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023A -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 - Google Patents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023A
KR20190028023A KR1020170114906A KR20170114906A KR20190028023A KR 20190028023 A KR20190028023 A KR 20190028023A KR 1020170114906 A KR1020170114906 A KR 1020170114906A KR 20170114906 A KR20170114906 A KR 20170114906A KR 20190028023 A KR20190028023 A KR 20190028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bdominal
patient
surgery
ba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725B1 (ko
Inventor
강창무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7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4Bandag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2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protection of wound surr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에 관한 것으로서, 복부수술 환자의 몸통을 감싸 수술부위에 착용 가능하도록 일정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 양단에는 착탈부가 형성된 복대본체와, 상기 복대본체를 감싸면서 복대본체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며, 복부수술시에는 오염물이 복대본체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함과 함께, 복부수술 완료후에는 복대본체의 길이방향 양쪽으로 이탈되면서 복대본체로부터 제거되는 오염방지커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부수술시 수술대 위에 비치하여 복부수술이 완료되면 즉시 환자에게 착용시킬 수 있음으로써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 {Abdominal belt for abdominal surgical patients}
본 발명은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복부수술시 수술대 위에 비치하여 복부수술이 완료되면 즉시 환자에게 착용시킬 수 있음으로써 의료진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환자에게는 통증경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부수술이 완료되면, 수술부위를 보호하고 회복에 도움이 되도록 의료진은 환자에게 복대를 착용시키게 되는데, 먼저 의료진은 수술이 완료되면 수술대 위에 누워있는 환자를 이동식 침대로 옮기며, 이어서 이동식 침대로 옮겨져 누운 환자의 허리 밑으로 복대를 깔아준 후, 수술부위가 감싸지도록 환자에게 복대를 착용시키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수술환자에 대한 통상적인 복대 착용과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복대가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환자가 이동식 침대로 옮겨지기 때문에 의료진들이 환자를 옮길 때 수술부위에 통증이나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세심하게 신경을 써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둘째, 이동식 침대로 옮겨진 환자가 수술부위에 대한 통증과 마취로 인한 불완전한 의식 등으로 인해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기 때문에 누워있는 환자의 밑으로 복대를 넣어 정확한 위치에서 착용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의료진은 장시간의 수술로 인해 체력이 소모된 상태이므로 무거운 환자를 조심해서 옮기고 환자를 이러저리 움직여가며 복대를 정확한 위치에 착용시키는 것이 더욱 어려우며, 환자의 경우에도 옮겨지는 과정이나 복대가 착용되는 과정에서 몸을 계속 움직여야 하므로 수술부위에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 둘째 문제와 관련하여, 미리 이동식 침대에 복대를 깔아놓고 환자를 수술대에서 이동식 침대로 옮기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환자가 누워질 때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복대가 끌리거나 틀어지게 되어 정확한 위치에서 착용을 시킬 수가 없으며, 결국 환자를 움직여가며 위치조정을 한 후 착용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복부수술 환자의 복대착용에 따른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편리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복대의 개발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9682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대 위에 사전에 비치하여 환자의 밑에 깔아 놓은 상태에서 복부수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복부수술의 완료시 수술대 위에서 즉시 환자에게 간편하게 착용시킬 수 있는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복부수술 환자의 몸통을 감싸 수술부위에 착용 가능하도록 일정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 양단에는 착탈부가 형성된 복대본체와, 상기 복대본체를 감싸면서 복대본체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며, 복부수술시에는 오염물이 복대본체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함과 함께, 복부수술 완료후에는 복대본체의 길이방향 양쪽으로 이탈되면서 복대본체로부터 제거되는 오염방지커버를 포함하는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오염방지커버는, 상기 복대본체를 감싸되, 복대본체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호간에 분리되어 있으면서 마주보는 단부가 양쪽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좌커버 및 우커버와, 상기 좌커버 및 우커버 사이에서 좌커버 및 우커버를 상호 연결시키되, 복부수술시에는 좌커버 및 우커버로부터 분리 제거되는 커버연결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연결띠는 양단부가 좌커버 및 우커버와 절취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에 따르면,
복부수술시 사전에 수술대 위에 비치하여 환자의 밑에 깔아놓은 상태에서 복부수술을 진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복부수술의 완료후에는 힘들게 환자를 움직일 필요없이 수술대 위에 누워있는 그 상태에서 즉시 환자에게 복대를 착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의 입장에서는 종래와 같이 환자의 몸을 이리저리 움직여가며 복대를 까는 힘든 과정없이 간편하게 환자에게 복대를 착용시킬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환자의 경우에도 복부수술 후 즉각 복대가 착용되어 수술부위가 보호된 상태에서 이동식 침대로 옮겨지게 되므로 수술부위에 대한 통증유발을 줄이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를 일 예시한 사시도면이고,
도 2는 복대본체와 오염방지커버를 분리하여 예시한 사시도면이며,
도 3은 복부수술시의 복대복체 및 오염방지커버를 일 예시한 단면도면이고,
도 4는 복부수술 완료후 오염방지커버가 복대본체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일 예시한 단면도면이며,
도 5는 오염방지커버의 제거후 복대본체가 환자에게 착용되는 것을 일 예시한 단면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연결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연결, 설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가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들에 일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100, 이하, “복대”라 약칭함.)는 복대본체(10)와, 오염방지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복대본체(10)는 복부수술 환자의 수술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환자의 몸통에 착용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한 복대본체(10)는 복부수술 환자의 몸통을 감싸 수술부위에 착용 가능하도록 일정길이를 가지며, 또한 착탈 위하여 길이방향 양단에는 벨크로와 같은 착탈부(11)가 형성된다.
