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813A -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 Google Patents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813A
KR20190024813A KR1020180102277A KR20180102277A KR20190024813A KR 20190024813 A KR20190024813 A KR 20190024813A KR 1020180102277 A KR1020180102277 A KR 1020180102277A KR 20180102277 A KR20180102277 A KR 20180102277A KR 20190024813 A KR20190024813 A KR 20190024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drive plate
central axis
pair
link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604B1 (ko
Inventor
최권희
박상린
진영균
이인규
Original Assignee
(주)키프로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키프로토 filed Critical (주)키프로토
Publication of KR20190024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2003/006Crank arrangements to overcome dead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는 체인으로 뒷바퀴와 연결되고, 중앙에 설치된 제2구동판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판; 상기 제1구동판 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되고 각각 분리된 제1중심축 및 제2중심축;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크랭크축;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과 연동하는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 상기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을 제1구동판과 힌지 연결한 제1힌지수단과 제2힌지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1구동판과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의 편심에 의해 한 쌍의 크랭크축의 회전 궤적에서 속도 편차가 발생하면서 한 쌍의 크랭크축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불일치로 회전되어 사점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A stand erect type bicycle crank device}
본 발명의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페달링 동작시 사점을 방지하는 동시에 다음 페달링의 힘점으로 신속한 복귀를 가능하도록 하는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달은, 360°로 양 방향으로 축회전하는 크랭크암의 회전각의 변화에 따라서 양방향으로 360°를 페달축 회전을 하여야 하는데, 이는 크랭크 회전각이 어느 각도에 위치하고 있어도 페달발판이 신발바닥과 평행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페달링 하는 주행자의 발목이 크랭크 회전각에 순응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페달이 자유롭게 페달축 회전을 하게 되면 지렛대 역할을 하는 크랭크암에 전달되는 답력의 힘점은 항상 페달축에 걸리게 되고, 크랭크축회전에 따라 답력의 방향이 진행된다. 이때, 수직 방향으로 상사점과 하사점에 위치한 크랭크축은 사점이 발생하여 힘 손실을 초래한다.
평지나 오르막길에서 자전거를 달리게 하는 힘은 사람의 답력과 가속도에 의해 생성된 관성에너지로써 관성에너지가 충분한 평지에서는 그 힘으로 사점을 지나칠 수 있기에 사점이 별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오르막길이나 맞바람주행(정면으로 불어오는 맞바람을 맞으며 달림) 등과 같이 관성에너지가 소멸될 때의 사점구간은 답력마저도 회전력으로 전환되질 못하므로 더 이상 주행을 할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는 자전거가 경사로를 더 이상 오르지 못하고 멈추는 순간의 페달 위치가 상사점과 하사점에서 정지하고 있음이 이를 실증하고 있는 것이다.
사점은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힘의 방향이 수직으로 일직선에 이르렀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써 힘의 크기와 지렛대의 길이의 크고 작음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사람의 답력을 크랭크축 회전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불가결하게 생기는 사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힘의 방향을 바꿔줘야만 가능하다.
