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871A - 정수기용 코크 밸브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코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871A
KR20190020871A KR1020170105495A KR20170105495A KR20190020871A KR 20190020871 A KR20190020871 A KR 20190020871A KR 1020170105495 A KR1020170105495 A KR 1020170105495A KR 20170105495 A KR20170105495 A KR 20170105495A KR 20190020871 A KR20190020871 A KR 20190020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haft
shaft
lever
outlet
c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0651B1 (ko
Inventor
강기환
Original Assignee
(주)스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톰테크 filed Critical (주)스톰테크
Priority to KR1020170105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65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에 정수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정수된 물을 이용하기 위해 레버를 당기는 과정에서 레버에 정수된 물이 떨어져 정수된 물이 튀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코크 밸브{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에 정수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정수된 물의 흐름을 레버를 통해 조작하여 사용자가 정수된 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흔히 사용되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레버를 당기면 바로 정수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코크 밸브는 사용자가 레버를 당기기 위해 레버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코크 밸브에서 유출되는 정수된 물이 레버의 손잡이로 떨어지거나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사용자의 손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레버의 작동에 따라 정수된 물이 바로 유출되면 손잡이로 떨어진 물이 사방으로 튀길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이 불필요하게 젖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정수된 물이 온수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에 심각한 화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버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레버는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그 구조를 바꾸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기존의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레버를 사용하면서도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레버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수된 물이 레버에 떨어져서 물이 튀기는 것을 방지하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정수가 유출되는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코크 몸체; 상기 코크 몸체의 챔버에 배치되어 상기 코크 몸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샤프트; 상기 상부 샤프트의 승강에 따라 상기 코크 몸체의 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상부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코크 몸체의 챔버에 배치되는 하부 샤프트; 상기 상부 샤프트에 대해 상기 하부 샤프트를 상기 코크 몸체의 유출구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샤프트 스프링; 상기 코크 몸체에 대한 각도에 따라 상기 상부 샤프트를 상기 코크 몸체에 대해 승강시키도록 상기 상부 샤프트에 연결되는 레버; 상기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상부 샤프트가 슬립 높이로 상승된 후 상기 제1걸림부에 걸려서 상기 하부 샤프트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정수된 물을 이용하기 위해 레버를 당기는 과정에서 레버에 정수된 물이 떨어져 정수된 물이 튀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Ⅱ-Ⅱ선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Ⅲ-Ⅲ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코크 몸체(100)와 상부 샤프트(300)와 하부 샤프트(400)와 샤프트 스프링(700)과 레버(200)와 레버 스프링(800)과 제1걸림부(500)와 제2걸림부(600)로 구성된다.
코크 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구성들이 설치되거나 연결되는 하우징이다. 코크 몸체(100)는 유입구(110)와 유출구(130)와 챔버(120)를 구비한다.
코크 몸체(100)의 유입구(110)는 정수기를 통해 정수된 물(정수)이 유입되도록 코크 몸체(100)에 형성된 구멍이다. 도 2 및 도 4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유입구(110)는 코크 몸체(100)의 후방에 형성된다.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는 정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코크 몸체(100)에 형성된 구멍이다. 유출구(130)는 코크 몸체(100)의 하단에 형성된다.
코크 몸체(100)의 챔버(120)는 유입구(110)와 유출구(130)를 연결하도록 코크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유입구(110)에서 유입된 정수는 챔버(120)를 경유하여 유출구(130)로 흘러나갈 수 있다.
상부 샤프트(300)는 코크 몸체(100)의 챔버(120)에 배치되어 상키 코크 몸체(100)에 대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 샤프트(300)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걸림 지지부재(310)가 구비된다. 걸림 지지부재(31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 지지부재는(310)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하부 샤프트(400)는 코크 몸체(100)의 챔버(120)에서 상부 샤프트(300)의 하부에 배치된다. 하부 샤프트(400)는 상부 샤프트(300)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하도록 상부 샤프트(300)에 연결된다. 하부 샤프트(400)의 하단은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와 맞닿아 있다. 하부 샤프트(400)의 승강에 따라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가 개폐될 수 있다.
