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501B1 -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501B1
KR102509501B1 KR1020220010627A KR20220010627A KR102509501B1 KR 102509501 B1 KR102509501 B1 KR 102509501B1 KR 1020220010627 A KR1020220010627 A KR 1020220010627A KR 20220010627 A KR20220010627 A KR 20220010627A KR 102509501 B1 KR102509501 B1 KR 102509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entor
user terminal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한규
이준형
황교진
이우진
Original Assignee
(주)메인콘텐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인콘텐츠 filed Critical (주)메인콘텐츠
Priority to KR102022001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501B1/ko
Priority to KR1020230030608A priority patent/KR102672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사업계획서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서 기 설정된 제1 순서대로 입력 항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입력 항목에 대한 입력란이 포함된 입력 페이지를 제공하는 입력 항목 생성부; 가이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기 설정된 제2 순서에 따라 가이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입력 항목과 함께 제공하는 가이드 정보 생성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창업 멘토링을 수행할 창업 멘토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선정하는 멘토 선정부; 및 상기 사업계획서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사업계획서 생성부; 를 포함하되, 상기 멘토 선정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입력 페이지 상의 입력란에 전송한 제1 사용자 입력 정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가이드 정보 및 제1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창업 멘토링을 수행할 제2 사용자 단말을 선정하고, 상기 사업계획서 생성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입력 페이지 상의 입력란에 전송한 입력 정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가이드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전체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사업계획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BUSINESS PLAN DOCUMENT}
본 발명은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정해진 가이드라인에 따라 창업실습프로그램을 이용 시 입력한 내용에 기초하여 사업계획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경기불황으로 인해 정리해고, 명예퇴직을 실시하는 기업들이 많아지고, 정부에서 다양한 지원사업을 제공 중에 있는 바, 창업을 희망하는 인력이 많아지고 있다. 창업은 사업 아이템의 선택에서부터 시작하는데, 많은 창업가들이 경험과 정보 부족으로 인해 실패를 경험하고 있다.
또한, 사업 아이템 선택시에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의 창조가 필요하다는 인식 탓에 시장의 요구와는 다른 방향으로 나가는 사업아이템을 선택하는 우를 범하곤 한다.
기존에는 창업을 지원하고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에 대하여 멘토가 지도하는 프로그램이 존재하기는 하였으나, 창업을 위한 사업아이템 선택을 위한 멘토링은 케이스 바이 케이스(case-by-case)로 진행됨에 따라 체계화된 시스템 구축이 어려운 현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은 사업 아이템을 발굴하고 현실화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장치가 제공한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와 멘토가 입력한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형식에 맞추어 사업계획서를 자동으로 작성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에 대한 것이다.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사업계획서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서 기 설정된 제1 순서대로 입력 항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입력 항목에 대한 입력란이 포함된 입력 페이지를 제공하는 입력 항목 생성부; 가이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기 설정된 제2 순서에 따라 가이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입력 항목과 함께 제공하는 가이드 정보 생성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창업 멘토링을 수행할 창업 멘토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선정하는 멘토 선정부; 및 상기 사업계획서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사업계획서 생성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멘토 선정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입력 페이지 상의 입력란에 전송한 제1 사용자 입력 정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가이드 정보 및 제1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창업 멘토링을 수행할 제2 사용자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사업계획서 생성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입력 페이지 상의 입력란에 전송한 입력 정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가이드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전체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사업계획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업계획서 생성부는, 상기 입력 항목의 제1 입력 항목과 대응하는 상기 사업계획서 전자문서의 제1 출력 항목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입력 항목에 대한 입력 정보에 기초한 제1 문장 및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에 기초한 제2문장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문장 및 상기 제2 문장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문장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문장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출력 항목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멘토 선정부는 멘토 집단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멘토 집단 생성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가이드 정보에 대응하는 분야의 복수의 멘토들을 포함하는 멘토 집단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멘토들의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멘토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멘토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멘토들의 각각의 능력에 대한 어빌리티 레벨을 각각 평가하고, 상기 어빌리티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멘토 집단을 제1 멘토 집단, 제2 멘토 집단 및 제3 멘토 집단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멘토 집단, 제2 멘토 집단 및 제3 멘토 집단은 각각 동일한 어빌리티 레벨이 평가된 멘토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 항목 생성부는 기 설정된 제1 순서대로 입력 항목을 추출하되 상기 기 설정된 제1 순서는 사업아이템 선정, 선정한 사업아이템에 대한 개선점 도출, 차별화 특성 적용, 타겟 고객 선정, 수익구조 구축, 마케팅 방안 구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멘토 선정부는 사용자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평가부는 상기 입력 항목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입력 항목에 대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초로 입력 항목 기재 등급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 항목 기재 등급, 상기 제1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멘토링 비용 및 제1 사용자의 사업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멘토링 배정 등급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멘토 선정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멘토링 배정 등급과 매칭되는 상기 어빌리티 레벨을 갖는 상기 멘토 집단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배정하고, 배정된 상기 멘토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멘토 단말로 최저 입력 항목 기재 등급을 갖는 입력 항목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하고, 상기 배정된 멘토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멘토 단말로부터 수신한 피드백의 변경 글자수, 추가 글자수 및 제1 사용자와의 연락 횟수에 기초하여 피드백 지수를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배정된 멘토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멘토 단말 중 기 설정된 임계 피드백 지수를 초과하는 둘 이상의 우수 멘토 단말들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고, 상기 우수 멘토 단말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우수 멘토 단말을 멘토링을 수행할 제2 사용자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업계획서 자동생성 시스템 및 방법은 창업 경험이 없는 사용자가 가이드에 맞추어 보다 편리하게 사업아이템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가이드에 맞추어 사업아이템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입력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 