안장 없이 서서타는 직립형 자전거에서는 이 사점이 더욱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사용자가 체중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옮기는 동안 상사점을 지나게 되는데, 이 때 무릎을 많이 구부린 상태에서 페달에 힘을 가하여 몸을 지탱하고 추진력을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리의 무릎관절에 모멘트가 증가하고 피로를 조기에 유발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033413호,(1998.07.2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0-0006730호,(2000.02.0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는 자전거 크랭크 장치에서 페달링 동작시 크랭크축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일직선상으로 일치되지 않도록 하여 사점을 방지함으로서, 페달링 동작에 대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크랭크축의 회전 궤적에서 힘점 발생 이후 힘점으로 복귀과정을 신속하게 복귀되도록 하여 다음 힘점 발생을 준비하는 사이클을 단축시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2실시예에서 제1중심축 및 제2중심축이 일체로 연결되되, 각기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크랭크축의 힘 전달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전동을 위한 구성요소에 힘 집중화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장치의 제1실시예는 체인으로 뒷바퀴와 연결되고, 중앙에 설치된 제2구동판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판; 상기 제1구동판 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되고 각각 분리된 제1중심축 및 제2중심축;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크랭크축;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과 연동하는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 상기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을 제1구동판과 힌지 연결한 제1힌지수단과 제2힌지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1구동판과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의 편심에 의해 한 쌍의 크랭크축의 회전 궤적에서 속도 편차가 발생하면서 한 쌍의 크랭크축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불일치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장치의 제2실시예는 체인으로 뒷바퀴와 연결되고, 중앙에 설치된 제2구동판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판; 상기 제1구동판 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되고 연결수단을 통해 중심이 일치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중심축 및 제2중심축;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크랭크축;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과 연동하는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 상기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을 제1구동판과 힌지 연결한 제1힌지수단과 제2힌지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1구동판과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의 편심에 의해 한 쌍의 크랭크축의 회전 궤적에서 속도 편차가 발생하면서 한 쌍의 크랭크축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불일치로 회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구동판과 제2구동판 사이에 주베어링이 설치되어 제2구동판을 기준으로 제1구동판이 회전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크랭크 축은 한 쌍의 페달을 각각 결합한 제1크랭크축과 제2크랭크축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크랭크축은 제1중심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2크랭축은 제2중심축과 연결되되,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이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중심이 수평선상으로 일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에는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이 각각 고정되어 연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에는 각각 제1힌지수단과 제2힌지수단의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은 제1구동판의 측면에 힌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수단은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중앙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의 양측 외주연과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의 구멍에 보조베어링 을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장치는 체인으로 뒷바퀴와 연결되고, 중앙에 설치된 제2구동판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판; 상기 제1구동판 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되고 각각 분리된 제1중심축 및 제2중심축;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크랭크축;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과 연동하는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 상기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을 제1구동판과 힌지 연결한 제1힌지수단과 제2힌지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1구동판과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의 편심에 의해 한 쌍의 크랭크축의 회전 궤적에서 속도 편차가 발생하면서 한 쌍의 크랭크축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불일치로 회전되어 사점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자전거 크랭크 장치에서 페달링 동작시 크랭크축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일직선상으로 일치되지 않도록 하여 사점을 방지함으로서, 페달링 동작에 대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장치는 한 쌍의 크랭크축의 회전 궤적에서 힘점 발생 이후 힘점으로 복귀과정을 신속하게 복귀되도록 하여 다음 힘점 발생을 준비하는 사이클을 단축시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장치는 제2실시예에서 제1중심축 및 제2중심축이 일체로 연결되되, 각기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크랭크축의 힘 전달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전동을 위한 구성요소에 힘 집중화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세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세부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를 나타낸 세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세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 및 도 8 내지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장치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구분된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장치는 제1구동판 110, 중심축 130, 140, 크랭크축 150, 링크절 160, 170, 힌지수단 180, 190으로 구성한다.
즉,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제1실시예는, 체인으로 뒷바퀴와 연결되고, 중앙에 설치된 제2구동판 12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판 110; 상기 제1구동판 110 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되고 각각 분리된 제1중심축 130 및 제2중심축 140; 상기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크랭크축 150; 상기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과 연동하는 제1링크절 160과 제2링크절 170; 상기 제1링크절 160과 제2링크절 170을 제1구동판 110과 힌지 연결한 제1힌지수단 180과 제2힌지수단 190으로 구성한다.
또한, 도 8 내지 도 12에서 도시한 제2실시예는, 체인으로 뒷바퀴와 연결되고, 중앙에 설치된 제2구동판 12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판 110; 상기 제1구동판 110 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되고 연결수단 153을 통해 중심이 일치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중심축 130 및 제2중심축 140; 상기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크랭크축 150; 상기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과 연동하는 제1링크절 160과 제2링크절 170; 상기 제1링크절 160과 제2링크절 170을 제1구동판 110과 힌지 연결한 제1힌지수단 180과 제2힌지수단 190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상기 제1구동판 110과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의 편심에 의해 한 쌍의 크랭크축 150의 회전 궤적에서 속도 편차가 발생하면서 한 쌍의 크랭크축 150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불일치로 회전된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의 연결 관계는 아래와 같다.
