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823A - Safety support apparatus for pile connecting using joint and bolt - Google Patents

Safety support apparatus for pile connecting using joint and bol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823A
KR20190023823A KR1020170110140A KR20170110140A KR20190023823A KR 20190023823 A KR20190023823 A KR 20190023823A KR 1020170110140 A KR1020170110140 A KR 1020170110140A KR 20170110140 A KR20170110140 A KR 20170110140A KR 20190023823 A KR20190023823 A KR 20190023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band
pile
safety suppor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1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1471B1 (en
Inventor
송영조
박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림엔지니어링
송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림엔지니어링, 송영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1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471B1/en
Publication of KR20190023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8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4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upport device for connecting a pile using a connector and a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support device for connecting a pile using a connector and a bolt comprises: a winding band (10) surrounding a pile (1); a handle member (20) having a band through hole (21) therein, having the winding band (10) penetrating the inside thereof, and having an outer part formed in a handle shape; and a clamp (30)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winding band (10) to closely attach the winding band (10) to a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fety of a worker can be ensured during an operation of matching a steel wire and an assembly hole of an upper pile and a lower pile in a construction method of mutually connecting piles by using a connector and a bolt.

Description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Safety support apparatus for pile connecting using joint and bol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upport apparatus for connecting a file using a connector and a bolt,

본 발명은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하여 상부와 하부의 파일을 연결함에 있어서, 파일들을 서로 일치시키고 볼팅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상 위험성을 저감시켜 안전한 조립 작업이 이루어지도로 하는,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upper and lower files by using connectors and bolt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file and a bol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upport apparatus for connecting a file.

일반적으로 연약한 점토나 느슨한 사질토 또는 유기질토 등의 연약지반(soft ground)은 지반 자체가 상부 구조물로부터 전해오는 하중을 견딜 수 없거나 혹은 예측 침하량이 허용치를 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연약지반 상으로 도로, 교량, 건물 등을 그대로 시공하게 되면 전단면 침하량이 과대하여지고, 지지력이 부족하여 안전상의 문제가 생기게 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쓰레기 매립에 의해 이루어진 지반을 도로나 건축물의 기초로 활용하고자 하는 방안도 강구되고 있어, 이러한 지반에서도 과도한 침하와 지지력의 부족이 예상되므로 연약지반 처리대책이 요구된다.Generally, a soft ground such as soft clay, loose sand or organic soil can not withstand the load from the superstructure itself or the predicted settlement exceeds the allowable limit. It is necessary to use the ground formed by the landfill as the basis of the road or the building in recent years as well as a problem of safety due to lack of bearing capacity, , It is expected that excessive settlement and lack of bearing capacity will be required even in these grounds, and measures for treating soft ground are required.

상기와 같은 연약지반을 기초로 하는 구조물의 시공 시, 안정성과 침하문제에 대한 대책 중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성토하중을 지지층에 도달하는 공법(PILE이용 공법)인데, 이는 공장에서 미리 생산된 강, 피에이치씨, 피씨, 알씨 등의 기성 콘크리트 파일의 크기와 토질 등을 충분히 검토한 후 타입공법(타격, 진동)이나 매입공법 등의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Among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stability and settling problems at the time of constructing the structure based on the soft ground as described above, the embankment load is commonly used to reach the support layer (PILE utilization method) After thoroughly examining the size and soil quality of existing concrete piles such as PEI, PC, and AL, construction will be done by the type construction method (hitting, vibration) or the purchase method.

특히,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PHC: Pretent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s)은 원심력을 응용하여 만든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78.5N/㎟(800Kgf/㎠) 이상의 프리텐션방식에 의한 고강도 말뚝으로서, 콘크리트의 허용압축응력이 대단히 크므로 종래의 피씨 파일보다 더 큰 축방향 하중에 견딜 수 있으며, 압축강도가 800Kgf/㎠ 이상인 콘크리트로 성형한 단면에 소요의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균일하게 도입하여 타격 내력에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타 시 발생하는 반사파에 의한 인장응력을 완전히 흡수하기 때문에 균열이 없고, 종래의 피씨 파일로는 항타가 곤란한 중간의 단단한 층도 용이하게 관입이 이루어지기에 더욱 깊고 단단한 지층에 관입이 가능하며, 콘크리트의 휨인장응력이 크기 때문에 축력과 수평력을 동시에 받는 내진설계 시 가장 적합한 파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PHC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is a high strength pile made of a pre-tensioned concrete having a compressive strength of 78.5 N / mm 2 (800 Kgf / cm 2) Is very large and can withstand a greater axial load than a conventional PC file. It is also excellent in impact resistance by uniformly introducing a required prestress to a section formed by concrete having a compressive strength of 800 Kgf / , Because it fully absorbs the tensile stress caused by the reflected waves generated during hunting, it can be penetrated into a deeper and harder layer because there is no crack, and a hard intermediate layer which is difficult to be hammered by a conventional PC file is easily penetrated, Since the flexural tensile stress of concrete is large, it is the most suitable file for seismic design that receives both axial force and horizontal force. .

