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807A - 휴대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807A
KR20190022807A KR1020197002714A KR20197002714A KR20190022807A KR 20190022807 A KR20190022807 A KR 20190022807A KR 1020197002714 A KR1020197002714 A KR 1020197002714A KR 20197002714 A KR20197002714 A KR 20197002714A KR 20190022807 A KR20190022807 A KR 20190022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put device
panel
in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973B1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KR102020703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8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2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6Arrangements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integrated keyboard for transport,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전체 화면을 수직 혹은 수평 분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는 상호 인접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입력장치도 상호 인접되므로서, 두 개의 입력장치를 하나의 입력장치처럼 사용하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표시장치{PORT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처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입력장치가 장착되었을 때에도 상기 입력장치도 하나의 입력장치처럼 사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에서 화면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화면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LCD, OLED, FED, PDP, 전자 종이(Electric Paper)등과 같은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별도의 패널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하우징 각각에 디스플레이를 장착할 때,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인접되는 구조를 갖더라 하더라도, 별도의 두개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만큼 화면 비표시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화면 비표시 영역은, 경계선, 보호판 혹은 보호 부재의 두께, 패널하우징의 두께 및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이음매 부분의 여유 간격 등에 의해 생기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한 변을 효과적으로 설계하여 디스플레이 사이에 발생하는 화면 비표시영역인 이음매를 최소화한다. 이를 위해 한 변이 효과적으로 설계된 디스플레이를 서로 인접되도록 배치함으로서인 이음매가 최소화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6-0038432호(2006년05월03일)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처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입력장치가 장착되었을 때에도 상기 입력장치도 하나의 입력장치처럼 사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전체 화면을 수직 혹은 수평 분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는 상호 인접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장치 혹은 제 1 센서와 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장치혹은 센서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위에서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되는 정보가 제 1, 2 입력장치 혹은 제 1,2 센서에 걸쳐서 있음에도 하나의 입력장치 혹은 하나의 센서에서 정보가 입력되는 것처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은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4mm 미만이며, 상기 입력장치의 간격도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4mm 미만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광학 수단이 구비되었을 때 상기 광학 수단 사이의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3mm 미만이다.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상단에 광학 수단이 구비되고, 그 상단에 입력장치가 구비된다.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가 구비되고, 그 상단에 광학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패널하우징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하나의 화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두 개의 화면을 하나의 화면처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을 가지므로 두 개의 화면을 가지면서 하나의 화면을 가지는 것과 같은 제어 방법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내지 도 9는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를 나타탠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단면 구조를 나나태는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2내지 도 15는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휴대용 표시장치의 블록도와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6내지 도 27은 디스플레이, 입력장치 혹은 광한 수단이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내지 도 33은 디스플레이 모듈(Module)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내지 도 43은 디스플레이와 프레임이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내지 도 48은 입력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9내지 도 55는 디스플레이 측면을 커바하는 커버 구조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6내지 도 58은 패널하우징 내부 구조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9 내지 도 62는 패널하우징 측벽의 고정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3과 도 64는 축의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5 내지 도 67은 디스플레이 측면을 커하는 커버의 또 다른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8 내지 도70은 본 발명의 축의 구조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1은 측면커버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2와 도 73은 창살 형태의 측면 커버가 이동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4는 축의 원리로서 캠이 장착된 힌지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75 와 도 76은 디스플레이를 숫자를 줄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7내지 도 80은 두 개의 화면이 구비되고, 키 입력부가 두 부분으로 분리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1에서 도 85는 두 개의 패널하우징과 두 개의 키 입력부가 구비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6내지 도 90은 커버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1내지 도 94는 패널하우징 내부로 이동하는 커버수단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5 내지 도 100은 적층된 상태의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되도록 펼쳐지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1내지 도 104는 디스플레이가 외부에 위치하도록 접히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5내지 도 108은 두 개의 패널하우징을 결합하는 실시예의 방법이다.
도 109내지 도 112는 디스플레이와 패널하우징이 하나씩 더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 개 이상의 평판 디스플레이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화면을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이다. 그리고,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디스플레이와 동일 평면상에 구비하여, 상기 입력장치도 2 개 이상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LCD, OLED, FED, PDP, 전자 종이(Electric Paper)등 평판 디스플레이 형태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세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겠다.
- 실시예 1 -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는, 두 개의 디스프레이(2)(4)와 상기 디스프레이가 장착된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패널하우징(20)(40)에는 디스프레이를 구동하거나 장착하기 위한 회로나 부품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연결축(6)에 의하여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축(6)으로 힌지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라면 반드시 힌지를 사용한 경우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힌지나 축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두 개의 패널하우징을 서로 점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면 모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가 접혀진 상태의 도면이다.
패널하우징(20)(40)의 측면에는 커버수단(85)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수단(85)은 디스플레이(2)(4)가 펼치어졌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뒷편에 위치하게 되지만 디스플레이(2)(4)가 접혀졌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측면부를 커버하게 된다. 상기 커버수단(85)의 경우 측면을 막아주기 위한 측면커버(85a)가 더 구비된다.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2)(4)가 연결되는 이음매 부분에서 디스플레이 측면을 보호하는 패널하우징(20)(40) 측벽이나 보호판 등이 얇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커버수단(85)이 디스플레이(2)(4)를 물리적 충격에서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도 3내지 도 9는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를 나타탠 도면이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입력장치의 방법은 도 3내지 도 5에 설명되었다.
도 3은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도에서처럼 입력장치(200)와 디스플레이(2)가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형태로 아웃셀(OUT-Cell) 방식이 있고, (B)도에서처럼 디스플레이(2) 상단에 바로 입력장치(200)가 위치한 형태로 온셀(On-Cell) 방식도 있다. 그리고 전혀 다른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소자 내에 마이크로(micro) 센서를 삽입하는 형태인 인셀(in-Cell) 방식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2)(4) 위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는 모두 적용된다.
도 4는 디스플레이에 삽입된 센서의 방식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그림은 디스플레이(2)에서 하나의 픽셀(Pixel)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픽셀에는 R(Red), G(Green), B(Blue)의 3 개의 화소가 구비된다. 그리고 화소의 일 부분의 면적에 TFT(Thin Film Transister) 소자도 구비되고 상기 소자와 함께 센서(Sensor)가 구비되는 것이다.
도 4의 (A)도는 마이크로 광센서(207)가 내장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A)도에 나타낸 사각형은 하나의 픽셀에 3 개의 화소가 있음을 보인다. 즉, 화소 내에 TFT소자와 마이크로 광센서(207)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광센서(207)에 대해 센서 X-Line(207b)과 센서 Y-Line(207c)이 각각 연결되어, 좌표 위치 값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4의 (B)도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207a) 방식의 센서가 내장된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 디스플레이(2)(4)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부분을 디스플레이 패널이라고 할 때, 상기 패널은 두 개의 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판 외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의 마이크로 스위치(207a)가 감지되는 원리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07a)에도 센서 X-Line(207b)과 센서 Y-Line(207c)이 각각 연결되어, 위치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가지 방법 이외에 디스플레이 화소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센서이면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됨은 당연하다.
도 5는 입력장치의 단면도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으로, 도 5의 (A)도는 정전용량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의 (B)도는 저항막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상기 (A)도에서 보호판(240) 하부에 전극판(241)이 구비되며, 상기 전극판(241)은 투명전극이 코팅된 필름이 한 장 혹은 두장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보호판(240) 상부에 전류가 통할 수 있는 손이나 핀(pin) 등을 접촉하게 되면, 접촉되는 부분의 위치가 감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B)도는 보호판(240) 상부에 투명전극이 코팅된 2 개의 필름(241a)(241b)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대향되게 구비되고, 상기 필름(241a)(241b) 상단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의 위치가 감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입력장치 상단에 외부 보호판(혹은 화장판)(240a)가 더 구비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240a)에 원하는 문양의 코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은 디스플레이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음매 부분에서는 화소 전극이 더 가깝게 위치한 형상을 가진다. 화소 전극은 화면이 표시되는 액티브 에어리어(Acrive area)를 구성하므로 결과적으로 이음매 부분에는 액티브 에어리어가 더 가깝게 위치한다는 의미이다.
디스플레이로서 LCD를 사용할 수고 있고, OLED 혹은 전자 종이등도 사용될 수 있으며, 어떠한 평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든지, 이음매부(8)에서는 디스플레이 경계(2g)와 가장 이웃하는 화소(2n) 사이의 거리는 매우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 설계한 설계 값은 모든 평판 디스플레이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에서는 OLED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그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2)(4)는 기판(51)에 절연층(53), 전극(54), 코팅 전극(58), 유기 다층막(53) 등을 구비하며, 분리막(57)을 사이에 두고 흡습층(56)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덮개 기판(52)으로 기판(51)을 덮게 된다. 이때, 격벽(2f)은 디스플레이 가장자리를 밀봉해 준다. 아울러, 이음매부 반대편에 구동부(2k)를 구비하였다.
한편 디스플레이(2)가 샤시(16)에 장착될 때에는, 이음매부에서는 샤시(16)가 디스플레이 측면 만을 카버하거나, 위 부분을 카버하게 되더라도 화면 비표시영역에 해당되는 부분(P) 만을 카버하여야 한다.(도면에 표시함)
그리고, 이러한 이음매부의 설계 구조는 OLED 방식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평판 형태의 표시장치는 모두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에의 이음매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화면을 연결하여 이음매를 최소화 하는 것이므로 디스플레이(2)(4)에서도 이음매(화면 비표시 영역)를 줄이기 위한 설계를 해야 한다.
도면에서처럼 이음매부(8)에 가장 인접한 화소 2n이 있을 때, 상기 인접 화소(2n)와 격벽(2f) 사이의 거리(J)는 1mm 이내로 하며, J 값이 0이어도 크게 문제는 없다.
또한, 격벽(2f)의 두께(K)도 1mm 이내로 하며, 최소 0.01mm 이상으로 한다. 따라서, 이음매부와 가장 인접된 화소(2n)에서 디스플레이(2)(4) 가장자리 경계(2g)까지의 거리는 2mm 이내로 한다.
