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829A - 수축 가능한 선수 로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축 가능한 선수 로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829A
KR20190027829A KR1020197001650A KR20197001650A KR20190027829A KR 20190027829 A KR20190027829 A KR 20190027829A KR 1020197001650 A KR1020197001650 A KR 1020197001650A KR 20197001650 A KR20197001650 A KR 20197001650A KR 20190027829 A KR20190027829 A KR 20190027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system
bow
valve
movable structure
fluid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580B1 (ko
Inventor
에릭 모흐리앗
발레리 뒤발
카림 유스피
Original Assignee
에프엠씨 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엠씨 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에프엠씨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190027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B63B2701/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제1 선박의 선수루 갑판 상에 설치되는 선수 로딩 시스템이며, 이는 제2 선박에 설치된 지지 구조의 유체 이송 파이프의 상보적 밸브와 연결되도록 의도된 밸브 커플러(112)를 각각의 파이프의 제1 단부에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이송 파이프(118); 갑판 상에 고정되어 상승 램프(122)를 형성하는 고정 구조(120); 고정 구조의 램프(122)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각의 파이프의 밸브 커플러(112)를 수축 위치로부터 상보적 밸브가 밸브 커플러에 연결될 수 있는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유체 이송 파이프(118)가 연결되는 이동 가능한 구조(140); 및 이동 가능한 구조(140)를 수축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1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축 가능한 선수 로딩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선박 선수 로딩 시스템(ship bow loading system)(BLS)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2개의 선박 사이에 탠덤 해양 유체 전달(tandem offshore fluid transfer)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유체는 예를 들어 액화 천연 가스일 수 있다.
선수 로딩 시스템이 영구적으로 설치되는 2개의 선박 중 제1 선박은 탱커 또는 LNG-C("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예컨대, 메탄 탱커와 같이 가스를 그 운송을 위해 수용하도록 구성된 선박일 수 있다.
2개의 선박 중 제2 선박은 명칭 LNG-P("Liquefied Natural Gas Producer"), LNG-FPSO("Liquefied Natural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또는 FLNG("Floating Liquid Natural Gas Unit"), 재액화 선박(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GBS(Gravity Base Structure") 또는 마지막으로 플랫폼으로 알려져 있는 생산 선박일 수 있다.
선수 로딩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FLNG와 같은 제2 선박에 설치된 고정 또는 이동 구조에 의해 지지된 단일 또는 다수의, 강성 또는 가요성의 오프로딩 라인의 연결을 보증하기 위해 예를 들어 LNG-C와 같은 선박의 선수에 설치되는 단일 또는 다수의 연결 밸브 커플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출원 EP2697112에 공지되어 있다.
이 문헌에 개시된 선수 로딩 시스템은 녹수 하중(green water load)과 침식에 대해 거의 보호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녹수 하중에 대해 선수 로딩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다른 이점을 유도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 선박의 선수루 갑판(forecastle deck) 상에 설치되는 선수 로딩 시스템에 관련하며, 선수 로딩 시스템은 제2 선박에 설치된 지지 구조의 유체 이송 파이프의 상보적 밸브와 연결되도록 의도된 밸브 커플러를 각각의 파이프의 제1 단부에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이송 파이프; 갑판 상에 고정되어 상승 램프를 형성하는 고정 구조; 고정 구조의 램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각의 파이프의 밸브 커플러를 수축 위치로부터 상보적 밸브가 밸브 커플러에 연결될 수 있는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유체 이송 파이프가 연결되는 이동 가능한 구조; 및 이동 가능한 구조를 수축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안은 선박의 일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으로 그리고 갑판 위에서 연장하는 선수루 갑판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유형의 선박의 갑판 상에, 그 수축 위치에서 녹수 하중에 대해 완전히 또는 사실상 완전히 그에 의해 보호되도록 선수 로딩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때때로, 이는 오프로딩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연장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안 덕분에 선수 로딩 시스템은 잠재적 충돌에 대해서도 보호된다.
더 상세히는, 응급 분리의 경우, 선수 로딩 시스템의 오프로딩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의 신속 수축이 가능하여, 오프로딩 시스템 또는 다른 장비의 지지 구조와의 충돌 위험이 없는 것을 보증한다. 사실 램프는 동시적인 하향 및 후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조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유리한 방안에 따르면:
- 램프는 각각 이동 가능한 구조에 대해 직선 또는 곡선 궤적을 정의하기 위해 직선 또는 곡선 형상을 갖는다.
