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857A -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857A
KR20190024857A KR1020180124011A KR20180124011A KR20190024857A KR 20190024857 A KR20190024857 A KR 20190024857A KR 1020180124011 A KR1020180124011 A KR 1020180124011A KR 20180124011 A KR20180124011 A KR 20180124011A KR 20190024857 A KR20190024857 A KR 20190024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tor
mentee
mentoring
ma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Tian Yong Li
임지현
Original Assignee
여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의(주) filed Critical 여의(주)
Priority to KR1020180124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4857A/ko
Publication of KR20190024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다양한 분야 또는 경력을 가진 멘토를 멘티와 연결시켜 멘토링 관계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멘토링 과정의 모니터링 및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하는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은 멘토 그룹(20)으로 다양한 분야의 멘토를 탐색하여 저장하고, 멘티 그룹(30)의 요청에 따라 멘토 그룹(2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멘토를 선택하여 멘토링 과정을 관리하는 멘토링 연계 서버(10); 멘티에 대한 멘티의 선택을 위한 매칭 모듈(40); 매칭 모듈(40)의 선택에 따라 관리를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멘토/멘티 콘텐츠 모듈(11); 및 선택된 멘토와 멘티의 멘토링 과정을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링 모듈(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A System for Matching a Mentoring Relationship and Managing a Mentoring Process}
본 발명은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다양한 분야 또는 경력을 가진 멘토를 멘티와 연결시켜 멘토링 관계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멘토링 과정의 모니터링 및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하는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사안에 대하여 경험 및 지식에 기초하여 조언을 제공하는 멘토가 다양한 사회 활동에서 요구된다. 멘토는 주로 특정 분야에서 오랜 경험에 기초하면서 수많은 분야에서 각각 축적된 경험 및 지식을 가진 사람이 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 지식인이 멘토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멘토 가능성을 가진 사람은 전문 분야의 종사, 적절한 기회의 부족 또는 멘토 방식에 대한 가이드 부재로 인하여 멘토로 활동할 기회의 획득이 어렵다. 사회 활동 과정에서 대부분의 사람은 멘토가 필요한 상황을 만나게 되고, 특히 청소년은 성장 과정에서 진로, 인성의 형성 또는 사회 활동을 위하여 멘토가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멘토와 이와 같은 멘티를 연결시킬 수 있는 적절한 시스템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107179호는 멘티가 자신에게 맞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멘토를 쉽게 찾도록 해주는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멘토링 서버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72526호는 미리 저장된 멘토링 서비스 이력을 근거로 멘티의 기술 분야 및 멘토링 희망 분야와 매칭되는 멘토를 추천할 수 있는 멘토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 또는 공지의 멘토/멘티 연결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멘토링 관계를 유지하면서 이를 모니터링을 하면서 실질적으로 멘토링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107179호(유비벨록스(주), 2010년10월05일 공개)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멘토링 서버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72526호(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6년06월23일 공개) 멘토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인성 테스터를 통하여 적합한 멘토의 매칭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멘토 과정의 모니터링 및 피드백을 통하여 멘토링의 효과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는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은 멘토 그룹으로 다양한 분야의 멘토를 탐색하여 저장하고, 멘티 그룹의 요청에 따라 멘토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멘토를 선택하여 멘토링 과정을 관리하는 멘토링 연계 서버; 멘티에 대한 멘티의 선택을 위한 매칭 모듈; 매칭 모듈의 선택에 따라 관리를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멘토/멘티 콘텐츠 모듈; 및 선택된 멘토와 멘티의 멘토링 과정을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멘티의 성향 판단을 위한 성향 