중간파이프 사이에 커플링장치를 장착해 다른 중간파이프를 간편하게 연결시킴으로서 조립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수직 및 연직(鉛直) 방향으로의 직진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출력단 및 관입된 지지파일의 유동이 방지되면서 상기 지지파일의 중간파이프 사이에 커플링을 간단히 장착하는 과정의 추가만으로 다른 중간파이프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출력단에 따른 회전으로 커플링에 장착된 중간파이프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통된 내경을 갖고 중앙에 관체스토퍼(111)가 돌출되어 상부조립체(112a)와 하부조립체(112b)로 구분되며, 상기 상,하부 조립체(112a,112b)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 쐐기조립홈(113)과 원판조립홈(114) 및 덮개끼움홈(115)이 연속해 형성된 관체커플러(110)와;
상기 관체커플러(110)의 쐐기조립홈(113)은 내경방향으로 개구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캠면(113a)을 갖게 형성시켜, 일측의 만곡진 안내면(121)이 상기 쐐기조립홈(113)의 캠면(113a)에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며, 타측에는 삽입된 관체(10)의 외경면과 접촉하는 쐐기돌출부(122)가 연속해 형성된 쐐기뭉치(120)와;
중앙에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쐐기조립홈(113)에 장착된 쐐기뭉치(120)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쐐기뭉치(120)에서 돌출 형성된 힌지핀(123)을 핀가이드구멍(131)에 삽입시켜 쐐기뭉치(120)를 밀거나 잡아당겨 회전 이동시키며, 상면에 고정돌기(132)가 등간격을 두고 연속해 형성된 회전원판(130)과;
중앙에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관체커플러(110)의 원판조립홈(114)에 회전원판(130)을 포함한 상태로 안착 조립되며, 저면에 가압돌기(141)가 등간격을 두고 연속해 형성된 유동판(140)과;
중앙에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관체커플러(110)의 덮개끼움홈(115)에 고정조립되며, 저면에 유동판(140)이 승강 이동 가능한 요(凹)형상의 유동삽입홈(151)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삽입홈(151)과 유동판(140) 사이에 가압스프링(142)을 복수개 장착하여, 상기 유동판(140)을 탄력을 갖고 밀어내는 가압스프링(142)을 포함한 덮개부(150)로 구성된다.
또, 쐐기뭉치(120)의 쐐기돌출부(122)는 관체(10)의 굴착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래칫(ratchet)형상의 톱니로 형성되어, 관체(10)의 회전 시 쐐기돌출부(122)가 외경면에 걸려 쐐기조립홈(113)의 폭이 좁아지는 캠면(113a) 방향으로 쐐기뭉치(1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된 쐐기뭉치(120)의 쐐기돌출부(122)가 관체(10)의 외경면을 더욱 가압하며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관체커플러(110)의 상,하부 조립체(112a,112b)에 구비되는 쐐기조립홈(113)과 쐐기뭉치(120)는 관체(10)의 굴착 회전방향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게 형성하여, 상기 관체(10)의 굴착 회전에는 폭이 좁아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관체(10)의 외경면을 가압 고정하고, 역회전에는 초기위치로 이동하여 관체(10)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관체커플러(110)의 외경은 다각형의 각도를 갖게 형성하여, 상,하부 조립체(112a,112b)에 관체(10)를 각각 삽입하고 관체커플러(110)를 회전시켜, 쐐기뭉치(120)가 상,하부 조립체(112a,112b)에 삽입된 관체(10)의 가압방향으로 회전 이동되게 하여 쐐기돌출부(122)가 관체(10)의 외경면이 물려 고정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회전원판(130)의 핀가이드구멍(131)은, 라운드진 장공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쐐기조립홈(113)에 장착된 쐐기뭉치(12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핀가이드구멍(131)을 따라 수평회전 되게 하고, 덮개부(150)와 관체(10)의 일단에는 관체분리홀(153a)을 각각 더 형성하고 고정볼트로 상호 체결시켜 관체커플러(110)를 포함한 덮개부(150)와 관체(10)를 일체로 잡아당겨 지중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중에 관입되는 지지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용접작업 등으로 지지파일의 강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지지파일 들을 상호 연결하는 커플링 장치를 간단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커플링 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쐐기뭉치는 지지파일의 굴착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지지파일을 견고히 고정하도록 함으로서, 수직 및 연직방향으로의 직진성을 증대시켜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종래 지지파일용 관체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인 커플링 장치의 내경에 관체가 삽입된 평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인 커플링 장치의 내경에 관체가 삽입된 측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인 커플링 장치와 관체가 고정된 평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인 커플링 장치와 관체가 고정된 측단면도.
