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699A - 배변(排便)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배변(排便)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699A
KR20190026699A KR1020190020299A KR20190020299A KR20190026699A KR 20190026699 A KR20190026699 A KR 20190026699A KR 1020190020299 A KR1020190020299 A KR 1020190020299A KR 20190020299 A KR20190020299 A KR 20190020299A KR 20190026699 A KR20190026699 A KR 20190026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rectum
discharge tube
discharg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369B1 (ko
Inventor
한겸진
Original Assignee
한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겸진 filed Critical 한겸진
Priority to KR1020190020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3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91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dilating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irrigation ports 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61M3/0262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manually, e.g. by squeezing a bul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Devices for holding the cannula in position, e.g.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87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an external liquid coll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67An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의식이 없거나 의식이 있더라도 거동할 수 없어 스스로 배변할 수 없는 중환자의 항문(肛門)을 통하여 직장(直腸) 내부로 삽입하여 인위적으로 배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되, 배변유도과정에서 직장의 내벽을 확장시켜 배변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배출되는 변이 변수납백에 수용되기 전에 검사에 필요한 변(便)샘플을 간단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하며, 배변이 완료된 후에는 약액이나 물을 직장내로 주입하여 직장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배출된 변이 수용된 변수납백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나 간병인 모두 변유출물과 교차오염(Cross-contamination)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안전하고도 효율적으로 배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배변 유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선단부가 환자의 항문을 통하여 직장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변을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선단부 내주면을 따라 내재된 상태에서 배출관의 선단부가 직장(直腸)의 내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벌려지면서 직장의 내벽을 확장시키는 격자형의 직장확장편과; 상기 직장확장편을 포함하는 배출관의 선단부 아랫부분을 감싼 형태로 끼워지며, 후단의 외측으로는 스톱퍼가 돌설된 배출관홀더와; 상기 배출관홀더의 윗부분에 슬라이되게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배출관홀더에 끼워진 배출관 선단부상의 직장확장편이 벌려지지 않도록 중심쪽으로 눌러준 상태에서 배출관홀더와 함께 환자의 항문을 통하여 직장 내부로 삽입되며, 후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삽입관과; 상기 배출관의 후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변이 수용되는 변수납백과; 상기 배출관상의 소정 위치에서 배출관의 내부로 끼워져 설치되며, 선단부는 상기 직장확장편과 연결되며, 후단은 배출관의 외측에 마련되는 당김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당김편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직장 내부에서 벌려진 상태의 확장편을 중심쪽으로 오므려주는 단일 또는 복수의 당김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변(排便) 유도장치{Apparatus inducing defecation for a serious case}
본 발명은 배변(排便)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식이 없거나 의식이 있더라도 거동할 수 없어 스스로 배변할 수 없는 중환자의 항문(肛門)을 통하여 직장(直腸) 내부로 삽입하여 인위적으로 배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되, 배변유도과정에서 직장의 내벽을 확장시켜 배변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배출되는 변이 변수납백에 수용되기 전에 검사에 필요한 변(便)샘플을 간단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하며, 배변이 완료된 후에는 약액이나 물을 직장내로 주입하여 직장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배출된 변이 수용된 변수납백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나 간병인 모두 변유출물과 교차오염(Cross-contamination)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안전하고도 효율적으로 배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배변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식이 없거나 의식이 있어도 거동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중환자의 경우 대소변을 처리하는 문제에 있어서 본인은 물론 간병하는 사람에게도 큰 어려움이 따른다.
