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877A - 유량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유량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877A
KR20190022877A KR1020197003534A KR20197003534A KR20190022877A KR 20190022877 A KR20190022877 A KR 20190022877A KR 1020197003534 A KR1020197003534 A KR 1020197003534A KR 20197003534 A KR20197003534 A KR 20197003534A KR 20190022877 A KR20190022877 A KR 20190022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valve plate
block
restric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825B1 (ko
Inventor
유민 유
후아유안 지앙
치 우
Original Assignee
항저우 산후아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산후아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항저우 산후아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2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16K27/04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with pivotal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8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35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for rotating valves

Abstract

차량의 열 교환 시스템용 유량 제어 장치는 하우징(1)과 밸브 카트리지 조립체(2)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탑재 공동에 위치하는 제한 부(63)가 밸브 카트리지 조립체의 트랜스미션 부(6)에 구비되며; 대응하여, 제한 리세스(71), 제1 스탑 부(72) 및 제2 스탑 부(73)가 하우징 상에 형성되며; 제한 부는 제한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한다. 트랜스미션 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제한 부는 제1 멈춤 부에 대해 인접하며; 트랜스미션 부가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제한 부는 제2 멈춤 부에 대해 인접한다. 제1 및 제2 밸브 판(21, 22)이 서로로부터 밀폐되어, 제품의 밀폐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량 제어 장치
본 출원은 2016년 7월 12일에 중화인민공화국 국가 지식 산권국에 출원된 "유량 제어 장치"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1610551487.1호를 우선권으로 청구하며, 이 중국 특허 출원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다.
본 출원은 열 교환 분야에서의 유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용 열 관리 시스템은 냉각수 순환 시스템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적어도 열 변환기, 구동 모터, 물 저장 케틀(kettle), 전기 물 펌프, 흐름 경로 전환 요소, 방열 탱크 고온 존 및 고전압 정 온도 계수(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장치를 포함한다. 흐름 경로 전환 요소는 파이프라인과 순환적으로 연결되며, 냉각수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데 사용될 수 도 있다. 예컨대, PTC 가열 장치가 하이브리드 전기차에 추가되어, 불충분한 잔열의 부족을 보충하며, 냉각수를 전환하여 PTC 가열 장치로 흐르도록 해야 할 수 도 있으며, PTC 가열 장치를 전환하는 공정에서, 또한 냉각수의 흐름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현재, 냉각수용 흐름 경로 전환 요소는 예컨대 모터-구동 피스톤 밸브와 같은 하이브리드 및 순수 전기차 산업에서 광범위한 응용 범위를 갖고 있다. 피스톤 밸브는 그 밸브 본체에 탑재되는 밸브 본체 조립체를 가지며, 밸브 본체 조립체는 밸브 본체 샤프트에 의해 감속 기어 메커니즘에 연결되며, 감속 기어 메커니즘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밸브 본체 조립체를 구동하여 왕복 선형 움직임을 실행하여 밸브 본체 조립체에 의해 밀폐되는 위치를 변화시킨다. 그러나 피스톤 밸브에 사용되는 밀폐 링은 고무 소재로 만들어서, 가동성 밸브 본체에 의해 가압될 때 과도하게 변형되거나 손상되기 쉽다. 그러므로 장기간 사용 후, 냉각수의 흐름 경로의 밀폐 성능은 매우 열화되기 쉬우며, 피스톤 밸브의 내부 누출이 초래될 수 도 있다. 피스톤은, 새 밀폐 링이 교체된 후에만 계속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사용에 역효과를 미칠 수 도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은 내부 밀폐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유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에 따른 유량 제어 장치는 다음의 기술적 해법을 채택한다. 유량 제어 장치는 하우징과 밸브 본체 조립체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탑재 챔버를 가지며, 밸브 본체 조립체는 탑재 챔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밸브 본체 조립체는 제1 밸브 판, 제2 밸브 판 및 트랜스미션 부를 포함하며, 하우징은 탑재 챔버의 바닥 측에 위치-제한 돌출부 및 수용 부분을 갖는다. 제1 밸브 판은 수용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며, 위치-제한 돌출부는 제1 밸브 판의 위치를 원주 방향에서 제한할 수 있다. 제2 밸브 판의 하면이 위치-제한 돌출부 반대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제2 밸브 판의 하면은 제1 밸브 판의 상면과 면 접촉하여 밀폐된 방식으로 배치된다.
하우징은 탑재 챔버의 바닥 측에 적어도 하나의 흐름 구멍을 갖는다. 제1 밸브 판은, 이 흐름 구멍에 대응하며 이 흐름 구멍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 밸브 포트를 가지고, 제2 밸브 판은 트랜스미션 부에 상대적으로 고정되게 연결되며 트랜스미션 부에 의해 구동되며, 제2 밸브 판은 제1 밸브 판의 흐름 밸브 포트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며 및/또는 흐름 밸브 포트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트랜스미션 부는 제1 트랜스미션 부분과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을 포함하며, 제1 밸브 판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서, 제1 트랜스미션 부분과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은 트랜스미션 부의 2개의 반대편 단부에 위치한다. 제1 트랜스미션 부분은 제2 밸브 판의 상측과 조립된다. 하우징은 제2 트랜스미션 부분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며,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은 이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하우징 외부로 연장한다.
트랜스미션 부는 탑재 챔버에 위치하는 위치-제한 부분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위치-제한 리세스, 제1 블록 부분 및 제2 블록 부분을 형성하며, 위치-제한 부분은 위치-제한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한다. 트랜스미션 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위치-제한 부분은 제1 블록 부분에 대해 인접하며, 트랜스미션 부가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위치-제한 부분은 제2 블록 위치에 대해 인접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제1 밸브 판과 제2 밸브 판은 본 출원에 따라 서로에 대해 밀폐되게 배치되어, 유량 제어 장치의 내부 밀폐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조립된 상태에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량 제어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량 제어 장치의 사시 부분 단면도로서, 조립 시, 유량 제어 장치의 하우징과 밸브 본체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유량 제어 장치의 사시 부분 분해도로서, 조립 시, 유량 제어 장치의 제어 구성요소와 하우징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유량 제어 장치의 분배 본체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배 본체의 개략적 사시 평면도이다.
도 6은 조립된 상태에서의 도 2의 유량 제어 장치의 밸브 본체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각도에서 본, 도 6의 조립된 밸브 본체 구성요소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밸브 본체 구성요소의 사시 분해도이다.
도 9는 제1 밸브 판 및 제2 밸브 판과 조립되는 도 4의 분배 본체를 도시하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각도에서 본, 도 9의 조립된 분배 본체, 제1 밸브 판 및 제2 밸브 판을 도시하는 사시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어 구성요소와 조립되는 도 6의 밸브 본체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조립체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3은 트랜스미션 부재와 조립되기 전 도 3의 하우징의 커버 본체를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4는 조립된 상태에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량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5는 조립된 상태에서의 도 14의 유량 제어 장치의 밸브 본체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밸브 본체 구성요소의 개략적 사시 분해도이다.
도 17은 트랜스미션 부재와 조립되기 전 도 14의 하우징의 커버 본체를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밸브 본체 구성요소의 트랜스미션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량 제어 장치(100)는 차량 공조 시스템 또는 가정내 공조 시스템과 같은 열 교환 시스템에 적용될 수 도 있다. 구체적으로, 유량 제어 장치에서 흐르고 있는 유동 매체는 물, 물과 기타 액체로 된 혼합액 또는 열 전달성을 갖는 기타 냉각수일 수 도 있다. 유량 제어 장치는 유동 매체의 분배를 제어하여, 유동 매체가 열 교환 시스템의 기타 작동 매체와 열 교환하게 하며, 그 후 분배를 유량 제어 장치의 매체 유출 유량으로 조정하여 열 교환 시스템의 흐름 경로에서 유동 매체를 제어하여 열 교환 시스템의 흐름 경로를 제어 시 성능을 개선 및 최적화할 수 있다.
유량 제어 장치(100)는 새로운 에너지 자동차 공조 시스템의 파이프라인에 제공되어, 가열 및 환기 흐름 경로, 배터리 냉각 흐름 경로 및 배터리 가열 흐름 경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량 제어 장치의 다수 방향 제어 구조의 배치를 통해, 유량 제어 장치는 동일한 유입구로부터 상이한 유출구로의 작동 매체를 비례적으로(in proportion) 분배한다. 유량 제어 장치는 2개 이상의 열 교환 시스템 회로에 위치할 수 있으며, 열 교환 시스템과 협력할 수 있어서 흐름 경로 전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열 교환 시스템의 상이한 흐름 경로로 흐르는 작동 매체의 유량의 비례 분배(proportional distribution)를 실현할 수 있다.
유량 제어 장치는 하우징(1), 밸브 본체 조립체(2) 및 제어 구성요소(3)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분배 본체(11)와 커버 본체(12)를 포함한다. 분배 본체는 탑재 챔버(101)를 가지며, 탑재 챔버(101)의 상측은 탑재 개구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탑재 개구는 분배 본체의 상부 포트로서 규정될 수 도 있다. 밸브 본체 조립체(2)는 탑재 개구로부터 탑재 챔버(101) 내에 배열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탑재 챔버에 수용된다. 또한, 분배 본체(11)는 커버 본체(12)와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분배 본체(11)와 커버 본체(12)에는 각각 나사 탑재 구멍이 구비되며, 나사 요소(4)에 의해 함께 조립될 수 도 있어서, 상대적으로 고정되게 배치될 수 도 있다. 하우징(1)과 제어 구성요소(3)는 또한 나사산 연결에 의해 함께 조립된다.
