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526A -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 Google Patents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526A
KR20190019526A KR1020170104604A KR20170104604A KR20190019526A KR 20190019526 A KR20190019526 A KR 20190019526A KR 1020170104604 A KR1020170104604 A KR 1020170104604A KR 20170104604 A KR20170104604 A KR 20170104604A KR 20190019526 A KR20190019526 A KR 20190019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member
outer plate
fireproof door
sp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649B1 (ko
Inventor
차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광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광에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광에스씨
Priority to KR102017010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6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6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meta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도율을 낮추는 구조를 이용하여 방화문의 열변형을 최소화시켜, 문의 개폐율을 높인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한 쌍의 금속판재로 형성되어, 전면과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판재와; 상기 외관판재 측면부에 구비되어, 방화문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외관판재를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이격부재; 그리고 상기 외관판재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어, 방화문의 상하단부를 차폐 마감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화도어:와 상기 내화도어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화도어 일측이 결합되는 도어프레임: 그리고 상기 내화도어가 개폐되도록, 상기 마감부재 일측 상하부에 결합되는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화재시, 방화문 내부보강재의 열전도를 지연시키므로, 고열로 인한 열변형을 방지하여, 방화문이 열변형에 의해 파열되는 시간을 연장하므로, 충분한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 FIREPROOF DOOR WITH IMPROVED FIRE RESISTANCE }
본 발명은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도율을 낮추는 구조를 통해 방화문의 열변형을 지연시키는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은 일반적으로 건물에 화재 발생시, 화염 및 연기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설계되어, 화염의 전파를 최소화하고 피난 경로를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시설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화문의 구성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이중 외관판재와 단열을 위한 내부단열재로 구성된다.
이때, 화재에 의한 상기 방화문의 열병형 원리를 살피면, 직접 고열이 가해지는 외관판넬 부분이 먼저 열변형 된다.
그리고 이중 외관판재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의해 열전도가 일어나고, 반대측 외관판재에도 열이 전도되어 열변형이 일어난다.
이에 따라, 상기 외관판재의 열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응력이 방화문의 강도를 초과하는 경우, 방화문이 파열되어 방화문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방화문은 화재발생시 대피자의 대피시간을 보장하기 위하여 파열에 이르는 유지시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열변형에 대한 충분한 강도가 요구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6-0018520호에는 골구구조를 적용한 화염에 의한 뒤틀림방지 방화문의 구조가 개시된바 있다.
그러나 방화문 내부에 채워지는 단열재 및 바인더가 연소되어, 가스가 생성되면 열과 가스압력에 의해 팽창과 동시에 강도가 취약한 부분에서 비틀림이 발생되어, 발화문의 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도어프레임의 사이 틈새가 벌어져 유해가스가 누출되어 화재에 의한 2차 피해가 발생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6-00185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화재시, 방화문 내부보강재의 열전도를 지연시키므로, 고열에 대한 방화문의 강도가 증가하여, 화재 발생시, 대피자의 충분한 대피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방화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 쌍의 금속판재로 형성되어, 전면과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판재와; 상기 외관판재 측면부에 구비되어, 방화문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외관판재를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이격부재; 그리고 상기 외관판재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어, 방화문의 상하단부를 차폐 마감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화도어:와 상기 내화도어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화도어 일측이 결합되는 도어프레임: 그리고 상기 내화도어가 개폐되도록, 상기 마감부재 일측 상하부에 결합되는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관판재는 상기 방화문 차폐시, 상기 도어프레임 외측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판재와; 상기 제 1 판재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어프레임 내측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2 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외관판재 사이를 지지하도록 일면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형성되어, 개방면이 내화도어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외관판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마감부재는 일면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관판재 상하단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외관판재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이격부재는 열전도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측면접합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이 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격부재는 열전도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측면접합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이 격자형으로 홈이 형성된 격자홈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격부재는 열전도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측면접합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이 열전도를 차단하는 열전도차단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열전도차단부재는 내화성을 갖는 방화테이프이다.
상기 제 1 판재 및 상기 제 2 판재 사이에는 열전도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이격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이격부재는 개방면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이격부재는 개방면의 방향이 내화도어의 내외측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이격부재는 상기 제 1 판재 측에 구비되는 상기 이격부재의 개방면이 상기 내화도어의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서로 면접하는 이격부재들은 개방면의 방향이 교번하여 배치된다.
