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523A - 단말 장치 및 그 데이터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그 데이터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523A
KR20190026523A KR1020170113552A KR20170113552A KR20190026523A KR 20190026523 A KR20190026523 A KR 20190026523A KR 1020170113552 A KR1020170113552 A KR 1020170113552A KR 20170113552 A KR20170113552 A KR 20170113552A KR 20190026523 A KR20190026523 A KR 20190026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data
information
visi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수
장윤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랩
Priority to KR102017011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6523A/ko
Publication of KR2019002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04L43/045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for graphical visualisation of moni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04L1/0042Encoding specially adapted to other signal generation operation, e.g. in order to reduce transmit distortions, jitter, or to improve signal sh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장치 및 그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단말 장치와 제 2 단말 장치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제 1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 2 단말 장치에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를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단말 장치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제 2 단말 장치가 상기 가시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그 데이터 통신 방법{TERMINAL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 장치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가 제공되고 있으며, 정보처리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들은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한편, 단말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에는 각종 원인에 의해 전송 오류가 발생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처럼 단말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데이터 전체 또는 일부를 재전송하는 처리를 하거나, 통신 네트워크의 고장 원인을 파악하거나, 또는 통신 네트워크의 고장 지점을 탐지하는 등의 대책 방안이 주로 모색되었다.
그러나, 통신 네트워크가 보안 솔루션 등의 관리 도구에 의해 차단된 경우나 고장 등의 이유로 인해 물리적으로 절단된 경우에는 단말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없었다. 더욱이, 보안 강화 등의 이유로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의 사용이 허락되지 않은 단말 장치의 경우, 통신 네트워크까지 사용할 수 없을 때에는 다른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전혀 주고 받을 수 없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75659호, 등록일 2014년 03월 12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단말 장치 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송신측 단말 장치가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수신측 단말 장치가 가시적 정보를 통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 장치 및 그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관점에 의하면, 제 1 단말 장치와 제 2 단말 장치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 장치에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를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단말 장치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제 2 단말 장치가 상기 가시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관점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제 1 단말 장치의 촬영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 인코딩된 가시적 정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된 상기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가시적 정보를 디코딩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관점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에서, 상기 가시적 정보는 복수의 이미지 코드가 순차로 재생될 수 있다.
제 1 관점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에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단말 장치의 보안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관점에 의하면, 제 1 단말 장치와 제 2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제 1 단말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 장치에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를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단말 장치가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된 상기 가시적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 장치가 획득 후 디코딩하여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관점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에서, 상기 가시적 정보는 복수의 이미지 코드가 순차로 재생될 수 있다.
제 2 관점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제 2 단말 장치가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단말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 장치가 획득 후 디코딩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관점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제 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 2 단말 장치가 상기 디코딩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할 때에, 촬영수단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 가시적 정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 후, 촬영된 상기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가시적 정보를 디코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제 2 관점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제 1 단말 장치가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는 상기 제 1 단말 장치의 보안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말 장치가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는 상기 제 1 단말 장치의 보안 상태 정보에 대한 보안 진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관점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제 2 단말 장치는 상기 제 1 단말 장치의 보안 상태 정보를 제 3 단말 장치에게 송신한 후, 상기 보안 진단 정보를 상기 제 3 단말 장치로부터 회신받을 수 있다.
