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255A - 바이옵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옵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255A
KR20190026255A KR1020170112754A KR20170112754A KR20190026255A KR 20190026255 A KR20190026255 A KR 20190026255A KR 1020170112754 A KR1020170112754 A KR 1020170112754A KR 20170112754 A KR20170112754 A KR 20170112754A KR 20190026255 A KR20190026255 A KR 20190026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tissue
lesion tissue
cartridge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3502B1 (ko
Inventor
김기수
김영석
곽지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12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5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3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generating planar views from image data, e.g. extracting a coronal view from a 3D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61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uspended solids or molecules independently from the bulk fluid flow, e.g. for trapping or sorting beads, for physically stretching molec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52Sorting or classification of particles or molec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Abstract

바이옵시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이옵시 장치는 생체 내 조직 내로 침투 가능하여 생체검사(Biopsy) 과정에서 병변 조직을 추출하는 흡입부, 추출된 병변 조직을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 구동부. 추출된 병변 조직으로부터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여 유전자 단위로 분해하는 탈부착 가능한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 및 유전자 추출을 위해 초음파 진단 방법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측하는 관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이옵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Biopsy}
본 발명은 조직을 추출하는 생체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분자진단(예를 들어, 암 진단)을 위해서는 생체내의 조직을 바이옵시 장치를 이용하여 추출 후, 수동으로 유전자 단위로 분해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수동으로 유전자 추출 시 여러 가지 용액을 혼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 및 노동력이 필요하였다. 유전자 추출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자동화 기계 및 카트리지가 개발되었지만 타 기기에서 조직을 추출 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조직 운반 시 괴사 및 오염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전자 추출 카트리지가 포함된 바이옵시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숙련도 부족으로 인한 조직 괴사 및 오염을 방지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진단시간을 단축하고, 유전자 추출 카트리지가 포함된 단순한 구조를 갖고, 제조가 용이한 바이옵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이옵시 장치는 생체 내 조직 내로 침투 가능하여 생체검사(Biopsy) 과정에서 병변 조직을 추출하는 흡입부, 추출된 병변 조직을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 구동부. 추출된 병변 조직으로부터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여 유전자 단위로 분해하는 탈부착 가능한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 및 유전자 추출을 위해 초음파 진단 방법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측하는 관측부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관측부를 통해 병변 조직을 감지한 후, 상기 병변 조직을 추출하는 니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는 추출된 병변 조직의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기 위한 라이시스 버퍼 챔버(lysis buffer chamber) 내의 용액과 상기 병변 조직을 혼합한다.
혼합을 위해 유체역학적으로 혼합 가능한 채널을 통과한 후, 유전자 및 세포막 찌꺼기가 필터에 달라붙고, 필터로부터 유전자 이외의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바인딩 버퍼 챔버(Binding buffer chamber) 및 워시 버퍼(wash buffer chamber)에 필터를 통하여 흘려 보냄으로써 용해된 찌꺼기는 웨스트 챔버(waste chamber)로 모인다.
상기 카트리지는 유전자를 필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중성화 용액을 흘려 보냄으로써 정제된 유전자 챔버(purified DNA chamber)로 순수한 유전자만 추출한다.
