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482A -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482A
KR20190024482A KR1020170111509A KR20170111509A KR20190024482A KR 20190024482 A KR20190024482 A KR 20190024482A KR 1020170111509 A KR1020170111509 A KR 1020170111509A KR 20170111509 A KR20170111509 A KR 20170111509A KR 20190024482 A KR20190024482 A KR 20190024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steam
disposed
housing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266B1 (ko
Inventor
양대봉
김민성
박형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266B1/ko
Priority to PCT/KR2018/010048 priority patent/WO2019045476A1/en
Priority to RU2020112702A priority patent/RU2737309C1/ru
Priority to CN201880070696.1A priority patent/CN111295121B/zh
Priority to AU2018326105A priority patent/AU2018326105B2/en
Priority to EP18191623.0A priority patent/EP3449796B1/en
Priority to US16/118,831 priority patent/US10820779B2/en
Publication of KR20190024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4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22B1/285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the water being fed by a pump to the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6Water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4Steam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 및 스팀을 분사하여 식기나 조리도구를 세척하는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펌프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 공간을 상하로 나누는 격벽과, 하우징 내부의 격벽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척수를 유동하는 임펠러와, 격벽의 하측에 배치되어 하우징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와,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어 히터에 의하여 생성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배출관을 포함하여, 히터에 의하여 스팀이 생성되어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Wahsing pump and Dishwash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수 및 스팀을 분사하여 식기나 조리도구를 세척하는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분사암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이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일반적으로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와, 터브 바닥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섬프 내부에 장착된 세척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하여 세척수가 분사암으로 이동되고, 분사암으로 이동된 세척수는 분사암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세척대상의 표면에 부딪혀서, 세척대상에 묻어 있는 오물이 터브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식기세척기는 가열된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대상을 세척하거나 세척대상에 스팀을 공급하여 세척이나 살균을 수행한다.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섬프 내부에 구비된 히터를 통해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함으로써 온수나 스팀을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 히터는 섬프 내부에 노출되어 세척수에 접촉해야만 했기 때문에 히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가 노출되지 않도록 섬프 내부의 수위를 제어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히터가 세척수에 접촉 되어야만 열전달이 가능했기 때문에 히터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나 히터의 표면이 부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히터에 의하여 생성된 스팀이 토출되는 경로가 적절하게 배치되는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펌프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 공간을 상하로 나누는 격벽과, 하우징 내부의 격벽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척수를 유동하는 임펠러와, 격벽의 하측에 배치되어 하우징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와,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어 히터에 의하여 생성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배출관을 포함하여, 히터에 의하여 스팀이 생성되어 배출될 수 있다.
히터는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고 일부가 하우징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는, 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히터커버와, 히터커버의 하측에 접합되어 히터커버를 가열하는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커버는 일부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발열체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히터커버는 하우징 내부의 세척수와 발열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커버는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어 하우징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다.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하우징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관과,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세척수가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는 세척수유출관을 더 포함하고, 격벽은 세척수유입관과 세척수유출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배출관은 세척수유출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배출관은 스팀 배출방향이 세척수유출관의 세척수 유출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팀배출관은 세척수유입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는 세척수유입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와, 터브의 바닥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와, 터브 내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과,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암으로 압송하는 세척펌프와, 세척펌프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와, 히터에 의하여 생성된 스팀을 터브 내로 토출하는 스팀노즐과, 세척펌프와 스팀노즐을 연결하며 세척펌프와 연결되는 부분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스팀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터브의 바닥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는 섬프의 일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펌프는, 내부 공간을 상하로 나누는 격벽과,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어 세척수가 분사암으로 유출되는 펌프상부와, 격벽의 하측에 배치되어 섬프의 세척수가 유입되는 펌프하부를 포함하고, 스팀호스는 펌프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터브의 전면에 구비되어 세척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스팀노즐은 도어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스팀호스는 일부가 터브 바닥의 일측방 가장자리를 따라 도어 하단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스팀호스는 일부가 터브 바닥의 전방에서 도어의 하단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챔버상부챔버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세척펌프의 하우징 내측에 히터가 배치되어 적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세척수를 가열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세척펌프에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관이 상부에 배치되어 스팀이 원활하게 배출되면서도 세척수의 순환에 영향이 없는 장점도 있다.
셋째, 스팀호스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스팀이 스팀노즐로 원활하에 유동되는 장점도 있다.
넷째,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관이 적절히 배치되어 생성된 스팀이 순환유로 상으로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펌프 및 히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펌프 및 히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펌프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일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일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일부에 대한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일부에 대한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세척실(12a)을 형성하는 터브(12)와, 터브(12)의 전면에 구비되어 세척실(12a)을 개폐하는 도어(20)와, 터브(12)의 하측에 배치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100)와, 터브(12) 내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암(13, 14, 15)과, 섬프(100)에 저장된 세척수를 복수의 분사암(13, 14, 15)에 압송하는 세척펌프(150)와, 섬프(100)와 복수의 분사암(13, 14, 15)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순환유로 상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140)와, 도어(20)에 구비되어 히터(140)에 의하여 생성된 스팀을 세척실(12a)로 토출하는 스팀노즐(195)과, 세척펌프(150)와 스팀노즐(195)을 연결하는 스팀호스(190)를 포함한다.
