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719A - Stanchion removing fog for road - Google Patents

Stanchion removing fog for ro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719A
KR20190023719A KR1020170109900A KR20170109900A KR20190023719A KR 20190023719 A KR20190023719 A KR 20190023719A KR 1020170109900 A KR1020170109900 A KR 1020170109900A KR 20170109900 A KR20170109900 A KR 20170109900A KR 20190023719 A KR20190023719 A KR 20190023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se
air
upper case
case
annula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9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8248B1 (en
Inventor
김숙영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강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강산업
Priority to KR102017010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248B1/en
Publication of KR2019002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7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2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3/00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e.g. on roads, on airfiel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g removing stanchion for a roa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peller provided in an upper case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introduction holes and operating to introduce air into the upper case through the air introduction hole; a ring-shaped nozzle connected with the upper case to be provided in a lower case and using the air introduced in the upper case to introduce air from the outside of the lower case into the lower case; and a mesh-shaped collecting net coming in contact wit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case to condense vapor includ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case, thereby being possible to absorb a lot of air by using a small amount of power and removing a large amount of fog.

Description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STANCHION REMOVING FOG FOR ROAD}{STANCHION REMOVING FOG FOR ROAD}

본 발명은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형 노즐을 포함하여 안개를 제거하는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g removal parapet for road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g removal parapet for roads that includes an annular nozzle to remove fog.

일반적으로 도로의 경우 차도의 양측에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보도가 나란하게 함께 구비되고, 보도는 차량이 쉽게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도보다 일정높이만큼 높게 위치한다.Generally, roads are provided with side-by-side walkways for pedestrians on both sides of the roadway, and sidewalks are located higher than the roadway so that the vehicle can not easily get in.

그러나 이와 같은 차도와 보도의 높이차이만으로는 주행하던 차량이 보도 상으로 침범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어려운 바, 근래에는 보도의 차도 쪽 가장자리에 차량이 보도로 침범하는 것을 막아주고 반대로 보행자가 차도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해주기 위한 난간을 함께 설치하고 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reliably prevent the vehicle from traveling on the sidewalk due to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sidewalk and the sidewalk. In recent years, the sidewalk of the sidewalk has prevented the vehicle from entering the sidewalk. On the other hand, To prevent pedestrians from falling off.

이러한 난간은 차량충돌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어야 하므로, 예컨대 스테인리스와 같은 고강도의 금속파이프를 보도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세워진 난간지주들 사이에 소정형태로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Since such a rail has to be able to sufficiently resist a vehicle collision, a high-strength metal pipe, such as stainless steel,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form between railings rai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sidewalk.

그런데, 야간이나 눈비 또는 짙은 안개 등으로 인한 기상 악천후 시에는 시계불량으로 난간이 잘 보이지 않게 되어 주행중인 차량이 접촉 내지는 충돌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기도 하고, 심한 경우 차량이 난간을 부수고 보도로 침범하여 보행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대형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특히, 도로의 곡선구간에서는 사고발생률이 크게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사고의 규모도 또한 심하다.However, when the weather is bad weather due to night, snow, or heavy fog, the rail is not visible due to the bad weather, so frequent contact or collision of the vehicle is occurred. In case of severe case, the vehicle breaks the rail, It also leads to a major accident that threatens the lives of pedestrians. Especially, the incidence rate of incidents is inevitably increased in the curve section of the road, and the scale of the accident is also severe.

한편, 도로에 설치되는 난간은 시가지의 보·차도 경계지역 뿐 아니라, 예컨대 교량이나 고가도로와 같이 추락의 위험이 높은 도로에 있어서도 차량이 도로에서 이탈하여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노견에 설치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야간이나 악천후 시에는 시계불량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railing provided on the road is installed not only on the boundary of the city area, but also on the road so as to prevent the vehicle from falling off the road even on a road where the risk of falling is high, such as a bridge or an overpass In this case as well,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re is a risk of an accident due to a bad clock at night or bad weather as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통상적으로는 도로의 노견에 표지병을 설치하거나, 난간에 일정간격으로 델리네이터(delineator)를 설치하여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시선을 유도하고 있다.As a result, a signboard is usually installed on the road, or a delineator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railing to reflect the light of the headlight of the vehicle, thereby attracting the driver's attention and inducing the gaze.

