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397A -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397A
KR20190026397A KR1020170113269A KR20170113269A KR20190026397A KR 20190026397 A KR20190026397 A KR 20190026397A KR 1020170113269 A KR1020170113269 A KR 1020170113269A KR 20170113269 A KR20170113269 A KR 20170113269A KR 20190026397 A KR20190026397 A KR 20190026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ification
search
statistics
data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배
Original Assignee
안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배 filed Critical 안준배
Priority to KR1020170113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6397A/ko
Publication of KR2019002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11Patent retrie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식을 토대로 로데이터를 자동 분류하고, 로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분류 및 등급 간 통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노이즈 필터링 장치는 검색식 및 로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검색 식을 토대로 로데이터를 분석하여 분류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분류 작업이 완료된 분류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noise filter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특허 및 논문의 검색 과정에서 원치 않는 분야의 특허 및 논문을 필터링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특허 및 논문의 검색식과 가장 유사한 내용의 특허 및 논문을 제공할 수 있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재산권의 확보는 기업의 경쟁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므로, 선행조사 또는 특허 조사를 통해 기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야 한다. 이러한 특허 조사를 위해 키워드 검색을 통해 특허나 논문을 수집하여야 한다.
이때, 수집된 특허나 논문 등의 기술 문서는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기술 분야의 유효 문서 외에도 제거되어야 하는 노이즈 문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유효 문서에는 대상기술 분야와 보다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핵심 문서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특허 분석을 위해 필요한 유효 특허 문서를 수집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노이즈 문서를 제거하거나 핵심 문서를 추출하는 필터링 과정이 반드시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필터링 과정은 수작업으로 수행하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오류의 발생 가능성이 크다. 특히, 분류가 많을수록 분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며, 분류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검색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연구가 일부 수행되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16612호에서는 입력한 검색어의 동의어를 제공, 검색어를 자동으로 번역하여 국가에 상관없이 검색을 가능토록 하거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 분류한 검색어를 조합하여 검색을 행함으로써, 효율적인 선행기술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특허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자동 분류가 되지 않아 로데이터를 수작업으로 분류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16612호 (2008.02.25)
본 발명의 목적은, 검색식을 토대로 로데이터를 자동 분류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로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분류 및 등급 간 통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장치는 검색식 및 로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검색식을 토대로 로데이터를 분석하여 분류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분류 작업이 완료된 분류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는 특허 및 논문 검색 DB에서 사용하는 검색식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는 특허 및 논문 검색 DB에서 제공하는 로데이터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검색식 업로드, 로데이터 업로드, 분석 방법 선택, 및 다운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여 분류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검색식에 포함된 검색어에 대해 가중치를 달리하여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분류 통계, 국가통계, 상위 출원인 통계, 및 년도 통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분류 통계, 국가통계, 상위 출원인 통계, 및 년도 통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특정 통계에 대한 출원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입력된 검색식의 수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입력된 검색식에 특정 단어에 대한 NOT 검색식을 추가할 수 있도록 검색식의 수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입력된 검색식에 특정 단어에 대한 NOT 검색식을 해제할 수 있도록 검색식의 수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제어변수를 입력받아 분류 작업 결과에 대해 분류 