이러한 피에이치씨 파일은 구축할 건축물의 규모나 지질 상태에 따라 깊게 설치할 경우, 피에이치씨 파일 다수 개를 서로 긴밀하게 연결함으로써, 항타 시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야 하는데,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의 서로 접하는 각 상단과 하단에 조인트 캡 또는 조인트 슈를 설치하여, 이들을 함께 용접하거나, 볼트·너트로 체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In the case of deep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and the geological condition of th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eccentricity from occurring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E files to each other by tightly connecting the PE files. A joint cap or a joint shoe was installed at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welded together or fastened with bolts and nuts was used.

통상 두 파일을 연결하는 방식은 초기에 먼저 지중에 삽입하여 항타시키는 파일의 두부를 지면 위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크레인 등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파일을 먼저 시공된 파일의 두부에 연결하는 작업을 한다.Usually, the method of connecting two files is to insert the file to be connected to the head of the constructed file first with a crane or the like, while exposing the head of the file to be inserted into the ground at the beginning and exposing the head of the file to the ground.

그런데, 두 파일을 연결할 때 상부 파일의 축선이 하부 파일의 축선과 일치하지 않으면 두 파일의 외경이 어긋나게 연결되므로 상부파일을 하부파일에 올바로 정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connecting the two files, if the axis of the upper file does not coincide with the axis of the lower f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file is correctly aligned with the lower file because the outer diameters of the two files are misaligned.

일 예로, 작업현장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중기를 이용하여 상부 콘크리트 파일(F2)을 들어올린 뒤 하부파일(F1)위에 수직하게 배치시킨 뒤 두 파일의 접합부위를 용접하고 있으나 용접에 앞서 두 파일의 외경이 일치되도록 정렬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허공에 매달린 콘크리트 파일을 어깨로 밀어 하부파일(F1)의 외경과 상부파일(F2)의 외경이 일치되도록 정렬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두 파일의 정렬작업은 고중량의 파일을 작업자가 밀고 있는 동안 기중기를 하강시켜 하부파일위로 상부파일을 안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상당한 무리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심각한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도 종종 발생되고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upper concrete file F2 is lifted up using a crane, and then vertically arranged on the lower file F1, and the joints of the two files are welded. However, In order to align the outer diameter of the two files, the operator pushes the concrete file suspended in the air to the shoulder so as to alig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file F1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file F2. However, The crane must be lowered while the operator pushes the file of the crane, and the upper crane must be seated on the lower crane. Therefore, there are considerable inconvenience to the crane and safety accidents that the crane is seriously injured by the cran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가이드장치"(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2290호, 특허문헌 1)에는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된 가이드장치가 공개되어 있다.As a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a guiding device formed like a funnel is disclosed in a "guide device for connecting concrete file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92290,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은 깔대기 모양의 가이드장치를 하부파일의 두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기중기에 견인된 상부파일을 하부파일 상부로 위치시킬 때 깔대기 모양의 가이드장치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두 파일의 외주면이 상하로 일치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that when a funnel-shaped guide device is installed on the head of a lower pile, when the upper pile pulled by the crane is positioned on the lower pile, the funnel-shaped guide device guides the outer pile of the piles up and down So that they can be matched.

이러한 특허문헌 1은 용접 방식으로 파일을 연결하는 방식에는 조립 정확성을 높이는 데 아주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 할 것이다.Such a patent document 1 will exhibit a very good effect in improving the assembling accuracy in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files by the welding method.

