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208A -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208A
KR20190020208A KR1020170103921A KR20170103921A KR20190020208A KR 20190020208 A KR20190020208 A KR 20190020208A KR 1020170103921 A KR1020170103921 A KR 1020170103921A KR 20170103921 A KR20170103921 A KR 20170103921A KR 20190020208 A KR20190020208 A KR 20190020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ether
ethylene glycol
concrete composition
modifi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0139B1 (ko
Inventor
허형석
이병재
이태경
정혁진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엔티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엔티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제이엔티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7010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1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2Alcohols; Phenols; Ethers
    • C04B24/023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34Non-shrinking or non-cracking materials
    • C04B2111/346Materials exhibiting reduced plastic shrinkage cracking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골재, 폴리머 에멀전 및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머 에멀전에는 액상 폴리머와, 표면장력 저감제가 첨가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장력 저감제는, 글리콜 에테르, 에톡시프로폭시화 알코올 및 첨가제로 이루어지진다.

Description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POLYMER MODIFIED CONCRETE COMPOSITION WITH REDUCED SURFACE TENSION OF WATER IN MICRO-PORES OF CONCRETE AND PAV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켜 콘크리트의 내부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릴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포장은 아스팔트콘크리트 또는 시멘트콘크리트를 사용한다. 최근에는 시멘트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도로를 포장하는 것이 아스팔트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도로를 포장하는 것에 비해 내구성 및 수명이 우수하여 시멘트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도로를 포장하는 시공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시멘트콘크리트의 경우에도 아스팔트콘크리트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날 뿐, 콘크리트 시공시 발생하는 균열과 동절기 염화칼슘 살포에 의한 염분의 침투 등으로 인해 하부 구조물 내의 철근이 부식되고 골재 알칼리 반응이 촉진되어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결국에는 포장체가 파손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균열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콘크리트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콘크리트의 소성수축, 자기수축, 건조수축 등이 있다.
소성수축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낮은 습도의 대기나 바람에 노출됨으로서 콘크리트의 표면의 수분 증발이 내부에서 블리딩보다 빠르게 일어날 경우에 발생하는 것이다. 자기수축은 외부로부터 수분 공급이 으며, 일정한 온도 하에서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의해 배합시 사용된 물이 소비되면서 콘크리트 내부의 상대습도가 감소하는 자기 건조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도로 보수나 교량 포장에 이용되는 조강 시멘트 또는 초조강 시멘트는 높은 발열성으로 인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빠르게 경화되는바, 조강 시멘트 또는 초조강 시멘트가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할 필요성이 높아진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의 수축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팽창 시멘트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팽창 시멘트는 K형, S형, M형 및 O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팽창시멘트는 에트린자이트(Ettringite)의 생성과정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되거나,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CaO가 수산화칼슘의 결정을 형성하면서 팽창된다. 하지만, 현재 판매되고 있는 팽창 시멘트는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비싸 시공 경제성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달리, 콘크리트의 수축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수축저감제를 사용한다. 수축저감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수축 균열을 예방할 수 있으나 콘크리트의 물성, 예를 들어 압축 강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 이용되는 일반적인 수축저감제를 사용하면, 수축저감제가 시멘트 수화에 영향을 미쳐 응결 지연을 가지고 옴으로써 압축 강도 저하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들을 없이 콘크리트의 균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의 물성을 동등 이상의 수준을 가지면서 동시에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은 도로를 포장하는데 사용가능한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로서, 시멘트, 골재, 폴리머 에멀전 및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머 에멀전에는 액상 폴리머와, 표면장력 저감제가 첨가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장력 저감제는, 글리콜 에테르, 에톡시프로폭시화 알코올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 에테르는 에칠렌글리콜 모노 