여기서 격벽(2f)은 디스플레이 가장자리에서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의미한다.
한편, 디스플레이(2)(4)는 통상 샤시(16)에 장착되는 데, 상기 샤시는 알루미늄 혹은 합금 등의 금속 재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샤시에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구동부 혹은 백라이트 부품(디스플레이가 LCD로 되어 있을 경우) 등을 장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Module)을 구성한다.
이때 샤시는 반드시 금속재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된 기구물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금속재와 플라스틱 기구물의 혼용 형태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음매부(8)에서 샤시(16)의 두께는 0.01mm이상 1 mm 이내로 한다. 하지만 가장 효율적인 샤시(16)의 최대 두께는 0.5mm를 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이음매 부분에서는 개방 구조도 가능하다.
물론, 이음매부(8)에서 디스플레이 경계선(2g)과 격벽(2f)의 경계가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경계선(2g)에서 0.5mm 이내의 범위 안에서 격벽(2f)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8은 입력장치의 이음매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정전용량 방식의 형태이다. 입력장치에서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면적을 액티브 에어리어라고 할 때, 이음매 부분에서 액티브 에어리어를 나타낸 도면인 것이다.
도면에서처럼 액티브 에어리어 경계(223a)에서 입력장치 경계(250g)까지의 거리는 1mm - 2mm 혹은 3mm 이내로 한다.
도 9는 입력장치의 저항막 방식에서 이음매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즉, 투명전극이 코팅된 두 개의 기판(투명 플라스틱)이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음매부(8)에 있는 버스(250n)와 격벽 사이의 간격(M)은 1mm 이내로 하며, 그리고 격벽(250f)의 두께(L)도 0.01mm에서 1mm 이내로 한다. 물론 간격(M)이 0mm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격벽은 도전체 필름(220)이 상호 결합되거나, 입력장치 내에 다른 판이 결합될 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이음매부(8)에서는 전극선(250n)과 입력장치(200) 경계(250g)까지의 거리가 2mm 이내가 되게 된다. 혹은, 액티브 에어리어(Active Area)(250a)의 경계에서 입력장치(200) 경계(250g)까지의 거리가 2mm (혹은 3mm )이내가 되게 된다.
물론, 이음매부(8)의 경계(250g)와 격벽(250f)의 경계가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경계(250g)에서 0.5mm 이내의 범위 안에서 격벽(250f)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두가지 입력장치(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 이외에 평판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는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단면 구조를 나나태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은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져서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면, 디스프레이(2)(4)는 서로 인접된 상태가 된다. 이때, 패널하우징(20)(40)의 측면 상단에 디스프레이(2)(4)를 구비하도록 한다.
아울러, 패널하우징(20)(40) 내부에는 각종 회로 및 장치(25)(45)가 구비되고, 디스프레이(2)(4)를 받치는 받침부(26)(46)가 또한 구비된다. 그리고, 디스프레이(2)(4) 가장자리에 덮개(24)가 구비된다. 한편, 커버수단(85)은 편의상 도시 생략하였다. 또한, 회전중심 A의 연장선은 덮개(24)의 표면과 만난다. 즉 회전 중심의 높이는 덮개의 높이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4)가 상호 밀착될 때, 서로 맞 닿을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이 0.005에서 0.2mm 정도로 떨어져 있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간격이 작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측면을 밀봉 보호하는 얇은 보호 필름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도 11은 디스프레이 상단에 보호수단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덮개(24)와 패널하우징(20)(40) 측면에 단차(24a)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24a)에 보호수단(14)을 장착하므로서, 디스프레이(2)(4)의 측면과 디스프레이(2)(4) 앞면에 보호수단(14)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수단(14) 하부에 광학수단(27)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광학 수단은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경계면인 이음매를 광학적으로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수단(14)은 1 mm 혹은 0.5 mm 이하로 얇게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광학 수단이라고 하는 것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경계부에 발생하는 화면 비표시 영역을 줄이는 기능을 하는 광학 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학 수단으로는 빛을 굴절 시키는 렌즈, 마이크로 렌즈(Micro lens), 마이크로 프리즘(Micro prism)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빛의 경로를 디스플레이 경계부 쪽으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수단도 사용 가능하다.
즉, 인셀(In-cell) 방식의 입력장치일 경우에는 이음매부(8)에서 마이크로 센서 사이의 상호간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 위에서 접촉이나 포인트(Point)로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되는 정보를 감지하는 부분의 면적을 감지 면적이라고 할 때, 제 1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부분을 제 1 감지 면적 제 2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부분을 제 2 감지 면적이라고 한다면, 디스플레이(2)(4) 이음매부(8)에서 제 1 감지 면적과 제 2 감지 면적 사이의 거리는 화면 비표시 영역과 같다고 할 수 있다.
- 실시예 2 -
도 12내지 도 15는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휴대용 표시장치의 블록도와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구비되고 입력장치(250-1)(250-2)도 2 개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가 구비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블럭도로서,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 제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105)는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롬(121)은 표시장치의 수행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122)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123)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R/F부(124)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입력부(110)는 각종 입력장치 및 숫자키와 메뉴키와 선택키를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다.
중앙처리장치(105)의 출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130a)가 있으며,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1, 2 디스플레이(2)(4)가 있다.
또한 중력감지센서(235)를 구비하여,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상하로 위치하였는가 좌우로 위치하였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물론 휴대용 표시장치의 위치를 화면 제어에 반영하도록 하는 센서로서는, 가속센서, 위치센서, 자이로스콥프등 일반적으로 휴대폰에 사용되는 센서로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는 제 1, 제2 입력장치 제어부(1401-1)(140-2)를 통해서 제 1, 제 2 입력장치(250-1)(250-2)를 제어한다. 즉, 입력장치(250-1)(250-2)가 각각 2 개 존재하므로 입력장치 제어부(1401-1)(140-2)도 2 개 존재하여 각각 해당되는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인셀(In-cell) 방식의 마이크로 센서(Micro sensor)가 디스플레이 화소내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입력장치 제어부 대신 센서 제어부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센서 제어부는 마이크로 센서에 전류를 공급하며, 마이크로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모든 마이크로 센서와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X축과 Y축이 연결되어, 감지된 센서의 위치 좌표값을 알수 있게 된다.
즉, 상기에서 제 1,2 입력장치 대신 제 1,2 센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2 센서라 함음 디스플레이 화소 내에 삽입된 마이크로 센서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 1 디스플레이(2)에 삽입된 마이크로 센서의 집합을 제 1 센서, 제 2 디스플레이(4)에 삽입된 마이크로 센서의 집합을 제 2 센서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본 도면의 블록도에서 도시된 입력장치(250-1)(250-2)는 본 발명의 다른 도면에 도시되 입력장치(200)(400)와 동일한 것이다.
도 13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블록도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에서처럼, 중앙처리장치 혹은 본체제어부(105) 내에는 제어부(110), 메모리(Memory)(120)와 타임 컨트롤러(Time Controller)(125), 디스플레이 구동부(130)및 입력장치 구동부(140)가 구비된다.
즉, 제어부(110), 메모리(120), 타임 컨트롤러(125), 디스플레이 구동부(130) 및 입력장치 구동부(140)의 기능을 하는 각각의 소자가 본체 제어부(105) 내에 모두 구비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구동부(130)에서는 화면을 분할하여 제1 디스플레이(2)와 제 2디스플레이(4)에 각각 데이터를 보내게 된다. 또한, 입력장치 구동부(140)도 제1 입력장치(250-1)와 제 2 입력장치(250-2)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각각 교정하고 조정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2)(4)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소스(Source)(2b)(4b)부와 라인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Gate)부(2c)(4c)가 존재하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제 1 디스플레이(2)의 데이터 라인과 제 2 디스플레이의 데이터 라인이 반드시 1: 1로 분할될 필요는 없다. 2:3, 10: 6, 6:4 등 다양한 비율로 분할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단말기 설계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의 용량이 반드시 1:1 일 필요는 없게 된다.
도 14는 입력장치 구동부(14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교정기능 수행부(141)는 시스템이 최초 동작할 때 입력장치(250)에 대한 교정(calibration) 기능을 수행한다. 교정 기능 수행부(141)에서 수행되는 교정 기능에 따라 입력장치(250)에 대한 정확한 좌표 값에 대응되는 패널 신호가 선정된다.
즉, 디스플레이(2)(4) 해상도(Source와 Gate의 각각의 라인수)에 따라 좌표 값에 대응되는 입력장치(250) 신호가 선정되고, 상기 선정된 신호는 제어부(110)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패널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좌표 값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평균값 검출 횟수 조정부(143)는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4)의 화면 해상도 정보를 토대로 입력장치(250)로부터 출력되는 패널 신호에 대한 평균값 검출 횟수를 조정한다. 상기 화면해상도가 고해상도로 변경되면, 상기 평균값 검출 횟수는 이전에 설정된 값보다 더 크게 조정된다. 반대로 상기 화면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변경되면, 상기 평균값 검출 횟수는 이전에 설정된 값보다 더 작게 조정된다.
또한, 평균값 검출부(142)는 평균값 검출 횟수 조정부(143)에 의해 조정된 평균값 검출 횟수를 토대로 입력장치(250)로부터 전송되는 패널 신호의 평균값을 검출한다. 검출된 평균값은 조정된 패널 신호 발생부(144)로 전송된다.
조정된 패널 신호 발생부(144)는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4)의 변경된 화면 해상도 또는 가상 스크롤에 의해 변경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치 정보 및 현재 입력되는 패널 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조정된 패널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 1 입력장치(250-1)와 제 2 입력장치(250-2)가 구비되며, 따라서 상기 입력장치 구동부(140)에서는 제 1 입력장치(250-1)에 대한 신호 제어와 제 2 입력장치(250-2)의 신호 제어가 수행되게 된다.
