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561A - 메쉬의 오류 검출 및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메쉬의 오류 검출 및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561A
KR20190026561A KR1020180084500A KR20180084500A KR20190026561A KR 20190026561 A KR20190026561 A KR 20190026561A KR 1020180084500 A KR1020180084500 A KR 1020180084500A KR 20180084500 A KR20180084500 A KR 20180084500A KR 20190026561 A KR20190026561 A KR 20190026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mesh
normal vector
mesh unit
ini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973B1 (ko
Inventor
김갑기
박일규
박창준
최진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6/121,38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12113B2/en
Publication of KR20190026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3D 메쉬 모델의 오류를 검출 및 보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은 반모서리(halfedge) 정보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법선 벡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에 대한 뒤집힘 오류를 검출하는 과정과, 뒤집힘 오류가 검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쉬의 오류 검출 및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ERROR OF MESH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개시는 3차원 데이터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3차원 프린팅에 사용되는 3차원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 및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화면 출력을 위해 구성된 3차원 데이터(이하, 3차원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객체를 화면 상에 출력하기 위한 것이므로, 객체의 외관을 표현하거나, 표시하는 것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3차원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객체의 외형을 디스플레이 상에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객체의 외관을 표현하는데 필수적이지 않은 정보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3차원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비되는 미세한 홀을 표현하지 않도록 구성되거나, 객체의 두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3차원 프린팅을 위해 구성된 3차원 데이터(이하, 3차원 프린팅 데이터)는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객체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메쉬 토폴로지 관점에서 3차원 디스플레이 데이터보다 상대적으로 엄격한 기준을 통과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특히, 3차원 프린팅 데이터는 객체의 두께와 관련된 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객체의 두께는 메쉬 단위에 대한 법선 벡터(normal vector)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3차원 프린팅 데이터는 메쉬 단위에 대한 법선 벡터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법선 벡터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입력되거나,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능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3차원 프린팅 데이터에 법선 벡터정보를 입력 또는 생성하는 과정에서, 법선 벡터의 방향에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3차원 프린팅 데이터에 포함된 메쉬 정보의 오류를 자동으로 검출 및 보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3차원 프린팅 데이터에 포함된 메쉬 정보와 법선 벡터정보를 기반으로 메쉬의 뒤집힘 오류를 자동으로 검출 및 보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반모서리(halfedge) 정보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법선 벡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에 대한 뒤집힘 오류를 검출하는 과정과, 뒤집힘 오류가 검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반모서리(halfedge) 정보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확인하는 메쉬확인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법선 벡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설정하는 클러스링 처리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에 대한 뒤집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부와, 뒤집힘 오류가 검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보정하는 오류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3차원 프린팅 데이터에 포함된 메쉬 정보의 오류를 자동으로 검출 및 보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3차원 프린팅 데이터에 포함된 메쉬 정보와 법선 벡터정보를 기반으로 메쉬의 뒤집힘 오류를 자동으로 검출 및 보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메쉬의 뒤집힘 오류를 자동으로 검출 및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3차원 프린팅 데이터를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완성도 높은 3차원 프린딩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에서 처리되는 메시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에서 처리되는 클러스터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에 의해 메쉬의 오류를 정정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의 순서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음성 파라미터,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음성 파라미터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음성 파라미터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10)는 메쉬 확인부(11)와, 클러스링 처리부(13)와, 오류 검출부(15)와, 오류 보정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메쉬 확인부(11)는 3차원 폴리곤 메쉬(polygon mesh)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3차원 폴리곤 메쉬 정보는, 3차원 객체의 프린팅에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반모서리(Halfedge) 데이터 구조로 이루어진 데이터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데이터 구조에서는, 복수개(예, 3개)의 꼭지점(Vertex)을 연결하는 모서리(edge)가 형성하는 페이스(face) 또는 메쉬(mesh)를 구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페이스를 조합하여 폴리곤(polygon)을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개의 꼭지점(Vertex)과 모서리(edge)를 통해 형성된 메쉬(mesh)를 반모서리(Halfedge)를 사용하여 표현한 반모서리(Halfedge) 데이터 구조로 표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a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반모서리(Halfedge) 데이터 구조를 기반으로, 소정의 객체(200)에 대하여 꼭지점(V1, V2, ...Vn), 폴리곤(P1, P2, ...Pn), 메쉬(M1, M2, ...Mn), 및 반모서리(H1, H2, ...Hn)를 포함하는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메쉬 확인부(11)는 꼭지점(V1, V2, ...Vn), 폴리곤(P1, P2, ...Pn), 메쉬(M1, M2, ...Mn), 및 반모서리(H1, H2, ...Hn)를 각각 나타내는 정보, 즉, 꼭지점 정보, 폴리곤 정보, 메쉬 정보, 및 반모서리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폴리곤 메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메쉬는 방향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메쉬의 방향성은 법선벡터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메쉬의 법선벡터를 기준으로, 해당 메쉬의 반모서리(H1, H2, ...Hn)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a에서와 같이, 제1메쉬(M1)가 제1방향(211)의 방향성을 구비할 경우, 제2꼭지점(V2)으로부터 제1꼭지점(V1)으로 향하는 제1반모서리(H1)가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메쉬(M1)에 이웃한 제2메쉬(M2)가 제1방향(211)과 유사하게 제2방향(212)의 방향성을 구비할 경우, 제1꼭지점(V1)으로부터 제2꼭지점(V2)으로 향하는 제2반모서리(H2)가 존재할 수 있다.