테스트 유닛; 멘토에 따른 멘토링 방법의 설정을 위한 멘토링 가이드 유닛; 및 멘토링 결과를 확인하는 피드백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멘토의 멘토링 과정을 미리 시험하는 가상 멘토 시험 유닛; 각각이 멘토의 특성을 결정하는 멘토 조건 설정 유닛; 및 시험 및 특성에 따라 멘토 코드를 생성하는 멘토 코드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멘티의 성향을 시험하고, 시험 결과에 따라 멘티의 특성을 결정하여 멘티 코드를 생성하는 멘티 코드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멘토 코드 및 멘티 코드가 매칭 모듈로 전송되고, 이에 기초하여 매칭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멘토 역할의 기회를 가지기 어려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에게 멘토링 기회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사회 활동 과정에서 멘토가 필요한 상황을 만나는 임의의 사람에게 적합한 멘토를 자동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특히 성장 과정에서 있는 청소년에게 인성 또는 적성 테스터를 통하여 적합한 멘토 매칭 과정에 의하여 멘토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멘토링 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피드백을 하는 것에 의하여 멘토링의 효과가 실질적으로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멘토 선택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멘티 적성 시험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멘토/멘티 매칭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에서 멘토링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은 멘토 그룹(20)으로 다양한 분야의 멘토를 탐색하여 저장하고, 멘티 그룹(30)의 요청에 따라 멘토 그룹(2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멘토를 선택하여 멘토링 과정을 관리하는 멘토링 연계 서버(10); 멘티에 대한 멘티의 선택을 위한 매칭 모듈(40); 매칭 모듈(40)의 선택에 따라 관리를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멘토/멘티 콘텐츠 모듈(11); 및 선택된 멘토와 멘티의 멘토링 과정을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링 모듈(50)을 포함한다.
멘토 그룹(20)은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이 될 수 있고, 멘토에 적합한 자격을 가진 사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멘토 그룹(20)은 멘토링 연계 서버(10)에 의하여 탐색이 되거나, 지원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추천 또는 헤드 헌팅 방식으로 선택이 될 수 있다. 멘토 그룹(20)은 다수의 멘토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멘토에 대한 특성이 멘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멘티 그룹(30)은 미리 등록된 멘토링을 원하는 사람 및 멘토링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접속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멘티 그룹(30)은 등록 멘티(RM)와 접속 멘티(CM)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 멘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될 수 있다. 접속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유무선 통신 가능한 수단을 통하여 멘토링 연계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다. 멘토링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 멘토링 연계 서버(10)에 접속하면 멘토링 연계 서버(10)는 접속자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여 등록 멘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신규 접속자라면 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접속 멘티(CM)에 저장할 수 있다.
멘토링 연계 서버(10)는 멘토의 탐색 및 등록, 멘티의 접속, 탐색 및 등록, 멘토와 멘티의 매칭, 멘토링 모니터링, 콘텐츠 관리 및 피드백 처리를 포함하는 멘토링의 전체 과정을 관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멘토링 연계 서버(10)는 멘토링 과정의 관리를 위한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기기를 통하여 접속될 수 있다. 멘토링 연계 서버(10)는 접속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멘토와 멘티의 연결을 위한 매칭 모듈(40), 멘토링 과정을 관리하는 모니터링 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매칭 모듈(40)은 멘티의 특성을 탐색 및 조사하고, 그에 적합한 멘토를 선택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멘티에 적합한 멘티가 매칭이 되면 멘토/멘티 콘텐츠 모듈(11)에 의하여 멘토/멘티 콘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멘토/멘티 콘텐츠는 멘토링 과정이 저장되고, 멘토와 멘티의 대화 공간이 되면서 멘티 또는 멘티에 대한 알림 사항이 업로드가 되는 멘티와 멘티의 멘토링 공간에 해당한다. 멘토/멘티 콘텐츠는 멘토 또는 멘티의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멘토/멘티 콘텐츠에 알림 사항이 업로드가 되면 멘티 또는 멘토의 휴대용 전자기기로 업로드가 된 사실 및 내용이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멘토/멘티 콘텐츠는 비공개 사이트가 될 수 있다.
