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295A - A freight transport device - Google Patents

A freight transpor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295A
KR20190029295A KR1020170116683A KR20170116683A KR20190029295A KR 20190029295 A KR20190029295 A KR 20190029295A KR 1020170116683 A KR1020170116683 A KR 1020170116683A KR 20170116683 A KR20170116683 A KR 20170116683A KR 20190029295 A KR20190029295 A KR 20190029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conveyor
present
cargo transf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0235B1 (en
Inventor
문양식
Original Assignee
문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양식 filed Critical 문양식
Priority to KR1020170116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235B1/en
Publication of KR20190029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2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2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1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transport device comprising: a cargo transfer unit to drop cargo on a conveyor; the conveyor to transfer the cargo in a first direction; and top and bottom frames extended fr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veyor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go transport device comprises: two or more support units disposed between the top and bottom fram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guided along the top and bottom frames; and a planar inner wall disposed between the two or more support parts and having both side surfaces hinged to the support parts,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planar inner walls hinged to each other are included, such that a worker immediately discovers failure of a conveyor and repairs the conveyor, and thus the stopping time of the conveyor is able to be remarkably reduced. Moreover, a support unit disposed in a T-shape is guided along the top and bottom frames, such that the worker accesses a section, from which a trouble occurs, to horizontally push and open/close the inner wall, and thus a repairing time is able to be reduced. Moreover, planar cover units vertic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are opened in an upper or lower direction as the cargo transfer unit approaches, and thus missing of the cargo or scattering of a raw material is able to be prevented.

Description

화물 이송 장치{A FREIGHT TRANSPORT DEVICE}{A FREIGHT TRANSPORT DEVICE}

본 발명은 화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화물의 이송 현황을 바로 파악할 수 있고, 화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비 또는 바람에 의해 분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화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transfer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transfer device for directly detecting a cargo transfer status and preventing dust from being generated due to rain or wind in the process of cargo transfer.

일반적으로, 화물 이송 장치는 중량 또는 부피가 큰 화물을 옮기거나, 화물을 이송해야 하는 거리가 커서 작업자의 힘으로 화물을 옮기기 힘든 상황일 때 사용한다. 일례로, 벨트 컨베이어는 제철소 및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원료 또는 연료를 지정된 위치까지 이송하기 위한 설비로 사용되고, 벨트 컨베이어는 보통 선박에서 하역되는 원료 또는 연료를 보관 창고로 이송한다. 하지만,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면서, 컨베이어에 적재된 원료 및 연료가 비 또는 바람에 의해 날려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원료 및 연료의 양이 적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a cargo transfer device is used when it is difficult to transfer heavy or bulky cargo, or to transfer the cargo by the force of the operator because of the large distance that the cargo must be transferred. For example, a belt conveyor is used as a facility for transporting raw materials or fuels used in steelworks and power plants to a designated location, and a belt conveyor usually transports raw materials or fuel unloaded from a ship to a warehous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raw materials and fuel loaded on the conveyor are blown away by rain or wind to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while using a belt conveyor, and the amount of raw materials and fuel that can be actually used is reduc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7091호)에서는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된 원료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덮개가 하부커버의 이동에 따라 벌어질 때 복귀력을 부여하는 탄성와이어를 구비하여 원료의 비산을 최소화하는 벨트 컨베이어 상부 커버링 장치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경우, 하부 커버와 한 쌍의 덮개 사이에 여전히 원료가 비산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여 원료의 비산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ior ar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47091), in order to prevent scattering of the material loaded on the belt conveyor, when a pair of covers is ope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ower cover And an elastic wire for imparting a returning force so as to minimize scattering of the raw material.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document 1, there is still a space between the lower cover and the pair of covers in which the raw material can scatter, and thus the scattering of the raw materials can not be completely preven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3348호)에서는 고정 빔의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안착 빔의 상단에 타측이 안착되며 탄력을 구비하는 벨트커버가 리클레이머 슈트 등의 장비가 이동 시, 이에 대응하여 벌어지는 벨트 컨베이어용 우수 차단장치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2의 경우, 벨트커버의 탄력이 저하될 때 원료의 비산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용 우수 차단장치의 외부에 있는 작업자는 원료가 이송되는 것을 볼 수 없어, 고장이 발생했을 때 즉각적인 대처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a prior art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63348), one side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beam, the other side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beam, Discloses an excellent shielding device for a belt conveyo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equipment such as a suit.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document 2, scattering of the raw material can not be prevented when the elasticity of the belt cover is lowered. In addition, an operator located outside the excellent shielding device for a belt conveyor can not see that the raw material is transpor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take immediate action when a failure occurs.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7091호 (2012.05.11. 공개)Prior Ar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47091 (Published May 11, 2012)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3348호 (2014.11.12. 등록)Prior Art 2: Korean Patent No. 10-1463348 (Registered on November 12, 2014)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비 또는 바람의 유입을 차단하여 분진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go transfe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ust or dirt by blocking inflow of wind or wind.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화물 이송 장치의 어느 구성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화물 이송 장치의 외부에서도 화물 이송 장치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화물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go transfer device capable of observing the inside of a cargo transfer device even outside a cargo transfer device when a problem occurs in any configuration of the cargo transfer devic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화물을 컨베이어로 떨어트리는 화물 전달부, 화물을 제 1 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및 컨베이어의 좌우측에 각각 제 1 방향으로 신장되어 구비되는 상단 프레임 및 하단 프레임을 포함하는 화물 이송 장치로서,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 사이에 둘 이상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단 프레임 및 하단 프레임을 따라 가이드 운동하는 둘 이상의 지지부 및 둘 이상의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양측면이 각각 지지부와 힌지 연결되는 판 형상의 내측벽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go transfer device comprising a cargo transferring part for transferring cargo to a conveyor, a conveyor for transferring cargo in a first direction, and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And at least two support portions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guided alo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a plate-lik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two or more support portions and hinge- Lt; / RTI >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힌지 연결되는 판 형상의 내측벽이 구비됨으로써, 작업자는 컨베이어의 고장을 즉시 발견 및 수리함으로써, 컨베이어가 정지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ate-shaped inner wall hinged to each other is provided, the operator can immediately detect and repair the failure of the conveyor, thereby remarkably shortening the time for stopping the convey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T자 형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상단 프레임 및 하단 프레임을 따라 가이드 운동함으로써, 작업자는 문제가 발생한 구역으로 접근하고, 내측벽을 수평 방향으로 밀어 개폐하여 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shaped support portion is guided alo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he operator approaches the problematic area and slides the inner wal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horten the repair time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상하방향으로 겹쳐 구비되는 판 형상의 커버부가 화물 전달부의 접근 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벌어짐에 따라, 화물의 유실 또는 원료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cargo or the scattering of raw materials as the plate-shaped cover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preads upward or downward when approaching the cargo transfe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화물을 컨베이어 상에 떨어트릴 때, 컨베이어로 바람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인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rgo is dropped onto the conveyor,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member can prevent the wind and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conveyor, thereby preventing additional human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전달부 및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청소부에 의해 컨베이어 상의 잔재물이 청소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프레임 및 하단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프레임, 하단 프레임 및 지지부의 힌지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프레임, 하단 프레임 및 지지부의 힌지 연결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측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내측벽의 힌지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로부 및 외측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벌어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전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 및 수용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가 화물 전달부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 cargo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argo transfer unit and a convey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y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remnants on the conveyor are cleaned by the rotary clean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inge connection of the upper frame, the lower frame, and th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inge connection of an upper frame, a lower frame, and a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inner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hinge connection between a support part and an inner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passage portion and an outer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cov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spreading of the cover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a cargo transferring pa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and a receiving por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receiving por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that the storage por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by the cargo transfer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Also,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ortions no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or clarified natural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제부터,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argo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general view of a cargo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화물 이송 장치는 화물을 컨베이어(200)로 떨어트리는 화물 전달부(100), 화물을 제 1 방향(a)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200), 컨베이어(200)의 좌우측에 각각 제 1 방향(a)으로 구비되는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을 따라 제 1 방향(a)으로 가이드 운동하는 지지부(400), 둘 이상의 지지부(400) 사이에 구비되고, 양 측면이 각각 지지부(400)와 힌지 연결되는 판 형상의 내측벽(500), 내측벽(500)의 외측에 구비되는 통로부(600) 및 내측벽(500)의 외측에 통로부(600)를 사이에 두고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외측벽(700) 및 상단 프레임(310)의 상면에 위치하는 판 형상의 커버부(800)를 포함한다.The cargo transfer device includes a cargo transfer unit 100 for transferring the cargo to the conveyor 200, a conveyor 200 for transferring the cargo in the first direction a, And a lower frame 320 provided between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ar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 A plate-shaped inner side wall 500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two or more supporting portions 400 and has both side surfaces thereof hinged to the supporting portion 400, a supporting portion 400 which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side wall 500 An outer side wall 700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ssageway part 600 and the inner side wall 500 with the passage part 60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late shaped cover part 800).