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어변수를 입력받아 분류 작업 결과에 대해 등급 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분류 작업 결과를 확정하여 분류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검색식을 토대로 특허의 로데이터에 포함된 특허의 제목, 요약, 청구항, 출원일, 대리인, 우선권, 국제특허, 국제특허분류, 출원인, 인용횟수, 피인용횟수, 등록일, 패밀리 문헌수, 패밀리 국가수, 특허평가점, 발명자 평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포함하여 특허의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우선순위로 부여된 특허의 통계를 토대로 특허를 재분류하고 우선 순위를 재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방법은 입력부에서 검색식을 입력받는 검색식 입력 단계, 입력부에서 로데이터를 입력받는 로데이터 입력 단계, 제어부에서 검색식을 토대로 로데이터에 포함된 특허를 분류하여 분류데이터를 생성하는 분류데이터 생성 단계, 및 출력부에서 분류데이터를 제공하는 분류데이터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은 검색식을 토대로 로데이터를 자동 분류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은 로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분류 및 등급 간 통계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이즈 필터링 장치는 검색식(410) 및 로데이터(420)를 입력받는 입력부(100), 검색식(410)을 토대로 로데이터(420)를 분석하여 분류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200), 및 분류 작업이 완료된 분류데이터(440)를 출력하는 출력부(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입력부(100)는 특허 및 논문 검색 DB에서 사용하는 검색식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0)는 특허 및 논문 검색 DB에서 제공하는 로데이터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검색식 업로드, 로데이터 업로드, 분석 방법 선택, 및 다운로드 등의 단계를 수행하여 분류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검색식(410)에 포함된 검색어에 대해 가중치를 달리하여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분류 통계, 국가통계, 상위 출원인 통계, 및 년도 통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분류 통계, 국가통계, 상위 출원인 통계, 및 년도 통계 등의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특정 통계에 대한 출원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입력된 검색식의 수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입력된 검색식에 특정 단어에 대한 NOT 검색식을 추가할 수 있도록 검색식의 수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입력된 검색식에 특정 단어에 대한 NOT 검색식을 해제할 수 있도록 검색식의 수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제어변수를 입력받아 분류 작업 결과에 대해 분류 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어변수를 입력받아 분류 작업 결과에 대해 등급 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분류 작업 결과를 확정하여 분류데이터(440)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검색식(410)을 토대로 특허의 로데이터(420)에 포함된 특허의 제목, 요약, 청구항, 출원일, 대리인, 우선권, 국제특허, 국제특허분류, 출원인, 인용횟수, 피인용횟수, 등록일, 패밀리 문헌수, 패밀리 국가수, 특허평가점, 발명자 평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포함하여 특허의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우선순위로 부여된 특허의 통계를 토대로 특허를 재분류하고 우선 순위를 재부여할 수 있다.
즉, 노이즈 필터링 장치는 로데이터(420)의 분류를 검색식(410)을 토대로 자동으로 분류함으로 수작업으로 진행하여야 하는 특허의 노이즈 분류의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특허 및 논문 DB에서 제공하는 검색식(410)과 로데이터(420)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검색식(410)에 포함된 검색어의 가중치를 달리하여 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분류에 대해 사용되는 검색어는 가중치를 높이어 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인접 연산자의 가중치는 낮추어 인접 연산자가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검색어의 합이 다른 검색어와 유사한 가중치가 되도록 하여 우선순위의 형평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류 통계, 국가 통계, 상위 출원인 통계, 년도 통계를 제공하여 로데이터(420)가 효과적으로 수집되었는지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류 통계, 국가 통계, 상위 출원인 통계, 년도 통계를 제어하여 어느 하나의 분류에 더 많은 특허를 배정할 수도 있고 특정 국가에 대해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으며, 상위 출원인 중 관련성이 낮은 것은 우선순위를 낮추고 관련성이 높은 것은 높일 수 있으며, 특정 연도의 특허에 대해 가중치를 높이거나 낮추어 특허 분류를 수행함으로써 특허 분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특정 통계의 출원서를 표시함으로써 분류된 특허를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검색식을 수정하여 재분류 할 수도 있으며, 특정 단어에 대해 검색식에 NOT로 제거 또는 해제한 후 재분류 함으로써 노이즈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으로 분류된 등급 및 분류에 대해 재분류 및 재등급을 지정하거나 확정함으로써 특허 분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1차로 분류된 특허에 대해 상위 그룹의 특허에서 포함된 제목, 요약, 청구항, 출원일, 대리인, 우선권, 국제특허, 국제특허분류, 출원인, 인용횟수, 피인용횟수, 등록일, 패밀리 문헌수, 패밀리 국가수, 특허평가점, 발명자 평가점 의 통계를 토대로 2차 분류를 수행하여 노이즈 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목, 요약, 청구항에 특정 검색어가 많을수록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출원일의 최신 여부, 대리인 유무, 우선권 유무, 국제특허 유무, 국제특허분류의 상위 특허 분포, 출원인의 상위 특허 분포 