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929A -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929A
KR20190028929A KR1020170115843A KR20170115843A KR20190028929A KR 20190028929 A KR20190028929 A KR 20190028929A KR 1020170115843 A KR1020170115843 A KR 1020170115843A KR 20170115843 A KR20170115843 A KR 20170115843A KR 20190028929 A KR20190028929 A KR 20190028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module
voltage
generator
resis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252B1 (ko
Inventor
유영석
정승범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2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3/084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H05B33/0806

Abstract

본 발명은 무빙워크의 핸드 레일에 설치되어 핸드 레일에 살균광을 조사하는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무빙워크의 핸드 레일의 속도에 따라 엘이디 모듈을 3가지의 모드로 구동시키는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별도의 전원을 구비하지 않고도, 무빙워크의 동력으로부터 전력을 생성하여 엘이디 모듈을 구동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LED modul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무빙워크의 핸드 레일에 설치되어 핸드 레일에 살균광을 조사하는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무빙워크의 핸드 레일의 속도에 따라 엘이디 모듈을 3가지의 모드로 구동시키는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빙워크(moving walk)는 승객을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편리하게 연속적으로 실어 나르기 위한 기계장치이다.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건물이나 백화점 또는 여객터미널 등에는 층간 유동인구의 수송능력을 최대한 높여주기 위해 무빙워크를 설치하여 운용한다. 항공여객 터미날 등에서는 평면이동 간에 즉,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하여 유동인구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무빙워크가 설치된다.
무빙워크에는 이동하는 사람들이 손으로 잡고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핸드레일의 설치가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무빙워크를 이용하여 층간을 이동하거나 무빙 워크를 이용하여 평면간을 이동할 경우 측면에 구비된 핸드레일을 잡고 이동하게 된다. 핸드레일은 많은 사람들의 손으로부터 묻어나는 분비물이나 땀 등으로 매우 비위생적이고 불결해지게 되고 급기야는 세균이 번식하는 장소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운영자가 직접 세제를 뿌려 닦아내는 방법을 주로 채택하여 왔으나 점성이 있는 얼룩 등은 제거 자체가 어렵고 핸드레일 표면을 통해 세균이 전파되는 것을 막기는 어려웠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별도의 전원을 구비하지 않고도, 무빙워크의 동력으로부터 전력을 생성하여 엘이디 모듈을 구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무빙워크의 핸드레일이 저속으로 동작하더라도, 엘이디 모듈에서 자외선 광이 조사되도록 구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무빙워크의 핸드레일 속도에 따라 엘이디 모듈을 3가지의 모드로 구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들로만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는 회전 운동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에서 출력하는 전압으로 구동되는 엘이디 모듈; 및 상기 발전기에서 출력하는 전압을 상기 엘이디 모듈이 동작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엘이디 모듈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엘이디 모듈에 전압을 공급하는 엘이디 모듈 구동부 및 상기 발전기의 출력 전압을 상기 엘이디 모듈 구동부의 입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전압 주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전압 주입부는 상기 발전기의 출력 전압을 분배하는 제 1 저항 및 제 2 저항; 및 상기 제 1 저항 및 제 2 저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제 6 커페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 모듈은,상기 발전기 출력에 따른 전력 변환부의 입력 전압이 상한 기준치 이상이면 고출력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압이 하한 기준치 미만이면 오프 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압이 상기 상한 기준치와 상기 하한 기준치 사이일 경우 상기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압에 비례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엘이디 모듈은 100 내지 400nm의 파장 범위를 가지는 광을 출력한다.
상기 하한 기준치는 5 내지 6V이다.
상기 상한 기준치는 10 내지 30V이다.
상기 제 1 저항과 제 2 저항의 크기비는3:1 내지 7:1이다.
상기 발전기가 출력하는 과전압을 차단하는 전원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 입력부는, 상기 발전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 4 다이오드; 및 상기 제 4 다이오드와 병렬 연결된 제 7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입력부는, 하나의 단자가 상기 발전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 입력부는, 일단이 상기 발전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 10 저항; 및 캐소드가 상기 제 10 저항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 3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 기계 장치는 복수의 핸드 레일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핸드 레일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핸드레일 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회전 운동을 하는 복수의 핸드 레일; 및 상기 복수의 핸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계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을 구비하지 않고도, 무빙워크의 동력으로부터 전력을 생성하여 엘이디 모듈을 구동시킨다.
본 발명은 무빙워크의 핸드레일이 저속으로 동작하더라도, 엘이디 모듈에서 자외선 광이 조사되도록 구동시킨다.
본 발명은 무빙워크의 핸드레일 속도에 따라 엘이디 모듈을 3가지의 모드로 구동시킨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컨베이어벨트 기계 장치와 상기 컨베이어벨트 기계 장치에 장착된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를 도시 한다.
