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887A -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887A
KR20190020887A KR1020170105753A KR20170105753A KR20190020887A KR 20190020887 A KR20190020887 A KR 20190020887A KR 1020170105753 A KR1020170105753 A KR 1020170105753A KR 20170105753 A KR20170105753 A KR 20170105753A KR 20190020887 A KR20190020887 A KR 20190020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articipant
information
file
fa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이진일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픽스
Priority to KR1020170105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0887A/ko
Publication of KR20190020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운영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은,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보호자가 이용하는 보호자단말로부터 상기 참여자에 대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상기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무선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알림정보를 알림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보호자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수신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의 조합에 고유한 참여자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상기 보호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보호자정보와 상기 부여된 참여자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N(N≥2)명의 참여자에게 부여된 N개의 참여자식별정보와 N개의 안면등록사진파일과 N개의 참여자정보 및 N개의 보호자정보를 상기 저장매체에 매핑 등록한 경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입구 측에 구비된 화상촬영장치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입장하는 제i(1≤i≤N)의 참여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제i의 안면사진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N개의 안면등록사진파일 중 상기 제i의 안면사진파일과 가장 매칭되는 제i의 안면등록사진파일에 대응하는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제i의 안면사진파일을 이용하여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생성된 제i의 안면사진파일과 상기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계획된 M(M≥2)개의 체험학습과정 중 제m(1≤m≤M)의 체험학습과정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S(S≥2)개의 학습공간 중 제s(1≤s≤S)의 학습공간 내에 구비된 T(T≥2)개의 학습자리 중 제t(1≤t≤T)의 학습자리에 배치된 제t의 학습용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를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상기 확인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의 안면 특징점을 인식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된 N개의 안면 특징점 정보와 정합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제m의 체험학습과정을 위해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1≤n≤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된 제n의 보호자정보를 이용하여 제n의 보호자 무선단말로 상기 제n의 참여자에게 제m의 체험학습과정이 제공됨을 알림하는 학습알림정보를 제공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Method for Operating Offline Experience Education}
본 발명은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운영하는 운영서버에서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위해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학습공간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참여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참여자의 보호자 무선단말로 상기 참여자의 학습알림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 인터넷 등의 정보 기술이 발달하면서 인터넷을 통해 영어마을, 과학마을 등 다양한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검색하고 신청할 수 있게 되었다.
체험학습은 오프라인 상의 체험장 또는 모의 학습장에서 특정한 활동에 참여하여 특정한 경험을 해보도록 하는 학습방법이다.
이러한 체험학습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체험장의 지도교사나 인솔자를 따라 다니거나 지시를 받아 체험을 하는데, 지도교사나 인솔자들은 참여자들을 유관으로 보며 호명하거나 참여자들에게 제공된 별도의 ID카드나 태그를 단말기에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의 출석 또는 참여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 경우 대리 출석이나 불참에 대한 여부 확인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참여자들에 대한 출석 여부를 참여자들의 보호자에게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알려주고 있으나, 보호자 입장에서는 어떤 체험을 어떻게 받고 있는지 실시간 체험 내용에 대해 확인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1465호(2017년02월28일 공개)는 현장체험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학년 및 교과 과정별(지리, 사회, 역사)로 현장체험학습이 가능한 POI(Point Of Interest)에 관한 정보 및 주제별 현장체험학습 POI에 관한 정보를 분류 및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장체험학습 정보의 검색 및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단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장체험학습 정보의 검색 및 검색 결과만을 제공할 뿐,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운영하는 운영서버에서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위해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학습공간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참여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참여자의 보호자 무선단말로 상기 참여자의 학습알림정보를 제공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운영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은,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보호자가 이용하는 보호자단말로부터 상기 참여자에 대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상기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무선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알림정보를 알림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보호자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수신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의 조합에 고유한 참여자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상기 보호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보호자정보와 상기 부여된 참여자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N(N≥2)명의 참여자에게 부여된 N개의 참여자식별정보와 N개의 안면등록사진파일과 N개의 참여자정보 및 N개의 보호자정보를 상기 저장매체에 매핑 등록한 경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입구 측에 구비된 화상촬영장치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입장하는 제i(1≤i≤N)의 참여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제i의 안면사진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N개의 안면등록사진파일 중 상기 제i의 안면사진파일과 가장 매칭되는 제i의 안면등록사진파일에 대응하는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제i의 안면사진파일을 이용하여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생성된 제i의 안면사진파일과 상기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계획된 M(M≥2)개의 체험학습과정 중 제m(1≤m≤M)의 체험학습과정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S(S≥2)개의 학습공간 중 제s(1≤s≤S)의 학습공간 내에 구비된 T(T≥2)개의 학습자리 