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201A -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201A
KR20150002201A KR20130075749A KR20130075749A KR20150002201A KR 20150002201 A KR20150002201 A KR 20150002201A KR 20130075749 A KR20130075749 A KR 20130075749A KR 20130075749 A KR20130075749 A KR 20130075749A KR 20150002201 A KR20150002201 A KR 20150002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emitting
switch
emitting diode
rectifie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5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상현
박득희
박찬우
이연중
황종태
유제현
문수현
이혜진
이창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5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201A/ko
Priority to US14/027,491 priority patent/US20150002037A1/en
Publication of KR2015000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8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organised in strings and incorporating parallel shu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02J9/06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for light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밸리 필 전원을 충방전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정류된 전원을 충방전하는 충방전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정류된 전원 및 상기 충방전부로부터의 방전된 전압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밸리 필(vally fill) 회로를 채용한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p-n 접합 구조로 형성되고 전자와 홀의 재결합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최근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따라 많은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특히 LED는 기존의 발광 장치에 비해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며 친환경적이므로 그 적용분야를 계속 넓혀가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LED는 그 구조상 수 볼트(volt) 정도의 직류(DC)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회사 등에서 사용하는 상용 교류(AC) 전원으로 LED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다.
상용 교류 전원으로 LED를 구동하기 위해, LED 구동 장치는 통상 정류 회로, 교류-직류 변환기(AC-DC Converter)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LED 구동 장치는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직류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교류 전원을 정류한 전원을 직접 발광 다이오드 구동에 사용하는 방안에 제시되었으나,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은 '0' 전압부터 최대 전압까지 정현파 형태로 가변되며, 가변되는 전압에 따라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발광 다이오드 그룹이 구동하기 위한 최소 전압 이하로 저감되어 빛이 깜빡이는 플리커(flicker)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하기의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밸리 필 회로를 채용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가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밸리 필(valley fill) 회로는 입력 전원을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캐패시터의 용량 및 사용 시간의 한계로 인해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회로 면적 및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3188호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밸리 필 전원을 충방전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를 제안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으로, 입력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정류된 전원을 충방전하는 충방전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정류된 전원 및 상기 충방전부로부터의 방전된 전압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방전부는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정류된 전원을 충전하고,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낮으면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방전부는 정류된 전원을 충방전시키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충방전 스위칭에 따라 정류된 전원을 충방전하는 캐패시터; 및 상기 기준 전압을 설정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구동시키는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스위치에 입력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된 최종단의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간에 연결되어, 발광 다이오드에 입력되는 정류된 전원의 전류 대칭성을 조절하는 밸런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소스간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를 보호하는 보호용 제너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정부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역방향 브레이크 다운 전압과 상기 보호용 제너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의 합 이상이면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정부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상기 정류부의 전원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상기 구동부가 구동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최종단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사이에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준 전압은 발광 다이오드 최소 구동 전압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으로, 입력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정류된 전원을 충전하고,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낮은 시간 동안 충전된 전원을 방전하는 충방전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정류된 전원 및 상기 충방전부로부터의 방전된 전압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밸리 필 전원을 충방전함으로써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발광 다이오드 최소 구동 전압 이하일 경우에만 충전된 밸리 필 전원을 방전시켜 밸리 필 회로의 캐패시터의 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회로 면적 및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는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회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100)는 정류부(110), 충방전부(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110)는 입력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LED1~LEDN)에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130) 정류부(110)에 의해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에 따라 해당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LED1~LEDN)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LED1~LEDN)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1 발광 다이오드(LED1) 내지 제N 발광 다이오드(LEDN)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 발광 다이오드의 연결에 의해 구동할 수 있는 전압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제1 발광 다이오드(LED1), 제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1,미도시), 제1 내지 제3 발광 다이오드(LED1, 미도시) 등이 구동되는 전압이 상이하며, 필요한 구동 전압은 점점 높아질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제1 내지 제N 발광 다이오드(LED1~LEDN)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압이 가장 높을 수 있다.