- 각각의 유체 이송 파이프의 밸브 커플러는 아래쪽으로부터 관련 밸브를 그에 연결하기 위해 하향으로 배향된다.
- 각각의 유체 이송 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섹션에 의해 구성된다.
- 각각의 유체 이송 파이프는 유체 밀폐 관절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강성 섹션에 의해 구성된다.
- 이동 가능한 구조는 고정 구조 상에서 구르는 캐리지를 형성한다.
- 캐리지는 램프를 형성하는 고정 구조의 레일 상에서 구르기 위한 휠을 포함한다.
- 선수 로딩 시스템은 응급 분리를 위한 절차에서 유체 전달 작업 이후의 정상적인 수축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그 이동 가능한 구조를 그 수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 이동 가능한 구조를 이동시키는 수단은 응급 분리를 위한 절차에서 유체 전달 작업 이후의 정상적인 수축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그 수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 이동 가능한 구조는 응급 분리 절차에서 중력을 사용하여 유체 전달 작업 이후의 정상적인 수축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그 수축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 이동 가능한 구조를 이동시키는 수단은 유압식, 전기식 또는 공압식 작동기를 포함한다.
- 이동 가능한 구조는 선수 로딩 시스템의 장비에 반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간 플랫폼을 포함한다.
- 고정 구조는 그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서 이동 가능한 구조에 도달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구조와 나란히 연장하는 계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선수 로딩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수 로딩 시스템은 선박의 선수루 갑판 상에 장착되고, 선수루 갑판 선체의 연장부는 선박의 일 측면 상의 선수 로딩 시스템의 하나의 후방 단부로부터 선박의 반대 측면 상의 선수 로딩 시스템의 다른 후방 단부로 그리고 연장부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서, 적어도 그 수축 위치에서의 선수 로딩 시스템의 상부 한계까지 갑판 위에서 연장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설명한 선수 로딩 시스템 또는 선박으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하며, 여기서, 응급 분리를 위한 절차에서, 이동 가능한 구조는 유체 전달 작업 이후의 정상적인 수축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그 수축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개략도(스케일이 상이함)를 참조하는 비제한적인 다음의 설명의 견지에서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수 로딩 시스템을 사용하는, 부분적으로 도시된 2개의 선박(LNGC 및 FLNG)의 배관을 연결하는 상이한 연속적 단계(각각 측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수 로딩 시스템의 2개의 위치(수축 및 연장)에서의 도 1 및 도 2의 LNGC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수 로딩을 갖는 선박의 선수루 부분의 2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서, LNGC(100)는 FLNG(200)에 가깝게 표시되어 있다. 갠트리(210)는 FLNG(200)에 체결된다.
3개의 관절형 튜브(220)가 갠트리(210)에 현수되어 있다.
각각의 관절형 튜브(220)는 FLNG(200)로부터 LNGC(100)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가능한 파이프를 구성하고, 외부 밸브(221)를 포함한다.
관절형 튜브(220)는 횡방향 보유 구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2개의 수형 중심설정 원추가 그 횡방향 보유 구조 상에 상향 체결된다(원추는 동일한 배향을 가짐, 단 하나만이 참조 번호 222로 오직 도 1에 도시됨).
2개의 암형 중심설정 원추가 LNGC(100)의 선수루 갑판 상에 장착된 지지 구조(110) 상에 하향으로 체결된다(이들 원추 역시 동일한 배향을 가짐, 단 하나만이 참조 번호 111로 도시됨; 특히 도 3 및 도 4 참조).
수형 중심설정 원추(222)는 도시된 구성에서 각각 암형 중심설정 원추(111)에 결합되도록 의도된다(도 2 참조).
각각의 하향 배향된 암형 중심설정 원추(111)는 수직과 각도를 형성하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그 개구를 갖는다. 그 원추(111)의 부근에는 원추(111)에 평행하게 배향된 밸브 커플러(112)가 있다.
전체적으로 각각의 외부 밸브(221)를 밸브 커플러(112)에 연결하기 위해 2개의 다른 밸브 커플러 사이에 제3 밸브 커플러가 배열된다.
여기서 또한 단지 하나의 밸브 커플러(112)만이 가시적이다(특히 도 3 및 도 4 참조).
