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063A -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063A
KR20190021063A KR1020170106173A KR20170106173A KR20190021063A KR 20190021063 A KR20190021063 A KR 20190021063A KR 1020170106173 A KR1020170106173 A KR 1020170106173A KR 20170106173 A KR20170106173 A KR 20170106173A KR 20190021063 A KR20190021063 A KR 20190021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fiber
layer
electrospinning
base layer
nano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안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7010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1063A/ko
Publication of KR20190021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68The layers being joined by heat or melt-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Abstract

베이스층; 및 기재의 일측에 접합부를 형성하며 접합되되 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전기방사에 의해 형성되는 섬유로 구성되는 나노섬유층;을 포함하고, 접합부는, 선, 폐곡선, 다각형, 중 하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하는 라인패턴의 선접합으로 형성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SUBSTRATE INCLUDING NANO 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나노기술이 점차 발달하면서 섬유분야에서도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사이즈의 나노섬유의 개발 및 나노 섬유의 특성을 이용한 전기전자, 환경, 생명, 의학 등 산업전반에 걸쳐 첨단소재로의 응용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전기방사는 표면장력에 의해 모세관 끝에 매달려 있는 물방울에 고전압을 부여할 때 물방울 표면에서 미세 필라멘트가 방출되는 정전 스프레이 과정에서 변형된 것으로 충분한 점도를 가진 고분자 용액이나 용융체가 정전기력을 부여받을 경우 섬유가 형성되는 현상을 응용한 방사기술이다.
한편, 전기방사 장치는 부직포 등에 전기방사를 통해 나노섬유를 적층시키고 이를 열융착 또는 점융착시키면서 나노섬유와 부직포 등 간에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접착방식은 나노섬유가 부직포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기에 접착면적 또는 접착면의 구조에 있어서 취약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1-0010476 호 (2011. 02. 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직포 등의 기재에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를 방사하고 부직포 등과 나노섬유 간의 고정을 위한 기 결정된 패턴형의 접착구조를 갖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곡형 패턴의 접착구조를 갖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직선현 패턴의 접착구조를 갖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형 패턴의 접착구조를 갖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직포 등의 기재에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를 방사하고 부직포 등과 나노섬유 간의 고정을 위한 기 결정된 패턴형의 접착구조를 갖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베이스층; 및 기재의 일측에 접합부를 형성하며 접합되되 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전기방사에 의해 형성되는 섬유로 구성되는 나노섬유층;을 포함하고, 접합부는, 선, 폐곡선, 다각형, 중 하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하는 라인패턴의 선접합으로 형성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가 제공된다.
그리고, 라인패턴은 직선 또는 곡선을 포함하는 지그재그 형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인패턴은 직선 및 곡선을 포함하는 도형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 및 상기 나노섬유층의 중첩된 면적의 둘레를 따라 상기 라인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층은 나노섬유가 기 결정된 방향성을 지니도록 전기방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층은 나노섬유가 비방향성을 지니도록 전기방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층을 이송시키고, 베이스층의 일측면에 위치된 방사부로부터 일측면에 전기방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나노섬유층을 형성시키고, 나노섬유층이 형성된 측면에 베이스층 및 나노섬유층의 융착을 수행하여 접합부를 형성시키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라인패턴은 직선 또는 곡선을 포함하는 지그재그 형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인패턴은 직선 및 곡선을 포함하는 도형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 및 상기 나노섬유층의 중첩된 면적의 둘레를 따라 상기 라인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층은 나노섬유가 기 결정된 방향성을 지니도록 전기방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층은 나노섬유가 비방향성을 지니도록 전기방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직포 등의 기재에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를 방사하고 부직포 등과 나노섬유 간의 고정을 위한 기 결정된 패턴형의 접착구조에 의해 나노섬유와 부직포 간의 접착력이 증대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곡형 패턴의 접착구조에 의해 나노섬유와 부직포 간의 접착력이 증대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직선형 패턴의 접착구조 에 의해 나노섬유와 부직포 간의 접착력이 증대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형 패턴의 접착구조에 의해 나노섬유와 부직포 간의 접착력이 증대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직포 등의 기재에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를 방사하고 부직포 등과 나노섬유 간의 고정을 위한 기 결정된 패턴형의 접착구조에 의해 나노섬유와 부직포 간의 접착력이 등대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재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층의 일측에 나노섬유층이 전기방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방사에 의해 형성된 나노섬유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를 포함한 기재를 제조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합부의 다양한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재(100)는 나노섬유층(120) 및 베이스층(1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110)의 일측면에 층을 이루며 위치되는 나노섬유층(120)은 전기방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방사는 베이스층(110)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일면에 나노섬유층(120)이 전기방사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나노섬유층(120)이 일측에 위치된 베이스층(110)은 두 층이 서로 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접합은 융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융착은 열융착, 초음파융착 및 압착 등을 포함하며, 이 중 하나 이상의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합은 다양한 형태로 접합될 수 있으며, 접합의 예시는 도 5를 통해 개시하였으며, 개시된 예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융착을 통해 접합된 베이스층(110) 및 나노섬유층(120)은 필터에 포함되는 구성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100)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필터로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기체 및 액체를 포함하며 기체의 경우, 공기 중에 포함된 미립자를, 공기가 기재(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나노섬유층(120)이 미립자를 여과시킬 수 있다. 실시예로는 담배에 포함되거나 결합되는 필터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액상 유체도 이와 마찬가지로, 일 예로 정수과정에서 음용수 내에 섞여있는 미립자를 나노섬유층(120)이 여과될 수 있다.
