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298A - 피부 질환 진단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부 질환 진단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298A
KR20190024298A KR1020170111154A KR20170111154A KR20190024298A KR 20190024298 A KR20190024298 A KR 20190024298A KR 1020170111154 A KR1020170111154 A KR 1020170111154A KR 20170111154 A KR20170111154 A KR 20170111154A KR 20190024298 A KR20190024298 A KR 20190024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electrode
current
skin
lesion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685B1 (ko
Inventor
한창희
정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파워
Priority to KR102017011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6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변의심부에 접촉되는 제1 리드전극, 정상피부에 접촉되는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을 포함하는 프로브; 상기 제1 리드전극,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압부; 상기 소스전극과 제1 리드전극에 흐르는 제1 전류 및 상기 소스전극과 제2 리드전극에 흐르는 제2 전류를 센싱하는 전류센싱부; 및 상기 전압부에서 인가한 전압, 전류센싱부에서 센싱한 제1 전류 및 제2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피부질환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를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안전하고 간편하며, 높은 정확도로 진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질환 진단 장치 및 시스템{diagnosis apparatus and system of skin disease}
본 발명은 피부의 질환, 특히 피부암인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피부암, 예를 들어 악석흑색종(malignant melanoma)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빈도가 빠르게 증가 하고 있는 피부암 중 하나로 종양의 두께가 4mm 이상일 경우 5년 생존률이 24%밖에 되지 않는 피부암 중 가장 예후가 좋지 않은 종양이다. 서양의 백인에게 주로 발병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거의 모든 인종에서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우리나라의 경우도 간과할 수 없는 질환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암은 진행이 느리고 주기적으로 암으로 전이할 가능성이 있는 환부를 감시하면 예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건강한 환자가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으려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불편이 초래된다.
피부암 진단방법으로는 크게 침습적 방법과 비침습적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침습적 방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환부로 의심되는 부분을 조직검사로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조직검사는 수술로 조직을 떼어내서 고통이 심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결과를 알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비침습적 방법은 일반적으로 시료의 채취를 포함하는 침습적 방법에 비하여 보다 편리할 수 있고, 고통이 덜하고, 감염 등의 위험이 덜하므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비침습성 진단기술에 대한 관심이 큰 상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특허출원 제9,017,258호에는 피부암 진단장치에 대한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단장치는 다수의 스파이크를 갖는 전기 전도성 프로브를 이용하여 병변의 전기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이를 기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피부암인지를 판단한다. 그러나, 개인마다 또는 상황에 따라 생체 임피던스는 차이가 생길 수 있으므로 기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한다는 점에서 부정확한 측면이 있고, 스파이크가 표피를 침투하는 마이크로침습성 방식이라는 점에서 완전한 비침습적 방법이라고 볼 수 없으며, 상기 진단장치를 보유하고 있는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피부질환 판단의 정확도를 높이고, 환부가 피부암인지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어느 곳에서나 간편하게 병변의 이상을 진단할 수 있는 비침습성 피부질환 진단 장치 및 진단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특허출원 제9,017,2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부질환, 특히 피부암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의 정확도를 높이고, 안전하며 간편하게 피부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장치는, 병변의심부에 접촉되는 제1 리드전극, 정상피부에 접촉되는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을 포함하는 프로브; 상기 제1 리드전극,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압부; 상기 소스전극과 제1 리드전극에 흐르는 제1 전류 및 상기 소스전극과 제2 리드전극에 흐르는 제2 전류를 센싱하는 전류센싱부; 및 상기 전압부에서 인가한 전압, 전류센싱부에서 센싱한 제1 전류 및 제2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전압부에서 인가한 전압, 상기 제1 전류 및 제2 전류로부터 상기 병변의심부 및 정상피부의 임피던스를 계측하여 상기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병변의심부의 임피던스가 상기 정상피부의 임피던스보다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피부암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압부에서 인가하는 전압의 주파수는 2개 이상이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2개 이상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각 제1 전류 및 제2 전류를 종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부질환 진단장치는 프로브와 피부가 접촉하는 부위에 도포되는 액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상부재는 각질층을 마이크로미터 깊이로 제거하거나 손상시키는 화학물질 또는 물리적 파티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리드전극,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은 