중 제t(1≤t≤T)의 학습자리에 배치된 제t의 학습용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를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상기 확인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의 안면 특징점을 인식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된 N개의 안면 특징점 정보와 정합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제m의 체험학습과정을 위해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1≤n≤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된 제n의 보호자정보를 이용하여 제n의 보호자 무선단말로 상기 제n의 참여자에게 제m의 체험학습과정이 제공됨을 알림하는 학습알림정보를 제공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보호자단말로부터 참여자의 안면등록사진파일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보호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을 판독하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편집툴을 통해 임의로 조작된 사진파일인지 판별하는 단계와, 조작된 사진파일인 경우 상기 보호자단말로 조작되지 않은 참여자의 정면 안면에 대응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의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보호자단말로부터 등록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에 대한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에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가 기 저장된 경우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와 상기 생성된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가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와 구별 가능한 안면 특징점을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와 구별 가능한 경우 상기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상기 등록되는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화상촬영장치를 통해 상기 제i의 참여자의 안면을 j(j≥1)회 촬영하여 생성된 j개의 안면사진파일을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제j의 안면사진파일 중 제j의 참여자의 정면 안면사진파일에 해당하며 각 안면 부위의 윤곽이 가장 명확한 제i의 안면사진파일을 결정하고, 상기 촬영된 j개의 안면사진파일을 판독하여 상기 제i의 안면사진파일에 대응하는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N개의 안면 특징점 정보 중 상기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와 가장 정합되는 어느 한 안면 특징점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보호자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참여자의 선행학습수준을 판별하기 위한 등급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등급테스트의 결과로서 상기 참여자의 선행학습수준에 대한 등급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참여자의 등급정보와 상기 참여자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급테스트는, 상기 보호자단말과 화상통신을 기반으로 연동하여 화상과 음성을 조합하여 질의하면 참여자가 음성으로 답변하는 화상통신 기반 테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된 제i의 참여자의 등급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i의 참여자의 등급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계획된 M개의 체험학습과정을 근거로 상기 제i의 참여자에 대한 등급 별 학습반배정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된 제n의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n의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와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이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s의 학습공간과 상기 제n의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제n의 참여자에게 상기 제n의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에 대응하는 학습공간으로의 이동을 알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m의 체험학습과정과 매칭됨과 동시에 상기 제n 참여자의 등급정보와 매칭되는 등급 별 학습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로 상기 확인된 등급 별 학습컨텐츠를 로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s의 학습공간에 구비된 강사용단말에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정보와 제n의 안면사진파일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제n의 참여자의 체험학습과정을 녹화하여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을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자단말이나 보호자 무선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제n의 참여자의 체험학습과정을 녹화하여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과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이나 제n의 참여자가 터치한 정보를 조합하여 제n의 체험학습기록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n의 체험학습기록파일을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자단말이나 보호자 무선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n의 체험학습기록파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S(S≥2)개의 학습공간 중 제s'(1≤s'≤S)의 역할분담 학습공간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장치를 통해 촬영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의 안면 특징점을 인식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된 N개의 안면 특징점 정보와 정합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제s'의 학습공간에 있는 제n'(1≤n'≤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s'의 역할분담 학습공간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장치를 통해 촬영된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에 포함된 제n' 참여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제n' 참여자가 포함된 제n'의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n'의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을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자단말이나 보호자 무선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n'의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위해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학습공간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참여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참여자의 보호자 무선단말로 상기 참여자의 학습알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위해 보호자단말로부터 참여자정보 및 보호자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참여자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보호자단말로 학습알림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위해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학습공간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참여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참여자의 보호자 무선단말로 상기 참여자의 학습알림정보를 제공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위해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학습공간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참여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참여자의 보호자 무선단말로 상기 참여자의 학습알림정보를 제공하는 운영서버(100)와,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보호자가 이용하는 보호자단말(165)과, 상기 운영서버(100)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무선단말(170)과,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위한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입구 측에 구비되는 화상촬영장치(175)와,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학습공간의 