도 2는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가 포함하는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의 세부구성 및 세부구성이 실장된 기판의 일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의 세부구성 및 세부구성이 실장된 기판의 타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들과는 상관없이 이 구성요소를 반드시 포함한다는 의미이지 다른 구성 요소들의 포함 가능성을 배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명세서 전체에서 신호는 전압이나 전류 등의 전기량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컨베이어벨트 기계 장치와 상기 컨베이어벨트 기계 장치에 장착된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의 예를 도시 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 기계 장치는 예를 들어 무빙워크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 무빙워크의 핸드레일에 적용된다. 무빙워크는 출입하는 사람을 이송시키는 계단부(13), 상기 계단부(13)의 양단에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핸드레일(11), 상기 핸드레일(11)을 지지하는 핸드레일 플레이트(12)로 구성될 수 있다.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는 도 1을 참조하였을 때, 상기 핸드레일(11)의 일부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핸드레일(11)의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무빙워크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손이 상기 핸드레일(11)에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핸드레일(11)은 상기 무빙워크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도록 상기 핸드레일(11)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는 핸드레일 플레이트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무빙워크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방법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는 모터가 출력하는 전기에너지를 변환하여 엘이디 모듈(150)을 구동시킨다. 무빙워크의 추가적인 개조나 변형 없이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를 결합시킬 수 있고, 무빙워크의 핸드 레일에 서식하는 다양한 종류의 세균을 살균시킴으로써, 핸드 레일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가 포함하는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의 세부 구성이 어떤 회로 소자를 포함하는지 상세하게 도시한다.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는 회전 운동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110); 상기 발전기(110)에서 출력하는 전압으로 구동되는 엘이디 모듈(150); 및 상기 발전기(110)에서 출력하는 전압을 상기 엘이디 모듈(150)이 동작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엘이디 모듈(150)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변환부(140)는 상기 엘이디 모듈(150)에 전압을 공급하는 엘이디 모듈 구동부(U1) 및 상기 발전기(110)의 출력 전압을 상기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입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전압 주입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전압 주입부(130)는 상기 발전기(110)의 출력 전압을 분배하는 제 1 저항 및 제 2 저항(R1, R2); 및 상기 제 1 저항 및 제 2 저항(R1, R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제 6 커페시터(C6);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 모듈(150)은,상기 발전기(110) 출력에 따른 전력 변환부(140)의 입력 전압이 상한 기준치 이상이면 고출력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발전기(110)가 출력하는 전압이 하한 기준치 미만이면 오프 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발전기(110)가 출력하는 전압이 상기 상한 기준치와 상기 하한 기준치 사이일 경우 상기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압에 비례하도록 구동된다.
발전기(110)는 핸드 레일의 구동에 따른 회전 운동을 전원으로 변환시킨다. 발전기(110)는 핸드 레일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서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로 공급한다. 발전기(110)는 핸드 레일의 구동 속도에 기초하여 상이한 전압을 출력한다.
전력 변환부(140)는 발전기(110)가 출력하는 전압에 기초하여, 엘이디 모듈(150)을 고출력 모드로 구동시키거나, 엘이디 모듈(150)을 오프 시키거나, 엘이디 모듈(150)이 출력하는 광량이 발전기(110)의 출력 전압에 비례하도록 구동시킨다. 즉, 전력 변환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전기(110) 출력 전압에 따라 3가지 모드로 엘이디 모듈(15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무빙워크에 출입한 경우 핸드 레일은 정상 속도로 동작할 수 있고, 사람이 무빙워크에 출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무빙 워크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어 핸드 레일은 저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핸드 레일이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는 엘이디 모듈(150)을 구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핸드 레일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핸드 레일의 속도가 20m/min을 초과하도록 동작하는 경우, 상기 발전기(110)는 10V 이상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 레일의 속도가 20m/min을 초과하도록 동작하면, 초과된 양에 비례하여 발전기(110)는 10V보다 더 큰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핸드 레일 구동 모터는 상기 핸드 레일을 회전시킨다. 상기 핸드 레일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발전기 즉, 전력 변환부(140)의 입력 전압에 따라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는 고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고출력 모드, 상기 입력 전압에 비례하여 밝기가 제어되는 디밍 모드 및 엘이디 모듈이 오프되는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발전기(110)가 출력하는 전압은 핸드 레일의 속도에 비례하는 값으로, 발전기의 종류에 따라 출력하는 전압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는 0 내지 30V 이상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40)는 발전기(110)의 출력에 따른 입력 전압이 상한 기준치 이상이면 엘이디 모듈(150)을 고출력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한기준치는 10 내지 30V일 수 있다. 후술되는 엘이디 모듈(150)이 방출하는 광량은 상기 고출력 모드로 구동되는 엘이디 모듈(150)이 조사하는 광량을 기준으로, 그에 대한 상대값으로 설명한다.