교체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시스템은, 병변의심부에 접촉되는 제1 리드전극, 정상피부에 접촉되는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을 포함하는 프로브; 상기 제1 리드전극,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압부; 상기 소스전극과 제1 리드전극에 흐르는 제1 전류 및 상기 소스전극과 제2 리드전극에 흐르는 제2 전류를 센싱하는 전류센싱부; 및 상기 전압부에서 인가한 전압, 제1 전류 및 제2 전류를 포함하는 측정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피부질환 진단장치; 상기 병변의심부를 촬영하여 사진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진촬영부; 상기 사진촬영부로부터 획득한 사진데이터 및 상기 피부질환 진단장치로부터 수신한 측정데이터를 분석서버에 전송하고, 분석서버에서 사진데이터 및 측정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분석서버로부터 수신된 결과데이터를 시각적 신호로 출력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진데이터 및 측정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분석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상기 피부질환 진단장치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데이터 및 상기 단말에서 획득한 사진데이터를 분석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분석서버로부터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방법은, 제1 리드전극이 병변의심부에 접촉되고,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이 정상피부에 접촉되도록 프로브를 피부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리드전극,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소스전극과 제1 리드전극에 흐르는 제1 전류 및 상기 소스전극과 제2 리드전극에 흐르는 제2 전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전압부에서 인가한 전압, 전류센싱부에서 센싱한 제1 전류 및 제2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병변의심부 및 정상피부의 임피던스를 계측하는 단계; 및 상기 병변의심부의 임피던스와 정상피부의 임피던스를 비교하여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질환 진단 장치에 의하면,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를 정확하고 간편하며,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안전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질환 진단 시스템에 의하면, 병변의심부에 관한 측정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진데이터를 종합 분석하여 병변의심부의 이상을 판단하게 됨으로써 진단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효율적인 피부 질환 진단이 이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11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프로브(110)가 피부에 부착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피부표면에 프로브(110)가 부착되어 전압이 인가된 경우 피부를 통과하는 전류를 나타내는 단면 개념도이다.
도 5는 표피층과 진피층의 생체 임피던스 모델의 일 예이다.
도 6은 피부의 생체 임피던스 모델로 구성된 회로도의 일 예이다.
도 7은 주파수 변화에 따른 피부의 합성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시스템(1000)의 블록도이다.
도 9는 피부질환 진단시스템(1000)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장치(100)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110)의 정면도이며, 도 3은 프로브(110)가 피부에 부착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장치(100)는 프로브(110), 전압부(120), 전류센싱부(130) 및 분석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피부질환 진단장치(100)는 피부질환 진단장치(100)의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미도시, 이하 동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전압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 전압부(120)에서 인가한 전압 및 전류센싱부(130)에서 센싱한 전류를 ADC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분석부(140)로 전송하는 것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는 공지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로브(110)는 제1 리드전극(111), 소스전극(112) 및 제2 리드전극(113)을 포함하고, 제1 리드전극(111)은 병변의심부에 접촉되고, 소스전극(112) 및 제2 리드전극(113)은 정상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전압부(120)는 소스전극(112)을 기준으로 제1 리드전극(111) 또는 제2 리드전극(113)에 순차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거나, 소스전극(112)을 기준으로 제1 리드전극(111) 및 제2 리드전극(113)에 동시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전류센싱부(130)는 제1 리드전극(111) 및 제2 리드전극(113)과 연결되거나 또는 소스전극(112)에 연결되어, 전압부(120)에서 인가된 전압에 의해 소스전극(112)과 제1 리드전극(111) 사이에 흐르는 전류(이하, 제1 전류) 및 소스전극(112)과 제2 리드전극(113) 사이에 흐르는 전류(이하, 제2 전류)를 센싱할 수 있다.
분석부(140)는 상기 중앙제어부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전압부(120)에서 인가한 전압, 전류센싱부(130)에서 센싱한 제1 전류 및 제2 전류를 이용하여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110)의 정면도로서, 프로브(110)가 피부와 부착되는 면을 나타낸다. 제1 리드전극(111), 소스전극(112) 및 제2 리드전극(113)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리드전극(111)과 소스전극(112)간의 간격은 소스전극(112)과 제2 리드전극(113)간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전류와 제2 전류가 피부를 통과하는 거리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동일한 조건에서 피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리드전극(111), 소스전극(112) 및 제2 리드전극(113)은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소스전극(112)이 제1 리드전극(111) 및 제2 리드전극(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 전극이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경우, 손가락과 같이 폭이 좁은 부위에 프로브(110)를 접근시키기에 유리하다.