윈치(115)에 의해 풀리(114)를 통해 제어되는 케이블(113)(특히 도 5 참조)은 각각의 암형 중심설정 원추(111)를 통과하여 로킹 시스템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횡방향 보유 구조와 만난다.
이 케이블은 외부 밸브(221)를 밸브 커플러(112)를 향해 위로 당김으로써 관절형 튜브(220)의 외부 밸브(221)를 아래쪽으로부터 밸브 커플러(112)에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풀리(116') 상을 통과하는 안전 케이블(117)을 제어하는 윈치(116)를 또한 볼 수 있다. 안전 케이블(117)은 LNGC(100)의 3개의 밸브 커플러 중 하나(중심)의 하부 부분에 계속 부착되어 있다.
더욱 정확하게, 각각의 밸브 커플러(112)는 하부 밸브 및 상부 밸브(도면에는 보이지 않음)로 구성된다. 각각의 밸브 커플러(112)는 응급 해제 시스템(ERS: Emergency Release System 또는 PERC: Powered Emergency Release Coupler)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에 의해, 응급 분리의 경우에 하부 밸브가 상부 밸브로부터 분리되고 힌지식 라인의 외부 밸브(221)에 대해서는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윈치(116)는 안전 케이블(117)의 풀림을 위한 브레이크를 구성하여, 관절형 튜브(220)의 자유 단부의 낙하를 저속화한다.
이러한 특징은 유럽 특허 출원 EP2382124에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특히, 관절형 튜브(220)를 조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케이블 및 대응하는 연결, 분리 및 응급 분리 절차는 여기에 설명되지 않으며, 이 특허 출원에서 설명된 것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대안적으로, 앞서 설명한 특허 출원 EP2697112에 설명된 구조의 경우에서와 같이 첨두형 세그먼트가 갠트리(210) 상에 사용되는 경우, 여기에서 구현되는 케이블 및 절차는 이 유럽 특허 출원 EP2697112에 설명된 바와 같은 것들이다.
본 발명에 따라, 선수 로딩 시스템(110)은 2개의 주요 부분, 즉 한편의 LNGC(100)의 갑판(130) 상에 고정되고 상승 램프(121)를 형성하는 고정 구조(120)와, 다른 한편의 도 3에 도시된 수축 위치(또는 보관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된 연장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 구조(120)의 램프(121) 상에 장착된 이동 가능한 구조(140)를 포함한다.
수축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의 이러한 이동의 목적은 밸브 커플러(112)를 관절형 튜브(220)의 외부 밸브(221)에 연결하기 위한 위치로 가져오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각각의 밸브 커플러(112)는 3개의 유체 이송 파이프(118) 각각의 제1 단부에 장착되고, 각각의 유체 이송 파이프는 이동 가능한 구조(140)의 이동을 밸브 커플러로 전달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구조(140)에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은 이동 가능한 구조(140)를 형성하는 금속 빔 및 각각의 밸브 커플러(112) 모두에 연결된 고정 러그(141)(도 3 및 도 4 참조)에 의해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 이송 파이프는 강성 섹션들 중 하나를 통해 이동 가능한 구조에 연결될 수 있고, 강성 섹션들은 유체 이송 파이프를 형성하며, 관절형 튜브(220)의 섹션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체 밀폐 관절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물론, 예를 들어, 특히, 튜브형 빔이 사용될 때, 이동 가능한 구조의 빔에 밸브 커플러를 고정하기 위한 칼라의 사용과 같은 다른 고정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유체 밀폐 관절부 덕분에 각각의 유체 이송 파이프는 절첩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는 점선형태(broken line)를 형성한다.
밸브 커플러(112)를 지탱하는 단부에 대향하는 그 단부에서, 각각의 유체 이송 파이프(118)는 LNGC의 갑판(130) 상에 장착된 다른 파이프(119)에 유체 밀폐 관절을 통해 연결되어 FLNG로부터 나오는 유체를 탱크 LNGC의 탱크로 전달한다.
서로 용접된 금속 빔의 조립체로 제조된 이동 가능한 구조(140)는 여기서 고정 구조(120) 상에서 구르는 캐리지를 형성한다. 이는 이 목적을 위해 고정 구조(120)의 레일(122) 상에서 구르는 휠을 포함한다. 이 레일(122)은 고정 구조(120)에 용접되며, 고정 구조는 또한 서로 용접된 금속 빔의 조립체로 구성된다.