메칠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에칠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프로필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이소프로필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부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메칠 페닐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메칠 벤질 에테르, 디에칠렌글리콜 모노 메칠 에테르, 디에칠렌글리콜 모노 에칠 에테르, 디에칠렌글리콜 모노 부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디메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에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부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메칠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칠렌글리콜 모노 에칠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에칠렌글리콜 모노 부칠 에테르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면장력 저감제는, 상기 표면장력 저감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글리콜 에테르는 80 내지 90 중량%, 상기 에톡시프로폭시화 알코올은 5 내지 15 중량%, 상기 첨가제는 5 중량% 미만의 범위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에멀전은 상기 폴리머 에멀전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액상 폴리머는 90 내지 99.9 중량%, 상기 표면장력 저감제는 0.1 내지 10 중량%의 범위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는 조강 시멘트 및 초조강 시멘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 폴리머는 SB 라텍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포장 방법은 포장 대상이 되는 작업 대상의 표면을 세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 대상을 포장할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레미콘 공장에서 제조하여 레미콘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현장에서 믹서트럭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상기 작업 대상이 위치하는 장소로 운반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를 상기 작업 대상의 표면에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이 양생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양생하여 형성된 콘크리트의 염소이온투과성시험(RCPT) 결과값이 60 Coulomb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은 폴리머 에멀전이 글리콜 에테르, 에톡시프로폭시화 알코올 및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표면장력 저감제를 포함하여 콘크리트의 물성을 동등 이상의 수준을 가지면서 동시에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는 시멘트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가 아닌 조강 시멘트 또는 초조강 시멘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장기 압축강도의 저하없이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표면장력 저감제의 효과를 실험하기 위한 시료의 배합비가 나타난 표이다.
도 2는 도 1에 기재된 시료들에 대한 물성 시험 결과가 나타난 표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포장 방법은 포장 대상이 되는 작업 대상의 표면을 세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 대상을 포장할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레미콘 공장에서 제조하여 레미콘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현장에서 믹서트럭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상기 작업 대상이 위치하는 장소로 운반하는 단계,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를 작업 대상의 표면에 포설하는 단계 및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이 양생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포장 대상이 되는 작업 대상의 표면을 세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도로 포장 보수작업인 경우에는 도로 포장면에서 균열이나 팝-아웃(Pop-out)이 발생한 부분을 공지의 장비들을 이용하여 절개 또는 파쇄하여 제거하고, 잔여물을 고압 세정수를 이용하여 세정한다.
교면 포장 작업인 경우에는 교량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과 표면에 노출된 골재등을 제거하는 세정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교량 표면의 세정 작업은 콘크리트 타설 전 48시간 이내에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는 교량 표면을 물로 적셔 표면 건조 포화 상태로 만들어둠으로써 수분이 기존 콘크리트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정 작업이 끝나면, 미리 준비해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작업 대상의 표면에 포설한다.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은 레미콘 공장에서 제조하여 레미콘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현장에서 믹서트럭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상기 작업 대상이 위치하는 장소로 운반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작업 대상의 표면에 Astroturf drag 등을 이용하여 텍스처링(texturing)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시공 상황에 따라 줄눈을 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세척, 콘크리트 포설 및 양생으로 이어지는 도로 포장 방법은 공지의 구성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작업 대상에 포설되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포장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로를 포장하는 방법을 포괄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로 포장시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팽창 시멘트를 이용하거나, 종래 알려진 수축저감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용으로 인해 시공 경제성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콘크리트의 물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콘크리트 조성물에 이용되지 아니하였던 재료들을 혼합하여 제조된 표면장력 