터브(11)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척실(12a)을 형성한다. 터브(11)의 바닥(12b)에는 세척수가 섬프(100)로 유입되는 연통홀(12c)이 형성된다. 세척실(12a)에는 세척대상이 수납되는 복수의 랙(16, 17)이 구비된다. 복수의 랙(16, 17)은 세척실(12a)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랙(16)과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랙(17)을 포함한다. 하부랙(16)과 상부랙(17)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터브(11)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암(13, 14, 15)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분사암(13, 14, 15)은, 최하단에 배치되어 하부랙(16)을 향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로우분사암(13)과, 로우분사암(13)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부랙(17)을 향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어퍼분사암(14)과, 어퍼분사암(14)의 상측인 세척실(12a)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분사암(15)을 포함한다.
복수의 분사암(13, 14, 15)은 복수의 분사암 연결유로(18, 19, 21)를 통해 세척펌프(15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다. 복수의 분사암 연결유로(18, 19, 21)는 로우분사암(13)과 연결되는 로우분사암 연결유로(18), 어퍼분사암(14)과 연결되는 어퍼분사암 연결유로(19) 및 탑분사암(15)과 연결되는 탑분사암 연결유로(21)를 포함한다.
섬프(100)는 터브(12)의 바닥(12b)의 하측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집수한다. 섬프(100)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유동하는 급수유로(23)와 연결된다. 급수유로(23)에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22)가 구비된다. 급수밸브(22)가 개방되면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는 급수유로(23)를 통하여 섬프(100)로 유입된다. 급수유로(23)에는 급수유로(23)를 통하여 섬프(100)로 유동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미터(27)가 구비된다.
섬프(100)는 저장된 세척수를 식기세척기(1)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유로(24)가 연결된다. 배수유로(24)에는 섬프(100) 내의 세척수를 배수유로(24)를 통하여 배수하는 배수펌프(25)가 구비된다. 배수펌프(25)가 구동하면 섬프(100)에 저장된 세척수는 배수유로(24)를 통하여 케이스(11) 외부로 유동된다.
필터(26)는 연통홀(12c)에 장착되어 터브(12)에서 섬프(100)로 이동하는 세척수에서 오물을 거른다.
세척펌프(150)는 섬프(100)에 저장된 세척수를 복수의 분사암(13, 14, 15) 중 적어도 하나로 압송한다. 세척펌프(150)는 전환밸브(130)와 세척수 공급유로(180)로 연결된다. 세척펌프(150)가 구동되면 섬프(100)에 저장된 세척수는 집수유로(170)를 통하여 세척펌프(150)로 유입된 후 세척수 공급유로(180)를 통하여 전환밸브(130)로 압송된다. 집수유로(170) 내부 또는 집수유로(170)와 세척펌프(150) 사이에는 체크밸브(175)가 구비된다.
세척펌프(150)는 섬프(100)의 일측방에 설치된다. 세척펌프(150)는 스팀호스(190)와 연결된다. 세척펌프(15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190)를 통하여 스팀노즐(195)로 공급된다.
히터(140)는 섬프(100)로부터 복수의 분사암(13, 14, 15) 중 적어도 하나까지 세척수가 유동되는 순환유로 상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가열한다. 본 실시예에서 순환유로는 집수유로(170), 세척펌프(150), 세척수 공급유로(180), 전환밸브(130) 및 복수의 분사암 연결유로(18, 19, 21)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히터(140)는 순환유로 중 세척펌프(150) 내의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140)는 순환유로 상에서 섬프(100)와 전환밸브(1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140)는 세척펌프(150)의 하측에 결합된다.
히터(140)는 세척펌프(150)가 동작하여 세척수가 순환유로 내를 유동할 때 세척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한다. 히터(140)는 세척펌프(150)가 정지하여 세척수가 순환유로 내를 유동하지 않을 때, 즉 정지할 때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한다.
히터(140)에 의하여 생성된 온수는 순환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복수의 분사암(13, 14, 1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터브(12) 내로 분사된다. 히터(140)에 의하여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190)를 따라 유동하여 스팀노즐(195)을 통하여 터브(12) 내로 토출된다.
