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874A -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flim - Google Patent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fli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874A
KR20190019874A KR1020180096318A KR20180096318A KR20190019874A KR 20190019874 A KR20190019874 A KR 20190019874A KR 1020180096318 A KR1020180096318 A KR 1020180096318A KR 20180096318 A KR20180096318 A KR 20180096318A KR 20190019874 A KR20190019874 A KR 20190019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nanofiber web
adhesive layer
layer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3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6730B1 (en
Inventor
조대환
최진환
안승현
이민철
이도금
이광진
한성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패스
Publication of KR20190019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8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7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9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fibres, e.g. metal fibres, carbon fibres, metallised textile fibres, electro-conductive mesh, woven, non-woven mat, fleece, cross-link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 fil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I shield film which adheres to a stepped or curved surface with excellent adhesion and has remarkable shielding performance. The EMI shield film includes: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including a conductive nanofiber web in which a plurality of nanofibers including conductive nanofibers form a three-dimensional network to form a plurality of pores, and a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a protective layer provided on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Description

EMI 차폐필름{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flim}EMI shielding film < RTI ID = 0.0 >

본 발명은 EMI 차폐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차나 굴곡이 있는 피착면에 우수한 밀착력으로 부착되는 동시에 차폐성능이 뛰어난 EMI 차폐필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I shielding fil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I shielding film which is adhered to an adherend surface having a step or a curvature with excellent adhesion and is excellent in shielding performance.

전자파란 우리 주변의 여러 곳에서 사용하는 전기제품이나 전자제품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과 자기장, 그리고 수맥파를 포함한 전기/자기적 파장을 의미한다. 특히 고주파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는 인근 전자기기와의 상호교란작용(electromagnetic interference)에 의해 오작동을 유발하기도 하며, 인간의 뇌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Electron blue means the electric / magnetic wavelength including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and the squeak wave generated by electrical products and electronic products used in various places around us. Particularly,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high frequency electronic devices cause malfunction due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with neighboring electronic devices and can adversely affect the human brain.

전자파 차폐필름은 여러 전자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필름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이다. 특히 각종 전자제품 내의 부품끼리의 전자파 방출로 인하여 서로 간 파장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전자제품의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하며, 전자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인체에 대한 유해성 논란도 있다.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is a film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from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is a component that is used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inter-wavelength inter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components in various electronic products due to the e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resulting in the malfunction and failure of the electronic product, and there is also a controversy about the harmfulness to the human body to the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종래의 전자파 차폐필름으로서는 커버 필름의 편면에 도전성 접착제층 및 금속 박막층으로 구성되는 실드층을 가지며, 다른 한쪽의 면에 접착제층과 이형성 보강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전자파 차폐필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파 차폐필름의 경우 금속 박막층으로 인하여 유연성이 매우 부족함에 따라서 단차가 있는 피착면에 적용시킬 경우 전자파차폐필름과 피착면 간에 제대로 밀착되지 못하고 굴곡이 있는 부분에서 차폐필름이 들뜨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고자 단차나 굴곡부분에 물리적 외력을 가할 경우 들뜬 부분에서 금속박막층의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목적한 수준의 전자파차폐성능을 발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As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there is known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in which a cover film has a shield layer composed of a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a metal thin film layer on one side, and an adhesive layer and a releasability enhancing film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the other side.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since the flexibility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is very low,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is applied to an adhered surface having a step difference, the shielding film does not adhere properly between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and the adherend surface. In addition, when a physical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ep or bending portion in order to prevent this, a crack of the metal thin film layer may occur in the excited portion, and thus it may be difficult to exhibit the desired level of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erformance.

이에 따라서 가요성이 매우 향상되어 굴곡이나 단차가 있는 피착면에도 우수한 밀착력으로 부착되며, 이로 인해 전자파 차폐성능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는 EMI 차폐필름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n EMI shielding film which is highly flexible and adheres to an adherend surface having a curvature or step difference with excellent adhesion, thereb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erformanc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5006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25006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우수한 가요성을가짐에 따라서 굴곡이나 단차가 있는 피착면에서도 완전히 밀착되도록 부착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전자파 차폐성능의 저하나 열화가 방지된 EMI 차폐필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apparatu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ielding film.

또한, 본 발명은 단차가 있는 다양한 종류의 칩이나 그와 같은 칩이 실장된 기판 상에 적용될 수 있는 용도를 갖는 EMI 차폐필름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I shielding film having ap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on various types of chips having a step or a substrate on which such a chip is mounte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전성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다수의 나노섬유가 3차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도록 구현된 도전성 나노섬유웹과 도전성 점착층을 포함하는 전자파차폐층, 및 상기 전자파차폐층 상에 구비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EMI 차폐필름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including a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a conductive adhesive layer, wherein the plurality of nanofibers including the conductive nanofibers form a three-dimensional network to form a plurality of pores, And a protective layer provided on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부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 내에 함침되거나,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전체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 내에 함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may be impregnated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on the basis of the thickness direction, or the entire conductive nanofiber web may be impregnated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또한, 상기 전자파차폐층의 하부에 배치된 제1이형필름과, 상기 보호층 상부에 배치된 제2이형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lease film disposed under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and a second release film disposed over the protection layer.

또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는 지지섬유부, 상기 지지섬유부 외면에 피복된 표면코팅층 및 상기 표면코팅층 외부를 일부 또는 전부 피복하는 도전성부를 포함하거나, 지지섬유부와 상기 지지섬유부 외부 일부 또는 전부를 피복하는 도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부가 표면코팅층 또는 지지섬유부 외부를 일부만 피복하는 경우 상기 도전성부는 도전성 나노섬유가 교차 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nanofibers may include a supporting fiber portion, a surface coating layer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and a conductive portion covering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or may include a supporting fiber portion and a part or whole of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When the conductive part coat only a part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or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fiber part, the conductive part may include a region where the conductive nanofibers intersect.

또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도전성 나노섬유 및 비도전성 나노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전체 두께 대비 1 내지 80%에 해당하는 두께까지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를 포함하고, 나머지 두께는 비도전성 나노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may include conductive nanofibers and non-conductive nanofibers.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may include the conductive nanofibers to a thickness of 1 to 8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may include malleable nanofibers.

또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부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 내부에 함침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전체 두께 대비 50 내지 85%인 도전성 나노섬유웹 부분이 상기 도전성 점착층 내에 위치하거나, 도전성 나노섬유웹으로 함침되지 않는 도전성 점착층 부분의 평균두께가 3 ~ 1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도록 도전성 나노섬유웹이 도전성 점착층에 일부 함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 전체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 내부에 함침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도전성 점착층 어느 일 표면에 치우쳐서 배치되거나 어느 일 표면에 치우치지 않고 배치되도록 함침될 수 있다. When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impregnated in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50 to 85%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may be positioned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portion not impregnated with the fibrous web is 3 to 12 占 퐉, and more preferably,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partially impregnated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so as to satisfy both of these conditions. Alternatively, when the entir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impregnated in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may be impregnated on one surface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or disposed so as not to be offset to any one surface.

또한,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부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 내부에 함침되어 상기 전자파차폐층의 하부면에는 도전성 점착층이 위치하되, 상기 하부면에는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노출 면적은 도전성 나노섬유웹 하부면 전체 면적 대비 5 내지 30%일 수 있다. Also,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impregnated in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on the basis of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layer. At least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the exposed area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may be 5 to 30% of the total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또한, 상기 전자파차폐층의 하부면은 표면 거칠기(Ra)가 0.1 ~ 2㎛일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may have a surface roughness (Ra) of 0.1 to 2 탆.

또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는 직경이 5㎛이하이며,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평균공경이 0.1 ~ 15㎛, 두께가 5 ~ 35㎛, 평량이 4 ~ 150g/㎡일 수 있다.The conductive nanofibers may have a diameter of 5 mu m or less and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may have an average pore size of 0.1 to 15 mu m, a thickness of 5 to 35 mu m and a basis weight of 4 to 150 g / m < 2 >.

또한, 상기 도전성 점착층은, 아크릴계, 실리콘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염화비닐계, 초산비닐계, 에폭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성분과, 니켈(Ni), 알루미나(Al), 구리(Cu), 은(Ag), 아연(Zn), 팔라듐(Pd), 티타늄(Ti), 지르코늄(Zr), 인듐(In), 게르마늄(Ge), 주석(Sn), 금(Au), 철(Fe)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필러, 니켈-그라파이트, 카본블랙, 탄소섬유 및 그라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전도성 탄소계 필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a tacky component containing at least one organic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silicone, urethane, polyester, polyolefin, vinyl chloride, vinyl acetate, (Al), copper (Cu), silver (Ag), zinc (Zn), palladium (Pd), titanium (Ti), zirconium (Zr), indium (In), germanium (Ge) , At least one metal fill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old (Au), iron (Fe) and alloys thereof, at least one conductive carbon-based fill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graphite, carbon black, carbon fiber and graphite One or more fillers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도전성 점착층은 유리전이온도가 -20℃ 내지 30℃인 점착성분 및 도전성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n adhesive component and a conductive fill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0 캜 to 30 캜.

또한, 상기 도전성 점착층은 산가가 30 ~ 300㎎KOH/g인 점착성분 및 도전성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n adhesive component having an acid value of 30 to 300 mgKOH / g and a conductive filler.

또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신율이 15 ~ 50%이며, 어느 일방향으로 15% 신장 시 표면저항이 2Ω이하일 수 있다.Also,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may have an elongation of 15 to 50%, and a surface resistance at a 15% elongation in any one direction may be 2? Or less.

또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인장강도가 20N/㎟ 이상이고, 표면저항이 50mΩ이하일 수 있다.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may have a tensile strength of 20 N / mm 2 or more and a surface resistance of 50 m? Or less.

또한, 상기 지지섬유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olystyl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카보네이트, PC(polycarbonate), 폴리이더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이더술폰(polyesthersulphone), 폴리벤지미다졸(polybenzimidazol),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불소계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부는 알루미늄, 니켈, 구리, 은, 금, 크롬, 백금 및 티타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uretha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stylene, polyvinylalcohol, polymethyl methacrylate, polylactic acid ), Polyethylene oxide, polyvinyl acetate, polyacrylic acid, polycaprolactone, polyacrylonitril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 chloride polyvinylchloride, polycarbonate, polycarbonate, polyetherimide, polyesthersulphone, polybenzimidazo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fluorine-based compounds.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nickel, copper, silver, gold, chromium , Platinum, and a titanium alloy.

또한, 본 발명은 도전성 나노섬유웹을 준비하는 단계; 도전성 나노섬유웹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시키고, 타면에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부가 상기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의 내부로 함침되도록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MI 차폐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conductive nanofiber web, comprising: preparing a conductive nanofiber web;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form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ure so that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impregnated in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before compress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MI shielding fil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을 준비하는 단계는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된 다수의 지지섬유부로 나노섬유웹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섬유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도전성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eparing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may include the steps of preparing a nanofiber web from a plurality of supporting fibers formed through electrospinning, and forming a conductive part on all or a part of the supporting fibers . ≪ / RTI >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칩이 실장된 회로기판, 및 적어도 상기 칩의 상부면을 덮도록 상기 회로기판 상에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필름을 포함하는 전자파차폐형 회로기판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type circuit board comprising a circuit board on which at least one chip is mounted, and an EMI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so as to cover at least the upper surface of the chip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파 차폐형 회로기판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abov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type circuit board.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 어떤 층의 "상", "상부", "하부" 는 층과 직접적으로 대면하여 형성되거나 층 상부 또는 하부에 하나 이상의 다른 층이 삽입된 후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 것으로써, 예를 들어 "A층 상에 구비된 B층"이라 할 때, A층과 B층은 직접 대면하고 있거나, A층과 B층 사이에 제3의 C층이 형성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The terms "upper "," upper ", and "lower" of any lay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both cases in which the layers are directly opposed to the layer or indirectly formed after one or more other layers are inserted For example, the term "B layer provided on the A layer" means that both the A layer and the B layer face each other or the third C layer is formed between the A layer and the B layer.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필름은 우수한 가요성을 가짐에 따라서 굴곡이나 단차가 있는 피착면에서도 완전히 밀착되도록 부착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전자파 차폐성능의 저하나 열화가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EMI 차폐필름은 단차가 있는 다양한 종류의 칩이나 그와 같은 칩이 실장된 기판 등에 널리 응용될 수 있다. Since the EMI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flexibility, it can be adhered so that it is completely adhered even on a surface having a curvature or a step difference, and the deterioration or deterio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erformance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the EMI shielding film can be widely applied to various types of chips having a step or a substrate on which such a chip is mou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차폐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구비된 도전성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나노섬유의 X-X' 경계에 따른 부분확대도이다.
도 3는 도 1에 구비된 전자파차폐층에 대한 단면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차폐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차폐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차폐필름을 구비한 회로기판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I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nanofiber forming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of FIG. 1 along the XX 'boundary.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I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I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ircuit board having an EMI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수록된 도면에 개시된 각 구성의 크기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일 뿐이며, 도면에 개시된 각 구성의 크기, 각 구성 간 크기 비율에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size of each structure disclosed in the drawings is only an example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ize of each structure and the size ratio between the structures disclosed in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EMI 차폐필름(100)은 전자파차폐층(20) 및 상기 전자파차폐층(20) 상에 구비된 보호층(30)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파차폐층의 하부에 배치된 제1이형필름(10) 및 상기 보호층(30) 상부에 배치된 제2이형필름(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 to 3, an EMI shielding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and a protection layer 30 provided on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A first release film 10 disposed under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and a second release film 40 disposed on the protection layer 30.