정해진 양식에 맞추어 사업계획서가 자동으로 작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200,210)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엔진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가 창업실습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6a, 6b, 6c, 6d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창업실습 프로그램을 이용시 사업아이템 선정 및 개선점 도출 단계에서 표시되는 가이드 정보 및 입력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업계획서 작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시스템은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 제1 및 2 사용자 단말(200, 2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바람직한 예로써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서버(server)로 구현되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본 발명이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웹 서버(WEB server), 왑 서버(WAP server) 및 이들을 통합한 통합 서버로 구축될 수 있으며, 엔드 유저 클라이언트인 사용자는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0034]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은 PC, 노트북(랩탑),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과 같이 사업계획서 자동작성과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정보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창업을 위해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자하는 창업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210)은 창업자의 의견을 피드백할 수 있는 멘토가 사용하는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업자와 상기 멘토는, 경우에 따라서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의 용어로 대체하여 지시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200, 210)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제1 사용자단말(200)에게 창업실습프로그램 입력 항목 및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10). 상기 창업실습프로그램 입력 항목 및 가이드 정보는 기 정해진 창업실습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도5에서 후술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정보는 사용자가 실습 프로그램을 이용 시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예를 들어, 실습 프로그램 중 사업아이템 선택 단계에서 기존 사업아이템의 예시로 사용할 수 있는 국내, 스타트업, 국내 유니콘기업, 해외 스타트업, 해외 유니콘 기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가이드 정보는 실습 프로그램 중 사업 아이템 선정 후 개선점 도출 단계에서 사칙연산 아이디어 발상법에 따라 더하기 발상법, 곱하기 발상법, 빼기 발상법, 나누기 발상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제공받은 가이드 정보 내에서 사업에 적용할 정보를 선택하고, 가이드를 참고하여 실습 프로그램의 입력 항목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창업실습프로그램 입력정보를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220). 상기 입력정보는 사용자가 입력 항목의 입력란에 입력한 정보와 가이드 정보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상기 수신한 입력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S230).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10)은 창업하고자 하는 창업자에게 창업 아이템 멘토링을 포함하는 교육을 제공하는 멘토가 사용하는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10)은 상기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에게 창업실습프로그램 피드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40). 상기 창업실습프로그램 피드백 정보는 각 창업실습프로그램 입력 항목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창업실습프로그램 입력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S250). 상기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창업자가 입력한 입력정보, 상기 입력정보에 포함된 사용자가 선택한 가이드 정보, 및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창업실습프로그램에서 타겟 고객 선정단계에 해당하는 입력 정보 및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계획서의 내수시장 확보방안 항목의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입력 정보에 기초한 사업계획서 문장과 피드백 정보를 반영한 사업계획서 문장을 별개의 출력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동작성된 사업계획서의 경우, 사업계획서 항목당 두개 이상의 문장이 작성될 수 있다.
이후,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상기 자동작성된 사업계획서를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S260). 상기 자동작성된 사업계획서는 제1 사용자(200)단말에 표시되고, 제1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하는 제1 사용자는 사업계획서 항목당 N개의 문장이 작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N개의 문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사업계획서 문장 선택 정보를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270).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상기 사업계획서 문장선택정보에 기초하여 사업계획서 최종본을 작성할 수 있다(S280).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를 참고하면,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문서작성엔진(110), 데이터베이스부(120), 메모리(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부(120)는 회원 DB(121), 템플릿 DB(122), 가이드 DB(1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서작성 엔진(110)은 일 예로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의 플랫폼 상에서 구현되며, 사업계획서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client)인 제 1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업계획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문서작성 엔진(110)은 서버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축된 후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사업계획서를 관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필요시에는 문서작성 엔진(110)의 일부의 구성 요소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서작성 엔진(110)은 템플릿DB(123)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창업을 위한 사업아이템을 구상하기 위한 실습 프로그램의 입력 항목들이 포함된 템플릿 양식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서작성 엔진(110)은 가이드 DB(123)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실습 프로그램을 이용 시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예를 들어, 실습 프로그램 중 사업아이템 선택 단계에서는 기존 사업아이템의 예시로 사용할 수 있는 국내, 스타트업, 국내 유니콘기업, 해외 스타트업, 해외 유니콘 기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업분야, 서비스, 제품, 중요 요소, 강점, 약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문서작성 엔진(11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된 템플릿 양식에 포함된 입력 항목(310)의 입력란(320)에 입력한 내용 및 제1 사용자 단말(200)이 선택한 가이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2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문서작성 엔진(110)은 제1 사용자단말(200)이 선택한 가이드 정보 및 입력정보에 대한 제2 사용자 단말(210)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문서작성엔진(100)은 제1 사용자단말(200)이 선택한 가이드 정보, 입력정보 및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계획서를 자동으로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력란은 다양한 타입(직접 입력 및 검색 입력)으로 제공되되, HTML 또는 SGML로 구성된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로 작성된 템플릿 입력 페이지(PAG) 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20)는 회원 개인 정보, 회원이 작성한 전자적 형식의 사업계획서(이하, '전자문서'라 함), 창업실습 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템플릿 및 사업계획서 문서양식에 해당하는 템플릿 및 창업실습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해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 등을 저장 및 제공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부(120)는 크게 회원 DB(121), 템플릿 DB(122) 및 가이드DB(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그 외 기명 날인이나 서명 등을 위해 전자문서에 결합되고 변조가 불가능하도록 암호화된 전자서명, 지문 인식 및 성문 인식 정보 등도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데이터베이스부(120)는 본 발명의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인 서버 컴퓨터 내에 일체로 구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이나 환경 등에 따라 생략되거나 전체 또는 일부의 DB가 별개의 다른 시스템 상에 구축된 외부 DB로 존재하는 것 역시 가능할 것이다.