학습자리에 구비된 학습용단말(180)과,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학습공간에 구비된 강사용단말(185)과,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역할분담 학습공간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장치(190)와 저장매체(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자단말(165)은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보호자가 이용하는 유선 단말 및 무선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자는 상기 보호자단말(165)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참여자에 대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상기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무선단말(170)로 적어도 하나의 알림정보를 알림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보호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170)은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보호자가 이용하며, 상기 보호자는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170)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참여자에게 체험학습과정이 제공됨을 알림하는 학습알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화상촬영장치(175)는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입구 측에 구비되며,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입장하는 참여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참여자의 안면촬영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학습용단말(180)은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학습공간의 학습자리에 구비되며, 카메라부를 구비하여 참여자의 체험학습과정을 녹화할 수 있으며, 상기 녹화된 체험학습과정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강사용단말(185)은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학습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학습자리에 앉은 참여자정보와 안면사진파일을 표시하여 강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장치(190)는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역할분담 학습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역할분담 학습공간 내의 참여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를 구현하는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를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하는 경우 각 서버는 상호 연계된 둘 이상의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저장매체(160)는 상기 운영서버(100)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의 외부에서 상기 운여서버(100)와 연동하며,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수집/수신/저장/생성/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보호자정보 수신부(105)와, 정보 저장부(110)와, 식별정보 확인부(115)와, 특징점정보 저장부(120)와, 안면사진정보 확인부(125)와, 식별정보 판별부(130)와, 알림정보 제공부(135)와, 등급테스트부(140)와, 학습공간 매칭부(145)와, 파일 처리부(150)와, 녹화파일 추출부(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자정보 수신부(105)는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보호자가 이용하는 보호자단말(165)로부터 상기 참여자에 대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상기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무선단말(170)로 적어도 하나의 알림정보를 알림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보호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자정보 수신부(105)는 상기 보호자단말(165)로부터 참여자의 안면등록사진파일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보호자단말(165)로부터 수신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을 판독하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편집툴(예컨대, 포토샵 등)을 통해 임의로 조작된 사진파일인지 판별하고, 조작된 사진파일인 경우 상기 보호자단말(165)로 조작되지 않은 참여자의 정면 안면에 대응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자정보 수신부(105)는 상기 보호자단말(165)로부터 등록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에 대한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매체(160)에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가 기 저장된 경우 상기 저장매체(160)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와 상기 생성된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가 상기 저장매체(160)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와 구별 가능한 안면 특징점을 포함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보호자정보 수신부(105)를 통해 상기 참여자에 대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보호자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의 조합에 고유한 참여자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상기 보호자단말(165)로부터 수신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보호자정보와 상기 부여된 참여자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6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보호자정보 수신부(105)를 통해 상기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상기 저장매체(160)에 기 저장된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와 구별 가능한 경우 상기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상기 등록되는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연계하여 저장매체(16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등급테스트부(140)를 통해 상기 참여자의 선행학습수준에 대한 등급정보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160)로부터 상기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된 제i의 참여자의 등급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i의 참여자의 등급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계획된 M개의 체험학습과정을 근거로 상기 제i의 참여자에 대한 등급 별 학습반배정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 확인부(115)는 상기 정보 저장부(110)를 통해 상기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보호자정보와 상기 부여된 참여자식별정보가 매핑되어 지정된 저장매체(160)에 저장되면, N(N≥2)명의 참여자에게 부여된 N개의 참여자식별정보와 N개의 안면등록사진파일과 N개의 참여자정보 및 N개의 보호자정보를 상기 저장매체(160)에 매핑 등록한 경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입구 측에 구비된 화상촬영장치(175)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입장하는 제i(1≤i≤N)의 참여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제i의 안면사진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저장매체(160)에 저장된 N개의 안면등록사진파일 중 상기 제i의 안면사진파일과 가장 매칭되는 제i의 안면등록사진파일에 대응하는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 확인부(115)는 상기 화상촬영장치(175)를 통해 상기 제i의 참여자의 안면을 j(j≥1)회 촬영하여 생성된 j개의 안면사진파일을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제j의 안면사진파일 중 제j의 참여자의 정면 안면사진파일에 해당하며 각 안면 부위의 윤곽이 가장 명확한 제i의 안면사진파일을 결정하고, 상기 촬영된 j개의 안면사진파일을 판독하여 상기 제i의 안면사진파일에 대응하는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매체(160)에 저장된 N개의 안면 특징점 정보 중 상기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와 가장 정합되는 어느 한 안면 특징점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특징점정보 저장부(120)는 상기 식별정보 확인부(115)를 통해 상기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제i의 안면사진파일을 이용하여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생성된 