세척펌프(150) 및 히터(1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팀노즐(195)은 도어(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스팀을 세척실(12a)로 토출한다. 스팀노즐(195)에서 토출된 스팀은 하부랙(16) 및/또는 하부랙(17)에 수납된 세척대상에 작용된다. 스팀호스(190)는 순환유로에서 분지되어 스팀노즐(195)에 연결된다. 스팀호스(190)는 순환유로 중 세척펌프(15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밸브(130)는 순환유로 상에 배치되어 섬프(100)를 복수의 분사암(13, 14, 15) 중 적어도 하나와 선택으로 연결한다. 전환밸브(130)는 세척펌프(150)에 의해 압송되는 세척수를 로우분사암(13), 어퍼분사암(14) 및 탑분사암(15) 중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전환밸브(130)는 세척수 공급유로(180)와 복수의 분사암 연결유로(18, 19, 21)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전환밸브(130)는 섬프(100)에 배치된다.
체크밸브(175)는 섬프(100)와 세척펌프(150) 사이에 배치되어 섬프(100)에서 세척펌프(150) 방향으로 열린다. 체크밸브(175)는 섬프(100)에서 세척펌프(150)로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열리고 세척펌프(150)에서 섬프(100)로 스팀이 유동되지 않도록 닫힌다. 체크밸브(175)는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회동되어 열린다. 체크밸브(175)는 집수유로(170) 내부에 배치되거나 집수유로(170)와 세척펌프(150) 사이에 연결되어 집수유로(170)를 개폐한다.
체크밸브(175)는 히터(140)가 스팀을 생성할 때 닫힌다. 체크밸브(175)는 세척펌프(150)가 동작하여 세척수를 유동할 때 열리고 세척펌프(150)가 정지하여 세척수가 유동하지 않을 때 닫힌다. 체크밸브(175)는 세척펌프(150)의 세척수의 유동압력에 의하여 개방된다. 실시예에 따라 체크밸브(175)는 전자신호에 의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체크밸브(175)는 배수펌프(25)의 동작시 닫힘 상태에서도 세척펌프(150)에서 섬프(100)로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펌프 및 히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펌프 및 히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펌프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펌프(150)는, 섬프(100)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152)과, 하우징(152)에 연결되어 임펠러(155)의 회전에 의하여 세척수가 하우징(152)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유입관(1541)과, 하우징(152)에 연결되어 임펠러(155)의 회전에 의하여 세척수가 하우징(152) 외부로 유출되는 세척수유출관(1549)과, 하우징(152)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수유입관(1541)으로 유입된 세척수를 세척수유출관(1549)으로 압송하는 회전가능한 임펠러(155)와, 임펠러(155)를 회전하는 모터(157)와, 세척수유출관(1549)에 배치되어 히터(140)에 의하여 생성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관(1545)을 포함한다.
하우징(152)은 윗면과 밑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52)은 섬프(100)에 결합된다. 하우징(152)의 상단에는 하우징커버(1523)가 결합되고, 하단에는 히터(140)가 결합된다. 하우징커버(1523)는 하우징(152)의 상부를 덮으며 하우징커버(1523)에는 회전력을 발생하여 임펠러(155)를 회전하는 모터(157)가 구비된다.
하우징(152)의 내부에는 격벽(154)이 배치된다. 격벽(154)은 하우징(152)의 중단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분한다. 격벽(154)은 임펠러(155)의 하측에 배치된다. 격벽(154)은 세척수유입관(1541)의 상측에 배치되고 세척수유출관(1549)의 하측에 배치된다. 격벽(154)은 하우징(152) 내부에 하부챔버(C1)와 상부챔버(C2)를 형성한다. 하부챔버(C1)는 임펠러(155)의 회전에 의하여 음압이 생성되는 곳이며, 상부챔버(C2)는 임펠러(155)를 수용되며 임펠러(155)의 회전에 의하여 양압이 생성되는 곳이다. 하부챔버(C1)는 집수유로(170) 및 세척수유입관(1541)을 통하여 섬프(100)와 연결된다. 상부챔버(C2)는 세척수유출관(1549) 및 세척수 공급유로(180)를 통하여 전환밸브(130)와 연결된다. 또한, 스팀배출관(1545) 및 스팀호스(190)를 통하여 스팀노즐(195)과 연결된다.
격벽(154)은 세척펌프(150)를, 임펠러(155)의 회전에 의하여 세척수가 유입되는 펌프하부(1521)와, 임펠러(155)의 회전에 의하여 세척수가 유출되는 펌프상부(1522)로 구분한다. 펌프하부(1521)는 세척수가 내부로 유입되며, 내부에 하부챔버(C1)가 형성된다. 펌프하부(1521)는, 하우징(152)의 하부와, 세척수유입관(1541)을 포함한다. 펌프하부(1521)는 히터(140)의 히터커버(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상부(1522)는 세척수 또는 스팀을 외부로 유출하며, 내부에 상부챔버(C2)가 형성된다. 펌프상부(1522)는 하우징(152)의 상부와, 세척수유출관(1549)과, 스팀배출관(1545)과, 하우징커버(1523)를 포함한다. 펌프상부(1522)의 내부에는 임펠러(155)가 배치되며 상측에는 모터(157)가 배치된다.