정류부(110)에 의해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은 '0' 전압부터 최대 전압까지 정현파 형태로 가변될 수 있으며, 정류된 전원의 전압이 낮을 때는 제1 발광 다이오드(LED1), 제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1,미도시), 제1 내지 제3 발광 다이오드(LED1, 미도시), 최종적으로 제1 내지 제N 발광 다이오드(LED1~LEDN) 까지 순차적으로 구동되고, 다시 역순으로, 제1 내지 제N 발광 다이오드(LED1~LEDN)부터 구동되어 제1 내지 제3 발광 다이오드(LED1, 미도시), 제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1,미도시) 최종적으로 제1 발광 다이오드(LED1)가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은 '0' 전압부터 최대 전압까지 정현파 형태로 가변될 수 있으므로, 제1 발광 다이오드(LED1)가 구동되는 발광 다이오드 최소 구동 전압 이하로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낮아질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LED1~LEDN) 전체가 동작하지 않는 구간이 발생하여, 60Hz의 입력 교류 전원이 정류된 경우에는 120Hz의 불빛이 깜빡이는 플리커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류된 전원을 충방전하는 밸리 필(valley fill) 회로가 채용될 수 있으나, 정류된 전원을 충방전하기 위한 캐패시터의 용량, 용량에 따른 크기 및 캐패시터의 사용 시간으로 인해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회로 면적 및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100)는 충방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충방전부(120)는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정류된 전원을 충전하고,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낮으면 충전된 전원을 방전하여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LED1~LEDN)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전압은 발광 다이오드 구동에 필요한 최소 구동 전압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은 '0' 전압부터 최대 전압까지 정현파 형태로 가변될 수 있으므로, 충방전부(120)는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낮은 시간 동안만 충전된 전원을 방전하고, 그 외의 시간에 적어도 일부 시간 동안 정류된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상술한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충방전부(120)는 스위치(Q), 캐패시터(Cv) 및 설정부(R1,DZ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Q)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정류된 전원의 충전 경로 및 충전된 전원의 방전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캐패시터(Cv)는 스위치(Q)의 스위칭에 따라 형성된 전원 전달 경로를 따라 정류된 전원을 충전하거나, 충전된 전원을 방전할 수 있다.
설정부(R1,DZ1)는 저항(R1) 및 제너 다이오드(DZ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항(R1)은 스위치(Q)의 게이트와 정류부(110)의 전원 출력단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제너 다이오드(DZ1)는 스위치(Q)의 게이트와 접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설정부(R1,DZ1)는 스위치(Q)의 게이트에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하여, 상기 기준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정류된 전원(Vin)이 제너 다이오드(DZ1)의 설정 전압보다 높으면 스위치(Q)가 턴 온되어 캐패시터(Cv)에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이후, 캐패시터(Cv)에 충전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제너 다이오드(DZ1)의 역방향 브레이크 다운 전압과 보호용으로 채용된 제너 다이오드(DZ2)의 순방향 전압의 합과 같아지거나 그 이상이면 캐패시터(Cv)의 전원 충전이 중단될 수 있다.
이후, 정류된 전원(Vin)의 전압 레벨이 제너 다이오드(DZ1)의 설정 전압보다 낮으면 캐패시터(Cv)의 전하는 방전되어 스위치(Q)의 바디 다이오드를 통해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LED1~LEDN)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정류된 전원(Vin)의 전압 레벨이 제너 다이오드(DZ1)의 설정 전압보다 낮을 경우 캐패시터(Cv)의 캐패시턴스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먼저 정류된 전원(Vin)의 전압 변동을 다음의 수식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식1)
Figure pat00001
이후, 정류된 전원(Vin)이 발광 다이오드 구동 최소 전압과 같아지는 앵글(angle)은 다음의 수식2와 같을 수 있다.
(수식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상술한 수식으로부터 정류된 전원(Vin)의 전압 레벨이 발광 다이오드 구동 최소 전압보다 낮은 시간(DT)는 다음의 수식3과 같을 수 있다.
(수식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상술한 시간(DT)중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를 ILED라 할 경우, 시간(DT) 중에 캐패시터(Cv)가 방전하여야 하는 전하의 양은 다음의 수식4와 같을 수 있다.