상기 내화도어는 상기 제 1 판재 측에 구비된 이격부재의 개방면에 의해,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유로의 상하부에는 상기 제 1 판재 및 상기 이격부재를 관통하는 상부관통공 및 하부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관통공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상부관통공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이격부재가 냉각된다.
상기 도어프레임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내화도어가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걸림턱은 상기 마감부재의 삽입단부로부터 상기 외관판재 단부까지의 길이와 상기 내화도어 단부와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 이격공간의 합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마감부재는 방화문 차폐시, 상기 걸림턱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외관판재 사이의 상부 및 하부에 개방면이 내화도어의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용접 결합에 의해 상기 외관판재와 결합되고; 상기 마감부재의 용접점은 상기 용접점에 의한 열전도 상승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상기 외관판재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고정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재는 측면부 단부가 상기 고정절곡부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위치된다.
상기 외관판재 상단부 및 하단부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절곡부로부터 상기 외관판재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 2 절곡부로 형성된 연장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판재에 형성된 상기 연장절곡부와 상기 제 2 판재에 형성된 연장절곡부가 서로 접하여 결합된다.
상기 외관판재 상단부 및 하단부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절곡부로부터 상기 외관판재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 2 절곡부로 형성된 연장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판재에 형성된 상기 연장절곡부와 상기 제 2판재에 형성된 연장절곡부가 각각 상기 마감판재와 면접하여 결합된다.
상기 마감부재는 개방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내화도어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열전도를 낮추기 위하여, 측면부가 상기 이격부재 내측에 결합된다.
상기 마감부재는 개방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내화도어의 측면부의 열전도를 낮추기 위하여, 측면부가 상기 이격부재 외측에 결합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화재시, 방화문 내부보강재의 열전도를 지연시키므로, 고열로 인한 열변형을 방지하여, 방화문이 열변형에 의해 파열되는 시간을 연장하므로, 충분한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의 절단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서 열전도를 감소시키는 이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서 열전도를 감소시키는 이격부재 결합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서 냉각유로의 공기 순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서 마감부재의 다양한 결합구조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서 마감부재의 결합방법의 일예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서 마감부재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의 내부충진재가 구비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의 절단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서 열전도를 감소시키는 이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서 열전도를 감소시키는 이격부재 결합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서 냉각유로의 공기 순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서 마감부재의 다양한 결합구조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서 마감부재의 결합방법의 일예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서 마감부재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의 내부충진재가 구비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은 내화도어(100)와 도어프레임(200) 그리고 힌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화도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재로 형성되어, 전면과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외관판재(110)와 상기 외관판재(110)를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외관판재(110) 측면부에 구비되는 이격부재(120) 그리고 상기 외관판재(110)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어 방화문의 상하단부를 차폐하는 마감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관판재(110)는 방화문 차폐시, 상기 도어프레임(200) 외측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판재(111)와 상기 제 1 판재(111)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200) 내측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2 판재(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격부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관판재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관판재(110)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130)는 일면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관판재(11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외관판재(110)의 상하단부를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300)는 상기 마감부재(130)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프레임(200)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도어(100)가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격부재(120)는 제 1 판재(111) 및 제 2 판재(113)로 구성된 외관판재(110) 사이를 지지하므로, 화재시 제 1 판재(111)와 제 2 판재(113) 사이의 열전도 경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재(120)는 측면접합면이 열전도율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이격부재(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판재(110)와 접하는 측면접합면이 격자홈면(123)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격부재(120)는 상기 외관판재(110)가 이격된 상태로 결합하면서도, 열전도를 감소시킨다.
즉, 상기 이격부재(120)에 형성된 격자홈면(123)은 접하는 접합면적을 축소시키므로, 전도되는 열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120)의 측면접합면은 열전도가 일어나는 접합면을 감소시키기 위해 치형로 형성되거나, 거친면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거친면이라함은 강재의 표면을 표면처리 등을 통해 표면거칠기를 높인 면을 말한다.