또한, 프로브(110)는 각 전극이 배치되는 프로브 몸체(1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프로브 몸체(117)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부위에 프로브(110)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도록 프로브(110)를 피부에 접촉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리드전극(111), 소스전극(112) 및 제2 리드전극(113)은 교체 가능하도록 프로브(1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브(11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캡(115) 상에 전극을 배치시키고, 환자에 대해 측정이 수행된 후, 전극을 포함한 캡(115)을 제거하여 버리고 새로운 캡(115)을 프로브(1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생적인 상태에서 검진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특히 병변의심부가 피부암인지를 판별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피부암은 예컨대 기저 세포 암종, 악성 흑색종, 편평 세포 암종 등을 의미한다.
피부에 기존에 없던 점 또는 이물적인 것이 생긴 경우, 이것이 점인지 피부암인지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장치(100)를 이용하여 안전하며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다.
피부암인지 의심되는 부분, 즉 피부에 병변의심부가 발생한 경우, 도 3과 같이 프로브(110)를 병변의심부가 포함되도록 하여 피부표면에 접촉시킨다. 이때, 제1 리드전극(111)을 병변의심부에 접촉시키고, 소스전극(112) 및 제2 리드전극(113)은 정상피부에 접촉시킨다.
이때, 각 전극이 피부표면과 맞닿는 면은 일정한 면적을 갖는 원형 또는 다변형의 플레이트일 수 있고, 각 전극은 단지 피부표면에 접촉될 뿐 피부를 침투하지 않는다.
프로브(110)의 각 전극이 피부표면에 접촉된 경우, 전압부(120)는 소스전극(112)을 기준으로 제1 리드전극(111) 및 제2 리드전극(113)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압차를 발생시킨다. 도 4는 피부표면에 프로브(110)가 부착되어 전압이 인가된 경우 피부를 통과하는 전류를 나타내는 단면 개념도로서, 전압부(120)는 소스전극(112), 제1 리드전극(111) 및 제2 리드전극(113)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인가되는 전압은 정현파 교류전압일 수 있다.
피부는 유기적 물질로서 생체 임피던스를 가지고 전류를 전도시키며, 이에 따라 각 전극과 피부로 구성되는 전기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스전극(112), 병변의심부를 포함하는 피부 및 제1 리드전극(111)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전류가 흐르는 제1 전기회로가 형성될 수 있고, 소스전극(112), 정상피부 및 제2 리드전극(113)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전류가 흐르는 제2 전기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피부는 각질층을 포함하는 표피(epidermis)와, 표피 하부로서 혈관을 포함하는 진피(dermis) 및 피하지방층(subcutaneous layer) 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는 피부의 표피와 진피의 생체 임피던스 모델의 일 예로서, 표피는 레지스턴스(resistance) R1과 커패시턴스(capacitance) C로 구성될 수 있고, 진피는 레지스턴스(resistance) R2로 구성될 수 있다.
표피의 레지스턴스 R1은 일반적으로 약 1 kΩ ~1 MΩ 레벨의 생체 임피던스를 갖고, 커패시턴스 C는 약 1pF~1nF 레벨의 생체 임피던스를 갖는다. 표피는 각질층을 포함하고 수분함유량이 적어 진피에 비해 높은 생체 임피던스를 가지며 변화폭이 크다. 이에 반해 진피의 레지스턴스 R2는 일반적으로 약 1~10 kΩ 레벨의 생체 임피던스를 갖는바, 표피의 임피던스에 비해 비교적 작고 안정적인 임피던스를 갖는다.
