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024A - 팝업완구 - Google Patents

팝업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024A
KR20190028024A KR1020170114908A KR20170114908A KR20190028024A KR 20190028024 A KR20190028024 A KR 20190028024A KR 1020170114908 A KR1020170114908 A KR 1020170114908A KR 20170114908 A KR20170114908 A KR 20170114908A KR 20190028024 A KR20190028024 A KR 20190028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pop
locking
toy
mo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최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일 filed Critical 최종일
Priority to KR102017011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8024A/ko
Publication of KR20190028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이동체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체와 반응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이동된 이동체와 반응하여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신하는 팝업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임의의 형상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몸체 일부가 제1 잠금부를 통해 고정되어 외부 형상이 임의의 제1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제1 잠금부가 외부에서 이동된 이동체에 의해 잠금 해제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가 이동체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체에 의해 잠금 해제되면, 상기 고정된 몸체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 일부가 전개(展開)되어 외부 형상이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이동체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체와 반응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이동된 이동체와 반응하여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신함으로써, 놀이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팝업완구{POP UP TOY}
본 발명은 팝업완구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이동체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체와 반응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이동된 이동체 와 반응하여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신하는 팝업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신완구는 로봇형상 또는 자동차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완구 몸체를 구비하고, 임의의 형상에서 로봇 또는 자동차형상으로 변신시켜 놀이를 즐기는 완구로서, 이는 한가지의 완구로서 다양한 모습이나 형상을 표현하므로 어린이들이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변신완구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조작을 통한 변신과정을 수행하므로, 놀이의 시간이 오래되면 변신을 통한 놀이의 흥미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놀이의 흥미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슈팅을 이용한 놀이가 있으며, 주로 일정 위치에 거치된 표적을 향해 구슬, 메달, 원반 등의 이동체를 발사하여 표적에 명중시켜 넘어뜨리는 놀이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슈팅놀이는 단순히 표적에 명중시키는 동작만 할 뿐, 표적이 명중했을때의 재미는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컨트롤러에 의해 원격조정되는 완구에 탑재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이미지의 이미지 신호가 컨트롤러로 전송되고, 상기 이미지 신호에 근거하여 컨트롤러와 연결된 모니터에 획득된 이미지가 표시는 슈팅완구도 제안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0043호(발명의 명칭: 슈팅 완구)에는 이미지 인식(image recognition)을 이용하여 슈팅(shooting)이 명중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슈팅 완구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슈팅완구는 슈팅이 명중했는지 여부를 이미지 인식을 통해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구성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0043호(발명의 명칭: 슈팅 완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이동체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체와 반응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이동된 이동체와 반응하여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신하는 팝업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의의 형상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몸체 일부가 제1 잠금부를 통해 고정되어 외부 형상이 임의의 제1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제1 잠금부가 외부에서 이동된 이동체에 의해 잠금 해제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가 이동체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체에 의해 잠금 해제되면, 상기 고정된 몸체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 일부가 전개(展開)되어 외부 형상이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팝업완구는 하부에 상기 몸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바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팝업완구는 상기 제1 잠금부가 이동체에 의해 잠금 해제되면, 상기 고정된 몸체 일부 중 임의의 몸체 일부가 회동하여 내재된 제2 형상이 팝업되도록 전개하거나 또는 지면의 가압을 통해 몸체가 일측으로 넘어지도록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팝업완구는 몸체가 일측으로 넘어지게 전개되어 지면과 접촉하면, 잠금 해제되는 제2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부가 지면과 접촉하여 잠금 해제되면, 상기 고정된 몸체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회동하여 내재된 제2 형상이 팝업되도록 하거나, 상기 고정된 몸체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회동하여 지면의 가압을 통해 몸체가 상방향으로 일어나게 팝업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된 몸체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회동하여 내재된 임의의 몸체 일부가 몸체의 외부로 투척 또는 발사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체는 내부에 자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잠금부는 자석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체에 내재된 자성체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변위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잠금부는 이동체와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변위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잠금부는 상기 물리적으로 접촉한 이동체가 팝업 완구에 부착되도록 상기 이동체에 내재된 자성체와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팝업 완구는 상기 제1 잠금부의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도록 바퀴 수용홈과, 상기 이동체가 수납되도록 수용홈을 형성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형상은 가면(Mask) 형상, 투구 형상, 방패 형상, 차량 형상, 건물 형상, 사물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형상은 동물 형상, 로봇 형상, 사람 형상, 임의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이동체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체와 반응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이동된 이동체와 반응하여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신함으로써, 놀이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팝업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따른 팝업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에 따른 팝업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도 1에 따른 팝업 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도 1에 따른 팝업 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단면도.