반면, 도 2b에서와 같이, 제1메쉬(M1)의 제1반모서리(H1)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제2꼭지점(V2)으로부터 제1꼭지점(V1)으로 향하는 반모서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메쉬(M1)에 이웃한 제2'메쉬(M2')가 제1방향(211)과 반대되는 제3방향(213)의 방향성을 구비할 경우, 제2'반모서리(H2')는 제2꼭지점(V2)으로부터 제1꼭지점(V1)으로 향하는 반모서리로 구성될 수 있다.
클러스링 처리부(13)는 전술한 반모서리 구조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메쉬 단위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스링 처리부(13)는 각 메쉬 단위에 대한 법선 벡터 정보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메쉬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를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클러스링 처리부(13)는 단계적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클러스링 처리부(13)는 일차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메쉬를 포함하는 초기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다시 적어도 하나의 초기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최종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러스링 처리부(1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에 대한 반모서리(halfedge)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의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클러스링 처리부(1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의 연결 여부를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초기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메쉬(M1)에 이웃한 제2메쉬(M2)가 동일한 방향성을 나타낼 경우, 메쉬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모서리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반모서리로 나타날 수 있으며, 해당 반모서리, 즉, 제1반모서리(H1)와 제2반모서리(H2)는 하나의 쌍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반면, 제1메쉬(M1)에 이웃한 제2'메쉬(M2')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성을 나타낼 경우, 두 메쉬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모서리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반모서리로 나타날 수 있으며, 해당 반모서리, 즉, 제1반모서리(H1)와 제2'반모서리(H2')는 하나의 쌍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이에 기초하여, 클러스링 처리부(13)는 하나의 쌍으로 분류되는 반모서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쉬를 조합하여 초기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클러스링 처리부(13)는 초기 클러스터 또는 초기 클러스터에 구비된 메쉬의 법선 벡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법선 벡터를 고려하여, 초기 클러스터를 병합 또는 구분하여 최종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초기 클러스터(310, 320, 330, ...)가 존재하며, 각 초기 클러스터(310, 320, 330, ...)에 각각 복수의 메쉬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제1초기 클러스터(310)는 제2초기 클러스터(320)와 이웃하도록 구비되며, 제1초기 클러스터(310)와 제2초기 클러스터(320)가 접하는 영역을 경계영역(351)으로 예시한다. 이를 고려하여, 클러스링 처리부(13)는 제1초기 클러스터(310)에 구비된 복수의 메쉬 중 경계영역(351)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쉬(310a, 310b, 310c, 310d)와, 제2초기 클러스터(320)에 구비된 복수의 메쉬 중 경계영역(351)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쉬(320a, 320b, 320c, 320d, 320e, 320f)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클러스링 처리부(13)는 제1초기 클러스터(310)에 구비된 메쉬(310a, 310b, 310c, 310d)에 대한 법섭 벡터의 평균값(이하, '제1평균값' 이라함)과, 제2초기 클러스터(320)에 구비된 메쉬(320a, 320b, 320c, 320d, 320e, 320f)에 대한 법섭 벡터의 평균값(이하, '제2평균값' 이라함)을 확인하고, 이들(제1평균값 및 제2평균값) 사이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클러스링 처리부(13)는 확인된 각도를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여, 제1초기 클러스터(310)와 제2초기 클러스터(320)를 병합하여 최종 클러스터를 구성할 것인지, 또는 초기 클러스터(310)와 제2초기 클러스터(320)를 구분하여 최종 클러스터를 구성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은 초기 클러스터에 구비되는 메쉬의 법선 벡터의 분포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기준값은, 유사한 법선 벡터의 메쉬를 구비하는 초기 클러스터를 동일한 클러스터로 설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인접한 초기 클러스터를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로 병합하는데 기준이되는 값일 수 있다. 