샤프트 스프링(700)은 상부 샤프트(300)와 하부 샤프트(400) 사이에 설치된다. 샤프트 스프링(700)은 상부 샤프트(300)에 대해 하부 샤프트(400)를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가 위치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레버(200)는 힌지 부재(210)와 연결 부재(220)와 손잡이 부재(230)로 이루어진다.
레버(200)의 힌지 부재(210)는 하면이 코크 몸체(100)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힌지 부재(210)는 코크 몸체(100)의 상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부 샤프트(3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부 샤프트(300)에 힌지 결합된다. 도 2 및 도 4을 참조하면, 힌지 부재(210)는 힌지 부재(210)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코크 몸체(100)의 상면에 접하는 제1접촉부(211)와 후방에서 코크 몸체(100)의 상면에 접하는 제2접촉부(212)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접촉부(211)의 길이가 제2접촉부(212)의 길이보다 길다. 즉 힌지 부재(210)의 회전축은 힌지 부재(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레버(200)의 연결 부재(220)는 힌지 부재(210)에 연결되어 코크 몸체(10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버(200)의 회전이 코크 몸체(100)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레버(200)의 연결 부재(220)의 중간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레버(200)가 회전하면 연결 부재(220)의 빈 공간을 코크 몸체(100)가 통과한다.
레버(200)의 손잡이 부재(230)는 코크 몸체(100)의 하측에서 레버(200)의 연결 부재(220)의 말단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손잡이 부재(230)를 통해 레버(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 스프링(800)은 코크 몸체(100)와 상부 샤프트(300) 사이에 설치된다. 레버 스프링(800)은 코크 몸체(100)에 대해 상부 샤프트(300)를 코크 몸체(100)의 하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걸림부(500)는 상부 샤프트(300)의 걸림 지지부재(310)에 각각 형성된다. 제1걸림부(500)는 상하로 연장되는 홈 모양으로 상부 샤프트(300)의 걸림 지지부재(310)에 각각 형성된다. 제2걸림부(600)는 하부 샤프트(400)에 형성된다. 제2걸림부(600)는 제1걸림부(500)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돌기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2걸림부(600)는 제1걸림부(500)가 형성된 위치에서 하부 샤프트(400)에 각각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레버(200)가 회전되기 전에 제2걸림부(600)는 슬립 높이(H)만큼 제1걸림부(500)와 이격된 상태로 제1걸림부(500)에 삽입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의 개폐를 통해 코크 몸체(100)의 유입구(110)로 유입된 정수가 코크 몸체(100)의 챔버(120)를 경유하여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로 유출되는 흐름을 조절한다. 유출구(130)의 개폐는 코크 몸체(100)의 챔버(120)에 배치된 상부 샤프트(300) 및 하부 샤프트(400)의 상승에 의해 조절된다. 상부 샤프트(300)의 상승에 따라 하부 샤프트(400)도 함께 상승한다. 상부 샤프트(300)는 레버(200)의 회전에 따라 상승한다. 사용자는 레버(200)를 당기거나 밀어서 레버(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샤프트(300)를 상승시킨다. 상부 샤프트(300)의 상승에 따라 하부 샤프트(400)가 상승하며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가 개폐된다.