제 3 관점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제 4 관점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제 5 관점에 따르면, 다른 단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단말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부와, 화면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표시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를 탐지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며, 상기 인코딩이 된 데이터를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다른 단말 장치가 디스플레이된 상기 가시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 장치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단말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가시적 정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한쪽 단말 장치만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단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이러한 촬영수단을 양쪽 단말 장치가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나아가, 악성코드를 진단하는 보안 진단 서비스에 접목할 경우에는 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이 불가능한 단말 장치에 대해서도 온라인 방식의 보안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단말 장치(110, 120)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말 장치(110, 120)는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통신 네트워크(10)의 상태가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시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상대방의 단말 장치에서 가시적 정보를 통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는 제 1 단말 장치(110)와 제 2 단말 장치(120)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단말 장치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단말 장치(110, 120)는 PC(Personal Computer), 테블릿(tablet) PC,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불리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0)는 유선 인터넷망, 무선 인터넷망, 근거리통신망, 로컬통신망, 직렬 인터페이스, 병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통신 네트워크(10)에는 복수의 단말 장치(110, 120)를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으로 보안 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가 연결될 수 있다. 제 1 단말 장치(110)에 의해 보안 상태 정보가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되어 제 2 단말 장치(120)에 의해 획득 후에 전달되면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는 해당 보안 상태 정보에 대한 보안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 제 1 단말 장치(110) 및 제 2 단말 장치(120)는 각각 통신부(111, 121), 제어부(112, 122), 표시부(113, 12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단말 장치(110)가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제 1 단말 장치(110)에서 제 2 단말 장치(120)의 방향으로 단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 2 단말 장치(120)는 영상 촬영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제 1 단말 장치(110)가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제 1 단말 장치(110)와 제 2 단말 장치(12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 1 단말 장치(110)는 영상 촬영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1, 121)는 각종 규격의 유선 통신모듈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1, 121)는 통신 네트워크(10)의 종류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규격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2, 12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3, 12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은 각종 표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114, 124)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촬상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 장치(110)가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제 2 단말 장치(120)에게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제어부(112)는 제 1 단말 장치(110)에서 제 2 단말 장치(120)의 방향으로 단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112)는 제 1 단말 장치(110)가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제 2 단말 장치(120)에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를 탐지하고,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제 2 단말 장치(12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데이터를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부(113)를 제어함으로써, 제 2 단말 장치(120)가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단말 장치(110)가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제 2 단말 장치(120)에게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제어부(112, 112)는 제 1 단말 장치(110)와 제 2 단말 장치(12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112)는 제 1 단말 장치(110)가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제 2 단말 장치(120)에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를 탐지하고,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제 2 단말 장치(12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데이터를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부(113)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22)는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영상 촬영부(124)를 제어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가시적 정보를 디코딩하여 대응하는 데이터를 획득하며, 제 1 단말 장치(11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데이터를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부(123)를 제어한다. 그러면, 제어부(112)는 표시부(123)에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영상 촬영부(114)를 제어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가시적 정보를 디코딩하여 대응하는 데이터를 획득한다.
도 2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단말 장치(110)가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제 2 단말 장치(120)에게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제 1 단말 장치(110)에서 제 2 단말 장치(120)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단방향 통신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 1 단말 장치(110)에서 제 2 단말 장치(120) 또는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에게 데이터 송신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면, 제어부(112)는 통신부(111)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10)의 상태를 점검한다(S210).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10)의 상태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상황(S220)이라면, 제어부(112)는 통신부(111)를 제어하여 제 2 단말 장치(120) 또는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에게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며, 해당 수신처에서는 제 1 단말 장치(11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S230).
통신 네트워크(10)의 상태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S220), 제어부(112)는 제 2 단말 장치(120) 또는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가시적 정보로 인코딩하며, 인코딩된 가시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부(113)를 제어한다(S240).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10)는 단일의 네트워크이거나 복수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 장치(110)는 사내망(내부망)을 거쳐서 사외망(외부망)을 통해 제 2 단말 장치(120)에 접속될 수 있으며, 제 1 단말 장치(110)는 사외망(외부망)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상황이라도 사외망(외부망)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라면 통신 네트워크(10)의 상태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라고 판별할 수 있다.
그러면, 제 1 단말 장치(110)의 표시부(113)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가시적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제 2 단말 장치(120)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표시부(113)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시적 정보가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일 경우라면, 단계 S240에서 데이터를 가시적 정보로 인코딩할 때에 전송 데이터의 최종 목적지가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임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포함되며, 이러한 식별 정보가 표시부(113)에 의해 가시적 정보에 포함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S250).
예를 들어, 제 1 단말 장치(110)의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시적 정보는 바코드(bar code)나 QR코드(Quick Response code)처럼 사전에 약속된 패턴을 포함하는 흑백 이미지 코드 또는 칼라 이미지 코드일 수 있고, 복수의 이미지 코드가 순차로 재생되는 동영상일 수 있다. 예컨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용량이 하나의 QR코드의 용량보다 클 경우에, 복수의 QR코드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분할하여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코드를 순차로 연속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 장치(110)의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시적 정보는 제 1 단말 장치(110)의 보안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단말 장치(110)에서 동작 중인 프로세스의 해시(hash)값이나 악성코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2 단말 장치(120)에서 데이터 수신이 선택(S260)되면, 제 2 단말 장치(120)의 제어부(122)는 영상 촬영부(124)를 제어하여,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촬영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2 단말 장치(120)에서 데이터 수신이 선택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장치(도시 생략됨)를 통해 데이터 수신 명령을 입력하였을 때이거나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영상 촬영부(124)의 촬영 동작이 수행될 때일 수 있다(S270).