그러나 안개 등으로 인한 기상 악천후 시에는 시계가 극히 불량(특히 야간)하기 때문에 델리네이터나 도로표지병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난간의 식인성이 크게 떨어져 주행중인 차량이 난간에 부딪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기도 한다.However, when the weather is bad weather due to fog, the watch is extremely bad (especially at night), and therefore, the food stamps of the railing are greatly deteriorated in spite of the presence of the delegator or road markers, .

즉, 델리네이터와 도로표지병은 표면이 반사체로 이루어져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반사해줌으로써 식별력을 가지는데, 안개 등의 기상 악천후 시에는 차량의 전조등 불빛도 그만큼 흐려지기 때문에 델리네이터나 도로표지병에 의한 반사효과가 크게 반감된다.In other words, the delicators and road signs are distinguished by reflecting the light of the headlights of the vehicle because the surface is made of the reflector. When the weather is bad weather such as fog, the light of the headlights of the vehicle is blurred so much that the reflection by the delegator or the road sign The effect is greatly reduced.

따라서, 안개 시에는 델리네이터 등이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도로가에 설치된 난간의 시인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밖에 없어 시계불량으로 인한 각종 사고발생 위험을 그대로 감내하고 있었다.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a fog, even if a deliner is provided, the visibility of a railway on a road is inevitably lowered, so that the risk of various accidents due to a bad weather is intact.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컨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고번호 제0197318호에는 난간의 두 포스트간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가드레일에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를 설치하여 주변의 조도에 의해 자동 점멸시킴으로써 야간에도 운전자가 난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이 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fo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97318 discloses a solar cell automatic light emitting device mounted on a guard rail horizontally fixed between two posts of a handrail, A handrail with a solar cell automatic light emitting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handrail.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난간은 안개를 제거하여, 운전자의 시계불량을 근복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railing has a problem that the fog is eliminated, and the driver's watch defect can not be overcome sooner.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required.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is technic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ventor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obtained in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not necessarily be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roviding a fog removal rail for road us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공기유입홀을 포함한 상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유입홈을 통해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동작하는 임펠러, 상기 상부케이스와 연결되되 하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하부케이스 외부의 공기를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는 환형 노즐 및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여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속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결시키는 망사 형상의 포집망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inflow holes disposed in an upper case to allow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case through the air inflow hole,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impeller; an annular nozzle connected to the upper case and disposed inside the lower case, the air being introduced into the upper case, And a mesh-type collection network for condensing the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case.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은 동력을 이용해서 많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량의 안개를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bsorb a large amount of air using less power, thereby eliminating a large amount of mis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노즐 하부에 포집망을 배치하여, 공기 속에 포함된 안개를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f the above-mention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rrange a collecting net below a nozzle to remove fog contained in air.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하부케이스와 노즐이 서로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고장시 상대적으로 수리가 용이하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ase and the nozzle ar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case and the nozzle can be relatively easily repaired in case of failure.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태양전지를 포함하여, 별도의 전기 공급없이 동작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ar cell, and can operate without supplying any additional electricity.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어부 및 센서부를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은 날에만 임펠러 등이 동작하며, 이를 통해 높은 내구성 등을 보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and a sensor unit, and operates an impeller or the like only on a relatively high-humidity blade, have.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에,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에 포함된 하부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에 포함된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를 통해 공기가 유입 및 방출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fog removing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re included in a fog removing rail for a road,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in which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re not included.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ower case included in a fog-removing parapet for roads,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included in a fog removing rail for a road,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principle that ai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a fog removing parapet that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나오는 용어에 대해서 설명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deriv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in different drawings, and elements of different drawings can be cited when necessary in describing the drawings. Leave.