전력 변환부(140)는 상기 발전기(110)가 출력하는 전압이 하한 기준치 미만이면 엘이디 모듈(150)을 오프 시킨다. 상기 하한 기준치는 5V 내지 6V일 수 있다. 상기 하한 기준치는 자세하게는 5.3V일 수 있다. 엘이디 모듈(150)이 오프되면, 엘이디 모듈(150)이 조사하는 광량은 상기 고출력 모드로 구동되는 엘이디 모듈(150)이 조사하는 광량의 0퍼센트일 수 있다.
전력 변환부(140)는 상기 발전기(110)가 출력하는 전압이 하한 기준치 및 상한 기준치 사이이면 엘이디 모듈(150)의 출력이 상기 전압에 비례하도록 구동된다. 즉, 발전기(110)가 5.3V 이상 10V이하의 전압을 출력하면, 전력 변환부(140)는 전압크기에 비례하여 엘이디 모듈(150)을 구동시키고, 상기 엘이디 모듈(150)이 조사하는 광량은 상기 고출력 모드로 구동되는 엘이디 모듈(150)이 조사하는 광량의 0 내지 100%일 수 있다.
전력 변환부(140)가 엘이디 모듈(150)을 구동시키면, 상기 엘이디 모듈(150)은 100 내지 400nm의 파장 범위를 가지는 자외선 파장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엘이디 모듈(150)은 자외선 광을 조사함에 따라, 핸드 레일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종류의 세균을 살균시킬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40)는 상기 엘이디 모듈(150)에 전류/전압을 공급하는 엘이디 모듈 구동부(U1); 및 상기 발전기(110)의 출력 전류/전압을 상기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입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전압 주입부(130); 를 포함할 수 있다.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는 상기 엘이디 모듈(150)에 전류/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는 핸드 레일 동작 속도에 따른 발전기(110)의 출력 전류/전압으로부터 엘이디 구동 전압을 출력한다.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는 상기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로 입력되는 전류/전압을 강압시키는 스텝 다운 컨버터일 수 있고, 상기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로 입력되는 전류/전압을 승압하는 스텝 업 컨버터일 수 있다.
전류/전압 주입부(130)는 상기 발전기(110)의 출력 전류/전압을 상기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입력 전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류/전압 주입부(130)는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디밍(En/DIM) 단자로 변환된 전류/전압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디밍(En/DIM) 단자로 0.6V 이상의 전압이 입력되면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는 동작한다.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디밍(En/DIM) 단자로 0.7V 내지 1.4V의 전압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전류/전압에 비례하도록 엘이디 모듈(150)을 구동시킨다.
이때,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디밍(En/DIM) 단자로 1.4V 이상의 전압이 입력되면 엘이디 모듈(150)을 고출력 모듈로 동작시킨다. 고출력 모듈로 동작할 때의 엘이디 모듈(150)이 조사하는 광량은 상기 고출력 모드로 구동되는 엘이디 모듈(150)이 조사하는 광량의 100퍼센트일 수 있다.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디밍(En/DIM) 단자로 0.7V 내지 1.4V의 전압이 입력되면, 입력 전압에 비례하여 엘이디 모듈(150)은 구동한다. 이때 엘이디 모듈(150)이 출력하는 광량은 상기 고출력 모드로 구동되는 엘이디 모듈(150)이 조사하는 광량의 100퍼센트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앞서 상술된 전류/전압의 크기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된 전압의 크기는 발전기(110) 또는 엘이디 모듈 구동부(U1) 등의 가용 전압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은 하한 기준치 미만의 전압을 발전기가 출력하는 경우,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동작에 대한 설명이다.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디밍(En/DIM) 단자로 0.7V 미만의 전압이 입력되면 엘이디 모듈(150)은 오프된다.
발전기(110) 출력 전압이 상한 기준치와 하한 기준치 사이일 경우, 엘이디 모듈 구동부(U1)가 출력하는 광량은 상기 고출력 모드로 구동되는 엘이디 모듈(150)이 조사하는 광량의 20% 이상 내지 8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기(110) 출력 전압이 6.3V이면,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디밍(En/DIM) 단자로 0.84V의 전압이 입력되고, 이때 엘이디 모듈(150)의 광량 비율은 20%이고 출력 광량은 1.6mW일 수 있다.
발전기(110) 출력 전압이 7.3V이면,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디밍(En/DIM) 단자로 0.99V의 전압이 입력되고, 이때 엘이디 모듈(150)의 광량 비율은 41%이고 출력 광량은 3.3mW일 수 있다.