메모리(13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 ROM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대용량 기록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한 운영체제와 서비스 제공 루틴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한다.
이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13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통신부(140)를 통해 별도로 메모리(130)에 로딩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데이터 버스를 통해 후술할 문서작성 엔진(110)의 구성요소들과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문서작성 엔진(110)과 사용자 단말를 네트워크 연결하는 것으로,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카드, 이더넷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또는 그 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40)는 다른 예로써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4G, 5G 및 WiFi 등을 포함하는 무선 기기일 수 있으며, 일부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네트워크화된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이기를 통해 창업실습 프로그램과 제시되는 가이드 정보를 선택하고 참고하여 순차적인 입력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멘토가 제2 사용자 단말(210)기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와 멘토가 작성한 입력 내용 및 사용자가 선택한 가이드 정보가 반영된 사업계획서를 자동으로 작성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문서작성 엔진(110)은 일 예로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의 플랫폼 상에서 구현되며, 사업계획서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client)인 사용자 단말를 대상으로 사업계획서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엔진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와 같이, 문서작성 엔진(110)은 입력 항목 생성부(112), 가이드 정보 생성부(113), 멘토 선정부(117), 사업계획서생성부(114), 제어부(115)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 문서 편집기(114a)를 더 포함한다.
이들 구성은 데이터 버스(DATA BUS)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구성요소들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버스는 고속 시리얼 버스, 병렬 버스,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그외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이때, 입력 항목 생성부(112)는 템플릿 DB(122)를 검색하여 사업계획서 양식에 기재될 입력 항목(310)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입력 항목(310)에 대한 입력란(320)이 포함된 입력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한다.
가이드 정보 생성부(113)는 가이드 DB(123)을 검색하여 사용자가 사업계획서 작성에 필요한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아이템 선정 단계에서의 가이드 정보는 국내외 스타트업기업에 대한 정보를 카드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업아이템 선정 후 개선점 도출 단계에서의 가이드 정보는 다양한 분석 방법을 통해 선정 기업의 사업아이템을 변형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로, '더하기 발상법', '곱하기 발상법', '빼기 발상법', '나누기 발상법'을 포함한 사칙연산 아이디어 발상법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가이드 정보에 대해서는 도 5, 도6에서 후술한다.
사업계획서 생성부(114)는 선택된 사업계획서 양식에 해당하는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입력페이지의 입력란에 입력된 입력정보, 멘토(제2 사용자)가 입력한 피드백 정보 및 가이드 정보가 반영된 사업계획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업계획서 생성부(114)는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200)를 통해 창업실습 프로그램과 제시되는 가이드 정보를 선택하여 순차적인 입력 항목(310)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멘토가 제2 사용자 단말(21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와 멘토가 작성한 입력 내용 및 사용자가 선택한 가이드 정보가 반영된 사업계획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업계획서 생성부(114)는 기 설정된 사업계획서의 항목에 대하여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200)를 통해 입력한 입력정보가 반영된 상기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입력 정보에 기초한 사업계획서 문장과 피드백 정보를 반영한 사업계획서 문장을 별개로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입력 항목 생성부(112), 가이드 정보 생성부(113), 사업계획서 생성부(114)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것으로, 일 예로 작성된 사업계획서를 회원 DB(121)에 저장한다. 문서 편집기(114a)는 전자문서 자체에서의 문서 편집 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입력 항목 생성부(112)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업계획서 전자문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제1 순서대로 입력 항목(310)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입력 항목(310)에 대한 입력란이 포함된 입력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정보 생성부는 가이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기 설정된 제2 순서에 따라 가이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입력 항목(310)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계획서 생성부(114)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21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입력 페이지 상의 입력란에 전송한 입력 정보, 상기 가이드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21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선택된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계획서 생성부(114)는 상기 입력 항목(310) 중 제1 입력 항목과 대응하는 상기 사업계획서 전자문서 중 제1 출력 항목을 결정하고,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입력 항목에 대한 입력 정보에 기초한 제1 문장 및 제2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에 기초한 제2문장을 생성하고,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제1 출력 항목에 대한 문장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문장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출력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계획서 생성부(114)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입력 페이지 상의 입력란에 전송한 입력 정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가이드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전체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사업계획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항목 생성부(112)는 기 설정된 제1 순서대로 입력 항목을 추출하되 상기 기 설정된 제1 순서는 사업아이템 선정, 선정한 사업아이템에 대한 개선점 도출, 차별화 특성 적용, 타겟 고객 선정, 수익구조 구축, 마케팅 방안 구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멘토 선정부(117)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에 대하여 창업 멘토링을 수행할 창업 멘토를 제2 사용자 단말(210)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멘토 선정부(117)는 멘토 집단 생성부(미도시) 및 사용자 평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멘토 선정부(117)는 하기 동작들에 의해 창업 멘토링을 수행할 창업 멘토를 제2 사용자 단말(210)을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멘토 집단 생성부(미도시)는 동작(S401)에서, 상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선택된 가이드 정보에 대응하는 분야의 복수의 멘토들을 포함하는 멘토 집단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에 대응하는 분야는 상기 가이드 정보에 포함 및/또는 분류되는 분야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210)을 통해 여행 관련한 가이드 정보를 선택한 경우, 여행 창업 전문 멘토들을 포함하는 멘토 집단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가이드 정보가 "숨고"에 관한 가이드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전문가 매칭 