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093A - 승차인원 분산방법 - Google Patents

승차인원 분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093A
KR20190028093A KR1020170115108A KR20170115108A KR20190028093A KR 20190028093 A KR20190028093 A KR 20190028093A KR 1020170115108 A KR1020170115108 A KR 1020170115108A KR 20170115108 A KR20170115108 A KR 20170115108A KR 20190028093 A KR20190028093 A KR 20190028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s
congestion
congestion level
carriage
congestion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근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5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8093A/ko
Publication of KR2019002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72On-board train data handl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별, 장소별로 열차의 각 객차를 이용하는 승차인원을 통해 추산된 기본 혼잡도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혼잡도를 반영함으로써 각 객차별 혼잡도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를 승객에게 알림으로써 승객을 분산시켜 객차별 혼잡도를 효율적으로 완화시키는 승차인원 분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열차의 객차별 승차인원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승차인원 감지단계와, 승차인원에 대한 정보 및 통계데이터를 기반으로 객차별 혼잡도를 추정하는 혼잡도 추정단계와, 상기 혼잡도 추정단계에서 추정된 객차별 혼잡도에 따라 혼잡도가 높지 않은 객차로 승객을 안내하여 승차인원을 분산하는 혼잡도 분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잡도 추정단계는 시간별, 장소별 이용 인원에 따라 축적된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본 혼잡도를 추정하는 기본 혼잡도 추정단계 및 실시간 이용 인원를 기반으로 실시간 혼잡도를 파악하는 실시간 혼잡도 파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잡도 추정단계에서는 상기 기본 혼잡도에 상기 실시간 혼잡도를 반영함으로써 객차 내의 승차인원을 파악하여 객차별 혼잡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원 분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승차인원 분산방법{Distributing method of passengers}
본 발명은 승차인원 분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별, 장소별로 열차의 각 객차를 이용하는 승차인원을 통해 추산된 기본 혼잡도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혼잡도를 반영함으로써 각 객차별 혼잡도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를 승객에게 알림으로써 승객을 분산시켜 객차별 혼잡도를 효율적으로 완화시키는 승차인원 분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은 주로 대도시에서 교통의 혼잡을 완화하고, 빠른 속도와 정확한 시간으로 운행하기 위하여 땅속에 터널을 파고 부설한 지하철도를 말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는 서울을 포함하는 수도권을 비롯하여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주요 광역시급 도시에 지하철 노선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정형화된 도로 여건에도 불구하고, 경제 발전으로 인한 자가용 차량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대부분의 대도시 도심에서는 교통체증이 심화와 동시에 차량의 운행에 소요되는 연료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면서 한꺼번에 많은 수의 승객을 운송할 수 있는 대중교통 이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 특히 지하철 노선을 운영중이 대도시는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이 크게 늘어나면서 지하철의 대중교통수송 분담률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지하철은 특정 시간대에 이용하는 승객의 수가 크게 증가하게 되는데, 통상 평일 출퇴근 시간을 비롯하여 주말 저녁 귀가 시간 등에 많은 승객이 동시에 지하철을 이용함으로써 열차 내 혼잡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많은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지하철 이용을 위하여 지하철 역사의 탑승 위치에 많은 수의 탑승대기승객이 대기중인 상태에서 지하철 역사로 진입하여 지하철이 정차하면, 지하철에서 하차하는 하차승객과, 지하철로 탑승하는 탑승승객이 서로 뒤섞이면서 혼합도가 극대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지하에 위치하는 지하철 역사의 특성상, 지상에서 지하철 역사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통로계단이 반드시 필요한데, 한정된 건축비로 인하여 지하철 역사는 통로계단은 주로 역사의 양끝 부분과 가운데 부분 등 3개소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통로계단 주변에 정차하는 전동차는 특히 많은 수의 탑승객이 몰리면서 탑승객의 불편과 불쾌감이 가중된다.