등에 대해 우선순위를 달리하여 우선 순위 및 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이즈 필터링 방법은 입력부(100)에서 검색식(410)을 입력받는 단계(S100), 입력부(100)에서 로데이터(420)를 입력받는 단계(S200), 제어부(200)에서 검색식(410)을 토대로 로데이터(420)에 포함된 특허를 분류하여 분류데이터(440)를 생성하는 단계(S300), 및 출력부(300)에서 분류데이터(440)를 제공하는 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즉, 노이즈 필터링 방법은 검색식 입력 단계(S100), 로데이터 입력 단계(S200), 분류데이터 생성 단계(S300), 및 분류데이터 출력 단계(S400)를 수행하여, 로데이터(420)의 분류를 검색식(410)을 토대로 자동으로 분류함으로 수작업으로 진행하여야 하는 특허의 노이즈 분류의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특허 및 논문 DB에서 제공하는 검색식(410)과 로데이터(420)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검색식(410)에 포함된 검색어의 가중치를 달리하여 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분류에 대해 사용되는 검색어는 가중치를 높이어 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인접 연산자의 가중치는 낮추어 인접 연산자가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검색어의 합이 다른 검색어와 유사한 가중치가 되도록 하여 우선순위의 형평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류 통계, 국가 통계, 상위 출원인 통계, 년도 통계를 제공하여 로데이터(420)가 효과적으로 수집되었는지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류 통계, 국가 통계, 상위 출원인 통계, 년도 통계를 제어하여 어느 하나의 분류에 더 많은 특허를 배정할 수도 있고 특정 국가에 대해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으며, 상위 출원인 중 관련성이 낮은 것은 우선순위를 낮추고 관련성이 높은 것은 높일 수 있으며, 특정 연도의 특허에 대해 가중치를 높이거나 낮추어 특허 분류를 수행함으로써 특허 분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특정 통계의 출원서를 표시함으로써 분류된 특허를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검색식을 수정하여 재분류 할 수도 있으며, 특정 단어에 대해 검색식에 NOT로 제거 또는 해제한 후 재분류 함으로써 노이즈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으로 분류된 등급 및 분류에 대해 재분류 및 재등급을 지정하거나 확정함으로써 특허 분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1차로 분류된 특허에 대해 상위 그룹의 특허에서 포함된 제목, 요약, 청구항, 출원일, 대리인, 우선권, 국제특허, 국제특허분류, 출원인, 인용횟수, 피인용횟수, 등록일, 패밀리 문헌수, 패밀리 국가수, 특허평가점, 발명자 평가점 의 통계를 토대로 2차 분류를 수행하여 노이즈 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목, 요약, 청구항에 특정 검색어가 많을수록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출원일의 최신 여부, 대리인 유무, 우선권 유무, 국제특허 유무, 국제특허분류의 상위 특허 분포, 출원인의 상위 특허 분포 등에 대해 우선순위를 달리하여 우선 순위 및 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은 검색식을 토대로 로데이터를 자동 분류하는 장점이 있으며, 로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분류 및 등급 간 통계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실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기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들은 다양한 실시예의 많은 추가 조합 및 치환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진의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7)

  1. 검색식 및 로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검색식을 토대로 상기 로데이터를 분석하여 분류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분류 작업이 완료된 분류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특허 및 논문 검색 DB에서 사용하는 검색식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특허 및 논문 검색 DB에서 제공하는 로데이터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검색식 업로드, 로데이터 업로드, 분석 방법 선택, 및 다운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분류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식에 포함된 검색어에 대해 가중치를 달리하여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분류 통계, 국가통계, 상위 출원인 통계, 및 년도 통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분류 통계, 국가통계, 상위 출원인 통계, 및 년도 통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통계에 대한 출원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검색식의 수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검색식에 특정 단어에 대한 NOT 검색식을 추가할 수 있도록 검색식의 수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검색식에 특정 단어에 대한 NOT 검색식을 해제할 수 있도록 검색식의 수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변수를 입력받아 상기 분류 작업 결과에 대해 분류 간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변수를 입력받아 상기 분류 작업 결과에 대해 등급 간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류 작업 결과를 확정하여 상기 분류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식을 토대로 특허의 상기 로데이터에 포함된 특허의 제목, 요약, 청구항, 출원일, 대리인, 우선권, 국제특허, 국제특허분류, 출원인, 인용횟수, 피인용횟수, 등록일, 패밀리 문헌수, 패밀리 국가수, 특허평가점, 발명자 평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포함하여 상기 특허의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로 부여된 특허의 통계를 토대로 상기 특허를 재분류하고 우선 순위를 재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링 장치.