본 발명인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는,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파일 시공 시 관체의 연결을 보다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인 커플링장치(100)는 크게 관체(10)가 상,하부로 삽입되는 관체커플러(110)와, 삽입된 관체를 고정하는 쐐기뭉치(120)와, 상기 쐐기뭉치(120)를 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원판(130) 및 유동판(140)과, 상기 관체커플러(110)의 상,하부를 폐쇄하는 덮개부(150)를 포함해 구성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관체커플러(110)는, 몸체 중심이 관통된 내경을 갖고 중앙에 관체스토퍼(111)가 돌출되어 상부조립체(112a)와 하부조립체(112b)로 각각 구분되며, 상기 상,하부 조립체(112a,112b)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 쐐기조립홈(113)과 원판조립홈(114) 및 덮개끼움홈(115)이 연속해 형성된다.
또, 상기 관체커플러(110)의 쐐기조립홈(113)은 내경방향으로 개구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만곡진 캠면(113a)을 갖게 형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원판조립홈(114)의 바닥면에는 원판가이드핀(114a)이 등간격을 갖고 결합되게 핀구멍(미부호)을 더 형성하며, 상기 원판가이드핀(114a)은 돌출 형성되어 후술(後述)되는 회전원판(130)의 회전가이드홀(133)에 삽입되게 한다.
그리고, 관체커플러(110)의 외경은 다각형의 각도를 갖게 형성하여, 상,하부 조립체(112a,112b)에 관체(10)를 각각 삽입하고, 별도의 공구를 이용해 관체커플러(11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쐐기뭉치(120)는, 상면에 힌지핀(123)이 돌출 형성되어 회전원판(130)의 핀가이드구멍(131)에 조립되며, 쐐기조립홈(113)의 만곡진 캠면(113a)에 대응해 안내면(121)이 도면 상 외측면에 형성되고, 도면 상 내경 즉 관체(10)가 삽입되는 내측면에는 일방향의 경사진 쐐기돌출부(122)가 래칫(ratchet)형상의 톱니형상을 갖고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관체스토퍼(111)의 쐐기조립홈(113)은 일측이 비교적 깊게 파이고 타측은 비교적 얕게 파인 만곡진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쐐기뭉치(120)는 일측과 타측이 동일한 두께를 갖고 성형되어, 쐐기조립홈(113)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일측의 깊게 파인 홈에 위치한 쐐기돌출부가 내경부로 돌출되지 않지만, 타측의 비교적 얕게 파인 홈에 위치한 쐐기돌출부는 관체(10)에 접촉된 상태를 갖도록 일부만 돌출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관체스토퍼(111)에 쐐기뭉치(120)를 복수개 장착한 다음에 상부의 단차진 원판조립홈(114)에 회전원판(130)을 안착시키는데,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힌지핀(123)은 핀가이드구멍(131)에 결합시키고, 원판가이드핀(114a)은 회전가이드홀(133)에 결합시키며 조립한다.
상기 회전원판(130)은 핀가이드구멍(131)과 회전가이드홀(133)은 쐐기뭉치(120)에 대응해 복수개가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회전가이드홀(133)은 핀가이드구멍(131)에 핀 결합된 쐐기뭉치(12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원판을 가이드할 수 있게 수평회전방향의 장공구멍으로 형성되며, 핀가이드구멍(131)은 만곡진 캠면(113a)을 따라 이동하는 쐐기뭉치(120)의 힌지핀(123)이 도면상 방사형으로 이동가능하게 라운드진 장공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쐐기조립홈(113)에 장착된 쐐기뭉치(120)가 잠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즉, 상기 회전원판(130)은 중앙에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쐐기조립홈(113)에 장착된 쐐기뭉치(120)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쐐기뭉치(120)에서 돌출 형성된 힌지핀(123)이 핀가이드구멍(131)에 삽입되며, 쐐기뭉치(120)에 맞물린 관체(10)의 회전에 따라서 쐐기뭉치(120)가 회전이동하면, 상기 핀가이드구멍(131)에 결합된 힌지핀(123)을 통해 쐐기뭉치(120)의 이동방향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또한, 회전원판(130)의 상면에는 등간격을 두고 중앙에서 외경방향으로 연장성형된 고정돌기(132)가 등간격을 두고 연속해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원판(130)의 상부에는 저면에 가압돌기(141)가 형성된 유동판(140)을 안착시키는데, 상기 유동판(140)은 중앙에 관체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관체커플러(110)의 원판조립홈(114)에 회전원판(130)을 포함한 상태로 안착 조립하면서, 저면에 등간격을 갖고 연속해 형성된 가압돌기(141)가 상기 회전원판(130)의 고정돌기(132)에 걸려지도록 설치한다.