하지만, 타임컨트롤러(125)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소자(145)는 제 1 입력장치(250-1)와 제 2 입력장치(250-2)가 교대로 입력장치 구동부(140)와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1 입력장치에(250-1)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처리한 다음 제 2 입력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처리한다는 것이며, 매우 짧은 시간을 회로적으로 나누어 교대로 각각의 입력장치(250-1)(250-2)의 신호를 처리한다는 것이다.
본 도면에서처럼 스위칭소자(145)를 사용할 경우 구동부를 한 개 사용하여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입력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스위칭소자(145)를 사용하지 않게 될 수도 있고 그럴 경우에는 입력장치 숫자 만큼 입력장치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가 작동이 되면, 본체 제어부(105)도 기능이 작동되어 각각의 장치를 구동하게 된다.(400단계)
본체 제어부(105) 내의 제어부(110)은 메모리(120)에 저장된 화면 표시 데이터 혹은 수신된 화면 표시 데이터를 분할하게 되며, 이때 이러한 기능은 제어부(105)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구동부(130)와 타임 콘트롤러(125)가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 제어부(105)는 화면을 분할하여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에 해당되는 화면 데이터 정보를 각각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402 단계)
그런다음 스위칭소자(145)에 의해 입력장치 구동부(140)는 제 1 입력장치(250-1)를 구동하게 된다. 즉, 제 1 입력장치에서 출력 되는 정보를 제어하게 된다.(404 단계) 그리고, 제 1 디스플레이(2)의 화면 표시 정보에 맞게 제 1 입력장치에서 출력된 정보를 제어한다.(406 단계)
마찬가지로 스위칭소자(145)에 의해 입력장치 구동부가 제 2 입력장치에서 나오는 출력 신호를 제어하고(408 단계), 제 2 디스플레이의 화면 표시 정보에 맞게 제 2 입력장치의 신호를 제어하게 된다.(410 단계)
그리고, 정지 명령이 없으면 계속적으로 본체 제어부는 화면을 분할하고, 각각의 입력장치를 구동하게 되지만, 정지 명령이 있으면 이러한 일련의 수행 기능은 종료하게 된다.(412 및 414 단계)
결과적으로,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전체 화면을 수직 혹은 수평 분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는 상호 인접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입력장치도 상호 인접되므로서, 두 개의 입력장치를 하나의 입력장치처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 실시예 3 -
도 16내지 도 27은 디스플레이, 입력장치 혹은 광한 수단이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동일한 거리로 떨어져 있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면에서 처럼, "V"로 표시된 부분을 보호필름 형태로 할 때에는, 보호필름은 가급적 얇게 하면서 견고하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금속막이나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혹은 수지 필름에 금속 혹은 무기물 막을 코팅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V"로 표시된 부분이 보호필름 혹은 보호수단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두께는 0.005mm이상에서 0.5mm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럴 경우에는 물리적인 충격에서 보호하기 보다는 밀봉 효과가 더 중요할 수 있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이 최소 0.01mm 이며, 최대는 1mm가 된다. 마찬가지로 두 개의 입력장치(200)(400)의 간격도 최소 0.01mm 이며 최대는 1mm가 된다.
그리고, "V"가 보호수단 형태로 될 때에는 두께를 1.5mm 이내로 할 수가 있다.
한편, "V"로 표시된 부분을 별도의 보호수단으로 하지 않고 패널하우징과 일체로 형성할 수가 있다. 그렇게 되면 디스플레이(20)(40) 측면과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패널하우징(20)(40)의 측벽이 보호하게 된다.
이때"V"로 표시된 부분을 패널하우징 측벽(20)(40) 보다 얇게 도시하였으며, 이는 가급적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하기 위해서 이다. 즉, 패널하우징 측벽보다 얇게 할 경우 적당히는 0.5mm 이내가 좋으나 최대 1mm 이내가 될 수도 있다.
즉, "V" 부분을 패널하우징(20)(40)의 다른 측벽 보다 두껍게 할 수도 있다.
혹, 패널하우징(20)(40) 측벽보다 두껍게 되더라도 2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결론적으로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는 최소 0.1mm에서 최대 4mm가 될 수가 있다.
그리고, "V"의 두께가 0.5 mm 밖에 안되어도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는 4 mm 가 될 수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측면 혹은 입력장치 측면과 "V"가 떨어져 있는 경우 그 사이가 그대로 공간일 수도 있지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당연히 이음매부(8)에서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도 최소 0.01mm에서 최대 4mm가 되는 것이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보다 입력장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의 실시예이다.
입력장치(200)(400) 사이에 구비된 판을 "V1"이라 하고 디스플레이(2)(4) 사이에 구비된 판을 "V2"라고 하면, "V1"의 거리가 "V2"의 거리보다 작다. 즉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보다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이다.
이때, "V1"과 "V2" 모두를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V2" 만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게 하고, "V1"은 별도의 보호 필름이나 보호 수단으로 할 수도 있다. 보호필름이나 보호 수단으로 할 경우에는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보호 수단이나 필름의 실시예를 그대로 따른다.
물론, "V1"과 "V2" 모두를 패널하우징과는 구별되는 보호 수단으로 만들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이음매부에서는 보호수단이 디스플레이(2)(4) 측면과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보호하게 된다.
"V2"의 두께는 1.5mm이하가 좋고, "V1"의 두께는 그 이하이다. 그리고 "V"의 실시예에 따르게 된다.
도 18내지 도 20은 광학 수단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8은 패널하우징(20)(40) 측벽에 디스플레이(2)(4)를 밀착하고, 패널하우징 측벽 상단(8b) 광학수단을 장착한 실시예이다. 디스플레이가 밀착되는 부분의 패널하우징 측벽(20)(40)은 다른 부분 보다 얇게 형성된다.
도 19는 디스플레이(2)(4)와 광학 수단(27) 사이에 "V3"와 "V4" 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V3"와 "V4" 는 패널하우징(20)(40) 측벽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패널하우징(20)(40)과는 분리된 별도의 보호 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호부재는 투명 혹은 불투명 플라스틱 수지나 합금 류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당연히 "V3"와 "V4" 는 패널하우징(20)(40)보다 얇게 형성 될 수도 있고 같은 두께로 형성 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더 두꺼울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는 4mm이내가 적당하고, 광학수단(27) 사이의 거리는 3mm이내가 적당하다.
그리고, "V3"와 "V4"의 두께의 실시예는 V1"와 "V2"의 두께 실시예에 따른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V3"가 0에 가까워 광학수단(27)이 상호접촉할 수도 있다.
도 20은 디스플레이(2)(4)와 광학 수단(27) 보호필름(14)이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와 광학수단(27) 사이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게 된다. 도면에서처럼 보호 필름을 구비하여, 최대한 거리를 가깝게 한 것이다. 당연히 상기 보호 필름은 0.5mm 이내가 된다.
도 21과 도 22는 디스플레이와 부품의 배치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40)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해도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패널하우징(20)(40)은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케이스 역할을 한다.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2)(4) 중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2)의 하부에는 바로 패널하우징(20)의 바닥판이 위치하도록 하고, 다른 디스플레이(4) 하부에는 본체 제어부 혹은 중앙 처리 장치와 밧테리 등이 구비된다.
물론 디스플레이(2)(4) 상단에 입력장치(200)(400)나 광학수단(27)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 경우는 앞의 실시예에 따른다.
도 22는 패널하우징(20)의 바닥 부분과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S)을 나타낸 도면으로, 완전히 밀착되어 간격이 0 일 수도 있지만,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너무 두껍게 할 수는 없으므로 간격(S)은 0.5mm 이내로 혹은 2.5mm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면에는 별도 도시가 생략되었지만, 상기 간격(S)에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플레이 받침부나 시트(Sheet) 모양의 충격 흡수 판을 삽입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3과 도 25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와 광학 수단을 모두 구비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3은 디스플레이(20)(40) 상단에 광학수단(27)이 구비되고 그 위에 입력장치(200)(400)가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디스플레이(2)(4)는 격벽(혹은 실런트)이나 샤시(16) 등과 같이 화면 비표시 영역이 존재하며, 당연히 광학 수단(27)은 화면 비표시 영역 내에 존재하여 이음매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2)(4), 광학수단(27) 그리고 입력장치(200)(400) 측면에 부착된 "V5"는 보호 필름 혹은 패널하우징 측벽을 나타낸다.
보호필름일 경우에는 코팅 형태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십 마이크로 미터 혹은 0.2mm 이내로 물리적 충격 보다는 밀봉 효과를 갖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0.5mm 혹은 1mm 이내로 보호수단의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아울러, "V5"가 패널하우징(20)(40)과 일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패널하우징(20)(40)의 두께 만큼 될 수도 있고, 약간 더 두꺼울 수도 있으며, 더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4은 입력장치 사이의 거리와 광학수단 사이의 거리보다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더 먼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2)(4) 측면에 위치하게 된 "V6"이 패널하우징(20)(4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V6"이 별도의 보호 수단으로 될 수도 있다. 두께는 패널하우징(20)(40)의 측벽 보다 작게 형성되지만, 같거나 약간 더 클 수도 있다.
그리고 광학수단(27)과 입력장치(200)(400)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는"V7"도 패널하우징(20)(4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보호 수단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두께는"V6"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도 25는 "V6"혹은"V7"를 나타낸 도면으로,"V6"혹은"V7"이 투명 소재의 보호필름이나 보호수단의 형태로 만들어질 때에는, "V6"혹은"V7"부분의 바깥 부분(도면에서 화살표 표시된 부분)을 코팅하여 색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바깥 부분(도면에서 화살표 표시)에 일정 색의 필름을 부착시킬 수도 있고 색을 코팅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패널하우징과 같은 색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6과 도 27은 광학수단이 맨 위에 구비하게 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V8"은 "V5"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되며 단지 광학 수단(27)이 입력장치(200)(400) 상단에 구비되게 된다.