등록특허 제10-1093444호에는 다리(가랑이) 사이로 착용되는 기저귀를 통해서 환자에게 설치되어 배설물을 받아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와병 환자용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10-1292812호에는 인체의 배설 부위 후방부를 감싸도록 장착되어 침상에서 대변과 소변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53814호에는 자동배변처리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변처리장치는 환자의 사타구니에 착용하거나, 환자가 직접 착용하여 대소변을 처리해주는 장치들이 구비된 침대 등으로 환자가 착용하기 위해서는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하고, 환자가 움직이면 주변으로 배설물이 새어나가 매트리스나 환자복 등에 묻게 되는 것은 물론, 환자가 부득이하게 이동을 할 경우 부피가 커 보관이나 이동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16-0133643호(명칭: 배변처리장치, 이하 '선헹기술'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일단에 배설물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이 항문에 삽입되어 배설물을 흡입하는 배출관을 구비한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관에 흡입된 배설물을 수용하는 유연한 팩과; 상기 팩을 수용하고 상기 배출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팩에 배설물이 수용될 수 있게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펌프를 구비한 배설물수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의 요지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배출수단이 항문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의식이 없거나 의식이 있어도 거동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중환자의 배변처리에 매우 유용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단순히 배출관이 항문에 삽입된 상태에서 펌프를 펌핑하는 작용에 의하여 배설물이 배출관을 통하여 흡입된 후 팩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펌프의 펌핑작용에 의하여 생기는 부압(負壓)에 의하여 환자의 직장내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검사에 필요한 변샘플을 채취하거나 배변처리 완료 후 별도의 세척에 필요한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16-0133643호. "배변처리장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의식이 없거나 의식이 있더라도 거동할 수 없어 스스로 배변할 수 없는 중환자의 항문(肛門)을 통하여 직장(直腸) 내부로 삽입하여 인위적으로 배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되, 배변유도과정에서 직장의 내벽을 확장시켜 배변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배변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출되는 변이 변수납백에 수용되기 전에 검사에 필요한 변(便)샘플을 간단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배변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변이 완료된 후에는 약액이나 물을 직장내로 주입하여 직장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배변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출된 변이 수용된 변수납백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나 간병인 모두 변유출물과 교차오염(Cross-contamination)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안전하고도 효율적으로 배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배변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단부가 환자의 항문을 통하여 직장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변을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선단부 내주면을 따라 내재된 상태에서 배출관의 선단부가 직장의 내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벌려지면서 직장의 내벽을 확장시키는 격자형의 직장확장편과; 상기 직장확장편을 포함하는 배출관의 선단부 아랫부분을 감싼 형태로 끼워지며, 후단의 외측으로는 스톱퍼가 돌설된 배출관홀더와; 상기 배출관홀더의 윗부분에 슬라이되게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배출관홀더에 끼워진 배출관 선단부상의 직장확장편이 벌려지지 않도록 중심쪽으로 눌러준 상태에서 배출관홀더와 함께 환자의 항문을 통하여 직장 내부로 삽입되며, 후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삽입관과; 상기 배출관의 후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변이 수용되는 변수납백과; 상기 배출관상의 소정 위치에서 배출관의 내부로 끼워져 설치되며, 선단부는 상기 직장확장편과 연결되며, 후단은 배출관의 외측에 마련되는 당김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당김편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직장 내부에서 벌려진 상태의 확장편을 중심쪽으로 오므려주는 단일 또는 복수의 당김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당김편의 앞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배출관상에는 배출관을 따라 변수납백쪽으로 이송되는 변의 샘플을 주사기로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변샘플채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변샘플채취부는 마개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당김편의 설치 위치와 인접한 배출관에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직장의 내부로 약액이나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부가 