여기서, 제 1 방향(a)은 선박 등의 운송수단에 구비된 화물 전달부(100)가 떨어트린 화물이 컨베이어(200)에 의해 보관 창고 등으로 이송되는 방향을 뜻하고, 수평방향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을 뜻하며, 상측 및 하측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을 뜻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 장치는 육지 및 해상에 제약 받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나, 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화물 이송 장치가 구비되는 위치는 선박이 접하여 육지에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해안가로 설명하겠다.Here, the first direction (a)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rgo delivered by the cargo transfer unit 100 provided in the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ship is transported to the storage warehouse by the conveyor 200, Refers to the parallel direction, and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fer to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addition, although the cargo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 on the land and sea, the location where the cargo transfer apparatus is provided will be described as a coast where the cargo can be unloaded on land .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전달부(100) 및 컨베이어(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argo transfer unit 100 and a conveyor 2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화물 전달부(100)는 선박 등의 운송 수단으로부터 화물을 전달받아 컨베이어(200)로 떨어트린다. 이를 위해, 화물 전달부(100)의 일단은 후술할 컨베이어(200)의 상측에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화물 전달부(10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박 등의 운송 수단에 적재된 화물의 형상에 따라 사각 기둥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화물 전달부(100)는 깔때기 형상의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110)를 더 구비한다.The cargo transfer unit 100 receives the cargo from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ship and drops the cargo to the conveyor 200. To this end, one end of the cargo transfer part 1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a conveyor 2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go transfer unit 100 is described as having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cargo transfer unit 100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the cargo transfer unit 100 further includes a funnel-shaped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110.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110)는 화물이 화물 전달부(100)에서 컨베이어(20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200)에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110)는 넓은 면이 하측을 향하는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 때,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110)의 직경은 최소한 컨베이어(200)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물질 유입 방지 부재의 직경은 도 6에서 후술할 좌우측 상단 프레임(310a, 301b) 사이의 길이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하늘에서 떨어지는 비 또는 바람이 컨베이어(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이송 장치가 해안가에 설치될 경우, 해안가는 풍속이 크기 때문에 컨베이어(200)로 강풍이 유입되는 것을 이물질 유입 방지 부재를 통해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110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conveyor 200 in the course of moving the cargo from the cargo transferring unit 100 to the conveyor 200. [ To this end,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1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funnel whose wide side faces downward.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110 is set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110 is at leas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veyor 200.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is not limited to the left and right upper end frames 310a, 301b. Accordingly, rain or wind falling from the sky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conveyor 200. In particular, when the cargo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hore, since the coastal area has a large wind velocit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event the introduction of strong wind into the conveyor 200 through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청소부(210)에 의해 컨베이어 상의 잔재물이 청소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화물 이송 장치의 일부를 절단하여 표현한 도면이므로, 후술할 이송부(201)의 양 끝단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yo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nce on a conveyor is cleaned by a rotary cleaning unit 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4 ar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cargo transfer device, and therefore, both ends of the transfer unit 201 to be described later are omitted.

컨베이어(200)는 화물 전달부(100)에서 떨어지는 화물을 전달받아 제 1 방향(a)으로 이송한다. 컨베이어(20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이송부(201), 이송부(201)의 내측에 위치되어 회전 운동함에 따라 이송부(201)를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롤러(202), 이송부(201)의 내측에 배치되고 회전 운동함에 따라 이송부(201) 상의 잔재물을 제거하는 회전 청소부(210), 잔재물을 수용하는 적재 트레이(230)를 포함한다. 이송부(201) 및 이송 롤러(202)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onveyor 200 receives the cargo falling from the cargo transferring part 100 and transfers the cargo in the first direction a. The conveyor 200 includes a conveying unit 201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onveying roller 202 positioned inside the conveying unit 201 to move the conveying unit 201 in the first direction as it rotates, A rotation cleaning unit 210 disposed inside the transfer unit 201 for removing the residue on the transfer unit 201 as it rotates, and a loading tray 230 for receiving the residue. Since the conveying unit 201 and the conveying roller 202 are well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회전 청소부(210)는 이송부(201)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세하게, 회전 청소부(210)는 이송부(201) 중 하측에 위치하는 이송부(201)의 내측에 위치한다. 회전 청소부(210)는 회전 운동하되, 하측에 위치하는 이송부(201)의 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청소부(21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하측에 위치한 이송부(201)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회전 청소부(210)와 이송부(201)가 맞닿는 부분에서 후술할 타격부(211)를 통해, 이송부(201) 상에 남겨진 잔재물은 이송부(2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rotary cleaning unit 210 is located inside the transfer unit 201. More specifically, the rotary cleaning unit 210 is positioned inside the transfer unit 201 located below the transfer unit 201. [ The rotary cleaning unit 210 rotates and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unit 201 located at the lower side. That is, referring to FIG. 3, the rotary cleaning unit 210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conveying unit 201 located at the lower side moves to the left. The remnants left on the conveying unit 201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veying unit 201 through the striking unit 211 to be described later at the portion where the rotating cleaning unit 210 and the conveying unit 201 abut.