발전기(110) 출력 전압이 8.3V이면,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디밍(En/DIM) 단자로 1.14V의 전압이 입력되고, 이때 엘이디 모듈(150)의 광량 비율은 63%이고 출력 광량은 5mW일 수 있다.
상기 전류/전압 주입부(130)는 상기 발전기(110)의 출력 전압을 분배하는 제1 및 제2 저항(R1, R2);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저항(R1, R2)은 후술할 전원 입력부(120)를 경유한 발전기(110)의 출력 전압을 분배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저항(R1, R2)은 발전기(110)의 출력 전류/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전원 입력부(120)가 출력하는 전압을 분배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저항(R2)의 크기에 대한 상기 제 1 저항(R1)의 크기 비는 3:1 내지 7:1일 수 있다. 즉, 제 2 저항(R2)의 크기가 1일 때 제 1 저항(R1)의 크기는 3 내지 7일 수 있다. 제 1 저항(R1)과 제 2 저항(R2)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모든 소자의 값은 발전기(110)의 출력 전압을 변환하여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단자로 입력되는 전압 범위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정된 값이다.
상기 제 2 저항(R2)의 크기에 대비하여 상기 제 1 저항(R1)의 크기가 작아 짐에 따라, 상기 제 2 저항(R2)의 크기에 대한 상기 제 1 저항(R1)의 크기 비가 3:1 내지 7:1을 벗어나는 경우,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로 과도한 전류/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이디 모듈 구동부(U1)가 손상되어 동작에 차질이 생길 수 있고, 결국 엘이디 모듈(150)은 전압/전류를 공급받을 수 없어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2 저항(R2)의 크기에 대비하여 상기 제 1 저항(R1)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상기 제 2 저항(R2)의 크기에 대한 상기 제 1 저항(R1)의 크기 비가 3:1 내지 7:1을 벗어나는 경우,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로 충분한 전류/전압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는 불충분한 전류/전압을 출력하여 엘이디 모듈(150)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 1 저항(R1)은 22KΩ이고, 상기 제 2 저항(R2)는 3.9KΩ일 수 있다. 제 1 저항(R1)의 일단은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공급 전압(VDD)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저항(R2)의 일단 및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디밍((En/DIM) 단자와 연결된다.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공급 전압(VDD)단자로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동작 전압이 공급된다.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동작 전압은 예를 들어 4.5V 내지 55V일 수 있다.
제 2 저항(R2)의 일단은 제 1 저항(R1)의 타단 및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디밍(En/DIM) 단자와 연결되고, 제 2 저항(R2)의 타단은 제 1 접지(GND1)와 연결된다.
상기 전류/전압 주입부(130)는 상기 발전기(110)의 출력 전압을 분배하는 상기 제1 및 제2 저항(R1, R2); 및 상기 제1 및 제2 저항(R1, R2) 중 어느 하나의 저항과 병렬 연결된 제 6 커패시터(C6);를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저항(R1, R2)은 발전기(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변환하여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2번 및 디밍(En/DIM) 단자로 공급한다.
제 6 커패시터(C6)는 제 2 저항(R2)과 병렬 연결 될 수 있다. 제 6 커패시터(C6)의 일단은 제 2 저항(R2)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 6 커패시터(C6)의 타단은 제 2 저항(R2)의 타단 및 제 1 접지(GND1)와 연결된다.
제 6 커패시터(C6)는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디밍(En/DIM) 단자로 입력되는 전류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는 상기 발전기(110)가 출력하는 과전압을 차단하는 전원 입력부(120);를 더 포함한다. 전원 입력부(120)는 발전기(110)가 출력하는 전압에 노이즈를 제거하고, 정전기(ESD, Electrostatic Discharge)으로부터 전원 입력부(120) 및 전원 입력부(120)의 출력단에 연결된 소자를 보호한다.
상기 전원 입력부(120)는 상기 발전기(110)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 4 다이오드(TVS1); 및 상기 제 4 다이오드(TVS1)와 병렬 연결된 제 7 커패시터(TC1);를 포함한다. 제 4 다이오드(TVS1)는 발전기(11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하여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를 보호한다.
제 4 다이오드(TVS1)에 36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도통되어 전류가 모두 제 4 다이오드(TVS1)를 통해 제 1 접지(GND1)로 흐른다. 제 4 다이오드(TVS1)에 36V 이상의 전압이 걸리면 36V의 전압을 출력하고 36V 이하의 전압이 걸리면 36V 이하의 전압을 출력한다.
제 7 커패시터(TC1)의 일단은 제 4 다이오드(TVS1)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 7 커패시터(TC1)의 타단은 제 4 다이오드(TVS1)의 타단과 연결된다. 제 7 커패시터(TC1)는 발전기(110)의 출력 전압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하고, 발전기(110) 출력 전압의 급격한 변화에도 안정적인 전압을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로 공급하는 버퍼 역할을 한다.