이하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해당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에서 해당 구성이 '좌측' 및 '우측'에 도시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 해당 구성이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Hereinafter, the terms 'left' and 'right' indicating directions indicate that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is shown in 'left' and 'right' in the drawing illustrating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and actuall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i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t does not mean that it is.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3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는 난간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기둥 형태의 구조물이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a fog-removing parapet 1000 for a road,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 fog removal rail 1000 for a road is a columnar structure disposed between the railing frame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에, 각각의 케이스(1, 2)가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각각의 케이스(1, 2)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에 포함된 하부케이스(2)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fog-removing parapet 1000 for a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 1 and 2 and a case in which each of the cases 1 and 2 is not included.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g removing parapet 1000 for a road,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ower case 2 is provided.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는 각각의 케이스(1, 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케이스(1, 2)는 내부에 소정의 구성요소를 수납하거나, 공기가 지나가기 위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First, the road fog removing parapet 10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respective cases 1, 2. Each of the cases 1 and 2 can house predetermined components therein or form a path for passing air therethrough.

각각의 케이스(1, 2)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각각의 케이스(1, 2)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케이스(1)는 하부케이스(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Each of the cases 1 and 2 may be formed in any shape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each of the cases 1 and 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upper case 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전제거 난간지주(1000)에 포함된 상부케이스(1)는 복수의 공기유입홀(1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유입홀(1a)을 통해 상부케이스(1)의 외부에 있던 공기가 상부케이스(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upper case 1 included in the safety-removed parapet 1000 for a road,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air inflow holes 1a. The air outside the upper case 1 can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case 1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inflow holes 1a.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부케이스(1)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부케이스(1)의 외주면을 따라 공기유입홀(1a)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임펠러(11)가 회동함에 따라 상부케이스(1) 외부의 공기가 상부케이스(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1, the upper case 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plurality of air inflow holes 1a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ase 1, and an impeller 11 The air outside the upper case 1 can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case 1 as it rotates.

만약 상부케이스(1)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임펠러(11)만이 배치되는 경우에, 사람 또는 동물의 신체 일부가 임펠러(11)에 접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람 또는 동물의 신체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1)가 없는 상태에서 분진, 쓰레기 등이 임펠러(11)로 곧바로 접촉하는 경우, 임펠러(11)가 고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는 상부케이스(1)를 포함하며, 나아가 상부케이스(1)의 외주면에 공기유입홀(1a)을 복수 개 형성하여 공기만 유입되기 쉽도록 하였다.In the case where only the impeller 11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case 1 is not present, a part of a person or an animal body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mpeller 11, There is a concern.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the impeller 11 may fail if dust, trash or the like directly contacts the impeller 11 in the absence of the upper case 1. Accordingly, the fog removing parapet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pper case 1, and furthermore, a plurality of air inflow holes 1a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ase 1,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전제거 난간지주(1000)에 포함된 하부케이스(2)는 체결홀(20)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는 난간 본체가 직접 외주면에 연결되는 구성이고, 체결홀(20)은 하부케이스(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원주면에 형성된 천공이다.Also, the lower case 2 included in the safely removed railing support 1000,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astening hole 20 formed therein. The lower case 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ailing body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astening hole 20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ase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case 2.

구체적으로 하부케이스(2) 내부에는 후술할 환형 노즐(13)이 배치될 수 있는데, 환형 노즐(13)은 하부케이스(2)의 외부에서 하부케이스(2)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때 하부케이스(2) 외부의 공기는 체결홀(20)을 통해 하부케이스(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Specifically, an annular nozzle 13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disposed inside the lower case 2, and the annular nozzle 13 can introduce air into the lower case 2 from the outside of the lower case 2. At this time, the air outside the lower case 2 can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case 2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0.

도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원기둥 형상의 하부케이스(2)의 외주면에는 타원형태의 체결홀(20)이 천공되어 형성되되, 체결홀(20)은 후술할 환형 노즐(13)의 중앙 개구(13a)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홀(20)에 환형 노즐(13)이 탈착가능하도록 체결홀(20)이 형성될 수 있다.2, an elliptical fastening hole 20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lower case 2, and the fastening hole 20 is formed in the central opening of the annular nozzle 13 13a, and a fastening hole 20 can be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20 so that the annular nozzle 13 can be detached.

난간지주는 난간본체와 연결되는 구성으로써 난간지주의 수리 및 보수가 필요한 경우, 난간지주 전체를 난간본체 및 지면과 분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는 환형 노즐(13)을 하부케이스(2)와 탈착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쉽게 환형 노즐(13)을 포함한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 내부의 구성이 수리 및 보수가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When the railing support is required to be repaired and repaired,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entire railing support from the railing main body and the ground. The fog removing parapet 1000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nnular nozzle 13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case 2 so that the fog removing parapet 1000 including the annular nozzle 13 ) Can be easily separated when repair or maintenance is required.