먼저, 상기 전자파차폐층(20)은 다공성의 도전성 나노섬유웹(21)과 도전성 점착층(22)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First,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includes a porous conductive nanofiber web 21 and a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21)은 도전성 나노섬유(21a,21b)를 포함하는 다수의 나노섬유가 3차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도전성 섬유웹(21)은 3차원 네트워크 구조임에 따라서 다수의 기공을 내부에 포함하며, 이를 통해 EMI 차폐필름이 전자파 차폐성능을 발현함과 동시에 경량성, 압축성 및 가요성을 발현하는데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기공 일부에는 후술하는 도전성 점착층(22)의 일부가 함침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인접한 도전성 나노섬유(21a,21b) 간을 더욱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보다 향상된 전자파차폐 효과를 발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21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nanofibers including the conductive nanofibers 21a and 21b form a three-dimensional network to form a plurality of pores. Since the conductive fiber web 21 has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and contains a plurality of pores therein, it is advantageous for the EMI shielding film to exhibit electromagnetic shielding performance and lightweight, compressibility and flexibility. . A part of the plurality of pores may be impregnated with a part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is, the adjacent conductive nanofibers 21a and 21b are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exhibit an improved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ffect Can be advantageous.

또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21)은 두께가 5 ~ 35㎛,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2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 ~ 18㎛일 수 있다. 또한, 평량은 4 ~ 150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20g/㎡,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 100g/㎡일 수 있다. 만일 두께가 5㎛ 미만일 경우 과도히 얇은 두께로 인해 핸들링 및 작업성 저하의 우려가 있고, 목적하는 수준으로 충분한 차폐율을 발현할 수 없을 수 있다. 나아가 기계적 강도의 저하에 따라서 신축특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또한, 두께가 35㎛를 초과할 경우 유연성이 부족 및 피착물의 굴곡면에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만일 평량이 4g/㎡ 미만일 경우 핸들링 및 작업성 저하의 우려, 기계적 강도 저하에 따라서 신축특성의 저하, 단차가 있는 피착면에 부착 시 도전성 섬유웹의 손상이나 파손 우려가 있다. 또한, 만일 평량이 150g/㎡를 초과할 경우 유연성이 부족 및 피착물의 굴곡면에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는 등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21 may have a thickness of 5 to 35 탆, more preferably 6 to 25 탆, and still more preferably 8 to 18 탆. The basis weight may be 4 to 150 g / m 2, more preferably 10 to 120 g / m 2, and still more preferably 20 to 100 g / m 2.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5 占 퐉, there is a fear of handling and workability deterioration due to an excessively thin thickness, and a sufficient shielding ratio can not be exhibited to a desired level. Further, there is a fear that the elongation and shrinkage characteristics may decrease as the mechanical strength is lowered. If the thickness exceeds 35 탆, the flexibility may be insufficient and the adhesion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adherend may deteriorate. If the basis weight is less than 4 g / m < 2 >, there is a risk of handling and workability deterioration, a decrease in elongation and shrinkage characteristics due to a decrease in mechanical strength, and a damage or breakage of the conductive fiber web when adhered to a stepped surface. In addition, if the basis weight exceeds 150 g / m < 2 >, it may be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s of the invention, such as lack of flexibility and adherence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adherend.

또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21)은 평균공경이 0.1 ~ 1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 2㎛일 수 있다. 만일 평균공경이 0.1㎛ 미만일 경우 후술하는 도전성 점착층이 도전성 나노섬유웹 내부로 침투하기 어려워서 도전성 점착층이 구현되었음에도 목적하는 수준으로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부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웹에 도전부가 과도하게 형성되어 기공을 감소시킨 경우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신축특성이 현저히 감소하여 단차진 굴곡면에 밀착력이 감소하는 우려가 있고, 신장시 파손 및 이로 인한 차폐율의 현저한 감소 우려가 있다. 또는, 도전성부가 형성되기 전 나노섬유웹 자체의 평균기공이 작은 경우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도전성부가 나노섬유웹 내부까지 형성되지 못하고 표면 상에만 형성되어 목적하는 수준의 차폐율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만일 평균공경이 15㎛를 초과할 경우 차폐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21 may have an average pore size of 0.1 to 15 탆, more preferably 0.2 to 5 탆, and still more preferably 0.5 to 2 탆. If the average pore size is less than 0.1 탆,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described later is difficult to permeate into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so that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realized, but it is difficult to expose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to the desired level. In addition,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conductive part is excessively formed in the nanofiber web to reduce the pore size. In this case, there is a fear that the extensibility of the stretch and shrinkage is remarkably reduced and the adhesion force is reduced on the curved surface. There i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risk. Alternatively,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nanofiber web itself may be small before the conductive part is formed. In this case, the conductive part may not be formed in the nanofiber web, but may be formed only on the surface, so that the desired shielding ratio may not be achieved. In addition, if the average pore size exceeds 15 mu m, the shielding rate may significantly decrease,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fficult to achieve.

상술한 도전성 나노섬유웹(21)은 도전성 나노섬유(21a,21b)를 전부 또는 일부로 포함하는 다수의 나노섬유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다수의 나노섬유는 도 3과 같이 전부가 도전성 나노섬유(21,21b)이거나 또는 도 3과 다르게 다수의 나노섬유 중 일부가 도전성 나노섬유(21a,21b)이고, 나머지가 비도전성 나노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21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nanofibers including all or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s 21a and 21b.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nanofibers may be formed of conductive nano- Fibers 21 and 21b, or unlike FIG. 3, some of the plurality of nanofibers may be conductive nanofibers 21a and 21b, and the remainder may include non-conductive nanofibers.

상기 다수의 나노섬유 중 일부만 도전성 나노섬유(21a,21b)가 포함되는 경우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도전성 나노섬유웹 내 위치에 관계 없이 도전성 나노섬유(21a,21b)와 비도전성 나노섬유가 혼재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는 도 3보다 향상된 신축성을 발현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전성 나노섬유웹(21')은 일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소정의 두께까지 도전성 나노섬유(21'a)를 포함하여 형성된 제1부분(A)과, 상기 두께방향으로 나머지 부분에 비도전성 나노섬유(21'b)를 포함하여 형성된 제2부분(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4와 같은 도전성 나노섬유웹(21')은 도 2과 같은 도전성 나노섬유웹(21)에 대비하여 비도전성 나노섬유(21'b)를 포함하여 형성된 상기 제2부분(B)으로 인해 보다 향상된 가요성, 밀착성, 압축성 및 경량성을 발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는 도전성 나노섬유웹(21')의 전체 두께 대비 1 ~ 80%에 해당하는 두께까지 포함될 수 있고 나머지 두께는 비도전성 나노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도전성 나노섬유웹이 포함된 부분 즉, 일예인 제1부분(A)의 두께가 도전성 나노섬유웹 전체두께의 1% 미만일 경우 차폐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고, 80%를 초과할 경우 차폐율은 증가하나 목적하는 수준으로 신축특성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When only a part of the plurality of nanofibers includes the conductive nanofibers 21a and 21b,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is formed by mixing the conductive nanofibers 21a and 21b and the non-conductive nanofibers regardless of the positions in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Lt; / RTI > 4,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21 'has a first portion formed by including the conductive nanofibers 21'a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one surface thereof, as shown in FIG. 4, (A) and a second portion (B) formed by including the non-conductive nanofibers (21'b) in the remaining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21 'as shown in FIG. 4 may be formed as the second portion B including the non-conductive nanofibers 21'b as compared to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21 as shown in FIG. 2 Can be advantageous in expressing more improved flexibility, adhesion, compressibility and light weight. Preferably, the conductive nanofibers may include 1 to 8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21 ', and the remaining thickness may include non-conductive nanofibers. If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e, the first portion (A), which is one example, is less than 1%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the shielding rate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If it exceeds 80%, the shielding ratio is increased but it may be difficult to attain the stretching property to the desired level.

상술한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에 포함되는 도전성 나노섬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전성 나노섬유(21a,21b,21'a)는 도전성 고분자화합물로 형성된 나노섬유이거나, 지지섬유부 및 상기 지지섬유부의 외부를 일부 또는 전부 피복하는 도전성부를 구비한 나노섬유일 수 있다.The conductive nanofibers 21a, 21b, and 21'a may be nanofibers formed of a conductive polymer compound, or may be nanofibers formed of a conductive polymer compound. Alternatively, the conductive nanofibers 21a, And a conductive part that partially or entirely covers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fiber part.

상기 도전성 고분자화합물로 형성된 나노섬유의 경우 공지된 도전성이 있는 고분자화합물을 섬유형성성분으로 하여 방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섬유부(21a1) 및 상기 지지섬유부(21a1)의 외부를 피복하는 도전성부(21a2)를 구비한 나노섬유일 수 있고, 이때 상기 도전성부(21a2)는 상기 지지섬유부(21a1)의 외부를 일부 또는 전부에 피복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섬유부(21a1)와 도전성부(21a2) 사이에는 표면코팅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도전성부(21a2)는 상기 표면코팅층 외부를 피복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표면코팅층은 나노섬유웹에 향상된 인장강도, 신축특성, 도전성부 형성공정에서의 작업용이성, 공정통과성을 향상시키고, 형성된 도전성부와 지지섬유부 간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부(21a2)가 표면코팅층 또는 지지섬유부 외부를 일부만 피복하는 경우 상기 도전성부(21a2)는 도전성 나노섬유(21a,21b)가 교차 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위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성부가 도전성 나노섬유가 교차되지 않는 영역에만 형성되는 경우에 대비해 인장강도, 차폐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nanofiber formed of the conductive polymer compound, the nanofiber may be one that has been spun using a known conductive polymer compound as a fiber-forming component. Further, as another example of the conductive nano fibers are shown in Fig supporting fiber portion (21a 1) and one a nanofiber having a conductive part (21a 2) for covering the outside of the support fiber portion (21a 1) At this time, the conductive part 21a 2 may be covered with a part or the whole of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fiber part 21a 1 . Although not shown in FIG. 2, a surface coating layer (not shown) may further b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21a 1 and the conductive portion 21a 2. In this case, the conductive portion 21a 2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It may be in a form of covering the outside of the coating layer. The surface coating layer has an advantage that the nanofiber web can have improved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shrinkage characteristics, easiness of operation in the conductive part forming process, processability, and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conductive part and the supporting fiber part. When the conductive part 21a 2 covers only a part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or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fiber part, the conductive part 21a 2 may include a region where the conductive nanofibers 21a and 21b intersect,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tensile strength and the shield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part is formed only in a region where the conductive nanofibers are not cross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21a)가 도 2와 같이 지지섬유부(21a1)의 외부를 피복하는 도전성부(21a2)를 구비한 나노섬유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면,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지지섬유부와 도전성부를 구비하도록 별도로 제조된 도전성 나노섬유가 집합되어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또는, 나노섬유웹이 먼저 제조된 뒤 상기 제조된 나노섬유웹을 구성하는 나노섬유인 지지섬유부의 외부면에 도전성부가 구비되어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에 도전성부가 구비되기 전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지지섬유부의 표면에 표면코팅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suming that the conductive nanofibers 21a are nanofibers having conductive portions 21a 2 covering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21a 1 as shown in FIG. 2, May be formed by assembling conductive nanofibers separately prepared so as to have a supporting fiber portion and a conductive portion. Alternatively, the nanofiber web may be first fabricated, and then a conductive part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iber part, which is a nanofiber constituting the manufactured nanofiber web. In addition, the nanofiber web may further include a surface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forming the nanofiber web before the conductive portion is provided on the nanofiber web.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21a)의 평균직경은 5㎛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2 ~ 1.5㎛ 이하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우수한 차폐효율의 달성과, 신축특성, 기계적 강도를 담보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지지섬유부(21a1)는 평균직경이 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 800㎚일 수 있으며, 이를 만족함을 통해 우수한 차폐효율의 달성과, 도전성부의 형성을 위한 작업성, 핸들링 특성이 우수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담보되는 등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The average diameter of the conductive nanofibers 21a may be 5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3 占 퐉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0.2 to 1.5 占 퐉 or les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chieve excellent shielding efficiency,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In addition, the support fiber portion 21a 1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2 탆 or less, more preferably 1 탆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10 to 800 nm, The workability and handling characteristics for forming the conductive part can be excellent, and mechanical strength can be secured, which is advantageou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지지섬유부(21a1)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olystyl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카보네이트, PC(polycarbonate), 폴리이더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이더술폰(polyesthersulphone), 폴리벤지미다졸(polybenzimidazol),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불소계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비도전성 고분자화합물을 섬유형성성분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섬유로 사용될 수 있는 고분자화합물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도전성 고분자화합물을 섬유형성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The supporting fiber portion 21a 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stylene, polyvinylalcohol, polymethyl methacrylate, poly Polylactic acid, polyethyleneoxide, polyvinyl acetate, polyacrylic acid, polycaprolactone, polyacrylonitril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pyrrolidone, , Polyvinylchloride, polycarbonate, polycarbonate, polyetherimide, polyesthersulphone, polybenzimidazo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fluorine-based compounds A non-conductive polymer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Without limitation, it can be used without conventional in the case of polymers which can be used as a fiber compound limitation, placed out of the availability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high molecular compound with the fiber-forming component.