타격부(211)는 회전 청소부(2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타격부(211)는 선술한 바와 같이 이송부(201) 상에 위치한 잔재물을 분리하는 구성이다. 타격부(211)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회전 청소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타격부(211)는 회전 청소부(210)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타격부(211)는 회전 청소부(210)의 회전 운동 시, 하측에 위치한 이송부(201)의 내면과 접하도록 구비되고, 소정의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타격부(211)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triking part 211 is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cleaning part 210. The striking unit 211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residue placed on the conveying unit 201 as described above. The striking part 21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cleaning part 210, and may include one or more striking parts. The striking part 211 may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ry cleaning part 210. The hitting portion 211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veying unit 201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dur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cleaning unit 210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restoring force.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hitting portion 211 may be made of rubber or urethane.

회전 청소부(210)는 타격부(211)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212)를 더 포함한다. 가압 롤러(212)는 회전 청소부(210)와 하측에 위치한 이송부(201)의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가압 롤러(212)는 회전 청소부(210)의 외주면에 구비된 타격부(211)가 가압 롤러(212)에 의해 회전 청소부(210)의 중심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타격부(211)가 회전 청소부(210)와 함께 회전 운동 시, 가압 롤러(212)에 의해 회전 청소부(210)의 중심방향으로 휘어진다. 또한, 가압 롤러(212)를 통과한 타격부(211)는 스스로 구비한 복원력에 의해 다시 그 형태가 복원된다. 상세하게, 가압 롤러(212)를 통과한 타격부(211)는 가압력이 제거되고, 이송부(201)의 내면과 근접할 시 복원력을 통해 하측에 위치한 이송부(201)의 내면에 충격을 가한다. 이에 따라 이송부(201)는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송부(201)가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함에 따라, 이송부(201) 상에 위치한 잔재물은 관성에 의해 이송부(201)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된다.The rotary cleaning unit 210 further includes a pressure roller 212 that presses the striking unit 211. The pressure roller 212 is disposed between the rotary cleaning unit 210 and the lower conveying unit 201. The pressing roller 212 is provided so that the striking part 211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cleaning part 210 can be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rotary cleaning part 210 by the pressure roller 212 . Therefore, when the hitting portion 211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ry cleaning portion 210, the pressing portion 212 bend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rotary cleaning portion 210. Further, the striking portion 211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essure roller 212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by its own restoring force. More specifically, the hitting portion 211 having passed through the pressure roller 212 removes the pressing force and imp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conveyance unit 201 located at the lower side through the restoring force when the pressing force is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veyance unit 201. Thus, the conveying unit 201 reciproc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transfer unit 201 reciproc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emnants located on the transfer unit 201 are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transfer unit 201 by inertia.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송부(201)의 외면에서 제거된 잔재물을 수용하여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적재 트레이(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적재 트레이(230)는 이송부(201)의 하측에 배치되되, 회전 청소부(210)의 바로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적재 트레이(230)는 이송부(201)로부터 분리된 잔재물을 수용할 수 있다. 적재 트레이(230)는 내부가 개구된 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면의 일부에는 잔재물을 보다 용이하게 수집하고, 잔재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잔재물 안내부(231)가 더 구비된다. 잔재물 안내부(231)는 소정의 경사를 갖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잔재물 안내부(231)의 하단은 적재 트레이(230)의 내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이송부(201)로부터 분리된 잔재물은 잔재물 안내부(231)를 따라 하측으로 안내되고, 적재 트레이(230)의 내부에 적층되어 수용된다. 적재 트레이(230)가 구비됨으로써, 타격부(211)에 의해 이송부(201)로부터 분리된 잔재물이 다른 곳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잔재물이 엔진과 같은 구동장치에 유입되어 고장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재 트레이(230)가 구비됨에 따라, 작업자는 적재 트레이(230)만 교체해줌으로써, 청소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tacking tray 230 for receiving the residue remov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ying unit 201 to prevent scattering. The stacking tray 230 is disposed below the transporting unit 201 and positioned just below the rotary cleaning unit 210. Accordingly, the loading tray 230 can receive the remnant separated from the conveying unit 201. [ The loading tray 23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open inside and a part of the upper surfa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mnant guide 231 for collecting the remnants more easily and preventing scattering of the remnants. The remnant material guiding part 231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remnant material guiding part 231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inside of the loading tray 230. Therefore, the remnant separated from the conveying unit 201 is guided downward along the remnant guide unit 231, and is stacked and accommodated in the stacking tray 2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sidue separated from the conveying unit 201 from being scattered to another place by the striking unit 211 by the provision of the stacking tray 230. As a result, Can be prevented. Further, since the loading tray 230 is provided, the operator can replace the loading tray 230 only, thereby saving time for cleaning.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upper frame 310 and a lower frame 3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은 지지부(400)가 가이드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지지부(400)와 힌지 연결된 내측벽(500)이 접어지고 펴지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은 컨베이어(200)의 좌우측에 각각 제 1 방향(a)으로 신장되어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은 컨베이어(200) 상에 배치되어 제 1 방향(a)으로 이송되는 화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컨베이어(200)의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단 프레임(310)과 하단 프레임(320)은 서로 평행하도록 구비되고, 봉 형상의 지지부(400)가 수직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 선상에 배치된다.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400 can guide and allow the inner wall 500 hinged to the support portion 400 to be folded and unfolded. In detail,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veyor 200 respectively in a first direction a.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are disposed on the conveyor 200 and are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veyor 200 in order to prevent collision with the cargo conveyed in the first direction a As shown in FIG.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are arrang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are extend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rod- .