마개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물주입부와 직장확장편 사이에 해당되는 배출관의 내부에는 물분사호스가 내장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수납백의 상부에는 내벽과 외벽을 가지면서 내부와 연통되는 원형의 연결관이 돌출되게 형성된 상태에서 마개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관의 후단에는 상기 변수납백상의 연결관을 구성하는 내벽과 외벽 사이에 끼워지는 원형의 토출관이 대향되게 돌출되는 한편; 상기 토출관의 둘레면 일측에는 결합핀이 돌출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관상의 외벽의 일측 둘레면에는 토출관을 일정 각도 만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결합핀이 끼워져 걸리거나 걸림상태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 "ㄴ"형의 결합공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의식이 없거나 의식이 있더라도 거동할 수 없어 스스로 배변할 수 없는 중환자의 항문(肛門)을 통하여 직장(直腸) 내부로 배출관을 삽입하여 인위적으로 배변을 유도하되, 배변유도과정에서 직장의 내벽이 확장되도록 하기 때문에 배변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배출되는 변이 변수납백에 수용되기 전에 검사에 필요한 변(便)샘플을 주사기로써 간단하게 채취할 수 있으며, 배변이 완료된 후에는 약액이나 물을 직장내로 주입 분사하여 직장을 세척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된 변이 수용되는 변수납백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나 간병인 모두 변유출물과 교차오염(Cross-contamination)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안전하고도 효율적으로 배변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유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유도장치에 적용되는 직장확장편이 배출관의 선단부에 내재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유도장치에 적용되는 배출관홀더와 삽입관의 조립체를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유도장치에서 배출관의 선단부가 환자의 직장(直腸) 내부로 삽입된 후 외측으로 벌려진 직장확장편에 의하여 직장 내벽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유도장치에서 배출관의 외측에 직장확장편을 빼내기 위한 당김편 및 물주입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유도장치에서 배출관의 일측에 형성되는 변샘플채취부로부터 변샘플을 채취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유도장치에서 배출관의 일측에 형성되는 물주입부를 통하여 배출관의 선단부쪽으로 약액이나 물을 주입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유도장치에서 변수납백과 배출관 후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 사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유도장치에서 배출관 선단부가 수용된 배출관홀더 및 삽입관의 조립체를 환자의 항문을 통하여 삽입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유도장치에서 배출관 선단부가 수용된 배출관홀더 및 삽입관의 조립체를 환자의 항문을 통하여 삽입한 다음, 삽입관을 직장의 바깥쪽으로 빼내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유도장치에서 배출관 선단부에 내재된 직장확장편의 작용에 의하여 직장의 내벽이 확장된 상태에서 배변이 이루어진 다음, 물주입부를 통하여 액이나 물을 직장의 내부로 주입분사하여 세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유도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배변처리가 완료된 후 직장확장편이 중심쪽으로 오므려지게 한 상태에서 배출관을 직장의 바깥쪽으로 빼내는 과정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서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유도장치(10)에서는 선단부가 환자의 항문을 통하여 직장(11)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변(便)을 배출시키는 배출관(20)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관(20)의 선단부 내주면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20)의 선단부가 직장(11)의 내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벌려지면서 직장의 내벽을 확장시키는 격자형의 직장확장편(21)이 내재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직장확장편(21)을 포함하는 배출관(20)의 선단부 아랫부분은 별도의 배출관홀더(30)에 의하여 감싸여진 형태로 끼워지는데, 상기 배출관홀더(30)의 후단 외측으로는 스톱퍼(31)가 돌출되게 구성된다.
또, 상기 배출관홀더(30)의 윗부분에는 상기 배출관홀더(30)에 끼워진 배출관(20) 선단부상의 직장확장편(21)이 벌려지지 않도록 중심쪽으로 눌러준 상태에서 배출관홀더(30)와 함께 환자의 항문을 통하여 직장(11)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40)이 슬라이되게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삽입관(40)의 후단에는 손잡이(41)가 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관(40)의 선단부는 항문에 대한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둥근머리 형태의 원추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관(20)의 후단에는 배출관(20)을 통하여 배출되는 변이 수용되는 변수납백(5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변수납백(50)의 상부에는 내벽(51)과 외벽(52)을 가지면서 내부와 연통되는 원형의 연결관(53)이 돌출되게 형성된 상태에서 마개(54)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관(20)의 후단에는 상기 변수납백(50)상의 연결관(53)을 구성하는 내벽(51)과 외벽(52) 사이에 끼워지는 원형의 토출관(22)이 대향되게 돌출된다.