그러면, 영상 촬영부(124)는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촬영하여 제어부(122)에게 전달하며, 제어부(122)는 단계 S270에서 촬영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가시적 정보를 디코딩하여 데이터를 획득한다. 즉, 단계 S240에서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 과정을 통해 획득하는 것이다(S280).
예를 들어, 단계 S250에서 복수의 이미지 코드가 순차로 재생되는 동영상이 표시부(113)에 출력되는 경우에, 제어부(122)는 단계 S280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프레임단위로 분할하여 복수의 이미지 코드를 추출할 수도 있으며, 칼라 이미지 코드인 경우에는 동일한 코드일지라도 색상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270에서 촬영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가시적 정보에 전송 데이터의 최종 목적지가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임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제 2 단말 장치(120)의 제어부(122)는 단계 S280 후, 통신부(121)를 제어하여 통신 네트워크(10) 또는 별도의 유선 통신 채널이나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에게 디코딩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 1 단말 장치(110)가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제 2 단말 장치(120)에게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제 1 단말 장치(110)와 제 2 단말 장치(12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양방향 통신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 1 단말 장치(110)에서 제 2 단말 장치(120) 또는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와의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면, 제어부(112)는 통신부(111)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10)의 상태를 점검한다(S310).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10)의 상태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상황(S320)이라면, 제어부(112)는 통신부(111)를 제어하여 제 2 단말 장치(120) 또는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에게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며, 해당 수신처에서는 제 1 단말 장치(11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S330).
통신 네트워크(10)의 상태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S320), 제어부(112)는 제 2 단말 장치(120) 또는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가시적 정보로 인코딩하며, 인코딩된 가시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부(113)를 제어한다(S340).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10)는 단일의 네트워크이거나 복수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 장치(110)는 사내망(내부망)을 거쳐서 사외망(외부망)을 통해 제 2 단말 장치(120)에 접속될 수 있으며, 제 1 단말 장치(110)는 사외망(외부망)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상황이라도 사외망(외부망)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라면 통신 네트워크(10)의 상태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라고 판별할 수 있다.
그러면, 제 1 단말 장치(110)의 표시부(113)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가시적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제 2 단말 장치(120)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표시부(113)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시적 정보가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일 경우라면, 단계 S340에서 데이터를 가시적 정보로 인코딩할 때에 전송 데이터의 최종 목적지가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임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포함되며, 이러한 식별 정보가 표시부(113)에 의해 가시적 정보에 포함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S350).
예를 들어, 제 1 단말 장치(110)의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시적 정보는 바코드나 QR코드처럼 사전에 약속된 패턴을 포함하는 흑백 이미지 코드 또는 칼라 이미지 코드일 수 있고, 복수의 이미지 코드가 순차로 재생되는 동영상일 수 있다. 예컨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용량이 하나의 QR코드의 용량보다 클 경우에, 복수의 QR코드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분할하여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복수의 이미지 코드를 순차로 연속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 장치(110)의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시적 정보는 제 1 단말 장치(110)의 보안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단말 장치(110)에서 동작 중인 프로세스의 해시(hash)값이나 악성코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단말 장치(110)의 표시부(113)에 가시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면 제 2 단말 장치(120)가 해당 가시적 정보를 촬영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 도 3에서는 이러한 상태를 점선과 화살표로 표현하였다.
한편, 제 2 단말 장치(120)에서 데이터 수신이 선택(S410)되면, 제 2 단말 장치(120)의 제어부(122)는 영상 촬영부(124)를 제어하여,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촬영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2 단말 장치(120)에서 데이터 수신이 선택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장치(도시 생략됨)를 통해 데이터 수신 명령을 입력하였을 때이거나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영상 촬영부(124)의 촬영 동작이 수행될 때일 수 있다(S420).