창업 전문 멘토들을 포함하는 멘토 집단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S402)에서, 상기 멘토 집단 생성부는 복수의 멘토들의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멘토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멘토링 정보는 멘토가 수행한 사업계획서의 첨삭 개수, 멘토가 담당한 멘티의 사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멘토 집단 생성부는 상기 사업 정보에 대응하는 사업의 성장률을 계산하기위해, 외부 서버로 상기 사업 정보의 세부 정보를 요청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업 정보의 세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업 정보의 세부 정보는 각 시점별 사업 규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멘토 집단 생성부는 상기 각 시점별 사업 규모의 차이값에 의해 상기 사업의 성장률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시점별 사업 규모는 사업의 매출액, 직원수의 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멘토링 정보는 멘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업계획서 자동 작성 장치의 통신부(140)는 상기 멘티 정보에 포함된 멘티 단말로 상기 멘토의 첨삭 평가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멘토의 첨삭 평가는 1에서 10까지의 자연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상기 멘토링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멘티 단말로 시각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멘티 단말로부터 상기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상기 멘토링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멘토 단말로 시각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상기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시각 정보는 멘티 단말이 멘토 단말로 첨삭 요청한 제1 시각 및 멘토 단말이 멘티 단말로 첨삭을 전송한 제2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각은 멘티 단말로부터 수신한 시각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시각은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수신한 시각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멘토 집단 생성부는 상기 통신부(140)가 수신한 상기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멘토의 첨삭 소요 기간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멘토 집단 생성부는 상기 시각 정보에 포함된 제1 시각 및 제2 시각의 차이값을 멘토의 첨삭 소요 기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동작(S403)에서, 상기 멘토 집단 생성부는 상기 멘토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멘토들의 각각의 능력에 대한 어빌리티 레벨을 각각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어빌리티 레벨은 상기 복수의 멘토들의 각각의 창업 멘토링 능력을 수치화 하여 나타낸 레벨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멘토 집단 생성부는 상기 사업 성장률, 상기 멘토의 첨삭 평가 및 상기 첨삭 소요 기간에 기초하여 어빌리티 레벨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멘토 집단 생성부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상기 어빌리티 레벨을 평가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2009315040-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Ability Level은 어빌리티 레벨을 나타내고, i는 멘토링을 수행한 사업을 식별하는 식별자, n은 멘토가 멘토링을 수행한 사업의 총 개수, B_i는 i번째 사업을 식별하는 식별자, tc는 현재 시각, t2는 멘토 단말이 멘티 단말로 첨삭을 전송한 제2 시각, t1은 멘티 단말이 멘토 단말로 첨삭 요청한 제1 시각을 나타내고, B_i S_tc는 현재 시각의 i번째 사업의 규모(Scale of Business), B_i S_t2는 제2 시각의 i번째 사업의 규모, B_i E는 i번째 사업에 대한 멘토의 첨삭 평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멘토 집단 생성부는 상기 어빌리티 레벨을 자연수로 나타내기 위해 상기 수학식 1에 가중치를 곱할 수 있다.
동작(S404)에서, 상기 멘토 집단 생성부는 상기 어빌리티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멘토 집단을 제1 멘토 집단, 제2 멘토 집단 및 제3 멘토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멘토 집단, 제2 멘토 집단 및 제3 멘토 집단은 각각 동일한 어빌리티 레벨이 평가된 멘토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멘토 집단의 멘토들은 상기 어빌리티 레벨이 제1 레벨에 해당하고, 제2 멘토 집단의 멘토들은 상기 어빌리티 레벨이 제2 레벨에 해당할 수 있다.
멘토 집단 생성부는 멘토의 첨삭 능력을 상기 첨삭 소요 기간 및 상기 멘토의 첨삭 평가에 기초하여 어빌리티 레벨로 평가함으로써, 멘토의 정확한 능력을 평가하고, 멘토링을 수행할 멘토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멘토 집단 생성부는 상기 첨삭 소요 기간을 반영하여 어빌리티 레벨을 평가함으로써, 멘토링을 수행하는 멘토의 일처리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창업자 및/또는 사업자는 고품질의 멘토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평가부는 제1 사용자의 맨토링 배정 등급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평가부는 상기 입력 항목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입력 항목에 대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초로 입력 항목 기재 등급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항목 기재 등급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정보의 글자수 및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선택된 가이드 정보와의 유사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선택된 가이드 정보와의 유사도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상기 가이드 정보의 유사도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평가부는 유사도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사도 산출부는 제1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해 가이드 정보와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산출부는 딥러닝으로 사전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인공지능을 이용한 문장 분류(AI Sentence Classification)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정보를 재구조화하고, 인공 지능을 이용한 문장 내용 유사도(AI Sentence Semantic Similarity)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평가부는 상기 글자수 및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선택된 가이드 정보와의 유사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정보의 입력 항목 기재 등급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평가부는 상기 유사도가 높고 상기 글자수가 많을수록 상기 입력 항목 기재 등급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평가부는 상기 유사도 및 상기 글자수의 곱에 의해 상기 입력 항목 기재 등급을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항목 기재 등급은 제1 등급, 제2 등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등급이 가장 높은 등급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평가부는 상기 입력 항목 기재 등급, 상기 제1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멘토링 비용 및 제1 사용자의 사업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의 멘토링 배정 등급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멘토링 비용은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사업 이력은 현재 시각 이전의 제1 사용자가 수행한 사업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평가부는 상기 멘토링 배정 등급을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2009315040-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 있어서, Correction Assignment Rank는 멘토링 배정 등급을 나타내고, i는 입력 항목을 식별하는 식별자, n은 입령 항목의 총 개수, I_i R은 i번째 입력 항목의 입력 항목 기재 등급을 나타내고, C는 멘토링 비용, B_e는 제1 사용자의 사업 이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사용자에 해당하는 사업자 및/또는 창업자가 지불하는 비용, 과거 사업 이력 및 작성한 사업계획서에 기초하여 멘토를 배정할 수 있다. 멘토 또한, 사업의 성장가능성 또는 멘티의 성실도가 높은 멘티를 배정받고 싶어하는 바,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멘토에게 멘티를 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평가부는 상기 멘토링 배정 등급을 자연수로 나타내기 위해, 상기 수학식 2에 가중치를 곱할 수 있다.