멘토/멘티 콘텐츠가 생성되면, 멘토링 과정이 모니터링 모듈(50)에 의하여 관리가 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50)은 멘토링이 정해진 절차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면서 멘토링의 효과를 확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멘토링 과정은 예를 들어 멘토/멘티 콘텐츠를 통한 소통, 다른 전자기기 수단을 통한 소통 또는 오프라인 활동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50)은 멘토링 과정이 미리 정해진 절차에 따라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멘토링 확인 메시지를 멘토 및 멘티에게 발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멘토링 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하는 정보를 멘토 또는 멘티에게 발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50)은 멘티/멘티 콘텐츠로 알림 사항을 발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멘토링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멘토링 보고서는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른 평가를 포함하고, 만약 평가가 미리 결정된 범위에 벗어나면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멘토링 연계 서버(10)는 멘토링 과정의 관리를 위한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매칭 및 관리 시스템은 멘티의 성향 판단을 위한 성향 테스트 유닛(32); 멘토에 따른 멘토링 방법의 설정을 위한 멘토링 가이드 유닛(42); 및 멘토링 결과를 확인하는 피드백 유닛(14, 15)을 포함한다.
멘토 그룹(20)은 헤드 헌팅 유닛(21)에 의하여 선별이 되거나, 멘토 활동을 원하는 사람은 서버에 접속하여 멘토 신청을 하고 적절한 시험을 거쳐 멘토 그룹(20)에 등록이 될 수 있다. 헤드 헌팅 유닛(21)은 인터넷을 통하여, 직접 접촉을 통하여 또는 접속에 의하여 신청을 통하여 멘토를 선별하여 멘토링 가이드 유닛(42)으로 전송할 수 있다. 멘토링 가이드 유닛(42)은 멘토링 진행 과정에 대한 절차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멘토링 가이드 유닛(42)은 헤드 헌팅 유닛(21)에 의하여 선별되어 멘토링 가이드 유닛(42)으로 전송되면, 각각의 멘토에 대한 멘토링 가이드 또는 매뉴얼을 만들 수 있다. 매뉴얼은 각각의 멘토에 대하여 만들어질 수 있고, 파일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매뉴얼은 멘토링을 진행하는 기본적인 절차 및 멘토링 과정에서 기록되어야 하는 추적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매뉴얼에 포함되는 추적 항목은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가 반드시 기록하여야 하는 항목이 되고 모니터링 유닛(111)은 추적 항목을 추출하여 각각의 멘토링 과정을 관리할 수 있다. 멘토 매뉴얼은 고유 번호를 가질 수 있고, 멘토링의 진행 과정에서 수정이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멘토 매뉴얼에 기초하여 또는 각각의 멘토의 특징 분석에 기초하여 멘토 풀 그룹 유닛(43)에 의하여 분류될 수 있다. 멘토의 분류는 전문 분야, 경력, 직업, 성격, 거주 위치, 나이 또는 이와 유사한 특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멘토 풀 그룹 유닛(43)에 의하여 각각의 멘토가 분류되면, 매칭 유닛(41)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매칭 유닛(41)은 멘토 풀 그룹 유닛(43)에 접속하여 각각의 멘티에 적합한 멘토를 탐색할 수 있다.