또한,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은 일단 및 타단이 T자형으로 구비되는 지지부(400)가 삽입되어 제 1 방향(a)으로 가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311, 321)을 구비한다. 상세하게, 가이드 홈(311, 321)은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을 따라 제 1 방향(a)으로 신장되어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 홈(311, 321)은 지지부(400)의 일단 및 타단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단 프레임의 가이드 홈(311)은 T자 형으로 개구되어 구비되고, 하단 프레임의 가이드 홈(321)은 ‘ㅗ’자 형으로 개구되어 구비된다.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의 가이드 홈(311, 321)이 T자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지지부(400)를 보다 견고하게 가이드 홈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는 지지부(400)에 외력이 작용한다 해도 지지부(400)가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바람이 컨베이어(200)의 측면방향에서 불 때, 지지부(400)는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 홈(311, 321)을 통해 보다 견고하게 배치되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컨베이어(200)로 유입되는 바람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are provided with guide grooves 311 and 321 so that the support portion 400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which are T-shaped can be guided in the first direction a. do. In detail, the guide grooves 311 and 321 are extended in the first direction a along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The guide grooves 311 and 321 correspond to the shapes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400.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guide grooves 311 of the upper frame are opened in a T- And the guide grooves 321 of the lower frame are opened to be 'ㅗ' -shaped. Since the guide grooves 311 and 321 of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are T-shaped, the support portion 400 can be more firmly disposed on the guide groove.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upporting part 4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even if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supporting part 400. Further, when the wind is blow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or 200, the support portion 400 is arranged more firmly through the guide grooves 311 and 321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or broken , Thereby minimizing the wind that flows into the conveyor (200).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pport part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는 지지부(400)의 형상을 설명하고, 특히 지지부(400)가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을 따라 가이드 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지지부(400)가 내측벽(500)과 힌지 연결되는 구성은 후술할 도 9에서 설명하겠다.6, the shape of the supporting part 400 will be described. In particular, the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ing part 400 is guided along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will be mainly described. The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400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inner wall 5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지지부(400)는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를 지지한다. 지지부(400)는 봉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단 및 타단이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지지부(400)의 일단 및 타단은 T자로 구비되고, 지지부(400)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상단 프레임(310)의 가이드 홈 및 하단 프레임(320)의 가이드 홈(311, 321)에 각각 삽입된다. 이를 통해, 지지부(400)는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 형상으로만 구비되는 지지부(400)가 상단 프레임(310) 하단 프레임(320)에 삽입되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00)는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에 보다 견고하게 삽입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지지부(400)는 외력에 대해 보다 강한 내구성을 가져,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400)는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후술할 내측벽(500)이 접히거나 펴지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보다 작은 힘으로도 내측벽(500)의 접힘 및 펴짐을 조절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400 is disposed between and supports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The supporting part 400 is provided in a bar shape,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part 400 are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er 400 are connected to the guide grooves 311 and 311 of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respectively, 321,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support portion 400 can more firmly support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For exampl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upporting part 400 provided only in the shape of a bar is inserted into the lower frame 320 of the upper frame 310, the supporting part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support portion 400 has a stronger durability against external force and can not be easily broken.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art 400 is provided in plurality, the operator can adjust the folding and spreading of the inner side wall 500 with a smaller force in the process of folding or expanding the inner side wall 500 to be described later.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프레임(310), 하단 프레임(320) 및 지지부(400)의 체결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7 and 8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astening of the upper frame 310, the lower frame 320, and the support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서 선술했듯이, 상단 프레임(310)의 저면 및 하단 프레임(320)의 상면에는 T자 형의 가이드 홈(311, 321)이 제 1 방향(a)으로 신장되어 구비된다. 또한, 지지부(400)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의 가이드 홈(311, 3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홈(311, 321)에 삽입된다. 지지부(400)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가이드 홈(311, 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지지부(400)에 제 1 방향(a) 또는 제 1 방향(a)의 반대 방향(이하, 제 2 방향(b)으로 명명하여 설명하겠다.)으로 외력을 가하면, 지지부(400)는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을 따라 가이드 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T-shaped guide grooves 311 and 321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310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320.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er 400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311 and 321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s of the guide grooves 311 and 321, respectively. The worker is able to attach the supporting part 400 to the support part 400 in the first direction a or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The supporting portion 400 is guided along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are coupled to each other.

컨베이어(200)에 문제가 생길 시, 작업자는 지지부(400)를 제 1 방향(a) 또는 제 2 방향으로 이동시켜 컨베이어(200)로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200)를 정지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200)의 수리 또는 컨베이어(200)의 부분적인 청소를 하는 경우, 원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지지부(400)를 제 1 방향(a) 또는 제 2 방향(b)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컨베이어(200) 중 수리 또는 청소를 진행하지 않는 부분은 도 11 및 도 12에서 후술하는 내측벽(500)이 그대로 펴진 상태로 있게끔 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 또는 이물질에 의한 컨베이어(200)의 나머지 부분의 추가적인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컨베이어(200)의 청소를 반복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When a problem occurs in the conveyor 200, the operator can move the support part 400 in the first direction (a) or the second direction to approach the conveyor 200. [ Accordingly, the time for stopping the conveyor 200 can be greatly shortened and the efficiency can be maximized. When the conveyor 200 is partially repaired or the conveyor 200 is partially cleaned, the supporting part 400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part can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 or the second direction b. That is, the portion of the conveyor 200 not to be repaired or cleaned can be made to be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wall 500 described later in FIGS. 11 and 12 is left untouch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ditional failure of the remainder of the conveyor 200 due to wind or foreign matter,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repeating the cleaning of the conveyor 200.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art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서는 지지부(400)의 형상보다 지지부(400)가 구비하는 구성, 특히, 내측벽(500)과 힌지 연결하는 제 1 힌지(41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9, the structure of the supporting part 400 is more important than the shape of the supporting part 400. In particular, the first hinge 410 which is hinged to the inner wall 500 will be described.

지지부(400)는 도 5에서 서술한 지지부(400)의 목적 외에도, 내측벽(500)과 힌지 연결됨으로써, 내측벽(500)을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지지부(400)는 외측면에 제 1 힌지(410)를 구비한다.The support part 400 has a purpose of being hinged to the inner side wall 500 so that the inner side wall 500 can be folded or unfolded,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the support part 400 described in FIG. To this end, the support part 400 has a first hinge 410 on its outer surface.

제 1 힌지(410)는 지지부(400)가 삽입될 수 있는 관 형상으로 구비된다. 하지만, 제 1 힌지(41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고리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1 힌지(410)의 내측면에 지지부(400)가 삽입되어, 제 1 힌지(410)의 내측면과 지지부(400)의 외측면이 서로 접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변경이 가능한다.The first hinge 410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into which the support portion 400 can be inserted. However, the shape of the first hinge 41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provided in an annular shape or the like. That is, any shape can be changed as long as the support portion 4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410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4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400 can contact with each other .

제 1 힌지(410)는 지지부(400)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411) 및 회전부(411)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내측벽(500)과 연결되는 연결부(412)를 포함한다. 회전부(411)가 지지부(400)의 중심축(z)을 따라 회전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연결부의 일면은 지지부(400)를 향하는 내측벽(500)의 양 측면과 연결됨에 따라, 지지부(400) 및 내측벽(500)은 서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개의 지지부(400)의 양 측면에 내측벽(500)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1개의 지지부(400)에는 2개의 제 1 힌지(410)가 구비되어 내측벽(500)과 각각 연결된다. 지지부(400)와 내측벽(500)의 힌지 연결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11에서 후술하겠다.The first hinge 410 includes a rotation part 411 rotating along the center axis of the support part 400 and a connection part 412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part 411 and connected to the inner side wall 500. Since the rotation part 411 rotates along the central axis z of the support part 400, it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One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wall 500 facing the support portion 400 so that the support portion 400 and the inner side wall 500 can be hinged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side wall 5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pporting part 400, two supporting parts 400 are provided with two first hinges 410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side walls 500 do.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hinge connection between the support part 400 and the inner side wall 5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측벽(500)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00)와 내측벽(500)의 힌지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n inner wall 5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a hinge connection of the inner wall 500 and the support part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내측벽(500)은 컨베이어(200)의 측면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 및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고, 컨베이어(200)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작업자가 컨베이어(200)로 접근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구성이다. 내측벽(500)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둘 이상의 지지부(400)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500)의 높이는 컨베이어(200)로 바람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내측벽(500)의 높이는 상단 프레임(310)의 저면부터 하단 프레임(320)의 상면까지의 길이로 구비되어, 내측벽(500)이 펴진 상태에서는 바람 또는 이물질이 내측벽(500)을 통과할 수 없게 구비된다. 또한, 내측벽(500)은 투명한 재질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내측벽(500)은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강화유리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내측벽(500)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내측벽(500)이 구비되었을 때, 내측벽(500)의 외부에서도 컨베이어(20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내측벽(500)이 투명한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작업자는 내측벽(500)의 외측에서도 컨베이어(200)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고, 컨베이어(200)의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컨베이어(200)를 수리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200) 상에서 제 1 방향(a)으로 이송되는 화물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어, 컨베이어(200)의 특정 부분에서 화물이 이송되지 않아 화물이 적층되는 현상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The inner side wall 500 prevents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and wind from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or 200 and prevents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and wind from the side of the conveyor 200 when the conveyor 200 is opened or closed so that the operator can approach the conveyor 200 to be. The inner wall 50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s provided between two or more supporting portions 400. As shown in FIG. 1,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500 is set to a height at which the wind or foreign matter is not introduced into the conveyor 200.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500 is a length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frame 31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320. When the inner wall 500 is opened, (500). In addition, the inner wall 5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inner wall 50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polycarbonate, tempered glass, or the like. However, the material of the inner sidewall 500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materials can be changed if the inner wall 500 is provided and the material of the conveyor 200 can be grasped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sidewall 500 Do. The inner wall 5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operator can observe the condition of the conveyor 200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wall 500 and can quickly detect the condition of the conveyor 200 It can be repair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state of the cargo conveyed in the first direction (a) on the conveyor 200,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henomenon that the cargo is stacked without the cargo being convey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conveyor 200 .