하우징(1)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와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1)은 제1 파이프라인, 제2 파이프라인 및 제3 파이프라인을 갖는다. 제1 파이프라인은 유입구 파이프라인(102)이다. 제2 파이프라인은 제1 유출구 파이프라인(103)이며, 제3 파이프라인은 제2 유출구 파이프라인(104)이어서, 하우징(1)은 유입구(1021), 제1 유출구(1031) 및 제2 유출구(1041)를 가져서, 하나의 유입구와 2개의 유출구를 포함하는 3방향 구조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분배 본체(11)는 커버 본체(12)와 협력하여, 탑재 챔버(101)를 형성한다. 유입구, 제1 유출구 및 제2 유출구는 이들이 위치하는 열 교환 시스템 회로에서 연결 파이프라인이 끼워 맞춰질 수 도 있다. 구체적으로, 분배 본체와 하우징의 유입구 파이프라인(102), 제1 유출구 파이프라인(103) 및 제2 유출구 파이프라인(104)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구조일 수 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밸브 본체 조립체(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탑재 챔버(101)에 수용되며, 밸브 본체 조립체(2)는 제1 밸브 판(21), 제2 밸브 판(22) 및 트랜스미션 부(23)를 포함한다. 하우징(1)은 탑재 챔버의 바닥 측 상에 위치하는 수용 부분(1011)과 위치-제한 돌출부(13)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위치-제한 돌출부와 수용 부분(1011) 각각은 팬-형상 외부 윤곽을 갖는다. 수용 부분과 위치-제한 돌출부는 하우징에서 상보적으로 배치된다. "상보적 배치"는 여기서 하우징의 바닥 영역에 볼 때 규정되며, 수용 부분은 바닥 영역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위치-제한 돌출부는 바닥 영역의 다른 부분을 차지하며, 구체적으로 평면도에서, 수용 부분과 위치-제한 돌출부는 하우징의 바닥 영역의 범위 내에서 상보적으로 배치된다. 제1 밸브 판(2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부분(1011)에 위치하며, 위치-제한 돌출부(13)는 원주 방향에서 제1 밸브 판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어서, 제1 밸브 판(21)은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게 배치된다. 규정, "상대적으로 고정된 배치"는 여기서, 제1 밸브 판이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밸브 판(21)은, 위치-제한 돌출부(13)에 또한 실질적으로 상보적으로 배치되도록 수용 부분(1011)에 위치한다. 위치-제한 돌출부에 대응하여, 제1 밸브 판(21)은 실질적으로 팬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러한 구성은 제1 밸브 판의 용적을 줄일 수 있어서 소재비를 줄일 수 있다. 제1 밸브 판의 하면은 하우징과 직접 접촉하여 밀폐된 방식으로 배치되거나, 밀폐 부재가 제1 밸브 판을 하우징에 대해 밀폐하도록 추가로 구비된다. 제1 밸브 판의 상면은 제2 밸브 판과 접촉하며, 제1 밸브 판의 하면은 그 상면 반대편에 배치된다. 제2 밸브 판의 하면은 제1 밸브 판과 접촉하며, 제2 밸브 판의 상면은 제2 밸브 판의 하면 반대편에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상, 제1 밸브 판(21)과 제2 밸브 판에 수직인 방향이 여기서 수직 방향으로 규정된다. 구체적으로, 수직 방향은, 제1 밸브 판과 제2 밸브 판이 위치하는 평면에 수직이다. 즉, 수직 방향은 바로 중심 축 방향 - 이 방향을 중심으로, 제2 밸브 판이 회전함 - 이며, 또한 탑재 챔버의 축 방향으로서 또는 트랜스미션 부의 축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도 있다. 제1 밸브 판(21)의 하면은 위치-제한 돌출부(13)의 상면(131)보다 더 낮다. 제1 밸브 판의 상면은 위치-제한 돌출부(13)의 상면보다 더 높거나 동일 높이이며, 제2 밸브 판의 하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제한 돌출부의 상면 반대편에 배치된다. 수직 방향으로, 유격이 제2 밸브 판의 하면과 위치-제한 돌출부의 상면 사이에 존재하며, 이 유격은 제1 밸브 판의 두께 치수보다 크지 않다. 구체적으로, 제1 밸브 판의 두께 치수는 4mm, 5mm, 6mm, 7mm와 같이 3mm에서부터 9mm까지의 범위이다. 제1 밸브 판이 너무 얇다면, 제조하기 쉽지 않을 것이며, 열악한 구조적 강도를 갖는다. 제1 밸브 판이 너무 두껍다면, 제품의 전체 높이 치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것이며, 이 점은 소형화에 좋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원재료비를 증가시킬 것이다.
제1 블록 부분(132)과 제2 블록 부분(133)이 위치-제한 돌출부(13)의 2개의 측 상에 각각 형성된다. 제1 블록 부분과 제2 블록 부분은 위치-제한 돌출부의 2개의 측 상의 측면 에지 영역 상에 형성된다. 이 측면 에지 영역은 위치-제한 돌출부의 상면(131)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제1 블록 부분 및/또는 제2 블록 부분은 제1 밸브 판의 측면 에지 반대편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제1 밸브 판(21)은 제1 인접(abutment) 부분(2101)과 제2 인접 부분(2102)을 갖는다. 제1 밸브 판의 경우, 제1 밸브 판은 팬-형상 프로파일을 갖는 본체 부분(210)을 가지며, 본체 부분은 호-형상 부분을 포함한다. 이 호-형상 부분, 제1 인접 부분 및 제2 인접 부분은 팬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1 인접 부분(2101)은 제1 블록 부분(132) 반대편에 배치되며, 제2 인접 부분(2102)은 제2 블록 부분(133) 반대편에 배치되어, 제1 블록 부분과 제2 블록 부분은 원주 방향에서 제1 밸브 판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격이 제1 밸브 판(21)과 위치-제한 돌출부 사이에 제공되게 된다. 즉, 제1 밸브 판(21)과 하우징은 유격 끼워 맞춤되어 있다. 2mm 미만의 유격이 위치-제한 돌출부의 제1 블록 부분(132)과 제1 인접 부분(2101) 사이에 제공되며, 및/또는 2mm 미만의 유격이 제2 인접 부분(2102)과 제2 블록 부분(133) 사이에 제공된다. 하우징의 제1 밸브 판(21)과 위치-제한 돌출부(13)는 2개의 측에서 상기와 같이 유격 끼워 맞춤되도록 구현되어, 제1 밸브 판(21)은, 제1 밸브 판과 제2 밸브 판 사이에 밀폐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하우징에 용이하게 탑재된다.
제2 밸브 판(22)의 하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제한 돌출부의 상면(131) 반대편에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제1 밸브 판(22)의 하면과 위치-제한 돌출부의 상면(13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다. 유격이 제2 밸브 판의 하면과 위치-제한 돌출부의 상면(131) 사이에 제공되며, 이 유격은 0.8mm 미만이다. 그러한 배치로, 제1 회전 판에 대한 회전 동안 제2 밸브 판이 받는 마찰 저항은 감소할 수 있어서, 제2 밸브 판의 가동성을 보장한다. 게다가, 위치-제한 돌출부(13)의 상면(131)은 실질적으로 팬-형상 위치-제한 표면을 형성한다. 제1 밸브 판(21)이 제2 밸브 판에 의해 가해지는 하향 압력 또는 유동 매체에 의해 가해지는 하향 압력을 받을 때, 위치-제한 돌출부의 상면은 필요 시 위치-제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점은 제2 밸브 판의 움직임의 안정성을 개선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2 밸브 판(22)의 하면은 제1 밸브 판의 상면을 따라 전후로 회전한다. 즉, 제2 밸브 판은 가동성 밸브 판이며, 제2 밸브 판에 대해, 제1 밸브 판은 상대적으로 고정된 밸브 판으로서 역할을 한다. 제2 밸브 판은 제1 밸브 판의 상면을 따라 회전 움직임을 실행한다. 이 왕복 회전 움직임 모드는, 선형 왕복 움직임 모드와 비교하여 흐름 밸브 포트의 개폐를 보장하면서 움직임 스트로크에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점은 제품 용적 감소에 유리하다. 제2 밸브 판(22)의 하면은 제2 밸브 판의 상면의 거칠기 이하의 거칠기를 갖는다. 제1 밸브 판(21)의 상면은 제1 밸브 판의 하면의 거칠기 이하의 거칠기를 갖는다. 제1 밸브 판의 상면과 제2 밸브 판의 하면은 러빙 접촉면으로서 역할을 하며, 거칠기 요건은 상대적으로 높다. 다수회의 설계 및 반복 테스트 이후, 제1 밸브 판의 상면의 표면 거칠기는 0.03㎛ 초과 및 0.5㎛ 미만이고 및/또는 제2 밸브 판의 하면의 표면 거칠기는 0.03㎛ 초과 및 0.5㎛ 미만이며, 예를 들어, 0.03㎛, 0.04㎛, 0.05㎛, 0.06㎛, 0.07㎛, 0.08㎛, 0.09㎛, 0.1㎛, 0.2㎛, 0.3㎛, 0.4㎛, 0.45㎛, 0.485㎛ 또는 상기 범위 내의 임의의 다른 값의 표면 거칠기이며, 그에 따라 제1 밸브 판과 제2 밸브 판 사이의 밀폐 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액체 유동 매체를 내부적으로 밀폐할 수 도 있어서 내부 누출이 유동 매체를 제어 시에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제1 밸브 판의 하면과 제2 밸브 판의 상면은 넌-러빙 표면으로서 역할을 하여, 거칠기에 대한 요건이 낮아 제조비를 줄인다.