"V9"와 "V10"은 앞의 실시예의 "V7"과 "V6"의 경우와 동일하게 적용되며 단지 광학 수단(27)과 입력장치(200)(400)가 위치하는 순서가 바뀌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 광학수단(27)(27) 사이의 거리 그리고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는 앞의 실시예의 경우가 적용될 수 있다.
- 실시예 4-
도 28내지 도 33은 디스플레이 모듈(Module)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실제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온 셀(On-cell) 방식을 나타내며, 디스플레이(2)(4) 상단에 바로 입력장치(200)(400)가 구비될 때,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상호 밀착되는 형태의 실시예이다.
도면에서처럼, 이음매부(8)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 구조를 가지도록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가 구비되게 된다. 여기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입력장치를 커넥터(2d)(4d)(250d)와 연결하는 FPC(Flexable Printed Circuit)(2c)(4c)(250c)가 구비되며, 이때 상기 FPC(2c)(4c)(250c)는 이음매부 반대쪽에 장착하게 된다.
물론,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가 일정 간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별개로 패널하우징(20)(40)에 장착될 경우도 있다.(아웃 셀(Out-cell)방식) 이 경우에는 입력장치(200)에 외부 신호선(FPC)를 연결할 때 이음매부(8)를 제외한 다른 세 변중에서 한 변을 택하여 연결할 수 있다.
도 29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개의 전극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는 통상 구동부화 패널부로 나뉘게 되며, 통상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리 기판으로 되어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 프라스틱 기판으로도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4 개의 각 변을 각각 1, 2, 3, 4 변이라고 할 때, 제 1변을 이음매부분이라고 하면, 그 반대인 제 3변에 구동 드라이버(2k)를 실장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변과 제 4변에서 패널 전극(2f)과 연결된 공급선(2i)를 제 3변까지 연결한다. 그렇게 하면 제 3 변에서 실장된 구동 드라이버(2k)만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에 신호를 보낼 수가 있다.
도 30내지 도 32는 또 다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제 1 변이 이음매부일 때 구동 드라이버(2c)가 위치하는 부분이 제 4변이 된다. 즉 이음매부를 오른쪽(경우에 따라 왼쪽)으로 할 때, 구동 드라이버(2k)가 위치하는 부분이 위쪽 혹은 아래쪽이 되게 된다.
제 4변에 구동 드라이버(2c)를 실장하기 위해 제 1변 혹은 제 3변의 패널 전극(2f)과 연결된 공급선(2i)을 제 4변까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공급선(2i)을 1변과 3변으로 나누어 제 4변에 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공급선(2i)은 구동 드라이버(2k)와 연결되어 신호선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배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전극(2f)이라고 간단히 표현했지만, 실제는 TFT(Thin Film Transister)에 구동 신호를 보내는 화소 전극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31은 연결 공급선을 변경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제 1변을 이음매부라고 할 때, 이음매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제 1변에서는 공급선(2i)이 지나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음매부(8)와 반대 편인 제 3변에 공급선(2i)이 모두 지나가도록 하며, 상기 공급선(2i)이 구동 드라이버(2k)와 만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설계 조건에 따라, 공급선(2i)이 3변에 많이 지나가게 하고, 제 1변에는 적게 지나가게 할 수 있다. 즉, 공급선(2i)이 지나가는 비율을 제 3변과 제 1변에 각각 일정 비율로 분배할 수 있다.
도 32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배치한 경우의 도면이다.
도면은 디스플레이(2)(4) 바로 상단에 입력장치(200)(400)가 장착된 인셀(in-cell)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이음매부(8)가 오른쪽(경우에 따라 왼쪽)이라면 구동 드라이버와 연결되는 FPC(2c)(4c)나 외부 연결 커넥터(2d)(4d)가 아래쪽(경우에 따라 위쪽일 수도 있음)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입력장치 연결용 FPC(250c)와 커넥터(250d)도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400)가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장착하게 되면, 입력장치 커넥터는 이음매 부분을 제외한 세 변에 장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33은 디스플레이(2) 샤시(16)에 장착된 상태를 나태낸 도면으로 편의상 커넥터와 신호선은 도시 생략하였다. 도면에서처럼 화면 표시 부분(active area)이 이음매 부분으로 가깝게 위치하며, 샤시(16)가 디스플레이 패널(2a) 위 부분 가장자리를 커버할 때에도 이음매 부분이 아닌 곳이 더 두껍게 커버가 된다.
한편 샤시(16)에 고정부(16c)를 두어 견고하게 패널하우징(20)에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예는 구동 드라이버를 디스플레이 한쪽 변에 구비하기 위한 실시예이며,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따라 구동 드라이버를 두 개의 변에 설치하는 경우도 많다. 그럴 때에는 이음매를 제외한 다른 3 개의 변 중에서 두 개가 변을 택하여 구동 드라이버를 구비하면 되는 것이다.
- 실시예 5 -
도 34내지 도 43은 디스플레이와 프레임이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입력장치가 디스플레이가 상단에 바로 위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400)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입력장치(200)(400)가 디스플레이(2)(4) 상단에 바로 장착방식인 온 셀(On-cell) 방식으로,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400)가 패널하우징(20)(40)에 장착되는 실시예 인것이다,
도면에서처럼, 디스플레이(2)(4)를 패널하우징에 장착하고, "ㄷ" 자 형상의 덮개 프레임(24)을 덮개 된다. 즉, 디스플레이(2)(4)의 화면비표시 영역인 가장자리를 덮개 된다.그리고, 덮개에 입역 버튼(110)이나 스피커(101)등이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4)를 패널하우징(20)(40) 측벽(20a) 상단에 장착할 수도 있게 된다.
도 35내지 도 38은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를 분리해서 장착하는 실시예이 도면이다.
도 35는 입력장치(200)를 덮개 프레임(24)에 장착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덮개 프레임(24)은 이음매부(8)를 제외한 디스플레이(2)의 3 변의 가장자리를 덮개 프레임(24)이 커버하게 된다. 한편, 축이 위치할 수 있도록 덮개 프레임(24)에 절개부(24f)를 구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덮개 프레임(24)에도 이음매부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2) 이음매부(8)에 덮개 프레임(24)의 이음매부가 위치하도록 하며, 입력장치(200)의 이음매부(8)도 이곳에 위치하게 된다.
도 36은 이음매부에도 프레임이 형성되지만 이음매부가 더 얇게 형성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7은 입력장치(200)가 프레임(20b)에 장착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프레임(20b)의 한변이 개방되거나 다른 곳 보다 얇게 만들어져 덮개 측벽(24d) 형태로 만들어 지게 되는데, 이때 개방되거나 얇게 만들어진 곳이 프레임(20b)의 이음매부(8)가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장치(200)에는 마스크 프린팅(16d)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프린팅(16d)은 디스플레이(2) 위 부분의 가장자리를 막아줄 때 이음매부(8)를 제외한 3 변의 가장자리를 막아주게 된다.
도 38은 이음매 부분에서는 마스크 프린팅이 다른 곳 보다 더 얇게 형성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상기 마스크 프린팅(16d)는 입력장치(200)(400) 상단 혹은 외부 보호판이나 화장판에 형성되고, 불투명한 색이나 문양을 코팅하여 불투명하게 하는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이다. 때로는 상기 마스크 프린팅(16d) 내에 홀(hole)을 만들어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혹은 버튼의 기능할 하도록 할 수가 있다.
당연히 디스플레이(2)의 이음매부(8)가 프레임(20b)의 이음매부에 장착 되며, 입력장치(200)의 이음매부도 프레임(20b)의 이음매부에 장착되게 된다.
한편, 덮개 측벽(24d) 대신 단순히 보호 필름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덮개 측벽(24d)이 생략되어 프레임(20b)의 이음매부(8)가 개방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덮개 프레임(24)의 이음매부에도 덮개 측벽(24d)이나 보호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 측벽(24d)나 보호필름은 입력장치(200)(400)의 이음매부(8)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덮개 프레임(24)혹은 프레임(20b)이 패널하우징(20)에 장착될 때, 홈과 돌기 혹은 나사 등으로 장착됨은 당연하지만, 이것은 덮개나 프레임이 케이스와 연결 결합되는 통상의 방법에 준하게 되므로 특별한 설명을 생략하고 도면에서도 도시 생략하였다.
도 39와 도 40은 또 다른 형태의 프레임이다,
도 39는 앞에서 설명된 덮개 프레임(24)과 프레임(20b)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구조이다. 위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은 덮개(24) 형태로 구비되고, 측면 부분은 마스크 프린팅(16d)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덮개(24)와 입력장치(200)가 높이가 차이가 나서 단차가 형성되지만, 디자인에 따라 덮개(24)와 입력장치(200)의 높이를 같게 해서 단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상 형태의 광학 수단(27)을 입력장치(200) 상단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보인다. 즉, 입력장치(200) 상단에 광학수단(27)이 놓여질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 제거 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서처럼 프레임(20b)이 다소 높게 형성되는 경우 프레임 안쪽에 광학 수단을 구비하고 프레임이 광학 수단(27)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광학 수단 하단에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부분의 재질을, 마찰 계수가 높아 유리나 판에 잘 달라 붙는 성질을 갖는 물질로 만들 수 있다.
도 41과 도 42는 덮개 프레임 혹은 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1은 또 다른 실시예의 덮개 플레임(Frame) 형태를 나타낸다. 즉, 도면에서처럼 덮개 프레임(24)의 이음매부(8)에 측벽 연장부(24a)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음매부(8)에서는 상기 측벽 연장부(24a)가 디스플레이(2)(4) 이음매부 측면이나 입력장치(200)(400) 이음매부 측면과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은 당연하다.