한편, 하부케이스(2)의 저면에는, 후술할 포집망(21)과 접촉한 공기가 하부케이스(2)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방출홀(22, 23)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air vent hole 22 and 23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2 so that the air in contact with the collecting net 21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case 2. [ .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환형 노즐(13)이 하부케이스(2) 외부의 공기를 하부케이스(2) 내부로 유입시키면, 하부케이스(2) 내부의 기압이 올라가게 된다. 즉, 하부케이스(2) 내부의 공기압이 과하게 상승하지 않도록 하부케이스(2) 내부의 공기가 하부케이스(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필요한데 하부케이스(2)의 저면에는 공기방출홀(22, 23)이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annular nozzle 13 introduces the air outside the lower case 2 into the lower case 2, the air pressure inside the lower case 2 is increased. That is, it is necessary that the air in the lower case 2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case 2 so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lower case 2 does not rise excessively. In the lower case 2, (22, 23) can be formed.

구체적으로 도3을 예로 들면, 실린더 형상의 하부케이스(2)의 저면에는 공기방출홀(22, 23)이 형성되어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포집망(21)과 접촉한 공기 및 후술할 포집망(21)에 의해 응결된 물이 하부케이스(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Specifically, as an example in Fig. 3, the air vent holes 22 and 23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2 in a cylindrical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air in contact with the trap net 21, So that the water condensed by the heat exchanger (21)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case (2).

포집망(21)에 의해 응결된 물이 하부케이스(2) 외부로 제때 배출되지 않을 경우 하부케이스(2) 내부에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부식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수 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 내부의 압력이 높아질수록 포집망(21)에서 수증기가 응결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하부케이스(2) 내부의 공기 및 수증기는 빠르게 배출될 필요성이 있다. 이에, 공기방출홀(22, 23)은 하부케이스 내부에 물기나 공기가 오랜시간 머무르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If the water condensed by the collecting net 21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case 2 in a timely manner, mold or corrosion may occur in the lower case 2, have. In addition, as the pressure inside the lower case increases, the air and water vapor inside the lower case 2 need to be discharged quickly in that the water vapor hardly condenses in the trapping net 21. [ Therefore, the air discharge holes 22 and 23 can prevent moisture or air from staying inside the lower case for a long tim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는 임펠러(11), 환형 노즐(13) 및 포집망(21)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1)는 상부케이스(1)의 외부 공기를 상부케이스(1) 내부로 유입시키는 구성이고, 환형 노즐(13)은 하부케이스(2) 외부의 공기를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는 구성이며, 포집망(21)은 하부케이스(2)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수증기를 제거하는 구성이다.Meanwhile, the fog removing railing support 1000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peller 11, an annular nozzle 13, and a collecting net 21. The impeller 11 is configured to let the outside air of the upper case 1 into the inside of the upper case 1. The annular nozzle 13 has a structure to let air outside the lower case 2 into the inside of the lower case 1, The collection net (21) removes the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case (2).

우선, 임펠러(11)는 외부의 동력에 기초하여 회동하는 구성이다. 임펠러(11)는 기준축(11a)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임펠러모터(11b)의 회동력에 기초하여 기준축(11a)이 회동하게 되고, 기준축(11a)이 회동하는 경우 기준축(11a)과 연결된 임펠러(11) 또한 회동하게 된다.First, the impeller 11 is configured to rotate based on external power. The impeller 11 is rotated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 shaft 11a and the reference shaft 11a is rotated on the basis of the turning force of the impeller motor 11b and when the reference shaft 11a rotates, The impeller 11 connected to the impeller 11a also rotates.

이때, 임펠러(11)가 환형 노즐(1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난간지주 근처를 지나가는 경우, 공기의 유동은 차량으로부터 난간지주의 상부를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량이 난간지주 주위를 이동하는 경우 공기가 난간지주의 하부가 아닌 상부를 향해 이동하게 되므로, 환형노즐(13)에 비해 높은 위치에 설치된 임펠러(11)가 쉽게 상부케이스(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peller 11 can be installed at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the annular nozzle 13. Generally, when the vehicle passes near the railroad support, the flow of air can be formed from the vehicle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railing support. That is, when the vehicle moves around the railing support, the air moves toward the upper part rather than the lower part of the railing support, so that the impeller 11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annular nozzle 13 can be easily moved into the upper case 1 Air can be introduced.