격벽(154)은 하부챔버(C1)와 상부챔버(C2)를 연통시키는 격벽홀(156)이 형성된다. 격벽(154)의 상부챔버(C2)측 면은 소용돌이 형태(volute)로 형성되어 하부챔버(C1)에서 격벽홀(156)을 통하여 상부챔버(C2)로 유입된 세척수가 세척수유출관(1549)으로 안내된다. 격벽(154)의 하부챔버(C1)측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가이더(미도시)가 형성된다. 격벽(154)의 가이더는 세척수유입관(1541)을 통하여 하부챔버(C1)로 유입된 세척수를 격벽홀(156)로 안내한다. 격벽(154)의 가이더는 하부챔버(C1) 내의 세척수가 히터(140)에 의하여 고르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임펠러(155)는 모터(157)에 의해 회전하며 하우징(152) 내의 세척수를 유동하여 외부로 압송한다. 임펠러(155)는 상부챔버(C2)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임펠러(155)는 격벽홀(156)을 통해 하부챔버(C1)에서 상부챔버(C2)로 유입된 세척수를 세척수유출관(1549)으로 압송한다.
세척수유입관(1541)은 하우징(152)의 하부챔버(C1) 측에 연결된다. 세척수유입관(1541)은 집수유로(170)와 연결되어 섬프(100)의 세척수가 하부챔버(C1)로 유입된다. 세척수유입관(1541)은 하우징(152) 하부 측벽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세척수유입관(1541)은 세척수 유입"?袖? 수평하도록 관방향이 수평하게 배치된다.
세척수유출관(1549)은 하우징(152)의 상부챔버(C2) 측에 연결된다. 세척수유출관(1549)은 세척수 공급유로(180)과 연결되어 상부챔버(C2)의 세척수가 세척수 공급유로(180)으로 유출된다. 세척수유출관(1549)은 하우징(152) 상부 측벽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세척수유출관(1549)은 세척수 유출방향이 수평하도록 관방향이 수평하게 배치된다. 세척수유출관(1549)은 세척수유입관(1541)보다 높게 배치된다. 세척수유출관(1549)의 세척수 유출방향은 세척수유입관(1541)의 세척수 유입방향과 평행하되 서로 반대방향이다.
스팀배출관(1545)은 하우징(152)의 상부챔버(C2) 측에 연결된다. 스팀배출관(1545)은 격벽(154)의 상측에 배치된다. 스팀배출관(1545)은 하우징(152)의 상부챔버(C2)와 스팀호스(19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우징(152)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스팀배출관(1545)은 세척수유출관(1549)에 배치된다. 스팀배출관(1545)은 스팀 배출방향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관방향이 경사지게 배치된다. 스팀배출관(1545)의 스팀 배출방향은 세척수유출관(1549)의 세척수 유출방향과 수직이다.
스팀배출관(1545)은 스팀호스(190)와 연결되어 히터(140)에 의하여 하우징(152)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스팀호스(190)로 배출한다. 스팀호스(190)는 스팀배출관(1545)을 통하여 순환유로 상에서 임펠러(155)와 전환밸브(130) 사이에 연결되며, 상부챔버(C2)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140)는 순환유로 상에서 섬프(100)와 임펠러(155) 사이에 배치되며, 집수유로(170)와 임펠러(155)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140)는 하우징(152)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부챔버(C1)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140)는 하우징(152) 하단에 연결되어 하우징(152)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히터(140)는 임펠러(155)의 회전시 하우징(152) 내부를 유동하는 세척수를 가열한다. 히터(140)는 임펠러(155)의 정지시 하우징(152)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한다. 히터(140)는 세척수유입관(1541)의 하측에 배치된다. 히터(140)는 격벽(154)의 하측에 배치된다. 히터(140)는 일부가 하우징(152)의 내측에 배치된다.
체크밸브(175)는 세척수유입관(1541)에 결합된다. 체크밸브(175)는 상단이 세척수유입관(1541)의 상단에 결합된다. 체크밸브(175)는 임펠러(155)의 회전시 열리고 임펠러(155)가 회전하지 않을 때 닫힌다. 체크밸브(175)는 모터(157)의 동작시 열리고 모터(157)의 정지시 닫힌다. 체크밸브(175)는 히터(140)의 스팀 생성시 닫혀 하우징(152)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하부챔버(C1) 및 세척수유입관(1541)을 통하여 섬프(100)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체크밸브(175)는 배수펌프(25)의 동작시 세척펌프(150)에서 섬프(100)로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형성된다. 체크밸브(175)는 닫힘시 세척수유입관(1541)의 하부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체크밸브(175)는 닫힘시 세척수유입관(1541)의 단면적 50% 내지 90%를 막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세척수유입관(1541)의 단면적 70%를 막도록 형성된다.