또한, 동작(S405)에서, 상기 멘토 선정부(117)는 상기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멘토링 배정 등급과 매칭되는 상기 어빌리티 레벨을 갖는 상기 멘토 집단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로 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용자의 멘토링 배정 등급이 1등급인 경우, 제1 사용자는 어빌리티 레벨이 제1 레벨에 해당하는 멘토 집단을 배정받을 수 있다.
동작(S406)에서, 상기 멘토 선정부(117)는 배정된 멘토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멘토 단말로 최저 입력 항목 기재 등급을 갖는 입력 항목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최저 입력 항목 기재 등급을 갖는 입력 항목은 상기 입력 항목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입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는 가장 취약한 입력 항목에 대해 멘토로부터 피드백을 받아보고, 멘토링을 수행할 멘토를 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창업자 및/또는 사업자에게 가장 피드백을 잘한 멘토를 배정하고, 창업자 및/또는 사업자의 사업계획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동작(S407)에서, 상기 멘토 선정부(117)는 상기 배정된 멘토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멘토 단말로부터 수신한 피드백의 변경 글자수, 추가 글자수 및 제1 사용자와의 연락 횟수에 기초하여 피드백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변경 글자수 및 추가 글자수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정보와 상기 피드백을 비교하여 생성된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멘토 선정부(117)는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피드백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22009315040-pat00003
상기 수학식 3에 있어서, Feedback Index는 피드백 지수를 나타내고, t2는 멘토 단말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한 시각, t2는 멘토 단말로 피드백을 요청한 시각, NC_c는 변경된 글자 수, NC_a는 바뀐 글자수, NoC는 제1 사용자 단말(200)과 멘토 단말 간의 상호 연락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멘토 선정부(117)는 피드백의 수신 시각과 요청 시각을 이용하여 피드백 기간을 계산하고, 피드백 지수에 고려함으로써, 멘토의 일처리 능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입력 정보를 얼마나 변경 및/또는 추가했는지를 수치화하고, 피드백 지수로 산출함으로써 피드백을 작성한 멘토의 정성 및 능력을 수치화하여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 지수에 제1 사용자 단말(200)과의 상호 연락 횟수를 더 고려함으로써, 상기 멘토의 제1 사용자에 대한 케어 정도를 반영하여 피드백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멘토의 제1 사용자에 대한 연락의 횟수가 많을수록, 멘토가 제공하는 피드백이 고품질의 멘토링 서비스에 해당하는 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피드백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피드백 지수가 높은 멘토를 제1 사용자에게 배정함으로써, 본 발명은 제1 사용자의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동작(S408)에서, 상기 멘토 선정부(117)는 상기 피드백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배정된 멘토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멘토 단말 중 기 설정된 임계 피드백 지수를 초과하는 둘 이상의 우수 멘토 단말들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로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임계 피드백 지수는 상기 멘토 선정부(117) 또는 제1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멘토 선정부(117)는 상기 임계 피드백 지수를 초과하는 우수 멘토 단말이 2개가 되도록 상기 임계 피드백 지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멘토 선정부(117)는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우수 맨토 단말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요청을 제1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멘토 선정부(117)는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우수 맨토 단말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S409)에서, 상기 우수 멘토 단말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된 우수 멘토 단말을 멘토링을 수행할 제2 사용자 단말(210)로 선정할 수 있다.