도 6 은 도 1에 따른 팝업 완구의 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팝업 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도 7에 따른 팝업 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팝업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팝업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팝업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팝업 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팝업 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팝업 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팝업 완구의 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팝업 완구(100)는 임의의 형상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몸체 일부가 제1 잠금부(130, 130')를 통해 고정되어 외부 형상이 임의의 제1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제1 잠금부(130, 130')가 외부에서 이동된 이동체(200)에 의해 잠금 해제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가 이동체(200)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체(200)에 의해 잠금 해제되면, 상기 고정된 몸체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 일부가 전개(展開)되어 외부 형상이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신하는 구성으로서, 몸체를 구성하는 제1몸체부(110) 및 제2 몸체부(120)와, 잠금 수단인 제1잠금부(130) 및 제2 잠금부(150)와,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140), 팝업부(160) 및 머리부(180)와, 팝업 완구(100)가 이동되도록 하는 바퀴부(190)와, 상기 팝업 완구(100)의 잠금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팝업 완구(100)는 제1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임의의 위치에 거치(据置)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팝업 완구(100)는 일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배치된 위치에서 이동체(200)와의 접촉을 통해 잠금수단이 해제되면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신한다.
또한, 상기 팝업 완구(100)는 제1 형상에서 바퀴(190)를 이용하여 이동체(200)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체(200)와의 접촉을 통해 잠금수단이 해제되면,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신한다.
상기 제1 몸체부(110)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에 수납공간(111)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111)에는 제1 잠금부(130)와, 제2 잠금부(150)와, 머리부(180)가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110)는 상기 제1잠금부(130)와 치합하는 장공의 가이드부(112)와, 상기 제1 잠금부(130)의 일부가 관통하는 배면 배면 관통공(113)과, 제2 잠금부(150)의 일부가 관통하는 측면 관통공(113')과,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양측면에서 팝업부(16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제1 결합부(114)와, 상기 제1 몸체부(110)의 배면에서 가압부(14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제2 결합부(115)와,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상면에서 머리부(18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제 3 결합부(116)와, 바퀴(190)가 설치되고 이동체(200)가 수납되는 안착부(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117)는 제1 몸체부(110)의 하부에 저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설치되고, 단면의 형상이 대략'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바퀴(190)가 설치되는 바퀴 수용홈(117a)과, 이동체(200)가 수납되는 이동체 수납홈(117b)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제1 몸체부(110)의 전측에 임의의 형상을 갖도록 설치한 판 형상의 부재로서, 제2 잠금부(150)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공(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전체적인 형상이 제1형상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 형상은 가면(Mask) 형상, 투구 형상, 방패 형상, 차량 형상, 건물 형상, 사물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잠금부(130)는 제1 몸체부(110)에 설치되어 가압부(140)가 상기 제1 몸체부(110)에 밀착된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1몸체부(110)로부터 분리되도록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제1 잠금부 몸체(131)와, 제1잠금부 래치(132)와, 회전축(133)과, 자석부(134)와, 제1 잠금부 스프링(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잠금부 몸체(131)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1 잠금부 몸체(131)의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돌기부(131a)를 구비하여 제1 몸체부(110)에 설치된 가이드부(112)의 장공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잠금부 몸체(131)의 일측은 제1 잠금부 래치(132)와 결합하며, 타측에는 자석부(134)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잠금부 래치(132)는 일측이 제1 잠금부 몸체(131)의 말단에 회전축(133)을 통해 결합되고, 걸림돌기가 형성된 타측은 제1 몸체부(110)의 배면 관통공(113)을 관통하여 가압부(140)와 체결되어 상기 제1 잠금부 몸체(13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잠금부 래치(132)가 상기 가압부(140)와 체결된 잠금 상태 또는 상기 가압부(140)와 분리된 잠금 해제상태가 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자석부(134)는 제1 잠금부 몸체(131)의 타측 말단에 