그런데, "연약지반 보강용 파일의 연결구조"(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7683호, 특허문헌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 방식은 최근 들어 시공 간편성을 높이기 위해 용접보다는 볼팅 체결을 더 선호하게 되는데, 이 연결구는 상면이나 하면에 상부파일이나 하부파일에 연결되기 위한 다수의 홀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되는 파일의 하부에는 강봉이나 볼트가 미리 돌출된 상태를 취하게 되는 바, 연결구가 설치된 상부파일을 하부파일에 단순히 축심만 일치시켜서는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는다.However, as shown in the " connection structure of pile for soft ground reinforcement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7683, Patent Document 2),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ncrease the ease of construction, A plurality of holes are radi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or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file or the lower file, and a steel bar or a bolt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ed file. , The upper file provided with the connector is merely axially aligned with the lower file, so that the assembly is not performed.

구체적으로 연결구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홀과, 하부파일에 돌출되게 형성된 강선 또는 볼트를 서로 치합시켜야 한다.Specifically, the assembly hole formed in the connector and the steel wire or bolt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file must be engaged with each other.

또한, 끼워맞춤식 가조립 후에는 연결구의 측면 공간에서 볼트 조립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In addition, bolt assembly work must be performed in the side space of the connector after the fitting type.

이때문에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의 축심만 일치시켜서만 되는 것이 아니라, 조립홀과 강선 또는 볼트를 일직선상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부파일을 원주상으로 회전시키는 작업을 하게 된다.Therefore, not only the axial center of the upper file and the lower file is made to coincide, but the upper file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order to make the assembly hole, the steel wire or the bolt straight.

그런데, 기존 작업 방식은 작업자가 기중기에 매달린 상부파일의 연결구를 손으로 잡고 돌리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기중기 운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미비로 신호 전달이 확실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파일이 낙하여 연결구를 조작하고 있는 작업자의 손 위로 떨어져 커다란 부상을 일으키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e existing operation method, the operator holds the connector of the upper file suspended by the crane by hand, and in this process, the signal is not transmitted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with the driver of the crane, It is possible to cause a large injury on the hands of a worker.

즉, 기존에 단순히 파일끼리 축심을 일치시키는 가이드 기구 와에 상부파일을 작업자가 원주방향으로 미세하게 돌릴 수 있도록 할 때 안전을 보장해주는 기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라 하겠다.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guiding mechanism that merely coincides the axes of the files with each other and a mechanism that guarantees safety when the operator is able to finely rotate the upper fi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KR 10-2010-0092290 (2010.08.20)KR 10-2010-0092290 (Aug. 20, 2010) KR 20-0277683 (2002.05.27)KR 20-0277683 (May 28, 2002)

본 발명의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하여 파일들을 상호 연결하는 시공 방식에서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의 조립홀과 강선을 일치키는 작업 중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해줄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The safety support device for a file connection using a connector and a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in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in the construction method for interconnecting files using connectors and bolts, So that the safety of the operator can be ensured during the work of matching the assembly hole and the steel wire.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파일에 권취되어 고정되는 권취밴드와, 권취밴드가 내측으로 관통되는 손잡이부재가 구비되면서 권취밴드를 고정시키는 클램프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부파일 하부에 연결된 연결구를 파지하지 않고 손잡이부재를 손으로 잡아 상부파일을 원주방향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중의 작업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comprises a winding band which is wound and fixed on an upper file, and a clamp which fixes the winding band, with a grip member having a winding band penetrated inwardly, so that the operator can grip the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upper file can be tur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during the work.

이때, 손잡이부재에는 쿠션재가 설치되거나, 쿠션재에 마찰재가 부가 설치됨으로써 쿠션재의 압착 및 마찰재의 마찰력에 의해 손잡이부재가 파일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손잡이를 잡고 파일을 돌릴 때 손잡이부재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려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ush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pull member or the friction member is installed on the cushion member, so that the pull member is firmly fixed to the pile due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cushion member and the frictional force of the friction member. As a result, To prevent it.

또한, 클램프는 라쳇버클로 이루어져 상부파일에 손쉽게 설치하고, 손잡이부재가 선택적으로 견고하게 밀착되고, 해체가 쉽게 이루어져 작업의 간편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lamp is formed of a ratchet buckle so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upper file, and the knob member can be firmly and firmly attached to the knob and can be easily disassembled, thereby simplifying the operation.