멘토 선정부(117)는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10)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정보의 전체 피드백을 요청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전체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차적으로 제1 사용자의 멘토링 배정 등급에 따라 알맞은 어빌리티 레벨을 가진 멘토를 배정하고, 2차적으로 가장 등급이 낮은 입력 항목 기재 등급에 대하여 피드백을 요청하고, 수신한 피드백에 대하여 피드백 지수를 생성하여 피드백 지수에 따른 우수 멘토를 추천함으로써, 상기 제1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멘토를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사용자가 작성한 사업계획서의 가장 취약한 부분에 대해 피드백을 받도록 하고, 해당 피드백을 기초로 멘토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창업자 및/또는 사업자가 일부 멘토의 능력을 확인하고 멘토를 선택하여 함께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도록 함으로써, 창업자 및/또는 사업자에게 신중한 멘토 선택 기회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가 창업실습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는 도 5에 도시된 순서대로 창업실습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입력 항목을 표시한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가 구현하는 창업실습 프로그램은 사업아이템 선정(S510), 선정한 사업아이템에 대한 개선점 도출(S520), 차별화 특성 적용(S530), 사업아이템 네이밍(naming)(S540), 사업아이템 로고제작(S550), 타겟 고객 설정(S560), 수익 구조 구축(S570), 홍보마케팅 방안 구축(S580), 투자 유치 계획(S590) 순으로 진행된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사용자의 기본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회원 DB(121)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이름, 주소, 나이,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취미, 특기, 직업, 직장, 관심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사업아이템 선정(S510) 단계에서 가이드 DB를 검색하여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 및 사업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가이드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로벌 스타트업 기업 및 유니콘 기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등록된 기업의 사업아이템으로서, 사업 분야, 서비스, 제품, 사업 아이디어, 강점 및 약점, 키워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하는 사업아이템 선정 단계에서의 가이드 정보는 도 6a에 도시하였다. 사용자 단말은 6a의 다수의 가이드 정보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업계획서 자동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선택시 상세 정보를 도 6b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최종 카드 선택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디어 분석을 위한 입력 항목(310)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란(320) 해당 질문에 대한 답을 입력할 수 있고,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입력된 질문에 대한 답을 입력 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도 6c에 따르면, 도5의 사업아이템 선정단계(S510)에서 입력 항목은 예를 들어, '카드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사업 아이템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요?', '사업 아이템에서 어떤 점이 개선되면 좋을까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해당 항목에서 수신한 입력 정보를 사업계획서의 '문제인식'항목의 출력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선정 사업아이템에 대한 개선점 도출(S520) 단계에서 템플릿 DB를 검색하여 '창조적파괴 아이디어 혹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기입하세요'를 입력 항목으로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가이드 DB를 검색하여 사칙연산 아이디어 발상법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아이디어 발상법에 대한 예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d에 도시된대로 상기 사칙연산 발상법에는 더하기 발상법, 곱하기 발상법, 빼기 발상법, 나누기 발상법을 포함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칙연산 아이디어 발상법 중 하나를 선택받는 경우, 선정 사업 아이템을 변형한 성공 가능성이 높은 신규 사업 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상기 더하기 발상을 선택하는 경우, 선정 아이템의 사업분야, 서비스 또는 제품에 하나 이상의 새로운 사업분야, 서비스 또는 제품을 추가하여 창조 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부동산 중개 서비스에 새롭게 인쇄출판 서비스를 추가하거나, 미용실 서비스에 새롭게 카페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다.
이후,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차별화 특성 적용(S530)단계에서 단계에서 가이드 DB를 검색하여 차별화 요소로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예를 들어, '무료로', '콘텐츠로', '오프라인으로', '플랫폼으로', '체험할 수 있게', '빠르게', '느리게', '비싸게', '저렴하게', '직접', '대신해서', '온라인으로', '말도안되게', '사회적으로', '확장해서', '축소해서', '반대로', '심플하게', '결합해서', '공유해서', '분리해서', '집중해서', '제품으로', '맞춤형으로', '다양하게', '편리하게', '커뮤니티로', '인공지능으로', '원격으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상기 차별화 요소로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선택시에 차별화 요소 적용을 위한 입력 항목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선정한 사업아이템에 대하여 차별화 요소를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선정 아이템이 항공사 서비스 기업인 경우, 차별화 요소로 '축소하기'를 선택한다면, 사용자는 기존 마일리지, 지정좌석제, 신문, 담요의 요소를 축소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운항하는 항공사 서비스라는 사업 아이템을 발상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사업아이템 네이밍(S540)단계에서 템플릿 DB를 검색하여 '키워드 도출'를 입력 항목으로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사업아이템 네이밍(S540) 단계에서 가이드 DB를 검색하여 네이밍 전략에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예를 들어, '제2외국어', '좌우대칭', '의인화', '숫자', '중의적 의미', '이름', '변형', '단어 합치기', '유행어', 반복', '합성', '성유', '상징', '연음', '지역', '문장형', '이니셜', '약자 더하기', '생략', '신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네이밍 전략에 더하여 예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사업 아이템의 제목을 정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사업아이템 로고 제작(S550) 단계에서 가이드 DB를 검색하여 로고 제작에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로고 컨셉, 로고 종류, 로고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고 컨셉 정보에 있어서는 '미니멀리즘', '친숙하게', '역사적으로', '역동적으로', '상징적으로', '과감하게', '레트로/뉴트로', '신뢰감있게', '아기자기하게', '개성있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고 종류에는 '캘리그라피', '삽화', '기하학 도형', '픽토그램&아이콘', '모노그램', '심볼', 텍스트워드', '시그니처', '엠블럼마크', '텍스트+도형&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고 색상에는 '노랑', '초록', '회색', '갈색', '빨강', '주황', '보라', '검정', '파랑', '분홍'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가이드 정보인 로고 컨셉, 로고 종류, 로고 색상 정보를 종합하여 로고를 스케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상기 로고스케치한 그림 파일을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타겟 고객 선정(S560)단계에서 템플릿 DB를 검색하여 '고객의 니즈와 욕구 파악'을 입력 항목으로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타겟 고객 선정(S560) 단계에서 가이드 DB를 검색하여 로고 제작에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예를 들어, 'B2B(Business to Business)', 'B2G(Business to Government)', 'B2C(Business to Customer)', 'B2S(Business to School)', '발달단계(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 '학생', '직장인', '직업/진로', '가망고객', '잠재고객', '신규고객', '기존고객', '충성고객', '외국인', '결혼여부', '특정 성별', 구매가능자', '구매영향자', '구매방해자', 의사결정권자', '최종사용자', '거주지역', '글로벌', '플랫폼', '상황/상태', '결제방식', '소비방식', '성격유형(현실형, 예술형, 