도 6은 피부의 생체 임피던스 모델로 구성된 회로도로서, 소스전극(112)과 제1 리드전극(111) 사이의 제1 전기회로를 나타내며, 제1 전기회로의 제1 단자(P1)에는 소스전극(112)이 접속되고 제2 단자(P2)에는 제1 리드전극(111)이 접속될 수 있다. 동일하게 소스전극(112)과 제2 리드전극(113) 사이에는 제2 전기회로가 형성되며, 제2 전기회로의 제1 단자(P1)에는 소스전극(112)이 접속되고 제2 단자(P2)에는 제2 리드전극(113)이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전류센싱부(130)는 제1 리드전극(111) 및 제2 리드전극(113)에 연결되거나, 또는 소스전극(1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기회로와 제2 전기회로의 구동 메커니즘은 동일한 바, 이하 편의상 제1 전기회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전압부(120)에 의해 전압이 인가되어 소스전극(112)과 제1 리드전극(111) 사이에 전압차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제1 전기회로에 제1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제1 전류는 전류센싱부(130)에 의해 센싱된다. 동일하게 제2 전기회로에 제2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제2 전류는 전류센싱부(130)에 의해 센싱된다.
전류센싱부(130)에 의해 센싱된 제1 전류 및 제2 전류는 중앙제어부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분석부(140)로 전송된다.
분석부(140)는 전압부(120)에서 인가된 전압과 제1 전류 및 제2 전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없다면 병변의심부는 정상피부이므로 제1 전류와 제2 전류의 크기가 동일하거나 차이가 거의 없음에 반해,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다면 정상피부와 피부조직이 달라지게 되므로 제1 전류와 제2 전류의 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류와 제2 전류의 크기가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미미한 경우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고,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경우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140)는 전압부(120)에서 인가된 전압과 제1 전류 및 제2 전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병변의심부 및 정상피부의 임피던스를 계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피던스는 알고 있는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고 원하는 부위에서 전류를 측정하여 옴의 법칙(V=IZ)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압부(120)에서 인가된 전압(V)의 크기를 알고 전류센싱부(130)에 의해 제1 전류(i') 및 제2 전류(i)의 크기를 알고 있으므로, 옴의 법칙에 의해 피부의 임피던스를 계측할 수 있다.
분석부(140)는 상기 계측한 병변의심부의 임피던스(I')와 정상피부의 임피던스(I)를 비교하여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병변의심부의 임피던스(I')란 병변의심부를 포함하는 피부의 임피던스로서, 전압부(120)에서 인가한 전압(V)의 크기를 제1 전류(i')의 크기로 나누어 구할 수 있고, 정상피부의 임피던스(I)란 병변의심부가 포함되지 않은 정상피부의 임피던스로서, 전압부(120)에서 인가한 전압(V)의 크기를 제2 전류(i)의 크기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이때, 분석부(140)는 병변의심부의 임피던스(I')와 정상피부의 임피던스(I)가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미미할 경우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병변의심부가 피부암일 경우, 병변의심부의 임피던스(I')는 정상피부의 임피던스(I)보다 작게 나타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로 나타나는 경우 분석부(140)는 이를 피부암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은 병변의심부 및 정상피부의 임피던스간 절대값 차이 또는 병변의심부 및 정상피부의 임피던스간 비율 차이로 정해질 수 있다.