실제로, 캐리지는 고정 구조(120)의 2개의 측방향 부분 사이에 수용된다. 이 각각의 측방향 부분은 제2 부분의 다른 하나와 함께 램프(121)를 형성하는 하나의 레일(12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램프는 이동 가능한 구조에 대한 직선 궤적을 한정하기 위해 직선 형상을 갖는다. 이 궤적은 도 4의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도 알 수 있듯이, 램프는 변형으로서 이동 가능한 구조의 곡선 궤적을 한정하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동 가능한 구조(140)를 수축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그리고,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선수 로딩 시스템(110)은 또한 이 이동 가능한 구조(1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동 수단은 이 목적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 각각 포크(151)에 의해 고정 구조(120), LNGC(100)의 갑판(130) 및 이동 가능한 구조에 고정된 2개의 유압식 잭(150)을 포함한다(특히, 도 3 및 도 4 참조).
이 잭(150)은 또한 여기서 응급 분리를 위한 절차에서 유체 오프로딩 작업 이후의 정상적인 수축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이동 가능한 구조(140)를 그 수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제로, 본 발명의 잭은 이중 효과 잭이다. 변형예로서, 단일 효과 잭이 사용될 수 있고 응급 분리를 위한 절차에서 이동 가능한 구조(140)의 그 수축 위치로의 수축은 이때 단지 중력을 사용하여 유체 오프로딩 작업 이후의 정상적인 수축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중력은 이중 효과 잭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의 일부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구조(140)의 전방 부분에는 암형 중심설정 원추(111) 및 밸브 커플러(112)를 보호하기 위한 고무 충격 흡수체의 범퍼(142)가 장비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덕분에, 그 수축 위치에서, 이동 중에 또는 응급 시퀀스 이후에 도달한 선수 로딩 시스템(110)은 LNGC 선수루 갑판 선체(160)의 연장부(161)에 의해 완전히 보호될 수 있고, 그래서, 녹수 하중 및 결과적 침식 및 잠재적 충돌에 대해 그 장비의 더 양호한 보호를 보증할 수 있다. 또한, 이 연장부(161)는 도 5 및 도 6에서 완전히 볼 수 있고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제로, 선수루 갑판 선체(160)의 연장부(161)는 선박의 일 측면 상의 선수 로딩 시스템(110)의 후방 단부(즉, 밸브 커플러(112)를 구비한 단부에 대향한 선수 로딩 시스템(110)의 단부)로부터 선박의 대향 측면 상의 선수 로딩 시스템(110)의 다른 후방 단부까지 갑판(130) 위에서 연장한다. 이 연장부는 또한 이 연장부(161)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그 수축 위치에서 선수 로딩 시스템(110)의 상부 한계를 초과하여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선수 로딩 시스템은 선박의 측면 상에 연장부(161)의 상단 한계 아래에 위치하지만, 선체의 연장부(161)에 형성된 절결부(162)로 인해 선박의 이물에서 연장부(161)의 상단 한계를 미소하게 초과하여 연장하고, 이 곳에서, 폐쇄 패널(163)이 여기서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실제로, 선수 로딩 시스템은 또한 패널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선박의 이물에서의 연장부의 상단 한계 아래에 배치되며, 여기서, 이는 절결부(162)를 덮는다. 이러한 절결부(162)는 본 발명에서 수축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의 그 이동의 시작에서 선수 로딩 시스템의 이동 가능한 구조(140)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는 연장부의 높이의 약 1/5에 걸쳐, 그리고 이물의 사실상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한다.
선수 로딩 시스템의 배열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는 절결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연장 위치에서, 본 실시예의 선수 로딩 시스템(110)은 선수루 갑판 선체의 연장부(161) 위에 위치하고, 이를 초과하여 FLNG를 향해 배치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연장부(161)는 선수 로딩 시스템(110)의 다른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단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구조는 또한 선수 로딩 시스템(110)의 장비에 도달하기 위한 중간 플랫폼(143)을 포함하고, 이 플랫폼은 선수 로딩 시스템(110)의 연장 위치에서 갑판 선체(160)의 연장부(161)의 상단 한계의 레벨에 위치된다.