상기 제1구동판 110은 체인으로 뒷바퀴와 연결되고, 중앙에 설치된 제2구동판 120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제1구동판 110은 외주연에 복수의 기어 111가 형성된 스프라켓 형상을 갖고 체인을 통해 자전거 뒷바퀴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1구동판 110의 중심에는 제2구동판 120이 설치된다.
상기 제2구동판 120의 외주연과 제1구동판 110의 내주연에는 주베어링 115이 설치되어 제2구동판 120을 기준으로 제1구동판 110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은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중심축 130, 140을 기반으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구분된다.
먼저, 제1실시예는 상기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은 제1구동판 110 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되고 각각 분리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은 제1구동판 110 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되고 연결수단 153을 통해 상호 중심이 일치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 153은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부 153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153c 중앙에 걸림턱 153a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 153의 양측 외주연과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의 구멍에 보조베어링 153b을 설치한다.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차이는 상기의 중심축 연결 구조이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즉,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에는 페달 10이 설치된 한 쌍의 크랭크축 150이 각각 결합된다.
이를 통해, 페달 10, 크랭크축 150을 통해 페달 10링의 힘이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1중심축 130은 자전거의 프레임(미도시)에 관통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2중심축 140은 제1구동판 110의 중심에 관통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은 중심이 수평선상으로 일치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를 통해, 한 쌍의 크랭크축 150을 통해 중심이 일치되게 배치된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으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때, 크랭크축 150은 제1크랭크축 151과 제2크랭크축 152으로 구분되고 상호 설치 각도가 일직선상이 아닌 둔각 범위의 각도내에서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자전거의 크랭크축 150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페달 10링 동작시 상사점과 하사점이 일치되면서 회전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크랭크축 150의 사이 각도가 일직선이 아닌 180도 이하의 각도로 이루어져 페달 10링 동작시 한 쌍의 크랭크축 150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불일치로 회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자전거 크랭크 장치 100는 페달 10링 동작시 발생하는 답력(자전거 페달 10에 가하는 힘)을 회전력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주행자가 크랭크암 말단부에 설치되어있는 페달 10을 밟아서 크랭크를 축회전시킨다.
한 쌍의 페달 10은 360°로 양 방향으로 축회전하는 크랭크암의 회전각의 변화에 따라서 양방향으로 360°를 페달 10축 회전을 한다.
이때, 자유롭게 페달 10축 회전을 하게 되면 지렛대 역할을 하는 크랭크암에 전달되는 답력의 힘점은 항상 페달 10축에 걸리게 되고, 크랭크축 150회전에 따라 답력의 방향이 진행된다. 이때, 수직 방향으로 상사점과 하사점에 위치한 크랭크축 150은 사점이 발생하여 힘 손실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크랭크축 150의 설치 각도를 180도 이하의 범위로 설치하여 한 쌍의 크랭크축 150이 상사점과 하사점이 일치되지 않도록 하여 사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한 쌍의 크랭크축 150이 회전운동에서 힘의 방향이 바뀌는 시점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의 사점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이 연접된 일단에는 제1링크절 160과 제2링크절 170이 각각 고정되어 일체로 연동한다.
상기 제1링크절 160과 제2링크절 170은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의 중심에서 외부방향으로 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제1링크절 160과 제2링크절 170의 타단 중심과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의 중심은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힌지수단은 제1힌지수단 180과 제2힌지수단 190으로 구성된다.
즉, 제1힌지수단 180과 제2힌지수단 190은 상기 제1링크절 160과 제2링크절 170을 제1구동판 110과 힌지 연결된다.