피부암은 신생조직으로서 조직의 특성상 세포의 밀도가 작고 전해질이 많아 생체 임피던스가 작으므로 정상조직에 비해 전류가 잘 흐르게 된다. 따라서 병변의심부가 피부암일 경우 제1 회로를 흐르는 제1 전류(i')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분석부(140)에서 판단하는 병변의심부의 임피던스(I')가 정상피부의 임피던스(I)에 비해 뚜렷이 작게 나타날 수 있다. 이때 분석부는 병변의심부가 피부암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병변의심부가 피부암이 아닌 일반적인 점일 경우의 임피던스는 정상피부의 임피던스와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미미한 정도에 그치므로 분석부(140)는 피부암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암 진단장치(100)는 2개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전압에서의 각 제1 전류 및 제2 전류를 측정하여 피부암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전압부(120)에서 인가하는 정현파 교류전압의 주파수를 0 Hz, 1 KHz, 10 KHz, 100 KHz 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제2 회로에 정현파 교류를 흐르게 하고, 전류센싱부(130)는 각 해당 주파수의 제1, 제2 전류를 센싱하며, 분석부(140)는 각 해당 주파수에서 센싱한 제1, 제2 전류를 종합하여 분석함으로써 피부암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는 암조직 및 정상조직의 생체 임피던스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정 주파수에서의 생체 임피던스를 검출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전압을 인가하여 병변의심부의 임피던스(I')와 정상피부의 임피던스(I)를 비교했을 경우에 비해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표피는 진피에 비해 높은 생체 임피던스를 갖고 있으며, 특히 표피의 최외곽에 있는 각질층은 일반적으로 다른 조직에 비해 높은 임피던스를 가지며 수분함량에 따라 임피던스이 변화폭이 크다. 따라서 피부암에 의해 각질층 하부의 표피와 진피의 생체조직이 암조직으로 변하여 각질층 하부의 표피와 진피의 생체 임피던스가 변하였다 하더라도, 표피와 진피의 합성 임피던스의 변화가 미비하여 분석부(140)에서 피부암인지 판단하기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표피, 특히 표피 최외각의 각질층의 임피던스를 낮추기 위해, 본 발명은 프로브와 피부가 접촉하는 피부 표면에 도포되는 액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상부재란 예를 들어 젤(gel) 또는 미네랄오일(mineral oil) 등으로서, 전기전도성을 높여주는 물질을 말한다. 피부표면에 액상부재를 충분히 도포하게 되면 각질층의 수분함유량 및 전기전도성이 높아지게 되어 전류가 잘 흐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액상부재는 각질층을 마이크로미터 깊이로 제거하거나 손상시키는 화학물질 또는 물리적 파티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상부재는 각질층을 국부적으로 제거 또는 손상시켜 각질층의 높은 생체 임피던스를 충분히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각질층을 포함하는 표피의 생체 임피던스 레벨이 낮아지게 되어 표피와 진피의 합성 임피던스가 작아지게 되는 바, 각질층 하부의 표피와 진피의 생체 임피던스 변화를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주파수 변화에 따른 피부의 합성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도 7(a)는 피부표면에 액상부재(예컨대, 젤(gel))를 도포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도 7(b)는 액상부재를 도포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부재를 피부표면에 도포하면 표피와 진피의 합성 생체 임피던스가 작아지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를 참고하면, 피부의 생체 임피던스 모델에 따라 표피는 R1 및 C로, 진피는 R2로 치환할 수 있다. 이때, 진피의 임피던스만을 이용하여 피부암을 판별하고자 하는 경우, 1/2πR2C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전압을 인가하여 획득되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부암을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레지스턴스 R2 및 커패시턴스 C는 일반적인 진피의 저항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R2는 약 1~10 KΩ 레벨의 임피던스를 갖고, C는 약 1 pF~1 nF 레벨의 임피던스를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가 아주 낮은 경우 표피층의 커패시턴스 C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표피와 진피의 합성임피던스는 R1+R2가 된다. 주파수를 증가시켜 R1과 C의 임피던스가 같아지는 경우, 즉 R1=1/wC가 되는 순간을 임계점으로 합성임피던스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고, R2와 C의 임피던스가 같아지는 경우, 즉 R2=1/wC가 되는 순간을 임계점으로 합성 임피던스의 크기가 R2로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압부(120)에서 인가되는 전압의 주파수 f=1/2πR2C 이상인 경우 레지스턴스 R2 만이 임피던스로 작용하게 되므로, 주파수가 1/2πR2C 이상을 갖는 정현파 전압을 이용하는 경우 진피의 임피더스만을 이용하여 피부암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0)는 분석부(140)와 연결되어 분석부(140)의 판단결과를 시각적 신호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판단결과는 분석부(140)의 판단결과를 바탕으로 “이상있음” 또는 “이상없음”을 의미하는 문자 및/또는 기호를 출력하거나, 병변의심부의 임피던스와 정상피부의 임피던스의 비율을 이용하여 피부암의 확률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장치(100)를 이용하여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를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안전하게 진단할 수 있고, 측정자의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지 않아 간편하게 측정이 가능하며, 한 개인의 병변의심부와 정상피부를 비교한다는 점에서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장치(500)를 이용한 피부질환 진단시스템(1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시스템(1000)의 개략도로서, 피부질환 진단시스템(1000)은 피부질환 진단장치(500), 단말(600) 