이러한 복대본체(10)는 환자의 몸통에 착용 가능한 구성이면 될 뿐, 특별한 구성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복대의 구성을 널리 채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오염방지커버(20)는 상기 복대본체(10)를 감싸는 커버이다.
상기 오염방지커버(20)는 복대본체(10)를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복부수술시에는 소독약품이나 혈액 등의 오염물이 복대본체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함으로써 복대본체(10)가 오염물로 인하여 지저분해지지 않도록 해주되, 복대본체(10)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복부수술이 완료되면 환자에게 복대본체(10)가 착용될 수 있도록 복대본체(10)의 길이방향 양쪽으로 이탈되면서 복대본체(10)로부터 제거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한 오염방지커버(20)는 좌커버(21)와, 우커버(22)와, 커버연결띠(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커버(21)와 우커버(22)는 복대본체(10)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호간에 양쪽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좌우 양쪽에서 복대본체(10)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좌커버(21)와 우커버(22)는 복대본체(10)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호 마주보는 단부가 양쪽으로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좌커버(21)와 우커버(22) 사이에서 복대본체(10)는 중간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커버(21)와 우커버(22) 사이의 이격 간격은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몸통에 의해 좌커버(21)와 우커버(22)가 과도하게 눌리지 않음으로써 복대본체(10)로부터 이탈 제거가 용이하면서도 환자의 몸통을 타고 흘러내리는 오염물은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는데, 도 3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환자가 누웠을 때 좌커버(21)와 우커버(22) 각각의 마주보는 단부가 환자의 몸통과 약간 간섭되어 눌릴 정도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연결띠(23)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기 좌커버(21)와 우커버(22) 사이에 구비되면서 좌커버(21)와 우커버(22)를 상호 연결시킨다.
이러한 커버연결띠(23)는 좌커버(21)와 우커버(22)를 상호 연결시켜 유통이나 보관, 휴대 등 미사용시에는 좌커버(21)와 우커버(22)가 복대본체(1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되, 복부수술, 즉 사용시에는 좌커버(21) 및 우커버(22)로부터 분리 제거된다.
따라서, 커버연결띠(23)는 사용시 간편하게 분리 제거가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좌커버(21) 및 우커버(22)와 절취선(24)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연결띠(23)는 단수로 이루어져 복대본체(10)의 아래쪽에서만 좌커버(21)와 우커버(22)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도면들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한쌍으로 이루어져 복대본체(10)의 아래쪽과 위쪽에서 좌커버(21)와 우커버(22)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래쪽에만 커버연결띠(23)가 구성된 경우에는 수술시 커버연결띠(23)를 사전에 반드시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이 있는 반면, 아래쪽과 위쪽에 커버연결띠(23)가 한쌍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수술시 사전에 위쪽의 커버연결띠(23)를 먼저 반드시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보관 및 휴대 등이 보다 안정적인 측면이 있다.
또한, 상기 좌커버(21) 및 우커버(22)는 각각에는 상호 마주보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각각 커버손잡이(25)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버손잡이(25)를 통해 복부수술 완료후 좌커버(21)와 우커버(22)를 보다 쉽게 복대본체(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100)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이하에서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복부수술시에는 소독약품이 사용되고 또한 수술과정에서는 출혈이 발생하여 환자가 누워있는 수술대 위가 흘러내리게 된다.