먼저, 사용자가 레버(200)를 당겨서 회전시킬 때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레버(200)의 손잡이 부재(230)를 전방으로 당기면 레버(200)의 힌지 부재(210)가 회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레버(200)를 당기면 힌지 부재(2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힌지 부재(2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힌지 부재(210)의 제2접촉부(212) 일부가 코크 몸체(100)의 상면과 맞닿아 받침점이 되어 힌지 부재(210)의 회전축을 상승시킨다. 힌지 부재(210)의 회전축이 상승하면 힌지 결합된 상부 샤프트(300)도 함께 상승한다. 사용자가 레버(200)를 더 많이 잡아당기면 힌지 부재(210)의 하면과 코크 몸체(100)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가 더 커지면서 상부 샤프트(300)도 더 많이 상승한다. 사용자가 레버(200)의 손잡이 부재(230)를 잡고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렇게 레버(200)가 회전하여 상부 샤프트(300)가 상승하여 슬립 높이(H)에 도달하면 비로소 하부 샤프트(400)도 상부 샤프트(300)를 따라 상승한다. 상부 샤프트(300)와 하부 샤프트(400)는 제1걸림부(500)와 제2걸림부(60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레버(200)가 원위치에 있을 때, 제2걸림부(600)는 제1걸림부(500)에 삽입되어 있다. 제1걸림부(500)는 상하로 연장된 홈 형태로 형성되고 제2걸림부(600)는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2걸림부(600)는 제1걸림부(50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제2걸림부(600)는 도 2에 도시한 슬립 높이(H)만큼 제1걸림부(500)에 대해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상부 샤프트(300)가 상승하면, 상부 샤프트(300)에 형성된 제1걸림부(500)가 상승한다. 제1걸림부(500)는 제2걸림부(600)에 걸리지 않고 슬립 높이(H)만큼 상승한다. 상부 샤프트(300)가 슬립 높이(H)로 상승하면 제2걸림부(600)는 제1걸림부(500)에 걸린다. 제2걸림부(600)가 제1걸림부(500)에 걸리면, 하부 샤프트(400)도 상부 샤프트(300)와 함께 상승한다. 즉, 제1걸림부(500)와 제2걸림부(600)의 구조로 인해 상부 샤프트(300)가 슬립 높이(H)만큼 상승한 뒤 하부 샤프트(400)가 상승을 시작한다. 하부 샤프트(400)가 상승하면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가 개방되며 정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레버(200)의 손잡이 부재(230)가 유출구(130)를 지나간 뒤 상부 샤프트(300)가 슬립 높이(H) 만큼 상승한다. 다시 말하면, 레버(200)의 손잡이 부재(230)가 유출구(130)를 지나간 뒤 제2걸림부(600)가 제1걸림부(500)에 걸린다. 즉, 레버(200)의 손잡이 부재(230)가 유출구(130)를 지나간 뒤 하부 샤프트(400)가 상승을 시작한다. 하부 샤프트(400)가 상승하면 유출구(130)에서 정수가 유출되므로, 레버(200)의 손잡이 부재(230)가 유출구(130)를 지나간 뒤 유출구(130)가 개방되도록 슬립 높이(H)가 설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레버(200)의 손잡이 부재(230)가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를 지나간 뒤 비로소 정수가 유출되기 때문에, 정수가 튀거나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부 샤프트(300) 및 하부 샤프트(400)의 상승은 레버(200)의 힌지 부재(210)의 하면과 코크 몸체(100)의 상면 사이의 각도가 90도를 이룰 때까지 계속된다. 힌지 부재(210)의 하면과 코크 몸체(100)의 상면 사이의 각도가 90도를 이루기 전에 사용자가 손잡이 부재(230)를 놓는 경우에는, 레버 스프링(800)에 의해 레버(200)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코크 몸체(100)와 상부 샤프트(300) 사이에 설치된 레버 스프링(800)이 코크 몸체(100)에 대해 상부 샤프트(300)를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 방향으로 밀어서 레버(200)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한다. 힌지 부재(210)의 하면과 코크 몸체(100) 상면이 90도가 되면, 힌지 부재(210)의 후면이 코크 몸체(100)의 상면과 맞닿게 되므로 힌지 부재(210)는 고정된다. 따라서 상부 샤프트(300)는 상승한 채 고정될 수 있다.