한편, 상기 외관판재(110)와 접하는 상기 이격부재(120)의 외측면 및 상기 이격부재(120) 사이 접하는 접합면에 열전도를 감소시키는 열전도차단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이격부재(120)의 열전도를 더욱 지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도차단부재는 열전도율이 낮으면서도, 내화성이 강한 소재로 형성된 방화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격부재(120)는 상기 외관판재(110) 사이에 구비되고, 외관판재로부터 전도되는 열의 전도율이 감소된다.
즉, 상기 이격부재(120)는 상기 방화문의 골격을 유지시키는 측면보강재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격부재는 화재시, 열전도에 의한 온도 상승이 저하되어, 보다 오랜시간 동안 방화문의 형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상기 이격부재(120)는 상기 외관판재(110) 측면에 구비되어 열전도가 지연되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이격부재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열전도를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격부재의 다양한 설치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상기 외관판재(110)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이격부재의 설치 예 중 (a)와 같이 하나의 이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 1 판재(111)에서 상기 제 2 판재(113)로 열전도가 지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부재의 측면접합면이 격자홈면, 치형면, 거친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이격부재의 설치 예 중 (b)와 같이 복수의 이격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도가 복수의 이격부재 사이의 측면접합면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이격부재 간 열전도가 크게 지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격부재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가열측 이격부재가 온도가 상승하여도 타측 이격부재의 온도상승은 지연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타측 이격부재에 의해 상기 방화문의 형태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복수개로 조합되는 이격부재들은 도 5에 도시된 (c) 설치예와 같이 방화문의 내외측 방향으로 각각 교번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재(120)의 열전도 경로가 증가되므로, 가열측과 반대측 이격부재 간의 열전도가 현저히 낮아지는 효과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격부재(120)가 복수로 교번하여 구비되는 경우, 열전도 경로가 증가되어, 가열측 이격부재가 온도가 상승하여도 타측 이격부재의 온도상승은 지연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타측 이격부재에 의해 상기 방화문의 형태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격부재(120)가 복수로 구성된 경우, 상기 내화도어는(1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 외측으로 구비된 상기 이격부재(120)의 개방면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는 냉각유로(1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내화도어(100)의 외관판재(110)에 접하여 설치되는 이격부재(120)는 개방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야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격부재(120)의 개방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냉각유로(127)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외관판재(110) 및 상기 이격부재(120)를 관통하는 상부관통공 및 하부관통공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화도어(100)는 상기 하부관통공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상부관통공을 배출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각유로(127)에서 순환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이격부재가 냉각되고, 이에 따라 가열측 이격부재(120)의 열이 타측 이격부재(120)로 전도되는 것이 지연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서는 상기 외관판재(110) 상부 및 하부를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마감부재(1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130)는 상기 외관판재(110) 및 상기 이격부재(1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일부면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관판재(110) 상하단부 사이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부재(130)는 개방면이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이 중 결합 방향에 따른 장단점 및 특징은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재(130)의 개방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130)는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외관판재(110) 및 상기 마감부재(130)는 도 7에 도시된 (a)와 같이, 상기 외관판재(110) 사이에 용접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관판재(110) 및 상기 마감부재(130) 그리고 상기 이격부재(120)는 구조적으로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외관판재(110) 및 상기 마감부재(130)는 도 7에 도시된 (b)와 같이, 결합용이성 및 결합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외관판재(110)에는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고정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재의 양측 단부가 상기 고정절곡부 내측으로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관판재(110)는 제작용이성 향상을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c)와 같이, 상기 외관판재(1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절곡부가 형성되고, 서로 면접하여 결합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절곡부는 상기 외관판재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절곡부로부터 상기 외관판재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 2 절곡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판재 및 상기 제 2 판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관판재(110) 및 상기 이격부재(120)는 구조적으로 일체로 결합된다.
이는, 별도의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지 않고도 상/하부를 차폐할 수 있어, 내화도어(100)의 조립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외관판재(110)는 제작용이성 향상을 위하여 도 8 에 도시된 (a)와 같은 형태로, 단부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외관판재(110)는 상기 마감부재 결합 후, 도 8에 도시된 (b)와 같은 형태로,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절곡부로부터 상기 외관판재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 2 절곡부로 형성되는 연장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절곡부가 면접하여 일체로 결합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관판재(110) 및 상기 마감부재(130) 그리고 상기 이격부재(120)는 구조적으로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연장절곡부가 서로 면접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어, 일체로 결합 될 수도 있다.