따라서, 수술대 위에 미리 복대를 비치하여 깔아놓고 환자를 수술하는 경우 흘러내리는 소독약품이나 혈액 등의 오염물로 인해 복대가 지저분해지게 되므로, 이러한 복대를 환자에게 착용시킬 수가 없게 되며, 그에 따라 종래에는 전술한 것처럼 수술완료시 환자를 이동식 침대로 옮긴 후에 복대를 착용시키는 불편함을 감수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복대본체(10)의 외부에 오염방지커버(2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종래와는 다른 방법으로 사용된다.
먼저, 본 발명의 복대(100)는 복대본체(10)의 외부에 오염방지커버(20)가 구비되면서, 오염방지커버(20)의 좌커버(21) 및 우커버(22)는 커버연결띠(23)로 연결된 상태에서 보관된다.
그리고, 복부수술을 위하여 복대(100)를 사용할 때는, 먼저 복대(100)를 수술대 위에 펼쳐 놓은 후, 오염방지커버(20)의 커버연결띠(23)를 좌커버(21) 및 우커버(22)로부터 분리 제거한다. 이 때, 커버연결띠(23)가 절취선(24)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약간의 힘을 주어 뜯게 되면 간편하게 분리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여기서, 상기 커버연결띠(23)가 복대본체(10)의 아래쪽에만 단수로 구비된 구성의 경우, 복대본체(10)의 아래쪽에 있어 복대본체(10)의 착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수술후에는 절취선(24)으로 인하여 좌커버(21) 및 우커버(22)를 당겨주면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커버연결띠(23)를 분리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아래위쪽에 한쌍으로 구비된 구성의 경우에도 위쪽의 커버연결띠(23)는 반드시 분리 제거하되 동일한 이유로 아래쪽의 커버연결띠(23)는 굳이 분리 제거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렇게 커버연결띠(23)가 제거되면,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좌커버(21) 및 우커버(22)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및 분리된 상태에서 복대본체(10)를 감싸고 있게 된다.
이어서, 위와 같이 펼쳐져 놓여있는 복대(100) 위에 수술받을 환자를 눕게 한다. 이 때는 환자의 의식이 있고 수술 이전이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환자가 펼쳐져 있는 복대(100) 위에 정확히 누울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환자가 눕게 되면, 도 3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환자의 몸통(B) 밑으로 복대(100)가 깔려 있게 되며, 특히 좌커버(21)와 우커버(22)는 상호 이격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몸통(B)에 의해 완전히 눌리지 않고 단부의 일부분만 눌린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이 환자가 복대(100) 위에 누워 정위치하게 되면, 환자의 마취, 소독 등 수술준비를 시행한 후 복부수술을 진행한다.
이렇게, 수술준비 및 복부수술을 진행하게 되면, 그 과정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소독약품이나 혈액 등이 흘려내리게 되는데, 이 때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이러한 오염물은 복대본체(10)를 감싸고 있는 오염방지커버(20)의 좌커버(21) 및 우커버(22) 위로 떨어지게 되면서 흡수 차단되며, 그에 따라 복대본체(10)는 오염이 방지되면서 청결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부수술이 완료되면, 환자가 누워있는 그 상태에서 오염물이 묻어있는 오염방지커버(20)를 복대본체(10)로부터 제거하는데, 도 4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좌커버(21) 및 우커버(22) 각각의 커버손잡이(25)를 잡고 복대본체(10)의 길이방향 양쪽에서 외측방향으로 당겨준다.