도 43은 이전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을 중심으로 한 단면도를 나타내며, 그림에서처럼 덮개 측벽(24d)의 가장자리에 측벽 연장부(24a)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덮개 프레임(24)의 이음매 부가 아닌 다른 곳은 패널하우징(20)(40)의 케이스 측벽과 같은 역할을 하는 측벽(24b)이 존재한다. 물론 상기 케이스 측벽(24b)이 반드시 존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 부분에서 설명된 패널하우징 측벽에 해당되는 실시예가 덮개 측벽(24d)이나 측벽 연장부(24a)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측 상기 덮개 측벽(24a)이나 측벽 연장부(24a)의 두께나 위치는 앞의 실시예에 그대로 적용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43은 덮개 프레임에서 이음매부 측벽의 다양한 실시예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측벽 연장부(24a)가 입력장치 혹은 광학 수단 혹은 디스플레이 측면을 카버할 수 있다. 그리고 측벽 연장부(24a)가 카버하지 않는 부분은 보호수단(14)이나 패널하우징의 측벽이 카버한다, 그리고 상기 측벽 연장부(24a)의 두께는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패널하우징의 측벽(이음매부에 있는)의 두께와 같다.
- 실시예 6 -
도 44내지 도 48은 입력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4와 도 45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2)(4) 표면 위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형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으로, 도 44는 하나의 화면 모드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형태이고, 도 45는 두개의 화면 모드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형태이다.
여기서, 입력장치를 통해 정보를 입력할 때 하나의 화면 모드는 두 개의 화면을 하나의 화면처럼 사용하는 모드이고, 두개의 화면 모드는 두 개의 화면을 각각 분리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모드이다.
도 44의 (A)도는 입력된 두 개 이상의 점(147)도 인식하고, 상기 점(147)이 이동하는 경로(147a,화살표로 나타냄)도 인식함을 보이는 실시예 도면이다. 이때 두 개의 점(147)이 두 개의 화면에 걸쳐서 존재해도 하나의 화면에 존재하는 것처럼 인식한다는 것이다.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두 개의 점이 안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화면이 축소대고 두 개의 점이 바깥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화면이 확대되도록 정해져 있다면, 중앙처리장치(105) 혹은 제어부(110)는 두 개 점(147)의 이동에 따라 화면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부(130a)(130)에 보내주어 화면을 표시하게 한다. 즉, 두 개 화면을 하나의 화면으로 조합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이다.
도 44의 (B)는 두 개 이상의 점(147)이 패턴(혹은 이미지)(147b)를 선택하였을 때를 보이는 실시예이다. 패턴(혹은 이미지)(147b)가 두개의 화면에 걸쳐서 있을 때에도 하나의 화면에 있을 때처럼 인식하는 것이다.
여기서 점은 디스플레이(2)(4) 화면 위에 정보를 입력할 때 정보를 입력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점(Point)이다.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패턴이나 이미지를 선택한 두 점이 안쪽으로 이동하면 패턴(혹은 이미지)가 축소되고, 바깥쪽으로 이동하면 패턴(혹은 이미지)가 확대되도록 되어있다면, 중앙처리장치(105) 혹은 제어부(110)는 두 점(147)의 이동에 따라 패턴(혹은 이미지)가 확대 혹은 축소 되는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부(130a)(130)에 보내주어 확대된 혹은 축소된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도 44의 (C)는 하나의 점(147)이 패턴(혹은 이미지)(147b)를 선택하여, 점이 이동하면 패턴(혹은 이미지)(147b)도 점(147) 이동 경로에 따라 이동함을 나타낸다.
마판가지로 상기의 이동이 프로그램 되어 있다면 중앙처리장치(105) 혹은 제어부(110)는 점의 이동에 의해 패턴(혹은 이미지)(147b)을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패턴(혹은 이미지)(147b)의 이동이 하나의 화면에서 이동하는 것처럼 한다는 것이다.
(C)에서는 점(147)이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와 회전의 경우를 보이며, 회전시에는 선택된 패턴(혹은 이미지)(147b)가 회전되게 할 수 있다.
도 44의 (D)는 하나의 점(147)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이동하는 경로(147a)가 두 개의 화면을 통해 있어도 하나의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것처럼 된다.
점의 이동 경로에 의해 화면이 바뀌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으면, 중앙처리장치(105) 혹은 제어부(110)는 점의 이동에 의해 이전화면 혹은 다음화면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부(130)(130a)에 보내주어 화면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점(147)의 이동 경로(147a)가 회전하면 회면도 회전할 수 있다.
도 45는 두화면 모드에서 정보의 입력 형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5의 (A)는 하나의 화면 내에서 점(147)과 이동하게 되면 이동 경로(147a)에 따라 화면이 표시된다는 것인데, 이때에는 하나의 화면 내에서만 결과가 표시되는 것이다.
도 45(B)는 하나의 화면 내에서 하나의 패턴(혹은 이미지)(147b)를 선택함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점(147)의 이동 경로(147a)에 따라 패턴(혹은 이미지)(147b)가 하나의 화면 내로 이동할 수 있고 다른 화면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도 46은 두 개의 입력 장치(200)(400)(혹은 두 개의 보호판이 구비될 수가 있다.) 사이에 존재하는 보호 수단(14)(혹은 측벽이나 연장부)의 높이를 한정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입력장치(200)(400) 혹은 보호판 사이에 보호수단(14)(혹은 측벽이나 연장부)이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수단(14) 대신, 패널하우징(10)(40) 측벽이 구비될 수도 있고, 덮개 프레임(혹은 프레임)에서 연장된 덮개 측벽(24d)이나 측벽 연장부(24a)가 올 수도 있다.
그리고, 두 개의 터치패널 사이의 이동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H1가 H2 값을 2mm 혹은 3mm 이내로 한정하는 것이 좋다. 당연히 H2, H3의 값이 0이 거나 0 가까울수록 사용은 편리하다.
도 47은 본 발명의 입력장치를 통한 정보 입력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가 시작되면(300 단계), 제 1,2 디스플레이가 구동되고 제 1,2 입력장치(혹은 센서)도 제어가 된다.(305 단계).
상기에서 제 1,2 센서라 함은 디스플레이 화소 내에 삽입된 마이크로 센서를 의미하며, 제 1 디스플레이(2)에 삽입된 마이크로 센서의 집합을 제 1 센서, 제 2 디스플레이(4)에 삽입된 마이크로 센서의 집합을 제 2 센서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입력장치가 제어된다는 것은 입력장치에 전류를 보내고 입력장치에 정보가 입력될 때 어느 좌표에 정보가 입력되었는가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지는 입력장치 구동부(140)과 중앙처리장치(105)를 통해 수행되게 된다.
한개 화면 모드인가 두 개 화면 모드인가를 선택한다.(310 단계)
한개 화면 모드는 제 1,2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디스프레이처럼 구동하는 것이고, 제 1,2 입력장치(혹은 센서)도 하나의 입력장치처럼 제어 된다는 것이다.
즉, 입력된 점(147)의 이동 경로(147a)가 제 1,2 입력장치(200)(400)를 지나가도 하나의 입력장치를 지나간 것처럼 제어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 1,2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화면으로 조합하고, 조합된 하나의 화면의 좌표값에 대응되는 위치와 입력장치(센서)를 통해 입력된 좌표 값을 비교하여, 중앙처리장치 혹은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다.
즉, 입력된 좌표 값이 한 개의 점일 때와 두 개 이상의 점일 때, 혹은 입력된 좌표값이 이동할 때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이다.
한개 화면 모드이면 입력장치(혹은 센서)를 통해 입력된 좌표 값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패턴(혹은 이미지)의 좌표 값을 선택하였는가를 판단한다.(315 단계)
패턴(혹은 이미지)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입력되는 점과 입력되는 점의 이동 경로가 제1,2 입력장치(혹은 센서)에 모두 있어도, 하나의 입력장치를 통해 정보가 입력된 것처럼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화면이 움직이게 된다.(320 단계) 이때, 앞의 실시예 설명에서처럼 단일 화면 모드에서 패턴이 선택되 않았을 경우처럼 중앙처리장치 혹은 제어부는 정해진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또한, 패턴(혹은 이미지)를 선택하였으면, 입력되는 점과 입력되는 점의 이동 경로가 제1,2 입력장치(혹은 센서)에 모두 있어도, 하나의 입력장치의 입력처럼 선택된 패턴(혹은 이미지)가 움직이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게 된다.(325단계)
이때, 앞의 실시예처럼 단일 화면 모드에서 패턴이 선택되었을 경우, 점의 개수 혹은 점의 이동 경로에 따라 중앙처리장치 혹은 제어부는 정해진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그리고, 앞의 310 단계에서 두개 화면 모드가 선택되면, 두개 화면 모드에서 패턴(혹은 이미지) 선택 유무와 입력된 점의 갯수 및 이동 경로에 따라 정해진 프로그렘이 실행된다.(330 단계)
즉, 앞의 도면의 실시예에서처럼 두 개 화면 모드에서 입력된 점의 개수와 점의 이동 경로에 따른 프로그램이 실행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단일 화면 모드시 프로그램 제어 결과에 따라 중앙처리 장치 혹은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구동부에 구동 신호를 보내고, 그 결과를 제 1,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데, 하나의 화면처럼 표시하게 된다.(335 단계)
한편, 제 1,2 디스플레이를 별도의 화면처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어도 각각 입력되는 점과 점의 이동 경로에 따라 정해진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그 실행에 결과를 제1,2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340 단계)
끝으로, 프로그램 실행 결과가 화면에 표시된 다음, 정지 명령이 없으면 305단계의 초기 단계로 이동하고, 정지 명령이 있으면(345 단계) 프로그램이 종료된다.(355 단계)
도 48은 두 개의 장치를 하나처럼 하는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제 1,2 입력장치 혹은 제 1,2 디스플레이에는 각각 해당 좌표가 있으며, 실제로 본 발명에서는 입력장치 혹은 디스플레이는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좌표는 (A)도에서와 같이 분리되어 있다.
하지만, 두 개의 입력장치를 하나의 입력장치처럼 제어한다는 것은 (B)도에서처럼 실제로는 분리되어 있는 각각의 좌표를 연결한다는 것이다.