뿐만 아니라, 승객의 하차와 승차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혼잡도가 극대화되며 그로 인해 이용객이 넘어져 부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하기도 하고, 심한 경우에는 극심한 혼잡도로 인하여 전동차의 출입문에 탑승객이 낀 상태에서 지하철이 운행하면서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여러 대의 전동차가 연결되는 지하철의 각 전동차에 승객을 고르게 분산시켜 탑승시키는 효율적인 운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하철 운행을 관리하는 관계회사에서는 지하철 이용자가 많은 혼잡 시간대에 원활한 승객분산을 유도하기 위해 지하철 역사 내부에 CCTV 등을 설치하여 역사 내부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할 때마다 운영요원을 투입하여 역사 내부의 혼잡도 완화 및 효율적인 지하철 운행을 위하여 승객들에 대한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역사 내 지하철 이용객들에 의한 혼잡도 완화를 위하여 실시되는 지하철 역사 내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운영요원을 투입하는 등의 지하철 운영 관리는 모니터링 담당자와, 운영요원 등 많은 수의 인력이 필요함으로써 인건비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6378호 (발명의 명칭: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지하철의 각 차량별 승객 분포도 분석 방법, 공개일: 2012.11.21)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간별, 장소별로 열차의 각 객차를 이용하는 승차인원을 통해 추산된 기본 혼잡도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혼잡도를 반영함으로써 각 객차별 혼잡도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를 승객에게 알림으로써 승객을 분산시켜 객차별 혼잡도를 효율적으로 완화시키는 승차인원 분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차의 객차별 승차인원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승차인원 감지단계와, 승차인원에 대한 정보 및 통계데이터를 기반으로 객차별 혼잡도를 추정하는 혼잡도 추정단계와, 상기 혼잡도 추정단계에서 추정된 객차별 혼잡도에 따라 혼잡도가 높지 않은 객차로 승객을 안내하여 승차인원을 분산하는 혼잡도 분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잡도 추정단계는 시간별, 장소별 이용 인원에 따라 축적된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본 혼잡도를 추정하는 기본 혼잡도 추정단계 및 실시간 이용 인원를 기반으로 실시간 혼잡도를 파악하는 실시간 혼잡도 파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잡도 추정단계에서는 상기 기본 혼잡도에 상기 실시간 혼잡도를 반영함으로써 객차 내의 승차인원을 파악하여 객차별 혼잡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원 분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승차인원 감지단계에서 승차인원은 각 객차에 배치된 적외선 센서, 영상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온도 센서 및 하중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잡도 분산단계에서 혼잡도의 분산은 조명등,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각 객차의 정보를 승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차인원 분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지하철의 각 객차별 혼잡도를 승객에게 알림으로써 지하철 탑승 대기 승객이 여유로운 탑승이 가능한 객차의 정차 위치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각 객별 승객밀도를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지하철의 효율적인 운영과 쾌적한 이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둘째, 시간별, 장소별로 열차의 각 객차를 이용하는 승차인원을 통해 추산된 기본 혼잡도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혼잡도를 반영함으로써 각 객차별 혼잡도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차인원 분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승차인원 분산방법을 사용하는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승차인원 분산방법에서 객차별 혼잡도에 따라 혼잡도가 높지 않은 객차로 승객을 안내하여 승차인원을 분산시키는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승차인원 분산방법에서 객차별 혼잡도에 따라 혼잡도가 높지 않은 객차로 승객을 안내하여 승차인원을 분산시키는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승차인원 분산방법에서 객차별 혼잡도에 따라 혼잡도가 높지 않은 객차로 승객을 안내하여 승차인원을 분산시키는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차인원 분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차인원 분산방법은 승차인원 감지단계(S100), 혼잡도 추정단계(S200), 승차인원 분산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승차인원 감지단계(S100)에서는 열차의 객차별 승차인원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상기 승차인원 감지단계(S100)에서 객차별 승차인원의 감지는 각 객차에 배치된 센서부(1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부(100)는 적외선 센서, 영상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온도 센서, 하중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외선 센서는 객차에 탑승한 승객의 인체가 발산하는 적외선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각 객차의 실시간 승차인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적외선 센서는 각 객차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적외선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고려하여 각 적외선 센서의 감지범위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각 객차에 탑승한 승차인원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는 객차에 탑승한 승객의 호흡에 의하여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각 객차의 실시간 승차인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는 각 객차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고려하여 각 이산화탄소 센서의 감지범위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각 객차에 탑승한 승차인원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 센서는 객차에 탑승한 승객의 인체가 발산하는 열에 의한 온도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각 객차의 실시간 승차인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도 센서는 각 객차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고려하여 각 온도 센서의 감지범위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각 객차에 탑승한 승차인원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중 센서는 객차에 탑승한 승객의 무게에 의한 하중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각 객차의 실시간 승차인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중 센서는 각 객차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하중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고려하여 각 하중 센서의 감지범위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하중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각 객차에 탑승한 승차인원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센서부(100)는 상술한 적외선 센서, 영상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온도 센서, 하중 센서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객차 내부의 승객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수단이라면 대체 가능하다.