이러한 미리 정해진 기준값은 동일한 클러스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메쉬의 법선 벡터가 이루는 각의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미리 정해진 기준값은 동일한 클러스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메쉬의 법선 벡터가 이루는 각의 평균값과 표준분포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러스링 처리부(13)에 의해 클러스터가 설정되면, 오류 검출부(15)는 설정된 클러스터 단위에 대한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오류 검출부(15)는 최종 클러스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쉬의 법선 벡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메쉬의 법선 벡터를 사용하여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류 검출부(15)는 최종 클러스터에 포함된 메쉬 중, 기준이되는 메쉬(이하, '기준 메쉬'라 함)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 메쉬의 법선 벡터가 접하는 메쉬의 개수를 기반으로 최종 클러스터 단위에 대한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준 메쉬의 법선 벡터를 연장하고, 연장된 선이 접하는 메쉬의 개수가 0 또는 짝수(2n)일 경우, 오류 검출부(15)는 해당 최종 클러스터를 정상적인 방향인 것으로 결정한다. 반면, 기준 메쉬의 법선 벡터로부터 연장된 선이 접하는 메쉬의 개수가 홀수(2n + 1)일 경우, 오류 검출부(15)는 해당 최종 클러스터를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오류 검출부(15)는 최종 클러스터의 중앙영역에 가장 근접한 메쉬를 기준 메쉬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오류 검출부(15)는 최종 클러스터에 포함된 모든 메쉬의 법선 벡터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법선 벡터의 평균값과 가장 근접한 법선 벡터를 구비하는 메쉬를 기준 메쉬로 결정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초기 클러스터는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클러스링 처리부(13)는 복수개의 초기 클러스터를 병합 또는 구분하여 최종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러스링 처리부(13)는 초기 클러스터에 구비된 메쉬의 개수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초기 클러스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클러스링 처리부(13)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초기 클러스터에 대해 순차적으로 최종 클러스터를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최종 클러스터는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오류 검출부(15)는 복수개의 최종 클러스터에 대한 오류 여부를 순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오류 검출부(15)는 구비된 메쉬의 개수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최종 클러스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오름차준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최종 클러스터에 대해 순차적으로 오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오류 보정부(17)는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클러스터의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클러스터의 오류 보정은 메쉬의 뒤집힘을 정정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오류 보정부(17)는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클러스터의 메쉬를 확인하고, 해당 메쉬를 구성하는 정점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제2클러스터에 오류가 존재할 경우, 오류 보정부(17)는 제2클러스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쉬(M10, M11, M12, M13, M14)를 구성하는 정점의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메쉬의 뒤집힘을 정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의 순서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은 전술한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S501 단계에서,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3차원 폴리곤 메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3차원 폴리곤 메쉬 정보는, 3차원 오브젝트의 프린팅에 이용되는 데이터 파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반모서리(Halfedge) 데이터 구조로 이루어진 데이터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a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반모서리(Halfedge) 데이터 구조를 기반으로, 소정의 객체(200)에 대하여 꼭지점(V1, V2, ...Vn), 폴리곤(P1, P2, ...Pn), 메쉬(M1, M2, ...Mn), 및 반모서리(H1, H2, ...Hn)를 포함하는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꼭지점(V1, V2, ...Vn), 폴리곤(P1, P2, ...Pn), 메쉬(M1, M2, ...Mn), 및 반모서리(H1, H2, ...Hn)를 각각 나타내는 정보, 즉, 꼭지점 정보, 폴리곤 정보, 메쉬 정보, 및 반모서리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폴리곤 메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메쉬는 방향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메쉬의 방향성은 법선벡터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메쉬의 법선벡터를 기준으로, 해당 메쉬의 반모서리(H1, H2, ...Hn)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a에서와 같이, 제1메쉬(M1)가 제1방향(211)의 방향성을 구비할 경우, 제2꼭지점(V2)으로부터 제1꼭지점(V1)으로 향하는 제1반모서리(H1)가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메쉬(M1)에 이웃한 제2메쉬(M2)가 제1방향(211)과 유사하게 제2방향(212)의 방향성을 구비할 경우, 제1꼭지점(V1)으로부터 제2꼭지점(V2)으로 향하는 제2반모서리(H2)가 존재할 수 있다.