상기 카트리지는 유전자 추출을 위한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 구동부는 유체 이동 구동 시 진공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킨다.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이옵시 방법은 흡입부를 통해 생체 내 조직 내로 침투하여 생체검사(Biopsy) 과정에서 병변 조직을 추출하는 단계, 압력 구동부를 통해 추출된 병변 조직을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탈부착 가능한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를 통해 추출된 병변 조직으로부터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여 유전자 단위로 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를 통해 생체 내 조직 내로 침투하여 생체검사(Biopsy) 과정에서 병변 조직을 추출하는 단계는 관측부를 통해 유전자 추출을 위해 초음파 진단 방법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측하는 단계 및 상기 관측부를 통해 감지된 병변 조직을 니들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탈부착 가능한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를 통해 추출된 병변 조직으로부터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여 유전자 단위로 분해하는 단계는 추출된 병변 조직의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기 위한 라이시스 버퍼 챔버(lysis buffer chamber) 내의 용액과 상기 병변 조직을 혼합하는 단계 및 유전자를 필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중성화 용액을 흘려 보냄으로써 정제된 유전자 챔버(purified DNA chamber)로 순수한 유전자만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 구동부를 통해 추출된 병변 조직을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유체 이동 구동 시 진공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체검사 시 바로 유전자추출이 가능하여 기존의 분자진단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생체검사 후 조직 괴사, 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병변 조직치료 수술 시 병변 조직과 정상 조직을 실시간 진단하여 치료 효율 증가에 도움이 되고, 실시간 진단으로 불필요한 추가 조직 채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바이옵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의 상측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의 하측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옵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조직을 추출하는 생체검사(Biopsy) 과정에서 바로 유전자를 추출 하기 위한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 조직을 추출할 수 있는 니들, 조직을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바이옵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유전자 추출 카트리지가 포함된 바이옵시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숙련도 부족으로 조직 괴사 및 오염을 방지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진단시간을 단축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추출 카트리지가 포함된 바이옵시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바이옵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바이옵시 장치(100)는, 생체 내 조직 내로 침투 가능하여 생체검사(Biopsy) 과정에서 병변 조직(150)을 추출하는 흡입부(110), 추출된 병변 조직을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130)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 구동부(120), 추출된 병변 조직으로부터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여 유전자 단위로 분해하는 탈부착 가능한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130), 유전자 추출을 위해 초음파 진단 방법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측하는 관측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병변 조직 추출 시 바이옵시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바이옵시 고정 키트(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10)는 관측부(140)를 통해 병변 조직(150)을 감지한 후, 병변 조직(150)을 추출하는 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카트리지(130)는 추출된 병변 조직의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기 위한 라이시스 버퍼 챔버(lysis buffer chamber) 내의 용액과 상기 병변 조직을 혼합한다.
혼합을 위해 유체역학적으로 혼합 가능한 채널을 통과한 후, 유전자 및 세포막 찌꺼기가 필터에 달라붙고, 필터로부터 유전자 이외의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바인딩 버퍼 챔버(Binding buffer chamber) 및 워시 버퍼(wash buffer chamber)에 필터를 통하여 흘려 보냄으로써 용해된 찌꺼기는 웨스트 챔버(waste chamber)로 모이게 된다.
카트리지(130)는 유전자를 필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중성화 용액을 흘려 보냄으로써 정제된 유전자 챔버(purified DNA chamber)로 순수한 유전자만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130)는 유전자 추출을 위한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구동부(120)는 부압(Negative pressure)을 생성하는 진공펌프 및 튜브로 구성되어 있으며, 압력 구동부로 생성된 진공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킨다. 이때, 각 채널에 연결된 밸브를 이용하여 유체의 이동 정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옵시 장치는 조직 검사 시, 조직 괴사 및 오염 방지뿐 아니라 진단시간 단축을 위하여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가 포함된 조직검사용 장치 및 진단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전자 추출을 위하여 먼저 초음파 진단 장치 등의 조직 관측용 프로브를 이용하여 병변 조직을 감지한 후, 바이옵시 장치의 니들이 병변 조직을 추출한다. 추출된 병변 조직은 카트리지로 이동되어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기 위한 라이시스 버퍼 챔버(lysis buffer chamber) 내의 용액과 혼합된다. 효율적인 혼합을 위하여 유체역학적으로 혼합이 가능한 채널을 통과하며, 그 후 필터에 유전자 및 세포막 찌꺼기(waste)들이 달라붙게 된다. 필터에 유전자(다시 말해, DNA) 이외의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바인딩 버퍼 챔버(Binding buffer chamber) 및 워시 버퍼(wash buffer chamber)를 필터를 통하여 흘려 보내준다. 이렇게 용해된 찌꺼기들은 웨스트 챔버(waste chamber)로 모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유전자를 필터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중성화 용액을 흘려보내 주어 정제된 유전자 챔버(purified DNA chamber)로 순수한 유전자만 추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옵시 장치는 중성화 용액이 기존의 채널과 동일한 경로로 전달 될 경우 오염이 발생하여 필터 내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설계된 카트리지는 상부 레이어와 하부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공 채널 및 밸브를 이용하여 유체의 움직임이 제어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카트리지(200)는 흡입부에서 추출된 병변 조직의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기 위한 라이시스 버퍼 챔버(lysis buffer chamber) 내의 용액과 상기 병변 조직을 혼합한다.
혼합을 위해 유체역학적으로 혼합 가능한 채널을 통과한 후, 유전자 및 세포막 찌꺼기가 필터에 달라붙고, 필터로부터 유전자 이외의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바인딩 버퍼 챔버(Binding buffer chamber) 및 워시 버퍼(wash buffer chamber)에 필터를 통하여 흘려 보냄으로써 용해된 찌꺼기는 웨스트 챔버(waste chamber)로 모이게 된다.