더불어,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에 권취밴드 및 손잡이부재가 모두 설치되고, 두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연결부재를 당기거나, 감거나 하는 작업을 통해 상부파일의 원주방향 회전 외에도 영점 조정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both the upper band and the lower band are provided with the winding band and the knob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two units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file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pulling or winding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it can be easily carried out.

본 발명의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파일(1)을 감싸는 권취밴드(10)와; 내부에 밴드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권취밴드(10)가 내측으로 관통되며, 외부는 손잡이 형상을 취하는 손잡이부재(20)와; 상기 권취밴드(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권취밴드(10)를 파일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클램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ty support apparatus for a file connection using a connector and a bolt, comprising: a winding band (10) surrounding the file (1); (20) having a band through hole (21) formed therein and penetrating the winding band (10) inwardly and having an outer shape as a knob; And a clamp 30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winding band 10 to fix the winding band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pile.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20)는 파일(1)과 접하는 면에 신축성의 쿠션재(2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andle member (20) is characterized in that a flexible cushioning material (22) is provid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ile (1).

또, 상기 쿠션재(22)에는 표면이 불규칙한 마찰재(23)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ushioning member (22) is characterized in that a friction material (23) whose surface is irregular is attached.

또한, 상기 클램프(30)는 라체트 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lamp 30 is characterized by being a ratchet buckle.

또는, 상부에 위치한 상부파일(1a)을 감싸는 유연성을 갖는 권취밴드(10)와, 내부에 밴드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권취밴드(10)가 내측으로 관통되며, 외부는 손잡이 형상을 취하는 손잡이부재(20)와, 상기 권취밴드(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권취밴드(20)를 파일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클램프(30);로 구성되며, 상측 파일을 감싸 설치되는 제1유닛(100)과; 상기 제1유닛(10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파일(1a)과 연결되기 위한 하부파일(1b)을 감싸 설치되는 제2유닛(200)과; 일측은 상기 제2유닛(200)의 손잡이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유닛(100)의 손잡이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r a band-shaped through-hole (21)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upper band (1), the band-shaped band (10) And a clamp (30)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winding band (20) to fix the winding band (20) in close contact with a file, and a clamp (30) 1 unit 100; A second unit 200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unit 100 and enclosing a lower file 1b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file 1a; And a connecting member 30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pull member of the second unit 20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pull member of the first unit 100.

본 발명에 의해, 특히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하여 파일들을 상호 연결하는 시공 방식에서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의 조립홀과 강선을 일치키는 작업 중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해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during the operation of matching the assembly holes of the upper and lower files with the steel wire in a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files are interconnected by using connectors and bolts.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파일에 권취되어 고정되는 권취밴드와, 권취밴드가 내측으로 관통되는 손잡이부재가 구비되면서 권취밴드를 고정시키는 클램프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부파일 하부에 연결된 연결구를 파지하지 않고 손잡이부재를 손으로 잡아 상부파일을 원주방향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중의 작업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it comprises a winding band which is wound and fixed on an upper file, and a clamp which fixes the winding band, with a grip member having a winding band penetrated inwardly, so that the operator can grip the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upper file can be tur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operator during the work.

이때, 손잡이부재에는 쿠션재가 설치되거나, 쿠션재에 마찰재가 부가 설치됨으로써 쿠션재의 압착 및 마찰재의 마찰력에 의해 손잡이부재가 파일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손잡이를 잡고 파일을 돌릴 때 손잡이부재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ush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pull member or the friction member is installed on the cushion member, so that the pull member is firmly fixed to the pile due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cushion member and the frictional force of the friction member. As a result, .

또한, 클램프는 라쳇버클로 이루어져 상부파일에 손쉽게 설치하고, 손잡이부재가 선택적으로 견고하게 밀착되고, 해체가 쉽게 이루어져 작업의 간편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the clamp is made of a ratchet buckle and is easily installed on the upper file, the knob can be firmly and firmly attached to the knob, and the knob can be easily disassembled, thereby simplifying the operation.