정수 이용이 끝나면 사용자는 레버(200)를 놓거나 살짝 밀어서 레버(200)의 힌지 부재(210)의 하면과 코크 몸체(100)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이 되도록 한다. 힌지 부재(210)와 코크 몸체(100)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인 경우 레버 스프링(800)에 의해 레버(200)는 원위치로 돌아간다. 레버(200)가 원위치로 돌아가면 상부 샤프트(300)가 하강하고 상부 샤프트(300)와 하부 샤프트(400) 사이에 설치된 샤프트 스프링(700)에 의해 하부 샤프트(400)도 같이 하강하여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를 폐쇄한다. 상부 샤프트(300)가 상승하는 경우와는 다르게 상부 샤프트(300)가 하강할 때는 하부 샤프트(400)를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 방향으로 밀어내는 샤프트 스프링(700)에 의해 하부 샤프트(400)가 상부 샤프트(300)와 함께 하강한다. 상부 샤프트(300)의 하강과 함께 하부 샤프트(400)도 같이 하강하여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를 폐쇄하기 때문에 정수가 불필요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레버(200)가 원위치로 돌아가며 레버(200)의 손잡이 부재(230)에 정수가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레버(200)를 밀어서 회전 시킬 때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레버(200)의 힌지 부재(210)는 제1접촉부(211)의 길이가 제2접촉부(212)의 길이보다 길다. 즉, 상부 샤프트(300)에 대해 회전하는 힌지 부재(210)의 회전축은 힌지 부재(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레버(200)의 손잡이 부재(230)를 통해 레버(200)를 밀면, 레버(200)의 힌지 부재(210)가 상부 샤프트(300)에 대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힌지 부재(21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힌지 부재(210)의 제1접촉부(211) 일부가 코크 몸체(100)의 상면과 맞닿아 받침점이 되어 힌지 부재(210)의 회전축을 상승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접촉부(211)의 길이가 제2접촉부(212)보다 길기 때문에 앞서 레버(200)를 당겨서 회전시킬 때보다 회전축이 더 많이 상승한다. 힌지 부재(210)의 회전축이 더 많이 상승하면 힌지 부재(210)와 힌지 결합된 상부 샤프트(300)도 더 많이 상승한다. 즉, 레버(200)를 밀어서 회전시키면 레버(200)를 당겨서 회전시킬 때보다 더 적은 각도의 회전으로 상부 샤프트(3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레버(200)를 밀어서 회전시킬 때는 당겨서 회전시킬 때보다 회전할 수 있는 각도가 제한적이다. 레버(200)를 밀면 레버(200)가 정수기 본체에 접촉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 부재(210)의 제1접촉부(211)와 제2접촉부(212)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회전할 수 있는 각도가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상부 샤프트(300)를 충분히 상승시킬 수 있다.
상부 샤프트(300)가 슬립 높이(H)만큼 상승하면 하부 샤프트(400)도 상승하여 유출구(130)가 개방된다. 유출구(130)가 개방되면 정수가 유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사용자는 정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코크 밸브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제1걸림부(500)에 제2걸림부(600)를 삽입하여 상부 샤프트(300)와 하부 샤프트(400)를 연결해야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걸림부(500)가 유연한 걸림 지지부재(310)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 지지부재(310)가 유연하기 때문에 걸림 지지부재(310)를 바깥쪽으로 벌려서 제2걸림부(600)를 제1걸림부(500)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부 샤프트(300)와 하부 샤프트(400)를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는 제1걸림부(500)가 상부 샤프트(300)에 형성되고 제2걸림부(600)는 하부 샤프트(40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걸림부를 하부 샤프트에 형성하고 제2걸림부를 상부 샤프트에 형성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제1걸림부(500)는 상하로 연장되는 홈 형태이고, 제2걸림부(600)는 돌기 형태인 것으로 형성하였으나, 제1걸림부를 돌기 형태로 형성하고 제2걸림부를 홈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는 제1걸림부(500)가 상부 샤프트(300)에 구비된 두 개의 걸림 지지부재(3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걸림 지지부재의 개수는 두 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걸림 지지부재 없이 상부 샤프트에 제1걸림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2걸림부의 개수도 두 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슬립 높이(H)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정수기의 종류나 코크 밸브의 종류에 따라서 슬립 높이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레버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100: 코크 몸체 110: 유입구
120: 챔버 130: 유출구
200: 레버 210: 힌지 부재
211: 제1접촉부 212: 제2접촉부
220: 연결 부재 230: 손잡이 부재
300: 상부 샤프트 310: 걸림 지지부재
400: 하부 샤프트 500: 제1걸림부
600: 제2걸림부 700: 샤프트 스프링
800: 레버 스프링 H: 슬립 높이

Claims (7)

  1.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정수가 유출되는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코크 몸체;
    상기 코크 몸체의 챔버에 배치되어 상기 코크 몸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샤프트;
    상기 상부 샤프트의 승강에 따라 상기 코크 몸체의 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상부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코크 몸체의 챔버에 배치되는 하부 샤프트;