또한, 상기 도전성부(21b)는 알루미늄, 니켈, 구리, 은, 금, 크롬, 백금 및 티타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부(21b)의 두께는 0.1 ~ 3㎛,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2㎛,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 ~ 1㎛ 일 수 있고, 이를 만족함을 통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상기 도전성부(21b)는 제1니켈층/구리층/제2니켈층의 3층 구조일 수 있으며, 이때 제1니켈층 및 제2니켈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두께가 50 ~ 200㎚, 구리층은 두께가 200 ~ 50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ductive portion 21b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nickel, copper, silver, gold, chromium, platinum, and titanium alloys.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portion 21b may be 0.1 to 3 占 퐉, more preferably 0.1 to 2 占 퐉, and still more preferably 0.3 to 1 占 퐉.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advantageous. For example, the conductive portion 21b may have a three-layer structure of a first nickel layer / a copper layer / a second nickel layer, wherein each of the first nickel layer and the second nickel layer has a thickness of 50 to 200 nm , And the copper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200 to 500 n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전성부(21b)를 구비하는 형태의 도전성 나노섬유(21a)에서, 지지섬유부(21a) 외면에 더 구비되는 표면코팅층(미도시)은 지지섬유부(21a)로 형성되는 나노섬유웹에서 지지섬유부 간 접촉된 접촉지점의 결합강도를 향상시켜 도전성부(21b)의 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트러블을 방지하며,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 형상이 온전히 유지될 수 있고, 신율이 향상됨에 따라서 단차가 큰 칩이 실장된 회로기판 상에 구비될 때 보다 향상된 밀착력의 향상과 차폐율의 향상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섬유부와 도전성부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 있다. 상기 표면코팅층은 두께가 50 ~ 500 ㎚일 수 있으며, 만일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표면코팅층에 따른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500㎚를 초과하는 경우 나노섬유웹의 초기 설계된 나노섬유웹의 공경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고, 오히려 신축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등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표면코팅층의 재질, 도전성부의 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트러블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조공정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surface coating layer (not shown)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21a of the conductive nanofibers 21a having the conductive portion 21b is made of a nanofiber web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and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to prevent various trouble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onductive portion 21b, to improve the mechanical strength and to maintain the shape complete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dhesion can be improved and the shielding ratio can be improved more than when the chip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having a large stepped chip. Further,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and the conductive portion can be further improved.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may be 50 to 500 nm.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50 nm, the effect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may be insignificant. If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is more than 500 nm, It may be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may be changed and the elasticity may be reduced. The material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and various trouble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onductive p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 manufacturing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상술한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과 함께 전자파차폐층(20)을 형성하는 도전성 점착층(22)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전성 점착층(22)은 EMI 차폐필름이 피착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도전성을 발현함에 따라서 기공을 형성하는 인접한 도전성 나노섬유(21a,21b,21'a) 간의 전기적 연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Next,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forming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will be describe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serves to attach the EMI shielding film to the adherend surface. Further, the conductive nanofibers 21a, 21b and 21'a, which form pores, exhibit a function of further improving electrical connectivity between the conductive nanofibers 21a, 21b and 21'a.

상기 전자파차폐층(20)은 상기 도전성 점착층(22) 내 일부 또는 전부의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이 함침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의 일부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22) 내에 함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의 전체 두께 대비 50 내지 85%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22) 내에 위치하거나,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으로 함침되지 않는 도전성 점착층(22) 부분(도 2의 P)의 평균두께가 3 ~ 12㎛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의 전체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22) 내에 함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은 도전성 점착층(22) 어느 일 표면에 치우쳐서 배치되거나 어느 일 표면에 치우치지 않고 도전성 점착층(22)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도록 함침될 수 있다.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may be formed by impregnating part or all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Specifically,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may be impregnated in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based o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is case, 50 to 85%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may be located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or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that is not impregnated with the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portion 22 (P in Fig. 2) may be 3 to 12 mu m. Alternatively, the entire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may be impregnated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In this case,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s 21 and 21 'may be impregnated on one surface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or may be impregnated o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without being shifted to any one surface. have.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 일부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22) 내에 함침되는 경우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도전성 점착층(22)은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이 함침된 부분인 제2부분(Q) 및,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이 함침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도전성 나노섬유웹(21)의 하부면에 별도의 층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제2부분(Q)에 이어진 제1부분(P)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부분(P)은 도전성 나노섬유웹(21)의 하부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지 않으며, 이에 도전성 나노섬유웹(21)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1부분(P)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목적하는 수준으로 도전성 나노섬유웹(21)의 일부가 노출되기 위해서는 도전성 점착층(22)의 제1부분(P), 즉 도전성 점착층 내 도전성 나노섬유웹으로 함침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가 중요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부분(P)의 평균두께(d)는 3 ~ 12㎛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부분(P)의 평균두께가 3㎛미만인 경우 노출되는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면적이 증가하여 피착면에 EMI 차폐필름의 부착력, 밀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만일 제1부분(P)의 평균두께가 12㎛를 초과하는 경우 노출되는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면적이 너무 적어지거나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서 목적하는 전자파차폐성능의 향상이 어려울 수 있다. 3,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is impregnated in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A second portion Q as a portion in which the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are impregnated and a second portion Q in which the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And may include a first portion P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Q, At this time, the first portion P is not formed to c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21, and a first portion P is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21 is exposed. . At this time, in order to expose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21 to a desired level, the first portion P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not impregnated with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And preferably the average thickness d of the first portion P may be 3 to 12 占 퐉.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irst portion (P) is less than 3 mu m, the area of the exposed conductive nanofibrous web increases, and the adhesion and adhesion of the EMI shielding film may be lower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irst portion P exceeds 12 μm, the area of the exposed conductive nanofibrous web is too small or not exposed, so that it may be difficult to improve the desired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erformance.

상기 도전성 점착층(22)은 두께가 5 ~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5㎛, 더 바람직하게는 6 ~ 10㎛일 수 있고, 이때, 제1부분(P)의 평균두께는 3 ~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10㎛, 더 바람직하게는 4 ~ 7㎛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우수한 점착특성, 노출되는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면적이 적정 수준으로 구현됨에 따라서 우수한 차폐율을 달성하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달성에 유리하다.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may have a thickness of 5 to 20 μm, more preferably 5 to 15 μm, and still more preferably 6 to 10 μm. In this case,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irst portion (P) More preferably 3 to 10 mu m, and more preferably 4 to 7 mu m. As a result, excellent shielding characteristics and an area of the exposed conductive nanofiber web are achieved at an appropriate leve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achieving the desired effect.

또한, 상기 도전성 섬유웹의 전체 두께 대비 50% 내지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85%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부분(Q)의 평균두께는 도전성 나노섬유웹 전체 두께의 50 ~ 85%일 수 있다. 만일 제2부분(Q)의 평균두께가 도전성 나노섬유웹 전체 두께의 85%를 초과할 경우 반대면에 형성되는 보호층과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접착을 방해하거나, 들뜸, 박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파차폐층의 신축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단차가 큰 칩이 실장된 회로기판에 적용될 때 밀착력 및 차폐효율의 저하 우려가 있다. 또한, 제2부분(Q)의 평균두께가 도전성 나노섬유웹 전체 두께의 50% 미만일 경우 단차가 큰 칩이 실장된 회로기판에 적용될 때 밀착력 및 차폐효율의 저하 및 박리강도 저하의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50 to 85%, more preferably 60 to 85%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fiber web may be located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That is,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econd portion Q may be 50 to 85%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econd portion Q exceeds 85%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adhesion of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to the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may be interfered, peeling, peeling may occur.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longation and shrinkag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may be deteriorated, and there is a fear that adhesion and shielding efficiency may be lowered when applied to a circuit board on which a chip having a large step is mounted. In addition, whe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econd portion Q is less than 5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there is a fear of deterioration in adhesion and shielding efficiency and deterioration of peel strength when applied to a circuit board having a chip with a large step.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의 전체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22) 내에 함침 되는 경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체가 함침됨으로써 도전성 나노섬유웹(21)의 내부 기공 전체에 도전성 점착층이 충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도전성 나노섬유간의 연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이때, 도전성 점착층은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면 또는 양면의 전부를 소정의 두께로 덮는 독립된 층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신축특성은 저하될 수 있으나, 도전성 나노섬유웹과 피착면 간의 점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양면에 구비되는 도전성 점착층의 독립된 층 부분을 통해 일면의 경우 전자부품과 같은 피착면과 결합력, 타면의 경우 보호층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면에 소정의 두께로 독립된 층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독립된 층 부분은 도전성 나노섬유웹 양면 표면의 일부를 덮어서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표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현예를 통해 노출된 도전성 나노섬유웹으로 인해 해당 면의 표면조도가 증가할 수 있고, 이 경우 앵커효과에 의해 전자부품의 피착면이나, 보호층과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s 21 and 21 'are impregnated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s 21 and 21' are impregnated in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Layer may be filled, which may have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conductive nanofibers. At this time,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n independent layer portion covering the entire surface of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the adherend surface can be further improved althoug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characteristics may be lowered. In addition, through the independent layer portion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provided on both sides, the bonding force with the adhered surface such as the electronic component on one side and the bonding force with the protective layer on the other sid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when a separate layer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provided on both sides, the separate layer portion covers a part of the both surfaces of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so tha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can be exposed. In this case,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can increas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urface, and in this cas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urther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protective layer due to the anchor effect .

상기 도전성 점착층(22)은 점착성분(22b) 및 도전성 필러(22a)를 포함하는 도전성 점착조성물을 통해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착성분(22b)은 공지된 전자파차폐필름에 구비되는 점착성분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염화비닐계, 초산비닐계, 에폭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EMI 차폐필름이 압착되었을 때 고화된 점착성분이 깨지거나 부서지지 않도록 압축특성이나 탄성특성을 가지도록 아크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 유기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착성분(22b)이 경화성 유기화합물인 경우 상기 도전성 점착조성물은 이를 경화시킬 수 있는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선택되는 점착성분으로서 경화성 유기화합물의 구체적 종류를 고려하여 적절한 공지된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점착성분이 경화성 성분인 경우 포함되는 경화제는 상기 점착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5 ~ 10 중량부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may be formed through a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ing an adhesive component 22b and a conductive filler 22a. The adhesive component 22b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the case of the adhesive component included in the know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Examples of the adhesive component 22b include acrylic, silicone, polyurethane, polyester, polyolefin, , A vinyl acetate-based compound, and an epoxy-based compound. However, an acrylic or polyurethane based organic compound may be preferably used so as to have a compression property and an elastic property so that the solidified adhesive component is not broken or broken when the EMI shielding film is squeezed. Meanwhile, when the adhesive component 22b is a curable organic compound, the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curing agent capable of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he curing agent may be a known curing agent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kind of the curable organic compound as the adhesive component to be selected.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When the adhesive component is a curable component, the cur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compon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성분(22b)은 유리전이온도가 -60℃ 내지 130℃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일 수 있다. 만일 유리전이온도가 -60℃ 미만일 경우 후술하는 피착면의 일예인, 칩이 실장된 회로기판상에 부착된 후 칩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도전성 점착층이 녹아 회로기판을 오염시키거나 회로기판에서 EMI 차폐필름이 탈리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필름상에 균일한 점착층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만일 유리전이온도가 130℃를 초과하는 경우 EMI 차폐필름을 피착면에 부착시 고온의 조건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상기 피착면의 일예인 칩이나 회로기판이 가해지는 고온의 열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고, 공정온도와 공정시간이 길어지고 공정조건이 불충분할 시에는 굴곡면에서의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component 22b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60 占 폚 to 130 占 폚, more preferably -20 占 폚 to 30 占 폚.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60 ° C,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melt due to the heat generated in the chip, which is attached to the chip mounted circuit substrate, which is one example of the lat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problem such as the removal of the shielding film may occur, and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a uniform adhesive layer on the film. In addition,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higher than 130 캜,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is required when the EMI shielding film is adhered to the adherend surface, thereby damaging the chip or the circuit board, which is one example of the adherend surfa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rocess temperature and the process time become long, and when the process conditions are insufficient, complete close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may not be achieved.

또한, 상기 점착성분(22b)은 산가가 10 ~ 500 ㎎KOH/g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300㎎KOH/g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산가란 시료 1g 중에 함유하는 유리 지방산, 수지산 등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mg 수를 의미한다. 상기 산가는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유기화합물이 포함한 작용기, 예를 들어 카르복시기나 술폰산기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러한 작용기가 없을수록 상기 산가는 0에 가까워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성분이 아크릴계 유기화합물일 경우 아크릴계 단량체들을 포함해서 반응된 중합체일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산의 함량에 따라서 산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점착성분의 산가가 만일 10 ㎎KOH/g 미만일 경우 피착면과의 부착력이 저하되고, 그라운드 기능이 불완전해질 수 있다. 또한, 산가가 만일 500㎎KOH/g을 초과하는 경우 회로기판이나 칩의 부식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고, 부식에 의한 부반응으로 밀착성이 서서히 저하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될 우려가 있다. The adhesive component 22b may have an acid value of 10 to 500 mgKOH / g, more preferably 30 to 300 mgKOH / g. Means the number of mg of potassium hydroxide necessary for neutralizing free fatty acid, resin acid, and the like contained in 1 g of acid glutamat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acid value may be influenced by a functional group contained in the organic compound, for example, a carboxyl group or a sulfonic acid group, and the acid value may be closer to zero as the functional group is absent. More specifically, when the tacky component is an acrylic organic compound, it may be a polymer reacted with acrylic monomers. If acrylic acid is contained as the acrylic monomer, the acid valu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crylic acid content. If the acid value of the adhesive component is less than 10 mgKOH / g, the adhesion with the surface to be adhered decreases, and the ground function may become incomplete. If the acid value exceeds 500 mgKOH / g, the corrosion of the circuit board or the chip may be remarkably increased, and the adhesion may gradually decrease due to side reaction caused by corrosion, which may significantly reduce the durability.