멘티 그룹(30)은 미리 등록된 멘티 및 미등록 멘티를 포함할 수 있고, 멘토를 필요로 하는 사람은 서버에 접속하여 멘티 그룹(30)에 등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적합한 멘토의 매칭을 원하는 접속자는 멘티 그룹(30)에 등록될 수 있다. 멘티 그룹(30)에 등록되면 각각의 멘티에 대하여 성향 테스트 유닛(32)에 의하여 멘티 성향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성향 테스트 유닛(32)은 멘티 그룹(30)에 멘티가 등록되면 각각의 멘티에 대하여 성향 테스트를 할 수 있다. 성향 테스트는 미리 만들어진 설문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성향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멘티에 대한 매칭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성향 테스트는 미리 이루어지거나, 멘토링 과정에서 다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성향 테스트는 멘티의 특성을 결정하는 파라미터 생성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향 테스트는 활동성 파라미터 결정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성향 테스트 결과에 따라 파라미터 값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파라미터 값과 함께 각각의 멘티에 대한 정보가 분류/등록 유닛(16)으로 전송될 수 있다. 분류/등록 유닛(16)은 각각의 멘티에 대한 정보 및 파라미터 값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여 분류하여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매칭 유닛(41)으로 전송하거나, 매칭 유닛(41)은 분류/등록 유닛(16)에 접속하여 매칭이 되지 않은 멘티를 탐색하여 매칭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매칭 유닛(41)은 각각의 멘티에 적합한 멘토를 탐색하여 매칭을 시키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하나의 멘티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멘토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멘토에 대하여 다수이 멘티가 매칭이 될 수 있다. 매칭 유닛(41)에 의하여 멘토와 멘티가 매칭이 되면 각각의 매칭 멘토/멘티에 대한 관리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관리 과정은 모니터링 유닛(111)에 의한 관리 또는 확인 과정과 멘토 또는 멘티에 의한 피드백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유닛(111)은 위에서 설명된 멘토/멘티 컨텐츠에 저장된 공개 가능한 업로드 항목을 통하여, 각각의 멘토 매뉴얼에 기록된 항목을 통하여, 멘토 또는 멘티에 대한 메시지 전송 및 응답을 통하여 멘토링 과정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또는 멘토 또는 멘티에 대한 직접 접촉을 통하여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결과가 멘토링 적합성 유닛(12)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멘토 피드백 유닛(14)과 멘티 피드백 유닛(15)에 의한 피드백 결과가 멘토링 적합성 유닛(12)으로 전송될 수 있다.
멘토 및 멘티 피드백 유닛(14, 15)은 멘토링 과정을 멘토 및 멘티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것을 말하고, 멘토 또는 멘티는 피드백 유닛(14, 15)에 접속하여 멘토링에 대한 피드백을 저장할 수 있다. 피드백 항목은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멘토링의 진행에 따른 긍정적인 변화 요소 또는 부정적인 변화 요소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피드백은 멘토 또는 멘티와 개별적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멘토 및 멘티 피드백 유닛(14, 15)은 멘토 또는 멘티가 점수제와 같은 방식으로 평가가 가능한 형태로 기록되는 평가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평가 항목은 멘토링 적합성 유닛(12)으로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고, 멘토링 적합성 유닛(12)은 평가 항목으로부터 멘토링 과정에서 개선 사항 또는 멘토링의 지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멘토링 적합성 유닛(12)에서 평가된 사항이 멘토링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될 수 있다.
멘토링 데이터베이스(13)에 멘토 정보, 멘티 정보, 매칭 과정, 멘토링 과정 또는 적합성 판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멘토링 데이터베이스(13)에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매칭 및 관리 시스템은 매칭 또는 멘토링 과정의 관리를 위한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멘토 선택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은 멘토의 멘토링 과정을 미리 시험하는 가상 멘토 시험 유닛(414); 각각이 멘토의 특성을 결정하는 멘토 조건 설정 유닛(415); 및 시험 및 특성에 따라 멘토 코드를 생성하는 멘토 코드 생성 유닛(17)을 포함한다.