- 실시예 7 -
도 49내지 도 55는 디스플레이 측면을 커바하는 커버 구조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9와 도 50은 접힌 상태의 패널하우징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40)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를 "A"라고 한다면, 연결축(61) 쪽으로 갈수록 패널하우징의 두께가 얇아지는 구조를 가진다.
도 50에서처럼 패널하우징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외부면(D) 축까지 연결되는 면은 곡면(C) 혹은 경사면(C)으로 연결된다.
한편, 축의 견고성을 위하여 어느 정도 두께감을 갖는 축이 신뢰성을 더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축의 지름(B)이 패널하우징(20)(40)의 가장 두꺼운 부분(A)의 0.25배 이상은 되는 것이 좋다. 즉 "B"의 값이 "A"의 값의 0.25배 이상은 되는 것이 설계상 안정성을 가지고 온다. 당연히 "B"의 값이 "A"의 값보다 크지 않는 것이 좋다.
도 51내지 도 53은 측면 커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1은 측면 커버(50)가 분리되기 전 상태이 도면이고, 도 52는 측면 커버(50)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측면 커버(50)는 패널하우징(20)(40)이 접혀졌을 때 디스플레이(2)(4)이 혹은 입력장치 측면부를 커버하며 보호한다.
그리고, 하나의 패널하우징(20)은 한 개의 연결축(61)에만 고정되게 연결되고, 다른 패널하우징(40)의 다른 부분의 연결축(62)에만 고정되게 연결되어 서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도 53은 측면커버(5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측면커버(50)의 안쪽에는 끝 부분이 걸림 구조를 가진 고정핀(Pin)(5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51)에는 용수철 같은 탄성장치(51a)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51)은 안쪽에 구비된 연결축(62)의 측면에 마련된 연결 공간(63) 내에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연결 공간(63)에 벽이 존재하며 상기 벽으로 인해 고정핀(51)이 연결 공간(63)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도 51에서 도 53의 구조는 패널하우징이 펼쳐지면 커버(50)가 뒤로 밀리게 되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스프링에 의해 복원된다.
도 54내지 도 55는 측면 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측면커버(80)가 패널하우징(20)(40)의 측면부를 감쌀 뿐아니라 연결축(61)(62)도 감싸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54는은 측면도로서, 측면 커버(80)의 양옆에 측면판(81)이 구비되어 연결축(61)의 측면을 덮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5는 측면 커버(80)를 분리한 도면이다.
- 실시예 8 -
도 56내지 도 58은 패널하우징 내부 구조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즉, 길이 방향으로 절단함을 가정하여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56은 한 부분의 패널하우징(40)을 나타낸 도면으로 보조 디스플레이(30)가 구비되고, 동일한 면에 버튼 혹은 자판 형태의 입력장치(100)가 구비된다. 아울러, 두 개의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4)가 구비되며, 입력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공간에 메인 보드(4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보드(45)는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등 각종 회로 장치가 장착된 부품을 의미한다.
당연히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상단에 보호판 혹은 입력장치가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7은 또 다른 부분의 패널하우징(20)내의 배치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두 개의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와 밧테리(25) 등이 구비된다. 당연히 상기 디스플레이(2)(4) 위(도면상으로 아래일 수도 있음)에 입력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물론 상기 부품들 이외에, 스피커, 마이크, 안테나, FPC(Flexible Printed Cable), 및 다른 부품들도 구성될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메인 부품의 배치도로 이해하면 된다.
도 58은 각각의 부품이 배치되는 입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볼 때 보조 디스플레이(30) 하부에 디스플레이(2)가 구비되는데, 프레임(24)도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4)이 구비되는 방법은 앞의 실시예에 준하게 된다. .
- 실시예 9 -
도 59 내지 도 62는 패널하우징 측벽의 고정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된 상태에서 하나의 화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졌을 때,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이 상호 맞물려 있는 상태가 되면 더 좋게 된다. 이렇게 하므로서 물리적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9에서처럼 상기 패널하우징(20)(40)의 측벽에 돌기(64) 혹은 홈(65)이 구비되어,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상기 돌기(64)와 홈(65)이 상호 맞 물리도록 된다.
그리고, 도 60에서 나타낸 단면 구조처럼 상기 홈(65)과 돌기(64)는 경사 구조를 이루게 되어, 돌기(64)는 위쪽(64a)이 더 좁게 되고 홈(65)은 입구가 더 넓게 된다.
이러한 경사 구조의 이유는 홈(65)과 돌기(64)가 서로 맞 물릴 때,돌기(64)가 홈(65)과 잘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사, 경사도는 5도(°) 이상에서 85도 이상으로 당양한 구조를 정할 수 있지만, 적당하게는 30도에서 60도 정도가 좋게 된다.
한편, 홈(65)과 돌기(64)의 맞물림에 완충효과를 위해 도 61에서 처럼, 돌기 중간쯤에 고무나 탄성 금속체등 탄성체(64b)를 부착할 수 있으며, 홈(65)의 중간에 탄성체 공간(65b)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62는 홈과 돌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이다. 즉, 홈(65)과 돌기(64)가 측벽의 경계선에 구비된다. 이렇게 되므로서 홈(65)안에 이물질이 싸이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59의 경우 홈(65)에 이물질이 쌓이면 제거하기 쉽지 않지만, 도 62의 구조에서는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 실시예 10 -
도 63과 도 64는 축의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축의 회전중심(C)과 패널하우징(20)(40) 경계(G)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즉 일정 간격 d가 존재한다. 도 63은 펼친 상태의 평면 도면이고, 도 64은 접힌 상태의 측면 도면이다.
그리고, 도 63과 도 64는 간격 d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평면도와 측면도로서 나타내었다.
그리고 접힌 형태의 도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하우징(20)(40)의 끝 부분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d 만큼 차이가 난다.
한편, 이러한 구조를 가지게 되면 패널하우징(20)(40)이 접힘과 펼침 동작에서 신뢰성을 갖게 된다. 즉,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동안에는 패널하우징(20)(40)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펼쳐지게 되면 디스플레이(2)(4)는 상호 인접된다.
이때, d의 값은 0.05 mm 수준으로 매우 적게 할 수도 있지만 디스플레이 화면 사이즈에 따라 또는 디자인의 구조에 따라 15 mm 정도 까지로도 할 수 있다.
- 실시예 11 -
도 65 내지 도 67은 디스플레이 측면을 커하는 커버의 또 다른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디스플레이 뒤쪽에 위치하지만 패널하우징이 접혀지면 디스플레이(2)(4) 측면을 보호하는 커버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커버 구조는 슬라이딩 측면 커버(85)이다.(이하 측면커버)
도 65는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6은 펼쳐진 상태의 배면부이다. 이때, 도 66은 측면 커버(85)를 제거하여 커버구조의 작동 원리를 알 수 있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7은 접혀진 상태에서 측면 커버(85)를 제거한 도면이다.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이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는 축이 있고, 상기 축과 연결된 돌기축(61a)이 상하판(88a)에 구비된 일자형 홈(88b)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두 개의 홈이 구비된 연결바(87)가 패널하우징과 상하판(88a)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연결 구조에서 펼쳐진 패널하우징(20)(40)이 닫혀지게 되면, 돌기축(61a)이 일자형 홈(88b) 내에서 도면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0)(40)이 접혀지고 펼쳐짐에 따라 상하판(88a)이 앞뒤로 이동할 때에도 연결바(87)에 위해 연동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하판(88a)은 패널하우징(20)(40)의 측면 연결부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구비되고, 상기 상하판(88a)은 연결판(88)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연결판(88)이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그렇게 되면 상판(88a)과 하판(88a)이 각각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바(87)도 상하판(88a)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 실시예 12 -
도 68 내지 도70은 본 발명의 축의 구조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8에서와 같이 고정 캠(68)과 이동 캠(69)가 각각 구비되고, 축 내에서 스프링(69b)이 작용하여 축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즉,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각도 0도라 하고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각도 180도라고 하면, 0도에서 α까지의 각도에서는 패널하우징(20)(40)이 쉽게 닫혀지도록 하고, β에서 180도(혹은 완전히 펼쳐진 상태)까지는 쉽게 열려지도록 하게 한다. 즉, 상기 각도 내에서는 열거나 닫기 위해 패널하우징에 힘을 더 가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를 캠과 스프링으로 한다는 것이다. 즉, 고정 캠에 돌기부(68a)와 캠축(68b)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캠(69)에 돌기부(69a)와 캠홈(69b)가 구비된다. 그리고, 캠축(68b)은 캠홈(69b)에 삽입된다. 이때 고정캠(68)은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축(61)(62)의 한쪽 부분과 고정되게 결합된다. 반면 이동캠(69)은 축(61)(62)의 한쪽 부분과 결합되지만 축 중심 방향으로 직선 운동은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축(61)(62)이 회전하게 되면 고정캡과 이동캠의 돌기부(68a)(69a)가 서로 만나게 되기도 하고 엇갈리기도 한다. 돌기부 (68a)(69a)가 만나면 스프링에 압력이 가해지고 돌기부가 서로 엇갈리면 스프링의 압력이 해제된다.
도 69는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0도에서 α도까지는 돌기부(68a)(69a)가 서로 엇갈리는 상태이며, 마찬가지로 β에서 180도까지도 돌기부(68a)(69a)가 서로 엇갈리는 상태이다. 그러나 α에서 180-β 도 까지는 돌기부(68a)(69a)가 서로 만나 스프링에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이다.
따라서, 패널하우징(20)(40)을 열게되면 일정 각도(α) 이후부터는 힘을 더가하게 되고, 180-β 이후부터는 패널하우징이 저절로 열려진다는 것이다.
이때 α 혹은 β의 각도는 50 도 정도 이내가 적당하지만. 설계의 필요에 따라 80도 까지 크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 값은 전체 캠에서 돌기부가 차지하는 면적의 각도로 정해지게 되는 것이다.