제1 밸브 판과 제2 밸브 판은 세라믹 밸브 판 또는 금속 밸브 판이어서, 각각의 밸브 판은 고 내마모성, 고 용융점, 고 경도를 갖고, 예컨대 세라믹 밸브 판의 경우, 고온에서 산화되기 쉽지 않으며, 산, 알칼리 및 염에 대해 우수한 내부식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장시간 동안 상이한 온도에서 반복해서 사용될 때, 세라믹 밸브 판 또는 금속 밸브 판은 우수한 밀폐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러버 소재와 비교하여 노화 현상이 발생하기 쉽지 않아서, 유량 제어 장치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 판과 제2 밸브 판은 각각 하부 밸브 판과 상부 밸브 판으로서 사용되며, 팬 형상으로 각각 구성되며, 그 반대편 접촉 표면의 접촉 면적은 작으며, 이 점은 그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으며, 모터의 토크에 대한 요건을 줄일 수 있고, 유량 제어 장치가 과도한 마찰로 인해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품의 비용 및 전체 중량의 감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우징(1)의 분배 본체(11)는 탑재 챔버의 바닥 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 구멍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흐름 구멍은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와 연통한다. 제1 밸브 판(21)은 하우징의 흐름 구멍에 대응하며 그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 밸브 포트를 갖는다. 흐름 밸브 포트의 개수는 흐름 구멍의 개수와 같거나 같지 않다. 예컨대, 제1 밸브 판(21)에 하나의 흐름 밸브 포트가 구비되는 경우에, 하우징의 하나 또는 2개의 흐름 구멍이 구비될 수 있거나, 예컨대, 제1 밸브 판(21)에 2개의 흐름 밸브 포트가 구비되는 경우, 하우징의 하나 또는 2개의 흐름 구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요건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제조될 수 있다. 응용 시, 흐름 밸브 포트의 개수와 흐름 구멍의 개수는 시스템 파이프라인의 요건에 따라 또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도 있다. 제2 밸브 판(22)은 팬 형상 개구(220)를 포함한다. 이 팬 형상 개구가 제1 밸브 판의 흐름 밸브 포트 부분과 부분적으로 정렬되며 밸브를 통하게 놓을 때, 유출구 중 하나는 개방될 수 있다. 제2 밸브 판(22)은 트랜스미션 부(23)에 상대적으로 고정되게 연결된다. 유량 제어 장치의 제어 구성요소(3)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력은 트랜스미션 부(23)를 구동하여 움직이게 하며, 트랜스미션 부(23)는 제2 밸브 판(22)을 구동한다. 트랜스미션 부(23)의 상부 단부는 제어 구성요소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이 상부 단부는 하우징(1)에 대해 밀폐된다. 제1 밸브 판의 상면은 제2 밸브 판의 하면과 접촉한다. 트랜스미션 부(23)에 의해 구동되어, 제2 밸브 판(22)은 제1 밸브 판의 흐름 밸브 포트를 개폐하며 및/또는 흐름 밸브 포트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게다가, 수직 방향으로, 제2 밸브 판(22)의 하면은 위치-제한 돌출부(13)의 상면 반대편에 배치되며, 제2 밸브 판(22)의 하면은 제1 밸브 판의 상면과 접촉하여, 흐름 제어 밸브의 작동 매체는 흐름 밸브 포트를 통해 흘러, 작동 매체가 제1 밸브 판과 제2 밸브 판 사이의 유격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하우징의 흐름 구멍은 탑재 챔버의 바닥 측에 제1 흐름 구멍(111)과 제2 흐름 구멍(112)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제1 유출구는 제1 흐름 구멍과 연통하며, 하우징의 제2 유출구는 제2 흐름 구멍과 연통한다. 제1 밸브 판(21)의 흐름 밸브 포트는 제1 흐름 구멍에 대응하며 그와 연통하는 제1 흐름 포트(211)와, 제2 흐름 구멍에 대응하며 그와 연통하는 제2 흐름 포트(21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밸브 판은 파티션(214)을 갖는다. 파티션은 팬 형상 본체 부분의 내측 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제1 흐름 포트(211)와 제2 흐름 포트(212)는 파티션(214)의 2개의 측 상에 형성되어, 유량 제어 장치는 흐름 채널을 가지며, 이 채널을 통해, 유입구 파이프라인(102)이 제1 유출구 파이프라인과 제2 유출구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한다. 트랜스미션 부(23)에 의해 구동되어, 제2 밸브 판(22)은 제1 밸브 판(21)의 제1 흐름 포트(211) 및/또는 제2 흐름 포트(212)를 개방할 수 있어서, 제2 밸브 판의 팬 형상 개구(220)는 제1 흐름 포트(211) 및/또는 제2 흐름 포트(212)와 연통한다. 제1 흐름 포트(211)를 개방함으로써, 하우징의 유입구 파이프라인과 제1 유출구 파이프라인은 연통될 수 있다. 제2 흐름 포트(212)를 개방함으로써, 유입구 파이프라인과 제2 유출구 파이프라인은 연통될 수 있다. 트랜스미션 부(23)는 회전 움직임을 하도록 제2 밸브 판을 제어할 수 있어서, 유입구 파이프라인으로부터 제1 유출구 파이프라인 및 제2 유출구 파이프라인에 분배되는 유량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흐름 포트와 제2 흐름 포트 모두가 동시에 개방될 때, 만약 제1 흐름 포트(211)의 개방도가 증가한다면, 제2 흐름 포트(212)의 개방도는 감소하거나, 제2 흐름 포트(212)의 개방도가 증가한다면, 제1 흐름 포트(211)의 개방도는 감소한다.
게다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분배 본체(11)는 디바이더(113), 제1 분배 챔버(114) 및 제2 분배 챔버(115)를 형성한다. 디바이더(113)는 하우징의 바닥 측으로부터 일체식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며, 위치-제한 돌출부(13)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제1 분배 챔버(114)와 제2 분배 챔버(115)는 각각 디바이더(113)의 2개의 측에 위치한다. 하우징의 제1 흐름 구멍(111)이 제1 분배 챔버(114)와 연통하며, 제2 흐름 구멍(112)이 제2 분배 챔버(115)와 연통하여, 작동 매체는 제1 흐름 구멍과 제2 흐름 구멍으로부터 각각 그에 대응하는 제1 분배 챔버와 제2 분배 챔버로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배 챔버(114)의 바닥 측이 제1 흐름 안내 부분(1141)을 형성한다. 제1 흐름 안내 부분은, 디바이더의 측벽면에 연결되는 호-형상 연결면을 가지며 및/또는 제2 분배 챔버(115)의 바닥 측은 제2 흐름 안내 부분(1151)을 형성한다. 제2 흐름 안내 부분은 디바이더의 다른 측벽면에 연결되는 호-형상 연결면을 가지며, 작동 매체를 매끄럽게 통과시켜 가능한 유체 저항을 줄이도록 작동 매체를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밸브 판(22)은 제1 밸브 판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인다. 그에 따라, 제2 밸브 판(22)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2 밸브 판은 제1 흐름 포트(211)를 개방하여, 제1 유출구 파이프라인(103)은 통하게 되며, 제2 흐름 포트(212)를 폐쇄하여, 제2 유출구 파이프라인(104)은 차단된다. 제2 밸브 판(22)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밸브 판은 제2 흐름 포트(212)를 개방하여 제2 유출구 파이프라인(104)이 통하게 되며, 제1 흐름 포트(211)를 폐쇄하여 제1 유출구 파이프라인(103)이 차단된다. 또한, 제2 밸브 판(22)의 움직임 동안, 제2 밸브 판(22)은 제1 위치로 움직일 때, 제1 흐름 포트(211)는 최대 개방도로 개방되며, 제2 흐름 포트(212)의 개방도는 0이 되며, 이 경우, 제1 흐름 포트의 흐름 면적은 최대치에 도달하며, 제2 흐름 포트의 흐름 면적은 최소치에 도달한다. 제2 밸브 판(22)이 제2 위치에 도달할 때, 제1 흐름 포트(211)의 개방도는 0이 되며, 제2 흐름 포트(212)는 최대 개방도로 개방되며, 이 경우, 제1 흐름 포트의 흐름 면적은 최소치에 도달하며, 제2 흐름 포트의 흐름 면적은 최대치에 도달한다. 제2 밸브 판(22)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위치로 움직일 때, 제1 흐름 포트(211)와 제1 흐름 포트(212)는 개방된다. 제1 흐름 포트(211)의 개방도와 제2 흐름 포트(212)의 개방도의 합은 제1 흐름 포트의 최대 개방도 또는 제2 흐름 포트의 최대 개방도와 같다. 즉, 제1 흐름 포트와 제2 흐름 포트의 흐름 면적의 합은 제1 흐름 포트와 제2 흐름 포트 중 어느 하나의 최대 흐름 면적과 같아서, 유량 제어 장치는 작동 매체의 비례적 분배를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밸브 판과 제2 밸브 판은 서로에 대해 밀폐되도록 배치되며, 이점은 제품의 밀폐 성능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으며, 제1 밸브 판과 제2 밸브 판 사이의 유격으로부터 작동 매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의 제1 흐름 구멍(111)과 제2 흐름 구멍(112)은 각각 팬 형상 또는 초승달 형상 또는 콩팥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에 따라, 제1 흐름 포트(211)와 제2 흐름 포트(212)는 팬 형상, 초승달 형상 또는 콩팥 형상이다. 제2 밸브 판의 제1 흐름 포트와 제2 흐름 포트의 흐름 면적이 증가하거나 감소함에 따라, 작동 매체의 유량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그에 따라, 흐름 밸브 포트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과정에서, 밸브 개방 특징과 밸브 폐쇄 특징은 서로와 상대적으로 일치하여 더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시스템이 작동 중일 때, 이 시스템의 유량 조절은 더욱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도 있다.