제i의 안면사진파일과 상기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안면사진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특징점정보 저장부(12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i의 안면사진파일과 상기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가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 이후,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계획된 M(M≥2)개의 체험학습과정 중 제m(1≤m≤M)의 체험학습과정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S(S≥2)개의 학습공간 중 제s(1≤s≤S)의 학습공간 내에 구비된 T(T≥2)개의 학습자리 중 제t(1≤t≤T)의 학습자리에 배치된 제t의 학습용단말(180)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 판별부(130)는 상기 안면사진정보 확인부(125)를 통해 상기 학습용단말(180)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의 안면 특징점을 인식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된 N개의 안면 특징점 정보와 정합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제m의 체험학습과정을 위해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1≤n≤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 판별부(130)는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저장매체(160)로부터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된 제n의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제n의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와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이 매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알림정보 제공부(135)는 상기 식별정보 판별부(130)를 통해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된 제n의 보호자정보를 이용하여 제n의 보호자 무선단말(170)로 상기 제n의 참여자에게 제m의 체험학습과정이 제공됨을 알림하는 학습알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등급테스트부(140)는 상기 정보 저장부(110)를 통해 상기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보호자정보와 상기 부여된 참여자식별정보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60)에 저장되는 과정의 전 또는 후에, 상기 보호자단말(165)과 연동하여 상기 참여자의 선행학습수준을 판별하기 위한 등급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하여, 상기 등급테스트의 결과로서 상기 참여자의 선행학습수준에 대한 등급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등급테스트부(140)를 통해 상기 참여자의 선행학습수준에 대한 등급정보가 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10)를 통해 상기 참여자의 등급정보와 상기 참여자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16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급테스트는 상기 보호자단말(165)과 화상통신을 기반으로 연동하여 화상과 음성을 조합하여 질의하면 참여자가 음성으로 답변하는 화상통신 기반 테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공간 매칭부(145)는 상기 식별정보 판별부(130)를 통해 상기 제m의 체험학습과정을 위해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1≤n≤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s의 학습공간과 상기 제n의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180)의 화면을 통해 상기 제n의 참여자에게 상기 제n의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에 대응하는 학습공간으로의 이동을 알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공간 매칭부(145)는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m의 체험학습과정과 매칭됨과 동시에 상기 제n 참여자의 등급정보와 매칭되는 등급 별 학습컨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180)로 상기 확인된 등급 별 학습컨텐츠를 로딩시킬 수 있다.
상기 파일 처리부(150)는 상기 식별정보 판별부(130)를 통해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180)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제n의 참여자의 체험학습과정을 녹화하여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을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매체(160)에 저장한 후, 상기 보호자단말(165)이나 보호자 무선단말(17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 처리부(150)는 상기 식별정보 판별부(130)를 통해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180)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제n의 참여자의 체험학습과정을 녹화하여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과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180)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이나 제n의 참여자가 터치한 정보를 조합하여 제n의 체험학습기록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n의 체험학습기록파일을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매체(160)에 저장한 후, 상기 보호자단말(165)이나 보호자 무선단말(17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n의 체험학습기록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녹화파일 추출부(155)는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S(S≥2)개의 학습공간 중 제s'(1≤s'≤S)의 역할분담 학습공간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장치(190)를 통해 촬영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의 안면 특징점을 인식하고 저장매체(160)에 저장된 N개의 안면 특징점 정보와 정합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제s'의 학습공간에 있는 제n'(1≤n'≤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화파일 추출부(155)는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s'의 역할분담 학습공간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장치(190)를 통해 촬영된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을 확인하고, 상기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에 포함된 제n' 참여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제n' 참여자가 포함된 제n'의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녹화파일 추출부(155)는 상기 정보 저장부(110)과 연동하여 상기 추출된 제n'의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을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매체(16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자단말(165)이나 보호자 무선단말(17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n'의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위해 보호자단말로부터 참여자정보 및 보호자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시스템 상의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보호자가 이용하는 보호자단말(165)로부터 상기 참여자에 대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상기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무선단말(170)로 적어도 하나의 알림정보를 알림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보호자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보호자단말로부터 참여자정보 및 보호자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도시된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운영하는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보호자가 이용하는 보호자단말(165)로부터 상기 참여자에 대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상기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무선단말(170)로 적어도 하나의 알림정보를 알림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보호자정보를 수신한다(20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수신된 상기 참여자에 대한 안면등록사진파일을 판독하여(205), 지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편집툴을 통해 임의로 조작된 사진파일인지 판별한다(210).