진취형, 탐구형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정보 내에는 세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거주지역'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세부적으로 '수도권', '농촌/어촌/산촌', '광역시', '도시/특별자치시', '도서지방'등의 가이드 정보를 추가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는 보다 구체적으로 타겟 고객을 선정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수익구조 구축(S570)단계에서 템플릿 DB를 검색하여 '수익구조 구축방법', '예상매출'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항목으로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수익구조 구축(S570) 단계에서 가이드 DB를 검색하여 로고 제작에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예를 들어, '제품 제조', '상품권(사이버머니), '광고 수익', '발급비', '가입비', '(부가)서비스 판매', '기부금', '제품판매', '강사료(교육비)', '이용료', '데이터 판매', '제휴 서비스', '콘텐츠 제공(제작)', '투자 수익', '인세/저작권료', '중개수수료', '파생상품', '정액제(구독료)', '대여, 임대료', '라이선스 로열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게 주요 수익구조와 추가 수익구조 구축방법, 및 예상매출을 입력 항목으로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작성한 수익구조 구축방법 및 예상매출에 대한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상기 수익구조 구축(S570)단계에서의 입력 항목을 사업계획서 내 '창업아이템의 개발/사업화 전략'항목에 입력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홍보마케팅 방안 구축(S580) 단계에서 가이드 DB를 검색하여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예를 들어, '언론보도', '배너광고', '업체제휴', '이벤트', '방송출연(광고)', '포털사이트', 'SNS/메신저', 카페/블로그', '대면 영업', '오프라인 행사', '홈페이지 제작', '강연(교육)활동', '오프라인 광고', '판촉물', '특허 출원', '인쇄물', '서적출판', '영상미디어 채널', '크라우드 펀딩'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정보 내에는 세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홍보마케팅 방안에 대한 가이드 정보 중 '이벤트'를 선택하는 경우, '회원가입', '지인추천', 출석/댓글', '쿠폰/할인/선물', 'App 설치/이용', '서비스/추가 상품'등의 세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게 홍보마케팅 수행을 위한 항목으로 '홍보마케팅 자금', '홍보 소요시간', '직접 수행여부'를 입력 항목으로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게 선택한 홍보마케팅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수행 방법을 입력 항목으로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작성한 홍보 마케팅 구축 방안 및 예상 비용에 대한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투자유치 계획(S59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에게 투자유치 계획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입력 항목으로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업계획서 자동작서 장치(100)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창업실습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한 입력 정보를 사용자의 멘토(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각 입력 항목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는 표시되는 가이드 정보와 입력 항목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입력한 입력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정리하여 기 설정된 사업계획서 양식에 맞추어 재배열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사업계획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7a, 7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업계획서 작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7a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가 창업실습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가이드 정보(330)를 선택하고, 입력 항목(310)의 입력란(320)에 입력정보를 입력하면 도 7b에서 기 설정된 사업계획서의 양식에 맞추어 내용이 기입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7b를 참고하면,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100)의 사업계획서 생성부(114)는 도 5에 도시된 창업실습 프로그램 중 타겟 고객 선정(S560) 단계에서 입력란에 입력된 입력정보 및 선택된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계획서 중 '내수시장 확보방안'항목 내부의 주 소비자층 부문의 출력정보(720)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작성한 문장 하단에 멘토가 입력한 피드백 정보가 반영된 출력정보를 함께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두개 이상의 문장에서 한 항목을 선택한 선택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100)는 상기 선택정보에 기초하여 최종 사업계획서를 확정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생성부(114)는 창업실습 프로그램 구동시 입력 항목의 입력란에 입력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사업계획서의 각 항목에 기입되도록 기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계획서 생성부(114)는 도 5에 도시된 창업실습 프로그램 중 수익구조 구축(S570)단계에서 입력된 입력정보 및 선택된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계획서 중 '창업아이템의 개발/사업화 전략'항목 내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사용자는 창업 경험이 없더라도 가이드에 맞추어 시장 상황에 부합하는 사업아이템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가이드에 맞추어 사업아이템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입력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 정해진 양식에 맞추어 사업계획서가 자동으로 작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200: 제1 사용자 단말
210: 제2 사용자단말
110: 문서작성엔진 112: 입력 항목 생성부
113: 가이드 정보 생성부 114: 사업계획서 생성부 114a: 문서편집기
115: 제어부
117: 멘토 선정부
120: 데이터베이스부 121: 회원 DB 122: 템플릿 DB 123: 가이드 DB
130: 메모리
140: 통신부

Claims (5)

  1.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사업계획서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서 기 설정된 제1 순서대로 입력 항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입력 항목에 대한 입력란이 포함된 입력 페이지를 제공하는 입력 항목 생성부;
    가이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기 설정된 제2 순서에 따라 가이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입력 항목과 함께 제공하는 가이드 정보 생성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창업 멘토링을 수행할 창업 멘토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선정하는 멘토 선정부; 및
    상기 사업계획서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사업계획서 생성부; 를 포함하되,
    상기 멘토 선정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입력 페이지 상의 입력란에 전송한 제1 사용자 입력 정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가이드 정보 및 제1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창업 멘토링을 수행할 제2 사용자 단말을 선정하고,
    상기 사업계획서 생성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입력 페이지 상의 입력란에 전송한 입력 정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가이드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전체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사업계획서 전자문서를 작성하고,
    상기 사업계획서 생성부는,
    상기 입력 항목의 제1 입력 항목과 대응하는 상기 사업계획서 전자문서의 제1 출력 항목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입력 항목에 대한 입력 정보에 기초한 제1 문장 및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에 기초한 제2문장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문장 및 상기 제2 문장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문장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문장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출력 항목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멘토 선정부는 멘토 집단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멘토 집단 생성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가이드 정보에 대응하는 분야의 복수의 멘토들을 포함하는 멘토 집단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멘토들의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멘토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멘토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멘토들의 각각의 능력에 대한 어빌리티 레벨을 각각 평가하고,