더불어,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에 권취밴드 및 손잡이부재가 모두 설치되고, 두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연결부재를 당기거나, 감거나 하는 작업을 통해 상부파일의 원주방향 회전 외에도 영점 조정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oth the upper band and the lower band are provided with the winding band and the knob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two units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file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pulling or winding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easi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연결부재에 권취부재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하 파일을 연결하는 작업의 개요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권취밴드에 라쳇버클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서 손잡이부재의 일 예가 나타낸 사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support apparatus for a file connection using a connector and a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 safety support apparatus for a file connection using a connector and a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safety support apparatus for a file connection using a connector and a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winding member.
5 is a side view showing an outline of an operation of connecting upper and lower files.
6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ratchet buckle is provided in a winding band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pull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afety support apparatus for a file connection using connectors and bol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파일(1a)에 도면과 같이 상,하단에 조립홀(2b)이 형성되나 연결구(2)가 먼저 설치되는 한편, 이 연결구(2)와 조립되기 위한 하부파일(1b)에는 조립홀(2b)과 체결되기 위한 강선 또는 볼트(1c)가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라 하겠다.As shown in FIG. 1, the safety support device for a file connection using a connector and a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ssembly hole 2b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file 1a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lower pile 1b to be assembled with the connector 2 is applied to a case where a steel wire or a bolt 1c to be fastened to the assembly hole 2b is protruded.

이때, 조립홀(2b)은 도면과 같이 땅콩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단순하게 원형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assembly hole 2b may have a peanut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simply a circular hole, and may be formed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ce as a whole.

또, 연결구(2)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면에 볼트를 설치할 수 있는 볼트설치공간(2a)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볼트설치공간(2a)을 통해 측면에서 볼팅 작업을 하게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olt installation space 2a in which the bolt can b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is formed in the connector 2 so that the operator may perform the bolting operation from the side through the bolt installation space 2a.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권취밴드(10)는 파일(1)을 감싸 고정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직물, 가죽, 철, 고무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nding band 10, which is a constituent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fabric, leather, iron, rubber, etc., which can wrap and fix the file 1.

그러나 이 중에서 경질의 금속판이나, 플라스틱 판보다는 유연성을 갖는 직물, 가죽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Of these, a hard metal plate, a fabric having flexibility rather than a plastic plate, a leather, or the like is most preferable.

경질의 금속판이나 플라스틱 판의 경우 다양한 직경의 파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파일을 강하게 조여 밀착할 수 없어 손잡이부재(20)를 설치한 후 손잡이부재(20)가 헛도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반면, 가죽, 직물, 등의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다양한 직경의 파일에 적용할 수 있고, 손잡이부재(20)가 헛도는 현상을 오히려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a hard metal plate or a plastic plate, it can not be applied to files of various diameters and can not be firmly tightened by tightening the file. Thus, after the knob member 20 is installed, the knob member 20 is id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such as leather, fabric, etc., it can be applied to a file having various diameters, and the knob member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dle.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손잡이부재(2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밴드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권취밴드(10)가 내측으로 관통되며, 외부는 손잡이 형상을 취하는 형태를 취한다.As shown in Fig. 1, the handle member 2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nd through hole 21 formed therein, so that the winding band 10 penetrates inward, and the outside has a handle shape Take shape.

이러한 손잡이부재(20)의 외주면 형상은 손으로 파지하기 쉬운 봉 형태, 레버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재질은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andle 20 may be a rod shape or a lever shape that is easy to grasp by hand, and the material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and plastic.

이때, 손잡이부재(20)의 내주면은 파일(1)에 접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작업 중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 member 20 does not slip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in a state wher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 member 20 is in contact with the pile 1. [

물론 권취밴드(10)가 견고하게 밀착될 경우 권취밴드(10)에 의해 이동이 억제되나, 작업자가 파지한 채 파일(1)을 미세하게 회전시키는 힘을 가할 때 힘을 고르게 파일(1)에 전달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When the winding band 10 is tightly adhered, the movement of the winding band 10 is suppressed. However, when the operator applies a force for finely rotating the pile 1 while gripping by the operator, the force is uniformly applied to the pile 1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deliver.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재(20)는 파일(1)과 접하는 면에 신축성의 쿠션재(2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상기 쿠션재(22)에는 표면이 불규칙한 마찰재(23)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좋다.1, it is preferable that the pull-tab 20 is provided with a flexible cushioning material 22 on the side thereof in contact with the pile 1. Further, the cushioning material 22 is provided with an irregular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friction material 23 is attached.