또한, 상기 도전성 필러(22a)는 니켈(Ni), 알루미나(Al), 구리(Cu), 은(Ag), 아연(Zn), 팔라듐(Pd), 티타늄(Ti), 지르코늄(Zr), 인듐(In), 게르마늄(Ge), 주석(Sn), 금(Au), 철(Fe)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필러, 니켈-그라파이트, 카본블랙, 탄소섬유 및 그라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전도성 탄소계 필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필러는 형상이 구형이나 비정형인 입상이거나 가지형일 수 있으나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필러(22a)는 평균입경이 1 ~ 8㎛일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도전성 섬유웹의 평균공경을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므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도전성 필러(22a)는 상술한 점착성분(22b) 100 중량부에 대해 5 ~ 2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일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도전성을 발현하기 어려울 수 있고, 2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유연성 저하, 점착력 감소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filler 22a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 Al, Cu, Ag, Zn, Pd, Ti, Zr, At least one metal fill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 Ge, Sn, Au, Fe and alloys thereof, nickel-graphite, carbon black, carbon fiber and graphite And one or more conductive carbon-based fill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bove-mentioned conductive carbon-based fillers. The conductive filler may be spherical or irregular granular or branched and may be suitably mod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In addition, the conductive filler 22a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8 탆, which can be suitab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conductive fiber web described above,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The conductive filler 22a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component 22b. If the conductive filler is inclu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5 parts by weight, it may be difficult to exhibit the desired level of conductivity If it exceeds 200 parts by weight, flexibility and adhesion may be decreased.

상기 도전성 점착조성물은 상술한 점착성분, 도전성필러 및 경화제 이외에 세라믹 필러, 점착력 부여제,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ceramic filler, a tackifier, and a solvent in addition to the adhesive component, the conductive filler and the curing agent.

상기 세라믹 필러는 점착층의 레진플로우, 응집력 향상을 위한 것으로서, 점착 조성물에 응용되는 세라믹 필러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세라믹 필러는 산화주석, 산화인듐, 실리콘카바이드, 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늄카바이드, 글라스 및 티타늄카바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라믹 필러는 상술한 점착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0.1 ~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The ceramic filler is for improving the resin flow and cohesion of the adhesive layer and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the case of a ceramic filler applied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example, the ceramic fill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n oxide, indium oxide, silicon carbide, silica, alumina, zirconium carbide, glass and titanium carbide. In this case, the ceramic fill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bove-mentioned adhesive component.

또한, 상기 점착력 부여제는 핫멜트 또는 완전 경화를 통해 피착면에 본접합 됨에 따라서 가접합 시 초기 점착력 부여의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점착력 부여제는 공지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고, 일예로 변성 실리콘계, 로진계수지, 석유수지,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력 부여제는 상술한 점착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3 ~ 7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ackifier is primarily bonded to the surface to be bonded through hot-melt or full curing, the tackifier is responsible for imparting initial tackiness at the time of bonding. As the tackifier, known components can be used. For example, a modified silicone, a rosin-based resin, a petroleum resin, a wax, or the like can be used. The tackifi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 to 7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component.

또한, 상기 용매는 선택된 점착성분이나 첨가제를 고려하여 물, 유기용매 등 공지된 용매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solvent may be selected from known solvents such as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in consideration of the selected adhesive component and additives.

또한, 상기 도전성 점착조성물은 25℃에서 점도가 100 ~ 5,000 cps,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 2,000cps일 수 있다. 만일 25℃에서 점도가 100cps 미만일 경우 점착층 형성이 불완전해질 수 있고, 5,000cps를 초과하는 경우 도전성 점착층이 후술하는 압착 공정을 통해 도전성 나노섬유웹 내부로 침투하기 어려울 수 있고, 결과적으로 목적하는 수준으로 도전성 나노섬유웹 표면 일부를 노출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The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have a viscosity of 100 to 5,000 cps, more preferably 500 to 2,000 cps at 25 ° C. If the viscosity is less than 100 cps at 25 캜, the formation of the adhesive layer may become incomplete. If the viscosity exceeds 5,000 cps,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be difficult to penetrate into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through a pressing process described later, It may be difficult to expose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 및 도전성 점착층(22)을 포함하는 전자파차폐층(20)은 그 하부면에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의 일부가 노출(도 3의 N)되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하부면은 도 1에서 제1이형필름(10)에 대향하는 전자파차폐층(20)의 일면일 수 있다.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현됨을 통해서 피착면에 부착될 때 접지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 우수한 전자파차폐 성능을 발현하기 유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including the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an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2 has the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N in Fig. 3), which may be one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facing the first release film 10 in Fig. Since the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are partially expos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grounding function when attached to the adherend surface, and to exhibit better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erformance.

이때, 노출된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의 노출 정도는 노출된 쪽의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의 일면 전체 면적을 기준하여 5 ~ 30%의 면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의 면적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체 면적은 도전성 나노섬유웹 하부면을 2차원으로 투사시켰을 때의 표면적을 의미한다. 또한, 노출된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의 노출된 부분의 면적 역시 노출된 부분을 2차원으로 투사시 해당 영역의 표면적을 의미하고, 노출된 부분에 포함된 실제 나노섬유들의 표면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만일 노출 정도가 5% 미만일 경우 목적하는 수준으로 전자파차폐 성능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고, 만일 노출 정도가 30%를 초과하는 경우 피착면과 전차파차폐층 하부면의 부착특성 저하로 인한 밀착력 저하, 밀착력 저하 및 도전성 섬유간 전기적 연결성 저하로 인해 오히려 전자파차폐성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exposed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is 5 to 30% based on the total area of one surface of the exposed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more preferably, An area of 5 to 10% can be exposed. Here, the total area refers to the surface area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is projected in two dimensions. In addition, the area of the exposed portion of the exposed conductive nanofiber web 21, 21 'also means the surface area of the corresponding region when the exposed portion is projected in two dimensions, and the surface area of the actual nanofibers contained in the exposed portion It does not mean anything. If the exposure level is less than 5%, it may be difficult to expect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performance to be improved to the desired level. If the exposure level exceeds 30%, the adherence to the adhesion surface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performance may be lowered considerably due to the lowering of the adhesion, the lowering of the adhesion, and the lowering of the electrical connectivity between the conductive fibers.

또한,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의 일부가 도출된 전자파차폐층(20)의 하부면은 표면 거칠기(Ra)가 0.1 ~ 2㎛,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1㎛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표면 거칠기의 측정 영역이 되는 전자파차폐층(20)의 하부면은 도전성 나노섬유웹에 대응하는 영역에 한정된 하부면일 수 있다. 즉, 만일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면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전자파차폐층이 구현되는 경우 상기 표면거칠기는 전자파차폐층 전체 일면을 기준하는 것이 아니라 도전성 나노섬유웹에 대응되는 전자파차폐층 일면의 소정의 영역을 기준으로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만일 표면거칠기(Ra)가 0.1㎛ 미만일 경우 그라운드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를 초과하는 경우 금속 피착물과의 밀착력이 불완전해지는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from which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is drawn may have a surface roughness Ra of 0.1 to 2 탆, more preferably 0.2 to 1 탆.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serving as the measurement area of the surface roughness may be a lower surface defin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That is, i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is formed in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one sid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the surface roughness is not determined bas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Means a value measured based on an area. If the surface roughness (Ra) is less than 0.1 탆,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ground function is deteriorated, and when the surface roughness (Ra) is more than 2 탆, adhesion with the metal adherend may become incomplete.

또한, 상술한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노출정도와, 도전성 나노섬유웹이 노출된 전차파차폐층 하부면의 표면거칠기를 동시에 만족할 경우 보다 상승된 전자파차폐성능 및 점착력 특성을 동시에 발현하기 유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posed degre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ic wave shielding layer in which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exposed are simultaneously satisfied,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exhibit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performance and the adhesive property.

또한, 노출된 도전성 나노섬유웹(21)의 부분은 도전성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도전성 나노섬유들 및/또는 이들 도전성 나노섬유들이 일체화된 웹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나노섬유웹(21) 노출된 부분은 전자파차폐층(20) 하부면의 일부 영역에만 국한하여 노출될 수 있고, 또는 전자파차폐층(20) 하부면의 여러 부분에 걸쳐 골고루 노출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exposed conductive nanofiber web 21 may be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s forming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 or the web in which these conductive nanofibers are integrated. The exposed portion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21 may be exposed only to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or may be uniformly exposed to various portion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layer 20 have.

위와 같이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현된 전자파차폐층(20,20')의 일면의 표면저항은 10Ω/sq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Ω/sq ~ 500mΩ/sq,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Ω/sq ~ 300mΩ/sq일 수 있다. 만일 도전성 나노섬유웹이 노출된 전자파차폐층의 일면의 표면저항이 10Ω/sq을 초과할 경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노출에 따른 접지성능 향상, 차폐성능 향상을 발현하기 어려울 수 있는 등 발명을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The surface resistivity of one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or 20 'implemented to expose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21 or 21' is 10 Ω / sq or less, more preferably 10 mΩ / 500 m? / Sq, and more preferably 10 m? / Sq to 300 m? / Sq. If the surface resistance of one side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layer exposed to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more than 10? / Sq, it may be difficult to improve the grounding performance and shield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exposur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t can be difficult to achieve.

또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은 25℃ ~ 160℃에서 신율이 10 ~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1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 50%, 더 바람직하게는 25 ~ 50%일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우수한 가요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일축방향으로 15% 신장 시 표면저항이 2Ω/sq 이하일 수 있고, 25% 신장 시 표면저항이 50Ω/sq 이하일 수 있다. 즉, 신장에도 불구하고 신장 전에 대비하여 표면 저항의 증가가 방지 또는 최소화되는 동시에 신장을 견딜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구비함에 따라서 다양한 높이의 칩에 따라서 단차진 회로기판 상의 굴곡면에도 불구하고 향상된 밀착력을 발현하고, 밀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장에 의해 보다 향상된 전자파차폐성능을 발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preferably have elongation at 25 ° C to 160 ° C of 10-200%, more preferably 15-100%, even more preferably 15-50% 25% to 50%, and thus excellent flexibility can be exhibited. In addition, the surface resistance can be 2? / Sq or less at 15% elongation in the uniaxial direction, and the surface resistance at 25% elongation can be 50? / Sq or less. That is, despite the increase in elong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rease of surface resistance by preventing or minimizing the increase of the surface resistance, and at the same time, by increasing the mechanical strength to withstand the elongation, And can exhibit improved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erformance by elonga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dhesion and adhesion.

또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21,21')은 인장강도가 20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N/㎟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00N/㎟일 수 있다. 만일 인장강도가 20 N/㎟ 미만일 경우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발현하기 어려워서 단차 큰 칩 상에 밀착될 때 신장에 따른 파손의 우려가 있다. 다만 인장강도는 100 N/㎟ 이하인 것이 좋은데 100N/㎟를 초과하면 신축특성이 현저히 감소하여 단차 있는 칩상에 밀착되기 어려울 수 있다.The conductive nanofiber webs 21 and 21 'may have a tensile strength of 20 N / mm 2 or more, more preferably 40 N / mm 2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60 to 100 N / mm 2. If the tensile strength is less than 20 N / mm < 2 >, it is difficult to exhibit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ensile strength is 100 N / mm 2 or less. If it exceeds 100 N / mm 2, the elongation and shrinkage characteristics are remarkably reduced, and it may be difficult to adhere to the stepped chip.

한편, 상술한 전자파차폐층(20,20")은 전기적으로 등방성 또는 이방성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s 20 and 20 "may be electrically isotropic or anisotropic.

다음으로, 상술한 전자파차폐층(20)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30)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protective layer 30 disposed on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will be described.

상기 보호층(30)은 전자파차폐층(20)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써, 전자파 차폐필름에 구비되는 공지된 보호층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폴리이미드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아미드이미드계, 폴리아크릴계 및 폴리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우레탄계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성 후 열 수축 특성이 낮고, 가요성이 커져서 단차가 있는 피착면에도 들뜸이 없이 밀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otective layer 30 is a layer for protec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a known protective layer provided in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As a non-limiting examp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polymer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imide-based, polyamide-based, polyamideimide-based, polyacryl-based and polyester-based ones. However, it may preferably include a urethane-based polymer compound, which has a low thermal shrinkage characteristic after firing and has a high flexibility, so that it can be adhered to a stepped surface without peeling.