카트리지는 유전자를 필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중성화 용액을 흘려 보냄으로써 정제된 유전자 챔버(purified DNA chamber)로 순수한 유전자만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200)는 유전자 추출을 위한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200)는 상부 레이어(210)와 하부 레이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진공 채널 및 밸브를 이용하여 유체의 움직임이 제어 된다. 도 3를 참조하여 카트리지(200)의 상부 레이어(210)와 하부 레이어(22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의 상측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의 상부 레이어(3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부를 통해 생체검사(Biopsy) 과정에서 병변 조직을 추출하여 관측부를 통해 병변 조직을 감지한 후, 병변 조직을 추출하고, 추출된 병변 조직은 혼합 챔버(310)로 이동시킨다.
카트리지는 추출된 병변 조직의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기 위한 라이시스 버퍼 챔버(lysis buffer chamber)(320) 내의 용액과 상기 병변 조직을 혼합한다.
혼합을 위해 유체역학적으로 혼합 가능한 채널을 통과한 후, 유전자 및 세포막 찌꺼기가 필터(330)에 달라붙고, 필터(330)로부터 유전자 이외의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바인딩 버퍼 챔버(Binding buffer chamber)(340) 및 워시 버퍼(wash buffer chamber) ⅰ(351), ⅱ(352)에 필터(330)를 통하여 흘려 보냄으로써 용해된 찌꺼기는 웨스트 챔버(waste chamber)(360)로 모이게 된다.
카트리지는 유전자를 필터(33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중성화 용액을 흘려 보냄으로써 정제된 유전자 챔버(purified DNA chamber)(380)로 순수한 유전자만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에 붙어있는 유전자를 용출하기 위한 용출 버퍼 챔버(Elution buffer shamber)(370)의 용액이 주입되는 채널은 필터 채널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의 하측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는 유전자 추출을 위한 상부 레이어와 하부 레이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의 하부 레이어(400)는 상부 레이어(300)와 연결된 진공 채널(420)를 이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키고 밸브(410)를 이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한다.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는 채널 내의 유체가 부압(Negative pressure)을 받아 이동하고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는 채널 내의 유체가 이동하지 못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각 채널 내의 유체를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도 3를 참조하여 카트리지(200)의 상부 레이어(210)와 하부 레이어(22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옵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안하는 바이옵시 방법은 흡입부를 통해 생체 내 조직 내로 침투하여 생체검사(Biopsy) 과정에서 병변 조직을 추출하는 단계(510), 압력 구동부를 통해 추출된 병변 조직을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로 이동시키는 단계(520), 탈부착 가능한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를 통해 추출된 병변 조직으로부터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여 유전자 단위로 분해하는 단계(530)를 포함한다.
단계(510)에서, 흡입부를 통해 생체 내 조직 내로 침투하여 생체검사(Biopsy) 과정에서 병변 조직을 추출한다. 단계(510)은 관측부를 통해 유전자 추출을 위해 초음파 진단 방법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측하는 단계 및 상기 관측부를 통해 감지된 병변 조직을 니들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흡입부는 관측부를 통해 병변 조직을 감지한 후, 병변 조직을 추출하는 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압력 구동부를 통해 추출된 병변 조직을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로 이동시킨다. 이때, 유체 이동 구동 시 진공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킨다.
단계(530)에서, 탈부착 가능한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를 통해 추출된 병변 조직으로부터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여 유전자 단위로 분해한다. 단계(530)는 추출된 병변 조직의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기 위한 라이시스 버퍼 챔버(lysis buffer chamber) 내의 용액과 상기 병변 조직을 혼합하는 단계 및 유전자를 필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중성화 용액을 흘려 보냄으로써 정제된 유전자 챔버(purified DNA chamber)로 순수한 유전자만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카트리지는 추출된 병변 조직의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기 위한 라이시스 버퍼 챔버(lysis buffer chamber) 내의 용액과 상기 병변 조직을 혼합한다.
혼합을 위해 유체역학적으로 혼합 가능한 채널을 통과한 후, 유전자 및 세포막 찌꺼기가 필터에 달라붙고, 필터로부터 유전자 이외의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바인딩 버퍼 챔버(Binding buffer chamber) 및 워시 버퍼(wash buffer chamber)에 필터를 통하여 흘려 보냄으로써 용해된 찌꺼기는 웨스트 챔버(waste chamber)로 모이게 된다.