유량 제어 장치는, 실질적으로 전반적인 팬 형상을 갖는 밀폐 부재(24)를 더 포함한다. 이 밀폐 부재는 수용 부분(1011)에 위치하며, 이 밀폐 부재는 제1 밸브 판(21)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밀폐 부재와 제1 밸브 판(21)은 위치-제한 돌출부(13)에 상보적인 영역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밀폐 부재와 제1 밸브 판(21)은 수용 부분(1011)에 배치된다. 밀폐 부재(24)는 제1 관통 구멍(241)과 제2 관통 구멍(242)을 형성한다. 제1 관통 구멍(241)과 제2 관통 구멍(242) 각각은 팬 형상 또는 초승달 형상 또는 콩팥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1 관통 구멍(241)은 하우징의 제1 흐름 구멍(111)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제2 관통 구멍(242)은 하우징의 제2 흐름 구멍(112)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제1 관통 구멍(241)은 제1 밸브 판의 제1 흐름 포트(211)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제2 관통 구멍(242)은 제1 밸브 판의 제2 흐름 포트(212)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작동 매체의 매끄러운 통과를 촉진하며 유체 저항을 줄인다. 밀폐 부재(24)는 하우징(1)의 바닥 벽과 제1 밸브 판(21) 각각에 대해 인접한다. 밀폐 부재(24)는 제1 밸브 판(21)의 하면과 접촉하며, 하우징과 접촉하여, 밀폐를 실행한다. 제1 밸브 판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서, 밀폐 부재는 제1 밸브 판의 하면과 하우징 사이에 삽입된다. 하우징은 밀폐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위치지정 홈(1012)을 갖는다. 위치지정 홈은 밀폐 부재(24)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하우징과 제1 밸브 판 사이의 유격을 통해 작동 매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트랜스미션 부(23)의 일 단부가 제1 트랜스미션 부분(231)을 형성하며, 제1 트랜스미션 부분은 제2 밸브 판(22)의 상면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며, 제2 밸브 판(22)의 상면은 제1 트랜스미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고정 리세스(221)를 갖는다. 트랜스미션 부의 다른 단부는 제2 트랜스미션 부분(232)을 형성하며, 제2 트랜스미션 부분(232)은 하우징 외부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트랜스미션 부분(231)과 제2 트랜스미션 부분(232)은 트랜스미션 부의 2개의 반대편 단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의 커버 본체(12)는 제2 트랜스미션 부분(232)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관통 구멍(121)을 갖는다.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은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한다. 도 11 및 도 12를 더 참조하면, 유량 제어 장치는 어댑터(5)를 더 포함하며, 이 어댑터(5)는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다. 어댑터의 일 단부는 요철 구조에 의해 제2 트랜스미션 부분(232)과 조립되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어댑터의 다른 단부는 협력하는 내외부 스플라인에 의해 제어 구성요소(3)의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31)과 조립되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이러한 어댑터를 제공함으로써, 제어부의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과 트랜스미션 부는 상대적으로 고정되도록 서로와 조립될 수 있으며, 트랜스미션 부(23)의 움직임의 제어 가능성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5)는 본체 부분(50), 위치-제한 부분(51) 및 어댑터 트랜스미션 부분(52)을 포함한다. 본체 부분(50)과 제2 트랜스미션 부분(232)은 서로에 대해 조립된다. 위치-제한 부분(51)은 본체 부분(5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걸쳐지도록 배치된다. 위치-제한 부분(51)은 본체 부분의 중심 축의 원주 측의 일부분 상에 배치되며, 어댑터 트랜스미션 부분(52)은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31)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제어 구성요소(3)는 위치-제한 리세스(321), 제1 블록 부분(322) 및 제2 블록 부분(323)을 포함한다. 위치-제한 리세스는 대응하여 위치-제한 부분(51)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제한 리세스(321)는 제어 구성요소(3)의 쉘의 베이스(32)로부터 외부로 연장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블록 부분(322)과 제2 블록 부분(323)은 일체식으로 형성되어 위치-제한 리세스(321)의 내측에 위치한다. 안내 측 표면(324)이 제1 블록 부분(322)과 제2 블록 부분(323) 사이에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어댑터의 본체 부분(50)의 원주 측이 상대적으로 회동되게 안내 측 표면(324)에 끼워 맞춰진다. 구체적으로, 본체 부분의 외주 측은 안내 측 표면과 접촉할 수 도 있거나 접촉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위치-제한 부분(51)은 적어도 하나의 안내 만곡면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이 안내 만곡면은 연속해서 연장하는 호-형상 만곡면일 수 있거나 상호 연결되거나 별도로 배치되는 제1 안내 만곡면(511) 및 제2 안내 만곡면(512)일 수 도 있다. 제1 안내 만곡면과 제2 안내 만곡면은 각각 호-형상 만곡면이며, 제1 안내 만곡면과 제2 안내 만곡면은 상대적으로 회동되게 위치-제한 리세스(321)의 내벽에 끼워 맞춰진다. 이 실시예에서, 위치-제한 부분(51)은 제1 블록 끼워 맞춤 부분(513)과 제2 블록 끼워 맞춤 부분(514)을 포함하며, 제1 블록 끼워 맞춤 부분과 제2 블록 끼워 맞춤 부분은 위치-제한 부분의 2개의 원주 방향 배치 단부에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위치-제한 부분(51)은 단일 볼록 블록 형상을 가지며, 어댑터(5)의 본체 부분의 원주 측으로부터 연장하며, 제1 블록 끼워 맞춤 부분(513)과 제2 블록 끼워 맞춤 부분(514)은 위치-제한 부분의 2개의 외측 표면이다. 대안적으로, 위치-제한 부분(51)은, 어댑터(5)의 원주 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볼록 블록과 제2 볼록 블록이다. 즉, 제1 볼록 블록과 제2 볼록 블록은 그 사이에 이격거리를 갖도록 배치된다. 제1 볼록 블록과 제2 볼록 블록의 내측은 서로 가깝게 배치되어 서로를 향해 면하고 있으며, 제1 볼록 블록과 제2 볼록 블록의 외측은 서로로부터 멀리 등지고(back to back) 배치된다. 제1 블록 끼워 맞춤 부분은 제1 볼록 블록의 외측이며, 제2 블록 끼워 맞춤 부분은 제2 볼록 블록의 외측 상에 형성된다.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31)은 적어도 2개의 작동 위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은 적어도 2개의 작동 위치, 즉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달성할 수 있다.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31)이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위치-제한 부분(51)의 제1 블록 끼워 맞춤 부분(513)은 제1 블록 부분(322)에 대해 인접한다.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31)이 제2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위치-제한 부분(51)의 제2 블록 끼워 맞춤 부분(514)은 제2 블록 부분(323)에 대해 인접한다.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31)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대응하여, 트랜스미션 부(23)는 제2 밸브 판을 구동하여 흐름 밸브 포트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31)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며, 제1 밸브 판은 제2 밸브 판에 대해 개방으로부터 폐쇄로의 움직임 스트로크를 달성한다. 유량 제어 장치는 밀폐 링(25)을 더 포함하며, 밀폐 링은 하우징의 관통 구멍(121)의 내벽과 제2 트랜스미션 부분(232)의 원주 측 사이에 배치되어, 관통 구멍으로부터의 작동 매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구성요소의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31)이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을 구동함에 따라, 제2 트랜스미션 부분(232)에 의해 구동되어, 제1 트랜스미션 부분(231)은 제2 밸브 판(22)을 구동하여 제1 밸브 판(21)에 대한 회전 움직임을 실행한다. 제1 트랜스미션 부분(231)에 의해 구동되어, 제2 밸브 판은 제1 밸브 판의 제1 흐름 포트와 제2 흐름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31)이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제1 흐름 포트(211)는 최대 개방도로 개방되며, 제2 흐름 포트(212)의 개방도는 0이 된다.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이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제1 흐름 포트(211)의 개방도는 0이 되며, 제2 흐름 포트(212)는 최대 개방도로 개방된다.
어댑터(5)와 제2 트랜스미션 부분(232) 중 하나는 위치지정 리세스를 가지며, 어댑터(5)와 제2 트랜스미션 부분(232) 중 다른 하나는 위치지정 풀-프루핑(fool-proofing) 부분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어댑터(5)의 본체 부분의 하단부에는 위치지정 리세스(501)가 구비된다. 제2 트랜스미션 부분(232)은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233)을 갖는다. 트랜스미션 부(23)가 위치하는 수직 방향에서,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233)은 위치지정 리세스(501)에 수용되며,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233)과 위치지정 리세스(501)는 서로에 대해 고정되며, 위치지정 리세스와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은, 위치를 제한할 수 있는 잘못 끼워 맞춤 방지 구조가 형성되며, 조립된 후, 이 잘못 끼워 맞춤 방지 구조는 위치지정 리세스와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이 윈주 방향으로 꼬이는 것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위치지정 리세스(501)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지정 편평면(502)을 가지고,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지정 편평면(2331)을 가지며, 위치지정 리세스의 위치지정 편평면은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의 위치지정 편평면에 대해 인접해 있으며; 및/또는 위치지정 리세스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지정 만곡면(503)을 가지고,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지정 만곡면(2332)을 가지며, 위치지정 리세스의 위치지정 만곡면은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의 위치지정 만곡면에 대해 인접한다.