만약, 상기 수신된 참여자의 안면등록사진파일이 조작된 사진파일로 판별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보호자단말(165)로 조작되지 않은 참여자의 정면 안면에 대응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의 등록을 요청한다(215).
반면, 상기 수신된 참여자의 안면등록사진파일이 조작된 사진파일이 아니거나, 상기 보호자단말(165)로부터 조작되지 않은 참여자의 안면등록사진파일이 다시 수신되면(22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안면등록사진파일을 판독하여 상기 안면등록사진파일에 대한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생성한다(225).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60)에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가 기 저장된 경우, 상기 저장매체(160)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와 상기 생성된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비교하여(230), 상기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가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와 구별 가능한 안면 특징점을 포함하는지 확인한다(235).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참여자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보호자가 이용하는 보호자단말(165)로부터 상기 참여자에 대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상기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무선단말(170)로 적어도 하나의 알림정보를 알림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보호자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참여자에 대한 참여자식별정보를 고유하게 부여하여 상기 참여자와 관련된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참여자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보호자단말(165)로부터 상기 참여자에 대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보호자정보가 수신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참여자의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상기 참여자정보의 조합에 고유한 참여자식별정보를 부여한다(300).
상기 참여자의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상기 참여자정보의 조합에 고유한 참여자식별정보가 부여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부여된 참여자식별정보를 상기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보호자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매체(160)에 저장한다(305).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상기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연계하여 저장매체(160)에 저장한다(310).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보호자단말(165)과 연동하여 상기 참여자의 선행학습수준을 판별하기 위한 등급테스트를 수행한다(315).
상기 참여자의 선행학습수준을 판별하기 위한 등급테스트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등급테스트의 결과로서 상기 참여자의 선행학습수준에 대한 등급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참여자의 등급정보와 상기 참여자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160)에 저장한다(320).
여기서, 상기 등급테스트는 상기 보호자단말(165)과 화상통신을 기반으로 연동하여 화상과 음성을 조합하여 질의하면 참여자가 음성으로 답변하는 화상통신 기반 테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60)로부터 상기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된 참여자의 등급정보를 확인하고(325), 상기 확인된 참여자의 등급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계획된 체험학습과정을 근거로 상기 참여자에 대한 등급 별 학습반배정정보를 결정한다(33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결정된 상기 참여자에 대한 등급 별 학습반배정정보를 상기 참여자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매체(160)에 저장한다(335).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보호자 무선단말로 학습알림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에게 고유한 참여자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저장매체(160)에 저장하는 과정 이후, 상기 참여자의 안면사진을 이용하여 참여자를 식별하고 체험학습과정 제공 시 상기 참여자의 보호자 무선단말(170)로 학습알림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로 학습알림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에게 부여된 참여자식별정보가 저장매체(160)에 저장된 이후, 운영서버(100)는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입구 측에 구비된 화상촬영장치(175)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입장하는 참여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안면사진파일을 생성한다(40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60)에 저장된 안면등록사진파일 중 상기 생성된 안면사진파일과 가장 매칭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을 확인하고(405), 상기 확인된 가장 매칭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에 대응하는 참여자식별정보를 확인한다(410).
상기 참여자식별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안면사진파일을 이용하여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안면 특징점 정보를 확인한다(415).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안면사진파일과 상기 안면 특징점 정보를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매체(160)에 저장한다(420).
이후,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계획된 체험학습과정이 개시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학습공간 내에 구비된 학습자리에 배치된 학습용단말(180)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를 확인한다(425).