상기 유체통과 경로에 위치되는 필터로 채용된 기재(100)는 미립자의 경우 나노섬유층(120)에 의해 여과될 수 있고, 그보다 큰 입자는 베이스층(110)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층(110)은 일 예로서 부직포 등이 될 수 있다. 부직포도 무작위로 방향 및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어 유체가 통과될 수 있으므로 통공을 결정된 크기 및 방향으로 제조하여 나노섬유층(120)이 여과시키는 미립자보다 큰 입자를 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유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부터 전측을 향하도록 베이스층(110)을 배치하고 후측을 향하도록 나노섬유층(120)을 배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층(110)의 일측에 나노섬유층(120)이 전기방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방사에 의해 방향성이 무작위로 형성된 나노섬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층(110)의 일면에 나노섬유층(120)이 방사될 수 있다. 일측으로부터 베이스층(110)이 제공되고, 제공된 베이스층(110)은 이송롤러(도 3의 310, 320) 등을 통해 타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방사는 베이스층(110)이 이송롤러(도 3의 310, 320) 측으로 이송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하는 방사부(20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전기방사는 나노섬유가 베이스층(110)에 무작위로 방사되거나 기 결정된 방향성을 가지도록 방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부(200)가 두(2) 개인 경우, 각각의 방사부(200)가 베이스층(11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배치되어 나노섬유가 겹층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즉, 나노섬유층(120)은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겹층된 각각의 층은 방향성에 있어서, 하나의 층은 무작위로 배열되고 다른 하나의 층은 방향성을 가진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반대일 수 있으며, 두 층이 무작위 또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나노섬유층(120)이 두 개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층으로 형성될 경우, 겹층의 각 나노섬유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여과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미립자가 통과하는 것을 구조적으로 저해할 수 있다.
한편, 전기방사와 관련해서 구체적으로, 나노섬유로 형성된 나노섬유층(120)은 전기방사적층(Electrospinning, E-S)과정에 의해 형성되어 베이스층(110) 위에 무작위로 배열되어 적층되는 비방향성 적층(Random E-S) 방식에 의하여 기 결정된 접합력으로 서로 고착될 수 있다. 또한, 방향성 적층(Directional E-S) 방식에 의하여 베이스층(110) 위에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방향성 적층의 경우에는 기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다른 방향으로 나노섬유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110)에 수행된는 나노섬유층(120)의 비방향성 적층(Random E-S) 또는 방향성 적층(Directional E-S)의 형성방법의 경우, 방사부(200)에 의하여 고분자 재료가 전기 방사를 통해 배출되어 베이스층(110)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전기 방사 과정에서 고분자 재료 내부에서는 전기적인 반발력이 생겨 나노 사이즈의 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분자 재료는 용매 상태로 방사부(200)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층(110)은 부직포일 수 있다.