    상기 상부 샤프트에 대해 상기 하부 샤프트를 상기 코크 몸체의 유출구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샤프트 스프링;
    상기 코크 몸체에 대한 각도에 따라 상기 상부 샤프트를 상기 코크 몸체에 대해 승강시키도록 상기 상부 샤프트에 연결되는 레버;
    상기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상부 샤프트가 슬립 높이로 상승된 후 상기 제1걸림부에 걸려서 상기 하부 샤프트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는, 상하로 연장되는 홈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걸림부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 샤프트가 상기 슬립 높이로 상승된 후에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도록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샤프트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걸림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상부 샤프트의 걸림 지지부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상부 샤프트의 걸림 지지부재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걸림부에 각각 걸리도록 상기 하부 샤프트에 두 개가 형성되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하면이 상기 코크 몸체의 상면과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코크 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코크 몸체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말단에 연결되는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는, 상기 레버가 회전하여 상기 레버의 손잡이 부재가 상기 코크 몸체의 유출구를 경유한 후에 상기 제2걸림부가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힌지 부재는, 그 힌지 부재가 상기 상부 샤프트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과 접하는 제1접촉부와, 후방으로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과 접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부재의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 몸체에 대해 상기 상부 샤프트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코크 몸체와 상부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는 레버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1020170105495A 2017-08-21 2017-08-21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102010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495A KR102010651B1 (ko) 2017-08-21 2017-08-21 정수기용 코크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495A KR102010651B1 (ko) 2017-08-21 2017-08-21 정수기용 코크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871A true KR20190020871A (ko) 2019-03-05
KR102010651B1 KR102010651B1 (ko) 2019-08-14

Family

ID=6576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495A KR102010651B1 (ko) 2017-08-21 2017-08-21 정수기용 코크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6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554B1 (ko) * 2009-11-09 2012-03-16 박경호 안전 밸브장치
KR20140076689A (ko) * 2012-12-12 2014-06-23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554B1 (ko) * 2009-11-09 2012-03-16 박경호 안전 밸브장치
KR20140076689A (ko) * 2012-12-12 2014-06-23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651B1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284B1 (ko) 정수기
JP3205180U (ja) 容器の蓋体構造
US6481337B1 (en) Controlling mechanism of beverage infusion container
KR101634192B1 (ko) 음용수 공급장치
KR20190023954A (ko) 정수기
KR20190020871A (ko) 정수기용 코크 밸브
US7926511B1 (en) Toilet fill valve with valve lock
KR101949930B1 (ko)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KR101653582B1 (ko) 온수용 안전꼭지
KR20190040177A (ko) 정수기
JP7222624B2 (ja) 少なくとも2つの注湯流量を有するポット
KR200409995Y1 (ko)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
CN205214945U (zh) 上盖组件及其烹饪器具以及用于烹饪器具的连动滑块
CN205107394U (zh) 上盖组件及其烹饪器具以及用于烹饪器具的连动滑块
KR101692527B1 (ko) 코크 안전장치
CN212382514U (zh) 一种微压锅
US9371639B1 (en) Toilet flush valve with bowl overflow prevention
KR20190000658U (ko)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100768781B1 (ko) 냉온수 선택 배출이 가능한 코크 조립체
WO2009054573A1 (en) The safety device for a system to supply the drinking water
KR200278993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음료 공급기용 토출구
KR200337349Y1 (ko) 핸들 고정장치가 장착된 볼밸브
KR101988952B1 (ko) 물배출장치
KR20190002939U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장치
CN217471715U (zh) 压力锅限压阀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