및 분석서버(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피부질환 진단시스템(10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피부질환 진단장치(500)는 프로브(510), 전압부(520), 전류센싱부(530)를 포함하며, 전압부(520)에서 인가한 전압 데이터, 제1 전류 및 제2 전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측정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5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프로브(510), 전압부(520) 및 전류센싱부(530)는 상술한 피부질환 진단장치(100)의 프로브(110), 전압부(120) 및 전류센싱부(130)와 동일할 수 있고, 제1 통신부(540)는 전압부(520) 및 전류센싱부(530)와 연결되어 측정데이터, 즉 전압부(520)에서 프로브(510)의 각 전압으로 인가한 전압 및 전류센싱부(530)에서 센싱한 전류의 데이터를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600)은 제2 통신부(610), 사진촬영부(620) 및 제2 디스플레이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600) 전반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미도시, 이하 동일)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600)은 공지의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PC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단말(600)의 제2 통신부(610)를 통해 피부질환 진단장치(5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600)은 제2 통신부(610)를 통해 피부질환 진단장치(500)와 Mini-USB 케이블 또는 Micro-USB 케이블에 의해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거나, WiFi, Bluetooth, 3G나 4G와 같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말(600)의 사진촬영부(620)는 병변의심부를 촬영할 수 있는 공지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병변의심부를 촬영하여 사진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통신부(610)와 연결되어 병변의심부를 촬영한 사진데이터를 제2 통신부(6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600)의 제2 통신부(610)는 유무선 전화망 또는 인터넷 등의 각종 통신망을 이용하여 피부질환 진단장치(500)로부터 수신한 측정데이터 및 단말(600)의 사진촬영부(620)로부터 획득한 사진데이터를 분석서버(7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분석서버(700)로부터 측정데이터 및 사진데이터가 분석된 결과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600)에는 측정데이터를 피부질환 진단장치(500)로부터 수신하고, 피부질환 진단장치(500)로부터 수신한 측정데이터 및 사진촬영부(620)로부터 획득한 사진데이터를 분석서버(700)에 전송하며, 분석서버(700)로부터 결과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진단장치(500)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측정데이터 및 사진데이터를 분석서버(700)에 전송하거나 분석서버(700)로부터 결과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분석서버(700)는 측정데이터를 분석하는 측정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사진데이터를 분석하는 사진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및 이를 종합하여 피부암인지를 판단하는 종합분석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측정데이터, 사진데이터 및/또는 종합분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석서버(700)에서의 측정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은 상술한 피부질환 진단장치(100)의 분석부(140)에서 수행하는 분석과 동일할 수 있고, 사진데이터 분석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사진데이터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사진데이터 분석알고리즘은 공지된 ABCD Rule(Asymmetry, Border irregularity, Color variegation, Diameter of the skin lesion), ABCD Rule of dermatoscopy, 7-point checklist, Menzies scoring method 등의 사진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석서버(700)는 종합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측정데이터 및 사진데이터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해석하고, 그 결과데이터를 단말(600)의 통신부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600)은 분석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결과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부(630)를 통해 시각적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진단결과는 분석서버(700)의 결과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상있음” 또는 “이상없음”을 의미하는 문자 및/또는 기호를 출력하거나, 병변의심부의 임피던스와 정상피부의 임피던스의 비율을 이용하여 피부암일 확률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시스템(1000) 에 의하면 측정데이터 및 사진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병변의심부의 이상을 판단하게 됨으로써 진단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환자는 병원 등을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피부 질환에 대한 정보를 편리하게 알 수 있게 되어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효율적인 피부 질환 진단이 이뤄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진단 방법은 앞서 설명한 피부질환 진단장치(100) 또는 피부질환 진단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다.
우선 제1 리드전극(111, 511)은 병변의심부에 접촉되고 소스전극(112, 512) 및 제2 리드전극(113, 513)은 정상피부에 접촉되도록 프로브(110, 510)를 피부표면에 부착시킨다(S100).