제 7 커패시터(TC1)의 소자값 범위는 33uF+-10%일 수 있다. 제 7 커패시터(TC1)의 소자값이 상한치를 초과 하면, 발전기 초기 동작에 따른 돌입전류(Inrush current)가 커질 수 있다. 돌입전류가 커짐에 따라,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가 포함하는 소자가 손상될 수 있다. 제 7 커패시터(TC1)의 소자값이 하한치 미만인 경우, 전류에 포함된 리플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원 입력부(120)는, 하나의 단자가 상기 발전기(110)의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1)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나의 단자는 도 3에 도시된 3번 단자일 수 있다.
스위칭 소자(Q1)는 접합형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 또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일 수 있다.
발전기(110)가 출력한 전압에 따라 제 10 저항(R10)으로 흐른 전류는 스위칭 소자(Q1)의 1번 단자인 베이스로 입력되어 스위칭 소자(Q1)는 턴온(turn-on)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입력부(120)는, 일단이 상기 발전기(110)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 10 저항(R10); 및 캐소드가 상기 저항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 3 다이오드(D3)를 포함한다.
제 10 저항(R10)의 일단은 발전기(110)의 1번 단자 및 스위칭 소자(Q1)의 3번 단자와 연결된다. 제 10 저항(R10)의 타단은 스위칭 소자(Q1)의 1번 단자 및 제 3 다이오드(D3)의 캐소드와 연결된다.
제 10 저항(R10)의 소자값 범위는 3.9KΩ+-1%일 수 있다. 제 10 저항(R10)의 소자 값이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 제 3 다이오드(D3)로 허용 전류 범위 미만의 전류가 입력되어, 제 3 다이오드(D3)는 더 이상 정전압을 유지 할 수 없다.
제 10 저항(R10)의 소자 값이 하한치 미만인 경우, 제 3 다이오드(D3)에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가 커서 제 3 다이오드(D3)의 수명 단축 및 파손의 우려가 있다.
제 10 저항(R10)은 스위칭 소자(Q1) 및 제 3 다이오드(D3)에 과전류가 입력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3 다이오드(D3)는 제너 다이오드일 수 있다. 제 3 다이오드(D3)의 캐소드의 양전압, 애노드에 음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인가된 전압에 비례하여 제 3 다이오드(D3) 양단 전압이 상승하다가 특정 전압 이상이 되면 제 3 다이오드(D3)가 도통되어 전압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상기 특정 전압은 30V일 수 있다. 제 3 다이오드(D3)는 정전압 다이오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엘이디 모듈(150) 장치는 제 2 다이오드(D2)를 더 포함한다. 발전기(110)가 역방향 전류를 출력한 경우, 제 2 다이오드(D2)는 엘이디 모듈(150)로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다이오드(D2)는 전력 변환부(140)가 포함하는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다이오드(D2)의 캐소드가 발전기(110)의 공급 전압(VDD)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라면 위치의 제한은 없다.
엘이디 모듈(150) 장치는 일단이 스위칭 소자(Q1)의 공급 전압(VDD)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접지(GND1)와 연결된 제 1 커패시터(C1)을 더 포함한다. 제 1 커패시터(C1)은 4.7uF일 수 있다. 제 1 커패시터(C1)는 스위칭 소자(Q1)에서 출력된 전류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한다.
제 1 커패시터(C1)의 소자값 범위는 4.7uF+-20%일 수 있다. 제 1 커패시터(C1)의 소자값 이 상한치를 초과 하면, 발전기 초기 동작에 따른 돌입전류(Inrush current)가 커질 수 있다. 돌입전류가 커짐에 따라,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가 포함하는 소자가 손상될 수 있다. 제 1 커패시터(C1)의 소자값이 하한치 미만인 경우, 전류에 포함된 리플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엘이디 모듈(150) 장치가 포함하는 전력 변환부(140)는 제 7 커패시터(C7)를 더 포함한다. 제 7 커패시터(C7)의 일단은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공급 전압(VDD)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접지(GND2)와 연결된다. 제 7 커패시터(C7)는 엘이디 모듈 구동부(U1) 내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생성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 7 커패시터(C7)의 소자 범위는 2.2uF+-10%일 수 있다. 제 7 커패시터(C7)의 소자값이 상한치를 초과 하면, 발전기 초기 동작에 따른 돌입전류(Inrush current)가 커질 수 있다. 돌입전류가 커짐에 따라,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가 포함하는 소자가 손상될 수 있다. 제 7 커패시터(C7)의 소자값이 하한치 미만인 경우, 전류에 포함된 리플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전력 변환부(140)는 제 2 커패시터(C2)를 더 포함한다. 제 7 커패시터(C7)의 일단은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콤프(Comp)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접지(GND2)와 연결된다. 제 7 커패시터(C7)가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콤프(Comp) 단자와 연결됨에 따라, 발전기(110)의 갑작스런 동작에 따라 기동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엘이디 모듈 구동부(U1)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는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 할 수 있다.