또, 상기 토출관(22)의 둘레면 일측에는 결합핀(22a)이 돌출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관(53)상의 외벽(52)의 일측 둘레면에는 토출관(22)을 일정 각도 만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결합핀(22a)이 끼워져 걸리거나 걸림상태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 "ㄴ"형의 결합공(52a)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관(20)상의 소정 위치에서 배출관(20)의 내부로는 단일 또는 복수의 당김줄이(60)이 끼워져 설치되는데, 상기 당김줄(60)의 선단부는 상기 직장확장편(21)과 연결되며, 상기 당김줄(60)의 후단은 배출관(20)의 외측에 마련되는 당김편(6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당김편(61)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당김줄(60)이 외측으로 당겨지면, 직장(11) 내부에서 벌려진 상태의 직장확장편(21)이 중심쪽으로 오므려지게 되어 배출관(20)을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당김편(61)의 앞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배출관(20)상에는 변수납백(50)쪽으로 이송되는 변의 샘플을 주사기로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변샘플채취부(70)가 형성되고, 상기 변샘플채취부(70)는 마개(71)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당김편(61)의 설치위치와 인접한 배출관(20)에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직장(11)의 내부로 약액이나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부(80)가 마개(81)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물주입부(80)와 직장확장편(21) 사이에 해당되는 배출관(20)의 내부에는 물분사호스(82)가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유도장치(10)를 이용하여 환자의 배변을 유도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40)과 배출관홀더(30)의 외주면에 윤활제를 도포하고, 삽입관(40)과 배출관홀더(30)를 환자의 항문을 통하여 직장(11) 내로 진입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배출관홀더(30)의 후단에 형성된 스톱퍼(31)가 항문의 외측가장자리에 닿으면, 한 손으로 상기 스톱퍼(31)를 잡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상기 삽입관(40)의 손잡이(41)를 잡고 삽입관(40)을 뒤쪽으로 당기면 상기 삽입관(40)이 직장(11)의 바깥쪽으로 빠지면서 배출관(20)에 끼워져 있던 상태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삽입관(40)이 직장(11)의 바깥쪽으로 빠진 상태에서 스톱퍼(31)을 잡고 배출관홀더(30)를 바깥쪽으로 당기면 상기 배출관홀더(30)가 직장(11)의 바깥쪽으로 빠지면서 배출관(2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관홀더(30)와 삽입관(40) 사이에 끼워져 있던 배출관(20)의 선단부가 환자의 직장(11) 내부에 위치됨과 동시에 배출관(20)의 선단부 내주면에 내재된 상태에서 삽입관(40)에 의하여 눌려 있던 직장확장편(21)이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벌려지면서 직장(11)의 내벽이 확장된다.
이와 같이 직장확장편(21)에 의하여 직장의 내부가 확장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아, 직장 내부의 변(便)이 배출관(20)을 통하여 이송되어 배출관(20)의 후단에 결합된 변수납백(5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한 배변유도과정에서 검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변샘플을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샘플채취부(70)에 씌워진 마개(71)를 열고, 상기 변샘플채취부(70)에 주사기를 삽입한 상태에서 배출관(20)을 통하여 변수납백(50)으로 이송되는 변을 채취한다.
한편, 직장(11) 내부의 변이 모두 배출된 상태에서 직장(11)의 내부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20)상에 형성된 물주입부(80)의 마개(81)를 열고, 주사기를 이용하여 약액이나 물이 주입하면, 주입된 약액이나 물은 물분사호스(82)를 통하여 직장(11)의 내부로 분사되면서 직장의 내부를 세척하게 되고, 직장(11)에서 세척된 액은 배출관(20)을 통하여 변수납백(50) 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배변 및 세척과정이 종료된 상태에서 환자의 직장(11) 내부에 삽입된 배출관(20)을 빼내고자 하는 경우, 도 5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20)상의 물주입부(80)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된 당김편(61)을 바깥쪽으로 당기면, 상기 배출관(20)의 선단부에 내재된 직장확장편(21)과 연결된 당김줄(60)이 바깥쪽으로 당겨짐과 동시에 상기 직장확장편(21)이 중심쪽으로 오므려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배출관(20)을 잡고 바깥쪽으로 당기면 직장(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배출관(20)의 선단부가 안전하게 항문의 외측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한번 사용된 상기 배출관(20), 배출관홀더(30), 삽입관(40), 주사기 및 변수납백(50)은 의료용 폐기물로서 별도의 수거용기에 넣어 폐기처분하게 된다.
한편, 새로운 변수납백(50)과 배출관(20)을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수납백(50)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형의 연결관(53)을 닫아주고 있던 마개(54)를 열어 젖힌 상태에서 상기 배출관(20)의 후단에 형성된 토출관(22)을 상기 변수납백(50)상의 연결관(53)에 끼워 결합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토출관(22)을 연결관(53)상의 내벽(51)과 외벽(52) 사이에 맞추어 끼우고, 정해진 방향으로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키면, 상기 토출관(22)의 외측에 돌출된 결합핀(22a)이 상기 연결관(53)상의 외벽(52)에 형성된 "ㄴ"형 결합공(52a)에 끼워져 걸리면서 변수납백(50)상의 연결관(53)과 배출관(20)상의 토출관(22)의 상호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토출관(22)이 연결관(53)상의 내벽(51)과 외벽(52)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변이 변수납백(50)에 유입될 때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변으로부터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의 유출이 최소화된다.