즉, 상기 회전원판(130)은, 쐐기뭉치(120)를 따라서 회전이동하게 되는데, 초기상태에서는 상부 고정돌기(132)가 유동판(140)의 가압돌기(141)에 걸려져 쐐기뭉치(120)가 내경방향으로 오므려지는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고, 관체(10)의 회전에 따라 쐐기뭉치(120)가 맞물려 회전원판(130)이 동시에 회전하면, 고정돌기(132)가 가압돌기(141)를 타고 넘어가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 유동판(140)은 관체커플러(110)의 상,하부 조립체(112a,112b)에 결합되는 덮개부(150)의 저면에서 승하강 탄력 이동이 가능하게 복수개의 가압스프링(142)에 지지되며, 상기 덮개부(150)의 저면에는 유동판(140)이 승강 이동 가능한 요(凹)형상의 유동삽입홈(151)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150)는 중앙에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관체커플러(110)의 덮개끼움홈(115)에 고정 조립되는데, 상부에 관체(10)를 지지하는 연결관(153)을 더 연장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상기 덮개부(150)는 관체커플러(110)의 덮개끼움홈(115)에 체결조립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덮개부(150)가 삽입된 상태에서 관체스토퍼(111)의 상면에 결속판(152)을 안착시켜, 상호 용접 작업함으로서, 외부충격 및 회전이동에도 관체커플러(110)의 내부에 포함된 쐐기뭉치(120) 등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일체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50)의 연결관(153)과 관체(10)의 일단에는 관체분리홀(153a)을 각각 더 형성하고 고정볼트로 상호 체결시켜 상기 일체화 구성된 커플링장치(100)와 관체(10)를 일체로 잡아당겨 지중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인 파일관체용 커플링장치(100)는 굴착 중장비의 회전출력단에 장착된 관체(10)가 지중에 관입되고, 상기 관입된 관체와 새로 공급된 관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로서, 상기 연결부위를 나사체결 또는 용접 작업하지 않고 커플링 장치를 조립하여 관체의 회전이동만으로 연결부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인 커플링장치(100)는 몸체의 상,하부 조립체(112a,112b)에 지중에 관입된 관체와 새로 공급된 관체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관체와 같이 커플링장치(100)가 회전되며, 내부에 구비된 쐐기뭉치(120)가 관체를 각각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동작구성은 동일하므로 상부조립체(112a)에 장착되는 구성으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먼저 도 4a 및 도 4b와 같이 관체커플러(110)의 쐐기조립홈(113)에는 내경방향으로 쐐기돌출부(122)가 위치한 쐐기뭉치(120)가 각각 장착되는데, 초기 관체(1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쐐기뭉치(120)가 쐐기조립홈(113)의 깊게 파인 일측에 위치하게 되며, 타측으로 쐐기돌출부(122)의 일부만 돌출되어 삽입되는 관체(10)와 접촉된다.