제 2 커패시터(C2)의 소자값 범위는 10nF+-10%일 수 있다. 제 2 커패시터(C2)의 소자값이 상한치 초과이거나 하한치 미만인 경우 소프트 스타트 성능 저하로 초기 동작이 불안전 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40)는 제 3 저항(R3) 및 제 3 커패시터(C3)을 더 포함한다.
제 3 저항(R3)의 일단은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리셋(RESET)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접지(GND2)와 연결된다. 또한, 제 3 저항(R3)의 일단은 제 3 커패시터(C3)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 3 커패시터(C3)의 일단은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리셋(RESET)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접지(GND2)와 연결된다.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리셋(RESET) 단자는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자일 수 있다.
제 3 저항(R3) 및 제 3 커패시터(C3)는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동작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동작 주파수는 예를 들어 500Khz이고, 이때 제 3 저항(R3)은 100KΩ이고, 제 3 커패시터(C3)는 1nF일 수 있다. 제 3 커패시터(C3)는 또한 엘이디 구동 모듈의 9 단자로 유입되는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 3 저항(R3)의 소자 범위는 100KΩ+-1%이고 제 3 커패시터(C3)의 소자 범위는 1nF+-10%이다, 제 3 저항(R3) 및 제 3 커패시터(C3)가 모두 자신의 소자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스위칭 소자의 동작 주파수가 변하여 스위칭 소자의 발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3 저항(R3) 및 제 3 커패시터(C3)가 모두 자신의 소자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엘이디 모듈이 간헐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40)는 제 8 저항(R8) 및 제 4 커패시터(C4)을 더 포함한다.
제 8 저항(R8)의 일단은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부트스트랩(BST, Bootstrap)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3 커패시터(C3)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 3 커패시터(C3)의 일단은 제 8 저항(R8)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 3 커패시터(C3)의 타단은 엘이디 구동부의 스위치 출력(SW, Switch output) 단자와 연결된다.
제 8 저항(R8) 및 제 4 커패시터(C4)는 엘이디 모듈 구동부(U1) 내부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동작에 따른 과도 전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트스트랩(BST) 단자는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와 연결된 단자일 수 있다. 스위치 출력(SW, Switch output) 단자는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에 포함된 스위칭 호자의 소스와 연결된 단자일 수 있다.
제 3 저항(R3)의 소자 범위는 18Ω+-1%이고, 제 4 커패시터(C4)의 소자 범위는 100nF+-10%일 수 있다. 제 3 저항(R3) 및 제 4 커패시터(C4) 모두가 자신의 소자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를 동작 시키기 위한 전압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엘이디 모듈 구동부(U1)가 포함하는 스위칭 소자는 오프되고, 엘이디 모듈(150)은 미 점등 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40)는 제 1 인덕터(L1)을 더 포함한다. 제 1 인덕터(L1)의 일단은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스위치 출력(SW, Switch output) 단자 및 제 1 다이오드(D1)의 캐소드와 연결된다. 제 1 인덕터(L1)의 타단은 제 5 커패시터(C5)의 일단, 제 4 저항(R4)의 타단 및 제 5 저항(R5)의 일단과 연결된다.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는 제 1 인덕터(L1)를 충전 시키면서 엘이디 모듈(150)로 전류를 공급한다.
제 1 인덕터(L1)의 소자범위는 4.7uF+-20%일 수 있다. 제 1 인덕터(L1)가 자신의 소자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 1 인덕터(L1)의 코일(Coil)이 포화(Saturation)되어, 제 1 인덕터(L1)는 파손 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40)는 제 1 다이오드(D1)을 더 포함한다. 제 1 인덕터(L1)로 전류가 공급되다가 갑자기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제 1 인덕터(L1)는 큰 역방향 기전력이 발생되어 전류를 출력하는데, 상기 전류는 제 1 다이오드(D1)로 흐른다. 즉, 상기 전류로부터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를 보호한다. 제 1 다이오드(D1)는 환류 다이오드일 수 있다.
전력 변환부(140)는 제 5 커패시터(C5)를 더 포함한다. 제 5 커패시터(C5)의 일단은 제 1 인덕터(L1)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 5 커패시터(C5)의 타단은 제 2 접지(GND2)와 연결된다. 제 5 커패시터(C5)는 엘이디 모듈(150)로 공급되는 전류의 리플을 제거한다.