도 2, 도 3, 도 6, 도 8 및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트랜스미션 부(23)는 연결 부재(234), 트랜스미션 부재(235) 및 탄성 요소(236)를 포함한다. 연결 부재의 하단부가 제2 밸브 판에 조립되며, 연결 부재와 제2 밸브 판은 서로에 대해 고정되며, 연결 부재의 상단부는 트랜스미션 부재에 조립되며, 연결 부재와 트랜스미션 부재는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트랜스미션 부재의 하단부는 잠금 방지 리세스를 가지며, 이 잠금 방지 리세스는 대응하여 연결 부재의 상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한다. 제1 트랜스미션 부분(231)은 연결 부재의 하단부 부분에 형성되며, 제1 트랜스미션 부분은 제2 밸브 판으로 하향 연장하며, 제2 트랜스미션 부분(232)은 트랜스미션 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트랜스미션 부재의 상단부는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 연장하여, 제어 구성요소의 파워 출력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2 밸브 판과 트랜스미션 부(23)의 연결 부재 중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클로(claw)(2341)가 구비되며, 제2 밸브 판과 트랜스미션 부(23)의 연결 부재 중 다른 하나는 고정 돌출부와 각각 협력하는 고정 리세스, 예컨대 제2 밸브 판의 고정 리세스(221)가 구비된다. 적어도 2개의 고정 클로는 거울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고정 클로에 의해 구동되어, 제2 밸브 판(22)은 제1 밸브 판(21)에 대한 원주 방향 회전 움직임을 실행한다. 탄성 요소(236)의 하측은 고정 클로(2341)의 방사상 외측 상에서 잠기고, 탄성 요소의 상측은 트랜스미션 부재의 하측에 인접한다. 또한, 탄성 요소(236)의 하단부는 연결 부재(234)의 원주 측 상에서 리브(2342) 상에 잠기며, 탄성 요소의 상단부는 트랜스미션 부재(235)의 원주 측 상에서 리브(2351) 상에 잠겨서, 탄성 요소(236)는 트랜스미션 부(23)의 본체의 중간 세그먼트 영역 상에 체결되어 잠기게 되고, 트랜스미션 부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키며, 트랜스미션 부(23)가 외력에 의해 과도한 충격을 받게 될 때 트랜스미션 부(23)에 탄성 버퍼를 또한 제공한다.
트랜스미션 부(23)는 회동 부분(237)과 연결 부분(238)을 더 포함한다. 회동 부분은 제2 트랜스미션 부분(232)과 일체식으로 형성되며, 회동 부분(237)의 외주 측에 하우징(1)의 커버 본체(12)가 회동되게 끼워 맞춰진다. 하우징(1)은 대응하에 볼록한 회동 끼워 맞춤 부분(122)이 구비된다. 이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은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회동 부분을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되며,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은 회동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회동 리세스(1220)를 갖는다. 회동 리세스(1220)는 관통 구멍(121)과 연통한다. 회동 끼워 맞춤 부분(122)의 내주 측은 회동 부분(237)의 외주 측과 회동 되게 끼워 맞춰져, 회동 끼워 맞춤 부분(122)과 회동 부분(237)은 그 사이에 위주 방향 위치 제한을 달성한다. 트랜스미션 부는 하우징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트랜스미션 부(23)에 의해 구동되어, 회동 부분(237)은 하우징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전후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회동 부분(237)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밸브 본체 조립체의 움직임 위치를 제어할 수 있어서 트랜스미션 부의 모션 제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회동 끼워 맞춤 부분(122)은 하우징의 일 측 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되며, 탑재 챔버가 위치하는 측을 향해 돌출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회동 부분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연결 부분(238)은 기둥 형상으로 구성된다. 연결 부분(238)과 회동 부분(237)은 단차 형상으로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회동 끼워 맞춤 부분과 연결 부분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그 사이에 축방향 위치 제한을 달성하며, 이점은 앞선 원주방향 위치 제한과 결합되어, 트랜스미션 부의 동축도(coaxiality)를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트랜스미션 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은 제1 위치-제한 영역과 제2 위치-제한 영역을 포함하며, 이들 영역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제1 위치-제한 영역은 회동 부분의 외측 표면에 대해 인접한다. 구체적으로,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의 내주 측 표면이 제1 위치-제한 영역을 형성하고,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의 상면이 제2 위치-제한 영역을 형성하며, 제2 위치-제한 영역은 연결 부분의 상면에 대해 인접한다. 제1 위치-제한 영역과 회동 부분 사이의 원주 방향 위치-제한과, 제2 위치-제한 영역과 연결 부분 사이의 축방향 위치-제한으로, 밸브 본체 조립체의 원주 방향 위치-제한과 축방향 위치-제한이 달성될 수 있으며, 축방향 수직 방향에서의 밸브 본체 조립체의 기울어짐을 줄일 수 있고, 밸브 본체 조립체의 동축도를 개선할 수 있다. 게다가, 수직 방향에 수직인 평면 상에, 제2 위치-제한 영역은 연결 부분의 방사상 폭보다 작은 방사상 폭을 가져, 그 사이의 움직임 마찰 저항을 더 줄인다.
제어 구성요소의 쉘과 하우징(1)은 서로에 대해 조립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의 커버 본체(12)는 대응하여 제어 구성요소에 조립될 수 도 있다. 하우징과 제어 구성요소의 쉘은 나사산 연결 또는 리벳 연결에 의해 서로에게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은 고정 부분(123)을 포함하며, 제어 구성요소의 쉘은 이 고정 부분과 조립되는 고정 끼워 맞춤 부분(325)을 갖는다. 고정 부분과 고정 끼워 맞춤 부분은 나사산 연결 또는 리벳 연결에 의해 서로에게 고정되며, 고정 부분은 나사산 고정 영역 또는 리벳 고정 영역으로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구성요소(3)와 커버 본체(12)는 나사산 연결, 용접 또는 리벳 연결에 의해 서로와 조립된다. 하우징(1)은, 다른 외부 장비와 조립되기 위해, 외부 고정 프레임(124)과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외부 고정 프레임은 고정 구멍(1241)과, 이 고정 구멍 내부에 잠기는 충격 방지 링(1242)을 포함하여, 유량 제어 장치에 대한 외부 충격의 역효과를 줄인다.
하우징(1)은 그 외측 상에 제1 돌출부(125)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는 커버 본체(12)의 외측 상에 배치되어 제어 구성요소의 쉘과 조립된다. 제어 구성요소의 쉘은 제2 돌출부(326)가 구비된다.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는 서로 조립되며 고정되고, 서로에 대한 예비 위치지정 시에 하우징과 제어 구성요소의 쉘을 보조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조립될 수 있게 하고, 하우징의 제어 구성요소의 쉘과의 조립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고, 하우징과 제어 구성요소의 쉘이 서로로부터 너무 벗어나서 그에 따라 밸브 본체 조립체에 전단 응력을 생성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 밸브 본체 조립체의 동축도를 개선할 수 있고 트랜스미션 부의 모션 제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제1 밸브 판과 제2 밸브 판은 서로에 대해 더 양호하게 끼워 맞춰져서 이들 2개의 밸브 판 사이의 누출을 초래하는 것을 피하고, 트랜스미션 부와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 사이의 동축도와 밸브 본체 조립체 자체의 동축도를 개선하며, 열악한 동축도로 인해 초래되는 연결부 사이의 전단 응력을 줄인다. 제1 돌출부(125)와 제2 돌출부(326)는 그 사이에 억지(interference) 끼워 맞춤 또는 트랜지션(transition) 끼워 맞춤을 가질 수 도 있으며, 그러한 배치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는 가장 가깝게 끼워 맞춰지며, 흔들릴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또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는 그 사이에 유격 끼워 맞춤을 가지며, 이런 식으로, 서로에 대한 조립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조립 정확도는 유격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제2 돌출부(326)는 제1 돌출부(125)의 내주 측에 자리하며, 제1 돌출부(125)는 제2 돌출부의 외주 측에 대해 인접할 수 있는 스탑 구조를 갖는다. 제1 돌출부(125)는 제2 트랜스미션 부분(232)의 외주 측에 상대적으로 배치되며, 제1 돌출부의 내주 측과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의 외주 측 사이의 유격은 제2 돌출부의 측벽의 두께보다 커서, 제2 돌출부(326)는 편리하게 제1 돌출부(125)의 내주 측에 자리할 수 있다.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조립하여 서로에게 끼워 맞춰져, 제1 돌출부는 제2 돌출부의 외주 측의 위치를 원주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으며, 이점은 하우징(1)이 제어 구성요소의 쉘과 조립된 후 밸브 본체 조립체의 동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125)는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3개의 볼록 블록-형상 구조이며,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는 또한 적어도 2개의 판-형상 만곡 구조일 수 도 있으며, 제2 돌출부는 환형 기둥이며, 물론, 제2 돌출부는 또한 적어도 2개의 판-형상 만곡 구조일 수 있다. 제2 돌출부는 제1 돌출부에 꼭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도 있으며, 제2 돌출부는 제1 돌출부의 원주 방향 폭보다 큰 원주 방향 폭을 가져서, 안정적인 위치 제한이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사이에 달성될 수 있음을 보장한다. 볼록 블록 형상 구조나 판 형상 만곡 구조의 제1 돌출부의 내측 표면은 오목 호 형상 표면(1251)이 오목하게 구비되며, 호 형상 표면은 제2 돌출부의 외주 측에 대해 인접하기 위해 앞서 기재한 스탑 구조로서 역할을 한다. 호 형상 표면은 제2 돌출부의 외주 측을 향해 면하며, 유격이, 제2 돌출부(326)의 외주 측과 호 형상 표면 사이에 제공된다. 예컨대, 제1 돌출부의 내주 측과 제2 돌출부의 외주 측 사이의 유격은 0mm에서부터 0.15mm까지의 범위이다. 즉, 제1 돌출부의 내주 측과 제2 돌출부의 외주 측 사이의 유격은 또한 0.025mm에서부터 0.125mm까지의 범위일 수 도 있다. 그에 따라, 유격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조립 정확도가 보장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하우징과 제어 구성요소의 쉘 사이의 벗어남이 방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야기되는 밸브 본체 조립체의 줄어든 동축도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가 조립되어 서로와 끼워 맞춰져, 조립된 부품들의 누적 오류로 인해 야기되는 역효과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될 때 밸브 본체와 제어 구성요소 내부의 가동 구성요소에 의해 받게 되는 전단력을 줄일 수 있으며, 하우징과 제어 구성요소의 쉘이 나사 요소(4)에 의해 연결된 후 야기되는 전단 응력을 줄일 수 있어서, 유량 제어 장치의 밸브 본체 조립체의 가동 부품, 예컨대 연결 부재, 트랜스미션 부재, 어댑터, 제1 밸브 판 및 제2 밸브 판을 보호할 수 도 있다.