이후, 소스전극(112, 512)을 기준으로 제1 리드전극(111, 511) 또는 제2 리드전극(113, 513)에 순차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거나, 소스전극(112, 512)을 기준으로 제1 리드전극(111, 511) 및 제2 리드전극(113, 513)에 동시에 전압을 인가시킨다(S200).
이후, 소스전극(112, 512)과 제1 리드전극(111, 511) 사이에 흐르는 제1 전류 및 소스전극(112, 512)과 제2 리드전극(113, 513) 사이에 흐르는 제2 전류를 센싱한다(S300).
이후, 각 전극에 인가한 전압, 제1 전류 및 제2 전류를 이용하여 병변의심부의 임피던스 및 정상피부의 임피던스를 계측한다(S400).
이후, 병변의심부의 임피던스 및 정상피부의 임피던스를 비교하여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0).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방법은 앞서 설명한 분석부(140) 또는 분석서버(700)에서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피부질환 진단장치 110 : 프로브
111 : 제1 리드전극 112 : 소스전극
113 : 제2 리드전극 115 : 캡
117 : 프로브 몸체 120 : 전압부
130 : 전류센싱부 140 : 분석부
150 : 제1 디스플레이부 500 : 피부질환 진단장치
510 : 프로브 520 : 전압부
530 : 전류센싱부 540 : 제1 통신부
600 : 단말 610 : 제2 통신부
620 : 사진촬영부 630 : 제2 디스플레이부
700 : 분석서버 1000 : 피부질환 진단시스템

Claims (10)

  1. 병변의심부에 접촉되는 제1 리드전극, 정상피부에 접촉되는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을 포함하는 프로브;
    상기 제1 리드전극,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부;
    상기 소스전극과 제1 리드전극에 흐르는 제1 전류 및 상기 소스전극과 제2 리드전극에 흐르는 제2 전류를 센싱하는 전류센싱부; 및
    상기 전압부에서 인가한 전압, 전류센싱부에서 센싱한 제1 전류 및 제2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피부질환 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전압부에서 인가한 전압, 상기 제1 전류 및 제2 전류로부터 상기 병변의심부 및 정상피부의 임피던스를 계측하여 상기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진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병변의심부의 임피던스가 상기 정상피부의 임피던스보다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피부암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진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부에서 인가하는 전압의 주파수는 2개 이상이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2개 이상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각 제1 전류 및 제2 전류를 종합하여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진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 진단장치는 상기 프로브와 피부가 접촉하는 부위에 도포되는 액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진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부재는 각질층을 마이크로미터 깊이로 제거하거나 손상시키는 화학물질 또는 물리적 파티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진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전극,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은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진단장치.
  8. 병변의심부에 접촉되는 제1 리드전극, 정상피부에 접촉되는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을 포함하는 프로브; 상기 제1 리드전극,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압부; 상기 소스전극과 제1 리드전극에 흐르는 제1 전류 및 상기 소스전극과 제2 리드전극에 흐르는 제2 전류를 센싱하는 전류센싱부; 및 상기 전압부에서 인가한 전압, 제1 전류 및 제2 전류를 포함하는 측정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피부질환 진단장치;
    상기 병변의심부를 촬영하여 사진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진촬영부; 상기 사진촬영부로부터 획득한 사진데이터 및 상기 피부질환 진단장치로부터 수신한 측정데이터를 분석서버에 전송하고, 분석서버에서 사진데이터 및 측정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분석서버로부터 수신된 결과데이터를 시각적 신호로 출력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진데이터 및 측정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분석서버;를 포함하는 피부질환 진단시스템.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피부질환 진단장치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데이터 및 상기 단말에서 획득한 사진데이터를 분석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분석서버로부터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진단시스템.
  10. 피부질환 진단방법으로서,
    제1 리드전극이 병변의심부에 접촉되고,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이 정상피부에 접촉되도록 프로브를 피부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리드전극,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소스전극과 제1 리드전극에 흐르는 제1 전류 및 상기 소스전극과 제2 리드전극에 흐르는 제2 전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 리드전극, 소스전극 및 제2 리드전극에 인가한 전압, 제1 전류 및 제2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병변의심부 및 정상피부의 임피던스를 계측하는 단계; 및
    상기 병변의심부의 임피던스와 정상피부의 임피던스를 비교하여 병변의심부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질환 진단방법.