임펠러(11) 회동시 상부케이스(1) 외부의 공기는 상부케이스(1) 내부로 유입되는데, 상부케이스(1)로 유입된 공기는 환형 노즐(13)을 향해 유입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는 수직연결관(16)을 포함할 수 있는데, 수직연결관(16)은 상부케이스(1)로부터 환형 노즐(13)까지 연장될 수 있다. 환형 노즐(13)과 연통되는 원통 형상의 수직연결관(16)을 통해, 상부케이스(1)로 유입된 공기가 환형 노즐(13)로 이동할 수 있다.The air outside the upper case 1 flows into the upper case 1 when the impeller 11 rotate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case 1 flows toward the annular nozzle 13. More specifically, a road fog removal parapet 10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ertical connection pipe 16, which is connected to the annular nozzle 13 from the upper case 1, Lt; / RTI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case 1 can be moved to the annular nozzle 13 through the cylindrical vertical connecting pipe 16 communicating with the annular nozzle 13. [

상부케이스(1)로 유입된 공기가 환형 노즐(13)로 유입되면, 하부케이스(2) 외부의 공기가 환형 노즐(13)에 형성된 중앙 개구(13a)를 통과 후 이동할 수 있다. 환형 노즐(13)의 구성 및 환형 노즐(13)의 작동원리는 한국 특허 제10-1113034호 및 10-1469965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 자세히 개시하지 않기로 한다.Whe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case 1 flows into the annular nozzle 13, air outside the lower case 2 can pass through the central opening 13a formed in the annular nozzle 13 and then moved. The configuration of the annular nozzle 13 and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annular nozzle 13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s. 10-1113034 and 10-1469965,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다만, 상부케이스(1)로 유입된 공기가 환형 노즐(13)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환형노즐(13)의 외측 즉, 하부케이스(2)의 외부는 하부케이스(2)의 내부에 비해 고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케이스(2) 외부의 공기가 하부케이스(2)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Whe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case 1 flows into the annular nozzle 13, the outer side of the annular nozzle 13, that is, the outer side of the lower case 2, . Therefore, the air outside the lower case 2 enters into the lower case 2. [

하부케이스(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술한 공기방출홀(22, 23)을 통해 하부케이스(2)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이때, 공기는 공기방출홀(22, 23)을 통과하기 전 포집망(21)을 통과하게 된다. 포집망(21)은 환형 노즐(13)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그 형상은 망사 형상이며 전체적으로 콘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case 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case 2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s 22 and 23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air passes through the trapping net 21 before passing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s 22 and 23. The collection net 21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annular nozzle 13, and the shape thereof may be a mesh-like shape and may be formed as a cone-like shape as a whole.

다시 말해, 콘 형태의 포집망(21)은 단면이 넓은 부분이 상부를 향하고, 단면이 좁은 부분이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촘촘한 망사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포집망(21)에 수증기가 포함된 저온의 공기가 접촉할 경우, 수증기는 포집망(21)에 응결되게 되고 수증기가 제거된 공기와 응결된 수증기가 공기방출홀(22, 23)을 통과하여 방출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cone-shaped trapping net 21 is arranged such that a wide section is directed upward and a narrowed section is directed downward, and the contact area with the air is enlarged because it is formed in a closely meshed shape. When the low-temperature air containing water vapo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rapping net 21, the steam is condensed in the trapping net 21, and the steam-condensed air and the steam-condensed water pass through the air release holes 22 and 23 .

이때 포집망(21)에 수증기가 더욱 잘 응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하부케이스(2) 및 포집망(21)에는 온도 저감 페인트가 도포될 수 있다. 즉, 하부케이스(2) 내부 및 포집망(21)은 외부의 온도보다 낮게 유지되기 때문에 공기 중 수증기가 포집망(21)에 접촉함과 동시에 응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2) 내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공기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공기의 유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case 2 and the collecting net 21 may be coated with a temperature-reducing paint so that the water vapor can be more agglomerated in the collecting net 21. That is, since the inside of the lower case 2 and the trapping net 21 are kept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the water vapor in the air can be contacted with the trapping net 21 and congealed. 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air is lower in the lower case 2 toward the lower portion, the air can flow more smooth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에 포함된 온도 저감 페인트는 한국특허 제10-114619호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바, 온도 저감 페인트를 구성하는 조성물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temperature-reducing paint included in the fog-removing parapet 1000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14619,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temperature-reducing paint is omitted .