상기 혼잡도 추정단계(S200)는 혼잡도 추정부(400)가 상기 승차인원 감지단계(S100)에서 상기 센서부(100)에 감지된 승차인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객차별 혼잡도를 추정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혼잡도 추정단계(S200)는 기본 혼잡도 추정단계(S210) 및 실시간 혼잡도 파악단계(S220)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 혼잡도 추정단계(S210)에서는 기본적으로 시간별, 장소별(지역, 지하철역, 객차별 플랫폼 위치 등)을 기준으로 혼잡도를 추정한다.
즉, 상기 기본 혼잡도 추정단계(S210)에서는 특정 지하철 역사에서 월, 일, 요일, 시간 등과 같은 특정 시간에 따라 지하철 이용 인원들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기준으로 혼잡도를 추정한다.
이러한 통계 데이터는 서울교통공사 등과 같은 지하철 운용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통계 데이터이거나, 별도로 측정한 통계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절, 휴일 또는 특정 요일과 같은 특정일의 경우 특정한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철 노선에 이용 인원이 많을 수 있고, 최단거리로 환승할 수 있는 객차 앞이나 역 입구와 최소거리에 있는 객차 앞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이용 인원이 많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데이터를 통계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축적된 통계 데이터 이외의 이용 인원의 고향, 동선, 세대별 경향등을 고려하여 상기 기본 혼잡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측정한 통계 데이터의 경우에는 시간별, 장소별로 지하철을 이용하는 이용 인원을 측정하여 데이터 저장부(300)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에 축적되어 계산된 상기 시간별, 장소별 이용 인원의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별, 장소별 기본 혼잡도를 추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본 혼잡도를 추정하는 요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하나는 시간별, 장소별로 열차에 승차하는 전체 승객의 인원이며, 다른 하나는 객차별 혼잡도이다.
상기 전체 승객의 인원은 시간별, 장소별로 특정 지하철 역으로 들어오는 사람의 수와 나가는 사람의 수를 개찰구의 정보를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객차별 혼잡도는 상술한 센서부(100)의 감지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많은 사람이 열차를 이용하는 주중 아침 출근시간의 경우, 동선의 간소화를 위하여 다른 열차로 갈아타는데 유리한 위치에 있는 객차에 승객들이 몰릴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은 상기 센서부(100)에서 승차인원을 감지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부(200)에 전달한 후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에 축적시키고, 상기 개찰구의 정보와 계산함으로써 기본 혼잡도를 추정한다.
이는 상기 센서부(100)에서 감지한 승차인원이 각 객차마다 다를 경우에도 상기 개찰구의 정보, 즉 열차를 탑승한 승객의 전체 인원이 작으면 각 객차의 혼잡도가 모두 낮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본 혼잡도를 객차별 혼잡도 및 전체 승객 인원을 모두 반영함으로써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간 혼잡도 파악단계(S220)는 실시간 이용 인원을 기반으로 각 객차의 실시한 혼잡도를 파악한다.