이때, 상기 쐐기뭉치(120)는 회전원판(130)에 의해 힌지핀(123)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원판의 고정돌기(132)가 유동판(140)의 가압돌기(141)에 걸려져 상기 관체(10)의 삽입에도 쐐기뭉치(120)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관체커플러(110)의 외경을 다각형의 각도를 갖게 형성하여, 별도의 외부공구를 사용해 상기 상,하부 조립체(112a,112b)에 관체(10)를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관체커플러(110)를 회전시켜, 쐐기뭉치(120)가 상,하부 조립체(112a,112b)에 삽입된 관체(10)의 가압방향으로 회전 이동되게 하여 쐐기돌출부(122)가 관체(10)의 외경면을 물어 고정되게 선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지중에 관입된 관체(10)에 본 발명인 커플링장치(100)와 새로 공급된 관체(10)를 삽입 장착한 상태에서, 새로 공급된 관체(10)는 굴착 중장비의 회전출력단에 장착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도 5a와 같이 관체(10)에 접촉된 쐐기돌출부(122)가 관체(10)의 회전에 따라 잡아당겨지면서 쐐기뭉치(120)가 도면상 깊게 파인 일측에서 비교적 얕게 파인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쐐기뭉치(120)의 쐐기돌출부(122)는 관체(10)의 굴착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래칫(ratchet)형상의 톱니로 형성되어, 관체(10)의 회전 시 쐐기돌출부(122)가 외경면에 걸려 쐐기조립홈(113)의 폭이 좁아지는 캠면(113a) 방향으로 쐐기뭉치(1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된 쐐기뭉치(120)의 쐐기돌출부(122)가 관체(10)의 외경면을 더욱 가압하며 고정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관체(10)를 상호 연결하는 커플링장치(100)는 지중에 함께 관입되는 것으로 관체와 커플링장치의 분해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 가능하지만, 상기 관체(10)의 역회전으로 관체(10)의 외경면을 가압하고 있는 쐐기돌출부(122)가 포함된 쐐기뭉치(120)가 도 4a와 같은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관체(10)와 커플링장치(100)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관체(10)의 회전에 따라 쐐기뭉치(120) 및 회전원판(13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쐐기뭉치(120)의 안내면(121)이 캠면(113a)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며, 내경방향 및 비교적 얕은 폭의 타측으로 이동하므로, 원판가이드핀(114a)이 핀가이드구멍(131)에 끼워져 정위치에서 회전하는 회전원판(130)은 핀가이드구멍(131)이 라운드진 장공의 구멍으로 형성되어야 힌지핀(123)과 핀가이드구멍(131)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쐐기뭉치(120)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관체와 커플링장치(100)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상기 덮개부(150)의 연결관(153)에 관체분리홀(153a)을 더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관체 일단에도 대응하는 관체분리홀을 각각 형성하여, 고정볼트로 상호 체결해 관체(10)와 커플링장치(100)를 일체 구성시키는데 이때에는 상기 관체(10)와 커플링장치(100)를 지중에서 인출하는데 사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0. 커플링 장치 110. 관체커플러
111. 관체스토퍼 112a. 상부조립체
112b. 하부조립체 113. 쐐기조립홈
113a. 캠면 114. 원판조립홈
114a. 원판가이드핀 115. 덮개끼움홈
120. 쐐기뭉치 121. 안내면
122. 쐐기돌출부 123. 힌지핀
130. 회전원판 131. 핀가이드구멍
132. 고정돌기 133. 회전가이드홀
140. 유동판 141. 가압돌기
142. 가압스프링 150, 덮개부
151. 유동삽입홈 152. 결속판
153, 연결관 153a. 관체분리홀

Claims (6)

  1. 관통된 내경을 갖고 중앙에 관체스토퍼(111)가 돌출되어 상부조립체(112a)와 하부조립체(112b)로 구분되며, 상기 상,하부 조립체(112a,112b)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 쐐기조립홈(113)과 원판조립홈(114) 및 덮개끼움홈(115)이 연속해 형성된 관체커플러(110)와;
    상기 관체커플러(110)의 쐐기조립홈(113)은 내경방향으로 개구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캠면(113a)을 갖게 형성시켜, 일측의 만곡진 안내면(121)이 상기 쐐기조립홈(113)의 캠면(113a)에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며, 타측에는 삽입된 관체(10)의 외경면과 접촉하는 쐐기돌출부(122)가 연속해 형성된 쐐기뭉치(120)와;
    중앙에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쐐기조립홈(113)에 장착된 쐐기뭉치(120)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쐐기뭉치(120)에서 돌출 형성된 힌지핀(123)을 핀가이드구멍(131)에 삽입시켜 쐐기뭉치(120)를 밀거나 잡아당겨 회전 이동시키며, 상면에 고정돌기(132)가 등간격을 두고 연속해 형성된 회전원판(130)과;
    중앙에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관체커플러(110)의 원판조립홈(114)에 회전원판(130)을 포함한 상태로 안착 조립되며, 저면에 가압돌기(141)가 등간격을 두고 연속해 형성된 유동판(140)과;