도 10을 참조하면, 내측벽(500)은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상세하게, 내측벽(500)의 가운데 부분(501)은 절첩되고, 내측벽의 좌측부분(500a)과 우측부분(500b)은 제 2 힌지(510)에 의해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내측벽(500)은 작업자의 편의에 따른 외력에 의해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inner wall 500 may be folded or unfolded. Specifically, the middle portion 501 of the inner wall 500 is folded, and the left portion 500a and the right portion 500b of the inner wall are hinged by the second hinge 510. Accordingly, the inner side wall 500 can be folded or unfolded by an external force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도 11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내측벽(500)을 접고자 할 때는, 제 2 방향(b)으로 내측벽(500)에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지지부(400) 및 내측벽의 우측부분(500b)이 제 2 방향(b)으로 이동하고, 내측벽의 좌측부분(500a) 및 내측벽의 우측부분(500b)은 제 2 힌지(510)에 의해 서로 힌지 연결된 부분의 각도(c)가 작아지게 되어, 내측벽(500)이 접히게 된다.Referring to FIG. 11, when an operator intends to collapse the inner wall 500, a force is applied to the inner wall 500 in the second direction b. The support portion 400 and the right side portion 500b of the inner side wall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b and the left side portion 500a of the inner side wall and the right side portion 500b of the inner side wall move to the second hinge 510 The angle c of the portion hinged to each other becomes small, and the inner wall 500 is folded.

작업자가 내측벽(500)을 펴고자 할 때는, 제 1 방향(a)으로 내측벽(500)에 힘을 가하고, 이에 의해 지지부(400) 및 내측벽의 좌측부분(500a)이 제 1 방향(a)으로 이동한다. 작업자가 힘을 계속 가하게 되면, 내측벽의 좌측부분(500a) 및 내측벽의 우측부분(500b)이 이루는 각도(c)가 점차 커지게 되어 마지막에는 내측벽(500)이 완전히 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바람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A force is applied to the inner wall 500 in the first direction a so that the support portion 400 and the left portion 500a of the inner wall ar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 When the operator continues to apply the force, the angle (c) formed by the left portion 500a of the inner side wall and the right portion 500b of the inner side wall gradually increases, so that the inner side wall 500 is completely opened at the e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wind and foreign matter.

도 9 내지 도 11에서 서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컨베이어(200)를 가동할 때는 내측벽(500)을 펴서 컨베이어(200)에 유입되는 이물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200)를 가동하지 않거나, 컨베이어(200)의 청소 또는 수리가 필요할 시에는 컨베이어(200) 근처에 있는 내측벽(500)을 접고 내부로 진입함으로써, 컨베이어(200)의 청소 또는 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rough the series of processes described in FIGS. 9 to 11, when the conveyor 200 is operated,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conveyor 200 can be prevented by spreading the inner wall 500. When the conveyor 200 is not operated or the cleaning or repair of the conveyor 200 is required, the inner wall 500 near the conveyor 200 is folded to enter the inside of the conveyor 200 to clean or repair the conveyor 200 Can be shorten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로부(600) 및 외측벽(7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passage part 600 and an outer side wall 7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통로부(600)는 작업자가 내측벽(500)의 외부에서 통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통로부(60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통행할 수 있을 만큼의 폭을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통로부(600)는 작업자뿐만 아니라, 컨베이어(200)를 수리 또는 청소하는데 사용되는 기계가 통행할 수 있는 폭으로 구비될 수 있다. 통로부(600)는 내측벽(500)의 외측에 구비되고, 평탄한 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추가적으로, 통로부(600)는 화물 이송 환경에 따라,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passage portion 60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operator can pass outside the inside wall 500. For this purpose, the passage portion 600 has a width sufficient for an operator to easily pass through.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passage portion 600 may be provided not only for the operator, but also for the machine to be used for repairing or cleaning the conveyor 200 to pass therethrough. The passage portion 600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wall 500 and is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In addition, the passage portion 600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according to the cargo transferring environment.

외측벽(700)은 작업자가 컨베이어(200)의 수리 또는 청소 또는 통로부(600) 상에서 통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통로부(6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선박이 접안하는 해안가에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 장치가 설치되었을 때, 작업자는 외측벽(700)을 통해 작업 도중에 바다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측벽(700)은 통로부(600)의 외측에 구비된다. 외측벽(700)의 높이는 작업자가 통로부(600)에서 쉽게 이탈될 수 없는 정도의 높이로 구비되고,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외측벽(700)은 작업자의 평균 신장의 0.8배만큼의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외측벽(700)은 컨베이어(200)의 측면방향으로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바람을 1차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내측벽(500)이 접하게 되는 이물질의 농도 또는 바람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outer wall 700 prevents an operator from separating from the passageway 600 in the process of repairing or cleaning the conveyor 200 or traveling on the passageway 600. For example, when the cargo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aterfront where the ship is bending, the operator can prevent the worker from falling down to the sea during work through the outer wall 700. To this end, the outer wall 700 is provided outside the passage portion 600. The height of the outer side wall 700 is set to a height that can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passageway 600 by the operator.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outer side wall 700 is provided at a height of 0.8 times the average height of the worker . The outer side wall 70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so as to primarily prevent foreign matter or wind flow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veyor 20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the foreign matter or the strength of the wind which the inner wall 500 is in contact with.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8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800)의 벌어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showing a cover part 8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a spreading of the cover part 8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커버부(800)는 컨베이어(200)의 상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화물 전달부(100)를 수용한다. 커버부(80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좌우측 상단 프레임(310a, 310b)의 상면에 위치한다. 즉, 커버부(800)는 상단 프레임(310)의 위치에 따라 좌측 커버부(800a) 및 우측 커버부(800b)로 구분될 수 있다. The cover unit 800 accommodates the cargo transfer unit 100 while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or win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nveyor 200. [ The cover portion 80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upper frames 310a and 310b. That is, the cover part 800 can be divided into a left cover part 800a and a right cover part 800b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pper frame 310. [