그러면, 좌커버(21) 및 우커버(22)가 환자의 몸통(B)에 일부분만 눌려있는 상태이므로 쉽게 복대본체(10)로부터 양쪽방향으로 이탈되면서 복대본체(10)로부터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렇게 오염방지커버(20)가 복대본체(10)로부터 제거되면, 도 5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복대본체(10)로 환자의 몸통을 감싸 수술부위가 보호되도록 수술대 위에서 바로 복대(100)를 착용을 시키며, 이후 복대(100)를 착용한 환자를 이동식 침대로 옮겨주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복대의 경우에는 복부수술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에 복대본체가 오염되지 않도록 차단함과 함께 복부수술 완료시에는 복대본체를 착용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복대본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오염방지커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복대를 환자의 밑에 깔아놓은 상태에서 복부수술을 진행하면서 복부수술의 완료후에는 즉시 환자에게 복대를 착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의료진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환자에게는 수술후의 통증경감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복대와 비교하여 복잡한 구성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오염방지커버만을 간단하게 구성하여 차별화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제조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임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복대본체 11: 착탈부
20: 오염방지커버 21: 좌커버
22: 우커버 23: 커버연결띠
24: 절취선 25: 커버손잡이

Claims (3)

  1. 복부수술 환자의 몸통(B)을 감싸 수술부위에 착용 가능하도록 일정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 양단에는 착탈부(11)가 형성된 복대본체(10);
    상기 복대본체(10)를 감싸면서 복대본체(10)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며, 복부수술시에는 오염물이 복대본체(10)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함과 함께, 복부수술 완료후에는 복대본체(10)의 길이방향 양쪽으로 이탈되면서 복대본체(10)로부터 제거되는 오염방지커버(20);를 포함하는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커버(20)는,
    상기 복대본체(10)를 감싸되, 복대본체(10)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호간에 분리되어 있으면서 마주보는 단부가 양쪽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좌커버(21) 및 우커버(22);
    상기 좌커버(21) 및 우커버(22) 사이에서 좌커버(21) 및 우커버(22)를 상호 연결시키되, 복부수술시에는 좌커버(21) 및 우커버(22)로부터 분리 제거되는 커버연결띠(23);를 포함하는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연결띠(23)는 양단부가 좌커버(21) 및 우커버(22)와 절취선(24)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
KR1020170114906A 2017-09-08 2017-09-08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 KR101961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06A KR101961725B1 (ko) 2017-09-08 2017-09-08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06A KR101961725B1 (ko) 2017-09-08 2017-09-08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23A true KR20190028023A (ko) 2019-03-18
KR101961725B1 KR101961725B1 (ko) 2019-03-25

Family

ID=6590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906A KR101961725B1 (ko) 2017-09-08 2017-09-08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7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3316U (ko) * 1984-10-19 1986-05-19
JPS6180019U (ko) * 1984-10-31 1986-05-28
KR200296825Y1 (ko) 2002-08-20 2002-12-05 이상수 유방암 수술 후 수술부위에 착용하는 회복대 구조
CN201664378U (zh) * 2010-04-01 2010-12-08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仁济医院 外科腹部手术专用腹带
KR101654330B1 (ko) * 2016-04-14 2016-09-06 최원섭 수술 환자용 안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3316U (ko) * 1984-10-19 1986-05-19
JPS6180019U (ko) * 1984-10-31 1986-05-28
KR200296825Y1 (ko) 2002-08-20 2002-12-05 이상수 유방암 수술 후 수술부위에 착용하는 회복대 구조
CN201664378U (zh) * 2010-04-01 2010-12-08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仁济医院 外科腹部手术专用腹带
KR101654330B1 (ko) * 2016-04-14 2016-09-06 최원섭 수술 환자용 안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725B1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9529B2 (en) Medical protective and exercise restraint methods
US8733296B1 (en) Surgical after-care garment
US8839794B2 (en) Disposable apparatus for securing a patient
KR200432971Y1 (ko) 수술환자용 팬티
WO2007041509A3 (en) Therapeutic cushioning and devices for assisting respiration of and administering fluid to a patient
KR101961725B1 (ko) 복부수술 환자용 복대
US6935342B2 (en) Medical arm restraining device
JP5267952B2 (ja) 大腿部スリーブ付き安全バンデージ及び安全バンデージ用の追加装備部材
KR20180017978A (ko) 중환자용 바지
JPH11290363A (ja) 医療用人体抑制具
KR101162888B1 (ko) 휠체어와 침대 겸용 보호조끼
US20070151024A1 (en) Transfer mattress
DE602004006293T2 (de) Hüftschutzvorrichtung
US4660552A (en) Restraining device for spinal taps
KR102373788B1 (ko) 환자 결속구
KR200447073Y1 (ko) 환자용 팬티
CN204863612U (zh) 用于精神科护理的手部约束带
CN205434013U (zh) 医用膝关节助起装置
US20140083437A1 (en) Arm board device
CN215688882U (zh) 一种膝关节保护约束装置
CN203138779U (zh) 掌型约束固定器具
JP2024519954A (ja) 認知症患者の腕固定装置
KR102509738B1 (ko) 파스의 탈착이 가능한 보호대
CN208464394U (zh) 一种预防压疮的下肢约束带
CN205359656U (zh) 一种防烫伤医用约束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