멘토와 멘티의 매칭을 위하여 멘토의 특성이 시험 또는 평가될 필요가 있고, 매칭 모듈은 이와 같은 과정의 진행을 위한 다양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멘토 그룹(20)의 형성을 위하여 또는 멘토 그룹(20)에 등록된 멘토의 특성 파악을 위한 멘토 탐색 유닛(161)이 배치될 수 있다. 멘토 탐색 유닛(161)은 멘토 그룹(20)에 등록되거나, 멘토 그룹(20)의 등록을 위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멘토 접속자에 대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멘토 탐색 유닛(161)은 멘토 그룹(20)에 등록된 멘토 또는 멘토 접속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탐색하여 검색/분류 유닛(412)으로 전송할 수 있다. 검색/분류 유닛(412)은 멘토 탐색 유닛(161)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멘토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검색/분류 유닛(412)은 실제로 멘토와 접촉하거나, 다양한 정보 사이트(413)에 접속하여 멘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사이트(413)는 인터넷을 통하여 또는 오프라인을 통하여 접촉 가능한 임의의 사이트가 될 수 있다. 검색/분류 유닛(412)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획득된 멘토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멘토를 분류하여 가상 멘토 시험 유닛(414)으로 전송할 수 있다. 가상 멘토 시험 유닛(414)은 멘토의 분류에 따라 가상 멘티를 설정하여 멘토와 멘토링을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가상 멘토 시험은 멘토의 멘토링 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넷 메신저를 통한 대화, 화상 대화, 전화 대화 또는 직접 접촉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멘토 시험 유닛(414)에 의하여 가상 멘티에 대한 멘토의 멘토링이 시험되면 멘토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멘토 조건은 멘토에 적합한 성향의 멘티, 멘토링 방법, 멘토링 시간, 멘토링 지역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멘토 조건이 결정되면, 멘토는 멘토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가상 멘토 시험의 과정 또는 결과가 멘토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될 수 있다. 멘토가 멘토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이 되면 매칭 조건 설정 유닛(411)으로 전송되어 멘토 조건에 따라 멘티를 선택하기 위한 매칭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411). 이와 동시에 멘토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각각의 멘토에 대한 정보가 멘토 코드 생성 유닛(17)으로 전송될 수 있다. 멘토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멘토 정보는 다수 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전문 분야, 직업, 나이, 거주 지역, 멘토링 가능 시간, 멘토 경력 또는 가상 시험 결과와 같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멘토 코드 생성 유닛(17)은 이와 같은 멘토에 대하여 저장된 항목에 기초하여 멘토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멘토 코드는 멘티 탐색 유닛(18)으로 전송될 수 있다. 멘티 탐색은 멘토 코드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매칭 조건 설정 유닛(411)에서 설정된 조건은 보조 기능을 할 수 있다. 매칭 조건 설정 유닛(411)은 멘토 코드에 따른 매칭 과정에서 보조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 멘티 탐색 유닛(18)은 매칭 조건 설정 유닛(411)에서 설정된 조건과 멘토 코드를 조합하여 매칭 유닛(4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매칭 유닛(41)은 멘티 탐색 유닛(18)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멘티를 탐색하여 매칭을 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멘티 적성 시험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매칭 및 관리 시스템은 멘티의 성향을 시험하고, 시험 결과에 따라 멘티의 특성을 결정하여 멘티 코드를 생성하는 멘티 코드 생성 유닛(19)을 포함한다.
멘티 탐색 유닛(162)에 의하여 멘티 그룹(30)에 속하는 각각의 멘티가 탐색되어 멘티 기본 정보와 함께 성향 테스트 유닛(32)으로 전송될 수 있다. 성향 테스트 유닛(32)은 다양한 정보 사이트(321)에 접속하여 멘티의 기본 정보에 따른 성향을 검색하여 저장할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설문 또는 질문 형태의 테스트를 통하여 멘티의 성향을 시험할 수 있다. 또한 성향 테스트의 결과가 가상 모델링 시험 유닛(331)으로 전송될 수 있다. 가상 모델링 시험 유닛(331)은 위에서 멘토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동일 유사한 과정을 통하여 멘티 코드가 생성될 수 있고, 매칭 유닛(41)으로 전송될 수 있다.