도면을 참고했을 때, 좌측 커버부(800a)는 좌측에 구비되는 상단 프레임(310a)의 상면에 위치되고 우측으로 신장되고, 우측 커버부(800b)는 우측에 구비되는 상단 프레임(310b)의 상면에 위치되고 좌측으로 신장된다. 여기서, 각각의 커버부(800a, 800b)는 서로 그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겹치도록 신장되고, 각각의 커버부(800a, 800b)가 겹치는 길이는 각각의 커버부(800a, 800b)의 너비보다 작도록 구비된다. 이는 각각의 커버부(800a, 800b)의 사이로 이물질 또는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커버부(800)는 탄성의 가지는 재질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커버부(800a, 800b)는 화물 전달부(100)가 유입될 때, 상측 또는 하측으로 벌어지고, 화물 전달부(100)가 커버부(800a, 800b)의 상측으로 이동했을 때,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구될 수 있다.The left cover part 800a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310a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is extended to the right side and the right side cover part 800b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310b provided on the right side. And is extended to the left. Here, each of the cover portions 800a and 800b is elongated such that a part of each of the cover portions 800a and 800b overlaps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the overlapping lengths of the cover portions 800a and 800b are smaller than the widths of the cover portions 800a and 800b Respectively. This is to prevent foreign matter or wind from flowing into each of the cover portions 800a and 800b. 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8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Each of the cover parts 800a and 800b extends upward or downward when the cargo transferring part 100 flows in and the cargo transferring part 100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cover parts 800a and 800b ,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ity.

화물 전달부(100)의 하단은 컨베이어(200)에 화물을 떨어트리기 위해, 커버부(800)의 하측으로 하강한다. 상세하게, 화물 전달부(100)는 좌측 커버부(800a) 및 우측 커버부(800b)가 겹치는 위치로 하강하여 삽입된다. 따라서, 화물 전달부(100)가 하측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좌측 커버부(800a) 및 우측 커버부(800b)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벌어진다. 이 때, 좌측 커버부(800a) 및 우측 커버부(800b)가 벌어지는 정도는 화물 전달부(100)가 삽입되는 정도이다. 따라서, 화물 전달부(1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바람 또는 이물질이 컨베이어(200)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cargo transferring part 100 desc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cover part 800 to drop the cargo to the conveyor 200. [ In detail, the cargo transfer unit 100 is lowered to a position where the left cover part 800a and the right cover part 800b overlap. Therefore, the left cover portion 800a and the right cover portion 800b open upward or downward due to the force that the cargo transferring portion 100 presses downward. At this time, the extent to which the left cover part 800a and the right cover part 800b are opened is the extent to which the freight transfer part 100 is inser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ow of wind or foreign matter into the conveyor 200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argo transfer unit 100.

컨베이어(200) 상에 화물을 모두 하역한 화물 전달부(100)는 다시 커버부(800)의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벌어졌던 좌측 커버부(800a) 및 우측 커버부(800b)는 각각의 커버부(800a, 800b)가 구비한 탄성력에 의해 화물 전달부(100)의 삽입 전으로 복구된다.The cargo transfer unit 100 that has been unloaded on the conveyor 200 is lifted up to the upper side of the cover unit 800 so that the left cover unit 800a and the right cover unit 800b, The cover parts 800a and 800b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before insertion of the cargo transfer part 100 by the elastic force.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전달부(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5 is a view showing a cargo transfer unit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전달부(100`)는 하단이 소정의 경사각(d)을 갖도록 절단되어 구비된다. 상세하게, 화물 전달부(100`)의 하단은 비스듬히 절단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는 후술할 수용부(900)에 보다 큰 힘을 가하여 수용부(900)를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화물 전달부(100`)가 수용부(900)에 가하는 힘이 부족하여 화물을 컨베이어(200) 상에 떨어트리지 못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서 후술할 수용부(900)는 상승가압부재(920)에 의해 평소에는 폐쇄되어 있다. 화물 전달부(100`)의 하단이 하강하며 수용부(900)에 하측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순간 열리고, 직후부터는 수용부(900)의 내측면과 화물 전달부(100`)의 외측면이 서로 접촉하므로, 컨베이어(200)로 유입되는 바람 및 이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cargo transfer par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d. Specifically, the lower end of the cargo transfer unit 100 'is provided in an oblique cut shape. This is to easily open the accommodating portion 900 by applying a greater force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90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cargo transfer part 100 'does not drop the cargo on the conveyor 200 due to insufficient force applied to the storage part 900. 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ortion 900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6 and 17 is normally closed by the ascent member 920. Fig. The lower end of the cargo transfer part 100 is lowered and opened momentarily as the force is applied to the receiving part 900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immediately thereafter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900 and the outer side of the cargo transfer part 100 ' So that wind and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conveyor 200 can be minimized.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800`) 및 수용부(9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9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ver part 800 'and a receiving part 9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view showing a receiving part 9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커버부(80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좌우측 상단 프레임(310a, 310b)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 커버부(800`)의 저면의 일부는 좌우측 상단 프레임(310a, 310b)의 상면과 접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800`)가 좌우측 상단 프레임(310a, 310b)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은, 후술할 수용부(900)의 존재로 인해 커버부(8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벌어질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커버부(800`)에서 수용부(900)가 배치되는 곳은 개구된다.The cover portion 80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upper frames 310a and 310b. In detail,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art 800 'abuts the upp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upper end frames 310a and 310b. The cover part 8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upper end frames 310a and 310b because the cover part 800' There is no need to open upwards or downwards. Accordingly, a portion where the accommodating portion 900 is disposed in the cover portion 800 'is opened.

커버부(800`)는 수용부(900)를 더 포함한다. 수용부(900)는 화물 전달부(100`)가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바람 및 이물질이 컨베이어(200)에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구성이다. 수용부(900)는 내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이는 컨베이어(200)에 화물을 하역하는 화물 전달부(1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므로, 화물 전달부(100`)의 하단의 형상에 따라 수용부(900)는 사각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900)의 하단은 커버부(8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900)는 삽입된 화물 전달부(100`)의 하단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수평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어 화물 전달부(100`)가 수용부(900) 내부에서 보다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900)는 후술할 상승가압부재(920)가 내장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수용홈(901)을 구비한다. 수용홈(901)이 구비됨에 따라, 수용부(900)의 상면 중 일부(이하, 개폐부(910)로 명명하여 설명한다.)가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상승가압부재(920)가 수용홈(901)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개폐부(910)는 보다 더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The cover portion 800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900. The receiving part 900 is provided to insert the cargo transfer part 100 'so as to minimize the inflow of wind and foreign matter into the conveyor 200. The accommodating portion 90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with an opened inside and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cargo transferring portion 100` for loading the cargo into the conveyor 200. Therefore, The receiving portion 900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pillar. 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7,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900 may be provid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800 '. Accordingly, the receiving part 900 can provide a guide to preven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wer end of the inserted freight transmission part 100 'in the descending direction, so that the freight transfer part 100' As shown in Fig. The receiving portion 90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901 on the inner side thereof so that the upward pressing member 92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embedded. The upward pressing member 9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910 when the receiving groove 901 is provided and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9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910) 901,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910 can be inclined further downward.