카트리지는 유전자를 필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중성화 용액을 흘려 보냄으로써 정제된 유전자 챔버(purified DNA chamber)로 순수한 유전자만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130)는 유전자 추출을 위한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전자 추출을 위하여 먼저 초음파 진단 장치 등의 조직 관측용 프로브를 이용하여 병변 조직을 감지한 후, 바이옵시 장치의 니들이 병변 조직을 추출한다. 추출된 병변 조직은 카트리지로 이동되어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기 위한 라이시스 버퍼 챔버(lysis buffer chamber) 내의 용액과 혼합된다. 효율적인 혼합을 위하여 유체역학적으로 혼합이 가능한 채널을 통과하며, 그 후 필터에 유전자 및 세포막 찌꺼기(waste)들이 달라붙게 된다. 필터에 유전자(다시 말해, DNA) 이외의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바인딩 버퍼 챔버(Binding buffer chamber) 및 워시 버퍼(wash buffer chamber)를 필터를 통하여 흘려 보내준다. 이렇게 용해된 찌꺼기들은 웨스트 챔버(waste chamber)로 모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유전자를 필터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중성화 용액을 흘려보내 주어 정제된 유전자 챔버(purified DNA chamber)로 순수한 유전자만 추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옵시 장치는 중성화 용액이 기존의 채널과 동일한 경로로 전달 될 경우 오염이 발생하여 필터 내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설계된 카트리지는 상부 레이어와 하부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공 채널 및 밸브를 이용하여 유체의 움직임이 제어 된다.
제안하는 바이옵시 장치 및 방법은 조직을 기계적으로 절단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을 화학적인 방법으로 분해하여 유전자 단위의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또한, 세포를 분리하고 유전자 추출하는 방법이 아닌, 조직을 추출 할 수 있는 바이옵시 장치 내에 유전자 추출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포함되어 있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조직의 괴사, 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기술과 다르게 실린더(cylinder) 구조의 저장소가 아닌 바이옵시 장치 안에 통합된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로 조직을 운반 하여 유전자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직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빠른 진단이 가능하고, 이를 이용하여 영상진단뿐만 아니라 분자진단(다시 말해, 유전자 진단)으로 확진이 필요한 암, 감염성 염증 질환, 뇌수막염 질환 등의 질병진단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질병이외에도 혈액진단 및 양수검사 등의 인체 내 액체성분을 실시간으로 검사하는 대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수술 시 병변 조직과 정상 조직을 실시간 진단하여 치료 효율 증가하는데 적용이 가능하다.
최근, 인구의 고령화 추세 확대로 의료기기 산업에 대한 투자와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생체검사용도구(Biopsy procedure kit)의 국내 생산 및 수입 제품 의존 비중은 년도에 따라 유동적이지만 국내의 시장규모(2015년 기준 145억)는 매년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더욱 발전되고 편리한 생체검사용 도구가 시장에 진입한다면, 현재 시장에서의 많은 부분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생체 내 조직 내로 침투 가능하여 생체검사(Biopsy) 과정에서 병변 조직을 추출하는 흡입부;
    추출된 병변 조직을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 구동부; 및
    추출된 병변 조직으로부터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여 유전자 단위로 분해하는 탈부착 가능한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
    를 포함하는 바이옵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전자 추출을 위해 초음파 진단 방법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측하는 관측부
    를 더 포함하는 바이옵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관측부를 통해 병변 조직을 감지한 후, 상기 병변 조직을 추출하는 니들
    을 더 포함하는 바이옵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추출된 병변 조직의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기 위한 라이시스 버퍼 챔버(lysis buffer chamber) 내의 용액과 상기 병변 조직을 혼합하는
    바이옵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혼합을 위해 유체역학적으로 혼합 가능한 채널을 통과한 후, 유전자 및 세포막 찌꺼기가 필터에 달라붙고, 필터로부터 유전자 이외의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바인딩 버퍼 챔버(Binding buffer chamber) 및 워시 버퍼(wash buffer chamber)에 필터를 통하여 흘려 보냄으로써 용해된 찌꺼기는 웨스트 챔버(waste chamber)로 모이는
    바이옵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유전자를 필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중성화 용액을 흘려 보냄으로써 정제된 유전자 챔버(purified DNA chamber)로 순수한 유전자만 추출하는
    바이옵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유전자 추출을 위한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바이옵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구동부는,
    유체 이동 구동 시 진공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키는
    바이옵시 장치.