설치되어 이동체(200)에 내재된 자성체(210)와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잠금부 몸체(131)가 가이드부(112)의 장공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 잠금부 스프링(135)은 제1 잠금부 몸체(131)의 타측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잠금부 몸체(131)가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 잠금부 몸체(131)가 자석부(134)에서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이동한 다음, 상기 자석부(134)에 의한 자기력이 사라지면 상기 제1 잠금부 몸체(131)가 원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가압부(140)는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일측 단부에는 제1 몸체부(110)의 제2 결합부(115)와 가압부 회전축(143)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가압부 결합공(141)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1 잠금부 래치(132)와 치합하는 걸림홈(14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잠금부 래치(132)와 결합하여 고정됨으로써,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140)는 제1 잠금부 래치(132)와의 결합이 분리되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일측으로 가압부(140)가 분리되고, 상기 가압부(140)가 제2 결합부(115)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지면(300)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부 스프링(144)이 설치되어 팝업 완구(100)가 예를 들면, 전측으로 넘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부(140)의 형상을 동물의 꼬리형상으로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부(140)를 지면(300)을 가압하는 구성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임의의 제2 형상을 형성하여 몸체에서 회동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하여 전개를 통해 내재된 상기 제2 형상이 팝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잠금부(150)는 제1 몸체부(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양쪽 측면에 설치된 팝업부(160)가 밀착된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팝업 완구(100)가 가압부(140)에 의해 일측으로 넘어지면, 지면(300)과 접촉하여 상기 팝업부(160)가 잠금 해제되어 상기 제1 몸체부(1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제2 잠금부 몸체(151)와, 링크부(152)와, 제2 잠금부 래치(153)와, 제2 잠금부 스프링(154)과, 제2 잠금부 보조래치(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잠금부 몸체(151)는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접촉부(151a)가 형성된 일측 단부는 제2 몸체부(120)의 관통공(121)을 통과하여 설치되고, 타측에는 제2 잠금부 래치(153)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링크부(152)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잠금부 래치(153)는 상기 링크부(15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걸림돌기가 형성된 양쪽 말단부는 제1 몸체부(110)의 측면 관통공(113')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양측면에 밀착된 팝업부(160)와 체결되어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잠금부 몸체(151)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면, 상기 팝업부(160)와의 체결 상태가 분리되어 상기 팝업부(160)가 잠금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잠금부 스프링(154)은 제2 잠금부 몸체(151)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잠금부 몸체(151)의 접촉부(151a)가 제2 몸체부(12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제2 잠금부 래치(153)와 제2 잠금부 보조래치(155)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팝업 완구(100)가 전측으로 넘어져서 상기 제2 잠금부 몸체(151)의 접촉부(151a)가 지면(300)에 닿으면, 상기 팝업 완구(100)의 자중에 의한 눌림이 발생하고, 상기 자중에 의한 눌림이 사라지면, 상기 제2 잠금부 몸체(151)가 원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 잠금부 보조래치(155)는 제2 잠금부 몸체(151)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한 걸림돌기로서, 머리부(18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180)와 체결되고, 상기 제2 잠금부 몸체(151)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면, 상기 머리부(180)와의 체결 상태가 분리되어 상기 머리부(180)가 잠금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팝업부(160)는 제1 몸체부(110)의 측면에 설치되어 팝업 완구(100)가 일측으로 넘어져서 제2 잠금부(150)에 의한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1 몸체부(110)에서 분리되어 지면(300)의 가압을 통해 상기 팝업 완구(100)가 상방향으로 일어나는 팝업(Pop up)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팝업부 결합홈(161)과, 팝업부 회전축(162)과, 팝업부 스프링(163)과, 걸림홈(1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팝업부(160)의 형상을 동물의 다리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팝업부 결합홈(161)은 다리 형상인 팝업부(160)의 몸체가 제1 몸체부(110)의 임의의 위치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한 체결홈으로써, 팝업부 회전축(162)을 통해 상기 제1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팝업부 스프링(163)은 팝업부 회전축(162)에 설치되어 팝업부(160)가 상기 팝업부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팝업부(160)가 지면(300)을 가압하여 팝업 완구(100)가 일어나는 팝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걸림홈(164)은 