이하에서는 도4 및 도5에 기초하여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가 동작하는 원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fog-removing parapet 1000 for road us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FIGS. 4 and 5. FIG.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에 포함된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를 통해 공기가 유입 및 방출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included in a fog removing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i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a fog removing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12)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12)는 태양광 등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상부케이스(1)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road fog removing parapet 10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solar cell 12. The solar cell 12 is configured to generate electricity using solar light or the like, and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upper case 1. [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는 임펠러(11)가 회전해야만 안개 제거가 가능하다. 하지만, 차량이 많지 않은 경우 임펠러(11)가 직접 회전할 수 없으며, 임펠러 모터(11b) 등을 임의로 동작시켜야만 임펠러(11)가 회전할 수 있는데, 이때 전력이 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og removing parapet 1000 for a road,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fog only when the impeller 11 rotates. However, if there are not many vehicles, the impeller 11 can not rotate directly, and the impeller 11 can be rotated only if the impeller motor 11b is operated arbitrarily.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는 태양전지(12)를 포함하고, 태양전지(12)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 및 저장하여 필요시 임펠러 모터(11b)를 회동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og removing parapet 1000 for a road,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ar cell 12, and the solar cell 12 generates and stores electric power using sunlight,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는 발광체(15)를 포함할 수 있는데, 발광체(15)는 전술한 태양전지(1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체(15)는 상부케이스의 외주면 즉, 둘레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안개 등이 심한 경우 태양전지(12)로부터 기 생산된 전력을 전달받아 발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악천후 시 차량 간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g removing parapet 1000 for a road,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emitter 15, which can receive light from the above-described solar cell 12 and emit light. Specifically, the light emitting unit 15 can b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ase, that is,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When the mist or the like is severe, the light generated by the solar cell 12 can be emitted to emit light. Can be prevented.

한편,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는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 주변의 습도를 센싱하는 센서부(30) 및 센서부(30)의 센싱결과에 기초하여 임펠러(11) 및 상기 발광체(15)를 작동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ad fog removing parapet 1000 includes a sensor unit 30 for sensing the humidity around the road fog removing parapet 1000 and a sensor unit 30 for detecting the humidity around the impeller 11 and the sensor unit 30, And a control unit 40 for operating the light emitting unit 15. [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에 포함된 임펠러(11)는 소모품으로써, 만약 안개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임펠러(11)가 동작한다면 임펠러(11)의 수명이 단축될 우려가 있다. 이에, 안개가 발생한 경우에만 임펠러(11)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센서부(30)는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 주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안개 생성 여부를 센싱하고, 만약 안개가 생성될 조건에 해당되면, 제어부(40)는 센서부(30)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임펠러(11)의 작동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The impeller 11 included in the fog-removing parapet 1000 for a road is a consumable product, and if the impeller 11 operates even if mist is not generated, the life of the impeller 11 may be shorten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mpeller 11 only when a mist occurs. Therefore, the sensor unit 30 senses whether or not the fog generation is generate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ound the fog-removing parapet 1000 for the road, and if the fog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sensor unit 30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impeller 11 can be determined.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안개가 없는 날의 경우, 센서부(30)는 주위 습도 및 온도에 기초하여 안개가 없음을 센싱한다. 제어부(40)는 센서부(30)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임펠러(11)가 동작하지 못하도록 제어하게 되며, 태양전지(12)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 및 저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og removing parapack 1000 for roads operate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a mist-free blade, the sensor unit 30 senses that there is no mist based on ambient humidity and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impeller 11 from operating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ensor unit 30 and the solar cell 12 can generate and store electric power using the sunlight.