하우징은 그 외측 상에 보스(126)가 또한 구비되며, 제1 돌출부(125)는 보스(126)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125)는 보스(126)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이 제어 구성요소의 쉘과 조립될 때, 제1 돌출부(125)의 구조는 제2 돌출부(326)의 외주 측에 거울-대칭적으로 또는 중심-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수직 방향에서, 보스(126)의 상면과 제2 돌출부(326)의 상 단부는 서로를 향해 면하며 그 사이에 유격을 갖도록 배치되며, 유격은 0mm에서부터 3.5mm까지의 범위이다. 그러한 배치로, 하우징과 제어 구성요소의 쉘은 조립해야 할 때 서로와 더욱 쉽게 정렬될 수 도 있고, 위치 지정될 수 도 있으며, 그에 따라 하우징과 제어 구성요소의 쉘의 열악한 동일 평면성에 의해 야기되는 흔들림이 방지된다.
하우징의 외측은 다수의 리브(127)를 포함하며, 리브 각각의 일 단부는 보스(126)의 외주 측으로 연장하여, 하우징의 두께를 가능한 한 많이 줄이면서도 하우징의 구조적 강도를 개선한다. 리브(127)는 보스(126)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일 단부를 가지며, 하우징의 고정 부분(123)을 일체식으로 형성하는 다른 단부를 갖는다. 제1 돌출부(125)는 보스(126)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며, 이 구조는 더 간단한 설계와 높은 강도를 갖는다. 수직 방향에서 볼 때, 보스(126)의 내주 측은 제1 돌출부의 내주 측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거나, 보스(126)는 방사상 내부로 그리고 관통 구멍(121)을 향해 연장한다. 즉, 보스(126)는 제1 돌출부(125)보다 관통 구멍(121)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물론, 또한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할 수 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댑터가 구비되지 않을 수 도 있다. 다음은, 이 실시예의 이전 실시예로부터의 차이점을 주로 기재한다. 이 실시예에서, 트랜스미션 부(6)는 제1 트랜스미션 부분(601)과 제2 트랜스미션 부분(602)을 포함하며, 제1 트랜스미션 부분(601)과 제2 트랜스미션 부분(602)은 트랜스미션 부의 2개의 반대편 단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2 트랜스미션 부분(602)과 같은 트랜스미션 부(6)의 다른 단부는 내부 및 외부 스플라인에 의해 제어 구성요소의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에 끼워 맞춰지며 조립되어,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트랜스미션 부(6)는 연결 부재(61)와 트랜스미션 부재(62)를 포함한다. 제1 트랜스미션 부분(601)은 연결 부재의 하단 부분에 일체식으로 형성되며, 트랜스미션 부재(62)의 상단부는 하우징 외부로 연장한다. 제2 트랜스미션 부분(602)은 트랜스미션 부재의 상단부 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하우징(7)은,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이 통과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연장하기 위한 관통 구멍(700)을 갖는다. 트랜스미션 부(6)는, 하우징(7)의 탑재 챔버(701)에 위치하는 위치-제한 부분(63)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7)은 위치-제한 리세스(71), 제1 블록 부분(72) 및 제2 블록 부분(73)을 형성하며, 위치-제한 부분(63)은 위치-제한 리세스(7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한다.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에 의해 구동되어, 트랜스미션 부(6)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해 전후로 회전한다. 트랜스미션 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위치-제한 부분(63)은 제1 블록 부분(72)에 대해 인접하며, 트랜스미션 부가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위치-제한 부분(63)은 제2 블록 부분(73)에 대해 인접하여, 트랜스미션 부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정확히 제한될 수 있다. 제2 트랜스미션 부분과 위치-제한 부분은 별도로 구성되어, 조립되며 서로에게 연결된다. 물론, 제2 트랜스미션 부분(602)과 위치-제한 부분(63)은 이 실시예에서처럼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트랜스미션 부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위치-제한 부분(63)과 제2 트랜스미션 부분(602)을 가짐으로, 제한 위치에 도달한 위치-제한 부분은 정확히 제2 트랜스미션 부분에 전달될 수 있으며, 또한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어서, 위치-제한 부분(63)의 모션 정확도를 개선할 수 도 있다. 위치-제한 부분과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이 별도로 배치되는 구조와 비교하여, 이 배치는 위치를 적절히 제한할 수 있고, 지연된 위치 제한에 의해 야기되는 밸브 포트의 낮은 조정 성능을 회피할 수 있다. 위치-제한 부분(63)이 하우징에 배치되며, 제2 트랜스미션 부분(602)이 하우징 외부에 배치되므로, 그에 따라 위치-제한 부분(63)은 하우징에 의해 제2 트랜스미션 부분(602)으로부터 분리되어, 트랜스미션 동안 위치-제한 부분에 의해 받는 충격을 제거할 수 있으며, 위치 제한 과정에서 일시적인 멈춤으로 인해 기어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야기되는 과도한 충격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도 있다.
트랜스미션 부재(62)와 연결 부재(61) 중 하나가 위치지정 리세스(603)를 가지며, 트랜스미션 부재(62)와 연결 부재(61) 중 다른 하나가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604)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트랜스미션 부재(62)는 위치지정 리세스(603)를 가지며, 연결 부재(61)는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604)을 갖는다. 또한, 연결 부재(61)가 위치지정 리세스가 구비되며, 트랜스미션 부재(62)가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이 구비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도 있다. 수직 방향으로,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604)과 위치지정 리세스(603)는 조립되어 서로에게 상대적으로 고정되며, 위치지정 리세스와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은, 서로를 위치 지정할 수 있는 잘못 끼워 맞춤 방지 구조(erroneous fitting prevention structures)로 형성된다.
트랜스미션 부재(62)는 본체 부분(620)을 가지며, 본체 부분과 연결 부재(61)의 상단부는 조립되어 서로에게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제2 트랜스미션 부분(602)은 본체 부분(62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며 하우징(7) 외부로 연장한다. 위치-제한 부분(63)은 본체 부분(620)의 원주 측의 일부분 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위치-제한 부분(63)은 본체 부분의 중심 축 주위의 본체 부분의 둘레의 일부 상에 배치되며, 위치-제한 부분은 본체 부분으로부터 위치-제한 리세스(71) 내로 상방으로 돌출한다. 제어 구성요소의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702)은 트랜스미션 부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트랜스미션 부분(602)은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702)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파워 트랜스미션이 매끄럽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미션 부재의 본체 부분(620)은 회동 부분(621)과 연결 부분(622)을 포함한다. 회동 부분(621)은 하우징(7)에 회동되게 끼워 맞춰지며, 하우징(7)은 회동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회동 끼워 맞춤 부분(74)을 갖는다.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은 회동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회동 리세스(741)를 가지며, 회동 리세스는 관통 구멍(700)과 연통한다. 회동 부분(621)의 외측은 회동 끼워 맞춤 부분(74)의 내측에 회동되게 끼워 맞춰진다. 연결 부분(622)은 회동 부분(621)과 일체식으로 형성되어 단차 형태로 된다. 구체적으로, 회동 부분(621)은 원통 형상이며, 연결 부분(622)은 기둥 형상이고, 회동 부분은 연결 부분의 외부 둘레보다 작은 외부 둘레를 갖는다. 위치-제한 부분(63)은 연결 부분(622)의 원주 측의 일부분과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유량 제어 장치는 밀폐 부재(605)를 더 포함하며, 하우징은 맞물림 돌출부(75)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며, 밀폐 부재(605)는 맞물림 돌출부(75)의 외주 측에 잠겨, 하우징을 밀폐시키며, 유체 매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한다.
