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730A -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730A
KR20190023730A KR1020170109918A KR20170109918A KR20190023730A KR 20190023730 A KR20190023730 A KR 20190023730A KR 1020170109918 A KR1020170109918 A KR 1020170109918A KR 20170109918 A KR20170109918 A KR 20170109918A KR 20190023730 A KR20190023730 A KR 20190023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drone
remote control
drone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800B1 (ko
Inventor
장찬욱
유효정
Original Assignee
장찬욱
유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찬욱, 유효정 filed Critical 장찬욱
Priority to KR102017010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8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 G08G5/0069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specially adapted for an unmanned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04M1/72569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드론(drone)에 장착되며,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센서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며, 원격 제어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상기 드론을 구동 제어하는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으로부터 센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고 표시하며, 상기 드론을 구동 제어하기 위해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구성한다. 상술한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드론에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을 장착하여 스마트 폰의 내장 센서를 활용하고, 원격지의 사용자는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의 센서 정보를 확인하고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마트 폰의 센서 감지와 원격 제어를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DRONE CONTRO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PHONES FOR DRONE-INSTALLATION/DRONE-REMOTE CONTROL}
본 발명은 드론(drone)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드론은 단순한 이동 기능을 넘어서 영상 촬영이나 자세 제어, 다양한 임무 수행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드론에는 보다 많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와 구동기가 부착되어 점점 복잡 다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센서와 장치들의 페이로드(payload) 증가로 인하여 무게가 증가하고 제작비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 드론의 균형 잡기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한다.
10-1615319 10-1637217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은, 드론(drone)에 장착되며,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센서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며, 원격 제어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상기 드론을 구동 제어하는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으로부터 센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고 표시하며, 상기 드론을 구동 제어하기 위해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은, 상기 드론의 가속도 방향 정보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 상기 드론의 자세 정보를 감지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GPS 센서(global positioning system sensor);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camera sensor); 방위 정보를 감지하는 나침반 센서(compass sensor)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은, 상기 드론의 이동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해 구글 맵(google map) 상에서 웨이 포인트(wy point)를 지정하고, 지정된 웨이 포인트를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은, 상기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으로부터 웨이 포인트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웨이 포인트를 구글 맵 상에 지정하고, 지정된 웨이 포인트를 향해 상기 드론이 이동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은, 드론(drone)에 장착된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이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이 상기 획득한 센서 정보를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으로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이 상기 센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이 상기 드론을 구동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정보를 실시간 생성하고 생성된 원격 제어 정보를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이 원격 제어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원격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을 구동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론에 장착된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이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가 상기 드론의 가속도 방향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하고,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eop sensor)가 상기 드론의 자세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하고, GPS 센서(global positioning system sensor)가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하고, 카메라 센서(camera sensor)가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하고, 나침반 센서(compass sensor)가 방위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이 상기 드론을 구동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정보를 실시간 생성하고 생성된 원격 제어 정보를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가, 상기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이 상기 드론의 이동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해 구글 맵(google map) 상에서 웨이 포인트(wy point)를 지정하고, 지정된 웨이 포인트를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이 원격 제어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원격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을 구동 제어하는 단계가,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이 상기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으로부터 웨이 포인트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웨이 포인트를 구글 맵 상에 지정하고, 지정된 웨이 포인트를 향해 상기 드론이 