이동 가능한 구조(140) 덕분에, 선수 로딩 시스템(110)의 장비에 대한 접근은 이 플랫폼(143)을 통해 가능할뿐만 아니라 LNGC의 갑판으로부터도 가능하다.
중간 플랫폼(143)뿐만 아니라 이동 가능한 구조(140)의 다른 부분에 도달하기 위해, 고정 구조는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구조(140)의 양 측면에 나란히 연장하는 계단(1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수 로딩 시스템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FLNG를 향한 이동 및 접근 페이즈 동안, 선수 로딩 시스템(110)은 수축 위치에 있다(도 3). 이 위치에서, 전체 선수 로딩 시스템은 고정된 녹수 보호(연장부(161))에 의해 완전히 보호된다. LNGC가 FLNG와 관련하여 정확하게 위치 및 배향되고, 이론적인 설정점 가까이에서 안정화되자마자, 선수 로딩 시스템이 연장되고 완전한 연장 위치에서 로킹된다(도 4). 그 다음, 선수 로딩 시스템 상의 연결 밸브 커플러(112)에 대한 오프로딩 라인(220)의 연결 및 오프로딩이 수행될 수 있다(도 1).
응급 분리 절차의 경우, 오프로딩 라인이 분리되고, 선수 로딩 시스템 수축이 개시되며, LNGC가 아래에 있을 때 FLNG 상에 설치된 오프로딩 라인 지지 구조(갠트리(210))와의 상당한 간극을 보증하기에 충분히 신속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 덕분에:
1. 선수 로딩 시스템은 선형 또는 곡선형일 수 있는 궤적을 따라 보관 위치로부터 오프로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2. 응급 분리의 경우에 오프로딩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의 선수 로딩 시스템의 신속 수축이 유지되어, 다른 장비 또는 오프로딩 시스템의 지지 구조와의 충돌 위험이 없는 것을 보증한다. 선수 로딩 시스템 조종 작동기를 사용하여 능동적으로 또는 중력을 사용하여 수동적으로 이것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축 가능한 선수 로딩 시스템은 완전 수축 위치에서 FLNG의 고정 또는 이동 구조와 상당한 간극(도 2의 "△" 참조)을 보증하며, 이는 단일 또는 다수의, 강성 또는 가요성 오프로딩 라인을 지지하며:
ㆍ 접근 페이즈에서, 임의의 연결 이전에, 선수 로딩 시스템은 완전 수축 위치에 있고 녹수 보호(전술한 연장부)에 의해 보호되고;
ㆍ 오프로딩 동안, 비정상적인 조건으로 인해 응급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 선수 로딩 시스템의 신속 수축이 수행되고, 이는 선수 로딩 시스템이 즉시 완전 수축 위치에 있게 되고 녹수 보호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보장한다.
3. 수축(보관) 위치에서 선수 로딩 시스템의 모든 장비는 LNGC 갑판에서 접근할 수 있고, 이는 보다 쉽고 안전한 유지 보수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선수 로딩 시스템의 모든 장비에 대한 접근이 LNGC 갑판에서 실행 가능하여, 선수 로딩 시스템이 완전 수축 위치에 있을 때 임의의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보수 작업은 작업자에게 안전한 상태에서- LNGC 갑판 위에서 및 녹수 보호에 의해 보호된 상태에서 -LNGC 이동 페이즈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4. 그 수축 위치에서, 이동 중에 또는 응급 시퀀스 이후에 도달한 선수 로딩 시스템은 LNGC 선수루 갑판 선체(연장부)에 의해 그리고 그 상단 한계 아래에서 완전히 보호되고, 이는 침식, 녹수 하중 및 잠재적 충돌에 대해 그 장비의 더 양호한 보호를 보증한다.
5. 완전 수축 위치에서 선수 로딩 시스템의 높이는 오프로딩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완전 연장 위치에서보다 훨씬 낮으며, 이는 LNGC 이동 중에 더 나은 가시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의 능력 범위 내의 모든 변형을 포함한다.
특히, 제1 및 제2 유닛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레일에 의해 함께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U 형상 레일의 안내 표면 사이에 개재된 휠에 의해 함께 보유될 수 있다.
또한, 유체 밀폐 관절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강성 섹션에 의해 구성된 각각의 유체 이송 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섹션으로 구성된 유체 이송 파이프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구조를 이동시키는 수단은 유압식 작동기 대신 전기식 또는 공압식 작동기로 구성될 수 있다.