반면, 도 2b에서와 같이, 제1메쉬(M1)의 제1반모서리(H1)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제2꼭지점(V2)으로부터 제1꼭지점(V1)으로 향하는 반모서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메쉬(M1)에 이웃한 제2'메쉬(M2')가 제1방향(211)과 반대되는 제3방향(213)의 방향성을 구비할 경우, 제2'반모서리(H2')는 제2꼭지점(V2)으로부터 제1꼭지점(V1)으로 향하는 반모서리로 구성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전술한 반모서리 구조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메쉬 단위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각 메쉬 단위에 대한 법선 벡터 정보를 확인하고, 메쉬 단위에 대한 법선 벡터 정보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메쉬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를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단계적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일차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메쉬를 포함하는 초기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다시 적어도 하나의 초기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최종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에 대한 반모서리(halfedge)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의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의 연결 여부를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초기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S502a).
예컨대, 전술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메쉬(M1)에 이웃한 제2메쉬(M1)가 동일한 방향성을 나타낼 경우, 메쉬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모서리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반모서리로 나타날 수 있으며, 해당 반모서리, 즉, 제1반모서리(H1)와 제2반모서리(H2)는 하나의 쌍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반면, 제1메쉬(M1)에 이웃한 제2메쉬(M2')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성을 나타낼 경우, 두 메쉬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모서리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반모서리로 나타날 수 있으며, 해당 반모서리, 즉, 제1반모서리(H1)와 제2'반모서리(H2')는 하나의 쌍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이에 기초하여,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하나의 쌍으로 분류되는 반모서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쉬를 조합하여 초기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초기 클러스터 또는 초기 클러스터에 구비된 메쉬의 법선 벡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법선 벡터를 고려하여, 초기 클러스터를 병합 또는 구분하여 최종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502c).
예컨대, 도 3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초기 클러스터(310, 320, 330, ...)가 존재하며, 각 초기 클러스터(310, 320, 330, ...)에 각각 복수의 메쉬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제1초기 클러스터(310)는 제2초기 클러스터(320)와 이웃하도록 구비되며, 제1초기 클러스터(310)와 제2초기 클러스터(320)가 접하는 영역을 경계영역(351)으로 예시한다. 이를 고려하여,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제1초기 클러스터(310)에 구비된 복수의 메쉬 중 경계영역(351)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쉬(310a, 310b, 310c)와, 제2초기 클러스터(320)에 구비된 복수의 메쉬 중 경계영역(351)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쉬(320a, 320b, 320c, 320d)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제1초기 클러스터(310)에 구비된 메쉬(310a, 310b, 310c)에 대한 법섭 벡터의 평균값(이하, '제1평균값' 이라함)과, 제2초기 클러스터(320)에 구비된 메쉬(320a, 320b, 320c, 320d)에 대한 법섭 벡터의 평균값(이하, '제2평균값' 이라함)을 확인하고, 이들(제1평균값 및 제2평균값) 사이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확인된 각도를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여, 제1초기 클러스터(310)와 제2초기 클러스터(320)를 병합하여 최종 클러스터를 구성할 것인지, 또는 초기 클러스터(310)와 제2초기 클러스터(320)를 구분하여 최종 클러스터를 구성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은 초기 클러스터에 구비되는 메쉬의 법선 벡터의 분포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기준값은, 유사한 법선 벡터의 메쉬를 구비하는 초기 클러스터를 동일한 클러스터로 설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인접한 초기 클러스터를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로 병합하는데 기준이되는 값일 수 있다. 이러한 미리 정해진 기준값은 동일한 클러스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메쉬의 법선 벡터가 이루는 각의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미리 정해진 기준값은 동일한 클러스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메쉬의 법선 벡터가 이루는 각의 평균값과 표준분포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러스터가 설정되면,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설정된 클러스터 단위에 대한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04).