도 70은 두 개 부분으로 분리된 축(61)(62)을 나타내며, 상기 축(61)(62) 내에 캠(68)(69)과 스프링이 구비되어 패널하우징의 열고 닫힘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 실시예 13 -
도 71은 측면커버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다수개의 창살(70)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창살(70) 끝 부분에 돌기가 있고 상기 돌기가 연결축(62)과 슬라이딩 이동하여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72와 도 73은 창살 형태의 측면 커버가 이동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패널하우징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창살 형태의 측면 커버(70)가 디스플레이(2)(4)의 측면을 커버하지만,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게 되면서 서로 엮여진 창살(70)이 수납부(72) 안으로 들어가게 되며, 패널하우징(20)(40)이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창살(70)은 수납부(72)에 더 들어가게 되어 결국에는 디스플레이(2)(4)의 뒤 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같은 탄성장치(71)가 더 구비되어 창살(70)이 수납부(72)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맨 가장자리에 위치한 창살(70)과 수납부(72) 안쪽과는 탄성장치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74는 축의 원리로서 캠이 장착된 힌지의 한 예를 나타낸다.
축(61) 내에 캠(67)을 삽입하고 캠 축(67a)에 스프링(67b)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캠(67)은 축의 삽입부(62a)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캠이 삽입되게 되면 축은 단순한 원운동이 아니라 타원 운동도 가능하게 된다.
즉,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이 접힘과 펼침이 일어날 때, 약간 떨어졌다가 다시 밀착되게 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캠 뿐 만 아니라 톱니 모양의 바퀴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 실시예 14 -
도 75 와 도 76은 디스플레이를 숫자를 줄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접이식 표시장치가 닫혀진 상태에서도 표시장치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외부에도 보조 디스플레이(2)가 장착되어야 한다.
그럴 경우 디스플레이는 3 개가 사용되게 된다. 하지만, 디스플레이(2) 양면을 사용하므로서 보조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도 75 부분적으로 접힌 형태로 외부 창(29)이 존재하고, 외부창(29)에 보호판(29a) 혹은 입력장치가 장착된다. 그리고 외부창(29)에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보호판(29a)대신 입력장치를 구비하여 외부에서도 터치패널 방식으로 휴대용 표시장치 제어가 가능하다.
도 76 외부창(29)이 구비된 패널하우징(20)을 분해한 도면이다. 즉, 외부창(29)에 구비된 단차를 통해 보호판 혹은 입력장치(29a)가 장착되며, 패널하우징(20) 내부에는 OLED 방식의 디스플레이(2)가 장착된다.
그리고 도 76에서 볼 때에는 디스플레이(2)의 배면부를 덮는 형태이지만, 덮개(24)가 디스플레이를 덮개 된다. 이때 덮개(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20b)나 덮개 프레임(24)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덮개(24)에는 입력장치(200) 혹은 보호판이 장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입력장치(200)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된 형태의 입력장치가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OLED는 양면 표시가 가능하며, 패널하우징(20)(40)을 닫을 때에는 OLED(2)의 앞면(도면에서 볼 때)에서 정상적으로 화면이 표시되고, 패널하우징이 펼쳐졌을 때에는 OLED(2)의 뒷면(도면에서 볼 때)에서 정상적으로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즉 화면 표시의 데이터가 뒤집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표시 방식은 프로그램적으로 입력하여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 실시예 15 -
도 77내지 도 80은 두 개의 화면이 구비되고, 키 입력부가 두 부분으로 분리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7은 각각 디스플레이(2)(4)가 장착된 두 개의 패널하우징과, 두 부분으로 분리된 키 입력부(110)(120)가 구비된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2)(4)는 상호 인접되며 인접되는 구조는 본 발명에서 설명된 실시 예를 따른다. 그리고 키 입력부는 통상의 자판으로 형성된 입력장치를 의미한다.
이때,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은 연결축(80)에 의해 키입력부(110)(120)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다. 도 53은 부분적으로 펼쳐진 상태이지만, 패널하우징(20)(40)과 키입력부(110)(120)는 서로 완전히 펼쳐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78은 상기 키입력부(110)(120)와 패널하우징(20)(40)이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디스플레이(2)(4) 화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완전히 접히게 된다.
그리고, 도 78의 상태에서 키입력부(110)(120)가 바깥에 위치하고 패널하우징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또 다시 접을 수 있으며, 도 79 부분적으로 접힌 상태이고, 도 80은 완전히 접힌 상태이다.
- 실시에 16 -
도 81에서 도 85는 두 개의 패널하우징과 두 개의 키 입력부가 구비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장착된 패널하우징(20)(40)이 구비되고, 또한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된 키입력부(110)(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하우징(20)(40)가 상기 키입력부(110)(120)는 상호 슬라이딩 이동하는 실시예이다.
도 81은 키입력부(110)(120)가 패널하우징(20)(40) 밖으로 슬라이딩 되어 나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2와 도 83은 뒤에서 본 모양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2처럼 키 입력부(110)(120)가 패널 하우징(20)(40) 밖으로 나오게 할 수 있고, 도 83처럼 패널하우징(20)(40) 아래로 완전히 수납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키 입력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도면에서처럼 2 개 세트(Set)의 술라이딩 힌지가 사용된다. 즉, 제 1 패널하우징(20)과 제 1 키입력부(110)를 상호 슬라이딩 이동하게 하는 슬라이딩 힌지(90)(91)가 구비되고, 제 2 패널하우징(40)과 제 2 키입력부(120)를 상호 슬라이딩 이동하게 하는 슬라이딩 힌지(90)(91)도 구비된다.
이때, 상기 힌지는 키보드와 화면이 상호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통상의 휴대폰에서 사용되는 힌지의 원리와 구조가 그대로 사용된다. 즉, 팽창 혹은 압축이 가능한 스프링부(91)의 걸개 1(91a)은 키입력부 하단과 연결되고, 걸개 2(91b)는 고정판(90)과 연결된다. 그리고 고정판(90)의 양쪽에 있는 돌기(90a)는 키 입력부의 홈(111)을 통해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90)에 연결된 스프링부(91)의 압축과 팽창을 통해 키입력부(110)(120)가 패널하우징(20)(40)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2 키입력부(110)(120)는 측면 커버(130)를 통해 연결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 즉 제 1 키입력부(110) 만 따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는 없다.
그리고 도 84과 도 85는 키 입력부(110)(120)가 패널하우징(20)(40) 하부로 수납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접힌 도면과 완전히 접힌 도면이다. 즉, 디스플레이(2)(4)가 안쪽에 위치하고 키입력부(110)(120)가 바깥에 위치하도록 접히게 된다.
- 실시예 17 -
도 86내지 도 90은 커버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6은 펼쳐진 상태의 도면이고, 도 87은 부분적으로 접혀진 상태의 도면이며, 도 88은 접혀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하나의 패널하우징(20)이 다른 패널하우징(40) 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고, 접혀진 부분에는 측면 연장부(28)가 형성된다. 즉, 두껍게 형성된 패널하우징(20)의 가장자리에서 안쪽에 연결부(디스플레이 혹은 패널하우징이 연결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상기 측면 연장부(28)가 다른 패널하우징(40)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커버수단(55)은 패널하우징(20)(40)이 접혀졌을 때 디스플레이(2)(4) 측면을 커버하고,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디스플레이 측면을 커버하지 않게 된다. 상기 커버수단(55)은 패널하우징(20)(40) 펼쳐지고 접혀짐에 따라 연동되어 움직인다.
도 89와 도 90은 연동되어 움직이는 커버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얇은 패널하우징(40)에 연결된 축(62)에 기어 돌기(63a)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 돌기(63a)의 움직임에 의해 기어축(55b)이 회전하고, 상기 기어축(55b)의 회전에 의해 체인기어(55c)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기어(55c)의 측면은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커버수단(55)의 돌출 기어(55a)는 체인 기어(55c)와 맞 물리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체인 기어(55c) 측면이 상하 이동하면 커버수단(55)이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체인 기어(55c)는 두 개의 축(55d)이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을 회전 시키게 되며, 체인 기어 측면(55c)은 직선 형태로 되어 상기 체인기어(55c) 측면과 커버 수단(55)의 돌출 기어(55a)와 맞 물린다. 따라서,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커버수단(55)이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도 91내지 도 94는 패널하우징 내부로 이동하는 커버수단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1는 접힌 상태의 도면이고, 도 92는 펼친 상태의 도면이며,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힌지축(61)(62)에 의해 접힘과 펼침이 이루어진다.
도 93은 접힌 상태의 단면구조이고, 도 94는 펼친 상태의 단면구조이다. 접혀졌을 때에는 커버(70)가 디스플레이(2)(4) 측면을 커버하지만, 펼치었을 때에는 커버(70)가 내부 공간(70a) 안에 들어가서 디스플레이 측면을 커버하지 않게 된다.
이때 커버(70) 양편에는 측면 커버(71)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70)와 측면 커버(71)는 접혀질 수 있는 구조가 되어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커버(70)가 내부 공간(70a)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한편, 커버(70)의 크기는 축(61)(62)의 크기와 비슷하게 만들어져서, 미관상 자연스러운 효과를 갖고 또한 견고성도 가지게 된다.
- 실시예 18 -
도 95 내지 도 100은 적층된 상태의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되도록 펼쳐지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디스플레이(2)(4)를 장착한 패널하우징(20)(40)이 적층 상태(도 95)로 있다가 좌우 방향(A)으로 펼쳐지면 도 96이 상태가 되고, 다시 상하 방향(B)으로 이동하면 도 97의 형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2)(4)가 상호 인접된 구조가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가 인접되는 방법, 입력장치 혹은 보호 수단의 장착 방법 및 입력장치(혹은 센서)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등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98 내지 도 99는 디스플레이 사이에 인접되는 이음매(디스플레이(2)(4)가 상호 연결되는 부분) 부분에도 덮개 프레임이 형성되어 이음매부가 다소 두껍게 형성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ㅁ"자 모양의 덮개 프레임(34)(54)이 형성되며, 덮개 프레임의 좌우가 얇고 상하가 두꺼운 형태의 실시예이다. 마찬가지로 적층상태(도 98), 좌우 방향 이동 상태(도 99) 및 상하 방향 이동 후 디스플레이 인접 상태(도 100)이 있다.