이러한 구성은 쿠션재(22)의 압착 및 마찰재(23)의 마찰력에 의해 손잡이부재(20)가 파일(1)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손잡이부재(20)를 잡고 파일(1)을 돌릴 때 손잡이부재(20)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is configura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grip member 20 is firmly fixed to the pile 1 by the compression of the cushion material 22 and the friction force of the friction member 23 so that when the pile 1 is rotated by holding the pull member 20,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dle.

도면에는 손잡이부재(20)가 하나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여러 개가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only one handle member 20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handle members 20 may be provided.

더불어, 손잡이부재(20)는 권취밴드(10)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통홀(21)을 통해 권취밴드(10)를 따라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위치하다 권취밴드(10)를 파일(1)에 밀착시킨 후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pull member 20 may be configured to be completely fixed to the take-up band 10 but is positioned to be able to move along the take-up band 10 through the through hole 21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ing band 10 is fixed after being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ile 1.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클램프(30)는 상기 권취밴드(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권취밴드(10)를 파일에 밀착시켜 고정시킨다.The clamp 3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winding band 10 to fix the winding band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pile.

대표적인 클램프(30)의 종류로는 버클 종류가 있다. 그 중에서도 자동 바, 일명 라쳇버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As a representative type of the clamp 30, there is a buckle type. Among them, it is most preferable to include an automatic bar, a ratchet buckle.

이는 고정 과정에서 권취밴드(10)를 파일(1)에 강하게 밀착시켜주고, 이를 통해 손잡이부재(20)가 고정 후 권취밴드(10)를 타고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firmly attach the winding band 10 to the pile 1 during the fixing process, thereby preventing the pinching of the pulling band 10 after the pulling member 20 is fixed.

도 6에는 권취밴드에 라쳇버클이 설치된 예, 도 7에는 손잡이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a ratchet buckle is provided in a winding band, and Fig. 7 shows an example of a knob.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동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An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도면의 구성은 본 발명의 서포트 장치를 상부파일에 완전히 고정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잡이부재(20)를 잡고 상부파일(1a)을 원주방향으로 돌리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미세 조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기중기의 작동에 의해 상부파일(1a)이 하부파일(1b) 위로 하강하게 되면 조립홀(2b)과 강선(1c) 사이의 조립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는 연결구(2)를 조작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figure shows a state in which the operator grips the handle member 20 and turns the upper file 1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th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fixed to the upper file. The assembling between the assembly hole 2b and the steel wire 1c can be carried out smoothly when the upper file 1a is lowered onto the lower pile 1b by the operation of the crane, It is possible to secure safety.

그런데, 통상적으로 파일(1)은 그 무게가 매우 무거워 작업자가 손잡이부재(20)를 잡고 돌릴 수 있는 거리는 아주 미세한 거리라 하겠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많은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때도 있다.In general, the file 1 is so heavy that the distance that the operator can grasp the handle member 20 is a very small distance, but it may nevertheless cause more rotation.

또한, 파일 간의 연결시 전술한 조립홀(2b)과 강선(1c) 위치를 일시키는 작업 과정은 단순히 파일(1)만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업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부파일(1a)의 위치를 미세하게 변위시키는 작업이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assembling hole 2b and the steel wire 1c at the time of connection between the files, not only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file 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erformed, but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file 1a A fine displacement operation may occur at the same time.

이때, 손잡이부재(20)에는 작업자의 인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게 되는데, 개인이 갖고 있는 힘만으로는 이를 충분히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다.At this time, the pulling force of the worker is directly applied to the pulling member 20, but it may be difficult to sufficiently cope with the force only by the individual.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In view of this point, as shown in Fig. 3,

상부에 위치한 상부파일(1a)을 감싸는 유연성을 갖는 권취밴드(10)와, 내부에 밴드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권취밴드(10)가 내측으로 관통되며, 외부는 손잡이 형상을 취하는 손잡이부재(20)와, 상기 권취밴드(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권취밴드(20)를 파일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클램프(30);로 구성되며, 상측 파일을 감싸 설치되는 제1유닛(100)과;A winding band 10 having a flexibility to enclose an upper file la locat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band through hole 21 formed therein to allow the winding band 10 to penetrate inward, And a clamp (30)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take-up band (20) for tightly fixing the take-up band (20) to a file, and a clamp (100);

상기 제1유닛(10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파일(1a)과 연결되기 위한 하부파일(1b)을 감싸 설치되는 제2유닛(200)과;A second unit 200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unit 100 and enclosing a lower file 1b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file 1a;

일측은 상기 제2유닛(200)의 손잡이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유닛(100)의 손잡이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300);로 구성될 수 있다.And a connection member 300 connected at one end to the pull member of the second unit 200 and at the other end to the pull member of the first unit 100.