또한, 상기 보호층(30)은 두께가 2 ~ 30㎛일 수 있으며, 2㎛ 미만의 두께일 경우 물리적 손상방지, 절연기능 등의 보호기능을 수행하기에 두께가 얇을 수 있고, 30㎛를 초과할 경우 유연성이 저하되어 단차진 피착면에 밀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때, 상기 보호층(30)은 밀착력이 1000gf/inch 이상일 수 있고, 전기저항은 1×1012Ω 이상일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30 may be in the range of 2 to 30 占 퐉. When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30 is less than 2 占 퐉,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30 may be thinner than 30 占 퐉 There is a fear that the flexibility is lowered and the adhesion to the stepped surface is lowered. At this time, the protective layer 30 may have an adhesion of 1000 gf / inch or more and an electrical resistance of 1 x 10 12 ? Or more.

한편, 상기 보호층(30)은 투명하거나 또는 작업성이나 시인성 향상을 위해 특정한 색을 나타내도록 색소나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특정한 색은 블랙일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보호층(30)은 카본블랙 및/또는 블랙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tective layer 30 may further include a colorant or a pigment so as to be transparent or to exhibit a specific color for improving workability and visibility. For example, the specific color may be black, and the protective layer 30 may further include carbon black and / or black pigment.

또한, 상기 보호층(30)은 시인성을 확보 및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자파차폐층(20)과 대향하는 일면의 타면 매트(Matt) 처리를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보호층(30)으로 입사하는 광의 산란, 광의 확산을 유도하여 헤이즈를 증가시킴으로써 시인성, 작업성 향상에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패턴은 후술된 제2이형필름(40)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패턴에 대한 역상의 패턴에 의해 전사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layer 30 may be formed with a pattern for the other surface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to ensure and improve the visibility. The pattern is advantageous in improving visibility and workability by inducing scattering of light and diffusion of light incident on the protective layer 30 to increase haze. At this time, the pattern may be transferred and formed by a reverse-phase pattern to the pattern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lease film 40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보호층(30)은 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체는 세라믹 절연체 및 플라스틱계 절연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체를 통해 상기 보호층(30)은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발현하기 용이하며, 이를 통해 EMI 차폐필름을 통한 부품 간 의도하지 않은 도통 및 이로 인한 쇼트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layer 30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or. The insulato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eramic insulator and a plastic insulator. The protection layer 30 is easy to exhibit electrical insulation through the insulator, thereby preventing unintentional conduction between parts through the EMI shielding film and preventing a short circuit due to the EMI shielding fil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보호층(30')은 제1층(31) 및 제2(32)의 적층구조일 수 있고, 이때 제1층(31)은 두께가 2 ~ 20㎛, 제2층(32)은 두께가 2 ~ 2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층(31) 및 제2층(32)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30')이 적층구조일 경우 상기 제2층(32)은 작업성이나 시인성 향상을 위해 특정한 색을 나타내도록 색소나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특정한 색은 블랙일 수 있다. 5, the protective layer 30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of a first layer 31 and a second layer 32, wherein the first layer 31 May have a thickness of 2 to 20 탆, and the second layer 32 may have a thickness of 2 to 20 탆,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layer 31 and the second layer 3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f the protective layer 30 'has a laminated structure, the second layer 32 may further include a colorant or pigment so as to exhibit a specific color for improving workability and visibility. For example, the specific color may be black.

다음으로 상술한 전자파차폐층(20)의 하부에 더 배치될 수 있는 제1이형필름(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이형필름(10)은 전자파차폐층(20)이 피착면, 즉 일예로 칩이 실장된 회로기판의 상부면에 부착되기 전까지 전자파차폐층(2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이형필름(10)은 소정의 층을 보호할 수 있으면서 적절한 때 상기 소정의 층에서 쉽게 벗겨질 수 있는 공지된 이형필름의 경우 재질, 두께 등에 관계 없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이형필름(10)은 투명필름, 바람직하게는 무광 투명필름인 것이 좋고, 보다 구체적인 일예로 PET 필름, 실리콘 이형 코팅된 PET필름, 비실리콘계 무광 PET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Next, the first release film 10 which can be further disposed below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will be described. The first release film 10 serves as a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until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adheres to the adherend surface,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on which the chip is mounted do. The first release film 10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regardless of material, thickness, etc. in the case of a known release film which can protect a predetermined layer and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predetermined layer when appropriate. However, the first release film 10 may be a transparent film, preferably a matte transparent film.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 PET film, a PET film coated with a silicone release coating, a non-silicone based matte PET film and the like may be used.

또한, 상기 제1이형필름(10)은 두께가 20 ~ 5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release film 10 may have a thickness of 20 to 50 탆,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상술한 보호층(30) 상에 더 배치될 수 있는 제2이형필름(4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이형필름(40)은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필름이 피착면에 적용되기 전까지 보호층(30)과 전자파차폐층(20)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으로써, 공지된 이형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Next, the second release film 40, which can be further disposed on the above-described protective layer 30, will be described. The second release film 40 may be a known release film as a film for protecting the protection layer 30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0 until the EMI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adhere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is.

한편, 상기 제2이형필름(40)의 일면에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패턴이 형성된 일면이 상기 보호층(30)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패턴이 형성된 제2이형필름(40) 상에 형성된 보호층(30)은 상기 패턴으로 인해 그 역상의 패턴이 보호층(30)의 일면에 전사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호층(30)이 매트처리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attern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release film 40,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release film 40 may be disposed so as to face the protective layer 30. The protective layer 30 formed on the patterned second release film 40 can be formed by transferring the pattern of the reversed phase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layer 30 due to the pattern, Can be matted.

또한, 상기 제2이형필름(40)의 두께는 5 ~ 100㎛, 바람직하게는 20 ~ 75㎛ 정도인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lease film 40 is preferably 5 to 100 占 퐉, and more preferably 20 to 75 占 퐉.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필름의 각 층들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서 별도의 점착층나 접착층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층이나 접착층에는 도전성 필러를 구비한 전자파차폐층이나 도전성 접착층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adhesive layer or the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having a conductive filler or a conductive adhesive layer provided between the layers of the EMI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필름은 1 ~ 3000MHz의 주파수 영역에서 10dB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dB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dB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0dB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dB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20 dB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 EMI 차폐성능을 발현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1.5GHz에서 차폐율이 60dB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dB 이상일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EMI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nd gap of at least 10 dB, more preferably at least 20 dB,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50 dB, more preferably at least 70 dB,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100 dB , And even more preferably 120 dB, thereby enabling to exhibit improved EMI shielding 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the shielding ratio at 1.5 GHz may be 60 dB or more, more preferably 70 dB or more.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필름은 후술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되는 제조방법은 도전성 점착층이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내부 일부에만 침투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내부 및 외부를 덮도록 도전성 점착층이 형성되는 등의 구현예의 제조방법은 후술하는 제조방법을 적절히 변경하거나, 도전성 나노섬유웹을 도전성 점착조성물에 함침하는 등의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채택할 수 있음에 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e EMI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below,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below assumes that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penetrates only the inner portion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Known methods such as modifying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below or impregnating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into the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suitably adopted,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필름을 제조하는 일예를 설명하면, 도전성 나노섬유웹을 준비하는 단계, 도전성 나노섬유웹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시키고 타면에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부가 상기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의 내부로 함침되도록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MI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conductive nanofiber web,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side of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form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on the other sid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ure such that a portion of the fibrous web is impregn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pre-press conductive adhesive layer.

먼저, 도전성 나노섬유웹을 준비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도전성 고분자화합물을 통해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준비될 수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나노섬유웹 상에 별도의 도전성부를 형성하는 구현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First, a step of preparing a conductive nanofiber web will be described.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may be prepared by a method of forming a nanofiber web through a conductive polymer compou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however, an embodiment in which a separate conductive part is formed on the nanofiber web will be described.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지지섬유부로 형성된 나노섬유웹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섬유웹의 지지섬유부 전부 또는 일부 상에 도전성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may include a step of preparing a nanofiber web formed of a supporting fiber portion, and a step of forming a conductive portion on all or a part of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of the nanofiber web.

상기 지지섬유부로 형성된 나노섬유웹은 섬유형성성분이 용융 또는 용해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구현되며, 전기방사 시 인가되는 전압, 에어갭 등은 구체적인 섬유형성성분의 종류, 방사된 지지섬유부의 평균직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nanofiber web formed of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is realized by electrospinning a spinning solution in which a fiber forming component is melted or dissolved. Voltage and air gap applied during electrospinning are determined by the kind of the specific fiber forming component, the average Diameter, and the like,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is.

일예로 상기 나노섬유웹은 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와 같은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고온증기를 사용하여 전기방사되어 이형지 상에 수집된 것일 수 있다. 일예로 섬유형성성분이 폴리우레탄일 경우 쇼어(Shore) 경도가 70 ~ 1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방사된 나노섬유인 지지섬유부는 평균직경이 2㎛,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 0.8㎛일 수 있다. 수집된 나노섬유웹은 이후 부풀을 제거하고, 인장강도의 향상 및 두께 조절을 위해 캘린더 압착공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압착공정은 일예로 20 ~ 40℃의 온도조건에서 0.1 ~ 1kgf/㎠의 압력을 가해 수행될 수 있다. 캘린더링 한 경우 제조된 나노섬유웹은 공경이 0.1 ~ 10㎛일 수 있고, 인장강도가 5 ~ 10N/㎟, 두께가 1 ~ 50㎛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nanofiber web may be one obtained by heating and melting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n olefin-based, polyurethane-based or polyester-based resin, and then collecting it on a releasing paper by electrospinning using high-temperature steam. For example, when the fiber forming component is polyurethane, a shore hardness of 70 to 100 can be used. At this time, the supported fiber portion which is the nanofiber that is radiated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2 탆, more preferably 1 탆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50 nm to 0.8 탆. The collected nanofiber webs can then be subjected to a calender pressing process to remove inflating and improve tensile strength and thickness. The compression process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 pressure of 0.1 to 1 kgf / cm 2 at a temperature of 20 to 40 ° C. When calendering, the produced nanofiber web may have a pore size of 0.1 to 10 mu m, a tensile strength of 5 to 10 N / mm < 2 > and a thickness of 1 to 50 mu m.

이후 상기 나노섬유웹은 인장강도 등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위해 전처리 공정을 더 거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하는 도전성부를 형성시키는 일예인 도금공정이나 스퍼터링 공정을 수행하기에 요구되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보유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특히 도금공정의 경우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수소기체가 발생할 수 있는데 만일 나노섬유인 지지섬유부 간 결합이 견고하지 못할 경우 발생한 수소기체가 나노섬유웹 내부 공간에 트랩되어 나노섬유웹 외부표면에 굴곡을 형성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전처리 공정을 거친 경우 지지섬유 간 결합이 견고해짐에 따라서 이와 같은 수소기체의 트랩 문제나, 기계적 강도가 약해서 발생하는 공정통과성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Then, the nanofiber web may be further subjected to a pretreatment process to improve mechanical strength such as tensile strength. This can be advantageous in that it has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required for performing a plating process or a sputtering process, which is one example of forming a conductive part to be described later. In particular, in the plating process, hydrogen gas can be generated by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If the bonding between the supporting fibers of the nanofiber is not stable, hydrogen gas generated is trapped in the inner space of the nanofiber web, There is a risk of formation. However, when the pre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he trapping of the hydrogen gas or the degradation of the processability caused by the weak mechanical strength can be prevented as the bonding between the supporting fibers becomes stronger.

또한, 스퍼터링 공정 시 증착되는 도전성부의 무게로 인해 나노섬유웹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압축될 수 있고, 이 경우 초도에 설계한 나노섬유웹의 스펙이 공정 중에 변경됨에 따라서 초기설계 물성치를 온전히 발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전처리 공정을 거친 경우 나노섬유웹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도전성부가 증착되지 않은 부분의 나노섬유웹이 압축되어 발생하는 형상 변형, 공경 감소 등의 우려가 해소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nanofiber web can be deformed or compressed due to the weight of the conductive parts deposited during the sputtering process. In this case, since the specification of the nanofiber web designed in the beginning is changed during the process, There can be a difficult problem. However, when the pre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nanofiber web is improved, so that there is no fear of shape deformation and reduction in pore size caused by compressing the nanofiber web at the portion where the conductive portion is not deposited.

상기 전처리 공정은 나노섬유웹을 전처리용 고분자 용액에 처리한 뒤 건조과정을 거쳐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고분자 용액은 아크릴계 화합물, 우레탄계 화합물 등의 바인더 특성을 가진 공지된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또는 분산액)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 용액은 용매, 일예로 물에 고분자화합물이 용해또는 분산된 상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treating the nanofiber web with a polymer solution for pretreatment followed by drying, wherein the polymer solution is a solution containing a known polymer compound having a binder property such as an acrylic compound or a urethane compound Or dispersions). In this case, the polymer solution may be in a state where the polymer compound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a solvent, for example, wa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고분자 용액에 나노섬유웹을 처리하는 방법은 공지된 코팅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일예로 침적일 수 있다. As a method of treating the nanofiber web with the polymer solution, a known coating method can be used and, for example, may be immersed.

고분자 용액이 처리된 후 건조되어 지지섬유부의 외부를 피복하는 고분자 표면코팅층이 형성된 나노섬유웹은 인장강도가 20 ~ 100N/㎟일 수 있는데, 처리 전에 대비하여 1.5배에서 10배가량 인장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신율 역시 20% 이상일 수 있다. The nanofiber web on which the polymer surface coating layer is formed after the polymer solution is treated and dri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may have a tensile strength of 20 to 100 N / mm 2. The tensile strength is improved by about 1.5 to 10 times . In addition, the elongation may also be at least 20%.