상기 실시간 혼잡도는 열차의 각 객차를 이용하는 실시간 승차인원을 상기 기본 혼잡도에 반영함으로써 각 객차별 혼잡도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차인원 분산단계(S300)는 상기 혼잡도 추정단계(S200)에서 추정된 객차별 혼잡도에 따라 승객을 혼잡도가 높지 않은 객차로 안내하여 승차인원을 분산시키며, 상기 승차인원 분산단계(S300)는 상기 혼잡도 추정부(400)로부터 전달받은 객차별 혼잡도를 바탕으로 제어부(500)의 명령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승차인원 분산단계(S300)에서 분산은 조명등(600), 디스플레이(700), 어플리케이션(80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조명등(6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역사에 정차 예정인 각 객차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되는 각 스크린 도어(S)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위치에 따라 상기 조명등(600)은 상기 스크린 도어(S)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조명등(610) 및 상기 스크린 도어(S)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제2 조명등(6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등(600)은 각 객차의 출입문과 대응되는 플랫폼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3 조명등(63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조명등(630)은 상기 스크린 도어(S)가 설치되지 않은 지하철 역사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명등(610) 내지 제3 조명등(630)은 각 객차의 혼잡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서로 다른 색상을 표현하며, 예를 들어, 플랫폼으로 들어오는 객차가 한산한 경우 초록색, 보통인 경우 노란색, 혼잡한 경우 빨간색으로 표시하여 승객들에게 객차의 혼잡도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명등(600)은 각 객차의 플랫폼 바닥면에 위치하며, 혼잡도가 낮은 객차로 승객들을 안내하는 제4 조명등(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도어(S)는 제1 스크린 도어(Sa)와 제2 스크린 도어(S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린 도어(Sa)에 정차하는 객차의 내부 영역은 혼잡도가 높고, 상기 제2 스크린 도어(Sb)에 정차하는 객차의 내부 영역은 혼잡도가 낮은 경우에, 상기 제4 조명등(640) 중 상기 제1 스크린 도어(Sa)로 승객을 안내하는 조명등(640a)의 색상은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스크린 도어(Sb)로 승객을 안내하는 조명등(640b)의 색상을 초록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승객들에서 객차의 혼잡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제4 조명등(640)은 상기 스크린 도어(S)가 설치되지 않은 지하철 역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 객차의 혼잡도 표현은 상술한 조명등(600)의 색상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조명등(600)에서 출력하는 빛의 세기, 조명등(600)의 점등 주기 정도, 조명등(600)에서 출력하는 도형의 모양 등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상황 알림 디스플레이(7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역사에 정차 예정인 각 객차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되는 각 스크린 도어(S)에 설치되어 안내문구를 출력함으로써 승객들에게 각 객차의 혼잡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황 알림 디스플레이(700)에서는 상술한 안내문구뿐만 아니라 ○, △, ×와 같은 기호나 스마일 표시, 우는 표시 등과 같은 표정 등으로 각 객차의 혼잡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 어플리케이션(800)은 상기 제어부(500)와 연동되어 상기 열차의 객차별 정보를 지하철을 탑승하는 승객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승객이 플랫폼에 있지 않아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탑승하고자 하는 객차의 시간대별로 혼잡, 보통, 한산 등과 같은 문구를 출력하여 혼잡도를 제공할 수도 있고, 혼잡도에 따른 색상이나 그림등을 통해 승객에게 객차별 혼잡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하여 지하철 역사에서 대기 중인 승객들은 역사에 설치된 각 스크린 도어(S)의 제1 조명등(610) 및 제2 조명등(620), 플랫폼상에 위치하는 제3 조명등(630), 제4 조명등(640), 상기 상황 알림 디스플레이(700) 또는 상기 스마트 기기 어플리케이션(800)을 통해 지하철이 플랫폼에 도착하기 전 객차별 혼잡도를 미리 파악한 후, 상대적으로 혼잡도가 낮은 객차의 출입문과 연동하는 스크린 도어(S) 앞으로 이동하여 대기함으로써 지하철 승차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하철이 역사에 도착하기 전에 역사에서 대기중인 승객들이 비교적 혼잡도가 낮은 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하철이 역사에 정차한 후 지하철의 각 객차에 탑승중인 승객이 객차에서 하차할 때도 승차 대기중인 승객과의 혼잡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하차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승차인원 분산방법을 통해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은 승하차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지하철을 구성하는 각 객차별로 혼잡도가 고르게 분산됨으로써 더욱 쾌적한 지하철 이용이 가능하게 되고, 지하철에서 승객이 승하차 할 때 혼잡을 최소화함으로써 혼잡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 발생 위함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센서부
200: 데이터 수신부
300: 데이터 저장부
400: 혼잡도 추정부
500: 제어부
600: 조명등
610: 제1 조명등
620: 제2 조명등
630: 제3 조명등
640, 640a, 640b: 제4 조명등
700: 상황 알림 디스플레이
800: 스마트 기기 어플리케이션
S, Sa, Sb: 스크린 도어

Claims (3)

  1. 열차의 객차별 승차인원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승차인원 감지단계;
    승차인원에 대한 정보 및 통계데이터를 기반으로 객차별 혼잡도를 추정하는 혼잡도 추정단계; 및