즉, 본 발명의 서포트 장치를 상부파일(1a)과 하부파일(1b)에 각각 설치하고, 각 서포트 장치의 손잡이부재(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300)를 통해 하부파일(1b)을 지랫대 삼아 상부파일(1a)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That is, the suppor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upper file 1a and the lower file 1b, and the lower file 1b is connected to the lower file 1b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300 connecting the pull members 20 of the respective support devices It can transfer the force to the upper file 1a.

또,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300)의 중간 부분이 감기는 실타래 형태로 이루어지면 일측에 이 실타래를 돌릴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된 권취부재(310)를 설치하여 상부파일(1a)과 하부파일(1b)이 미세하게 어긋난 상태에서의 미세한 위치 수정을 작업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00 is wound in a thread-like shape, a winding member 310 having a knob capable of rotating the thread is installed on one side, ) And the lower file 1b are finely deviated from each other can be performed by the operator.

이러한 방식은 한 사람이 한 손으로는 권취부재(310)를 잡으면서 실타래를 돌리거나 잡아당겨 위치를 조정하면서 다른 한 손으로는 상측의 제1유닛(100)에 구비된 손잡이부재(20)를 잡고 원주방향으로 파일(1)을 회전시키면서 조립 정확도를 높이는 작업을 해주게 된다.In this method, one person grips the wind-up member 310 with one hand to adjust the position by turning or pulling the thread, while the other hand holds the pull-tab 20 provided on the upper first unit 100 And rotates the file (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increase the assembly accuracy.

이러한 일련의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는 연결구를 직접 조작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혁신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the course of such a series of work, the operator does not directly manipulate the connector, thereby preventing the accident accidentally.

1 : 파일 1a : 상부파일
1b : 하부파일 1c : 강선
2 : 연결구 2a : 볼트설치공간
2b : 조립홀 10 : 권취밴드
20 : 손잡이부재 21 : 관통홀
22 : 쿠션재 23 : 마찰재
30 : 클램프 100 : 제1유닛
200 : 제2유닛 300 : 연결부재
310 : 권취부재
1: File 1a: Upper file
1b: Lower file 1c: Steel wire
2: Connector 2a: Bolt installation space
2b: Assembly hole 10: Winding band
20: Handle member 21: Through hole
22: Cushioning material 23: Friction material
30: Clamp 100: First unit
200: second unit 300: connecting member
310:

Claims (5)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에 있어서,
파일(1)을 감싸는 권취밴드(10)와;
내부에 밴드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권취밴드(10)가 내측으로 관통되며, 외부는 손잡이 형상을 취하는 손잡이부재(20)와;
상기 권취밴드(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권취밴드(10)를 파일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클램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
A safety support device for a file connection using a connector and a bolt,
A winding band (10) surrounding the file (1);
(20) having a band through hole (21) formed therein and penetrating the winding band (10) inwardly and having an outer shape as a knob;
And a clamp (30)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take-up band (10) to fix the take-up band (10)
Safety support device for connecting files using connectors and bol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20)는 파일(1)과 접하는 면에 신축성의 쿠션재(2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pull-tab (20) is provided with a flexible cushioning material (22) on its side in contact with the pile (1)
Safety support device for connecting files using connectors and bolt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22)에는 표면이 불규칙한 마찰재(23)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a friction material (23) having irregular surface is attached to the cushion material (22)
Safety support device for connecting files using connectors and bol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0)는 라체트 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mp (30) is a ratcheting buckle.
Safety support device for connecting files using connectors and bolts.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위치한 상부파일(1a)을 감싸는 유연성을 갖는 권취밴드(10)와, 내부에 밴드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권취밴드(10)가 내측으로 관통되며, 외부는 손잡이 형상을 취하는 손잡이부재(20)와, 상기 권취밴드(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권취밴드(20)를 파일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클램프(30);로 구성되며, 상측 파일을 감싸 설치되는 제1유닛(100)과;
상기 제1유닛(10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파일(1a)과 연결되기 위한 하부파일(1b)을 감싸 설치되는 제2유닛(200)과;
일측은 상기 제2유닛(200)의 손잡이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유닛(100)의 손잡이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
A safety support device for a file connection using a connector and a bolt,
A winding band 10 having a flexibility to enclose an upper file la locat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band through hole 21 formed therein to allow the winding band 10 to penetrate inward, And a clamp (30)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take-up band (20) for tightly fixing the take-up band (20) to a file, and a clamp (100);
A second unit 200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unit 100 and enclosing a lower file 1b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file 1a;
And a connecting member (30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pull member of the second unit (20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pull member of the first unit (100)
Safety support device for connecting files using connectors and bolts.
KR1020170110140A 2017-08-30 2017-08-30 pile jointing method using Safety support apparatus KR1020514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140A KR102051471B1 (en) 2017-08-30 2017-08-30 pile jointing method using Safety suppor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140A KR102051471B1 (en) 2017-08-30 2017-08-30 pile jointing method using Safety suppor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823A true KR20190023823A (en) 2019-03-08
KR102051471B1 KR102051471B1 (en) 2020-01-08