(수식4)
Figure pat00006
이에 따라서, 캐패시터(Cv)의 최소 캐패시턴스는 다음의 수식5를 만족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수식5)
Figure pat00007
예를 들어, 정류된 전원의 최대 전압이 150V, 상술한 시간(DT)중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ILED)를 40mA라고 하면, 캐패시터(Cv)의 최소 캐패시턴스는 1.4uF일 수 있으며, 이는 고용량, 고전압의 성능을 갖는 캐패시터가 채용되지 않아도 원하는 밸리 필 전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전해 캐패시터를 채용하지 않을 수 있어 제품의 수명에 제한을 주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에 흐르는 LED 전류는 '0'으로 낮아지지 않아 플리커 현상이 제거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때의 캐패시터의 용량은 5uF으로 구현되었으며 이는 크기가 매우 작은 MLCC로도 구현될 수 있으므로 회로 면적 및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반면에,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류의 피크가 다소 높을 수 있으며, 이를 저감시키기 위해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제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100)의 다른 일 실시형태는 충방전부(120)가 제한부(Rlim)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부는 저항(Rl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항(Rlim)은 정류부(110)의 전원 출력단과 스위치(Q)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되어 스위치(Q)에 유입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충방전부(120)의 다른 구성 요소, 정류부(110) 및 구동부(130)는 도 1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원(Vin)의 전류 피크가 저감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 전원(Vin)의 총 고조파 왜곡(Total Harmonic Distortion;THD) 및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이 감소되어 역률(power factor)가 개선될 수 있다.
다만, 입력 전원(Vin)의 전압 레벨이 높아질때 전류가 공급되므로 전류의 형태가 비대칭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 5과 같이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를 제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100)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는 충방전부(120)의 설정부(R1,DZ1)는 스위치(Q)의 게이트와 구동부(130)가 구동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최종단 발광 다이오드(LEDN)의 캐소드 사이에 연결된 저항(R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위치(Q)는 제1 내지 제N 발광 다이오드(LED1~LEDN)이 전부 턴 온되는 전압 조건에서 구동되어, 캐패시터(Cv)는 제1 내지 제N 발광 다이오드(LED1~LEDN)이 전부 턴 온되는 전압에서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이는 입력 전원(Vin)의 전압이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 캐패시터(Cv)에 전원이 충전되므로 입력 전원(Vin)의 전류의 대칭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충방전부(120)의 상기 설정부의 저항(R1)의 연결 관계에 의해 입력 전원(Vin)의 전류의 대칭성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밸리 필 전원을 충방전함으로써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발광 다이오드 최소 구동 전압 이하일 경우에만 충전된 밸리 필 전원을 방전시켜 밸리 필 회로의 캐패시터의 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회로 면적 및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10: 정류부
120: 충방전부
130: 구동부

Claims (18)

  1. 입력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정류된 전원을 충방전하는 충방전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정류된 전원 및 상기 충방전부로부터의 방전된 전압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정류된 전원을 충전하고,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낮으면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정류된 전원을 충방전시키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충방전 스위칭에 따라 정류된 전원을 충방전하는 캐패시터; 및
    상기 기준 전압을 설정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구동시키는 설정부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스위치에 입력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된 최종단의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간에 연결되어, 발광 다이오드에 입력되는 정류된 전원의 전류 대칭성을 조절하는 밸런스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소스간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를 보호하는 보호용 제너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역방향 브레이크 다운 전압과 상기 보호용 제너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의 합 이상이면 충전을 중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상기 정류부의 전원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상기 구동부가 구동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최종단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사이에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은 발광 다이오드 최소 구동 전압 이상인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0. 입력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정류된 전원을 충전하고,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낮은 시간 동안 충전된 전원을 방전하는 충방전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정류된 전원 및 상기 충방전부로부터의 방전된 전압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정류된 전원을 충전하고,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낮으면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정류된 전원을 충방전시키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충방전 스위칭에 따라 정류된 전원을 충방전하는 캐패시터; 및