멘티는 멘토링을 원하는 사안을 가지므로 멘티가 원하는 요청 사항 또는 멘티에게 해결되어야 하는 사안이 탐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요청 탐색 유닛(333)이 배치될 수 있고, 요청 탐색 유닛(333)에서 탐색된 요청 또는 정보는 매칭 조건 설정 유닛(334)에 의하여 매칭 유닛(41)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매칭 유닛(41)은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멘토를 탐색할 수 있다. 매칭 유닛(41)은 멘토 코드 및 멘티 코드에 기초하여 매칭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매칭 조건 설정 유닛(334)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참조하여 매칭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 매칭 모듈에 의하여 매칭이 진행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멘토/멘티 매칭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멘토 코드 및 멘티 코드가 매칭 모듈로 전송되고, 이에 기초하여 매칭이 이루어진다. 멘토 코드 및 멘티 코드가 코드 확인 유닛(46)으로 전송될 수 있고, 코드 확인 유닛(46)은 멘토 또는 멘티의 각각의 코드에 대한 매칭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멘토 코드 또는 멘티 코드는 다수 개의 항목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멘토 코드와 멘티 코드는 서로 대응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대응되는 코드에 대한 매칭 수준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대응되는 코드에 대한 매칭 수준이 평가되고 이에 따라 전체 매칭 수준이 탐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기초하여 우선 그룹 형성 유닛(43)에 의하여 매칭이 되는 멘토와 멘티의 조합이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멘토에 대하여 다수의 멘티가 매칭이 될 수 있고, 하나의 멘티에 대하여 다수의 멘토가 매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멘토 또는 멘티가 설정이 되는 경우 우선성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멘토/멘티 매칭 조합이 결정되면 멘토링 조건 형성 유닛(44)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환경 탐색 유닛(431)에 의하여 멘토 또는 멘티의 환경이 탐색되어 멘토링 조건 형성 유닛(44)으로 전송될 수 있다. 환경 탐색 유닛(431)은 예를 들어 멘토 또는 멘티의 활동 지역, 가용 시간 또는 주변 환경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멘토 조건 유닛(441)과 멘티 조건 유닛(442)에 의하여 멘토와 멘티의 요구 조건이 미리 저장될 수 있고, 멘토링 조건 형성 유닛(44)으로 전송될 수 있다. 멘토링 조건 형성 유닛(44)은 멘토링 절차를 결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멘토링 조건이 최종적으로 결정되면 매칭도 결정 유닛(45)으로 전송될 수 있고, 매칭도 결정 유닛(45)은 멘토와 멘티의 매칭 수준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여 멘토/멘티 조합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각각의 멘티에 대한 멘토가 최종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멘티에 대한 멘토가 최종적으로 결정되면 모니터링 유닛(111) 및 멘티 데이터베이스(132)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관련 정보가 멘토 데이터베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모니터링 유닛(111)에 의하여 멘토링 과정이 모니터링이 되고, 또한 멘토링 과정이 멘토 및 멘티에 의하여 피드백이 될 수 있다.
매칭 과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에서 멘토링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멘토와 멘티의 매칭에 의한 멘토링 방법은 멘티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P61); 멘티 그룹에 속하는 각각의 멘티에 대한 성향 테스트를 하고, 멘토를 결정하기 위한 가상 모델링 시험을 하는 단계(P62); 멘토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P63); 멘토와 멘티를 매칭시키는 단계(P64); 매치 수준이 미리 결정된 적합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P65); 멘토링 모니터링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P66); 멘토링 과정에 멘토와 멘티로부터 각각 멘토링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 단계(P67); 매칭 수준이 재평가가 되는 단계(P68); 및 멘토링 리포터가 생성되는 단계(P69)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칭 및 멘토링 과정은 온라인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온라인/오프라인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멘티 그룹 및 멘티 그룹은 위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멘티 그룹에 속하는 각각의 멘티에 대하여 성향 테스트가 이루어지고 또한 가상 멘토링 과정을 통하여 멘티가 모델링이 될 수 있다(P62). 