저감제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용된 표면장력 저감제는 경화되는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장력을 을 낮춤으로써, 물이 증발할 때 발생하는 매니스커스(meniscus)를 낮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 이용된 표면장력 저감제는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 장력을 낮춤으로써 물이 콘크리트를 잡아 당기는 힘을 낮추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에 인가되는 물에 의한 응력을 낮춤으로써 균열 발생을 낮추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표면장력 저감제는 물에 의한 응력 발생을 낮추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에 의한 균열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내부의 상대습도가 감소하는 자기 건조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 수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표면장력 저감제는 콘크리트의 물성, 특히 콘크리트의 장기 압축 강도를 표면장력 저감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재료인 시멘트, 골재(모래, 자갈)에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콘크리트의 작업성 향상 및 균열발생 감소를 위해 표면장력 저감제를 포함하는 폴리머 에멀전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은 15 내지 20 중량%의 시멘트, 40 내지 45 중량%의 잔골재, 30 내지 35 중량%의 굵은골재, 5 내지 10 중량%의 물 및 1 내지 10 중량%의 폴리머 에멀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멘트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가 사용되지만, 콘크리트의 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로 슬래그 시멘트, 포졸란 시멘트, 고유동 시멘트, 저발열 시멘트, 다성분계 혼합시멘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조강 시멘트 또는 초조강 시멘트는 높은 발열성으로 인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빠르게 경화되어 균열 발생이 증가되는바, 본 발명의 표면장력 저감제를 이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물성감소 없이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폴리머 에멀전은 액상 폴리머를 주재료로 하여, 표면장력 저감제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의 폴리머 에멀전는 90 내지 99.9 중량%의 액상 폴리머 및 0.1 내지 10 중량%의 표면장력 저감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상 폴리머는 SB(Styrene Butadiene) 라텍스, 아크릴 에멀전 수지, VAE(vinyl acetate ethylene), PVAc(polyvinyl acetate homopolymer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폴리머는 SB 라텍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의 폴리머 에멀전에 포함되는 표면장력 저감제는 글리콜 에테르, 에톡시프로폭시화 알코올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의 폴리머 에멀전에 포함되는 표면장력 저감제는 80 내지 90 중량%의 글리콜 에테르, 5 내지 15 중량%의 에톡시프로폭시화 알코올 및 5 중량% 미만의 첨가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글리콜 에테르는 에칠렌글리콜 모노 메칠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에칠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프로필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이소프로필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부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메칠 페닐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메칠 벤질 에테르, 디에칠렌글리콜 모노 메칠 에테르, 디에칠렌글리콜 모노 에칠 에테르, 디에칠렌글리콜 모노 부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디메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에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부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메칠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칠렌글리콜 모노 에칠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에칠렌글리콜 모노 부칠 에테르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에톡시프로폭시화 알코올은 에톡시프로폭시화 지방 알코올(C12~C14 alchol ethoxylated propoxylated)일 수 있다.
첨가제는 산화 방지제 및 안정화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산화 방지제 및 안정화제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가공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광-유도된 산화, 화학적 유도된 산화, 및 열적 유도된 산화, 분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1종 이상의 산화방지제가 제공된다. 산화방지제 용액은 탈이온수에 용해시켜 제조한다. 산화방제제 및 안정화제로 BHT, 구연산, 디페닐아민, L-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나트륨, 3-히드록시디페닐아민, 디부틸디페닐아민, 디옥틸디페닐아민, 디노닐디페닐아민, 페닐-알파-나프틸아민, 아세톤, 중황산나트륨, 아스코빌 팔미테이트, 시트르산,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수소화인산, 모노티오 글라이세롤, 프로필 갈레이트, 시트르산나트륨, 황화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중아황산나트륨, 티오글리콜산, 메타중아황산나트륨, EDTA 및 펜테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거된 산화방지제 및 안정화제로 선택의 제한을 두지 않고 관련 화합물 등의 1종 이상의 산화방지제 및 안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에멀전은 콘크리트 조성물의 경화과정에서 시멘트 입자에 폴리머 에멀전이 흡착되고, 시멘트 수화반응이 진행함에 따라서 시멘트 입자의 주위에 폴리머 에멀전의 필름막이 형성된다. 