상기 변수납백(50)이 모두 채워져 변수납백(50)만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관(2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연결관(53)과의 결합상태로부터 해제한 후 연결관(53)에 마개(54)을 닫아 폐기하고, 위에서 기술한 순서에 의하여 새로운 변수납백(50)을 결합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의식이 없거나 의식이 있더라도 거동할 수 없어 스스로 배변할 수 없는 중환자의 항문(肛門)을 통하여 직장(直腸) 내부로 배출관(20)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인위적으로 배변을 유도하되, 배변유도과정에서 직장의 내벽이 직장확장편(21)에 의하여 확장되도록 하기 때문에 배변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 배출되는 변이 변수납백(50)에 수용되기 전에 검사에 필요한 변(便)샘플을 주사기로써 간단하게 채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배변이 완료된 후에는 약액이나 물을 직장내로 주입분사하여 직장을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된 변이 수용되는 변수납백(50)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나 간병인 모두 변유출물과 교차오염(Cross-contamination)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안전성과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10 : 배변 유도장치
11 ; 직장(直腸) 20 : 배출관
21 : 직장확장편 22 : 토출관
22a : 결합핀 30 : 배출관홀더
31 : 스톱퍼(stopper) 40 : 삽입관
41 : 손잡이 50 : 변수납백
51 : 내벽 52 : 외벽
52a : 결합공 53 : 연결관
54,71,81 : 마개 60 : 당김줄
61 : 당김편 70 : 변샘플채취부
80 : 물주입부 82 : 물분사호스.

Claims (4)

  1. 선단부가 환자의 항문을 통하여 직장(直腸:11)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변을 배출시키는 배출관(20)과;
    상기 배출관(20)의 선단부 내주면을 따라 내재된 상태에서 배출관(20)의 선단부가 직장(11)의 내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벌려지면서 직장(11)의 내벽을 확장시키는 격자형의 직장확장편(21)과;
    상기 직장확장편(21)을 포함하는 배출관(20)의 선단부 아랫부분을 감싼 형태로 끼워지며, 후단의 외측으로는 스톱퍼(31)가 돌설된 배출관홀더(30)와;
    상기 배출관홀더(30)의 윗부분에 슬라이드되게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배출관홀더(30)에 끼워진 배출관 선단부상의 직장확장편(21)이 벌려지지 않도록 중심쪽으로 눌러준 상태에서 배출관홀더(30)와 함께 환자의 항문을 통하여 직장(11) 내부로 삽입되며, 후단에는 손잡이(41)가 형성된 삽입관(40)과;
    상기 배출관(20)의 후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출관(20)을 통하여 배출되는 변이 수용되는 변수납백(50)과;
    상기 배출관(20)상의 소정 위치에서 배출관(20)의 내부로 끼워져 설치되며, 선단부는 상기 직장확장편(21)과 연결되며, 후단은 배출관(20)의 외측에 마련되는 당김편(61)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당김편(61)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직장(11) 내부에서 벌려진 상태의 직장확장편(21)을 중심쪽으로 오므려주는 단일 또는 복수의 당김줄(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편(61)의 앞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배출관(20)상에는 배출관(20)을 따라 변수납백(50)쪽으로 이송되는 변의 샘플을 주사기로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변샘플채취부(70)가 형성되고;
    상기 변샘플채취부(70)는 마개(71)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유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편(61)의 설치 위치와 인접한 배출관(20)에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직장(11)의 내부로 약액이나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부(80)가 마개(81)에 의하여 개폐되게 형성되고;
    상기 물주입부(80)와 직장확장편(21) 사이에 해당되는 배출관(20)의 내부에는 물분사호스(82)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유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납백(50)의 상부에는 내벽(51)과 외벽(52)을 가지면서 내부와 연통되는 원형의 연결관(53)이 돌출되게 형성된 상태에서 마개(54)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관(20)의 후단에는 상기 변수납백(50)상의 연결관(53)을 구성하는 내벽(51)과 외벽(52) 사이에 끼워지는 원형의 토출관(22)이 대향되게 돌출되는 한편;
    상기 토출관(22)의 둘레면 일측에는 결합핀(22a)이 돌출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관(53)상의 외벽(52)의 일측 둘레면에는 토출관(22)을 일정 각도 만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결합핀(22a)이 끼워져 걸리거나 걸림상태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 "ㄴ"형의 결합공(5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유도장치.