이동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드론에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을 장착하여 스마트 폰의 내장 센서를 활용하고, 원격지의 사용자는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의 센서 정보를 확인하고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마트 폰의 센서 감지와 원격 제어를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100)은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 및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100)은 드론에 장착되는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을 슬레이브(slave) 단말로 활용하고, 원격지의 사용자가 원격 제어하기 위한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을 마스터(master) 단말로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은 드론(10)에 장착되며, 드론(10)의 비행 중에 다양한 센서 정보를 획득하고,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드론(10)의 비행을 구동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은 내장된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센서 정보를 획득하며, 이를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은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111),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112), GPS 센서(global positioning system sensor)(113), 카메라 센서(camera sensor)(114), 나침반 센서(compass sensor)(115), 송수신 모듈(116), 구동 제어 모듈(11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11)는 드론(10)의 가속도 방향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론(10)의 움직임과 방향을 인지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센서(112)는 드론(10)의 자세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GPS 센서(113)는 드론(10)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센서(114)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후방 영상을 각각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침반 센서(115)는 방위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드론 비행 방향의 방위를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모듈(116)은 위 센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으로 송신하고,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으로부터 원격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제어 모듈(117)은 송수신 모듈(116)에서 수신한 원격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드론(10)을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제어 모듈(117)은 드론(10)에 구비된 구동 플랫폼(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 플랫폼(미도시)의 연산 모듈, 펌웨어 저장 모듈, 드라이버 모듈 등을 이용하여 드론(10)을 구동한다. 펌웨어 저장 모듈에서는 구동 제어 모듈(117)의 원격 제어 정보를 해석하고 연산 모듈은 이를 연산 실행하며, 연산 모듈의 연산에 따라 드라이버 모듈이 구동기를 직접 구동하여 비행 제어, 자세 제어, 방향 제어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은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으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원격 제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으로 송신하여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은 송수신 모듈(121), 디스플레이(122), 원격 제어 모듈(12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모듈(121)은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으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으로 원격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2)는 센서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 제어 모듈(123)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원격 제어 정보를 송수신 모듈(121)을 통해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은 드론(10)의 이동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해 구글 맵(google map) 상에서 웨이 포인트(wy point)를 지정하고, 지정된 웨이 포인트를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은 지도 상의 웨이 포인트 지정에 의해 목적지를 보다 쉽게 지정할 수 있다.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은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으로부터 웨이 포인트를 실시간 수신하고, 그 실시간 수신된 웨이 포인트를 구글 맵 상에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은 그 지정된 웨이 포인트를 향해 드론(10)이 이동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웨이 포인트를 이동 목적지로 변환하여 연산 모듈로 전달하면 연산 모듈이 드라이버 모듈을 제어하여 해당 목적지로 자동으로 찾아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산 모듈은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의 내장 센서들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찾아가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드론(drone)(10)에 장착된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이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정보를 획득한다(S101).
여기서,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111)가 드론(10)의 가속도 방향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하고,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eop sensor)(112)가 드론(10)의 자세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하고, GPS 센서(global positioning system sensor)(113)가 드론(10)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하고, 카메라 센서(camera sensor)(114)가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하고, 나침반 센서(compass sensor)(115)가 방위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이 획득한 센서 정보를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으로 실시간으로 송신한다(S102).
다음으로,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이 센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고 저장한다(S103).
다음으로,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이 드론(10)을 구동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정보를 실시간 생성하고 생성된 원격 제어 정보를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으로 실시간 송신한다(S104).
여기서,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이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120)이 드론(10)의 이동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해 구글 맵(google map) 상에서 웨이 포인트(way point)를 지정하고, 지정된 웨이 포인트를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이 원격 제어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원격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드론(10)을 구동 제어한다(S105).