위치-제한 부분(63)은 제1 연장 부분(631) 및/또는 제2 연장 부분(632)을 포함한다. 제1 연장 부분(631)은 연결 부분(622)을 따라 방사상 외부로 돌출하며, 제2 연장 부분(632)은 연결 부분 및/또는 제1 연장 부분으로부터 위치-제한 리세스의 방향을 향해 돌출하며, 예컨대 수직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하거나 수직 방향에 대해 작은 각도의 방향으로 상방으로 돌출한다. 제1 연장 부분(631)과 제2 연장 부분(632) 중 적어도 하나는 위치-제한 리세스에 끼워 맞춰지며, 이 리세스에 의해, 트랜스미션 부의 위치는 바로 제한될 수 도 있다. 맞물림 돌출부(75)는 위치-제한 부분의 외주 측 상에 위치한다. 맞물림 돌출부 및 선회 끼워 맞춤 부분은 동일 측을 향해 돌출한다. 필요하다면, 예컨대, 맞물림 돌출부와 위치-제한 부분 사이의 유격이 작을 때, 맞물림 돌출부의 내주 측이 위치-제한 부분의 외주 측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어서, 위치-제한 부분이 시프트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제한 부분(63)은, 위치-제한 부분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단부에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제1 블록 끼워 맞춤 부분(633)과 제2 블록 끼워 맞춤 부분(634)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치-제한 부분(63)은 트랜스미션 부재의 원주 측으로부터 단일 볼록 블록 형상으로 연장하며, 제1 블록 끼워 맞춤 부분(633)과 제2 블록 끼워 맞춤 부분(634)은 위치-제한 부분의 2개의 외측 표면이다. 대안적으로, 위치-제한 부분(63)은, 트랜스미션 부재의 원주 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볼록 블록과 제2 블록 블록이다. 즉, 제1 볼록 블록과 제2 볼록 블록은 그 사이에 이격거리를 갖도록 배치된다. 제1 볼록 블록과 제2 볼록 블록의 내측은 서로 가깝게 배치되어 서로를 향해 면하고 있으며, 제1 볼록 블록과 제2 볼록 블록의 외측은 서로로부터 멀리 등지고(back to back) 배치된다. 제1 블록 끼워 맞춤 부분이 제1 볼록 블록의 외측이며, 제2 블록 끼워 맞춤 부분이 제2 볼록 블록의 외측 상에 형성된다. 트랜스미션 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제1 블록 끼워 맞춤 부분(633)은 제1 블록 부분에 대해 인접한다. 트랜스미션 부가 제2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블록 끼워 맞춤 부분(634)은 제2 블록 부분에 대해 인접한다.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702)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트랜스미션 부(6)를 구동할 때, 대응하여, 트랜스미션 부(23)는 제2 밸브 판을 구동하여 흐름 밸브 포트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31)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며, 제1 밸브 판은 제2 밸브 판에 대해 개방으로부터 폐쇄로의 움직임 스트로크를 달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7)은 분배 본체(703)와 커버 본체(704)를 포함한다. 분배 본체는 탑재 챔버를 형성하며, 제2 트랜스미션 부분(602)은 커버 본체로부터 외부로 연장한다. 회동 끼워 맞춤 부분(74)은 커버 본체의 일 측 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되며, 수직 방향으로 탑재 챔버를 향해 돌출한다. 제1 블록 부분(72)은 회동 끼워 맞춤 부분(74)의 외주 측과 일체식으로 형성되며, 제2 블록 부분(73)은 또한 회동 끼워 맞춤 부분(73)의 외주 측과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위치-제한 리세스(71)는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의 외주 측 상에 형성되며, 위치-제한 리세스는 제1 블록 부분과 제2 블록 부분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도록 연장한다. 제1 만곡면(6301) 및/또는 제2 만곡면(6302)은 각각 위치-제한 부분(63)의 내외측 상에 형성된다. 제1 위치-제한 표면(7101)과 제2 위치-제한 표면(7102)은 각각 위치-제한 리세스(71)의 2개의 측 상에 형성된다. 제1 블록 부분(72)은 제1 위치-제한 표면 및 제2 위치-제한 표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제2 블록 부분(73)은 제1 위치-제한 표면 및 제2 위치-제한 표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제1 만곡면(6301)과 제2 만곡면(6302)은 각각 위치-제한 리세스(71)의 제1 위치-제한 표면(7101)과 제2 위치-제한 표면(7102)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앞선 실시예들은 본 출원에 기재한 기술적 해법을 제한하기보다는 본 출원을 단지 예시하고자 하는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 본 출원이 앞서 언급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재되었을지라도, 당업자는, 당업자들이 본 출원을 또한 변경할 수 있거나 등가적으로 대체할 수 있음과, 본 출원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모든 기술적 해법과 개선이 본 출원의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 커버되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2)

  1. 유량 제어 장치로서,
    하우징과 밸브 본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탑재 챔버를 가지고, 상기 밸브 본체 조립체는 상기 탑재 챔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밸브 본체 조립체는 제1 밸브 판, 제2 밸브 판 및 트랜스미션 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탑재 챔버의 바닥 측에 수용 부분 및 위치-제한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1 밸브 판은 상기 수용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위치-제한 돌출부는 상기 제1 밸브 판을 원주 방향에서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밸브 판의 하면이 상기 위치-제한 돌출부 반대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밸브 판의 하면은 밀폐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밸브 판의 상면과 면 접촉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탑재 챔버의 바닥 측에 적어도 하나의 흐름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밸브 판은, 상기 흐름 구멍에 대응하며 상기 흐름 구멍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 밸브 포트를 갖고, 상기 제2 밸브 판은 상기 트랜스미션 부에 상대적으로 고정되게 연결되며 상기 트랜스미션 부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2 밸브 판은 상기 제1 밸브 판의 흐름 밸브 포트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고 및/또는 상기 흐름 밸브 포트의 개방도를 조정하며; 상기 트랜스미션 부는 제1 트랜스미션 부분과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판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서, 상기 제1 트랜스미션 부분과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은 상기 트랜스미션 부의 2개의 반대편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트랜스미션 부는 상기 제2 밸브 판의 상측과 조립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부분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부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하며,
    상기 트랜스미션 부는 상기 탑재 챔버에 위치하는 위치-제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위치-제한 리세스, 제1 블록 부분 및 제2 블록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제한 부분은 상기 위치-제한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트랜스미션 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위치-제한 부분은 상기 제1 블록 부분에 대해 인접하며, 상기 트랜스미션 부가 상기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위치-제한 부분은 상기 제2 블록 부분에 대해 인접하는, 유량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부는 서로에게 조립되는 연결 부재와 트랜스미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스미션 부분은 상기 연결 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트랜스미션 부분과 상기 제2 밸브 판은 조립되어 서로에게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하고,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은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의 상단부에 일체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부분과 상기 위치-제한 부분은 일체식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부분과 상기 위치-제한 부분은 별도로 배치되고 조립되어 서로에게 연결되며, 상기 위치-제한 부분은,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의 원주 측에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제1 블록 끼워 맞춤 부분과 제2 블록 끼워 맞춤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 끼워 맞춤 부분과 상기 제2 블록 끼워 맞춤 부분은 서로에게 연결되거나 별도로 형성되며, 상기 트랜스미션 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블록 끼워 맞춤 부분은 상기 제1 블록 부분에 대해 인접하며, 상기 트랜스미션 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블록 끼워 맞춤 부분은 상기 제2 블록 부분에 대해 인접하는, 유량 제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흐름 밸브 포트의 개수는 상기 흐름 구멍의 개수와 같거나 같지 않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는 연결 부재와 트랜스미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는 상기 위치-제한 부분과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을 일체식으로 형성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는 본체 부분을 갖고, 상기 본체 부분과 상기 연결 부재의 상단부는 조립되어 서로에게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은 상기 본체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하고, 상기 위치-제한 부분은 상기 본체 부분의 원주 측의 일부분 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제한 부분은 상기 본체 부분으로부터 상기 위치-제한 리세스 내로 상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유량 제어 장치는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구성요소의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이 상기 트랜스미션 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은 상기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유량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회전하고(rotate back and forth),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의 본체 부분은 회동 부분과 연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 부분은 상기 하우징에 회동되게 끼워 맞춰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동 부분에 대응하게 배치되는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을 갖고, 상기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은 상기 회동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회동 리세스를 갖고, 상기 회동 리세스는 상기 관통 구멍과 연통하고, 상기 연결 부분은 단차 형상이 되도록 상기 회동 부분과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제한 부분은 상기 연결 부분의 원주 측의 일부분에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제한 부분은, 서로에게 연결되는 제1 블록 끼워 맞춤 부분과 제2 블록 끼워 맞춤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블록 끼워 맞춤 부분은 상기 제1 블록 부분에 대해 인접하며, 상기 트랜스미션 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블록 끼워 맞춤 부분은 상기 제2 블록 부분에 대해 인접하고, 상기 유량 제어 장치는 밀폐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맞물림 돌출부를 일체식으로 형성하며,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맞물림 돌출부의 외주 측에 잠기는, 유량 제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 부분은 제1 연장 부분 및/또는 제2 연장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 부분은 상기 연결 부분을 따라 방사상 외부로 돌출하고, 상기 제2 연장 부분은 상기 연결 부분 및/또는 상기 제1 연장 부분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맞물림 돌출부는 상기 위치-제한 부분의 외주 측 상에 위치하며, 상기 맞물림 돌출부 및 상기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은 동일 측을 향해 돌출하는, 유량 제어 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분은 원통 형상이고, 상기 연결 부분은 기둥 형상이고, 상기 회동 부분은 상기 연결 부분의 외부 둘레보다 작은 외부 둘레를 갖고, 상기 회동 부분의 외측은 상기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의 내측에 회동되게 끼워 맞춰지며; 상기 