멘토와 멘티의 매칭을 위하여 멘토 코드 및 멘티 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드에 기초하여 매칭에 따라 우선 그룹이 선정되면, 각각의 선정된 멘토/멘티 조합이 미리 결정된 매칭 적합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P65). 만약 정해진 범위를 벗어난다면(NO), 다시 성향 테스트 및 모델링이 이루어지거나(P62) 또는 새로운 멘토가 탐색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적합 범위 내에 있다면(YES), 멘토링 모니터링 콘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P66). 멘토링 모니터링 콘텐츠에 멘토링 진행 과정이 저장될 수 있고, 멘토링에 관련된 다양한 사항이 게시될 수 있다. 또한 멘토와 멘티 사이의 멘토링 과정 자체가 진행될 수 있다. 멘토링이 진행 과정에서 멘토와 멘티로부터 주기적으로 피드백이 획득될 수 있고(P67), 피드백이 평가되어 매칭의 적합성 여부가 다시 평가될 수 있다(P68). 만약 매칭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되면(NO), 멘토/멘티 매치 과정이 다시 진행될 수 있다(P64). 이에 비하여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YES), 멘토링 리포터가 생성될 수 있다(P69). 멘토링 리포터가 멘토링 데이터베이스, 멘티 데이터베이스 또는 멘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멘토링의 매칭 및 관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멘토 역할의 기회를 가지기 어려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에게 멘토링 기회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사회 활동 과정에서 멘토가 필요한 상황을 만나는 임의의 사람에게 적합한 멘토를 자동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특히 성장 과정에서 있는 청소년에게 인성 또는 적성 테스터를 통하여 적합한 멘토 매칭 과정에 의하여 멘토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멘토링 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피드백을 하는 것에 의하여 멘토링의 효과가 실질적으로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멘토링 연계 서버 11: 멘토/멘티 콘텐츠 모듈
12: 멘토링 적합성 유닛 13: 멘토링 데이터베이스
14: 멘토 피드백 유닛 15: 멘티 피드백 유닛
16: 분류/등록 유닛 17: 멘토 코드 생성 유닛
18: 멘티 탐색 유닛 19: 멘티 코드 생성 유닛
20: 멘토 그룹 21: 헤드 헌팅 유닛
30: 멘티 그룹 32: 성향 테스트 유닛
40: 매칭 모듈 41: 매칭 유닛
42: 멘토링 가이드 유닛 43: 멘토 풀 그룹 유닛
44: 멘토링 조건 형성 유닛 45: 매칭도 결정 유닛
46: 코드 확인 유닛 47: 우선 그룹 형성 유닛
50: 모니터링 모듈 111: 모니터링 유닛
131: 멘토 데이터베이스 132: 멘티 데이터베이스
161: 멘토 탐색 유닛 162: 멘티 탐색 유닛
321: 정보 사이트 331: 가상 모델링 시험 유닛
333: 요청 탐색 유닛 334: 매칭 조건 설정 유닛
411: 매칭 조건 설정 유닛 412: 검색/분류 유닛
413: 정보 사이트 414: 가상 멘토 시험 유닛
415: 멘토 조건 설정 유닛 431: 환경 탐색 유닛
441: 멘토 조건 유닛 442: 멘티 조건 유닛
CM: 접속 멘티 RM: 등록 멘티

Claims (2)

  1. 멘토 그룹(20)에 포함된 다수의 멘토를 탐색하여 저장하고, 멘티 그룹(30)의 요청에 따라 멘토 그룹(2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멘토를 선택하여 멘토링 과정을 관리하는 멘토링 연계 서버(10);
    멘티에 대한 멘토의 선택을 위한 매칭 모듈(40);
    매칭 모듈(40)의 선택에 따라 관리를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멘토/멘티 콘텐츠 모듈(11); 및
    선택된 멘토와 멘티의 멘토링 과정을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링 모듈(50)을 포함하고,
    멘토의 멘토링 과정을 미리 시험하는 가상 멘토 시험 유닛(414); 각각의 멘토의 특성을 결정하는 멘토 조건 설정 유닛(415); 및 시험 및 특성에 따라 멘토 코드를 생성하는 멘토 코드 생성 유닛(17)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멘토 시험 유닛(414)은, 멘토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한 멘토의 분류에 따라 가상 맨티를 설정하여 멘토링을 진행함으로써 멘토의 멘토링 과정을 미리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멘티의 성향을 시험하고, 시험 결과에 따라 멘티의 특성을 결정하여 멘티 코드를 생성하는 멘티 코드 생성 유닛(19)을 더 포함하고, 멘토 코드 및 멘티 코드가 매칭 모듈(40)로 전송되고, 이에 기초하여 매칭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
KR1020180124011A 2018-10-17 2018-10-17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 KR20190024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011A KR20190024857A (ko) 2018-10-17 2018-10-17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011A KR20190024857A (ko) 2018-10-17 2018-10-17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479 Division 2017-08-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668A Division KR20200011525A (ko) 2020-01-22 2020-01-22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857A true KR20190024857A (ko) 2019-03-08

Family