상기 안면사진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확인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의 안면 특징점을 인식하고(430), 저장매체(160)에 저장된 안면 특징점 정보와 정합 관계를 판독하여(435), 상기 체험학습과정을 위해 상기 학습공간의 학습자리에 앉은 참여자에 대한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다(440).
상기 참여자식별정보가 판별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판별된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된 보호자정보를 이용하여 보호자 무선단말(170)로 상기 참여자에게 상기 체험학습과정이 제공됨을 알림하는 학습알림정보를 제공한다(4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참여자식별정보가 판별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60)로부터 상기 판별된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된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와 상기 학습공간이 매칭되는지 확인하여,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학습용단말(180)의 화면을 통해 상기 참여자에게 상기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에 대응하는 학습공간으로의 이동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참여자식별정보가 판별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체험학습과정과 매칭됨과 동시에 상기 참여자의 등급정보와 매칭되는 등급 별 학습컨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학습용단말(180)로 상기 확인된 등급 별 학습컨텐츠를 로딩시킬 수 있다.
100 : 운영서버 105 : 보호자정보 수신부
110 : 정보 저장부 115 : 식별정보 확인부
120 : 특징점정보 저장부 125 : 안면사진정보 확인부
130 : 식별정보 판별부 135 : 알림정보 제공부
140 : 등급테스트부 145 : 학습공간 매칭부
150 : 파일 처리부 155 : 녹화파일 추출부
160 : 저장매체 165 : 보호자단말
170 : 보호자 무선단말 175 : 화상촬영장치
180 : 학습용단말 185 : 강사용단말
190 : 카메라

Claims (13)

  1. 오프라인 체험학습을 운영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보호자가 이용하는 보호자단말로부터 상기 참여자에 대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상기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무선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알림정보를 알림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보호자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수신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의 조합에 고유한 참여자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상기 보호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참여자정보 및 보호자정보와 상기 부여된 참여자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 단계;
    N(N≥2)명의 참여자에게 부여된 N개의 참여자식별정보와 N개의 안면등록사진파일과 N개의 참여자정보 및 N개의 보호자정보를 상기 저장매체에 매핑 등록한 경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입구 측에 구비된 화상촬영장치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입장하는 제i(1≤i≤N)의 참여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제i의 안면사진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N개의 안면등록사진파일 중 상기 제i의 안면사진파일과 가장 매칭되는 제i의 안면등록사진파일에 대응하는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제i의 안면사진파일을 이용하여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생성된 제i의 안면사진파일과 상기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제4 단계;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계획된 M(M≥2)개의 체험학습과정 중 제m(1≤m≤M)의 체험학습과정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S(S≥2)개의 학습공간 중 제s(1≤s≤S)의 학습공간 내에 구비된 T(T≥2)개의 학습자리 중 제t(1≤t≤T)의 학습자리에 배치된 제t의 학습용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를 확인하는 제5 단계;
    상기 확인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의 안면 특징점을 인식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된 N개의 안면 특징점 정보와 정합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제m의 체험학습과정을 위해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1≤n≤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된 제n의 보호자정보를 이용하여 제n의 보호자 무선단말로 상기 제n의 참여자에게 제m의 체험학습과정이 제공됨을 알림하는 학습알림정보를 제공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보호자단말로부터 참여자의 안면등록사진파일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보호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을 판독하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편집툴을 통해 임의로 조작된 사진파일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조작된 사진파일인 경우 상기 보호자단말로 조작되지 않은 참여자의 정면 안면에 대응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의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보호자단말로부터 등록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되는 안면등록사진파일에 대한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매체에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가 기 저장된 경우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와 상기 생성된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가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와 구별 가능한 안면 특징점을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다른 안면 특징점 정보와 구별 가능한 경우 상기 등록대상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상기 등록되는 안면등록사진파일과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화상촬영장치를 통해 상기 제i의 참여자의 안면을 j(j≥1)회 촬영하여 생성된 j개의 안면사진파일을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제j의 안면사진파일 중 제j의 참여자의 정면 안면사진파일에 해당하며 각 안면 부위의 윤곽이 가장 명확한 제i의 안면사진파일을 결정하고, 상기 촬영된 j개의 안면사진파일을 판독하여 상기 제i의 안면사진파일에 대응하는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N개의 안면 특징점 정보 중 상기 제i의 안면 특징점 정보와 가장 정합되는 어느 한 안면 특징점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보호자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참여자의 선행학습수준을 판별하기 위한 등급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등급테스트의 결과로서 상기 참여자의 선행학습수준에 대한 등급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자의 등급정보와 상기 참여자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테스트는,