하우징은 분배 본체와 커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 본체는 상기 탑재 챔버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부분은 상기 커버 본체로부터 외부로 연장하고, 상기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은 상기 커버 본체의 일 측 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탑재 챔버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1 블록 부분은 상기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의 외주 측과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록 부분은 상기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의 외주 측과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제한 리세스는 상기 회동 끼워 맞춤 부분의 외주 측 상에 형성되며, 상기 위치-제한 리세스는 상기 제1 블록 부분과 상기 제2 블록 부분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연장하는, 유량 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1 만곡면 및/또는 제2 만곡면이 각각 상기 위치-제한 부분의 2개의 측 상에 형성되고, 제1 위치-제한 표면과 제2 위치-제한 표면은 각각 상기 위치-제한 리세스의 2개의 측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블록 부분은 상기 제1 위치-제한 표면 및 상기 제2 위치-제한 표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블록 부분은 상기 제1 위치-제한 표면 및 상기 제2 위치-제한 표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만곡면 및/또는 상기 제2 만곡면은 각각 상기 위치-제한 리세스의 측면에 면하도록 배치되는, 유량 제어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 중 하나가 위치지정 리세스를 갖고, 다른 하나가 위치지정 풀-프루핑(fool-proofing) 부분을 갖고, 수직 방향에서, 상기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은 상기 위치지정 리세스에 수용되며, 상기 위치지정 리세스와 상기 위치지정 풀-프루핑 부분은, 서로를 위치 지정하고 있는 잘못 끼워 맞춤 방지 구조(erroneous fitting prevention structures)로 형성되는, 유량 제어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분과 상기 위치-제한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에 상보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밸브 판에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제1 밸브 판의 하면이 상기 위치-제한 돌출부의 상면보다 낮고, 상기 제1 밸브 판의 상면은 상기 위치-제한 부분의 상면보다 높거나 그와 동일한 높이고, 제1 블록 부분과 제2 블록 부분이 각각 상기 위치-제한 돌출부의 2개의 측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밸브 판은 제1 인접 부분과 제2 인접 부분을 갖고, 상기 제1 인접 부분은 상기 위치-제한 돌출부의 제1 블록 부분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인접 부분은 상기 위치-제한 돌출부의 제2 블록 부분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블록 부분과 상기 제2 블록 부분은 상기 제1 밸브 판의 위치를 원주 방향에서 제한하는, 유량 제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판과 상기 하우징은 유격 끼워 맞춤(clearance fit)되어 있고, 2mm 미만의 유격이 상기 위치-제한 돌출부의 제1 블록 부분과 상기 제1 인접 부분 사이에 제공되고 및/또는 2mm 미만의 유격이 상기 제2 블록 부분과 상기 제2 인접 부분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밸브 판은 가동 밸브 판이고, 상기 제1 밸브 판은 상기 제2 밸브 판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된 밸브 판으로서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밸브 판은 상기 제1 밸브 판의 상면을 따라 회전 움직임을 실행하고, 상기 제2 밸브 판의 하면은 상기 제2 밸브 판의 상면의 거칠기 이하의 거칠기를 가지며, 상기 제1 밸브 판의 상면은 상기 제1 밸브 판의 하면의 거칠기 이하의 거칠기를 갖는, 유량 제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판의 상면의 표면 거칠기는 0.03㎛ 초과 및 0.48㎛ 미만이고 및/또는 상기 제2 밸브 판의 하면의 표면 거칠기는 0.03㎛ 초과 및 0.48㎛ 미만이고, 상기 위치-제한 돌출부의 제1 블록 부분 및/또는 제2 블록 부분은 상기 제1 밸브 판의 측면 에지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블록 부분과 상기 제2 블록 부분은 상기 위치-제한 돌출부의 2개의 측 상의 측면 에지 영역 상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 에지 영역은 상기 위치-제한 돌출부의 상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밸브 판은 팬-형상 프로파일을 갖는 팬-형상 본체 부분을 갖고, 상기 팬-형상 본체 부분은 호-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호-형상 부분과, 상기 제1 인접 부분과, 상기 제2 인접 부분은 상기 팬-형상 본체 부분을 형성하는, 유량 제어 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판은 유출구 파이프라인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 밸브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이 제1 위치나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트랜스미션 부는 상기 흐름 밸브 포트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제2 밸브 판을 구동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출력 부분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상기 트랜스미션 부를 구동하고, 상기 제1 밸브 판은 상기 제2 밸브 판에 대해 개방으로부터 폐쇄로 움직임 스트로크를 실행하고, 상기 유량 제어 장치는 밀폐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의 회동 부분의 원주 측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트랜스미션 부와 상기 제2 밸브 판 중 하나에는 적어도 2개의 고정 클로(claw)가 구비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와 상기 제2 밸브 판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고정 클로와 각각 협력하는 고정 리세스가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고정 클로는 거울 대칭 또는 중심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 클로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2 밸브 판은 상기 제1 밸브 판에 대해 원주 방향 회전 움직임을 실행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는 탄성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요소의 하측이 상기 고정 클로의 방사상 외측 상에 고착되며(stuck), 상기 탄성 요소의 상측이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부분에 대해 인접하는, 유량 제어 장치.
KR1020197003534A 2016-07-12 2017-06-21 유량 제어 장치 KR102202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551487.1 2016-07-12
CN201610551487.1A CN107606236B (zh) 2016-07-12 2016-07-12 流量控制装置
PCT/CN2017/089310 WO2018010528A1 (zh) 2016-07-12 2017-06-21 流量控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877A true KR20190022877A (ko) 2019-03-06
KR102202825B1 KR102202825B1 (ko) 2021-01-15

Family

ID=6095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534A KR102202825B1 (ko) 2016-07-12 2017-06-21 유량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82780B2 (ko)
EP (1) EP3486537B1 (ko)
JP (1) JP6726799B2 (ko)
KR (1) KR102202825B1 (ko)
CN (1) CN107606236B (ko)
WO (1) WO20180105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463A1 (en) * 2022-10-19 2024-04-25 Hanon Systems Disc coolant valve with self-leveling flow control disc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7380B1 (ja) * 2019-06-11 2020-08-05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装置
DE112020004331T5 (de) 2019-09-13 2022-05-25 Denso Corporation Ventilvorrichtung
TWM598908U (zh) * 2019-11-29 2020-07-21 全球旺科技股份有限公司 可微電腦控制的電動閥
KR20210098087A (ko) * 2020-01-31 2021-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량제어밸브 장치
KR20210119659A (ko) 2020-03-25 2021-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량제어밸브 장치
CN112283403A (zh) * 2020-11-10 2021-01-29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燃油转换阀密封结构及燃油转换阀
CN113968428B (zh) * 2021-09-26 2023-06-13 山东美事达农牧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不同尺寸的饲料加工设备的闸板
US11939981B2 (en) * 2021-12-16 2024-03-26 Robert Bosch Llc Rotary disc val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95881Y (zh) * 2008-04-23 2009-02-18 李飞宇 便后人体局部冲洗装置的控制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3404A1 (en) * 1997-11-05 1999-05-14 Amerikam, Inc. Tub and shower diverter valve
US7007717B2 (en) * 2003-08-01 2006-03-07 Globe Union Industrial Corp. Spindle structure for a ceramic faucet
CN200955608Y (zh) * 2006-09-26 2007-10-03 谢向奇 一种陶瓷换向阀芯
CN201513601U (zh) * 2009-07-02 2010-06-23 开平市水口镇艾帝尔卫浴五金厂 一种分水阀芯
DE102012022213B4 (de) * 2012-11-07 2019-04-25 Mack & Schneider Gmbh Ventileinrichtung
DE202012012981U1 (de) * 2012-11-07 2014-06-18 Mack & Schneider Gmbh Scheibenventil
US8985147B2 (en) * 2013-05-27 2015-03-24 Hain Yo Enterprises Co. Ltd. Fine ceramic control valve
CN203309159U (zh) * 2013-06-19 2013-11-27 厦门瑞尔特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流量可调的切换阀
CN204784856U (zh) * 2015-06-29 2015-11-18 广东汉特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控制式阀芯
CN205155250U (zh) * 2015-11-25 2016-04-13 厦门瑞尔特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泄水功能的分水阀及具有该分水阀的便器盖板
EP3470713B1 (en) 2016-06-08 2024-05-01 Zhejiang Sanhua Intelligent Controls Co., Ltd. Flow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95881Y (zh) * 2008-04-23 2009-02-18 李飞宇 便后人体局部冲洗装置的控制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463A1 (en) * 2022-10-19 2024-04-25 Hanon Systems Disc coolant valve with self-leveling flow control dis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6537A1 (en) 2019-05-22
JP6726799B2 (ja) 2020-07-22
JP2019521301A (ja) 2019-07-25
EP3486537A4 (en) 2020-03-25
US20190309862A1 (en) 2019-10-10
CN107606236A (zh) 2018-01-19
EP3486537B1 (en) 2022-04-13
US10982780B2 (en) 2021-04-20
WO2018010528A1 (zh) 2018-01-18
CN107606236B (zh) 2020-06-26
KR102202825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2877A (ko) 유량 제어 장치
US10920894B2 (en) Flow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941871B2 (en) Flow control apparatus
US11125345B2 (en) Flow control device
US11285781B2 (en) Fluid heat exchange assembly, and heat management system of vehicle
CN108119672B (zh) 流量控制装置
CN108119671B (zh) 流量控制装置
WO2018086553A1 (zh) 流体换热组件及车辆热管理系统
CN108068576B (zh) 流体换热组件
CN109210236B (zh) 流量控制装置
US20240003458A1 (en) Valve device
CN107477211A (zh) 流量控制装置
US20240003440A1 (en) Valve device
US20230228333A1 (en) Valve device
EP4286719A1 (en) Electric valve
CN107477212B (zh) 流量控制装置
CN112648362A (zh) 用于控制流体循环的阀组件及其密封构件
US20230220918A1 (en) Multi-Passage Valve
WO2024061186A1 (zh) 控制阀
US20230228335A1 (en) Valve device
CN117146011A (zh) 一种控制阀
CN107606206B (zh) 流量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