즉, 제1힌지수단 180과 제2힌지수단 190은 링크절에서 자유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크랭크 장치 100는 상기 제1구동판 110과 제1중심축 130과 제2중심축 140의 편심에 의해 한 쌍의 크랭크축 150의 회전 궤적에서 속도 편차가 발생하면서 한 쌍의 크랭크축 150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불일치로 회전된다.
이를 통해, 상기 크랭크측에 가하는 힘점의 회전 속도 주기 대비 반대쪽 크랭크축 150의 힘점으로 복귀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한 쌍의 크랭크축 150이 힘점의 순환을 신속히 이루도록 한다.
이는, 크랭크축 150의 에너지 발생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에너지 전달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크랭크 장치 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제1크랭크축 151에 답력(페달 10을 밞는 힘)을 가하면, 제1중심축 130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1중심축 130이 회전되면 제1링크절 160을 연동시키게 되고, 동시에 제1링크절 160과 힌지 연결된 제1힌지수단 180이 연동한다.
여기서, 제1힌지수단 180은 제1중심축 130의 회전방향으로 제1링크절 160에서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한다.
이를 통해, 제1링크절 160의 타단이 힌지 연결된 제1구동판 110이 회전 연동시켜 체인을 무한 궤도 동작 시킨다.
여기서, 제1중심축 130과 제1구동판 110의 중심이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제1링크절 160의 회전 궤적에 따라 회전 속도가 다르다.
이는, 제1중심축 130의 중심과 제1구동판 110의 중심의 편심량이 제일 큰 궤적에는 제1링크절 160의 회전속도가 빠르게 진행된다.
반대로 제1중심축 130의 중심과 제1구동판 110의 중심의 편심량이 제일 작은 궤적에는 제1링크절 160의 회전속도가 느리게 진행된다.
이와 같은 동작 패턴은 제2크랭크축 152, 제2중심축 140, 제2링크절 170 및 제2힌지수단 190의 동작에도 적용된다.
결국, 상기 크랭크측에 가하는 힘점의 회전 속도 주기 대비 반대쪽 크랭크축 150의 힘점으로 복귀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한 쌍의 크랭크축 150이 힘점의 순환을 신속히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는, 답력을 가한 후 다음 담력을 준비하기 위한 위치로 신속하게 해당 크랭크축 150을 위치시켜 답력을 신속 및 연속적으로 가할 수 있도록 하여 에저니 전달 및 응답 속도를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페달 100 : 크랭크 장치
110 : 제1구동판 111 : 기어
115 : 주베어링 120 : 제2구동판
130 : 제1중심축 140 : 제2중심축
150 : 크랭크축 151: 제1크랭크축
152 : 제2크랭크축 153 : 연결수단
153a : 걸림턱 153b : 보조베어링
153c : 결합부 160 : 제1링크절
170 : 제2링크절 180 : 제1힌지수단
190 : 제2힌지수단

Claims (7)

  1. 체인으로 뒷바퀴와 연결되고, 중앙에 설치된 제2구동판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판;
    상기 제1구동판 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되고 각각 분리된 제1중심축 및 제2중심축;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크랭크축;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과 연동하는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
    상기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을 제1구동판과 힌지 연결한 제1힌지수단과 제2힌지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1구동판과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의 편심에 의해 한 쌍의 크랭크축의 회전 궤적에서 속도 편차가 발생하면서 한 쌍의 크랭크축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불일치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2. 체인으로 뒷바퀴와 연결되고, 중앙에 설치된 제2구동판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판;
    상기 제1구동판 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되고 연결수단을 통해 중심이 일치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중심축 및 제2중심축;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크랭크축;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과 연동하는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
    상기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을 제1구동판과 힌지 연결한 제1힌지수단과 제2힌지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1구동판과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의 편심에 의해 한 쌍의 크랭크축의 회전 궤적에서 속도 편차가 발생하면서 한 쌍의 크랭크축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불일치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판과 제2구동판 사이에 주베어링이 설치되어 제2구동판을 기준으로 제1구동판이 회전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축은,