Family

ID=6580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140A KR102051471B1 (en) 2017-08-30 2017-08-30 pile jointing method using Safety suppor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47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466A (en)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케이베츠 Stressed clamped type connection for circular cross section members and its installation sequence
KR20210094271A (en) 2020-01-21 2021-07-29 주식회사케이베츠 Stressed clamped hinge type connection for circular cross section members and its installation sequen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683Y1 (en) 2002-03-07 2002-06-07 주식회사 영화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joint structure for PHC pile
KR20100092290A (en) 2009-02-12 2010-08-20 (주)삼오기초건설 Guider for concrete file
JP2016089329A (en) * 2014-10-29 2016-05-23 鹿島建設株式会社 Steel pipe connecting jig
JP2016180278A (en) * 2015-03-25 2016-10-13 丸善工業株式会社 Pile-driving soundproof implement and pile-driving construction method
KR101693478B1 (en) * 2016-02-11 2017-01-06 이진영 Detachable pile alignment guide band and pile connect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683Y1 (en) 2002-03-07 2002-06-07 주식회사 영화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joint structure for PHC pile
KR20100092290A (en) 2009-02-12 2010-08-20 (주)삼오기초건설 Guider for concrete file
JP2016089329A (en) * 2014-10-29 2016-05-23 鹿島建設株式会社 Steel pipe connecting jig
JP2016180278A (en) * 2015-03-25 2016-10-13 丸善工業株式会社 Pile-driving soundproof implement and pile-driving construction method
KR101693478B1 (en) * 2016-02-11 2017-01-06 이진영 Detachable pile alignment guide band and pile connecting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466A (en)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케이베츠 Stressed clamped type connection for circular cross section members and its installation sequence
KR20210094271A (en) 2020-01-21 2021-07-29 주식회사케이베츠 Stressed clamped hinge type connection for circular cross section members and its installation sequ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471B1 (en)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99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building foundations
US6729821B2 (en) Expansion bolt
KR20190023823A (en) Safety support apparatus for pile connecting using joint and bolt
JP5483912B2 (en) Pile locking device and pile locking method
KR101693478B1 (en) Detachable pile alignment guide band and pile connecting method using the same
US7011281B2 (en) Expansion bolt
US8336937B2 (en) Pipe pile sling
US7357363B2 (en) Expansion bolt
US78233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tension members for use in anchor method
US5934835A (en) Prestressing concrete foundation pile having a single prestressing strand
KR101941917B1 (en) Reinforced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WO1987001426A1 (en) Pipe-laying tool
KR100447967B1 (en) dismantling equipment of tension member for anchor method
JP6919526B2 (en) Jig for rotary joining of steel pipes with mechanical joints
KR20200008187A (en) guide band for pile range & method
KR102110806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ed helical pile
KR100494011B1 (en) anchor for elimination equipment of tension member
CN218540685U (en) Fixing device of bored concrete pile for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KR101002943B1 (en) Screw clamp
KR200291860Y1 (en) separator equipment of tension member for anchor method
KR101849909B1 (en) Reinforced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KR102633363B1 (en) Safety rope clamp for scaffolding
KR20190129180A (en) guide band for pile range & method
KR102633365B1 (en) Safety rope clamp for scaffolding
JP41499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block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