    상기 기준 전압을 설정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구동시키는 설정부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스위치에 입력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된 최종단의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간에 연결되어, 발광 다이오드에 입력되는 정류된 전원의 전류 대칭성을 조절하는 밸런스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소스간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를 보호하는 보호용 제너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정류된 전원의 전압 레벨이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역방향 브레이크 다운 전압과 상기 보호용 제너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의 합 이상이면 충전을 중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상기 정류부의 전원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상기 구동부가 구동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최종단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사이에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은 발광 다이오드 최소 구동 전압 이상인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20130075749A 2013-06-28 2013-06-28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20150002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749A KR20150002201A (ko) 2013-06-28 2013-06-28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US14/027,491 US20150002037A1 (en) 2013-06-28 2013-09-16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749A KR20150002201A (ko) 2013-06-28 2013-06-28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201A true KR20150002201A (ko) 2015-01-07

Family

ID=5211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5749A KR20150002201A (ko) 2013-06-28 2013-06-28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02037A1 (ko)
KR (1) KR201500022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641B1 (ko) * 2015-10-01 2017-04-07 주식회사 에이마이크로아이씨 교류직접구동 엘이디 조명에 사용되는 고조파 왜곡 및 효율 개선 회로 및 그 개선 방법
WO2018092923A1 (ko) *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에이마이크로아이씨 교류직접구동 엘이디 조명에 사용되는 고조파 왜곡 및 효율 개선 회로 및 그 개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4851A1 (de) * 2014-10-14 2016-04-14 Atlas Elektronik Gmbh Schaltung zum netzkonformen Betreiben von Leuchtdioden sowie Leuchtmittel und Leuchte
DE102015117481A1 (de) * 2015-10-14 2017-04-20 Atlas Elektronik Gmbh Schaltung zum flackerarmen und normgemäßen Betreiben von Leuchtdioden, sowie Leuchtmittel und Leuchte
CN107949092B (zh) * 2016-10-12 2020-09-22 东莞艾笛森光电有限公司 低频闪的发光二极管驱动电路
DE102017104290A1 (de) * 2017-03-01 2018-09-06 Atlas Elektronik Gmbh Leuchtdiodenschaltung und Leuchte
CN110278627B (zh) * 2018-03-14 2023-08-08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发光装置
CN109637436B (zh) * 2019-01-25 2020-07-14 深圳市明微电子股份有限公司 稳压控制方法、驱动芯片、led驱动电路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4835B2 (ja) * 2011-06-13 2015-10-14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発光素子駆動回路
US8823271B2 (en) * 2011-12-27 2014-09-02 Cree, Inc. Solid-state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an energy storage module for applying power to a light source element during low power interval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641B1 (ko) * 2015-10-01 2017-04-07 주식회사 에이마이크로아이씨 교류직접구동 엘이디 조명에 사용되는 고조파 왜곡 및 효율 개선 회로 및 그 개선 방법
WO2018092923A1 (ko) *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에이마이크로아이씨 교류직접구동 엘이디 조명에 사용되는 고조파 왜곡 및 효율 개선 회로 및 그 개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02037A1 (en) 201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2201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102061318B1 (ko) Led 연속구동을 위한 led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US8648542B2 (en) Ballast circuit for LED lamp
US8547027B2 (en) LED drive circuit
TWI517750B (zh) 包含充放電電容之發光二極體驅動裝置
US20150181659A1 (en) Led driving device
EP3007519A1 (en) Le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high power led driving circuit
US8519636B2 (en) AC LED apparatus
KR102140276B1 (ko) 발광 모듈
US9374865B2 (en) Lighting device, illuminating device and light fixture
US8669709B2 (en) Solid state lighting driver with THDi bypass circuit
US8362711B2 (en) AC LED apparatus
US10264636B2 (en) Light source and light emitting module
EP2953430A1 (en) Alternating current rectifying circuit and alternating current rectifying method for driving led module
JP6174647B2 (ja) 低フリッカーの発光ダイオード照明機器
KR20180071293A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KR102309840B1 (ko) 플리커 성능이 개선된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KR102130176B1 (ko) 발광다이오드의 점멸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전원공급회로
US9380667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fixture
KR101597773B1 (ko) Led 조명기구의 절전 장치
KR102449566B1 (ko) 플리커 성능이 개선된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KR101473917B1 (ko) Led 조명기구
KR101537990B1 (ko) 스위치 제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078988B1 (ko)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KR20180074047A (ko) 발광 소자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