체크밸브(175)는 히터(140)의 스팀 생성시 세척펌프(150)에서 섬프(100)로 세척수 및 스팀이 유동되지 않도록 닫힌다. 배수펌프(25) 및 모터(157)의 정지시(동작하지 않을 때) 체크밸브(175)는 하우징(152) 내부에 세척수를 저장한다. 히터(140)는 체크밸브(175)에 의하여 하우징(152)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140)는, 하우징(152)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히터커버(141)와, 히터커버(141)의 하측에 접합되어 히터커버(141)를 가열하는 발열체(143)와, 발열체(143) 및 히터커버(141)의 하측에 접합되어 발열체(143)의 열을 히터커버(141)에 전달하는 히터플레이트(144)와, 발열체(143)에 전원을 공급하며 발열체(143)의 온도를 조절하는 서모스탯(146)과, 발열체(143)와 서모스탯(14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147)와, 히터플레이트(144)의 일부를 하측에서 덮는 히터쉴드(145)를 포함한다.
히터커버(141)는 하우징(152)의 하단에 결합되어 세척펌프(150)의 하우징(152)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히터커버(141)는 상면이 세척수와 접촉된다. 히터커버(141)의 하측에는 발열체(143) 및 히터플레이트(144)가 접합된다. 히터커버(141)는 발열체(143) 및 히터플레이트(144)에 의하여 가열되어 세척수를 가열한다.
히터커버(141)는 둘레가 원형으로 형성되며, 동심원 위치에 상하 방향의 복수의 굴곡이 형성된다. 히터커버(141)는 일부가 환형으로 상측(세척펌프(150)의 격벽(154) 측)으로 돌출된다. 히터커버(141)는 일부가 하우징(152) 내측으로 돌출되어 발열체(143)의 일부가 수용되는 환형의 공간을 형성한다. 히터커버(141)의 일부는 하우징(152)에 수용된 세척수와 발열체(143)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발열체(143)는 하우징(152)에 수용된 세척수와 집적 접촉되지 않는다.
히터커버(141)는, 원판 형상의 커버베이스(1411)와, 커버베이스(1411)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커버홀더(1412)와, 커버홀더(1412)의 둘레에 형성되어 하우징(152)과 결합되는 커버림(1413)을 포함한다.
커버베이스(1411)는 원판으로 형성되어 히터커버(141)의 중앙부를 형성한다. 커버베이스(1411)의 하측에는 히터플레이트(144)의 중앙부가 접합된다. 커버베이스(1411)와 히터플레이트(144)의 중앙부는 브레이징(brazing)으로 접합된다.
커버홀더(1412)는 상측으로 돌출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홀더(1412)는 발열체(143)의 일부가 수용되는 환형의 공간을 형성한다. 커버홀더(1412)의 환형의 공간에는 후술할 발열체(143)의 발열본체(1431)가 수용된다. 커버홀더(1412)의 내측에는 발열체(143)의 일부가 접합된다. 커버홀더(1412)와 발열체(143)의 일부는 브레이징으로 접합된다.
커버홀더(1412)는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의 종단면이 하측이 개방된 개곡선으로 형성된다. 커버홀더(1412)는 적어도 일부가 커버홀더(1412)의 환형의 공간에 수용되는 발열체(143)의 일부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커버홀더(1412)는 발열체(143)의 일부를 수용하며 발열체(143)의 일부와 직접 접촉된다. 커버홀더(1412)의 외둘레 내면은 커버홀더(1412)의 환형의 공간에 수용되는 발열체(143)의 일부의 외둘레면과 이격된다.
커버림(1413)은 림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림(1413)은 하우징(152) 하단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커버림(1413)의 둘레단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우징(152)과 결합된다. 커버림(1413)은 히터플레이트(144) 및 발열체(143)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비교적 낮은 온도로 가열된다.
발열체(143)는 서모스탯(146)으로부터 와이어(147)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한다. 발열체(143)는 히터커버(141) 및 히터플레이트(144)를 가열한다. 발열체(143)의 상측에는 히터커버(141)가 브레이징으로 접합되고 하측에는 히터플레이트(144)가 브레이징으로 접합된다.
발열체(143)는 일부 외둘레가 환형의 공간 형성하는 히터커버(141)의 부분과 이격된다. 발열체(143)의 일부는 히터커버(141)에 형성된 환형의 공간에 수용되어 하우징(152)의 내측에 배치된다. 발열체(143)는 하우징(152)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히터커버(141)의 하측에 배치되어 세척펌프(150)의 외부에 배치되나 일부가 하우징(152)의 내측에 배치된다.
발열체(143)는, 열을 발생하는 원호 형상의 발열본체(1431)와, 발열본체(143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열단자(1432)를 포함한다.