이후, 고분자 코팅층이 형성된 나노섬유웹은 다시 두께균일화, 인장강도 향상 및 두께조절을 위해 캘린더 압착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조건은 일예로 20 ~ 40℃의 온도조건에서 0.1 ~ 1kgf/㎠의 압력을 가해 수행될 수 있다. 압착공정을 더 수행한 나노섬유웹은 최종 두께가 4 ~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2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 ~ 15㎛일 수 있으며, 평량은 0.5 ~ 30g/㎡,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15g/㎡,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 ~ 11g/㎡일 수 있다. 또한, 신율은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00% 일 수 있다. Thereafter, the nanofiber web having the polymer coating layer may further be subjected to a calender pressing process for uniforming the thickness, improving the tensile strength, and controlling the thickness. The conditions include, for example, a temperature of from 0.1 to 1 kgf / cm 2 Lt; / RTI > The final thickness of the nanofiber web subjected to the pressing process may be 4 to 30 탆, more preferably 5 to 20 탆, still more preferably 7 to 15 탆, and a basis weight of 0.5 to 30 g / M < 2 >, more preferably from 8 to 11 g / m < 2 >. The elongation percentage may be 20% or more, more preferably 40% or more, more preferably 60%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60 to 100%.

이후, 준비된 나노섬유웹의 지지섬유부 전부 또는 일부 상에 도전성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Thereafter, a step of forming a conductive portion on all or a part of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of the prepared nanofiber web can be performed.

도전성부를 형성시키는 방법은 나노섬유인 지지섬유부 상에 도전성부를 형성시킬 수 있는 공지된 방법은 제한 없이 응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무전해도금 또는 스퍼터링일 수 있다. 무전해도금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나노섬유웹의 지지섬유부 전부에 도전성부를 형성시키기 유리하다. A known method for forming the conductive part on the supporting fiber part of the nanofiber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electroless plating or sputtering. When electroless plating is performed, it is advantageous to form a conductive part on the whole of the supporting fiber part of the nanofiber web.

상기 무전해도금을 통한 도전성부의 형성방법은 공지된 무전해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으며, 일예로 나노섬유웹에 도전성부가 형성되기 용이하도록 전처리 후 목적하는 성분이 도금되도록 도금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도전성부는 제1니켈층-구리층-제2니켈층 3개의 금속층이 적층된 것일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나노섬유웹은 니켈도금, 구리도금 및 니켈도금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forming the conductive part through the electroless plating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using a known electroless plating method. For example, in order to facilitate formation of the conductive part in the nanofiber web, The process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the conductive part may be formed by stacking three metal layers of a first nickel layer, a copper layer, and a second nickel layer. To this end, the nanofiber web may be sequentially subjected to nickel plating, copper plating, and nickel plating.

또한, 상기 스퍼터링은 나노섬유웹의 어느 일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소정의 높이까지 도전성 나노섬유를 형성시켜 도 5와 같은 도전성 나노섬유웹을 형성시키기에 유리한 방법이다. 상기 스퍼터링은 타겟하는 금속성분을 공지의 스퍼터 장비를 활용하여 나노섬유웹의 일면 및 상기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두께만큼 도전성부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도전성부가 형성된 부분은 목적하는 차폐율을 달성하며, 도전성부가 비형성된 부분은 기재의 유연성을 유지하여 단차진 피착면에 더욱 밀착력 있게 접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puttering is an advantageous method for forming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s shown in FIG. 5 by forming the conductive nanofibers from one side of the nanofiber web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sputtering, a target metal component may be formed by using a known sputtering equipment to form a conductive part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from one surface and one side of the nanofiber web, and the part where the conductive part is formed achieves a desired shielding ratio, The non-formed por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flexibility of the base material is maintained and can be more adhered to the stepped surface to be adhered more tightly.

상기 금속성분은 Ag 또는 Ni-Cu-N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metal component may be Ag or Ni-Cu-Ni,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준비된 도전성 나노섬유웹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시키고, 타면에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Next, a step of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surface of the prepared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form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먼저 보호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설명하면, 보호층 형성 조성물을 도전성 섬유웹의 일면 상에 처리하여 보호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층 형성 조성물은 보호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주제가 되는 고분자화합물과 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기타 안료, 색소, 절연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제가 되는 고분자화합물은 폴리이미드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아미드이미드계, 폴리아크릴계 및 폴리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용매는 선택되는 고분자화합물의 종류에 따라서 달리 선택할 수 있고, 물이나 유기용매일 수 있으며, 처리하는 방법을 고려하여 적정 점도가 되도록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First, a process of forming a protective layer will be described. A protective layer can be formed by treating the protective layer forming composition on one surface of the conductive fiber web.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 main polymer compound and a solvent for forming a protective layer, and may further include other pigments, pigments, insulators, etc. The main polymer compounds include polyimides, polyamides, Based polymer, a polyamide-imide-based polymer, a polyacryl-based polymer, and a polyester-based polymer. The solvent may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polymer compound to be selected, may be water or organic solvent, and the content may be varied so as to obtain an appropriate viscosity in consideration of the method of treatment.

상기 보호층 형성 조성물이 상기 도전성 섬유웹 상에 처리되는 방법은 공지된 코팅방법일 수 있고, 일예로 콤마, 그라비아 등일 수 있다. The method in which the protective layer forming composition is treated on the conductive fiber web may be a known coating method, for example, a comma, a gravure, or the like.

한편, 상기 보호층은 제1층 및 제2층의 적층구조일 경우 도전성 나노섬유웹과 대면하는 제1층을 먼저 형성시킨 뒤, 상기 제1층 상에 제2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층 및 제2층 모두 절연기능을 보유할 수 있고, 상기 제2층은 블랙안료를 더 포함하는 블랙 절연층일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the protective layer may be formed by first forming a first layer facing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and then forming a second layer on the first layer. In this case, both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have an insulating function, and the second layer may be a black insulating layer further comprising a black pigment.

다음으로,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타면에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 step of form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before compression bonding will be described.

상기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은 도전성 점착용액, 예를 들어 아크릴계, 우레탄계 핫멜트용 감압성 점착용액에 분산된 도전성 필러를 구비한 용액일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점착용액을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 타면에 공지의 코팅방법을 통해 소정의 두께로 코팅 및 건조시킬 수 있고, 상기 코팅방법은 일예로 콤마, 그라비아 일 수 있다. 건조를 통해 층형상으로 구현된 압착전 도전성 점착층은 두께가 5 ~ 2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pressing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be a solution having a conductive filler dispersed 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olution for a conductive adhesive solution, for example, an acrylic or urethane-based hot melt. The conductive adhesive solution may be coated on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surface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hrough a known coating method, and the coating method may be, for example, a comma or a gravure. The pressure-sensitive conductive adhesive layer implemented in layers through drying may have a thickness of 5 to 25 탆,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부가 상기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의 내부로 함침되도록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 step of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ure so that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impregnated in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before compression bonding will be described.

당해 단계를 통해 소정의 두께로 구현된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 내부로 대면하는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두께 범위까지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부가 함침되며, 이를 통해 도전성 점착층의 일부(제2부분, 도 2의 Q)는 도전성 나노섬유웹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제1부분, 도 2의 P)는 도전성 나노섬유웹 상에 별도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적절한 압력이 가해져 도전성 점착층의 제1부분(P)의 평균두께(d)가 적절한 두께로 구현되는 경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is impregnated from a surface facing to the inside of the pre-compression conductive adhesive layer realiz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range through this step, Q) of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may be located inside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the rest (the first portion, P of FIG. 2) may form a separate layer on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On the other hand, when an appropriate pressure is applied so that the average thickness d of the first portion P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realized to an appropriate thickness,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상술한 제조방법은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면에 보호층을, 타면에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을 형성시킨 뒤 압착시키는 것으로 공정을 설명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을 형성시킨 뒤, 압착공정을 수행하고, 그 이후에 보호층을 형성시킬 수 있는 등 공정순서는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a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followed by press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pressing process and then form a protective layer thereafter.

이후, 상술한 제조방법을 통해 구현된 EMI 차폐필름의 양면에는 보호층 및 도전성 점착층의 보호를 위해 이형필름을 각각의 층 상에 구비시키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Thereafter, a process of providing a release film on each layer for protecting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be further performed on both sides of the EMI shielding film implemented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상술한 제조방법을 통해 구현된 EMI 차폐필름(100)은 도 6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칩(210,220)이 실장된 회로기판(200)에서 적어도 상기 칩(210,220)의 상부면을 덮도록 상기 회로기판 상에 구비되어 전자파차폐형 회로기판(1000)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필름(100)은 우수한 가요성으로 인하여 단차가 있는 칩이나 회로기판의 상부에 우수한 밀착력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칩(210,220), 회로기판(200)은 전기, 전자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적절히 채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The EMI shielding film 100 implemen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may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00 on which the at least one chip 210 or 220 is mounted,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type circuit board 1000 can be realized. At this time, the EMI shielding fil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hered to an upper part of a chip or a circuit board with excellent adhesion due to excellent flexibility. The chips 210 and 220 and the circuit board 200 may be implemented by appropriately employing those well known in the field of electric and electronic technolog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차폐필름(100)은 회로기판 상에 가접합된 후 본접합될 수 있다. 가접합 시 점착특성은 상온, 일예로 25℃에서 80gf/inch일 수 있다. 가접합된 후 120 ~ 160℃의 열과, 0.1 ~ 0.6Bar의 압력을 30초 ~ 2분간 가해 본접합 시킬 수 있으며, 이때 부착력은 1000gf/inch 이상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hielding film 100 may be bonded to a circuit board after bonding. May have an adhesive property at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80 gf / inch at 25 [deg.] C. After bonding, heat can be applied at a temperature of 120 to 160 ° C and a pressure of 0.1 to 0.6 Bar for 30 seconds to 2 minutes. At this time, the adhesive force may be 1000 gf / inch or more.

또한, 상술한 전자파차폐형 회로기판(1000)은 전자기기의 부품으로서 구비되어 전자기기를 구현하며, 상기 전자기기는 TV, 컴퓨터, 휴대폰 등의 모바일 전자기기 등 전지, 전자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전자기기일 수 있어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type circuit board 1000 described above is provided as a component of an electronic apparatus to implement an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electronic apparatus is applicable to a battery such as a TV, a computer, a mobile electronic apparatus such as a mobile phon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is.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constru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1>&Lt; Example 1 >

Shore 경도 85~100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220℃로 용융시켜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방사용액을 통상의 전기방사장치를 통해 인가전압 20kV, 집전체와 방사구까지의 거리 20cm, 분당 토출량 0.02g/hole의 조건으로 RH 60% 25℃의 환경에서 일면이 실리콘 처리된 종이 이형지 상에 전기방사를 실시하여 지지섬유부의 평균직경이 700㎚인 나노섬유웹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나노섬유웹을 온도 30℃, 압력 200kPa로 1차 캘린더링을 실시하여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이며, 인장강도 15 N/㎟이고, 신율이 80 %이며, 두께가 15㎛인 압착된 나노섬유웹을 제조했다. A polyurethane resin having a Shore hardness of 85 to 100 was melted at 220 占 폚 to prepare a spinning solution. The prepared spinning solution was applied through a conventional electrospinning device to a paper release sheet having a silicone surface treated at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H of 60% under the conditions of an applied voltage of 20 kV, a distance of 20 cm from the current collector to the spinneret and a discharge rate per minute of 0.02 g / To give a nanofiber web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of 700 nm. The obtained nanofiber web was subjected to primary calendering at a temperature of 30 DEG C and a pressure of 200 kPa to obtain a pressed nanofiber web having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a tensile strength of 15 N / mm &lt; 2 &gt;, a elongation of 80% .

이후, 전처리공정으로서 하이드록시기 함유 폴리우레탄 고분자화합물이 수분산액 전체 중량의 약 15중량% 포함된 수분산액에 준비된 압착된 나노섬유웹을 침적한 뒤, 건조시켜 폴리우레탄 고분자화합물이 나노섬유의 외부를 피복하도록 최종 두께 약 155nm인 표면코팅층을 형성시켰고, 이를 통해 인장강도 35 N/㎟이며, 신율이 100 %, 두께가 18㎛인 나노섬유웹을 제조했다. Thereafter, as the pretreatment step, the pressed nanofiber web prepared in the aqueous dispersion containing about 15%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aqueous dispersion is immersed in the hydroxy group-containing polyurethane polymer, and then dried to prepare a polyurethane polymer To form a nanofiber web having a tensile strength of 35 N / mm &lt; 2 &gt; and a elongation of 100% and a thickness of 18 [micro] m.

이후, 1차 캘린더링과 동일조건으로 2차 캘린더링을 실시하여 최종 두께가 15㎛, 평량이 10 g/㎡인 나노섬유웹을 준비했다.Then, secondary calendering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primary calendering to prepare a nanofiber web having a final thickness of 15 탆 and a basis weight of 10 g / ㎡.