이는, 별도의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지 않고도 상/하부를 차폐할 수 있어, 내화도어(100)의 조립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외관판재 사이의 열전도율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프레임(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화도어(110)의 상하단부가 도어프레임(20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열전도율이 높은 내화도어의 상하단부가 직화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도어프레임(200)의 걸림턱(210) 높이(L)는 상기 마감부재의 삽입단부로부터 상기 외관판재 단부의 길이(l)와 이격공간(Δ)을 합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열전도 취약부위가 직접적인 열이 닿지 않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에 의해 차단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마감부재(130)의 개방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즉, 건축 설계시, 방화문의 도어프레임 일부가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의 통행을 용이하도록 바닥부 도어프레임을 제거한 경우, 화재시, 노출된 내화도어 하단에 직접 고열이 전달되어, 열전도가 증가하므로, 노출된 내화도어 하단은 열전도에 대한 취약부위가 된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130)의 단부는 열전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화도어 제작시, 도 10에 도시된 (a)와 같이 상기 이격부재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감부재(130)와 상기 외관판재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이격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열전도율이 감소한다.
또한, 측면부 도어프레임이 제거된 경우, 상기 마감부재의 단부는 도 10에 도시된 (b)와 같이 상기 이격부재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재(120)와 상기 외관판재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이격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열전도율이 감소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마감부재와 이격부재의 위치 선정에 따라, 취약부위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열전도 취약부에 대한 보강위치를 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겨울철 결로 현상을 예방하고, 실내 보온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보드 단열재, 블랭킷 단열재, 발포단열재 등 다양한 소재의 내부단열재(300)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권리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 범위에 기재된 권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다다.
본 발명은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도율을 낮추는 구조를 이용하여 방화문의 열변형을 최소화시켜, 문의 개폐율을 높인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화재시, 방화문 내부보강재의 열전도를 지연시키므로, 고열로 인한 열변형을 방지하여, 방화문이 열변형에 의해 파열되는 시간을 연장하므로, 충분한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내화도어 110 : 외관판재
111 : 제 1 판재 113 : 제 2 판재
120 : 이격부재 123 : 격자홈면
127 : 냉각유로 130 : 마감부재
200 : 도어프레임 210 : 걸림턱
300 : 힌지 400 : 내부단열재

Claims (12)

  1. 한 쌍의 금속판재로 형성되어, 전면과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판재와;
    상기 외관판재 측면부에 구비되어, 방화문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외관판재를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이격부재; 그리고
    상기 외관판재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어, 방화문의 상하단부를 차폐 마감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화도어:와
    상기 내화도어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화도어 일측이 결합되는 도어프레임: 그리고
    상기 내화도어가 개폐되도록, 상기 마감부재 일측 상하부에 결합되는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판재는,
    상기 방화문 차폐시, 상기 도어프레임 외측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판재와;
    상기 제 1 판재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어프레임 내측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2 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외관판재 사이를 지지하도록 일면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형성되어, 개방면이 내화도어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외관판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마감부재는,
    일면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관판재 상하단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외관판재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열전도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측면접합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이 치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열전도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측면접합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이 격자형으로 홈이 형성된 격자홈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열전도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측면접합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이 열전도를 차단하는 열전도차단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열전도차단부재는,
    내화성을 갖는 방화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내화도어가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걸림턱은,
    상기 마감부재의 삽입단부로부터 상기 외관판재 단부까지의 길이와 상기 내화도어 단부와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 이격공간의 합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마감부재는,