발열본체(1431)는 중심각이 180도 보다 큰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발열본체(1431)는 커버홀더(1412) 내부에 수용된다. 발열본체(1431)의 상면과 내둘레면은 히터커버(141)와 접촉되어 히터커버(141)를 가열한다. 발열본체(141)의 하면과 외둘레면은 히터플레이트(144)와 접촉되어 히터플레이트(144)를 가열한다. 발열본체(141)는 하우징(152)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된다.
발열단자(1432)는 와이어(147)를 통하여 서모스탯(146)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본체(1431)에 전달한다. 발열단자(1432)는 발열본체(1431)의 양단에 복수로 구비된다. 복수의 발열단자(1432)는 발열본체(1431)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복수의 발열단자(1432)는 발열본체(1431)의 하단이 이루는 평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히터플레이트(144)는 발열체(143)에 의하여 가열되어 히터커버(141)의 커버베이스(1411)를 가열한다. 히터플레이트(144)는 발열체(143)의 열을 고르게 분산하여 히터커버(141)를 고르게 가열한다. 히터플레이트(144)는 사발 형상으로 형성된다. 히터플레이트(144)의 둘레 내면은 발열체(143)와 접촉되나, 둘레 외면은 히터커버(141)와 이격된다. 히터플레이트(144)의 하측에는 히터쉴드(145)가 배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일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일부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일부에 대한 좌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일부에 대한 후면도이다.
이하에서, 식기세척기(1)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20)가 배치된 방향을 전방이라고, 반대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또한, 전후방향과 수평면상 수직한 방향을 좌우방향(측방)이라 하며, 좌우방향 중 식기세척기(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세척펌프(150)가 배치된 방향을 좌측방이라 하고 그 반대방향을 우측방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100)는, 터브(12)의 바닥(12b)에 결합되는 섬프바디(101)와, 세척수가 집수되는 집수부(102)와, 섬프바디(10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팀호스(190)를 지지하는 스팀호스지지부(103)와, 전환밸브(130)가 배치되는 밸브결합부(104)와, 스팀호스지지부(103)와 세척펌프(150)를 연결하는 세척펌프연결부재(105)를 포함한다.
섬프바디(101)는 터브(12)의 바닥(12b)의 중앙부분 하측에 배치되어 터브(12)에 결합된다. 섬프바디(101)는 대략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섬프바디(101)는 상면에 세척수를 집수부(102)로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집수부(102)는 집수된 세척수가 저장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집수부(102)는 터브(12)의 연통홀(12c)에 대응되어 연통홀(12c)의 하측에 배치된다. 집수부(102)는 필터(26)의 일부를 수용한다. 집수부(102)는 급수유로(23)가 연결되어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집수부(102) 내로 유입된다. 집수부(102)는 배수펌프(25)가 장착되며 배수유로(24)가 연결되어 집수부(102) 내의 세척수가 배수유로(24)를 통하여 유출된다. 집수부(102)는 집수유로(170)와 연결되어 집수부(102) 내의 세척수가 집수유로(170)를 통하여 유출된다.
밸브결합부(104)에는 전환밸브(130)가 구비된다. 밸브결합부(104)는 전환밸브(130)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밸브결합부(104)는 대략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된다. 밸브결합부(104)에는 세척수 공급유로(180)와 연통되는 공급홀(104a)이 형성된다.
스팀호스지지부(103)는 섬프바디(101)의 측방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스팀호스(190)를 지지한다. 스팀호스지지부(103)는 상면에 스팀호스(190)의 일부가 배치된다. 스팀호스지지부(103)는 세척펌프연결부재(105)와 연결되어 세척펌프(150)를 지지한다. 스팀호스지지부(103)는 세척펌프(150)의 스팀배출관(1545)의 상단보다 높고 스팀노즐(195)의 하단보다 낮게 배치된다. 스팀호스지지부(103)는 세척펌프(150)의 상측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특히 세척펌프(150)의 모터(157)의 상측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세척펌프연결부재(105)는 세척펌프(150)를 섬프(100)에 고정한다. 세척펌프연결부재(105)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세척펌프연결부재(105)는 상단이 스팀호스지지부(103)와 연결되고 하단이 세척펌프(150)의 하우징(152)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집수부(102)와 밸브결합부(104)는 섬프바디(101)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집수부(102)는 밸브결합부(104)의 전방에 배치된다. 세척펌프(150)는 섬프(100)의 일측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세척펌프(150)는 섬프(100)의 좌측방에 배치된다. 즉, 세척펌프(150)는 집수부(102) 및 밸브결합부(104)의 좌측방에 배치된다.