그러면, 영상 촬영부(124)는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촬영하여 제어부(122)에게 전달하며, 제어부(122)는 단계 S420에서 촬영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가시적 정보를 디코딩하여 데이터를 획득한다. 즉, 단계 S340에서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 과정을 통해 획득하는 것이다(S430).
예를 들어, 단계 S350에서 복수의 이미지 코드가 순차로 재생되는 동영상이 표시부(113)에 출력되는 경우에, 제어부(122)는 단계 S420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프레임단위로 분할하여 복수의 이미지 코드를 추출할 수도 있으며, 칼라 이미지 코드인 경우에는 동일한 코드일지라도 색상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420에서 촬영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가시적 정보에 전송 데이터의 최종 목적지가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임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제 2 단말 장치(120)의 제어부(122)는 단계 S430 후, 통신부(121)를 제어하여 통신 네트워크(10) 또는 별도의 유선 통신 채널이나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에게 디코딩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는 제 2 단말 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단말 장치(110)의 보안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 1 단말 장치(110)의 보안 상태를 진단하여, 제 1 단말 장치(110)에 대한 보안 진단 정보를 제 2 단말 장치(120)에게 회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단말 장치(120)에서 제 1 단말 장치(110)로의 데이터 송신이 선택(S440)되면, 제어부(122)는 제 1 단말 장치(110)에게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가시적 정보로 인코딩하며, 인코딩된 가시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부(123)를 제어한다(S450).
그러면, 제 2 단말 장치(120)의 표시부(123)는 제어부(122)의 제어에 따라 가시적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제 1 단말 장치(110)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23)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시적 정보에는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제 1 단말 장치(110)에 대한 보안 진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460).
이처럼, 제 2 단말 장치(120)의 표시부(123)에 가시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면 제 1 단말 장치(110)가 해당 가시적 정보를 촬영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 도 3에서는 이러한 상태를 점선과 화살표로 표현하였다.
한편, 제 1 단말 장치(110)에서 데이터 수신이 선택(S510)되면, 제 1 단말 장치(110)의 제어부(112)는 영상 촬영부(114)를 제어하여, 표시부(123)에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촬영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1 단말 장치(110)에서 데이터 수신이 선택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장치(도시 생략됨)를 통해 데이터 수신 명령을 입력하였을 때이거나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영상 촬영부(114)의 촬영 동작이 수행될 때일 수 있다(S520).
그러면, 영상 촬영부(114)는 표시부(123)에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촬영하여 제어부(112)에게 전달하며, 제어부(112)는 단계 S520에서 촬영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가시적 정보를 디코딩하여 데이터를 획득한다. 즉, 단계 S450에서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 과정을 통해 획득하는 것이다(S530).
예를 들어, 단계 S460에서 표시부(123)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시적 정보에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에서 제공한 제 1 단말 장치(110)에 대한 보안 진단 정보가 포함된 경우라면, 단계 S530에서 제 1 단말 장치(110)는 자신에 대한 보안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단말 장치(110)가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에게 자신의 보안 진단을 요청할 때에 통신 네트워크(10)가 단절되어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에게 자신의 보안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없는 상황이면 자신의 보안 상태 정보를 가시적 정보로서 인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하면서 정보 전송의 최종 목적지가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임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2 단말 장치(120)는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촬영 후에 디코딩하여 대응하는 제 1 단말 장치(110)의 보안 상태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제 1 단말 장치(110)의 보안 상태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10) 등을 통해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는 제 2 단말 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단말 장치(110)의 보안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 1 단말 장치(110)의 보안 상태를 진단하여, 제 1 단말 장치(110)에 대한 보안 진단 정보를 제 2 단말 장치(120)에게 회신할 수 있다. 이후, 제 1 단말 장치(110)에 대한 보안 진단 정보는 제 2 단말 장치(120)에 의해 가시적 정보로서 디코딩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제 1 단말 장치(110)는 제 1 단말장치(1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촬영 후에 디코딩하여, 자신에 대한 보안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 1 단말 장치(110)는 통신 네트워크(10) 등과 같은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와의 온라인 연결수단이 단절되어 오프라인에 놓인 상태에서도 보안 진단 서버 장치(130)로부터 온라인 보안 진단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받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단말 장치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단말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가시적 정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한쪽 단말 장치만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단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이러한 촬영수단을 양쪽 단말 장치가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나아가, 악성코드를 진단하는 보안 진단 서비스에 접목할 경우에는 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이 불가능한 단말 장치에 대해서도 온라인 방식의 보안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통신 네트워크
100 :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110, 120 : 단말 장치
111, 121 : 통신부
112, 122 : 제어부
113, 123 : 표시부
114, 124 : 영상 촬영부
130 : 보안 진단 서버 장치

Claims (13)