KR1020190020299A 2019-02-21 2019-02-21 배변(排便) 유도장치 KR102236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299A KR102236369B1 (ko) 2019-02-21 2019-02-21 배변(排便)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299A KR102236369B1 (ko) 2019-02-21 2019-02-21 배변(排便)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699A true KR20190026699A (ko) 2019-03-13
KR102236369B1 KR102236369B1 (ko) 2021-04-08

Family

ID=6576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299A KR102236369B1 (ko) 2019-02-21 2019-02-21 배변(排便)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3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03A (ko) 2019-05-08 2020-11-18 박의수 배변자세 유도기
WO2022235004A1 (ko) * 2021-05-06 2022-11-10 정재은 자동 관장액 주입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0489A1 (en) * 2007-07-22 2010-11-04 Vasu Nishtala Waste management system
JP2011055956A (ja) * 2009-09-08 2011-03-24 Tokyo Univ Of Science 挿入型排便器
KR20120039290A (ko) * 2010-10-15 2012-04-25 강상윤 배변 보조구
JP2012530519A (ja) * 2009-06-18 2012-12-06 デパートメント オブ バイオテクノロジー 失禁患者における便排出物を収集するための装置
KR20160107525A (ko) * 2015-03-04 2016-09-19 (의료)길의료재단 이중기능을 갖는 장 세척도구 및 시스템
KR20160133643A (ko) 2015-05-13 2016-11-23 박갑환 배변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0489A1 (en) * 2007-07-22 2010-11-04 Vasu Nishtala Waste management system
JP2012530519A (ja) * 2009-06-18 2012-12-06 デパートメント オブ バイオテクノロジー 失禁患者における便排出物を収集するための装置
JP2011055956A (ja) * 2009-09-08 2011-03-24 Tokyo Univ Of Science 挿入型排便器
KR20120039290A (ko) * 2010-10-15 2012-04-25 강상윤 배변 보조구
KR20160107525A (ko) * 2015-03-04 2016-09-19 (의료)길의료재단 이중기능을 갖는 장 세척도구 및 시스템
KR20160133643A (ko) 2015-05-13 2016-11-23 박갑환 배변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03A (ko) 2019-05-08 2020-11-18 박의수 배변자세 유도기
WO2022235004A1 (ko) * 2021-05-06 2022-11-10 정재은 자동 관장액 주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369B1 (ko)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61905B (zh) 留置性大便导出器
CA2703247C (en) An intestinal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device
KR20190026699A (ko) 배변(排便) 유도장치
CN111481264A (zh) 粪便导流装置
KR101749049B1 (ko) 배변처리장치
JP2000014767A (ja) 排糞装置
KR100967218B1 (ko) 관장 기저귀
KR101671610B1 (ko) 배변처리장치
CN215900528U (zh) 一种内科临床用冲洗器
CN212490054U (zh) 粪便导流装置
CN210447754U (zh) 一种儿科治疗用的灌肠装置
CN213642496U (zh) 一种消化内科护理用通便器
CN211155897U (zh) 一种粪便采集储存装置
CN211022941U (zh) 一种方便处理粪嵌塞的装置
CN219089791U (zh) 一次性分体式可视输尿管支架取出器
CN213312161U (zh) 一种肛门负压引流排气装置
CN219941089U (zh) 一种卧床患者粪便收集装置
JP4542684B2 (ja) 手技式排便装置
CN219070253U (zh) 一种肠镜检查防喷溅用具
CN213491370U (zh) 一种新型导尿管
JPH10277145A (ja) 硬縮糞便除去装置
CN214679538U (zh) 一种挤压助力肛门排气装置
CN216855486U (zh) 改良大便管理器
JP2000014768A (ja) 排糞装置
CN219290296U (zh) 一种一次性使用小儿灌肠肛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