세척펌프(150)는 터브(12) 바닥(12b)의 하측에 배치된다. 세척펌프(150)의 세척수유입관(1541)과 세척수유출관(1549)은 섬프(100)를 향하여 배치된다. 세척수유입관(1541)은 집수부(102)를 향하여 배치되고, 세척수유출관(1549)은 밸브결합부(104)를 향하여 배치된다. 세척수유입관(1541)은 세척수 유입방향이 좌측방이 되도록 배치되고 세척수유출관(1549)은 세척수 유출방향이 우측방이 되도록 배치된다. 세척펌프(150)의 스팀배출관(1545)은 상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스팀이 유출되도록 배치된다.
히터(140)는 터브(12) 바닥(12b)의 하측에 배치된다. 히터(140)는 세척펌프(150)의 하측에 배치된다. 히터(140)는 섬프(100)의 일측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140)는 섬프(100)의 좌측방에 배치된다. 즉, 히터(140)는 집수부(102) 및 밸브결합부(104)의 좌측방에 배치된다.
스팀호스(190)는 일단이 섬프(100)의 일측방에서 타단이 섬프(100)의 전방으로 배치된다. 스팀호스(190)는 순환유로에서 임펠러(155)와 전환밸브(130) 사이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팀호스(190)는 세척펌프(150)의 스팀배출관(1545)을 통하여 세척펌프(150)의 상부챔버(C2)와 연결된다. 스팀호스(190)는 일단이 터브(12) 바닥(12b)의 하측에 배치되며 터브(12) 바닥(12b)의 하측을 따라 터브(12) 바닥(12b)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도어(20)에 배치된 스팀노즐(195)과 연결된다. 스팀호스(190)는 터브(12) 바닥(12b)의 상측에 배치되지 않는다.
스팀호스(190)는 세척펌프(150)에서 스팀호스(190)까지 스팀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경사지게 향하거나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스팀호스(190)는 스팀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을 향하는 부분이 없도록 배치된다.
스팀호스(190)는, 일단이 세척펌프(150)의 스팀배출관(1545)과 연결되며 스팀 유동"?袖? 기준으로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 스팀호스부(190a)와, 제 1 스팀호스부(190a)로부터 절곡되어 스팀 유동"?袖? 기준으로 전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며 스팀호스지지부(103) 상면에 배치되는 제 2 스팀호스부(190b)와, 제 2 스팀호스부(190b)로부터 절곡되어 스팀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일측방(본 실시예에서 좌측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3 스팀호스부(190c)와, 제 3 스팀호스부(190c)로부터 절곡되어 스팀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 4 스팀호스부(190d)와, 제 4 스팀호스부(190d)로부터 절곡되어 스팀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스팀노즐(195)에 연결되는 제 5 스팀호스부(190e)를 포함한다.
제 1 스팀호스부(190a)는 스팀배출관(1545)와 연결되는 일단에서 스팀호스지지부(103)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 2 스팀호스부(190b)는 스팀호스지지부(103)에 의하여 지지되어 섬프(100)의 일측방(본 실시예에서 좌측방) 가장자리를 따라 전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 3 스팀호스부(190c)는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터브(12) 바닥(12b)의 일측방(본 실시예에서 좌측방) 가장자리를 향하여 측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 4 스팀호스부(190d)는 터브(12) 바닥(12b)의 일측방(본 실시예에서 좌측방) 가장자리 하측를 따라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 5 스팀호스부(190e)는 터브(12) 바닥(12b)의 전방에 배치되어 도어(20) 하단의 스팀노즐(195)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 5 스팀호스부(190e)는 터브(12) 바닥(12b)의 전방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 케이스 12: 터브
12a: 세척실 12b: 바닥
12c: 연통홀 13: 로우분사암
14: 어퍼분사암 15: 탑분사암
20: 도어 22: 급수밸브
23: 급수유로 24: 배수유로
25: 배수펌프 100: 섬프
101: 섬프바디 102: 집수부
104: 밸브결합부 105: 세척펌프연결부재
130: 전환밸브 140: 히터
150: 세척펌프 152: 하우징
154: 격벽 1541: 세척수유입관
1545: 스팀배출관 1549: 세척수유출관
155: 임펠러 157: 모터
170: 집수유로 180: 세척수 공급유로
190: 스팀호스 195: 스팀노즐
C1: 하부챔버 C2: 상부챔버

Claims (1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을 상하로 나누는 격벽;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격벽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척수를 유동하는 임펠러;
    상기 격벽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 및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에 의하여 생성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배출관을 포함하는 세척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는 세척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히터커버; 및
    상기 히터커버의 하측에 접합되어 상기 히터커버를 가열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세척펌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커버는 일부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발열체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펌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커버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세척수와 상기 발열체 사이에 배치되는 세척펌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커버는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세척펌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관; 및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세척수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는 세척수유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세척수유입관과 상기 세척수유출관 사이에 배치되는 세척펌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배출관은 상기 세척수유출관에 배치되는 세척펌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배출관은 스팀 배출방향이 상기 세척수유출관의 세척수 유출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세척펌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배출관은 상기 세척수유입관의 상측에 배치되는 세척펌프.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세척수유입관의 하측에 배치되는 세척펌프.