준비된 나노섬유웹의 지지섬유부 상에 도전성부를 형성시키기 위해 무전해 도금을 수행했다. 니켈-구리-니켈 3층구조의 도전성부를 형성시키기 위해 순차적으로 니켈무전해도금, 구리무전해도금 및 니켈무전해도금을 수행했다. 무전해도금을 수행하기 전, 준비된 나노섬유웹은 공지된 조건에 따라서 에칭, 산세, 컨디셔너의 공정을 거쳤으며, 이러한 공정을 거친 나노섬유웹에 대해 무전해도금을 수행했다. 순차적으로 형성시킨 도전성부의 니켈-구리-니켈 3층구조는 각각 두께가 100㎚, 300㎚, 100㎚로 형성시켜 총 두께가 500㎚이었고, 구현된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평량이 평량이 55g/㎡이고, 두께가 17㎛이었다.Electroless plating was performed to form a conductive part on the supporting fiber part of the prepared nanofiber web. Nickel electroless plating, copper electroless plating and nickel electroless plating were sequentially performed in order to form a conductive part having a nickel-copper-nickel three-layer structure. Before performing the electroless plating, the prepared nanofiber web was subjected to etching, pickling and conditioner processing according to known conditions, and electroless plating of the nanofiber web was performed. The three-layered nickel-copper-nickel structure of conductive portions sequentially formed had thicknesses of 100 nm, 300 nm and 100 nm, respectively, and had a total thickness of 500 nm. The developed conductive nanofiber web had a basis weight of 55 g / M &lt; 2 &gt; and a thickness of 17 mu m.

이후,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면에 우레탄 수지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제1층을 두께 2㎛로 형성시킨 뒤, 블랙보호잉크를 상기 프라이머 상에 그라비아 코팅하여 최종 두께 4㎛로 하여 제2층을 형성시켜 최종 두께 총 6㎛의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블랙보호잉크는 내열성과 연신성이 우수한 아크릴레이트 수지에 입도 25㎚의 카본블랙과 입도 30㎚의 실리카를 중량비 1:1로 투입하여 교반 후 비드밀을 이용하여 분산처리 후 에폭시계 경화제를 20wt%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Thereafter, a first layer including a urethane resin and an acrylic resin wa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to a thickness of 2 탆, and then a black protective ink was gravure-coated on the primer to form a final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 탆, Thereby forming a protective layer having a total thickness of 6 mu m. The black protective ink was prepared by adding carbon black having a particle size of 25 nm and silica having a particle size of 30 nm at a weight ratio of 1: 1 to an acrylate resin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elongation properties, stirring the mixture, and dispersing the mixture using a bead mill. Was mixed with 20 wt%.

이후, 하기에서 준비된 도전성 점착조성물을 통해 도전성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도전성 점착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점착성분으로 산가가 120 ㎎KOH/g이며, 유리전이온도가 -2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인 변성 아크릴 계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용매 톨루엔 60중량부, 글리시딜기를 갖는 에폭시 경화제 3 중량부, 평균입경이 4㎛인 니켈분말 25 중량부, 및 핫멜트 우레탄계 성분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점도가 1800cps인 도전성 점착조성물을 준비했다. Thereafter, a conductive adhesive layer was prepared through the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as follows. To prepare a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60 parts by weight of a solvent toluene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 modified acryl-based component having an acid value of 120 mgKOH / 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0 占 폚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0 as an adhesive component , 3 parts by weight of an epoxy curing agent having a glycidyl group, 25 parts by weight of a nickel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4 탆 and 80 parts by weight of a hot-melt urethane component were mixed to prepare a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having a viscosity of 1800 cps at 25 캜.

이후, 준비된 25℃의 도전성 점착조성물을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타면에 처리 후 건조시켜 두께가 12㎛인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을 형성시켰다. Thereafter, the prepared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at 25 캜 was tre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dried to form a pre-compression conduc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2 탆.

이후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에 압력을 가해 도전성 점착층의 일부분이 도전성 나노섬유웹 내부에 침투되도록 하여 전자파차폐층을 구현했다. 그 결과 도전성 점착층의 제1부분(도 2의 P)의 평균두께가 7㎛이었고, 도전성 점착층의 제2부분(도 2의 Q)의 평균두께가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전체두께의 약 80%가 되었으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하부면 전체 면적에 대해 약 6%만큼의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표면이 하부면에 노출되었으며, 상기 하부면의 표면조도(Ra)는 0.5㎛이었다. 이후 상기 도전성 점착층 상과, 보호층 상에 각각 두께가 50㎛, 25㎛인 이형필름을 합지하여 EMI 차폐필름을 제조하였다. Thereafter, a pressure was applied 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before compression to permeate a part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nto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thereby realizing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As a result,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irst portion (P in Fig. 2)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was 7 mu m an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Q in Fig. 2) %, And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was exposed on the lower surface by about 6% of the total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was 0.5 탆. Then, a release film having thicknesses of 50 탆 and 25 탆 was laminated o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respectively, to produce an EMI shielding film.

<실시예 2 ~ 실시예 6>&Lt; Examples 2 to 6 >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압착전 도전성 점착층의 두께와 압착 시 압력을 변경하여 도전성 점착층의 제2부분(Q)의 비율, 도전성 점착층의 제1부분(P)의 평균두께와 전자파 차폐층 하부면에 노출되는 도전성 섬유웹의 면적 비율을 하기 표 1과 같이 구현한 EMI 차폐필름을 제조하였다.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before compression and the pressure at the time of compression were changed so that the ratio of the second portion Q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the average of the first portion P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The EMI shielding film having the thickness and the area ratio of the conductive fiber web ex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layer was implemented as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7>&Lt; Example 7 >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전자파 차폐층 하부면에 도전성 섬유웹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EMI 차폐필름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the conductive fiber web was not ex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to prepare an EMI shielding film as shown in Table 1 below.

<실험예1><Experimental Example 1>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1에 따른 EMI 차폐필름에 대해 하기와 같은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following properties of the EMI shielding films according to Examples 1 to 6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1. 표면조도 측정1. Surface roughness measurement

도전성 섬유웹의 일부가 노출된 전자파차폐층의 하부면에 대해 표면조도기를 이용해 표면조도(Ra)를 측정했다.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where a part of the conductive fiber web was exposed was measured using a surface roughing machine.

2. 표면저항2. Surface resistance

도전성 섬유웹의 일부가 노출된 전자파차폐층의 하부면에 대해 표면저항을 측정했고, 표면저항은 50×50mm 크기의 시편 기준, 시편의 9개 부위의 표면저항 평균 값을 표에 나타내었다. 또한, 시편을 일방향으로 약 15% 신장한 뒤 시편의 9개 지점의 표면저항 평균값을 표에 나타내었다.The surface resistance was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where a part of the conductive fiber web was exposed and the average surface resistance value of the nine portions of the test piece was shown on the basis of the test piece having the surface resistance of 50 x 50 mm. In addi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surface resistivity of the nine points of the specimen after stretching the specimen in one direction by about 15% is shown in the table.

3. 박리강도 측정3. Peel strength measurement

하부 이형필름을 제거 후 도전성 점착층이 대면하도록 PCB기판(Solder resist, 에폭시계)에 가접합(25℃)하고, Hot press(140℃, 0.3Bar, 60초) 공정으로 본접합하여 길이 150mm, 폭 10mm 크기의 PCB 기판(solder resist) 시편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시편에서 차폐필름의 박리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박리강도는 180°peel, 박리속도는 50㎜/min, 시편 10개에 대해 가접합 후 및 본접합 후 박리강도를 각각 측정하여 계산된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After removing the lower release film, it was bonded to a PCB substrate (solder resist, epoxy system) so that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faces the substrate, and then bonded by hot press (140 ° C, 0.3Bar, 60 sec) A solder resist specimen with a width of 10 mm was prepared. The peeling strength of the shielding film was measured. The peel strength was 180 peel, the peeling speed was 50 mm / min, and the ten peeling strengths were measured after the bonding and the peeling strengths after the bonding. And the average value.

4. 밀착력 평가4. Adhesion evaluation

가로, 세로 및 높이가 각각 400㎛, 400㎛, 500㎛인 제1소자, 400㎛, 400㎛, 800㎛인 제2소자 및 400㎛, 400㎛, 1000㎛인 제3소자가 1㎜ 간격으로 실장된 회로기판 상에 하부 이형필름이 제거된 차폐필름의 도전성 점착층이 대면하도록 가접(25℃)하고, Hot press(140℃, 0.3Bar, 60초) 공정으로 본접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시편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 상에서 차폐필름이 들뜬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평가했고, 들뜬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 들뜬 부분이 존재하지 않고 밀착되어 접합된 경우 ○로 표시하였다.400 탆, 400 탆, 800 탆, and 400 탆, 400 탆, and 1000 탆, respectively, at intervals of 1 mm The specimens were bonded to each other by a hot press (140 ℃, 0.3Bar, 60 sec) process, with the adhesive adhesive layer of the shielding film on which the lower release film was removed. The prepared specimens were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valuate whether or not there was an excited portion of the shielding film on the cross section. The case where the excited portion was present was indicated as X, and the case where the excited portion was not present and adhered closely.

5. 전자파차폐율 측정5. Measurement of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rate

주파수 1.5GHz에서의 차폐율을 측정하였다. 총 5개 샘플에 대한 10번의 차폐율 측정 후 평균 값을 측정하여 나타내었다.The shielding rate at a frequency of 1.5 GHz was measured. After 10 measurements of shielding rate for 5 samples, the mean value was measured and shown.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4Example 4 실시예5Example 5 실시예6Example 6 실시예7Example 7 도전성 점착층 제1부분(P)의 평균두께(㎛)Average thickness (占 퐉)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first portion (P) 77 44 3.23.2 22 1010 1212 13.513.5 도전성 나노섬유웹 전체 두께중 도전성 점착층의 제2부분 두께 비율(%)(%) Of the second part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mong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8080 5252 6060 9595 7171 3030 55 노출된 도전성 섬유웹 면적비율(%)% Of exposed conductive fiber web area (%) 66 1010 2828 3535 55 22 00 표면조도(㎛)Surface roughness (탆) 0.50.5 0.50.5 1.81.8 2.82.8 0.30.3 0.20.2 < 0.1&Lt; 0.1 미신장시 표면저항(mΩ)Surface resistance (mΩ) 5050 150150 200200 520520 8080 320320 350350 15%신장시 표면저항(Ω)Surface resistance at 15% elongation (Ω) 1.21.2 22 1.71.7 440.6440.6 1.051.05 8.98.9 240.5240.5 가접합시 박리강도(gf/inch) Peel strength (gf / inch) 8484 8080 7575 88 8383 8686 9494 본접합시 박리강도(gf/inch)The peel strength (gf / inch) 1,0601,060 1,0201,020 890890 350350 1,2401,240 1,3301,330 1,4201,420 밀착력Adhesion ×× ×× ×× 전자파차폐율(dB)Electromagnetic Shielding Rate (dB) 8686 6969 7575 3535 8282 4343 4545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As can be seen in Table 1,

도전성 나노섬유웹이 노출되지 않은 실시예 7은 실시예6에 대비해 15% 신장시 표면저항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로 도전성 나노섬유웹이 노출된 실시예 6은 실시예 7에 대비해 15% 신장시 표면저항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Example 7, in which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was not exposed, the surface resistance was remarkably reduced when the 15% elongation was compared to Example 6. [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n Example 6 in which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was exposed in the preferred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resistance was remarkably reduced when the 15% elongation was compared to Example 7. [

다만, 과도히 노출된 실시예 4의 경우 실시예 3에 대비해 오히려 표면저항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 4는 도전성 점착층의 제1부분 두께가 과소하여 밀착력도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surface resistance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ase of Example 4 which is excessively exposed, as compared with Example 3. Furthermore, in Example 4,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rtion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was too small, confirming that the adhesion was also poor.

한편, 도전성 점착층의 제2부분 두께비율이 50% 미만인 실시예6 및 실시예7은 도전성 점착층의 제1부분 절대두께가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두꺼움에도 불구하고 단차가 있는 칩이 실장된 회로기판에서의 밀착력 특성이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육안상 밀착력 특성이 양호한 경우에도 적절한 두께로 도전성 점착층의 제2부분이 형성된 실시예3이 실시예2보다 15% 신장시 표면저항, 밀착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Examples 6 and 7 in which the second portion thickness ratio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was less than 50%, the absolute thickness of the first portion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was thick compared to other embodimen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dhesion property on the circuit board is poor. It can also be seen that Example 3, in which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was formed with an appropriate thickness even when the adhesive force was visually good, was superior in surface resistance and adhesive force at 15% elongation than in Example 2.

<실시예 8>&Lt; Example 8 >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1차 캘린더링 후 나노섬유웹에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동일조건으로 2차 캘린더링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된 나노섬유웹으로 변경하여 EMI 차폐필름을 제조하였다.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the nanofiber web after the primary calendering was changed to a nanofiber web prepared by performing a second calendering process under the same conditions without performing a pretreatment process, .

<실험예2><Experimental Example 2>

실시예1 및 실시예8에 따라 제조된 EMI 차폐필름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The following properties of the EMI shielding film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 and 8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 2 below.

1.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평활도1. Smoothness of conductive nanofiber web

EMI 차폐필름의 제조과정 중 나노섬유웹에 대한 무전해 도금공정 후 제조된 도전성 나노섬유웹에 대해서 평활도를 평가했다. 가로, 세로 각각 15㎝, 15㎝인 시편의 양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볼록한 부분의 유무에 대해 평가했고, 볼록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 "양호"로 나타내었다. The smoothness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prepared after the electroless plating process for the nanofiber web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MI shielding film was evaluated. The specimens of 15 cm and 15 cm in width and 15 cm in length were visually observed for the presence of convex portions. The convex portions were evaluated as "abnormal" when they existed, and "good" when they were not present.