  9. 흡입부를 통해 생체 내 조직 내로 침투하여 생체검사(Biopsy) 과정에서 병변 조직을 추출하는 단계;
    압력 구동부를 통해 추출된 병변 조직을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탈부착 가능한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를 통해 추출된 병변 조직으로부터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여 유전자 단위로 분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옵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를 통해 생체 내 조직 내로 침투하여 생체검사(Biopsy) 과정에서 병변 조직을 추출하는 단계는,
    관측부를 통해 유전자 추출을 위해 초음파 진단 방법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측하는 단계; 및
    상기 관측부를 통해 감지된 병변 조직을 니들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옵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가능한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를 통해 추출된 병변 조직으로부터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여 유전자 단위로 분해하는 단계는,
    추출된 병변 조직의 조직 및 세포막을 제거하기 위한 라이시스 버퍼 챔버(lysis buffer chamber) 내의 용액과 상기 병변 조직을 혼합하는 단계; 및
    유전자를 필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중성화 용액을 흘려 보냄으로써 정제된 유전자 챔버(purified DNA chamber)로 순수한 유전자만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옵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구동부를 통해 추출된 병변 조직을 유전자 추출용 카트리지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유체 이동 구동 시 진공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키는
    바이옵시 방법.
KR1020170112754A 2017-09-04 2017-09-04 바이옵시 장치 KR102043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754A KR102043502B1 (ko) 2017-09-04 2017-09-04 바이옵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754A KR102043502B1 (ko) 2017-09-04 2017-09-04 바이옵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255A true KR20190026255A (ko) 2019-03-13
KR102043502B1 KR102043502B1 (ko) 2019-11-11

Family

ID=6576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754A KR102043502B1 (ko) 2017-09-04 2017-09-04 바이옵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5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1428A (ja) * 2005-10-06 2007-04-19 Yokogawa Electric Corp 化学処理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110094963A (ko) * 2010-02-18 2011-08-24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의료용 조직 추출기
JP2017029152A (ja) * 2009-09-21 2017-02-09 アコーニ バイオ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体型カートリッジ
KR20170022439A (ko) 2015-08-20 2017-03-02 한국기계연구원 3차원 구조물 조형 장치용 가변 노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1428A (ja) * 2005-10-06 2007-04-19 Yokogawa Electric Corp 化学処理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7029152A (ja) * 2009-09-21 2017-02-09 アコーニ バイオ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体型カートリッジ
KR20110094963A (ko) * 2010-02-18 2011-08-24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의료용 조직 추출기
KR20170022439A (ko) 2015-08-20 2017-03-02 한국기계연구원 3차원 구조물 조형 장치용 가변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502B1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9420B2 (en) Method for obtaining sterile human amniotic fluid and uses thereof
US11571187B2 (en) Method for obtaining sterile human amniotic fluid and uses thereof
DE69929099T2 (de) Gerät zur Extraktion von Nukleinsäuren
KR100852841B1 (ko) 생체 조직 채취 기구, 내시경 시스템 및 생체 조직 채취방법
JP2022000051A (ja) タンジェンシャルフィルタリングによって抽出された粒子を処理し分析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8690752B2 (en) Oocyte separation and collection system
US20100285521A1 (en) Adipose tissue collection and pre-processing devices for use in liposuction procedure
EP27880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ample processing
US11266809B2 (en) Flushable catheter device
US1119161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hygiene testing a medical device
EP0471721B1 (en) Apparatus for taking a sample of amniotic fluid
KR20120121883A (ko) 생물학적 샘플 정제 및 농축용 장치 및 방법
KR20190026255A (ko) 바이옵시 장치 및 방법
EP3885429A1 (en) Exosome extraction device and exosome extraction method
US20130131546A1 (en)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bone marrow
WO2018022159A1 (en) Single-cell pipette assembly comprising single-cell pipette handle and single-cell pipette tip
WO2018162640A1 (en) Device for processing 3d biopsy tissue
JP2010172231A (ja) 細胞またはコロニーの採取装置及び細胞またはコロニーの採取方法
JP2024027643A (ja) 生体試料処理装置及び生体試料処理方法
DE102005063572B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xtrahieren einer Abstrichprobe
EP2819583A1 (en) Device and method
CN204520793U (zh) 一种肿瘤细胞提取器
EP136738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Lokalisierung sowie Manipulation von Zellen
CN211985516U (zh) 一种手术室病理组织收集装置
DE2624627B2 (de) Einrichtung zur Gewinnung von Gewebezellen für zellspezifische Untersuchu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