- 실시예 19 -
도 101내지 도 104는 디스플레이가 외부에 위치하도록 접히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1과 도 102에서처럼 각각 디스플레이(2)(4)를 장착한 패널하우징(20)(40)이 바깥쪽으로 접히게 된다. 부분적으로 접힌 상태(도 101)와 완전히 접힌 상태(도 102)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가 인접되는 방법, 입력장치 혹은 보호 수단의 장착 방법 및 입력장치(혹은 센서)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등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03과 도 104는 디스플레이 사이에 인접되는 이음매(디스플레이(2)(4)가 상호 연결되는 부분) 부분에도 덮개 프레임이 형성되어 이음매부가 다소 두껍게 형성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ㅁ"자 모양의 덮개 프레임(34)(54)이 형성되며, 덮개 프레임의 좌우가 얇고 상하가 두꺼운 형태의 실시예이다.
도 103은 완전히 접힌 상태이고, 도 104는 부분적으로 접힌 상태의 도면이다. 그리고, 펼쳐진 상태의 패널하우징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서 도면에서처럼 결합 장치(2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장치(21)(41)는 해당 부분에 N극과 S극의 자석을 각각 구비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홈과 돌기 구조를 형성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 실시예 20 -
도 105내지 도 108은 두 개의 패널하우징을 결합하는 실시예의 방법이다.
도 105은 디스플레이(2)(4)를 장착하고 결합수단(26)(46)과 덮개(25)(45)를 각각 구비한 패널하우징(20)(40)이 분리된 상태이다. 그리고 축(23)으로 연결된 덮개(25)(45)를 열수 있는 상태(도 106)가 된다. 그런 다음 상기 패널하우징(20)(40)을 상호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4)가 상호 인접되는 구조(도 107)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가 인접되는 방법, 입력장치 혹은 보호 수단의 장착 방법 및 입력장치(혹은 센서)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등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08은 디스플레이 사이에 인접되는 이음매(디스플레이(2)(4)가 상호 연결되는 부분) 부분에도 덮개 프레임이 형성되어 이음매부가 다소 두껍게 형성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ㅁ"자 모양의 덮개 프레임(34)(54)이 형성되며, 덮개 프레임의 좌우가 얇고 상하가 두꺼운 형태의 실시예이다.
도 108의 경우에는 덮개가 없이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이 결합 수단에 의해 바로 결합되어 도 100의 모양이 될 수가 있다.
- 실시예 21 -
도 109내지 도 112는 디스플레이와 패널하우징이 하나씩 더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9과 도 110은 각각 디스플레이(2)(4)(6)가 구비된 세 개의 패널하우징(20)(40)(60)을 접고 펼치게 하는 구조로서, 완전히 펼치고 완전히 접히는 구조이다.
제 1 패널하우징(20)과 제 2 패널하우징(40)은 접힐 때 디스플레이(2)(4)가 안쪽에 구비된 형태로 접히는 구조이며, 제 2 패널하우징(40)과 제 3 패널하우징(60)이 접힐 때에는 디스플레이가 바깥쪽으로 접히는 구조이다.
즉, 안쪽으로 접히는 구조와 바깥쪽으로 접히는 구조가 교대로 존재하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접는 형태가 반복적으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를 4개나 5개 이상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 J 로 표시한 이음매 부분이 본 발명에서 설명된 이음매부의 실시에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09는 부분적으로 접힌 상태이고, 도 110는 세 개의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가능하게 펼쳐진 상태이다.
도 111과 도 112는 슬라이딩 구조와 접힘 구조가 조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제 1 패널하우징(20)과 제 2 패널하우징(40)은 디스플레이(2)(4)가 상호 접힘과 펼침의 구조이며, 제 2 패널하우징(40)과 제 3 패널하우징(60)은 상호 슬라이딩 되는 구조이다.
도 111은 부분적으로 접혀지고 부분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12는 접혀진 디스플레이가 인접되도록 펼쳐지고, 슬라이딩 이동이 더 진행된 상태의 도면이다. 물론 제 2 패널하우징(40)과 제 3 패널하우징(60)이 완전히 펼쳐지면 도 110의 형태를 갖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 J 로 표시한 이음매 부분이 본 발명에서 설명된 이음매부의 실시에가 적용될 수 있다.
즉, J로 표시된 이음매 부분에서, 디스플레이가 인접되는 방법, 입력장치 혹은 보호 수단의 장착 방법 및 입력장치(혹은 센서)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등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Claims (1)

  1.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전체 화면을 수직 혹은 수평 분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는 상호 인접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장치 혹은 제 1 센서와 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장치혹은 센서가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위에서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되는 정보가 제 1, 2 입력장치 혹은 제 1,2 센서에 걸쳐서 있음에도 하나의 입력장치 혹은 하나의 센서에서 정보가 입력되는 것처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점과 패턴(혹은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점이 입력장치로 선택되고, 상기 점(147)의 이동 경로(147a)에 따라 패턴(혹은 이미지)(147b)가 하나의 화면 내로 이동할 수 있고 다른 화면으로도 이동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


KR1020197002714A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180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32779A KR102330827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6332 2010-07-09
KR1020100066332 2010-07-09
KR20100066884 2010-07-12
KR1020100066884 2010-07-12
PCT/KR2011/005017 WO2012005541A2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964A Division KR20180040726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779A Division KR102330827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807A true KR20190022807A (ko) 2019-03-06
KR102180973B1 KR102180973B1 (ko) 2020-11-19

Family

ID=45441675

Family Applications (2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398A KR20210120125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07032779A KR102330827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27019762A KR20220085845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87035680A KR20190005965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37001486A KR20230022250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97020504A KR20190097157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97020502A KR102252436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27019764A KR20220086699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87009575A KR102002266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87009964A KR20180040726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17040703A KR20210154882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87016590A KR20180069102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67036313A KR20160150659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27006472A KR20220031742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47035154A KR20150013793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17026648A KR20210111312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37001263A KR20230014848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37000643A KR101849724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87009961A KR102002267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97002714A KR102180973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07028362A KR102351889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37001684A KR20230014868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37024777A KR20230117456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17019095A KR20210079409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27015452A KR20220066984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398A KR20210120125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07032779A KR102330827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27019762A KR20220085845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87035680A KR20190005965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37001486A KR20230022250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97020504A KR20190097157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97020502A KR102252436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27019764A KR20220086699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87009575A KR102002266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87009964A KR20180040726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17040703A KR20210154882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87016590A KR20180069102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67036313A KR20160150659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27006472A KR20220031742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47035154A KR20150013793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17026648A KR20210111312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37001263A KR20230014848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37000643A KR101849724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87009961A KR102002267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362A KR102351889B1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37001684A KR20230014868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37024777A KR20230117456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17019095A KR20210079409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227015452A KR20220066984A (ko) 2010-07-09 2011-07-08 휴대용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5) KR20210120125A (ko)
WO (1) WO201200554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216B1 (ko) 2014-07-17 2020-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NO345595B1 (en) 2018-09-28 2021-05-03 Pickr A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storage, picking, and packing of items
KR20210050800A (ko) 2019-10-29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129747B (zh) * 2021-04-06 2022-04-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封装盖板及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052A (ko) * 2004-07-20 2006-01-27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KR20060038432A (ko) 2006-04-14 2006-05-03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KR20080093340A (ko) * 2007-04-16 2008-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딩형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20100079355A1 (en) * 2008-09-08 2010-04-0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028A (ko) * 1999-11-02 2001-06-05 김순택 휴대용 표시 장치
KR101206032B1 (ko) * 2006-03-21 201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제조방법
US8106856B2 (en) * 2006-09-06 2012-01-3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hoto management
KR101434448B1 (ko) * 2006-09-25 2014-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2108141A1 (en) * 2007-01-31 2009-10-14 Agere Systems, Inc. Handheld device with multiple displays
KR100989187B1 (ko) * 2009-10-19 2010-10-21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052A (ko) * 2004-07-20 2006-01-27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KR20060038432A (ko) 2006-04-14 2006-05-03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KR20080093340A (ko) * 2007-04-16 2008-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딩형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20100079355A1 (en) * 2008-09-08 2010-04-0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848A (ko) 2023-01-30
KR20200130525A (ko) 2020-11-18
KR102351889B1 (ko) 2022-01-18
KR20160150659A (ko) 2016-12-30
KR20220066984A (ko) 2022-05-24
KR20230022250A (ko) 2023-02-14
KR102252436B1 (ko) 2021-05-14
KR20230117456A (ko) 2023-08-08
KR20190097157A (ko) 2019-08-20
KR20210154882A (ko) 2021-12-21
KR20190087648A (ko) 2019-07-24
KR20230014868A (ko) 2023-01-30
KR20180038588A (ko) 2018-04-16
KR102002267B1 (ko) 2019-07-19
KR20220031742A (ko) 2022-03-11
KR101849724B1 (ko) 2018-04-18
WO2012005541A3 (ko) 2012-03-15
KR20220085845A (ko) 2022-06-22
WO2012005541A2 (ko) 2012-01-12
KR20130092544A (ko) 2013-08-20
KR20220086699A (ko) 2022-06-23
KR20150013793A (ko) 2015-02-05
KR20200116556A (ko) 2020-10-12
KR20210111312A (ko) 2021-09-10
KR20180069102A (ko) 2018-06-22
KR20210079409A (ko) 2021-06-29
KR20180040726A (ko) 2018-04-20
KR20190005965A (ko) 2019-01-16
KR20210120125A (ko) 2021-10-06
KR102330827B1 (ko) 2021-12-01
KR102002266B1 (ko) 2019-07-19
KR102180973B1 (ko) 2020-11-19
KR20180038067A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98325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US8964365B2 (en) Portable display apparatus
KR102002267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160124414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170130342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160039586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150008361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130029398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110068799A (ko) 휴대용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