반면, 안개가 발생한 경우, 센서부(30)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40)는 임펠러(11)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임펠러(11)는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 주위를 지나가는 자동차가 발생시킨 공기의 유동에 의해 작동할 수도 있고, 태양전지(12)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다. 임펠러(11)가 동작하면, 상부케이스(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데, 상부케이스(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환형 노즐(13)을 향해 1차 유입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mist occurs, the control unit 40 operates the impeller 11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ensor unit 30. At this time, the impeller 11 may be operated by the flow of the air generated by the automobile passing around the fog-removing parapet 1000 for the road, or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12. When the impeller 11 is operated, air flows into the upper case 1,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case 1 flows into the annular nozzle 13 first.

환형 노즐(13)에 1차 유입된 공기에 기초하여 중앙 개구(13a) 주위에는 즉, 하부케이스(2) 내부와 하부케이스(2)의 외부에는 기압차가 발생하게 되고, 하부케이스(2) 외부의 공기는 하부케이스(2) 내부로 2차 유입이 일어나게 된다. 하부케이스(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포집망(21) 및 공기방출홀(22, 23)을 통과하여 방출되게 되는데, 이때 공기 중의 수증기는 제거되고 나아가 안개 또한 제거되게 된다.A difference in air pressure is generated around the central opening 13a, that is, inside the lower case 2 and the outside of the lower case 2 based on the air firstly introduced into the annular nozzle 13, The secondary air flows into the lower case 2. The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case 2 passes through the trapping net 21 and the air discharge holes 22 and 23 and is discharged. At this time, the water vapor in the air is removed and the mist is also removed.

위 내용과 더불어, 만약 센서부(30)가 주위의 안개를 센싱하는 경우 및 현재 시각이 밤임을 인식하는 경우 즉,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 주변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음을 센싱하는 경우, 제어부(40)는 발광체(15)로 하여금 발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 주변의 시야가 확보됨을 센서부(30)가 센싱하는 경우, 제어부(40)는 발광체(15)가 발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30)는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안개제거 난간지주(1000) 주위의 시야 확보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sensor unit 30 senses the surrounding mist and recognizes that the current time is night, that is, when it senses that the field around the mist removal stalk 1000 is not secured, When the sensor unit 30 senses that the visual field around the fog removing parapet 1000 is secured, 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15 to emit light . The sensor unit 30 may include a humidity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ensor unit 30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a view is secured around the fog removing parapet 1000.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0 :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
1: 상부케이스
2: 하부케이스
11: 임펠러
12: 태양전지
13: 환형 노즐
14: 투명케이스
21: 포집망
1000: Removing fog from the road
1: upper case
2: Lower case
11: Impeller
12: Solar cell
13: Annular nozzle
14: Transparent case
21: collection network

Claims (8)

복수의 공기유입홀을 포함한 상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유입홈을 통해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동작하는 임펠러;
상기 상부케이스와 연결되되 하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하부케이스 외부의 공기를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는 환형 노즐; 및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여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속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결시키는 망사 형상의 포집망을 포함하는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
An impeller disposed inside the upper case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inlet holes and operated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upper case through the air inlet groove;
An annular nozzle connected to the upper case and disposed inside the lower case and using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case to introduce air outside the lower case into the lower case; And
And a mesh net-like trapping net in contact with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case to condense the steam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망은,
상기 환형 노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포집망과 접촉한 공기가 상기 하부케이스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방출홀이 형성되는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llection network may include:
A nozzle disposed below the annular nozzl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Wherein at least one air vent hole is formed so that air in contact with the collecting ne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ca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지주는,
상기 상부케이스로부터 상기 환형 노즐까지 연장되되, 상기 환형 노즐과 연통되는 원통 형상의 수직연결관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케이스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환형 노즐로 이동하도록 하는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ailing-
And a cylindrical vertical connection pipe extending from the upper case to the annular nozzle and communicating with the annular nozzle, where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case moves to the annular nozz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상기 환형 노즐의 중앙 개구와 대응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환형 노즐이 상기 체결홀에 탈착되는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
The method of claim 3,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case,
Wherein a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a central opening of the annular nozzle is formed, and the annular nozzl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upling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og removing rail for a road,
Wherein the upper case includes at least one solar cell on top of the upper cas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를 포함하는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og removing rail for a road,
Wherein the upper case includes at least one light emitt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의 온도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부 온도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온도 저감 페인트가 도포되는 안개제거 난간지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case,
Wherein the temperature reducing paint is applied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lower case is kept lower than the temperature outside the lower ca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는,
상기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 주변의 습도 및 시야확보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임펠러 및 상기 발광체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로용 안개제거 난간지주.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og removing rail for a road,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humidity and the visibility of the vicinity of the railway fog removing parapet; And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impeller and the light emitter based on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or unit.