KR1020170111154A 2017-08-31 2017-08-31 피부 질환 진단 장치 및 시스템 KR102241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154A KR102241685B1 (ko) 2017-08-31 2017-08-31 피부 질환 진단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154A KR102241685B1 (ko) 2017-08-31 2017-08-31 피부 질환 진단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298A true KR20190024298A (ko) 2019-03-08
KR102241685B1 KR102241685B1 (ko) 2021-04-19

Family

ID=6580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154A KR102241685B1 (ko) 2017-08-31 2017-08-31 피부 질환 진단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6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828B1 (ko) * 2019-05-24 2020-03-20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임피던스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피부질환 진단시스템
WO2022246117A1 (en) * 2021-05-21 2022-11-24 Dermasensor, Inc. Dynamic calibration of light intensity in a system for non-invasive detection of skin cancer using elastic scattering spectroscop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493A (ko) * 2000-10-10 2002-04-17 김영애 원격 피부진단 및 치료기
KR20080092368A (ko) * 2005-12-14 2008-10-15 싸이베이스 에이비 임피던스 측정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상태를 결정하는 의료장치
KR20110123753A (ko) * 2009-01-27 2011-11-15 싸이베이스 에이비 환자의 조직내 질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017258B2 (en) 2002-10-11 2015-04-28 Scibase Ab Determination of biological conditions using impedance measurem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493A (ko) * 2000-10-10 2002-04-17 김영애 원격 피부진단 및 치료기
US9017258B2 (en) 2002-10-11 2015-04-28 Scibase Ab Determination of biological conditions using impedance measurements
KR20080092368A (ko) * 2005-12-14 2008-10-15 싸이베이스 에이비 임피던스 측정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상태를 결정하는 의료장치
KR20110123753A (ko) * 2009-01-27 2011-11-15 싸이베이스 에이비 환자의 조직내 질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828B1 (ko) * 2019-05-24 2020-03-20 주식회사 에프앤디파트너스 임피던스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피부질환 진단시스템
WO2022246117A1 (en) * 2021-05-21 2022-11-24 Dermasensor, Inc. Dynamic calibration of light intensity in a system for non-invasive detection of skin cancer using elastic scattering spectrosco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685B1 (ko) 202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4031B2 (ja) 前癌性および癌性組織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8467865B2 (en) Method for detecting both pre-cancerous and cancerous tissues
AU20102098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a diseased condition in tissue of a subject
EP1266612A2 (en) Apparatus for tissue type recognition using multiple measurement techniques
EP2563215B1 (en) Method and device for quality assessment of an electrical impedance measurement on tissue
US201102080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ain damage detection
AU2022202574B2 (en) Body state classification
US11617518B2 (en) Method for detecting both pre-cancerous and cancerous tissues
EA019377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иагностики и скрининга заболевани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х полей сверхнизкой частоты
Emran et al. Bioimpedance spectroscopy and spectral camera techniques in detection of oral mucosal diseases: a narrative review of the state-of-the-art
Sirtoli et al. Electrical properties of phantoms for mimicking breast tissue
KR102241685B1 (ko) 피부 질환 진단 장치 및 시스템
Luo et al. 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basal cell carcinoma using a handheld electrical impedance dermography device
JP2011505169A (ja) 電気インピーダンス測定に基づいた肝脂肪症の診断およびモニター装置
Meroni et al. Measurement of electrical impedance in different ex-vivo tissues
JP3182601B2 (ja) 組織タイプ認識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EP3801243B1 (en) Impedance measurement device
KR100688355B1 (ko) 신체내의 병소를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0175875A (ja) 体脂肪計測方法及び計測装置
Gupta et al. Bioimpedance: A Tool for Screening Oral Cancer–A Systematic Review
Bodén et al. In vivo skin measurements with a novel probe head for simultaneous skin impedance and near‐infrared spectroscopy
Sarode et al. Bioimpedance in oral cancer
Park et al. A multi-pair electrode based impedance sensing biopsy needle for tissue discrimination during biopsy process
KR102091828B1 (ko) 임피던스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피부질환 진단시스템
Emran Novel bioimpedance spectroscopic methods for examination of oral mucosal t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