이때, 폴리머 에멀전에 포함된 표면장력 저감제 중 글리콜 에테르는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 장력을 낮춤으로써 물에 의한 응력 발생을 낮춰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폴리머 에멀전에 포함된 에톡시프로폭시화 알코올은 계면활성제 역할을 수행하여, 폴리머 에멀전이 시멘트 입자에 고르게 코팅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에톡시프로폭시화 알코올은 물에 비해 표면장력이 낮으므로 시멘트 입자의 주위에 폴리머 에멀전의 필름막이 형성되었을 경우에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장력을 더욱 저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의 폴리머 에멀전에 포함되는 표면장력 저감제를 이용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물성, 예를 들어 장기 압축 강도를 동등 수준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이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물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성을 시험하기 위한 시료의 배합비가 나타나 있는 표이며, 도 2는 도 1에 기재된 시료들에 대한 물성 시험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물-시멘트비, 모래-골재비 및 폴리머 에멀전의 사용량을 일정하게 하고, 폴리머 에멀전으로 본 발명의 표면장력 저감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시료 1의 경우, 초조강 시멘트, 모래, 자갈 및 물과 종래 이용되던 폴리머 에멀전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콘크리트를 제조하였으며, 도 1에 주어진 바와 같은 비율로 콘크리트를 배합하였다. 예상했던 바와 같이, 시료 1에서는 염소이온투과성시험 측정(RCPT; Rapid Chloride Permeability Testing) 71 Coulomb로 60 Coulomb을 초과하여 매우 높게 측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RCPT는 염화물의 확산 계수를 구하는 것으로, ASTM C 1202(RCPT)가 대표적인 방법이다. 염소이온투과성시험(RCPT)는 콘크리트에 균열이 많을수록 그 측정값이 높아진다.
이에 비해, 시료 2의 경우, 염소이온투과성시험 결과가 56 Coulomb로 시료 1에 비해 21.1 %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의 폴리머 에멀전에 포함되는 표면장력 저감제를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균열이 감소하여, 이에 따라 염소이온투과성시험의 결과값이 낮아지게 된 것이다.
더욱이, 시료 2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오히려 시료 1의 재령 28일 압축강도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시료 2의 휨강도 역시 시료 1의 그것에 비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시료 3은 초조강 시멘트 대신 조강 시멘트를 사용한 실시예이다. 시료 3도 시료 2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의 폴리머 에멀전에 포함되는 표면장력 저감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염소이온투과성시험의 결과가 58 Coulomb으로 시료 1에 비해 18.3 %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시료 3의 재령 28일 압축 강도는 47.3 MPa로 시료 1과 시료 2의 압축 강도에 비해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휨강도 역시 5.5 MPa로 시료 1과 시료 2의 휨강도에 비해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참고로 도 2의 시료 1 및 시료 2의 재령 1일의 압축 강도는 측정하지 않아 표시하지 않았다. 도 2의 시료 3은 조강 시멘트를 사용한 것으로 재령 1일 압축강도로 물성을 평가하는바, 재령 4시간 압축강도는 측정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Claims (8)

  1. 도로를 포장하는데 사용가능한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로서,
    시멘트, 골재, 폴리머 에멀전 및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머 에멀전에는 액상 폴리머와, 표면장력 저감제가 첨가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장력 저감제는,
    글리콜 에테르, 에톡시프로폭시화 알코올 및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 에테르는 에칠렌글리콜 모노 메칠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에칠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프로필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이소프로필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부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메칠 페닐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 메칠 벤질 에테르, 디에칠렌글리콜 모노 메칠 에테르, 디에칠렌글리콜 모노 에칠 에테르, 디에칠렌글리콜 모노 부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디메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에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부칠 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메칠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칠렌글리콜 모노 에칠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에칠렌글리콜 모노 부칠 에테르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장력 저감제는,
    상기 표면장력 저감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글리콜 에테르는 80 내지 90 중량%, 상기 에톡시프로폭시화 알코올은 5 내지 15 중량%, 상기 첨가제는 5 중량% 미만의 범위의 비율로 혼합되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에멀전은
    상기 폴리머 에멀전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액상 폴리머는 90 내지 99.9 중량%, 상기 표면장력 저감제는 0.1 내지 10 중량%의 범위의 비율로 혼합되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는 조강 시멘트 및 초조강 시멘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폴리머는 SB 라텍스인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7. 포장 대상이 되는 작업 대상의 표면을 세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 대상을 포장할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레미콘 공장에서 제조하여 레미콘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현장에서 믹서트럭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상기 작업 대상이 위치하는 장소로 운반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를 상기 작업 대상의 표면에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이 양생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사용하는 도로 포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양생하여 형성된 콘크리트의 염소이온투과성시험(RCPT) 결과값이 60 Coulomb 미만인 도로 포장 방법.