팝업부(160)의 몸체 일측에 설치한 결합홈으로서, 제2 잠금부(150)에 설치된 제2 잠금부 래치(153)와 체결되어 팝업부(160)가 제1하우징(11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머리부(180)는 제1 몸체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팝업 완구(100)가 일측으로 넘어져서 제2 잠금부(15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1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팝업되도록 전개되는 구성으로서, 일측에는 임의의 동물, 캐릭터 등의 얼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머리 결합부(181)가 설치되어 머리부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상기 제1몸체부(11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머리부(180)는 머리부 회전축(182)에 머리부 스프링(183)을 설치하여 걸림홈(184)과 제2 잠금부(150)와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머리부(180)가 상기 머리부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 형상은 동물 형상, 로봇 형상, 사람 형상, 임의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임의의 다른 형상으로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바퀴부(190)는 안착부(117)의 바퀴 수납홈(117a)에 설치되어 제1 형상을 유지하는 팝업 완구(100)가 이동체(2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체(200)는 외부 형상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자석부(134)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자성체(210) 또는 자석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200)의 외부면에는 임의의 캐릭터, 숫자, 문자, 도형, 그림 등이 인쇄물에 의해 부착되거나 또는 음각, 양각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200)는 상기 이동체(200)를 지면(300)에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체(200)를 팝업 완구(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밀어 이동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체(200)를 임의의 발사장치에 설치하여 상기 팝업 완구(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발사하여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체(200)가 발사장치를 이용하여 발사하는 경우 상기 발사장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체(200)를 수납시킨 다음 사용자가 상기 발사장치에 내재된 공이를 가압하여 상기 수납된 이동체(200)가 순차적으로 발사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공이가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도록 하여 상기 수납된 이동체(200)가 순차적으로 발사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팝업 완구(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6과 같이 변신이 완료된 제2 형상의 팝업 완구(100)로부터 가압부(140)를 가압부 회전축(143)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1몸체부(110)의 배면 관통공(113)으로 돌출된 제1잠금부 래치(132)와 결합되도록 하고, 팝업부(160)는 팝업부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몸체부(110)의 측면 관통공(113')으로 돌출된 제2 잠금부 래치(153)와 결합되도록 하며, 머리부(180)는 머리부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몸체부(1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제2 잠금부 보조래치(155)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도 1과 같은 잠금 상태를 유지한 제1형상의 팝업 완구(100)가 되도록 한다.
제1형상인 팝업 완구(100)를 임의의 위치에 배치한 다음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이동체(200)를 상기 팝업 완구(100)로 발사하면, 상기 이동체(200)가 지면(300)을 따라 팝업 완구(100)의 하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이동체(200)는 임의의 캐릭터, 숫자, 문자, 도형, 그림 등이 인쇄된 정보가 저면(300)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반대로 팝업 완구(100)를 임의의 위치에 배치한 이동체(2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체(200)가 팝업 완구(100)의 하부에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체(200)가 팝업 완구(100)의 하부로 유입되면, 스토퍼(117)에 의해 더 이상 이동이 제한되고, 이때, 제1잠금부(130)에 설치된 자석부(134)와 상기 이동체(200)에 내재된 자성체(210) 사이에 자기장에 의한 인력이 발생하여 제1잠금부 몸체(131)는 가이드(112)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잠금부 몸체(131)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축(133)을 통해 연결된 제1잠금부 래치(132)가 동작하여 가압부(140)와 체결된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가압부(14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가압부(140)가 가압부 스프링(144)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 회전축(14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면(300)을 타격하고, 상기 가압부(140)의 타격으로 인해 팝업 완구(100)는 상기 가압부(1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넘어진다.
상기 팝업 완구(100)가 넘어지면, 접촉부(151a)와 연결된 제2 잠금부 몸체(151)가 눌러지고, 상기 제2 잠금부 몸체(151)의 이동에 따라 연결된 제2 잠금부 래치(153)가 동작하여 팝업부(160)와 체결된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팝업부(16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팝업부(160)가 팝업부 스프링(163)의 탄성력에 의해 팝업부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면(300)을 타격하고, 상기 팝업부(160)의 타격으로 인해 팝업 완구(100)는 상방향으로 일어나며 팝업된다.