여기서,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110)이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으로부터 웨이 포인트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웨이 포인트를 구글 맵 상에 지정하고, 지정된 웨이 포인트를 향해 드론(10)이 이동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
111: 가속도 센서
112: 자이로스코프 센서
113: GPS 센서
114: 카메라 센서
115: 나침반 센서
116: 송수신 모듈
117: 구동 제어 모듈
120: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
121: 송수신 모듈
122: 디스플레이
123: 원격 제어 모듈

Claims (6)

  1. 드론(drone)에 장착되며,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센서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며, 원격 제어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상기 드론을 구동 제어하는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으로부터 센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고 표시하며, 상기 드론을 구동 제어하기 위해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은,
    상기 드론의 가속도 방향 정보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
    상기 드론의 자세 정보를 감지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GPS 센서(global positioning system sensor);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camera sensor);
    방위 정보를 감지하는 나침반 센서(compass sensor)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기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은,
    상기 드론의 이동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해 구글 맵(google map) 상에서 웨이 포인트(way point)를 지정하고, 지정된 웨이 포인트를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은,
    상기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으로부터 웨이 포인트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웨이 포인트를 구글 맵 상에 지정하고, 지정된 웨이 포인트를 향해 상기 드론이 이동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4. 드론(drone)에 장착된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이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이 상기 획득한 센서 정보를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으로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이 상기 센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이 상기 드론을 구동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정보를 실시간 생성하고 생성된 원격 제어 정보를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이 원격 제어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원격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을 구동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에 장착된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이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가 상기 드론의 가속도 방향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하고,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eop sensor)가 상기 드론의 자세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하고, GPS 센서(global positioning system sensor)가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하고, 카메라 센서(camera sensor)가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하고, 나침반 센서(compass sensor)가 방위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이 상기 드론을 구동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정보를 실시간 생성하고 생성된 원격 제어 정보를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가,
    상기 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이 상기 드론의 이동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해 구글 맵(google map) 상에서 웨이 포인트(way point)를 지정하고, 지정된 웨이 포인트를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이 원격 제어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원격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을 구동 제어하는 단계가,
    상기 드론 장착용 스마트 폰이 상기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으로부터 웨이 포인트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웨이 포인트를 구글 맵 상에 지정하고, 지정된 웨이 포인트를 향해 상기 드론이 이동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KR1020170109918A 2017-08-30 2017-08-30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86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918A KR101986800B1 (ko) 2017-08-30 2017-08-30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918A KR101986800B1 (ko) 2017-08-30 2017-08-30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730A true KR20190023730A (ko) 2019-03-08
KR101986800B1 KR101986800B1 (ko) 2019-06-07

Family

ID=6580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918A KR101986800B1 (ko) 2017-08-30 2017-08-30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8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433A (ko)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아이에스케이 카메라 모듈 공유 방식의 드론 결합 전자기기
WO2021200609A1 (ja) * 2020-03-30 2021-10-07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を用いて構成される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319B1 (ko) 2015-07-07 2016-04-25 주식회사 무지개연구소 스마트폰을 이용한 스마트 드론 독 시스템
KR101637217B1 (ko) 2015-06-26 2016-07-12 유지훈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217B1 (ko) 2015-06-26 2016-07-12 유지훈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KR101615319B1 (ko) 2015-07-07 2016-04-25 주식회사 무지개연구소 스마트폰을 이용한 스마트 드론 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433A (ko)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아이에스케이 카메라 모듈 공유 방식의 드론 결합 전자기기
WO2021200609A1 (ja) * 2020-03-30 2021-10-07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を用いて構成される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800B1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1574B (zh) 用于设置相机参数的系统、方法和装置
JP6395362B2 (ja) 分散された位置の識別
US11156905B2 (en) Control method for gimbal, controller, and gimbal
KR20150134591A (ko) 무인 항공기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0688B1 (ko) 무인 비행 로봇의 컨트롤러
WO2018076895A1 (zh) 基于主无人机的从无人机飞行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20190116309A1 (en) Overhead line image capturing system and overhead line image capturing method
JP2020534198A (ja) 移動可能物体の制御方法、機器およびシステム
CN113508351A (zh) 控制方法、智能眼镜、可移动平台、云台、控制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00180759A1 (en) Imaging device, camera-equipped drone, and mode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8059398A1 (zh) 多旋翼飞行器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KR101986800B1 (ko) 드론 장착용/드론 원격 제어용 스마트 폰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09503B1 (ko) 지능형 무인 비행체의 무선통신 시스템
CN108702442B (zh) 用于时刻捕获的系统和方法
US20210240185A1 (en) Shooting control method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10557718B2 (en) Auxiliary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00410219A1 (en) Moving object detection device, control device, movable body, moving object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CN112154480B (zh) 可移动平台的定位方法、装置、可移动平台及存储介质
CN102591356A (zh) 一种导航控制系统及其实现导航控制的方法
JP6661187B1 (ja) 飛行体の管理サーバ及び管理システム
KR20190052849A (ko) 차량의 드론 이착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6685713B2 (ja) 撮像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通信装置、移動撮像装置
JP2023157917A (ja) 撮影方法
JP7149569B2 (ja) 建造物の測定方法
Shaqura et al. Human supervised multirotor UAV system design for inspection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