개폐부(910)는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수용부(90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상세하게, 도 17을 참조하면, 개폐부(910)는 수용부(900)의 상면에 내설되어 구비되고, 수용부(900)의 좌측 상단에는 제 3 힌지(930)가 구비되어 개폐부(910)와 연결된다. 따라서, 개폐부(910)는 제 3 힌지(930)의 힌지 운동에 의해, 제 3 힌지와 힌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부분(910a)이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이에 따라, 수용부(900)는 화물 전달부(100)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910)는 화물 전달부(100)에 의해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과정에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도 18에서 후술할 개폐부(910)의 개폐과정에서 수용부(900)의 내측면에 의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화물의 하역이 완료된 화물 전달부(100`)가 상측으로 이동할 시, 하측으로 기울어져 있던 개폐부(910)가 상측으로 기울어져 본래의 위치로 복귀해야 수용부(900)의 내부로 바람 및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데, 개폐부(910)를 본래의 위치로 복구시키는 구성은 상승가압부재(920)이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910 may be inclined downward to enter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art 900. 17,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9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900 and the third hinge 930 is provid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receiving part 90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910. [ . Accordingly, the opening / closing part 910 is inclined downward by the hinge movement of the third hinge 930 so that the part 910a which is not hinged to the third hinge is inclined downward, The lower end of the unit 100 can be received.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910 may have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bent in a process of being tilted downward by the cargo transfer part 100. This is to prevent the opening / closing part 910 from being broken by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900 in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9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When the cargo transfer unit 100 ', which has been unloaded, moves upwar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910, which has been tilted downward, tilts upwar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so that wind and foreign matt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9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is the upward pressing member 920. [

상승가압부재(920)는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은 수용부(900)의 내측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개폐부(910)의 저면과 연결된다. 상승가압부재(920)는 탄력을 구비함에 따라, 개폐부(910)를 상측으로 가압한다. 상세하게, 상승가압부재(920)는 제 3 힌지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부분(910a)을 상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별도의 외력이 개폐부(910)에 가해지지 않을 시, 개폐부(910)는 상면이 수용부(60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The upward pressing member 9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pr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9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910. The upward pressing member 920 presses the opening / closing part 910 upward as the pressing member 920 has elasticity. Specifically, the upward pressing member 920 presses the portion 910a to which the third hinge is not connected upward. Accordingly, when a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opening / closing part 910, the opening / closing part 910 is disposed such that its upper surface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600.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900)가 화물 전달부(100`)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8 is a view showing that the accommodating portion 9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by the cargo transfer portion 100 '.

도 18에서 개폐부(910)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개폐부(910) 및 상승가압부재(920)를 부각하여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개폐부(910)는 실제로 상면이 화물 전달부(100`)의 외측면과 맞닿을 정도로 기울어져 개폐부(910)와 화물 전달부(100`) 사이로 바람 및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910 and the upward pressing member 920 are shown as being emphasized in order to express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910 is inclined downward in FIG. 18,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clined enough to com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argo transferring part 100 'so as to prevent wind and foreign matter from flowing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910 and the cargo transferring part 100'.

화물 전달부(100`)가 하강함에 따라, 화물 전달부(100`)의 하단은 개폐부(91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개폐부(910)는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상승가압부재(920)는 수축하여 수용부(900) 내부의 수용홈(901)에 배치된다. 도 16 및 도 17에서 선술했듯이, 개폐부(910)가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과정에서, 개폐부(910)는 탄성을 구비하므로 저면은 수용부(900)의 내측면과 맞닿고, 상면은 화물 전달부(100`)의 상면과 맞닿는다. 이에 따라, 화물 전달부(100`)는 수용부(900)를 통과하고, 컨베이어(200)의 상측에 접근하여 화물을 컨베이어(200) 상에 떨어트린다.As the cargo transferring part 100 'descends, the lower end of the cargo transferring part 100' presse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910 downward. Accordingly, the opening / closing part 910 is inclined downward, and the upward pressing member 920 contracts and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901 in the receiving part 900. [ 16 and 17, the opening / closing part 910 is resilient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part 9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900 while the opening / closing part 910 is inclined downward, (100 '). Accordingly, the cargo transfer part 100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part 900, approaches the upper side of the conveyor 200, and drops the cargo onto the conveyor 200.

화물의 하역을 모두 마친 화물 전달부(100`)는 상측방향으로 상승하여 수용부(900)의 상측에 배치되고, 개폐부(910)는 상승가압부재(920)가 구비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기울어져 본래의 위치로 복귀한다.The load transfer unit 100 'which has completed the unloading of the cargo is lifted upward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unit 900.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910 is inclin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upward urging member 920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화물 전달부(100`)에 의해 수용부(900)가 개폐됨으로써, 평소에는 바람 및 이물질이 컨베이어(200)에 유입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910)는 화물이 하역 시에만 화물 전달부(100)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종래의 화물 이송 장치가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에서 바람 및 이물질이 컨베이어(200)에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200)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컨베이어(200)의 구동 시간을 최대로 늘릴 수 있고, 컨베이어(200) 상에 떨어져 제 1 방향(a)으로 이송되는 화물에 대한 품질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석탄과 같은 연료를 이송할 때, 석탄이 컨베이어(200) 상에 떨어지면서 바람이 유입되지 않아 컨베이어(200)의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연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By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900 by the cargo transferring portion 10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nd and foreign matter from being minimally introduced into the conveyor 200.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910 is opened by the cargo transferring part 100 only when the cargo is unloaded, thereby preventing wind and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conveyor 200 in the process of unloading cargo in the conventional cargo transferring device can do. Accordingly, the failure of the conveyor 200 can be minimized, and the driving time of the conveyor 200 can be maximized, and the quality of the cargo conveyed in the first direction (a) . In particular, when a fuel such as coal is convey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al from being scattered to the outside of the conveyor 200 because the coal does not flow on the conveyor 200, thereby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minimizing fuel loss can do.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above-mentioned patent claim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system, the methods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flowchart as a series of steps or block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the steps, and some steps may occur in different orders . It will als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teps shown in the flowchart are not exclusive and that other steps may be included or that one or more steps in the flowchart may be deleted without affec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8)