    상기 혼잡도 추정단계에서 추정된 객차별 혼잡도에 따라 혼잡도가 높지 않은 객차로 승객을 안내하여 승차인원을 분산하는 혼잡도 분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잡도 추정단계는,
    시간별, 장소별 이용 인원에 따라 축적된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본 혼잡도를 추정하는 기본 혼잡도 추정단계; 및
    실시간 이용 인원를 기반으로 실시간 혼잡도를 파악하는 실시간 혼잡도 파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잡도 추정단계에서는 상기 기본 혼잡도에 상기 실시간 혼잡도를 반영함으로써 객차 내의 승차인원을 파악하여 객차별 혼잡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원 분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인원 감지단계에서 승차인원은 각 객차에 배치된 적외선 센서, 영상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온도 센서 및 하중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파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원 분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도 분산단계에서 혼잡도의 분산은 조명등,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각 객차의 정보를 승객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원 분산방법.


KR1020170115108A 2017-09-08 2017-09-08 승차인원 분산방법 KR20190028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108A KR20190028093A (ko) 2017-09-08 2017-09-08 승차인원 분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108A KR20190028093A (ko) 2017-09-08 2017-09-08 승차인원 분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309A Division KR102246208B1 (ko) 2020-06-29 2020-06-29 승차인원 분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93A true KR20190028093A (ko) 2019-03-18

Family

ID=6594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108A KR20190028093A (ko) 2017-09-08 2017-09-08 승차인원 분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80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4879A (zh) * 2020-08-19 2020-11-24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应用于列车的用户引导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283597B1 (ko) * 2020-07-21 2021-07-29 (주)가시 스마트 스캐너와 센서를 사용한 학교와 건물에서 영역별 혼잡도와 환경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6378A (ko) 2011-05-11 2012-11-21 함정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지하철의 각 차량별 승객 분포도 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6378A (ko) 2011-05-11 2012-11-21 함정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지하철의 각 차량별 승객 분포도 분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597B1 (ko) * 2020-07-21 2021-07-29 (주)가시 스마트 스캐너와 센서를 사용한 학교와 건물에서 영역별 혼잡도와 환경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984879A (zh) * 2020-08-19 2020-11-24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应用于列车的用户引导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7491C (en) Guidance and security system for complex transport systems
US10388126B2 (en) Method for guiding passengers
WO2013121737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1210618B (zh) 自动网联公交道路系统
US10899371B2 (en) System for managing space available and seats for passengers for use of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EP2738060A1 (en) Passenger guidance system for guidance of passengers withi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WO2019220206A1 (ja) 乗車位置算出方法、乗車位置算出装置、ならびに、乗車位置算出システム
JP6914806B2 (ja) 公共交通運用計画装置、公共交通運用計画方法、および公共交通運用計画システム
US20110125345A1 (en) Automated collective transport system
Mikulski The possibility of using telematics in urban transportation
KR102358513B1 (ko) 버스 혼잡도 및 승객 인원 수 알림 시스템
KR20190028093A (ko) 승차인원 분산방법
KR100968210B1 (ko)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KR20090087844A (ko)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KR101701232B1 (ko) 버스 승객 수 카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7291B1 (ko) 승강장 분산 시스템
CN110758406B (zh) 一种应用于车站的换乘岛系统
KR102246208B1 (ko) 승차인원 분산시스템
KR20170091996A (ko) 지하철 승객 분산 시스템
CN110758407A (zh) 一种基于换乘岛的车站进站系统
CN110203214A (zh) 一种智能交通运输系统及其工作方法
JP5810510B2 (ja) 列車混雑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KR102299850B1 (ko) 대피선로를 이용한 스마트 지하철 운행 관제 시스템
Reilly et al. Public transport capacity analysis procedures for developing cities
US201902206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data entry mechanism for an application based on security requi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