    상기 어빌리티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멘토 집단을 제1 멘토 집단, 제2 멘토 집단 및 제3 멘토 집단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멘토 집단, 제2 멘토 집단 및 제3 멘토 집단은 각각 동일한 어빌리티 레벨이 평가된 멘토들로 구성되는,
    사업계획서 자동작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멘토 선정부는 사용자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평가부는 상기 입력 항목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입력 항목에 대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초로 입력 항목 기재 등급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 항목 기재 등급, 상기 제1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멘토링 비용 및 제1 사용자의 사업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멘토링 배정 등급을 평가하는,
    사업계획서 자동 작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멘토 선정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멘토링 배정 등급과 매칭되는 상기 어빌리티 레벨을 갖는 상기 멘토 집단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배정하고,
    배정된 상기 멘토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멘토 단말로 최저 입력 항목 기재 등급을 갖는 입력 항목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하고,
    상기 배정된 멘토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멘토 단말로부터 수신한 피드백의 변경 글자수, 추가 글자수 및 제1 사용자와의 연락 횟수에 기초하여 피드백 지수를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배정된 멘토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멘토 단말 중 기 설정된 임계 피드백 지수를 초과하는 둘 이상의 우수 멘토 단말들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고,
    상기 우수 멘토 단말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우수 멘토 단말을 멘토링을 수행할 제2 사용자 단말로 선정하는,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KR1020220010627A 2022-01-25 2022-01-25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 KR102509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627A KR102509501B1 (ko) 2022-01-25 2022-01-25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
KR1020230030608A KR102672105B1 (ko) 2023-03-08 스타트업의 창업 실습 및 ir 자료를 포함하는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627A KR102509501B1 (ko) 2022-01-25 2022-01-25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608A Division KR102672105B1 (ko) 2023-03-08 스타트업의 창업 실습 및 ir 자료를 포함하는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501B1 true KR102509501B1 (ko) 2023-03-14

Family

ID=8550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627A KR102509501B1 (ko) 2022-01-25 2022-01-25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5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179A (ko) * 2009-03-25 2010-10-05 유비벨록스(주)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멘트링 서버
KR20160037296A (ko) * 2014-09-26 2016-04-06 황인영 자기소개서 첨삭 서비스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90024857A (ko) * 2018-10-17 2019-03-08 여의(주)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
KR20200103486A (ko) * 2019-02-25 2020-09-02 이성욱 사업계획서의 자동 작성이 가능한 서버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179A (ko) * 2009-03-25 2010-10-05 유비벨록스(주)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멘트링 서버
KR20160037296A (ko) * 2014-09-26 2016-04-06 황인영 자기소개서 첨삭 서비스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90024857A (ko) * 2018-10-17 2019-03-08 여의(주) 멘토링 매칭 및 관리 시스템
KR20200103486A (ko) * 2019-02-25 2020-09-02 이성욱 사업계획서의 자동 작성이 가능한 서버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737A (ko)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thew et al. Does digital content marketing affect tourism consumer behavior? An extension of t echnology acceptance model
Meng et al. Tourists’ intention to use location-based services (LBS) Converg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Seddon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Akehurst User generated content: the use of blogs for tourism organisations and tourism consumers
Kotler et al. Marketing strategy in the digital age: applying Kotler’s strategies to digital marketing
Bernal Web 2.0 and social networking for the enterprise: Guidelines and examples for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within your organization
Yang et al. Leading the sharing economy: An exploration on how perceived value affecting customers’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pay by using DiDi
Vysotsky et al. Online tourism system for proposals formation to user based on data integration from various sources
Choi et al. Quality evaluation for multimedia contents of e-learning systems using the ANP approach on high speed network
Lin Applied business analytics: Integrating business process, big data, and advanced analytics
US201603792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ed internet searching and advertising
Liow et al. JomMachineLearning: Bringing Artwork Nearer with DesignLab
Shayganmehr et al. An extended model for assessing E-services of Iranian Universities websites using Mixed MCDM method
Martins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digital platform for seasonal jobs: improving the hiring process
Vita et al. The online marketing of Indonesian street food in Jakarta
Albinali et al. The implement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social media marketing and its impact on consumer behavior: evidence from Bahrain
Ismail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doption of innovative high-technology brands: The case of apple iPhone in Malaysia
US20200160359A1 (en) User-experience development system
KR102509501B1 (ko)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
KR102672105B1 (ko) 스타트업의 창업 실습 및 ir 자료를 포함하는 사업계획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
Abkenar et al. Social Commerce Mobile Application Enhancement: a hybrid text clustering-topic modeling business model analysis
Waite et al. Essentials of digital marketing
Leib et al. Web-based menu design: A conjoint value analysis
Feroz et al. Digital Analytics for Marketing
Elliott et al. An EBA Plan for Primary Source Content: A New Model for Access and Owner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