    방화문 차폐시, 상기 걸림턱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외관판재 사이의 상부 및 하부에 개방면이 내화도어의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용접 결합에 의해 상기 외관판재와 결합되고;
    상기 마감부재의 용접점은,
    상기 용접점에 의한 열전도 상승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판재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고정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재는,
    측면부 단부가 상기 고정절곡부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판재 상단부 및 하단부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절곡부로부터 상기 외관판재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 2 절곡부로 형성된 연장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판재에 형성된 상기 연장절곡부와 상기 제 2 판재에 형성된 연장절곡부가 서로 면접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판재 상단부 및 하단부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절곡부로부터 상기 외관판재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 2 절곡부로 형성된 연장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판재에 형성된 상기 연장절곡부와 상기 제 2판재에 형성된 연장절곡부가 각각 상기 마감판재와 면접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11. 제 2 항 내지 제 5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개방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내화도어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열전도를 낮추기 위하여, 측면부가 상기 이격부재 내측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12. 제 2 항 내지 제 5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개방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내화도어의 측면부의 열전도를 낮추기 위하여, 측면부가 상기 이격부재 외측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KR1020170104604A 2017-08-18 2017-08-18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KR102140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604A KR102140649B1 (ko) 2017-08-18 2017-08-18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604A KR102140649B1 (ko) 2017-08-18 2017-08-18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526A true KR20190019526A (ko) 2019-02-27
KR102140649B1 KR102140649B1 (ko) 2020-08-03

Family

ID=6556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604A KR102140649B1 (ko) 2017-08-18 2017-08-18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64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245A (ko) * 2001-09-27 2003-04-07 최준한 가연성 소재를 부착하기 위한 보강구조
KR20060018520A (ko) 2004-08-24 2006-03-02 강성태 화염에 의한 뒤틀림방지 방화문의 구조
KR20090004416U (ko) * 2007-11-06 2009-05-11 변규병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20120022084A (ko) * 2010-07-29 2012-03-12 임찬묵 불연 패널 방화문
KR20130142587A (ko) * 2012-06-20 2013-12-30 (주)동광명품도어 보강재와 연결부재가 필요 없는 방화문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20150078822A (ko) * 2013-12-31 2015-07-08 (주)삼선씨에스에이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20160071079A (ko) * 2014-12-11 2016-06-21 (주)삼선씨에스에이 방화문
KR101663462B1 (ko) * 2016-03-07 2016-10-07 박문규 화기배출구조를 갖는 방화문
KR101720899B1 (ko) * 2016-06-08 2017-04-10 최영수 보강 지그가 구비된 방화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245A (ko) * 2001-09-27 2003-04-07 최준한 가연성 소재를 부착하기 위한 보강구조
KR20060018520A (ko) 2004-08-24 2006-03-02 강성태 화염에 의한 뒤틀림방지 방화문의 구조
KR20090004416U (ko) * 2007-11-06 2009-05-11 변규병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20120022084A (ko) * 2010-07-29 2012-03-12 임찬묵 불연 패널 방화문
KR20130142587A (ko) * 2012-06-20 2013-12-30 (주)동광명품도어 보강재와 연결부재가 필요 없는 방화문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20150078822A (ko) * 2013-12-31 2015-07-08 (주)삼선씨에스에이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20160071079A (ko) * 2014-12-11 2016-06-21 (주)삼선씨에스에이 방화문
KR101663462B1 (ko) * 2016-03-07 2016-10-07 박문규 화기배출구조를 갖는 방화문
KR101720899B1 (ko) * 2016-06-08 2017-04-10 최영수 보강 지그가 구비된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649B1 (ko) 202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971B1 (ko) 방열기능이 강화된 방화문
KR20200001031U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구조
KR200390271Y1 (ko) 방화문
JP6262965B2 (ja) 建具
JP2020112026A (ja) シャッター建具
JP2013127169A (ja) 建具
KR101975558B1 (ko) 결로 방지용 방화문
JP6700967B2 (ja) 建具
JP2020090786A (ja) 建具用面材及び建具
KR102255679B1 (ko) 패널 어셈블리
JP6017339B2 (ja) 窓ユニット
KR102175746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외벽용 단열패널
KR102065152B1 (ko) 차열방화유리 구조체
JP6683445B2 (ja) 建具
JP5653896B2 (ja) 建具
KR20190012440A (ko) 철제 방화문
KR20190019526A (ko)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KR102219234B1 (ko) 보강재를 갖춘 방화문
KR102120544B1 (ko) 방화문
JP6379316B2 (ja) 建具
JP2021188283A (ja) 樹脂サッシ
JP6843684B2 (ja) 建具
KR20220013883A (ko) 이중 단열 방화 유리문
KR20070033101A (ko) 방화유리문의 프레임구조
JP6741528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