제 5 커패시터(C5)의 소자 범위는 2.2uF+-10% 일 수 있다. 제 5 커패시터(C5)의 소자값이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회로 효율이 저하 될 수 있다. 제 5 커패시터(C5)의 소자값이 하한치 미만인 경우, 리플이 증가하여 엘이디 모듈의 발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전력 변환부(140)는 제 4 저항(R4) 및 제 5 저항(R5)을 더 포함한다. 제 4 저항(R4)의 일단은 엘이디 모듈(150)의 일단, 제 1 인덕터(L1)의 타단, 제 5 커패시터(C5)의 일단 및 제 5 저항(R5)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 5 저항(R5)의 타단은 제 2 접지(GND2)와 연결된다.
제 5 저항(R5)의 일단은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과도 전압 보호(OVP, Over volatage protection) 단자와도 연결된다. 제 5 저항(R5)에 인가된 전압을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는 과도 전압 보호(OVP, Over volatage protection) 단자를 통해 확인 함에 따라 엘이디 구동 모듈로의 전압 인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제 4 저항(R4)의 소자 범위는 100KΩ+-1% 일 수 있다. 제 5 저항(R5)의 소자 범위는 3.9KΩ+-1% 일 수 있다, 제 4 저항(R4) 및 제 5 저항(R5) 모두가 자신의 소자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엘이디 모듈 구동부(U1)는 엘이디 모듈(150)로의 과전압 인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전력 변환부(140)는 제 6 저항(R6) 및 제 7 저항(R7)을 더 포함한다. 제 6 저항(R6)의 일단은 엘이디 모듈(150)의 타단 및 제 7 저항(R7)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 7 저항(R7)의 일단은 엘이디 모듈(150)의 타단 및 제 6 저항(R6)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 6 저항(R6)의 타단과 제 7 저항(R7)의 타단은 연결된다. 제 6 저항(R6)의 타단과 제 7 저항(R7)의 타단은 제 2 접지(GND2)와 연결된다.
제 6 저항(R6) 및 제 7 저항(R7)은 엘이디 모듈(150)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의 범위를 0 내지 20mA가 되도록 선택된다. 제 6 저항(R6)은 18Ω일 수 있다. 제 7 저항(R7)은 22Ω일 수 있다.
제 6 저항(R6)의 소자 범위는 18Ω+-1% 일 수 있다. 제 7 저항(R7)의 소자 범위는 22Ω+-1% 일 수 있다. , 제 6 저항(R6) 및 제 7 저항(R7) 모두가 자신의 소자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엘이디 모듈의 발광량과 비례하는 엘이디 모듈의 구동 전류 범위를 벗어 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이디 모듈의 발광에 따른 살균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제 9 저항(R9)의 일단은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그라운드(INGND)단자와 연결된다. 제 9 저항(R9)의 타단은 제 1 접지(GND1)와 연결된다. 제 9 저항(R9)은 엘이디 모듈 구동부(U1) 내부 접지와 제 1 접지(GND1)를 분리 시킨다.
제 11 저항(J1)에 인가된 전압을 측정 함으로서 엘이디 모듈의 구동 전류를 확인 할 수 있다. 제 12 저항(J2)에 인가된 전압을 측정함으로서 엘이디 모듈 구동부(U1)의 FB(Feed Back) 단자로 입력되는 전류를 확인 가능하다. 제 13 저항(J3)에 인가된 전압을 측정하여, 제 1 인덕터(L1)에 입력 되는 전류를 확인 할 수 있다.
제 11 저항, 제 12 저항 및 제 13 저항(J1, J2, J3)의 소자 범위는 0.01Ω+-1%일 수 있다. 제 11 저항, 제 12 저항 및 제 13 저항(J1, J2, J3)이 자신의 소자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각 저항의 양 단자를 통해 흐르는 전류 값 측정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엘이디 모듈(150)은 4개의 엘이디를 포함한다. 엘이디 모듈(150)의 광량 비율이 100%일 때 출력 광량은 8mW일 수 있다. 즉, 엘이디 모듈(150)은 고출력 모드에서 8mW의 자외선 광을 출력하여 핸드 레일 표면의 균들을 살균한다.
도 4는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의 세부구성 및 세부구성이 실장된 기판의 일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의 세부구성 및 세부구성이 실장된 기판의 타면을 도시한다. 기판의 가로 세로는 각각 110mm, 15mm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소자가 기판 어디에 위치하는지 부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 기계 장치는 복수의 핸드 레일 플레이트(12); 상기 복수의 핸드 레일 플레이트(12)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핸드레일 플레이트(12)의 상면을 따라 회전 운동을 하는 복수의 핸드 레일(11); 및 상기 복수의 핸드 레일(11) 사이에 배치되는 계단부(13);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1)를 더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 기계 장치는 예를 들어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이다.