  17. 입력부에서 검색식을 입력받는 검색식 입력 단계;
    상기 입력부에서 로데이터를 입력받는 로데이터 입력 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검색식을 토대로 상기 로데이터에 포함된 특허를 분류하여 분류데이터를 생성하는 분류데이터 생성 단계; 및
    출력부에서 상기 분류데이터를 제공하는 분류데이터 출력 단계; 을 포함하는 노이즈 필터링 방법.
KR1020170113269A 2017-09-05 2017-09-05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90026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269A KR20190026397A (ko) 2017-09-05 2017-09-05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269A KR20190026397A (ko) 2017-09-05 2017-09-05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97A true KR20190026397A (ko) 2019-03-13

Family

ID=6576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269A KR20190026397A (ko) 2017-09-05 2017-09-05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63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6612A (ko) 2005-06-10 2008-02-21 갈데르마 소시에떼아노님 약물, 필름형성 실리콘 및 하나 이상의 휘발성 용매를포함하는 국소조성물을 기초로 하는 피부를 통한 약물의조절된 방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6612A (ko) 2005-06-10 2008-02-21 갈데르마 소시에떼아노님 약물, 필름형성 실리콘 및 하나 이상의 휘발성 용매를포함하는 국소조성물을 기초로 하는 피부를 통한 약물의조절된 방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t al. Automated fake news detection using linguistic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JP6905954B2 (ja) 自動欠陥分類のための未知欠陥除去の最適化
Ceelie et al. Examination of peripheral blood films using automated microscopy; evaluation of Diffmaster Octavia and Cellavision DM96
EP255166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fitting a measured spectral distribution.
US20170052106A1 (en) Method for label-free image cytometry
JP2017168123A (ja) 病理学における品質保証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8062394A (zh) 一种数据集的标注方法及相关装置
KR20070055488A (ko) 입력 데이터의 자동방식 배경 제거기
JP5964983B2 (ja) 質量分析法により微生物を特定するための方法
CN110415828B (zh) 一种基于数据分析的预检信息交互方法及相关设备
WO20211545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lassifying fluorescent flow cytometer data
CN104897817A (zh) 色谱仪以及重复使用色谱柱的方法
CN112269818A (zh) 一种设备参数根因定位方法及系统、装置、介质
CN110069630A (zh) 一种改进的互信息特征选择方法
CN104751188B (zh) 一种图片处理方法及系统
Rubbens et al. Stripping flow cytometry: How many detectors do we need for bacterial identification?
EA003743B1 (ru) Способ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поиска и обработки технических чертежей
CN104680185A (zh) 基于边界点重分类的高光谱图像分类方法
JP7243333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6407246B (zh) Sql执行计划管理的方法及装置
CN105093509B (zh) 显微镜的自动聚焦方法、系统及大便镜检显微镜
KR20190026397A (ko) 노이즈 필터링 장치 및 방법
RU2003108434A (ru) Способ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я машиночитаемой формы нефиксированного формата
US11788946B2 (en) Optimized sorting gates
CN109389972B (zh) 语义云功能的质量测试方法、装置、存储介质和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