  12.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바닥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상기 터브 내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압송하는 세척펌프;
    상기 세척펌프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의하여 생성된 스팀을 상기 터브 내로 토출하는 스팀노즐; 및
    상기 세척펌프와 상기 스팀노즐을 연결하며 상기 세척펌프와 연결되는 부분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스팀호스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터브의 바닥의 하측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섬프의 일측방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펌프는,
    내부 공간을 상하로 나누는 격벽;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어 세척수가 상기 분사암으로 유출되는 펌프상부; 및
    상기 격벽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섬프의 세척수가 유입되는 펌프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호스는 상기 펌프상부에 연결되는 식기세척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팀노즐은 상기 도어의 하단에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호스는 일부가 상기 터브 바닥의 일측방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도어 하단를 향하여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호스는 일부가 상기 터브 바닥의 전방에서 상기 도어의 하단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상부챔버상부챔버
KR1020170111509A 2017-08-31 2017-08-31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394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509A KR102394266B1 (ko) 2017-08-31 2017-08-31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PCT/KR2018/010048 WO2019045476A1 (en) 2017-08-31 2018-08-30 WASTE PUMP AND DISHWASHER COMPRISING SAID PUMP
RU2020112702A RU2737309C1 (ru) 2017-08-31 2018-08-30 Промывочный насос и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его
CN201880070696.1A CN111295121B (zh) 2017-08-31 2018-08-30 清洗泵和包括该清洗泵的洗碗机
AU2018326105A AU2018326105B2 (en) 2017-08-31 2018-08-30 Washing pump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EP18191623.0A EP3449796B1 (en) 2017-08-31 2018-08-30 Washing pump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US16/118,831 US10820779B2 (en) 2017-08-31 2018-08-31 Washing pump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509A KR102394266B1 (ko) 2017-08-31 2017-08-31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482A true KR20190024482A (ko) 2019-03-08
KR102394266B1 KR102394266B1 (ko) 2022-05-03

Family

ID=6344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509A KR102394266B1 (ko) 2017-08-31 2017-08-31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20779B2 (ko)
EP (1) EP3449796B1 (ko)
KR (1) KR102394266B1 (ko)
CN (1) CN111295121B (ko)
AU (1) AU2018326105B2 (ko)
RU (1) RU2737309C1 (ko)
WO (1) WO2019045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49797A1 (en) * 2017-08-31 2019-03-06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549A (ko) * 2015-07-20 201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펌프 및 상기 펌프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KR20170081473A (ko) * 2016-01-04 201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4503A1 (de) * 2001-12-28 2003-07-17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Geschirrspülmaschine zur Aufnahme von in einem Spülbehälter angeordnetem Reinigungsgut
US7666265B2 (en) * 2004-09-14 2010-02-23 Lg Electronics Inc. Dish washer
KR100930565B1 (ko) * 2007-08-10 2009-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배출구조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1455986B1 (ko) * 2007-12-10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와 그 제어방법
US20110290282A1 (en) * 2010-06-01 2011-12-01 Tae Hee Lee Dish 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834648B2 (en) * 2010-10-21 2014-09-16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controlled rotation of lower spray arm
CN104074763B (zh) * 2013-03-26 2018-01-05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双级增焓转子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器、热泵热水器
KR20150109944A (ko) * 2014-03-21 2015-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651271B1 (ko) * 2014-08-19 2016-08-26 주식회사 엠지비엔도스코피 광역학 진단 기기
AU2015304207B2 (en) * 2014-08-22 2018-03-22 Lg Electronics Inc. Pump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KR101737845B1 (ko) * 2015-08-03 2017-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678442B1 (ko) * 2015-08-04 201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359166B1 (ko) * 2017-03-20 2022-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549A (ko) * 2015-07-20 201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펌프 및 상기 펌프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KR20170081473A (ko) * 2016-01-04 201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26105B2 (en) 2021-11-04
EP3449796B1 (en) 2021-06-02
AU2018326105A1 (en) 2020-04-23
KR102394266B1 (ko) 2022-05-03
EP3449796A1 (en) 2019-03-06
CN111295121A (zh) 2020-06-16
WO2019045476A1 (en) 2019-03-07
RU2737309C1 (ru) 2020-11-26
CN111295121B (zh) 2023-08-15
US20190059691A1 (en) 2019-02-28
US10820779B2 (en)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2767B1 (ko) 식기세척기
KR102411197B1 (ko) 식기세척기
US20210259511A1 (en) Pump and dishwasher comprising the same
KR102332831B1 (ko)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359166B1 (ko)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190024482A (ko)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412768B1 (ko) 식기세척기
US11253131B2 (en) Dish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US11723511B2 (en) Dish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2591538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9239A (ko) 식기세척기
KR102394268B1 (ko)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