KR1020170103921A 2017-08-17 2017-08-17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KR101980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921A KR101980139B1 (ko) 2017-08-17 2017-08-17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921A KR101980139B1 (ko) 2017-08-17 2017-08-17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208A true KR20190020208A (ko) 2019-02-28
KR101980139B1 KR101980139B1 (ko) 2019-05-21

Family

ID=6558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921A KR101980139B1 (ko) 2017-08-17 2017-08-17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329B1 (ko) * 2020-02-27 2020-06-26 이해영 초속경 교면포장 및 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활용한 교면포장 및 보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830A (ko) * 2000-12-29 2002-07-10 최상릉 초속경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72869A (ko) * 2004-12-24 2006-06-28 (주)디피아이 홀딩스 콘크리트 표면 강화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표면처리방법
JP2013528153A (ja) * 2010-05-25 2013-07-08 ダブリュー・アール・グレイス・アンド・カンパニー−コネチカット 水和性セメント系組成物用の脱泡剤
KR20130110847A (ko) * 2012-03-30 2013-10-10 (주)제이엔티아이엔씨 교면 포장용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830A (ko) * 2000-12-29 2002-07-10 최상릉 초속경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72869A (ko) * 2004-12-24 2006-06-28 (주)디피아이 홀딩스 콘크리트 표면 강화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표면처리방법
JP2013528153A (ja) * 2010-05-25 2013-07-08 ダブリュー・アール・グレイス・アンド・カンパニー−コネチカット 水和性セメント系組成物用の脱泡剤
KR20130110847A (ko) * 2012-03-30 2013-10-10 (주)제이엔티아이엔씨 교면 포장용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329B1 (ko) * 2020-02-27 2020-06-26 이해영 초속경 교면포장 및 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활용한 교면포장 및 보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139B1 (ko)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84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시공방법
KR101873782B1 (ko) 내구성능이 개선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JP4493957B2 (ja) 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ポリマーセメントグラウトモルタル、及びそれを用いた補修材
KR101422206B1 (ko) 고성능 유동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 공법
KR10152812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JP4937701B2 (ja) グラウト組成物、グラウトモルタル及びグラウト工法
KR101533093B1 (ko) 실리콘 폐슬러지를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001112B1 (ko) 콘크리트 긴급보수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891567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방법
KR101095349B1 (ko) 지르코닐 클로라이드 또는 지르코닐 나이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를 활성제로 이용한 지오폴리머 시멘트 및 이를 이용한 내산 폴리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KR101545170B1 (ko) 폴리머 개질 조강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72947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보호공법
KR101030165B1 (ko) 초속경시멘트 라텍스 개질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 교면 방수층 보호 시공방법
KR100854987B1 (ko) 방수용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및 이의 포장방법
KR101498500B1 (ko) 폴리머 개질 조강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공법
KR101514741B1 (ko) 고강도·고내구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KR101471146B1 (ko) 보투수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투수성 포장 시공방법
KR101627811B1 (ko) 콘크리트 포장 보수용 초속경 칼라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JP2016023103A (ja) 補修補強用速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補修補強方法
Dakwale et al. Use of metakaolin with polymer modified concrete in repairing of structures
KR20190020208A (ko)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내의 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KR10094164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조성물
CA3000052C (en) Calcium nitrate for reducing the pore size distribution of a hardened cementitious composition and steel reinforced concrete having an elevated resistance towards carbonation
KR101254703B1 (ko) 경화시간 및 강도발현 조절이 가능한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870698B1 (ko) 점토 지반용 토양고화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