핸드 레일 플레이트(12), 핸드 레일(11), 계단부(13)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필수적 특징을 유지한 채로 다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앞의 실시예들로만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단계들이 더 추가되거나 일부 단계들이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규정될 것이지만, 청구범위 기재사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도출되는 구성은 물론 그와 등가인 구성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
11: 핸드 레일
12: 핸드 레일 플레이트
13: 계단부
110: 발전기
120: 전원 입력부
130: 전류/전압 주입부
140: 전력 변환부
150: 엘이디 모듈

Claims (10)

  1. 회전 운동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에서 출력하는 전압으로 구동되는 엘이디 모듈; 및
    상기 발전기에서 출력하는 전압을 상기 엘이디 모듈이 동작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엘이디 모듈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엘이디 모듈에 전압을 공급하는 엘이디 모듈 구동부 및 상기 발전기의 출력 전압을 상기 엘이디 모듈 구동부의 입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전압 주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전압 주입부는 상기 발전기의 출력 전압을 분배하는 제 1 저항 및 제 2 저항; 및 상기 제 1 저항 및 제 2 저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제 6 커페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 모듈은, 상기 발전기 출력에 따른 전력 변환부의 입력 전압이 상한 기준치 이상이면 고출력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압이 하한 기준치 미만이면 오프 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압이 상기 상한 기준치와 상기 하한 기준치 사이일 경우 상기 발전기가 출력하는 전압에 비례하도록 구동되는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모듈은 100 내지 400nm의 파장 범위를 가지는 광을 출력하는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한 기준치는 5 내지 6V인,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기준치는 10 내지 30V인,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과 제 2 저항의 크기비는 3:1 내지 7:1인,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가 출력하는 과전압을 차단하는 전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는,
    상기 발전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 4 다이오드; 및
    상기 제 4 다이오드와 병렬 연결된 제 7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 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는,
    하나의 단자가 상기 발전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 제어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는,
    일단이 상기 발전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 10 저항; 및
    캐소드가 상기 제 10 저항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 3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 제어장치.
  10. 복수의 핸드 레일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핸드 레일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핸드레일 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회전 운동을 하는 복수의 핸드 레일;및
    상기 복수의 핸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계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 기계 장치.
KR1020170115843A 2017-09-11 2017-09-11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 KR10238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843A KR102387252B1 (ko) 2017-09-11 2017-09-11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843A KR102387252B1 (ko) 2017-09-11 2017-09-11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929A true KR20190028929A (ko) 2019-03-20
KR102387252B1 KR102387252B1 (ko) 2022-04-18

Family

ID=6603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843A KR102387252B1 (ko) 2017-09-11 2017-09-11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2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026A (ko) * 2011-06-28 2013-01-07 주식회사 포스코 마그네틱 베어링 보호 장치 및 상기 마그네틱 베어링 보호 장치를 구비한 모터 장치.
KR20130049555A (ko) * 2011-11-04 201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구동 장치, led구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57079A (ko) * 2014-11-13 2016-05-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공급용 스위칭 소자의 과전압 보호회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026A (ko) * 2011-06-28 2013-01-07 주식회사 포스코 마그네틱 베어링 보호 장치 및 상기 마그네틱 베어링 보호 장치를 구비한 모터 장치.
KR20130049555A (ko) * 2011-11-04 201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구동 장치, led구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57079A (ko) * 2014-11-13 2016-05-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공급용 스위칭 소자의 과전압 보호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252B1 (ko) 202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75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riving light emitting elements
US20120262068A1 (en) Led driving circuit
EP2375554B1 (en)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fixture using the same
US20120299490A1 (en) Led circuit
US8547027B2 (en) LED drive circuit
JP2008204866A (ja) Led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システム
JP5140783B2 (ja) 点灯回路およびランプ
KR102146518B1 (ko) 자동차 조명 장치
KR20120018460A (ko) 역극성 직렬연결 방식에 의한 led 및 구동회로
EP1706941A1 (en) Dv/dt-detecting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power supply
CN102595744A (zh) 发光二极管发射装置
KR20150002201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JP2006278526A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US20100156314A1 (en) Light source driver circuit
US8669709B2 (en) Solid state lighting driver with THDi bypass circuit
KR20130113168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EP1394927A3 (en) Power supply with surge protection
JP6187024B2 (ja) Led電源装置及びled照明装置
JP6296091B2 (ja) 光源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WO2012082235A1 (en) Ramp controlled driver for series/parallel solid state lighting devices
US20140091714A1 (en) Current limiting circuit and method for led driver
KR102387252B1 (ko) 엘이디 모듈 제어 장치
US10455662B2 (en) Lighting system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rotecting light sources from electrostatic discharges
KR101435854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20110136577A (ko) 정현파 정전류 led 구동 회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