예컨대,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최종 클러스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쉬의 법선 벡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메쉬의 법선 벡터를 사용하여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최종 클러스터에 포함된 메쉬 중, 기준이되는 메쉬(이하, '기준 메쉬'라 함)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 메쉬의 법선 벡터를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메쉬의 법선 벡터로부터 연장된 선이 접하는 메쉬의 개수를 기반으로 최종 클러스터 단위에 대한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준 메쉬의 법선 벡터로부터 연장된 선이 접하는 메쉬의 개수가 0 또는 짝수(2n)일 경우,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해당 최종 클러스터를 정상적인 방향인 것으로 결정한다. 반면, 기준 메쉬의 법선 벡터로부터 연장된 선이 접하는 메쉬의 개수가 홀수(2n + 1)일 경우,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해당 최종 클러스터를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최종 클러스터의 중앙영역에 가장 근접한 메쉬를 기준 메쉬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최종 클러스터에 포함된 모든 메쉬의 법선 벡터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법선 벡터의 평균값과 가장 근접한 법선 벡터를 구비하는 메쉬를 기준 메쉬로 결정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초기 클러스터는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복수개의 초기 클러스터를 병합 또는 구분하여 최종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초기 클러스터에 구비된 메쉬의 개수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초기 클러스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동작(S502b)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S502c 단계에서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초기 클러스터에 대해 순차적으로 최종 클러스터를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최종 클러스터는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복수개의 최종 클러스터에 대한 오류 여부를 순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구비된 메쉬의 개수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최종 클러스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동작(S503)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S504 단계에서 오름차준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최종 클러스터에 대해 순차적으로 오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클러스터의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S505). 예컨대,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는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클러스터의 메쉬를 확인하고, 해당 메쉬를 구성하는 정점(vertex)의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메쉬의 뒤집힘을 정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Claims (20)

  1. 반모서리(halfedge) 정보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법선 벡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에 대한 뒤집힘 오류를 검출하는 과정과,
    뒤집힘 오류가 검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에 대한 반모서리(halfedge)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연결 여부를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초기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기 클러스터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법선 벡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기 클러스터를 병합 또는 구분하여 최종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기 클러스터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개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개수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기 클러스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설정하는 과정은,
    제1초기 클러스터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법선 벡터와, 상기 제1초기 클러스터와 다른 제2초기 클러스터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법선 벡터 사이의 각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법선 벡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법선 벡터 사이의 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1 및 제2초기 클러스터를 병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초기 클러스터를 병합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법선 벡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법선 벡터 사이의 각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각도가 미리 정해진 최소 기준값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미리 정해진 최대 기준값보다 상대적으로 작은값을 구비함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제2초기 클러스터를 상기 제1초기 클러스터에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개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개수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에 대한 뒤집힘 오류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법선 백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법선 벡터로부터 연장된 선과 다른 메쉬가 접하는 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수를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에 대한 뒤집힘 오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법선 백터를 확인하는 과정은,
    각각의 상기 최종 클러스터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 메쉬의 법선 백터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법선 백터를 확인하는 과정은,
    각각의 상기 최종 클러스터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의 법선 벡터의 평균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의 법선 벡터의 평균값에 대응되는 메쉬의 법선 백터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수를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에 대한 뒤집힘 오류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법선 벡터로부터 연장된 선과 다른 메쉬가 접하는 수가 0 또는 짝수임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가 정상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법선 벡터로부터 연장된 선과 다른 메쉬가 접하는 수가 홀수임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에 뒤집힘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방법.
  12. 반모서리(halfedge) 정보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확인하는 메쉬확인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법선 벡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설정하는 클러스링 처리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에 대한 뒤집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부와,
    뒤집힘 오류가 검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를 보정하는 오류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링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에 대한 반모서리(halfedge)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연결 여부를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초기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링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기 클러스터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법선 벡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기 클러스터를 병합 또는 구분하여 최종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링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기 클러스터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개수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기 클러스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
  16.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링 처리부는,
    제1초기 클러스터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법선 벡터와, 상기 제1초기 클러스터와 다른 제2초기 클러스터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법선 벡터 사이의 각도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법선 벡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법선 벡터 사이의 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1 및 제2초기 클러스터를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링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법선 벡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법선 벡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최소 기준값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미리 정해진 최대 기준값보다 상대적으로 작은값을 구비함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제2초기 클러스터를 상기 제1초기 클러스터에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링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개수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쉬단위의 법선 백터를 확인하고,
    상기 법선 벡터로부터 연장된 선과 다른 메쉬가 접하는 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수를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에 대한 뒤집힘 오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출부는,
    상기 법선 벡터로부터 연장된 선과 다른 메쉬가 접하는 수가 0 또는 짝수임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가 정상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법선 벡터로부터 연장된 선과 다른 메쉬가 접하는 수가 홀수임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클러스터에 뒤집힘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모델의 오류 검출 장치.