화물을 컨베이어(200)로 떨어트리는 화물 전달부(100), 화물을 제 1 방향(a)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200), 및 상기 컨베이어(200)의 좌우측에 각각 상기 제 1 방향(a)으로 신장되어 구비되는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을 포함하는 화물 이송 장치로서,
상기 상단 프레임(310)과 하단 프레임(320) 사이에 둘 이상 제 1 방향(a)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을 따라 가이드 운동하는 둘 이상의 지지부(400); 및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400) 사이에 구비되고 양측면이 각각 지지부(400)와 힌지 연결되는 판 형상의 내측벽(500);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500)은 상기 지지부(400)의 가이드 운동에 따라 제 1 방향(a)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 장치.
A cargo transfer unit 100 for transferring cargo to a conveyor 200, a conveyor 200 for transferring cargo in a first direction a, and a conveyor 200 for transferring the cargo in a first direction a, 1. A cargo transfer apparatus including an upper frame (310) and a lower frame (320)
Two or more supporting portions 400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 between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and guided along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 And
And a plate-shaped inner side wall (500) provided between the two or more supporting portions (400) and having both side surfaces thereof hinged to the supporting portion (400)
Wherein the inner wall (500) is folded or unfolded in a first direction (a) according to the guide movement of the support part (4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500)의 외측에는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통로부(600)를 사이에 두고 판 형상의 외측벽(7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ate-shaped outer side wall (700) is further provided on an outer side of the inner side wall (500) with a passage part (600) through which a worker can pas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0)는 봉 형상이고 일단 및 타단은 T자 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단 프레임(310) 및 하단 프레임(320)은 상기 지지부(400)의 T자형 일단 및 타단이 삽입되어 제 1 방향(a)으로 가이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홈(311, 3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pporting part 400 may have a bar shape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may be T-
The upper frame 310 and the lower frame 320 are provided with guide grooves 311 and 321 through which the T-shape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400 are inserted and can be guided in the first direction a. Cargo transfer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 좌우측 상단 프레임(310)의 상면에 위치하는 판 형상의 커버부(8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800)는 좌측 커버부(800a) 및 우측 커버부(800b)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커버부(800a)와 우측 커버부(800b)는 각각의 너비보다 작은 길이만큼 서로 상하방향으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Like cover portion 800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upper frames 310, respectively,
The cover portion 800 includes a left cover portion 800a and a right cover portion 800b,
Wherein the left cover part (800a) and the right cover part (800b) overlap each other by a leng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left cover part (800a) and the right cover part (800b).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전달부(100)는 상기 좌측 커버부(800a)와 우측 커버부(800b)가 겹치는 위치에 삽입되고,
상기 좌측 커버부(800a)와 우측 커버부(800b)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argo transfer unit 100 is inserted at a position where the left cover part 800a and the right cover part 800b overlap each other,
Wherein the left cover part (800a) and the right cover part (800b) extend upward or downwar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전달부(100)는 깔때기 형상의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11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110)의 직경은 좌우측 상단 프레임(310a, 310b) 사이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argo transfer unit 100 further includes a funnel-shaped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110,
Wherein the diameter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mber (110) is larger than the length between the left and right upper frames (310a, 310b).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 좌우측 상단 프레임(310a, 310b)의 상면에 위치하는 판 형상의 커버부(800`)를 포함하고,
화물 전달부(100`)의 하단은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절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Shaped cover portion 800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upper frames 310a and 310b, respectively,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cargo transfer unit 100 'is cut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800`) 상에 구비되고, 상면이 상기 화물 전달부(100`)의 하단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개폐되는 원통 형상의 수용부(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 And a cylindrical receiving part (900) provided on the cover part (800 ') and whose upper surface is pressed downward by the lower end of the cargo transferring part (100') to be opened and closed. Device.
KR1020170116683A 2017-09-12 2017-09-12 A freight transport device KR1019802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683A KR101980235B1 (en) 2017-09-12 2017-09-12 A freight transpor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683A KR101980235B1 (en) 2017-09-12 2017-09-12 A freight transpor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295A true KR20190029295A (en) 2019-03-20
KR101980235B1 KR101980235B1 (en) 2019-05-20

Family

ID=6603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683A KR101980235B1 (en) 2017-09-12 2017-09-12 A freight transpor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235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201Y1 (en) * 2000-01-17 2000-07-15 손종호 protection cover of a raw meterial input conveyor belt and automatic switchgear
KR20040000999A (en) * 2002-06-26 2004-01-07 주식회사 포스코 Upper cover of conveyor-belt with a function of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JP2006143416A (en) * 2004-11-22 2006-06-08 Aron Kasei Co Ltd Lid of refuse container and refuse container
KR20110060009A (en) * 2009-11-30 2011-06-08 현대제철 주식회사 Cover device of belt conveyor
KR20120031573A (en) * 2010-09-27 2012-04-04 박효석 Easy opening double folding door
KR20120047091A (en) 2010-11-03 2012-05-11 주식회사 포스코 Device for covering belt conveyor
KR101398349B1 (en) * 2012-07-06 2014-05-22 주식회사 포스코 Belt of belt conveyor and belt conveyor using the same
KR101463348B1 (en) 2013-07-29 2014-11-19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rainwater blocking of belt conveyo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201Y1 (en) * 2000-01-17 2000-07-15 손종호 protection cover of a raw meterial input conveyor belt and automatic switchgear
KR20040000999A (en) * 2002-06-26 2004-01-07 주식회사 포스코 Upper cover of conveyor-belt with a function of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JP2006143416A (en) * 2004-11-22 2006-06-08 Aron Kasei Co Ltd Lid of refuse container and refuse container
KR20110060009A (en) * 2009-11-30 2011-06-08 현대제철 주식회사 Cover device of belt conveyor
KR20120031573A (en) * 2010-09-27 2012-04-04 박효석 Easy opening double folding door
KR20120047091A (en) 2010-11-03 2012-05-11 주식회사 포스코 Device for covering belt conveyor
KR101398349B1 (en) * 2012-07-06 2014-05-22 주식회사 포스코 Belt of belt conveyor and belt conveyor using the same
KR101463348B1 (en) 2013-07-29 2014-11-19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rainwater blocking of belt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235B1 (en) 201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6298C2 (en) Hinged wall
CA2269236C (en) High speed tilted belt sorter
ATE406331T1 (en) DEVICE FOR SORTING PRODUCTS
KR102232446B1 (en) Goods classification device
KR101980235B1 (en) A freight transport device
KR20070008040A (en) Damaging detection apparatus of belt conveyer
KR100323060B1 (en) A guide device for preventing a belt meander of a comveror belt
KR100919605B1 (en) Apparatus for sorting recycled product using double conveyer
US8074784B2 (en) Conventional table for testing lights along a conveyor path
KR102213981B1 (en) Waste removing apparatus for skirt of belt-conveyor
KR100924233B1 (en) Eccentric adjustment device of transport material for belt conbeyor
KR101463348B1 (en) Apparatus for rainwater blocking of belt conveyor
KR100895078B1 (en) Upper cover of conveyor-belt with a function of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KR101844314B1 (en)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Plural of Materials to Each Processing Machine Automatically
CN220795076U (en) Glass bottle check out test set
CN112642720A (en) Cross belt sorting machin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KR101158680B1 (en) Vision inspection apparatus for flat type frame
KR980000630A (en) Automatic mail sorting device
CN220948939U (en) Carton recovery device
KR20060074653A (en) Triangle cleaner for sweeping belt surface of conveyor equipment
KR101391182B1 (en) Screening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boxes
JPH04201078A (en) Work bench
US20140339052A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for transporting and for processing, printed circuit boards
KR100928573B1 (en) Covering device for conveyor for raw material transfer
CN110733830A (en) conveyer bel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