또한, 상기 팝업 완구(100)가 넘어지면, 접촉부(151a)와 연결된 제2 잠금부 몸체(151)가 눌러지고, 상기 제2 잠금부 몸체(151)와 연결된 제2 잠금부 보조래치(155)가 동작하여 머리부(180)와 체결된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머리부(18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머리부(180)가 머리부 스프링(183)의 탄성력에 의해 머리부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몸체부(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팝업되어 제2 형상으로 변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잠금부(130)에 의해 잠금 해제되면, 일측으로 넘어지도록 전개하고, 제2 잠금부(150)에 의해 잠금 해제되면, 상방향으로 팝업되도록 전개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잠금부(130)가 해제되면, 제2 형상이 전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잠금부(150)가 지면(300)과 접촉하여 잠금 해제되면, 몸체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회동하여 내재된 제2 형상이 팝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몸체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회동하는 회전력에 의해 몸체부에 내재된 임의의 몸체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투척되도록 하거나 또는 내재된 스프링 등의 탄성력에 의해 발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200)는 제1잠금부(130)와 부착된 상태로 팝업되어 제2 형상으로 변신한 팝업 완구의 일측에 상기 이동체(200)의 저면이 노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체(200)에 인쇄된 임의의 캐릭터, 숫자, 문자, 도형, 그림 등의 정보가 보여질 수 있게 한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팝업 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팝업 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팝업 완구(100')는 복수의 잠금수단이 설치되어 외부 형상이 임의의 제1형상을 유지하며, 상기 잠금수단이 외부에서 이동된 이동체(200)와 접촉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외부 형상이 상기 제1형상에서 미리 설정된 제2 형상으로 변신되도록 제1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와, 제1잠금부(130')와, 가압부(140)와, 제2 잠금부(150)와, 팝업부(160)와, 머리부(180)와, 이동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팝업 완구(100')는 제1잠금부(130')의 구성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팝업 완구(100)의 구성과 차이점이 있으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상기 제1잠금부(130')는 가압부(14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서, 이동체(200)와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상기 가압부(140)와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제1잠금부 몸체(131')와, 제1잠금부 래치(132')와, 회전축(133')과, 자석부(134')와, 제1잠금부 스프링(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잠금부 몸체(131')는 제1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저면 관통공(113")을 관통하여 일단부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일단부의 말단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동체(200)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제1잠금부 몸체(131')가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잠금부 래치(132')는 일측이 제1잠금부 몸체(131')의 말단에 회전축(133')을 통해 결합되고, 걸림돌기가 형성된 타측은 제1몸체부(110)의 배면 관통공(113)을 관통하여 가압부(140)와 체결되어 상기 제1잠금부 몸체(131')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잠금부 래치(132')가 상기 가압부(140)와 체결된 잠금 상태 또는 상기 가압부(140)와 분리된 잠금 해제상태가 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자석부(134')는 제1몸체부(1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이동체(200)에 내재된 자성체(210)와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110)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체(200)가 팝업 완구(10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잠금부 스프링(135')은 제1잠금부 몸체(131')의 타측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잠금부 몸체(131')가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잠금부 몸체(131')가 이동체(200)와의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이동한 다음, 상기 이동체(200)와의 접촉이 사라지면 상기 제1잠금부 몸체(131')가 원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일정 위치에 거치된 팝업 완구가 임의의 위치에서 이동된 이동체가 검출되면 제1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신하거나, 또는 일정 위치에 거치된 이동체를 향해 팝업 완구가 이동하여 상기 이동체가 검출되면 제1형상에서 제2형상으로 변신함으로써, 놀이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팝업 완구 110 : 제1몸체부
111 : 수납공간 112 : 가이드부
113 : 배면 관통공 114 : 제1결합부
115 : 제2 결합부 116 : 제 3 결합부
117 : 스토퍼 120 : 제2 몸체부
121 : 관통공 130 : 제1잠금부
131 : 제1잠금부 몸체 131a : 돌기부
132 : 제1잠금부 래치 133 : 회전축
134 : 자석부 135 : 제1잠금부 스프링
140 : 가압부 141 : 가압부 결합공
142 : 걸림홈 143 : 가압부 회전축
144 : 가압부 스프링 150 : 제2 잠금부
151 : 제2 잠금부 몸체 151a : 접촉부
152 : 링크부 153 : 제2 잠금부 래치
154 : 제2 잠금부 스프링 155 : 제2 잠금부 보조래치
160 : 팝업부 161 : 팝업부 결합홈
162 : 팝업부 회전축 163 : 팝업부 스프링
164 : 걸림홈 180 : 머리부
181 : 머리 결합부 182 : 머리부 회전축
183 : 머리부 스프링 190 : 바퀴
200 : 이동체 210 : 자성체

Claims (11)