Claims (16)

  1. 제1 선박(100)의 선수루 갑판 상에 설치되는 선수 로딩 시스템(110)이며,
    제2 선박에 설치된 지지 구조의 유체 이송 파이프의 상보적 밸브와 연결되도록 의도된 밸브 커플러(112)를 각각의 파이프의 제1 단부에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이송 파이프(118);
    갑판 상에 고정되어 상승 램프(122)를 형성하는 고정 구조(120);
    고정 구조의 램프(122)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각의 파이프의 밸브 커플러(112)를 수축 위치로부터 상보적 밸브가 밸브 커플러에 연결될 수 있는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유체 이송 파이프(118)가 연결되는, 이동 가능한 구조(140); 및
    이동 가능한 구조(140)를 수축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150)을 포함하는, 선수 로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선수 로딩 시스템은 응급 분리를 위한 절차에서 유체 전달 작업 이후의 정상적인 수축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그 이동 가능한 구조를 그 수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선수 로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구조를 이동시키는 수단은 응급 분리를 위한 절차에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그 수축 위치로 유체 전달 작업 이후의 정상적인 수축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선수 로딩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구조는 응급 분리 절차에서 중력을 사용하여 유체 전달 작업 이후의 정상적인 수축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그 수축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선수 로딩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구조를 이동시키는 수단은 유압식, 전기식 또는 공압식 작동기를 포함하는, 선수 로딩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램프는 각각 이동 가능한 구조에 대해 직선 또는 곡선 궤적을 정의하기 위해 직선 또는 곡선 형상을 갖는, 선수 로딩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구조는 고정 구조 상에서 구르는 캐리지를 형성하는, 선수 로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캐리지는 램프를 형성하는 고정 구조의 레일 상에서 구르기 위한 휠(141)을 포함하는, 선수 로딩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체 이송 파이프의 밸브 커플러는 아래쪽으로부터 관련 밸브를 그에 연결하기 위해 하향으로 배향되는, 선수 로딩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체 이송 파이프는 유체 밀폐 관절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강성 섹션에 의해 구성되는, 선수 로딩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체 이송 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섹션에 의해 구성되는, 선수 로딩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구조는 선수 로딩 시스템의 장비에 반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간 플랫폼(143)을 포함하는, 선수 로딩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구조는 그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서 이동 가능한 구조에 도달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구조와 나란히 연장하는 계단(123)을 포함하는, 선수 로딩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선수 로딩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15. 제14항에 있어서, 선수 로딩 시스템은 선박의 선수루 갑판 상에 장착되고,
    선수루 갑판 선체의 연장부는, 선박의 일 측면의 선수 로딩 시스템의 하나의 후방 단부로부터 선박의 반대 측면 상의 선수 로딩 시스템의 다른 후방 단부까지 그리고 연장부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서, 적어도 그 수축 위치에서의 선수 로딩 시스템의 상부 한계까지, 갑판 위에서 연장하는, 선박.
  16.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선수 로딩 시스템 또는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박으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이며,
    응급 분리를 위한 절차에서, 이동 가능한 구조는 유체 전달 작업 이후의 정상적인 수축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그 수축 위치로 이동되는, 유체 전달 방법.
KR1020197001650A 2016-06-22 2016-06-22 수축 가능한 선수 로딩 시스템 및 방법 KR102562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6/001038 WO2017221044A1 (en) 2016-06-22 2016-06-22 Retractable bow loading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829A true KR20190027829A (ko) 2019-03-15
KR102562580B1 KR102562580B1 (ko) 2023-08-02

Family

ID=5661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650A KR102562580B1 (ko) 2016-06-22 2016-06-22 수축 가능한 선수 로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737747B2 (ko)
EP (1) EP3475158B1 (ko)
JP (1) JP6855510B2 (ko)
KR (1) KR102562580B1 (ko)
CN (1) CN109789914B (ko)
AU (1) AU2016411102B2 (ko)
CA (1) CA3027653C (ko)
MY (1) MY192674A (ko)
RU (1) RU2709701C1 (ko)
WO (1) WO20172210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4169A (zh) * 2021-04-27 2021-06-29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油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8762A1 (en) * 1998-01-30 1999-08-05 Den Norske Stats Oljeselskap A.S Lng load transfer system
US20080289721A1 (en) * 2005-06-28 2008-11-27 Jae-Wook Park Dual Fluid Lng Transferring Arm
KR20140026443A (ko) * 2011-04-11 2014-03-05 에프엠씨 테크놀로지스 에스.아. 연안 유체 이송 시스템 및 방법
WO2015130701A1 (en) * 2014-02-25 2015-09-03 Excelerate Energy Limited Partnership Retractable lng cargo transfer bow manifold for tandem marine cargo transf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0625A1 (fr) * 1997-08-26 1999-03-04 Jipangu Inc. Procede d'exploitation de l'or placerien, navire d'exploitation de l'or placerien utilise selon ce procede, procede et systeme d'exploitation et de separation de l'or placerien, et procede et systeme de separation de l'or placerien
FR2903753B1 (fr) * 2006-07-13 2012-01-20 Eurodim Sa Dispositif de connexion de l'extremite d'une conduite deformable d'acheminement d'un fluide a une tuyauterie fixe telle que le manifold d'un navire.