나아가, 방향성 적층(Directional E-S) 방식의 경우에는 나노 섬유가 방사되는 속도를 고려하여 베이스층(110)을 기 결정된 속도로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고, 나노섬유가 생성되는 속도에 맞추어 이동 또는 회전함으로써 나노 섬유가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나노섬유가 형성된 방향이 다르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나노섬유의 방사방향 제어부(미도시)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를 포함한 기재(100)를 제조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나노섬유층(120) 및 베이스층(110)이 접합되는 접합부(130)를 형성하는 융착부(400)는, 방사부(200)와 이송롤러(310, 3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사부(200)에 의해 베이스층(110)에 형성된 나노섬유측(120)은 이송롤러(310, 320) 측으로 이송되는 중에 베이스층(110)과 융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융착은 열융착, 초음파융착, 압착 등에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융착이 수행됨으로써, 베이스층(110)과 나노섬유층(120)이 서로 접합되는 접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전기방사를 통해 나노섬유층(120)과 베이스층(110)은 기 결정된 접합력이 발생하긴 하나, 두 부재 간의 접합력을 보강하기 위해 접합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130)는 융착이 되므로, 접합부(130)가 형성되는 지점에는 통공이 형성될 수 없으므로, 유체의 통과가 불가능해지므로, 형성된 접합부(130)의 면적은 최소화하되, 접합성은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130)는 선의 형태로 형성되되, 점 또는 면의 형태로 형성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합부(130; 130a, 130b, 130c, 130, 130d, 130e, 130f, 130g)의 다양한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선 형태” 란 연속적인 선의 형태뿐만 아니라, 선의 형태로 볼 수 있는 형태, 예를 들어 선의 형태로 비연속적으로 점이 이어진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g)를 참조하면, 접합부(130)는 지그재그형 선 형태의 접합부(130c), 단락형 직선형태의 접합부(130a), 곡선형태의 접합부(130b), 폐곡선형태의 접합부(130d), 다각형태의 접합부(130e) 및 곡선 및 직선의 조합으로 구성된 도형 형태의 접합부(130g)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재(100)에서 베이스층(110) 및 나노섬유층(120)이 중첩되는 면적의 둘레부에 둘레를 따라 접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5(e)의 경우와 같이 서로 연속된 육각형인 벌집모양의 접합부(130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130)의 형상은 기재에 형성된 통공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층(120)은 유체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공이 존재하므로, 통공의 크기가 작을수록 유체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공의 단면적은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통공의 단면적이 감소된만큼 접합부(130)가 차지하는 부분을 도 5(c)의 접합부(130c)와 같이 최소화하여 기재(100)의 여과가능한 면적을 유지할 수 있고, 통공의 크기가 크면 유체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공의 단면적이 넓어지므로, 접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접합부(130)가 차지하는 부분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통공의 크기인 나노섬유층(120)의 유체통과 단면적과 접합부(130)가 차지하는 기재(100) 상의 부분은 반비례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나아가,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접합부(130)가 형성되되,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지 않고, 두 가지 이상의 방향성을 지닌 나노섬유가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나노섬유층(120)인 경우에도 섬유의 조밀도를 증가되어 내구력 및 여과능력이 증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100)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베이스층 이송(S1), 나노섬유층 전기방사(S2) 및 패턴융착(S3)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베이스층(110)이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면, 베이스층(110)은 이송롤러(310, 320)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베이스층(110)이 이송롤러(310, 320)에의해 이송되기 전에 방사부(200)에 의해 전기방사되어 나노섬유가 베이스층(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나노섬유가 베이스층(110)에 형성되면서 기 결정된 고정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된 나노섬유층(120)은 베이스층(110)과 기 결정된 고정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력은 두 부재를 접합목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아니고, 전기방사에 의해 베이스층(110) 상에 위치시키는 목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고정되는 것으로, 두 부재는 반영구 또는 영구적으로 결합된 것이 아니므로 서로 쉽게 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접합과정이 요구될 수 있다.