  1. 임의의 형상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몸체 일부가 제1 잠금부(130, 130')를 통해 고정되어 외부 형상이 임의의 제1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제1 잠금부(130, 130')가 외부에서 이동된 이동체(200)에 의해 잠금 해제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가 이동체(200)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체(200)에 의해 잠금 해제되면, 상기 고정된 몸체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 일부가 전개(展開)되어 외부 형상이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신하는 팝업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완구는 하부에 상기 몸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바퀴(19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완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완구는 상기 제1 잠금부(130, 130')가 이동체(200)에 의해 잠금 해제되면, 상기 고정된 몸체 일부 중 임의의 몸체 일부가 회동하여 내재된 제2 형상이 팝업되도록 전개하거나 또는 지면(300)의 가압을 통해 몸체가 일측으로 넘어지도록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완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완구는 몸체가 일측으로 넘어지게 전개되어 지면(300)과 접촉하면, 잠금 해제되는 제2 잠금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부(150)가 지면(300)과 접촉하여 잠금 해제되면, 상기 고정된 몸체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회동하여 내재된 제2 형상이 팝업되도록 하거나, 상기 고정된 몸체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회동하여 지면(300)의 가압을 통해 몸체가 상방향으로 일어나게 팝업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된 몸체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회동하여 내재된 임의의 몸체 일부가 몸체의 외부로 투척 또는 발사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200)는 내부에 자성체(2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완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부(130)는 자석부(134)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체(200)에 내재된 자성체(21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변위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완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부(130')는 이동체(200)와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변위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완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부(130')는 상기 물리적으로 접촉한 이동체(200)가 팝업 완구에 부착되도록 상기 이동체(200)에 내재된 자성체(210)와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부(1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완구는 상기 제1 잠금부(130, 130')의 하부에 바퀴(190)가 설치되도록 바퀴 수용홈(117a)과, 상기 이동체(200)가 수납되도록 수용홈(117b)을 형성한 안착부(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완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은 가면(Mask) 형상, 투구 형상, 방패 형상, 차량 형상, 건물 형상, 사물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완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형상은 동물 형상, 로봇 형상, 사람 형상, 임의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완구.
KR1020170114908A 2017-09-08 2017-09-08 팝업완구 KR20190028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08A KR20190028024A (ko) 2017-09-08 2017-09-08 팝업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08A KR20190028024A (ko) 2017-09-08 2017-09-08 팝업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24A true KR20190028024A (ko) 2019-03-18

Family

ID=65949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908A KR20190028024A (ko) 2017-09-08 2017-09-08 팝업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80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043B1 (ko) 2006-12-28 2011-07-19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슈팅 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043B1 (ko) 2006-12-28 2011-07-19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슈팅 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917B1 (ko) 팝업 완구
KR101815357B1 (ko) 발사형 완구
KR101780143B1 (ko) 발사체를 구비한 변신 완구
US10561957B2 (en) Transforming toy having launcher
JP5969151B1 (ja) コマ玩具
KR101859808B1 (ko) 변신 완구
JPWO2009087881A1 (ja) 玩具
KR101635319B1 (ko) 변신 완구
KR101556752B1 (ko) 손가락 만입부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숨겨진 물체를 방출하도록 형성된 코어
KR20150099152A (ko) 아이템 투척 완구용 자동차
CN107537161A (zh) 可弹射配件的玩具
KR101859864B1 (ko) 발사완구
KR20190028024A (ko) 팝업완구
JPH08131662A (ja) 弾丸発射機構搭載車両玩具
KR101965495B1 (ko) 런처를 이용한 발사완구
US4182075A (en) Cap-firing arm for a toy figure
US4536166A (en) Cap firing animated figure toy
KR102053966B1 (ko) 발사장치를 구비한 변신완구
KR101731399B1 (ko) 회전 변신 완구 어셈블리
JP2724699B2 (ja) 玩 具
JP2017221304A (ja) 玩具のスイッチ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変形玩具
KR101786887B1 (ko) 발사체를 구비한 변신 완구 어셈블리
JP2005192912A (ja) 飛出しゲーム玩具
KR200472478Y1 (ko) 딱지 발사기
JPH0889609A (ja) おはじき飛ばしゲーム用玩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