ID=6580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011A KR20190024857A (ko) 2018-10-17 2018-10-17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48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296B1 (ko) 2020-01-21 2021-02-03 주식회사 달꿈 심리 검사를 이용한 멘토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0345A (ko) * 2020-09-23 2022-03-30 연민호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509501B1 (ko) * 2022-01-25 2023-03-14 (주)메인콘텐츠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179A (ko) 2009-03-25 2010-10-05 유비벨록스(주)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멘트링 서버
KR20160072526A (ko) 2014-12-15 2016-06-2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멘토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179A (ko) 2009-03-25 2010-10-05 유비벨록스(주)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멘트링 서버
KR20160072526A (ko) 2014-12-15 2016-06-2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멘토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296B1 (ko) 2020-01-21 2021-02-03 주식회사 달꿈 심리 검사를 이용한 멘토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0345A (ko) * 2020-09-23 2022-03-30 연민호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220040340A (ko) * 2020-09-23 2022-03-30 연민호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509501B1 (ko) * 2022-01-25 2023-03-14 (주)메인콘텐츠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0591B2 (en) Distributed electronic document review in a blockchain system and computerized scoring based on textual and visual feedback
US10395326B2 (en) Collections of linked databases
US11568334B2 (en) Adaptive workflow definition of crowd sourced tasks and quality control mechanisms for multiple business applications
US20190121813A1 (en) System and Method of Sovereign Digital Identity Search and Bidirectional Matching
US8918391B2 (en) Interactive peer directory with question router
US20150066520A1 (en) Standardized Pet Health Decis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20140278633A1 (en) Skill-based candidate matching
WO2007038240A2 (en) Ranking employment candidates using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candidates
KR20190024857A (ko)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
US200201162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 prediction utilizing admissions-based information
KR102446912B1 (ko)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
US20130041923A1 (en) Dynamic assessment system
US20160253426A1 (en) Providing information technology support
US11847177B2 (en) Relationship and credibility based experience rating and skill discovery system
KR102415084B1 (ko) 퍼소나 모델을 이용한 설계사 매칭 서버 및 설계사 매칭 방법
JP2019101720A (ja) 人材採用支援システム及び人材採用支援方法
KR20200056153A (ko) 시간제 일자리 구직 인력과 구인 기업을 연결하는 매칭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Bansal et al. Trust evaluation of websites: a comprehensive study
JP2017037410A (ja) エキスパート紹介システム
KR102481516B1 (ko) Mbti를 이용한 성격검사 기반 커플 매칭 서비스 시스템
Alam et al. Using social media in government: The Australian taxation office e-Tax facebook page
JP2014038442A (ja) 人材評価サポートサーバ、人材評価サポートシステム、人材評価方法
KR101278693B1 (ko) 합격률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Pramiyati et al. Determining Trust Scope Attributes Using Goodness of Fit Test: A Survey
Richards et al. Expertise recommendation: A two-way knowledge communication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