한편, 나노섬유의 전기방사는 하나 또는 복수 개에 방사부(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방사부(200)가 위치된 경우에는, 방사부(200)는 베이스층(110)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횡방? 또는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전기방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방사부(200)가 위치된 경우에 전기방사에 의해 형성되는 나노섬유층(120)은 겹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층(11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측에 위치한 방사부(200)가 전기방사를 통해 베이스층(110)에 1차적으로 나노섬유층(120)의 일부를 형성시키고, 후측에 위치한 방사부(200)가 전기방사를 통해 1차적으로 형성된 나노섬유층(120)의 일부 또는 나머지 일부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송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방사부(200)가 서로 이격배치된 경우에는 나노섬유의 조밀도를 달리하여 전기방사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되는 나노섬유층(120)은 나노섬유가 기 결정된 방향성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무작위로 형성되어 방향성이 없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겹층의 나노섬유층(120) 중 각각의 층은 선택적으로 방향성이 있거나 없는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층이 두 개이상 포함되는 나노섬유층(120)일 경우에는, 각각의 방향성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층(120)의 형성이 되면, 융착부(400)에 의해 기재(100)에는 접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층(110)과 나노섬유층(120) 간에 약한 접착력을 보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데, 융착부(400)를 통과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융착부(400)는 베이스층(110)과 나노섬유층(120)의 접합을 위해 열융착, 초음파융착 및 압착 등의 수단으로 접할 수 있다. 접합이 된 접합부(130)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제거되므로, 접합부(130) 타지하는 부분이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유체가 기재(100)를 통과하는 양이 줄어들게 될 수 있고 여과효과 또한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여과효과를 기재(100)가 유지하면서 동시에 접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접합부(130)가 차지하는 기재(130) 상의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단락형 선형태의 접합을 수행할 수 있으나, 접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장된 직선, 곡선, 폐곡선, 다각형, 곡선 및 곡선조합의 도형 등의 형상으로 접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기재
110 : 베이스층
120 : 나노섬유층
130 , 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130g: 접합부
200 : 방사부
310, 320 : 이송롤러
400 : 융착부
S1 : 이송단계
S2 : 전기방사단계
S3 : 융착단계

Claims (13)

  1. 베이스층; 및
    상기 기재의 일측에 접합부를 형성하며 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전기방사에 의해 형성되는 섬유로 구성되는 나노섬유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는,
    선, 폐곡선, 다각형 중 하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하는 라인패턴의 선접합으로 형성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인패턴은 직선 또는 곡선을 포함하는 지그재그 형태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인패턴은 직선 및 곡선을 포함하는 도형인,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은 서로 인접배치된 복수 개의 육각형을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 및 상기 나노섬유층의 중첩된 면적의 둘레를 따라 상기 라인패턴이 형성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층은 나노섬유가 기 결정된 방향성을 지니도록 전기방사되어 형성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층은 나노섬유가 비방향성을 지니도록 전기방사되어 형성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8. 베이스층을 이송시키고,
    상기 베이스층의 일측면에 위치된 방사부로부터 상기 일측면에 전기방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나노섬유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나노섬유층이 형성된 측면에 상기 베이스층 및 상기 나노섬유층의 융착을 수행하여 접합부를 형성시키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라인패턴은 직선 또는 곡선을 포함하는 지그재그 형태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라인패턴은 직선 및 곡선을 포함하는 도형인,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 및 상기 나노섬유층의 중첩된 면적의 둘레를 따라 상기 라인패턴이 형성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층은 나노섬유가 기 결정된 방향성을 지니도록 전기방사되어 형성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층은 나노섬유가 비방향성을 지니도록 전기방사되어 형성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70106173A 2017-08-22 2017-08-22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90021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173A KR20190021063A (ko) 2017-08-22 2017-08-22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173A KR20190021063A (ko) 2017-08-22 2017-08-22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579A Division KR102127319B1 (ko) 2019-07-09 2019-07-09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063A true KR20190021063A (ko) 2019-03-05

Family

ID=6576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173A KR20190021063A (ko) 2017-08-22 2017-08-22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10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476A (ko) 2009-07-24 2011-02-01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로 제조되는 나노섬유 부직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476A (ko) 2009-07-24 2011-02-01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로 제조되는 나노섬유 부직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1486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producir unos medios fibrosos altamente eficaces y unos medios de tejido constituidos mediante este procedimiento y este aparato.
ES2200925T3 (es) Filtro compuest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l mismo.
JP5211037B2 (ja) プリーツを付けることの可能な不織布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CN101065528B (zh) 水饱和熔纺非织造织物
JP5538943B2 (ja) 不織布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57782B2 (ja) 高捕集効率と低圧力損失とを兼ね備えたフィルター
KR20160062027A (ko)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적층체 및 이로 이루어지는 필터
JP2004532098A (ja) 複合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34548A (ja) メルトブローンナノファイバの生産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10168024A1 (en) Electret filter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TW200906471A (en) Filter with ePTFE and method of forming
KR102477321B1 (ko) 섬유 적층체
JP2009073132A (ja) 融着体の製造方法
CN102665516A (zh) 真空清洁器过滤袋
JP6856888B2 (ja) 極細繊維を含む積層吸音材
JPWO2014104351A1 (ja) 清掃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システム
JP6528246B2 (ja) 繊維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18641B2 (ja) プリーツ型エアフィルタ用濾材及びプリーツ型エアフィルタユニット
CN106457097A (zh) 过滤元件及其生产方法
JP2006230536A (ja) 払拭材
KR20190021063A (ko)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90087356A (ko)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TW200847943A (en) Tobacco suction tape
CA3090608A1 (en) Filter medium
JP7283350B2 (ja) 不織布作製装置および不織布作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