  1. 제 1 단말 장치와 제 2 단말 장치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 장치에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를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단말 장치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제 2 단말 장치가 상기 가시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장치의 촬영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 인코딩된 가시적 정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된 상기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가시적 정보를 디코딩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적 정보는 복수의 이미지 코드가 순차로 재생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단말 장치의 보안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5. 제 1 단말 장치와 제 2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단말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 장치에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를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단말 장치가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된 상기 가시적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 장치가 획득 후 디코딩하여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적 정보는 복수의 이미지 코드가 순차로 재생되는
    데이터 통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제 2 단말 장치가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단말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가시적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 장치가 획득 후 디코딩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장치 또는 상기 제 2 단말 장치가 상기 디코딩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할 때에, 촬영수단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 가시적 정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 후, 촬영된 상기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가시적 정보를 디코딩하여 획득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장치가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는 상기 제 1 단말 장치의 보안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말 장치가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는 상기 제 1 단말 장치의 보안 상태 정보에 대한 보안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 장치는 상기 제 1 단말 장치의 보안 상태 정보를 제 3 단말 장치에게 송신한 후, 상기 보안 진단 정보를 상기 제 3 단말 장치로부터 회신받는
    데이터 통신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3. 다른 단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단말 장치로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부와,
    화면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표시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를 탐지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며,
    상기 인코딩이 된 데이터를 가시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다른 단말 장치가 디스플레이된 상기 가시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 장치.
KR1020170113552A 2017-09-05 2017-09-05 단말 장치 및 그 데이터 통신 방법 KR20190026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52A KR20190026523A (ko) 2017-09-05 2017-09-05 단말 장치 및 그 데이터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52A KR20190026523A (ko) 2017-09-05 2017-09-05 단말 장치 및 그 데이터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523A true KR20190026523A (ko) 2019-03-13

Family

ID=6576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552A KR20190026523A (ko) 2017-09-05 2017-09-05 단말 장치 및 그 데이터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65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659B1 (ko) 2006-10-18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659B1 (ko) 2006-10-18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842E1 (en)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networked device for establishing a P2P connection
US8881973B2 (en) Connection setting method using barcode pattern, connection setting system and user equipment thereof
CN110291774B (zh) 一种图像处理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US2014011567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ortable terminal, digital camera,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TWI571833B (zh) 監測服務裝置、電腦程式產品、藉由影像監測提供服務之方法及藉由影像監測啓用服務之方法
US20230199491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CN107357585B (zh) 视频获取方法、装置、视频设备及存储介质
CN108694995B (zh) 一种医疗诊断系统及方法
US9438784B2 (en) Camera operation terminal, camera, imaging system, imag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device
CN110895459A (zh) 信息处理系统、装置、方法以及存储介质
EP3217596A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KR101663473B1 (ko) 근접-기반 결합 서비스
US9655152B2 (en)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system of electronic devic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thod and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program
WO2015111178A1 (ja) 空気調和機操作システム
KR20190026523A (ko) 단말 장치 및 그 데이터 통신 방법
US20170155758A1 (en)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system, portable terminal, relay device and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program
CN108496351B (zh) 无人机及其控制方法、控制终端及其控制方法
JP2008028452A (ja) 電子機器のサポートシステム
JP2018004801A (ja) 画像表示装置
CN202998321U (zh) 安防监控系统以及监视器
CN109951676B (zh) 画面传输方法及摄像装置
US20230057635A1 (en) Process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process management system
TWI653886B (zh) 畫面傳輸方法及攝像裝置
US112123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displaying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erminals on servers
KR20130043769A (ko) 충돌을 이용한 통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