볼록한 부분이 존재하는 것은 무전해도금 공정에서 나노섬유웹 내부에서 발생한 수소기체가 나노섬유웹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내부에 갇히게 되어서 발생하는 외관이상이다. The existence of the convex part is an appearance abnormality which occurs because the hydrogen gas generated in the nanofiber web during the electroless plating process can not be released outside the nanofiber web and is trapped inside.

2.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인장강도2. Tensile Strength of Conductive Nanofiber Webs

EMI 차폐필름의 제조과정 중 나노섬유웹에 대한 무전해 도금공정 후 제조된 도전성 나노섬유웹에 대해 만능재료시험기(UTM, 제조사 LLOYD LF PLUS)장치를 통해 인장강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prepared after the electroless plating process for the nanofiber web was measured through a universal material tester (UTM, manufacturer LLOYD LF PLUS) apparatu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MI shielding film, and the results are shown.

3. 30% 신장 시 표면저항3. Surface resistance at 30% elongation

제조된 EMI 차폐필름 중 이형필름이 제거된 전자파차폐층 하부면의 표면저항을 측정했고, 표면저항은 50×50mm 크기의 시편 기준, 시편을 일방향으로 약 30% 신장한 뒤 시편의 9개 부위의 표면저항 평균 값을 계산하여 나타내었다.The surface resistance of the fabricated EMI shielding film was measur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layer from which the release film was removed. The surface resistance was measured on a sample of 50 × 50 mm in size. The sample was stretched in one direction by about 30% The average value of the surface resistance was calculated and shown.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8Example 8 도전성 나노섬유웹 평활도Conductive Nanofiber Web Smoothness 양호Good 이상More than 인장강도(N/㎟)Tensile strength (N / mm 2) 3535 1515 30% 신장시 표면저항(Ω)30% elongation at surface resistance (Ω) 1212 150150

표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나노섬유웹에 전처리공정이 수행되지 않은 실시예 8의 경우 실시예1에 대비해 모든 물성에서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able 2, in Example 8 in which the pretreatment process was not performed on the nanofiber web, all of the properties were lowered in comparison with Example 1.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10': 제1이형필름 20,20': 전자파차폐층
21,21': 도전성 나노섬유웹 22: 도전성 점착층
30,30': 보호층 40,40': 제2이형필름
100,100': EMI 차폐필름 200: 회로기판
210,220: 칩(chip) 1000: 전자파차폐형 회로기판
10, 10 ': first release film 20, 20':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21, 21 ': conductive nanofiber web 22: conductive adhesive layer
30, 30 ': protective layer 40, 40': second release film
100, 100 ': EMI shielding film 200: circuit board
210, 220: chip 1000: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type circuit board

Claims (18)

도전성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다수의 나노섬유가 3차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도록 구현된 도전성 나노섬유웹과 도전성 점착층을 포함하는 전자파차폐층; 및
상기 전자파차폐층 상에 구비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EMI 차폐필름.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comprising a conductive nanofibrous web and a conductive adhesive layer, wherein the plurality of nanofibers including the conductive nanofibers form a three-dimensional network to form a plurality of pores; And
And a protective layer provided on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부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 내에 함침되거나,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전체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 내에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차폐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impregnated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on the basis of the thickness direction,
Wherein the entir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impregnated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는 지지섬유부, 상기 지지섬유부 외면에 피복된 표면코팅층 및 상기 표면코팅층 외부를 일부 또는 전부 피복하는 도전성부를 포함하거나,
지지섬유부와 상기 지지섬유부 외부 일부 또는 전부를 피복하는 도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부가 표면코팅층 또는 지지섬유부 외부를 일부만 피복하는 경우 상기 도전성부는 도전성 나노섬유가 교차 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차폐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nanofiber includes a supporting fiber portion, a surface coating layer co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iber portion, and a conductive portion covering a part or the whol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And a conductive portion covering the support fiber portion and a part or all of the outer portion of the support fiber portion,
Wherein the conductive part is formed to include a region where the conductive nanofibers intersect when the conductive part covers only a part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or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fiber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도전성 나노섬유 및 비도전성 나노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전체 두께 대비 1 내지 80%에 해당하는 두께까지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를 포함하고, 나머지 두께는 비도전성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차폐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may include conductive nanofibers and non-conductive nanofibers.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may include the conductive nanofibers to a thickness of 1 to 8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Lt; RTI ID = 0.0 &gt; EMI &lt; / RTI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부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 내부에 함침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전체 두께 대비 50 내지 85%에 해당하는 도전성 나노섬유웹 부분이 상기 도전성 점착층 내에 위치하거나, 도전성 나노섬유웹으로 함침되지 않는 도전성 점착층 부분의 평균두께가 3 ~ 12㎛이며,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 전체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 내부에 함침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도전성 점착층 어느 일 표면에 치우쳐서 배치되거나 어느 일 표면에 치우치지 않고 배치되도록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차폐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impregnated in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part corresponding to 50 to 85%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located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portions not impregnated with the fibrous web is 3 to 12 占 퐉,
Wherein when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impregnated in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is impregnated on one surface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or disposed so as not to be offset to any one surface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film.
제1항에 있어서,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부가 상기 도전성 점착층 내부에 함침되어 상기 전자파차폐층의 하부면에는 도전성 점착층이 위치하되, 상기 하부면에는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노출 면적은 도전성 나노섬유웹 하부면 전체 면적 대비 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차폐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is impregnated in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on the basis of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a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positioned on a low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lay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exposed And the exposed area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5 to 30% of the total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차폐층의 하부면은 표면 거칠기(Ra)가 0.1 ~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차폐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has a surface roughness (Ra) of 0.1 to 2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는 직경이 5㎛이하이며,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평균공경이 0.1 ~ 15㎛, 두께가 5 ~ 35㎛, 평량이 4 ~ 15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차폐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nanofibers have a diameter of 5 mu m or less and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has an average pore size of 0.1 to 15 mu m, a thickness of 5 to 35 mu m, and a basis weight of 4 to 150 g / m &lt; 2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점착층은,
아크릴계, 실리콘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염화비닐계, 초산비닐계, 에폭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성분과,
니켈(Ni), 알루미나(Al), 구리(Cu), 은(Ag), 아연(Zn), 팔라듐(Pd), 티타늄(Ti), 지르코늄(Zr), 인듐(In), 게르마늄(Ge), 주석(Sn), 금(Au), 철(Fe)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필러, 니켈-그라파이트, 카본블랙, 탄소섬유 및 그라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전도성 탄소계 필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필러를 포함하는 도전성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차폐필름.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claim 1,
A viscous component containing at least one organic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silicone, urethane, polyester, polyolefin, vinyl chloride, vinyl acetate,
(Al), Cu (Cu), Ag, Zn, Pd, Ti, Zr, In, Ge, At least one metal fill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n (Sn), gold (Au), iron (Fe) and alloys thereof, at least one conductive carb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graphite, carbon black, carbon fiber and graphite Wherein the conductive filler comprises at least one fill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iller and a fi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점착층은 유리전이온도가 -20℃ 내지 30℃인 점착성분 및 도전성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차폐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comprises an adhesive component and a conductive fill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0 캜 to 30 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점착층은 산가가 30 ~ 300㎎KOH/g인 점착성분 및 도전성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차폐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comprises an adhesive component having an acid value of 30 to 300 mgKOH / g and a conductive fi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인장강도가 20N/㎟ 이상이고, 표면저항이 500m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차폐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has a tensile strength of 20 N / mm 2 or more and a surface resistance of 500 m? Or les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섬유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olystyl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카보네이트, PC(polycarbonate), 폴리이더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이더술폰(polyesthersulphone), 폴리벤지미다졸(polybenzimidazol),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불소계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부는 알루미늄, 니켈, 구리, 은, 금, 크롬, 백금 및 티타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차폐필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pport fiber portion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uretha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stylene, polyvinylalcohol, polymethyl methacrylate, polylactic acid, But are not limited to, polyethylene oxide, polyvinyl acetate, polyacrylic acid, polycaprolactone, polyacrylonitril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chloride )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carbonate, polycarbonate, polyetherimide, polyesthersulphone, polybenzimidazo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fluorine compounds. &Lt; / RTI &gt;
Wherein the conductive portion comprises at least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nickel, copper, silver, gold, chromium, platinum and titanium allo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은 신율이 15 ~ 50%이며, 어느 일방향으로 15% 신장 시 표면저항이 2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차폐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nanofibrous web has an elongation of 15 to 50% and a surface resistance of 2? Or less at 15% elongation in any one direction.
도전성 나노섬유웹을 준비하는 단계;
도전성 나노섬유웹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시키고, 타면에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의 일부가 상기 압착 전 도전성 점착층의 내부로 함침되도록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MI 차폐필름 제조방법.
Preparing a conductive nanofiber web;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sid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form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on the other side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And
And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ure so that a part of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is impregnated in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before compress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나노섬유웹을 준비하는 단계는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된 다수의 지지섬유부로 나노섬유웹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섬유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도전성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EMI 차폐필름 제조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preparing the conductive nanofiber web
Fabricating a nanofiber web with a plurality of support fiber portions formed through electrospinning; And
And forming a conductive part on all or a part of the supporting fiber.
적어도 하나의 칩이 실장된 회로기판; 및
적어도 상기 칩의 상부면을 덮도록 상기 회로기판 상에 구비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EMI 차폐필름;을 포함하는 전자파차폐형 회로기판.
A circuit board on which at least one chip is mounted; And
The EMI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which is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so as to cover at least the upper surface of the chip.
제17항에 따른 전자파 차폐형 회로기판을 구비한 전자기기.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type circuit board according to claim 17.
KR1020180096318A 2017-08-18 2018-08-17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flim KR10206673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4607 2017-08-18
KR1020170104607 2017-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874A true KR20190019874A (en) 2019-02-27
KR102066730B1 KR102066730B1 (en) 2020-01-15

Family

ID=6536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318A KR102066730B1 (en) 2017-08-18 2018-08-17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fli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6730B1 (en)
WO (1) WO2019035697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9051B2 (en) 2019-07-26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4049273A1 (en) * 2022-09-02 2024-03-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24049272A1 (en) * 2022-09-02 2024-03-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7401A (en) * 2020-07-28 2022-02-01 臻鼎科技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CN114650648A (en) * 2020-12-21 2022-06-21 3M创新有限公司 Circuit board to which 3D-shaped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is attached, 3D-shaped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and 3D-shaped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CN116494618B (en) * 2023-06-26 2023-10-03 北京爱思达航天科技有限公司 Electromagnetic shielding nanofiber composit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067B1 (en) 1997-07-22 2000-03-15 조경래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magetic waves covering matter
JP2001084831A (en) * 1999-09-16 2001-03-30 Daikin Ind Ltd Conductive fluorine-containing material
KR20130136240A (en) *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A condu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5928556B2 (en) * 2013-11-07 2016-06-01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Conductive adhesive sheet, wi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i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4426B2 (en) * 2004-07-29 2010-04-21 タキロン株式会社 Conductive film for in-mold molding
KR101349029B1 (en) * 2012-04-04 2014-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mposite for shielding broadband electromagnetic wave
CN104350815B (en) * 2012-06-04 2018-11-09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heet, preparation method and the built-in antenna including it
KR101576153B1 (en) * 2013-04-04 2015-12-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Two-layered Metal Fib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067B1 (en) 1997-07-22 2000-03-15 조경래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magetic waves covering matter
JP2001084831A (en) * 1999-09-16 2001-03-30 Daikin Ind Ltd Conductive fluorine-containing material
KR20130136240A (en) *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A condu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5928556B2 (en) * 2013-11-07 2016-06-01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Conductive adhesive sheet, wi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ir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9051B2 (en) 2019-07-26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4049273A1 (en) * 2022-09-02 2024-03-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24049272A1 (en) * 2022-09-02 2024-03-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5697A1 (en) 2019-02-21
KR102066730B1 (en)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9874A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flim
JP6435540B2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with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48537B1 (en) Flexible EMI shielding materials for electronic device, EMI shielding type circuit module compris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20036870A (en) Method for forming pattern for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US20160333232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tapes and articles therefrom
KR102558230B1 (en) Shielding film with transfer film, method for producing shielding film with transfer film
JP2019216156A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 sheet, component mounting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TWI484505B (en) Conductive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77543B1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heet and board with electronic components
KR102267001B1 (en) Adhesive tape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component
JP2005311039A (en)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58742B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film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KR101949143B1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KR20220161471A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shielding wiring board, and electronic device
JP5705460B2 (en)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method for producing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and electronic device
KR101947412B1 (en) Conductive complex fiber for flexible EMI shielding material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24049272A1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JP2003031035A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and flat cable hav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
JP2017069094A (en) Conductive tape, and production method of conductive tape
KR20090028283A (en) Electroconductive elastomer with multilayer structure
JP2020057759A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 sheet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board
JP3783791B2 (en) Connection member and electrod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using the connection member
WO2008150117A2 (en) Manufacturing method of emi shielding fabric sheet with hot-melt adhesive layer
JP2021082501A (en) Conductive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68170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