    중앙에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관체커플러(110)의 덮개끼움홈(115)에 고정조립되며, 저면에 유동판(140)이 승강 이동 가능한 요(凹)형상의 유동삽입홈(151)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삽입홈(151)과 유동판(140) 사이에 가압스프링(142)을 복수개 장착하여, 상기 유동판(140)을 탄력을 갖고 밀어내는 가압스프링(142)을 포함한 덮개부(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쐐기뭉치(120)의 쐐기돌출부(122)는 관체(10)의 굴착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래칫(ratchet)형상의 톱니로 형성되어, 관체(10)의 회전 시 쐐기돌출부(122)가 외경면에 걸려 쐐기조립홈(113)의 폭이 좁아지는 캠면(113a) 방향으로 쐐기뭉치(1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된 쐐기뭉치(120)의 쐐기돌출부(122)가 관체(10)의 외경면을 더욱 가압하며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관체커플러(110)의 상,하부 조립체(112a,112b)에 구비되는 쐐기조립홈(113)과 쐐기뭉치(120)는 관체(10)의 굴착 회전방향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게 형성하여, 상기 관체(10)의 굴착 회전에는 폭이 좁아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관체(10)의 외경면을 가압 고정하고, 역회전에는 초기위치로 이동하여 관체(10)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관체커플러(110)의 외경은 다각형의 각도를 갖게 형성하여, 상,하부 조립체(112a,112b)에 관체(10)를 각각 삽입하고 관체커플러(110)를 회전시켜, 쐐기뭉치(120)가 상,하부 조립체(112a,112b)에 삽입된 관체(10)의 가압방향으로 회전 이동되게 하여 쐐기돌출부(122)가 관체(10)의 외경면이 물려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원판(130)의 핀가이드구멍(131)은, 라운드진 장공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쐐기조립홈(113)에 장착된 쐐기뭉치(12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핀가이드구멍(131)을 따라 수평회전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덮개부(150)와 관체(10)의 일단에는 관체분리홀(153a)을 각각 더 형성하고 고정볼트로 상호 체결시켜 관체커플러(110)를 포함한 덮개부(150)와 관체(10)를 일체로 잡아당겨 지중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KR1020170117055A 2017-09-13 2017-09-13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KR101981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055A KR101981861B1 (ko) 2017-09-13 2017-09-13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055A KR101981861B1 (ko) 2017-09-13 2017-09-13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944A true KR20190029944A (ko) 2019-03-21
KR101981861B1 KR101981861B1 (ko) 2019-08-28

Family

ID=6603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055A KR101981861B1 (ko) 2017-09-13 2017-09-13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8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697B1 (ko) 2005-01-13 2007-02-23 (주)케이돔엔지니어링 인장과 압축을 겸한 지지파일
KR20090051501A (ko) * 2007-11-19 2009-05-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전 잠금 타입 에어 커넥터 앗세이
KR20140085958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워터테이크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697B1 (ko) 2005-01-13 2007-02-23 (주)케이돔엔지니어링 인장과 압축을 겸한 지지파일
KR20090051501A (ko) * 2007-11-19 2009-05-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전 잠금 타입 에어 커넥터 앗세이
KR20140085958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워터테이크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861B1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4430B1 (ja) 鋼管継手装置
RU2454543C2 (ru) Самобурящий анкерный болт и анк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го
JP5479042B2 (ja) ライナープレート連結構造及びライナープレート連結構造体
KR102159906B1 (ko) 선단팽창형 네일 정착구
KR101582857B1 (ko) 강관 파일 및 그 강관 파일의 시공 방법
JP5140114B2 (ja) 既製杭の接合方法、既製杭の接合金物
KR101133455B1 (ko) 나선형 강관 말뚝 회전 구동용 소켓
JP6875681B2 (ja) 鋼管継手装置
KR20190029944A (ko) 파일 관체용 커플링 장치
KR101042271B1 (ko)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 파이프 연결구
KR101739266B1 (ko) Phc 파일 연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파 phc 파일의 보수 시공 방법
KR101118616B1 (ko) 건설시공용 파일 착탈을 위한 자동 클램프
KR20190010074A (ko) 동시 그라우팅용 마이크로파일 천공 케이싱파이프
KR101727206B1 (ko) Phc 파일 길이 조정용 스마트 선단캡 및 이를 이용한 파일길이 조정방법
KR20100024861A (ko) 연결구가 구비된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파이프
KR101395828B1 (ko)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방법
KR101773823B1 (ko) 스핀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0696583B1 (ko) 탄성링이 장착된 확경 지압형 앙카체 및 그 정착방법
KR20160001116U (ko)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 및 인발용 커플러
KR200490635Y1 (ko) 지반 강화용 파일의 연결장치
KR200481009Y1 (ko)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 및 인발용 커플러
JP6856370B2 (ja) ケーシング結合構造
JP4659542B2 (ja) 枝管の接続装置
JP4609627B2 (ja) 既製杭の接合方法、既製杭の接合金物
KR100596932B1 (ko) 록볼트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