    한 쌍의 페달을 각각 결합한 제1크랭크축과 제2크랭크축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크랭크축은 제1중심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2크랭축은 제2중심축과 연결되되,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이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중심이 수평선상으로 일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에는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이 각각 고정되어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절과 제2링크절에는 각각 제1힌지수단과 제2힌지수단의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은 제1구동판의 측면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중앙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의 양측 외주연과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의 구멍에 보조베어링 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KR1020180102277A 2017-08-29 2018-08-29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KR102130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664 2017-08-29
KR20170109664 2017-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813A true KR20190024813A (ko) 2019-03-08
KR102130604B1 KR102130604B1 (ko) 2020-07-07

Family

ID=6580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277A KR102130604B1 (ko) 2017-08-29 2018-08-29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589A1 (ko) *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키프로토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4994A (ja) * 1988-03-24 1989-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転車の駆動装置
KR19980033413A (ko) 1997-01-04 1998-07-25 강병남 자전거의 가변식 페달구동장치
KR20000006730A (ko) 1999-10-28 2000-02-07 이용우 자전거의 구동용 크랭크샤프트 가변장치
US6085613A (en) * 1995-12-07 2000-07-11 Niculescu; Florin Crankset with no neutral position
JP2006528574A (ja) * 2003-07-25 2006-12-21 パブロ・カラスコ・ベルガラ 死点を有しない独立したクランクによるペダル駆動システムのためのモジュール構成
KR100718021B1 (ko) * 2006-04-06 2007-05-15 박주태 자전거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4994A (ja) * 1988-03-24 1989-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転車の駆動装置
US6085613A (en) * 1995-12-07 2000-07-11 Niculescu; Florin Crankset with no neutral position
KR19980033413A (ko) 1997-01-04 1998-07-25 강병남 자전거의 가변식 페달구동장치
KR20000006730A (ko) 1999-10-28 2000-02-07 이용우 자전거의 구동용 크랭크샤프트 가변장치
JP2006528574A (ja) * 2003-07-25 2006-12-21 パブロ・カラスコ・ベルガラ 死点を有しない独立したクランクによるペダル駆動システムのためのモジュール構成
KR100718021B1 (ko) * 2006-04-06 2007-05-15 박주태 자전거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589A1 (ko) *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키프로토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604B1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4088B2 (en) Pedalling machines including scooters and driving mechanisms therefor
US4712790A (en) Cycle exerciser
US9139252B2 (en) Dual drive sprocket pedal bike
US20170137084A1 (en) Elliptical drive mechanism and a steering mechanism, applicable to velocipedes in general
JP2016501147A (ja) 特徴的な駆動アセンブリを備えた自転車
US5442972A (en) Variable ratio bicycle drive mechanism
KR20190024813A (ko)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KR101145797B1 (ko) 스탭식 킥보드
KR100718021B1 (ko) 자전거 구동장치
JP2018523611A (ja) 乗手駆動車及びその機構
RU2492096C1 (ru) Компактный велосипед с эллипсным приводом
KR101832444B1 (ko) 직립형 자전거
JP3506985B2 (ja) 自転車
JP7233822B2 (ja) 自転車のペダル
WO2011162307A1 (ja) 人力駆動装置
KR100840262B1 (ko) 상체 운동이 가능한 핸들이 구비된 자전거
NL1025249C2 (nl) Torque Pedal.
JPH06247371A (ja) 自転車の駆動装置
GB2359285A (en) Drive apparatus for self-propelled velocipede
CN216102622U (zh) 一种多人合力脚踏自行车
KR101248494B1 (ko) 상하이동 페달을 구비한 자전거
KR100509749B1 (ko) 편심타원기어의 가변회전속도비를 이용한 페달구동동력전달장치
KR200334643Y1 (ko) 편심타원기어의 가변회전속도비를 이용한 페달구동동력전달장치
GB2346854A (en) Manually operated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70098454A (ko) 도로주행겸용 승마운동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