FR2941434B1 (fr) * 2009-01-27 2015-05-01 Fmc Technologies Sa Systeme de transfert d'un produit fluide et sa mise en oeuvre
US8286678B2 (en) * 2010-08-13 2012-10-16 Chevron U.S.A. Inc. Process, apparatus and vessel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two structures
US8568076B1 (en) * 2011-12-08 2013-10-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ea surface vessel recovery and fueling system
WO2013184574A1 (en) * 2012-06-03 2013-12-12 Conveyor Application Systems Llc System for conveying drill cuttings
CA2913114C (en) * 2013-05-23 2018-02-20 Fmc Technologies, Inc. Magnetic anti-rotation device for pump access cover retainer
NO337756B1 (no) * 2014-01-17 2016-06-13 Connect Lng As En overføringsstruktur, et overføringssystem og en fremgangsmåte for overføring av et fluid og/eller elektrisk kraft mellom en flytende struktur og en flytende eller ikke-flytende fasilit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8762A1 (en) * 1998-01-30 1999-08-05 Den Norske Stats Oljeselskap A.S Lng load transfer system
US20080289721A1 (en) * 2005-06-28 2008-11-27 Jae-Wook Park Dual Fluid Lng Transferring Arm
KR20140026443A (ko) * 2011-04-11 2014-03-05 에프엠씨 테크놀로지스 에스.아. 연안 유체 이송 시스템 및 방법
WO2015130701A1 (en) * 2014-02-25 2015-09-03 Excelerate Energy Limited Partnership Retractable lng cargo transfer bow manifold for tandem marine cargo transf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5158A1 (en) 2019-05-01
BR112018076855A2 (pt) 2019-04-02
AU2016411102A1 (en) 2019-01-03
WO2017221044A1 (en) 2017-12-28
US10737747B2 (en) 2020-08-11
CN109789914B (zh) 2021-01-15
CA3027653C (en) 2023-09-19
AU2016411102B2 (en) 2023-06-01
JP2019524527A (ja) 2019-09-05
JP6855510B2 (ja) 2021-04-07
KR102562580B1 (ko) 2023-08-02
EP3475158B1 (en) 2021-02-24
CN109789914A (zh) 2019-05-21
MY192674A (en) 2022-08-30
CA3027653A1 (en) 2017-12-28
RU2709701C1 (ru) 2019-12-19
US20200180735A1 (en)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9970B2 (en) Device for transferring a fluid to a ship, ship, transfe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102002182B1 (ko) 연안 유체 이송 시스템 및 방법
RU2285659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качки текучего продукта между грузовым судном и береговой установкой
US10393288B2 (en) Marine reel lay method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s
US9822906B2 (en) Marine pipelaying and method for abandonment of a pipeline
JP5222287B2 (ja) 液体を船舶に移送するシステム
EP2508417B1 (en) Offshore systems and methods for liquefied gas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to reduce and prevent damage
US90041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loading a hydrocarbon fluid
WO1999050582A1 (en) Marine pipelay system
CN103403428A (zh) 管敷设船以及敷设管线的方法
KR20190027829A (ko) 수축 가능한 선수 로딩 시스템 및 방법
US11667356B2 (en) System for transferring cryogenic product between two ships placed side by side
BR112018076855B1 (pt) Sistema de carregamento de proa, navio e método para transferência de fluido
US9638351B2 (en) Vessel with stinger hand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