KR1020180084500A 2017-09-05 2018-07-20 메쉬의 오류 검출 및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2125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21,387 US10812113B2 (en) 2017-09-05 2018-09-04 Method of detecting and correcting error in mesh and apparatus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262 2017-09-05
KR20170113262 2017-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561A true KR20190026561A (ko) 2019-03-13
KR102125973B1 KR102125973B1 (ko) 2020-06-23

Family

ID=6576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500A KR102125973B1 (ko) 2017-09-05 2018-07-20 메쉬의 오류 검출 및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97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2956A (ja) * 1999-07-06 2001-01-2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クラスタリング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20094830A (ko) * 2001-06-13 2002-12-18 김덕훈 3차원 물체 영상의 검색을 위한 그래프 생성 방법
KR20080007114A (ko) * 2006-07-13 2008-01-17 주식회사 아이너스기술 자동 3차원 스캔 데이터 정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2243A (ko) * 2006-08-11 2009-04-29 지멘스 프로덕트 라이프사이클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 인크. 경량 다각형 위상 기하학적 구조 표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7984430B2 (en) * 2006-09-27 2011-07-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arser framework using markup language
KR20120085134A (ko) * 2011-01-21 2012-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메쉬 부호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3차원 메쉬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20140098592A (ko) * 2013-01-31 2014-08-08 (주)리얼디스퀘어 서피스 생성시 메쉬의 내면과 외면 판단 및 변경 장치와 그 방법
KR20160073147A (ko) * 2014-12-16 2016-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Gpu 기반 벡터 그래픽을 위한 메쉬 생성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2956A (ja) * 1999-07-06 2001-01-2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クラスタリング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20094830A (ko) * 2001-06-13 2002-12-18 김덕훈 3차원 물체 영상의 검색을 위한 그래프 생성 방법
KR20080007114A (ko) * 2006-07-13 2008-01-17 주식회사 아이너스기술 자동 3차원 스캔 데이터 정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2243A (ko) * 2006-08-11 2009-04-29 지멘스 프로덕트 라이프사이클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 인크. 경량 다각형 위상 기하학적 구조 표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7984430B2 (en) * 2006-09-27 2011-07-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arser framework using markup language
KR20120085134A (ko) * 2011-01-21 2012-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메쉬 부호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3차원 메쉬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20140098592A (ko) * 2013-01-31 2014-08-08 (주)리얼디스퀘어 서피스 생성시 메쉬의 내면과 외면 판단 및 변경 장치와 그 방법
KR20160073147A (ko) * 2014-12-16 2016-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Gpu 기반 벡터 그래픽을 위한 메쉬 생성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973B1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3651B (zh) 二維碼定位方法及裝置
US11308710B2 (en) Polygonal region detection
US9171359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correcting perspective distortion in document images
US2019016400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7038441B (zh) 书写板检测和校正
US2012024379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2119897B1 (ko) 피부 상태 탐지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US20140219569A1 (en) Imag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similarities in different images
US20100128993A1 (en) Application of classifiers to sub-sampled integral images for detecting faces in images
JP2015181049A (ja) 画像検証方法、画像検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51127B1 (ko) 3차원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90026561A (ko) 메쉬의 오류 검출 및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JP6937782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デバイス
US10812113B2 (en) Method of detecting and correcting error in mesh and apparatus for same
JP6851089B2 (ja) 適応的三次元空間生成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CN109635839B (zh) 一种基于机器学习的非平衡数据集的处理方法和装置
JP7219011B2 (ja) 表に関するタイプセットネススコア
WO2018187939A1 (zh) 三维图像的识别方法和终端
US201903041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hole in 3d model
JP2017049997A (ja) 文書画像の向き検出装置及び向き検出方法
JP202206450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092702B (zh) 基于重叠比例的地理信息要素位置对比检查方法及装置
KR102075708B1 (ko) 합성영상의 특징점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Naganjaneyulu et al. A multi clue heuristic based algorithm for table detection
CN112396627A (zh) 一种目标跟踪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