KR1020170109900A 2017-08-30 2017-08-30 Stanchion removing fog for road KR102028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900A KR102028248B1 (en) 2017-08-30 2017-08-30 Stanchion removing fog for r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900A KR102028248B1 (en) 2017-08-30 2017-08-30 Stanchion removing fog for ro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719A true KR20190023719A (en) 2019-03-08
KR102028248B1 KR102028248B1 (en) 2019-11-04

Family

ID=6580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900A KR102028248B1 (en) 2017-08-30 2017-08-30 Stanchion removing fog for ro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24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946B1 (en) * 2020-10-16 2021-09-30 이주성 The safe driving guidance system using the falling rainwater of the bridge
CN114687317A (en) * 2022-01-22 2022-07-01 象谱信息产业有限公司 Artificial intelligence automatic elimination group's fog defogging bullet based on internet
CN114687317B (en) * 2022-01-22 2024-05-14 象谱信息产业有限公司 Internet-based demister capable of automatically eliminating mist by artificial intellige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9554A (en) * 2020-03-17 2020-08-11 安徽中科天达信息技术有限公司 Highway group fog accident reminding device based on thing network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9620A (en) * 2009-03-04 2013-07-10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A fan assembly
KR101713673B1 (en) * 2015-08-28 2017-03-08 김도현 The pillar of road with fog dissipat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9620A (en) * 2009-03-04 2013-07-10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A fan assembly
KR101713673B1 (en) * 2015-08-28 2017-03-08 김도현 The pillar of road with fog dissipating fun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946B1 (en) * 2020-10-16 2021-09-30 이주성 The safe driving guidance system using the falling rainwater of the bridge
CN114687317A (en) * 2022-01-22 2022-07-01 象谱信息产业有限公司 Artificial intelligence automatic elimination group's fog defogging bullet based on internet
CN114687317B (en) * 2022-01-22 2024-05-14 象谱信息产业有限公司 Internet-based demister capable of automatically eliminating mist by artificial intellig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248B1 (en)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916B1 (en) Safety lighting guard rail for road
KR200439258Y1 (en) luminous post for safety fense
KR20190023719A (en) Stanchion removing fog for road
CN101885323A (en) Adopt the vehicle lamp cleaning device and the method for super sonic and sensor
KR101140531B1 (en) Safety display device of road boundary stone
US20160221496A1 (en) Warning system for a turning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warning system
KR101771642B1 (en) Curb road road safety indicator
CN111425787A (en) Traffic light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by itself to prevent falling leaves from being adsorbed based on wind power
RU101048U1 (en) PEDESTRIAN LIGHTING DEVICE
CN204678297U (en) A kind of meteorological dedicated test street lamp
CN209856921U (en) Roadside lighting device with fog purification performance
KR20200095602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purifpying air based on photocatalyst
ES1078731U (en) Luminous device autonomous advisor for pedestrian step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KR102151974B1 (en) Pedestrian notice device in non-traffic signal crosswalk
ES2422505B1 (en) ACTIVE AND BRIGHT HORIZONTAL SIGNALING FOR ROAD SAFETY AND PEDESTRIAN STEPS.
ES2724048A1 (en) SMART PEDESTRIAN STEP WITH PRESENCE DETECTOR.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ES2678269A1 (en) Conflict point alert system and improvement of pedestrian visibility in zebra crossing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KR20220074651A (en) Smart gaze guidance device using eco-friendly power generation
KR100742249B1 (en) Signal light
KR101071375B1 (en) Construction plate
CN208521458U (en) A kind of traffic safety lamp
CN217238921U (en) Laser projection pedestrian street crossing prompting structure
CN109653113A (en) A kind of road water level caution system
CN207458349U (en) A kind of traffic signal lamp
KR102281076B1 (en) Lighting management system for roadside b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