    상기 보호자단말과 화상통신을 기반으로 연동하여 화상과 음성을 조합하여 질의하면 참여자가 음성으로 답변하는 화상통신 기반 테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된 제i의 참여자의 등급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i의 참여자의 등급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의 계획된 M개의 체험학습과정을 근거로 상기 제i의 참여자에 대한 등급 별 학습반배정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제i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된 제n의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n의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와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이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s의 학습공간과 상기 제n의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제n의 참여자에게 상기 제n의 참여자의 학습반배정정보에 대응하는 학습공간으로의 이동을 알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m의 체험학습과정과 매칭됨과 동시에 상기 제n 참여자의 등급정보와 매칭되는 등급 별 학습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로 상기 확인된 등급 별 학습컨텐츠를 로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s의 학습공간에 구비된 강사용단말에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정보와 제n의 안면사진파일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제n의 참여자의 체험학습과정을 녹화하여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을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단말이나 보호자 무선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s의 학습공간의 제t의 학습자리에 앉은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제n의 참여자의 체험학습과정을 녹화하여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n의 체험학습녹화파일과 상기 제t의 학습용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이나 제n의 참여자가 터치한 정보를 조합하여 제n의 체험학습기록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n의 체험학습기록파일을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단말이나 보호자 무선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n의 체험학습기록파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체험학습장에 구비된 S(S≥2)개의 학습공간 중 제s'(1≤s'≤S)의 역할분담 학습공간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장치를 통해 촬영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참여자의 안면사진정보의 안면 특징점을 인식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된 N개의 안면 특징점 정보와 정합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제s'의 학습공간에 있는 제n'(1≤n'≤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s'의 역할분담 학습공간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장치를 통해 촬영된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에 포함된 제n' 참여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제n' 참여자가 포함된 제n'의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n'의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을 상기 제n'의 참여자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단말이나 보호자 무선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n'의 역할분담학습녹화파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KR1020170105753A 2017-08-21 2017-08-21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KR20190020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753A KR20190020887A (ko) 2017-08-21 2017-08-21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753A KR20190020887A (ko) 2017-08-21 2017-08-21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887A true KR20190020887A (ko) 2019-03-05

Family

ID=6576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753A KR20190020887A (ko) 2017-08-21 2017-08-21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08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558B1 (ko) 2022-10-13 2023-02-08 주식회사 에이아이컨트롤 교육 부자재를 활용한 4차 산업 기술 교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558B1 (ko) 2022-10-13 2023-02-08 주식회사 에이아이컨트롤 교육 부자재를 활용한 4차 산업 기술 교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86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identifying and tracking objects and events over time
CN110163488A (zh) 公务车钥匙管理方法及装置
KR20200068771A (ko) 딥러닝 기반 얼굴 인식 출석체크 시스템
KR102292775B1 (ko) 학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9522503B (zh) 基于ar与lbs技术的旅游景点虚拟留言板系统
WO2019200737A1 (zh) 不动产资料上传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160139786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문제풀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20932B1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근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
JP2013219666A (ja) 情報共有システム、照合装置、端末装置、情報共有方法及び情報共有プログラム
Quintana et al. Object and gesture recognition to assist children with autism during the discrimination training
KR20130109777A (ko) 얼굴 인식 기반의 근태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20887A (ko)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CN109190466A (zh) 一种人员实时定位的方法和设备
JP2008276633A (ja) 出席状態管理システム及び出席状態管理方法
US20180249063A1 (en)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processing device
US20220222449A1 (en) Presentation transcripts
JP5782969B2 (ja) 出席管理システム
Mishra et al. Multimodal Biometric Attendance System
US20180308378A1 (en) Interactive environment for the learning process
JPWO2016051790A1 (ja) 利用制御システム、人物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US85172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achine-readable visual markers to provide environmental context for communications
JP6324284B2 (ja) グループ学習システム
CN108320075A (zh) 一种具备照片管理功能的可视化现场监控系统及方法
CN107016351A (zh) 拍摄指导信息的获取方法以及装置
CN113556502A (zh) 执法记录仪的紧急状态沟通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